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6012B1 - 앉은 부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마이크로니들 - Google Patents

앉은 부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마이크로니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6012B1
KR102486012B1 KR1020190079276A KR20190079276A KR102486012B1 KR 102486012 B1 KR102486012 B1 KR 102486012B1 KR 1020190079276 A KR1020190079276 A KR 1020190079276A KR 20190079276 A KR20190079276 A KR 20190079276A KR 102486012 B1 KR102486012 B1 KR 102486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needle
skin
extract
fan extract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9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3456A (ko
Inventor
장윤희
진무현
강내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90079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012B1/ko
Priority to PCT/KR2020/003351 priority patent/WO2021002561A1/ko
Publication of KR20210003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3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4Specific forms not provided for by any of groups A61K8/0208 - A61K8/1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8Araceae (Arum family), e.g. caladium, calla lily or skunk cabb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61K9/0021Intradermal administration, e.g. through microneedle arrays, needleless inj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앉은 부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을 피부에 적용하여 피부 주름 개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피부 투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앉은 부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마이크로니들{Microneedle Comprising Symplocarpus Foetidus Extract}
본 발명은 주름 개선 효과가 있는 천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 및 상기 마이크로니들을 피부에 적용하여 피부 주름 개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피부 투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름은 크게 얼굴표정을 짓는데 쓰이는 표정근에 의한 표정 주름과 전반적 혹은 국소적으로 생기는 잔주름으로 구분 할 수 있다. 표정 주름을 유발하는 근육은 신경근접합부(neuromuscular junction)의 신경세포 말단에서 분비되는 신경 전달 물질인 아세틸콜린의 작용에 의하여 수축, 이완을 하게 된다. 보톡스(Botulinum neurotoxin)는 표정 주름개선용으로 사용중인 가장 강력한 물질로, 신경세포의 시냅스 소낭(synaptic vesicle)과 시냅스 전세포(presynaptic cell)의 막 융합(membrane fusion)을 유도하여 신경전달물질의 방출을 조절하는 단백질 복합체인 SNARE(soluble Nethylmaleimide-sensitive factor attachment protein receptor; SNAP Receptor)중 SNAP-25를 절단함으로써 SNARE 복합체 형성을 차단하고 결과적으로 아세틸콜린의 방출을 막아 근육세포를 마비시킨다. 그러나, 보톡스의 작용기전은 비가역적인 SNARE 복합체의 절단이며, 독성물질이란 점 등에 의해 안전성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시됨에 따라, 보톡스의 작용기전에 관여하는 아지렐린(Argireline)과 같은 합성 펩타이드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아지렐린은 가격 대비 효과에 의문점이 있고, 합성물질이라는 약점을 가지고 있다.
표정주름과 달리 잔주름은 세포 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의 주요 구성성분인 콜라겐의 감소가 원인이라고 알려져 있다. 콜라겐은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생성되는 주요 기질 단백질로, 생체 단백질 총 중량의 약 30%를 차지한다. 콜라겐의 주된 기능으로는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결합조직의 저항력과 조직의 결합력, 세포 접착의 지탱, 세포 분할과 분화(유기체의 성장 혹은 상처 치유 시)의 유도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콜라겐은 진피 층 내의 수분 보유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질 단백질로 이러한 기질 단백질이 수분을 흡착하며, 이들이 이루는 구조 내부에 수분 보유력을 높여 피부가 적정 수분을 함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며, 이를 통해 피부의 탄력을 유지하는데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콜라겐은 연령 및 자외선 조사에 의한 광노화에 의해 감소하며, 이는 피부의 주름 형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콜라겐 합성 촉진 물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종래에 알려진 콜라겐 합성촉진 물질로는 비타민 C, 레티노익산(retinoic acid), 동물 태반 유래의 단백질, 베툴린산(betulinic acid), 클로렐라 추출물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 물질은 피부 적용시 자극, 발적 등의 안전성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거나,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한편, 피부의 각질층은, 케라틴이 풍부한 각질세포로 이루어져 있는 브릭(brick) 구조와, 이러한 각질세포 사이를 세라마이드(ceramide), 지방산(fatty acid), 또는 왁스(wax) 등과 같은 지질이 채운 모르타르(mortar)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는 장벽으로 역할하여 물질 투과성이 아주 낮은 특성을 가지게 된다. 500Da 이하의 저분자 구조 성분들만이 확산 방식에 의해서 피부 내로 전달될 수 있으며, 지질 친화성이 우수한 물질만이 피부를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주름 개선용 약물 및 효능물질을 피부를 통과하여 전달하는 것에는 많은 어려움이 존재하고, 크림 등의 제형으로 피부에 도포 시 그 효과가 미비하여 본래의 효능을 그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기존의 피부외용 조성물 보다 생체에 안전하고 효과가 높은 새로운 주름 방지 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50693호
본 발명자들은 근수축 감소 활성 및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를 가지는 앉은 부채 추출물(출원번호 10-2018-0022051)을 마이크로니들을 통해 피부에 적용하는 경우 피부의 주름 감소 효과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밝혀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근수축 감소 활성 및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를 가져 주름 감소 효과를 가지는 앉은 부채 추출물의 효능을 발휘할 수 있는 마이크로니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앉은 부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을 피부에 적용하여 피부의 주름 감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피부 투여 시스템 및 이러한 시스템을 제조하는 방법,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피부 내로 앉은 부채 추출물을 투여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앉은 부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마이크로니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앉은 부채(Symplocarpus foetidus)"는 외떡잎식물 택사목 천남성과 앉은 부채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북아메리카와 시베리아 동부, 동아시아에 분포하고, 한국에서는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산 그늘진 곳에서 자란다. 줄기는 없으며 2~4월에 잎보다 먼저 꽃이 핀다. 붉은 얼룩이 있는 주머니 같이 생긴 타원형의 꽃덮개인 불염포(佛焰苞)속에 작은 꽃이 난다. 열매는 장과이며 여름에 붉은색으로 익는다.
상기 앉은 부채는 주로 진정제, 해열제 효능을 있음이 알려져 있으나, 앉은 부채의 주름 개선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자가 최초로 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상 앉은 부채는 종류에 제한되지 않으며, 재배한 것을 사용하거나, 시중에서 구입한 것을 사용하는 등 그 출처에 제한 없이 모든 앉은 부채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앉은 부채를 언급하면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앉은 부채에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얻은 추출 결과물뿐만 아니라 앉은 부채자체를 동물에게 투여할 수 있도록 제형화(예컨대, 분말화)된 앉은 부채 가공물도 포함하는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앉은 부채 추출물을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얻는 경우에는, 다양한 추출용매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극성 용매 또는 비극성 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극성 용매로서 적합한 것은, (i) 물, (ii) 알코올(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노말-부탄올, 1-펜탄올, 2-부톡시에탄올 또는 에틸렌글리콜), (iii) 아세트산, (iv) DMFO(dimethyl-formamide) 및 (v) DMSO(dimethyl sulfoxide)를 포함한다. 비극성 용매로서 적합한 것은, 아세톤, 아세토나이트릴,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플루오로알칸, 펜탄, 헥산, 2,2,4-트리메틸펜탄, 데칸, 사이클로헥산, 사이클로펜탄, 디이소부틸렌, 1-펜텐, 1-클로로부탄, 1-클로로펜탄, o-자일렌,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2-클로로프로판, 톨루엔, 1-클로로프로판, 클로로벤젠, 벤젠, 디에틸 에테르, 디에틸 설파이드,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어닐린, 디에틸아민, 에테르, 사염화탄소 및 THF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결과물의 희석액, 이들의 농축액, 이들의 조정제물, 정제물, 분획물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포괄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앉은 부채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하는데,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앉은 부채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앉은 부채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앉은 부채 추출물은 천연, 잡종, 변종식물의 다양한 기관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뿌리, 지상부, 줄기, 잎, 꽃, 열매의 몸통, 열매의 껍질, 종자뿐만 아니라 이들의 건조물 및 가공물로부터도 추출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앉은 부채 지상부로부터 추출물을 얻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상온에서 추출하는 냉침추출법, 가열추출법, 초음파를 가하여 추출하는 초음파추출법, 환류냉각기를 이용한 환류추출법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앉은 부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마이크로니들은 피부 주름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사용된 용어 "주름"은 크게 얼굴표정을 짓는데 쓰이는 표정근에 의한 표정 주름과 전반적 혹은 국소적으로 피부가 쇠하여 생기는 잔주름으로 구분 할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름은 유전자에 의한 원인, 피부 진피에 존재하는 콜라겐의 감소, 외부 환경 등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상 주름은 표정 주름 또는 잔주름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앉은 부채 추출물은 근수축을 감소시켜 표정주름을 완화시키거나 또는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콜라겐의 총량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선"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의 주름의 증상을 완화시키것을 의미하며, “예방”은 주름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주름 생성을 지연시키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앉은 부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마이크로니들을 형성하는 물질은 피부 내에서 용해되거나 생분해성일 수 있으며, 상기 마이크로니들은 피부 적용 시 마이크로니들이 용해 또는 붕괴됨으로써 앉은 부채 추출물이 방출되며, 상기 앉은 부채 추출물이 안정적으로 피부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니들을 구성하는 물질(마이크로니들의 구조를 형성하는 생체 적합성 물질)로는 피부 내에서 용해되는 물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수용성 고분자 및 당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는 천연, 반합성, 합성 고분자 중에서 1종 이상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천연 고분자로는 젤라틴, 펙틴, 덱스트란(Dextran),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 콜라겐, 한천, 아라비아검(Arabic Gum), 잔탄검(Xanthan Gum), 아카시아검(Acacia Gum), 카라야검(Karaya Gum), 트라간트검(Traganth Gum), 구아검(Guar Gum)와 같은 검류, 카라긴산, 알긴산, 알긴산 염(예를 들어, 알긴산나트륨)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반합성 고분자로는 메틸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 에틸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히드록시 에틸셀룰로오스(Hydroxy ethyl cellulose),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Sodium carboxy methyl cellulose), 가용성 전분(Soluble Starch), 풀루란(Pullulan), 덱스트린(Dextrine), 카르복시메틸전분(Carboxy methyl starch), 디알데히드 전분(Dialdehyde starch)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합성고분자로는 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폴리비닐메타아크릴레이트(Polyvinyl methacrylate), 폴리아크릴산(Poly Acrylic acid) 및 그의 염(Salt),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Polypropylene oxide), 폴리에틸렌옥사이드와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 카르복시기(Carboxy) 함유 아크릴수지(Acryl resin), 카르복시기(Carboxy) 함유 폴리 에스테르수지(Polyester resin), 수용성 폴리아마이드(Polyamide), 수용성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및 말토덱스트린, 폴리덱스트로스와 같이 널리 알려진 범용성 합성고분자에서 선택할 수도 있고,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를 이용하여 제조한 수용성 합성 고분자를 선택할 수 있다.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로 합성된 고분자는 이온성 모노머 및 비이온성 모노머의 단일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이들의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삭제
상기 당으로는 자일로즈(xylose), 수크로스(sucrose), 말토오스(maltose), 락토오스(lactose), 트레할로스 (trehalos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니들의 구조를 형성하는 물질로 상기 수용성 고분자 외에 폴리(락타이드), 폴리(글리코라이드),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코라이드), 폴리안하이드라이드(polyanhydride), 폴리오르쏘에스테르(polyorthoester), 폴리에테르에스테르(polyetherester),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에스테르아마이드(polyesteramide), 폴리(뷰티릭 산), 폴리(발레릭 산), 폴리우레탄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와 같은 생분해성 고분자 및 폴리아크릴레이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중합체, 아크릴 치환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비-분해성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 풀루오라이드, 폴리(비닐 이미다졸),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올레핀(chlorosulphonate polyolefins),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와 같은 고분자가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마이크로니들의 피부 투과 강도, 피부 내에서의 용해속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히알루로닉산(Oligo-Hyaluronic acid), 소디움-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Na-CMC,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및 당류 (saccharide) (더욱 바람직하게는, 트레할로스(Trehalose))의 혼합물이 더욱 바람직하며, 후술하는 글리세린 (Glycerine)까지 혼합된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니들은 마이크로니들을 형성하는 상기 언급된 성분들 이외에 가소제, 계면활성제, 보존제, 항염제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plasticizer)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e), 뷰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글리세린(Glycerine) 등의 폴리올이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마이크로니들의 길이는 특정 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앉은 부채 추출물이 작용하는 부위는 각질층을 통과하여 진피층과 피하 지방 아래에 있는 근육과 신경세포이므로 마이크로니들의 길이는 마이크로니들의 가장 돌출되어, 뾰족한 끝부분을 기준으로 피부를 침투하는 길이가 250 ㎛ 내지 900㎛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 ㎛ 내지 800 ㎛,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350 ㎛ 내지 700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의 마이크로니들이 피부의 각질층을 통과하여 타깃으로 하는 부위까지 도달하기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이 포함하는 앉은 부채 추출물의 특성상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이 상기 길이 범위 내에 해당할 때, 타깃 세포에 대한 전달 효율, 생체 효소에 의한 분해에 대한 안정성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마이크로니들의 길이가 상기 길이 범위보다 더 짧을 경우 타깃 부위에 도달하기가 곤란할 수 있고, 상기 범위보다 더 길 경우에는 타깃 세포에 대한 전달보다는 체내로 흡수될 확률이 높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은 근수축 감소 활성 및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를 가져 주름 감소 효과를 가지는 앉은 부채 추출물을 마이크로니들 총 중량 대비 0.0001 내지 20 중량% 함유하며,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중량% 함유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니들 총 중량 대비 0.1 내지 5 중량%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에서 피부주름 감소효과가 우수한 마이크로니들을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함량 범위에서 마이크로니들에 포함되는 앉은 부채 추출물의 안정성이 우수하여 본 발명의 목적 달성에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 1개당 포함되는 본 발명의 앉은 부채추출물의 양은 0.0001 내지 20 mg,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mg 함유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니들 총 중량 대비 0.1 내지 5 mg 함유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를 갖는 마이크로니들을 성인 개체(50 kg 기준)의 피부 주름 감소를 위해 2일 간격으로 1회씩 투여할 수 있다.
매일 사용하는 경우보다 2일에 한번 사용하는 것이 주름개선 효능을 최대화하면서 피부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2일 간격은 1일차에 투여하고 2일차는 쉬고, 3일차에 투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마이크로니들은 주름 감소 효과를 가지는 앉은 부채 추출물을 고함량 포함할 수 있으며, 피부에 전달되는 양이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에 비해 월등히 증가된 피부 전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은 마이크로니들 총 중량 대비 1 중량% 이하의 수분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니들 내 포함된 수분의 함량이 적기 때문에 미생물에 의한 오염 발생 가능성이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은 업계의 통상적인 용해성 마이크로니들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제조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마이크로니들을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앉은 부채 추출물 배출을 조절하며, 주름 개선 효과를 갖는 앉은 부채 추출물의 피부 투과 효율이 향상된 피부 투여 방법 및 주름 개선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마이크로니들을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주름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는 기능성 화장품, 의약외품 및 의약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앉은 부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은 근수축 감소 활성 및 콜라겐 생합성 총량 증가 효과가 우수한 앉은 부채 추출물을 각질층을 통과하여 효과적으로 피부 내로 침투시킬 수 있다.
도 1은 앉은 부채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근수축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앉은 부채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콜라겐 생합성 총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은 앉은 부채 추출물 함유 마이크로니들과 앉은 부채 추출물 함유 크림의 주름개선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앉은 부채 추출물의 효능 확인>
1. 앉은 부채 추출물의 제조
대둔산에서 채집한 앉은 부채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앉은 부채를 분쇄하여 10g을 플라스크에 넣고 추출용매(증류수:메탄올 = 3:7) 100g으로 3일간 냉침하여 추출하였다. 냉침된 추출물을 0.2㎛의 기공 크기를 가진 필터로 여과하여 앉은 부채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2. 앉은 부채 추출물의 주름 개선 활성 측정
2-1: 신경근접합부(neuromuscular junction) 형성 실험과 근수축 억제 효과 측정
앉은 부채의 근수축 억제 효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마우스 유래 근육세포주 C2C12와 마우스와 랫의 하이브리드 신경세포주인 NG108-15를 공동배양 하였다.
근육세포주인 C2C12를 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각 웰당 5Х105 세포가 되도록 분주하고, 10% 소혈청 DMEM 배지 및 37℃의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를 제거하고 인산완충용액으로 1회 세척한 후 2% 말혈청 DMEM 배지로 교환하여 근육세포를 분화시켰다. 이틀 뒤 2% 말혈청 DMEM배지를 교환하고 3일간 더 배양하여 분화된 근육세포 위에 신경세포주인 NG108-15를 5×104 세포가 되도록 분주하고, 10% 소혈청 DMEM 배지 및 37℃의 조건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 후, 신경근접합부 세포모델(C2C12와 NG108-15 공동배양)의 배지를 제거하고 인산완충용액으로 1회 세척한 후, 상기 제조한 앉은 부채 추출물을 첨가한 무혈청 DMEM 배지 및 대조군으로 앉은 부채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무혈청 DMEM 배지를 2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광학현미경(Zeiss, Oberkochen, Germany)을 사용하여 물질 처리 전, 처리 2시간 후의 근수축 횟수를 측정하였는데, 근수축 횟수는 세 군데에서 30초간의 수축 횟수를 카운팅하여 평균을 내는 방법으로 구하였다.
그 결과, 도 1 및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앉은 부채 추출물은 2시간 처리 후 농도 의존적으로 근수축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앉은 부채 추출물 20ppm 에서 약 47%의 근수축 횟수 감소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Figure 112019067664463-pat00001
이는 지속적인 근육 사용에 의하여 형성되는 표정주름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2-2: 콜라겐 생합성 총량 증가 효과
앉은 부채 추출물을 인간 유래 섬유아세포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수준에서 콜라겐 생합성 총량 증가 효과를 실험하였다.
구체적으로, 증가된 콜라겐 총량의 측정은 PICP EIA kit(Procollagen Type I C-Peptide Enzyme ImmunoAssay KIT)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실험전 인간 유래 섬유아세포를 대상으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앉은 부채 추출물의 농도(㎍/ml)를 달리하여 세포독성을 MTT 시험으로 평가하였으며, 세포독성이 없는 농도를 선정(40 ppm 이하)하여 콜라겐 총량의 증가 정도를 평가하였다.
각각의 시료를 인간 섬유아세포의 배양 배지에 첨가하여 3일간 배양한 후, 배양액을 취하여 PICP EIA 키트로 각 농도에서의 콜라겐의 총량 증가 정도를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측정하였다. 효과의 비교를 위하여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섬유아세포의 배양 배지(대조군)에 대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콜라겐 총량의 증가 정도를 측정하였다. 콜라겐의 총량은 UV 흡광도로서 측정하였으며, 콜라겐 총량의 증가율은 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콜라겐 총량의 비율로 계산하고, 그 결과를 하기 도 2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2 및 표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앉은 부채 추출물은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콜라겐의 총량을 증가시키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Figure 112019067664463-pat00002
이는 콜라겐의 감소가 원인이라고 알려져 있는 잔주름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제형에 따른 효능 비교>
1. 앉은 부채 추출물이 함유된 마이크로니들의 제조
하기 표 3과 같이, 앉은 부채추출물이 함유된 마이크로니들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
oligo- Hyaluronic acid 6.0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6.0
Trehalose 10.0
Glycerin 5.0
HCO-40 0.2
앉은 부채 추출물 100% 2.0
water To 100
구체적으로 앉은 부채 추출물이 함침된 용해성(soluble) 마이크로니들은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Oligo-HA(Hyaluronic acid), Na-CMC(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및 Trehalose를 정제수에 용해한 후 Glycerin, HCO-40 및 앉은 부채추출물을 첨가하여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용액을 실리콘 마이크로니들 mold에 casting 한 후, 3000rpm에서 10분간 centrifugation 하여 미세 mold에 액을 충진하였다. 용액 충진 후 건조 오븐(70
Figure 112019067664463-pat00003
에서 3시간동안 건조하고, 접착 필름을 이용하여 마이크로니들을 silicone mold로부터 분리해 내었다.
2. 앉은 부채 추출물이 함유된 크림 제조
앉은 부채 추출물이 함침된 마이크로니들과 앉은 부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일반적인 크림의 주름개선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하기 표 4와 같이 비교 예로 일반적인 수중 유화 제형 (Oil in water) 크림에 앉은 부채 추출물을 함유하여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
C14-22알코올/C12-20알킬글루코사이드
(혼합물 C14-22알코올:C12-20알킬글루코사이드 = 80:20 중량비)
1.5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혼합물 50:50 중량비)
1.2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9
세테아릴알코올 1.5
폴리글리세릴-3메칠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 1.5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4.5
사이클로헥사실록산 3.5
카보머 0.2
트로메타민 0.2
글리세린 3.0
디프로필렌글라이콜 5.0
1,2-헥산디올 2.0
앉은 부채 추출물 2.0
정제수 To 100
3. 마이크로니들과 크림제형의 주름개선 효과 비교
구체적으로, 30 내지 45세의 건강한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상기 표 3과 같이 제조한 앉은 부채 추출물을 함유한 마이크로니들은 눈가 주름에 4주간 일주일에 2회씩 사용하게 하였다. 그리고, 상기 표 4와 같이 제조한 앉은 부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은 30 내지 45세의 건강한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눈가 주름에 1일 2회씩 4주 동안 사용하게 하였다. 주름 개선 정도는 실리콘 모사판(silicone replica) 및 주름 영상 분석 평가와 설문지 평가를 통해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3 및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9067664463-pat00004
1점: 전혀 그렇지 않다. 2점: 그렇지 않다
3점: 조금 그렇지 않다 4점: 조금 그렇다
5점: 그렇다 6점: 정말 그렇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앉은 부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마이크로니들을 사용한 그룹이 앉은 부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을 사용한 그룹에 비해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사용 4주 후 설문 평가에서 눈가 잔주름 개선과 눈가 피부가 팽팽해진 느낌(눈가 탄력)을 묻는 질문에서 마이크로니들을 사용한 그룹이 각각 평균 5.2점과 5.3점 이었으며, 크림을 사용한 그룹에서는 각각 평균 4.2점과 4.5점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앉은 부채 추출물이 마이크로니들에 의해 피부 내로 효과적으로 침투하여, 주름 개선 효과가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11)

  1. 앉은 부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수축 억제용 마이크로니들로서,
    상기 앉은 부채 추출물은 마이크로니들 총 중량 대비 0.1 내지 5 중량%로 함유되고,
    상기 마이크로니들이 피부를 침투하는 길이가 350 ㎛ 내지 700 ㎛이고,
    상기 마이크로니들은 일주일에 2회 피부에 처리되는 것이고,
    상기 마이크로니들은 피부 처리 2시간 후 근수축 횟수를 감소시키는 것인 근수축 억제용 마이크로니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앉은 부채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수축 억제용 마이크로니들.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마이크로니들을 형성하는 물질은 피부 내에서 용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수축 억제용 마이크로니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니들을 형성하는 물질은 히알루로닉산 (Hyaluronic acid), 소디움-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Na-CMC;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코올(Poly vinyl alcohol), 폴리비닐피롤리돈(Poly vinyl pyrrolidone), 당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수축 억제용 마이크로니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니들은 마이크로니들을 형성하는 물질 이외에 가소제(plasticizer)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수축 억제용 마이크로니들.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90079276A 2019-07-02 2019-07-02 앉은 부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마이크로니들 KR102486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276A KR102486012B1 (ko) 2019-07-02 2019-07-02 앉은 부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마이크로니들
PCT/KR2020/003351 WO2021002561A1 (ko) 2019-07-02 2020-03-11 앉은 부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마이크로니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276A KR102486012B1 (ko) 2019-07-02 2019-07-02 앉은 부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마이크로니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456A KR20210003456A (ko) 2021-01-12
KR102486012B1 true KR102486012B1 (ko) 2023-01-05

Family

ID=74101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276A KR102486012B1 (ko) 2019-07-02 2019-07-02 앉은 부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마이크로니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86012B1 (ko)
WO (1) WO20210025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57607B (zh) * 2021-01-30 2023-08-04 上海应用技术大学 一种微针透皮贴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2742A (ja) * 2008-06-03 2009-12-17 Noevir Co Ltd 保湿剤、抗老化剤、抗酸化剤及び皮膚外用剤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55669B2 (ja) * 1999-06-14 2008-09-24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植物の発熱関連遺伝子と発熱関連タンパク質
JP5118292B2 (ja) * 2005-06-16 2013-01-16 株式会社ロッテ 脂肪分解促進剤
KR101950693B1 (ko) 2014-07-24 2019-02-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레티놀 또는 레티놀 유도체를 함유하는 마이크로니들
KR102099326B1 (ko) * 2015-04-13 2020-04-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폴리페놀 전달용 용해성 마이크로니들
KR102517757B1 (ko) * 2015-05-13 2023-04-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사포닌 또는 사포닌 유도체를 함유한 용해성 마이크로니들 패치
KR102047461B1 (ko) * 2018-02-23 2019-11-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앉은 부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90130543A (ko) * 2019-11-15 2019-11-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앉은 부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2742A (ja) * 2008-06-03 2009-12-17 Noevir Co Ltd 保湿剤、抗老化剤、抗酸化剤及び皮膚外用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02561A1 (ko) 2021-01-07
KR20210003456A (ko) 2021-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95488B (zh) 用於刺激magp-1以改善皮膚外觀之組合物及方法
KR102222877B1 (ko) 불멸화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 풍부 배양액 및 장미꽃봉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
JP2012502020A (ja) ポリヒドロキシルテート(polyhydroxyltate)脂肪アルコールおよび誘導体を含む化粧品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
KR20180115674A (ko) 팔마리아 팔마타 및 자스민의 상승 작용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용도
JP2001513491A (ja) エラスチン合成促進のためのジンセノシドRb1の使用
EP2691074A1 (fr) Composition a base de camellia japonica et polygonum hydropiper pour protection de la peau
KR102162842B1 (ko)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17645B1 (ko) 사카로미세스 효모발효여과물, 아스파라거스줄기 추출물 및 관동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86012B1 (ko) 앉은 부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마이크로니들
KR102443283B1 (ko)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피부 장벽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JP3522609B2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及びこれを含有して成る皮膚外用剤
KR101620820B1 (ko) 진세노사이드 Rh2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79391B1 (ko) 피뿌리풀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상처를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개체의 상처를 치료하는 방법
JP2010024211A (ja) 細胞増殖促進剤
JP6364281B2 (ja) 皮膚老化予防又は改善剤
KR20220094249A (ko) 효모 배양액 내의 엑소좀의 분리방법 및 효모 유래 엑소좀을 포함하는 창상 치료용 조성물
EP3756647A1 (en) Composition containing skunk cabbage extract or fraction thereof as active ingredient for wrinkle relief
KR102260713B1 (ko) 로리오라이드 또는 세네데스무스 속 hs4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200057592A (ko) 염증성 피부질환 치료용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US20020041908A1 (en) Iridacea extracts for stimulating the immune system
KR102577970B1 (ko) 켈로이드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7054186B2 (ja) Vegf産生促進剤
KR101135193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리소포스파티딜콜린과 노루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41039B1 (ko) 애기수영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71110B1 (ko) 독활 복합오일을 포함하는 항아토피성 약학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