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1565B1 - 동특성 시험기의 지그 - Google Patents

동특성 시험기의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1565B1
KR102491565B1 KR1020210075373A KR20210075373A KR102491565B1 KR 102491565 B1 KR102491565 B1 KR 102491565B1 KR 1020210075373 A KR1020210075373 A KR 1020210075373A KR 20210075373 A KR20210075373 A KR 20210075373A KR 102491565 B1 KR102491565 B1 KR 102491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installation hole
dynamic characteristics
lower jig
dynam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6523A (ko
Inventor
길형균
Original Assignee
경성시험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성시험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성시험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5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1565B1/ko
Publication of KR20220166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6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4Ch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a single impulsive force, e.g. by falling we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2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repeated or pulsating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4Chucks, fixtures, jaws, holders or anvils
    • G01N2203/0405Features allowing alignment between specimen and ch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4Chucks, fixtures, jaws, holders or anvils
    • G01N2203/0423Chucks, fixtures, jaws, holders or anvils using screw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특성 시험기의 지그는, 위에서 내려 다 볼 때 다각형 형상으로 제공되고, 암나사(42)가 형성된 하부 지그(40); 상기 하부 지그(40)의 상측에 얹히고 상기 암나사(42) 위치에 배치되는 다이내믹 로드 셀(50); 위에서 내려 다 볼 때 상기 하부 지그(40)와 닮은 꼴 형태의 다각형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다이내믹 로드 셀(50)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3 설치 홀(62)이 형성되며, 제4 설치 홀(64)이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 상부 지그(60); 및 상기 제3 설치 홀(62)과 상기 다이내믹 로드 셀(50)을 관통하여 상기 암나사(42)에 체결된 제1 볼트(81)를 포함하고,
위에서 내려 다 볼 때 상기 하부 지그(40)의 다각형 꼭짓점이 상기 상부 지그(60)의 다각형 꼭짓점과 서로 어긋난 위치로 배치되어 상기 제4 설치 홀(64)이 상기 하부 지그(40)를 회피하여 개방된다.

Description

동특성 시험기의 지그{Jig for Dynamic characteristics tester}
본 발명은 동특성 시험기에 센서 조립체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동특성 시험기의 지그에 관한 것이다.
어떤 물체의 동특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동특성 시험기를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동특성 시험기(1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특성 시험기(10)는 상부 질량체(12)와 하부 질량체(14)가 배치되고, 상부 질량체(12)와 하부 질량체(14)의 사이는 소정의 높이(h)를 갖는 공간이 마련되며. 상부 질량체(12)는 동특성 시험기(10)를 조작하면서 상승과 하강시킬 수 있다.
상부 질량체(12)와 하부 질량체(14)의 사이에 마련된 공간에 센서 조립체(24)가 배치되어 센서 조립체(24)의 상부와 하부가 각각 상부 질량체(14)와 하부 질량체(14)에 고정된다.
상기 센서 조립체(24)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에 상부 센서 지그(20)가 조립되고, 하측에 하부 센서 지그(22)가 조립된다.
상기 센서 조립체(24)는 다이내믹 로드 셀이 배치되어 있고, 다이내믹 로드 셀은 압전 소자를 이용하여 충격에 대한 하중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다이내믹 로드 셀은 예비 하중(Preload)을 작용한 상태에서 동특성을 계측할 수 있는 특성이 있다.
센서 조립체(24)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험하고자 하는 시편(100)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센서 조립체(24)가 동특성 시험기(10)에 설치된 후에, 예비 하중이 센서 조립체(24)에 작용하고, 이후, 하부 질량체(14)가 작업자가 의도한 주파수로 상하 방향으로 요동치면서 충격 하중이 시편(100)과 센서 조립체(24)에 전달된다.
즉, 입력된 주파수 크기를 알고, 센서 조립체(24)에서 검출된 주파수 값을 알면 시편(100)의 동특성을 알 수 있다.
종래에 알려진 센서 조립체(24)를 동특성 시험기(10)에 설치하는 예를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 조립체(24)는 하부 질량체(14)에 설치하고, 상부 센서 지그(20)는 상부 질량체(12)에 설치한다.
이후, 상부 질량체(12)를 하강시켜 상부 센서 지그(20)가 센서 조립체(24)에 압력을 가하도록 밀착시킨 후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센서 지그(20)와 센서 조립체(24)를 볼트를 이용하여 조립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센서 조립체의 설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구성 부품을 조립할 때 볼트를 이용하는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부 센서 지그(40)와 하부 센서 지그(22)에 가공부(21)를 가공하여 형성한다. 상기 가공부(21)를 가공하는 만큼 상부 센서 지그(40)와 하부 센서 지그(22)의 두께를 더 두껍게 설계하거나 과도하게 설계할 우려가 있다.
일반적으로 충격 하중이 작용하는 지그는 텅스텐으로 제작될 수 있다. 텅스텐은 밀도가 높아서 다른 재질에 비교하여 공진에 효과적이고 강성이 좋은 재질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텅스텐은 가격이 고가이므로 제조원가가 비싼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 알려진 센서 조립체(24)는 상부 센서 지그(20)에 조립할 때 아래서 위쪽으로 접근하여 조립하는 것으로써, 비좁은 공간에서 작업하여야 하므로 조립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센서 조립체(24)를 상부 센서 지그(20)에 조립할 때, 볼트에 스프링 와셔를 넣어 조립하더라도 실제 동특성 시험이 진행되면 진동 때문에 볼트가 풀릴 수 있다. 볼트가 풀리면 센서 조립체(24)를 지지하도록 하는 상부 센서 지그(20)에 큰 충격이 가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상부 센서 지그(20) 등 센서 조립체(24)를 지지하도록 하는 구성품은 4천만 원 이상의 고가이므로 금전적인 손해가 클 수 있다.
KR 10-1991-0001844 B1 KR 10-0162788 B1 KR 10-1458025 B1 KR 10-2020-0127920 A KR 10-1453616 B1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지그를 제작하는 데에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동특성 시험기의 지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그를 동특성 시험기에 설치할 때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하는 동특성 시험기의 지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험 환경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동특성 시험기의 지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특성 시험기의 지그는, 위에서 내려 다 볼 때 다각형 형상으로 제공되고, 암나사(42)가 형성된 하부 지그(40); 상기 하부 지그(40)의 상측에 얹히고 상기 암나사(42) 위치에 배치되는 다이내믹 로드 셀(50); 위에서 내려 다 볼 때 상기 하부 지그(40)와 닮은 꼴 형태의 다각형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다이내믹 로드 셀(50)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3 설치 홀(62)이 형성되며, 제4 설치 홀(64)이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 상부 지그(60); 및 상기 제3 설치 홀(62)과 상기 다이내믹 로드 셀(50)을 관통하여 상기 암나사(42)에 체결된 제1 볼트(81)를 포함하고,
위에서 내려 다 볼 때 상기 하부 지그(40)의 다각형 꼭짓점이 상기 상부 지그(60)의 다각형 꼭짓점과 서로 어긋난 위치로 배치되어 상기 제4 설치 홀(64)이 상기 하부 지그(40)를 회피하여 개방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특성 시험기의 지그는, 상기 하부 지그(40)의 중앙에 센터 핀(70)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 지그(60)의 중앙에 제5 설치 홀(66)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지그(40)와 상기 상부 지그(60)가 조립될 때 상기 센터 핀(70)의 일부가 상기 제5 설치 홀(66)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 지그(40)와 상기 상부 지그(60)의 서로 위치가 정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특성 시험기의 지그는, 상기 센터 핀(70)은 상부가 원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센터 핀(70)이 상기 제5 설치 홀(66)에 삽입될 때 상기 하부 지그(40)와 상기 상부 지그(60)의 서로 위치가 정렬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특성 시험기의 지그는, 상기 센터 핀(70)의 상부에 턱(72)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지그(40)에 제2 설치 홀(46)이 형성되며, 상기 제4 설치 홀(46)에 제4 볼트(84)가 체결되고, 상기 제4 볼트(84)의 끝부분이 상기 센터 핀(70)에 닿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4 볼트(84)의 조임 정도에 따라 상기 턱(72)이 상기 상부 지그(60)에 닿아 상기 하부 지그(40)와 상기 상부 지그(60) 간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특성 시험기의 지그는, 하부 지그와 상부 지그를 같은 크기의 사각형 형상으로 제공하되 모서리가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함으로써, 종래의 볼트를 조립하기 위한 가공부를 배제할 수 있고, 이로써 지그를 제작하는 데에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특성 시험기의 지그는, 지그를 동특성 시험기에 설치할 때, 다이내믹 로드 셀(50)을 상부 지그(60)와 하부 지그(40)에 먼저 고정한 상태에서 상부 지그(60)를 상부 질량체(12)에 조립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특성 시험기의 지그는, 상부 지그(60)와 다이내믹 로드 셀(50)과 하부 지그(40)를 조립할 때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보며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볼트를 조립하는 것이므로 다이내믹 로드 셀(50)을 좀 더 확실하게 조립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이로써 시험 환경의 안정성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동특성 시험기에 센서 조립체를 조립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지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과 도 4는 종래의 지그를 동특성 시험기에 설치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특성 시험기의 지그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투시도면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특성 시험기의 지그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투시도면 및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특성 시험기의 지그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특성 시험기의 지그에서 하부 지그, 다이내믹 로드 셀, 상부 지그를 조립한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특성 시험기의 지그를 하부 질량체에 조립하는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특성 시험기의 지그를 상부 질량체에 조립하는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하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가 과장되게 도시할 수 있다.
한편,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특성 시험기의 지그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특성 시험기의 지그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투시도면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특성 시험기의 지그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투시도면 및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특성 시험기의 지그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특성 시험기의 지그는, 하부 지그(40), 다이내믹 로드 셀(50), 상부 지그(60) 및 제1 볼트(8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지그(40)는 위에서 내려 다 볼 때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각형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고,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나사(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이내믹 로드 셀(50)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지그(40)의 상측에 얹히고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암나사(42)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이내믹 로드 셀(50)은 중앙이 빈 링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압축 하중이 작용한 상태에서 진동 또는 충격 하중이 작용할 때 충격 값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지그(60)는, 위에서 내려 다 볼 때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지그(40)와 닮은 꼴 형태의 다각형 형상으로 제공되고,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다이내믹 로드 셀(50)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3 설치 홀(62)이 형성되며, 제4 설치 홀(64)이 상하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볼트(81)는 상기 제3 설치 홀(62)과 상기 다이내믹 로드 셀(50)을 관통하여 상기 암나사(42)에 체결될 수 있다.
한편으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볼트(81)를 조임에 따라 상기 다이내믹 로드 셀(50)에 예비 하중(Preload)을 작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특성 시험기의 지그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에서 내려 다 볼 때 상기 하부 지그(40)의 다각형 꼭짓점이 상기 상부 지그(60)의 다각형 꼭짓점과 서로 어긋난 위치로 배치되어 상기 제4 설치 홀(64)이 상기 하부 지그(40)를 회피하여 개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특성 시험기의 지그는, 하부 지그(40)와 상부 지그(60)를 같은 크기의 다각형 예컨대 사각형 형상으로 제공하되 모서리가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함으로써, 종래의 볼트를 조립하기 위한 가공부를 배제할 수 있고, 이로써 지그를 제작하는 데에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특성 시험기의 지그는, 지그를 동특성 시험기에 설치할 때,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이내믹 로드 셀(50)을 상부 지그(60)와 하부 지그(40)에 먼저 고정하고, 하부 지그(40)를 하부 질량체에 고정하며, 상부 지그(60)를 상부 질량체(12)에 조립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지그(40)를 하부 질량체에 고정할 때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지그(40)에 제1 설치 홀(44)이 형성되고, 제2 볼트(82)를 제1 설치 홀(44)에 통과시키며, 제1 설치 홀(44)의 하부로 노출되는 제2 볼트(82)가 하부 질량체의 구조물에 체결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특성 시험기의 지그는, 상부 지그(60)와 다이내믹 로드 셀(50)과 하부 지그(40)를 조립할 때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보며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볼트를 조립하는 것이므로 다이내믹 로드 셀(50)을 좀 더 확실하게 조립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이로써 시험 환경의 안정성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지그(60)를 상부 질량체(12)에 고정할 때,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지그(60)에 제4 설치 홀(64)이 형성되고, 제3 볼트(83)를 제1 설치 홀(64)에 통과시키며, 제4 설치 홀(64)의 상부로 노출되는 제3 볼트(83)가 상부 질량체(12)에 체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3 볼트(83)를 상기 제4 설치 홀(64)에 진입시킬 때 상기 제3 볼트(83)는 다른 구성요소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쉽고 원활하게 진입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지그(60)는 종래의 가공부(21)를 배제한 것으로써, 가공 비용이 절감되고, 상기 상부 지그(60)의 두께는 종래의 상부 센서 지그(20)의 두께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얇게 제공할 수 있어 재료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특성 시험기의 지그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지그(40)의 중앙에 센터 핀(70)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상부 지그(60)의 중앙에 제5 설치 홀(6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지그(40)와 상기 상부 지그(60)가 조립될 때 상기 센터 핀(70)의 일부가 상기 제5 설치 홀(66)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 지그(40)와 상기 상부 지그(60)의 서로 위치가 정렬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특성 시험기의 지그는, 하부 지그(40)와 다이내믹 로드 셀(50)과 상부 지그(60)를 정교하게 정렬된 상태에서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고, 예비 하중을 작용할 때 복수의 다이내믹 로드 셀(50)에 균일하게 예비 하중을 작용할 수 있어 측정값의 신뢰도가 더욱 높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특성 시험기의 지그는, 상기 센터 핀(70)은 상부가 원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센터 핀(70)이 상기 제5 설치 홀(66)에 삽입될 때 상기 하부 지그(40)와 상기 상부 지그(60)의 서로 위치가 정렬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특성 시험기의 지그는, 가공 오차 또는 조립 오차 등의 오차 변수가 있더라도 하부 지그(40)와 다이내믹 로드 셀(50)과 상부 지그(60)를 정교하게 정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특성 시험기의 지그는, 상기 센터 핀(70)의 상부에 턱(7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부 지그(40)에 제2 설치 홀(46)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4 설치 홀(46)에 제4 볼트(84)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4 볼트(84)의 끝부분이 상기 센터 핀(70)에 닿도록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4 볼트(84)의 조임 정도에 따라 상기 턱(72)이 상기 상부 지그(60)에 닿아 상기 하부 지그(40)와 상기 상부 지그(60) 간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제4 볼트(84)를 조이는 정도에 따라 다이내믹 로드 셀(50)에 응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이러한 기술은 제품을 생산하여 유통하는 과정에서 제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구성요소가 임의로 요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으로, 동특성을 계측하기 위하여 지그를 동특성 시험기에 설치하고자 할 때는 상기 제4 볼트(84)를 제거하거나 풀어낸 상태일 수 있고, 이로써 예비 하중이 작용할 때, 그 예비 하중이 온전하게 상기 다이내믹 로드 셀(50)에 작용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해당 업계 종사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특성 시험기의 지그는, 시편의 동특성을 측정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10: 동특성 시험기
12: 상부 질량체 14: 하부 질량체
20: 상부 센서 지그 21: 가공부
22: 하부 센서 지그 24: 센서 조립체
30: 지그
40: 하부 지그
42: 암나사 44, 46: 제1, 2 설치 홀
50: 다이내믹 로드 셀
60: 상부 지그 62~66: 제3~5 설치 홀
70: 센터 핀 81~84: 제1~4 볼트
100: 시편

Claims (4)

  1. 위에서 내려 다 볼 때 다각형 형상으로 제공되고, 암나사(42)가 형성된 하부 지그(40);
    상기 하부 지그(40)의 상측에 얹히고 상기 암나사(42) 위치에 배치되는 다이내믹 로드 셀(50);
    위에서 내려 다 볼 때 상기 하부 지그(40)와 닮은 꼴 형태의 다각형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다이내믹 로드 셀(50)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3 설치 홀(62)이 형성되며, 제4 설치 홀(64)이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 상부 지그(60); 및
    상기 제3 설치 홀(62)과 상기 다이내믹 로드 셀(50)을 관통하여 상기 암나사(42)에 체결된 제1 볼트(81)를 포함하고,
    위에서 내려 다 볼 때 상기 하부 지그(40)의 다각형 꼭짓점이 상기 상부 지그(60)의 다각형 꼭짓점과 서로 어긋난 위치로 배치되어 상기 제4 설치 홀(64)이 상기 하부 지그(40)를 회피하여 상하부 개구가 모두 개방된 것
    을 포함하는 동특성 시험기의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그(40)의 중앙에 센터 핀(70)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 지그(60)의 중앙에 제5 설치 홀(66)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지그(40)와 상기 상부 지그(60)가 조립될 때 상기 센터 핀(70)의 일부가 상기 제5 설치 홀(66)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 지그(40)와 상기 상부 지그(60)의 서로 위치가 정렬되는 것
    을 포함하는 동특성 시험기의 지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핀(70)은 상부가 원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센터 핀(70)이 상기 제5 설치 홀(66)에 삽입될 때 상기 하부 지그(40)와 상기 상부 지그(60)의 서로 위치가 정렬되는 것
    을 포함하는 동특성 시험기의 지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핀(70)의 상부에 턱(72)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지그(40)에 제2 설치 홀(46)이 형성되며,
    상기 제4 설치 홀(46)에 제4 볼트(84)가 체결되고,
    상기 제4 볼트(84)의 끝부분이 상기 센터 핀(70)에 닿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4 볼트(84)의 조임 정도에 따라 상기 턱(72)이 상기 상부 지그(60)에 닿아 상기 하부 지그(40)와 상기 상부 지그(60) 간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
    을 포함하는 동특성 시험기의 지그.
KR1020210075373A 2021-06-10 2021-06-10 동특성 시험기의 지그 KR102491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373A KR102491565B1 (ko) 2021-06-10 2021-06-10 동특성 시험기의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373A KR102491565B1 (ko) 2021-06-10 2021-06-10 동특성 시험기의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523A KR20220166523A (ko) 2022-12-19
KR102491565B1 true KR102491565B1 (ko) 2023-01-26

Family

ID=84535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373A KR102491565B1 (ko) 2021-06-10 2021-06-10 동특성 시험기의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156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1268A (ja) 2006-03-30 2007-10-18 Tokai Rubber Ind Ltd 動特性測定装置
JP2020008494A (ja) 2018-07-11 2020-01-16 株式会社鷺宮製作所 試験機用検定器、および、それを用いる試験機
KR102212052B1 (ko) 2019-12-06 2021-02-0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축하중 피로시험장치를 구선하는 다축 피로시험용 지그
KR102346261B1 (ko) 2021-06-07 2022-01-03 주식회사 경원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교량 재하시험용 변위 측정장치
JP7062576B2 (ja) 2018-11-19 2022-05-06 株式会社鷺宮製作所 動特性測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1212B2 (ja) * 1978-12-08 1983-11-15 工業技術院長 卓球ボ−ルの動特性試験装置
JPS6175233A (ja) * 1984-09-19 1986-04-17 Kinugawa Rubber Ind Co Ltd 動特性測定装置
KR910008014B1 (ko) 1989-06-21 1991-10-05 삼성전관 주식회사 칼라음극선관의 형광면 제조방법
KR0162788B1 (ko) 1993-12-24 1999-05-15 전성원 차량의 동특성 측정장치
KR100259650B1 (ko) * 1997-07-30 2000-06-15 정몽규 능동제어 엔진 마운팅 액츄에이터의 동특성 측정용 지그
KR100489136B1 (ko) * 2003-05-12 2005-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의 거동 측정장치
KR100921057B1 (ko) * 2007-10-10 2009-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T-조인트의 액상 가스켓 피로 시험 지그 및 그 시험 방법
KR101467040B1 (ko) * 2012-08-30 2014-12-01 현대제철 주식회사 시편 고정용 지그
KR101453616B1 (ko) 2012-11-30 2014-10-22 주식회사 포스코 서보밸브의 정특성 진단장치
KR101458025B1 (ko) 2013-08-29 2014-11-12 주식회사 풍산 정적 구조물의 동특성 계측장비 및 이에 사용되는 센서 모듈
KR102010901B1 (ko) * 2017-10-30 2019-08-14 서한산업(주) 등속 조인트용 케이지 강도 시험용 지지장치
KR20200062755A (ko) * 2018-11-27 2020-06-04 주식회사 티포엘 압축 테스트용 지그
KR20200127920A (ko) 2020-09-21 2020-11-11 한국철도공사 모터 카 감속기의 진동 특성 측정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1268A (ja) 2006-03-30 2007-10-18 Tokai Rubber Ind Ltd 動特性測定装置
JP2020008494A (ja) 2018-07-11 2020-01-16 株式会社鷺宮製作所 試験機用検定器、および、それを用いる試験機
JP7062576B2 (ja) 2018-11-19 2022-05-06 株式会社鷺宮製作所 動特性測定装置
KR102212052B1 (ko) 2019-12-06 2021-02-0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축하중 피로시험장치를 구선하는 다축 피로시험용 지그
KR102346261B1 (ko) 2021-06-07 2022-01-03 주식회사 경원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교량 재하시험용 변위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523A (ko) 202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30237B (zh) 一种振动试验中的多维力测试系统
DE102008041327B4 (de) Dreiachsiger Beschleunigungssensor
JP6174323B2 (ja) 試験物を荷重と位置合わせ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EP2864744B1 (de) Messelement, messkörper und messanordnung zum messen einer kraft und verwendung eines solchen messkörpers
US8161828B1 (en) Load cell for monitoring torsion and having over load protection
KR100938831B1 (ko) 소형 실배관 시편
KR20150070766A (ko) 테스터 및 이를 구비하는 반도체 소자 검사 장치
KR102491565B1 (ko) 동특성 시험기의 지그
CN100357722C (zh) 电磁式微力学压痕测试仪及其测试方法
CN105004888A (zh) 一种可调集成电路测试治具
CN104198772A (zh) 嵌入式芯片测试插座及其加工方法
CN114659695A (zh) 应变体、力觉传感器装置
DE102016219953B4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Messung der Vorspannkraft einer mechanischen Verbindung, insbesondere einer Schraubverbindung
CN114674480A (zh) 传感器芯片、力觉传感器装置
KR102521076B1 (ko) 반도체 소자를 검사하기 위한 인서트 조립체와 테스트 소켓의 불량 검사 방법
US8453491B2 (en) Drop test apparatus
CN208520531U (zh) 一种dcdc转换器气密性检测装置
CN116007872A (zh) 惯导系统用压缩态橡胶径向动态特性测量装置及测量方法
US20130328585A1 (en) Probe card
CN211121853U (zh) 一种用于弹性垫层静刚度测试压力机的压紧结构
DE19752439C2 (de) Mikromechanischer Neigungssensor,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EP3295141B1 (en) Multi axis load cell body
JPH07128167A (ja) 分力測定装置
KR101449121B1 (ko) 시편 고정장치
CN219830776U (zh) 载置基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