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0370B1 - 밀봉 장치 및 밀봉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밀봉 장치 및 밀봉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0370B1
KR102480370B1 KR1020197016805A KR20197016805A KR102480370B1 KR 102480370 B1 KR102480370 B1 KR 102480370B1 KR 1020197016805 A KR1020197016805 A KR 1020197016805A KR 20197016805 A KR20197016805 A KR 20197016805A KR 102480370 B1 KR102480370 B1 KR 102480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section
bearing element
extension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6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4367A (ko
Inventor
알렉산더 햅
마르코 크라프
Original Assignee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90094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0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 F16J15/32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having two or more 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68Mounting of sealing rings
    • F16J15/3276Mounting of sealing rings with additional static sealing between the sealing, or its casing or support, and the surface on which it is moun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78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 F16C33/7816Details of the sealing or parts thereof, e.g. geometry, material
    • F16C33/783Details of the sealing or parts thereof, e.g. geometry, material of the mounting reg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78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 F16C33/7869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mounted with a cylindrical portion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race and having a radial portion extending inward
    • F16C33/7873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mounted with a cylindrical portion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race and having a radial portion extending inward with a single sealing ring of generally L-shaped cross-section
    • F16C33/787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mounted with a cylindrical portion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race and having a radial portion extending inward with a single sealing ring of generally L-shaped cross-section with sealing 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80Labyrinth sealings
    • F16C33/805Labyrinth sealings in addition to other sealings, e.g. dirt guards to protect sealings with sealing 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68Mounting of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2Wheel hubs or ca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Sealing Using Fluids, Sealing Without Contact, And Removal Of Oil (AREA)
  • Sealing Of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D)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2개의 베어링 요소를 밀봉하기 위한, 특히 롤링 베어링을 밀봉하기 위한 밀봉 장치(1)에 관한 것으로, 이 경우 밀봉 장치(1)는 밀봉을 위한 밀봉 섹션(2) 및 밀봉 장치(1)를 베어링 요소(21)에 보유하기 위한 고정 섹션(3)을 포함하며, 이 경우 밀봉 섹션(2)은 고정 섹션(3)의 일 단부에 배치되고, 그 단부의 맞은편에 자유 단부(E)를 가지며, 이 경우 모든 섹션(2, 3)은 하나의 공통 지지 요소(4) 및 하나 이상의 밀봉 요소(5)를 구비하며, 모든 섹션(2, 3)은 반경 방향(R)으로 그리고/또는 축방향(A)으로 연장되며, 이 경우 베어링 요소(21)에서의 보유를 목적으로 지지 요소(4)를 이용해서 반경 방향(R)으로 프레스핏을 형성하기 위해, 그리고 베어링 요소(21)에 대한 밀봉을 목적으로 밀봉 요소(5)를 이용해서 정적 밀봉부를 형성하기 위해, 지지 요소(4) 및 밀봉 요소(5)를 베어링 요소(21)에 직접 접하도록, 고정 섹션(3)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축방향(A)으로 연장된다. 또한, 본 발명은, 베어링 요소(21) 및 밀봉 장치(1)를 포함하는, 롤링 베어링용의, 특히 휠 베어링 어셈블리용의 밀봉 어셈블리(20)와도 관련이 있다.

Description

밀봉 장치 및 밀봉 어셈블리
본 발명은, 축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2개의 베어링 요소를 밀봉하기 위한, 특히 롤링 베어링을 밀봉하기 위한 밀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베어링 요소 및 밀봉 장치를 포함하는, 롤링 베어링용의, 특히 휠 베어링 어셈블리용의 밀봉 어셈블리와도 관련이 있다.
종래의 밀봉 장치 또는 레이디얼 샤프트 밀봉 링은, 외부 링에 부착될 때 외부 링의 외부 측면과 함께 정적 밀봉부(static seal)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정적 밀봉부는 오염 및 부식으로부터 전체 밀봉 장치를 보호한다.
밀봉 장치를 외부 링에 단단히 고정하기 위해, 이 밀봉 장치는, 외부 링의 내부 측면에 접하는 지지 요소를 구비한다.
외측에 또는 외부 링의 외부 측면에 정적 밀봉부를 가지며, 내측에 또는 외부 링의 내부 측면에 클램핑부를 갖는 상기 유형의 구조물은 조심스럽게 조립되어야 한다.
그 이유는, 상기와 같은 구조물 또는 상기와 같은 구조물의 정적 밀봉부가 외부 링에 조심스럽게 조립되지 않는 경우, 조립 오류가 급격히 밀봉 장치의 고장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본 발명의 과제는, 비용 효율적으로 그리고 재료 절약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으면서도, 특히 휠 베어링 밀봉부에서 개선된 밀봉 성능을 갖는,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주변을 둘러싸는 물(오수) 용적에 대해 개선된 정적 밀봉을 보장하는, 롤링 베어링용 밀봉 장치 또는 밀봉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독립 특허 청구항들의 특징부에 의해서 해결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개선예들은 종속 청구항의 대상이다.
본 발명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양태에서,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2개의 베어링 요소를 밀봉하기 위한, 특히 롤링 베어링을 밀봉하기 위한 밀봉 장치는, 밀봉을 위한 밀봉 섹션 및 밀봉 장치를 베어링 요소에 보유하기 위한 고정 섹션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밀봉 섹션은 고정 섹션의 일 단부에 배치되고, 그 단부의 맞은편에 자유 단부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모든 섹션은 하나의 공통 지지 요소 및 하나 이상의 밀봉 요소를 구비한다. 이로써, 기계적 안정성 및 밀봉 기능이 밀봉 장치에 부여될 수 있다.
또한, 모든 섹션이 반경 방향으로 그리고/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밀봉 장치의 형상은 거의 자유롭다.
더 나아가, 지지 요소 및 밀봉 요소를 베어링 요소에 직접 접하게 하기 위해 고정 섹션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점도 유리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지지 요소를 이용해서 베어링 요소에 보유하기 위한 프레스핏이 반경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밀봉 요소를 이용해서 베어링 요소에 대해 밀봉하기 위한 정적 밀봉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 요소 및 밀봉 요소가 베어링 요소에 직접 접하도록 축방향으로 연이어 배열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지지 요소 및 밀봉 요소가 베어링 요소에 직접 접하기 위해 일렬로, 특히 축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이 유리하다.
더 나아가서는, 반경 방향으로 밀봉 장치의 회전 축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밀봉 요소가 고정 섹션 내에서 지지 요소를 넘어 돌출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로써, 베어링 요소에 대한 안전한 정적 밀봉이 보장될 수 있다.
또한, 지지 요소를 베어링 요소에 직접 접하게 하기 위해, 밀봉 섹션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도 제안될 수 있다. 이는, 지지 요소를 이용하여 베어링 요소 상에서의 포지셔닝을 위한 정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서는, 밀봉 장치가 밀봉 섹션에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장부가 반경 방향으로 그리고/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바람직하게는 밀봉 요소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연장부는 밀봉 섹션 및 고정 섹션과 함께, 베어링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U자 형상의 횡단면을 형성한다.
또한, 연장부가 밀봉 섹션의 자유 단부에 배치되는 것도 유리하다. 이로써, 연장부는, 예를 들어 비접촉성 또는 비마모성 예비 밀봉부를 형성하기 위해, 밀봉 섹션의 자유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그리고/또는 축방향으로 멀리 연장된다.
또한, 밀봉 섹션에 있는 연장부가 자유 단부에 있는 지지 요소를 둘러싸거나 포위하는 경우도 장점이 된다. 이로써, 연장부는 지지 요소를 예컨대 부식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베어링 요소 및 밀봉 장치를 구비한, 롤링 베어링용 밀봉 어셈블리, 특히 휠 베어링 어셈블리용 밀봉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제1 양태 이하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밀봉 장치의 특징들이 개별적으로 또는 서로 조합 가능하게 밀봉 어셈블리에 적용될 수 있다는 사실이 명백하게 언급된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위에서 본 발명의 제1 양태 이하에서 언급된 밀봉 장치와 관련된 특징들은 여기 본 발명의 제2 양태 이하에서도 또 다른 특징부들과 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롤링 베어링용 밀봉 어셈블리, 특히 휠 베어링 어셈블리용 밀봉 어셈블리는,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베어링 요소 및 밀봉 장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베어링 요소는, 반경 방향으로 내부 측면 및 외부 측면을 포함하고, 축방향으로는 내부 측면을 외부 측면과 연결하는 단부면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밀봉 장치의 포지셔닝을 위해 상기 밀봉 장치의 밀봉 섹션이 베어링 요소의 단부면에 배치되고, 밀봉 장치를 보유하기 위해 밀봉 장치의 고정 섹션이 베어링 요소의 내부 측면에 배치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지지 요소 및 밀봉 요소가 밀봉 장치의 고정 섹션 내에서 베어링 요소의 내부 측면에 직접 접할 수 있다. 이로써, 지지 요소에 의해, 베어링 요소를 내부 측면에 보유하기 위한 프레스핏이 반경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밀봉 요소에 의해서는, 베어링 요소의 외부 측면에 대하여 밀봉하기 위해 정적 밀봉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밀봉 장치가 밀봉 섹션의 자유 단부에 연장부를 포함하는 경우도 바람직하며, 이 경우 연장부는, 연장부와 베어링 요소의 외부 측면 사이에 바람직하게 외부 측면과 연장부를 특히 반경 방향으로 상호 이격시키는 밀봉 갭이 도출되도록, 밀봉 요소에 의해 형성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밀봉 장치의 연장부와 베어링 요소의 외부 측면 사이에 비마모성 예비 밀봉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어링 요소의 단부면이 밀봉 장치의 밀봉 섹션을 배치하기 위한 제1 부분 및 래버린스 밀봉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도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래버린스 밀봉부를 형성하기 위해, 단부면의 제2 부분이 밀봉 섹션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더 나아가서는, 밀봉 장치의 밀봉 섹션과 함께 래버린스 밀봉부를 형성하기 위해, 단부면의 제2 부분이 환형 홈을 형성하는 경우도 유리하다.
또한, 연장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베어링 요소의 단부면의 제2 부분 내부에,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경우도 바람직하다. 이로써, 연장부와 단부면의 제2 부분 사이의 축방향 밀봉 갭을 덮는 것이 가능해진다.
축방향 밀봉 갭이란, 예를 들어 연장부와 베어링 요소의 단부면 또는 상기 단부면의 제2 부분을 반경 방향으로 이격시키는 밀봉 갭으로 이해된다.
더 나아가서는, 단부면의 제2 부분이 바닥, 제1 및 제2 측부를 포함하는 경우도 장점이 된다. 이로써, 바람직하게 횡단면 상으로 볼 때, 단부면의 제2 부분이 U자 형태의 형상을 갖게 된다.
바람직하게, 연장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베어링 요소의 단부면의 제2 부분 내부에, 단부면의 제2 부분의 바닥에 대해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로 인해, 단부면의 제2 부분의 제1 측부를 이용해서 연장부와 바닥 사이의 축방향 밀봉 갭을 덮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이때, 축방향 밀봉 갭이 제1 측부의 바닥과 연장부를 축방향으로 상호 이격시키는 경우가 장점이 된다.
더 나아가서는, 베어링 요소가 윤활제를 수집 및 배출하기 위한 배출 채널을 포함하는 것이 제안될 수 있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연장부는 배출 채널 내로 연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컨대 윤활제 또는 오염물이 연장부를 이용하여 항상 배출 채널 내로 반송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장부는 계단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베어링 요소의 내부 측면이 연장부의 형상을 따라, 특히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도 바람직하다.
계단 형상의 디자인은 래버린스 밀봉부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더 나아가서는, 연장부가 수집 채널을 형성하는 경우도 바람직하며, 이 경우 바람직하게 수집 채널이 반경 방향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로써, 수집 채널을 이용해서 예를 들어 오염물 또는 윤활제를 수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유리한 방식으로, 연장부가 밀봉 섹션 및 고정 섹션과 함께 베어링 요소의 단부면의 제2 부분을 둘러싼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횡단면 상으로 볼 때, 밀봉 섹션, 고정 섹션 및 연장부는, 베어링 요소가 그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C자 형태의 또는 U자 형태의 형상을 갖는 경우가 장점이 된다.
또한, 지지 요소가 스테인리스강을 포함하는 경우도 유리하다. 이로써, 부식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관련 도면들과 연계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면부에서,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라 베어링 요소 및 밀봉 장치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제2 실시예에 따라 베어링 요소 및 밀봉 장치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확대도이다.
도 4는 제3 실시예에 따라 베어링 요소 및 밀봉 장치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제4 실시예에 따라 베어링 요소 및 밀봉 장치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제5 실시예에 따라 베어링 요소 및 밀봉 장치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제6 실시예에 따라 베어링 요소 및 밀봉 장치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대상에 대해 동일한 참조 부호가 사용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라 베어링 요소(21) 및 밀봉 장치(1)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어셈블리(20)의 단면도를 보여준다.
보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도 1은 밀봉 장치(1)를 갖는 밀봉 어셈블리(20)를 도시하며, 여기서는 먼저 밀봉 장치(1)가 기술된다.
롤링 베어링을 밀봉하기 위한 밀봉 장치(1)는, 밀봉을 위한 밀봉 섹션(2) 및 밀봉 장치(1)를 베어링 요소(21)에 보유하기 위한 고정 섹션(3)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밀봉 섹션(2)은 고정 섹션(3)의 일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밀봉 섹션(2)은 고정 섹션(3)의 단부에 대하여 또는 고정 섹션(3)에 대하여 마주 놓여 있는 자유 단부(E)를 구비한다.
2개의 섹션(2, 3)은 공통의 지지 요소(4) 및 밀봉 요소(5)를 포함하며, 이 경우 밀봉 섹션(2)은 반경 방향(R)으로 연장되고, 고정 섹션(3)은 반경 방향(R) 및 축방향(A)으로 연장된다.
베어링 요소(21)에 지지 요소(4) 및 밀봉 요소(5)가 직접 접하도록 하기 위해, 지지 요소(4)를 이용해서 반경 방향(R)으로 프레스핏을 형성하도록, 고정 섹션(3)이 적어도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축방향(A)으로 연장된다.
상기 프레스핏은 베어링 요소(21)에서의 보유를 위해 이용되며, 이와 동시에 밀봉 요소(5)에 의해서는 베어링 요소(21)에 대하여 밀봉하기 위한 정적 밀봉부가 형성된다.
지지 요소(4) 및 밀봉 요소(5)가 베어링 요소(21)에 직접 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A)으로 연이어 배열되어 있다.
이로써, 베어링 요소(21)에 대한 안전한 정적 밀봉이 보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반경 방향(R)으로는 밀봉 장치(1)의 회전 축(D)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밀봉 요소(5)가 고정 섹션(3) 내에서 지지 요소(4)를 넘어 돌출한다. 이와 같은 상황을 도 1에서는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다.
또한, 앞에서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지지 요소(4)를 이용하여 베어링 요소(21) 상에서의 포지셔닝을 위한 정지부 형성의 목적으로, 지지 요소(4)를 베어링 요소(21)에 직접 접하게 하기 위해 밀봉 섹션(2)이 반경 방향(R)으로 연장된다.
도 1이 추가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밀봉 장치(1)는 밀봉 섹션(2)에 연장부(6)를 구비한다. 이 연장부(6)는 밀봉 섹션(2)의 자유 단부(E)에 배치되고, 반경 방향 및 축방향(R, A)으로 연장된다.
이 경우, 연장부(6)는 밀봉 요소(5)에 의해서 형성되며, 나아가 밀봉 섹션(2) 및 고정 섹션(3)과 함께 베어링 요소(21)를 수용하기 위한 U자 형상의 횡단면을 형성한다.
또한, 도 1은 베어링 요소(21) 및 밀봉 장치(1)를 갖는, 롤링 베어링용 밀봉 어셈블리(20), 특히 휠 베어링 어셈블리용 밀봉 어셈블리(20)를 보여준다.
베어링 요소(21)는, 반경 방향(R)으로는 내부 측면(IM) 및 외부 측면(AM)을 포함하고, 축방향(A)으로는 외부 측면(AM)과 내부 측면(IM)을 연결하는 단부면(22)을 포함한다.
밀봉 장치(1)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이 밀봉 장치의 밀봉 섹션(2)이 베어링 요소(21)의 단부면(22)에 배치되고, 밀봉 장치(1)를 유지하기 위해, 이 밀봉 장치의 고정 섹션(3)이 베어링 요소(21)의 내부 측면(IM)에 배치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지지 요소(4) 및 밀봉 요소(5)가 밀봉 장치(1)의 고정 섹션(3) 내에서 베어링 요소(21)의 내부 측면(IM)에 직접 접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 요소(4)에 의해서는, 베어링 요소(21)의 내부 측면(IM)에서의 보유를 위한 프레스핏이 반경 방향(R)으로 형성되고, 밀봉 요소(5)에 의해서는, 베어링 요소(21)의 내부 측면(IM)에 대하여 밀봉하기 위한 정적 밀봉부가 형성된다.
앞에서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밀봉 장치(1)는 밀봉 섹션(2)의 자유 단부(E)에 연장부(6)를 포함한다. 이 연장부는, 베어링 요소(21)의 외부 측면(AM)과 연장부(6) 사이에 밀봉 갭(X)이 도출됨으로써, 베어링 요소(21)의 외부 측면(AM)과 밀봉 장치(1)의 연장부(6) 사이에 비마모성 예비 밀봉부가 형성되도록, 밀봉 요소(5)에 의해서 형성된다.
도 2는, 제2 실시예에 따라 베어링 요소(21) 및 밀봉 장치(1)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어셈블리(20)에 대한 단면도를 보여준다. 여기에서, 도 3은 도 2의 확대도를 보여준다.
또 다른 실시예들과 관련해서는,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는 도 1에 따른 제1 실시예가 참조된다.
그렇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 간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논의된다.
먼저, 도 1과 도 2의 비교에서는, 베어링 요소(21)가 상이하게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한편, 밀봉 장치(1)는 도 1 및 도 2 또는 도 3에서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3에서는, 베어링 요소(21)의 단부면(22)이 밀봉 장치(1)의 밀봉 섹션(2)을 배치하기 위한 제1 부분(23) 및 래버린스 밀봉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2 부분(24)을 포함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래버린스 밀봉부를 형성하기 위해, 단부면(22)의 제2 부분(24)이 밀봉 섹션(2) 또는 연장부(6)를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밀봉 장치(1)의 밀봉 섹션(2)과 함께 래버린스 밀봉부를 형성하기 위해, 둘러싸는 상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단부면(22)의 제2 부분(24)이 환형 홈을 형성한다.
단부면(21)의 제2 부분(24)은 바닥(25), 제1 측부(26) 및 제2 측부(27)를 포함한다.
이 경우, 연장부(6)는 부분적으로 베어링 요소(21)의 단부면(22)의 제2 부분(24) 내부에 또는 환형 홈 내에 그리고 단부면(22)의 제2 부분(24)의 바닥(25)에 대해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단부면(22)의 제2 부분(24)의 제1 측부(26)에 의해서 연장부(6)와 바닥(25) 사이의 축방향 밀봉 갭(Y)이 덮인다.
따라서, 래버린스 밀봉부는, 한 편으로는 밀봉 갭(X)에 의해서 그리고 다른 한 편으로는 밀봉 갭(Y)에 의해서 형성되며, 이들 2개의 밀봉 갭은 베어링 요소(21)의 단부면(22)의 제2 부분의 표면과 연장부(6) 사이에 있다.
엄밀히 말하자면, 심지어 제1 측부(26)와 연장부(6) 사이에 위치하는 또 하나의 제3 밀봉 갭이 형성된다.
요약하면, 래버린스 밀봉부는 밀봉 갭(X), 밀봉 갭(Y) 및 제1 측부(26)와 연장부(6) 사이의 밀봉 갭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래버린스 밀봉부는, 밀봉 장치(1)의 연장부(6)와 베어링 요소(21) 사이에 비마모성 예비 밀봉부를 실현하게 된다.
더 나아가, 도 2 및 도 3은, 밀봉 어셈블리(1)의 외부 측면(AM)이 윤활제를 수집 및 배출하기 위한 배출 채널(28)을 형성하고 베어링 요소(21)가 배출 채널(28)을 포함하는 점을 보여준다.
도 4는, 제3 실시예에 따라 베어링 요소(21) 및 밀봉 장치(1)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어셈블리(20)에 대한 단면도를 보여준다.
이 경우, 제3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매우 유사하지만, 도 4에 따라 베어링 요소(21)가 오염물의 수집 및 배출을 위한 배출 채널(28)을 구비하고, 이 배출 채널 내로 연장부(6)가 연장된다는 차이점을 갖는다.
또한, 제3 실시예는, 밀봉 갭(X)이 반경 방향(R) 및 축방향(A)으로 연장되는 한편, 도 1에 따른 밀봉 갭은 연장부(6)와 외부 측면(AM) 사이에 반경 방향(R)으로만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도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
제1 및 제2 실시예에 대한 또 다른 설명이 제3 실시예에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제4 실시예에 따라 베어링 요소(21) 및 밀봉 장치(1)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어셈블리(20)의 단면도를 보여준다.
제4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매우 유사하지만, 도 4에 따라 연장부(6)가 계단 형상으로 형성된다는 차이점을 갖는다.
또한, 베어링 요소(21)의 외부 측면(AM)은 연장부(6)의 형상을 따르고, 마찬가지로 계단 형상으로 형성된다.
선행 실시예들의 또 다른 설명이 제4 실시예에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따른 실시예들의 유사성으로 인해, 이들 실시예는 이하에서 함께 기술되며, 이들 간의 차이점이 설명된다.
도 6은, 제5 실시예에 따라 베어링 요소(21) 및 밀봉 장치(1)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어셈블리(20)에 대한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7은, 제6 실시예에 따라 베어링 요소(21) 및 밀봉 장치(1)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어셈블리(20)에 대한 단면도를 보여준다.
제5 및 제6 실시예는, 도 2 및 도 3에 따른 제2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연장부(6)가 밀봉 섹션(2) 및 고정 섹션(3)과 함께 베어링 요소(21)의 단부면(22)의 제2 부분(23)을 둘러싸고, 연장부(6)가 수집 채널(29)을 형성한다는 차이가 있다.
이 경우, 수집 채널(29)이 반경 방향(R)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윤활제 및/또는 불순물이 밀봉 장치(1)와 베어링 요소(21) 사이로 침투하는 것을 막기 위해, 윤활제 및/또는 불순물이 수집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따른 실시예와 유사하게, 단부면(22)의 제2 부분(24)은 래버린스 밀봉부를 형성하기 위해 밀봉 섹션(2) 또는 연장부(6)를 부분적으로 둘러싼 다.
밀봉 장치(1)의 밀봉 섹션(2)과 함께 래버린스 밀봉부를 형성하기 위해, 둘러할 수 있도록, 단부면(22)의 제2 부분(24)이 환형 홈을 형성한다.
단부면(21)의 제2 부분(24)은 바닥(25), 제1 부분(26) 및 제2 부분(27)을 포함한다.
이 경우, 도 6 및 도 7에 따른 실시예들은, 배출 채널(29)의 형상 및 밀봉 갭(Y)을 덮는 단부면(22)의 제2 부분(24)과 관련해서만 서로 상이하다.
1: 밀봉 장치
2: 밀봉 섹션
3: 고정 섹션
4: 지지 요소
5: 밀봉 요소
6: 연장부
20: 밀봉 어셈블리
21: 베어링 요소
22: 단부면
23: 단부면의 제1 부분
24: 단부면의 제2 부분
25: 단부면의 제2 부분의 바닥
26: 단부면의 제2 부분의 제1 측부
27: 단부면의 제2 부분의 제2 측부
28: 배출 채널
29: 수집 채널
A: 축방향
D: 회전 축
E: 자유 단부
R: 반경 방향
AM: 외부 측면
IM: 내부 측면
X: 밀봉 갭
Y: 밀봉 갭

Claims (13)

  1. 축(D)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2개의 베어링 요소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 장치(1)로서, 상기 밀봉 장치(1)가
    - 밀봉을 위한 밀봉 섹션(2), 및
    - 밀봉 장치(1)를 베어링 요소들(21) 중 하나에 보유하도록 구성된 고정 섹션(3)을 포함하며,
    - 상기 밀봉 섹션(2)이 고정 섹션(3)의 일 단부에 배치되고, 그 단부의 맞은편에 자유 단부(E)를 가지며,
    - 상기 밀봉 섹션 및 상기 고정 섹션(2, 3)은 공통 지지 요소(4) 및 하나 이상의 밀봉 요소(5)를 구비하며, 상기 공통 지지 요소(4) 및 상기 밀봉 섹션(2)은 상기 밀봉 요소(5)와 함께 상기 베어링 요소(21)의 축방향 단부측을 따라 축방향으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공통 지지 요소(4) 및 상기 밀봉 요소(5)는 상기 베어링 요소(21)의 내부 측면과 직접 접촉하고,
    - 상기 밀봉 섹션 및 상기 고정 섹션(2, 3)은 반경 방향(R) 및 축방향(A)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연장되며,
    - 지지 요소(4)를 이용해서 베어링 요소(21)에서의 보유를 목적으로 반경 방향(R)으로 프레스핏을 형성하기 위해, 그리고 베어링 요소(21)에 대한 밀봉을 목적으로 밀봉 요소(5)를 이용해서 정적 밀봉부를 형성하기 위해, 고정 섹션(3)은 지지 요소(4) 및 밀봉 요소(5)가 베어링 요소(21)에 직접 접하도록 구성되고, 고정 섹션(3)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축방향(A)으로 연장되는, 밀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베어링 요소(21)에 대한 안전한 정적 밀봉을 보장하기 위해, 반경 방향(R)으로 밀봉 장치(1)의 회전 축(D)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밀봉 요소(5)가 고정 섹션(3) 내에서 지지 요소(4)를 넘어 연장되는, 밀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지지 요소(4)를 이용하여 베어링 요소(21) 상에서의 포지셔닝을 위한 정지부를 형성하도록, 밀봉 섹션(2)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경 방향(R)으로 연장되고, 베어링 요소(21)에 직접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밀봉 장치.
  4. 롤링 베어링용 밀봉 어셈블리(20)이며,
    베어링 요소(21)와,
    제1항에 따른 밀봉 장치(1)를 포함하고,
    베어링 요소(21)가 반경 방향(R)으로 내부 측면(IM) 및 외부 측면(AM)을 포함하고, 축방향(A)으로는 내부 측면(IM)을 외부 측면(AM)과 연결하는 축방향 단부면(22)을 포함하며,
    밀봉 장치(1)의 포지셔닝을 위해 상기 밀봉 장치의 밀봉 섹션(2)이 베어링 요소(21)의 축방향 단부면(22)에 배치되고, 밀봉 장치(1)를 베어링 요소(21) 상에 보유하기 위해 상기 밀봉 장치의 고정 섹션(3)이 베어링 요소(21)의 내부 측면(IM)에 배치되고,
    지지 요소(4) 및 밀봉 요소(5)가 밀봉 장치(1)의 고정 섹션(3) 내에서 베어링 요소(21)의 내부 측면(IM)에 직접 접촉하여, 베어링 요소(21)를 내부 측면(IM)에 보유하도록 지지 요소(4)를 이용해서 반경 방향(R)으로 프레스핏을 형성하고, 베어링 요소(21)의 내부 측면(IM)에 대한 밀봉을 목적으로 밀봉 요소(5)를 이용해서 정적 밀봉부를 형성하는, 밀봉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 밀봉 장치(1)가 밀봉 섹션(2)의 자유 단부(E)에 연장부(6)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연장부(6)와 베어링 요소(21)의 외부 측면(AM) 사이에 밀봉 갭(X)이 도출되도록 밀봉 요소(5)에 의해 형성되고, 밀봉 장치(1)의 연장부(6)와 베어링 요소(21)의 외부 측면(AM) 사이에 마모를 일으키지 않는 예비 밀봉부가 형성되는, 밀봉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 베어링 요소(21)의 축방향 단부면(22)이 밀봉 장치(1)의 밀봉 섹션(2)을 배치하기 위한 제1 부분(23) 및 래버린스 밀봉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2 부분(24)을 포함하며,
    - 래버린스 밀봉부를 형성하기 위해, 축방향 단부면(22)의 제2 부분(24)이 밀봉 섹션(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 밀봉 장치(1)의 밀봉 섹션(2)과 함께 래버린스 밀봉부를 형성하기 위해, 축방향 단부면(22)의 제2 부분(24)이 환형 홈을 형성하며,
    - 연장부(6)와, 베어링 요소(21)의 축방향 단부면(22)의 제2 부분(24) 사이의 축방향 밀봉 갭(Y)을 덮기 위해, 연장부(6)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베어링 요소의 축방향 단부면(22)의 제2 부분(24) 내부에, 상기 제2 부분(24)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밀봉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 축방향 단부면(22)의 제2 부분(24)이 바닥(25), 제1 측부(26) 및 제2 측부(27)를 포함하며,
    - 축방향 단부면(22)의 제2 부분(24)의 제1 측부(26)를 이용해서 연장부(6)와 바닥(25) 사이의 축방향 밀봉 갭(Y)을 덮기 위해, 연장부(6)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베어링 요소(21)의 축방향 단부면(22)의 제2 부분(24) 내부에, 축방향 단부면(22)의 제2 부분(24)의 바닥(25)에 대해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밀봉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 베어링 요소(21)가 윤활제를 수집 및 배출하기 위한 배출 채널(28)을 포함하며,
    - 연장부(6)가 배출 채널(28) 내로 연장되며,
    - 연장부(6)가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며,
    - 베어링 요소(21)의 외부 측면(AM)이 연장부(6)의 형상을 따라 형성되며,
    - 연장부(6)가 수집 채널(29)을 형성하고, 상기 수집 채널(29)이 반경 방향(R)으로 개방되어 형성되며,
    - 연장부(6)가 밀봉 섹션(2) 및 고정 섹션(3)과 함께 베어링 요소(21)의 축방향 단부면(22)의 제2 부분(24)을 둘러싸는, 밀봉 어셈블리.
  9. 축(D)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2개의 베어링 요소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 장치(1)로서, 상기 밀봉 장치(1)가
    - 밀봉을 위한 밀봉 섹션(2), 및
    - 밀봉 장치(1)를 베어링 요소들(21) 중 하나에 보유하도록 구성된 고정 섹션(3)을 포함하며,
    - 상기 밀봉 섹션(2)이 고정 섹션(3)의 일 단부에 배치되고, 그 단부의 맞은편에 자유 단부(E)를 가지며,
    - 상기 밀봉 섹션 및 상기 고정 섹션(2, 3)은 하나의 공통 지지 요소(4) 및 하나 이상의 밀봉 요소(5)를 구비하며,
    - 상기 밀봉 섹션 및 상기 고정 섹션(2, 3)은 반경 방향(R) 및 축방향(A)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연장되며,
    - 지지 요소(4)를 이용해서 베어링 요소(21)에서의 보유를 목적으로 반경 방향(R)으로 프레스핏을 형성하기 위해, 그리고 베어링 요소(21)에 대한 밀봉을 목적으로 밀봉 요소(5)를 이용해서 정적 밀봉부를 형성하기 위해, 고정 섹션(3)은 지지 요소(4) 및 밀봉 요소(5)가 베어링 요소(21)에 직접 접하도록 구성되고, 고정 섹션(3)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축방향(A)으로 연장되고,
    - 밀봉 장치(1)가 밀봉 섹션(2)에 연장부(6)를 구비하며, 상기 연장부는 반경 방향(R) 및 축방향(A)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밀봉 요소(5)에 의해 형성되며, 연장부(6)가 밀봉 섹션(2) 및 고정 섹션(3)과 함께, 베어링 요소(21)를 보유하도록 형성된 U자 형상의 횡단면을 형성하며, 연장부(6)가 밀봉 섹션(2)의 자유 단부(E)에 배치되는, 밀봉 장치.
  10. 축(D)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2개의 베어링 요소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 장치(1)로서, 상기 밀봉 장치(1)가
    - 밀봉 장치(1)를 베어링 요소들(21) 중 하나에 보유하도록 구성된 고정 섹션(3), 및
    - 고정 섹션(3)의 일 단부에 배치되고, 그 단부의 맞은편에 자유 단부(E)를 포함하는 밀봉 섹션(2)을 포함하고,
    - 상기 밀봉 섹션 및 상기 고정 섹션(2, 3)은 공통 지지 요소(4) 및 상기 공통 지지 요소에 고정되는 밀봉 요소(5)를 구비하며,
    - 상기 밀봉 섹션 및 상기 고정 섹션(2, 3)은 반경 방향(R) 및 축방향(A)으로 연장되며,
    - 고정 섹션(3)은, 베어링 요소(21) 상의 보유를 위해 지지 요소(4)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프레스핏을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지지 요소(4)의 축방향 연장 부분이 베어링 요소(21)에 직접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정적 밀봉부를 형성하도록 밀봉 요소(5)가 베어링 요소(21) 상에 직접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밀봉 요소(5)는 베어링 요소(21)의 내측 측면(IM)에 직접 접촉하여 정적 밀봉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밀봉 요소(5)는 그 자유 단부(E) 상에 연장부(6)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6)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연장부(6)와 베어링 요소(21)의 외부 측면(AM) 사이에 밀봉 갭(X)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밀봉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연장부(6)가 밀봉 섹션(2) 및 고정 섹션(3)과 함께, 베어링 요소(21)를 보유하도록 형성된 U자 형상의 횡단면을 형성하는, 밀봉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지지 요소(4)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경 방향(R)으로 연장되고, 베어링 요소(21) 상에 대한 정지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밀봉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지지 요소(4)가 상기 베어링 요소(21)를 넘어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장부(6)는 상기 지지 요소(4) 위로 및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밀봉 장치.
KR1020197016805A 2016-12-16 2017-10-25 밀봉 장치 및 밀봉 어셈블리 KR1024803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24571.2 2016-12-16
DE102016124571.2A DE102016124571B4 (de) 2016-12-16 2016-12-16 Dichtungsvorrichtung und Dichtungsanordnung
PCT/DE2017/100916 WO2018108202A1 (de) 2016-12-16 2017-10-25 Dichtungsvorrichtung und dichtungsanordn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367A KR20190094367A (ko) 2019-08-13
KR102480370B1 true KR102480370B1 (ko) 2022-12-23

Family

ID=60268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6805A KR102480370B1 (ko) 2016-12-16 2017-10-25 밀봉 장치 및 밀봉 어셈블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92239B2 (ko)
KR (1) KR102480370B1 (ko)
CN (1) CN109983261B (ko)
DE (1) DE102016124571B4 (ko)
WO (1) WO20181082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18450A1 (de) * 2016-09-26 2018-03-2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adlagerdichtung mit integrierter Vordichtung
JP7441849B2 (ja) * 2019-09-30 2024-03-01 Nok株式会社 密封装置
DE102022001488A1 (de) 2022-04-28 2023-11-02 C&U Europe Holding GmbH Außenlagerteil für eine Wälzlagervorrichtung, Wälzlagervorrichtung für eine Radanordnung eines Fahrzeugs mit dem Außenlagerteil und Radanordnung mit der Wälzlagervorricht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58389B2 (ja) 2008-11-28 2013-03-06 Nok株式会社 密封装置
US20130127119A1 (en) * 2010-08-13 2013-05-2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ealing assembly for rolling bearing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8711B2 (ja) * 1994-11-25 2002-03-25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密封装置
JP2007107674A (ja) * 2005-10-17 2007-04-26 Uchiyama Mfg Corp 密封装置
JP2008133908A (ja) * 2006-11-29 2008-06-12 Nsk Ltd シールリング付車輪支持用転がり軸受ユニット
JPWO2009078314A1 (ja) * 2007-12-17 2011-04-28 Nok株式会社 密封装置
WO2009130933A1 (ja) * 2008-04-25 2009-10-29 Nok株式会社 密封装置
JP5545210B2 (ja) * 2008-05-27 2014-07-09 日本精工株式会社 転がり軸受
JP5541909B2 (ja) * 2009-12-03 2014-07-09 Ntn株式会社 車輪用軸受装置
JP2011133053A (ja) * 2009-12-25 2011-07-07 Nsk Ltd ハブユニット軸受
JP4983998B2 (ja) 2010-09-29 2012-07-2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熱交換器
JP5836584B2 (ja) * 2010-11-02 2015-12-24 Ntn株式会社 車輪用軸受装置
CN203189534U (zh) * 2012-12-26 2013-09-11 日本精工株式会社 车轮支撑用滚动轴承单元
JP6048221B2 (ja) * 2013-03-01 2016-12-21 日本精工株式会社 シールリング付車輪支持用転がり軸受ユニット
JP2015017674A (ja) * 2013-07-11 2015-01-29 日本精工株式会社 シールリング付車輪支持用転がり軸受ユニット
JP2015227673A (ja) * 2014-05-30 2015-12-17 Ntn株式会社 車輪用軸受装置
JP2016017579A (ja) * 2014-07-08 2016-02-01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軸受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58389B2 (ja) 2008-11-28 2013-03-06 Nok株式会社 密封装置
US20130127119A1 (en) * 2010-08-13 2013-05-2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ealing assembly for rolling bear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6124571A1 (de) 2018-06-21
KR20190094367A (ko) 2019-08-13
US11092239B2 (en) 2021-08-17
CN109983261A (zh) 2019-07-05
DE102016124571B4 (de) 2019-10-10
WO2018108202A1 (de) 2018-06-21
US20200063868A1 (en) 2020-02-27
CN109983261B (zh) 202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0370B1 (ko) 밀봉 장치 및 밀봉 어셈블리
KR101829084B1 (ko) 구름 베어링용 밀봉 어셈블리
US9925830B2 (en) Bearing rolling including a low friction sealing device, in particular for a hub bearing unit
US20120207417A1 (en) Non-contact sealing ring and sealing arrangement
EP3184864A1 (en) Sealing structure
KR102577111B1 (ko) 롤링 베어링 유닛
EP3222891B1 (en) Sealing structure
US10267364B2 (en) Device for lubricating an antifriction bearing of an electric motor
US8061901B2 (en) Extension member for a flinger of a bearing
WO2016083133A1 (en) Sealed bearing
EP3309430A1 (en) Sealing device
US11286991B2 (en) Wheel bearing seal having an integrated outer seal
KR20190136015A (ko) 휠 베어링용 밀봉 장치
JP2012057729A (ja) オイルシール構造
JP2008190655A (ja) 密封装置
KR102490203B1 (ko) 밀봉 플랜지를 포함한 구름 베어링
CN112303129A (zh) 密封装置
JP2018080756A (ja) シール付き転がり軸受
EP3267078A1 (en) Cassette seal assembly, in particular for vehicle axles
CN107061509A (zh) 轴承单元
US20220381293A1 (en) Sealing device for a bearing unit
KR101815764B1 (ko) 수분 유입 방지용 고무가 부착된 플링거가 구비된 휠 베어링
US10024364B2 (en) Integrated plastic shield bearing assembly
JP2014013063A (ja) シールリング付車輪支持用転がり軸受ユニット
KR102075472B1 (ko) 구름 베어링용 카트리지 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