KR102491758B1 - 엘리베이터 자재의 판금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자재의 판금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1758B1
KR102491758B1 KR1020220142599A KR20220142599A KR102491758B1 KR 102491758 B1 KR102491758 B1 KR 102491758B1 KR 1020220142599 A KR1020220142599 A KR 1020220142599A KR 20220142599 A KR20220142599 A KR 20220142599A KR 102491758 B1 KR102491758 B1 KR 102491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sheet metal
metal processing
conveyo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2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유석
Original Assignee
(주)신화마이스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화마이스터 filed Critical (주)신화마이스터
Priority to KR1020220142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17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8Associations of cutting devices therewith
    • B21D43/287Devices for handling sheet or strip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02Punching blanks or articles with or without obtaining scrap; No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2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sheet metal by folding, e.g. connecting edges of a sheet to form a cylinder
    • B21D39/028Reinforcing the connection otherwise than by deforming, e.g.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6Feeding elongated articles, such as tubes, bars, or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0Storage arrangements; Piling or unpiling
    • B21D43/22Devices for piling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2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press brakes without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1/02Polyalk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8Anti-corrosive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78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involving a particular surface treatment
    • C21D8/0284Application of a separating or insulating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제작용 패널의 판금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1) 금속판의 엘리베이터 자재를 구비 및 적재하는 단계; (2) 적재된 금속판의 엘리베이터 자재를 컨베이어 또는 로봇을 이용하여 하나씩 연속 이송하는 단계; (3) 컨베이어 또는 로봇을 통해 이송되는 금속판의 엘리베이터 자재를 공급받아 바이브레이션 응력제거처리를 수행하되, 금속판의 엘리베이터 자재에 공진주파수를 인가한 진동을 부여함으로써 자재가 갖는 응력을 제거하여 강도 감소를 없애주면서 다음 공정의 진행에 따른 전체적인 작업안정성을 갖게 하는 단계; (4) (3)단계를 마친 금속판의 엘리베이터 자재에 대해 판금전단기, 판금펀칭프레스기, NC절단기, 레이저절단기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 및 치수로 절단하는 단계; (5) (4)단계를 마친 금속판의 엘리베이터 자재에 대해 벤딩 다이와 나이프에 의한 굽힘기계를 이용하여 원하는 부위를 원하는 형태로 굽힘 처리하는 단계; (6) 굽힘 가공 처리된 금속판의 엘리베이터 자재에 보강대를 리벳 조립하거나 판금 용접을 통해 결합하는 단계; (7) (6)단계를 마친 금속판의 엘리베이터 자재에 대해 와이어드로잉기 또는 헤어라인기를 이용하여 표면 처리하거나 또는 표면에 세라믹 코팅 처리하여 마감하는 단계; (8) (7)단계를 마친 결과물인 엘리베이터 판금가공자재를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 처리한 후, 포장파레트에 내려놓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자재의 판금 가공시 작업 효율성과 작업 안정성은 물론 작업 용이성 및 편의성을 높일 수 있고, 판금 가공되는 엘리베이터 자재에 대한 내구성 등 기계적 특성과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판금 가공에 사용되는 장비 및 공정 등의 개선을 통해 판금 가공 공정을 더욱 효율화 및 작업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자재의 판금 가공방법{SHEET METAL PROCESSING METHOD FOR ELEVATOR PARTS}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나 천장 또는 벽 등을 비롯한 각종 엘리베이터 부품의 제작을 위한 엘리베이터 자재의 판금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자재의 판금 가공시 작업 효율성과 안정성은 물론 작업 용이성 및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자재의 판금 가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판금은 각종 금속판에 대한 포괄적인 냉간 가공 공정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전단, 펀칭, 절단, 컴파운딩, 굽힘, 리벳팅, 접합, 성형, 표면 처리 등의 판금 공정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판금 공정에 있어서는 장비가 필수적으로 활용되는데, 예를 들면 Shear Machine, CNC Punching Machine, Laser/Plasma/Waterjet Cutting Machine, Bending Machine, Drilling Machine 및 decoiler, leveling machine, deburring machine, spot welding machine 등과 같은 다양한 장비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판금 공정은 엘리베이터 자재를 가공하는 등의 작업에 사용되고 있으며, 금속판재를 이용하여 부품을 제작하는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 엘리베이터 자재를 이용한 도어 등의 각종 부품 생산시 판금 가공 공정을 수행함에 있어서는 전단, 펀칭, 굽힙 등의 가공작업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가공작업에 따라 엘리베이터 자재 상에 응력이 발생되어 강도가 감소하는 등의 원치않는 요인이 발생되므로 이후에 수행되는 가공작업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등 작업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엘리베이터 자재의 판금 가공시 수작업이 수행되는 등 작업효율성이 떨어지고, 이로 인해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거나 인건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엘리베이터 자재의 판금 가공에 사용되는 장비나 도구에 있어 부식이 발생됨에 의해 자체 수명이 단축되거나 생산되는 엘리베이터 자재에 녹이 묻어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 판금 가공기술에 대해서는 국내공개특허 제10-2014-0056008호에서 '판금 성형 가공 방법'을 개시하고 있고, 국내등록특허 제10-2054736호에서 '판금 가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판금 가공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이를 참고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5600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54736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 자재의 판금 가공시 작업 효율성과 안정성은 물론 작업 용이성 및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자재의 판금 가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판금 가공되는 엘리베이터 자재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자재의 판금 가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판금 가공에 사용되는 장비의 개선을 통해 판금 가공 공정을 효율화 및 작업시간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자재의 판금 가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자재의 판금 가공방법은, (1) 금속판의 엘리베이터 자재를 구비 및 적재하는 단계; (2) 적재된 금속판의 엘리베이터 자재를 컨베이어 또는 로봇을 이용하여 하나씩 연속 이송하는 단계; (3) 컨베이어 또는 로봇을 통해 이송되는 금속판의 엘리베이터 자재를 공급받아 바이브레이션 응력제거처리를 수행하되, 금속판의 엘리베이터 자재에 공진주파수를 인가한 진동을 부여함으로써 자재가 갖는 응력을 제거하여 강도 감소를 없애주면서 다음 공정의 진행에 따른 전체적인 작업안정성을 갖게 하는 단계; (4) (3)단계를 마친 금속판의 엘리베이터 자재에 대해 판금전단기, 판금펀칭프레스기, NC절단기, 레이저절단기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 및 치수로 절단하는 단계; (5) (4)단계를 마친 금속판의 엘리베이터 자재에 대해 벤딩 다이와 나이프에 의한 굽힘기계를 이용하여 원하는 부위를 원하는 형태로 굽힘 처리하는 단계; (6) 굽힘 가공 처리된 금속판의 엘리베이터 자재에 보강대를 리벳 조립하거나 판금 용접을 통해 결합하는 단계; (7) (6)단계를 마친 금속판의 엘리베이터 자재에 대해 와이어드로잉기 또는 헤어라인기를 이용하여 표면 처리하거나 또는 표면에 세라믹 코팅 처리하여 마감하는 단계; (8) (7)단계를 마친 결과물인 엘리베이터 판금가공자재를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 처리한 후, 포장파레트에 내려놓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6)단계와 (7)단계의 사이에는 상기 (4)단계 내지 (6)단계에서의 판금 가공에 의해 금속판의 엘리베이터 자재에 발생된 잔류응력을 제거하기 위해 열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개재하되, 상기 열처리는 진공열처리로를 이용하여 진공상태에서 1100℃~1400℃의 온도조건 및 30분~40분 동안 열처리한 후 액화질소를 투입하여 25℃~30℃까지 냉각 처리하며, 상기 금속판은 스테인리스스틸 소재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7)단계에서 금속판의 엘리베이터 자재 표면에 세라믹 코팅시에는 전기절연성이 우수한 ZrO2, Al2O3, SiO2 중에서 선택적 어느 1종을 단독 사용하거나 이들을 혼합 사용하여 증착 또는 코팅하되, 금속판의 엘리베이터 자재 표면과의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 증착 또는 코팅 이전에 전해연마 또는 플라즈마연마에 의한 표면 처리를 수행하고, 코팅 두께는 우수한 절연상태를 유지하도록 500nm~1㎛로 형성하며, 상기 ZrO2, Al2O3, SiO2을 혼합시, ZrO2 : Al2O3 : SiO2 = 1~1.5 : 0.5~1 : 0.5~0.8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사용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8)단계에서는, 상기 컨베이어에 대해 상하에 위치하도록 간격 배치되는 상부컨베이어와 하부컨베이어로 구분하여 설치하고, 상기 하부컨베이어의 이송 끝단부 앞쪽에 포장파레트를 위치시키고, 상기 하부컨베이어의 이송 끝단부와 포장파레트 사이의 일측면에 상부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엘리베이터 판금가공자재를 180°로 위치 반전시켜 포장파레트로 내려놓기 위한 자재반전장치 또는 자유자재로 회전 가능한 로봇팔을 갖는 로봇장치를 설치하며, 상기 하부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어느 하나의 엘리베이터 판금가공자재를 포장파레트의 상면에 안착시키되, 상기 상부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다른 하나의 엘리베이터 판금가공자재에 대해 자재반전장치 또는 로봇장치에서 진공흡착부를 통해 진공 흡착한 후 180°로 위치 반전시켜 포장파레트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 있는 어느 하나의 엘리베이터 판금가공자재의 위로 적재시키도록 하며, 상기 포장파레트 상에 적재되는 어느 하나의 엘리베이터 판금가공자재와 다른 하나의 엘리베이터 판금가공자재는 상기 (7)단계를 통해 표면 처리되거나 세라믹 코팅되어 마감된 표면이 서로 마주하여 위치되게 처리하며, 상기 어느 하나의 엘리베이터 판금가공자재와 다른 하나의 엘리베이터 판금가공자재의 사이에는 실리콘, EVA(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 폴리우레탄 소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에 의한 스크래치방지판이 삽입 배치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자재반전장치는, 지면 상에서 높낮이 조절 가능하도록 승강수단이 구비되는 베이스지지부; 베이스지지부의 상면에 고정 배치 및 간격 배치되는 한쌍 구조의 지지대; 한쌍 구조의 지지대 상단에 개재되어 180° 회전 가능하게 지지 결합되는 반전회전판; 베이스지지부의 상면에 고정 배치되고, 반전회전판을 180° 회전 구동하여 반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는 회전구동부; 반전회전판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고정 배치되고, 상부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다른 하나의 엘리베이터 판금가공자재를 진공 흡착하기 위한 진공척을 포함하는 진공흡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지지부, 지지대, 반전회전판, 진공척에는 각각 부식방지를 위한 부식방지코팅층을 형성하되, 상기 부식방지코팅층은,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스테르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중에서 적어도 1종 또는 2종 이상이 사용되는 것으로서, 코팅시 접착성을 갖게 하기 위한 고분자 100중량부; 부식방지코팅조성물의 안정성을 위해 소수성을 강화함과 더불어 부식성을 강화하기 위한 피마자오일 3~20중량부; 공기중 산소와 수증기의 차단기능을 위한 실리케이트 10~30중량부; 소포제로서 기능 및 내수성 강화를 통해 부식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실리콘수지 또는 실리콘오일 5~15중량부; 경화제로서 기능 및 접착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30~50중량부; 원료간 분산성을 갖게 하면서 내식방지기능을 위한 올레산 5~10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조성을 갖는 부식방지코팅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1)단계에서는, 상기 금속판의 엘리베이터 자재를 적재 및 작업 효율성을 위해 적재대를 사용하되, 상기 적재대는 하면에 잠금수단을 갖는 캐스터를 장착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표면에 부식방지를 위한 부식방지코팅층을 형성하며, 상기 부식방지코팅층은,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스테르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중에서 적어도 1종 또는 2종 이상이 사용되는 것으로서, 코팅시 접착성을 갖게 하기 위한 고분자 100중량부; 부식방지코팅조성물의 안정성을 위해 소수성을 강화함과 더불어 부식성을 강화하기 위한 피마자오일 3~20중량부; 공기중 산소와 수증기의 차단기능을 위한 실리케이트 10~30중량부; 소포제로서 기능 및 내수성 강화를 통해 부식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실리콘수지 또는 실리콘오일 5~15중량부; 경화제로서 기능 및 접착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30~50중량부; 원료간 분산성을 갖게 하면서 내식방지기능을 위한 올레산 5~10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조성을 갖는 부식방지코팅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자재의 판금 가공시 작업 효율성과 판금 가공에 따른 작업의 전반적인 안정성은 물론 작업 용이성 및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판금 가공되는 엘리베이터 자재에 대한 내구성 등 기계적 특성과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판금 가공에 사용되는 장비 및 공정 등의 개선을 통해 판금 가공 공정을 더욱 효율화 및 작업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자재의 판금 가공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자재의 판금 가공방법에 있어 포장파레트 안착단계의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자재의 판금 가공방법에 있어 포장파레트 안착단계의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로서, 엘리베이터 판금가공자재의 사이에 스크래치방지판이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자재의 판금 가공방법에 있어 포장파레트 안착단계의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로서, 자재반전장치를 나타낸 개략적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자재의 판금 가공방법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자재 구비 및 적재단계(S10), 이송단계(S20), 바이브레이션 응력제거단계(S30), 절단단계(S40), 굽힘단계(S50), 판금용접단계(S60), 표면처리단계(S70), 포장파레트 안착단계(S80), 및 포장단계(S9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엘리베이터 자재 구비 및 적재단계(S10)는 스테인리스 소재 등 금속판의 엘리베이터 자재를 구비 및 적재하는 단계이다.
상기 엘리베이터 자재 구비 및 적재단계(S10)에서는 일정 크기를 갖는 금속판의 엘리베이터 자재를 적재 및 작업 효율성을 위해 적재대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재대는 하면에 잠금수단을 갖는 캐스터를 장착하여 위치 이동 및 자체로 운반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적재대는 표면에 부식방지를 위한 부식방지코팅층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부식방지코팅층은 고분자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피마자오일 3~20중량부, 실리케이트 10~30중량부, 소포제 5~15중량부, 경화제 30~50중량부, 분산제 5~10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조성을 갖는 부식방지코팅조성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는 바인더로서 코팅시 기본적인 접착성을 갖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스테르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중에서 적어도 1종이 단독 사용되거나 또는 2종 이상이 혼합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피마자오일은 부식방지코팅조성물의 전반적인 안정성을 위해 소수성을 강화함과 더불어 부식성을 강화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실리케이트는 부식방지코팅층 내에 분포되어 있어 공기중의 산소와 더불어 수증기를 차단하는 기능을 하도록 사용된다.
상기 소포제는 소포제로서 기능 및 내수성 강화를 통해 부식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실리콘수지 또는 실리콘오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빠른 경화를 위한 경화제로서 기능함과 더불어 접착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부식방지코팅물이 갖는 원료간 분산성을 갖게 하면서 내식방지기능을 갖게 하는 것으로서, 올레산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송단계(S20)는 적재대 상에 적재되어 있는 금속판의 엘리베이터 자재를 컨베이어 또는 로봇을 이용하여 하나씩 연속 이송하는 단계이다.
이때, 컨베이어를 통해 엘리베이터 자재를 이송하는 경우에는 적재대와 컨베이어의 높이가 동일선상에 위치하거나 적재대의 상단이 컨베이어의 상단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있게 설치한다. 적재대의 앞쪽에는 푸셔가 있어 푸셔의 구동에 의해 엘리베이터 자재를 적재대에서 컨베이어 측으로 업로드시킬 수 있다.
상기 바이브레이션 응력제거단계(S30)는 컨베이어 또는 로봇을 통해 이송되는 금속판의 엘리베이터 자재를 공급받아 바이브레이션 응력제거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이다.
상기 바이브레이션 응력제거단계(S30)는 금속판의 엘리베이터 자재에 공진주파수를 인가한 진동을 부여함으로써 자재가 갖는 응력을 제거하여 강도 감소를 없애주면서 다음 공정의 진행에 따른 전체적인 작업안정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이때, 공진주파수는 엘리베이터 자재에 1초당 2회 내지 5회의 진동이 인가되게 처리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단단계(S40)는 상기 바이브레이션 응력제거단계(S30)를 마친 금속판의 엘리베이터 자재에 대해 판금전단기, 판금펀칭프레스기, NC절단기, 레이저절단기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장치를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 및 치수로 절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굽힘단계(S50)는 상기 절단단계(S40)를 마친 금속판의 엘리베이터 자재에 대해 벤딩 다이와 나이프에 의한 굽힘기계를 이용하여 원하는 부위를 원하는 형태로 굽힘 처리하는 단계이다.
상기 판금 용접단계(S60)는 상기 굽힘단계(S50)를 통해 굽힘 가공 처리된 금속판의 엘리베이터 자재에 보강대 등을 리벳 조립하거나 판금 용접을 통해 결합하는 단계이다.
상기 표면처리단계(S70)는 판금 용접단계(S60)를 마친 금속판의 엘리베이터 자재에 대해 와이어드로잉기 또는 헤어라인기를 이용하여 표면 처리하거나 또는 표면에 세라믹 코팅 처리하여 마감하는 단계이다.
상기 표면처리단계(S70)는 표면에 일정한 패턴을 갖게 하거나 또는 전기절연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이때, 금속판의 엘리베이터 자재 표면에 세라믹 코팅을 처리할 시에는 전기절연성이 우수한 ZrO2, Al2O3, SiO2 중에서 선택적 어느 1종을 단독 사용하거나 이들을 혼합 사용하여 증착 또는 코팅의 방식으로 세라믹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금속판의 엘리베이터 자재 표면과의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 증착 또는 코팅 이전에 전해연마 또는 플라즈마연마에 의한 표면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코팅 두께는 우수한 절연상태를 유지하도록 500nm~1㎛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세라믹 코팅층에 있어, 상기 ZrO2, Al2O3, SiO2을 혼합 사용하는 경우에는, ZrO2 : Al2O3 : SiO2 = 1~1.5 : 0.5~1 : 0.5~0.8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금 용접단계(S60)와 표면처리단계(S70)의 사이에는 상기 절단단계(S40) 내지 판금 용접단계(S60)에서의 판금 가공에 의해 금속판의 엘리베이터 자재에 발생된 잔류응력을 제거하기 위해 열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개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열처리는 진공열처리로를 이용하여 진공상태에서 1100℃~1400℃의 온도조건 및 30분~40분 동안 열처리한 후 액화질소를 투입하여 25℃~30℃까지 냉각 처리하는 방식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열처리 방식은 상기 금속판에 대해 스테인리스스틸 소재를 사용하는 경우 더욱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상기 포장파레트 안착단계(S80)는 상기 표면처리단계(S70)를 마친 결과물인 엘리베이터 판금가공자재를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 처리한 후, 포장파레트에 내려놓는 단계이다.
상기 포장파레트 안착단계(S80)에서는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베이어에 대해 상하에 위치하도록 간격 배치되는 상부컨베이어(10)와 하부컨베이어(20)로 구분하여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하부컨베이어(20)의 이송 끝단부 앞쪽에 포장파레트(30)를 위치시키고, 상기 하부컨베이어(20)의 이송 끝단부와 포장파레트(30) 사이의 일측면에 상부컨베이어(10)를 통해 이송되는 엘리베이터 판금가공자재(2)를 180°로 위치 반전시켜 포장파레트(30)로 내려놓기 위한 자재반전장치(100) 또는 자유자재로 회전 가능한 로봇팔을 갖는 로봇장치를 설치한다.
여기에서, 상기 하부컨베이어(20)를 통해 이송되는 어느 하나의 엘리베이터 판금가공자재(1)를 포장파레트(30)의 상면에 안착시키되, 상기 상부컨베이어(10)를 통해 이송되는 다른 하나의 엘리베이터 판금가공자재(2)에 대해 자재반전장치 또는 로봇장치에서 진공흡착부를 통해 진공 흡착한 후 180°로 위치 반전시켜 포장파레트(30)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 있는 어느 하나의 엘리베이터 판금가공자재(1)의 위로 자동 적재시키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포장파레트(30) 상에 적재되는 어느 하나의 엘리베이터 판금가공자재(1)와 다른 하나의 엘리베이터 판금가공자재(2)는 상기 표면처리단계(S70)를 통해 표면 처리되거나 세라믹 코팅되어 마감된 표면이 서로 마주하여 위치되게 처리하며, 상기 어느 하나의 엘리베이터 판금가공자재(1)와 다른 하나의 엘리베이터 판금가공자재(2)의 사이에는 실리콘, EVA(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 폴리우레탄 소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에 의한 스크래치방지판(40)이 삽입 배치되게 한다.
여기에서, 상기 자재반전장치(100)는 베이스지지부(110), 지지대(120), 반전회전판(130), 회전구동부(140), 및 진공흡착부(15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지지부(110)는 기초부재로서, 지면 상에서 높낮이 조절 가능하도록 승강수단(111)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승강수단(111)은 실린더 구동방식 또는 모터 구동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20)는 베이스지지부(110)의 상면에 고정 배치되는 것으로서, 한쌍 구조이되 서로 간격 배치된다.
상기 반전회전판(130)은 한쌍 구조의 지지대(120) 상단에 개재되어 180° 회전 가능하게 지지 결합된다.
상기 회전구동부(140)는 베이스지지부(110)의 상면에 고정 배치되고, 반전회전판(130)을 180° 회전 구동하여 위치를 반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모터를 포함하며, 풀리 및 벨트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진공흡착부(150)는 반전회전판(130)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고정 배치되고, 상부컨베이어(10)를 통해 이송되는 다른 하나의 엘리베이터 판금가공자재(2)를 진공 흡착하기 위한 진공척(151)을 포함한다.
상기 진공흡착부(150)는 진공펌프와 라인 연결되어 진공 흡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자재반전장치는 승강수단(111)을 통한 높낮이 조절을 통해 진공흡착부(150)의 진공척(151)을 상부 컨베이어(10) 상에 놓인 다른 하나의 엘리베이터 판금가공자재(2)의 상면에 접촉시킨 상태에 진공 흡착을 수행한 후 모터를 갖는 회전구동부(140)를 구동시켜 반전회전판(130)을 180°로 위치 반전시켜 포장파레트(30)의 상측에 다른 하나의 판금가공자재(2)를 위치시킨다. 이후 승강수단(111)을 구동하여 베이스지지부(110)를 하강시켜 포장파레트(30)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 있는 어느 하나의 엘리베이터 판금가공자재(1)의 위로 적재 처리한다.
이에, 상기 포장파레트(30) 상에 적재되는 어느 하나의 엘리베이터 판금가공자재(1)와 다른 하나의 엘리베이터 판금가공자재(2)는 상기 표면처리단계(S70)를 통해 표면 처리되거나 세라믹 코팅되어 마감된 표면이 서로 마주하여 위치되게 처리되며, 상기 어느 하나의 엘리베이터 판금가공자재(1)와 다른 하나의 엘리베이터 판금가공자재(2)의 사이에는 실리콘, EVA(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 폴리우레탄 소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에 의한 스크래치방지판(40)이 삽입 배치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지지부, 지지대, 반전회전판, 진공척에는 각각 부식방지를 위한 부식방지코팅층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식방지코팅층은 상기 적재대에 사용된 부식방지코팅조성물과 동일하다 할 수 있는데, 고분자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피마자오일 3~20중량부, 실리케이트 10~30중량부, 소포제 5~15중량부, 경화제 30~50중량부, 분산제 5~10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조성을 갖는 부식방지코팅조성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부식방지코팅조성물은 앞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상술한 구성을 준용하기로 한다.
상기 포장단계(S90)는 상기 포장파레트 안착단계(S80)를 통해 상부컨베이어(10)를 통해 이송되는 다른 하나의 엘리베이터 판금가공자재(2)에 대해 자재반전장치 또는 로봇장치에서 진공흡착부를 통해 진공 흡착한 후 180°로 위치 반전시켜 포장파레트(30)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 있는 어느 하나의 엘리베이터 판금가공자재(1)의 위로 자동 적재시킨 상태에서 비닐포장 랩 등을 사용하여 엘리베이터 판금가공자재를 포장하는 단계이다.
이에 따라, 상술한 공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자재의 판금 가공방법을 통해서는 엘리베이터 자재의 판금 가공시 작업 효율성과 판금 가공에 따른 작업 안정성은 물론 용이성 및 편의성을 높일 수 있고, 판금 가공되는 엘리베이터 자재에 대한 내구성 등 기계적 특성과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판금 가공에 사용되는 장비 및 공정 등의 개선을 통해 판금 가공 공정을 더욱 효율화 및 작업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극히 한정되지 않는다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권리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어느 하나의 엘리베이터 판금가공자재
2: 다른 하나의 엘리베이터 판금가공자재
10: 상부컨베이어
20: 하부컨베이어
30: 포장파레트
40: 스크래치방지판
100: 자재반전장치
110: 베이스지지부
111: 승강수단
120: 지지대
130: 반전회전판
140: 회전구동부
150: 진공흡착부

Claims (6)

  1. (1) 금속판의 엘리베이터 자재를 구비 및 적재하는 단계;
    (2) 적재된 금속판의 엘리베이터 자재를 컨베이어 또는 로봇을 이용하여 하나씩 연속 이송하는 단계;
    (3) 컨베이어 또는 로봇을 통해 이송되는 금속판의 엘리베이터 자재를 공급받아 바이브레이션 응력제거처리를 수행하되, 금속판의 엘리베이터 자재에 공진주파수를 인가한 진동을 부여함으로써 자재가 갖는 응력을 제거하여 강도 감소를 없애주면서 다음 공정의 진행에 따른 전체적인 작업안정성을 갖게 하는 단계;
    (4) (3)단계를 마친 금속판의 엘리베이터 자재에 대해 판금전단기, 판금펀칭프레스기, NC절단기, 레이저절단기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 및 치수로 절단하는 단계;
    (5) (4)단계를 마친 금속판의 엘리베이터 자재에 대해 벤딩 다이와 나이프에 의한 굽힘기계를 이용하여 원하는 부위를 원하는 형태로 굽힘 처리하는 단계;
    (6) 굽힘 가공 처리된 금속판의 엘리베이터 자재에 보강대를 리벳 조립하거나 판금 용접을 통해 결합하는 단계;
    (7) (6)단계를 마친 금속판의 엘리베이터 자재에 대해 와이어드로잉기 또는 헤어라인기를 이용하여 표면 처리하거나 또는 표면에 세라믹 코팅 처리하여 마감하는 단계;
    (8) (7)단계를 마친 결과물인 엘리베이터 판금가공자재를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 처리한 후, 포장파레트에 내려놓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8)단계에서는,
    상기 컨베이어에 대해 상하에 위치하도록 간격 배치되는 상부컨베이어와 하부컨베이어로 구분하여 설치하고,
    상기 하부컨베이어의 이송 끝단부 앞쪽에 포장파레트를 위치시키고,
    상기 하부컨베이어의 이송 끝단부와 포장파레트 사이의 일측면에 상부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엘리베이터 판금가공자재를 180°로 위치 반전시켜 포장파레트로 내려놓기 위한 자재반전장치 또는 자유자재로 회전 가능한 로봇팔을 갖는 로봇장치를 설치하며,
    상기 하부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어느 하나의 엘리베이터 판금가공자재를 포장파레트의 상면에 안착시키되, 상기 상부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다른 하나의 엘리베이터 판금가공자재에 대해 자재반전장치 또는 로봇장치에서 진공흡착부를 통해 진공 흡착한 후 180°로 위치 반전시켜 포장파레트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 있는 어느 하나의 엘리베이터 판금가공자재의 위로 적재시키도록 하며,
    상기 포장파레트 상에 적재되는 어느 하나의 엘리베이터 판금가공자재와 다른 하나의 엘리베이터 판금가공자재는 상기 (7)단계를 통해 표면 처리되거나 세라믹 코팅되어 마감된 표면이 서로 마주하여 위치되게 처리하며,
    상기 어느 하나의 엘리베이터 판금가공자재와 다른 하나의 엘리베이터 판금가공자재의 사이에는 폴리우레탄, 실리콘, EVA(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 소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에 의한 스크래치방지판이 삽입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자재의 판금 가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6)단계와 (7)단계의 사이에는 상기 (4)단계 내지 (6)단계에서의 판금 가공에 의해 금속판의 엘리베이터 자재에 발생된 잔류응력을 제거하기 위해 열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를 개재하되,
    상기 열처리는 진공열처리로를 이용하여 진공상태에서 1100℃~1400℃의 온도조건 및 30분~40분 동안 열처리한 후 액화질소를 투입하여 25℃~30℃까지 냉각 처리하며,
    상기 금속판은 스테인리스스틸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자재의 판금 가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7)단계에서 금속판의 엘리베이터 자재 표면에 세라믹 코팅시에는 전기절연성이 우수한 ZrO2, Al2O3, SiO2 중에서 선택적 어느 1종을 단독 사용하거나 이들을 혼합 사용하여 증착 또는 코팅하되, 금속판의 엘리베이터 자재 표면과의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 증착 또는 코팅 이전에 전해연마 또는 플라즈마연마에 의한 표면 처리를 수행하고,
    코팅 두께는 우수한 절연상태를 유지하도록 500nm~1㎛로 형성하며,
    상기 ZrO2, Al2O3, SiO2을 혼합시, ZrO2 : Al2O3 : SiO2 = 1~1.5 : 0.5~1 : 0.5~0.8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자재의 판금 가공방법.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재반전장치는,
    지면 상에서 높낮이 조절 가능하도록 승강수단이 구비되는 베이스지지부;
    베이스지지부의 상면에 고정 배치 및 간격 배치되는 한쌍 구조의 지지대;
    한쌍 구조의 지지대 상단에 개재되어 180° 회전 가능하게 지지 결합되는 반전회전판;
    베이스지지부의 상면에 고정 배치되고, 반전회전판을 180° 회전 구동하여 반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는 회전구동부;
    반전회전판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고정 배치되고, 상부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다른 하나의 엘리베이터 판금가공자재를 진공 흡착하기 위한 진공척을 포함하는 진공흡착부; 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지지부, 지지대, 반전회전판, 진공척에는 각각 부식방지를 위한 부식방지코팅층을 형성하되,
    상기 부식방지코팅층은,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스테르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중에서 적어도 1종 또는 2종 이상이 사용되는 것으로서, 코팅시 접착성을 갖게 하기 위한 고분자 100중량부;
    부식방지코팅조성물의 안정성을 위해 소수성을 강화함과 더불어 부식성을 강화하기 위한 피마자오일 3~20중량부;
    공기중 산소와 수증기의 차단기능을 위한 실리케이트 10~30중량부;
    소포제로서 기능 및 내수성 강화를 통해 부식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실리콘수지 또는 실리콘오일 5~15중량부;
    경화제로서 기능 및 접착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30~50중량부;
    원료간 분산성을 갖게 하면서 내식방지기능을 위한 올레산 5~10중량부; 를 포함하는 혼합조성을 갖는 부식방지코팅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자재의 판금 가공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에서는,
    상기 금속판의 엘리베이터 자재를 적재 및 작업 효율성을 위해 적재대를 사용하되,
    상기 적재대는 하면에 잠금수단을 갖는 캐스터를 장착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표면에 부식방지를 위한 부식방지코팅층을 형성하며,
    상기 부식방지코팅층은,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스테르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중에서 적어도 1종 또는 2종 이상이 사용되는 것으로서, 코팅시 접착성을 갖게 하기 위한 고분자 100중량부;
    부식방지코팅조성물의 안정성을 위해 소수성을 강화함과 더불어 부식성을 강화하기 위한 피마자오일 3~20중량부;
    공기중 산소와 수증기의 차단기능을 위한 실리케이트 10~30중량부;
    소포제로서 기능 및 내수성 강화를 통해 부식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실리콘수지 또는 실리콘오일 5~15중량부;
    경화제로서 기능 및 접착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30~50중량부;
    원료간 분산성을 갖게 하면서 내식방지기능을 위한 올레산 5~10중량부; 를 포함하는 혼합조성을 갖는 부식방지코팅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자재의 판금 가공방법.
KR1020220142599A 2022-10-31 2022-10-31 엘리베이터 자재의 판금 가공방법 KR102491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2599A KR102491758B1 (ko) 2022-10-31 2022-10-31 엘리베이터 자재의 판금 가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2599A KR102491758B1 (ko) 2022-10-31 2022-10-31 엘리베이터 자재의 판금 가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1758B1 true KR102491758B1 (ko) 2023-01-30

Family

ID=85106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2599A KR102491758B1 (ko) 2022-10-31 2022-10-31 엘리베이터 자재의 판금 가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175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03622A (ja) * 1986-09-26 1988-12-12 フアウ・エス・エール・マリン・エンジニアリング・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振動により被加工部材の応力を除去する機械の操作方法
KR20140056008A (ko) 2012-10-29 2014-05-09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판금 성형 가공 방법
KR20160109138A (ko) * 2015-03-10 2016-09-21 주식회사 케이에이치전자 판금가공을 이용한 케이스 제조방법
KR102054736B1 (ko) 2018-09-19 2019-12-11 박선 판금 가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판금 가공 방법
KR20210023393A (ko) * 2019-08-23 2021-03-04 비피시 주식회사 고강도 및 고내식성의 아연-알루미늄-마그네슘-희토류계 합금 도금 화스너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03622A (ja) * 1986-09-26 1988-12-12 フアウ・エス・エール・マリン・エンジニアリング・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振動により被加工部材の応力を除去する機械の操作方法
KR20140056008A (ko) 2012-10-29 2014-05-09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판금 성형 가공 방법
KR20160109138A (ko) * 2015-03-10 2016-09-21 주식회사 케이에이치전자 판금가공을 이용한 케이스 제조방법
KR102054736B1 (ko) 2018-09-19 2019-12-11 박선 판금 가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판금 가공 방법
KR20210023393A (ko) * 2019-08-23 2021-03-04 비피시 주식회사 고강도 및 고내식성의 아연-알루미늄-마그네슘-희토류계 합금 도금 화스너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41103B (zh) 邊緣修整設備
JP5406126B2 (ja) インゴットブロックの複合面取り加工装置および加工方法
KR101661278B1 (ko) 초박형 유리의 가공방법
EP3006412B1 (en) Glass-plate working apparatus
EP3347165B1 (en) Abrasive rotary tool with abrasive agglomerates
EP1889686B1 (en) Precision machining method
KR20180005504A (ko) 석재 양두 절단 장치
JP5517156B2 (ja) インゴットブロックの複合面取り加工装置
WO2021077705A1 (zh) 硅棒研磨机及硅棒研磨方法
JP2011136382A (ja) シリコンインゴットの面取り加工装置
KR102491758B1 (ko) 엘리베이터 자재의 판금 가공방법
JP5516941B2 (ja) ガラス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516940B2 (ja) ガラス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214552A (ja) 角柱状シリコンインゴットの面取り加工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る角柱状シリコンインゴットの面取り加工方法
JP2016016485A (ja) インゴットブロックの複合面取り加工装置および面取り加工方法
KR100702255B1 (ko) 표시창용 박판유리의 연삭장치
CN111015102B (zh) 一种医用钛板的精整加工方法
JPH1177501A (ja) ガラス板端部の加工方法
JP3997569B2 (ja) 建築用ガラス板の端部加工方法
KR101097501B1 (ko) 웨이퍼용 평면연삭장치
KR100465389B1 (ko) SiC질 열처리용 지그
CN218874396U (zh) 一种铝管打磨切割装置
CN220641584U (zh) 门板加工工位转移装置
JP3968761B2 (ja) 強化ガラス
EP4029669A1 (en) Manufacturing method of silicon carbide wafer, silicon carbide wafer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waf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