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9434B1 - 와이어쏘 암반 절삭장치 및 절삭방법 - Google Patents

와이어쏘 암반 절삭장치 및 절삭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9434B1
KR102489434B1 KR1020220030093A KR20220030093A KR102489434B1 KR 102489434 B1 KR102489434 B1 KR 102489434B1 KR 1020220030093 A KR1020220030093 A KR 1020220030093A KR 20220030093 A KR20220030093 A KR 20220030093A KR 102489434 B1 KR102489434 B1 KR 102489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aw
cutting
rock
pulley
bedr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0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광은
김중희
문준배
이정석
신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경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경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경도
Priority to KR1020220030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9434B1/ko
Priority to PCT/KR2023/000589 priority patent/WO202317190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434B1/ko
Priority to EP23152534.6A priority patent/EP424191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 B28D1/08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saw-blades of endless cutter-type, e.g. chain saws, i.e. saw chains, strap saws
    • B28D1/088Sawing in situ, e.g. stones from rocks, grooves in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 B28D1/08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saw-blades of endless cutter-type, e.g. chain saws, i.e. saw chains, strap s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7/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not covered by one of the preceding groups B23D45/00 - B23D55/00
    • B23D57/0007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not covered by one of the preceding groups B23D45/00 - B23D55/00 using saw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7/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not covered by one of the preceding groups B23D45/00 - B23D55/00
    • B23D57/003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aw wir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57/0053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aw wir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drives for saw wires; of wheel mountings; of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7/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not covered by one of the preceding groups B23D45/00 - B23D55/00
    • B23D57/003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aw wir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57/0061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aw wir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devices for guiding or feeding saw w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유면을 가지는 암반을 절삭하기 위한 와이어쏘 암반 절삭장치로서,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동력부; 일측이 상기 암반의 자유면에 삽입되어 절단하려는 암반의 절단시작부에 접촉되고, 타측이 상기 동력부에 연결되어 구동이 제어되는 와이어쏘; 및 적어도 일부가 절단하려는 암반의 절단종결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절단시작부와 상기 절단종결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을 따라 형성되는 절단예정방향으로 상기 와이어쏘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할암 공정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와이어쏘 암반 절삭장치 및 절삭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ROCK CUTTING BY WIRE SAW}
본 발명은 와이어쏘 암반 절삭장치 및 절삭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할암 공정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와이어쏘 암반 절삭장치 및 절삭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 굴착은 화약 발파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이러한 화약 발파는 주변으로 소음과 진동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도심 지역에서 터널을 굴착하는 경우 화약 발파로 인한 소음과 진동으로 인해 민원이 발생하거나 주변 시설물의 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화약 발파 작업을 제대로 수행하기 어렵다.
종래에는 소음과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와이어쏘(Wire Saw)를 이용하여 암석을 절단하고 굴착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상세하게는 굴착하려는 대상면의 중심부를 사각형으로 구획하고, 구획된 영역의 둘레에 진입공을 천공한다. 인접하는 두 개의 진입공 사이마다 와이어쏘를 통과시켜 사각형의 4개의 변 각각을 절단하므로 자유면을 형성한다. 그후 할암 공정을 수행하여 암반을 파쇄한다.
그러나 와이어쏘의 두께가 얇아 형성되는 자유면의 두께도 얇아진다. 따라서, 자유면의 공간이 작기 때문에 할암 공정을 수행할 때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KR 10-1853303 B
본 발명은 할암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형성한 자유면의 공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와이어쏘 암반 절삭장치 및 절삭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할암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와이어쏘 암반 절삭장치 및 절삭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자유면을 가지는 암반을 절삭하기 위한 와이어쏘 암반 절삭장치로서,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동력부; 일측이 상기 암반의 자유면에 삽입되어 절단하려는 암반의 절단시작부에 접촉되고, 타측이 상기 동력부에 연결되어 구동이 제어되는 와이어쏘; 및 적어도 일부가 절단하려는 암반의 절단종결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절단시작부와 상기 절단종결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을 따라 형성되는 절단예정방향으로 상기 와이어쏘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암반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암반의 상부면에서 상기 몸체부와 상기 암반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다.
상기 절단시작부와 상기 절단종결부는 각각 상기 암반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절단종결부의 일단 상측에 배치되는 제1 가이드기; 및 상기 제1 가이드기와 상기 암반의 폭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절단종결부의 타단 상측에 배치되는 제2 가이드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이드기는, 상기 암반의 상부면에 안착 가능한 제1 안착부재; 상기 동력부와 상기 절단종결부의 일단 사이에서 상기 와이어쏘를 가이드하고, 상기 암반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기울어져 배치되는 제1 풀리; 상기 동력부와 상기 제1 풀리 사이에서 상기 와이어쏘를 가이드하도록 배치되는 제2 풀리; 및 상기 제1 안착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풀리와 상기 제2 풀리의 중심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가이드기는, 상기 암반의 상부면에 안착 가능한 제2 안착부재; 상기 제1 가이드기와 상기 절단종결부의 타단 사이에서 상기 와이어쏘를 가이드하고, 상기 암반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기울어져 배치되는 회전풀리; 및 상기 제2 안착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풀리의 중심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기는, 상기 동력부와 상기 회전풀리 사이에서 와이어쏘를 가이드하고, 상기 제1 지지부재에 중심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3 풀리; 및 상기 동력부와 상기 제3 풀리 사이에서 상기 와이어쏘를 가이드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지지부재에 중심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4 풀리;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가이드기 및 상기 제2 가이드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가이드기 및 상기 제2 가이드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지지되는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절단예정방향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동력부는, 상기 와이어쏘가 연결되는 메인풀리; 상기 메인풀리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동력기; 및 상기 암반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메인풀리를 이동시켜 상기 와이어쏘를 당기도록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위치조절기;를 포함한다.
상기 자유면은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절단시작부와 대향되는 위치의 자유면에 삽입 가능하고, 상기 절단종결부의 수직방향 위치를 변경하도록 상기 와이어쏘의 경유하는 부분을 하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3 가이드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자유면은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절단시작부가 형성된 자유면과 연결되는 다른 자유면에 삽입 가능하고, 상기 절단예정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와이어쏘가 당겨지는 경로를 형성하는 경로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쏘는 상기 암반의 자유면을 형성한 와이어쏘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된다.
본 발명은 암반에 복수개의 자유면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자유면들 중 상기 암반의 절단시작부를 가지는 자유면에 와이어쏘를 삽입하고, 와이어쏘를 상기 절단시작부에 접촉시키는 과정; 및 상기 절단시작부와 상기 암반의 절단종결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을 따라 형성되는 절단예정방향으로 상기 와이어쏘를 당겨 상기 암반을 절단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암반에 복수개의 자유면을 형성하는 과정은, 상기 암반에 복수개의 진입공을 천공하는 과정; 및 상기 진입공들 사이로 와이어쏘를 구동하여 자유면들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진입공을 천공하는 과정은, 사각형의 꼭지점 형태로 진입공들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쏘를 구동하여 자유면들을 형성하는 과정은, 사각형의 일부 둘레 형상을 따라 암반에 3개의 자유면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쏘를 상기 절단시작부에 접촉시키는 과정은, 상기 절단시작부에 홈을 형성하는 과정; 및 와이어쏘를 상기 홈에 끼우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쏘를 당기는 과정은, 상기 와이어쏘가 연결된 메인풀리의 회전에 의해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진행하는 와이어쏘를 당기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암반을 절단하는 과정은, 상기 메인풀리를 상기 암반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와이어쏘를 당기는 과정, 또는 와이어쏘의 길이를 감소시켜 와이어쏘를 당기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쏘를 상기 절단시작부에 접촉시킨 후에, 상기 절단시작부가 형성된 자유면과 와이어쏘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절단종결부의 수직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 암반을 절단한 후에, 상기 암반의 절단된 부분을 제거하여 자유면 공간을 확장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와이어쏘를 이용하여 할암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형성한 자유면의 공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증가된 자유면 공간에 의해 할암 공정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쏘 암반 절삭장치에 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도조절부재의 작동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3 가이드부의 작동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로안내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쏘 암반 절삭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쏘 암반 절삭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쏘 암반 절삭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쏘 암반 절삭장치에 관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도조절부재의 작동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3 가이드부의 작동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로안내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쏘 암반 절삭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쏘 암반 절삭장치는, 자유면을 가지는 암반을 절삭하기 위한 와이어쏘 암반 절삭장치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와이어쏘 암반 절삭장치(100)는 몸체부(110), 와이어쏘(130), 동력부(120), 및 가이드부(150)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해 암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할암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와이어쏘를 이용하여 암반의 둘레에 복수개의 자유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각형의 둘레 형태로 암반의 측면 둘레에 4개의 자유면이 형성될 수 있고,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암반의 자유면 중 어느 하나에 와이어쏘(130)가 절단을 시작하기 위한 암반의 절단시작부(S)가 형성되고, 절단시작부(S)가 형성된 자유면과 대향되는 자유면에 절단이 종료되기 위한 암반의 절단종결부(E)가 형성될 수 있다. 절단시작부(S)의 위치는 와이어쏘(130)가 자유면에 삽입되는 깊이에 의해 결정되고, 절단종결부(E)의 위치는 가이드부(15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암반의 둘레에 자유면이 형성되는 개수, 및 암반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몸체부(110)는 암반의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몸체부(110)는 본체(111), 이동휠(112), 및 고정기(1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1)는 외관이 박스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11)는 동력부(120)를 지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체(111)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이동휠(112)은 본체(111)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동휠(112)에 의해 본체(111)가 암반의 상부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휠(112)은 궤도바퀴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본체(111)를 암반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암반의 상부면이 평탄하지 않더라도 몸체부(110)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이동휠(112)의 형태와 본체(111)를 이동시키는 방향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고정기(113)는 이동휠(112)과 이격되어 본체(111)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기(113)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가 구비되어 본체(111)의 모서리 부분들 하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에, 고정기(113)의 수직방향 길이를 이동휠(112)보다 짧게 조절하면 이동휠(112)이 암반의 상부면과 접촉하여 몸체부(110)가 이동할 수 있고, 고정기(113)의 수직방향 길이를 이동휠(112)보다 길게 조절하면 이동휠(112)이 암반의 상부면과 이격되고 본체(111)가 고정기(113)에 의해 지지되면서 몸체부(110)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암반을 절삭하기 전에 몸체부(11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나 고정기(113)들이 구비되는 위치에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와이어쏘(130)는 일측이 암반의 자유면에 삽입되어 절단하려는 암반의 절단시작부(S)에 접촉되고, 타측이 동력부(120)에 연결되어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와이어쏘(130)는 암반의 자유면을 형성한 와이어쏘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반에 자유면을 형성한 와이어쏘의 두께가 11mm인 경우, 절단시작부(S)에 접촉하여 암반을 절단하는 와이어쏘(130)의 두께는 9mm일 수 있다. 이에, 와이어쏘(130)가 자유면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와이어쏘(130)의 두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동력부(120)는 몸체부(110)에 설치될 수 있다. 동력부(120)는 와이어쏘(13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와이어쏘(130)를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진행시켜, 와이어쏘(130)와 암반을 마찰시킬 수 있다. 동력부(120)는 메인풀리(121), 동력기(미도시), 및 위치조절기(123)를 포함한다.
메인풀리(121)는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풀리(121)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중심부에 회전축이 구비되며, 둘레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쏘(130)는 이탈이 방지되도록 메인풀리(121)에 형성된 홈 내에 위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풀리(121)의 회전에 의해 와이어쏘(130)가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진행하면서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그러나 메인풀리(121)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동력기는 메인풀리(121)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동력기는 모터일 수 있고, 메인풀리(121)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메인풀리(121)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나 동력기가 메인풀리(121)를 회전시키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위치조절기(123)는 몸체부(110)의 본체(111)에 설치되어 지지될 수 있다. 위치조절기(123)는 암반의 길이방향으로 메인풀리(12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조절기(123)는, 암반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본체(111)에 설치되는 레일, 및 암반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레일에 설치되어 동력기를 지지하는 이동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체의 이동에 의해 동력기와 메인풀리(121)가 암반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와이어쏘(130)를 당기거나 놓아줄 수 있다. 이에, 암반을 절단하려는 경우, 메인풀리(121)를 회전시켜 와이어쏘(130)를 진행시키는 상태에서 위치조절기(123)로 메인풀리(121)를 이동시켜 와이어쏘(130)를 당길 수 있다. 그러나 와이어쏘(130)를 당기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한편, 동력부(120)는 보조풀리(124)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조풀리(124)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몸체부(110)의 본체(111)에 설치될 수 있다. 보조풀리(124)들은 가이드부(150)에서 메인풀리(121) 사이에서 와이어쏘(130)를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풀리(124)들 각각은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중심부에 회전축이 구비되며, 둘레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쏘(130)는 이탈이 방지되도록 보조풀리(124)에 형성된 홈 내에 위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보조풀리(124)들은 와이어쏘(130)의 장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보조풀리(124)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가이드부(15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암반의 상부면에서 몸체부(110)와 암반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150)는 적어도 일부가 절단하려는 암반의 절단종결부(E) 상에 배치되고, 절단시작부(S)와 절단종결부(E)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을 따라 형성되는 절단예정방향으로 와이어쏘(13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가이드부(150)에 의해 와이어쏘(130)가 절단예정방향을 따라 당겨져 암반을 절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단시작부(S)가 암반의 하부에 위치하고 절단종결부(E)가 암반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절단예정방향은 암반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대각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부(150)는 제1 가이드기(151), 및 제2 가이드기(152)를 포함한다.
제1 가이드기(151)는 암반의 길이방향으로 동력부(120)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와이어쏘(130)가 동력부(120)에서 제1 가이드기(151)를 경유하여 절단시작부(S)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단시작부(S)와 절단종결부(E)가 각각 암반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경우, 제1 가이드기(151)는 절단종결부(E)의 일단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가이드기(151)가 절단시작부(S)의 일단과 대향되게 배치되어, 동력부(120)와 절단시작부(S)의 일단 사이에서 절단예정방향으로 와이어쏘(13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가이드기(151)는 제1 안착부재(151a), 제1 풀리(151c), 제2 풀리(151d), 및 제1 지지부재(151b)를 포함한다.
제1 안착부재(151a)는 암반의 상부면에 안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안착부재(151a)는 삼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안착부재(151a)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1 풀리(151c)는 동력부(120)와 절단종결부(E)의 일단 사이에서 와이어쏘(130)를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풀리(151c)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중심부에 회전축이 구비되며, 둘레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쏘(130)는 이탈이 방지되도록 제1 풀리(151c)에 형성된 홈 내에 위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풀리(151c)는 암반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와이어쏘(130)가 제1 풀리(151c)를 경유하여 절단종결부(E)의 일단에서 절단시작부(S)의 일단으로 연장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풀리(151c)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2 풀리(151d)는 동력부와 제1 풀리(151c) 사이에서 와이어쏘(130)를 가이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풀리(151d)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중심부에 회전축이 구비되며, 둘레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쏘(130)는 이탈이 방지되도록 제2 풀리(151d)에 형성된 홈 내에 위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와이어쏘(130)가 제2 풀리(151d)를 경유하여 제1 풀리(151c)에서 동력부(120)를 향하도록 연장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풀리(151d)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151b)는 제1 안착부재(151a)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풀리(151c)를 기울어지게 지지할 수 있도록, 제1 지지부재(151b)는 역삼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지지부재(151b)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151b)는 제1 풀리(151c)와 제2 풀리(151d)를 암반의 길이방향으로 이격시켜 지지하고, 제1 풀리(151c)와 제2 풀리(151d)의 중심부는 제1 지지부재(151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지지부재(151b)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2 가이드기(152)는 제1 가이드기(151)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단시작부(S)와 절단종결부(E)가 암반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 제2 가이드기(152)는 제1 가이드기(151)와 암반의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절단종결부(E)의 타단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암반의 폭방향 길이에 맞추어 제1 가이드기(151)와 제2 가이드기(152)를 이격시킬 수 있다. 이에, 암반의 폭방향 길이에 맞추어 와이어쏘(130)가 암반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가이드기(152)가 절단시작부(S)의 타단과 대향되게 배치되어, 절단예정방향으로 와이어쏘(13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2 가이드기(152)는 제2 안착부재(152a), 회전풀리(152c), 및 제2 지지부재(152b)를 포함한다.
제2 안착부재(152a)는 암반의 상부면에 안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2 안착부재(152a)는 삼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안착부재(152a)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회전풀리(152c)는 제1 가이드기(151)와 절단종결부(E)의 타단 사이에서 와이어쏘(130)를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풀리(152c)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중심부에 회전축이 구비되며, 둘레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쏘(130)는 이탈이 방지되도록 회전풀리(152c)에 형성된 홈 내에 위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회전풀리(152c)는 암반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와이어쏘(130)가 회전풀리(152c)를 경유하여 절단종결부(E)의 타단에서 제1 가이드기(151) 측으로 연장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회전풀리(152c)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152b)는 제2 안착부재(152a)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152b)는 회전풀리(152c)를 기울어지게 지지할 수 있다. 회전풀리(152c)의 중심부가 제2 지지부재(152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지지부재(151b)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한편, 제2 가이드기(152)가 절단종결부(E)의 타단과 제1 가이드기(151) 사이에서 와이어쏘(130)를 가이드하는 경우, 제1 가이드기(151)는 제3 풀리(151e), 및 제4 풀리(151f)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2 가이드기(152)와 제1 가이드기(151)로 사이에서 가이드된 와이어쏘(130)가, 제3 풀리(151e)와 제4 풀리(151f)에 의해 제1 가이드기(151)와 동력기 사이에서도 가이드될 수 있다. 따라서, 절단종결부(E)의 일관과 타단 각각에서 나와 가이드부(150)와 연결되는 와이어쏘(130)의 부분이 별도의 메인풀리에 연결될 필요가 없고, 하나의 메인풀리(121)로 가이드될 수 있다.
제3 풀리(151e)는 제2 가이드기(152)와 동력부(120) 사이에서 와이어쏘(130)를 가이드할 수 있다. 제3 풀리(151e)는 제1 풀리(151c)와 이격되어 평행하게 제1 지지부재(151b)에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풀리(151e)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중심부에 회전축이 구비되며, 둘레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쏘(130)는 이탈이 방지되도록 제3 풀리(151e)에 형성된 홈 내에 위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3 풀리(151e)는 암반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제3 풀리(151e)가 회전풀리(152c)와 암반의 폭방향으로 동일선상에 배치될 수 있고, 와이어쏘(130)가 회전풀리(152c)와 제4 풀리(151f) 사이에서 제3 풀리(151e)를 경유할 수 있다. 그러나 제3 풀리(151e)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4 풀리(151f)는 동력부(120)와 제3 풀리(151e) 사이에서 와이어쏘(130)를 가이드할 수 있다. 제4 풀리(151f)는 제2 풀리(151d)와 이격되어 평행하게 제1 지지부재(151b)에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풀리(151f)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중심부에 회전축이 구비되며, 둘레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쏘(130)는 이탈이 방지되도록 제4 풀리(151f)에 형성된 홈 내에 위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와이어쏘(130)가 제4 풀리(151f)를 경유하여 제3 풀리(151e)에서 동력부(120)를 향하도록 연장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제4 풀리(151f)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한편, 도 3과 같이 가이드부(150)는 각도조절기(15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각도조절기(155)는 제1 가이드기(151) 및 제2 가이드기(15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도조절기(155)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어 제1 가이드기(151)나 제2 가이드기(152)의 일측 또는 양측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각도조절기(155)의 길이를 조절하여 제1 가이드기(151)나 제2 가이드기(152)의 양측 높이를 다르게 조절하면 와이어쏘(130)가 가이드되는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각도조절기(155)를 이용하여 암반의 절단시작부(S)와 절단종결부(E)의 위치에 맞추어 절단예정방향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각도조절기(155)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또한, 도 4와 같이 가이드부(150)는 제3 가이드기(153)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3 가이드기(153)는 절단시작부(S)와 대향되는 위치의 자유면에 삽입 가능하다. 이에, 제3 가이드기(153)는 절단종결부(E)의 수직방향 위치를 변경하도록 와이어쏘의 경유하는 부분을 하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제3 가이드기(153)는 가압풀리(153a), 및 지지프레임(153b)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풀리(153a)는 와이어쏘(130)와 접촉하여 와이어쏘(130)를 하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가압풀리(153a)와 접촉하는 와이어쏘(130)의 부분이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와이어쏘(130)가 하측으로 이동한만큼 절단종결부(E)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절단시작부(S)와 절단종결부(E)가 길이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정하여 암반을 절삭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쏘(130)는 가압풀리(153a)를 경유하여 절단시작부(S)와 제1 가이드기(151) 사이, 및 절단시작부(S)와 제2 가이드기(152) 사이에서 가이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풀리(153a)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중심부에 회전축이 구비되며, 둘레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쏘(130)는 이탈이 방지되도록 가압풀리(153a)에 형성된 홈 내에 위치하여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가압풀리(153a)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153b)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기일 수 있다. 지지프레임(153b)의 상부는 제1 가이드기(151)나 제2 가이드기(152)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하부에 가압풀리(153a)의 중심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53b)와 가압풀리(153a)의 수직방향 길이만큼 와이어쏘(130)를 하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한편, 도 5와 같이 와이어쏘 암반 절삭장치(100)는 경로안내부(16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경로안내부(160)는 절단시작부(S)가 형성된 자유면과 연결되는 다른 자유면에 삽입 가능하다. 경로안내부(160)는 삽입된 상태에서 절단예정방향으로 연장되어 와이어쏘(130)가 당겨지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경로안내부(160)는 자유면을 형성한 와이어쏘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경로안내부(160)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경로안내부(160)에서 암반의 측면과 접촉하는 부분은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쏘(130)가 경로안내부(160)의 연장방향을 따라 당겨질 수 있기 때문에, 절단예정방향을 따라 더욱 안정적으로 당겨질 수 있다. 이에, 암반을 더욱 정밀하게 절삭할 수 있다. 그러나 경로안내부(160)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이처럼 둘레에 자유면을 가지는 암반을 와이어쏘(130)로 절삭하여, 할암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형성한 자유면의 공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증가된 자유면 공간에 의해 할암 공정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쏘 암반 절삭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쏘 암반 절삭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쏘 암반 절삭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쏘 암반 절삭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쏘 암반 절삭방법은, 할암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암반에 자유면을 형성하고, 자유면 공간을 증가시키기 위한 와이어쏘 암반 절삭방법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와이어쏘 암반 절삭방법은, 암반에 복수개의 자유면을 형성하는 과정(S110), 자유면들 중 암반의 절단시작부를 가지는 자유면에 와이어쏘를 삽입하고, 와이어쏘를 절단시작부에 접촉시키는 과정(S120), 및 절단시작부와 암반의 절단종결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을 따라 형성되는 절단예정방향으로 와이어쏘를 당겨 암반을 절단하는 과정(S130)을 포함한다.
이때, 와이어쏘를 절단시작부에 접촉시키는 과정, 및 절단예정방향으로 와이어쏘를 당겨 암반을 절단하는 과정은, 도 1 내지 도 5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쏘 암반 절삭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다른 구조의 와이어쏘 암반 절삭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우선, 암반에 복수개의 자유면을 형성한다(S110). 이를 위해, 암반에 복수개의 진입공을 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천공장치를 이용하여, 암반에 사각형의 꼭지점 형태로 진입공들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진입공을 형성할 위치로 천공장치의 이동시키면서, 도 7의 (a)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진입공(A1), 제2 진입공(A2), 제3 진입공(A3), 및 제4 진입공(A4)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형성하는 진입공의 개수 및 진입공들을 형성하는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진입공들 사이로 와이어쏘를 구동시켜 복수개의 자유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수직방향으로 와이어쏘를 이동시킬 수 있는 와이어쏘 장치를 이용하여 암반에 복수개의 자유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각형의 둘레 형상을 따라 암반에 4개의 자유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7의 (b)와 같이 제1 진입공(A1)과 제2 진입공(A2) 사이에 와이어쏘를 이동시켜 제1 자유면(B1)을 형성하고, 제2 진입공(A2)과 제3 진입공(A3) 사이에 와이어쏘를 이동시켜 제2 자유면(B2)을 형성하고, 제3 진입공(A3)과 제4 진입공(A4) 사이에 와이어쏘를 이동시켜 제3 자유면(B3)을 형성하고, 제4 진입공(A4)과 제1 진입공(A1) 사이에 와이어쏘를 이동시켜 제4 자유면(B4)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사각형의 일부 둘레 형상을 따라 암반에 3개의 자유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제1 진입공(A1)과 제2 진입공(A2) 사이에 와이어쏘를 이동시켜 제1 자유면(B1)을 형성하고, 제2 진입공(A2)과 제3 진입공(A3) 사이에 와이어쏘를 이동시켜 제2 자유면(B2)을 형성하고, 제3 진입공(A3)과 제4 진입공(A4) 사이에 와이어쏘를 이동시켜 제3 자유면(B3)을 형성할 수 있다.
그 다음, 자유면들 중 암반의 절단시작부를 가지는 자유면에 와이어쏘를 삽입하고, 와이어쏘를 절단시작부에 접촉시킨다(S120). 즉, 절단시작부(S)를 가지는 자유면의 공간으로 와이어쏘(130)를 삽입하여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와이어쏘(130)의 구동을 제어하여 절단시작부(S)에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쏘(130)를 절단시작부(S)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와이어쏘(130)의 장력을 조절하여 절단시작부(S)에 밀착시킨 후, 와이어쏘(130)를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진행시켜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와이어쏘(130)를 절단시작부(S)에 형성된 홈에 끼울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쏘(130)를 절단예정방향으로 당길 때, 와이어쏘(130)가 절단예정방향을 이탈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그 다음, 절단시작부와 암반의 절단종결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을 따라 형성되는 절단예정방향으로 와이어쏘를 당겨 암반을 절단한다(S130). 예를 들어, 절단시작부(S)가 암반의 하부에 위치하고 절단종결부(E)가 암반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절단예정방향은 암반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대각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메인풀리(121)를 암반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와이어쏘(130)를 당기거나, 와이어쏘(130)를 권취하는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여 와이어쏘(130)의 길이를 감소시키면서 와이어쏘(130)를 당길 수 있다. 가이드부(150)가 절단예정방향으로 와이어쏘(13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때문에, 와이어쏘(130)가 당겨질 때 절단예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암반을 절단할 수 있다.
이때, 와이어쏘(130)는 연결된 메인풀리(121)의 회전에 의해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진행하는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당겨지는 와이어쏘(130)가 암반과 마찰하면서 당겨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절단시작부(S)에서 절단종결부(E)까지 당겨지는 와이어쏘(130)에 의해 암반이 용이하게 절단되어 삼각뿔 형태로 분리될 수 있다.
암반을 절단한 후, 도 7의 (c)와 같이 절단된 부분(C)을 제거할 수 있다. 즉, 암반의 절단된 부분(C)을 파쇄하거나 외부로 운반할 수 있다. 따라서, 암반의 제거된 부분의 부피만큼 자유면 공간이 확장될 수 있다. 이후 확장된 자유면 공간을 이용하여 할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8과 같이 암반에 4개의 자유면이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와이어쏘(130)를 절단시작부(S)에 접촉시킨 후에, 절단종결부(E)의 수직방향 위치를 조절할 수도 있다. 즉, 와이어쏘(130)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절단시작부(S)가 형성된 자유면과 와이어쏘(130)를 수직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와이어쏘(130)를 수직방향으로 당기면 암반의 하부가 절단되고, 도 8의 (c)와 같이 직육면체 형태로 분리시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암반을 절단하여 삼각뿔 형태로 분리시킬 때보다, 분리되는 부분의 부피가 증가하여 자유면 공간을 더 많이 증가시킬 수 있다.
이처럼 둘레에 자유면을 가지는 암반을 와이어쏘(130)로 절삭하여, 할암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형성한 자유면의 공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증가된 자유면 공간에 의해 할암 공정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며, 실시 예들 간에 다양한 조합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와이어쏘 암반 절삭장치 110: 몸체부
120: 동력부 130: 와이어쏘
150: 가이드부 151: 제1 가이드기
152: 제2 가이드기 153: 제3 가이드기
155: 각도조절기 160: 경로안내부

Claims (18)

  1. 둘레에 자유면을 가지는 암반을 절삭하기 위한 와이어쏘 암반 절삭장치로서,
    상기 자유면을 가지는 암반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동력부;
    일측이 상기 암반의 자유면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암반의 절단시작부에 접촉되고, 타측이 상기 동력부에 연결되어 구동이 제어되는 와이어쏘; 및
    상기 절단시작부가 형성된 자유면과 대향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암반의 절단종결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절단시작부와 상기 절단종결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을 따라 형성되는 절단예정방향으로 상기 와이어쏘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시작부는 상기 암반의 일측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절단종결부는 상기 암반의 일측과 대향되는 타측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절단시작부와 상기 절단종결부를 연결하는 대각선 방향으로 상기 와이어쏘가 당겨질 수 있도록 상기 암반의 상부면에서 상기 몸체부와 상기 암반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는 와이어쏘 암반 절삭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단시작부와 상기 절단종결부는 각각 상기 암반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절단종결부의 일단 상측에 배치되는 제1 가이드기; 및
    상기 제1 가이드기와 상기 암반의 폭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절단종결부의 타단 상측에 배치되는 제2 가이드기;를 포함하는 와이어쏘 암반 절삭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기는,
    상기 암반의 상부면에 안착 가능한 제1 안착부재;
    상기 동력부와 상기 절단종결부의 일단 사이에서 상기 와이어쏘를 가이드하고, 상기 암반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기울어져 배치되는 제1 풀리;
    상기 동력부와 상기 제1 풀리 사이에서 상기 와이어쏘를 가이드하도록 배치되는 제2 풀리; 및
    상기 제1 안착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풀리와 상기 제2 풀리의 중심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와이어쏘 암반 절삭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기는,
    상기 암반의 상부면에 안착 가능한 제2 안착부재;
    상기 제1 가이드기와 상기 절단종결부의 타단 사이에서 상기 와이어쏘를 가이드하고, 상기 암반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기울어져 배치되는 회전풀리; 및
    상기 제2 안착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풀리의 중심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기는,
    상기 동력부와 상기 회전풀리 사이에서 와이어쏘를 가이드하고, 상기 제1 지지부재에 중심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3 풀리; 및
    상기 동력부와 상기 제3 풀리 사이에서 상기 와이어쏘를 가이드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지지부재에 중심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4 풀리;를 더 포함하는 와이어쏘 암반 절삭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가이드기 및 상기 제2 가이드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가이드기 및 상기 제2 가이드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지지되는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절단예정방향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와이어쏘 암반 절삭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는,
    상기 와이어쏘가 연결되는 메인풀리;
    상기 메인풀리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동력기; 및
    상기 암반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메인풀리를 이동시켜 상기 와이어쏘를 당기도록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위치조절기;를 포함하는 와이어쏘 암반 절삭장치.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유면은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절단시작부가 형성된 자유면과 연결되는 다른 자유면에 삽입 가능하고, 상기 절단예정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와이어쏘가 당겨지는 경로를 형성하는 경로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와이어쏘 암반 절삭장치.
  10. 청구항 1,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7, 및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쏘는 상기 암반의 자유면을 형성한 와이어쏘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와이어쏘 암반 절삭장치.
  11. 암반의 둘레에 복수개의 자유면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자유면을 가지는 암반의 상부면에 와이어쏘를 지지하는 몸체부를 배치하고, 상기 자유면들 중 상기 암반의 절단시작부를 가지는 자유면에 와이어쏘를 삽입하고, 와이어쏘를 상기 절단시작부에 접촉시키는 과정; 및
    상기 절단시작부가 형성된 자유면과 대향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상기 암반의 절단종결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을 따라 형성되는 절단예정방향으로 상기 와이어쏘를 당겨 상기 암반을 절단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절단시작부는 상기 암반의 일측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절단종결부는 상기 암반의 일측과 대향되는 타측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절단예정방향으로 상기 와이어쏘를 당겨 상기 암반을 절단하는 과정은, 상기 절단시작부와 상기 절단종결부를 연결하는 대각선 방향으로 상기 와이어쏘를 당기는 과정을 포함하는 와이어쏘 암반 절삭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암반에 복수개의 자유면을 형성하는 과정은,
    상기 암반에 복수개의 진입공을 천공하는 과정; 및
    상기 진입공들 사이로 와이어쏘를 구동하여 자유면들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와이어쏘 암반 절삭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진입공을 천공하는 과정은, 사각형의 꼭지점 형태로 진입공들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쏘를 구동하여 자유면들을 형성하는 과정은, 사각형의 일부 둘레 형상을 따라 암반에 3개의 자유면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와이어쏘 암반 절삭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쏘를 상기 절단시작부에 접촉시키는 과정은,
    상기 절단시작부에 홈을 형성하는 과정; 및
    와이어쏘를 상기 홈에 끼우는 과정;을 포함하는 와이어쏘 암반 절삭방법.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쏘를 당기는 과정은,
    상기 와이어쏘가 연결된 메인풀리의 회전에 의해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진행하는 와이어쏘를 당기는 과정을 포함하는 와이어쏘 암반 절삭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암반을 절단하는 과정은,
    상기 메인풀리를 상기 암반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와이어쏘를 당기는 과정, 또는 와이어쏘의 길이를 감소시켜 와이어쏘를 당기는 과정을 포함하는 와이어쏘 암반 절삭방법.
  17. 삭제
  18.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반을 절단한 후에,
    상기 암반의 절단된 부분을 제거하여 자유면 공간을 확장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와이어쏘 암반 절삭방법.
KR1020220030093A 2022-03-10 2022-03-10 와이어쏘 암반 절삭장치 및 절삭방법 KR102489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093A KR102489434B1 (ko) 2022-03-10 2022-03-10 와이어쏘 암반 절삭장치 및 절삭방법
PCT/KR2023/000589 WO2023171903A1 (ko) 2022-03-10 2023-01-12 와이어쏘 암반 절삭장치 및 절삭방법
EP23152534.6A EP4241910A1 (en) 2022-03-10 2023-01-19 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rock by wire sa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093A KR102489434B1 (ko) 2022-03-10 2022-03-10 와이어쏘 암반 절삭장치 및 절삭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9434B1 true KR102489434B1 (ko) 2023-01-18

Family

ID=85018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0093A KR102489434B1 (ko) 2022-03-10 2022-03-10 와이어쏘 암반 절삭장치 및 절삭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4241910A1 (ko)
KR (1) KR102489434B1 (ko)
WO (1) WO2023171903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7249A (ja) * 1996-04-11 1997-10-28 Takao Sato 岩盤の切断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70140115A (ko) * 2016-06-10 2017-12-20 이성준 와이어쏘 제어장치
KR101853303B1 (ko) 2017-06-27 2018-05-02 주식회사경도 다이아몬드 와이어쏘에 의한 정위치 암반 절단 장비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2411A (en) * 1988-02-03 1989-05-23 Johnston Edward P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reinforced concrete
JPH0470309A (ja) * 1990-06-29 1992-03-05 Nippon Steel Corp コンクリート切断方法およびワイヤーソー案内装置
JP2002036231A (ja) * 2000-07-25 2002-02-05 Daiichi Diamond Koji Kk ワイヤソー用ガイドプーリ
JP2003103447A (ja) * 2001-09-28 2003-04-08 Ohbayashi Corp ワイヤソー用ガイドプーリ装置
US7150277B1 (en) * 2005-11-12 2006-12-19 Georgia Stone Quarries Inc. Pivoting guide pulley stand for wire saw
JP2010240990A (ja) * 2009-04-06 2010-10-28 Shimizu Corp コンクリートの切断方法
KR101594882B1 (ko) * 2014-06-03 2016-03-1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와이어 쏘를 이용한 터널 굴착을 위한 전진 방식 지그장치
KR101922114B1 (ko) * 2016-12-15 2018-11-27 주식회사 장평건설 진입암 길이 조절형 굴착용 암벽 절삭장치
JP7341428B2 (ja) * 2019-12-25 2023-09-11 大成建設株式会社 切断装置および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切り出し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7249A (ja) * 1996-04-11 1997-10-28 Takao Sato 岩盤の切断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70140115A (ko) * 2016-06-10 2017-12-20 이성준 와이어쏘 제어장치
KR101853303B1 (ko) 2017-06-27 2018-05-02 주식회사경도 다이아몬드 와이어쏘에 의한 정위치 암반 절단 장비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71903A1 (ko) 2023-09-14
EP4241910A1 (en) 2023-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88737C (zh) 机器压紧装置
CN207464242U (zh) 一种机械加工用钻孔设备
US20080121079A1 (en) Band Saw Blade and Cutting Method
KR102489434B1 (ko) 와이어쏘 암반 절삭장치 및 절삭방법
KR20090009619A (ko) 터널굴착용 천공장치
KR101714907B1 (ko) 시트파일 시공장치
US11472063B2 (en) Wire saw excavation apparatus capable of changing cutting line in accordance with cutting section and tunnel excavation method using same
JPH0470309A (ja) コンクリート切断方法およびワイヤーソー案内装置
KR101289658B1 (ko) 잉곳 절단용 와이어 쏘 장치
JP4471447B2 (ja) シート材の切断装置
JPH07243298A (ja) トンネル掘削工法
KR101801208B1 (ko) 케이싱 및 드릴파이프를 독립적으로 회전제어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시추기
JP5817285B2 (ja) 切削装置、切削方法、及び構造物の解体方法
JP6894194B2 (ja) 切断装置及び解体装置
KR20180009638A (ko) 와이어 쏘를 이용한 피삭물의 굴착예정부 절단제거 방법 및 굴착예정부 절단제거 장치
KR100942144B1 (ko) 더블 쏘우 와이어 잉곳 절단장치
KR102191241B1 (ko) 튜브절단방법
JP7042626B2 (ja) 方向転換装置
JP6569950B2 (ja) コンクリート壁切断装置
JP7121491B2 (ja) 構造部材の切断方法
JP2008073817A (ja) バンドソー型切断装置及びバンドソー型切断装置による切断方法
KR20220000803A (ko) 천공 및 항타 작업의 동시수행이 가능한 파일 시공장치
JPH06143037A (ja) ワイヤ放電加工方法
JP5075593B2 (ja) 放射性廃棄物切断装置、及び、放射性廃棄物切断方法
CN204488219U (zh) 一种适用于大小幅面的多功能打标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