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1729B1 - 자동차의 경로 안내 방법 및 내비게이션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경로 안내 방법 및 내비게이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1729B1
KR102491729B1 KR1020170172037A KR20170172037A KR102491729B1 KR 102491729 B1 KR102491729 B1 KR 102491729B1 KR 1020170172037 A KR1020170172037 A KR 1020170172037A KR 20170172037 A KR20170172037 A KR 20170172037A KR 102491729 B1 KR102491729 B1 KR 102491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tination
destinations
parking lot
route
final dest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2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1211A (ko
Inventor
김연지
김정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2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1729B1/ko
Publication of KR20190071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79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POI information, e.g. hotels, restaurants, shops, filling stations, parking facilities
    • G01C21/3685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POI information, e.g. hotels, restaurants, shops, filling stations, parking facilities the POI's being parking facili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23Multimodal routing, i.e. combining two or more modes of transportation, where the modes can be any of, e.g. driving, walking, cycling, public transpor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46Details of route searching algorithms, e.g. Dijkstra, A*, arc-flags, using precalculated route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경로 안내 방법 및 내비게이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최종 목적지와 경유지가 함께 설정되는 경우 경유지를 거쳐 최종 목적지에 이르는 최적의 경로를 탐색하여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경로 안내 방법은, 복수의 목적지 설정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목적지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하의 인접한 주차장을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목적지 가운데 주차장을 구비한 목적지를 검색하는 단계와; 검색된 상기 인접한 주차장과 검색된 상기 주차장이 구비된 목적지 가운데 어느 하나의 장소로 경로를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경로 안내 방법 및 내비게이션 장치{NAVIGATION METHOD AND NAVIGATION APPARATUS OF A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차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경로 안내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내비게이션 장치는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현재 위치를 지도 상에 표시하여 현재 위치를 알려준다. 또한 내비게이션 장치에 목적지를 설정하면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에 이르는 경로를 계산하여 보여줌으로써 운전자가 내비게이션 장치에 표시되는 경로를 따라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최종 목적지와 함께 적어도 하나의 중간 경유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최종 목적지와 경유지가 입력된 순서대로 안내될 수 있다. 만약 최종 목적지와 경유지의 순서가 실제 위치를 고려하지 않고 뒤섞여 있는 경우에는 효율적인 경로 안내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최종 목적지와 경유지의 순서를 사용자가 직접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 어떤 순서가 가장 효율적인지를 사용자가 정확히 알기 어렵기 때문에 최적의 경로 안내 효율을 기대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최종 목적지와 경유지가 함께 설정되는 경우 경유지를 거쳐 최종 목적지에 이르는 최적의 경로를 탐색하여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경로 안내 방법은, 복수의 목적지 설정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목적지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하의 인접한 주차장을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목적지 가운데 주차장을 구비한 목적지를 검색하는 단계와; 검색된 상기 인접한 주차장과 검색된 상기 주차장이 구비된 목적지 가운데 어느 하나의 장소로 경로를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자동차의 경로 안내 방법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는 도보로 일정 시간 내에 이동 가능한 거리이다.
상기 자동차의 경로 안내 방법에서, 상기 주차장을 구비한 목적지 가운데 현재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장소로 경로를 안내한다.
상기 자동차의 경로 안내 방법에서, 상기 복수의 목적지 가운데 최종 목적지를 제외한 나머지 목적지에 주차장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최종 목적지로 경로를 안내한다.
상기 자동차의 경로 안내 방법에서, 상기 복수의 목적지 가운데 최종 목적지를 제외한 나머지 목적지에 주차장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면 주차장 부재 사실을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자동차의 경로 안내 방법에서, 상기 복수의 목적지 가운데 어느 한 목적지의 주변에 다른 목적지를 대체할 동일 카테고리의 장소가 존재하면 상기 동일 카테고리의 장소가 존재하는 목적지로 경로를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자동차의 경로 안내 방법에서, 상기 복수의 목적지 가운데 최종 목적지 주변에 다른 목적지를 대체할 동일 카테고리의 장소가 존재하면 상기 최종 목적지로 경로를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자동차의 경로 안내 방법에서, 상기 복수의 목적지 가운데 최종 목적지 주변에 다른 목적지를 대체할 동일 카테고리의 장소가 존재하면 상기 최종 목적지를 제외한 나머지 목적지는 경로 안내에서 배제한다.
상기 자동차의 경로 안내 방법에서, 상기 복수의 목적지 가운데 상기 자동차의 경로 안내일이 휴무일인 목적지가 존재하면 상기 휴무일인 목적지를 배제하고 나머지 목적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자동차의 경로 안내 방법에서, 상기 복수의 목적지를 최단 경로의 순서로 정렬한 후 경로를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내비게이션 장치는, 복수의 목적지 설정을 수신하는 입력부와; 지도 정보를 구비하고 경로 안내를 제어하는 내비게이션 구동부와; 상기 복수의 목적지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하의 인접한 주차장을 검색하고, 상기 복수의 목적지 가운데 주차장을 구비한 목적지를 검색하며, 검색된 상기 인접한 주차장과 검색된 상기 주차장이 구비된 목적지 가운데 어느 하나의 장소로 경로를 안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자동차의 내비게이션 장치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는 도보로 일정 시간 내에 이동 가능한 거리이다.
상술한 자동차의 내비게이션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차장을 구비한 목적지 가운데 현재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장소로 경로를 안내한다.
상술한 자동차의 내비게이션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목적지 가운데 최종 목적지를 제외한 나머지 목적지에 주차장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최종 목적지로 경로를 안내한다.
상술한 자동차의 내비게이션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목적지 가운데 최종 목적지를 제외한 나머지 목적지에 주차장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면 주차장 부재 사실을 안내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술한 자동차의 내비게이션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목적지 가운데 어느 한 목적지의 주변에 다른 목적지를 대체할 동일 카테고리의 장소가 존재하면 상기 동일 카테고리의 장소가 존재하는 목적지로 경로를 안내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술한 자동차의 내비게이션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목적지 가운데 최종 목적지 주변에 다른 목적지를 대체할 동일 카테고리의 장소가 존재하면 상기 최종 목적지로 경로를 안내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술한 자동차의 내비게이션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목적지 가운데 최종 목적지 주변에 다른 목적지를 대체할 동일 카테고리의 장소가 존재하면 상기 최종 목적지를 제외한 나머지 목적지는 경로 안내에서 배제한다.
상술한 자동차의 내비게이션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목적지 가운데 상기 자동차의 경로 안내일이 휴무일인 목적지가 존재하면 상기 휴무일인 목적지를 배제하고 나머지 목적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술한 자동차의 내비게이션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목적지를 최단 경로의 순서로 정렬한 후 경로를 안내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최종 목적지와 경유지가 함께 설정되는 경우 경유지를 거쳐 최종 목적지에 이르는 최적의 경로를 탐색하여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AVN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내비게이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자동차(100)는 외형적으로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윈드쉴드(112)는 본체(110)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자동차(100) 내부의 탑승자에게 전방 시야를 제공하면서 바람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한다. 아웃사이드 미러(114)는 탑승자에게 자동차(100)의 측면 및 측후방의 시야를 제공한다. 아웃사이드 미러(114)는 좌측과 우측의 도어(190) 각각에 하나씩 마련될 수 있다.
도어(190)(194)는 본체(110)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다. 도어(190)(194)를 열면 탑승자의 출입이 가능하다. 도어(190)(194)를 닫으면 자동차(10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다. 도어(190(194))는 운전석 도어(190)와 뒷좌석 도어(194)로 구분할 수 있다.
안테나(152)는 텔레매틱스와 DMB, 디지털 TV, GPS 등의 방송/통신 신호 등을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방송/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다기능 안테나이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방송/통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단일 기능 안테나일 수 있다.
전륜(122)과 후륜(124)은 각각 자동차(100)의 전방과 후방에 위치하며, 엔진(미도시)으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도록 마련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석의 전면에는 AVN(200)과 스티어링 휠(202)이 장착된다. AVN(200)은 오디오(Audio)/비디오(Video)/내비게이션(Navigation)이 일체화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도 3의 314 참조)를 포함한다. AVN(200)은 음성 인식 제어를 기반으로 한다. 음성 인식 제어는 사용자의 발화에 의해 발생하는 음성 명령을 AVN(200)이 인식하여 해당 명령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스티어링 휠(202)에는 음성 인식 버튼(204)이 장착된다. 또한 운전석의 상부에는 마이크로폰(206)이 장착된다. 운전석의 좌측 도어와 동반자석의 우측 도어에는 스피커(216)가 장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100)의 음성 인식 버튼(204)과 마이크로폰(206), 스피커(216) 등은 AVN(200)의 음성 인식 제어를 위한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AVN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AVN(200)은 음성 인식 제어를 기반으로 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AVN(200)의 구성은 크게 음성 인식 기능을 위한 요소와, 일반적인 입력 기능을 위한 요소, 방송/통신 기능을 위한 요소, 내비게이션 기능을 위한 요소, 오디오/비디오 기능을 위한 요소, 복수의 기능에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요소로 구분할 수 있다.
음성 인식 기능을 위한 구성은 음성 인식 버튼(204)과 마이크로폰(206), 미들웨어(322), 음성 인식 처리부(308), 명령 출력 인터페이스(318)를 포함한다. AVN(200)의 구성 요소는 아니지만, 외부 기기로서의 모바일 단말기(252)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마련되는 모바일 음성 인식 처리부(324)가 미들웨어(322) 및 제어부(312)에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방송/통신 기능을 위한 요소는 안테나(352)와 튜너부(354), 방송 신호 처리부(356), 통신 신호 처리부(358)를 포함한다. 내비게이션 기능을 위한 요소는 내비게이션 데이터베이스(362)와 내비게이션 구동부(364)를 포함한다. 오디오/비디오 기능을 위한 요소는 오디오/비디오 입력부(372)와 오디오/비디오 재생부(374)를 포함한다. 일반적인 입력 기능을 위한 구성은 입력부(372)를 포함한다. 복수의 기능에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요소는 메모리(310)와 제어부(312), 디스플레이(314), 스피커(216)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기능 상의 구분은 위에 기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어느 하나의 기능을 위한 요소가 다른 기능을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음성 인식 버튼(204)은 운전자가 AVN(200)의 오디오 기능과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정보 통신 기능 등의 복합 기능을 실행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음성 인식 버튼(204)은 푸쉬-투-토크(Push-To-Talk, PTT) 방식의 원-키 조작을 지원한다. 음성 인식 버튼(204)은 운전자가 운전 중에도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스티어링 휠(202)에 설치될 수 있다. 스티어링 휠(202)은 자동차의 바퀴를 좌우로 움직여 자동차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는데 사용되는 조향 장치이다. 운전자는 운전 중하는 동안 항상 스티어링 휠(202)을 파지하기 때문에, 음성 인식 버튼(204)을 스티어링 휠(202)에 설치하면 운전자가 운전 중에 음성 인식 버튼(204)을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 스티어링 휠(202) 외에, 운전자가 운전 중에 음성 인식 버튼(204)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위치라면 자동차의 어느 위치에도 음성 인식 버튼(204)이 설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206)은 음성 인식 제어 기능이 실행 중인 상태에서 운전자가 발성하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마이크로폰(206)은 음성 인식 제어를 위해 마련된 마이크로폰이거나, 자동차의 핸즈프리용 마이크로폰을 공유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폰(206)은 운전자가 휴대한 모바일 단말기의 마이크로폰 일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의 마이크로폰을 이용할 경우 모바일 단말기와 AVN(200)은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야 한다.
AVN(200)의 음성 인식 처리부(308)는 마이크로폰(206)에 의해 변환된 전기 신호를 미들웨어(322)를 통해 전달받아 변환된 전기 신호를 대상으로 음성 인식을 수행하고, 음성 인식의 결과로서 음성 명령 정보로서의 텍스트 데이터를 추출한다. 음성 인식 처리부(308)에서 추출된 텍스트 데이터는 제어부(312)에 전달되기에 앞서 미들웨어(322)로 전달된다.
미들웨어(322)는 중계 수단으로서, AVN(200)의 음성 인식 처리부(308)로부터 전달받은 텍스트 데이터가 AVN(200)의 음성 인식 제어를 위한 예약어인지 아니면 모바일 단말기(252)의 음성 인식 제어를 위한 예약어인지를 판단한다. 미들웨어(322)는 텍스트 데이터가 AVN(200)의 음성 인식 제어를 위한 예약어일 때 텍스트 데이터를 AVN(200)의 제어부(312)로 전송하여 AVN(200)의 음성 인식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달리, 만약 텍스트 데이터가 AVN(200)의 음성 인식 제어를 위한 예약어가 아닐 때 텍스트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기(252)로 전송하여 모바일 단말기(252)의 음성 인식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운전자의 발화에 의해 생성되는 음성 신호가 AVN(200)의 음성 인식 제어를 위한 예약어인지 아니면 모바일 단말기(252)의 음성 인식 제어를 위한 예약어인지를 미들웨어(322)에서 자동으로 판단하여 중계한다. 이 과정에서 AVN(200)의 음성 인식 제어를 위한 예약어와 모바일 단말기(252)의 음성 인식 제어를 위한 예약어의 구분을 위한 운전자의 의도된 개입은 필요치 않다.
명령 출력 인터페이스(318)는 음성 인식의 결과로서 추출되는 음성 명령 정보에 상응하는 제어 명령의 신호를 제어부(312)로부터 제어 대상 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안테나(352)는 방송 신호의 수신을 위한 목적 또는 통신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위한 목적으로 공중의 전파를 받거나 또는 공중으로 전파를 보내기 위한 장치이다. 튜너부(354)는 안테나(352)가 받은 전파를 전달받아 중간 주파수 신호 등으로 변환한다. 또한 튜너부(354)는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 신호를 공중에 전파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여 안테나(352)를 통해 공중으로 보낸다. 방송 신호 처리부(356)는 튜너부(354)를 거친 방송 신호를 비디오 방송 신호와 오디오 방송 신호로 구분하여 일련의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통신 신호 처리부(358)는 GPS 위성과의 통신 신호와 텔레매틱스 통신 신호의 처리를 수행한다. 내비게이션 데이터베이스(362)는 내비게이션을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들을 포함한다. 내비게이션 구동부(364)는 내비게이션 데이터베이스(362)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314) 상에 내비게이션 화면을 구성한다. 이를 위해 운전자가 설정한 목적지와 경유지, 경로 형태 등의 내비게이션 설정 정보를 제어부(312)로부터 제공받는다. 또한 내비게이션의 구현을 위해 GPS 위성과의 통신을 통해 확보한 자동차의 현재 위치 정보를 제어부(312)로부터 제공받는다.
오디오/비디오 입력부(372)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Optical Disc Drive)일 수 있다. 또는 오디오/비디오 입력부(372)는 범용 직렬 버스(USB) 입출력 장치 또는 예비 입출력 단자(일명 AUX)일 수 있다. 또는 오디오/비디오 입력부(372)는 모바일 단말기와의 무선 연결을 위한 블루투스 장치일 수 있다. 오디오/비디오 입력부(372)에 블루투스를 통해 연결되는 모바일 단말기는 이동 전화 또는 휴대용 디지털 음원 재생 장치일 수 있다. 오디오/비디오 재생부(374)는 오디오/비디오 입력부(372)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스피커(216) 또는 디스플레이(314)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입력부(382)는 AVN(200)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 또는 디스플레이(314) 상에 구현되는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운전자는 입력부(382)의 조작을 통해 AVN(200)의 복합 기능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한 기능으로부터 기대하는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설정을 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스티어링 휠(202)의 음성 인식 버튼(204)도 입력부(382)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312)는 AVN(200)의 동작 전반에 관여하여 필요한 제어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음성 인식 버튼(204)의 조작에 응답하여 메모리(310)의 음성 인식 기능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초기 진입 화면이 표시되고 관련 음성 안내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312)는 운전자가 내비게이션 기능을 선택하는 경우 내비게이션 데이터베이스(362)와 내비게이션 구동부(364), 디스플레이(314), 스피커(216)를 제어하여 내비게이션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메모리(310)는 AVN(200)의 음성 인식 기능과 방송/통신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오디오/비디오 기능 각각을 수행하기 위해 실행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과,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에 필요한 화면 표시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 효과음 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디스플레이(314)는 AVN(200)의 음성 인식 기능과 방송/통신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오디오/비디오 기능 등의 복합 기능이 수행될 때 수반되는 비디오를 출력한다. 스피커(216)는 AVN(200)의 음성 인식 기능과 방송/통신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오디오/비디오 기능 등의 복합 기능이 수행될 때 수반되는 오디오를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내비게이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AVN(200)의 제어부(312)는 사용자(운전자)가 입력하는 최종 목적지 및 경유지의 정보를 수신한다(402). 최종 목적지 및 경유지의 정보는 날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날짜 정보는 최종 목적지 및 경유지로 자동차(100)를 운행하고자 하는 날짜의 정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최종 목적지 및 경유지의 정보는 특정 장소를 지칭하는 것이거나, 또는 특정 카테고리만을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XXX마트'는 특정한 장소를 지칭하는 것이고, '마트'는 특정 장소가 아닌 카테고리만을 지칭하는 것이다. 최종 목적지 및 경유지가 단순히 카테고리 형태로만 입력되면, AVN(200)의 제어부(312)는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최적의 장소(마트)를 검색하여 추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최종 목적지는 가장 마지막에 도착하고자 하는 목적지이며, 경유지는 최종 목적지로 가는 도중에 경유하고자 하는 목적지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필요 시 최종 목적지 및 경유지를 '복수의 목적지'로 통칭하고자 한다.
최종 목적지 및 경유지의 입력은 사용자의 발화에 의해 생성되는 음성 명령의 음성 인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마이크로폰(206)과 미들웨어(322), AVN 음성 인식 처리부(308)가 사용될 수 있다. 음성 명령 방식의 입력은 예약어와 최종 목적지, 경유지를 미리 약속된 순서대로 나열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음성 명령 방식의 입력은 사용자가 자연어 형태로 발화하는 것을 인공 지능 음성 인식 기능을 통해 해석하여 사용자가 의도한 최종 목적지 및 경유지의 정보를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최종 목적지 및 경유지의 입력은 입력부(382)의 조작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디스플레이(314)에 표시되는 내용을 터치하거나 관련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최종 목적지 및 경유지를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312)는 입력된 최종 목적지 및 경유지가 단일의 목적지인지 아니면 복수의 목적지인지를 확인한다(404). 즉, 제어부(312)는 사용자가 입력한 최종 목적지 및 경유지가 최종 목적지 하나뿐인지 아니면 최종 목적지와 함께 적어도 하나의 경유지를 더 포함하는지를 확인한다.
만약 최종 목적지 하나만을 포함하는 단일 목적지인 경우에는(404의 '아니오'), 제어부(312)는 입력된 단일 목적지를 최종 목적지로 설정한 후 해당 장소로 경로 안내를 실시한다(406). 이 때의 경로 안내는 미리 설정된 기본적인 경로 안내 조건을 반영한 경로 안내일 수 있다. 기본적인 경로 안내 조건은 '국도 우선'이나 '고속도로 우선', '최단 거리', '최소 시간 거리' 등의 조건일 수 있다.
만약 최종 목적지에 더하여 적어도 하나의 경유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목적지인 경우에는(404의 '예'), 제어부(312)는 최종 목적지 및 경유지의 경유 순서를 정렬할 필요가 있는지를 판단한다(408).
만약 최종 목적지 및 경유지를 정렬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제어부(312)는 최종 목적지 및 경유지의 정렬없이 사용자가 입력된 순서대로 경유지를 경유하여 최종 목적지에 이르는 경로를 안내한다(410). 경유지를 경유하여 최종 목적지에 이르는 경로가 하나뿐이거나, 또는 사용자가 최종 목적지 및 경유지의 정렬 옵션을 오프 상태로 설정한 경우에는 최종 목적지 및 경유지의 정렬을 실시하지 않는다.
최종 목적지 및 경유지의 정렬이 필요한 상태라면(408의 '예'), 제어부(312)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적용하여 최종 목적지 및 경유지를 정렬한다(414). 최종 목적지 및 경유지의 정렬은 '최단 거리' 또는 '최소 시간 거리'와 같은 '최단 경로'로 최종 목적지 및 경유지를 정렬하는 것일 수 있다.
제어부(312)는 최종 목적지 및 경유지 즉 사용자가 방문할 장소들을 대상으로 해당 날짜의 영업 여부를 확인한다(416). 앞서 최종 목적지 및 경유지 입력의 수신 단계(402)에서 최종 목적지 및 경유지의 정보에는 날짜 정보도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한 바 있다. 제어부(312)는 이 날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날짜에 해당 방문 장소들이 영업을 하는지 휴무인지를 확인한다. 예를 들면, 대형 마트의 경우 국가 정책에 따라 지정된 날짜에 휴업을 실시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부(312)는 최종 목적지 또는 경유지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방문 장소가 영업일인지 휴무일인지를 확인하여 경로 안내에 반영할 수 있다.
최종 목적지 및 경유지 가운데 해당 날짜가 휴무일인 방문 장소가 존재하면(416의 '아니오'), 제어부(312)는 해당 방문 장소의 휴무일을 사용자에게 안내하고 해당 장소를 최종 목적지 또는 경유지에서 배제한다(418). 다만, 해당 방문 장소의 휴무일 안내 시 사용자에게 휴무일임에도 불구하고 방문할 것인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휴무일임에도 불구하고 해당 장소에 방문하고자 한다면, 해당 장소를 최종 목적지 또는 경유지에 포함시켜서 경로를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휴무일을 반영한 최종 목적지 및 경유지의 정리가 완료되면, 제어부(312)는 최종 목적지의 주변에 경유지와 동일한 카테고리의 대체 장소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420). 만약 경유지가 'XXX마트'인 경우, 제어부(312)는 최종 목적지의 주변에 'XXX마트'를 대체할 다른 마트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또 다른 예로, 경유지가 'YYY약국'인 경우, 제어부(312)는 최종 목적지의 주변에 'YYY약국'을 대체할 다른 약국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이는 'XXX마트'가 아닌 다른 마트 또는 'YYY약국'이 아닌 다른 약국으로 대체해도 좋은 경우에는 가능하면 최종 목적지의 주변에 위치한 대체 마트나 대체 약국을 이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최종 목적지와 경유지가 먼 거리에 산개되어 있는 경우보다는 최종 목적지로부터 가까운 거리에 집중되어 있는 것이 주행 거리와 소요 시간을 줄일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최종 목적지의 주변에 경유지와 동일한 카테고리의 대체 장소가 존재하는 경우(420의 '예'), 제어부(312)는 기존의 이미 설정되어 있는 경유지를 스킵하고 최종 목적지 주변으로 경로를 안내한다(422). 최종 목적지의 주변에 기존의 경유지를 대체할 동일 카테고리의 장소가 존재하므로, 최종 목적지 및 그 주변의 새로운 경유지로 경로를 안내한다.
최종 목적지의 주변에 경유지와 동일한 카테고리의 대체 장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420의 '아니오'), 제어부(312)는 경유지의 주변에 최종 목적지 또는 다른 경유지를 대체할 동일 카테고리의 대체 장소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424). 예를 들면 제어부(312)는, 제 1 경유지의 주변에 최종 목적지 또는 제 2 경유지를 대체할 동일 카테고리의 대체 장소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312)는, 제 2 경유지의 주변에 최종 목적지 또는 제 1 경유지를 대체할 동일 카테고리의 대체 장소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경유지의 주변에 최종 목적지 또는 경유지와 동일한 카테고리의 대체 장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424의 '아니오'), 제어부(312)는 현재의 최종 목적지 및 경유지의 설정을 그대로 유지하고 최종 목적지에 이르는 경로를 안내한다(426).
경유지의 주변에 최종 목적지 또는 경유지와 동일한 카테고리의 대체 장소가 존재하는 경우(424의 '예'), 제어부(312)는 경유지 사이의 경로 상에 경유지로 도보 이동이 가능한 거리의 인접한 주차장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428). 예를 들면 제어부(312)는, 제 1 경유지와 제 2 경유지 사이에 위치한 주차장 가운데 제 1 경유지 및 제 2 경유지 모두에 도보로 이동 가능한 주차장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경유지 사이의 경로 상에 경유지로 도보 이동이 가능한 거리의 인접한 주차장이 존재하면, 사용자는 주차장에 자동차(100)를 주차시킨 후 모든 경유지를 도보로 방문할 수 있다. 도보 이동이 가능한 거리는 도보로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도달 가능한 거리를 의미한다. 설정 시간은 10분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더 짧거나 더 길 수도 있다. 여기서 주차장은 사설 주차장이거나 또는 공영 주차장일 수 있다.
경유지 사이의 경로 상에 경유지로 도보 이동이 가능한 거리의 인접한 주차장이 존재하는 경우(428의 '예'), 제어부(312)는 검색된 주자창으로 경로를 안내한다(430). 이로써 사용자는 사용자는 주차장에 자동차(100)를 주차시킨 후 모든 경유지를 도보로 방문할 수 있다.
경유지 사이의 경로 상에 경유지로 도보 이동이 가능한 거리의 인접한 주차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428의 '아니오'), 제어부(312)는 경유지 내에 주차장이 구비되어 있는 경유지 즉 주차장을 구비한 경유지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432). 앞서 단계 428에서는 경유지 사이의 경로 상에 주차장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였는데, 단계 432에서는 경유지 내에 주차장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단계 428과 432 모두 최소 회수(예를 들면 1회)의 주차로 복수의 경유지 모두를 도보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자동차(100)의 운행 거리 및 주차 회수를 모두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주차장을 구비한 경유지가 존재하면(432의 '예'), 제어부(312)는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주차장 구비 경유지로 경로를 안내한다(434). 사용자는 주차장 구비 경유지로 이동하여 주차하고, 나머지 경유지에 대해서는 도보로 이동하거나 또는 방문을 포기할 수 있다.
주차장을 구비한 경유지가 존재하지 않으면(432의 '아니오'), 제어부(312)는 주차장 부재 상황을 사용자에게 안내하고, 경유지를 배제한 채 최종 목적지로 경로를 안내한다. 즉, 경유지 사이의 경로 상에도 주차장이 존재하지 않음은 물론 각 경유지에도 주차장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서 자동차(100)로 경유지를 방문하는 것이 불가한 상황이므로, 경유지의 방문을 포기하고 최종 목적지로 경로를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주차장 부재 상황의 안내와 함께, 주차장의 부재에도 불구하고 경유지를 방문할 것인지를 사용자에게 확인하는 절차가 수반될 수 있다.
위의 설명은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위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자동차
110 : 본체
112 : 윈드쉴드
114 : 사이드 미러
122, 124 : 전륜 & 후륜
190, 194 : 운전석 도어 & 뒷좌석 도어
192 : 도어 시건 장치
152 : 안테나
200 : AVN(Audio/Video/Navigation)
202 : 스티어링 휠
204 : 음성 인식 버튼
206 : 마이크로폰
216 : 스피커
308 : 음성 인식 처리부
310 : 메모리
312 : 제어부
314 : 디스플레이
318 : 명령 출력 인터페이스
322, 722 : 미들웨어
324, 724 : 모바일 단말기의 음성 인식 처리부
352 : 안테나
356 : 방송 신호 처리부
358 : 통신 신호 처리부
362 : 내비게이션 데이터베이스
364 : 내비게이션 구동부
372 : 오디오/비디오 입력부
374 : 오디오/비디오 재생부
382 : 입력부

Claims (20)

  1. 최종 목적지 및 복수의 경유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목적지 설정을 수신하는 단계와;
    적어도 두 개의 상기 복수의 경유지 사이에 주차장이 존재할 때 적어도 두 개의 상기 복수의 경유지 모두에서 도보로 이동 가능한 거리 내에 위치한 주차장을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목적지 가운데 주차장을 구비한 목적지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도보로 이동 가능한 거리 내에 위치한 주차장과 검색된 상기 주차장이 구비된 목적지 가운데 어느 하나의 장소로 경로를 안내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목적지 가운데 최종 목적지 주변에 다른 목적지를 대체할 동일 카테고리의 장소가 존재하면 상기 최종 목적지를 제외한 나머지 목적지는 경로 안내에서 배제하고 상기 최종 목적지로 경로를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경로 안내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을 구비한 목적지 가운데 현재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장소로 경로를 안내하는 자동차의 경로 안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목적지 가운데 최종 목적지를 제외한 나머지 목적지에 주차장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최종 목적지로 경로를 안내하는 자동차의 경로 안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목적지 가운데 최종 목적지를 제외한 나머지 목적지에 주차장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면 주차장 부재 사실을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경로 안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목적지 가운데 어느 한 목적지의 주변에 다른 목적지를 대체할 동일 카테고리의 장소가 존재하면 상기 동일 카테고리의 장소가 존재하는 목적지로 경로를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경로 안내 방법.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목적지 가운데 상기 자동차의 경로 안내일이 휴무일인 목적지가 존재하면 상기 휴무일인 목적지를 배제하고 나머지 목적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경로 안내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목적지를 최단 경로의 순서로 정렬한 후 경로를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경로 안내 방법.
  11. 최종 목적지 및 복수의 경유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목적지 설정을 수신하는 입력부와;
    지도 정보를 구비하고 경로 안내를 제어하는 내비게이션 구동부와;
    적어도 두 개의 상기 복수의 경유지 사이에 주차장이 존재할 때 적어도 두 개의 상기 복수의 경유지 모두에서 도보로 이동 가능한 거리 내에 위치한 주차장을 검색하고, 상기 복수의 목적지 가운데 주차장을 구비한 목적지를 검색하며, 상기 도보로 이동 가능한 거리 내에 위치한 주차장과 검색된 상기 주차장이 구비된 목적지 가운데 어느 하나의 장소로 경로를 안내하고, 상기 복수의 목적지 가운데 최종 목적지 주변에 다른 목적지를 대체할 동일 카테고리의 장소가 존재하면 상기 최종 목적지를 제외한 나머지 목적지는 경로 안내에서 배제하고 상기 최종 목적지로 경로를 안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내비게이션 장치.
  12. 삭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차장을 구비한 목적지 가운데 현재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장소로 경로를 안내하는 자동차의 내비게이션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목적지 가운데 최종 목적지를 제외한 나머지 목적지에 주차장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최종 목적지로 경로를 안내하는 자동차의 내비게이션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목적지 가운데 최종 목적지를 제외한 나머지 목적지에 주차장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면 주차장 부재 사실을 안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내비게이션 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목적지 가운데 어느 한 목적지의 주변에 다른 목적지를 대체할 동일 카테고리의 장소가 존재하면 상기 동일 카테고리의 장소가 존재하는 목적지로 경로를 안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내비게이션 장치.
  17. 삭제
  18. 삭제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목적지 가운데 상기 자동차의 경로 안내일이 휴무일인 목적지가 존재하면 상기 휴무일인 목적지를 배제하고 나머지 목적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내비게이션 장치.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목적지를 최단 경로의 순서로 정렬한 후 경로를 안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내비게이션 장치.
KR1020170172037A 2017-12-14 2017-12-14 자동차의 경로 안내 방법 및 내비게이션 장치 KR102491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037A KR102491729B1 (ko) 2017-12-14 2017-12-14 자동차의 경로 안내 방법 및 내비게이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037A KR102491729B1 (ko) 2017-12-14 2017-12-14 자동차의 경로 안내 방법 및 내비게이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211A KR20190071211A (ko) 2019-06-24
KR102491729B1 true KR102491729B1 (ko) 2023-01-27

Family

ID=67055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2037A KR102491729B1 (ko) 2017-12-14 2017-12-14 자동차의 경로 안내 방법 및 내비게이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17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88560A (zh) * 2021-06-07 2021-07-30 芜湖雄狮汽车科技有限公司 车辆多目的地的导航方法、装置、车机及车辆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4874A (ja) * 2002-01-29 2003-07-30 Mazda Motor Corp 経路設定方法、ナビゲーション装置、並びにそれら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5233632A (ja) * 2004-02-17 2005-09-02 Kenwood Corp 案内経路探索装置、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案内経路探索方法
JP2007155437A (ja) * 2005-12-02 2007-06-21 Denso Corp 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4874A (ja) * 2002-01-29 2003-07-30 Mazda Motor Corp 経路設定方法、ナビゲーション装置、並びにそれら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5233632A (ja) * 2004-02-17 2005-09-02 Kenwood Corp 案内経路探索装置、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案内経路探索方法
JP2007155437A (ja) * 2005-12-02 2007-06-21 Denso Corp 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211A (ko) 201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8569B2 (e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or mobi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WO2010137091A1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20160110158A1 (en) Audio video navigation (avn) apparatus, vehicle, and control method of avn apparatus
WO2008079889A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oute calculation and information to a vehicle
JP5413321B2 (ja) 通信システム、車載端末、および携帯端末
CN107036612A (zh) 车辆的导航控制方法和路线导航系统
US10467905B2 (en) User configurable vehicle parking alert system
US20220128373A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96985B1 (ko) 자동차 및 자동차의 와이파이 통신 제어 방법
KR102491729B1 (ko) 자동차의 경로 안내 방법 및 내비게이션 장치
KR102411964B1 (ko) 자동차 및 자동차의 응급 구난 콜 제어 방법
KR101755308B1 (ko) 음성 인식 모듈, 그를 가지는 단말기 및 차량
KR101579532B1 (ko)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111032B2 (ja) 車載装置
KR102322920B1 (ko) 자동차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
WO2019119542A1 (zh) 车载系统的导航方法及车载系统
KR20230090510A (ko) 단말기 및 차량
JP2007276501A (ja) 車両の開閉ルーフ装置
JP3879699B2 (ja) 情報表示装置の遠隔操作システム
CN113739816A (zh) 车辆导航控制方法、装置及车辆
KR101736105B1 (ko) 오디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방법
JP4799695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経路探索方法、及び経路探索プログラム
KR101614727B1 (ko)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502804B1 (ko) 차량 및 차량의 방송 수신 방법
US20230398867A1 (en)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