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5345B1 - 객체 검출 제어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차량 시스템 - Google Patents

객체 검출 제어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차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5345B1
KR102485345B1 KR1020170171747A KR20170171747A KR102485345B1 KR 102485345 B1 KR102485345 B1 KR 102485345B1 KR 1020170171747 A KR1020170171747 A KR 1020170171747A KR 20170171747 A KR20170171747 A KR 20170171747A KR 102485345 B1 KR102485345 B1 KR 102485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ject detection
fob
alarm
vehicle
outp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1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1052A (ko
Inventor
지상우
김균하
전슬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1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345B1/ko
Publication of KR20190071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객체 검출 제어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차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운전자 하차 시에 도어의 언락 상태가 검출되면 스마트키 시스템으로부터 포브의 위치를 확인하는 포브 위치 확인부, 상기 확인된 포브의 위치에 따라 차량 내 뒷좌석 영역의 객체를 감지하는 객체 감지 시스템의 제어 상태를 결정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결정에 따라 상기 객체 감지 시스템으로 온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객체 감지 시스템의 객체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경보를 출력하는 출력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객체 검출 제어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차량 시스템{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BJECT DETECTINN OBJECT, VEHICLE SYSTEM}
본 발명은 객체 검출 제어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차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뒷좌석의 객체 감지 시스템은 차량의 도어 락(LOCK) 상태에서 작동하며, 이때 레이더 센서를 구동하여 뒷좌석에 남아있는 객체를 검출한다.
하지만, 도어의 언락(UNLOCK) 상태에서 운전자가 차량을 이탈한 경우에는 후석 감지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뒷좌석에 유아 및/또는 반려동물과 같은 객체가 남아있는 경우에 운전자에게 경보를 하지 못한다. 따라서, 운전자는 차량의 도어의 언락(UNLOCK) 상태에서 차량을 이탈한 경우 뒷좌석 동승자의 존재를 알아채기 어려울 수 있으며, 혹시 알고 이탈했다고 하더라도 다른 일처리로 인해 뒷좌석 동승자의 존재를 잊어버려 차량 내에서 오랜 시간 방치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아주 덥거나 아주 추운 날씨에 차량 내에 남아있는 유아 및/또는 반려동물과 같은 객체가 오랜 시간 방치되는 경우에는 안전사고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도어 언락(UNLOCK) 상태에서 운전자가 차량을 이탈한 경우 스마트키 시스템과 연동하여 차량 내 객체 감지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여 뒷좌석 내 객체를 검출하도록 한, 객체 검출 제어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차량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도어 언락(UNLOCK) 상태에서 운전자가 차량을 이탈한 경우 차량의 뒷좌석으로부터 객체가 검출되면 차량 내 경보 시스템 및/또는 스마트키 시스템을 통해 경보를 하도록 한, 객체 검출 제어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차량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검출 제어 장치는, 운전자 하차 시에 도어의 언락 상태가 검출되면 스마트키 시스템으로부터 포브의 위치를 확인하는 포브 위치 확인부, 상기 확인된 포브의 위치에 따라 차량 내 뒷좌석 영역의 객체를 감지하는 객체 감지 시스템의 제어 상태를 결정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결정에 따라 상기 객체 감지 시스템으로 온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객체 감지 시스템의 객체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경보를 출력하는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력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 하차 시에 도어의 언락 상태가 검출되면 상기 스마트키 시스템으로 포브 위치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확인된 포브의 위치가 기준 거리를 초과하면 제1 시간 경과 후 상기 출력 제어부로 온 제어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확인된 포브의 위치가 기준 거리 이내이면 제1 시간 보다 길게 설정된 제2 시간 경과 후 상기 출력 제어부로 온 제어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객체 감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객체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뒷좌석 영역 내 객체의 검출 여부를 확인하고, 객체 검출 시 상기 출력 제어부로 경보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력 제어부는, 혼 및 차량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경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미리 등록된 사용자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력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키 시스템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력 제어부는, 상기 경보 출력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경보 강도를 단계적으로 상향 조정하여 경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력 제어부는, 경보 출력 후 경보 해제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객체 감지 시스템으로 오프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검출 제어 방법은, 운전자 하차 시에 도어의 언락 상태가 검출되면 스마트키 시스템으로부터 포브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포브의 위치에 따라 차량 내 뒷좌석 영역의 객체를 감지하는 객체 감지 시스템의 제어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객체 감지 시스템을 온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객체 감지 시스템의 객체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경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상기 운전자 하차 시에 도어의 언락 상태가 검출되면 상기 스마트키 시스템으로 포브 위치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객체 감지 시스템의 제어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된 포브의 위치가 기준 거리를 초과하면 제1 시간 경과 후 상기 객체 감지 시스템의 온 제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객체 감지 시스템의 제어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된 포브의 위치가 기준 거리 이내이면 제1 시간 보다 길게 설정된 제2 시간 경과 후 상기 객체 감지 시스템의 온 제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상기 객체 감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객체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뒷좌석 영역 내 객체의 검출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경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객체 검출이 확인되면 경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혼 및 차량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경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키 시스템 및 미리 등록된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경보 출력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경보 강도를 단계적으로 상향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경보 출력 후 경보 해제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객체 감지 시스템으로 오프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은, 스마트키 시스템, 차량 내 뒷좌석 영역의 객체를 감지하는 객체 감지 시스템, 및 운전자 하차 시에 도어의 언락 상태가 검출되면 상기 스마트키 시스템으로부터 포브의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포브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객체 감지 시스템을 온 제어하고, 상기 객체 감지 시스템의 객체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경보를 출력하는 객체 검출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도어 언락(UNLOCK) 상태에서 운전자가 차량을 이탈한 경우에도 스마트키 시스템과 연동하여 차량 내 객체 감지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여 뒷좌석 내 객체를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도어 언락(UNLOCK) 상태에서 운전자가 차량을 이탈한 경우 차량의 뒷좌석으로부터 객체가 검출되면 차량 내 경보 시스템 및/또는 스마트키 시스템을 통해 경보를 함으로써 운전자가 차량 내 남아있는 객체의 존재를 쉽게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검출 제어 장치가 적용된 차량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검출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스마트키 시스템과 연동하여 포브의 위치를 검출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객체 감지 시스템과 연동하여 뒷좌석 내 객체를 검출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검출 제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이 실행되는 컴퓨팅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검출 제어 장치가 적용된 차량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객체 검출 제어 장치(100)는 차량(10)의 내부에 구현될 수 있다. 이때, 객체 검출 제어 장치(100)는 차량(10)의 내부 제어 유닛들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어 별도의 연결 수단에 의해 차량(10)의 제어 유닛들과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객체 검출 제어 장치(100)는 차량(10)의 엔진 및 모터와 연계되어 동작할 수 있으며, 엔진이나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과 연계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검출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객체 검출 제어 장치(100)는 제어부(110), 인터페이스부(120), 센서부(130), 통신부(140), 저장부(150), 검출부(160), 포브 위치 확인부(170), 판단부(180) 및 출력 제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객체 검출 제어 장치(100)의 제어부(110), 검출부(160), 포브 위치 확인부(170), 판단부(180) 및 출력 제어부(19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로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객체 검출 제어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들 간에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20)는 운전자 및/또는 관리자로부터의 제어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입력수단과 객체 검출 제어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결과 등을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수단은 키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마우스, 조이스틱, 조그셔틀, 스타일러스 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입력수단은 디스플레이 상에 구현되는 소프트 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출력수단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피커, 혼(HORN)과 같은 음성출력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터치 센서가 디스플레이에 구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는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며, 입력수단과 출력수단이 통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ld Emission Display, FED),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30)는 운전자의 승/하차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센서부(130)는 운전자의 승/하차 상태가 감지되면 감지된 정보를 검출부(16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30)는 차량(10)의 시동 온/오프 상태, 도어의 열림/닫힘 상태 및 락(LOCK)/언락(UNLOCK) 상태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센서부(130)는 차량(10)의 시동 온/오프 상태, 도어의 열림/닫힘 상태 및 락(LOCK)/언락(UNLOCK) 상태가 감지되면 감지된 정보를 검출부(160)로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차량(10)에 구비된 전장품 및/또는 제어유닛들과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통신모듈은 차량(10)에 구비된 센서들 및/또는 차량(10)의 상태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시스템과 통신 연결되어 차량(1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만일, 통신모듈을 통해 운전자의 승/하차 상태, 도어의 열림/닫힘 상태, 락(LOCK)/언락(UNLOCK)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경우에 객체 검출 제어 장치(100) 내 센서부(130)의 구성은 생략 가능하다.
또한, 통신모듈은 차량(10) 내 스마트키 시스템(11)과 통신 연결되어 스마트키 시스템(11)으로부터 포브(FOB)(2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경보 신호를 스마트키 시스템(11)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은 차량(10) 내 객체 감지 시스템(15)과 통신 연결되어 객체 감지 시스템(15)으로 온/오프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객체 감지 시스템(15)으로부터 객체 감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모듈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 플렉스레이(Flex-Ray) 통신 등의 차량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는 미리 등록된 사용자 단말(30)과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통신모듈은 차량(10)의 뒷좌석 내 객체 검출 결과에 따른 경보 신호를 사용자 단말(3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은 사용자 단말(30)로부터 경보 해제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통신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 또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파이(Wi-Fi),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band),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저장부(150)는 객체 검출 제어 장치(10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및/또는 알고리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센서부(130)에 의해 감지된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통신부(140)를 통해 수신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는 객체 검출 제어 장치(100)의 객체 검출 제어 동작을 위한 조건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객체 검출 및 경보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 및 알고리즘이 저장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저장부(150)는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검출부(160)는 센서부(130)에 의해 감지된 정보 및/또는 통신부(140)에 의해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하차 상태, 차량(10)의 시동 오프 상태, 및/또는 도어의 락(LOCK)/언락(UNLOCK) 상태를 검출한다.
여기서, 검출부(160)는 차량(10)의 시동 오프 상태 및 운전자의 하차 상태가 검출된 상태에서 도어의 언락(UNLOCK) 상태가 검출되면, 출력 제어부(190)로 제1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출력 제어부(190)는 판단부(180)로부터 제1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제1 신호에 대응하는 포브 위치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를 통해 스마트키 시스템(11)으로 송신한다.
따라서, 스마트키 시스템(11)은 포브 위치 요청 신호에 따라 포브(FOB)(20)의 위치를 검출하고, 포브 위치 검출 정보를 통신부로 송신한다.
스마트키 시스템(11)의 포브(FOB)(20) 위치 검출 동작에 대한 실시예는 도 3a 및 도 3b의 설명을 참조한다.
먼저, 도 3a는 차량에 구비된 LF 안테나의 탐색 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 내부에는 네 개의 LF 안테나(311, 312, 313, 134)가 구비될 수 있으며, 차량(10)의 양측 도어, 예를 들어, 사이드 미러에는 두 개의 LF 안테나(315, 316)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스마트키 시스템(11)은 포브 위치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차량(10)에 배치된 각각의 LF 안테나(311 내지 316)를 통해 포브(FOB)(20)와 통신을 시도하고, 이때 각각의 LF 안테나(311 내지 316)를 통해 수신된 포브 신호의 신호 세기 값에 기초하여 포브(FOB)(20)의 위치를 검출하게 된다. 여기서, 스마트키 시스템(11)은 차량(10)으로부터 기준 거리(D) 내의 포브(FOB)(20)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도 3b는 스마트키 시스템의 통신 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1 영역(321)은 차량(10)의 실내 영역으로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의 실내 영역에 배치된 LF 안테나를 통해 포브(FOB)(2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322)은 LF 안테나 및 RF 안테나를 통해 포브(FOB)(2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영역이다. 제2 영역(322)의 최대 거리는 도 3a와 같이 차량(10)의 사이드 미러에 배치된 LF 안테나(315, 316)를 통해 통신 가능한 최대 거리, 예를 들어, 3m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키 시스템(11)은 제1 영역(321) 및/또는 제2 영역(322) 내에 포브(FOB)(20)가 존재하면, LF 안테나의 신호로부터 포브(FOB)(20)의 위치를 검출하여 객체 검출 제어 장치(100)의 통신부로 송신할 수 있다.
제3 영역(323)은 RF 안테나를 통해 포브(FOB)(2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영역이다. RF 안테나는 제3 영역(323)에 위치한 포브(FOB)(20)로부터 인증 정보 및/또는 스마트키 제어 신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키 시스템(11)은 RF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3 영역(323) 내 포브(FOB)(20)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포브(FOB)(20)의 위치 정보를 객체 검출 제어 장치(100)의 통신부로 송신할 수 있다.
포브 위치 확인부(170)는 스마트키 시스템(11)으로부터 수신된 포브 위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포브(FOB)(20) 위치를 확인한다. 일 예로, 포브 위치 확인부(170)는 포브(FOB)(20)가 차량(10)의 내부에 위치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포브 위치 확인부(170)는 차량(10)과 포브(FOB)(20) 간 거리(이하에서는 '포브 거리'라 칭하도록 한다.)가 기준 거리(D) 이내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거리(D)는 도 3b에 도시된 제2 영역(322)의 최대 거리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판단부(180)는 포브 위치 확인부(170)에 의해 확인된 포브(FOB)(20) 위치에 따라 객체 감지 시스템(15)의 온(ON) 제어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판단부(180)는 포브 거리가 기준 거리(D)를 초과하는 경우, 제1 시간(T1) 경과 후 객체 감지 시스템(15)을 온(ON) 제어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운전자가 포브(FOB)(20)를 소지한 채 차량(10)으로부터 멀리 떨어지면 포브 거리가 기준 거리(D)를 초과할 수 있다. 이 경우, 운전자가 차량(10)으로부터 오랜 시간 이탈해 있으면 차량(10)의 뒷좌석에 남아있는 유아 및/또는 반려동물과 같은 객체에 안전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제1 시간(T1) 이후 경보를 출력하여 운전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판단부(180)는 포브 거리가 기준 거리(D) 이내인 경우, 제2 시간(T2, 여기서 T2 > T1) 경과 후 객체 감지 시스템(15)을 온(ON) 제어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운전자가 포브(FOB)(20)를 소지한 채 차량(10) 근방에 위치해 있는 경우 포브 거리가 기준 거리(D) 이내일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포브(FOB)(20)를 미소지한 채 차량(10)을 이탈한 경우에도 포브 거리가 기준 거리(D) 이내일 수 있다. 이 경우, 운전자가 차량(10) 근방에 오래 머무르거나 포브(FOB)(20)를 미소지한 채 차량(10)으로부터 오랜 시간 이탈해 있으면 차량(10)의 뒷좌석에 남아있는 유아 및/또는 반려동물과 같은 객체에 안전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가 근거리에서 재 탑승할 가능성을 고려하여 제1 시간(T1) 보다 길게 설정된 제2 시간(T2) 이후 경보를 출력하여 운전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판단부(180)는 확인된 포브(FOB)(20) 위치에 따라 제1 시간(T1) 또는 제2 시간(T2) 경과 후에 출력 제어부(190)로 제2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검출부(160)는 차량(10)의 시동 오프 상태 및 운전자의 하차 상태가 검출된 상태에서 도어의 락(LOCK) 상태가 검출되면, 출력 제어부(190)로 제2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제2 신호는 객체 감지 시스템의 온(ON) 제어 요청 신호이다.
이에, 출력 제어부(190)는 검출부(160) 또는 판단부(180)로부터 제2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제2 신호에 대응하는 온(ON)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를 통해 객체 감지 시스템(15)으로 송신한다.
따라서, 객체 감지 시스템(15)은 온(ON)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10) 뒷좌석에 배치된 센서를 구동하여 뒷좌석에 남아있는 유아 및/또는 반려동물 등과 같은 객체를 감지하고, 객체 감지 정보를 통신부로 송신한다.
객체 감지 시스템(15)의 객체 감지 동작에 대한 실시예는 도 4의 설명을 참조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 내에는 뒷좌석 영역의 객체를 탐색하는 센서(16)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센서(16)는 레이더 센서인 것으로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초음파 센서 등과 같이 탐지 영역 내의 객체를 감지하는 다른 형태의 센서가 적용될 수도 있다.
객체 감지 시스템(15)은 객체 검출 제어 장치(100)로부터 온(ON)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구동되며, 이때 차량(10) 내 센서(16)를 구동한다. 객체 감지 시스템(15)은 센서(16)를 이용하여 차량(10) 내 뒷좌석 영역의 객체를 감지하고 객체 감지 정보를 객체 검출 제어 장치(100)의 통신부로 송신할 수 있다.
판단부(180)는 객체 감지 시스템(15)으로부터 수신된 객체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0)의 뒷좌석 내 객체를 인식한다. 이때, 판단부(180)는 차량(10)의 뒷좌석 내 객체가 인식되면, 출력 제어부(190)로 제3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출력 제어부(190)는 판단부(180)로부터 제3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제3 신호에 대응하는 경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출력 제어부(190)는 차량(10) 내 혼 및/또는 헤드 램프 등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으로 경보 신호를 출력하여 경보음이 출력되거나 헤드 램프가 점멸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출력 제어부(190)는 통신부를 통해 스마트키 시스템(11)으로 경보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마트키 시스템(11)은 포브(FOB)(20)로 경보 신호를 송신하여 포브(FOB)(20)를 통해 경보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출력 제어부(190)는 통신부를 통해 미리 등록된 사용자 단말(30)로 경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물론, 출력 제어부(190)는 사용자 단말(30) 외에도 미리 등록된 비상 연락 단말 및/또는 긴급 구조 기관의 단말 등으로 경보 메시지를 송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30), 비상 연락 단말 및/또는 긴급 구조 기간의 단말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 스마트 워치, 태블릿 PC, 노트북, 데스크탑 컴퓨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이때, 출력 제어부(190)는 경보 신호 출력 후 경보 해제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경보 신호의 경보 강도를 단계별로 상향 조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판단부(180)는 객체 감지 시스템(15)으로부터 수신된 객체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0)의 뒷좌석 내에서 객체가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출력 제어부(190)로 제4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출력 제어부(190)는 판단부(180)로부터 제4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제4 신호에 대응하는 오프(OFF)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를 통해 객체 감지 시스템(15)으로 송신한다. 따라서, 객체 감지 시스템(15)은 오프(OFF)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동작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객체 검출 제어 장치(100)는 메모리와 각 동작을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독립적인 하드웨어 장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마이크로프로세서나 범용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다른 하드웨어 장치에 포함된 형태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흐름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검출 제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객체 검출 제어 장치(100)는 차량(10)의 시동 오프 시(S110), 운전자의 하차 상태 및 도어 언락(UNLOCK) 상태가 검출되면(S120, S130), 객체 검출 제어 장치(100)는 차량(10) 내 스마트키 시스템(11)으로 포브(FOB)(20) 위치를 요청하고, 이때 스마트키 시스템(11)으로부터 수신된 포브 위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포브(FOB)(20)의 위치를 확인한다(S140).
객체 검출 제어 장치(100)는 확인된 포브 거리가 기준 거리(D)를 초과하면(S150), 제1 시간(T1)이 경과한 뒤(S160), 차량(10) 내 객체 감지 시스템(15)을 온(ON) 제어한다(S180).
한편, 객체 검출 제어 장치(100)는 확인된 포브 거리가 기준 거리(D) 이내이면(S150), 제2 시간(T2)이 경과한 뒤(S170), 차량(10) 내 객체 감지 시스템(15)을 온(ON) 제어한다(S180).
이때, 객체 감지 시스템(15)은 차량(10) 내 뒷좌석 영역의 객체를 검출하고 객체 검출 정보를 객체 검출 제어 장치(100)로 송신한다.
따라서, 객체 검출 제어 장치(100)는 객체 감지 시스템(15)으로부터 수신한 객체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뒷좌석 영역 내에서 객체가 검출된 것으로 확인되면(S190), 경보를 출력한다(S200). 이때, 객체 검출 제어 장치(100)는 경보 해제 조건이 만족되면(S210), 경보 출력을 종료하고 관련 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소정 시간이 경과하도록 경보 해제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경보 강도를 단계적으로 상향 조정하여 경보를 출력할 수 있다.
반면, 'S190' 과정에서 뒷좌석 영역 내에서 객체가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객체 검출 제어 장치(100)는 객체 감지 시스템(15)을 오프(off) 제어하고(S220), 관련 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객체 검출 제어 장치(100)는 운전자의 하차 상태 및 도어 락(LOCK) 상태가 검출되면(S120, S130), 즉시 차량(10) 내 객체 감지 시스템(15)을 온(ON) 제어할 수 있다(S180). 이때, 객체 감지 시스템(15)은 차량(10) 내 뒷좌석 영역의 객체를 검출하고 객체 검출 정보를 객체 검출 제어 장치(100)로 송신한다.
따라서, 객체 검출 제어 장치(100)는 객체 감지 시스템(15)으로부터 수신한 객체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뒷좌석 영역 내에서 객체가 검출된 것으로 확인되면(S190), 경보를 출력한다(S200). 이때, 객체 검출 제어 장치(100)는 경보 해제 조건이 만족되면(S210), 경보 출력을 종료하고 관련 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소정 시간이 경과하도록 경보 해제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경보 강도를 단계적으로 상향 조정하여 경보를 출력할 수 있다.
반면, 'S190' 과정에서 뒷좌석 영역 내에서 객체가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객체 검출 제어 장치(100)는 객체 감지 시스템(15)을 오프(off) 제어하고(S220), 관련 동작을 종료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이 실행되는 컴퓨팅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컴퓨팅 시스템(1000)은 버스(1200)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 메모리(13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500), 스토리지(160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300) 및 스토리지(1600)는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0)는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즉,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110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차량 11: 스마트키 시스템
15: 객체 감지 시스템 20: 포브(FOB)
30: 사용자 단말 100: 객체 검출 제어 장치
110: 제어부 120: 인터페이스부
130: 센서부 140: 통신부
150: 저장부 160: 검출부
170: 포브 위치 확인부 180: 판단부
190: 출력 제어부

Claims (20)

  1. 운전자 하차 시에 도어의 언락 상태가 검출되면 스마트키 시스템으로부터 포브의 위치를 확인하는 포브 위치 확인부;
    상기 확인된 포브의 위치에 따라 차량 내 뒷좌석 영역의 객체를 감지하는 객체 감지 시스템의 제어 상태를 결정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결정에 따라 상기 객체 감지 시스템으로 온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객체 감지 시스템의 객체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경보를 출력하는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확인된 포브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를 초과하면 미리 설정된 제1 시간 경과 후 상기 출력 제어부로 온 제어 요청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확인된 포브의 위치가 상기 기준 거리 이내이면 상기 제1 시간 보다 길게 설정된 제2 시간 경과 후 상기 출력 제어부로 온 제어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검출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 하차 시에 도어의 언락 상태가 검출되면 상기 스마트키 시스템으로 포브 위치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검출 제어 장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객체 감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객체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뒷좌석 영역 내 객체의 검출 여부를 확인하고, 객체 검출 시 상기 출력 제어부로 경보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검출 제어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부는,
    혼 및 차량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경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검출 제어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미리 등록된 사용자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검출 제어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키 시스템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검출 제어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부는,
    상기 경보 출력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경보 강도를 단계적으로 상향 조정하여 경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검출 제어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부는,
    경보 출력 후 경보 해제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객체 감지 시스템으로 오프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검출 제어 장치.
  11. 운전자 하차 시에 도어의 언락 상태가 검출되면 스마트키 시스템으로부터 포브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포브의 위치에 따라 차량 내 뒷좌석 영역의 객체를 감지하는 객체 감지 시스템의 제어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객체 감지 시스템을 온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객체 감지 시스템의 객체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경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 감지 시스템의 제어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된 포브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를 초과하면 제1 시간 경과 후 상기 객체 감지 시스템의 온 제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포브의 위치가 상기 기준 거리 이내이면 상기 제1 시간 보다 길게 설정된 제2 시간 경과 후 상기 객체 감지 시스템의 온 제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검출 제어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하차 시에 도어의 언락 상태가 검출되면 상기 스마트키 시스템으로 포브 위치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검출 제어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객체 감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객체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뒷좌석 영역 내 객체의 검출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경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객체 검출이 확인되면 경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검출 제어 방법.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경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혼 및 차량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경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검출 제어 방법.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경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키 시스템 및 미리 등록된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검출 제어 방법.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경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경보 출력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경보 강도를 단계적으로 상향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검출 제어 방법.
  19. 청구항 11에 있어서,
    경보 출력 후 경보 해제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객체 감지 시스템으로 오프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검출 제어 방법.
  20. 스마트키 시스템;
    차량 내 뒷좌석 영역의 객체를 감지하는 객체 감지 시스템; 및
    운전자 하차 시에 도어의 언락 상태가 검출되면 상기 스마트키 시스템으로부터 포브의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포브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객체 감지 시스템을 온 제어하고, 상기 객체 감지 시스템의 객체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경보를 출력하는 객체 검출 제어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스템.
KR1020170171747A 2017-12-14 2017-12-14 객체 검출 제어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차량 시스템 KR102485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747A KR102485345B1 (ko) 2017-12-14 2017-12-14 객체 검출 제어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차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747A KR102485345B1 (ko) 2017-12-14 2017-12-14 객체 검출 제어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차량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052A KR20190071052A (ko) 2019-06-24
KR102485345B1 true KR102485345B1 (ko) 2023-01-05

Family

ID=67055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1747A KR102485345B1 (ko) 2017-12-14 2017-12-14 객체 검출 제어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차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3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4335A (ja) * 2004-06-01 2005-12-15 Fujitsu Ten Ltd ドアロック制御システム、ドアロック制御装置およびドアロック制御方法
JP2017007453A (ja) * 2015-06-19 2017-01-1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動体検知警告装置
JP2017149309A (ja) * 2016-02-25 2017-08-3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車両用セキュリティ装置及び車両用後付け部材
KR101792949B1 (ko) * 2016-06-10 2017-11-01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탑승자 보호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4335A (ja) * 2004-06-01 2005-12-15 Fujitsu Ten Ltd ドアロック制御システム、ドアロック制御装置およびドアロック制御方法
JP2017007453A (ja) * 2015-06-19 2017-01-1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動体検知警告装置
JP2017149309A (ja) * 2016-02-25 2017-08-3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車両用セキュリティ装置及び車両用後付け部材
KR101792949B1 (ko) * 2016-06-10 2017-11-01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탑승자 보호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052A (ko) 201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8294B2 (en) System for indicating vehicle presence and method thereof
US1051020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ands free operation of at least one vehicle door
US10308243B2 (en) Vehicle remote park assist with occupant detection
US10999718B2 (en) Vehicle function control device and vehicle function control system
US9536364B2 (en) Vehicle integration of BLE nodes to enable passive entry and passive start features
US10507794B2 (e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control
US8710972B2 (en) System for alarming upon occurrence of secession of smart key for vehicles
CN108140296B (zh) 报告系统
CN110834601B (zh) 遥控器、与其通信的车辆以及控制车辆的方法
US9783160B2 (en) Door unlocking system
US9396597B2 (en) Smart entry system
US11040657B2 (en) Vehicle control system and vehicle control device
US10793106B2 (en) Automobile tracking and notification device and service
US108157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ands free operation of at least one vehicle door
JP2008502981A (ja) 近距離チェック付帯無線識別
CN108602490A (zh) 车载设备及车辆安全系统
EP2927897A1 (en) Electronic notificatio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20240034270A1 (en) Vehicl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KR102485345B1 (ko) 객체 검출 제어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차량 시스템
US20200290562A1 (en) Vehicle control device
US10953795B2 (en) Vehicle control device and vehicle control method
US1064725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terminal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160133222A (ko) 차주를 인식할 수 있는 블랙박스 장치
KR20240094878A (ko) 테일 게이트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테일 게이트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40082841A (ko) 차량 자동 잠금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