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7157B1 - 차량운반 트레일러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운반 트레일러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7157B1
KR102477157B1 KR1020220063229A KR20220063229A KR102477157B1 KR 102477157 B1 KR102477157 B1 KR 102477157B1 KR 1020220063229 A KR1020220063229 A KR 1020220063229A KR 20220063229 A KR20220063229 A KR 20220063229A KR 102477157 B1 KR102477157 B1 KR 102477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ler
pivoting
vehicle
safety device
vehicle trans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3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영
Original Assignee
이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영 filed Critical 이선영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5Catwalks, running boards for vehicle tops, access means for vehicle tops; Handrai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08Multilevel-deck construction carry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2Running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차량을 적재하여 운반하는 트레일러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안전하게 이동하면서 상차 작업을 할 수 있게 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절첩함에 따라 트레일러의 운행에 제한을 받지 않게 한 차량운반 트레일러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운반 트레일러용 안전장치{safty devices of trailer for vehicle-transport}
본 발명은 차량운반 트레일러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다수의 차량을 적재하여 운반하는 트레일러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안전하게 이동하면서 상차 작업을 할 수 있게 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절첩함에 따라 트레일러의 운행에 제한을 받지 않게 한 차량운반 트레일러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을 이동시키는 방법은 차량 자체의 엔진을 구동시켜 자력으로 이동시키는 방법, 다른 차량에 적재하여 운반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차량이 신차이고 다수의 차를 이동시킬 경우 여러 대의 차량을 싣을 수 있는 차량운반용 트레일러를 사용하고 있다.
차량운반용 트레일러는 다층으로 적재 공간을 구비한 트레일러부와 트레일러부를 이동시키는 견인차량부로 구성되고, 이러한 차량운반용 트레일러는 보다 안전한 차량의 운반을 위해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예로 특허문헌 1내지 3이 있다.
특허문헌 1은 트레일러부의 바닥에 여러 대의 차량을 적재할 수 있도록 승강베드가 구비되고, 트레일러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포스트가 수직으로 설치된 카 캐리어 트레일러에 있어서, 포스트가 트레일러부 바닥 양측 가장자리에 고정된 지지브라켓과, 지지브라켓 상부에 힌지결합되어 트레일러부의 내측방향으로 회동되는 포스트 본체와, 포스트 본체와 지지브라켓에 설치되어 포스트 본체에 선택적으로 회동력을 부여하는 회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접철식 포스트를 구비한 카 캐리어 트레일러이고,
특허문헌 2는 주행차량과, 주행차량에 연결되며 차량이 적재되는 트레일러를 포함하는 카 캐리어에 있어서, 주행차량에 형성되며, 호형레일의 결합부가 삽입되는 공간을 갖도록 이격되어 주행차량의 하부에 형성된 복수의 판재이며, 복수의 판재에는 핀홀과 대응되는 통공이 형성된 장착부와 연결되며, 트레일러의 회전각도를 안내하는 호형레일; 트레일러의 전단에 형성된 장착용 브라켓과, 장착용 브라켓의 전단에 형성되며 축핀 결합공을 갖는 고리가 형성되되 주행차량의 후단에 형성된 조인트에 고리가 축핀으로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구성된 체결부; 체결부에 형성되며 호형레일과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결합부재에는 호형레일과 마찰접촉하여 제동력을 발휘하는 브레이크 패드를 작동시키는 제동부; 및 제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운반용 카 캐리어의 자세안정장치이고,
특허문헌 3은 견인차량에 커플러를 통해 연결되고 차량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프레임과, 적재프레임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운행할 수 있는 복수의 전륜 및 후륜를 갖춘 차량 운반용 트레일러에 있어서, 전륜 및 후륜에 인접하여 적재프레임의 양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1,2프레임고정브라켓트와, 복수개의 제1,2프레임고정브라켓트와 서로 대향되게 마주보고 배치되어 제1,2힌지축으로 상호 연결됨과 동시에 일측 단부가 전륜 및 후륜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제1,2회전축을 매개로 연결 지지되는 복수개의 제1,2바퀴연결브라켓트와, 제1,2프레임고정브라켓트와 제1,2바퀴연결브라켓트가 전륜 및 후륜을 가운데 두고 제1,2힌지축으로 연결되어 하나씩 쌍을 이룬 상태에서 제1,2힌지축의 상부쪽 제1,2프레임고정브라켓트와 제1,2바퀴연결브라켓트가 서로 마주보는 내주면 사이에 면접촉 상태로 결합되어 압축공기의 유출입에 따라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한 한 쌍의 에어튜브를 갖춘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과,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에 압축공기를 주입 및 배출할 수 있는 에어공급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 운반용 다목적 트레일러이다.
이렇게 안전한 화물의 운송을 위한 다양한 차량운반용 트레일러 기술이 개발되어 있으나, 이러한 트레일러에 차량을 적재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트레일러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하면서 차량의 적재 상태 확인 등의 적재 작업을 하여야 하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이때 작업자가 이동할 공간이 충분하지 못하여 트레일러에 차량을 적재하는 작업 중 작업자가 추락하여 부상을 당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나 작업자를 위한 안전장치는 없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2980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842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8190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다수의 차량을 적재하여 운반하는 트레일러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안전하게 이동하면서 상차 작업을 할 수 있게 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절첩함에 따라 트레일러의 운행에 제한을 받지 않게 한 차량운반 트레일러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운반 트레일러용 안전장치는 다수의 차량을 적층하여 운반하는 차량운반용 트레일러 차량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차량운반 트레일러용 안전장치로, 트레일러부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힌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할 때만 수평으로 펼쳐지는 회동발판; 상기 지지프레임의 측벽에 힌지 고정된 회동바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회동바의 회동에 의해 지지프레임측으로 이동하거나 멀어지도록 설치되며, 회동에 의해 상기 회동발판을 회동시켜 수직으로 세우는 이동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회동발판에는 작업시 작업자의 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미끄럼방지판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난간에는 회동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된 구동수단; 상기 구동수단과 회동바에 각각 설치된 스프로킷; 및 스프로킷들 사이에 설치된 체인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발판의 저면에는 힌지로부터 멀어지면서 점차 폭이 넓어지는 삼각형 형태의 가이드판이 더 설치되고, 상기 회동바의 가이드판과 대향되는 위치에는 가이드롤러가 더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전장치는 차량운송용 트레일러의 트레일러에 성치되는 트레일러용과, 캐빈의 상부에 설치되는 캐빈용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전장치들 사이에는 연결수단이 더 설치되고, 상기 연결수단은 트레일러용 회동발판을 구성하는 각 수평프레임의 일측 단부에 텔레스코픽하게 연결된 신축봉; 상기 신축봉과 캐빈용 회동발판의 수평프레임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봉; 및 상기 연결봉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연결부재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운반 트레일러용 안전장치는 차량운반용 트레일러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을 적재하거나 하역할 때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에 따라 작업 중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게 함으로서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을 적재하거나 하역 작업을 할 때만 펼쳐져 작업공간을 제공하고, 작업을 하지 않을 때에는 접어 차량측면에 부착함으로써 차량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차량의 운행에 방해가 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운반 트레일러용 안전장치의 일예의 사용 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운반 트레일러용 안전장치의 일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운반 트레일러용 안전장치의 일예의 접은 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운반 트레일러용 안전장치의 일예의 사용 상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운반 트레일러용 안전장치를 구성하는 힌지의 확대사시도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운반 트레일러용 안전장치를 트레일러와 캐빈에 설치한 상태의 일예의 정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안전하게 이동하면서 차량을 적재하거나 하역할 수 있게 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절첩함에 따라 트레일러의 운행에 제한을 받지 않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운반 트레일러용 안전장치는 다수의 차량을 적층하여 운반하는 차량운반용 트레일러 차량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차량운반 트레일러용 안전장치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일러부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10);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힌지(2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할 때만 수평으로 펼쳐지는 회동발판(20); 상기 지지프레임의 측벽에 힌지 고정된 회동바(31)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회동바의 회동에 의해 지지프레임측으로 이동하거나 멀어지도록 설치되며, 회동에 의해 상기 회동발판을 회동시켜 수직으로 세우는 이동난간(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운반 트레일러용 안전장치는 차량운반용 트레일러의 양 옆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0)은 본 발명의 장치를 구성하는 제반 구성요소를 지지하고, 장치를 트레일러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도시한 "ㄱ"형태를 이루어 상대적으로 짧게 아래로 돌출된 부분이 트레일러의 프레임에 얹힌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상부에 상기 회동발판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회동발판(20)은 그 하단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될 수 있고, 사용할 때에는 도 1 및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펼쳐져 지면과 수평을 이룬 상태가 되고 이 상부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발판(20)을 회동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힌지(21)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부재(21f)와,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된 원형 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동발판을 구성하는 수평프레임(20h)가 관통하여 설치되는 구멍이 형성된 회전부재(21c)로 구성된다.
수평프레임이 사각의 봉체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21c)에 형성된 구멍은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렇게 사각으로 형성하여 조립됨에 의해 회동발판이 회동될 때 걷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와 회전부재의 서로 대향되는 면에는 내마모코팅(21p)함에 따라 회전부재의 회전시 고정부재와 회전부재 사이의 접촉면이 마찰에 의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상기 이동난간(30)은 펼쳐진 회동발판 위를 이동하면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및 도 4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펼쳐진 회동발판의 단부에 회동발판과 수직을 이루도록 세워진 상태가 된다.
상기 이동난간(30)은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회동바(31)를 등 간격으로 배치하고 그 상부에 수직으로 이동난간을 설치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동난간(30)이 도 1 및 도 4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면 차량의 이동시 이동난간이 다른 구조물에 접촉되어 파손될 수 있음에 따라 도 3 및 도 4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측으로 이동하여 접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이동난간의 일측에는 이동난간을 이동시키는 회동수단(32)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회동수단(32)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된 구동수단(32m); 상기 구동수단과 회동바에 각각 설치된 스프로킷(32d, 32f); 및 스프로킷들 사이에 설치된 체인(32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회동수단(32)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 스프로킷이 회전하면 회동바에 설치된 스프로킷(32f)가 회전하여 회동바의 자유단부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측으로 이동하여 이 회동바의 자유단부에 설치된 이동난간이 지지프레임 측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이동하는 이동난간에 의해 상기 회동발판의 자유단부가 밀려 올라가 회동발판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도 3 및 도 4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진다.
이렇게 이동난간이 지지프레임 측으로 이동하여 회동발판의 단부를 밀어 회동시킬 때 회동발판의 자유단부가 보다 쉽게 밀려올라가게 하기 위해 상기 회동발판(20)의 저면에는 힌지로부터 멀어지면서 점차 폭이 넓어지는 삼각형 형태의 가이드판(22)이 더 설치되고, 상기 회동바의 가이드판과 대향되는 위치에는 가이드롤러(33)가 더 설치된다.
즉, 회동바가 지지프레임측으로 이동하면 회동바에 설치된 가이드롤러(33)가 삼각 형상의 가이드판의 폭이 좁은 부분으로부터 폭이 넓은 부분으로 이동하고, 이렇게 이동하는 과정에서 가이드판의 위에 설치된 회동발판이 보다 쉽게 밀려 올라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동발판의 힌지 결합된 부분에는 두 개의 스프링(23h, 23v)이 설치되어 있다.
두 개의 스프링 중 일측의 스프링은 수직유지스프링(23v)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자유단부가 밀려올라갈 때 이 수직유지스프링(23v)의 탄성이 작용하여 회동발판이 보다 쉽게 수직으로 세워지게 함은 물론, 수직으로 세워진 회동발판을 지지하여 반대방향(펼쳐지는 방향)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다른 하나의 스프링은 수평유지스프링(23h)으로 회동발판이 펼쳐진 상태에서 회동발판을 지지함에 따라 회동발판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회동발판의 저면에는 보조가이드판(24)을 더 설치할 수 있다.
이동난간과 회동발판이 하나의 구동수단이 회동수단(32)에 의해 이동 및 회동될 때 이동난간과 회동발판이 서로 접촉되어 작동에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동난간과 회동발판 사이에는 틈이 있고(도 4 (a) 참조), 이 상태에서 이동난간을 이동시켜 회동발판을 세울 때, 이 이동난간과 회동발판 사이에 남아 있게 되며,(도 4 (b) 참조) 이 틈이 유지되면 이동난간이 회동발판을 견고하게 지지할 뿐만 아니라 차량의 이동시 충격에 의해 둘 사이에 간헐적인 접촉이 발생하여 소음이 발생함을 물론 충격에 의해 이들이 손상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보조가이드판을 설치하여 이 보조가이드판이 이동난간과 회동발판 사이의 틈을 막아주게 하였다.
또한 상기 이동난간의 회동발판과 대향되는 면에는 마모방지패드(34)를 더 설치하여 둘 사이의 잦은 접촉에 의해 어느 하나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또한 상기 회동발판(20)의 상부에는 작업시 작업자의 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미끄럼방지판(40)을 더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판(40)은 상부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발이 미끄러지지 않게 하였으며, 회동발판의 상부에 고정되거나 탈착 시킬 수 있게 하였다.
물론, 회동발판의 가장자리에는 걸림턱을 형성하여 상기 미끄럼방지판이 회동발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운반 트레일러용 안전장치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를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즉, 통상의 차량운반용 트레일러 차량은 다수의 차량을 적층하여 운반하는 차량으로, 2층에 차량을 적재할 때에는 트레일러 부분에 설치된 적재대는 기울이고, 캐빈에 설치된 적재대는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차량을 적재하고, 2층에 차량의 적재가 종료된 후에는 적재대를 수평으로 유지시키고, 이 상태에서 1층에 차량을 적재한다.
이렇게 2층에 차량을 적재하기 위해 적재대가 기울어지거나 수평을 이루게 할 때 본 발명의 안전장치도 기울어지거나 수평을 이룰 수 있어야 하고, 특히 캐빈에 수평으로 설치된 안전장치와 트레일러에 기울어짐을 반복하게 설치된 안전장치가 일체로 작동될 수 있도록 도 6a 및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안전장치를 연결하여 설치하였다.
즉, 본 발명의 안전장치는 차량운송용 트레일러의 트레일러에 설치되는 트레일러용과, 캐빈의 상부에 설치되는 캐빈용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캐빈용 안전장치는 캐빈의 지붕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트레일어용 안전장치는 트레일러의 2층에 설치된 적재대에 설치된다.
이렇게 두 개의 안전장치를 연결하여 실치하기 위하여 두 안전장치 사이에 연결수단(50)을 설치하였다.
상기 연결수단(50)은 트레일러용 회동발판을 구성하는 각 수평프레임의 일측 단부에 텔레스코픽하게 연결된 신축봉(51); 상기 신축봉과 캐빈용 회동방판의 수평프레임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봉(52); 및 상기 연결봉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연결부재(53)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연결수단은 차량의 2층에 적재할 때에는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일러용을 기울이고, 이때 신축봉이 수평프레임으로부터 인출되고, 2층 적재대를 수평으로 전환하면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안전장치가 수평을 이루며 신축봉이 스평프레임으로 수축된다.
상기 연결부재(53)는 두 축이 비교적 떨어진 위치에 있는 경우나 두 축의 각도가 큰 경우에 이 두 축을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축이음으로 사용되는 유니버설 조인트(universal joint) 형태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두 축이 비교적 떨어진 위치에 있어 상기 연결수단이 길게 벌어진 경우에는 작업자 안전을 위해 길이조정이 가능하고 탈착가능한 휴대용 이동발판을 더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축봉이 설치된 수평프레임의 일부에는 고정홀(50h)을 형성하여 길이 조절이 완료된 상태에서 신축봉을 고정시킬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의 내부에는 그 단부가 상기 신축봉의 일측 단부에 연결된 스프링(54)을 설치하여 신축봉이 수평프레임으로부터 신장된 상태에서 수축될 때 신축봉을 당겨 쉽게 수축될 수 있게 하였다.
10: 지지프레임
20: 회동발판
20h: 수평프레임 20v: 수직프레임
20s: 스토핑홀
21: 힌지 21f: 고정부재
21c: 회전부재 21p: 내마모코팅
22: 가이드판
23h: 수평유지스프링 23v: 수직유지스프링
24: 보조가이드판
30: 이동난간
30h: 수평프레임 30v: 수직프레임
31: 회동바
32: 회동수단
32m: 구동모터 32d, 32f: 스프로킷
32c: 체인 32h, 32v: 제한스위치
33: 가이드롤러
34: 마모방지패드
40: 미끄럼방지판
50: 연결수단
50h: 고정홀
51: 신축봉 52: 연결봉
53: 연결부재 54: 스프링

Claims (6)

  1. 다수의 차량을 적층하여 운반하는 차량운반용 트레일러 차량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차량운반 트레일러용 안전장치로,
    트레일러부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10);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힌지(2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할 때만 수평으로 펼쳐지는 회동발판(20);
    상기 지지프레임의 측벽에 힌지 고정된 회동바(31)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회동바의 회동에 의해 지지프레임측으로 이동하거나 멀어지도록 설치되며, 회동에 의해 상기 회동발판을 회동시켜 수직으로 세우는 이동난간(30)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발판(20)의 저면에는 힌지로부터 멀어지면서 점차 폭이 넓어지는 삼각형 형태의 가이드판(22)이 더 설치되고, 상기 회동바의 가이드판과 대향되는 위치에는 가이드롤러(33)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운반 트레일러용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발판에는 작업시 작업자의 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미끄럼방지판(40)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운반 트레일러용 안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난간(30)에는 회동수단(32)을 더 구비하고,
    상기 회동수단(32)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된 구동수단(32m); 상기 구동수단과 회동바에 각각 설치된 스프로킷(32d, 32f); 및 스프로킷들 사이에 설치된 체인(32c)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운반 트레일러용 안전장치.
  4. 삭제
  5. 제1항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는 차량운송용 트레일러의 트레일러에 설치되는 트레일러용과, 캐빈의 상부에 설치되는 캐빈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운반 트레일러용 안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들 사이에는 연결수단(50)이 더 설치되고,
    상기 연결수단(50)은 트레일러용 회동발판을 구성하는 각 수평프레임의 일측 단부에 텔레스코픽하게 연결된 신축봉(51); 상기 신축봉과 캐빈용 회동발판 수평프레임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봉(52); 및 상기 연결봉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연결부재(5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운반 트레일러용 안전장치.
KR1020220063229A 2021-12-07 2022-05-24 차량운반 트레일러용 안전장치 KR1024771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924 2021-12-07
KR20210173924 2021-12-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7157B1 true KR102477157B1 (ko) 2022-12-14

Family

ID=84438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3229A KR102477157B1 (ko) 2021-12-07 2022-05-24 차량운반 트레일러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715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3959A (ko) * 2004-05-31 2005-12-05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기어를 이용한 자동차의 사이드 스텝 돌출 및 퇴거장치
KR100729802B1 (ko) 2006-12-11 2007-06-19 (주)해우지엘에스 접철식 포스트를 구비한 카 캐리어 트레일러
KR101298427B1 (ko) 2011-11-17 2013-08-20 (주) 티씨엔에스 차량 운반용 카 캐리어의 자세안정장치
KR101781903B1 (ko) 2016-05-25 2017-09-26 임영문 차량 운반용 다목적 트레일러
US20180272951A1 (en) * 2017-03-27 2018-09-27 Anderson & Wood Construction Co., Inc. Mounted retractable catwalk for trucks, utility, construction, and industrial vehicles and equipment
US20210070223A1 (en) * 2017-03-27 2021-03-11 Anderson & Wood Construction Co., Inc. Mounted retractable catwalk for trucks, utility, construction, and industrial vehicles and equipmen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3959A (ko) * 2004-05-31 2005-12-05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기어를 이용한 자동차의 사이드 스텝 돌출 및 퇴거장치
KR100729802B1 (ko) 2006-12-11 2007-06-19 (주)해우지엘에스 접철식 포스트를 구비한 카 캐리어 트레일러
KR101298427B1 (ko) 2011-11-17 2013-08-20 (주) 티씨엔에스 차량 운반용 카 캐리어의 자세안정장치
KR101781903B1 (ko) 2016-05-25 2017-09-26 임영문 차량 운반용 다목적 트레일러
US20180272951A1 (en) * 2017-03-27 2018-09-27 Anderson & Wood Construction Co., Inc. Mounted retractable catwalk for trucks, utility, construction, and industrial vehicles and equipment
US20210070223A1 (en) * 2017-03-27 2021-03-11 Anderson & Wood Construction Co., Inc. Mounted retractable catwalk for trucks, utility, construction, and industrial vehicles and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19432A1 (en) Scaffold unit
US20110109120A1 (en) Equipping a vehicle roof with a collapsible platform convertible to general living space
KR101524763B1 (ko) 고가 사다리차
KR101781903B1 (ko) 차량 운반용 다목적 트레일러
US20230100518A1 (en) Access device for a working apparatus
KR102477157B1 (ko) 차량운반 트레일러용 안전장치
CN112678200B (zh) 一种高度可调的运输装载系统
US2364365A (en) Transport trailer
RU231277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грузки самоходной техники на железнодорожную платформу
KR100693138B1 (ko) 전동차 차체 받침대
CN113979385A (zh) 举升车
CN113979386A (zh) 型材举升设备
US20210339780A1 (en) Dolly, panel carrier and panel lift
CN114856607A (zh) 隧道工作平台车及其使用方法、隧道维养列车
JP7036631B2 (ja) 高所作業車の乗降装置
JP2789457B2 (ja) 伸縮ブ−ム先端への継足しジブ
CN213413997U (zh) 带可折叠托台的履带式爬楼机
KR101612505B1 (ko) 화물차용 승강받침대
WO2018173135A1 (ja) エレベータ装置
CN213168245U (zh) 带履带收放机构的履带式爬楼机
JP6783069B2 (ja) 橋梁用吊足場装置の設置方法
CN112849981B (zh) 一种运料装置
KR102587951B1 (ko) 유조차용 폴딩 스테어
US20080226435A1 (en)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for trailer body
JP2014125150A (ja) タイヤ運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