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1510B1 -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1510B1
KR102491510B1 KR1020220081990A KR20220081990A KR102491510B1 KR 102491510 B1 KR102491510 B1 KR 102491510B1 KR 1020220081990 A KR1020220081990 A KR 1020220081990A KR 20220081990 A KR20220081990 A KR 20220081990A KR 102491510 B1 KR102491510 B1 KR 102491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 ice
detection
average voltage
information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1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정원
박진관
박주식
Original Assignee
성풍솔레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풍솔레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풍솔레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1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15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55Specular reflectiv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 G01N21/49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55Specular reflectivity
    • G01N2021/555Measuring total reflection power, i.e. scattering and specula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눈이나 빗물이 쌓이는 받침부와 받침부에 쌓이는 눈이나 빗물의 존재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가 구비되어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감지모듈과, 감지모듈의 일측에 구비되어 감지모듈에서 생성되는 감지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어모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도로교통의 불규칙적인 노면에서도 블랙 아이스를 예측 감지할 수 있고, 발광수단과 수광수단의 감지신호가 통과할 때 뒤편의 한점에 수렴될 수 있도록 하는 볼록 렌즈를 발광수단 또는 수광수단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됨으로 발광수단의 감지신호가 수광수단에 수렴되도록 할 수 있어 블랙 아이스 생성 여부를 예측 감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 시스템{Black ice Prediction Detection System}
본 발명은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마철 또는 여름철의 빗물, 겨울 철의 눈 또는 빙판길에 의해서 블랙 아이스(black ice)가 생성될 수 있는 지점, 도로교통 터널 입출구 지점, 지면과 떨어져 지열을 제공받지 못하는 고가도로 또는 강 위의 다리(교량) 등에서 블랙 아이스 생성을 예측 감지할 수 있는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랙 아이스는 눈이 내리거나 빗물이 내려 도로 표면의 틈사이로 스며든 눈 또는 빗물 등이 얼어붙어 생기는 빙판길을 의미하는데, 블랙 아이스는 자동차의 매연, 먼지 등의 오염물질이 포함되어 도로 노면 색과 비슷한 색깔로 보이게 되여 운전자에게는 도로 노면이 단순히 검게 젖은 것으로 보이게 된다.
이에, 운전자는 주행중에 블랙 아이스를 인식하기에는 매우 어렵기 때문에 방어 운전을 할 수 없고, 블랙 아이스는 대부분 겨울철 교통사고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블랙 아이스는 늦은 저녁과 이른 새벽 기온이 급하강할 때 잘 발생하고, 햇볕이 들지 않는 터널의 입출구 지점이나 그늘진 곡선도로, 도로 주변에 산이 있는 도로에서 주로 발생되며, 지면과 떨어져 있어 지열을 받기 어려운 고가도로, 습기가 많은 해안도로, 강위 다리(교량) 등에서 자주 발생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블랙 아이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레이저 방식, 적외선 방식 또는 비전방식의 카메라 방식을 이용하여 도로노면의 상태를 감지하여 도로 노면의 블랙 아이스 생성 여부를 감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블랙 아이스 감지장치는 레이저 방식, 적외선 방식 또는 비전방식의 카메라 방식 등을 이용하여 차량이 주기적으로 주행하는 도로노면 상태를 감지하여 블랙 아이스 생성 여부를 감지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차량의 주행으로 도로 노면이 불규칙하게 형성되고 이러한 불규칙한 노면에 의해 레이저 방식, 적외선 방식 또는 비전방식의 카메라 방식 등의 감지신호가 수광되지 않아 도로노면의 블랙 아이스 생성 여부를 감지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9242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93844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 시스템(1)은 눈이나 빗물이 쌓이는 받침부(108)와 상기 받침부(108)에 쌓이는 눈이나 빗물의 존재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109)가 구비되어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감지모듈(107)과, 상기 감지모듈(107)의 일측에 구비되어 감지모듈(107)에서 생성되는 감지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어모듈(116)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감지부(109)는, 눈이나 빗물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신호를 상기 받침부(108)로 발산하는 하나 이상의 발광수단(110)과, 상기 발광수단(110)에서 발산된 감지신호가 상기 받침부(108)나 눈 또는 빗물에 의해 반사되어 수광되는 하나 이상의 수광수단(112)을 포함한다.
상기 받침부(108)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명재질은 투명 아크릴 또는 투명 유리이며, 상기 감지부(109)는 상기 받침부(108)와 15도 ~ 25도의 각도(θ)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감지신호가 통과할 때 뒤편의 한점에 수렴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볼록 렌즈(114)(117)가 상기 하나 이상의 발광수단(110)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수광 수단(112)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된다.
또한,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 시스템(1)은 상기 감지정보를 송수신하는 유무선 통신모듈(106)을 포함하고, 상기 수광수단(112)의 상기 감지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수광수단(112)으로 수광되는 상기 감지신호 수에 따른 제1 평균 전압 2.5V ~ 5.0V, 제2 평균 전압 1.1V ~ 2.4V 또는 제3 평균 전압 0.0V ~ 1.0V로 구분되고, 상기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정보는 상기 제1 평균 전압 2.5V ~ 5.0V에 대응되는 블랙 아이스 안전운전 정보, 상기 제2 평균 전압 1.1V ~ 2.4V에 대응되는 블랙 아이스 주의 안전운전 정보 또는 상기 제3 평균 전압 0.0V ~ 1.0V에 대응되는 블랙 아이스 위험 안전운전 정보로 구분된다.
이때, 상기 제어모듈(116)은 상기 감지정보의 상기 제1 평균 전압 2.5V ~ 5.0V인 경우에는 상기 블랙 아이스 안전운전 정보, 상기 제2 평균 전압 1.1V ~ 2.4V인 경우에는 상기 블랙 아이스 주의 안전운전 정보 또는 상기 제3 평균 전압 0.0V ~ 1.0V인 경우에는 상기 블랙 아이스 위험 안전운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유무선 통신모듈(106)을 통해 전송한다.
또한,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 시스템(1)은 도로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여 전송하는 온도 감지모듈(104)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116)은 상기 온도 감지모듈(104)의 상기 온도가 섭씨 2℃ 이하이고 상기 수광수단(112)의 상기 감지정보가 상기 제2 평균 전압 1.1V ~ 2.4V 또는 상기 제3 평균 전압 0.0V ~ 1.0V인 경우에 블랙 아이스 주의 운전정보 또는 블랙 아이스 위험 안전운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유무선 통신모듈(106)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온도 감지모듈(104)의 상기 온도가 섭씨 2℃ 초과이고 상기 수광수단(112)의 상기 감지정보가 상기 제2 평균 전압 1.1V ~ 2.4V 또는 상기 제3 평균 전압 0.0V ~ 1.0V인 경우에 블랙 아이스 주의 안전운전 정보 또는 블랙 아이스 위험 안전운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유무선 통신모듈(106)을 통해 전송한다.
본 발명에 의한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 이상의 발광수단에서 받침부로 발산되는 하나 이상의 감지신호가 눈 또는 빗물이 없는 받침부, 눈과 받침부 또는 빗물과 받침부에 따라 하나 이상의 감지신호 전부 또는 하나 이상의 감지신호 중 일부가 수광수단으로 수광되는 감지신호 수에 따른 평균 전압으로 블랙 아이스 생성 여부를 예측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감지신호가 통과할 때 뒤편의 한점에 수렴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볼록 렌즈가 하나 이상의 발광수단 또는 하나 이상의 수광수단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됨으로 발광수단의 감지신호가 수광수단에 수렴되도록 할 수 있어 블랙 아이스 생성 여부를 예측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또는 눈이 내리지 않았을 때의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이 내렸을 때의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눈이 내렸을 때의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교통 상황판에 도로교통 상황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며,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c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 시스템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도 3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또는 눈이 내리지 않았을 때의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이 내렸을 때의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며,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눈이 내렸을 때의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교통 상황판에 도로교통 상황을 디스플레이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 시스템(1)은 도로교통 관제센터(10), 유무선 통신 중계기(25), 도로교통 상황판(30) 및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장치(100)로 이루어진다.
먼저, 도로교통 관제센터(10)는 유무선 통신 중계기(25)를 통해 각 도로교통 지점의 도로교통 관리 시설로부터 도로교통 상황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하고 그에 따른 정보를 도로교통 상황판(30) 또는 도로교통 시설 관리자의 단말기 등과 유무선 통신(20) 송수신할 수있다.
여기서 도로교통 관제센터(10)는 유무선 통신 중계기(25)를 통해 도로교통 관리 시설의 카메라(미도시)에서 촬영한 도로교통 상황 영상정보 또는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장치(100)로부터 실시간으로 도로의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정보를 수신하여 도로교통 상황판(30) 또는 도로교통 관리자의 단말기(미도시) 등과 유무선 통신(20) 송수신할 수 있다.
도로교통 상황판(30)은 유무선 통신 중계기(25)를 통해 도로교통 관제센터(10)로부터 도로교통 상황 영상정보 또는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정보를 유무선 통신(20) 수신하여 도로교통 사용자들이 도로의 블랙 아이스(5) 생성여부를 인지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한다.
한편, 도로교통 상황판(30)은 유무선 통신장치(미도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로교통 주변에 설치된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장치(100)로부터 도로의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정보를 유무선 통신(20)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도 있다.
이러한, 도로교통 상황판(30)은 도로교통 운전자가 미리 주행방향의 전방 도로의 블랙 아이스(5) 생성여부 등의 도로교통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도로교통 상황 영상정보 또는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정보 등을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장치(100)는 도로에 햇빛이 비추지 않는 지점, 기온이 낮은 지점, 고가도로, 강위 다리(교량) 또는 도로터널의 입출구 지점 등의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지점(A)에 설치 운영된다.
이러한,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장치(100)는 유무선 통신 중계기(25)를 통해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지점(A)에서의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정보를 도로교통 관제센터(10), 도로교통 상황판(30) 또는 도로교통 관리자의 단말기(미도시)로 유무선 통신(20) 전송한다.
여기서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지점(A)은 제1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지점(a1) 내지 제 5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 지점(a5)으로 세분화 할 수 있고,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장치(100)는 제1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지점(a1) 내지 제5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지점(a5)에 대응되게 각각 설치 운영될 수 있다.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지점(A)을 세분화 함으로써 블랙 아이스(5)가 생성될 수 있는 제1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지점 내지 제5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점(a1)(a2)(a3)(a4)(a5)을 정확하게 도로교통 운전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장치(100)는 도로교통 주변에 설치되어 지지될 수 있는 지지대(102),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지점(A)의 주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모듈(104),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정보 등을 유무선 통신 중계기(25)와 유무선 통신(20) 송수신하는 유무선 통신모듈(106),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지점(A)에서의 블랙 아이스 생성을 예측 감지한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감지모듈(107) 및 감지모듈(107)의 감지정보에 따른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정보를 생성하여 유무선 통신모듈(106)과 유무선 통신 중계기(25)를 통해 도로교통 상황판(30), 도로교통 관제센터(10) 또는 도로교통 관리자의 단말기(미도시)로 전송하는 제어모듈(116)로 이루어진다.
지지대부(102) 내부에는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미도시), 온도 감지모듈(104), 유무선 통신모듈(106) 또는 제어모듈(16)이 형성될 수 있고, 지지대부(102) 외부 상측에는 감지모듈(107)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감지모듈(107)는 투명 아크릴 또는 투명 유리 등과 같은 평면 투명재질로 형성되어 빗물 또는 눈이 쌓이는 받침부(108)와, 받침부(108)에 쌓이는 눈이나 빗물의 존재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109)가 구비되어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정보를 생성한다.
한편, 감지부(109)는 눈이나 빗물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신호를 받침부(108)로 발산하는 하나 이상의 발광수단(110)과 발광수단(110)에서 발산된 감짖신호가 받침부(108)나 눈 또는 빗물에 의해 반사되어 수광되는 하나 이상의 수광수단(112)을 포함한다.
더욱 자세하게 감지모듈(107)은 받침부(108) 하부에 소정의 각도(θ)로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감지신호를 받침부(108)로 발산하는 하나 이상의 발광수단(110)과 발광수단(110)에서 발산된 하나 이상의 감지신호가 받침부(108), 눈(115)과 받침부(108) 또는 빗물(115)과 받침부(108)에 의한 전반사 또는 산란에 의해 수광되는 감지신호의 수에 따른 감지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수광수단(112)을 포함하는 감지부(109)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받침부(108)의 평면 투명재질은 투명 아크릴, 투명 유리 등이 될 수있고, 굴절률이 1.5인 투명 유리인 것이 바람직하고, 감지부(109)의 소정의 각도(θ)는 하나 이상의 발광수단(110)의 하나 이상의 감지신호가 평면 투명재질에 발산되어 전반사로 하나 이상의 수광수단(112)으로 각각 대응되게 수광될 수 있는 각도 예컨대 15도 ~ 25도의 각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감지부(109)의 하나 이상의 발광수단(110) 또는 수광수단(112)는 발광 다이오드 등으로 예컨대 3개 ~ 5개로 형성될 수 있고, 발광수단(110)과 수광수단(112)의 발산 또는 수광되는 감지신호가 뒤편의 한점에 수렴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렌즈(114)(117)가 하나 이상의 발광수단(110) 또는 하나 이상의 수광수단(112)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렌즈(114)(117)는 발광수단(110)의 감지신호가 수광수단(112)에 수렴되도록 할 수 있는 볼록 렌즈이고, 하나 이상의 발광수단(110)에 각각 대응되게 하나 이상의 발광 렌즈 수단(114)과 하나 이상의 수광수단(112) 각각 대응되게 하나 이상의 수광 렌즈(117)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발광수단(110)과 수광수단(112)에 대응되게 하나 이상의 발광 렌즈 수단(114)과 수광 렌즈 수단(117)이 각각 형성됨에 따라 발광수단(110)의 감지신호가 수광수단(112)에 수렴시킬 수 있어 도로에서의 블랙 아이스(5) 생성 여부를 정확하게 예측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수광수단(112)의 감지정보는 하나 이상의 발광수단(110)에서 발산한 하나 이상의 감지신호가 받침부(108), 눈(115)과 받침부(108) 또는 빗물(115)과 받침부(108)에 따라 전반사 또는 산란됨에 따라 수광되는 감지신호 수에 따른 제1 평균 전압 예컨대 2.4V ~ 5.0V, 제2 평균 전압 예컨대 1.1V ~ 2.5V 또는 제3 평균 전압 예컨대 0.0V ~ 1.0V로 구분될 수 있다.
아울러,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정보는 제1 평균 전압에 대응되는 블랙 아이스 안전운전 정보, 제2 평균 전압에 대응되는 블랙 아이스 주의 안전운전 정보 또는 제3 평균 전압에 대응되는 블랙 아이스 위험 안전운전 정보로 구분될 수 있다.
제어모듈(116)는 감지모듈(107)의 일측에 구비되어 감지모듈(107)에서 생성되는 감지정보를 유무선 통신모듈(106)을 통해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116)은 수광수단(112)의 감지정보에 따라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정보를 생성하여 유무선 통신모듈(106)과 유무선 통신 중계기(25)를 통해 도로교통 관제센터(10), 도로교통 상황판(30) 또는 도로교통 관리자 단말기(미도시) 등으로 전송한다.
제어모듈(116)은 수광수단(112)의 감지정보가 제1 평균 전압인 경우에는 블랙 아이스 안전운전 정보 예컨대 전방 1Km 내 도로교통 원활의 블랙 아이스 감지정보를 생성하여 유무선 통신모듈(106)과 유무선 통신 중계기(25)를 통해 도로교통 관제센터(10), 도로교통 상황판(30) 또는 도로교통 관리자 단말기(미도시) 등으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모듈(116)은 수광수단(112)의 감지정보가 제2 평균 전압인 경우에는 블랙 아이스 주의 안전운전 정보 예컨대 전방 1Km 블랙 아이스 주의 안전운전의 블랙 아이스 감지정보를 생성하여 유무선 통신모듈(106)과 유무선 통신 중계기(25)를 통해 도로교통 관제센터(10), 도로교통 상황판(30) 또는 도로교통 관리자 단말기(미도시) 등으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모듈(116)은 수광수단(112)의 감지정보가 제3 평균 전압인 경우에는 블랙 아이스 위험 안전운전 정보 예컨대 전방 1Km 블랙 아이스 위험 안전운전의 블랙 아이스 감지정보를 생성하여 유무선 통신모듈(106)과 유무선 통신 중계기(25)를 통해 도로교통 관제센터(10), 도로교통 상황판(30) 또는 도로교통 관리자 단말기(미도시) 등으로 전송한다.
이에 도로교통 운전자는 도로교통 상황판(30) 등을 통하여 주행 전방의 도로교통 상황 예컨대 도로의 블랙 아이스(5) 생성여부에 대해서 인지할 수 있어 안전운전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모듈(116)는 온도 감지모듈(104)의 온도가 섭씨 2℃ 이하이고 수광수단(112)의 감지정보가 상기 제2 평균 전압 1.1V ~ 2.4V 또는 제3 평균 전압 0.0V ~ 1.0V인 경우에 눈 블랙 아이스 주의 안전운전 정보 또는 눈 블랙 아이스 위험 안전운전 정보를 생성하여 유무선 통신모듈(106)과 유무선 통신 중계기(25)를 통해 도로교통 관제센터(10), 도로교통 상황판(30) 또는 도로교통 관리자 단말기(미도시) 등으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모듈(116)은 온도 감지모듈(104)의 온도가 섭씨 2℃ 초과이고 수광수단(112)의 감지정보가 제2 평균 전압 1.1V ~ 2.4V 또는 제3 평균 전압 0.0V ~ 1.0V인 경우에 빗물 블랙 아이스 주의 안전운전 정보 또는 빗물 블랙 아이스 위험 안전운전 정보를 생성하여 유무선 통신모듈(106)과 유무선 통신 중계기(25)를 통해 도로교통 관제센터(10), 도로교통 상황판(30) 또는 도로교통 관리자 단말기(미도시) 등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하면, 받침부(108)에 빗물 또는 눈이 없는 경우에 감지부(109)의 하나 이상의 발광수단(110)는 제어모듈(116)의 제어신호에 따라 하나 이상의 감지신호를 받침부(108)로 실시간 또는 일정시간 예컨대 10분 ~ 30분에 맞춰 발산할 수 있다.
일정시간에 맞춰 발광수단(110)이 하나 이상의 감지신호를 발산하므로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장치(100) 전원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하나 이상의 감지신호는 발광 렌즈 수단(114)을 통과하여 투명재질 예컨대 투명유리에 의해 전반사가 되어 수광 렌즈 수단(117)을 통해 하나 이상의 수광수단(112)으로 수광된다.
이때, 수광수단(112)은 전기적으로 제어모듈(116)과 연결되어 수광되는 감지신호 수에 따른 감지정보를 제어모듈(116)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제어모듈(116)은 수광수단(112)의 감지정보가 제1 평균전압 예컨대 2.4V ~ 5.0V의 감지정보인 경우에 제1 평균전압에 대응되는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정보의 블랙 아이스 안전운전 정보 예컨대 전방 1Km 내 도로교통 원활을 생성하여 유무선 통신모듈(106)과 유무선 통신 중계기(25)를 통해 도로교통 관제센터(10), 도로교통 상황판(30) 또는 도로교통 관리자 단말기(미도시)로 전송시킬 수 있다.
한편, 받침부(108)에 빗물 또는 눈이 형성되는 경우에 감지부(109)의 하나 이상의 발광수단(110)은 제어모듈(116)의 제어신호에 따라 하나 이상의 감지신호를 받침부(108)로 실시간 또는 일정시간에 맞춰 발산한다.
하나 이상의 감지신호는 발광 렌즈 수단(114)을 통과하여 투명재질의 투명유리와 빗물 또는 투명재질의 투명유리와 눈에 의해서 하나 이상의 감지신호 일부가 산란되어 수광 렌즈 수단(117)을 통해 하나 이상의 감지신호 중 일부가 하나 이상의 수광수단(112)에 수광된다.
이때, 수광수단(112)은 전기적으로 제어모듈(116)과 연결되어 수광되는 감지신호 수에 따른 감지정보를 실시간 또는 일정시간에 맞춰 제어모듈(116)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제어모듈(116)은 수광수단(112)의 감지정보가 제2 평균전압 예컨대 1.1V ~ 2.5V의 감지정보 또는 제3 평균전압 예컨대 0.0V ~ 1.0V의 감지정보인 경우에 제2 평균전압 또는 제3 평균전압에 대응되는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정보의 블랙 아이스 주의 안전운전 정보 예컨대 전방 1Km 블랙 아이스 주의 안전운전 또는 블랙 아이스 위험 안전운전 정보 예컨대 전방 1Km 블랙 아이스 위험 안전운전을 생성하여 유무선 통신모듈(106)과 유무선 통신 중계기(25)를 통해 도로교통 관제센터(10), 도로교통 상황판(30) 또는 도로교통 관리자 단말기(미도시)로 전송시킬 수 있다.
또한, 블랙 아이스 예측 시스템(1)는 제어모듈(11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온도 감지모듈(104)를 이용하여 도로교통의 주변 온도에 따라 눈 또는 빗물의 블랙 아이스 주의 안전운전 정보 또는 블랙 아이스 위험 안전운전 정보를 생성하여 유무선 통신모듈(106)과 유무선 통신 중계기(25)를 통해 도로교통 관제센터(10), 도로교통 상황판(30) 또는 도로교통 관리자 단말기(미도시)로 전송시킬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제어모듈(116)은 온도 감지모듈(104)의 온도가 섭씨 예컨대 2℃ 이하이고 수광수단(112)의 감지정보가 제2 평균 전압 예컨대 1.1V ~ 2.4V 또는 제3 평균 전압 예컨대 0.0V ~ 1.0V인 경우에 각각 눈 블랙 아이스 주의 안전운전 정보 예컨대 전방 1Km 내 눈 블랙 아이스 주의 안전운전 또는 눈 블랙 아이스 위험 안전운전 정보 예컨대 전방 1Km 내 눈 블랙 아이스 위헌 안전운전을 생성하여 유무선 통신모듈(106)과 유무선 통신 중계기(25)를 통해 도로교통 관제센터(10), 도로교통 상황판(30) 또는 도로교통 관리자 단말기(미도시)로 전송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116)은 온도 감지모듈(104)의 온도가 섭씨 예컨대 2℃ 초과이고 수광수단(112)의 감지정보가 제2 평균 전압 예컨대 1.1V ~ 2.4V 또는 제3 평균 전압 예컨대 0.0V ~ 1.0V인 경우에 빗물 블랙 아이스 주의 안전운전 정보 예컨대 전방 1Km 내 빗물 블랙 아이스 주의 안전운전 또는 빗물 블랙 아이스 위험 안전운전 정보 예컨대 전방 1Km 내 빗물블랙 아이스 위험 안전운전을 생성하여 유무선 통신모듈(106)과 유무선 통신 중계기(25)를 통해 도로교통 관제센터(10), 도로교통 상황판(30) 또는 도로교통 관리자 단말기(미도시)로 전송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 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 : 블랙 아이스 예측 시스템 5 : 블랙 아이스
10 : 도로교통 관제센터 20 : 유무선 통신망
25 : 유무선 통신 중계기 30 : 도로교통 상황판
100 : 블랙 아이스 예측 장치 102 : 블랙 아이스 예측 지지대
104 : 온도 감지모듈 106 : 유무선 통신모듈
107 : 감지모듈 108 : 받침부
109 : 감지부 110 : 발광수단
112 : 수광수단 114 : 발광 렌즈 수단
115 : 빗물/눈 116 : 제어모듈
117 : 수광 렌즈 수단

Claims (5)

  1. 눈이나 빗물이 쌓이는 받침부(108)와 상기 받침부(108)에 쌓이는 눈이나 빗물의 존재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109)가 구비되어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감지모듈(107)과, 상기 감지모듈(107)의 일측에 구비되어 감지모듈(107)에서 생성되는 감지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어모듈(116)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감지부(109)는,
    눈이나 빗물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신호를 상기 받침부(108)로 발산하는 하나 이상의 발광수단(110)과, 상기 발광수단(110)에서 발산된 감지신호가 상기 받침부(108)나 눈 또는 빗물에 의해 반사되어 수광되는 하나 이상의 수광수단(112)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정보를 송수신하는 유무선 통신모듈(106)을 포함하며,
    상기 수광수단(112)의 상기 감지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수광수단(112)으로 수광되는 상기 감지신호 수에 따른 제1 평균 전압 2.5V ~ 5.0V, 제2 평균 전압 1.1V ~ 2.4V 또는 제3 평균 전압 0.0V ~ 1.0V로 구분되고,
    상기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정보는 상기 제1 평균 전압 2.5V ~ 5.0V에 대응되는 블랙 아이스 안전운전 정보, 상기 제2 평균 전압 1.1V ~ 2.4V에 대응되는 블랙 아이스 주의 안전운전 정보 또는 상기 제3 평균 전압 0.0V ~ 1.0V에 대응되는 블랙 아이스 위험 안전운전 정보로 구분되며,
    상기 제어모듈(116)은
    상기 감지정보의 상기 제1 평균 전압 2.5V ~ 5.0V인 경우에는 상기 블랙 아이스 안전운전 정보, 상기 제2 평균 전압 1.1V ~ 2.4V인 경우에는 상기 블랙 아이스 주의 안전운전 정보 또는 상기 제3 평균 전압 0.0V ~ 1.0V인 경우에는 상기 블랙 아이스 위험 안전운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유무선 통신모듈(106)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08)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명재질은 투명 아크릴 또는 투명 유리이며,
    상기 감지부(109)는 상기 받침부(108)와 15도 ~ 25도의 각도(θ)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신호가 통과할 때 뒤편의 한점에 수렴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볼록 렌즈(114)(117)가 상기 하나 이상의 발광수단(110)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수광 수단(112)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 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도로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여 전송하는 온도 감지모듈(104)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116)은
    상기 온도 감지모듈(104)의 상기 온도가 섭씨 2℃ 이하이고 상기 수광수단(112)의 상기 감지정보가 상기 제2 평균 전압 1.1V ~ 2.4V 또는 상기 제3 평균 전압 0.0V ~ 1.0V인 경우에 블랙 아이스 주의 운전정보 또는 블랙 아이스 위험 안전운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유무선 통신모듈(106)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온도 감지모듈(104)의 상기 온도가 섭씨 2℃ 초과이고 상기 수광수단(112)의 상기 감지정보가 상기 제2 평균 전압 1.1V ~ 2.4V 또는 상기 제3 평균 전압 0.0V ~ 1.0V인 경우에 블랙 아이스 주의 안전운전 정보 또는 블랙 아이스 위험 안전운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유무선 통신모듈(106)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 시스템
KR1020220081990A 2022-07-04 2022-07-04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 시스템 KR102491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990A KR102491510B1 (ko) 2022-07-04 2022-07-04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990A KR102491510B1 (ko) 2022-07-04 2022-07-04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1510B1 true KR102491510B1 (ko) 2023-01-26

Family

ID=85110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1990A KR102491510B1 (ko) 2022-07-04 2022-07-04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151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3538A (ja) * 1996-08-30 1998-03-17 Nagoya Denki Kogyo Kk 路面状態検出方法及びその装置
JP2018119929A (ja) * 2017-01-27 2018-08-0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氷上の水の厚さの計測方法
JP2020106443A (ja) * 2018-12-28 2020-07-09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路面状態検知システム及び路面状態検知方法
KR102192420B1 (ko) 2020-04-16 2020-12-17 김원국 블랙아이스 위험지역 관리 시스템
KR102293844B1 (ko) 2019-12-13 2021-08-2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의 블랙아이스를 감지하는 스마트 경고 시스템 및 방법
KR102359365B1 (ko) * 2021-05-31 2022-02-08 (주)에스알디코리아 도로 기후조건 시각화 시스템
KR102371462B1 (ko) * 2020-12-01 2022-03-04 변영재 기상정보를 활용한 도로 결빙 방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3538A (ja) * 1996-08-30 1998-03-17 Nagoya Denki Kogyo Kk 路面状態検出方法及びその装置
JP2018119929A (ja) * 2017-01-27 2018-08-0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氷上の水の厚さの計測方法
JP2020106443A (ja) * 2018-12-28 2020-07-09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路面状態検知システム及び路面状態検知方法
KR102293844B1 (ko) 2019-12-13 2021-08-2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의 블랙아이스를 감지하는 스마트 경고 시스템 및 방법
KR102192420B1 (ko) 2020-04-16 2020-12-17 김원국 블랙아이스 위험지역 관리 시스템
KR102371462B1 (ko) * 2020-12-01 2022-03-04 변영재 기상정보를 활용한 도로 결빙 방지 시스템
KR102359365B1 (ko) * 2021-05-31 2022-02-08 (주)에스알디코리아 도로 기후조건 시각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30212B2 (ja) 路面状態予測システム、運転支援システム、路面状態予測方法及びデータ配信方法
KR102034027B1 (ko) 블랙아이스 제거기능을 갖는 도로용 자동 액상 제설제 살포 시스템 및 그 방법
US9214084B2 (en) Smart traffic sign system and method
KR102156907B1 (ko) 블랙 아이스 경보 알림 시스템
KR102037260B1 (ko) 능동형 속도관리시스템
KR100698585B1 (ko) 안개 방재 시스템
US20090256910A1 (en) Camera System to detect, monitor and report low visibility
KR101834275B1 (ko) 교통 안전정보 전파 시스템 및 방법
KR102182257B1 (ko) 곡선도로에서의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차량통행 안내시스템
KR102207577B1 (ko) 살얼음 관제 시스템, 살얼음 관제 시스템용 표지판
KR102319942B1 (ko) 스노우 멜팅 시스템
KR101862831B1 (ko) 도로 상황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 전조등 및 도로 상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
KR101101608B1 (ko) 차간거리안내 시스템
KR102217434B1 (ko) 사물인터넷기반 교통안전시설 운영관리시스템
KR102491510B1 (ko) 블랙 아이스 예측 감지 시스템
FR2793362A1 (fr) Systeme de communication entre deux vehicules motorises independamment l'un de l'autre
KR102261164B1 (ko) 도로결빙 판정 알고리즘을 이용한 ai 전광판 시스템
US20210110712A1 (en) Device for detecting road surface water
KR102449149B1 (ko) 블랙 아이스 검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102329413B1 (ko) 노면의 휘도를 판별하여 블랙아이스 구간을 판별하는 방법
KR102381047B1 (ko) 터널 교통사고 방지 시스템
CN107356532A (zh) 一种路面监测仪
KR20220129243A (ko) 제설 장치 자동 제어 시스템
KR20220048613A (ko) 스마트 도로조명시스템
KR102467518B1 (ko) 블랙 아이스 발생 예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