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9920B1 - 개선된 가수분해 안정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위한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조성물 - Google Patents

개선된 가수분해 안정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위한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9920B1
KR102489920B1 KR1020207023547A KR20207023547A KR102489920B1 KR 102489920 B1 KR102489920 B1 KR 102489920B1 KR 1020207023547 A KR1020207023547 A KR 1020207023547A KR 20207023547 A KR20207023547 A KR 20207023547A KR 102489920 B1 KR102489920 B1 KR 102489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polyol
glycidyl ester
polyol resin
composition
poly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3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8345A (ko
Inventor
데니스 헤이먼스
프랑수아즈 데코크
Original Assignee
헥시온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헥시온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헥시온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08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8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9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with 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6Compounds of groups C08G18/42, C08G18/48, or C08G18/52
    • C08G18/6603Compounds of groups C08G18/42, C08G18/48, or C08G18/5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 or polyamines of C08G18/38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08G18/3271Hydroxy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05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 C08G18/4208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containing aromatic groups
    • C08G18/4211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containing aromatic groups derived from aromatic dicarboxylic acids and di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1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 C08G18/762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being toluene diisocyanate including isomer mix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5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C08G18/766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 C08G18/767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containing only one alkylene bispheny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 C08K5/1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having one oxygen atom in the ring
    • C08K5/1515Three-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08L75/06Polyurethanes from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08Foam properties flexib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등하거나 개선된 물리적 특성을 가지며 우수한 내가수분해성, 개선된 댐핑, 및 높은 흡음 능력을 갖는 폴리우레탄 발포체 포뮬레이션에서 안정화제로서 사용되는 글리시딜 에스테르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노카르복실산 또는 폴리카르복실산 글리시딜 에스테르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에 대해 0.1 중량%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Description

개선된 가수분해 안정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위한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조성물
본 발명은, 동등하거나 개선된 물리적 특성을 가지며 우수한 내가수분해성 및 개선된 댐핑(damping)을 갖는 유연성 폴리우레탄 발포체(foam) 포뮬레이션(formulation)에서 안정화제로서 사용되는 글리시딜 에스테르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하기의 혼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촉매 및 발포제 그리고 선택적으로 사슬 연장제, 보조제, 및 첨가제의 존재 하에서, (a) 유기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것의 유도체와 폴리올 혼합물의 중축합에 의해 생성되는 액체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 및 (b)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에 대해 0.1 중량% 내지 10 중량%의 양의 모노카르복실산 또는 폴리카르복실산의 글리시딜 에스테르.
본 발명의 상기 공정에 채용되는 선택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 및 상기 글리시딜 에스테르 혼합물은 상기 성분들의 개선된 상용성 및 저장 안정성을 나타낸다.
폴리우레탄 유연성 발포체의 제조는 본질적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적절한 문헌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R. Vieweg, A. Hoechtlen, Carl Hanser Publishers의 Plastics Handbook Volume VII "Polyurethanes", Munich, 1966은 이러한 예이다.
촉매, 발포제, 보조제, 및 첨가제에 추가하여,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가 상기 폴리우레탄 유연성 발포체의 제조에 사용된다. 독성 및 반응성을 고려하여,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미정제(crude)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이 채용될 수 있다.
폴리하이드록실 화합물로서 폴리에테르 폴리올, 특히 에틸렌 및/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를 기반으로 하는 폴리에테르 폴리올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폴리올로부터 생성되는 상기 폴리우레탄 유연성 발포체의 하나의 단점은, 전반적인 물리적 특성들이 모든 적용 분야의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한다는 것이다.
특정 요건들이 특정 적용 분야를 위한 폴리우레탄 유연성 발포체의 물리적 특성 수준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폴리우레탄 유연성 발포체의 제조에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함께 사용하거나 상기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대안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수득되는 발포체는 낮은 내가수분해성을 갖는다.
상기 단점들을 감소시키기 위해, 유럽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0004617호는 폴리우레탄 유연성 발포체의 제조를 위한 특정 출발 성분들의 선택,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 55 중량% 내지 85 중량%의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성질체를 함유하는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메틸렌 폴리페닐렌-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 폴리하이드록실 화합물로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또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함량이 60 중량% 이상인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혼합물, 및, 발포제로서, 물 또는 물과 저비점(low boiling), 선택적으로 할로겐 함유 탄화수소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우레탄 그룹의 용도를 제안한다.
상기 방식으로, 높은 하중 지지(bearing) 및 에너지 흡수 능력 그리고 상당한 내가수분해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유연성 발포체가 수득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공정이 채용되더라도, 상기 폴리에스테르-폴리에테르 폴리올 혼합물을 가공하는 데 특정 어려움들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것은 상기 기재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및 폴리에테르 폴리올을 상(phase) 분리를 회피하기 위해 정확하게 혼합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미국 특허 공보 제4,374,935호 및 제5,552,449호는 상기 상 분리의 측면을 해결하는 폴리올-에스테르 및 폴리올-에테르의 블렌드를 청구하고 있다.
지난 몇 년 동안 향상된 물리적 특성들을 유도하는 혁신과 개선으로 인해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사용은 크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향상된 물리적 특성들은 난연 특징 및 고열에 적용될 경우 드립(drip)이 발생하지 않는 발포체의 생성을 포함한다.
보다 최근에 미국 특허 공보 제8,637,584호는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및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의 촉매로서 지방족 아민의 사용이 개선된 내가수분해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공하고, 상기 지방족 아민의 경제성은 제한 요소일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시판되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의 다른 단점은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체 구조에 혼입되는 것에 의해 개선되지 않는 낮은 내가수분해성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내가수분해성, 개선된 기계적 특성들 및 특히 높은 압축 강도 및 양호한 댐핑 거동(damping)을 갖는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생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바람직한 특징들을 모두 갖는 발포체를 제공한다.
상기 보고된 문제점을 조사한 후, 본 발명자들은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에 대해 0.1 중량% 내지 10 중량%의 양의 모노카르복실산 또는 폴리카르복실산의 글리시딜 에스테르의 사용이 개선된 내가수분해성을 제공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우수한 내가수분해성, 개선된 기계적 특성들 및 특히 높은 압축 강도 및 양호한 댐핑 거동을 갖는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공한다.
보다 특히 본 발명은, 디카르복실산 또는 무수물이 과량의 디올과 반응할 경우 생성되는 것들을 포함하여,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이 사용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제한적인 예들은 에틸렌 글리콜 또는 부탄디올과 반응하는 아디프산 또는 프탈산 또는 프탈산 무수물을 포함한다. 그러나, 가장 통상적인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및 이들의 유도체들로부터 제조된다. 폴리올 개시제,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부탄디올, 다양한 분자량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펜탄트리올 등을 이용한 상기 산의 에스테르화는 상이한 물리적 특성들, 분자량 및 분자 구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들을 생성할 수 있으나, 모두 그것의 열악한 가수분해 안정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유용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락톤을 과량의 디올과 반응 시키는 것, 예를 들어, 카프로락톤을 프로필렌 글리콜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수지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에 대해 0.1 중량% 내지 10 중량%의 양의 모노카르복실산 또는 폴리카르복실산의 글리시딜 에스테르와 조합된다. 상기 글리시딜 에스테르는, 대부분 9 개 내지 15 개의 탄소 원자들을 함유하는, 지방족 3차 포화산 또는 α,α-분지형 알칸산의 모노 카르복실산 글리시딜 에스테르, 예컨대, Cardura 9 또는 Cardura 10(Hexion 사로부터 이용가능함)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글리시딜 에스테르는 18 개 내지 36 개의 탄소 원자들을 갖는 지방족 폴리산 또는 5 개 내지 15 개의 탄소 원자들을 갖는 지환족 폴리산의 폴리 카르복실산 글리시딜 에스테르, 예컨대, 예를 들어, Epikote 760 또는 Heloxy 71(Hexion 사로부터 이용가능함)이다.
상기 글리시딜 에스테르 및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의 혼합은 120℃ 초과의 온도에서 상기 폴리올 수지의 상기 제조의 말단에서 수행되어 그 형성된 혼합물의 산가(acid value)를 2 mg KOH/g 미만, 바람직하게 1 mg KOH/g 미만으로 감소시킬 수 있거나, 또는 상기 글리시딜 에스테르 및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의 혼합은 120℃ 미만의 온도에서,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체 조성물의 부분 A의 제조 동안 이들을 블렌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포뮬레이션의 상기 부분 A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 및 상기 글리시딜 에스테르, 발포제, 예컨대, 물, 상기 폴리올-이소시아네이트 축합을 위한 촉매, 예컨대, 주석 유도체, 아민 및 첨가제를 포함한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글리시딜 에스테르의 범위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의 0.1 중량% 내지 10 중량%이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 전체에 대해 바람직한 범위는 0.2 중량% 내지 8 중량%이고, 가장 바람직한 범위는 0.3 중량% 내지 5 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한 범위는 0.5 중량% 내지 1 중량%이다.
[실시예]
원료
Stepanol PS 3152: Stepan 사의 디에틸렌 글리콜-프탈산 무수물계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Cardura 10: Hexion 사
Epikote 758: Hexion 사
DMEA: N, N-디메틸에탄올아민(Sigma 사)
반응 조건
산/산 스캐빈저(scavenger) 비율 1:1.5
반응 온도: 160℃
반응 시간: 3 시간
과정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상기 산 스캐빈저를 혼합하였다.
상기 반응 온도에서 상기 혼합물을 가열하였다.
상기 산 함량을 따른다.
결과
Figure 112020085647499-pct00001
상기 부분 A(폴리올+물+DMEA)의 저장 안정성
우수한 내가수분해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발포체 포뮬레이션에서 안정화제로서 사용되는 글리시딜 에스테르의 상기 조성물은 하기에 나타낸다,
제조 및 저장 조건
부분 A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하기를 혼합시킴으로써 제조되었다:
물 = 2.78%
DMEAt = 3.06%
반응 온도: 80℃ 및 100℃
반응 시간: 1 일
과정
부분 A를 상기 산 스캐빈저와 혼합하였다: Cardura 10 및 Epikote 758
상기 산 스캐빈저 비율은 0%, 0.5%, 1%, 2% 및 5%이다.
상기 혼합물을 80℃ 및 100℃에서 1 일 동안 상기 기재된 온도에서 오븐에 정치시켰다.
산가는 1 일 후에 측정하였다(초기 산가 2,8 mg KOH/g).
결과
Figure 112020085647499-pct00002
Figure 112020085647499-pct00003

Claims (11)

  1. 하기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발포체(foam)의 조성물: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하기를 포함하는 혼합물:
    (a) 유기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것의 무수물과 폴리올 혼합물의 중축합에 의해 생성되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 및
    (b)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에 대해 0.1 중량% 내지 10 중량%의 양의 폴리카르복실산 글리시딜 에스테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시딜 에스테르 (b)는 18 개 내지 36 개의 탄소 원자들을 갖는 지방족 폴리산 또는 5 개 내지 15 개의 탄소 원자들을 갖는 지환족 폴리산의 폴리 카르복실산 글리시딜 에스테르인 것인,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시딜 에스테르 (b)는 120℃ 초과의 온도에서 상기 중축합 반응의 말단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 (a)와 혼합되는 것인,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시딜 에스테르 (b)는 120℃ 미만의 온도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 (a)와 혼합되는 것인,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시딜 에스테르 (b)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에 대해 0.2 중량% 내지 8 중량%의 수준으로 존재하는 것인,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시딜 에스테르 (b)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에 대해 0.3 중량% 내지 5 중량%의 수준으로 존재하는 것인,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시딜 에스테르 (b)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에 대해 0.5 중량% 내지 1 중량%의 수준으로 존재하는 것인, 조성물.
  9.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a) 및 상기 폴리카르복실산 글리시딜 에스테르(b)를 포함하는 상기 혼합물이 2 mg KOH/g 미만의 산가(acid value)를 갖는 것인, 조성물.
  10.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이소시아네이트 축합을 위한 촉매 및 발포제를 추가 포함하는, 조성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사슬 연장제, 다른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 첨가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추가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207023547A 2018-01-19 2019-01-18 개선된 가수분해 안정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위한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조성물 KR1024899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075001 2018-01-19
EP18075001 2018-01-19
EP18075015 2018-11-27
EP18075015 2018-11-27
PCT/EP2019/000017 WO2019141507A1 (en) 2018-01-19 2019-01-18 Polyester-polyol compositions for polyurethane foam with improved hydrolytic stabil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345A KR20200108345A (ko) 2020-09-17
KR102489920B1 true KR102489920B1 (ko) 2023-01-18

Family

ID=65324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3547A KR102489920B1 (ko) 2018-01-19 2019-01-18 개선된 가수분해 안정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위한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21069B2 (ko)
EP (1) EP3740522A1 (ko)
KR (1) KR102489920B1 (ko)
CA (1) CA3088569C (ko)
MX (1) MX2020007599A (ko)
WO (1) WO201914150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16829A1 (en) * 2008-11-07 2010-05-13 Bayer Materialscience Ag Polyisocyanurate rigid foams and processes for their production and us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7542A (en) * 1975-12-15 1978-11-28 American Cyanamid Company Stabilization of polyester urethanes using organic epoxides
DE2815540A1 (de) 1978-04-11 1979-10-25 Basf Ag Polyurethan-weichschaumstoffe mit hoher trag- und stossabsorptionsfaehigkeit
DE3100524A1 (de) 1981-01-10 1982-08-12 Basf Ag, 6700 Ludwigshaf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lexiblen polyurethan-weichschaumstoffen sowie hierzu verwendbare polyester-polyol-polyether-polyol-mischungen
CA2066503A1 (en) 1991-04-22 1992-10-23 Joseph S. Sollers Polyurethane foam based on combination of polyester resin and polyether polyol
US8637584B2 (en) 2007-05-25 2014-01-28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Polyester polyol-containing polyurethane systems having improved hydrolytic stability
DE102009046157A1 (de) * 2009-10-29 2011-05-05 Henkel Ag & Co. Kgaa Vormisch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thermisch expandierbaren und härtbaren Epoxid-basierten Masse
BR112017003344A2 (pt) * 2014-08-20 2018-01-23 Resinate Mat Group Inc polióis poliéteres a partir de polímeros reciclados e correntes de resíduo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16829A1 (en) * 2008-11-07 2010-05-13 Bayer Materialscience Ag Polyisocyanurate rigid foams and processes for their production and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40522A1 (en) 2020-11-25
US20200339734A1 (en) 2020-10-29
WO2019141507A1 (en) 2019-07-25
CA3088569A1 (en) 2019-07-25
US11421069B2 (en) 2022-08-23
MX2020007599A (es) 2020-09-03
KR20200108345A (ko) 2020-09-17
CA3088569C (en) 202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9906B2 (en) Method for producing polyurethane rigid foams and polyisocyanurate rigid foams
US20040059011A1 (en) Aromatic polyester polyols
JP2009073959A (ja) ポリウレタン樹脂原料用ポリエーテルポリオール組成物およびポリウレタン樹脂の製造方法
JP5458753B2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用ポリエステルポリオール
AU2013269763A1 (en) Polyesterols for producing rigid polyurethane foams
KR102489920B1 (ko) 개선된 가수분해 안정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위한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조성물
WO2021092100A1 (en) Imide-containing polyester polyols and intumescent rigid foams
US7087657B2 (en) Stable polyol dispersions, polyurethane moldings produced therefrom, and their use
JP2022513670A (ja) 放出アルデヒドが低減化されたフォームの製造に適した反応混合物
JP5263645B2 (ja) 水発泡の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用組成物及び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US20220356294A1 (en) A process for manufacturing an upgraded bio-oil from black liquor
JP7323106B2 (ja) 改善された低温r値を有するポリオールブレンド及び硬質フォーム
WO2006070503A1 (ja) ポリエステルポリオール、それを用いたポリウレタン及び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JP4817111B2 (ja) ポリエステルポリオール、それを用いたイソシアヌレート変性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用組成物、及びイソシアヌレート変性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KR20110100382A (ko)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칩을 이용한 작용기가 증가된 폴리에스터폴리올의 제조방법
JP2007297478A (ja) ポリエステルポリオール、それを用いた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用組成物、及び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JP5360520B2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用組成物及び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JP4512491B2 (ja) ポリエステルポリオール、それを用いたポリウレタン及び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WO2004050735A1 (en) A process for improving the hydrolysis resistance of a urethane elastomer
JP3922767B2 (ja)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WO2023094575A1 (en) Bio-based polyester polyols, one-component bio-based polyester polyol polyurethane foam or foam adhesive composition and use of bio-based polyester polyol for manufacturing one component construction foam or foam adhesive
JP4647265B2 (ja) 撥水性ポリウレタン樹脂発泡体
JP2002529558A (ja) ポリエチレンナフタレートポリエステルポリオール及びそれから得られた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JPH0841179A (ja) ポリエステルポリオ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9001971A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製造用プレミックス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