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0596B1 - 콘크리트 제품 첨가용 액상 광촉매 조성물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제품 첨가용 액상 광촉매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0596B1
KR102490596B1 KR1020200177208A KR20200177208A KR102490596B1 KR 102490596 B1 KR102490596 B1 KR 102490596B1 KR 1020200177208 A KR1020200177208 A KR 1020200177208A KR 20200177208 A KR20200177208 A KR 20200177208A KR 102490596 B1 KR102490596 B1 KR 102490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raw material
photocatalyst composition
titanium dioxid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6947A (ko
Inventor
박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데코페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데코페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데코페이브
Priority to KR1020200177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0596B1/ko
Publication of KR20220086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5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9Photocatalytic properties
    • B01J35/0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01J21/06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01J21/063Tita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009Use of binding agents; Moulding; Pressing; Powdering; Granulating; Addition of materials ameliorat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roduct catalyst
    • B01J37/0018Addition of a binding agent or of material, later completely removed among others as result of heat treatment, leaching or washing,(e.g. forming of pores; protective layer, desintegrating by hea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6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artificial stone
    • C04B41/61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65Coating or impregnation with inorgan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2Emulsion paints including aerosols
    • C09D5/024Emulsion paints including aerosol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80Type of catalytic reaction
    • B01D2255/802Photocataly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산화티탄과 플라이애쉬를 포함하는 분말과 물, 안정화제, 분산제 및 보존제를 포함하는 액상 원료를 포함하고, 상기 분말과 액상 원료의 함량비가 40 : 60 내지 60 :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액상 원료는 상기 액상 원료 100 wt% 기준으로, 물 70 내지 80 wt%, 안정화제 15 내지 30 wt%, 분산제 1 내지 3 wt% 및 보존제 0.2 내지 0.6 w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광촉매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제품 첨가용 액상 광촉매 조성물{LIQUID PHOTOCATALYTIC COMPOSITION FOR ADDING TO CONCRETE PRODUCTS}
본 발명은 콘크리트 제품 첨가용 액상 광촉매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산화티탄의 분산성이 우수하여 질소산화물(NOx) 제거 성능이 우수한 콘크리트 제품 첨가용 액상 광촉매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의 발전에 따라 자동차와 공장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그 자동차나 공장에서 석탄이나 석유를 원료로하여 연소시키면서 발생하는 각종 오염물질이 대기를 오염시키고 있고, 그 오염물질 중 지름이 10 마이크리미터보다 작은 미세먼지의 증가로 인체의 호흡기를 거쳐 폐에 바로 침투되거나 혈관을 따라 체내에 이동함으로써 각종 질환을 유발하는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석유나 석탄을 원료로 하여 연소하는 과정에서 공기 중의 질소가 고온에서 산화되면서 발생하는 질소산화물(NOx)은 폐기종을 유발함은 물론 산성비의 원인이 되고, 오존층을 파괴하는 등 심각한 대기오염물질의 주범이다.
이러한 질소산화물은 광촉매에 의해 산화분해하여 제거함으로써 대기를 정화시킬 수 있는데, 광촉매(Photocatalyst)란, 빛(Photo)과 촉매(Catalyst)의 합성어로서, 빛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여 광화학적 촉매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말하며, 그러한 광화학반응으로 질소산화물을 공기 중의 물과 산소를 이용하여 산화분해하여 제거할 수 있으며, 그 대표적인 물질의 예로 이산화티탄(TiO2)을 들 수 있다.
이산화티탄에 의한 광촉매 반응은 광에너지가 공기 중의 수분과 산소와 광화학반응하여 이산화티탄의 주변에 활성산소를 만들어 내고, 그 활성산소가 질소산화물(NOx)의 NO 및 SO 가스와 결합하여 분해함으로써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이산화티탄에 의한 광촉매 반응을 보도블록에 적용하여 대기를 정화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안한 기술들이 적용되고 있으며, 이산화티탄 용액을 이용하여 보도블록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여 코팅하거나, 폐슬러지로부터 회수된 이산화티탄을 표면층의 골재로 적용하는 기술 등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보도블록에 이산화티탄을 적용하는 기술은 이산화티탄을 분말 형태로 사용하기 때문에 보도블록 표면에 피막 형성시 이산화티탄이 고르게 분산되지 않은 상태가 되어, 질소산화물(NOx) 제거 성능이 낮은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산화티탄의 분산성을 향상시킨 제품이 개발되었으나, 고가이며 여전히 질소산화물(NOx) 제거 성능이 낮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고 이산화티탄의 분산성이 우수하여 질소산화물(NOx) 제거 성능이 우수한 액상 광촉매 조성물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35128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 이산화티탄의 분산성이 우수하여 질소산화물(NOx) 제거 성능이 우수한 콘크리트 제품 첨가용 액상 광촉매 조성물을 제공함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에 더하여, 현탁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장기간 보관하더라도 질소산화물(NOx) 제거 성능 저하가 없는 콘크리트 제품 첨가용 액상 광촉매 조성물을 제공함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이산화티탄과 플라이애쉬를 포함하는 분말과 물, 안정화제, 분산제 및 보존제를 포함하는 액상 원료를 포함하고, 상기 분말과 액상 원료의 함량비가 중량비로 40 : 60 내지 60 :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액상 원료는 상기 액상 원료 100 wt% 기준으로, 물 70 내지 80 wt%, 안정화제 15 내지 28 wt%, 분산제 1 내지 3.3 wt% 및 보존제 0.2 내지 0.6 w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광촉매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안정화제는 질산, 염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산제는 분산제 전체 100 wt%에 대하여,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테트라소듐(Tetrasodium Ethylenediaminetetraacetate) 25 내지 50 wt% 및 수산화나트륨 (Sodium Hydroxide) 2.5 wt% 이하를 포함하는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존제는 (에틸렌디옥시)디메탄올 ((Ethylendioxy)dimethanol) 및 상기 (에틸렌디옥시)디메탄올 ((Ethylendioxy)dimethanol)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옥틸이소티아졸리논 (2-octyl-2H-isothiazol-3-one) 1.0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라이애쉬는 상기 이산화티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중량부 내지 18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말과 액상 원료의 함량비가 중량비로 50 : 5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으로는 상기 액상 광촉매 조성물을 포함한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콘크리트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액상 광촉매 조성물은 내부에 원재료인 이산화티탄이 높은 수준으로 분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높은 분산성을 갖는 이산화티탄을 포함하는 액상 광촉매 조성물은 공기 정화 성능이 종래에 비해 보다 우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액상 광촉매 조성물은 안정화제, 분산제 및 보존제의 함량을 제어함으로써, 액상 광촉매 조성물의 현탁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장기간 보관하더라도 성능 저하가 없는 액상 광촉매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액상 광촉매 조성물을 포함한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콘크리트 제품은 우수한 공기정화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떠한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액상 광촉매 조성물은 이산화티탄과 플라이애쉬를 포함하는 분말과 물, 안정화제, 분산제 및 보존제를 포함하는 액상 원료를 포함하고, 상기 분말과 액상 원료의 함량비가 중량비로 40 : 60 내지 60 :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액상 원료는 상기 액상 원료 100 wt% 기준으로, 물 70 내지 80 wt%, 안정화제 15 내지 28 wt%, 분산제 1 내지 3.3 wt% 및 보존제 0.2 내지 0.6 w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액상 광촉매 조성물은 이산화티탄과 플라이애쉬를 포함하는 분말과 물, 안정화제, 분산제 및 보존제를 포함하는 액상 원료를 포함한다.
즉, 상기 액상 광촉매 조성물은 분말 형태의 이산화티탄과 플라이애쉬를 포함하며, 액상 원료로서 물, 안정화제, 분산제 및 보존제를 포함하며, 상기 분말과 액상 원료가 혼합되어 현탁 상태를 가진 현탁액이다.
일반적으로, 이산화티탄 용액을 이용하여 보도블록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여 코팅하는 경우 코팅 전에 이산화티탄 분말과 물 등을 혼합하여 코팅하는 방법을 사용하며, 이 경우, 이산화티탄 분말의 분산성이 낮아 보도블록 표면에 고르게 분포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로 인하여, 종래 보도블록 표면의 광촉매 층에서는 이산화티탄이 고르게 분산되어 분포하지 않아 광촉매 효율 즉, 공기정화 성능이 낮은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산화티탄과 플라이애쉬를 포함하는 분말과 물, 안정화제, 분산제 및 보존제를 포함하는 액상 원료를 혼합하며, 각 성분의 함량비를 제어함으로써, 이산화티탄의 분산성이 우수한 액상 광촉매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액상 광촉매 조성물을 보도 블록 등에 적용할 경우 종래에 비하여 우수한 광촉매 효율 즉, 우수한 공기정화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액상 광촉매 조성물은 안정화제, 분산제 및 보존제의 함량을 제어함으로써, 액상 광촉매 조성물의 현탁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장기간 보관하더라도 성능 저하가 없는 액상 광촉매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액상 광촉매 조성물은 상기 분말과 액상 원료의 함량비가 중량비로 40 : 60 내지 60 :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말과 액상 원료의 함량비가 중량비로 50 : 5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말과 액상 원료의 함량비가 중량비로 40 : 60 내지 60 : 40인 것, 특히 50 :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이산화티탄의 함량이 높고 현탁액 내에서 우수한 분산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질소산화물(NOx) 제거 성능이 우수하다.
상기 이산화티탄과 플라이애쉬를 포함하는 분말의 함량이 전체 액상 광촉매 조성물 대비 40 wt% 미만의 경우에는 이산화티탄의 함량이 낮아 공기정화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이산화티탄과 플라이애쉬를 포함하는 분말의 함량이 전체 액상 광촉매 조성물 대비 60 wt% 초과의 경우에는 이산화티탄과 플라이애쉬의 함량이 높아 분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액상 광촉매 조성물이 포함하는 이산화티탄(TiO2)은 아나타제(anatase)의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내마모성과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고 안전하며 무독성 물질로서, 사용 후 폐기 시에도 3차 공해에 대한 염려가 없는 친환경 소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액상 광촉매 조성물이 포함하는 상기 플라이애쉬는 강도 향상을 위해 사용되며, 콘크리트 혼화재로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이산화티탄(TiO2)과 함께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액상 광촉매 조성물은 보도 블록에 적용시 장기적으로 매우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고, TiO2의 분산이 고르게 되어 광촉매 반응 효율이 높은 고강도 보도 블록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플라이애쉬는 상기 이산화티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중량부 내지 18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라이애쉬가 상기 이산화티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중량부 내지 18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액상 광촉매 조성물은 보도 블록에 적용시 장기적으로 매우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플라이애쉬가 상기 이산화티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높은 강도를 갖는 보도 블록을 얻기 어려우며, 18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상대적으로 이산화티탄의 함량이 낮아져서 광촉매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액상 원료는 상기 액상 원료 100 wt% 기준으로, 물 70 내지 80 wt%, 안정화제 15 내지 28 wt%, 분산제 1 내지 3.3 wt% 및 보존제 0.2 내지 0.6 w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액상 원료 100 wt% 기준으로, 물 70 내지 80 wt%, 안정화제 15 내지 28 wt%, 분산제 1 내지 3.3 wt% 및 보존제 0.2 내지 0.6 wt%를 포함함으로써, 이산화티탄의 분산성이 우수하고, 액상 광촉매 조성물의 안정성이 높아 장기간 보관에도 우수한 질소산화물(NOx) 제거 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안정화제는 상기 액상 원료 100 wt% 기준으로, 15 내지 28 wt%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안정화제는 질산, 염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안정화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안정화제는 상기 액상 원료 100 wt% 기준으로, 15 내지 28 wt%의 함량으로 포함됨으로써, 액상 광촉매 조성물의 현탁 유지성이 우수할 수 있으며, 장기간 보관시에도 안정적인 현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액상 광촉매 조성물은 이산화티탄의 분산성이 우수하여 광촉매 효율이 종래에 비하여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안정화제가 상기 액상 원료 100 wt% 기준으로, 15 wt% 미만의 경우에는 분말 성분의 침전이 과하여 현탁 상태 유지가 어려우며, 퍼짐성도 나빠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안정화제가 상기 액상 원료 100 wt% 기준으로, 28 wt% 초과의 경우에는 안정화제 함량이 과한 대신 다른 성분들의 함량이 부족하게 되어, 이산화티탄의 분산성 및 광촉매 조성물의 현탁 상태가 나빠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상기 액상 원료 100 wt% 기준으로, 1 내지 3.3 wt% 함량으로 포함된다.
상기 분산제는 분산제 전체 100 wt%에 대하여,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테트라소듐(Tetrasodium Ethylenediaminetetraacetate) 25 내지 50 wt% 및 수산화나트륨 (Sodium Hydroxide) 2.5 wt% 이하를 포함하는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산제는 상기 액상 원료 100 wt% 기준으로, 1 내지 3.3 wt%의 함량으로 포함됨으로써, 액상 광촉매 조성물 내 이산화티탄의 분산 효과가 우수할 수 있으며, 장기 보관의 경우에도 우수한 현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액상 광촉매 조성물은 광촉매 효율이 종래에 비하여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분산제가 상기 액상 원료 100 wt% 기준으로, 1 wt% 미만의 경우에는 분말 성분인 이산화티탄의 분산성이 저하되며, 퍼짐성도 나빠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분산제가 상기 액상 원료 100 wt% 기준으로, 3.3 wt% 초과의 경우에는 분산성은 우수하나 분산제 이외 성분의 함량이 부족하게 되어, 광촉매 조성물의 현탁 상태가 오히려 나빠지거나 이산화티탄의 분산성이 저하될 수도 있다.
상기 보존제는 상기 액상 원료 100 wt% 기준으로, 0.2 내지 0.6 wt% 함량으로 포함된다.
상기 보존제는 (에틸렌디옥시)디메탄올 ((Ethylendioxy)dimethanol) 및 상기 (에틸렌디옥시)디메탄올 ((Ethylendioxy)dimethanol)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옥틸이소티아졸리논 (2-octyl-2H-isothiazol-3-one) 1.0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존제는 상기 액상 원료 100 wt% 기준으로, 0.2 내지 0.6 wt%의 함량으로 포함됨으로써, 액상 광촉매 조성물을 장기간 보관하더라도 우수한 현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보존제가 상기 액상 원료 100 wt% 기준으로, 0.2 wt% 미만의 경우에는 기간 경과에 따른 퍼짐성이 나빠져서 장기 보관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 보존제가 상기 액상 원료 100 wt% 기준으로, 0.6 wt% 초과의 경우에는 분산성 및 현탁 상태 유지 성능에 변화가 없는 반면, 타 성분 함량이 줄어들 수 있어 오히려 분산성 저하 및 현탁 상태 불량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으로는 상기 액상 광촉매 조성물을 포함한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콘크리트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상 광촉매 조성물을 포함한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콘크리트 제품은 우수한 공기정화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콘크리트 제품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액상 광촉매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콘크리트 제품 제조시 사용되는 원료와 함께 상기 액상 광촉매 조성물을 일정 비율 혼합하여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콘크리트 제품을 제조함으로써 상기 콘크리트 제품이 액상 광촉매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제품은 보차도 블록, 경계석 또는 콘크리트 관 등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콘크리트를 원자재로 제작될 수 있는 다양한 제품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떠한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액상 광촉매 조성물의 분산 성능 및 장기 보관시 현탁 상태를 테스트하기 위하여 각 성분의 함량을 변화시키면서 실시예 및 비교예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분말 형태인 이산화티탄과 플라이애쉬 함량은 동일하게 제작하였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 모두 이산화티탄과 플라이애쉬를 포함하는 분말과 액상 원료의 함량비는 50:50으로 고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즉, 이산화티탄 7 kg 및 플라이애쉬 8 kg을 혼합하여 분말 15 kg을 제조하였으며, 액상 원료는 합계 중량 15 kg으로 제작하여, 액상 광촉매 조성물 30kg을 제조하였으며, 분말과 액상 원료의 함량비를 50:50으로 고정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는 액상 원료인 물, 안정화제, 분산제 및 보존제를 함량별로 차이가 나도록 제작하였으며, 하기 [표 1]에서와 같이 액상 원료 100 wt%에 대하여 각 원료의 함량을 조절하여 제작하였다.
액상 원료 100 wt% 기준
물(wt%) 안정화제(wt%) 분산제(wt%) 보존제(wt%)
비교예1 84.3 13.3 2.0 0.4
실시예1 70.9 26.7 2.0 0.4
비교예2 78.9 20.0 0.7 0.4
실시예2 76.3 20.0 3.3 0.4
비교예3 77.9 20.0 2.0 0.1
비교예4 77.2 20.0 2.0 0.8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침전 확인 테스트와 퍼짐성 테스트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표 3]과 같다.
침전 확인 테스트는 실시예 및 비교예 시료를 비이커에 담고 교반 후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분말 입자들이 현탁액 내에서 이동하는 거리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퍼짐성 테스트는 실시예 및 비교예 시료 각각에 대하여 기판 상에 각 시료 20 방울을 떨어뜨린 후 방울의 퍼진 길이를 측정하고, 20회 진동 후 방울의 퍼진 길이를 측정함으로써, 각 방울의 최초 퍼진 길이와 20회 진동 후 퍼진 길이의 차이 비율을 측정함으로써 수행되었다. 또한, 1일 방치 후 상기 과정을 재수행함으로써,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침전 정도 (길이, mm) 비고
비교예1 12.25
실시예1 1.0 현탁 상태 유지
비교예2 15.32
실시예2 3.25 약간 침전
비교예3 8.95
비교예4 7.83
1회 2회(1일 방치후)
길이(초기) 길이(20회진동) 비율(%) 길이(초기) 길이(20회진동) 비율(%)
비교예1 20.73mm 21.41mm 8.1 20.15mm 22.35mm 10.9
실시예1 17.73mm 20.64mm 16.4 19.42mm 21.94mm 13.0
비교예2 19.00mm 20.53mm 8.0 19.25mm 20.41mm 6.0
실시예2 18.41mm 20.89mm 13.5 20.81mm 22.88mm 10.0
비교예3 18.71mm 20.59mm 10.0 19.81mm 21.25mm 7.3
비교예4 20.78mm 21.76mm 4.7 20.10mm 21.62mm 7.6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액상 광촉매 조성물의 각 성분 조성 비율에 따라 제작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경우 본 발명의 성분의 함량 비율을 벗어나는 비교예 1 내지 4에 비하여 분말 입자의 침전이 거의 없어 현탁 상태가 매우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액상 광촉매 조성물의 각 성분 조성 비율에 따라 제작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경우 본 발명의 성분의 함량 비율을 벗어나는 비교예 1 내지 4에 비하여 퍼짐성 역시 우수하며, 시간 경과 이후에도 효과가 유지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액상 광촉매 조성물은 이산화티탄이 우수한 정도로 분산되어 있어, 공기 정화 성능이 종래에 비해 보다 우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액상 광촉매 조성물은 안정화제, 분산제 및 보존제의 함량을 제어함으로써, 액상 광촉매 조성물의 현탁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장기간 보관하더라도 성능 저하가 없는 액상 광촉매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액상 광촉매 조성물을 포함한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콘크리트 제품은 우수한 공기정화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7)

  1. 이산화티탄과 플라이애쉬를 포함하는 분말과 물, 안정화제, 분산제 및 보존제를 포함하는 액상 원료를 포함하고, 상기 분말과 액상 원료의 함량비가 중량비로 40 : 60 내지 60 :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액상 원료는 상기 액상 원료 100 wt% 기준으로, 물 70 내지 80 wt%, 안정화제 15 내지 28 wt%, 분산제 1 내지 3.3 wt% 및 보존제 0.2 내지 0.6 wt%를 포함하고,
    상기 보존제는 (에틸렌디옥시)디메탄올 ((Ethylendioxy)dimethanol) 및 상기 (에틸렌디옥시)디메탄올 ((Ethylendioxy)dimethanol)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옥틸이소티아졸리논 (2-octyl-2H-isothiazol-3-one) 1.0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인 것을 특징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광촉매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는 질산, 염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광촉매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는 분산제 전체 100 wt%에 대하여,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테트라소듐(Tetrasodium Ethylenediaminetetraacetate) 25 내지 50 wt% 및 수산화나트륨 (Sodium Hydroxide) 2.5 wt% 이하를 포함하는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광촉매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애쉬는 상기 이산화티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중량부 내지 18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광촉매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과 액상 원료의 함량비가 중량비로 50 :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광촉매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액상 광촉매 조성물을 포함한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콘크리트 제품.
KR1020200177208A 2020-12-17 2020-12-17 콘크리트 제품 첨가용 액상 광촉매 조성물 KR102490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208A KR102490596B1 (ko) 2020-12-17 2020-12-17 콘크리트 제품 첨가용 액상 광촉매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208A KR102490596B1 (ko) 2020-12-17 2020-12-17 콘크리트 제품 첨가용 액상 광촉매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947A KR20220086947A (ko) 2022-06-24
KR102490596B1 true KR102490596B1 (ko) 2023-01-19

Family

ID=82216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208A KR102490596B1 (ko) 2020-12-17 2020-12-17 콘크리트 제품 첨가용 액상 광촉매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059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886B1 (ko) 2018-11-07 2019-03-21 주식회사 데코페이브 미세먼지 저감 및 대기정화 기능의 고강도 보차도 블록 제조방법
CN111659367A (zh) 2020-06-16 2020-09-15 福建龙净环保股份有限公司 纳米级锐钛矿型二氧化钛分散液、scr脱硝催化剂悬浮液及其制备方法和催化陶瓷滤筒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37647A (ja) * 2000-12-21 2004-12-16 エドワード・マッコマス ニッケル、ホウ素および粒子を含有する塗料
KR101069316B1 (ko) * 2008-04-18 2011-10-05 (주) 유니티엔씨 오염방지를 위한 기능성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코팅방법
KR100935128B1 (ko) 2008-06-17 2010-01-06 대명콘텍 주식회사 발수성과 대기정화성능을 가지는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가 피복된 이산화티탄을 포함하는 광촉매 도료 조성물
BR112018074709B1 (pt) * 2016-05-30 2022-01-18 Symrise Ag Medicamento compreendendo esclareolido, método não terapêutico para tratamento da hiperpigmentação induzida por luz visível na faixa de 400 nm a 700 nm, e uso cosmético não terapêutico de esclareolido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886B1 (ko) 2018-11-07 2019-03-21 주식회사 데코페이브 미세먼지 저감 및 대기정화 기능의 고강도 보차도 블록 제조방법
CN111659367A (zh) 2020-06-16 2020-09-15 福建龙净环保股份有限公司 纳米级锐钛矿型二氧化钛分散液、scr脱硝催化剂悬浮液及其制备方法和催化陶瓷滤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947A (ko) 202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11282A2 (en) Mercury adsorbents compatible as cement additives
CN107500581B (zh) 胶凝材料及其制造方法
CN105214706A (zh) 一种用于废气处理的催化陶瓷烧结环及制备方法
EP2324917B1 (en) Photocatalytic ceramic glaze composition
CN107126949B (zh) 一种抗砷中毒的scr脱硝催化剂及其制备方法
KR102490596B1 (ko) 콘크리트 제품 첨가용 액상 광촉매 조성물
JPH08195B2 (ja) 燃焼排気ガスの窒素酸化物含有量を減少させる触媒
JP6012962B2 (ja) チタン含有粒状粉末及びそれを用いた排ガス処理触媒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5090787B2 (ja) 酸化チタン複合粒子水分散液及びその製造方法
JP3563923B2 (ja) 脱硫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3715669B2 (ja) 紫外線照射下で大気の浄化に用いられる無機質硬化体
JP2005342710A (ja) 耐熱性脱硝触媒
US20040144250A1 (en) Sorption agent and method for removing heavy metals from a gas containing heavy metals
KR101187758B1 (ko) 반수석고를 이용한 배연탈질 선택적 환원촉매 제조방법
JP4873211B2 (ja) 窒素酸化物の選択的触媒還元のための触媒及びその製造方法。
PL170298B1 (pl) Sposób oczyszczania z tlenku azotu gazu zawierajacego tlenek azotu i dwutlenek siarki PL PL PL
JP2007098364A (ja) 吸着材
KR102105571B1 (ko)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패널
WO2023024390A1 (zh) 脱硫脱硝固体颗粒及其制备方法和用途
JPH11511687A (ja) 酸接触強化吸着剤粒子ならびにその製造および使用方法
JP2000219564A (ja) セメント組成物
DE2924585C2 (de) Feste Absorptionsmasse für die trockene Enthalogenierung von Gasström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KR102591972B1 (ko) 실리케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과 그를 응용한 제품 및 그의 제조방법
DE19901049B4 (de) Mittel zur Reinigung von Gasen und Abgasen und ihre Verwendung
CN111790368A (zh) 一种光触媒自洁材料的制备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