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241B1 - 일회용 기저귀 - Google Patents

일회용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9241B1
KR102479241B1 KR1020177005158A KR20177005158A KR102479241B1 KR 102479241 B1 KR102479241 B1 KR 102479241B1 KR 1020177005158 A KR1020177005158 A KR 1020177005158A KR 20177005158 A KR20177005158 A KR 20177005158A KR 102479241 B1 KR102479241 B1 KR 102479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ember
diaper
sheet
wais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5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6041A (ko
Inventor
도모미 이소가이
마키 미야케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36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6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the topsheet and the back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82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86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 bonding
    • A61F2013/15878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 bonding by thermal bon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82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86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 bonding
    • A61F2013/159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 bonding via adhes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2013/49087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having breakable lateral stitches or panels

Abstract

제1 몸통 둘레부와 가랑이부와 제2 몸통 둘레부를 세로 방향으로 나란히 갖고, 제1 시트 부재와 제2 시트 부재가 중첩된 사이드 플랩과, 상기 사이드 플랩의 상기 제2 몸통 둘레부측에 접합된 패스닝 테이프와, 상기 사이드 플랩의 상기 제2 몸통 둘레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시트 부재 및 상기 제2 시트 부재를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이 늘어서는 절취선을 구비하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제1 시트 부재는, 복수의 상기 구멍에 대응한 복수의 구멍 가장자리부를 갖고, 각 구멍 가장자리부는, 각 구멍의 외주를 따르고 있으며, 중첩된 상기 제1 시트 부재와 상기 제2 시트 부재를 접합하는 접합부와, 복수의 상기 구멍 가장자리부 중 적어도 하나의 구멍 가장자리부가 중복되지 않는다.

Description

일회용 기저귀{DISPOSABLE DIAPER}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오픈 타입의 일회용 기저귀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오픈 타입의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사이드 플랩에 패스닝 테이프가 마련되어 있고, 전방부(배측의 부위, 앞 몸통 둘레부라고도 말한다)에는 패스닝 테이프와 결합되는 타겟 테이프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오픈 타입의 일회용 기저귀는, 착용자가 잠든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착용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특히 신생아나 유유아(乳幼兒)에게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3-212212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38702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13-230256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58573호 공보 특허문헌 5: 국제 공개 제2013/077360호
오픈 타입의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사용 후의 기저귀를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벗길 때에, 패스닝 테이프를 떼지 않고 기저귀의 외장부를 찢음으로써 벗기기 위한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절취선은, 복수의 구멍이 늘어선 재봉선 등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재봉선을 따라 기저귀를 찢음으로써, 기저귀 내부에 배설된 대소변 등을 외부로 새게 하지 않고 간단히 벗길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재봉선이 눈에 띄면, 기저귀의 사용자 등에 대해, 기저귀에 구멍이 뚫려 있는 것과 같은 인상을 주거나, 기저귀의 강도가 약해져 있는 것과 같은 인상을 주거나 함으로써, 안심하고 기저귀를 사용하는 것의 방해가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일회용 기저귀에 형성된 절취선을 눈에 띄기 어렵게 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된 발명은,
제1 몸통 둘레부와 가랑이부와 제2 몸통 둘레부를 세로 방향으로 나란히 갖고, 제1 시트 부재와 제2 시트 부재가 중첩된 사이드 플랩과, 상기 사이드 플랩의 상기 제2 몸통 둘레부측에 접합된 패스닝 테이프와, 상기 사이드 플랩의 상기 제2 몸통 둘레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시트 부재 및 상기 제2 시트 부재를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이 늘어서는 절취선을 구비하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제1 시트 부재는, 복수의 상기 구멍에 대응한 복수의 구멍 가장자리부를 갖고, 각 구멍 가장자리부는, 각 구멍의 외주를 따르고 있으며, 중첩된 상기 제1 시트 부재와 상기 제2 시트 부재를 접합하는 접합부와, 복수의 상기 구멍 가장자리부 중 적어도 하나의 구멍 가장자리부가 중복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명백히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절취선을 갖는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절취선을 눈에 띄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도 1은 기저귀(1)의 전개 평면도이다.
도 2A∼도 2C는 기저귀(1)의 각부의 분해 설명도이다. 도 2A는 전방부(3)의 분해 설명도이다. 도 2B는 가랑이부(5)의 분해 설명도이다. 도 2C는 후방부(7)의 분해 설명도이다.
도 3은 기저귀(1)를 저체중아에게 착용시켰을 때의 모습에 대해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기저귀(1)를 벗길 때의 모습에 대해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기저귀(1)의 절취선(17)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A의 후방부(7b)의 영역에 대해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B-B 단면에 대해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도 8B는 접합부(50)의 그 외의 패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서 가로 방향의 힘이 작용한 경우의 구멍(17h)의 모습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접합 대상 영역(H)과 구멍 가장자리부(17he)가 중복되는 경우의 예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제1 시트 부재와 제2 시트 부재 사이에서 구멍 가장자리부(17he) 및 접합부(50)가 중복되어 있는 경우의 예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명백해진다.
제1 몸통 둘레부와 가랑이부와 제2 몸통 둘레부를 세로 방향으로 나란히 갖고, 제1 시트 부재와 제2 시트 부재가 중첩된 사이드 플랩과, 상기 사이드 플랩의 상기 제2 몸통 둘레부측에 접합된 패스닝 테이프와, 상기 사이드 플랩의 상기 제2 몸통 둘레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시트 부재 및 상기 제2 시트 부재를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이 늘어서는 절취선을 구비하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제1 시트 부재는, 복수의 상기 구멍에 대응한 복수의 구멍 가장자리부를 갖고, 각 구멍 가장자리부는, 각 구멍의 외주를 따르고 있으며, 중첩된 상기 제1 시트 부재와 상기 제2 시트 부재를 접합하는 접합부와, 복수의 상기 구멍 가장자리부 중 적어도 하나의 구멍 가장자리부가 중복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에 의하면, 절취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구멍이 뚫리기 어려워져, 각각의 구멍이 시인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기저귀에 형성되어 있는 절취선을 눈에 띄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제2 시트 부재와는 반대측의 면에서 상기 제1 시트 부재와 중첩되는 제3 시트 부재를 갖고, 복수의 상기 구멍 가장자리부 중 적어도 하나의 구멍 가장자리부는, 상기 제1 시트 부재와 상기 제2 시트 부재를 접합하는 접합부 및 상기 제1 시트 부재와 상기 제3 시트 부재를 접합하는 접합부와 중복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에 의하면, 3장의 시트 부재가 중첩된 부분에 형성되는 절취선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재를 가로 방향으로 인장하는 힘이 작용한 경우라도, 절취선을 구성하는 구멍의 확대가 시인하기 어려워진다. 이에 의해, 절취선을 눈에 띄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제2 시트 부재와는 반대측의 면에서 상기 제1 시트 부재와 중첩되는 제3 시트 부재를 갖고, 복수의 상기 구멍 가장자리부 중 적어도 하나의 구멍 가장자리부는, 상기 제1 시트 부재와 상기 제2 시트 부재를 접합하는 접합부와 중복되고, 상기 제1 시트 부재와 상기 제3 시트 부재를 접합하는 접합부와 중복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에 의하면, 3장의 시트 부재가 중첩된 부분에 형성되는 절취선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재를 가로 방향으로 인장하는 힘이 작용한 경우에, 제2 시트 부재측에서 봤을 때에는 절취선을 구성하는 구멍의 확대가 시인하기 쉬워지고, 제3 시트 부재측에서 봤을 때에는 구멍의 확대가 시인하기 어려워진다. 이에 의해, 기저귀의 한쪽 면(외측)으로부터는 보이기 어렵고, 다른쪽 면(내측)으로부터는 보이기 쉬운 절취선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제1 시트 부재 및 상기 제3 시트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은, 부직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에 의하면, 부직포의 표면에 배치되어 있는 미세한 섬유에 의해 구멍의 외측 가장자리(에지)를 시인하기 어렵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절취선을 보다 눈에 띄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접합부는, 상기 제1 시트 부재 및 상기 제2 시트 부재 중 적어도 한쪽에 핫멜트 접착제를 나선형으로 도포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에 의하면, 시트 부재를 접합하는 핫멜트 접착제의 양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시트 부재에 도포되는 핫멜트 접착제의 단위 중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상기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시트 부재가 딱딱해져 버리는 것이 억제되어 기저귀(1)의 촉감을 부드럽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핫멜트 접착제가 띠 형상으로 도포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구멍 가장자리부와 접합부를 중복하기 어렵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절취선을 보다 눈에 띄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세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패스닝 테이프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과 대응하는 영역 중에서 상기 절취선이 연장되는 방향의 단위 길이당 차지하는 상기 구멍의 비율은, 상기 세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패스닝 테이프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과 대응하는 영역 중에서 상기 절취선이 연장되는 방향의 단위 길이당 차지하는 상기 구멍의 비율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에 의하면, 기저귀를 착용시킬 때에 패스닝 테이프가 가로 방향으로 인장된 경우라도 사이드 플랩이 잘못해서 잘라내어져 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기저귀(1)를 탈의시킬 때에는, 절취선을 따라 간단히 사이드 플랩을 잘라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패스닝 테이프를, 각각, 상기 제1 몸통 둘레부에 결합시킴으로써, 하나의 몸통 둘레 개구부와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취선에 포함되는 복수의 상기 구멍은, 상기 몸통 둘레 개구부가 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가 되는 부분으로 연장된 루트 상에 늘어서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에 의하면, 기저귀의 착용자가 엎드린 자세(포지셔닝 자세)를 취하고 있는 경우라도, 패스닝 테이프가 접속된 부분을 절취선을 따라 잘라냄으로써, 착용자의 신체를 가능한 한 움직이지 않고 기저귀를 탈의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절취선은, 상기 몸통 둘레 개구부가 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형 부분과, 상기 직선형 부분보다 상기 세로 방향의 내측의 위치에서, 상기 가로 방향의 외측으로 만곡된 곡선형 부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에 의하면, 착용자가 포지셔닝 자세를 취하는 등에 의해 다리가 M자형으로 구부러진 상태여도, 간단히 패스닝 테이프의 부분을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사이드 플랩의 상기 제1 몸통 둘레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가로 방향의 위치에 대해 상기 절취선과 동일한 위치에, 상기 제1 시트 부재 및 상기 제2 시트 부재를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이 늘어서는 절단선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에 의하면, 기저귀 착용 시에 있어서, 절단선을 따라 기저귀의 배측을 찢을 수 있다. 그리고, 찢어진 부분을 젖혀 접음으로써, 기저귀를 착용한 상태인 채로, 착용자의 복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특히, 착용자가 저체중아이며, 광선 치료 등을 실시할 필요가 있는 경우 등에, 저체중아의 신체에 대한 접촉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노출시킨 복부의 넓은 범위에 광선을 조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형태===
<일회용 기저귀(1)의 기본 구성>
본 실시형태의 일회용 기저귀(1)(이하, 간단히 기저귀(1)라고도 부른다)는, 주로 신생아나 유유아를 착용 대상으로 한 일회용 기저귀이며, 체중이 3000 g 이하의 저체중아, 특히 체중이 2500 g 미만의 저출생 체중아에게 적합하게 이용된다. 한편, 저체중아에는, 저출생 체중아(체중 2500 g 미만)뿐만이 아니라, 극저출생 체중아용(체중 1500 g 미만)이나 초저출생 체중아용(체중 1000 g 미만)도 포함된다.
도 1은 기저귀(1)의 전개 평면도이다. 도 2A∼도 2C는 기저귀(1)의 각부의 분해 설명도이다. 도 2A는 전방부(3)의 분해 설명도이다. 도 2B는 가랑이부(5)의 분해 설명도이다. 도 2C는 후방부(7)의 분해 설명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는, 소위 오픈 타입의 일회용 기저귀이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통 둘레부(3)와, 가랑이부(5)와, 제2 몸통 둘레부(7)를 갖는다. 제1 몸통 둘레부(3)는, 착용자의 전방부(배측, 앞 몸통 둘레)에 위치하게 되는 부분이다. 또한, 제2 몸통 둘레부(7)는, 착용자의 후방부(등측, 뒤 몸통 둘레)에 위치하게 되는 부분이다. 단, 제1 몸통 둘레부(3)를 착용자의 등측으로, 제2 몸통 둘레부(7)를 착용자의 배측으로 하여 기저귀(1)를 착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적으로 「제1 몸통 둘레부(3)」를 「전방부(3)」라고도 부르고, 「제2 몸통 둘레부(7)」를 「후방부(7)」라고도 부른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방향을 정의한다. 즉, 전방부(3)로부터 후방부(7)로 향하는 방향을 「세로 방향」으로 하고, 세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가로 방향」으로 한다. 한편, 세로 방향은 제품 길이 방향을 따른 방향이고, 가로 방향은 제품 폭 방향을 따른 방향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두께 방향」으로 하고, 착용자의 피부 쪽을 「피부측」으로 하며, 그 반대측을 「비피부측」으로 한다.
기저귀(1)는, 중앙 띠 형상 영역(12)과, 사이드 플랩(14)과, 레그 사이드 개더(16)를 갖는다. 한 쌍의 사이드 플랩(14)에는, 패스닝 테이프(30)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이 패스닝 테이프를, 각각, 제1 몸통 둘레부에 결합시킴으로써, 하나의 몸통 둘레 개구부와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가 형성된다.
중앙 띠 형상 영역(12)은, 전방부(3), 가랑이부(5) 및 후방부(7)에 의해 구성된 가로 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띠 형상의 영역이다(도 1 참조). 중앙 띠 형상 영역(12)은, 착용자에 의해 배설된 소변 등의 액체를 흡수하여 유지하는 부위이다. 중앙 띠 형상 영역(12)은, 액 유지성의 흡수체(21)를 포함하는 세로로 긴 형상(세로 방향을 따른 형상)을 갖는다. 중앙 띠 형상 영역(12)은, 주로, 흡수체(21), 톱 시트(22), 누설 방지 시트(23) 및 백 시트(24)를 갖는다(도 2A∼도 2C 참조).
흡수체(21)는, 소변 등의 배설물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한 액체 흡수성 소재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부재이며, 전방부(3), 가랑이부(5) 및 후방부(7)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도 1의 망점부(網點部)로 표시된 영역은, 흡수체(21)가 차지하는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흡수체(21)는, 세로 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폭이 좁아지는 것과 같은 모래시계 형상을 갖는다. 단, 흡수체(21)의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단순한 직사각형이어도 좋다. 또한, 흡수체(21)는, 적어도 가랑이부(5)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흡수체(21)는, 톱 시트(22) 및 누설 방지 시트(23) 사이에 끼워져 배치되어 있다. 흡수체(21)를 구성하는 액체 흡수성 소재로서는, 예컨대 펄프 섬유 등의 액체 흡수성 섬유나, 고흡수성 폴리머 등의 액체 흡수성 입상물(粒狀物)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액체 흡수성 섬유 및 액체 흡수성 입상물 이외의 액체 흡수성 소재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CL은, 세로 방향에 있어서의 기저귀(1)의 중심을 나타내는 선이다. 기저귀(1)에서는, 착용자의 고간(股間)의 중심부와 가랑이부(5)의 중심부가 일치하도록 가랑이부(5)의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착용자의 고간의 중심부란, 다리가 붙어 있는 부분의 중앙 위치를 말하며, 세로 방향에 있어서 기저귀(1)의 중심 위치(CL)보다 전방부측으로 어긋난 위치가 된다(도 1 참조). 가랑이부(5)의 중심부가 기저귀(1)의 중심 위치(CL)보다 전방부측에 있음으로써, 착용자는 다리를 전측(前側)(배측)으로 움직이기 쉬워지고, 또한, 기저귀(1)의 후방부(7)의 면적을 상대적으로 넓게 함으로써, 착용자의 둔부(臀部)를 확실히 덮을 수 있다.
톱 시트(22)는, 흡수체(21)의 피부측에 배치된 액 투과성의 부재이며, 예컨대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다. 누설 방지 시트(23)는, 흡수체(21)의 비피부측에 배치된 액 불투과성의 부재이며, 예컨대 필름 시트로 구성되어 있다. 누설 방지 시트(23)의 비피부측에는 백 시트(24)가 배치되어 있다(도 2A∼도 2C 참조). 백 시트(24)는, 기저귀(1)의 비피부측의 외장을 구성하는 부재(외장 시트)이며, 예컨대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다.
사이드 플랩(14)은, 중앙 띠 형상 영역(12)의 가로 방향의 양측부에 위치하는 부위이다. 사이드 플랩(14)은, 전방부(3), 가랑이부(5) 및 후방부(7)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도 1 참조). 가랑이부(5)에 있어서의 사이드 플랩(14)의 가로 방향의 길이(폭)는, 전방부(3) 및 후방부(7)에 있어서의 사이드 플랩(14)의 가로 방향의 길이(폭)보다 좁다. 또한, 사이드 플랩(14)의 전방부(3)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의 길이(폭)보다, 사이드 플랩(14)의 후방부(7)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의 길이(폭) 쪽이 길게 되어 있다(도 1 참조). 한 쌍의 사이드 플랩(14)의 가로 방향 양단부측에는, 세로 방향을 따라 신축하는 레그 개더(15)(다리 둘레 신축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 플랩(14)은, 주로, 피부측 시트(26)와 백 시트(24)로 구성되어 있다(도 2A∼도 2C 참조). 피부측 시트(26)는, 전방부(3), 가랑이부(5) 및 후방부(7)에 걸쳐 형성된 피부측의 부재이며, 예컨대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다. 피부측 시트(26)는, 레그 사이드 개더(16)(입체 개더)를 구성하는 부재이기도 하며, 피부측 시트(26)의 외측의 부위(도 1의 파선으로 나타나는 접합부(26A)보다 외측의 부위)가 사이드 플랩(14)을 구성한다. 피부측 시트(26)와 백 시트(24)는, 핫멜트 접착제(이하, 「HMA」라고도 부른다)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 플랩(14)의 일부의 영역에서는, 피부측 시트(26)와 백 시트(24) 사이에 끼워지도록, 누설 방지 시트(23)가 배치되어 있다(도 2A∼도 2C 참조).
사이드 플랩(14)의 피부측 시트(26)와 백 시트(24) 사이에는, 탄성 부재(27)가 배치되어 있다. 탄성 부재(27)는, 세로 방향을 따라 신축하는 실 형상의 부재이며, 기저귀(1)의 착용 시에 있어서, 다리 둘레 개구부에 신축성을 부여하는 부재이다. 즉, 탄성 부재(27)는 기저귀(1)의 다리 둘레부를 착용자의 다리에 맞춰 피트시키는 다리 둘레 탄성 부재이다. 그리고, 탄성 부재(27)가 가랑이부(5)의 피부측 시트(26) 및 백 시트(24)에 신축성을 부여함으로써, 레그 개더(15)가 형성된다. 도 1에서는, 한 쌍의 사이드 플랩(14)의 세로 방향을 따라 각각 2개씩의 탄성 부재(27)가 마련되어 있으나, 탄성 부재(27)의 수나 배치는 이에 한하지 않고 적절히 조정 가능하다. 탄성 부재(27)는, 예컨대 실고무 등에 의해 구성된다.
레그 사이드 개더(16)는, 다리 둘레의 간극으로부터의 액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입체 개더이다. 한 쌍의 레그 사이드 개더(16)는, 전방부(3), 가랑이부(5) 및 후방부(7)에 걸쳐 세로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도 1 참조). 레그 사이드 개더(16)는, 사이드 플랩(14)의 내측에서 중앙 띠 형상 영역(12)의 양 가장자리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레그 사이드 개더(16)는, 주로 피부측 시트(26)의 내측의 부위로 구성되어 있다(도 2 참조). 가랑이부(5)의 피부측 시트(26)의 내측 가장자리는 실고무 등에 의해 신축성을 갖고 있다. 피부측 시트(26)는, 중앙 띠 형상 영역(12)과 사이드 플랩(14) 사이의 접합부(26A)에서 세로 방향을 따라 접합되어 있다(도 1의 파선부). 피부측 시트(26)의 접합부(26A)보다 내측의 영역이, 접합부(26A)를 지점(支點)으로 하여 레그 사이드 개더(16)(입체 개더)를 구성한다.
패스닝 테이프(30)는, 후방부(7)의 사이드 플랩(14)에 부착되어 있다(도 1 참조). 사이드 플랩(14)을 구성하는 피부측 시트(26)와 백 시트(24) 사이에 패스닝 테이프(30)의 일부가 끼워 넣어짐으로써(도 2C 참조), 패스닝 테이프(30)가 접합되어 있다.
기저귀(1)의 전방부(3)에는, 타겟 테이프(29)가 마련되어 있다(도 1 참조). 타겟 테이프(29)는, 전방부(3)의 백 시트(24)의 비피부측에 배치되어 있다(도 2A 참조). 타겟 테이프(29)는, 패스닝 테이프(30)와 결합 가능한 부재이며, 예컨대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타겟 테이프(29)는, 패스닝 테이프(30)를 결합시키는 타겟 영역을 구성한다. 한편, 백 시트(24)의 비피부측에 타겟 테이프(29)를 배치하는 대신에, 백 시트(24)의 최외층의 부직포에 타겟 영역을 형성해도 좋다. 이 패스닝 테이프(30)를 타겟 테이프(29)에 결합시킴으로써, 기저귀(1)를 착용시키게 된다.
또한, 사이드 플랩(14)의 후방부(7)측, 즉 사이드 플랩(14)의 패스닝 테이프(30)가 접합되어 있는 측에는, 도 1의 굵은 점선으로 나타나는 절취선(17)이 형성되어 있다. 절취선(17)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이후에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저체중아용의 기저귀(1)의 세로 방향의 제품 길이(제품을 길이 방향으로 주름 없이 신장시킨 상태에서의 치수)는, 210∼330 ㎜의 범위이다. 예컨대, 체중 2500 g 미만의 저출생 체중아용의 기저귀(1)의 제품 길이는 310 ㎜이고, 체중 1500 g 미만의 극저출생 체중아용의 기저귀(1)의 경우의 제품 길이는 270 ㎜이며, 체중 1000 g 미만의 초저출생 체중아용의 기저귀(1)의 경우의 제품 길이는 230 ㎜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저체중아용의 기저귀(1)의 허리 치수는, 160∼295 ㎜의 범위이다. 한편, 허리 치수는, 한쪽의 패스닝 테이프(30)의 단부를 다른쪽의 패스닝 테이프(30)의 훅 시트 영역(C)의 사이드 플랩(14)측의 단부에 맞춘 상태에서, 주름 없이 제품을 신장시킨 상태에서의 치수이다. 즉, 제품을 폭 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에서의 치수이다. 예컨대, 저출생 체중아용의 기저귀(1)의 허리 치수는 273.5 ㎜이고, 체중 1500 g 미만의 극저출생 체중아용의 기저귀(1)의 경우의 허리 치수는 220 ㎜이다.
<기저귀(1)의 착탈에 대해>
다음으로, 기저귀(1)의 착탈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기저귀(1)를 착용자에게 착용시킬 때에는, 도 1과 같이 전개시킨 상태의 기저귀(1)를, 중앙 띠 형상 영역(12)의 후방부(7)가 착용자의 등측을, 전방부(3)가 착용자의 배측을 따르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사이드 플랩(14)의 후방부(7)를 착용자의 등측으로부터 배측으로 몸통 둘레 방향으로 감도록 하여 전방부(3)에 마련된 타겟 테이프(29)에 패스닝 테이프(30)를 결합시킨다.
도 3은 기저귀(1)를 저체중아에게 착용시켰을 때의 모습에 대해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는 저체중아를 주된 착용 대상으로 하고 있다. 착용자가 저체중아인 경우, 특히 착용자가 극저출생 체중아용(체중 1500 g 미만)이나 초저출생 체중아용(체중 1000 g 미만)인 경우에는, 신체에 가능한 한 닿지 않도록 하여,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하는 「미니멈 핸들링」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저체중아에게 기저귀(1)를 착용시킨 후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을 C자형으로 둥글게 커브시키고, 다리를 M자형으로 강하게 구부린 자세를 유지시킴으로써, 착용자를 안정적인 상태로 눕혀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도 3에 도시된 자세는, 모체 내에서의 태아의 자세(태아와 같은 굴곡 자세)에 가까워, 안정시키기 쉬운 자세이며 「포지셔닝 자세」라고도 불린다.
기저귀(1)를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벗길 때에는, 타겟 테이프(29)에 결합시키고 있던 패스닝 테이프(30)를 떼어내어, 착용 시와는 반대의 순서로 기저귀(1)를 전개시킨다. 그러나, 착용자가 도 3과 같은 포지셔닝 자세를 취하고 있는 경우, 패스닝 테이프(30)는 착용자의 배측에 숨은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패스닝 테이프(30)를 떼어내기 위해서는, 착용자의 신체를 일단 위를 향한 상태로 하여 착용자의 배측이 보이는 상태로 하지 않으면 안되지만, 기저귀(1)를 벗기기 위해서만 착용자의 신체를 움직이는 것은 「미니멈 핸들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그래서, 기저귀(1)에서는, 착용자의 신체를 움직이지 않고 기저귀(1)를 벗길 수 있도록, 사이드 플랩(14)에 절취선(17)이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기저귀(1)를 벗길 때의 모습에 대해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저귀(1)를 벗길 때에는, 절취선(17)을 따라 몸통 둘레 개구부로부터 다리 둘레 개구부까지 사이드 플랩(14)을 찢는다. 이에 의해, 패스닝 테이프(30)를 배측의 타겟 테이프(29)에 결합시킨 채로, 기저귀(1)를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벗길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귀(1)의 가로 방향 양단부에 있어서 사이드 플랩(14)으로부터 패스닝 테이프(30)가 접속되어 있는 부분을 분리하여, 기저귀(1)를 전개 상태로 함으로써, 착용자(저체중아)의 자세를 변경시키지 않고 기저귀(1)를 간단히 탈의시킬 수 있다.
<절취선의 구조>
기저귀(1)에 형성된 절취선(17)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기저귀(1)의 절취선(17)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절취선(17)은, 사이드 플랩(14)의 세로 방향의 후방부(7)측, 즉, 패스닝 테이프(30)가 접속되어 있는 측에 형성되고, 복수의 구멍(17h)이 몸통 둘레 개구부로부터 다리 둘레 개구부로 연장된 루트 상에 늘어섬으로써, 재봉선 형상으로 형성된 부위이다. 복수의 구멍(17h)은 각각 사이드 플랩(14)을 구성하는 피부측 시트(26), 백 시트(24), 및 일부의 영역에서는 누설 방지 시트(23)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도 5A에서는 구멍(17h)이 원형인 예를 나타내고 있고, 도 5B에서는 구멍(17h)이 타원형인 예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구멍(17h)의 형상은 이것 이외여도 좋고, 예컨대 직사각형의 슬릿 등이어도 좋다. 또한, 구멍(17h)의 크기(개구부의 직경)는 기저귀(1)의 사이즈나 피부측 시트(26) 등의 기저귀를 구성하는 기재(基材)의 재질에 따라 결정된다.
도 5A 및 도 5B에 있어서, 기저귀(1)의 세로 방향의 후방부(7)의 영역은, 후방부(7a), 후방부(7b), 및 후방부(7c)의 3개의 영역으로 나누어져 있다. 후방부(7b)는, 세로 방향에 있어서 패스닝 테이프(30)가 배치되어 있는 위치와 거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영역이고, 후방부(7a)는 후방부(7b)보다 세로 방향의 후측(세로 방향의 외측)의 영역이며, 후방부(7c)는, 후방부(7b)보다 세로 방향의 전측(세로 방향의 내측)의 영역이다. 절취선(17)의 복수의 구멍(17h)은, 후방부(7a)와 후방부(7b)의 영역에 있어서, 중앙 띠 형상 영역(12)과 사이드 플랩(14) 사이의 접합부(26A)를 따라 세로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늘어선 직선형 부분을 형성한다. 또한, 복수의 구멍(17h)은, 후방부(7c)의 영역에서, 기저귀(1)의 가로 방향의 외측 단부의 다리 둘레 개구부측을 향해 만곡되도록 늘어선 곡선형 부분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절취선(17)이 직선형 부분과 곡선형 부분을 가짐으로써, 기저귀(1)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사이드 플랩(14)을 간단히 잘라낼 수 있다. 예컨대, 기저귀(1)의 착용자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포지셔닝 자세를 취하고 있는 경우, 착용자의 다리는 M자형으로 구부러져 신체의 전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기저귀(1)의 다리 둘레 개구부도 전측 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몸통 둘레 개구부로부터 다리 둘레 개구부로 사이드 플랩(14)을 찢으려고 하면, 다리가 구부러져 있는 방향을 따라 비스듬히 잘라낼 필요가 있다. 이에 비해,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에서는 절취선(17)이 다리 둘레 개구부측으로 커브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절취선(17)을 따라 사이드 플랩(14)을 찢음으로써, 착용자가 포지셔닝 자세를 취하고 있는 경우라도 간단히 패스닝 테이프(30)의 부분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절취선(17) 상에서 서로 인접하는 구멍(17h)끼리의 간격(피치)은, 영역마다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후방부(7b)의 영역 중 어떤 구멍(17h)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이웃하는 구멍(17h)의 외주 가장자리까지의 간격(Lhb)은, 후방부(7a) 및 후방부(7c)의 영역 중 어떤 구멍(17h)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이웃하는 구멍(17h)의 외주 가장자리까지의 간격(Lha)보다 넓다(Lhb>Lha). 바꿔 말하면, 후방부(7b)의 영역에 있어서 절취선(17) 상에서 단위 길이당 차지하는 구멍(17h)의 비율은, 후방부(7a)나 후방부(7c)의 영역에 있어서 절취선(17) 상에서 단위 길이당 차지하는 구멍(17h)의 비율보다 작다. 즉, 후방부(7b)의 영역에서는 피부측 시트(26)나 백 시트(24)를 관통하는 구멍의 비율이 적기 때문에, 후방부(7a)나 후방부(7c)의 영역과 비교하여 사이드 플랩(14)을 잘라내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이것은, 기저귀(1)의 착용 시에 있어서 패스닝 테이프(30)를 가로 방향으로 인장했을 때에, 후방부(7b)의 영역에 가로 방향 외측의 힘이 작용하여 사이드 플랩(14)이 잘라내어져 버리는 것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반대로, 기저귀(1)를 탈의시킬 때에는, 절취 개시의 부분인 후방부(7a)나, 절취선(17)이 만곡되어 있는 후방부(7c)의 영역에서, 후방부(7b)와 비교하여 사이드 플랩(14)을 잘라내기 쉽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기저귀(1)를 착용시킬 때에 잘못해서 사이드 플랩(14)이 잘라내어져 버리는 것이 억제되고, 한편, 기저귀(1)를 탈의시킬 때에는, 절취선(17)을 따라 간단히 사이드 플랩(14)을 잘라낼 수 있다.
<절취선의 외관에 대해>
절취선(17)은 기저귀(1)의 착용 시에 있어서, 착용자의 옆구리부의 시인하기 쉬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기저귀(1)의 착용 시에는, 사이드 플랩(14)이 가로 방향으로 잡아 늘여지는 것과 같은 힘을 받기 때문에, 절취선(17)을 구성하는 구멍(17h)에도 가로 방향의 힘이 작용하여 각각의 구멍(17h)이 넓어지기 쉬워져, 외관상 눈에 띄기 쉬워진다. 특히, 착용자가 저체중아이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포지셔닝 자세를 취하고 있는 경우에는, 위를 향한 자세의 경우와 비교하여 패스닝 테이프(30)의 결합부에 가로 방향의 힘이 가해지기 쉬워져, 재봉선 형상으로 이어진 구멍(17h)이 과도하게 강조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구멍(17h)이 과도하게 눈에 띄면, 기저귀(1)에 구멍이 뚫려 있는 것과 같은 인상을 사용자에게 주어, 상기 구멍(17h) 부분으로부터 배설물이 기저귀(1)의 외부로 누출되어 버리는 것은 아닌지라고 하는 불안을 생기게 할 우려가 있다. 또한, 구멍(17h) 부분으로부터 기저귀(1)가 찢어져 버리는 것은 아닌지라고 하는 불안을 생기게 하는 경우도 생각되어, 기저귀(1)를 안심하고 사용하는 것의 방해가 된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에서는, 사이드 플랩(14)에 가로 방향의 힘이 작용한 경우라도, 절취선(17)의 구멍(17h)이 눈에 띄기 어려워지도록 하고 있다.
도 6은 도 5A의 후방부(7b)의 영역에 대해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B-B 단면에 대해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도 6 및 도 7에서는 구멍(17h)이 직경(D1)인 원형으로서 나타나 있으나, 구멍의 형상은 원형 이외여도 좋다. 또한, 도 6 및 도 7에서는, 피부측 시트(26), 누설 방지 시트(23), 및 백 시트(24)에 형성된 구멍(17h)에 대해, 그 외주(외측 가장자리부)를 따른 소정의 폭을 갖는 영역에 구멍 가장자리부(17he)가 설정되어 있다. 구멍 가장자리부(17he)는, 절취선(17)을 구성하는 복수의 구멍(17h)에 각각 대응하여 형성되며, 구멍(17h)의 외주부로부터 구멍 가장자리부(17he)의 외주부까지의 거리(w)는, 예컨대 0.1∼1.0 ㎜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누설 방지 시트(23)를 제1 시트 부재, 피부측 시트(26)를 제2 시트 부재, 백 시트(24)를 제3 시트 부재로 한다.
제1 시트 부재와 제2 시트 부재 사이에는, 양 시트를 접합하는 접합 대상 영역(H)이 형성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의 사선부로 나타나는 영역이 접합 대상 영역(H)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취선(17)의 가로 방향 양측의 영역에, 세로 방향을 따른 띠 형상의 접합 대상 영역(H)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두께 방향으로 중첩된 2장의 시트 부재 사이의 접합 대상 영역(H) 중의 소정의 범위에 핫멜트 접착제(HMA) 등의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상기 2장의 시트 부재를 서로 접합하는 접합부(50)가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1 시트 부재와 제3 시트 부재 사이에도, 양 시트를 접합하는 접합 대상 영역(H)이 형성되고, 상기 접합 대상 영역(H) 중에 접합부(50)가 형성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서는, 제1 시트 부재 및 제2 시트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의 시트 부재에 대해 접합 대상 영역(H)의 모든 범위에 HMA가 도포되어 있다. 즉, 접합부(50)는 접합 대상 영역(H)과 동등한 범위에서, 세로 방향을 따른 대략 직사각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명세서 중에서는, 이러한 HMA의 도포 패턴을 「코터 패턴」이라고 부른다. 코터 패턴에서는 2장의 시트 부재끼리를 강고히 접합하는 것이 가능하며, 접합 강도를 확보하고 싶은 경우 등에 적합하다. 단, 접합부(50)의 형상은 코터 패턴에는 한정되지 않고, 접합 대상 영역(H)의 범위 내에 있어서 HMA의 도포 패턴을 변경함으로써 코터 패턴 이외에도 여러 가지 패턴으로 접합부(50)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A∼도 8B는 접합부(50)의 그 외의 패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는 접합 대상 영역(H)의 범위 내에 있어서, HMA를 나선형으로 도포한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명세서 중에서는, 이러한 도포 패턴을 「스파이럴 패턴」이라고 부른다. 스파이럴 패턴에 의해 형성된 접합부(50)에서는, 코터 패턴과 비교하여 사용하는 HMA의 양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접합 대상 영역(H)에서의 HMA의 단위 중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상기 HMA에 의해 시트가 딱딱해져 버리는 것이 억제되어, 접합 대상 영역(H)에 있어서의 기저귀(1)의 촉감을 부드럽게 유지할 수 있다. 도 8B는 접합 대상 영역(H)의 범위 내에 있어서, 세로 방향을 따라 HMA를 사행(蛇行)시키도록 하여 도포한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명세서 중에서는, 이러한 도포 패턴을 「오메가 패턴」이라고 부른다. 오메가 패턴에 의해 형성된 접합부(50)에서는, 스파이럴 패턴과 마찬가지로, 사용하는 HMA의 양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며, 접합 대상 영역(H)의 촉감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에서는, 접합부(50)와 구멍 가장자리부(17he)가 가로 방향에 있어서 중복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제1 시트 부재(누설 방지 시트(23))와 제2 시트 부재(피부측 시트(26)) 사이, 및 제1 시트 부재(누설 방지 시트(23))와 제3 시트 부재(백 시트(24)) 사이에서, 구멍 가장자리부(17he)가 접합되어 있지 않다. 이에 의해, 사이드 플랩(14)이 가로 방향으로 인장된 경우라도 절취선(17)의 구멍(17h)을 눈에 띄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도 9는 도 7에서 가로 방향의 힘이 작용한 경우의 구멍(17h)의 모습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사이드 플랩(14)을 가로 방향으로 인장하는 힘이 작용한 경우, 동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제3 시트 부재에는 각각 전단 방향의 어긋남이 발생한다. 동시에 각 시트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17h)에 대해 개구부의 직경을 넓히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도 7에 있어서 D1로 나타나 있던 구멍(17h)의 직경은 도 9에서 D2로 넓어진다(D2>D1).
여기서, 제1 시트 부재의 구멍(17h) 주위에 형성된 구멍 가장자리부(17he)와, 제2 시트 부재의 구멍(17h) 주위에 형성된 구멍 가장자리부(17he)가 서로 접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2개의 시트 부재에 있어서 구멍(17h)의 가로 방향 위치는 서로 어긋난다. 마찬가지로, 제1 시트 부재와 제3 시트 부재 사이에서도 구멍(17h)의 가로 방향 위치가 서로 어긋난다. 그 결과, 구멍(17h)에서 제1 시트 부재로부터 제3 시트 부재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영역의 직경(D3)은 D2보다 좁아진다(D2>D3). 따라서, 사이드 플랩(14)이 가로 방향으로 인장됨으로써 구멍(17h)의 직경이 D2까지 넓어졌다고 해도, 실제로 관통되어 보이는 부분의 직경의 크기는 D3이 되어, 외관상, 구멍(17h)은 넓어지고 있지 않은 것처럼 보인다. 한편, 도 9에서는 제1∼제3 시트 부재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균등한 힘이 작용하고 있는 경우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실제로 사이드 플랩(14)이 가로 방향으로 인장된 경우에는, 각 시트 부재에 작용하는 힘은 불균등한 경우가 많아,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구멍(17h)의 위치의 어긋남량이 상이하기 때문에, 구멍(17h)의 확대는 보다 눈에 띄기 어려워진다. 이에 의해, 절취선(17)이 눈에 띄기 어려워져, 사용자에게 불안감을 주기 어렵게 할 수 있다.
한편, 기저귀(1)에서는, 두께 방향의 양 외측에 위치하는 피부측 시트(26) 및 백 시트(24)가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부직포의 표면에는 미세한 섬유가 얽히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이 보풀이 인 것과 같은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피부측 시트(26)나 백 시트(24)에 형성된 구멍(17h)의 구멍 가장자리부(17he)도 보풀이 인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구멍(17h)의 외측 가장자리(에지)가 눈에 띄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복수 매 중첩되는 시트 부재 중, 외측에 배치되는 시트 부재(전술한 예에서는 제2 시트 부재 및 제3 시트 부재)를 부직포 등으로 구성함으로써, 구멍(17h)을 보다 눈에 띄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서는, 접합 대상 영역(H)이 구멍 가장자리부(17he)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었으나, 접합부(50)와 구멍 가장자리부(17he)가 가로 방향에 있어서 중복되지 않는 영역을 갖는 것이면, 접합 대상 영역(H)이 구멍 가장자리부(17he)와 중복되어 설정되는 것이어도 좋다. 도 10은 접합 대상 영역(H)과 구멍 가장자리부(17he)가 중복되는 경우의 예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에서는, 접합 대상 영역(H) 중에서 접합부(50)가 오메가 패턴(혹은 스파이럴 패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도 10에 도시된 구멍(17h1)∼구멍(17h5)의 5개의 구멍 중, 적어도 구멍(17h3)에 있어서는 구멍 가장자리부(17he)와 접합부(50)가 중복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사이드 플랩(14)이 가로 방향으로 인장된 경우라도, 구멍(17h3)의 부분에 있어서는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개구부의 직경이 넓어지고 있지 않은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절취선(17)을 눈에 띄기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첩된 시트 부재끼리를 접합하는 접합부(50)와, 복수의 구멍 가장자리부(17he) 중 적어도 하나의 구멍 가장자리부(17he)를 중복시키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시트 부재를 관통하는 구멍(17h)이 시인하기 어려워져, 절취선(17)이 눈에 띄기 어려워진다.
<변형예>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제3 시트 부재의 각각에 대해, 구멍 가장자리부(17he)와 접합부(50)가 중복되지 않는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3장의 시트 부재 중 중첩되는 2장의 시트 부재 사이에 있어서 구멍 가장자리부(17he)와 접합부(50)가 중복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부분에 있어서 절취선(17)을 눈에 띄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제1 시트 부재와 제2 시트 부재 사이에서 구멍 가장자리부(17he) 및 접합부(50)가 중복되어 있는 경우의 예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A에서는, 제1 시트 부재(누설 방지 시트(23))와 제3 시트 부재(백 시트(24)) 사이에서 구멍 가장자리부(17he)와 접합부(50)가 중복되어 있지 않은 데 비해, 제1 시트 부재(누설 방지 시트(23))와 제2 시트 부재(피부측 시트(26)) 사이에서는 구멍 가장자리부(17he)와 접합부(50)가 중복되어 있다. 도 11B는 도 11A의 상태의 시트 부재에 대해 가로 방향의 힘이 작용한 경우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제1 시트 부재와 제3 시트 부재 사이에서는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멍(17h)의 가로 방향 위치에 큰 어긋남이 발생하고 있다. 한편, 제1 시트와 제2 시트 사이에서는, 구멍(17h)의 외측 가장자리부인 구멍 가장자리부(17he)가 서로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구멍(17h)의 가로 방향 위치의 어긋남량이 작아, 구멍(17h)이 시인하기 쉽게 되어 있다. 즉, 기저귀(1)의 비피부측(백 시트(24)측)에서 본 경우에는 절취선(17)이 눈에 띄기 어려우나, 기저귀(1)의 피부측(피부측 시트(26)측)에서 본 경우에는 절취선(17)이 눈에 띄기 쉬워진다.
변형예에 의하면, 외측(비피부측)으로부터는 절취선(17)이 보이기 어렵고, 내측(피부측)으로부터는 절취선(17)이 보이기 쉬운 기저귀(1)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이면, 기저귀(1)를 벗길 때에, 사이드 플랩(14)을 걷어올려 내측을 확인함으로써 절취선(17)의 위치를 파악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외관상은 절취선(17)을 인식하기 어렵게 하고, 내측으로부터는 절취선(17)의 위치를 인식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시트 부재(누설 방지 시트(23))와 제3 시트 부재(백 시트(24)) 사이에서는 구멍 가장자리부(17he)와 접합부(50)가 중복되어 있는 데 비해, 제1 시트 부재(누설 방지 시트(23))와 제2 시트 부재(피부측 시트(26)) 사이에서는 구멍 가장자리부(17he)와 접합부(50)가 중복되어 있지 않은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3장의 시트 부재를 관통하는 절취선(17)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절취선(17)이 2장의 시트 부재를 관통하는 경우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컨대, 도 5A 및 도 5B의 후방부(7c)의 영역에 있어서, 절취선(17)의 일부는 피부측 시트(26)(제1 시트 부재로 한다) 및 백 시트(24)(제2 시트 부재로 한다)의 2장의 시트 부재가 중첩된 부분을 통과하고 있다. 즉, 누설 방지 시트(23)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에 구멍(17h)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도, 복수의 구멍 가장자리부(17he)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시트 부재 및 제2 시트 부재를 접합하는 접합부(50)와 중복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부분에 있어서 구멍(17h)의 확대가 시인하기 어려워져, 절취선(17)을 눈에 띄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 외===
상기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여 해석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고, 변경·개량될 수 있고,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이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기저귀(1)의 후방부(7)측에 절취선(17)이 형성되어 있었으나, 다른 부위에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1에서는, 사이드 플랩(14)의 전방부(3)측의 세로 방향 단부로부터 세로 방향을 따라 절취선의 일종인 절단선(1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단선(19)은, 절취선(17)과 마찬가지로 피부측 시트(26) 등의 시트 부재를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19h)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구멍(19h)의 외주에는 구멍 가장자리부(19he)(도 1에서는 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중첩되는 2장의 시트 부재를 접합하는 접합부(50)와 구멍 가장자리부(19he)가 중복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절취선(17)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절단선(19)을 눈에 띄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기저귀(1)의 전방부(3), 즉 배측의 몸통 둘레부(제1 몸통 둘레부(3))측에 절단선(19)이 형성됨으로써, 기저귀(1)의 착용 시에 있어서, 상기 절단선(19)을 따라 기저귀(1)의 배측을 찢기 쉬워진다. 그리고, 찢어진 부분을 젖혀 접음으로써, 기저귀(1)를 착용한 상태인 채로, 착용자의 복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기저귀(1)의 착용자가 저체중아인 경우, 광선 치료 등을 실시할 때에 신체의 넓은 범위에 광선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절단선(19)을 따라 기저귀(1)의 복부측을 찢어 접음으로써, 저체중아의 신체에 대한 접촉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복부의 넓은 범위에 광선을 조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위치에 절단선(19)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절단선(19)을 기점으로 하여 기저귀(1)의 제1 몸통 둘레부(3)가 착용자의 복부의 둥그스름한 모양을 따라 절곡되기 쉬워져, 기저귀(1)의 피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절취선(17)과 절단선(19)은 전개 상태의 기저귀(1)의 가로 방향에 있어서 거의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도 1 참조). 기저귀(1)를 제조할 때에는, 도 1의 상태의 시트 부재가 세로 방향으로 연속해서 복수 이어진 상태로 반송된다. 즉, 전개 상태의 기저귀(1)의 세로 방향 전측 단부와, 그것과는 상이한 기저귀(1)의 세로 방향 후측 단부가 접속된 상태로 세로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반송된다. 그리고, 반송 과정에 있어서, 상기 접속된 부분에 걸치도록 세로 방향을 따라 복수의 구멍을 뚫음으로써, 절단선(19)과 절취선(17)이 연속해서 형성된다. 즉, 절취선(17)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절단선(19)도 동시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저귀(1)의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등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기저귀(1)는 이하와 같은 양태를 갖고 있어도 좋다.
(양태 1)
가로 방향의 양측의 각 위치에는, 각각, 다리 둘레 개구부가 되는 부분을 세로 방향으로 수축시키기 위한 다리 둘레 탄성 부재가 상기 세로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있고, 절취선의 곡선형 부분을 가상적으로 상기 몸통 둘레 개구부측의 부분과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측의 부분으로 2분한 경우이며, 게다가, 상기 두께 방향으로부터 상기 다리 둘레 탄성 부재를 본 경우에, 상기 다리 둘레 탄성 부재는, 상기 곡선형 부분 중 상기 몸통 둘레 개구부측의 부분과 교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양태 2)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시트 부재를 갖고, 절취선의 직선형 부분에서의 상기 시트 부재의 적층 매수보다, 절취선의 곡선형 부분 중 적어도 일부에서의 상기 시트 부재의 적층 매수 쪽이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양태 3)
제조 시의 연신 방향이 세로 방향을 따른 수지 필름(누설 방지 시트)을 갖고, 절취선(17)의 직선형 부분은, 상기 수지 필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양태 4)
가로 방향의 양측의 각 위치에는, 각각 세로 방향을 따라 형성된 시트형의 입체 개더(레그 사이드 개더) 형성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입체 개더 형성부는, 상기 두께 방향으로 기립 불가능한 기단부와, 상기 기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상기 두께 방향의 피부측으로 기립 가능한 기립부를 상기 가로 방향으로 나란히 가지며, 상기 기립부에 작용하는 상기 세로 방향의 수축력에 기초하여 상기 기립부가 상기 세로 방향으로 수축함으로써, 상기 기립부가 상기 두께 방향의 피부측으로 기립하고, 상기 절취선은, 상기 기단부 및 상기 기립부보다 상기 가로 방향의 외측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양태 5)
액체를 흡수하는 액체 흡수성 소재를 상기 두께 방향으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흡수성 코어(흡수체)를, 상기 가로 방향의 중앙에 갖고, 상기 절취선은, 상기 흡수성 코어보다 상기 가로 방향의 외측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1: 일회용 기저귀(기저귀) 3: 전방부(제1 몸통 둘레부)
5: 가랑이부 7: 후방부(제2 몸통 둘레부)
12: 중앙 띠 형상 영역 14: 사이드 플랩
15: 레그 개더 16: 레그 사이드 개더
17: 절취선 17h: 구멍
17h1∼17h5: 구멍 17he: 구멍 가장자리부
19: 절단선 19h: 구멍
19he: 구멍 가장자리부 21: 흡수체
22: 톱 시트 23: 누설 방지 시트
24: 백 시트(외장 시트) 26: 피부측 시트
27: 탄성 부재 29: 타겟 테이프
30: 패스닝 테이프 50: 접합부
H: 접합 대상 영역 HMA: 핫멜트 접착제

Claims (9)

  1. 제1 몸통 둘레부와 가랑이부와 제2 몸통 둘레부를 세로 방향으로 나란히 갖고,
    제1 시트 부재와 제2 시트 부재가 중첩된 사이드 플랩과,
    상기 사이드 플랩의 상기 제2 몸통 둘레부측에 접합된 패스닝 테이프와,
    상기 사이드 플랩의 상기 제2 몸통 둘레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시트 부재 및 상기 제2 시트 부재를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이 늘어서는 절취선
    을 구비하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제1 시트 부재는, 복수의 상기 구멍에 대응한 복수의 구멍 가장자리부를 갖고, 각 구멍 가장자리부는, 각 구멍의 외주를 따르고 있으며,
    중첩된 상기 제1 시트 부재와 상기 제2 시트 부재를 접합하는 접합부와, 복수의 상기 구멍 가장자리부 중 하나 이상의 구멍 가장자리부가 중복되지 않으며,
    상기 절취선을 따라 상기 사이드 플랩을 찢음으로써 상기 패스닝 테이프를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트 부재와는 반대측의 면에서 상기 제1 시트 부재와 중첩되는 제3 시트 부재를 갖고,
    복수의 상기 구멍 가장자리부 중 하나 이상의 구멍 가장자리부는, 상기 제1 시트 부재와 상기 제2 시트 부재를 접합하는 접합부 및 상기 제1 시트 부재와 상기 제3 시트 부재를 접합하는 접합부와 중복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트 부재와는 반대측의 면에서 상기 제1 시트 부재와 중첩되는 제3 시트 부재를 갖고,
    복수의 상기 구멍 가장자리부 중 하나 이상의 구멍 가장자리부는, 상기 제1 시트 부재와 상기 제2 시트 부재를 접합하는 접합부와 중복되고, 상기 제1 시트 부재와 상기 제3 시트 부재를 접합하는 접합부와 중복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 부재 및 상기 제3 시트 부재 중 한쪽 또는 양쪽은, 부직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상기 제1 시트 부재 및 상기 제2 시트 부재 중 한쪽 또는 양쪽에 핫멜트 접착제를 나선형으로 도포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패스닝 테이프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과 대응하는 영역 중에서 상기 절취선이 연장되는 방향의 단위 길이당 차지하는 상기 구멍의 비율은,
    상기 세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패스닝 테이프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과 대응하는 영역 중에서 상기 절취선이 연장되는 방향의 단위 길이당 차지하는 상기 구멍의 비율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닝 테이프를, 각각, 상기 제1 몸통 둘레부에 결합시킴으로써, 하나의 몸통 둘레 개구부와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취선에 포함되는 복수의 상기 구멍은, 상기 몸통 둘레 개구부가 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가 되는 부분으로 연장된 루트 상에 늘어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은, 상기 몸통 둘레 개구부가 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형 부분과,
    상기 직선형 부분보다 상기 세로 방향의 내측의 위치에서, 상기 세로 방향과 직교하는 가로 방향의 외측으로 만곡된 곡선형 부분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랩의 상기 제1 몸통 둘레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세로 방향과 직교하는 가로 방향의 위치에 대해 상기 절취선과 동일한 위치에, 상기 제1 시트 부재 및 상기 제2 시트 부재를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이 늘어서는 절단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KR1020177005158A 2014-07-25 2015-07-24 일회용 기저귀 KR1024792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52183A JP6461505B2 (ja) 2014-07-25 2014-07-25 使い捨ておむつ
JPJP-P-2014-152183 2014-07-25
PCT/JP2015/071130 WO2016013663A1 (ja) 2014-07-25 2015-07-24 使い捨ておむ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6041A KR20170036041A (ko) 2017-03-31
KR102479241B1 true KR102479241B1 (ko) 2022-12-19

Family

ID=55163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5158A KR102479241B1 (ko) 2014-07-25 2015-07-24 일회용 기저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6461505B2 (ko)
KR (1) KR102479241B1 (ko)
CN (1) CN106659609B (ko)
AU (1) AU2015293071B2 (ko)
MY (1) MY185563A (ko)
PH (1) PH12017500113A1 (ko)
WO (1) WO20160136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46052A1 (en) 2016-02-25 2017-08-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figurable absorbent articles
EP3634350B1 (en) 2017-06-05 2021-10-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figurable absorbent articles having improved bodily exudate visualization
US11399992B2 (en) 2017-08-24 2022-08-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figurable absorbent articles having removable fastening members
EP3927302A1 (en) 2019-02-21 2021-12-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fully removable fastening members
JP7039662B2 (ja) * 2020-08-18 2022-03-22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使い捨ておむつ
KR102387202B1 (ko) 2020-11-20 2022-04-15 주식회사 그로우핏 타격 감지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0042A (ja) * 2004-11-05 2006-05-25 Livedo Corporation 使い捨て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35099A1 (de) * 1987-10-16 1989-04-27 Battenfeld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mehrschicht-formteilen
JPH01141711U (ko) * 1988-03-14 1989-09-28
JP3313809B2 (ja) * 1993-04-01 2002-08-12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及びその製造方法
JP3032444B2 (ja) * 1994-12-28 2000-04-17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JP3723755B2 (ja) * 2001-10-05 2005-12-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開放型の使い捨ておむつ
JP3818969B2 (ja) * 2002-07-26 2006-09-06 花王株式会社 前後どちらからでも装着が容易なおむつ
JP4823956B2 (ja) * 2007-03-30 2011-11-24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および吸収性物品
JP2010035726A (ja) * 2008-08-04 2010-02-18 Oji Nepia Co Ltd テープ型使い捨ておむつ
TWI569788B (zh) 2011-11-22 2017-02-11 優你 嬌美股份有限公司 用後即棄式紙尿布
JP5266379B2 (ja) 2011-12-28 2013-08-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5291212B2 (ja) 2012-02-07 2013-09-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開放型使い捨ておむつ
JP5291216B1 (ja) 2012-03-30 2013-09-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5243641B1 (ja) 2012-04-27 2013-07-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0042A (ja) * 2004-11-05 2006-05-25 Livedo Corporation 使い捨て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1-141711호(1989.9.28.)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659609B (zh) 2020-07-03
PH12017500113B1 (en) 2017-05-29
MY185563A (en) 2021-05-20
AU2015293071A1 (en) 2017-02-02
AU2015293071B2 (en) 2019-06-27
KR20170036041A (ko) 2017-03-31
JP2016029973A (ja) 2016-03-07
WO2016013663A1 (ja) 2016-01-28
CN106659609A (zh) 2017-05-10
JP6461505B2 (ja) 2019-01-30
PH12017500113A1 (en) 2017-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9241B1 (ko) 일회용 기저귀
JP6442224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6221839B2 (ja)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JP6424085B2 (ja) 展開型使い捨ておむつ
JP7147912B2 (ja) テープ型使い捨ておむつ
JP6427535B2 (ja) 吸収性物品
JP6810765B2 (ja) 吸収性物品
KR102214369B1 (ko) 일회용 기저귀
JPWO2015108090A1 (ja) 使い捨てパンツ型下着及びその製造方法
JP5866045B1 (ja) 吸収性物品
JP6342249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6768877B1 (ja) 吸収性物品
JP6274977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KR102538035B1 (ko)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
JP2015173778A (ja)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WO2003096948A1 (fr) Couche-culotte de type culotte
JP7321494B2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
CN212662100U (zh) 吸收性物品
WO2020189278A1 (ja) 吸収性物品
KR102483846B1 (ko) 일회용 기저귀
JP6469038B2 (ja) 使い捨ておむ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