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2026B1 - 잠금 해제 장치 및 유모차 - Google Patents

잠금 해제 장치 및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2026B1
KR102482026B1 KR1020200101159A KR20200101159A KR102482026B1 KR 102482026 B1 KR102482026 B1 KR 102482026B1 KR 1020200101159 A KR1020200101159 A KR 1020200101159A KR 20200101159 A KR20200101159 A KR 20200101159A KR 102482026 B1 KR102482026 B1 KR 102482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ocking mechanism
sliding
unlocking
un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9967A (ko
Inventor
레이레이 정
정-원 궈
얼-쉐 왕
밍싱 쑨
서우펑 후
Original Assignee
원더랜드 스위처랜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더랜드 스위처랜드 아게 filed Critical 원더랜드 스위처랜드 아게
Publication of KR20210019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967A/ko
Priority to KR1020220182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13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3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hand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9/085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hand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9/087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by locking in a brak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80Othe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Y2200/10 - B60Y2200/60
    • B60Y2200/83Perambulators; Buggies; St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20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 B62B2205/22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remotely controlled, e.g. from the handleb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20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 B62B2205/24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to hold in the folded 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잠금 해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 제1 잠금 해제 모듈 및 제2 잠금 해제 모듈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는 프레임 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프레임에는 제1 잠금 메커니즘 및 제2 잠금 메커니즘이 장착된다. 제1 잠금 해제 모듈은 프레임 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제1 잠금 메커니즘에 연결된다. 제2 잠금 해제 모듈은 프레임 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제2 잠금 메커니즘에 연결된다.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는 이동하여, 제1 잠금 해제 모듈을 구동하여 제1 잠금 메커니즘을 잠금 해제하거나, 제2 잠금 해제 모듈을 구동하여 제2 잠금 메커니즘을 잠금 해제한다.

Description

잠금 해제 장치 및 유모차{UNLOCK DEVICE AND STROLLER}
본 발명은 유아 제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잠금 해제 장치 및 잠금 해제 장치가 장착된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유모차는 영유아의 야외 활동에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고안된 이동 수단으로, 오랫동안 널리 사용되어 왔다. 현재, 일부 유모차는 프레임, 프레임 폴딩 메커니즘, 앞바퀴, 뒷바퀴 및 바퀴 회전 방향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프레임 폴딩 메커니즘은 프레임을 접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유모차가 사용되지 않을 때,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더 작은 부피로 접을 수 있다. 바퀴 회전 방향 메커니즘은 회전 가능한 뒷바퀴를 잠그거나 잠금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바퀴 회전 방향 메커니즘은 뒷바퀴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뒷바퀴를 잠금 해제한다. 후진하는 경우, 뒷바퀴가 특정 각도로 회전하여 유모차의 방향을 쉽게 변경할 수 있다. 방향 변경 후, 바퀴 회전 방향 메커니즘은 뒷바퀴가 앞으로 이동하여 재위치하도록 뒷바퀴를 잠그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메커니즘은 유모차의 많은 공간을 차지하고, 조작이 매우 불편하며, 유모차가 보기 흉하여 소비자의 구매 의도가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잠금 해제 장치 및 잠금 해제 장치가 장착된 유모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해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 제1 잠금 해제 모듈 및 제2 잠금 해제 모듈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는 프레임 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여기서 프레임에는 제1 잠금 메커니즘 및 제2 잠금 메커니즘이 장착된다. 제1 잠금 해제 모듈은 프레임 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제1 잠금 메커니즘에 연결된다. 제2 잠금 해제 모듈은 프레임 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제2 잠금 메커니즘에 연결된다.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는 이동하여, 제1 잠금 메커니즘을 잠금 해제하기 위하여 이동하도록 제1 잠금 해제 모듈을 구동하거나 또는 제1 잠금 메커니즘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이동하도록 제2 잠금 해제 모듈을 구동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잠금 해제 장치는 프레임 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 선택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 부재는 프레임에 대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선택 부재가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는 슬라이딩하여, 제1 잠금 메커니즘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이동하도록 제1 잠금 해제 모듈을 구동한다. 선택 부재가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는 슬라이딩하여, 제2 잠금 메커니즘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이동하도록 제2 잠금 해제 모듈을 구동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는 제1 작동 부재 및 제2 작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작동 부재는 슬라이딩하여, 제1 잠금 메커니즘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이동하도록 제1 잠금 해제 모듈을 구동하고, 제2 작동 부재는 슬라이딩하여, 제2 잠금 메커니즘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이동하도록 제2 잠금 해제 모듈을 구동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잠금 해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 상에 배치된 유지 메커니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지 메커니즘은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가 슬라이딩하여 제1 잠금 메커니즘 및 제2 잠금 메커니즘 중 하나를 잠금 해제하는 경우 잠금 해제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를 유지한다. 유지 메커니즘은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가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작동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를 해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모차는 프레임, 바퀴 소켓, 제1 잠금 메커니즘, 제2 잠금 메커니즘 및 전술한 잠금 해제 장치를 포함한다. 바퀴 소켓은 프레임의 다리 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제1 잠금 메커니즘은 프레임 상에 배치되고 프레임을 접도록 구성된다. 제2 잠금 메커니즘은 프레임 상에 배치되고 바퀴 소켓을 잠그도록 구성된다. 잠금 해제 장치는 제1 잠금 메커니즘 및 제2 잠금 메커니즘을 잠금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를 사용하여 제1 잠금 메커니즘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이동하도록 제1 잠금 해제 모듈을 구동하거나 제2 잠금 메커니즘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제2 잠금 해제 모듈을 구동한다. 실시예에서, 선택 부재는 프레임 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프레임에 대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선택 부재가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제1 잠금 메커니즘은 작동 부재에 대응하여, 작동 부재가 슬라이당하여 제1 잠금 메커니즘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이동하도록 제1 잠금 해제 모듈을 구동하도록 한다. 선택 부재가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제2 잠금 메커니즘은 작동 부재에 대응하여, 작동 부재가 슬라이딩하여 제2 잠금 메커니즘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이동하도록 제2 잠금 해제 모듈을 구동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 및 제2 잠금 메커니즘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2개의 독립적인 잠금 해제 장치를 배치할 필요가 없다. 즉, 본 발명은 하나의 단일 잠금 해제 장치를 사용하여 2개의 서로 다른 잠금 메커니즘을 잠금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 비용이 절감되고 본 발명의 잠금 해제 장치는 유모차의 공간을 덜 차지하며 조작이 쉽고 편리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는 각각 제1 잠금 메커니즘 및 제2 잠금 메커니즘을 잠금 해제하도록 구성된 제1 작동 부재 및 제2 작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또한 2개의 서로 다른 잠금 메커니즘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2개의 작동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작동 부재가 슬라이딩하여 제1 잠금 메커니즘 또는 제2 잠금 메커니즘을 잠금 해제하는 경우 잠금 해제 위치에 작동 부재를 유지하기 위해 유지 메커니즘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잠금 메커니즘 또는 제2 잠금 메커니즘은 작동 부재가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작동될 때까지 잠금 해제 상태에서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잠금 메커니즘은 바퀴 회전 방향 메커니즘일 수 있고, 유지 메커니즘은 작동 부재가 슬라이딩하여 제2 잠금 메커니즘을 잠금 해제하는 경우 잠금 해제 위치에 작동 부재를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바퀴 회전 방향 메커니즘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작동 부재를 가압하는 경우, 바퀴 회전 방향 메커니즘은 잠금 해제 위치에 유지되어, 사용자가 작동 부재를 해제하더라도 바퀴가 여전히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작동 부재가 잠금 해제 위치에서 작동되는 경우, 유지 메커니즘은 작동 부재를 해제하여, 작동 부재가 슬라이딩하여 바퀴 회전 방향 메커니즘을 잠근 다음 휠이 잠기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및 다른 목적은 다양한 도면에 예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은 후에 당업자에게 의심의 여지 없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모차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잠금 해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잠금 메커니즘 및 제2 잠금 메커니즘에 연결된 본 발명의 잠금 해제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우측으로 슬라이딩하는 본 발명의 잠금 해제 장치의 선택 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상향으로 가압되고 있는 도 4에 도시된 작동 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좌측으로 슬라이딩하는 본 발명의 잠금 해제 장치의 선택 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상향으로 가압되고 있는 도 6에 도시된 작동 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잠금 메커니즘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슬라이딩 부재 및 제2 슬라이딩 부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0은 제2 위치에 위치한 본 발명의 선택 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1 위치에 위치한 본 발명의 선택 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 위치한 본 발명의 선택 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돌출 블록 상에 슬리브된 본 발명의 탄성 부재의 단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작동 부재 상에 배치된 본 발명의 유지 메커니즘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상향으로 가압되고 있는 도 14에 도시된 작동 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제2 작동 부재 상에 배치된 본 발명의 유지 메커니즘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상향으로 가압되고 있는 도 16에 도시된 제2 작동 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작동 부재 상에 배치된 본 발명의 유지 메커니즘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상향으로 가압되고 있는 도 18에 도시된 작동 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제1 슬라이딩 부재 및 제2 슬라이딩 부재에 인접한 본 발명의 선택 부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1은 좌측으로 슬라이딩하는 도 20에 도시된 선택 부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2는 상향으로 가압되고 있는 도 21에 도시된 제1 작동 부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3은 우측으로 슬라이딩하고 있는 도 20에 도시된 선택 부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4는 상향으로 가압되고 있는 도 23에 도시된 제2 작동 부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5는 제1 슬라이딩 부재에 인접한 본 발명의 선택 부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6은 상향으로 가압되고 있는 도 25에 도시된 제2 작동 부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7은 제2 슬라이딩 부재에 인접한 도 25에 도시된 선택 부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8은 상향으로 가압되고 있는 도 27에 도시된 제1 작동 부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모차(100)는 프레임(2), 바퀴 소켓(3), 제1 잠금 메커니즘(4), 제2 잠금 메커니즘(5) 및 잠금 해제 장치(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잠금 메커니즘(4)은 프레임 폴딩 메커니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2 잠금 메커니즘(5)은 바퀴 회전 방향 메커니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레임(2)은 핸들(21), 앞다리(22) 및 뒷다리(23)를 포함하며, 여기서 앞다리(22)와 뒷다리(23)는 프레임(2)의 다리이고 각각의 바퀴 소켓에는 바퀴가 장착된다. 제1 잠금 메커니즘(4)은 프레임(2) 상에 배치되고 프레임(2)을 접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1 잠금 메커니즘(4)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제1 잠금 메커니즘(4)은 와이어 및 잠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의 일측 단부는 잠금 부재에 연결되고 잠금 부재는 프레임(2)의 핸들(21)과 뒷다리(23) 사이에 체결된다. 와이어의 타측 단부가 당겨지는 경우, 프레임(2)이 접혀질 수 있도록 와이어가 잠금 부재를 구동하여 프레임(2)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체결을 해제시킨다. 제1 잠금 메커니즘(4)이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도면은 제1 잠금 메커니즘(4)의 와이어만을 도시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잠금 메커니즘(4) 또는 제2 잠금 메커니즘(5)은 핸들 변환, 바퀴 제동, 핸들 각도 조정, 프레임 폴딩 및 바퀴 회전 고리 잠금의 잠금 메커니즘 중 하나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그러나 그들의 기능은 서로 중복되지 않을 것이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바퀴 소켓(3)은 중앙 샤프트(32)를 통해 뒷다리(23) 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바퀴 소켓(3)이 바퀴를 구동하여 중앙 샤프트(32)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제2 잠금 메커니즘(5)은 프레임 상에 배치되고 바퀴 소켓(3)을 잠그도록 구성된다. 제2 잠금 메커니즘(5)은 연결 부재(51) 및 연결 부재(51)에 연결된 한 쌍의 위치 결정 어셈블리(52)를 포함한다. 위치 결정 어셈블리(52)는 제1 드래그 부재(521), 제2 드래그 부재(522), 위치 결정 부재 및 리턴 부재(524)를 포함한다. 바퀴 소켓(3)은 위치 결정 부분을 가지며, 위치 결정 부분은 위치 결정 구멍(31)일 수 있다. 위치 결정 부재는 위치 결정 구멍(31)과 협력하도록 구성된 위치 결정 기둥(523)일 수 있다. 위치 결정 구멍(31)에는 위치 결정 기둥(523)이 신축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연결 부재(51)는 프레임(2) 상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제1 드래그 부재(521)의 일측 단부는 연결 부재(51)에 연결되고, 제1 드래그 부재(521)의 타측 단부는 위치 결정 부재에 연결된다. 위치 결정 부재는 프레임(2)의 다리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위치 결정 부분에 연결되거나 위치 결정 부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리턴 부재(524)는 위치 결정 부분을 향해 위치 결정 부재를 밀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한다. 제2 드래그 부재(522)는 제2 잠금 모듈(14)과 연결 부재(51) 사이에 연결된다. 제2 드래그 부재(522)가 당겨지는 경우, 2개의 위치 결정 기둥(523)이 뒷다리(23) 안으로 들어가서 리턴 부재(524)(예를 들어, 스프링)를 압축하도록 2개의 제1 드래그 부재(521)를 구동하여 2개의 위치 결정 기둥(523)을 당기기 위해, 제2 드래그 부재(522)는 프레임(2)에 관해 슬라이딩하기 위해 연결 부재(51)를 당긴다. 이때, 바퀴 소켓(3)의 위치 결정 구멍(31)으로부터 2개의 위치 결정 기둥(523)이 배출되어 바퀴 소켓(3)을 잠금 해제시킨다. 따라서, 바퀴 소켓(3)은 중앙 샤프트(32)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잠금 해제 장치(1)는 제1 잠금 메커니즘(4) 및 제2 잠금 메커니즘(5)을 잠금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잠금 해제 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11), 선택 부재(12), 제1 잠금 해제 모듈(13) 및 제2 잠금 해제 모듈(14)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잠금 해제 장치(1)는 하나의 작동 부재(11)를 포함하지만, 그렇게 제한되지는 않는다. 작동 부재(11)는 프레임(2) 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선택 부재(12)는 프레임(2) 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선택 부재(12)의 슬라이딩 방향은 작동 부재(11)의 슬라이딩 방향과 교차할 수 있다. 제1 잠금 해제 모듈(13)은 프레임(2) 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제1 잠금 메커니즘(4)에 연결된다. 제2 잠금 해제 모듈(14)은 프레임(2) 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제2 잠금 메커니즘(5)에 연결된다. 선택 부재(12)가 슬라이딩되어 제1 잠금 해제 모듈(13) 및 제2 잠금 해제 모듈(14) 중 하나가 작동 부재(11)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1 잠금 해제 모듈(13) 및 제2 잠금 해제 모듈(14)을 이동시키도록 구동할 수 있다. 그 후, 작동 부재(11)가 이동하여 제1 잠금 메커니즘(4)을 잠금 해제하도록 이동시키기 위해 제1 잠금 해제 모듈(13)을 구동하거나 또는 제2 잠금 메커니즘(5)을 잠금 해제하도록 이동시키기 위해 제2 잠금 해제 모듈(14)을 구동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는 각각 제1 잠금 메커니즘 및 제2 잠금 메커니즘을 각각 잠금 해제하도록 구성된 제1 작동 부재 및 제2 작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또한 2개의 서로 다른 잠금 메커니즘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2개의 작동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작동 부재(11)는 프레임(2)에 대해 상하로 슬라이딩할 수 있고, 선택 부재(12)는 프레임(2)에 대해 좌우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선택 부재(12)는 작동 부재(11)에 인접한다. 선택 부재(12)는 작동 부재(11)가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작동 부재(11)로부터 이격되도록 슬라이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택 부재(12)는 인접부(123)를 가지며 인접부(123)는, 선택 부재(12)가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인접부(123)에 의해 작동 부재(11)를 잠글 수 있도록, 작동 부재(11)에 인접한다. 제1 잠금 해제 모듈(13)은 작동 부재(11)와 선택 부재(12)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잠금 해제 모듈(13)은 선택 부재(12) 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선택 부재(12)에 대해 상하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제1 잠금 해제 모듈(13)은 작동 부재(11)에 인접한다. 제1 잠금 해제 모듈(13)은 제1 잠금 메커니즘(4)의 와이어에 연결되고 제1 잠금 메커니즘(4)의 와이어를 구동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잠금 해제 모듈(14)은 작동 부재(11)와 선택 부재(12) 사이에 배치된다. 제2 잠금 해제 모듈(14)은 선택 부재(12) 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선택 부재(12)에 대해 상하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제2 잠금 해제 모듈(14)은 작동 부재(11)에 인접한다. 제2 잠금 해제 모듈(14)은 제2 잠금 메커니즘(5)의 제2 드래그 부재(522)에 연결되고 제2 드래그 부재(522)가 이동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제1 잠금 해제 모듈(13)은 프레임(2)의 핸들(21)의 우측에 위치하고 제2 잠금 해제 모듈(14)은 프레임(2)의 핸들(21)의 좌측에 위치한다. 그러나, 제1 잠금 해제 모듈(13) 및 제2 잠금 해제 모듈(14)의 배치는 전술한 방식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잠금 해제 모듈(13) 및 제2 잠금 해제 모듈(14)의 위치는 서로 변경될 수 있다.
선택 부재(12)는, 제1 잠금 메커니즘(4) 또는 제2 잠금 메커니즘(5)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작동 부재(11)가 슬라이딩되어 제1 잠금 해제 모듈(13) 및 제2 잠금 해제 모듈(14) 중 하나를 밀 수 있도록, 제1 잠금 해제 모듈(13) 및 제2 잠금 해제 모듈(14)을 슬라이딩 구동할 수 있다. 추가 설명을 위해, 선택 부재(12)는 제1 위치(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음)와 제2 위치(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음)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선택 부재(12)가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작동 부재(11)는 슬라이딩하여, 제1 잠금 메커니즘(4)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제1 잠금 해제 모듈(13)을 이동시킬 수 있다. 선택 부재(12)가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작동 부재(11)는 슬라이딩하여, 제2 잠금 메커니즘(5)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제2 잠금 해제 모듈(14)을 구동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말할 것도 없이,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잠금 해제 모듈(13) 및 제2 잠금 해제 모듈(14)은 작동 부재(11)에 인접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 부재(11)는 제1 잠금 해제 모듈(13)과 제2 잠금 해제 모듈(14) 사이의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선택 부재(12)도 작동 부재(11)에 인접하지 않을 수 있다.
도 3,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1 잠금 해제 모듈(13)은 제1 회전 부재(131) 및 제1 슬라이딩 부재(132)를 포함한다. 제1 회전 부재(131)는 프레임(2)에 피봇 방식으로 연결된다. 제1 잠금 메커키즘(4)은 제1 회전 부재(131)의 회전 중심에 대해 편심되어 있는 제1 회전 부재(131)의 위치에 연결된다. 제1 슬라이딩 부재(132)는 프레임(2)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제1 슬라이딩 부재(132)의 슬라이딩 방향은 작동 부재(11)의 슬라이딩 방향과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선택 부재(12)는 제1 수신 구멍(121)을 가지며, 제1 슬라이딩 부재(132)의 일측 단부는 제1 수신 구멍(121)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제1 슬라이딩 부재(132)의 타측 단부는 작동 부재(11)에 인접한다. 제1 슬라이딩 부재(132)는 제1 회전 부재(131)를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작동 부재(11)가 슬라이딩하여 제1 슬라이딩 부재(132)를 미는 경우, 제1 슬라이딩 부재(132)는 제1 회전 부재(131)를 회전 구동한다. 구체적으로, 제1 회전 부재(131)는 제1 돌출부(131a)를 가지며, 제1 슬라이딩 부재(132)는 제1 체결 홈(132a)을 갖는다. 제1 돌출부(131a)는 제1 체결 홈(132a)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제1 슬라이딩 부재(132)는 제1 회전 부재(131)를 회전시키기 위해 제1 돌출부(131a)를 밀도록 이동할 수 있다. 제1 체결 홈(132a)에 의해, 제1 회전 부재(131)가 제1 슬라이딩 부재(132) 상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회전 부재(131)는 제1 연결 부재(131b)를 가지며, 여기서 제1 연결 부재(131b)는 제1 회전 부재(131)의 회전 중심에 대해 편심되어 있고 제1 잠금 메커니즘(4)에 연결된다. 제1 회전 부재(131)는 2개의 제1 연결 부재(131b)를 가질 수 있다. 2개의 제1 연결 부재(131b)는 제1 회전 부재(131) 상에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2개의 제1 연결 부재(131b)는 제1 잠금 메커니즘(4)의 2개의 와이어에 각각 연결된다. 작동 부재(11)는 제1 슬라이딩 부재(132)가 슬라이딩하여 제1 돌출부(131a)를 밀어내어 제1 회전 부재(13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1 슬라이딩 부재(132)를 밀기 위해 슬라이딩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제1 회전 부재(131)는 제2 프레임(2)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제1 잠금 메커니즘(4)의 와이어를 당기기 위해 회전한다. 결과적으로, 프레임(2)이 접힐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2 잠금 해제 모듈(14)은 제2 회전 부재(141) 및 제2 슬라이딩 부재(142)를 포함한다. 제2 회전 부재(141)는 프레임(2)에 피봇 방식으로 연결된다. 제2 잠금 메커니즘(5)은 제1 회전 부재(141)의 회전 중심에 대해 편심되어 있는 제2 회전 부재(141)의 위치에 연결된다. 제2 슬라이딩 부재(142)는 프레임(2)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제2 슬라이딩 부재(142)의 슬라이딩 방향은 작동 부재(11)의 슬라이딩 방향과 동일하다. 즉, 제1 및 제2 슬라이딩 부재(132, 142)의 슬라이딩 방향은 모두 작동 부재(11)의 슬라이딩 방향과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선택 부재(12)는 제2 수신 구멍(122)을 가지며 제2 슬라이딩 부재(142)의 일측 단부는 제2 수신 구멍(122)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제2 슬라이딩 부재(142)의 타측 단부는 작동 부재(11)에 인접한다. 제2 슬라이딩 부재(142)는 제2 회전 부재(141)를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작동 부재(11)가 슬라이딩하여 제2 슬라이딩 부재(142)를 미는 경우, 제2 슬라이딩 부재(142)는 제2 회전 부재(141)를 회전 구동한다. 구체적으로, 제2 회전 부재(141)는 제2 돌출부(141a)를 가지며, 제2 슬라이딩 부재(142)는 제2 체결 홈(142a)을 갖는다. 제2 돌출부(141a)는 제2 체결 홈(142a)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제2 슬라이딩 부재(142)는 제2 회전 부재(141)를 회전시키기 위해 제2 돌출부(141a)를 밀도록 이동할 수 있다. 제2 체결 홈(142a)에 의해, 제2 회전 부재(141)는 제2 슬라이딩 부재(142)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회전 부재(141)는 제2 연결 부재(141b)를 가지며, 여기서 제2 연결 부재(141b)는 제2 회전 부재(141)의 회전 중심에 대해 편심되어 있고 제2 잠금 메커니즘(5)에 연결된다. 제2 회전 부재(141)를 회전시키기 위해, 제2 슬라이딩 부재(142)가 슬라이딩되어 제2 돌출부(141a)를 밀도록, 작동 부재(11)가 슬라이딩되어 제2 슬라이딩 부재(142)를 밀도록 작동될 수 있다. 바퀴 소켓(3)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제2 회전 부재(141)가 회전하여 제2 잠금 메커니즘(5)의 제2 드래그 부재(522)를 당겨서, 위치 결정 기둥(523)이 바퀴 소켓(3)의 위치 결정 구멍(31)으로부터 방출된다. 결과적으로, 바퀴 소켓(3)이 중앙 샤프트(32)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1 잠금 해제 모듈(13) 및 제2 잠금 해제 모듈(14)은 대칭으로 배치된다. 제1 잠금 해제 모듈(13) 및 제2 잠금 해제 모듈(14)은 슬라이딩 부재와 회전 부재 사이의 협력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잠금 해제 모듈(13)은 제1 슬라이딩 부재(132)만을 배치할 수 있고, 제1 잠금 메커니즘(4)은 제1 슬라이딩 부재(132)에 연결된다. 제1 슬라이딩 부재(132)는 제1 잠금 메커니즘(4)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슬라이딩하도록 밀릴 수 있다. 다르게는, 제2 잠금 해제 모듈(14)은 제2 슬라이딩 부재(142)만을 배치할 수 있고, 제2 잠금 메커니즘(5)은 제2 슬라이딩 부재(142)에 연결된다. 제2 슬라이딩 부재(142)는 제2 잠금 메커니즘(5)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슬라이딩하도록 밀릴 수 있다. 다르게는, 제1 잠금 해제 모듈(13) 및 제2 잠금 해제 모듈(14)은 비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잠금 해제 모듈(13) 및 제2 잠금 해제 모듈(14) 중 하나는 프레임(2)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1 잠금 해제 모듈(13) 및 제2 잠금 해제 모듈(14) 중 다른 하나는 프레임(2)에 피봇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에를 들어, 제1 잠금 해제 모듈(13) 및 제2 잠금 해제 모듈(14) 중 하나는 프레임(2)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된 슬라이딩 부재일 수 있고, 제1 잠금 해제 모듈(13) 및 제2 잠금 해제 모듈(14) 중 다른 하나는 프레임(2)에 피봇 방식으로 연결된 회전 부재일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 및 회전 부재는 2개의 서로 다른 잠금 메커니즘에 연결되고 각각 2개의 서로 다른 잠금 메커니즘을 잠금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도 3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1 슬라이딩 부재(132)는 제1 슬라이딩부(132b), 제1 슬라이딩부(132b)에 연결된 제1 구동부(132c), 및 제1 구동부(132c)에 연결된 제1 제한부(132d)를 포함한다. 제1 슬라이딩부(132b)는 선택 부재(12)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제1 구동부(132c)는 제1 회전 부재(131)에 연결된다. 제1 제한부(132d)는 제1 구동부(132c)의 측면에 배치된다. 제2 슬라이딩 부재(142)는 제2 슬라이딩부(142b), 제2 슬라이딩부(142b)에 연결된 제2 구동부(142c) 및 제2 구동부(142c)에 연결된 제2 제한부(142d)를 포함한다. 제2 슬라이딩부(142b)는 선택 부재(12)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제2 구동부(142c)는 제2 회전 부재(141)에 연결된다. 제2 제한부(142d)는 제2 구동부(142c)의 측면에 배치된다. 작동 부재(11)가 슬라이딩하여 제1 잠금 해제 모듈(13) 및 제2 잠금 해제 모듈(14) 중 하나를 미는 경우, 제1 슬라이딩 부재(132)와 작동 부재(11) 사이에 제1 수용 공간(15)이 형성되고, 제2 슬라이딩 부재(142)와 작동 부재(11) 사이에 제2 수용 공간(16)이 형성되어, 제1 잠금 해제 모듈(13) 및 제2 잠금 해제 모듈(14) 중 다른 하나가 작동 부재(11)를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작동 부재(11)가 슬라이딩하여 제1 잠금 해제 모듈(13)과 제2 잠금 해제 모듈(14) 중 하나를 미는 경우, 작동 부재(11)는 제1 수용 공간(15) 또는 제2 수용 공간(16)에 수용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선택 부재(12)는 프레임(2)에 대해 제1 위치(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음)와 제2 위치(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음)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 부재(12)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 작동 부재(11)는 제1 잠금 해제 모듈(13)에 대응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 부재(12)가 제2 위치에 있는 경우, 작동 부재(11)는 제2 잠금 해제 모듈(14)에 대응한다. 선택 부재(12)의 조작 중에, 다음과 같은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기본적으로 선택 부재(12)를 조작하여 제2 위치를 향해 슬라이딩하여 작동 부재(11)가 제2 잠금 해제 모듈(14)에 대응하도록 한 다음, 작동 부재(11)를 조작하여 제2 잠금 해제 모듈(14)을 밀어 슬라이딩시켜서 제2 잠금 메커니즘을 잠금 해제하기를 원한다. 그러나, 사용자는 선택 부재(12)를 오조작하여 작동 부재(11)가 제1 잠금 해제 모듈(13)에 대응하도록 제1 위치를 향해 슬라이딩한 다음, 작동 부재(11)를 눌러서 제1 잠금 해제 모듈(13)을 밀어 슬라이딩시킨다. 유모차(100)에 착석한 어린이가 있는 경우, 프레임(2)이 접혀져 유모차(100)에 착석한 어린이에게 해를 끼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오 조작을 피하기 위해, 선택 부재(12)와 프레임(2) 사이에 탄성 부재(17)가 배치되어 선택 부재(12)가 제1 위치로부터 멀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17)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 부재(12)를 오 조작하여 제1 위치로 슬라이딩시키는 경우, 선택 부재(12)는 탄성 부재(17)를 압축한다. 사용자가 선택 부재(12)를 해제한 후, 선택 부재(12)는 탄성 부재(17)의 탄성력으로 인해 원래 위치로 리턴할 것이다. 그 후, 선택 부재(12)는 제1 잠금 해제 모듈(13)의 제1 슬라이딩 부재(132) 및 제2 잠금 해제 모듈(14)의 제2 슬라이딩 부재(142)를 원위치로 리턴하도록 구동시켜서, 작동 부재(11)가 제1 잠금 해제 모듈(13)을 밀기 위해 슬라이딩할 수 없도록 한다. 따라서, 프레임(2)은 잠금 해제될 수 없고 또한 접혀질 수 없어서, 유모차(100)의 안전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선택 부재(12)가 원래 위치로 리턴한 후, 선택 부재(12)는 작동 부재(11)에 다시 인접하여 작동 부재(11)를 잠근다. 구체적으로, 탄성 부재(17)는 스프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탄성 부재(17)는 또한 다른 탄성 객체일 수 있다. 탄성 부재(17)를 잘 위치시키기 위해, 프레임(2)은 돌출 블록(211)을 가질 수 있고, 탄성 부재(17)의 일측 단부는 돌출 블록(211)에 슬리브되어 프레임(2)에 인접하며, 탄성 부재(17)의 타측 단부는 선택 부재(12)에 인접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17)는 선택 부재(12)를 제2 위치로 리턴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여기서 선택 부재(12)의 제2 위치는 선택 부재(12)의 초기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작동 부재(11)는 제2 잠금 해제 모듈(14)을 밀어서 제2 잠금 메커니즘(5)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직접 가압될 수 있다. 프레임(2)이 접혀질 필요가 있는 경우, 작동 부재(11)가 제1 잠금 해제 모듈(13)에 대응하도록 하기 위해, 선택 부재(12)는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슬라이딩하여 제1 위치에서 유지되어야 한다. 그 후, 작동 부재(11)는 제1 잠금 메커니즘(4)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제1 잠금 해제 모듈(13)을 슬라이딩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전술한 작동 동안, 탄성 부재(17)는 압축되고 변형된다. 선택 부재(12)가 해제되는 경우, 선택 부재(12)는 탄성 부재(17)의 탄성력으로 인해 제2 위치로 리턴할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잠금 해제 장치(1)의 작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잠금 해제 장치(1)는 프레임(2)의 핸들(21)의 상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말할 것도 없이, 다른 실시예에서, 잠금 해제 장치(1)는 또한 프레임(2)의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잠금 해제 장치(1)는 프레임 폴딩 메커니즘 및 바퀴 회전 방향 메커니즘을 잠금 해제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제1 잠금 해제 모듈(13)의 제1 연결 부재(131b) 및 제2 잠금 해제 모듈(14)의 제2 연결 부재(141b)는 핸들 회전 잠금 메커니즘 등과 같은 유모차의 다른 잠금 메커니즘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잠금 해제 장치(1)는 유모차에 적용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잠금 해제 장치(1)는 다른 분야에서 2개의 다른 잠금 메커니즘을 잠금 해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잠금 해제 장치(1)의 동작은 아래와 같이 설명된다. 처음에, 작동 부재(11)는 제1 슬라이딩 부재(132) 및 제2 슬라이딩 부재(142)에 동시에 인접한다. 제1 잠금 메커니즘(4)이 잠금 해제되어야 하는 경우, 선택 부재(12)가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작동되어 제1 잠금 해제 모듈(13) 및 제2 잠금 해제 모듈(14)이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여, 선택 부재(12)가 작동 부재(11)로부터 분리되어 작동 부재(11)를 잠금 해제하고, 제2 잠금 해제 모듈(14)의 제2 슬라이딩 부재(142)가 또한 작동 부재(11)로부터 분리되며, 제1 잠금 해제 모듈(13)의 제1 슬라이딩 부재(132)가 여전히 작동 부재(11)에 인접하도록 한다. 작동 부재(11)가 가압되는 경우, 작동 부재(11)가 상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제1 슬라이딩 부재(132)를 밀어서 슬라이딩시킨다. 제1 슬라이딩 부재(132)는 슬라이딩하여 제1 돌출부(131a)를 밀어서 제1 회전 부재(131)를 회전 구동시킨다. 제1 회전 부재(131)는 프레임(2)이 잠금 해제되도록 제1 잠금 메커니즘(4)의 와이어를 당기도록 회전한다. 따라서, 프레임(2)이 접힐 수 있다. 제2 잠금 메커니즘(5)이 잠금 해제되어야 하는 경우, 선택 부재(12)가 우측으로 슬라이딩하도록 작동되어 제1 잠금 해제 모듈(13) 및 제2 잠금 해제 모듈(14)이 오른쪽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여, 선택 부재(12)가 작동 부재(11)로부터 분리되어 작동 부재(11)를 잠금 해제하고, 제1 잠금 해제 모듈(13)의 제1 슬라이딩 부재(132)도 또한 작동 부재(11)로부터 분리되며, 제2 잠금 해제 모듈(14)의 제2 슬라이딩 부재(142)가 여전히 작동 부재(11)에 인접하도록 한다. 작동 부재(11)가 가압되는 경우, 작동 부재(11)가 위쪽으로 슬라이딩되어 제2 슬라이딩 부재(142)를 밀어서 슬라이딩시킨다. 제2 슬라이딩 부재(142)는 슬라이딩하여 제2 돌출부(141a)를 밀어 제2 회전 부재(141)를 회전 구동시킨다. 제2 회전 부재(141)는 제2 잠금 메커니즘(5)의 제2 드래그 부재(522)를 당기도록 회전하여 위치 결정 기둥(523)이 바퀴 소켓(3)의 위치 결정 구멍(31)에서 배출된 후 바퀴 소켓(3)이 잠금 해제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바퀴 소켓(3)은 중앙 샤프트(32) 주위로 회전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잠금 해제 장치(1)는 작동 부재(11) 상에 배치된 유지 메커니즘(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지 메커니즘(6)은 작동 부재(11)가 슬라이딩하여 제1 잠금 메커니즘(4) 및 제2 잠금 메커니즘(5)을 잠금 해제하는 경우 잠금 해제 위치(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음)에서 작동 부재(11)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유지 메커니즘(6)은 작동 부재(11)가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작동되는 경우 작동 부재(11)를 해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유지 메커니즘(6)은 제1 체결 부재(61) 및 제2 체결 부재(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 부재(61)는 작동 부재(11) 상에 고정된다. 제2 체결 부재(62)는 프레임(2)에 연결된다. 잠금 해제 장치(1)가 프레임(2)의 핸들(21)에 배치되는 경우, 제2 체결 부재(62)는 프레임(2)의 핸들(21)에 배치되어 연결될 수 있다. 제1 체결 부재(61)는 제1 경사 홈(611)을 가지며, 제2 경사 홈(612), 제3 경사 홈(613) 및 제4 경사 홈(614)이 서로 연결된다. 제2 체결 부재(62)의 일측 단부는 체결부(621)를 갖는다.
사용자가 작동 부재(11)를 눌러서 제1 잠금 메커니즘(4) 또는 제2 잠금 메커니즘(5)을 잠금 해제하는 경우, 제2 체결 부재(62)의 체결부(621)가 제1 및 제2 경사 홈(611, 612)을 따라 이동한 후, 잠금 해제 위치(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음)에서 작동 부재(11)를 유지하기 위해 제2 및 제3 경사 홈(612, 613) 사이의 리세스(recess)(615)에서 체결된다. 이 때, 제1 잠금 메커니즘(4) 또는 제2 잠금 메커니즘(5)은 잠금 해제 위치에서 유지된다. 또한, 작동 부재(11)가 잠금 해제 위치에서 작동되는 경우(즉, 잠금 해제 위치에 있는 작동 부재(11)가 다시 가압되는 경우), 제2 체결 부재(62)의 체결부(621)가 리세스(615)로부터 분리되고 작동 부재(11)를 해제하기 위해 제3 및 제4 경사 홈(613, 614)을 따라 이동한다.
예를 들어, 제2 잠금 메커니즘(5)은 바퀴 회전 방향 메커니즘일 수 있다. 작동 부재(11)가 가압되어 바퀴 회전 방향 메커니즘을 잠금 해제하는 경우, 유지 메커니즘(6)은 작동 부재(11)를 잠금 해제 위치에 유지하여, 사용자가 작동 부재(11)를 해제하더라도 바퀴가 여전히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작동 부재(11)가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작동되는 경우, 유지 메커니즘(6)은 작동 부재(11)를 해제하여, 작동 부재(11)가 슬라이딩하여 바퀴 회전 방향 메커니즘을 잠근 다음 바퀴가 잠기도록 한다.
도 16 및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는 제1 작동 부재(111) 및 제2 작동 부재(1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작동 부재(111)는 제1 잠금 메커니즘(4)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이동하도록 제1 잠금 해제 모듈(13)을 구동하기 위해 슬라이딩되고, 제2 작동 부재(112)는 제2 잠금 메커니즘(5)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이동하도록 제2 잠금 해제 모듈(14)을 구동하기 위해 슬라이딩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또한 두 개의 서로 다른 잠금 메커니즘(4, 5)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두 개의 작동 부재(111, 112)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유지 메커니즘(6)은 제2 작동 부재(112) 상에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유지 메커니즘(6)은 또한 제1 작동 부재(1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잠금 메커니즘(5)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제2 작동 부재(112)를 가압하는 경우, 제2 체결 부재(62)의 체결부(621)는 제1 및 제2 경사 홈(611, 612)을 따라 이동한 다음 제2 및 제3 경사 홈(612, 613) 사이의 리세스(615)에 체결되어 잠금 해제 위치에 제2 작동 부재(112)를 유지시킨다(도 1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음). 이 때, 제2 잠금 메커니즘(5)은 잠금 해제 위치에 유지된다. 더욱이, 제2 작동 부재(112)가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작동되는 경우(즉, 잠금 해제 위치에 위치한 제2 작동 부재(112)가 다시 가압되는 경우), 제2 체결 부재(62)의 체결부(621)는 리세스(615)로부터 분리되고 제3 및 제4 경사 홈(613, 614)을 따라 이동하여 제2 작동 부재(112)를 해제함으로써, 제2 작동 부재(112)가 제2 잠금 메커니즘(5)을 잠그기 위해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잠금 메커니즘(5)은 바퀴 제동 및 바퀴 회전 잠금과 같은 상태를 유지하거나 유지할 필요가 있는 잠금 메커니즘 중 하나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1 잠금 메커니즘(4)은 핸들 변환, 바퀴 제동, 핸들 각도 조정, 프레임 폴딩 및 바퀴 회전 잠금의 잠금 메커니즘 중 하나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지만, 그 기능은 서로 중복되지 않을 것이다.
도 18 및 19를 참조하면, 유지 메커니즘(7)은 작동 부재(11)에 피봇 방식으로 연결되고 체결부(71) 및 탄성부(72)를 포함한다. 또한, 프레임(2)은 체결 구멍(24)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작동 부재(11)는 전술한 제2 잠금 메커니즘(5)을 잠금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 메커니즘(7)의 체결부(71)는 프레임(2)에 인접하고, 유지 메커니즘(7)의 탄성부(72)는 작동 부재(11)가 슬라이딩하여 제2 잠금 메커니즘(5)을 잠금 해제하기 전에 프레임(2)에 의해 압축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부재(11)가 제2 잠금 메커니즘(5)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슬라이딩되는 경우, 탄성부(72)는 유지 메커니즘(7)이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탄성력을 제공하고 체결부(71)는 체결 구멍(24)에 체결되어, 작동 부재(11)가 잠금 해제 위치에 유지되도록 한다. 사용자는 유지 메커니즘(7)을 가압하여 체결부(71)를 체결 구멍(24)으로부터 분리하여 작동 부재(11)를 해제함으로써, 작동 부재(11)가 슬라이딩되어 제2 잠금 메커니즘(5)을 잠글 수 있도록 한다.
도 20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는 제1 작동 부재(111) 및 제2 작동 부재(1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작동 부재(111)는 제1 잠금 메커니즘(4)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이동하도록 제1 슬라이딩 부재(132)를 구동하기 위해 슬라이딩되고, 제2 작동 부재(112)는 제2 잠금 메커니즘(5)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이동하도록 제2 슬라이딩 부재(142)를 구동하기 위해 슬라이딩된다. 본 실시예에서, 선택 부재(12)는 전술한 프레임(2) 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선택 부재(12)가 전술한 프레임(2)에 대해 제1 위치(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음)와 제2 위치(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음)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처음에, 제1 슬라이딩 부재(132) 및 제2 슬라이딩 부재(142)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 부재(12)에 인접한다. 제1 잠금 메커니즘(4)이 잠금 해제되어야 하는 경우, 선택 부재(12)는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작동되어(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음), 선택 부재(12)가 제1 슬라이딩 부재(132)로부터 분리되어 제1 작동 부재(111)를 잠금 해제하고 제2 슬라이딩 부재(142)가 여전히 선택 부재(12)에 인접하도록 한다. 이 때, 제1 슬라이딩 부재(132)와 선택 부재(12) 사이에 제1 수용 공간(15)이 형성된다. 제1 작동 부재(111)가 가압되는 경우(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음), 제1 작동 부재(111)는 상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제1 슬라이딩 부재(132)가 슬라이딩하도록 밀어서, 제1 잠금 메커니즘(4)을 잠금 해제할 수 있다. 제2 잠금 메커니즘(5)이 잠금 해제될 필요가 있는 경우, 선택 부재(12)가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작동되어(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음), 선택 부재(12)가 제2 슬라이딩 부재(142)로부터 분리되어 제2 작동 부재(112)를 잠금 해제하고 제1 슬라이딩 부재(132)가 여전히 선택 부재(12)에 인접하도록 한다. 이 때, 제2 슬라이딩 부재(142)와 선택 부재(12) 사이에 제2 수용 공간(16)이 형성된다. 제2 작동 부재(112)가 가압되는 경우(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음), 제2 작동 부재(112)는 상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제2 슬라이딩 부재(142)가 슬라이딩하도록 밀어서 제2 잠금 메커니즘(5)을 잠금 해제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잠금 메커니즘(4, 5)을 잠금 해제하는 방법이 상기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 않을 것임에 유의해야 한다.
도 25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는 제1 작동 부재(111) 및 제2 작동 부재(1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작동 부재(111)는 제1 잠금 메커니즘(4)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이동하도록 제1 슬라이딩 부재(132)를 구동하도록 슬라이딩되고, 제2 작동 부재(112)는 제2 잠금 메커니즘(5)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이동하도록 제2 슬라이딩 부재(142)를 구동하기 위해 슬라이딩된다. 본 실시예에서, 선택 부재(12)는 전술한 프레임(2)에 피봇 방식으로 연결되어, 선택 부재(12)가 전술한 프레임(2)에 대해 제1 위치(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음)와 제2 위치(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음)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처음에, 선택 부재(12)는 제2 위치에 위치하여, 선택 부재(12)가 제2 슬라이딩 부재(142)로부터 분리되어 제2 작동 부재(112)를 잠금 해제하고, 제1 슬라이딩 부재(132)가 선택 부재(12)에 인접하여 제1 작동 부재(111)를 잠그도록 한다. 이 때, 제2 수용 공간(16)은 제2 슬라이딩 부재(142)와 선택 부재(12) 사이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토션(torsion) 스프링 등이 제2 위치에 선택 부재(12)를 유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제2 작동 부재(112)가 가압되는 경우(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음), 제2 작동 부재(112)가 상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제2 슬라이딩 부재(142)가 슬라이딩하도록 밀어서 제2 잠금 메커니즘(5)을 잠금해제할 수 있다. 제1 잠금 메커니즘(4)이 잠금 해제될 필요가 있는 경우, 선택 부재(12)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작동되어(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음), 선택 부재(12)가 제1 슬라이딩 부재(132)로부터 분리되어 제1 작동 부재(111)를 잠금 해제하고 제2 슬라이딩 부재(142)가 선택 부재에 인접하여 제2 작동 부재(112)를 잠그도록 한다. 이 때, 제1 슬라이딩 부재(132)와 선택 부재(12) 사이에 제1 수용 공간(15)이 형성된다. 제1 작동 부재(111)가 가압되는 경우(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음), 제1 잠금 메커니즘(4)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제1 작동 부재(111)가 슬라이딩되어 제1 슬라이딩 부재(132)를 밀어서 슬라이딩하도록 한다. 선택 부재(12)가 도 27에서 도시된 제1 위치로부터 해제되는 경우, 토션 스프링이 도 25에 도시된 제2 위치로 회전하도록 선택 부재(12)를 강제함으로써, 제1 작동 부재(111)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잠금 메커니즘(4, 5)을 잠금 해제하는 방법이 위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여기서 다시 섬령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잠금 메커니즘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이동하도록 제1 잠금 해제 모듈을 구동하거나 또는 제2 잠금 메커니즘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이동하도록 제2 잠금 해제 모듈을 구동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를 사용한다. 실시예에서, 선택 부재는 프레임 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프레임에 대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선택 부재가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제1 잠금 메커니즘은 작동 부재에 대응하여, 작동 부재가 제1 잠금 메커니즘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이동하도록 제1 잠금 해제 모듈을 구동하기 위해 슬라이딩될 수 있다. 선택 부재가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제2 잠금 메커니즘은 작동 부재에 대응하여, 작동 부재가 제2 잠금 메커니즘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이동하도록 제2 잠금 해제 모듈을 구동하기 위해 슬라이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 및 제2 잠금 메커니즘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2개의 독립적인 잠금 해제 장치를 배치할 필요가 없다. 즉, 본 발명은 2개의 서로 다른 잠금 메커니즘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하나의 단일 잠금 해제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 비용이 절감되고, 본 발명의 잠금 해제 장치는 유모차의 공간을 덜 차지하며, 조작이 쉽고 편리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작동 부재가 제1 잠금 메커니즘 또는 제2 잠금 메커니즘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슬라이딩하는 경우 잠금 해제 위치에 작동 부재를 유지하기 위해 유지 메커니즘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잠금 메커니즘 또는 제2 잠금 메커니즘은 작동 부재가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작동될 때까지 잠금 해제 상태에서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잠금 메커니즘은 바퀴 회전 방향 메커니즘일 수 있고, 유지 메커니즘은 작동 부재가 제2 잠금 메커니즘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슬라이딩하는 경우 잠금 해제 위치에 작동 부재를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바퀴 회전 방향 메커니즘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작동 부재를 가압하는 경우, 바퀴 회전 방향 메커니즘은 잠금 해제 위치에서 유지되어, 사용자가 작동 부재를 해제하더라도 바퀴가 여전히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작동 부재가 잠금 해제 위치에서 작동되는 경우, 유지 메커니즘은 작동 부재를 해제함으로써, 작동 부재가 슬라이딩되어 바퀴 회전 방향 메커니즘을 잠근 다음 바퀴가 잠기도록 한다.
당업자는 본발명의 교시를 보유하면서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수많은 변형 및 변경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점을 쉽게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의 개시는 오직 첨부된 청구항의 경계(metes and bounds)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1)

  1. 잠금 해제 장치로서,
    제1 잠금 메커니즘 및 제2 잠금 메커니즘이 장착되어 있는 프레임 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
    상기 프레임 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잠금 메커니즘에 연결된 제1 잠금 해제 모듈; 및
    상기 프레임 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잠금 메커니즘에 연결된 제2 잠금 해제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는 이동하여, 상기 제1 잠금 메커니즘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이동하도록 상기 제1 잠금 해제 모듈을 구동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잠금 메커니즘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이동하도록 상기 제2 잠금 해제 모듈을 구동하고,
    상기 잠금 해제 장치는,
    상기 프레임 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선택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선택 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는 슬라이딩하여, 상기 제1 잠금 메커니즘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이동하도록 상기 제1 잠금 해제 모듈을 구동하고,
    상기 선택 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는 슬라이딩하여, 상기 제2 잠금 메커니즘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이동하도록 상기 제2 잠금 해제 모듈을 구동하는,
    잠금 해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잠금 해제 모듈은 상기 프레임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된 제1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잠금 해제 모듈은 상기 프레임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된 제2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딩 방향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의 슬라이딩 방향과 동일한,
    잠금 해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잠금 해제 모듈은 상기 프레임에 피봇 방식으로 연결된 제1 회전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잠금 해제 모듈은 상기 프레임에 피봇 방식으로 연결된 제2 회전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회전 부재를 각각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되는,
    잠금 해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부재는 제1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슬라이딩 부재는 이동하여, 상기 제1 돌출부를 밀어서 상기 제1 회전 부재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2 회전 부재는 제2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는 이동하여, 상기 제2 돌출부를 밀어서 상기 제2 회전 부재를 회전시키는,
    잠금 해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딩 부재는 제1 체결 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체결 홈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는 제2 체결 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2 체결 홈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잠금 해제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부재는 제1 연결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회전 부재의 회전 중심에 대해 편심되고 상기 제1 잠금 메커니즘에 연결되며, 상기 제2 회전 부재는 제2 연결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연결 부재는 상기 제2 회전 부재의 회전 중심에 대해 편심되고 상기 제2 잠금 메커니즘에 연결되는,
    잠금 해제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부재는 제1 수신 구멍 및 제2 수신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슬라이딩 부재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1 수신 구멍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2 수신 구멍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잠금 해제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딩 부재는 제1 슬라이딩부, 제1 구동부 및 제1 제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슬라이딩부는 상기 선택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제1 회전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제한부는 상기 제1 구동부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는 제2 슬라이딩부, 제2 구동부 및 제2 제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슬라이딩부는 상기 선택 부재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제2 회전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제한부는 상기 제2 구동부의 측면에 배치되는,
    잠금 해제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제1 수용 공간은 상기 제1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 사이 또는 상기 제1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선택 부재 사이에 형성되고, 제2 수용 공간은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 사이 또는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선택 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잠금 해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탄성 부재는 상기 선택 부재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선택 부재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멀어지도록 구성되는,
    잠금 해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선택 부재를 상기 제2 위치로 리턴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잠금 해제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돌출 블록을 구비하며, 상기 탄성 부재의 일측 단부는 상기 돌출 블록에 슬리브되고 상기 프레임에 인접하며, 상기 탄성 부재의 타측 단부는 상기 선택 부재에 인접하는,
    잠금 해제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는 제1 작동 부재 및 제2 작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작동 부재는 슬라이딩하여, 상기 제1 잠금 메커니즘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이동하도록 상기 제1 잠금 해제 모듈을 구동하고, 상기 제2 작동 부재는 슬라이딩하여, 상기 제2 잠금 메커니즘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이동하도록 상기 제2 잠금 해제 모듈을 구동하는,
    잠금 해제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 상에 배치된 유지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가 슬라이딩하여 상기 제1 잠금 메커니즘과 상기 제2 잠금 메커니즘 중 하나를 잠금 해제하는 경우 상기 유지 메커니즘은 잠금 해제 위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를 유지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가 상기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작동되는 경우 상기 유지 메커니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를 해제하는,
    잠금 해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메커니즘은 제1 체결 부재 및 제2 체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체결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 상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체결 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체결 부재는 서로 연결된 제1 경사 홈, 제2 경사 홈, 제3 경사 홈 및 제4 경사 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체결 부재의 체결부는 상기 제1 및 제2 경사 홈을 따라 이동하며, 그 후 상기 잠금 해제 위치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2 및 제3 경사 홈 사이의 리세스에 체결하고, 상기 제2 체결 부재의 결합부는 상기 리세스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제3 및 제4 경사 홈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를 해제하는,
    잠금 해제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메커니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에 피봇 방식으로 연결되고 체결부 및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체결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프레임에 인접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가 상기 제2 잠금 메커니즘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슬라이딩하기 전에 상기 프레임에 의해 압축되며, 상기 탄성부는 상기 유지 메커니즘을 회전 구동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가 슬라이딩하여 상기 제2 잠금 메커니즘을 해제하는 경우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 구멍에 체결되는,
    잠금 해제 장치.
  17. 유모차로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다리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 바퀴 소켓;
    상기 프레임 상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을 접도록 구성된 제1 잠금 메커니즘;
    상기 프레임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바퀴 소켓을 잠그도록 구성된 제2 잠금 메커니즘; 및
    상기 제1 잠금 메커니즘 및 상기 제2 잠금 메커니즘을 잠금 해제하도록 구성된 제1항의 잠금 해제 장치
    를 포함하는 유모차.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잠금 메커니즘은 연결 부재 및 위치 결정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결정 어셈블리는 제1 드래그 부재, 제2 드래그 부재, 위치 결정 부재 및 리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바퀴 소켓은 위치 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드래그 부재의 일측 단부는 상기 연결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드래그 부재의 타측 단부는 상기 위치 결정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다리 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위치 결정부에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위치 결정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리턴 부재는 상기 위치 결정부를 향해 상기 위치 결정 부재를 밀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2 드래그 부재는 상기 제2 잠금 해제 모듈과 상기 연결 부재 사이에 연결되는,
    유모차.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위치 결정 구멍이고,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위치 결정 기둥이며, 상기 위치 결정 기둥은 상기 위치 결정 구멍에 신축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유모차.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 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핸들 상에 배치되는,
    유모차.
  21. 삭제
KR1020200101159A 2019-08-12 2020-08-12 잠금 해제 장치 및 유모차 KR102482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2206A KR102671351B1 (ko) 2019-08-12 2022-12-22 잠금 해제 장치 및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742073.0 2019-08-12
CN201910742073 2019-08-12
CN201911103663.5 2019-11-12
CN201911103663 2019-11-1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2206A Division KR102671351B1 (ko) 2019-08-12 2022-12-22 잠금 해제 장치 및 유모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967A KR20210019967A (ko) 2021-02-23
KR102482026B1 true KR102482026B1 (ko) 2022-12-26

Family

ID=72086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159A KR102482026B1 (ko) 2019-08-12 2020-08-12 잠금 해제 장치 및 유모차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11679797B2 (ko)
EP (3) EP3833592B1 (ko)
JP (2) JP7315517B2 (ko)
KR (1) KR102482026B1 (ko)
CN (2) CN116142277A (ko)
AU (2) AU2020330713B2 (ko)
CA (1) CA3147877A1 (ko)
DE (1) DE102020121238A1 (ko)
ES (1) ES2962221T3 (ko)
GB (3) GB2601083B (ko)
PL (1) PL3833592T3 (ko)
TW (5) TWI817858B (ko)
WO (1) WO20210284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67319B (zh) * 2019-09-11 2022-06-11 瑞士商明門瑞士股份有限公司 兒童載具
CN115707614A (zh) * 2021-08-20 2023-02-21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连接结构和婴儿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4418A (ja) 2001-08-17 2003-02-26 Combi Corp 遠隔操作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ベビーカー
JP2016064688A (ja) * 2014-09-22 2016-04-28 コンビ株式会社 乳母車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94701A3 (en) * 1987-07-28 1992-09-09 Aprica Kassai Kabushikikaisha Baby carriage
JP2542450Y2 (ja) * 1992-10-27 1997-07-30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の手押し杆に設ける開閉操作機構
JP2542123Y2 (ja) 1993-09-30 1997-07-23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の遠隔操作機構
US6339862B1 (en) * 2000-02-09 2002-01-22 Kenny Cheng Single-handed folding device (II)
US6478328B1 (en) * 2000-10-31 2002-11-12 Link Treasure Ltd. Locking device with safety mechanism for collapsible stroller
TWM245120U (en) * 2002-05-06 2004-10-01 Link Treasure Ltd Direction steering and positioning mechanism for caster of baby carriage
CN101497346B (zh) * 2009-03-12 2011-08-31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童车的推杆组件
CN102101489B (zh) * 2009-12-18 2013-07-03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具可调整推杆的婴儿承载装置
CN102101490B (zh) 2009-12-18 2014-07-16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可收合式婴幼儿承载装置
CN102100463B (zh) * 2009-12-18 2014-03-26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婴幼儿承载装置及具有安全锁的操作机构
US8827283B2 (en) * 2010-04-01 2014-09-09 Nuna International B.V. Mounting system and method of installing a child support accessory on a stroller frame
CN102211603B (zh) * 2010-04-07 2013-02-13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婴儿承载装置
US8419025B2 (en) 2010-04-07 2013-04-16 Wonderland Nurserygoods Company Limited Infant carrier apparatus
CN105752146B (zh) * 2011-11-01 2019-07-09 康贝株式会社 婴儿车
JP6026118B2 (ja) 2012-03-16 2016-11-16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CN103419827B (zh) * 2012-05-18 2016-01-13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二次锁定机构及可收合车架
CN103661544B (zh) 2012-08-30 2016-03-02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关节装置
CN202827683U (zh) 2012-09-28 2013-03-27 昆山市贝尔儿童用品有限公司 手把锁定结构
US10363951B2 (en) * 2015-06-11 2019-07-30 Safe-Strap Company, Llc Child restraint for child seat
CN204871148U (zh) * 2015-07-09 2015-12-16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解锁捏手及具有该解锁捏手的儿童推车
CN108297767B (zh) * 2016-08-23 2024-02-23 珠海阳光儿童用品有限公司 头枕调节装置、头枕组合结构、座椅主体和座椅
CN206155527U (zh) * 2016-09-21 2017-05-10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儿童推车的解锁机构
CN207089390U (zh) * 2017-06-07 2018-03-13 昆山威凯儿童用品有限公司 婴儿推车的解锁机构及婴儿推车
CN109131517B (zh) * 2017-06-15 2021-01-29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婴儿车
US11186306B2 (en) 2018-07-16 2021-11-30 Dorel Juvenile (Zhongshan) Product Co., Ltd Handle folding mechanism, three-fold handle employing the folding mechanism, and stroller having the same
CN211167048U (zh) * 2019-10-25 2020-08-04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儿童推车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4418A (ja) 2001-08-17 2003-02-26 Combi Corp 遠隔操作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ベビーカー
JP2016064688A (ja) * 2014-09-22 2016-04-28 コンビ株式会社 乳母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142277A (zh) 2023-05-23
EP3833592A1 (en) 2021-06-16
EP4253193A2 (en) 2023-10-04
GB202202181D0 (en) 2022-04-06
GB202316764D0 (en) 2023-12-13
TW202313388A (zh) 2023-04-01
GB2618234B (en) 2024-05-29
TW202106549A (zh) 2021-02-16
JP2023138522A (ja) 2023-10-02
DE102020121238A1 (de) 2021-02-18
CN112389533B (zh) 2023-03-17
ES2962221T3 (es) 2024-03-18
TWI817858B (zh) 2023-10-01
WO2021028488A1 (en) 2021-02-18
GB2601083B (en) 2023-08-23
EP4253193A3 (en) 2024-01-03
TW202136096A (zh) 2021-10-01
AU2024200155A1 (en) 2024-01-25
AU2020330713A1 (en) 2022-02-17
US20230303150A1 (en) 2023-09-28
JP7315517B2 (ja) 2023-07-26
US20210046968A1 (en) 2021-02-18
KR20210019967A (ko) 2021-02-23
KR20230007280A (ko) 2023-01-12
GB2601083A (en) 2022-05-18
EP3833592B1 (en) 2023-09-20
TW202348476A (zh) 2023-12-16
GB2621493A (en) 2024-02-14
TW202229075A (zh) 2022-08-01
CA3147877A1 (en) 2021-02-18
CN112389533A (zh) 2021-02-23
TWI764758B (zh) 2022-05-11
GB2618234A (en) 2023-11-01
EP4253192A3 (en) 2023-12-27
AU2020330713B2 (en) 2023-10-12
EP4253192A2 (en) 2023-10-04
JP2021027994A (ja) 2021-02-25
TWI790156B (zh) 2023-01-11
TWI733554B (zh) 2021-07-11
PL3833592T3 (pl) 2024-02-19
US11679797B2 (en) 202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0761B2 (en) Collapsible child carrier apparatus
US20170297599A1 (en) Collapsible seat assembly and a stroller with the same
CN115402394A (zh) 儿童推车
US20230303150A1 (en) Unlock device and stroller
GB2544377A (en) Infant carrier
TWI805510B (zh) 收合鎖定機構
CN114228817B (zh) 一种推车折叠关节机构及具有其的婴儿推车
CN111619645B (zh) 一种儿童推车
KR102671351B1 (ko) 잠금 해제 장치 및 유모차
CN216611331U (zh) 可折叠座兜及具有该座兜的婴儿推车
US20220346569A1 (en) Multi-functional baby carrycot
CN211107638U (zh) 一种折叠关节及设有该折叠关节的婴儿车
CN218806045U (zh) 一种儿童推车车架
EP4257422A1 (en) Multifunctional baby carrycot
CN220809532U (zh) 一种可收合的关节以及设有该关节的婴儿车
TWI839209B (zh) 收合鎖定機構
CN212332758U (zh) 联动解锁的儿童推车
CN114179894A (zh) 可折叠座兜及具有该座兜的婴儿推车
CN116001898A (zh) 收折关节和儿童载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