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4534B1 - 친환경 lmc 조성물의 생산 및 이를 이용한 교면 또는 도로면의 콘크리트 포장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lmc 조성물의 생산 및 이를 이용한 교면 또는 도로면의 콘크리트 포장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4534B1
KR102484534B1 KR1020220095818A KR20220095818A KR102484534B1 KR 102484534 B1 KR102484534 B1 KR 102484534B1 KR 1020220095818 A KR1020220095818 A KR 1020220095818A KR 20220095818 A KR20220095818 A KR 20220095818A KR 102484534 B1 KR102484534 B1 KR 102484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mc
bridge
composition
vinyl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5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풍식
손세현
Original Assignee
(주)국민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국민산업 filed Critical (주)국민산업
Priority to KR1020220095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5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35Toppings or surface dressings; Methods of mixing, impregnating, or spread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14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calcium sulfate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02Portland 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24Cements from oil shales, residues or waste other than sla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32Aluminous cements
    • C04B7/323Calcium aluminosulfate cements, e.g. cements hydrating into ettringit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12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 E01C23/122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with power-driven tools, e.g. oscillated hammer apparatu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12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 E01C23/128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with hydroje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cement or like binders
    • E01C7/14Concrete paving
    • E01C7/147Repairing concrete pavings, e.g. joining cracked road sections by dowels, applying a new concrete cove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 E01C7/26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mixed with other materials, e.g. cement, rubber, leather, fibre
    • E01C7/265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mixed with other materials, e.g. cement, rubber, leather, fibre with rubber or synthetic resin, e.g. with rubber aggregate, with synthetic resin bind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친환경 LMC 조성물을 이용한 교면 또는 도로면의 콘크리트 포장 시공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교면 또는 도로면의 콘크리트 포장 시공 방법은 교면 또는 도로면을 절삭하는 단계와, 절삭된 교면 또는 도로면에 쇼트 블라스트 또는 워터 블라스트 작업을 하여 교면 또는 도로면을 표면 정리하는 단계와, 표면 정리된 교면 또는 도로면의 잔재물을 고압수로 청소하는 물청소 단계와, 물청소 단계를 마친 교면 또는 도로면을 비닐로 덮어 표면 건조 포화 상태를 유지시키는 단계와, 표면 건조 포화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교면 또는 도로면 양측에 레일 받침대 및 레일을 설치하는 단계와, 현장 조건에 따라 만들어진 수정 배합표에 따라 LMC 조성물을 모바일 믹서로 생산하여, 교면 또는 도로면의 비닐을 벗기면서, 생산된 LMC 조성물을 교면 또는 도로면에 포설하는, LMC 조성물 생산 및 포설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친환경 LMC 조성물의 생산 및 이를 이용한 교면 또는 도로면의 콘크리트 포장 시공 방법{Production of eco-friendly LMC and concrete pavement construction method for bridge or roa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교면 또는 도로면 보수를 위한 콘크리트 포장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현장 배합에 의해 친환경 LMC(Latex Modified concrete) 조성물을 생산하여, 도로면 또는 교면에 포장 시공하는, 친환경 LMC를 이용한 교면 또는 도로면의 콘크리트 포장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교량의 교면 또는 도로면의 아스콘 또는 콘크리트 포장이 노후화되거나 파손되면, 교면 또는 도로면의 보수를 위해, 기존 아스콘 또는 콘크리트 포장을 걷어내고, 새롭게 재포장 시공을 한다. 종래의 포장 재시공 방법은 아스콘 포장 제거 후, 콘크리트 균열을 확인 후, 필요한 경우, 균열 보수를 하고, 방수처리를 한 후, 방수층(또는, 방수포)을 깔며, 그 위에 아스팔트 콘크리트 또는 투수성 아스팔트 콘크리트 시공을 한다. 이와 같은 기술은 투수성 포장이므로 교량 바닥판과 철근 콘크리트를 보호하기 위하여 교면 포장에 앞서 방수층을 깔아야 하고, 따라서, 시공이 어렵고,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기술적 과점에서, 위와 같은 기존 재포장 방식은 포장층의 균열 및 공극을 통해 침투한 수분이 방수층과 포장층 사이에 장기간 체류할 수밖에 없고, 침투한 수분이 아스팔트 및 골재의 접착력을 약화시켜 포장에 균열 또는 포트홀을 발생시켜 교량상판의 열화를 가속화시키기 된다. 또한, 위와 같은 같은 기존 재포장 방식은 포장용 조성물을 생산하는 주체와 재포장 시공 주체를 일원화하기 어려워 품질관리에 대한 책임소재가 불분명해질 우려가 높다.
더 나아가, 전술한 기존의 방법은, 교량 상판 보수에 적용함에 있어서,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양생 시간이 불충분하고, 지속적인 수화열 발생으로 인해 방수층이 부풀어 오를 수 있으며, 아스팔트 콘크리트 표면과 방수층과의 부착력을 약화시키는 근원적인 문제점들이 있었다.
따라서, 당해 기술분야에는 초속경 시멘트를 이용한 재포장 시공 방식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기술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또한, 교면 또는 도로면 포장은, 반복되는 교통하중과 다양한 환경조건에 직접 노출된 것으로, 교면 포장 재료는 평탄성과 방수성이 확보되어야 하며, 균열에 대한 저항성과, 상판 콘크리트와 일체화 거동을 할 수 있는 재료 및 시공방법이 요구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537953호
이에 대하여, LMC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시공 기술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제안된 기술은 현장의 여러 환경 인자들이 달라질 수 있음으로 인해 그리고 미리 정해진 배합비를 이용한 배합으로 인해 일정한 품질, 일정한 강도의 콘크리트 포장을 얻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절삭 및 물청소 후 교면 또는 도로면을 LMC 조성물 포설 전까지 표면건조포화상태로 유지해야 하는데 교면 또는 노면을 비닐 등으로 덮어 보호한다 하더라도, 기후 등의 요인으로 표면건조포화상태를 LMC 조성물 포설 직전까지 유지하는 것이 어려우며, 이는 LMC의 부착 강도를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한편, 콘크리트의 주요 구성 재료인 시멘트의 생산 시에 발생되는 다량의 온실가스가 발생하며, 이에 대한 대처 필요성이 있다. 또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발생되는 산업부산물들 중에는 재활용이 안 되는 것들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것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현장의 여러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공급된 재료를 이용해, 현장 조건에 맞게 친환경 LMC 조성물을 생산하여, 교면이나 도로면을 높은 압축강도 및 부착강도로 재포장하는 LMC 포장 시공방법으로, 친환경적인 LMC 조성물의 생산 및 이를 이용한 교면 또는 도로면의 콘크리트 포장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친환경 LMC 조성물을 이용한 교면 또는 도로면의 콘크리트 포장 시공 방법은, 교면 또는 도로면을 절삭하는 단계; 절삭된 교면 또는 도로면에 쇼트 블라스트 또는 워터 블라스트 작업을 하여 교면 또는 도로면을 표면 정리하는 단계; 표면 정리된 교면 또는 도로면의 잔재물을 고압수로 청소하는 물청소 단계; 물청소 단계를 마친 교면 또는 도로면을 비닐로 덮어 표면 건조 포화 상태를 유지시키는 단계; 표면 건조 포화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교면 또는 도로면의 측면에 레일 받침대 및 레일을 설치하는 단계; 및 현장 조건에 따라 만들어진 수정 배합표에 따라 LMC 조성물을 모바일 믹서로 생산하여, 교면 또는 도로면의 비닐을 벗기면서, 생산된 LMC 조성물을 교면 또는 도로면에 포설하는, LMC 조성물 생산 및 포설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수정 배합표에 따라 생상되는 LMC 조성물은 적어도 실리카퓸을 포함하는 분말 혼화재가 전체 중량 대비 5 내지 15 중량비로 치환된 속경성 시멘트 결합제 13 내지 25 wt%, 잔골재 36 내지 46 wt%, 굵은 골재 33 내지 40 wt%, 라텍스 포함 폴리머 혼화제 2 내지 5 wt%, 및, 물 3 내지 10 wt %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분말 혼화재는 실리카퓸과 메타카올린을 포함하고, 상기 LMC 조성물 생산 및 포설 단계에서 실리카퓸과 메타카올린의 상대 비율을 조절하며, 상기 LMC 조성물에는 LMC 조성물을 고유동화시키기 위한 기포제가 첨가제로 혼합된다.
여기에서, 상기 LMC 조성물 생산 및 포설 단계는, 비닐 제거기를 이용하여 비닐을 제거하면서 LMC 조성물을 포설하되, 비닐이 벗겨지면서 노면 또는 교면이 노출될 때, 벗겨지는 비닐을 쫓아 블루밍 작업과 LMC 조성물 포설 작업을 차례로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면 또는 도로면의 콘크리트 포장 시공 방법은, 현장의 여러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공급된 재료를 이용해, 현장 조건에 맞게 생산하여, 교면이나 도로면을 경제성 있게, 효율적으로, 그리고, 우수한 압축강도 및 부착강도로 재포장할 수 있으며, 순환재료나 산업 폐기물을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LMC 조성물을 이용한 교면 또는 도로면의 콘크리트 포장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LMC 조성물의 생산 및 이를 이용한 교면 또는 도로면의 콘크리트 포장 시공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MC 조성물을 이용한 교면 또는 도로면의 콘크리트 포장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MC 조성물을 이용한 교면의 콘크리트 포장 시공 방법은, 교량 상판(deck slab)의 상면에 통행 차량의 주행성을 향상시키고 교량 본체의 마모 및 열화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라텍스로 개질한 콘크리트 조성물, 즉, LMC 조성물을 이용해, 원 교량 상판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물리적 성능을 유지하도록 포장층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 시공 방법은, LMC와 부착 성능을 높이기 위한 표면 전처리 단계(S11, S12, S13, S14)와, 레일 받침대 및 레일 설치 단계(S20)와, 현장에서 LMC 조성물을 생산하면서 생산된 LMC 조성물을 표면 전처리 단계를 거친 도로면 또는 교면에 포설하여 도로면 또는 교면을 포장하는 LMC 조성물 생산 및 포설 단계(S30)와, 타이닝 장비를 이용하여, 교면 또는 도로면의 포장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홈을 형성하는 타이닝 단계(S40)와, 타이닝이 완료된 후 LMC의 초기 균열을 억제하기 위하여 최대한 빠른 시간에 피막 양생제를 살포하여 과도한 수분 증발을 억제하는 것을 포함하는 양생 단계(S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표면 전처리 단계가 절삭 완료 후 물청소까지 완료된 도로면 또는 교면을 비닐로 덮어 도로면 또는 교면 표면의 표면 건조 포화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데, 일반적인 방식과 달리 표면 건조 포화 상태를 유지시키는 비닐의 제거를 LMC 조성물 포설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진행하여 표면 건조 포화 상태를 최대한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레일 받침대 및 레일 설치 단계(S20)에서 비닐 제거기를 함께 설치할 수 있다. 비닐 제거기는 비닐을 감은 채 가설 레일 또는 가설 가이드웨이를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비닐 폭에 거의 상응하는 폭을 갖는, 비닐 제거 롤을 포함할 수 있으며, LMC 조성물 포설시, 도로면 또는 교면에 덮여 있는 비닐 말단을 비닐 제거 롤에 결합한 후, 비닐 제거 롤을 LMC 조성물 포설이 수행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그리고 LMC 포설 시간보다 약간 빨리 이동시켜, LMC 포설 장비가 비닐 제거를 뒤따라가면서 포설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표면 전처리 단계는 절삭기 또는 평삭기 또는 파쇄기를 이용하여 교면 또는 도로면을 절삭하는 단계(S11)와, 절삭된 교면 또는 도로면에 쇼트 블라스트 또는 워터 블라스트 작업을 하여 교면 또는 도로면을 표면 정리하는 단계(S12)와, 표면 정리된 교면 또는 도로면의 잔재물을 고압 살수차를 이용한 고압의 물로 청소하는 물청소 단계(S13)와, 포설될 LMC에 포함된 수분이 기존 교면 또는 도로면의 슬라브에 흡수되지 않도록 하고 LMC의 교면 또는 도로면에 대한 부착 성능을 높이기 위해, 물청소 때 사용된 물이 교면 또는 도로면 표면의 홈, 홀 또는 공극을 완전히 메운 상태, 즉 표면 건조 포화 상태의 교면 또는 도로면을 비닐로 덮어 표면 건조 포화 상태를 유지시키는 단계(S14)를 포함한다.
교면 또는 도로면의 절삭 단계(S11)를 통해 종방향의 도로면 요철이 만들어질 수 있으며, 표면 정리 단계(S12)에서는 절삭 단계를 마친 도로면 또는 교면 상의 레이턴스(laitance), 들뜬 부분 및/또는 취약 부분을 쇼트블라스팅 또는 워터블라스팅을 이용하여 제거하고 교면 또는 도로면 조직을 회복시킨다. 표면 정리 단계(S12)가 쇼트블라스팅 또는 워터블라스팅 작업 후 잔재물을 진공 흡입기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절삭면 블라스팅 후 진공청소차를 이용하여 보수면의 불순물을 제거한다. 물청소 단계(S13)에서는 기존 교면 또는 도로면에 잔재하는 미세 잔재물을 고압 살수로 제거한다. 그리고 표면 건조 포화 상태 유지 단계(S14)는 롤에 감긴 비닐을 풀어 물청소 완료된 교면 또는 도로면을 덮어 그 교면 또는 도로면의 표면 건조 포화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때, 각 비닐은 특정 모빌 믹서 및 포설기에 의해 LMC 조성물의 1회 포설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영역을 덮는 길이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일 받침대 및 레일 설치 단계(S20)는 콘크리트 롤러 페이버, 타이닝 작업대, 양생 작업대 등 장비의 통로를 확보하기 위하여 방호벽 및/또는 난간대에 레일 받침대를 설치한 후 레일을 설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레일 받침대는 전술한 장비의 이동 중 변형이 없도록 주의하여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한다. 레일은 평탄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사전 측량을 통하여 확실하게 확인하도록 한다. 레일 받침대 및 레일 설치 단계(S20)가 수행되는 동안에도 표면 건조 포화 상태 유지 단계(S14)를 위해 교면 또는 도로면에 깐 비닐은 그대로 유지한다.
LMC 조성물 생산 및 포설 단계(S30)는 현장의 여러 조건들, 즉, 현장의 골재 조건과 주변 온/습도 등 여러 가지 조건들에 따라 수정 배합표를 만들고, LMC 조성물이 수정 배합표에 따라 생산될 수 있도록 모바일 믹서를 캘리브레이션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LMC 조성물 생산 방법은, 수정 배합표에 따르지만, 항상 아래의 조성 범위 내에 있도록 그 조성 범위가 정해진 LMC 조성물을 생산한다.
즉, 본 발명의 LMC 조성물 생산 방법에 따르면, 실리카퓸, 메타카올린을 포함하는 분말 혼화재가 전체 중량 대비 5 내지 15 중량비로 치환된 속경성 시멘트 결합제 13 내지 25 wt%, 잔골재 36 내지 46 wt%, 굵은 골재 33 내지 40 wt%, 라텍스 포함 폴리머 혼화제 2 내지 5 wt%, 물 3 내지 10 wt % 및 잔량 첨가제를 포함하는 LMC 조성물이 조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첨가제는 기포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포제는 계면 활성 작용을 통한 물리적 힘으로 조성물 내에 기포를 형성한다. 기포의 형성은 기포제에 의해 조성물 내 물의 표면장력이 낮아지고 점도가 높아지면서 외부로부터 교반 또는 공기의 도입을 통해 형성된다. 생성된 기포는 볼베어링 효과를 통해 LMC 조성물을 고유동화시킨다. 기포제의 추가에 의한 LMC 조성물의 고유동화는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된 것이다.
또한, 상기 잔골재는 밀도가 2.60인 부순 강모래로 이루어진 천연 잔골재를 이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친환경을 위해, 천연 잔골재 일부를 페로니켈 슬래그 잔골재 또는 순환 잔골재로 치환한 잔골재를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천연 잔골 대비 페로니켈 슬래그 잔골재 또는 순환 잔골재의 비율이 중량비 기준으로 1 : 1 내지 4 : 1이 되도록 혼합하는 것이 유리하다. 조립률 면에 있어서는, 순환 잔골재는 어떠한 비율로 천연 잔골재와 혼합되어 사용하더라도 기준을 만족하였고, 페로니켈 슬래그 잔골재는 전체 중량 대비 50 중량 % 이하로 혼합되는 것이 조립률 면에서 유리하였다.
또한, 분말 혼화재로 실리카퓸과 메타카올린을 기본적으로 사용한다. 따라서, 실리카퓸과 메타카올인이 별도의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별도로 계량되어, 서로에 대한 상대적 비율을 중량비 1 : 9 ~ 9 : 1로 달리하면서, 속경성 시멘트 결합제의 나머지 성분들과 혼합될 있다. 고로슬래그분말과 플라이애쉬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였고, 기준 배합에 대하여, 실리카퓸과 메타카올린을 혼합하여 치환하는 것이 슬럼프, 슬럼프 플로우 및 압축 강도 관점에서 유리하다. 그리고, 메타카올린은 단위 수량과 혼화제를 덜 흡착하는 특성을 가져 실리카퓸 대비 메타카올린 혼합량을 늘릴수록 슬럼프플로우가 증가하고 LMC 내 공기량을 감소시킨다. 이와 같이, 분말형 혼화재로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던 실리카퓸 대비 메타카올린 혼합량 조절함으로써 현장 환경 변화에 대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속경성 시멘트 결합제는,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클링커 28 내지 50 wt%, 칼슘알루미네이트 클링커 10∼20중량%, 포틀랜드 시멘트 15∼40중량%, 무수석고 8∼35중량%, 소석회 7∼15중량%, 실리카퓸 및 메타카올린을 포함하는 분말형 혼화재 5 내지 15 wt%를 포함한다.
라텍스 포함 폴리머 혼화제는 스틸렌과 부타디엔이 주성분으로 구성되어있는 고분자물질을 공중합한 폴리머인 라텍스 70 내지 90 wt%와 분산유지제 4 내지 29wt %와, 기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첨가제는 소포제와 안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소포제와 기포제는 라텍스 포함 폴리머 혼화제에 혼합되어 사용되기 보다는 따로 첨가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와 같은 배합비 내에서 수정 배합표에 따라 모바일 믹서가 생산하는 LMC 조성물은 덮인 비닐에 의해 표면 건조 포화 상태가 유지되는 교면 또는 도로면에 포설된다. LMC 조성물 생산 및 포설 단계(S30)에서 LMC 조성물이 포설을 위해, 비닐 제거기가 포설되는 영역에서 그 영역과 멀어지는 방향, 즉, 포설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비닐을 제거한다. 비닐이 제거되면서, 포설이 이루어지므로, LMC 조성물의 포설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도 표면 건조 포화 상태는 항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기존 슬라브와 LMC 사이의 부착력을 높이기 위해, LMC 모르타르를 비닐이 벗겨지면서 노출되는 교면 또는 도로면에 블루밍 작업을 추가로 할 수 있다. 작업자 또는 자동화 장비가 솔을 이용하여 벗겨지는 비닐을 쫓아 이동하면서 블루밍 작업을 하고, 그 뒤에 바로 LMC 조성물 포설 작업을 할 수 있다. LMC 조성물의 포설은 콘크리트 롤러 페이버를 이용하여 주로 하되, 콘크리트 롤러 페이버로 마무리할 수 없는 구간만, 작업자가 직접 투입하여 포설을 마무리 한다. 이때, LMC 포설 두께는 최소 30mm 이상, 포설 높이는 계획고보다 2∼3cm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면, 콘크리트 진동기를 이용 진동 다짐하여 마무리할 수 있다. LMC 포설 시점에서, LMC 조성물의 온도가 10 내지 32℃ 범위에 있도록 관리하고, 현장의 대기온도가 32℃를 넘는 경우, 포장 시공계획을 변경할 것이 요구된다. 대기온도가 7℃이하일 경우에는, LMC 조성물을 포설하지 않도록 한다.
타이닝 단계(S40)는 타이닝 장비를 이용하여, 교면 또는 도로면의 포장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홈을 형성한다. 타이닝 홈 간격은 3 내지 4cm, 타이닝 홈 깊이는 3mm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타이닝 단계(S40) 완료 후, LMC의 초기 균열을 억제하기 위하여, 최대한 빠른 시간에 피막 양생제를 살포하여. 과도한 수분 증발을 억제하는 양생 단계(S50)가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양생 피막이 형성된 후, 초기 양생 과정 중 LMC 표면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살수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생제 살포 후 양생포를 덮으며, 그 후 습윤 양생을 한다. 양생제 살포는 타이닝 단계 직후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양생포는 20 내지 30분 후에 덮는 것이 바람직하며, 습윤 양생은 24시간 이내에 한다.
LMC 조성물 생산 및 포설 단계에서의 배합 범위 내에서 만들어진 LMC 조성물을 물-시멘트 비 30%, 잔골재율 53%, 속경성 결합제 720 Kg/m3, 폴리머 혼화재 140 Kg/m3, 잔골재 1850Kg/m3, 굵은골재 1680Kg/m3 및 물 175Kg/m3을 모바일 믹서에서 혼합하여 생산하되, 기포제를 이용하여 고유동화시키고, 속경성 결합제가 720 Kg/m3 중에 실리카퓸 및 메타카올린을 각각 36Kg/m3 포함하도록 생산하여, 표면건조포화상태가 유지된 교면에 포설하되, 전술한 방법에 기초한 각 단계를 따라 시공한 LMC 포장재의 압축강도 및 부착강도를 측정한 결과, 재령 4시간에서의 압축강도는 25MPa, 재령 28일 압축강도는 37.1MPa로 우수하였고, 부착강도 또한 1.91MPa로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S11: 교면 또는 도로면 절삭 단계
S12: 교면 또는 도로면 표면 정리 단계
S13: 물청소 단계
S14: 표면 건조 포화 상태 유지 단계
S20: 레일 받침대 및 레일 설치 단계
S30: LMC 생산 및 포설 단계
S40: 타이닝 단계
S50: 양생 단계

Claims (5)

  1. 교면 또는 도로면을 절삭하는 단계;
    절삭된 교면 또는 도로면에 쇼트 블라스트 또는 워터 블라스트 작업을 하여 교면 또는 도로면을 표면 정리하는 단계;
    표면 정리된 교면 또는 도로면의 잔재물을 고압수로 청소하는 물청소 단계;
    물청소 단계를 마친 교면 또는 도로면을 비닐로 덮어 표면 건조 포화 상태를 유지시키는 단계;
    표면 건조 포화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교면 또는 도로면 양측에 레일 받침대 및 레일을 설치하되, 레일 받침대 및 레일을 설치할 때, 레일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하고 비닐 폭에 상응하는 폭의 비닐 제거 롤을 포함하는 비닐제거기를 함께 설치하는 단계; 및
    현장 조건에 따라 만들어진 수정 배합표에 따라 LMC 조성물을 모바일 믹서로 생산하여, 교면 또는 도로면의 비닐을 벗기면서, 생산된 LMC 조성물을 교면 또는 도로면에 포설하는, LMC 조성물 생산 및 포설 단계를 포함하며,
    LMC 조성물 포설시, 도로면 또는 교면에 덮여 있는 비닐의 말단을 상기 비닐 제거 롤에 결합한 후, 상기 비닐 제거 롤을 LMC 조성물 포설이 수행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그리고 LMC 포설 시간보다 빨리 이동시켜, LMC 포설 장비가 상기 비닐 제거를 뒤따라가면서 포설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LMC 조성물을 이용한 교면 또는 도로면의 콘크리트 포장 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 배합표에 따라 생산되는 LMC 조성물은 적어도 실리카퓸을 포함하는 분말 혼화재가 5 내지 15 중량비로 치환된 속경성 시멘트 결합제 13 내지 25 wt%, 잔골재 36 내지 46 wt%, 굵은골재 33 내지 40 wt%, 라텍스 포함 폴리머 혼화제 2 내지 5 wt%, 및, 물 3 내지 10 w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LMC 조성물을 이용한 교면 또는 도로면의 콘크리트 포장 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 혼화재는 실리카퓸과 메타카올린을 포함하고, 상기 LMC 조성물 생산 및 포설 단계에서 실리카퓸과 메타카올린의 상대 비율을 조절하며, 상기 LMC 조성물에는 LMC 조성물을 고유동화시키기 위한 기포제가 첨가제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LMC 조성물을 이용한 교면 또는 도로면의 콘크리트 포장 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MC 조성물 생산 및 포설 단계는, 비닐 제거기를 이용하여 비닐을 벗기면 LMC 조성물을 포설하되, 비닐이 벗겨지면서 노면 또는 교면이 노출될 때, 벗겨지는 비닐을 쫓아 블루밍 작업과 LMC 조성물 포설 작업을 차례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면 또는 도로면의 콘크리트 포장 시공 방법.
  5. 삭제
KR1020220095818A 2022-08-02 2022-08-02 친환경 lmc 조성물의 생산 및 이를 이용한 교면 또는 도로면의 콘크리트 포장 시공 방법 KR102484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818A KR102484534B1 (ko) 2022-08-02 2022-08-02 친환경 lmc 조성물의 생산 및 이를 이용한 교면 또는 도로면의 콘크리트 포장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818A KR102484534B1 (ko) 2022-08-02 2022-08-02 친환경 lmc 조성물의 생산 및 이를 이용한 교면 또는 도로면의 콘크리트 포장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4534B1 true KR102484534B1 (ko) 2023-01-04

Family

ID=84925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5818A KR102484534B1 (ko) 2022-08-02 2022-08-02 친환경 lmc 조성물의 생산 및 이를 이용한 교면 또는 도로면의 콘크리트 포장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453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953B1 (ko) 2003-09-01 2005-12-20 대상이앤씨(주) 라텍스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344049B1 (ko) * 2013-04-09 2013-12-24 문광균 콘크리트 혼합용 배치식 이동믹서 트럭을 이용한 교면포장용 나노수경성개질유황 콘크리트의 시공방법
KR101479722B1 (ko) * 2013-09-09 2015-01-0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고분말 포졸란재료 기포슬러리와 라텍스의 후첨가 배합에 의한 하이브리드 콘크리트 제조방법
KR101827960B1 (ko) * 2017-03-17 2018-02-13 김균호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교면 포장층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372576B1 (ko) * 2021-12-09 2022-03-11 (주)콘텍이엔지 폴리머 혼화제 개질 속경성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및 도로포장의 단면 보수보강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953B1 (ko) 2003-09-01 2005-12-20 대상이앤씨(주) 라텍스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344049B1 (ko) * 2013-04-09 2013-12-24 문광균 콘크리트 혼합용 배치식 이동믹서 트럭을 이용한 교면포장용 나노수경성개질유황 콘크리트의 시공방법
KR101479722B1 (ko) * 2013-09-09 2015-01-0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고분말 포졸란재료 기포슬러리와 라텍스의 후첨가 배합에 의한 하이브리드 콘크리트 제조방법
KR101827960B1 (ko) * 2017-03-17 2018-02-13 김균호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교면 포장층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372576B1 (ko) * 2021-12-09 2022-03-11 (주)콘텍이엔지 폴리머 혼화제 개질 속경성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및 도로포장의 단면 보수보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83121B1 (en) A porous concrete road surface structure made from polymer modified cement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050114572A (ko) 폐아스콘을 활용한 반강성포장용 조성물과 포장시공방법
JP5850698B2 (ja) 床版補強方法
CA2294205A1 (en) Concrete for jointing and method of jointing using said concrete
KR102453238B1 (ko) 초속경 저탄소 폴리머 콘크리트 교면 포장 보수 시공방법
KR102425854B1 (ko) 교면 포장용 초속경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포장 시공방법
JP2016156127A (ja) コンクリート舗装
RU2369575C1 (ru) Сухая строительная смесь для ремонтно-восстановительных работ
JP7382492B2 (ja) 路盤層の構築方法とそれに用いる混合物
KR101363860B1 (ko) 친환경 순환규사를 잔골재로 사용하는 초조강 콘크리트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보수공법
CN100340720C (zh) 大尺寸高性能水泥混凝土道面板施工方法
KR102484534B1 (ko) 친환경 lmc 조성물의 생산 및 이를 이용한 교면 또는 도로면의 콘크리트 포장 시공 방법
JP2007138486A (ja) ブロック舗装の施工方法
GB2282593A (en) Water permeable concrete constructions
WO1995035415A1 (en) A method of producing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Ramanujam et al. Characterisation of foamed bitumen stabilization
JP6542015B2 (ja) コンクリート舗装構造体の施工方法
RU2629634C1 (ru) Дорожно-строительный композиционный материал на основе бурового шлама
JP6512908B2 (ja) 床版構造体の施工方法
KR102228953B1 (ko) 작업성이 우수한 고내구성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수 공법
JP6396000B2 (ja) コンクリート舗装
CN108264291A (zh) 一种不发火混凝土浇筑施工方法
KR102531866B1 (ko) 초속경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시공방법
JP3240558U (ja) ポーラスコンクリート層形成用キット、及びポーラスコンクリート層
RU2737947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ремонтной смеси (варианты) и ремонтный материал, полученный данным способом (вариан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