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440B1 - 보도블럭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보도블럭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9440B1
KR102479440B1 KR1020200155101A KR20200155101A KR102479440B1 KR 102479440 B1 KR102479440 B1 KR 102479440B1 KR 1020200155101 A KR1020200155101 A KR 1020200155101A KR 20200155101 A KR20200155101 A KR 20200155101A KR 102479440 B1 KR102479440 B1 KR 102479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pigment
cavity
block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5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8378A (ko
Inventor
이재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영 씨.앤.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영 씨.앤.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영 씨.앤.알
Priority to KR1020200155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9440B1/ko
Publication of KR20220068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8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3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applying the material on to a core or other moulding surface to form a layer there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 E01C5/065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materials, e.g. concrete layers of different structure, special additi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도블럭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행자에게 길안내 등의 부가기능을 제공함과 더불어 장식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도블럭 및 이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sidewalk block}
본 발명은 보행자에게 길안내 등의 부가기능을 제공함과 더불어 장식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보도블럭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도블럭은 공원이나 도로의 인도의 지면에 설치되어, 일반인의 보행을 편리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보도블럭은 대부분 석재로서, 일정한 크기와 형상으로 제작되어, 다 수개의 보도블럭을 상호 연결하여 시공되도록 하고 있다.
근래에 와서는 상기한 보도블럭의 소재와 기능을 다양화하고 있는 추세로서, 보도블럭의 투수성과 쿠션감 등을 고려하여 제작하거나, 재활용 소재를 이용하여 보도블럭이 제작되는 등의 다양한 소재와 기능의 보도블럭이 제작되는 실정이며, 최근에는 용이한 시공을 통하여 보도블럭 침하를 방지할 수 있는 보도블럭 침하방지 구조가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106242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106242호 등으로 제안된 보도블럭은 보행을 편리하게 할 뿐 길안내 등의 부가기능을 할 수 없음과 더불어 장식효과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10624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보행자에게 길안내 등의 부가기능을 제공함과 더불어 장식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보도블럭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 보행자에게 알리고자 하는 표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된 성형틀을 금형의 캐비티에 수용시키는 성형틀 수용단계와; b) 상기 금형의 캐비티에 안료를 주입하는 안료 주입단계와; c) 상기 안료의 상부방향의 상기 금형의 캐비티에 블럭을 수용시키는 블럭 수용단계와; d) 상기 a) 성형틀 수용단계, b) 상기 안료 주입단계, c) 블럭 수용단계를 통해 성형완료된 보도블럭을 상기 금형으로부터 탈형하는 보도블럭 탈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보도블럭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a) 성형틀 수용단계에서 상기 금형은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외측면에 하부가 각각 축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받침대의 외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커버판과, 상기 커버판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판의 상부가 상기 받침대의 외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수단으로 구성되는 하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a) 성형틀 수용단계에서 상기 금형은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 전측과 상부 후측에 각각 구비되는 전측판 및 후측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좌측판 및 우측판과, 상기 전측판, 후측판, 좌측판 및 우측판을 이동시켜 상기 캐비티의 크기를 조절하는 측판이동부재로 구성되는 하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a) 성형틀 수용단계는 a1) 보행자에게 알리고자 하는 표지와 대응되는 형상의 성형틀을 성형하는 성형틀 성형단계와; a2) 상기 성형틀을 뒤집어 상기 금형의 캐비티의 바닥면에 안착시키는 성형틀 안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a1) 성형틀 성형단계에서 상기 성형틀의 상부와 하부는 개방되고, 상기 금형의 캐비티내에 수용된 상기 성형틀을 위치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성형틀의 외면에 상기 금형의 내면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금형의 내면에 접하는 위치고정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a1) 성형틀 성형단계에서 상기 위치고정대는 상기 성형틀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일정높이로 연장되고, 상기 위치고정대의 높이는 상기 성형틀의 높이보다 낮으며, 상기 a2) 성형틀 안착단계에서 상기 금형의 캐비티의 바닥면에 뒤집힌 상태로 안착된 상기 성형틀의 외면에 형성된 상기 위치고정대의 하부와 상기 금형의 캐비티의 바닥면 사이에 안료 유입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1) 성형틀 성형단계에서 상기 금형의 내면에 접하는 상기 위치고정대의 단부부위에 상기 위치고정대와 직교를 이루어 상기 금형의 내면과 면접촉되는 보조위치고정대가 절곡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a1) 성형틀 성형단계에서 상기 성형틀의 상부와 하부는 개방되고, 상기 성형틀의 외면에서 상기 금형의 내면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축과; 상기 가이드축이 내측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금형의 내면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금형의 내면과 접하는 위치고정관;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a1) 성형틀 성형단계에서 상기 성형틀의 내면과 상기 성형틀의 외면 및 상기 위치고정대의 측면에 각각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a1) 성형틀 성형단계에서 상기 성형틀의 내면과 상기 성형틀의 외면 및 상기 위치고정대의 측면에 각각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a1) 성형틀 성형단계에서 상기 위치고정대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1) 성형틀 성형단계에서 상기 위치고정관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b) 안료주입단계는 b1) 상기 금형의 캐비티에 수용된 상기 성형틀의 내측에 안료를 일정높이로 1차 주입하는 1차 안료 주입단계와; b2) 상기 금형의 캐비티에 상기 성형틀보다 높은 높이로 안료를 2차 주입하는 2차 안료 주입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b2) 2차 안료 주입단계의 2차 안료는 상기 b1) 1차 안료 주입단계의 1차 안료의 초기경화시작시간에 상기 금형의 캐비티에 주입되고, 상기 c) 블럭 수용단계에서 상기 블럭은 상기 b2) 2차 안료 주입단계에서의 2차 안료의 초기경화시작시간에 상기 금형의 캐비티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보행자에게 알리고자 하는 표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되는 성형틀과; 상기 성형틀의 내측 및 외측에 일정높이로 각각 형성되는 안료층과; 상기 안료층의 하부에 형성되는 블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럭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보행자의 보행을 편리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행자에게 알리고자 하는 문자, 숫자, 기호, 문양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표지와 대응되는 형상의 성형틀을 통해 보행자에게 길안내 등의 부가기능을 제공함과 더불어 장식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보도블럭 및 이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2는 일예의 성형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성형틀이 뒤집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뒤집혀진 성형틀이 금형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뒤집혀진 성형틀의 내측에 안료가 1차 주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금형의 캐비티에 안료가 2차 주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상형을 이용하여 안료를 압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금형의 캐비티에 블럭이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상형을 이용하여 블럭을 압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성형완료된 보도블럭이 금형으로부터 탈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성형완료된 일예의 보도블럭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3은 금형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다른예의 금형에 뒤집혀진 성형틀이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5는 위치고정대에 보조위치고정대가 절곡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6은 금형의 내면에 보조위치고정대가 면접촉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7은 성형틀의 내면과 외면 및 위치고정대의 측면에 각각 홈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8은 성형틀의 내면과 외면 및 위치고정대의 측면에 각각 요철부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9는 위치고정대에 관통공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0은 금형의 또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1은 성형틀의 외면에 가이드축과, 가이드축과 나사결합되는 위치고정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2는 위치고정관이 금형의 내면과 접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3은 또 다른예의 금형의 내측에 형성된 캐비티의 크기가 축소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4는 크기가 축소된 캐비티에 성형틀이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5는 보도블럭의 크기가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6은 위치고정관에 관통공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22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7은 성형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8은 성형완료된 다른예의 보도블럭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9는 성형틀의 또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0은 성형완료된 또 다른예의 보도블럭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보도블럭 및 이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보도블럭 및 이의 제조방법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a) 성형틀 수용단계(이하, 'a)단계'라 한다.), b) 안료 주입단계(이하, 'b)단계'라 한다.), c) 블럭 수용단계(이하, 'c)단계'라 한다.) 및 d) 보도블럭 탈형단계(이하, 'd)단계'라 한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는 일예의 성형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먼저, 상기 a)단계는 보행자에게 알리고자 하는 표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된 성형틀(10)을 금형(1)의 캐비티(1a)에 수용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a)단계는 일예로, 크게, a1)성형틀 성형단계(이하, 'a1)단계'라 한다.)와 a2)성형틀 안착단계(이하, 'a2)단계'라 한다.)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a1)단계는 상기 성형틀(10)을 3D 프린터 등 다양한 종류의 성형장치를 통해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행자에게 알리고자 하는 표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이다.
상기 성형틀(10)은 스틸 등의 금속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성형틀이 뒤집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뒤집혀진 성형틀이 금형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a2)단계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자에 의해 뒤집혀진 상기 성형틀(10)을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금형(1)의 캐비티(1a)의 바닥면에 수평으로 안착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a)단계에서의 상기 금형(1)의 하형(100a)과; 상기 하형(100a)의 캐비티(1a)에 합형되는 상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금형(1)의 하형(100a)은 일예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베이스판(101)과; 상기 베이스판(101)의 상부일측, 상부 타측, 상부 전측 및 상기 상부 후측에 각각 일정높이로 수직형성되는 측판(10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작업자에 의해 뒤집혀진 상기 성형틀(10)은 상기 금형(1)의 하형(100a)의 측판(106)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캐비티(1a)의 바닥면에 해당되는 상기 베이스판(101)의 상부면에 수평안착될 수 있다.
상기 a1)단계에서 상기 성형틀(10)의 상부와 하부는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금형(1)의 캐비티(1a)에 수용된 상기 성형틀(10)이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예로, 도 2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성형틀(10)의 외면에 위치고정대(110)가 상기 성형틀(10)과 함께 성형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대(110)는 상기 성형틀(10)의 전측 외면에서 상기 금형(1)의 하형(100a)의 전측 내면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어 상기 금형(1)의 하형(100a)의 전측 내면에 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고정대(110)는 상기 성형틀(10)의 후측 외면에서 상기 금형(1)의 하형(100a)의 후측 내면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어 상기 금형(1)의 하형(100a)의 후측 내면에 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고정대(110)는 상기 성형틀(10)의 일측 외면에서 상기 금형(1)의 하형(100a)의 일측 내면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어 상기 금형(1)의 하형(100a)의 일측 내면에 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고정대(110)는 상기 성형틀(10)의 타측 외면에서 상기 금형(1)의 하형(100a)의 타측 내면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어 상기 금형(1)의 하형(100a)의 타측 내면에 접할 수 있다.
도 6은 뒤집혀진 성형틀의 내측에 안료가 1차 주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금형의 캐비티에 안료가 2차 주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b)단계는 상기 금형(1)의 하형(100a)의 캐비티(1a)에 안료(2)를 주입하는 단계이다.
상기 안료(2)는 FRP 수지 등 다양한 종류의 열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안료(2)는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입기 등을 통해 상기 금형(1)의 하형(100a)의 캐비티(1a)에 1차 주입되는 1차 안료(2a)와; 상기 금형(1)의 하형(100a)의 캐비티(1a)에 2차 주입되는 2차 안료(2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1차 안료(2a)와 상기 2차 안료(2b)는 동일한 색상의 열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겠으나, 상기 성형틀(10)의 시인성 향상을 위해 상기 1차 안료(2a)와 상기 2차 안료(2b)는 서로 다른 색상의 열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b)단계는 일예로 크게, b1) 1차 안료 주입단계(이하, 'b1)단계'라 한다.)와 b2) 2차 안료 주입단계(이하, 'b2)단계'라 한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b1)단계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금형(1)의 하형(100a)의 캐비티(1a)에 수용된 상기 성형틀(10)의 내측에 1차 안료(2a)를 주입기 등을 통해 주입하는 단계이다.
상기 b2)단계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금형(1)의 하형(100a)의 캐비티(1a)에 상기 성형틀(10) 보다 높은 상하높이로 2차 안료(2b)를 주입하는 단계이다.
상기 1차 안료(2a)와 상기 2차 안료(2b)의 접합력 향상 및 상기 성형틀(10)과 상기 2차 안료(2b)의 접촉면적을 넓혀 상기 성형틀(10)과 상기 2차 안료(2b)의 접합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성형틀(10)의 내측에 주입되는 상기 1차 안료(2a)의 상하높이가 상기 성형틀(10)의 상하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상기 성형틀(10)의 내측 상부에 상기 2차 안료(2b)의 일부가 유입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1차 안료(2a)와 상기 2차 안료(2b)의 접합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b2)단계에의 2차 안료(2b)는 상기 b1)단계의 1차 안료(2a)의 초기경화시작시간에 상기 금형(10)의 하형(100a)의 캐비티(1a)에 주입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성형틀(10)의 내측에 상기 1차 안료(2a)가 주입완료된 후 15분 내지 20분 경과 후에 상기 1차 안료(2a)의 초기경화가 시작될 수 있다.
즉, 상기 성형틀(10)의 내측에 상기 1차 안료(2a)가 주입완료된 후 15분 내지 20분 경과 되어 상기 1차 안료(2a)가 경화가 시작되는 시간에 상기 금형(10)의 하형(100a)의 캐비티(1a)에 상기 2차 안료(2b)를 주입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성형완료된 보도블럭의 상부 외부방향으로 상기 위치고정대(110)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보도블럭의 외관의 미려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성형틀(10)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일정높이로 연장되는 상기 위치고정대(10)의 상하높이는 상기 성형틀(10)의 상하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a2)단계에서 뒤집혀진 상기 성형틀(10)의 외면에 형성된 상기 위치고정대(10의 하부와 상기 금형(1)의 하형(100a)의 캐비티(1a)의 바닥면 사이에 2차 안료(2b)가 유입되는 안료 유입공간(11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상형을 이용하여 안료를 압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일예로, 상기 금형(1)의 하형(100a)의 캐비티(1a)로의 안료(2) 주입이 완료된 후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금형(1)의 상형(100b)은 상기 캐비티(1a)로 하강하여 합형되면서 일정시간 동안 상기 안료(2)의 상부면을 압착하여 상기 안료(2)의 상부면을 수평화한 후 상기 캐비티(1a)의 상부방향으로 상승하여 합형상태를 해제할 수도 있다.
다른예로, 상기 금형(1)의 하형(100a)의 캐비티(1a)에 각각 주입되는 안료(2)가 상기 캐비티(1a)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금형(1)의 하형(100a)의 하부 또는 측면에 상기 캐비티(1a)에 각각 주입된 안료(2)로 진동을 가하는 진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진동부는 일예로, 바이브레이터, 수직선형진동기, 수평선형진동기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금형(1)의 하형(100a)의 베이스판(101)의 내측에 구비된 히터(미도시)는 상기 상형(100b)이 상기 안료(2)의 상부면을 일정시간 동안 압착하는 동안 상기 금형(1)의 하형(100a)의 내측으로 고온의 열을 발산하거나 상기 진동부가 상기 캐비티(1a)에 각각 주입된 안료(2)로 진동을 가하는 동안 상기 금형(1)의 하형(100a)의 내측으로 고온의 열을 발산할 수 있다.
도 9는 금형의 캐비티에 블럭이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c)단계는 상기 금형(1)의 하형(100a)과 상형(100b)의 합형상태가 해제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금형(1)의 하형(100a)의 캐비티(1a)에 상기 캐비티(1a)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미리 성형완료된 블럭(30)을 수용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블럭(30)은 콘크리트 블럭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금형(1)의 하형(100a)의 캐비티(1a)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상기 블럭(30)을 형성할 수도 있겠으나, 이 경우, 상기 블럭(30)을 형성하기 위한 상기 블럭(30)이 양생되는 과정 중에 상기 블럭(30)의 하중으로 인해 상기 성형틀(10)이 가압되어 상기 성형틀(10)이 파손될 우려가 다분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 블럭(30)의 하중으로 인한 상기 성형틀(1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c) 블럭 수용단계에서 미리 성형완료된 블럭(30)은 상기 b2)단계에서 2차 안료(2b)의 초기경화시작시간에 상기 금형(1)의 캐비티(1a)에 수용되는 것이 좋다.
일예로, 상기 2차 안료(2b)가 주입완료된 후 15분 내지 20분 경과후에 상기 2차 안료(2b)의 초기경화가 시잘될 수 있다.
즉, 상기 2차 안료(2ba)가 주입완료된 후 15분 내지 20분 경과 되어 상기 2차 안료(2b)가 경화가 시작되는 시간에 상기 금형(10)의 하형(100a)의 캐비티(1a)에 상기 2차 안료(2b)와 접합되는 상기 블럭(30)을 수용시키는 것이다.
도 10은 상형을 이용하여 블럭을 압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금형(1)의 하형(100a)의 캐비티(1a)에 수용되는 블럭(30)의 상하높이는 상기 캐비티(1a)의 상하높이보다 낮을 수 있으며, 상기 금형(1)의 하형(100a)의 캐비티(1a)에 상기 블럭(30)의 수용완료 후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금형(1)의 상형(100b)은 상기 캐비티(1a)로 하강하여 합형되면서 일정시간동안 상기 블럭(30)의 상부면을 압착한 후 상기 캐비티(1a)의 상부방향으로 상승하여 합형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도 11은 성형완료된 보도블럭이 금형으로부터 탈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d)단계는 상기 a)단계, 상기 b)단계 및 상기 c)단계를 통해 성형완료된 보도블럭(11)을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금형(1)의 하형(100a)으로부터 탈형하는 단계이다.
상기 금형(1)의 하형(100a)으로부터 성형완료된 상기 보도블럭(11)이 보다 용이하게 탈형될 수 있도록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하형(100a)의 캐비티(1a)에 상기 안료(2)와 상기 블럭(30)이 각각 주입 및 수용되기 전 상기 하형(100a)의 내면에 이형제가 도포될 수 있다.
도 12는 성형완료된 일예의 보도블럭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금형(1)의 하형(100a)으로부터 탈형된 성형완료된 보도블럭(11)은 작업자에 뒤집혀진 상태에서 공원이나 도로의 인도 등의 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보도블럭 및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보도블럭(11)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성형틀(10)과; 상기 성형틀(10)의 내측에 일정높이로 충진형성되는 제 1안료(2a) 및 상기 성형틀(10)의 외측에 일정높이로 형성되는 제 2안료(2b)로 구성되는 안료(2)로 이루어지는 안료층(20)과; 상기 안료층(20)의 하부에 형성되고, 콘크리트 블럭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블럭(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보행자에게 알리고자 하는 표지와 대응되는 형상의 상기 성형틀(10)을 통해 보행자에게 길안내 등의 부가기능을 제공함과 더불어 장식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은 금형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다른예의 금형에 뒤집혀진 성형틀이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금형(1)의 하형(100a)으로부터 성형완료된 상기 보도블럭(11)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탈형시키기 위해, 상기 a)단계에서 상기 금형(1)의 하형(100a)은 다른예로, 도 13 및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받침대(102), 커버판(104) 및 잠금수단(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102)는 뒤집혀진 상기 성형틀(10)을 안착지지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대(102)의 내측에 히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판(104)의 하부가 상기 받침대(102)의 외측 사면에 각각 축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판(104)의 상부는 작업자에 의해 상기 받침대(102)의 외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다.
상기 잠금수단(미도시)은 상기 커버판(104)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판(104)의 상부가 상기 받침대(102)의 외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대(102), 상기 커버판(104) 및 상기 잠금수단(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른예의 상기 금형(1)의 하형(100a)은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825199호를 통해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5는 위치고정대에 보조위치고정대가 절곡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6은 금형의 내면에 보조위치고정대가 면접촉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금형(1)의 캐비티(1a)에 수용된 성형틀(10)이 보다 더욱 안정적으로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5 및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a1)단계에서 상기 금형(1)의 하형(100a)의 내면에 접하는 상기 위치고정대(110)의 단부부위에 상기 위치고정대(110)와 직교를 이루어 상기 금형(1)의 하형(100a)의 내면과 면접촉되는 보조위치고정대(120)가 일정길이로 절곡형성될 수 있다.
도 17은 성형틀의 내면과 외면 및 위치고정대의 측면에 각각 홈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안료(2)와 상기 성형틀(10) 및 상기 안료(2)의 2차 안료(2b)와 상기 위치고정대(110)의 접촉면적을 넓혀 상기 안료(2)와 상기 성형틀(10)의 접합력 및 상기 안료(2)의 2차 안료(2b)와 상기 위치고정대(110)의 접합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예로, 상기 a1)단계에서 상기 성형틀(10)과 상기 위치고정대(110)에 각각 홈(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5)은 상기 성형틀(10)의 전측 외면, 후측 외면, 일측 외면 및 타측 외면에서 각각 상기 성형틀(10)의 내측방향으로 볼록하게 호형상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5)은 상기 성형틀(10)의 전측 내면, 후측 내면, 일측 외면 및 타측 외면에서 각각 상기 성형틀(10)의 외측방향으로 볼록하게 호형상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5)은 상기 성형틀(10)의 전측 외면과 후측 외면에 각각 형성된 상기 위치고정대(1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서 각각 상기 위치고정대(110)의 내측으로 볼록하게 호형상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5)은 상기 성형틀(10)의 일측 외면과 타측 외면에 각각 형성된 상기 위치고정대(110)의 전측면과 타측면에서 각각 상기 위치고정대(110)의 내측으로 볼록하게 호형상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성형틀(10)의 내면에 형성된 상기 홈(5)으로는 일부 1차 안료(2a)와 일부 2차 안료(2b)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성형틀(10)의 외면에 형성된 상기 홈(5)으로부는 일부 2차 안료(2b)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대(110)에 형성된 상기 홈(5)으로는 일부 2차 안료(2b)가 유입될 수 있다.
도 18은 성형틀의 내면과 외면 및 위치고정대의 측면에 각각 요철부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른예로,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a1)단계에서 상기 성형틀(10)과 상기 위치고정대(110)에 각각 요철부(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철부(7)는 상기 성형틀(10)의 전측 외면, 후측 외면, 일측 외면 및 타측 외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철부(7)는 상기 성형틀(10)의 전측 내면, 후측 내면, 일측 외면 및 타측 외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철부(7)는 상기 성형틀(10)의 전측 외면과 후측 외면에 각각 형성된 상기 위치고정대(1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철부(7)는 상기 성형틀(10)의 일측 외면과 타측 외면에 각각 형성된 상기 위치고정대(110)의 전측면과 타측면에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성형틀(10)의 내면에 형성된 상기 요철부(7)의 홈으로는 일부 1차 안료(2a)와 일부 2차 안료(2b)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성형틀(10)의 외면에 형성된 상기 요철부(7)의 홈으로는 일부 2차 안료(2b)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대(110)에 형성된 상기 요철부(7)의 홈으로는 일부 2차 안료(2b)가 유입될 수 있다.
도 19는 위치고정대에 관통공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안료(2)의 2차 안료(2b)와 상기 위치고정대(110)의 접합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위치고정대(110)의 중간부에는 상기 안료(2)의 2차 안료(2b)의 일부가 유입되는 관통공(9)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0은 금형의 또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금형(1)의 하형(100a)으로부터 성형완료된 상기 보도블럭(11)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탈형시키기 위함과 더불어 상기 보도블럭(11)의 전후폭 및 좌우폭을 보다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해, 상기 금형(1)의 하형(100a)은 또 다른예로서,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베이스판(101), 전측판(103), 후측판(105), 좌측판(107), 우측판(109) 및 측판이동부재(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판(103) 및 후측판(105)은 상기 베이스판(101)의 상부 전측과 상부 후측에 각각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좌측판(107) 및 상기 우측판(109)은 상기 베이스판(101)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측판이동부재(미도시)는 상기 전측판(103), 후측판(105), 좌측판(107) 및 우측판(109)을 각각 45°로 편향 이동시켜 상기 캐비티(1a)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101), 전측판(103), 후측판(105), 좌측판(107), 우측판(109) 및 측판이동부재(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또 다른예의 상기 금형(1)의 하형(100a)은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985900호를 통해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1은 성형틀의 외면에 가이드축과, 가이드축과 나사결합되는 위치고정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2는 위치고정관이 금형의 내면과 접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다른예로서, 도 21 및 도 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성형틀(10)의 외면에 가이드축(130)이 상기 성형틀(10)과 함께 성형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축(130)은 상기 성형틀(10)의 전측 외면과 후측 외면에서 각각 상기 금형(1)의 하형(100a)의 전측 내면 방향 및 후측 내면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축(130)은 상기 성형틀(10)의 일측 외면과 타측 외면에서 각각 상기 금형(1)의 하형(100a)의 일측 내면방향 및 타측 내면 방향으로 일정길이뢰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성형틀(10)을 상기 금형(1)의 하형(100a)의 캐비티(1a)에 안정적으로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위치고정관(1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관(140)의 내측에 상기 가이드축(130)이 각각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위치고정관(140)은 작업자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금형(1)의 하형(100a)의 내면방향으로 각각 이동하여 상기 금형(1)의 하형(100a)의 전측 내면, 후측 내면, 일측 내면 및 타측 내면에 접할 수 있다.
도 23은 또 다른예의 금형의 내측에 형성된 캐비티의 크기가 축소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4는 크기가 축소된 캐비티에 성형틀이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5는 보도블럭의 크기가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2 내지 도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금형(1)의 하형(100a)의 캐비티(1a)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폭(W1)과 전측에서 후측까지의 전후폭(W2)이 점차 축소될수록 도 25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도블럭(11)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폭(W3)과 전측에서 후측까지의 전후폭(W4) 또한 축소될 수 있다.
상기 금형(1)의 하형(100a)의 캐비티(1a)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폭(W1)과 전측에서 후측까지의 전후폭(W2)이 점차 확장될수록 도 25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도블럭(11)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폭(W3)과 전측에서 후측까지의 전후폭(W4) 또한 확장될 수 있다.
도 26은 위치고정관에 관통공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22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위치고정관(140)과 상기 안료(2)의 2차 안료(2b)의 접합력이 더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a1)단계에서 상기 위치고정관(140)의 상부와 하부에 상기 안료(2)의 2차 안료(2b)가 유입되는 관통공(9)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료(2)의 2차 안료(2b)는 상기 위치고정관(140)의 관통공(9)을 통과하여 상기 위치고정관(140)의 내측에 충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료(2)의 2차 안료(2b)의 일부는 상기 위치고정관(140)의 관통공(9)에 충진될 수 있다.
도 27은 성형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8은 성형완료된 다른예의 보도블럭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9는 성형틀의 또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0은 성형완료된 또 다른예의 보도블럭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a)단계에서의 상기 성형틀(10)을 이루는 표지는 도 2, 도 12, 도 27 내지 도 3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문자, 숫자, 기호, 문양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성형틀(10)의 내측에는 문자, 숫자, 기호, 문양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있는 보조성형틀(13)이 상기 성형틀(10)과 동일한 상하높이로 상기 성형틀(10)과 함께 성형될 수 있다.
상기 보조성형틀(13)의 외면과 상기 성형틀(10)의 내면 사이에 상기 보조성형틀(13)을 안정적으로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보조위치고정대(131)가 성형완료된 상기 보도블럭(11)의 상부 외부방향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위치고정대(110)와 동일한 상하높이로 상기 성형틀(10)과 함께 성형될 수 있다.
상기 보조위치고정대(131)는 일예로, 도 2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보조위치고정대(131a)와 제 2보조위치고정대(13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보조위치고정대(131a)는 상기 보조성형틀(13)의 일측 외면과 상기 성형틀(10)의 일측 내면 사이 및 상기 보조성형틀(13)의 타측 외면과 상기 성형틀(10)의 타측 내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보조위치고정대(131b)는 상기 보조성형틀(13)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외면과 상기 성형틀(1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내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예로, 상기 보조성형틀(13)은 도 2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성형틀(10)의 내부 전측과 배우 후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예로, 상기 보조위치고정대(131)는 제 1위치고정대(131a), 제 2위치고정대(131b) 및 제 3위치고정대(131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위치고정대(131a)는 상기 보조성형틀(13)의 내측에 '+'자 형태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위치고정대(131b)는 상기 성형틀(10)의 내면과 상기 보조성형틀(13)의 외면 사이에 방사형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위치고정대(131c)는 상기 성형틀(10)의 내부 전측에 구비된 상기 보조성형틀(13)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과 상기 성형틀(10)의 내부 후측에 구비된 상기 보조성형틀(13)의 전측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10; 성형틀, 11; 보도블럭,
20; 안료층, 30; 블럭.

Claims (23)

  1. a) 보행자에게 알리고자 하는 표지와 대응되는 형상의 성형틀을 성형하는 a1) 성형틀 성형단계와, 상기 성형틀을 뒤집어 금형의 캐비티의 바닥면에 안착시키는 a2) 성형틀 안착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성형틀의 상부와 하부는 개방되며, 상기 금형의 캐비티내에 수용된 상기 성형틀을 위치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성형틀의 외면에 상기 금형의 내면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금형의 내면에 접하는 위치고정대가 형성되는 성형틀 수용단계와;
    b) 상기 금형의 캐비티에 안료를 주입하는 안료 주입단계와;
    c) 상기 안료의 상부방향의 상기 금형의 캐비티에 블럭을 수용시키는 블럭 수용단계와;
    d) 상기 a) 성형틀 수용단계, b) 상기 안료 주입단계, c) 블럭 수용단계를 통해 성형완료된 보도블럭을 상기 금형으로부터 탈형하는 보도블럭 탈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보도블럭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성형틀 수용단계에서 상기 금형은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외측면에 하부가 각각 축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받침대의 외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커버판과, 상기 커버판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판의 상부가 상기 받침대의 외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수단으로 구성되는 하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럭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성형틀 수용단계에서 상기 금형은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 전측과 상부 후측에 각각 구비되는 전측판 및 후측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좌측판 및 우측판과, 상기 전측판, 후측판, 좌측판 및 우측판을 이동시켜 상기 캐비티의 크기를 조절하는 측판이동부재로 구성되는 하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럭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1) 성형틀 성형단계에서 상기 위치고정대는 상기 성형틀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일정높이로 연장되고,
    상기 위치고정대의 높이는 상기 성형틀의 높이보다 낮으며,
    상기 a2) 성형틀 안착단계에서 상기 금형의 캐비티의 바닥면에 뒤집힌 상태로 안착된 상기 성형틀의 외면에 형성된 상기 위치고정대의 하부와 상기 금형의 캐비티의 바닥면 사이에 안료 유입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럭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안료주입단계는 b1) 상기 금형의 캐비티에 수용된 상기 성형틀의 내측에 안료를 일정높이로 1차 주입하는 1차 안료 주입단계와;
    b2) 상기 금형의 캐비티에 상기 성형틀보다 높은 높이로 안료를 2차 주입하는 2차 안료 주입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럭의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b2) 2차 안료 주입단계의 2차 안료는 상기 b1) 1차 안료 주입단계의 1차 안료의 초기경화시작시간에 상기 금형의 캐비티에 주입되고,
    상기 c) 블럭 수용단계에서 상기 블럭은 상기 b2) 2차 안료 주입단계에서의 2차 안료의 초기경화시작시간에 상기 금형의 캐비티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럭의 제조방법.
  7. 보행자에게 알리고자 하는 표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되는 성형틀과;
    상기 성형틀의 외면에 상기 성형틀이 수용되는 금형의 내면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금형의 내면에 접하는 위치고정대와;
    상기 성형틀의 내측 및 외측에 일정높이로 각각 형성되는 안료층과;
    상기 안료층의 하부에 형성되는 블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럭.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대는 상기 성형틀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일정높이로 연장되고,
    상기 위치고정대의 높이는 상기 성형틀의 높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럭.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200155101A 2020-11-19 2020-11-19 보도블럭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79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101A KR102479440B1 (ko) 2020-11-19 2020-11-19 보도블럭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101A KR102479440B1 (ko) 2020-11-19 2020-11-19 보도블럭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378A KR20220068378A (ko) 2022-05-26
KR102479440B1 true KR102479440B1 (ko) 2022-12-20

Family

ID=81808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5101A KR102479440B1 (ko) 2020-11-19 2020-11-19 보도블럭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944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6222B1 (ko) 2016-08-11 2016-12-13 (주) 에코제이피 문자 표시용 보도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문자 보도블록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5321A (ja) * 1993-12-28 1995-08-01 C C A Kk 粉粒体重合層による模様入り成形体の成形方法
WO2015000184A1 (zh) * 2013-07-05 2015-01-08 富士通株式会社 参数获取方法、参数优化方法及其装置、系统
KR102273633B1 (ko) * 2019-03-27 2021-07-06 주식회사 비엔케이 내지진성 외장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2106242B1 (ko) 2019-08-30 2020-04-29 김소중 보도블럭 침하방지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6222B1 (ko) 2016-08-11 2016-12-13 (주) 에코제이피 문자 표시용 보도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문자 보도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378A (ko) 2022-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48885A (zh) 含有纹理的人造石板及其制造方法
CA2067332A1 (en) Slab-like concrete block, as well as process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the latter
CA2370783C (en) Method of making terrazzo floors with design elements
KR102479440B1 (ko) 보도블럭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62612B1 (ko) 혼합실리콘을 이용하여 구조물에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
KR101055044B1 (ko) 미끄럼 방지 가로수보호덮개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00494A (ko) 도로경계석 설치구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의 시공방법
KR101007011B1 (ko) 옹벽블록 제작방법과 옹벽블록 제작용 형틀
CN111926701B (zh) 一种现浇施工的桥梁道路端头混凝土栏杆立柱
CN111827112B (zh) 桥梁道路中间混凝土栏杆立柱施工方法
KR20170121809A (ko) 혼합실리콘을 이용하여 구조물에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
KR200160430Y1 (ko) 보도 블록
CN219404702U (zh) 一种工字形护坡砖加工生产用成型模具
KR101181890B1 (ko) 컬러양각 보강블록의 문양구현방법
US1155140A (en) Monolithic inscription-stone.
KR100970857B1 (ko)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 및 그 제조방법
KR100540138B1 (ko) 신발 밑창용 금형의 제조방법
KR102327353B1 (ko) 절삭도구에 의해 사전 제작된 고체상태의 문양이 전방향으로 노출가능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인조석 판재
CN2529720Y (zh) 铸造用快速包埋模具组
KR200418596Y1 (ko)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
KR100559746B1 (ko) 도로경계석 제조방법
KR100512704B1 (ko) 시각장애자용 점자블록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제조된 시각장애자용 점자블록
KR20080031610A (ko) 보도블럭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21272A (ko) 가로수 보호덮개용 주물 받침 틀 및 제조방법
JP4174337B2 (ja) 擁壁用ブロック、擁壁コーナ及びそ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