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1757B1 - 중성화 방지 및 염해방지가 우수한 친환경 유무기복합 도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방수도료층 및 이의 도장방법 - Google Patents

중성화 방지 및 염해방지가 우수한 친환경 유무기복합 도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방수도료층 및 이의 도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1757B1
KR102481757B1 KR1020220061791A KR20220061791A KR102481757B1 KR 102481757 B1 KR102481757 B1 KR 102481757B1 KR 1020220061791 A KR1020220061791 A KR 1020220061791A KR 20220061791 A KR20220061791 A KR 20220061791A KR 102481757 B1 KR102481757 B1 KR 102481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eco
weight
acrylic copolymer
mon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1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경규
박남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케이이노텍
강경규
박남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케이이노텍, 강경규, 박남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케이이노텍
Priority to KR1020220061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17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7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50Multi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3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 C08F230/04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ntaining a metal
    • C08F230/08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ntaining a metal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1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K5/5415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at least one Si—O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09D1/02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alkali metal silicates
    • C09D1/04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alkali metal silicates with organic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2Prim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유무기 복합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강재 및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코팅 및 보호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재 및 콘크리트 구조물 피도면과의 접착성과 내구성이 우수하고, 방수성이 우수하여 표면보호 효과가 장기간 유지될 수 있는 동시에, 중성화 및 염해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갖는 친환경 유무기 복합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강재 및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코팅 및 보호 공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중성화 방지 및 염해방지가 우수한 친환경 유무기복합 도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방수도료층 및 이의 도장방법{Eco-friendly organic/inorganic composite paint composition with excellent neutralization prevention and salt damage prevention, eco-friendly waterproof paint layer containing the same, and co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중성화 방지 및 염해방지가 우수한 친환경 유무기복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방수도료층과 그의 도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 구조물이나 콘크리트와 강재 구조물로 이루어진 구조물등의 건축구조물은 건설 후 유해가스, 염해나 물의 침투 등에 강도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장시간 사용에 따라 이의 대기환경오염 인자들에 의해 구조물이 화학적 부식 등에 의해 내구성이 떨어져 사용 수명이 감소하게 된다. 특히, 해변가에 구조물이 노출되는 환경에서는 염분의 침투를 받는 경우가 많다. 또한 터널 구조물 경우 대기환경오염 인자들에 많이 노출되어 내구성이 저하되고, 교량의 경우 잦은 차량 통행으로 진동에 노출되어 콘크리트 균열에 따른 물과 이산화탄소의 장기적인 침투로 인해 내구성 저하된다. 콘크리트는 공기 중의 탄산가스의 작용을 장기적으로 받게 되면 콘크리트 중의 수산화칼슘이 서서히 탄산칼슘으로 변하면서 pH가 낮아져 중성화가 일어난다. 이와 같은 중 콘크리트가 중성화되고 물과 공기가 침투하면 콘크리트 내의 철이 부식되고 철근의 체적이 팽창하여 콘크리트에 있어서 균열이 발생하여 내구성이 저하된다. 이와 같은 현상을 막기 위하여 종래에는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을 통해 콘크리트 표면에 코팅하거나 그 표면에 에폭시 수지를 도장하여 콘크리트 표면의 중성화와 염해를 방지하여 왔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47460호에서는 속경화수지인 폴리우레아 수지를 코팅제로 사용하기 전에 수용성 에폭시 시멘트계로 코팅층의 핀홀 발생 현상을 방지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콘크리트 바닥표면이 습윤 상태인 경우 견고한 부착력을 유지하기 어려우며, 콘크리트 구조물에 존재하는 다량의 공극들에 수분을 포함하는 경우, 기포가 팽창하여 핀홀 현상 및 부풀음 등이 발생될 수 있어 하자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0937632호는 불소계 계면활성제를 첨가함으로써 내오염성과 함께 내약품성, 내곰팡이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제안한 바 있다. 상기 코팅제는 내구성, 내화학성이 개선된 장점이 있으나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부착강도 면에서는 개선의 필요성이 있고, 장기적으로 사용시 중성화, 염해, 환경오염물질 등에 노출시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의 방식 및 방수재의 물성의 한계를 극복하면서 습윤 환경의 콘크리트 표면에 침투가 가능하고 기계적 물성이 향상된 도료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높은 함수율의 콘크리트 경우에도 기존의 방수재가 가지는 부착력 저하, 기포발생, 도막 들뜸 등의 현상이 일어나는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콘크리트내 부식에 따른 균열을 억제하여 장기 내구성 물성을 갖는 친환경 유무기 융합도료 조성물이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947460 호 (2010.03.0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937632 호 (2010.01.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강재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의 중성화, 염해, 내동결성, 부식보호 기능이 우수한 동시에, 피도면과의 침투성, 물리적 화학적 결합을 통한 접착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친환경 유무기 융합도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방오성, 내후성, 내수성, 방수기능 및 표면 강도가 우수하여 장시간의 표면 보호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유무기 융합도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재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및 방식 공법에 적용하는 친환경 유무기 융합도료 조성물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알칼리 규산염을 포함하는 하도층; 및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 및 실리코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중상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방수도료층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 (메타)아크릴옥시실란계 단량체 및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하여 중합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는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2-프로필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 3-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모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아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디하이드로디사이클로펜타디에닐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2-(2-에톡시에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메타)아크릴옥시실란계 단량체는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트리메톡시실란,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트리에톡시실란 및 3-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트리에톡시실란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비닐계 단량체는 초산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스티렌, 디비닐벤젠, 에틸비닐벤젠, 알파메틸스티렌, 플루오로스티렌, 비닐피리딘, 염화비닐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전체 중량에 대해 (메타)아크릴계 단량체 30~50 중량%, (메타)아크릴옥시실란계 단량체 10~30 중량%, 비닐계 단량체 20~4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유리전이온도(Tg)가 -10 내지 60℃ 인 것을 포함하는 것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알칼리 규산염은 나트륨규산염, 칼륨규산염, 리튬규산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하도층은 이오노머 수지 또는 인계 개질 수지에서 선택되는 인핸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하도층은 공중합체 수지 75~95 중량% 및 알칼리 규산염 5~25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중상도층은 공중합체 수지 50~80 중량% 및 실리코네이트 화합물 20~5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중상도층은 분산제, 유화제, 소포제, 표면 조절용 첨가제, 무기안료, 체질안료, 증점제, 인핸서, 동결방지제, 자외선 안정제, 방부제, pH 조절제, 도막형성제, 방충제 및 향균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알칼리 규산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 및 실리코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의 표면을 상기 하도 도료조성물로 도포하여 하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도층 상에 상기 중상도 도료조성물을 도포하여 중상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친환경 방수도료층의 도장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개시에 따른 본 발명의 하도 조성물 및 중상도 조성물를 순차적으로 도포하여 형성된 친환경 방수도막층은 강재 및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과 강한 화학적 결합으로 표면이 견고하고 특히, 부착력, 방수성, 염해방지, 중성화방지 또한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친환경 방수도막층은 이산화탄소 및 산성물질 등으로 인한 콘크리트 중성화 속도를 억제시켜 상기 콘크리트 표층의 치말화 및 화학적 안정성 도모를 통해 콘트리트 보호 및 수명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하 구체예 또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구체예 또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참조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모든 기술적 용어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 중 하나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구체예를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함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메타)아크릴계 단량체 등과 같이 괄호에 포함된 메타를 기재한 것은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또는 아크릴계 단량체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중상도”는 도막층에서 하도층을 제외한 중도층; 상도층; 또는 중도층과 상도층;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기재”는 강재,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보수할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알칼리 규산염을 포함하는 하도층; 및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 및 실리코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중상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방수도료층을 제공한다.
상기 친환경 방수도료층은 상기 하도층과 상기 중상도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하도층과 중상도층이 상기 알칼리 규산염, 실리코네이트 화합물 및 특정의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수지로 인하여 매우 견고하면서 밀착되어 방수성이 매우 우수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 (메타)아크릴옥시실란계 단량체 및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하여 중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용액중합(solution polymerization) 또는 유화 중합(emulsion polymerization), 현탁 중합(suspention polymerization)에서 선택되는 중합방법으로 중합된 것일 수 있으며, 좋게는 유화 중합으로 중합된 것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유화중합으로 제조된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유기 용매 대신에 물에서 중합함에 따라 친환경 적이며, 특히 상기 아크릴공중합체는 강재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과 같은 기재 표면의 다공성 또는 극성 표면과의 결합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기재와 상기 하도층 간의 우수한 결합성으로 인하여 부착력, 방수성, 염해방지, 중성화 방지 등의 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어서 선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는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2-프로필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 3-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모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아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디하이드로디사이클로펜타디에닐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2-(2-에톡시에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라우릴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2-(2-에톡시에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2-프로필아크릴산 및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메타)아크릴옥시실란계 단량체는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트리메톡시실란,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트리에톡시실란 및 3-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트리에톡시실란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 인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트리메톡시실란,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트리에톡시실란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비닐계 단량체는 초산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스티렌, 디비닐벤젠, 에틸비닐벤젠, 알파메틸스티렌, 플루오로스티렌, 비닐피리딘 및 염화비닐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스티렌, 디비닐벤젠, 에틸비닐벤젠, 알파메틸스티렌 및 플루오로스티렌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비닐계 단량체가 방향족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하도층 또는 상기 중상도층이 더욱 우수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전체 중량에 대해 (메타)아크릴계 단량체 30~50 중량%, (메타)아크릴옥시실란계 단량체 10~30 중량%, 비닐계 단량체 20~4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중 (메타)아크릴 단량체의 함량이 30 내지 50 중량%을 만족함에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부착강도 또한 우수하며 경도 또한 적당하여 도막의 탄성 또한 우수하여 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옥시실란계 단량체의 함량이 5 내지 25 중량%을 만족함에 따라 부착력이 우수하고 용액의 장기 저장안정성이 우수하여 추후 작업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단량체들이 가수 축합되어 상기 단량체 들 간에도 일정 부분 가교가 일어나므로, 표면 강도와 수분침투 등을 막을 수 있어서 더욱 좋다.
또한, 비닐계 단량체의 함량이 20 내지 40 중량%을 만족함에 따라, 내오염성이 우수해지고, 균열저항성 또한 우수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유리전이온도(Tg)가 -10 내지 60℃ 인 것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가 상기 유리전이온도를 만족함에 따라, 도막의 경도, 부착착성, 오염성, 내마모성, 건조성이 우수하면서 동시에 균열저항성 또한 더욱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하도 도료 조성물은 공중합체 수지 75~95 중량% 알칼리 규산염 5~25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알칼리규산염은 나트륨규산염, 칼륨규산염, 리튬규산염이 단독 및 2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알칼리규산염이 상기 하도층에 상기 알칼리 규산염이 상기 함량으로 포함됨에 따라 콘크리트의 표면이 장기간 노출되어도 중성화 및 염해방지 효과가 매우 우수하고, 제품의 저장안정성이 우수하여 작업성 또한 우수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하도층은 이오노머 수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하도층에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 중량부의 이오노머 수지를 더 포함함에 따라 상기 기재와의 부착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특히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와 알칼리 규산염과의 결합성이 더욱 증가하여 상기 하도층의 내구성 및 치밀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이오노머 수지는 에틸렌-아크릴산계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계 공중합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제, 중상도층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중상도층은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와 실리코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중상도층의 구성으로 인하여 중상도층의 표면이 매우 매끄러우면서 동시에 견고하고 환경오염물질에 대한 방오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상기 실리코네이트 화합물은 소디움 메틸 실리코네이트 및 포타슘 메틸 실리코네이트로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와 상기 실리코네이트 화합물간의 결합력이 우수하며, 특히 상기 중상도층과 상기 하도층 간의 결합이 매우 우수하여 각 층이 매우 치밀하게 밀착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중상도층은 공중합체 수지 50~80 중량% 및 실리코네이트 화합물 20~5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를 만족함에 따라 상기 중상도층의 작업성이 우수하고, 특히 내구성이 매우 우수하여 외부의 충격 등으로 인한 균열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일 개시에서는 상기 하도층 또는 중상도층에서 도막의 물성을 증진시키는 인핸서(enhaanc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핸서는 기재층과 접착성과 각 조성물에서 각층간의 접착성과 각 성분들간의 혼화성 및 표면 치밀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어서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인핸서는 도막 건조시 소지와 도막간의 부착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며 비제한 적으로 예를 들면, 인산변성 수지를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들에는 인산계-에스테르 변성수지, 인산-에폭시 변성수지 또는 인산-실리콘 변성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를들면, Shin-Etsu Silicone, KBM-403등이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중상도층은 분산제, 유화제, 소포제, 표면 조절용 첨가제, 무기안료, 체질안료, 증점제, 동결방지제, 자외선 안정제, 방부제, pH 조절제, 도막형성제, 방충제 및 향균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본 발명은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알칼리 규산염을 포함하는 하도 도료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본 발명은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 및 실리코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중상도 도료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도료 조성물 각각에는 필요에 의해 상기 인핸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시 상기 인핸서는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이하, 좋게는 0.1 내지 2중량%로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도 도료조성물의 구성과 상기 중상도 도료조성물의 구성은 앞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기에 여기서는 생략한다.
본 발명은 기재의 표면을 상기 하도 도료조성물로 도포하여 하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도층 상에 상기 중상도 도료조성물을 도포하여 중상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친환경 방수도료층의 도장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의 표면을 먼저 표면처리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처리단계는 강재 및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이들의 수리부분의 표면에 열화된 부분이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수행되고 있는 통상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고압세척, 평삭, 연삭 또는 SSPC(철강구조물 도장협회) 규정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하도 처리단계에서 하도 도료 조성물을 1-3회 도포하여 하도층 또는 건조도막의 두께가 0.02-1 mm, 구체적으로 0.05-0.2 mm가 되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도 도료조성물을 도포한 후에는 완전히 건조되도록 충분한 시간동안 양생한다. 이렇게 양생을 거쳐 형성된 하도의 건조도막두께가 상기 두께 범위를 만족함에 따라, 하도 상면에 도포되는 도막과 구조물의 결합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상기 중상도 처리단계에서 중상도 도료조성물을 1-3회 도포하여 완전히 건조되도록 충분한 시간 동안 양생한다. 이렇게 양생과정을 거쳐 형성된 중상도의 건조도막 또는 중상도 층의 두께는 0.05-3 mm, 구체적으로 0.1-2 m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도막의 두께가 상기 두께 범위를 만족함에 따라, 도막과 구조물의 결합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하도 및 중상도를 형성하기 위한 도포 방식은 본 기술 분야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도포방식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구조물에 도막을 고르게 입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로는 붓, 로라, 몰탈건 및 에어스프레이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합체수지 용액 도료조성물은 강재 및 콘크리트 구조물만 도포되는 것은 아니고, 건축용에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도를 형성한 후 형성된 도막의 오염방지를 위해 오염방지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물성 측정 방법]
[점도]
상기 점도는 25℃에서 Brookfield 점도계로 측정하였다.
[비중]
상기 비중은 도료온도 25℃에서 규정화된 비중 컵에 도료를 부어 그 무게를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건조시간]
상기 건조시간은 실온과 트인 공간에서 도장 후 경화 건조를 측정하여 엄지손가락으로 힘을 주어 비틀었을 때 손의 지문이 남지 않을 때의 시간을 의미한다.
[용기내 상태]
상기 용기내 상태는 내용물에 딱딱한 덩어리 또는 이물질이 없으며 저었을 때 쉽게 균일한 상태를 “양호”로 표기하였으며, 약간의 이물질을 포함하면서 쉽게 균일한 상태를 “보통”으로 표기하였으며, 이물질이 많고 쉽게 균일한 상태가 되지 않은 경우는 “불량”으로 표기하였다.
[도막의 겉모양]
상기 도막의 겉모양은 롤러 및 붓, 에어레스 스프레이로 도장 시 점도가 적절하여 롤러마크가 없고 외관이 시각적으로 매우 깨끗한 상태를 “양호”로 표기하였으며, 상기 점도가 불량하여 롤러마크가 일부 발생하는 경우를 “보통”으로 표기하였으며, 상기 점도가 매우 불량하여 롤러마크가 과도하게 발생되는 경우를 “불량”으로 표기하였다.
[중성화 정도]
상기 중성화 정도는 페놀프탈레인 1%용액을 분무하고 페놀프탈레인과의 변색 여부에 따라 중성화도를 측정하였다.
[콘크리트 부착강도]
상기 콘크리트 부착강도의 정도는 콘크리트에 약 50~100μm으로 도장하여 건조 후 칼로 X자로 긁은 후 모서리 부분을 칼로 도려내어 보아 콘크리트와 도막이 잘 분리되지 않을 경우 “양호”로 표기하였고, 잘 분리되는 경우는 “불량”으로 표기하였다.
[연필경도]
상기 연필경도는 연필 경도계로 측정하였다.
[내수성]
상기 내수성은 슬레이트 판에 도막을 50~100μm로 형성시켜 20℃에서 7일간 물에 담궈 박리나 탈색 등이 발생하지 않으면 “매우우수”, 박리 없지만 약간의 탈색이면 ‘우수’, 박리 또는 탈색이 발생하면 “불량”으로 표기하였다.
[내산성]
슬레이트 판에 도막을 1~3mm로 형성시켜 50%황산용액에 20℃에서 7일간 담궈 박리나 탈색 등의 발생하지 않으면, “우수”, 박리 또는 탈색이 발생하면 “불량”으로 표기하였다.
[내알카리성]
상기 내 알칼리성은 슬레이트 판에 도막을 50~100μm로 형성시켜 10%가성소다 용액에 20℃에서 7일간 담궈 박리나 탈색 등이 발생하지 않으며 “우수”, 박리 또는 탈색이 발생하면 “불량”으로 표기하였다.
[방오성]
상기 방오성은 KS M 3802 시험을 준용하여 시험편의 표면을 깨끗하게 마른 거즈로 닦아내고 1시간 정치한 후, 육안으로 오염 재료(콩기름,윤활유,등유,간장,우유등)를 떨어뜨린 부분의 색, 광택 또는 부풂 등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으면, “우수”,탈색 또는 부풂 등이 발생하면 “불량”으로 표기하였다.
[공중합체 제조]
반응조 안에 3차 증류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Tween-80, 삼전화학) 0.5 중량부를 완전히 용해시킨 후 중합개시제가 개시 가능한 온도 85℃로 유지시켰다. 이후, 단량체인 메틸메타크릴레아트 ,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KBM-502, 다우), 스티렌 혼합하여 혼합 단량체를 구성하였으며, 상기 혼합 비율은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상기 혼합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해 과황산암모늄(삼전화학) 0.2 중량부를 예비 혼합한 뒤 반응조 안에 한방울씩 떨어뜨렸다. 상기 반응조의 온도 조건은 80~90℃로 유지하고 교반기 회전속도는 300~500rpm, 단량체 공급 속도는 2 방울/초로 하여 8시간 중합하였다. 중합 결과 [메틸메타크릴레이트]-[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스티렌] 공중합체 수지를 제조하였으며, 상기 단량체 혼합비는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A-1 A-2 A-3 A-4 A-5 A-6
공중합체 수지 증류수(중량부) 100 100 100 100 100 100
메틸메타크릴레이트(중량부) 40 35 35 22 39 24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 디메톡시실란(중량부) 15 15 20 8 20 12
스티렌(중량부) 30 40 30 16 39 24
[하도 도료 조성물 제조]
상기 공중합체 수지를 상온에서 반응조 안에 넣고 500rpm으로 교반하면서 나트륨규산염(영일화학)를 5분 동안 서서히 투입하고 상온에서 1200rpm으로 60분 동안 교반하여 잘 혼합시켜 하도 도료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공중합체 수지 및 나트륨 규산염의 함량은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하도 도료 조성물(중량부)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공중합체 수지 100 100 100 100
공중합체 수지 종류 A-1 A-2 A-3 A-5
나트륨 규산염 17.65 11.11 17.64 2.04
[중상도 도료 조성물 제조]
상기 공중합체 수지를 상온에서 반응조 안에 넣고 300rpm으로 교반 하면서 소포제, 유화제, 표면 조절제, 분산제, 무기안료(유색안료), 체질안료(무기물)를 투입한 후 교반기로 1500rpm에서 60분간 잘 혼합시켰다.
이후 증점제, 인핸서, 소디엄 메틸실리코네이트 화합물을 서서히 넣고 교반기로 500rpm에서 30분간 잘 혼합시켜 중상도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투입되는 조성물의 함량은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비교예 1
중량부
아크릴 공중합체 100 100 100 100
아크릴 공중합체 종류 A-4 A-4 A-4 A-6
소디엄 메틸 실리코네이트 화합물 32.6087 32.6087 43.478 -
소포제 1.087 1.087 1.087 0.833
유화제 1.087 1.087 1.087 0.833
분산제 1.087 1.087 1.087 0.833
무기안료(유색안료) 15.217 15.217 15.217 11.667
체질안료(무기물) 54.348 65.217 43.478 41.667
인핸서 1.087 - 1.087 0.833
증점제 2.174 2.174 2.174 1.667
동결방지제 1.087 1.087 1.087 0.833
인핸서 : Shin-Etsu Silicone, KBM-403
증점제: SYNTHRON, PROZ A300
동결방지제: 한화토탈, 에틸렌글리콜
체질안료: 오미아코리아, OMYCAB 1-CN
무기안료: COSMO, COTI KA-100
분산제: SYNTRON, SYNTHRO PON DAP10
유화제: 동남화성, NP-60
소포제: EVONIK, TEGO 902W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 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비교예1
도막의 겉모양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작업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중성화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연필경도 4H 3H 4H 2H 4H 3H 4H 2H
내산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내알카리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방오성 양호 양호  양호 불량 매우양호 양호 매우양호 불량
[실시예 8]
콘크리트 시공면의 표면에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도료조성물을 두께가 80㎛ 되도록 가로와 세로로 2번 도포하고 건조 하여 1차 하도 도장을 완료하였다.
상기 하도 도막 상에 피막두께가 50㎛가 되도록 실시예 7 도료조성물을 2번 도포하고 건조하여 2차 중도 도장을 완료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공을 완성하였다.물성은 하기 표 6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2]
콘크리트 시공면의 표면에 본 발명의 실시예 7의 도료조성물을 두께가 80㎛ 되도록 가로와 세로로 2번 도포하고 건조 하여 1차 하도 도장을 완료하였다.
상기 하도 도막 상에 피막두께가 50㎛가 되도록 실시예 1 도료 조성물을 2번 도포하고 건조하여 2차 중도 도장을 완료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공을 완성하였다.
물성은 하기 표 6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8 비교예 2
콘크리트 부착성 우수 불량
내수성 매우 우수 우수
상기 실시예8은 먼저 하도층에 실시예 1을 도포한 후, 중상도 층에 실시예 7을 도포한 것으로, 콘크리트와의 부착성이 매우 우수하면서 동시에 내수성 또한 매우 우수한 장점이 있다. 이에 반해, 비교예 2의 경우는 하도층에 실시예 7을 도포하고 중상도 층에 실시예 1을 도포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부착성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특정된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5)

  1.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알칼리 규산염을 포함하는 하도층; 및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 및 실리코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중상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중상도층은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50~80 중량% 및 실리코네이트 화합물 20~50 중량% 포함하며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 (메타)아크릴옥시실란계 단량체 및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하여 중합된 것인, 친환경 방수도료층.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는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2-프로필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 3-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모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아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디하이드로디사이클로펜타디에닐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2-(2-에톡시에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인, 친환경 방수도료층.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옥시실란계 단량체는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및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화합물인 것인, 친환경 방수도료층.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계 단량체는 초산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스티렌, 디비닐벤젠, 에틸비닐벤젠, 알파메틸스티렌, 플루오로스티렌, 비닐피리딘, 염화비닐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화합물인 것인, 친환경 방수도료층.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전체 중량에 대해 (메타)아크릴계 단량체 30~50 중량%, (메타)아크릴옥시실란계 단량체 10~30 중량%, 비닐계 단량체 20~4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친환경 방수도료층.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유리전이온도(Tg)가 -10 내지 60℃ 인 것인, 친환경 방수도료층.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규산염은 나트륨규산염, 칼륨규산염, 리튬규산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화합물인 것인 친환경 방수도료층.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도층은 이오노머 수지 또는 인계 개질 수지에서 선택되는 인핸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친환경 방수도료층.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도층은 공중합체 수지 75~95 중량% 및 알칼리 규산염 5~25 중량% 포함하는 것인, 친환경 방수도료층.
  11. 삭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상도층은 분산제, 유화제, 소포제, 표면 조절용 첨가제, 무기안료, 체질안료, 증점제, 인핸서, 동결방지제, 자외선 안정제, 방부제, pH 조절제, 도막형성제, 방충제 및 향균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포함되는 것인, 친환경 방수도료층.
  13. 삭제
  14. 삭제
  15. 기재의 표면을 하도 도료조성물로 도포하여 하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도층 상에 중상도 도료조성물을 도포하여 중상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며,
    상기 하도 도료조성물은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알칼리 규산염을 포함하며,
    상기 중상도 도료조성물은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 및 실리코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중상도 도료조성물은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50~80 중량% 및 실리코네이트 화합물 20~50 중량% 포함하며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 (메타)아크릴옥시실란계 단량체 및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하여 중합된 것인, 친환경 방수도료층의 도장방법.

KR1020220061791A 2022-05-20 2022-05-20 중성화 방지 및 염해방지가 우수한 친환경 유무기복합 도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방수도료층 및 이의 도장방법 KR102481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791A KR102481757B1 (ko) 2022-05-20 2022-05-20 중성화 방지 및 염해방지가 우수한 친환경 유무기복합 도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방수도료층 및 이의 도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791A KR102481757B1 (ko) 2022-05-20 2022-05-20 중성화 방지 및 염해방지가 우수한 친환경 유무기복합 도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방수도료층 및 이의 도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1757B1 true KR102481757B1 (ko) 2022-12-30

Family

ID=84538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1791A KR102481757B1 (ko) 2022-05-20 2022-05-20 중성화 방지 및 염해방지가 우수한 친환경 유무기복합 도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방수도료층 및 이의 도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175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3940A (ko) * 2003-12-03 2006-10-04 고니시 가부시키가이샤 비닐계―우레탄계 공중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37632B1 (ko) 2009-06-30 2010-01-20 박복안 강재 방청용 및 콘크리트용 도료 조성물
KR100947460B1 (ko) 2009-09-16 2010-03-11 신계호 폴리우레아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방수 코팅공법
JP5564186B2 (ja) * 2009-02-20 2014-07-30 エスケー化研株式会社 塗装方法
KR102353907B1 (ko) * 2021-08-17 2022-01-20 김소중 콘크리트 중성화 방지 및 내자외선성, 내구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장수명화를 위한 도장 공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3940A (ko) * 2003-12-03 2006-10-04 고니시 가부시키가이샤 비닐계―우레탄계 공중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JP5564186B2 (ja) * 2009-02-20 2014-07-30 エスケー化研株式会社 塗装方法
KR100937632B1 (ko) 2009-06-30 2010-01-20 박복안 강재 방청용 및 콘크리트용 도료 조성물
KR100947460B1 (ko) 2009-09-16 2010-03-11 신계호 폴리우레아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방수 코팅공법
KR102353907B1 (ko) * 2021-08-17 2022-01-20 김소중 콘크리트 중성화 방지 및 내자외선성, 내구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장수명화를 위한 도장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20554C2 (ru) Однокомпонентная безводн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окрытий, предназначенная для герметизации строитель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и плоских крыш
KR101870122B1 (ko) 탄성복합화합물 및 이의 제조를 위한 탄성화합물 교반장치, 탄성복합화합물 및 우레탄을 이용한 복합방수방법
KR101736146B1 (ko) 친환경 보호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870910B1 (ko) 콘크리트의 중성화, 염해 방지를 위한 친환경 수용성 도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02639656B (zh) 环氧树脂膜
KR101141629B1 (ko) 실란화합물을 함유하여 습윤면 부착성능과 내구성을 향상시킨 실란변성 폴리우레아 수지 도막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식공법
KR101047447B1 (ko) 드라이비트 외부 벽체 방수 또는 보수 방법
GB1600265A (en) Waterproof coating composition
KR100896504B1 (ko) 자기 수평성이 우수한 하이브리드 무기 도막 방수제의 상도용 무용제 우레탄 코팅제
KR102225331B1 (ko) 구조물의 도장 방법
KR102207899B1 (ko) 습윤면에 부착 가능한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보수 및 보수보강공법
KR102060601B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방수 도장 조성물 및 방수 도장 방법
JP3256179B2 (ja) 透湿防水積層塗膜形成方法
KR100778232B1 (ko) 고강도 수용성 도막 방수제
KR102481757B1 (ko) 중성화 방지 및 염해방지가 우수한 친환경 유무기복합 도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방수도료층 및 이의 도장방법
KR102525769B1 (ko) 콘크리트 외벽의 중성화 및 미세균열 방지 도장방법
KR102337953B1 (ko) 도포된 내화재료용 수성 에폭시 제형
JP2000210616A (ja) 透湿性塗膜の形成方法
JP2023115332A (ja) 水性被覆材
KR20160100117A (ko) 콘크리트 바닥의 친환경 표면강화 시공방법
KR100778230B1 (ko) 수용성 도막 방수제
KR101318679B1 (ko) 친환경 수성 침투식 교면 방수제 및 이를 이용한 교면 방수공법
KR100908772B1 (ko) 미세크랙방지 및 오염제거기능을 부여한 수성 도료 조성물
JP3354485B2 (ja) 透湿性塗料組成物
EP2704905B1 (en) Improved polymeric composition for cement based substruc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