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7614B1 - 티모신 β4를 포함하는 안약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티모신 β4를 포함하는 안약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7614B1
KR102487614B1 KR1020150182196A KR20150182196A KR102487614B1 KR 102487614 B1 KR102487614 B1 KR 102487614B1 KR 1020150182196 A KR1020150182196 A KR 1020150182196A KR 20150182196 A KR20150182196 A KR 20150182196A KR 102487614 B1 KR102487614 B1 KR 102487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ymosin
eye drop
preparing
contain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2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1109A (ko
Inventor
이시영
강신욱
성지혜
엄태흠
Original Assignee
에이치엘비테라퓨틱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엘비테라퓨틱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엘비테라퓨틱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41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1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68Containers characterised by specific materi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22Horm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22Hormones
    • A61K38/2292Thymosin; Related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06Antiglaucoma agents or mio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3/00Noble gase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A61J1/12Bag-type containers with means for holding samples of cont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티모신 β4를 포함하는 안약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불활성 기체의 존재 하에서 티모신 β4를 포함하는 안약을 제조함으로써, 티모신 β4와 산소와의 접촉을 차단해 티모신 β4가 산소에 의해 변성되지 않고 오랫동안 활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안약 제품은 티모신 β4의 약리적 활성을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티모신 β4를 포함하는 안약의 제조방법{PREPARATION OF AN OPHTHALMIC COMPOSITION COMPRISING THYMOSIN BETA 4}
본 발명은 티모신 β4를 포함하는 안약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눈은 재생이 불가능한 신체 구조의 일부로 망막, 각막, 결막, 포도막 등에서 발생하는 변성질환, 녹내장, 백내장 등의 안질환에 취약하다. 특히, 각막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안구 외막의 일부로서 안구를 보호하고 눈으로 들어오는 파장을 굴절시켜 망막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중요한 구조이나, 눈꺼풀 외에는 각막을 보호하는 구조가 없어 긁힘, 충격 등의 외상에 취약하다. 또한, 치명적인 손상에는 이식 외에는 별다른 치료법이 존재하지 않고 이식을 하더라도 생체 적응이 불가능하거나 부작용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최근에는 시력 교정 또는 패션을 위해 렌즈를 착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각막 표면 손상, 안구 건조증 등의 안질환을 겪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렌즈는 각막의 표면에 덧씌우는 방식으로 착용하기 때문에 각막에 산소 공급이 불가하며 눈물샘으로부터의 분비된 눈물이 차단되어 각막의 건조함을 심화시킨다. 따라서, 렌즈를 착용하는 사람들 대부분은 인공 눈물 등을 수시로 사용하여 각막의 건조함을 해소하려 한다. 각막의 건조함이 심화되면 이로부터 촉발되는 타 안질환으로의 심화를 예방하기 위해 손상된 각막의 치료가 필수적이다. 각막 손상 시 치료법의 예로는 액상제제, 겔제, 연고 등의 안약을 각막에 직접 도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다양한 제제 형태의 안약은 우수한 약리적 활성을 갖는 것 외에도 안정적으로 보존되어 활성이 유지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안약의 안정성 및 약리적 활성은 제제 자체의 구성 및 함량, 제조과정, 유통 과정에서의 처리 조건에 영향을 받는다. 특히, 제조 및 유통 전 과정에서 제제의 제습, 산화 방지 등은 매우 중요한데, 이를 위해 멸균 후 밀봉 포장을 하거나 유리병에 색깔을 넣어 직사 광선을 막고, 실리카겔과 같은 제습제를 넣는 등의 방법으로 제품의 품질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다양한 방법으로도 계절적 온도 차이, 습도 변화, 산화 등에 따른 품질 유지는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한다. 이에, 제제의 약리적 활성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우수한 안정성을 갖는 제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한편, 티모신 β4는 1981년에 흉선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단백질로서, 41 ~ 43 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져 있고, 등전점(isoelectric point)이 5.1인 단백질이다. 1991년 리바 등에 의해 동물 세포에서 액틴-격리 분자(actin-sequestering molecule)로 처음 밝혀진 티모신 β4는, 이후 면역 조절(immune regulation), 및 신경내분비계(neuroendocrine system)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나아가, 티모신 β4는 흉선 세포(thymocytes)에서 말단전달효소(terminal deoxynucleotide transferase)로서 작용할 뿐만 아니라, 대식 세포의 이동 및 대식 세포의 항원을 증가시키고, 시상하부 이식편(hypothalamic explants)에 의한 황체화 호르몬(luteinizing hormone)의 분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시토신 아라비노사이드(cytosine arabinoside)의 독성을 제거하고, 내피(endothelium)의 부착과 이동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조혈 줄기 세포(hematopoietic stem cells)의 세포 주기(cell cycle)를 억제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약리적 활성을 갖는 티모신 β4를 안질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33939호는 티모신 β4와 살균 활성 보존제를 포함하는 점안액의 용도로서 눈의 염증, 눈의 감염증(세균, 진균 또는 바이러스) 및 녹내장의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조성물은 동결 건조 방식으로 제조되어 온도 변화에 취약한 티모신 β4가 온도 변화에 의해 변성되어 약리적 활성이 감소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80026호는 경구투여, 정맥주사 및 음식과 함께 투여될 수 있는 테트라하이드로바이오프테린(BH4)을 포함하는 수용액에 pH 버퍼 및 항산화제를 부가한 후 비산화성 가스를 살포하고, 상기 수용액을 용기에 밀봉하여 제제화시키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BH4를 포함하는 수용액은 용기 밀봉 전 일반 대기 하에서 산소에 노출된 채 BH4, pH 버퍼, 항산화제 등을 포함하는 혼합액으로 제조된 후 비산화성 가스 존재 하에 용기에 밀봉되므로, 이전 혼합 단계에서의 산화 및 불순물 혼입 등을 차단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티모신 β4의 변성을 막아 이를 포함하는 안약의 안정성을 증진시키고 약리적 활성을 장기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노력하던 중, 안약 제조 및 봉입 시 불활성 기체를 사용하여 티모신 β4 및 이를 포함하는 안약이 산소와 접촉하지 못하도록 차단함으로써 안약의 안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3393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80026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정성이 증진된 티모신 β4를 포함하는 안약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티모신 β4 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불활성 기체의 존재 하에서 용기에 봉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티모신 β4 를 포함하는 안약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다른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안약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불활성 기체의 존재 하에서 티모신 β4를 포함하는 안약을 제조함으로써, 티모신 β4와 산소와의 접촉을 차단해 티모신 β4가 산소에 의해 산화되지 않고 오랫동안 활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안약 제품은 티모신 β4의 약리적 활성을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티모신 β4를 포함하는 안약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티모신 β4 술폭사이드의 질량분석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서는, 티모신 β4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불활성 기체의 존재 하에서 용기에 봉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티모신 β4를 포함하는 안약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인 "티모신 β4"는 Thymosin beta-4 또는 Tβ4로 지칭되기도 하는 단백질로서, 최초 흉선으로부터 단리되었고, 여러 조직들에서 식별된 4.9 kDa의 43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폴리펩티드이다. 상기 단백질은 시험관 내 내피 세포 이동 및 분화 중에 상향-조절되는 단백질로서, 많은 티모신 β4 이소(iso) 형태들이 확인되었으며, 티모신 β4의 공지된 아미노산 서열과 약 70%, 또는 약 75%, 또는 약 80%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티모신 β4는 야생형의 티모신 β4의 N-말단 변종, 및 Tβ4의 C-말단 변종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서열번호 1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단백질을 의미한다.
상기 티모신 β4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질소 또는 아르곤, 자세하게는 질소 기체의 존재 하에서 용기에 봉입될 수 있으며, 봉입 시 용기에 산소가 봉입되지 않도록 불활성 기체를 충전하여 함께 봉입될 수도 있다. 상기 불활성 기체로는 질소, 아르곤 외에도 헬륨, 네온 등도 사용할 수 있으나, 비용 측면을 고려하여 상대적으로 저렴한 질소 또는 아르곤이 많이 사용되고, 자세하게는 질소가 많이 사용된다.
상기 불활성 기체는 산소나 수소 분자에 비해 안정적이므로 불활성 기체 존재 하에서 상기 티모신 β4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봉입할 경우, 상기 조성물과 일반 대기 중의 산소의 접촉을 차단해 티모신 β4가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봉입 시 불활성 기체가 함께 충전되어 용기 내에 산소가 존재하지 않게 되므로, 티모신 β4의 산화가 지속적으로 방지되고 약리적 활성이 안정적으로 지속될 수 있다.
상기 용기로는 의약품 봉입 시 사용되는 통상적인 소재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자세하게는 유리 용기, 폴리프로필렌 용기, 저밀도 폴리에틸렌 용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보다 자세하게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용기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약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공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먼저, 불활성 기체의 존재 하에서 용매와 티모신 β4를 혼합하여 티모신 β4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한다.
먼저, 질소 또는 아르곤 등의 불활성 기체의 존재 하에서 정제수, 순수, 멸균 주사용수 등의 불순물을 제거한 용매와 티모신 β4를 혼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매에 100 mL/min 내지 140 mL/min의 속도로 질소를 투입(bubbling)하여 용매 내에 용해된 산소를 제거하면서 티모신 β4를 혼합한다. 상기 혼합된 조성물 내의 티모신 β4는 총 조성물 기준으로 0.05 %(w/v) 내지 0.5 %(w/v)일 수 있고, 일일 총 0.08 mL 내지 2.0 mL의 용량으로 투여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일일 1회 또는 수회에 나누어 투여될 수 있으며, 자세하게는 일일 2회 내지 5회에 걸쳐 투여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의약품 제조 시 첨가될 수 있는 통상적인 것일 수 있으며, 자세하게는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칼슘수화물, 염화마그네슘육수화물, 아세트산나트륨수화물, 시트르산나트륨수화물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얻어진 조성물을 산 및 염기를 이용하여 pH를 6.8 내지 7.2로 조절한다. 상기 산은 염산, 아세트산, 인산 등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산일 수 있으며, 자세하게는 염산일 수 있다. 상기 염기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수소나트륨 등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염기일 수 있으며, 자세하게는 수산화나트륨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pH 조절된 조성물을 필터를 통해 여과한다. 상기 조성물을 필터, 자세하게는 1.0 ㎛ 이하의 공극을 갖는 무균 필터, 보다 자세하게는 0.2 ㎛ 이하의 공극을 갖는 무균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함으로써 불순물, 세균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티모신 β4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봉입된 안약을 불활성 기체의 존재 하에서 파우치에 봉입한다. 봉입 시 산소가 함께 봉입되지 않도록, 질소 기체의 존재 하에서 봉입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티모신 β4를 포함하는 안약 제조의 세부적인 방법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모든 단계를 불활성 기체의 존재 하에서 수행하여 티모신 β4와 산소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티모신 β4를 포함하는 안약 제품을 제공한다. 이 때, 상기 티모신 β4를 함유하는 안약의 제조 시 전 과정을 불활성 기체의 존재 하에서 수행함으로써 안약 내 산화물 발생 또는 타 이물질의 혼입을 방지하여 물리·화학적 성질을 장기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본 발명의 안약 제품은 안정한 상태로 장기간 티모신 β4의 약리적 활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1 : 티모신 β4를 포함하는 안약의 제조
단계 1 : 티모신 β4를 포함한 안약 조성물의 제조
멸균 주사용수 630g을 가압이 가능한 스테인리스스틸 교반조에 넣고 5℃로 냉각하면서 액 중에 잠긴 스파저(sparger)를 통해 질소를 약 120 mL/min의 속도로 투입(bubbling)하여 액에 용해된 산소를 제거하였다. 냉각된 액에 염화나트륨 4.89g, 염화칼슘 573mg, 염화칼슘수화물 366.72mg, 염화마그네슘육수화물 229mg, 아세트산나트륨수화물 2.98g, 및 시트르산나트륨수화물 1.30g을 첨가하고 3 내지 7℃를 유지하면서 교반하여 용해시켰다. 얻어진 용액에 티모신 β4 초산염(Bachem 사, 미국, 서열번호 1) 764 mg(순도 및 펩타이드 보정한 양)을 첨가하고 3℃ 내지 7℃에서 교반하여 모두 용해시켰다. 각 성분들 및 티모신 β4의 용해 과정 중 질소 투입을 계속하여 산소와의 접촉을 방지하였다. 얻어진 용액에 수산화나트륨 및 염산을 넣어 pH를 7.0으로 조정한 후, 멸균 주사용수 82g을 투입하여 티모신 β4의 농도가 1 mg/mL이 되도록 조정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질소 가압 하에 0.2 ㎛ 폴리에테르설폰(PES) 무균필터(제품번호: MCY4440EKVPH4, Pall 사)를 이용하여 무균여과(sterile filtration)를 수행하여 여과된 용액을 수득하였다.
단계 2 : 안약 조성물의 봉입단계
단계 1에서 수득한 무균여과 용액을 저밀도 폴리에틸렌 바이알(vial)에 0.27 ml씩 넣고, 질소 가스를 충전하여 봉입하였다. 그 후, 바이알을 질소 백플러쉬 하에서 알루미늄 파우치에 봉입하여 안약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안약은 2℃ 내지 8℃에서 냉장보관하였다.
비교예 1 : 불활성 기체를 배제한 티모신 β4를 포함하는 안약의 제조 - (1)
실시예 1의 단계 1 및 2에서 불활성 기체를 사용하지 않고 일반 대기 하(O2 존재)에서 진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안약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 불활성 기체를 배제한 티모신 β4를 포함하는 안약의 제조 - (2)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불활성 기체를 사용하지 않고 일반 대기 하(O2 존재)에서 진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안약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티모신 β4를 포함한 조성물의 안정성 확인
(1) 순도 분석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안약에 대해 제조 직후부터 12개월 경과한 시점까지의 약물의 순도 변화를 하기 표 1 및 2와 같은 조건 하에서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 Agilent 1200 기기를 사용하여 HPLC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HPLC
운용조건
칼럼 Waters Delta-Pak C18 5㎛(3.9 X 150 mm)
이동상 A : 0.1부피% 트리플루오로 아세트산(TFA)을 포함하는 물
B : 0.1부피% 트리플루오로 아세트산(TFA)을 포함하는 아세토니트릴
이동상유량 1.0 mL/min
검출 UV 205 nm
칼럼 온도 상온
주입량 순도시험 10μL, 불순물시험 100μL
시간에 따른 농도구배(분) A(부피%) B(부피%)
0.0 85 15
15.0 75 25
15.1 20 80
17.0 20 80
17.1 85 15
(2) 불순물 분석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안약의 불순물의 함량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문헌(Eur . J. Biochem. 223, 345-350 (1994), Nature Medicine 5(12), 1424 (1999))의 방법을 참고하여 티모신 β4 술폭사이드를 합성하였다. 티모신 β4 술폭사이드는 티모신 β4가 산화되어 변성된 물질로, 티모신 β4 술폭사이드로 변성되면 약리적 활성에 변화가 생긴다.
합성된 티모신 β4 술폭사이드는 MALDI-TOF MS 기기를 사용해 질량분석(LC/MS)하여 분자량을 확인하였다. 분석된 분자량은 4,978.5로 문헌의 값 4,980±2와 부합하였다.
실시예 1과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한 안약과 합성된 티모신 β4 술폭사이드를 HPLC와 LC/MS로 동일한 조건에서 분석하고, 머무름 시간(retention time)과 질량분석 값이 동일함을 확인하여 검출된 단일최대불순물이 티모신 β4 술폭사이드임을 확인하였다(도 2 참조).
티모신β4(원료)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분석
항목
순도
(%)
단일최대불순물(%) 순도
(%)
단일최대불순물(%) 순도
(%)
단일최대불순물(%) 순도
(%)
단일최대불순물(%)
99.3 불검출 99.1 0.29 96.3 2.9 97.9 0.7
상기 표 3의 결과로부터, 불활성 기체 충전 하에 제조된 실시예의 안약은 제조 전 과정 및 일부 과정에서 불활성 기체를 배제하고 제조된 비교예 1 및 2의 안약보다 높은 순도를 유지하고 있으며, 불순물의 함량이 매우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질소 충전 하에 제조된 실시예의 안약은 높은 순도를 유지하며 불순물의 발생을 차단해 원래의 품질과 유사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3) 저장 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안약에 대하여 5±3℃(냉장보관) 및 25℃, 상대습도 40%에서 각각 12개월 동안 저장한 후, 약물의 순도 및 불순물(티모신 β4 술폭사이드) 변화를 시험예 (1) 및 (2)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 및 5에 나타내었다.
5±3℃,
(냉장보관)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분석
항목
순도
(%)
티모신 β4
술폭사이드(%)
순도
(%)
티모신 β4
술폭사이드(%)
순도
(%)
티모신 β4
술폭사이드(%)
초기값 99.10 0.29 96.30 2.90 97.90 0.70
1개월 99.43 0.57 94.76 3.30 97.20 1.20
2 개월 99.35 0.65 95.56 4.00 99.00 0.90
3 개월 99.39 0.61 91.81 5.90 99.00 0.80
6 개월 99.28 0.72 95.18 4.00 98.10 0.90
9 개월 99.27 0.65 90.30 6.40 98.80 0.90
12 개월 99.09 0.81 94.43 3.90 98.30 0.90
25℃,
상대습도 40%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분석
항목
순도
(%)
티모신 β4
술폭사이드(%)
순도
(%)
티모신 β4
술폭사이드(%)
순도
(%)
티모신 β4
술폭사이드(%)
초기값 99.10 0.29 96.30 2.90 97.90 0.70
1개월 97.76 0.77 93.60 5.40 97.70 1.30
2 개월 96.72 0.72 90.10 5.70 95.00 1.70
3 개월 95.75 0.83 87.60 5.70 93.50 1.30
6 개월 94.38 0.99 84.70 4.50 86.30 1.60
9 개월 93.69 1.21 - - 81.60 2.00
12 개월 91.98 1.32 - - - -
상기 표 4 및 5의 결과로부터, 불활성 기체 충전 하에 제조된 실시예의 안약은 5±3℃ 및 25℃, 상대습도 40%의 조건에서 모두, 제조 직후 높은 순도 및 낮은 불순물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시간 경과에 따라 순도 및 불순물 함량의 변화가 크지 않아 12개월 경과 후에도 높은 순도 및 낮은 불순물 함량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5±3℃ 조건에서는 12개월이 경과한 후에도 99%이상의 높은 순도 및 1% 미만이 낮은 불순물 함량을 나타내었다. 반면 비교예의 안약은 5±3℃ 및 25℃, 상대습도 40%의 조건에서 모두 실시예의 안약보다 제조 직후 낮은 순도 및 높은 불순물 함량을 보였으며, 시간 경과에 따라 순도가 감소하며 불순물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질소 충전 하에 제조된 실시예의 안약은 불순물의 발생을 차단하여 오랫동안 높은 순도를 유지할 수 있어 저장 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110> G-treeBNT Co., Ltd. <120> PREPARATION OF AN OPHTHALMIC COMPOSITION COMPRISING THYMOSIN BETA 4 <130> FPD/201512-0019/C <150> KR 10/2015/0140489 <151> 2015-10-06 <160> 1 <170> KopatentIn 2.0 <210> 1 <211> 4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hymosine beta 4 <400> 1 Ser Asp Lys Pro Asp Met Ala Glu Ile Glu Lys Phe Asp Lys Ser Lys 1 5 10 15 Leu Lys Lys Thr Glu Thr Gln Glu Lys Asn Pro Leu Pro Ser Lys Glu 20 25 30 Thr Ile Glu Gln Glu Lys Gln Ala Gly Glu Ser 35 40

Claims (11)

  1. 티모신 β4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불활성 기체의 존재 하에서 용기에 봉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티모신 β4를 포함하는 안약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티모신 β4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불활성 기체의 존재 하에서 용매와 티모신 β4를 혼합하여 제조된 것이며,
    상기 티모신 β4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pH가 6.8 내지 7.2인, 티모신 β4를 포함하는 안약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활성 기체가 질소 또는 아르곤인, 티모신 β4를 포함하는 안약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티모신 β4를 포함하는 안약의 티모신 β4의 함량이 0.05 %(w/v) 내지 0.5 %(w/v)인, 티모신 β4를 포함하는 안약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유리 용기, 폴리프로필렌 용기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 용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용기인, 티모신 β4를 포함하는 안약의 제조 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pH가 염산, 아세트산 및 인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산을 사용하여 조절되는 것인, 티모신 β4를 포함하는 안약의 제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pH가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탄산수소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염기를 사용하여 조절되는 것인, 티모신 β4를 포함하는 안약의 제조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티모신 β4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필터를 통과하여 여과되는 단계를 거쳐 수득되는 것인, 티모신 β4를 포함하는 안약의 제조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봉입된 용기를 불활성 기체의 존재 하에서 파우치에 봉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티모신 β4를 포함하는 안약의 제조 방법.
  11.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안약 제품.
KR1020150182196A 2015-10-06 2015-12-18 티모신 β4를 포함하는 안약의 제조방법 KR1024876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40489 2015-10-06
KR1020150140489 2015-10-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1109A KR20170041109A (ko) 2017-04-14
KR102487614B1 true KR102487614B1 (ko) 2023-01-12

Family

ID=58487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2196A KR102487614B1 (ko) 2015-10-06 2015-12-18 티모신 β4를 포함하는 안약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44088B2 (ko)
EP (1) EP3342398A4 (ko)
JP (2) JP6996713B2 (ko)
KR (1) KR102487614B1 (ko)
HK (1) HK1256595A1 (ko)
WO (1) WO20170616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07678B (zh) * 2020-09-30 2022-11-18 辰欣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含有胸腺法新的冻干组合物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0744A (en) * 1976-02-27 1979-04-24 Smith & Nephew Pharmaceuticals Ltd. Packaging
US6271216B1 (en) * 1989-07-24 2001-08-07 Allergan Stable solution of hyaluronate in a balanced salt medium
KR19980703582A (ko) * 1995-04-04 1998-11-05 가와구치 시게키 염산 프로카테롤 수용액 제제를 보지하는 패키지 및 염산 프로카테롤 수용액 제제
EP1100529B2 (en) 1998-07-30 2010-08-25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 by the Secretary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Nat. Inst. of Health Thymosin beta 4 promotes wound repair
EA003747B1 (ru) * 1998-10-14 2003-08-28 Киова Хакко Когио Ко., Лтд. Способ стабилизации водного раствора производного пиразолоакридона
AR050360A1 (es) * 2004-07-30 2006-10-18 Otsuka Pharmaceutica Co Ltd Un frasco comprimible y un gotero ocular que utiliza el mismo
ATE498401T1 (de) * 2004-09-15 2011-03-15 Nipro Corp Wässrige, stabile (6s)-folinsäurelösung zur injektion
EP1896050A4 (en) * 2005-06-17 2010-01-27 Regenerx Biopharmaceuticals LKKTET AND / OR LKKTNT PEPTIDE METHODS AND COMPOSITIONS
ES2288118B1 (es) * 2006-05-10 2008-11-01 Bcn Peptides, S.A. Procedimiento para sintetizar timosinas.
WO2008108927A2 (en) * 2007-03-06 2008-09-12 Regenerx Biopharmaceutical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stabilizing polypeptides
PT2545939T (pt) 2007-04-11 2021-02-17 Biomarin Pharm Inc Métodos de administração de tetra-hidrobiopterina, composições associadas, e métodos de medição
JP5990880B2 (ja) * 2011-08-31 2016-09-14 東レ株式会社 有用タンパク質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256595A1 (zh) 2019-09-27
EP3342398A4 (en) 2019-03-20
WO2017061663A1 (ko) 2017-04-13
US10744088B2 (en) 2020-08-18
JP2018531905A (ja) 2018-11-01
KR20170041109A (ko) 2017-04-14
JP2020183391A (ja) 2020-11-12
EP3342398A1 (en) 2018-07-04
JP6996713B2 (ja) 2022-02-04
US20180228729A1 (en) 2018-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3008B2 (en) Lyophilized HGF preparations
US10463708B2 (en) Peptide for treating ocular diseases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ocular diseases comprising same
US10293045B2 (en) Stable liquid formulations of recombinant fusion proteins
US10071136B2 (en) Stable liquid formulations of recombinant fusion proteins
NO319174B1 (no) Lyofilisert tilberedningsform av en transglutaminase samt anvendelse av denne
JPH10212241A (ja) Bdnfを安定に含有する製剤
EP2478010B1 (en) Partial peptide of lacritin
KR20090118030A (ko) Hgf 제제
EP2496246B1 (en) Composition, method, and kit for alpha-1 proteinase inhibitor
CN1315531C (zh) 用于眼睛干燥及与眼睛干燥相关的疾病的治疗剂
KR102487614B1 (ko) 티모신 β4를 포함하는 안약의 제조방법
EP4059512A1 (en) Aqueous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fusion protein of serum albumin and growth hormone
US9254306B2 (en) Eye drops
ES2261977T3 (es) Fraccion de albumina derivada de plasma empobrecido en precalicreina.
JPH10265404A (ja) ヒト成長ホルモンを含有する医薬製剤
KR102177839B1 (ko) 만성 염증성 장 질환 치료용 또는 장 기능 개선용 조성물
EP4279066A1 (en) Ophthalmic composition including tanfanercept and exhibiting stability without use of stabilizer
AU2005200353B2 (en) Lyophilized HGF prepar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