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4764B1 - 하이브리드 열교환 패드, 하이브리드 열교환 패드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열교환 모듈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열교환 패드, 하이브리드 열교환 패드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열교환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4764B1
KR102484764B1 KR1020220052121A KR20220052121A KR102484764B1 KR 102484764 B1 KR102484764 B1 KR 102484764B1 KR 1020220052121 A KR1020220052121 A KR 1020220052121A KR 20220052121 A KR20220052121 A KR 20220052121A KR 102484764 B1 KR102484764 B1 KR 102484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
hybrid heat
exchange module
damper
hybr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2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동안
박인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052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7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5/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using the cooling effect of natural or forced evaporation
    • F28D5/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using the cooling effect of natural or forced evaporation in which the evaporating medium flows in a continuous film or trickles freely over the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having portions engaging further tubula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28F13/18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pplying coatings, e.g. radiation-absorbing, radiation-reflecting; by surface treatment, e.g. polis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1/00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28F21/08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of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7/00Control arrangements or 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45/00Coatings; Surface treatments
    • F28F2245/02Coatings; Surface treatments hydrophil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45/00Coatings; Surface treatments
    • F28F2245/04Coatings; Surface treatments hydrophob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핀 튜브 조립체가 수용되는 열교환패드 몸체와, 열교환패드 몸체로 물을 공급하는 증발수 공급부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열교환패드와, 이러한 하이브리드 열교환패드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열교환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열교환 패드, 하이브리드 열교환 패드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열교환 모듈{Hybrid heat exchange pad, Hybrid heat exchange module including hybrid heat exchange pad}
본 발명은 사용자가 증발을 이용한 냉각 또는 열교환기를 이용한 온도제어를 선택 사용 가능한 하이브리드 열교환 패드와, 하이브리드 열교환 패드를 포함하는 열교환 모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냉각 패드는 단순히 부직포에 흡수된 물을 증발시켜 공기의 온도를 낮추는 형태를 가졌다.
그러나, 이러한 냉각패드는 습도가 높아 물의 증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운 하절기에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젖어있는 부직포에 세균이 번식하여 오염되는 문제점 또한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습도가 높아 증발냉각 방식으로 온도 조절이 어려운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7-104047호(명칭: 기화열 방식의 냉각용 패드의 구조, 공개일: 2017.06.15)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0-136643호(명칭: 닭장의 공냉 장치, 공개일: 2010.06.24)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변계 상황에 맞춰 온도조절 방식을 조절 가능한 하이브리드 열교환패드 및 하이브리드 열교환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하이브리드 열교환패드는, 핀 튜브 조립체(111)가 수용되는 열교환패드 몸체(110); 상기 열교환패드 몸체(110)로 물을 공급하는 증발수 공급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핀 튜브 조립체(111)는 열교환패드 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체결홀(111-1A)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핀(111-1); 상기 체결홀(111-1A)에 끼워지고 냉매가 이송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튜브(1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핀(111-1)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상기 핀(111-1)은 초친수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튜브(111-2)는 발수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증발수 공급부(120)는 물이 공급되는 증발수 공급관(121);
상기 증발수 공급관(121)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핀 튜브 조립체(111)에 분배 공급하는 증발수 분배 공급수단(1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하이브리드 열교환패드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열교환 모듈은, 상기 하이브리드 열교환패드(100) 두께방향 일측에 결합되는 열교환 모듈 하우징(200); 상기 열교환 모듈 하우징(200)에 결합되어 공기 유입을 조절하는 댐퍼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댐퍼부(300)는 공기유입 통로를 형성하는 댐퍼 하우징(301); 상기 댐퍼 하우징(301)에 힌지 결합되어 공기유입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수단(30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댐퍼부(300)는 상기 열교환 모듈 하우징(200)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 댐퍼(310); 상기 열교환 모듈 하우징(200)에 상기 하이브리드 열교환패드(100)와 마주보며 이격 배치되는 측면 댐퍼(320); 상기 열교환 모듈 하우징(200)의 하측에 결합되는 하부 댐퍼(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핀 튜브 조립체(111)가 수용되는 열교환패드 몸체(110); 및 상기 열교환패드 몸체(110) 표면으로 물을 공급하는 증발수 공급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핀 튜브 조립체(111)는 열교환패드 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체결홀(111-1A)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핀(111-1)과, 상기 체결홀(111-1A)에 끼워지고 냉매가 이송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튜브(111-2);를 포함하고, 상기 핀(111-1)에는 체결홀(111-1A)을 연장하여 튜브(111-2)와의 접촉면적을 넓히는 복수개의 접촉면적 확장 립(111-1B)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면적 확장 립(111-1B)은 상하 길이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고, 상기 핀(111-1)의 하측에 위치되는 물받이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받이 플레이트에는 하중감지센서가 구비되어, 하중감지센서에서 설정된 수치 이상의 하중이 감지되면 제어부에서 증발수 공급부(120)를 통한 물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이브리드 열교환패드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열교환 모듈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열교환패드는, 핀 튜브 조립체(111)가 수용되는 열교환패드 몸체(110); 및 상기 열교환패드 몸체(110) 표면으로 물을 공급하는 증발수 공급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증발수 공급부(120)는 물이 공급되는 증발수 공급관(121)과, 상기 증발수 공급관(121)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핀 튜브 조립체(111)에 분배 공급하는 증발수 분배 공급수단(122)을 포함하고, 상기 분배 공급수단(122)은 핀 튜브 조립체(111) 상측에 위치되는 분배 플레이트(122-1)와, 분배 플레이트(122-1) 상에 상하방향으로 천공되는 복수개의 분배 홀(122-2)을 포함하고, 상기 핀 튜브 조립체(111)는 열교환패드 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체결홀(111-1A)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핀(111-1)과, 상기 체결홀(111-1A)에 끼워지고 냉매가 이송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튜브(111-2);를 포함하고, 상기 핀(111-1)에는 체결홀(111-1A)을 연장하여 튜브(111-2)와의 접촉면적을 넓히는 복수개의 접촉면적 확장 립(111-1B)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면적 확장 립(111-1B)은 상하 길이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고, 상기 접촉면적 확장 립(111-1B)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핀(111-1)의 하측에 위치되는 물받이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받이 플레이트에는 하중감지센서가 구비되어, 하중감지센서에서 설정된 수치 이상의 하중이 감지되면 제어부에서 분배 홀(122-2)을 폐쇄하여 증발수 공급부(120)를 통한 물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핀(111-1)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되, 표면에 스크래치를 형성 후 폴리실리잔 용액에 담그는 공정을 통해 표면이 초친수 코팅되고, 상기 하이브리드 열교환 모듈은, 상기 하이브리드 열교환패드(100) 두께방향 일측에 결합되는 열교환 모듈 하우징(200); 상기 열교환 모듈 하우징(200)에 결합되어 공기 유입을 조절하는 댐퍼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인 하이브리드 열교환패드는, 증발냉각을 이용한 온도제어와 냉매를 이용한 온도제어를 선택 사용 가능하므로, 주변계 환경조건에 맞춰 최적화된 형태로 온도제어 방법을 조절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핀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핀에 공급되는 물로 인한 오염을 최소화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핀이 초친수 코팅되므로 물이 넓게 퍼져 증발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댐퍼를 조절하여 온도 조절에 사용되는 공기를 실내 또는 실외공기로 선택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하이브리드 열교환패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하이브리드 열교환패드를 나타낸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인 하이브리드 열교환패드의 핀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하이브리드 열교환패드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열교환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하이브리드 열교환패드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열교환 모듈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열교환패드(100)와, 하이브리드 열교환 패드(100)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열교환 모듈(1000)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하이브리드 열교환패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하이브리드 열교환패드를 나타낸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하이브리드 열교환패드의 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하이브리드 열교환패드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열교환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하이브리드 열교환패드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열교환 모듈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하이브리드 열교환패드(100)는 핀 튜브 조립체(111)가 수용되는 열교환패드 몸체(110)와, 열교환패드 몸체(110)로 물을 공급하는 증발수 공급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종래의 온도 제어는 냉각패드를 통한 증발 또는 열교환기를 통한 온도제어를 통해 이루어 졌지만, 냉각패드의 경우 주변계 습도가 높은 경우 물 증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해 실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고, 열교환기의 경우 장치 작동에 많은 에너지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두 가지 방식을 결합하여 사용자가 상황에 맞춰 최적화된 온도조절 방법을 선택 사용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장치의 작동은 증발 방식으로 공기를 냉각할 경우 상기 증발수 공급부(120)에서 열교환패드 몸체(110)내부에 수용된 핀 튜브 조립체(111)로 물을 공급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열교환 방식을 이용한 온도 제어는 핀 튜브 조립체(111)를 구성하는 튜브로 냉매를 순환시키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핀 튜브 조립체(111)는 열교환패드 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체결홀(111-1A)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핀(111-1)과, 상기 체결홀(111-1A)에 끼워지고 냉매가 이송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튜브(1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핀(111-1)이 체결홀(111-1A)이 서로 마주보도록 두께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튜브(111-2)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체결홀(111-1A)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어, 튜브(111-2)를 통해 냉매를 순환시키면 핀(111-1)과 튜브(111-2)가 열교환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핀(111-1)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홀(111-1A)을 연장하고 튜브(111-2)와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한 접촉면적 확장 립(111-1B)이 형성되는 것을 권장한다.
그리고, 상기 접촉면적 확장 립(111-1B)은 상기 핀(111-1)에 복수개가 형성되되 서로 인접한 접촉면적 확장 립(111-1B)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공기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며 핀 튜브 조립체(111)를 통과 시 와류를 형성하여 열교환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권장하고, 접촉면적 확장 립(111-1B) 외주면에는 표면적을 보다 확장하고 와류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조하기 위한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도면 상에는 상기 확장 립(111-1B)이 좌우 너비방향으로만 어긋나게 배치되고 상하 길이방향으로 정렬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확장 립(111-1B)을 상하 길이방향으로도 어긋나게 배치할 경우 표면을 타고 흐르는 물이 이동하는 경로를 극대화 하여 증발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증발수 공급부(120)는 물이 공급되는 증발수 공급관(121)과, 상기 증발수 공급관(121)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핀 튜브 조립체(111)에 분배 공급하는 증발수 분배 공급수단(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물의 증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선 물이 보다 넓게 펼쳐진 상태여야 하므로, 도 2에 도시되 바와 같이 증발수 공급관(121)을 통해 공급된 물을 상기 분배 공급수단(122)이 핀 튜브 조립체(111)로 분배 공급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분배 공급수단(12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핀 튜브 조립체(111) 상측에 위치되는 플레이트 타입의 분배 플레이트(122-1)와, 상기 분배 플레이트(122-1) 상에 상하방향으로 천공되는 복수개의 분배 홀(122-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수 공급관(121)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낙하한 물이 분배 플레이트(122-1)로 공급되면, 공급된 물이 분배 플레이트(122-1)에 형성된 분배 홀(122-2)을 거쳐 핀 튜브 조립체(111)로 분배 공급되는 것이다.
본 발명인 하이브리드 열교환패드(100)는 증발 방식으로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핀 튜브 조립체(111)에 물 공급 시 발생할 수 있는 오염(미생물 번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핀(111-1)이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권장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종래에 증발냉각 방식으로 온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되던 냉각패드의 경우 부직포와 같은 섬유에 물을 공급하여 적시고, 이러한 부직포에 바람을 인가하여 증발 냉각을 진행하였으나, 이러한 형태의 경우 젖어있는 섬유에서 세균/곰팡이가 번식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핀(111-1)을 금속 재질로 형성하여 미생물이 번식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핀(111-1)은 초친수 코팅되고, 상기 튜브(111-2)는 발수코팅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핀(111-1)에서의 증발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핀(111-1)에 물이 넓게 퍼져있어야 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핀(111-1)의 초친수 코팅하여 젖음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상기 증발수 공급부(120)에서 공급된 물이 넓게 퍼져 증발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튜브(111-2)의 경우 냉매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물 입자가 튜브(111-2) 표면에서 얼어붙을 경우 장치의 열교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발수처리를 통해 튜브(111-2) 표면에 형성된 물방울이 낙하 제거되어 성에가 끼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핀(111-1) 표면에 이루어지는 초친수 코팅은 핀(111-1)을 샌드블라스트 공정을 통해 핀(111-1) 표면에 나노 내지 마이크로 사이즈의 스크래치를 형성한 후, 폴리실라잔 또는 퍼 하이드로 폴리실라잔 용액에 담그는 디핑공정을 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면 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핀(111-1)의 하측 단부에는 물받이 플레이트가 수직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물받이 플레이트에는 수분감지센서 또는 하중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수분감지센서 또는 하중감지센서에서 설정된 수치 이상의 수분 또는 하중이 감지되면 제어부에서 상기 증발수 공급부(120)를 통한 물 공급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핀(111-1)을 알루미늄(AL)과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 시 물이 핀(111-1) 표면을 타고 하측으로 흘러내리고, 이렇게 흘러내린 물이 고이면 장치의 부식/미생물 번식/누수 등의 다양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물 공급이 지나치게 이루어진 것이 확인되면 제어장치에서 증발수 공급관(121)으로 물 공급을 차단하거나, 분배 플레이트(122-1)의 분배 홀(122-2)을 폐쇄하여 물이 과잉 공급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하이브리드 열교환패드(100)와, 하이브리드 열교환패드(100) 두께방향 일측에 결합되는 열교환 모듈 하우징(200)과, 상기 열교환 모듈 하우징(200)에 결합되어 공기 유입을 조절하는 댐퍼부(300)가 모여 하이브리드 열교환 모듈(1000)을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온도조절 방식은 사용자의 목적 및 주변환경 조건에 따라 어떠한 상황에서는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는 방식이 효율적이고, 다른 상황에서는 외기를 유입받는 방식이 효율적일 수 있으므로, 상기 열교환 모듈 하우징(200) 상에 복수개의 댐퍼부(300)를 결합하여 온도 조절이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댐퍼부(300)는 상기 열교환 모듈 하우징(200)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 댐퍼(310)와, 상기 열교환 모듈 하우징(200)에 상기 하이브리드 열교환패드(100)와 마주보며 이격 배치되는 측면 댐퍼(320)와, 상기 열교환 모듈 하우징(200)의 하측에 결합되는 하부 댐퍼(3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외기를 유입받아 온도를 조절할 경우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 댐퍼(320)를 개방함과 동시에 상기 상부 댐퍼(310) 및 하부 댐퍼(330)를 폐쇄하고, 실내 공기를 순환시켜 온도를 조절할 경우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 댐퍼(320)를 폐쇄함과 동시에 상기 상부 댐퍼(310)와 하부 댐퍼(33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개방하는 것이다.
이때, 도면 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외기의 유입 및 내기의 순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하이브리드 열교환패드 전면에는 팬이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댐퍼(310, 320, 330)는 공기유입 통로를 형성하는 댐퍼 하우징(301)과, 상기 댐퍼 하우징(301)에 힌지 결합되어 공기유입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수단(302)을 포함할 수 있고, 개폐수단(302)의 작동은 수동으로 조절될 수 있으나 댐퍼 하우징(301)에 결합된 개폐제어 스위치(303)를 작동시키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하이브리드 열교환패드 110 : 열교환패드 몸체
111 : 핀 튜브 조립체 111-1 : 핀
111-1A : 체결홀 111-2 : 튜브
120 : 증발수 공급부 121 : 증발수 공급관
122 : 증발수 분배 공급수단
200 : 열교환 모듈 하우징
300 : 댐퍼부 301 : 댐퍼 하우징
302 : 개폐수단 310 : 상부 댐퍼
320 : 측면 댐퍼 330 : 하부 댐퍼

Claims (9)

  1. 하이브리드 열교환패드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열교환 모듈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열교환패드는,
    핀 튜브 조립체(111)가 수용되는 열교환패드 몸체(110); 및
    상기 열교환패드 몸체(110) 표면으로 물을 공급하는 증발수 공급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증발수 공급부(120)는 물이 공급되는 증발수 공급관(121)과, 상기 증발수 공급관(121)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핀 튜브 조립체(111)에 분배 공급하는 증발수 분배 공급수단(122)을 포함하고,
    상기 분배 공급수단(122)은 핀 튜브 조립체(111) 상측에 위치되는 분배 플레이트(122-1)와, 분배 플레이트(122-1) 상에 상하방향으로 천공되는 복수개의 분배 홀(122-2)을 포함하고,
    상기 핀 튜브 조립체(111)는 열교환패드 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체결홀(111-1A)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핀(111-1)과, 상기 체결홀(111-1A)에 끼워지고 냉매가 이송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튜브(111-2);를 포함하고,
    상기 핀(111-1)에는 체결홀(111-1A)을 연장하여 튜브(111-2)와의 접촉면적을 넓히는 복수개의 접촉면적 확장 립(111-1B)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면적 확장 립(111-1B)은 상하 길이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고,
    상기 접촉면적 확장 립(111-1B)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핀(111-1)의 하측에 위치되는 물받이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받이 플레이트에는 하중감지센서가 구비되어, 하중감지센서에서 설정된 수치 이상의 하중이 감지되면 제어부에서 분배 홀(122-2)을 폐쇄하여 증발수 공급부(120)를 통한 물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핀(111-1)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되, 표면에 스크래치를 형성 후 폴리실리잔 용액에 담그는 공정을 통해 표면이 초친수 코팅되고,
    상기 하이브리드 열교환 모듈은,
    상기 하이브리드 열교환패드(100) 두께방향 일측에 결합되는 열교환 모듈 하우징(200);
    상기 열교환 모듈 하우징(200)에 결합되어 공기 유입을 조절하는 댐퍼부(300);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열교환 모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111-2)는 발수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열교환 모듈.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300)는 공기유입 통로를 형성하는 댐퍼 하우징(301);
    상기 댐퍼 하우징(301)에 힌지 결합되어 공기유입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수단(302);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열교환 모듈.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300)는 상기 열교환 모듈 하우징(200)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 댐퍼(310);
    상기 열교환 모듈 하우징(200)에 상기 하이브리드 열교환패드(100)와 마주보며 이격 배치되는 측면 댐퍼(320);
    상기 열교환 모듈 하우징(200)의 하측에 결합되는 하부 댐퍼(330);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열교환 모듈.
KR1020220052121A 2022-04-27 2022-04-27 하이브리드 열교환 패드, 하이브리드 열교환 패드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열교환 모듈 KR102484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121A KR102484764B1 (ko) 2022-04-27 2022-04-27 하이브리드 열교환 패드, 하이브리드 열교환 패드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열교환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121A KR102484764B1 (ko) 2022-04-27 2022-04-27 하이브리드 열교환 패드, 하이브리드 열교환 패드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열교환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4764B1 true KR102484764B1 (ko) 2023-01-06

Family

ID=84923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2121A KR102484764B1 (ko) 2022-04-27 2022-04-27 하이브리드 열교환 패드, 하이브리드 열교환 패드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열교환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476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97A (ja) * 1997-06-13 1999-01-0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熱交換器
JP2008209070A (ja) * 2007-02-27 2008-09-11 Toho Gas Co Ltd 熱交換器および密閉式冷却塔
JP2009180402A (ja) * 2008-01-29 2009-08-13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加湿器、熱交換器、加湿方法
KR20100136643A (ko) 2009-06-19 2010-12-2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얼굴인식 시스템을 이용한 실종자 찾기 방법
KR101518553B1 (ko) * 2013-05-16 2015-05-15 이동욱 전자동 시스템 냉풍기
KR20170104047A (ko) 2016-03-03 2017-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KR20170135283A (ko) * 2016-05-31 2017-12-0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이브리드 공기조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97A (ja) * 1997-06-13 1999-01-0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熱交換器
JP2008209070A (ja) * 2007-02-27 2008-09-11 Toho Gas Co Ltd 熱交換器および密閉式冷却塔
JP2009180402A (ja) * 2008-01-29 2009-08-13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加湿器、熱交換器、加湿方法
KR20100136643A (ko) 2009-06-19 2010-12-2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얼굴인식 시스템을 이용한 실종자 찾기 방법
KR101518553B1 (ko) * 2013-05-16 2015-05-15 이동욱 전자동 시스템 냉풍기
KR20170104047A (ko) 2016-03-03 2017-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KR20170135283A (ko) * 2016-05-31 2017-12-0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이브리드 공기조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18191B (zh) 冰箱及其果菜盒
KR101881085B1 (ko) 이동형 냉난방기
US20080041087A1 (en) Hybrid dry cooler heat exchange with water-droplet slit and water-droplet splitting louver for heat exchangers with primarily latent heat transfer
CN105546919B (zh) 风道系统及冰箱
KR102484764B1 (ko) 하이브리드 열교환 패드, 하이브리드 열교환 패드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열교환 모듈
US20120118535A1 (en) Chilled Beam Air Conditioning System
KR102273532B1 (ko) 백연과 얼음 발생을 줄이는 대향류형 유도송풍식 냉각탑
JP2016169903A (ja) 冷凍装置
JP3002620B2 (ja) 吸収冷温水機
KR101913720B1 (ko) 하이브리드 공기조화 시스템
JP2004239487A (ja) 冷蔵庫
KR100526758B1 (ko) 하이브리드 냉각탑
JP2004197988A (ja) 冷暖房装置
US8006962B2 (en) Humidifier with louvered air intake
JP2007205633A (ja) 冷凍・冷蔵ケース
KR200254476Y1 (ko) 공기조화기용 엘리미네이터
CN208458160U (zh) 冷风扇
JP2002333174A (ja) 気化式加湿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
JP2008128595A (ja) 凝縮器の補助冷却装置
JP4458691B2 (ja) 空気調和装置
KR200315236Y1 (ko) 하이브리드 냉각탑
KR20200027781A (ko) 열교환기
JPH05280888A (ja) 冷却塔
KR100917152B1 (ko) 재생 증발식 냉방기
KR102286561B1 (ko) 백연과 얼음 발생을 줄이는 대향류형 압입송풍식 냉각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