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407B1 - 보냉 상자 - Google Patents

보냉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9407B1
KR102479407B1 KR1020170113785A KR20170113785A KR102479407B1 KR 102479407 B1 KR102479407 B1 KR 102479407B1 KR 1020170113785 A KR1020170113785 A KR 1020170113785A KR 20170113785 A KR20170113785 A KR 20170113785A KR 102479407 B1 KR102479407 B1 KR 102479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ber
gripping
concave portion
cover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8945A (ko
Inventor
아츠시 기쿠치
Original Assignee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28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65D45/0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axial pressure to engage closure with sealing surface
    • B65D45/16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3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26Mechanisms for opening or closing, e.g. pedal-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개폐 조작 시에 덮개 부재를 손가락으로 파지하기 쉽고, 덮개 부재의 개폐 조작성이 우수한 보냉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보냉 상자(100)는 상면이 개구된 상부 개구(10)를 갖는 상자 본체(1)와, 상부 개구(10)를 폐색하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 형상의 덮개 부재(2)를 구비하고, 덮개 부재의 긴 쪽 방향 일측면, 또는 덮개 부재의 긴 쪽 방향 일측면 및 그 반대측의 타측면의 양측면에, 파지용 오목부가 형성되고, 파지용 오목부는 덮개 부재의 평면에서 볼 때 오목 형상을 형성하고 있다.

Description

보냉 상자 {COOL BOX}
본 발명은 보냉 상자에 관한 것이다.
보냉 상자에는 보냉제와 함께 낚은 물고기, 마실 것 또는 먹을 것 등의 수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 공간은 외기와 차단되어 있고, 외기에 의해 물고기 등의 수용물이 따뜻해지지 않도록 유지한다.
보냉 상자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상방을 향해 개구되는 상부 개구가 형성된 상자 본체와, 상자 본체의 상부 개구를 폐색하는 덮개 부재와, 덮개 부재의 개폐 장치를 구비한다. 보냉 상자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덮개 부재의 각 측면은 대략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자 본체의 대응하는 각 측면과 대략 동일 평면 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개폐 장치는 폐쇄 상태의 덮개 부재가 개방 방향으로 회동하지 않도록 보유 지지(로크)하는 로크 기구와, 그 로크 기구의 로크를 해제하기 위한 조작부를 구비한다. 조작부는 덮개 부재의 일단부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11-227838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보냉 상자는 덮개 부재의 각 측면이 대략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개폐 조작 시에 덮개 부재를 손가락으로 파지하기 어렵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보냉 상자는, 예를 들어 운반 시 등에 보냉 상자의 전방측에 다른 보냉 상자나 짐이 간극 없이 나열되면, 덮개 부재의 측방에 손가락을 삽입할 수 없어, 덮개 부재의 개폐 조작을 행하기 어려웠다. 이로 인해, 수용물의 출입을 매끄럽게 행할 수 없어, 이것을 개선하고 싶다는 요망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고, 개폐 조작 시에 덮개 부재를 손가락으로 파지하기 쉽고, 덮개 부재의 개폐 조작성이 우수한 보냉 상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면이 개구된 상자 본체와, 상기 상자 본체의 상기 개구를 폐색하고, 상기 상자 본체에 대하여 개폐 가능한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 형상의 덮개 부재를 구비하는 보냉 상자이며, 상기 덮개 부재의 긴 쪽 방향 일측면, 또는 상기 덮개 부재의 긴 쪽 방향 일측면 및 그 반대측의 타측면의 양측면에 파지용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파지용 오목부는 상기 덮개 부재의 평면에서 볼 때 오목 형상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의 보냉 상자에 의하면, 파지용 오목부에 손가락을 붙이고 덮개 부재의 일단측 부분을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으므로, 개폐 조작 시의 파지를 행하기 쉽고, 덮개 부재의 개폐 조작성이 우수하다.
또한, 운반 시 등에 보냉 상자의 전방측에 다른 보냉 상자나 다른 짐이 간극 없이 나열되었다고 해도, 덮개 부재의 상방으로부터 파지용 오목부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덮개 부재의 일단측 부분을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으므로, 덮개 부재의 개폐 조작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파지용 오목부는 상기 덮개 부재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부측이 하부측에 비해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파지용 오목부에 손가락을 붙이기 쉬워진다. 또한, 파지용 오목부에 손가락을 삽입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덮개 부재를 파지하기 쉽고, 덮개 부재의 개폐 조작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파지용 오목부 내에는 손가락 걸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파지용 오목부에 손가락을 붙이기 쉬워진다. 또한, 파지용 오목부에 손가락을 삽입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덮개 부재를 파지하기 쉽고, 덮개 부재의 개폐 조작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파지용 오목부는 상기 덮개 부재의 일단측의 측면으로부터 이것에 대응하는 상기 상자 본체의 일단측의 측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파지용 오목부에 손가락을 더 붙이기 쉬워진다. 또한, 파지용 오목부에 손가락을 더 삽입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덮개 부재를 파지하기 쉽고, 덮개 부재의 개폐 조작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상자 본체에, 상기 파지용 오목부가 수납되는 중앙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이에 의해 상자 본체의 구성을 변경하지 않고, 상자 본체를 공통의 부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 부재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는 로크 기구와, 상기 로크 기구에 의한 로크를 해제하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조작부는 상기 덮개 부재의 긴 쪽 방향 일측면측의 상면, 또는 긴 쪽 방향 일측면측 및 그 반대의 타측면측의 양측면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덮개 부재의 평면에서 볼 때 외측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상기 로크 기구의 로크를 해제하거나, 혹은 상기 조작부는 상기 파지용 오목부의 저벽에 형성된 오목 형상의 절결부에 배치되고, 상기 덮개 부재의 내측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상기 로크 기구의 로크를 해제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손가락을 조작부의 조작면에 대고, 또한 손가락을 구부려 파지부를 파지하려고 하면, 조작면이 손가락에 가압되어, 로크 기구의 로크가 해제되기 때문에, 덮개 부재의 개폐 조작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폐 조작 시에 덮개 부재를 손가락으로 파지하기 쉽고, 덮개 부재의 개폐 조작성이 우수한 보냉 상자가 얻어진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보냉 상자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일부 분해한 덮개 부재를 상방에서 본 상면도.
도 3은 보냉 상자의 정면도.
도 4의 (a)는 커버 부재의 평면도이고, (b)는 커버 부재의 정면도이고, (c)는 상자 본체의 상부 정면도.
도 5의 (a)는 파지용 오목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커버 부재의 사시도이고, (b)는 커버 부재의 종단면도이고, (c)는 커버 부재의 좌측면도.
도 6은 보냉 상자를 도 8의 II-II선으로 자른 경우의 단면도.
도 7은 보냉 상자를 도 8의 III-III선으로 자른 경우의 단면도.
도 8의 (a)는 커버 부재를 후방측(내측)에서 본 배면도이고, (b)는 가이드부와 조작부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의 (a)는 손가락을 조작면 등에 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b)는 파지부를 파지한 상태도이고, (c)는 파지부(덮개 부재의 전방측)을 들어올린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의 (a)는 조작부를 좌측 전방측의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고, (b)는 우측 후방측의 하방에서 조작부를 본 사시도이고, (c)는 조작부를 하방에서 본 저면도.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의 보냉 상자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보냉 상자의 정면도.
도 13의 (a)는 커버 부재의 파지용 오목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사시도이고, (b)는 커버 부재의 우측 단부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보냉 상자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실시 형태]
(보냉 상자)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보냉 상자(100)는 전후 방향보다도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의 상자이다.
보냉 상자(100)는 상부 개구(10)가 형성된 상자 본체(1)와, 상자 본체(1)의 상부 개구(10)를 폐색하는 덮개 부재(2)와, 개폐 장치(3)를 구비하고 있다.
개폐 장치(3)는 폐쇄 상태의 덮개 부재(2)가 의도하지 않고 개방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개폐 장치(3)는 덮개 부재(2)의 폐쇄 상태를 로크하는 로크 기구(4)(도 6 참조)와, 로크 기구(4)에 의한 로크를 해제하는 조작 플레이트(조작부)(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보냉 상자(100)는 전후 대칭의 구조가 되어 있다. 즉, 상자 본체(1)와 덮개 부재(2)가 전후 대칭으로 형성되고, 개폐 장치(3)가 전방측과 후방측의 양쪽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방측의 구성을 설명하고, 후방측의 구성 설명을 생략한다.
(상자 본체)
상자 본체(1)는 상부 개구(10)와 그 상부 개구(10)로부터 투입된 것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11)이 형성된 바닥이 있는 직사각형 통상의 수지제 용기이고, 저벽부, 전방 벽부, 후방 벽부, 우측 벽부 및 좌측 벽부를 구비하고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벽부는 수지제의 외벽(12) 및 내벽(13)과, 그 외벽(12)과 내벽(13) 사이에 개재하는 단열재(예를 들어, 발포 우레탄, 발포스티롤 등)(14)를 구비하는 3층 구조이고, 단열성이 우수하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자 본체(1)의 전방 벽부의 상단부면에는 하방에 오목한 덮개 부재(2)의 일부가 상방으로부터 들어가는 하방 오목부(15)(도 3, 도 4의 (c), 도 6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하방 오목부(15)는 중앙 오목부(15a)와, 중앙 오목부(15a)의 좌측에 연속하는 좌측 오목부(15b)와, 중앙 오목부(15a)의 우측에 연속하는 우측 오목부(15c)를 구비하고 있다. 중앙 오목부(15a)는 좌측 오목부(15b) 및 우측 오목부(15c)보다도 한단 낮게 형성되어 있다.
좌측 오목부(15b) 내 및 우측 오목부(15c) 내에는 피결합부(16)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피결합부(16, 16)는 중앙 오목부(15a)를 사이에 두고 서로 좌우로 이격되어 있다. 피결합부(16)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의 막대부(16a)를 구비하는 금속제 부품이고, 로크 기구(4)를 구성하고 있다.
(덮개 부재)
덮개 부재(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덮개 부재(2)의 상면(2a)의 전단측에는 하방으로 오목한 내부에 조작 플레이트(5)를 수용하는 조작 플레이트 수용부(20)와, 덮개 부재(2)의 전단부를 개방 방향(상방)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손가락에 의해 파지 가능한 파지부(2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덮개 부재(2)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 형상의 덮개 본체(30)와, 덮개 본체(30)의 전단측 및 후단측에 설치되는 커버 부재(4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40)에는 커버 개폐 시에 손가락을 붙이거나 손가락으로 파지하거나 할 수 있는, 후술하는 파지용 오목부(42a)가 형성되어 있다(도 2, 도 3 참조).
이하에는, 처음에 덮개 본체(30)와 커버 부재(40)를 설명하고, 그 후에 조작 플레이트 수용부(20)와 파지부(21)를 설명한다.
(덮개 본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 본체(30)는 수지제의 외벽(31) 및 내벽(32)과, 그 외벽(31)과 내벽(32) 사이에 개재하는 단열재(33)를 구비하는 3층 구조이고, 단열성이 우수하다. 또한, 특별히 도시하지 않지만, 단열재(33)는 상방에서 볼 때 직사각 형상을 나타내고, 상자 본체(1)의 상부 개구(10)와 상사형이 되어 있다.
또한, 단열재(33)의 외주단(33a)은 상부 개구(10)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도 6, 도 7의 보조선 N 참조), 단열재(33)가 상부 개구(10)의 전부를 덮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 본체(30)의 전방 단부면(34a)은 중앙부가 양단부보다도 후방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해, 덮개 본체(30)의 전단부(34)와 커버 부재(40) 사이에, 후술하는 로크 플레이트(6)를 배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 7 참조).
또한, 덮개 본체(30)의 전방 단부면(34a)의 좌우 양측에는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돌기(35)가 설치되어 있다.
그 외에, 덮개 본체(30)의 상면(36)은 좌우의 단부 에지 및 전후의 단부 에지보다도 중앙부가 상방으로 팽출되어 있다. 이로 인해, 덮개 본체(30)의 상면(36)은 상방으로부터의 하중을 받아도 변형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커버 부재)
커버 부재(40)는, 도 2, 도 3, 도 4의 (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덮개 부재(2)의 전단부를 구성하는 부품이다.
도 4의 (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부재(40)는 커버 상방 벽부(41)와, 커버 전방 벽부(42)와, 커버 측벽(43a, 43b)을 구비하고 있다. 커버 상방 벽부(41)는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고, 덮개 부재(2)의 상면(2a)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도 1 참조). 커버 상방 벽부(41)의 후방부에는, 후방을 향해 돌출되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삼각 형상의 돌출부(41a)가 한 쌍 형성되어 있다. 각 돌출부(41a)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조작 플레이트(5)의 후방측의 코너부(55, 55)를 상방으로부터 덮고 있다.
커버 전방 벽부(42)는 커버 상방 벽부(41)의 전방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덮개 부재(2)의 전방측면을 구성하고 있다[도 5의 (a)(b) 참조]. 커버 전방 벽부(42)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는 파지용 오목부(42a)가 형성되어 있다. 파지용 오목부(42a)는 커버 전방 벽부(42)의 좌측 단부면(42b)이나 우측 단부면(42c)보다도 내측(후방)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도 5의 (a)(b) 참조]. 파지용 오목부(42a)는,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볼 때 대략 역사다리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파지용 오목부(42a)는 저벽(42a1)과, 좌측벽(42a3)과, 우측벽(42a4)으로 둘러싸여 형성되어 있고, 상하면이 개구되어 있다[도 4의 (a) 참조]. 파지용 오목부(42a)의 상단 개구는 덮개 부재(2)의 상방을 향해 개구되어 있고, 덮개 부재(2)를 개폐 조작할 때의 손가락의 삽입구로서 기능한다.
한편, 파지용 오목부(42a)의 하단 개구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 부재(2)를 상자 본체(1)에 폐쇄한 상태에서, 상자 본체(1)의 하방 오목부(15)의 중앙 오목부(15a)에 대향하고 있고, 중앙 오목부(15a)에서 폐쇄되어 있다. 이에 의해, 파지용 오목부(42a)에 붙이거나 삽입하거나 한 손가락은 중앙 오목부(15a)에 의해 이것보다도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어, 파지용 오목부(42a)로부터 손가락이 탈락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손가락을 파지용 오목부(42a) 내에 확실하게 배치할 수 있다.
저벽(42a1)에는 후방을 향해 오목 형성된 오목면(42a5)이 형성되어 있다[도 5의 (a)(b) 참조]. 오목면(42a5)은 정면에서 볼 때 대략 역사다리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오목면(42a5)은, 저벽(42a1)의 하부(42a6)는 커버 전방 벽부(42)의 좌측 단부면(42b)이나 우측 단부면(42c)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도 5의 (b)(c) 참조]. 하부(42a6)는, 도 3, 도 4의 (b)(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자 본체(1)의 하방 오목부(15)의 중앙 오목부(15a)를 모방하는 돌출 형상이 되어 있고, 중앙 오목부(15a) 내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3 참조). 즉, 파지용 오목부(42a)의 저벽(42a1)은 덮개 부재(2)의 일단측의 측면(전방면)으로부터 이것에 대응하는 상자 본체(1)의 일단측의 측면(전방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파지용 오목부(42a)는 덮개 부재(2)의 전방측면의 높이 치수보다도 두께 방향으로 큰 높이 치수를 구비한 것이 되고, 파지하기 위한 면적이 확보되어 있다.
또한, 파지용 오목부(42a)는 성인 남성의 손가락을 붙이거나, 파지하거나 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오목부, 손가락을 배치 가능한 수용 공간)를 구비하고 있다. 파지용 오목부(42a)의 저벽(42a1)의 깊이는 손가락을 붙이거나, 파지하거나 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좌측벽(42a3)과 우측벽(42a4)은,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에 대향하고 있고, 하단으로부터 상단을 향해 좌우 방향으로 점차 폭이 넓어지는 테이퍼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파지용 오목부(42a)의 상단 개구는 이것과는 반대측이 되는 하단 개구에 비해 개구 면적이 넓게 되어 있다[도 4의 (a) 참조].
커버 측벽(43a, 43b)은 좌우 대칭의 구조이므로, 여기서는 좌측의 커버 측벽(43a)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측벽(43a)은 커버 부재(40)의 좌측부를 덮고 있다. 커버 측벽(43a)에는 후술하는 로크 플레이트[도 8의 (a) 참조]의 축 부재(45)의 단부가 고정되는 고정 구멍(43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우측의 커버 측벽(43b)은 커버 부재(40)의 우측부를 덮고 있다.
이어서, 커버 부재(40)의 후방면의 구조에 대하여 주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8에서는 구성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 커버 부재(40)에 있어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에 도트를 칠하고 있다.
커버 전방 벽부(42)의 후방면에는 커버 전방 벽부(42)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리브로서, 좌우의 커버 측벽(43a, 43b)으로부터 좌우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수평 리브(46)와, 수평 리브(46)의 좌우 방향 내측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커버 상방 벽부(41)에 연속하는 상하 리브(4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하 리브(47)로부터 좌우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내측 리브(48)와, 커버 전방 벽부(42)의 후방면 중앙부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 리브(42e)가 형성되어 있다.
그 외에, 커버 전방 벽부(42)의 후방면에는 피결합부(16)의 막대부(16a)(이점 쇄선 참조)에 걸림 결합하여 막대부(16a)를 지지하는 복수의 막대 지지부(44)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부재(45)와, 축 부재(45)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로크 플레이트(6)와, 압박 부재(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로크 플레이트(6)와 압박 부재(7)는 로크 기구(4)의 구성이기 때문에 후술한다.
수평 리브(46)와 상하 리브(47)는 커버 부재(40)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수평 리브(46)와 상하 리브(47)와 커버 상방 벽부(41)에 의해, 직사각 형상의 직사각형 프레임부(47c)가 구성된다.
이 직사각형 프레임부(47c) 내에는 덮개 본체(30)의 돌기(35)가 감합되어 있고, 덮개 본체(30)와 커버 부재(40)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도 6 참조).
또한, 특별히 도시하지 않지만, 수평 리브(46)를 하방으로부터 관통하는 나사가 돌기(35)에 나사 결합하여, 직사각형 프레임부(47c) 내로부터 돌기(35)가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내측 리브(48)는 상하 리브(47)의 상하 방향의 중간부에 연속되어 있다. 이로 인해,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리브(48)와 상하 리브(47)와 커버 상방 벽부(41)에 의해 대략 C자상의 벽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하, 대략 C자상의 벽부를 가이드부(49)라고 칭한다. 또한, 가이드부(49)의 설명은 후술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막대 지지부(44)의 하단에는 절결부(44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절결부(44a)에 대하여 하방으로부터 피결합부(16)의 막대부(16a)가 들어가고, 막대부(16a)와 막대 지지부(44)가 걸림 결합하고 있다.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 부재(45)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막대 지지부(44)를 관통하고, 양단부가 좌우의 커버 측벽(43a, 43b)의 각 고정 구멍(43c)[도 5의 (c) 참조]에 고정되어 있다.
(조작 플레이트 수용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플레이트 수용부(20)는 덮개 부재(2)의 상면(2a)보다도 하방에 조작 플레이트(5)를 배치하기 위한 것이다. 이것에 의하면, 덮개 부재(2)의 상면(2a) 상에, 다른 보냉 상자(100)를 적재해도 안정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플레이트 수용부(20)는 덮개 본체(30)의 전단부(34)의 상면을 하방으로 오목하게 하여 형성되고, 저면(25)과, 후방측면(26)과, 좌측면(27)과, 우측면(28)을 구비하고 있다.
좌측면(27)과 우측면(28) 사이의 폭 L1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좁게 되어 있다.
이 폭 L1은 전후 방향의 중간을 경계로 하여, 전방측이 조작 플레이트(5)의 폭보다도 크고, 후방측이 조작 플레이트(5)의 폭보다도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폭 L1은 조작 플레이트(5)의 폭보다도 크게 형성된 폭이 넓은 영역과, 조작 플레이트(5)의 폭보다도 작게 형성된 폭이 좁은 영역을 갖고 있다.
이로 인해, 조작 플레이트 수용부(20)의 전방측에 조작 플레이트(5)를 배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조작 플레이트 수용부(20)의 전방측에 배치된 조작 플레이트(5)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없고, 조작 플레이트(5)의 후단부가 조작 플레이트 수용부(20)의 후방측면(26)에 맞닿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결과, 후방측면(26)과 조작 플레이트(5) 사이에는, 상시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간극 S2가 형성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면(25)은 커버 부재(40)의 커버 상방 벽부(41)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있고, 조작 플레이트 수용부(20)의 저면(25)과 커버 부재(40)의 커버 상방 벽부(41) 사이에는 개구부 S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덮개 부재(2)에 있어서, 조작 플레이트 수용부(20)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단열재(33)가 충전되어 있다.
(파지부)
파지부(21)는 전방을 향하는 전방 파지면(22)과, 조작 플레이트 수용부(20) 내에 있어서 전방 파지면(22)과 상반되는 방향(후방)을 향하는 후방 파지면(23)과, 상방을 향하는 상방 파지면(24)을 구비하고 있다. 파지부(21)는 조작 플레이트 수용부(20)의 저면(25)보다도 상방으로 돌출되고, 단면에서 볼 때 볼록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로 인해, 손가락으로 전후 방향으로부터 끼움 지지함으로써 파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방 파지면(22)은 상기한 파지용 오목부(42a)의 저벽(42a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후방 파지면(23)은 조작 플레이트 수용부(20) 내에 수용된 조작 플레이트(5)의 후방 단부면[조작면(53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후방 파지면(23)은 조작 플레이트 수용부(20) 내에 있어서 파지용 오목부(42a)의 저벽(42a1)과 상반되는 방향(후방)을 향하고 있다. 조작 플레이트(5)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방 파지면(24)은 상방으로부터 손바닥을 대기 위한 면이다(도 9의 각 도면 참조). 상방 파지면(24)은 커버 부재(40)의 커버 상방 벽부(4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상방 파지면(24)에 의하면, 손과 파지부(21)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확실하게 파지할 수 있다.
이어서, 개폐 장치(3)를 구성하는 로크 기구(4)와 조작 플레이트(5)를 설명한다.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기구(4)는 상기한 피결합부(16)(도 1, 도 4의 (c) 참조)와, 로크 플레이트(6)와, 압박 부재(7)를 구비하고 있다.
(로크 플레이트)
로크 플레이트(6)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지제의 판상 부재이다.
로크 플레이트(6)는 상하 방향 중앙부가 축 부재(45)에 의해 관통되고, 축 부재(45)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로크 플레이트(6)는 좌우 방향 중앙부에 위치하고 축 부재(45)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피가압부(60)와, 좌우 방향 양측에 위치하고 축 부재(45)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갈고리부(7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압박 부재(7)는 일단이 수평 리브(46)에 걸림 지지하고, 타단이 갈고리부(70)의 후방면에 걸림 지지하고, 커버 전방 벽부(42)의 후방면을 향해[보냉 상자(100)의 전방을 향해] 갈고리부(70)를 상시 압박하고 있다(도 6의 화살표 참조). 따라서, 갈고리부(70)와 일체적인 피가압부(60)는 보냉 상자(100)의 후방으로 이동(회동)하도록 압박되어 있다(도 7의 화살표 참조).
피가압부(60)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상 부재이고, 좌우의 상하 리브(47)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가압부(60)의 상단(60a)은 커버 부재(40)의 커버 상방 벽부(41)의 근방까지 연장되고, 조작 플레이트 수용부(20)의 저면(25)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단(60a)은 단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갈고리부(70)는 축 부재(45)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판부(72)와, 판부(72)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기(73)를 구비하고 있다.
판부(72)는 압박 부재(7)[도 8의 (a) 참조]에 의해 전방으로 압박되어 있으므로, 전방면이 피결합부(16)의 막대부(16a)에 맞닿아 있다. 이 맞닿음에 의해, 로크 플레이트(6)가 회전 방지되고 있다.
돌기(73)는 막대부(16a)의 하면에 맞닿아 있다. 이로 인해, 덮개 부재(2)의 전단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힘을 가해도, 돌기(73)가 막대부(16a)에 걸림 지되고, 덮개 부재(2)의 전단측이 상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규제(로크)된다. 이에 의해, 덮개 부재(2)의 폐쇄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막대부(16a)의 주위를 막대 지지부(44)와 갈고리부(70)로 둘러싸고 있으므로, 덮개 부재(2)는 막대부(16a)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조작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플레이트(5)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 형상을 나타내고,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부품이다. 또한, 조작 플레이트(5)에는 전방 단부면인 가압면(52a)과, 후방 단부면인 조작면(53a)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플레이트(5)는 조작 플레이트 수용부(20)의 전방측에 수용되고, 조작 플레이트 수용부(20)의 저면(25) 상에 적재되어 있다.
조작 플레이트(5)의 후방측의 코너부(55, 55)는 조작 플레이트 수용부(20)의 좌측면(27), 우측면(28)에 맞닿고[도 2에 있어서 후방측에 배치된 조작 플레이트(5)를 참조],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조작 플레이트(5)의 조작면(53a)(후방 단부면)은 조작 플레이트 수용부(20) 내에 있어서, 후방을 향하고 있고, 파지부(21)의 후방 파지면(23)을 구성하고 있다.
조작 플레이트(5)의 전단부는 조작 플레이트 수용부(20)와 커버 부재(40)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 S1에 삽입되어 있다.
조작 플레이트(5)의 전단부는 좌우의 상하 리브(47)[도 8의 (a) 참조] 사이에 배치되고, 조작 플레이트(5)의 가압면(52a)이 로크 플레이트(6)의 피가압부(60)에 맞닿아 있다.
따라서, 조작 플레이트(5)에 대하여, 전방을 향하는 하중이고, 또한 압박 부재(7)의 압박력보다도 큰 하중이 작용하면, 피가압부(60)를 가압하면서 조작 플레이트(5)가 전방으로 슬라이드(수평 이동)한다. 또한, 조작 플레이트(5)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어서, 덮개 부재(2)의 개방 조작 방법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덮개 부재(2)를 개방하는 방법은 파지부(21)를 파지하는 공정과, 파지부(21)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지부(21)를 파지하는 공정은 먼저, 파지부(21)의 상방에 손을 배치하고, 손바닥을 하방을 향하게 한다.
이어서, 전방 파지면(22)[커버 부재(40)의 파지용 오목부(42a)의 저벽(42a1)]에 엄지 손가락을 대고, 상방 파지면(24)[커버 부재(40)의 커버 상방 벽부(41)]에 손바닥을 댄다.
또한, 엄지 손가락 이외의 손가락을, 조작 플레이트 수용부(20)의 후방측면(26)과 조작 플레이트(5)의 조작면(53a)의 간극 S2에 삽입하고, 후방 파지면(23)[조작면(53a)]에 댄다.
또한, 후방측면(26)과 조작면(53a)의 간극 S2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폭 L1은 조작 플레이트(5)보다도 폭이 좁게 형성되어(도 2 참조), 조작면(53a)의 좌우의 단부에 손가락을 대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조작면(53a)의 중앙부에 손가락을 대도록 유도된다.
이어서, 엄지 손가락과 그 이외의 4개의 손가락이 근접하도록, 각 손가락을 구부려, 파지부(21)를 파지한다.
이에 의하면,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면(53a)이 가압되어, 조작 플레이트(5)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피가압부(60)가 회동한다. 그렇게 하면, 좌우의 갈고리부(70)와 피결합부(16)의 막대부(16a)(도 6 참조)의 걸림 결합이 해제되어, 덮개 부재(2)의 전방측이 상방으로 이동(회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피가압부(60)는 커버 전방 벽부(42)의 후방면에 맞닿으면, 로크 플레이트(6)가 회전 방지된다. 따라서, 조작 플레이트(5)는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어, 파지부(21)를 전후 방향으로부터 끼움 지지(파지)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가압면(52a)이 기울어져 피가압부(60)의 좌측 단부만이 가압되면(이하, 「편측 접촉」이라고 함), 좌측의 갈고리부(70)는 충분히 회동하지만, 우측의 갈고리부(70)는 회동량이 적어 피결합부(16)와의 걸림 결합이 해제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 경우, 실시 형태에 따르면, 조작면(53a)의 중앙부에 손가락을 대도록, 바꾸어 말하면, 조작면(53a)의 중앙부를 압박하도록 유도되어 있으므로, 편측 접촉할 가능성이 적다. 따라서, 좌우 양측의 갈고리부(70)와 피결합부(16)의 걸림 결합은 확실하게 해제된다.
이어서, 파지부(21)를 파지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손을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면, 도 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 부재(2)의 전단측이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다. 그리고, 계속해서 손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덮개 부재(2)는 후방측의 개폐 장치(3)에 있어서의 피결합부(16)의 막대부(16a)를 중심으로 회동하고, 상자 본체(1)의 상부 개구(10)가 개방된다.
이상이 덮개 부재(2)의 개방 조작 방법이다. 또한, 전방측의 파지부(21)와 후방측의 파지부(21)에 대하여, 상기 조작을 동시에 행하면, 전후 양측에 설치된 로크 기구(4)의 로크가 해제되어, 상자 본체(1)로부터 덮개 부재(2)를 떼어낼 수 있다.
이어서, 조작 플레이트(5)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플레이트(5)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 형상의 본체부(50)와, 본체부(50)의 하면의 중앙 근방에서 전후로 연장되는 조작부용 리브(51)와, 본체부(50)의 전단부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고, 전방면이 가압면(52a)을 구성하는 전방벽(52)과, 본체부(50)의 후단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고, 후방면이 조작면(53a)을 구성하는 후방벽(53)과, 후방벽(53)의 상단부면으로부터 비스듬히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54)와, 본체부(50)의 후방측의 코너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코너부(55)와, 본체부(50)에 좌우의 단부 에지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벽(56)을 구비하고 있다.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50)의 상면의 전방 에지측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상방 미끄럼 이동부(50a)가 형성되어 있다.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용 리브(51)의 하면에는 조작부용 리브(51)보다도 폭이 좁게 형성된 하방 미끄럼 이동부(51a)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 미끄럼 이동부(50a)는 커버 상방 벽부(41)의 하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맞닿아 있다. 또한, 하방 미끄럼 이동부(51a)는 조작 플레이트 수용부(20)의 저면(25)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맞닿아 있다. 그리고, 이 상방 미끄럼 이동부(50a)와 하방 미끄럼 이동부(51a)에 의하면, 조작 플레이트(5)의 상하 이동이 억제된다. 또한, 본체부(50)의 상면 및 조작부용 리브(51)의 하면이 맞닿는 경우보다도 접촉 면적을 줄일 수 있고, 조작 플레이트(5)의 슬라이드를 매끄럽게 할 수 있다.
도 10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벽(52)은 좌우 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되고, 가압면(52a)이 평탄한 면이 되어 있다.
후방벽(53)은 만곡되어 있고 중앙부가 전방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 또한, 연장부(54)도 후방벽(53)에 대응하도록 만곡되어 있고 중앙부가 전방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플레이트 수용부(20)의 후방측면(26)과 조작 플레이트(5)의 간극 S2는 좌우측보다도 중앙부가 가장 커지고, 중앙부 근처에 손가락을 삽입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 결과, 조작면(53a)의 중앙부에 손가락을 대는 확률이 증가하여, 조작 플레이트(5)에 의한 피가압부(60)로의 편측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부(54)는 조작면(53a)의 상단 에지로부터 상측 후방으로 비스듬히 연장되어 있다.
이 연장부에 의하면, 도 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지부(21)를 파지하여 덮개 부재(2)의 개방 조작을 행하고 있는 경우, 손가락으로부터 조작면(53a)이 미끄러 떨어졌다고 해도, 손가락에 연장부(54)가 걸린다. 따라서, 덮개 부재(2)의 개방 조작을 행할 때의 조작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덮개 부재(2)가 폐쇄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가 잘못하여 연장부(54)에 손가락을 걸어 들어올린다는 조작을 행해도, 연장부(54)가 경사져 있으므로, 손가락이 빠지기 쉽게 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 플레이트(5)에 필요 이상의 하중이 작용하여 파손된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측벽(56)은 전방벽(52) 및 후방벽(53)보다도 상하 방향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벽(56)의 상면에는 상방 미끄럼 이동부(50a)가 형성되고, 측벽(56)의 하면에는 하방 미끄럼 이동부(51a)가 형성되어 있다.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측벽(56)은 커버 부재(40)에 형성된 가이드부(49) 내에 삽입되어 있다.
측벽(56)의 상방 미끄럼 이동부(50a)는 가이드부(49)의 상벽[커버 상방 벽부(41)]의 하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맞닿아 있다. 측벽(56)의 하방 미끄럼 이동부(51a)는 가이드부(49)의 하벽[내측 리브(48)]의 상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맞닿아 있다.
또한, 측벽(56)의 외면(56a)에는 상하 리브(47)로부터 가이드부(49) 내측으로 돌출되는 가로 미끄럼 이동부(49a)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맞닿아 있다.
또한, 가로 미끄럼 이동부(49a)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시 측벽(56)의 외면(56a)에 맞닿아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조작 플레이트(5)의 측벽(56)과 가이드부(49)의 접촉 면적을 줄일 수 있고, 조작 플레이트(5)의 슬라이드를 매끄럽게 할 수 있다.
또한, 가로 미끄럼 이동부(49a)에 의하면, 조작 플레이트(5)의 가압면(52a)을 피가압부(60)와 평행하게 보유 지지할 수 있고, 조작 플레이트(5)의 편측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좌우 양측의 갈고리부(70)와 피결합부(16)의 걸림 결합이 확실하게 해제된다.
이상, 실시 형태에 따르면, 파지용 오목부(42a)의 저벽(42a1)에 손가락을 붙이고 덮개 부재(2)의 일단측 부분(전방측 부분 또는 후방측 부분)을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으므로, 개폐 조작 시의 파지를 행하기 쉽고, 덮개 부재(2)의 개폐 조작성이 우수하다.
또한, 운반 시 등에 보냉 상자(100)의 전방측에 다른 보냉 상자나 다른 짐이 간극 없이 나열되고, 보냉 상자(100)의 전방측면과 다른 보냉 상자 등 사이에 손가락을 삽입하는 간극이 없는 경우라도, 파지용 오목부(42a)의 저벽(42a1)과 다른 보냉 상자의 측면 사이에 스페이스가 형성된다. 따라서, 그 스페이스에 손가락을 상방으로부터 삽입하여 덮개 부재(2)의 전방측 부분을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으므로, 덮개 부재(2)의 개폐 조작성이 우수하다.
또한, 파지용 오목부(42a)는 덮개 부재(2)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단 개구가 하단 개구에 비해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파지용 오목부(42a)에 손가락을 붙이기 쉽고, 또한 파지용 오목부(42a)에 손가락을 삽입하기 쉽다. 따라서, 덮개 부재(2)를 파지하기 쉽고, 덮개 부재(2)의 개폐 조작성이 우수하다. 또한, 파지용 오목부(42a)의 테이퍼상의 좌측벽(42a3)이나 우측벽(42a4)을 이용하여, 좌측 경사 상방으로부터 파지용 오목부(42a)에 손을 삽입하거나, 우측 경사 상방으로부터 파지용 오목부(42a)에 손을 삽입하거나 할 수도 있다.
또한, 파지용 오목부(42a) 내에는 오목면(42a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파지용 오목부(42a)[저벽(42a1)]에 손가락을 붙이기 쉽고, 또한 파지용 오목부(42a)에 손가락을 삽입하기 쉽다. 따라서, 덮개 부재(2)를 파지하기 쉽고, 덮개 부재(2)의 개폐 조작성이 우수하다.
또한, 파지용 오목부(42a)는 덮개 부재(2)로부터 상자 본체(1)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파지용 오목부(42a)에 손가락을 더 붙이기 쉽고, 또한 파지용 오목부(42a)에 손가락을 더 삽입하기 쉽다. 따라서, 덮개 부재(2)를 파지하기 쉽고, 덮개 부재(2)의 개폐 조작성이 우수하다.
또한, 덮개 부재(2)의 일측(예를 들어, 전방면측)에 가압됨으로써 로크 기구(4)의 로크를 해제하는 조작 플레이트(5)를 구비하고, 파지용 오목부(42a)의 저벽(42a1)[저면, 전방 파지면(22)]과 조작 플레이트(5)의 조작면(53a)[후방 파지면(23)]의 2개의 면에 손가락을 댐으로써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21)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조작 플레이트(5)를 가압하면서 파지용 오목부(42a)의 저벽(42a1)을 파지하여 들어올린다는 개방 조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덮개 부재(2)를 파지하기 쉽고, 덮개 부재(2)의 개폐 조작성이 우수하다. 또한, 파지부(21)를 파지함으로써, 로크 기구(4)의 로크가 해제된다. 즉, 사용자가 손가락을 조작 플레이트(5)의 조작면(53a)에 대고, 또한 손가락을 구부려 파지부(21)를 파지하려고 하면, 조작면(53a)이 손가락에 가압되어, 로크 기구(4)의 로크가 해제된다. 따라서, 편리성이 높고, 덮개 부재(2)의 개폐 조작성이 우수하다.
또한, 덮개 부재(2)의 측면[파지용 오목부(42a)의 저벽(42a1)]에 손가락을 대고 덮개 부재(2)의 측면을 파지하고 있기 때문에, 덮개 부재(2)를 들어올릴 때에 조작 플레이트(5)에 작용하는 하중이 저감하여, 조작 플레이트(5)의 변형ㆍ파손이 억제된다.
또한, 상방 파지면(24)[커버 상방 벽부(4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확실하게 파지할 수 있어, 덮개 부재(2)의 개방 조작이 안정된다.
또한, 전방 파지면(22) 및 상방 파지면(24)은 커버 부재(40)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덮개 부재(2)의 제조의 복잡화를 초래할 우려가 없다.
또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조작 플레이트(5)가 조작 플레이트 수용부(20)의 저면을 따라 이동한다. 바꾸어 말하면, 종래 기술과 같이, 조작부의 하면에 손가락을 걸어 들어 올리도록 되어 있지 않다.
이로 인해, 조작 플레이트(5)의 하방에 손가락을 삽입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형성하는 필요가 없고, 조작 플레이트 수용부(20)를 얕게 설계할 수 있는 한편, 조작 플레이트 수용부(20)의 하방에 위치하는 덮개 부재(2)의 두께(도 7의 L2 참조)를 크게 설계할 수 있다.
이 결과,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조작 플레이트 수용부(20)의 저벽을 구성하는 덮개 부재(2)의 내부에 단열재(33)를 설치하거나, 혹은 외벽(31)과 내벽(32) 사이를 공동으로 하지 않고 외벽(31), 내벽(32)을 형성하는, 예를 들어 수지 재료로 충전하여 중실로 형성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져, 단열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덮개 부재(2)에 있어서 조작 플레이트 수용부(20)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은 덮개 부재(2)에 있어서 가장 박육이 되어 있는 부분이다.
이로 인해,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조작 플레이트 수용부(20)의 저벽을 구성하는 덮개 부재(2)의 내부에 단열재(33)를 설치하면, 덮개 부재(2)의 단열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작 플레이트 수용부(20)의 저벽을 구성하는 덮개 부재(2)의 내부에 단열재(33)를 설치함으로써, 단열재(33)가 상부 개구(10)의 전체를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수용 공간(11) 내의 냉기가 덮개 부재(2)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기 어렵게 되어 있고, 덮개 부재(2)의 단열성이 비약적으로 높다.
[제2 실시 형태]
이어서,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의 보냉 상자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가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은 파지용 오목부(42a)의 하방에 조작부로서의 조작 부재(42f)를 배치한 점에 있다.
파지용 오목부(42a)의 저벽(42a1)은 하단부가 상방으로 오목 형상으로 잘라내어진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잘라내어진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조작 부재(42f)가 배치되어 있다. 즉, 조작 부재(42f)는 파지용 오목부(42a)의 저벽(42a1)에 연속해서 설치되어 있다.
조작 부재(42f)는 절결부에 꼭 끼이게 배치되는 가로로 긴 형상(정면에서 볼 때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 부재(42f)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볼 때, 하부가 커버 부재(40)의 좌측 단부면(42b) 및 우측 단부면(42c)의 하단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조작 부재(42f)의 하부는 상자 본체(1)의 하방 오목부(15)의 중앙 오목부(15a) 내에 수용되어 있다. 즉,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파지용 오목부(42a)의 스페이스 내에 조작 부재(42f)를 배치한 구성이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자 본체(1)의 구성을 변경하지 않고, 제1 실시 형태와 제2 실시 형태에서 상자 본체(1)를 공통의 부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조작 부재(42f)는,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을 향해 만곡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 손가락 걸이부(42f1)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 부재(42f)는 로크 플레이트(6)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로크 플레이트(6)는 축 부재(45)에 관통되고, 축 부재(45) 주위로 회동 가능하다.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플레이트(6)에는 갈고리부(70)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갈고리부(70)는 압박 부재(7)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회동)하도록 상시 압박되고, 피결합부(16)의 막대부(16a)에 걸림 결합되어 있다. 갈고리부(70)는 압박 부재(7)의 압박력보다도 큰 하중으로 조작 부재(42f)가 후방으로 가압 조작됨으로써, 피결합부(16)의 막대부(16a)에 대한 걸림 결합을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 실시 형태에 따르면, 파지용 오목부(42a)의 저벽(42a1)에 손가락을 붙이고 덮개 부재(2)의 일단측 부분(전방측 부분 또는 후방측 부분)을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으므로, 개폐 조작 시의 파지를 행하기 쉽고, 덮개 부재(2)의 개폐 조작성이 우수하다.
또한, 운반 시 등에 보냉 상자(100A)의 전방측에 다른 보냉 상자나 다른 짐이 간극 없이 나열되고, 보냉 상자(100A)의 전방측면과 다른 보냉 상자 등 사이에 손가락을 삽입하는 간극이 없는 경우라도, 파지용 오목부(42a)의 저벽(42a1)과 다른 보냉 상자의 측면 사이에 스페이스가 형성된다. 따라서, 그 스페이스에 손가락을 상방으로부터 삽입하여 덮개 부재(2)의 전방측 부분을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으므로, 덮개 부재(2)의 개폐 조작성이 우수하다.
또한, 파지용 오목부(42a)는 덮개 부재(2)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단 개구가 하단 개구에 비해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파지용 오목부(42a)에 손가락을 붙이기 쉽고, 또한 파지용 오목부(42a)에 손가락을 삽입하기 쉽다. 따라서, 덮개 부재(2)를 파지하기 쉽고, 덮개 부재(2)의 개폐 조작성이 우수하다. 또한, 파지용 오목부(42a)의 테이퍼상의 좌측벽(42a3)이나 우측벽(42a4)을 이용하여, 좌측 경사 상방으로부터 파지용 오목부(42a)에 손을 삽입하거나, 우측 경사 상방으로부터 파지용 오목부(42a)에 손을 삽입하거나 할 수도 있다.
또한, 파지용 오목부(42a)의 하부에 연속해서 조작 부재(42f)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손가락을 파지용 오목부(42a)의 저벽(42a1)에 대고, 또한 손가락을 구부려 덮개 부재(2)의 전방측면을 파지하려고 하면, 조작 부재(42f)가 손가락에 가압되어, 개폐 장치(3)의 로크 기구(4)의 로크가 해제된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르면, 파지용 오목부(42a)를 파지하는 동작에 로크를 해제하는 동작이 포함되기 때문에, 조작성이 양호하고 편리성이 높다.
이상,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파지용 오목부(42a)의 좌측벽(42a3)과 우측벽(42a4)이 하단으로부터 상단을 향해 좌우 방향으로 점차 폭이 넓어지는 테이퍼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좌측벽(42a3) 및 우측벽(42a4)의 편측만 경사를 갖게 해도 되고, 경사를 갖게 하지 않고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폭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원호상이나 단상의 경사면으로 해도 된다.
또한, 파지용 오목부(42a)는 덮개 부재(2)의 전방면측 및 후방면측의 측면에 각각 하나 형성한 것을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전방면측 및 후방면측의 측면에 복수개씩 설치해도 된다.
또한, 파지용 오목부(42a)는 상단 개구 및 하단 개구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단 개구가 확보된 것이면 된다.
또한, 파지용 오목부(42a)는 조작 플레이트(5)나 조작 부재(42f)와 세트로 설치할 필요는 없고, 단독으로 설치해도 된다.
또한, 파지용 오목부(42a)의 저벽(42a1)에 미끄럼 방지용으로서, 리브나 요철부 등을 설치하거나, 미끄럼 방지 부재를 배치하거나 해도 된다.
또한, 파지용 오목부(42a)의 저벽(42a1)을, 연직 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갖게 하고, 파지성을 높여도 된다.
100 : 보냉 상자
1 : 상자 본체
2 : 덮개 부재
4 : 로크 기구
5 : 조작 플레이트(조작부)
10 : 상부 개구
21 : 파지부
22 : 전방 파지부
23 : 후방 파지부
42a : 파지용 오목부
42a1 : 저벽(저면)
42a5 : 오목면(손가락 걸이부)
53a : 조작면
100, 100A : 보냉 상자

Claims (8)

  1. 상면이 개구된 상자 본체와,
    상기 상자 본체의 상기 개구를 폐색하고, 상기 상자 본체에 대하여 개폐 가능한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 형상의 덮개 부재를 구비하는 보냉 상자이며,
    상기 덮개 부재는,
    상기 덮개 부재의 상기 상자 본체에 대한 폐쇄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조작 플레이트와,
    상기 덮개 부재의 상면보다도 하방에 위치하여 상기 조작 플레이트를 수용하는 조작 플레이트 수용부와,
    상기 덮개 부재의 긴 쪽 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상기 긴 쪽 방향과 직교하는 상하 방향 중앙부가 축 부재에 의해 관통되고, 상기 축 부재 주위로 회동 가능하며, 상기 상자 본체에 대한 상기 덮개 부재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는 로크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 플레이트는 상기 축 부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피가압부 및 상기 축 부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갈고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 플레이트는 상기 조작 플레이트 수용부 내에서 상기 덮개 부재의 외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여 상기 폐쇄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덮개 부재의 긴 쪽 방향 일측면, 또는 상기 덮개 부재의 긴 쪽 방향 일측면 및 그 반대측의 타측면의 양측면에 파지용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파지용 오목부는 상기 덮개 부재의 평면에서 볼 때 오목 형상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용 오목부는 상기 덮개 부재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부측이 하부측에 비해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상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용 오목부 내에는 손가락 걸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상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용 오목부는 상기 덮개 부재의 일단측의 측면으로부터 이것에 대응하는 상기 상자 본체의 일단측의 측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상자.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 본체에, 상기 파지용 오목부가 수납되는 중앙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상자.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플레이트는 상기 덮개 부재의 긴 쪽 방향 일측면측의 상면, 또는 긴 쪽 방향 일측면측 및 그 반대의 타측면측의 양측면의 상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상자.
  8. 삭제
KR1020170113785A 2016-09-09 2017-09-06 보냉 상자 KR1024794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77097 2016-09-09
JP2016177097A JP6654988B2 (ja) 2016-09-09 2016-09-09 保冷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945A KR20180028945A (ko) 2018-03-19
KR102479407B1 true KR102479407B1 (ko) 2022-12-21

Family

ID=61576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785A KR102479407B1 (ko) 2016-09-09 2017-09-06 보냉 상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54988B2 (ko)
KR (1) KR102479407B1 (ko)
CN (1) CN107804580B (ko)
TW (1) TWI6563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200064B4 (de) 2019-01-04 2020-11-05 Dometic Sweden Ab Mobile Kühlbox mit Verriegelungsgrifföffnung
DE102019200065B4 (de) 2019-01-04 2020-11-12 Dometic Sweden Ab Mobile Kühlbox mit Griffmodul
DE102019200070B4 (de) * 2019-01-04 2022-06-09 Dometic Sweden Ab Mobile Kühlbox mit Scharniermodul
USD920743S1 (en) 2019-01-04 2021-06-01 Dometic Sweden Ab Cooler
DE102019200067B4 (de) 2019-01-04 2020-11-05 Dometic Sweden Ab Mobile Kühlbox mit Eisbereiter
DE102019200068B4 (de) 2019-01-04 2021-01-28 Dometic Sweden Ab Mobile Kühlbox mit Luftdurchlässen
JP7266494B2 (ja) * 2019-08-13 2023-04-28 株式会社シマノ クーラーボックス
JP7330062B2 (ja) * 2019-10-24 2023-08-21 株式会社シマノ クーラーボックス
USD935280S1 (en) 2019-11-04 2021-11-09 Dometic Sweden Ab Cover for a cooler
USD953814S1 (en) 2019-11-04 2022-06-07 Dometic Sweden Ab Cover for a cool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8035A (ja) 2003-02-06 2004-08-26 Nifco Inc 保冷箱のラッチ装置
JP2007331839A (ja) * 2006-05-15 2007-12-27 Shimano Inc 保冷箱の開閉装置
US20140054298A1 (en) * 2010-03-26 2014-02-27 Hyung Keun Hwang Ice ches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58074U (ko) * 1980-09-19 1982-04-06
JPH0545662Y2 (ko) * 1985-08-12 1993-11-24
US5718350A (en) * 1995-06-07 1998-02-17 Rubbermaid Specialty Products Inc. Storage container
JP3342635B2 (ja) * 1996-07-25 2002-11-11 ダイワ精工株式会社 保冷箱
US5904269A (en) * 1996-07-30 1999-05-18 Rubbermaid Incorporated Storage container
US5785179A (en) * 1997-06-04 1998-07-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ntainer for wet wipes having an improved closure mechanism
JPH11227838A (ja) 1998-02-09 1999-08-24 Shimano Inc 保冷箱
US20040178208A1 (en) * 2003-03-12 2004-09-16 Minh Leba Ice chest
JP4312479B2 (ja) * 2003-03-13 2009-08-12 三甲株式会社 角形運搬容器の容器本体と蓋体との嵌合構造
TWM350006U (en) * 2008-09-04 2009-02-01 Tfs United Technology Corp Container with heat insulation and cold storage functions
EP3176107A4 (en) * 2014-07-30 2018-03-21 Iwasaki Industry Inc. Storage container
US9393685B2 (en) * 2014-11-24 2016-07-19 A-Tina Tools Co., Ltd. Toolbox with a stacking function
CN205060242U (zh) * 2015-06-19 2016-03-02 浙江金华宾利工艺品有限公司 一种具有防裂装置的木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8035A (ja) 2003-02-06 2004-08-26 Nifco Inc 保冷箱のラッチ装置
JP2007331839A (ja) * 2006-05-15 2007-12-27 Shimano Inc 保冷箱の開閉装置
US20140054298A1 (en) * 2010-03-26 2014-02-27 Hyung Keun Hwang Ice che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039564A (ja) 2018-03-15
TWI656312B (zh) 2019-04-11
KR20180028945A (ko) 2018-03-19
CN107804580B (zh) 2020-04-03
TW201812232A (zh) 2018-04-01
CN107804580A (zh) 2018-03-16
JP6654988B2 (ja) 202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9407B1 (ko) 보냉 상자
US20120152944A1 (en) Sealable storage container
US8876177B2 (en) Handle system
KR102408669B1 (ko) 보냉 상자
KR200443388Y1 (ko) 배터리 손잡이
JP6697988B2 (ja) 保冷箱
KR101013114B1 (ko) 수납 용기
JP6654989B2 (ja) 保冷箱の開閉装置
JP6668204B2 (ja) 保冷箱
JP2020070094A (ja) 蓋体の開閉及び係止構造
JP2005076217A (ja) トランクリッド開放レバーの保持構造
JP6641499B2 (ja) 冷蔵庫
JP4956050B2 (ja) 収納容器
JP7221660B2 (ja) 箱型荷台用ドアストッパー
JP7320838B2 (ja) ハンドル付き収納箱
CN112389854B (zh) 冷藏箱
JP4355139B2 (ja) 収納容器
JP3137174U (ja) 縦型スーツケース
JP4348070B2 (ja) 収納容器
JP2018042777A (ja) 取手付き収納ケース
JPH046719Y2 (ko)
CN114097739A (zh) 冷藏箱
JP2001327800A (ja) アイロン収納ケース
TWM528286U (zh) 收納箱
JP2009006794A (ja) 車両の荷台後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