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5753B1 - 농업용 작업차량 - Google Patents
농업용 작업차량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75753B1 KR102475753B1 KR1020180061087A KR20180061087A KR102475753B1 KR 102475753 B1 KR102475753 B1 KR 102475753B1 KR 1020180061087 A KR1020180061087 A KR 1020180061087A KR 20180061087 A KR20180061087 A KR 20180061087A KR 102475753 B1 KR102475753 B1 KR 1024757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edal
- unit
- reverse
- interlocking
- backwar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본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부; 상기 차량본체에 설치된 전진페달부; 상기 차량본체에 설치된 후진페달부; 상기 전진페달부 및 상기 동력부를 연결하는 전진링크부; 상기 후진페달부 및 상기 동력부를 연결하는 후진링크부; 및 상기 전진링크부 및 상기 후진링크부 각각이 연결되어서 상기 전진페달부 및 상기 후진페달부를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전진페달부 및 상기 후진페달부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동력부를 작동시키는 연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부는 상기 전진링크부가 연결된 전진연동부재, 상기 후진링크부가 연결된 후진연동부재, 및 상기 전진연동부재 및 상기 후진연동부재 각각에 결합된 이음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음부재는 상기 전진링크부 및 상기 후진링크부가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좌우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 농업용 작업차량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땅을 이용하여 인간 생활에 필요한 작물을 재배하는데 이용되는 농업용 작업차량에 관한 것이다.
농업용 작업차량은 땅을 이용하여 인간 생활에 필요한 작물을 재배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콤바인(Combine), 트랙터(Tractor) 등이 농업용 작업차량에 해당된다. 콤바인은 벼, 보리, 밀, 콩 등의 작물을 예취하여 탈곡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트랙터는 견인력을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은 전진페달부, 후진페달부, 및 동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진페달부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차량본체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전진페달부는 작업자에 의하여 밟힘으로써 이동된다. 작업자는 상기 전진페달부를 밟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차량본체가 상기 전방으로 이동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전진페달부가 작업자에 의해 이동되지 않으면, 상기 차량본체는 상기 전방으로 가속되지 않게 된다.
상기 후진페달부는 상기 차량본체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후방은 상기 전방에 반대되는 방향이다. 상기 후진페달부는 작업자에 의하여 밟힘으로써 이동된다. 작업자는 상기 후진페달부를 밟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차량본체가 상기 후방으로 이동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후진페달부가 작업자에 의해 이동되지 않으면, 상기 차량본체는 상기 후방으로 가속되지 않게 된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은 상기 전진페달부 및 상기 후진페달부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현된다. 작업자가 상기 전진페달부를 밟으면 상기 후진페달부가 상방(上方)으로 이동되고, 작업자가 상기 후진페달부를 밟으면 상기 전진페달부가 상기 상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상방은 작업자가 상기 전진페달부 및 상기 후진페달부를 밟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이다. 이는 작업자가 상기 차량본체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전진페달부 또는 상기 후진페달부를 밟을 때, 양 페달부를 동시에 밟음으로써 상기 동력부 등이 오작동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동력부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차량본체를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상기 동력부는 상기 전진페달부 및 상기 후진페달부가 이동됨에 따라 작동된다. 상기 전진페달부가 이동되면, 상기 동력부는 상기 차량본체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후진페달부가 이동되면, 상기 동력부는 상기 차량본체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은 상기 전진페달부 및 상기 후진페달부가 캠 기어 구조를 이용하여 서로 연동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은 상기 전진페달부 및 상기 후진페달부를 연동시키기 위한 구조가 캠 기어 구조로 구현됨으로써, 캠 등과 같이 가공하기에 복잡한 형상을 가진 기구물들이 증대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은 상기 전진페달부 및 상기 후진페달부를 연동시키기 위한 기구물들을 가공하는데 걸리는 시간 및 가공하는데 소요되는 비용 등을 증대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전진페달부 및 후진페달부를 서로 연동시키는 구조가 링크 연결 구조로 구현된 농업용 작업차량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은 차량본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부; 상기 차량본체에 설치된 전진페달부; 상기 차량본체에 설치된 후진페달부; 상기 전진페달부 및 상기 동력부를 연결하는 전진링크부; 상기 후진페달부 및 상기 동력부를 연결하는 후진링크부; 및 상기 전진링크부 및 상기 후진링크부 각각이 연결되어서 상기 전진페달부 및 상기 후진페달부를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전진페달부 및 상기 후진페달부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동력부를 작동시키는 연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부는 상기 전진링크부가 연결된 전진연동부재, 상기 후진링크부가 연결된 후진연동부재, 및 상기 전진연동부재 및 상기 후진연동부재 각각에 결합된 이음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음부재는 상기 전진링크부 및 상기 후진링크부가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좌우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동력부, 전진페달부 및 후진페달부를 연동시키는 구조가 캠 기어 구조가 아닌 링크 연결 구조로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동력부, 전진페달부 및 후진페달부를 연동시키는 구조가 캠 기어 구조로 구현된 경우에 대비할 때, 가공하기에 복잡한 형상을 가진 기구물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동력부, 전진페달부, 및 후진페달부를 연동시키기 위한 기구물들을 가공하는데 걸리는 시간 및 가공하는데 소요되는 비용 등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전진링크부 및 후진링크부가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진링크부 및 후진링크부가 이동되면서 서로 충돌함에 따라 고장,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유지보수작업에 대한 주기를 증대시켜 가동률을 증대시킬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전진연동부재 및 후진연동부재가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이음부재를 통해 간접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연동부가 대략적으로 ''자 형태로 형성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전진연동부재 및 후진연동부재가 직접 결합되어 연동부가 대략적으로 ''자 형태로 형성되도록 구현된 비교예에 대비할 때, 전진연동부재 및 후진연동부재에 가해지는 힘이 분산되는 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동부가 작동하는 과정에서 전진연동부재 및 후진연동부재가 이음부재에 대해 뒤틀리는 정도를 감소시키므로, 전진연동부재에 연결된 전진링크부와 후진연동부재에 연결된 후진링크부도 뒤틀리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전진페달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전진페달부 및 후진페달부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전진페달부 및 후진페달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전진회전기구가 전진페달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전진전달기구가 전진회전기구 및 연동부를 연결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전진회전기구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연동부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전진좌우부재, 전진상하부재, 및 전진전후부재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후진회전기구가 후진페달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후진전달기구가 후진회전기구 및 연동부를 연결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후진회전기구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연동부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후진좌우부재, 후진상하부재, 및 후진전후부재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전진페달판을 밟은 경우 작동과정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후진페달판을 밟은 경우 작동과정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연동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후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완충부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중립부가 작동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적인 블록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중립부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작동기구가 중립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접촉부재가 감지기구에 접촉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전진페달부를 밟음에 따라 접촉부재가 감지기구로부터 이격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후진페달부를 밟음에 따라 접촉부재가 감지기구로부터 이격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접촉면이 감지면보다 더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전진페달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전진페달부 및 후진페달부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전진페달부 및 후진페달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전진회전기구가 전진페달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전진전달기구가 전진회전기구 및 연동부를 연결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전진회전기구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연동부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전진좌우부재, 전진상하부재, 및 전진전후부재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후진회전기구가 후진페달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후진전달기구가 후진회전기구 및 연동부를 연결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후진회전기구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연동부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후진좌우부재, 후진상하부재, 및 후진전후부재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전진페달판을 밟은 경우 작동과정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후진페달판을 밟은 경우 작동과정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연동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후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완충부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중립부가 작동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적인 블록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중립부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작동기구가 중립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접촉부재가 감지기구에 접촉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전진페달부를 밟음에 따라 접촉부재가 감지기구로부터 이격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후진페달부를 밟음에 따라 접촉부재가 감지기구로부터 이격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접촉면이 감지면보다 더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땅을 이용하여 인간 생활에 필요한 작물을 재배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콤바인(Combine), 트랙터(Tractor) 등이 농업용 작업차량에 해당될 수 있다. 콤바인은 벼, 보리, 밀, 콩 등의 작물을 예취하여 탈곡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트랙터는 견인력을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차량본체(100)에 탑승한 작업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차량본체(100)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부(2), 상기 차량본체(100)에 설치된 전진페달부(3), 상기 차량본체(100)에 설치된 후진페달부(4),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동력부(2)를 연결하는 전진링크부(5), 상기 후진페달부(4) 및 상기 동력부(2)를 연결하는 후진링크부(6), 및 상기 전진링크부(5)와 상기 후진링크부(6) 각각이 연결된 연동부(7)를 포함한다.
상기 연동부(7)는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동력부(2)를 작동시키면서도,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전진링크부(5) 및 상기 후진링크부(6)와 연동한다.
상기 연동부(7)는 상기 전진링크부(5)가 연결된 전진연동부재(71), 상기 후진링크부(6)가 연결된 후진연동부재(72), 및 상기 전진연동부재(71) 및 상기 후진연동부재(72) 각각에 결합된 이음부재(73)를 포함하고,
상기 이음부재(73)는 상기 전진링크부(5) 및 상기 후진링크부(6)가 좌우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좌우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동력부(2),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를 연동시키는 구조가 캠 기어 구조가 아닌 링크 연결 구조로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동력부(2),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를 연동시키는 구조가 캠 기어 구조로 구현된 경우에 대비할 때, 가공하기에 복잡한 형상을 가진 기구물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동력부(2),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를 연동시키기 위한 기구물들을 가공하는데 걸리는 시간 및 가공하는데 소요되는 비용 등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전진링크부(5) 및 상기 후진링크부(6)가 상기 좌우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전진링크부(5) 및 상기 후진링크부(6)가 이동되면서 서로 충돌함에 따라 고장,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유지보수작업에 대한 주기를 증대시켜 가동률을 증대시킬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전진연동부재(71) 및 상기 후진연동부재(72)가 직접 결합되지 않고 상기 이음부재(73)를 통해 간접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연동부(7)가 대략적으로 ''자 형태로 형성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전진연동부재(71) 및 상기 후진연동부재(72)가 직접 결합되어 상기 연동부(7)가 대략적으로 ''자 형태로 형성되도록 구현된 비교예에 대비할 때, 상기 전진연동부재(71) 및 상기 후진연동부재(72)에 가해지는 힘이 분산되는 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연동부(7)가 작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전진연동부재(71) 및 상기 후진연동부재(72)가 상기 이음부재(73)에 대해 뒤틀리는 정도를 감소시키므로, 상기 전진연동부재(71)에 연결된 상기 전진링크부(5)와 상기 후진연동부재(72)에 연결된 상기 후진링크부(6)도 뒤틀리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동력부(2), 상기 전진페달부(3), 상기 후진페달부(4), 상기 전진링크부(5), 상기 후진링크부(6), 상기 연동부(7)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동력부(2, 이하 도 1에 도시됨)는 상기 차량본체(100, 이하 도 1에 도시됨)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상기 동력부(2)는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가 이동됨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전진페달부(3)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동력부(2)는 상기 차량본체(100)를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후진페달부(4)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동력부(2)는 상기 차량본체(100)를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동력부(2)는 정유압변속기(Hydrostatic Tranmission, HST)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동력부(2)는 유압펌프(미도시)로부터 유입되는 작동유를 통해 회전 변속운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동력부(2)는 사판(미도시) 및 동력샤프트(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판은 기울어진 각도를 통해 작동유의 유압을 조절하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사판이 기울어진 정도가 증대되면 유입되는 작동유의 유압 및 배출되는 작동유의 유압의 차가 증대되어, 상기 동력부(2)는 더 큰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사판이 기울어진 정도가 감소되면 유입되는 작동유의 유압 및 배출되는 작동유의 유압의 차가 감소되어, 상기 동력부(2)는 더 작은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사판이 기울어진 방향에 따라 상기 동력부(2)는 상기 차량본체(100)가 이동되는 방향을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동력샤프트(21)는 상기 사판에 연결된 것이다. 상기 동력샤프트(21)는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가 이동됨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동력샤프트(21)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동력샤프트(21)에 연결된 상기 사판이 기울어진 방향 및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을 기준으로, 상기 동력샤프트(21)가 시계방향(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동력부(2)는 상기 차량본체(100)가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동력부(2)는 상기 동력샤프트(21)가 상기 시계방향(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는 정도에 비례하여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1을 기준으로, 상기 동력샤프트(21)가 상기 반시계방향(C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동력부(2)는 상기 차량본체(100)가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동력부(2)는 상기 동력샤프트(21)가 상기 반시계방향(C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는 정도에 비례하여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전진페달부(3)는 상기 차량본체(100)에 설치된 것이다. 상기 전진페달부(3)는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차량본체(100)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진페달부(3)는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전진페달부(3)는 전진페달판(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진페달판(31)은 작업자가 상기 전진페달부(3)를 조작하기 위한 발판이다. 도 3을 기준으로, 작업자가 상기 전진페달판(31)을 밟으면, 상기 전진페달부(3)는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상기 시계방향(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반대로, 작업자가 상기 전진페달판(31)을 밟지 않으면, 상기 전진페달부(3)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상기 반시계방향(C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전진페달판(31)은 작업자가 상기 차량본체(100)에 탑승하기 위한 탑승석(미도시) 근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진페달판(31)은 상기 연동부(7)로부터 좌우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격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좌우방향(X축 방향)은,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전진페달부(3)는 전진경사부재(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진경사부재(32)는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외측방향(ED 화살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외측방향(E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좌우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차량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이다. 상기 전진경사부재(32)는 상기 전진페달판(31)에 대해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전진페달판(3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진경사부재(32)는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외측방향(ED 화살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에 배치된 부분일수록 상기 연동부(7)로부터 상기 외측방향(E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진페달판(31)은 상기 전진경사부재(32)를 통해 상기 연동부(7)로부터 상기 외측방향(E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동력부(2), 상기 전진링크부(5) 및 상기 후진링크부(6) 등이 배치된 상기 연동부(7)로부터 상기 전진페달판(31)이 상기 외측방향(E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됨으로써, 상기 연동부(7) 부근에 설치되는 기구물의 수가 더 감소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작업자에 의해 상기 전진페달부(3)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연동부(7) 부근의 다른 기구물에 충돌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유지보수작업을 위한 여유 공간이 더 증대되므로, 유지보수작업에 대한 용이성이 더 증대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유지보수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안전사고를 더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전진경사부재(32)는 작업자가 상기 전진페달판(31)을 밟음에 따라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공전(公轉)할 수 있다. 상기 전진경사부재(32)는 바(Bar)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전진페달판(31)과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연결하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전진페달부(3)가 상기 전진링크부(5)에 결합된 방식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에 있어서 상기 전진페달부(3)가 상기 전진링크부(5)에 결합된 방식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찹조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전진페달부(3)는 전진이격부재(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진이격부재(33)는 상기 전진링크부(5)를 상기 후진페달부(4)으로부터 상기 좌우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이격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전진링크부(5)는 상기 전진이격부재(33)를 통해 상기 후진페달부(4)가 이동되는 이동범위로부터 이격된 다른 범위에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전진링크부(5) 및 상기 후진페달부(4)가 함께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진링크부(5) 및 상기 후진페달부(4)가 서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전진링크부(5) 및 상기 후진페달부(4)가 충돌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파손, 고장 등을 방지하여 유지보수작업에 대한 주기를 증대시킴으로써, 작동률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전진이격부재(33)는 상기 전진경사부재(3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진이격부재(33)는 상기 전진경사부재(32)와 하나의 바(Bar) 형태로 제조된 뒤 절곡(切曲)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별도의 구성을 구비하지 않고도 간략한 공정 및 구조를 통해 상기 전진이격부재(33)가 형성될 수 있도록 구현되므로, 상기 전진이격부재(33)에 대한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전진이격부재(33)는 상기 전진경사부재(32)에 대해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진이격부재(33)는 곡률중심이 상기 전진경사부재(32)에 대해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도록 곡면(曲面)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외측방향(ED 화살표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좌우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차량본체(100)를 향하는 방향이다. 상기 전진이격부재(33)는 작업자가 상기 전진페달판(31)을 밟음에 따라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전진페달부(3)는 상기 전진링크부(5)에 직접 결합되거나, 상기 페달회전축(110)으로 기능하도록 상기 차량본체(100)에 설치된 페달샤프트(미표시)를 통해 상기 전진링크부(5)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전진페달부(3)에 상기 전진이격부재(33)를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제조 공정을 생략할 수 있게 되므로, 생산비용이 절감되어 제품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후진페달부(4)는 상기 차량본체(100)에 설치된 것이다. 상기 후진페달부(4)는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차량본체(100)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진페달부(4)는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후진페달부(4)는 상기 전진페달부(3)로부터 상기 좌우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후진페달부(4)는 상기 전진페달부(3)와 대략적으로 비슷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후진페달부(4)는 후진페달판(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진페달판(41)은 작업자가 상기 후진페달부(4)를 조작하기 위한 발판이다. 도 4를 기준으로, 작업자가 상기 후진페달판(41)을 밟으면, 상기 후진페달부(4)는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상기 시계방향(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반대로, 작업자가 상기 후진페달판(41)을 밟지 않으면, 상기 후진페달부(4)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상기 반시계방향(C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후진페달판(41)은 작업자가 상기 차량본체(100)에 탑승하기 위한 탑승석 근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후진페달판(41)은 상기 연동부(7)로부터 상기 좌우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격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후진페달부(4)는 후진경사부재(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진경사부재(42)는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외측방향(ED 화살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후진경사부재(42)는 상기 후진페달판(41)에 대해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후진페달판(4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후진경사부재(42)는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외측방향(ED 화살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에 배치된 부분일수록 상기 연동부(7)로부터 상기 외측방향(E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후진페달판(41)은 상기 후진경사부재(42)를 통해 상기 연동부(7)로부터 상기 외측방향(E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동력부(2), 상기 전진링크부(5) 및 상기 후진링크부(6) 등이 배치된 상기 연동부(7)로부터 상기 후진페달판(41)이 상기 외측방향(E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됨으로써, 상기 연동부(7) 부근에 설치되는 기구물의 수가 더 감소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작업자에 의해 상기 후진페달부(4)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연동부(7) 부근의 다른 기구물에 충돌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유지보수작업을 위한 여유공간이 증대되어 유지보수작업에 대한 용이성이 더 증대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에게 발생 가능한 안전사고를 더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후진경사부재(42)는 상기 전진경사부재(32)에 비해 더 큰 경사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각은, 상기 전진경사부재(32) 및 상기 후진경사부재(42) 각각이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에 대해 상기 외측방향(ED 화살표 방향)으로 경사진 각을 의미한다. 상기 후진경사부재(42)가 상기 전진경사부재(32)에 비해 더 큰 경사각을 가짐으로써, 상기 후진경사부재(42) 및 상기 전진경사부재(32)는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상기 좌우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이격된 거리가 증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진페달판(31)과 상기 후진페달판(41)이 상기 좌우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거리는 상기 전진링크부(5)와 상기 후진링크부(6)가 상기 좌우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거리에 비해 더 크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전진페달판(31)과 상기 후진페달판(41)이 충분한 거리로 이격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전진페달판(31) 및 상기 후진페달판(41)을 밟는 과정에서 양 페달판을 동시에 밟는 경우가 감소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작업자가 양 페달판을 동시에 밟음으로써 발생 가능한 오작동 및 기구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후진경사부재(42)는 작업자가 상기 후진페달판(41)을 밟음에 따라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공전할 수 있다. 상기 후진경사부재(42)는 바(Bar)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후진페달판(41)과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연결하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후진페달부(4)가 상기 후진링크부(6)에 결합된 방식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에 있어서 상기 후진페달부(4)가 상기 후진링크부(6)에 결합된 방식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찹조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후진페달부(4)는 후진이격부재(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진이격부재(43)는 상기 전진페달부(3)로부터 상기 좌우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된 것이다. 상기 후진이격부재(43)는 상기 후진링크부(6)를 상기 전진페달부(3)로부터 상기 좌우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진링크부(6)는 상기 후진이격부재(43)를 통해 상기 전진페달부(3)가 이동되는 이동범위로부터 이격된 다른 범위에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후진링크부(6) 및 상기 전진페달부(3)가 함께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후진링크부(6) 및 상기 전진페달부(3)가 서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후진링크부(6) 및 상기 전진페달부(3)가 충돌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파손, 고장 등을 방지하여 유지보수작업에 대한 주기를 더 증대시킴으로써, 작동률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후진이격부재(43)는 상기 후진경사부재(4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진이격부재(43)는 상기 후진경사부재(42)와 하나의 바(Bar) 형태로 제조된 뒤 절곡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별도의 구성을 구비하지 않고도 간략한 공정 및 구조를 통해 상기 후진이격부재(43)가 형성될 수 있도록 구현되므로, 상기 후진이격부재(43)에 대한 생산비용을 더 절감할 수 있다.
상기 후진이격부재(43)는 상기 후진경사부재(42)에 대해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후진이격부재(43)는 곡률중심이 상기 후진경사부재(42)에 대해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도록 곡면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진이격부재(43)는 작업자가 상기 후진페달판(41)을 밟음에 따라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후진페달부(4)는 상기 후진링크부(6)에 직접 결합되거나, 상기 페달샤프트를 통해 상기 후진링크부(6)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후진페달부(4)에 상기 후진이격부재(43)를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제조 공정을 생략할 수 있게 되므로, 생산비용이 절감되어 제품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6 내지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전진링크부(5)는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동력부(2)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전진링크부(5)는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연동부(7)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진링크부(5)는 상기 전진페달부(3)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연동부(7)가 이동되도록 링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전진링크부(5)는 전진회전기구(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진회전기구(51)는 상기 전진페달부(3)에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것이다. 상기 전진회전기구(51)는 상기 전진페달부(3)가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진페달부(3)가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상기 시계방향(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전진회전기구(51)는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상기 시계방향(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전진페달부(3)가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상기 반시계방향(C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전진회전기구(51)는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상기 반시계방향(C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전진회전기구(51)는 상기 연동부(7)로부터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진회전기구(51)는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연동부(7)가 연결되는 거리를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전진회전기구(51)가 비교적 큰 각도로 회전하는 경우에도, 상기 전진회전기구(51)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연동부(7)가 이동되는 거리는 상대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작업자가 상기 전진페달부(3)를 밟는 정도에 비해 상기 연동부(7)가 지나치게 큰 거리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전진페달부(3)에 대한 조작 용이성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전진회전기구(51)는 상기 전진페달부(3)에 볼트 및 너트 등의 결합부재를 통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진회전기구(51)는 상기 전진페달부(3)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진회전기구(51)는 대략적으로 장방향의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전진페달부(3)가 이동됨에 따라 함께 이동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진회전기구(51)는 상기 전진이격부재(33)를 통해 상기 좌우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후진페달부(4)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전진회전기구(51)는 전진설치부재(5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진설치부재(511)는 상기 전진회전기구(51)가 상기 전진페달부(3)에 연결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전진설치부재(511)를 통해, 상기 전진회전기구(51)는 상기 전진페달부(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진설치부재(511)는 상기 전진페달부(3)에 설치된 면적이 증대되도록 전후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후방향(Y축 방향)은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좌우방향(X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전후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전진회전기구(51) 및 상기 전진페달부(3) 사이에서의 결합력을 더 증대시키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전진페달부(3)가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전진회전기구(51)가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과정에 대한 안정성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전진회전기구(51)는 전진회전부재(5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진회전부재(512)는 상기 전진설치부재(511)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전진회전부재(512)는 상기 전진설치부재(511)가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전진회전부재(512)는 상기 전진설치부재(5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진회전부재(512)는 대략적으로 장방형의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전진설치부재(511)와 함께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전진링크부(5)는 전진전달기구(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진전달기구(52)는 상기 전진회전기구(51)와 상기 연동부(7) 각각에 연결된 것이다. 상기 전진전달기구(52)는 일측이 상기 전진회전부재(512)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연동부(7)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진전달기구(52)는 상기 전진회전기구(51) 및 상기 연동부(7)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전진회전기구(51)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연동부(7)가 이동되거나 상기 연동부(7)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전진회전기구(51)가 회전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0을 기준으로, 상기 전진회전기구(51)가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상기 시계방향(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전진전달기구(52)는 상기 전진회전기구(51)에 의해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밀려 상기 연동부(7)를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동부(7)는 상기 동력샤프트(21)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C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동부(7)가 상기 동력샤프트(21)를 중심으로 시계방향(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전진전달기구(52)는 상기 연동부(7)에 의해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밀려 상기 전진회전기구(51)를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진회전기구(51)는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상기 반시계방향(C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전진전달기구(52)는 전진좌우부재(521), 전진상하부재(522), 및 전진전후부재(5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진좌우부재(521)는 상기 좌우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전진좌우부재(521)를 통해, 상기 전진회전기구(51)는 상기 좌우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연동부(7)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전진회전기구(51)가 상기 연동부(7) 부근의 기구물로부터 상기 좌우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회전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상기 전진회전기구(51)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연동부(7) 부근의 기구물에 충돌하는 경우를 방지함으로써, 고장, 파손 등을 감소시켜 유지보수작업에 대한 주기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전진상하부재(522)는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하방향(Z축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은 상기 좌우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전후방향(Y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이다. 상기 전진상하부재(522)를 통해, 상기 전진회전기구(51)는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연동부(7)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전진회전기구(51)가 상기 연동부(7) 부근의 기구물로부터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회전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상기 전진회전기구(51)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연동부(7) 부근의 기구물에 충돌하는 경우를 방지하여 고장, 파손 등으로 인한 유지보수작업에 대한 주기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전진전후부재(523)는 상기 전후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전진전후부재(523)를 통해, 상기 전진회전기구(51)는 상기 전후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연동부(7)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전진회전기구(51)가 상기 연동부(7) 부근의 기구물로부터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회전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상기 전진회전기구(51)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연동부(7) 부근의 기구물에 충돌하는 경우를 방지하여 고장, 파손 등으로 인한 유지보수작업에 대한 주기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전진좌우부재(521), 상기 전진상하부재(522), 및 상기 전진전후부재(52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진좌우부재(521), 상기 전진상하부재(522), 및 상기 전진전후부재(523)는 하나의 봉 형태의 재질을 절곡가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진좌우부재(521), 상기 전진상하부재(522), 및 상기 전진전후부재(523)는 상기 차량본체(100) 등에 설치된 기구물을 회피하도록 각각의 배치된 위치 및 길이가 적절하게 변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후진링크부(6)는 상기 후진페달부(4) 및 상기 동력부(2)를 연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후진링크부(6)는 상기 후진페달부(4), 및 상기 연동부(7)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후진링크부(6)는 상기 후진페달부(4)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연동부(7)가 이동되도록 링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후진링크부(6)는 후진회전기구(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진회전기구(61)는 상기 후진페달부(4)에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것이다. 상기 후진회전기구(61)는 사기 후진페달부(4)가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진페달부(4)가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상기 시계방향(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후진회전기구(61)는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상기 시계방향(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후진페달부(4)가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상기 반시계방향(C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후진회전기구(61)는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상기 반시계방향(C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후진회전기구(61)는 상기 연동부(7)로부터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진회전기구(61)는 상기 후진페달부(4) 및 상기 연동부(7)가 연결되는 거리를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후진회전기구(61)가 비교적 큰 각도로 회전하는 경우에도, 상기 후진회전기구(61)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연동부(7)가 이동되는 거리는 상대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작업자가 상기 후진페달부(4)를 밟는 정도에 비해 상기 연동부(7)가 지나치게 큰 거리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후진페달부(4)에 대한 조작 용이성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후진회전기구(61)는 상기 후진페달부(6)에 볼트 및 너트 등의 결합부재를 통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후진회전기구(61)는 상기 후진페달부(4)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후진회전기구(61)는 대략적으로 장방향의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후진페달부(4)가 이동됨에 따라 함께 이동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후진회전기구(61)는 상기 후진이격부재(43)를 통해 상기 좌우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전진페달부(3)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후진회전기구(61)가 상기 전진회전기구(51)로부터 상기 좌우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는 상기 후진페달판(41)이 상기 전진페달판(31)으로부터 상기 좌우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후진경사부재(42)는 상기 전진경사부재(32)에 비해 더 큰 경사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후진회전기구(61)는 후진설치부재(6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진설치부재(611)는 상기 후진회전기구(61)가 상기 후진페달부(4)에 설치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후진설치부재(611)를 통해, 상기 후진회전기구(61)는 상기 후진페달부(4)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후진설치부재(611)는 상기 후진페달부(4)에 설치된 면적이 증대되도록 상기 전후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전후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후진회전기구(61) 및 상기 후진페달부(4) 사이에서의 결합력을 더 증대시키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후진페달부(4)가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후진회전기구(61)가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과정에 대한 안정성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후진회전기구(61)는 후진회전부재(6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진회전부재(612)는 상기 후진설치부재(611)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후진회전부재(612)는 상기 후진설치부재(611)가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후진회전부재(612)는 상기 후진설치부재(6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진회전부재(612)는 대략적으로 장방형의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후진설치부재(611)와 함께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후진회전부재(612) 및 상기 전진회전부재(512)는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진회전부재(512)는 상기 전진전달기구(52)의 일측이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기준으로 상방(U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방(U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진회전부재(612)는 상기 후진전달기구(62)의 일측이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기준으로 하방(D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방(D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후진링크부(6)는 후진전달기구(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진전달기구(62)는 상기 후진회전기구(61)와 상기 연동부(7) 각각에 연결된 것이다. 상기 후진전달기구(62)는 일측이 상기 전진회전부재(512)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연동부(7)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후진전달기구(62)는 상기 후진회전기구(61) 및 상기 연동부(7)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후진회전기구(61)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연동부(7)가 이동되거나 상기 연동부(7)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후진회전기구(61)가 회전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4를 기준으로, 상기 후진회전기구(61)가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상기 시계방향(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후진전달기구(62)는 상기 후진회전기구(61)에 의해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당겨져 상기 연동부(7)를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동부(7)는 상기 동력샤프트(21)를 중심으로 시계방향(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동부(7)가 상기 동력샤프트(21)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후진전달기구(62)는 상기 연동부(7)에 의해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당겨져 상기 후진회전기구(61)를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후진회전기구(61)는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상기 반시계방향(C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고하면, 상기 후진전달기구(62)는 후진좌우부재(621), 후진상하부재(622), 및 후진전후부재(6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진좌우부재(621)는 상기 좌우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 것이다. 상기 후진좌우부재(621)를 통해, 상기 후진회전기구(61)는 상기 좌우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연동부(7)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후진회전기구(61)가 상기 연동부(7) 부근의 기구물로부터 상기 좌우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회전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상기 후진회전기구(61)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연동부(7) 부근의 기구물에 충돌하는 경우를 방지함으로써, 고장, 파손 등을 감소시켜 유지보수작업에 대한 주기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후진상하부재(622)는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하방향(Z축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은 상기 상방(U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하방(DD 화살표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좌우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전후방향(Y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이다. 상기 후진상하부재(622)를 통해, 상기 후진회전기구(61)는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연동부(7)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후진회전기구(61)가 상기 연동부(7) 부근의 기구물로부터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회전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상기 후진회전기구(61)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연동부(7) 부근의 기구물에 충돌하는 경우를 방지함으로써, 고장, 파손 등을 감소시켜 유지보수작업에 대한 주기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후진전후부재(623)는 상기 전후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 것이다. 상기 후진전후부재(623)를 통해, 상기 후진회전기구(61)는 상기 전후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연동부(7)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후진회전기구(61)가 상기 연동부(7) 부근의 기구물로부터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회전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상기 후진회전기구(61)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연동부(7) 부근의 기구물에 충돌하는 경우를 방지함으로써, 고장, 파손 등을 감소시켜 유지보수작업에 대한 주기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후진좌우부재(621), 상기 후진상하부재(622), 및 상기 후진전후부재(62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진좌우부재(621), 상기 후진상하부재(622), 및 상기 후진전후부재(623)는 하나의 봉 형태의 재질을 절곡가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진좌우부재(621), 상기 후진상하부재(622), 및 상기 후진전후부재(623)는 상기 차량본체(100) 등에 설치된 기구물을 회피하도록 각각의 배치된 위치 및 길이가 적절하게 변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5를 참고하면, 상기 연동부(7)는 상기 전진링크부(5) 및 상기 후진링크부(6)가 연결된 것이다. 상기 연동부(7)는 상기 전진링크부(5)가 이동됨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연동부(7)는 상기 후진링크부(6)가 이동됨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연동부(7)는 상기 동력부(2)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전진링크부(5) 및 상기 후진링크부(6)가 이동되면, 상기 연동부(7)는 상기 동력부(2)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연동부(7)는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전진링크부(5) 및 상기 후진링크부(6)를 연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동력부(2),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를 연동시키는 구조가 캠 기어 구조가 아닌 링크 연결 구조로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동력부(2),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를 연동시키는 구조가 캠 기어 구조로 구현된 경우에 대비할 때, 가공하기에 복잡한 형상을 가진 기구물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동력부(2),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를 연동시키기 위한 기구물들을 가공하는데 걸리는 시간 및 가공하는데 소요되는 비용 등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연동부(7)는 상기 동력샤프트(21)에 직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연동부(7) 및 상기 동력샤프트(21)가 서로 연결되기 위한 별도의 구성 없이도 상기 연동부(7)가 상기 동력샤프트(21)에 직결됨으로써, 간략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연동부(7)를 통해 상기 동력샤프트(21)를 작동시키는 경우에 대한 안정성을 더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략한 구조를 통해 제조비용 및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상기 연동부(7)가 상기 동력부(2)를 작동시키는 기능과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작업자가 상기 차량본체(100)를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전진페달판(31)을 밟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는 상기 전진페달판(31)을 밟으면서 상기 전진페달판(31)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진페달부(3)는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상기 시계방향(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전진페달부(3)는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상기 시계방향(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전진회전기구(51)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진회전기구(51)는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상기 시계방향(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전진회전기구(51)는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상기 시계방향(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전진전달기구(52)로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전진전달기구(52)를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진전달기구(52)는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전진전달기구(52)는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연동부(7)로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연동부(7)를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동부(7)는 상기 동력샤프트(21)를 중심으로 상기 반시계방향(C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연동부(7)는 상기 동력샤프트(21)를 중심으로 상기 반시계방향(C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동력부(2)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동력부(2)는 상기 차량본체(100)를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연동부(7)는 상기 동력샤프트(21)를 중심으로 상기 반시계방향(C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후진전달기구(62)로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후진전달기구(62)를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후진전달기구(62)는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음, 상기 후진전달기구(62)는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후진회전기구(61)로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후진회전기구(61)를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후진회전기구(61)는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상기 반시계방향(C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음, 상기 후진회전기구(61)는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상기 반시계방향(C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후진페달부(4)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후진페달부(4)는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상기 반시계방향(C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차량본체(100)를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후진페달판(41)을 밟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는 상기 후진페달판(41)을 밟으면서 상기 후진페달판(41)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후진페달부(4)는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상기 시계방향(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음, 상기 후진페달부(4)는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상기 시계방향(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후진회전기구(61)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후진회전기구(61)는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상기 시계방향(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음, 상기 후진회전기구(61)는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상기 시계방향(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후진전달기구(62)로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후진전달기구(62)를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후진전달기구(62)는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음, 상기 후진전달기구(62)는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연동부(7)로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연동부(7)를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동부(7)는 상기 동력샤프트(21)를 중심으로 상기 시계방향(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연동부(7)는 상기 동력샤프트(21)를 중심으로 상기 시계방향(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동력부(2)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동력부(2)는 상기 차량본체(100)를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연동부(7)는 상기 동력샤프트(21)를 중심으로 상기 반시계방향(C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전진전달기구(52)로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전진전달기구(52)를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진전달기구(52)는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전진전달기구(52)는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전진회전기구(51)로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전진회전기구(51)를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진회전기구(51)는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상기 반시계방향(C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전진회전기구(51)는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상기 반시계방향(C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전진페달부(3)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진페달부(3)는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상기 반시계방향(C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8을 참고하면, 상기 연동부(7)는 전진연동부재(71), 후진연동부재(72), 및 이음부재(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진연동부재(71)는 상기 전진링크부(5)가 연결된 것이다. 상기 전진연동부재(71)에는 상기 전진전달기구(52)의 타측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진연동부재(71)는 상기 동력샤프트(21)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진연동부재(71)는 상기 전진전달기구(52) 및 상기 동력샤프트(21)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전진전달기구(52)는 상기 동력샤프트(21)를 기준으로 하방(DD 화살표 방향)에서 상기 전진연동부재(7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진연동부재(71)는 전체적으로 대략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전진전달기구(52) 및 상기 동력샤프트(21)를 연결하여 상호간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후진연동부재(72)는 상기 후진링크부(6)가 연결된 것이다. 상기 후진연동부재(72)에는 상기 후진전달기구(62)의 타측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후진연동부재(72)는 상기 동력샤프트(21)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진연동부재(72)는 상기 후진전달기구(62) 및 상기 동력샤프트(21)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후진전달기구(62)는 상기 동력샤프트(21)를 기준으로 하방(DD 화살표 방향)에서 상기 후진연동부재(7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후진연동부재(72)는 전체적으로 대략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후진전달기구(62) 및 상기 동력샤프트(21)를 연결하여 상호간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후진연동부재(72)는 상기 전진연동부재(71)에 대해 상기 외측방향(E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이음부재(73)는 상기 전진연동부재(71) 및 상기 후진연동부재(72) 각각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이음부재(73)는 상기 전진연동부재(71) 및 상기 후진연동부재(72)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이음부재(73)는 상기 좌우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진연동부재(71) 및 상기 후진연동부재(72)는 상기 이음부재(73)를 통해 상기 좌우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전진링크부(5) 및 상기 후진링크부(6)가 상기 좌우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전진링크부(5) 및 상기 후진링크부(6)가 이동되면서 서로 충돌함에 따라 고장,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유지보수작업에 대한 주기를 증대시켜 가동률을 증대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전진연동부재(71) 및 상기 후진연동부재(72)가 직접 결합되지 않고 상기 이음부재(73)를 통해 간접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연동부(7)가 대략적으로 ''자 형태로 형성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전진연동부재(71) 및 상기 후진연동부재(72)가 직접 결합되어 상기 연동부(7)가 대략적으로 ''자 형태로 형성되도록 구현된 비교예에 대비할 때, 상기 전진연동부재(71) 및 상기 후진연동부재(72)에 가해지는 힘이 분산되는 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연동부(7)가 작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전진연동부재(71) 및 상기 후진연동부재(72)가 상기 이음부재(73)에 대해 뒤틀리는 정도를 감소시키므로, 상기 전진연동부재(71)에 연결된 상기 전진링크부(5)와 상기 후진연동부재(72)에 연결된 상기 후진링크부(6)도 뒤틀리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후진연동부재(72)가 상기 전진연동부재(71)에 대해 상기 외측방향(E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후진링크부(6)가 상기 후진연동부재(72)에 대해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에서 상기 후진연동부재(72)에 설치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후진링크부(6)가 상기 후진연동부재(72) 및 상기 전진연동부재(71) 사이에 설치되게 됨으로써, 상기 후진링크부(6)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연동부(7) 부근의 기구물에 충돌하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고하면, 상기 이음부재(73)는 상기 전진연동부재(71)와 이루는 각도가 수직이 되도록 상기 전진연동부재(71)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후진연동부재(72)와 이루는 각도가 수직이 되도록 상기 후진연동부재(7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이음부재(73)가 상기 전진연동부재(71) 및 상기 후진연동부재(72) 각각과 이루는 각도가 예각 또는 둔각이 되도록 형성된 비교예에 대비할 때, 상기 전진연동부재(71) 및 상기 후진연동부재(72)에 가해지는 힘이 더 분산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연동부(7)가 작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전진연동부재(71) 및 상기 후진연동부재(72)가 상기 이음부재(73)에 대해 뒤틀리는 정도를 더 감소시키므로, 상기 전진연동부재(71)에 연결된 상기 전진링크부(5)와 상기 후진연동부재(72)에 연결된 상기 후진링크부(6)도 뒤틀리는 정도를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이음부재(73), 상기 전진연동부재(71), 및 상기 후진연동부재(7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음부재(73), 상기 전진연동부재(71), 및 상기 후진연동부재(72)는 하나의 판을 절곡가공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연동부(7)가 간략한 구조로 형성되도록 구현되므로, 상기 연동부(7)가 상기 동력부(2)를 작동시키는 기능과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함에 있어 상기 연동부(7)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의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이음부재(73)는 전체적으로 대략 장방형의 판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전진연동부재(71), 및 상기 후진연동부재(72)를 상기 좌우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이격시킬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9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완충부(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8)는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가 이동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완충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완충부(8)는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8)는 상기 전진페달부(3)에 연결된 경우, 상기 전진페달부(3)가 상기 시계방향(CW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전진페달부(3)에 상기 반시계방향(CCW 화살표 방향)으로 완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8)는 상기 전진페달부(3)가 상기 반시계방향(CCW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전진페달부(3)에 상기 시계방향(CW 화살표 방향)으로 완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완충부(8)는 상기 후진페달부(4)에 연결된 경우, 상기 후진페달부(4)가 상기 시계방향(CW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후진페달부(4)에 상기 반시계방향(CCW 화살표 방향)으로 완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8)는 상기 후진페달부(4)가 상기 반시계방향(CCW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후진페달부(4)에 상기 시계방향(CW 화살표 방향)으로 완충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완충부(8)는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가 중립위치에 위치하면, 완충력을 제공하지 않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작업자에 가하는 구동력에 의해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가 급작스럽게 이동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가 급작스럽게 이동됨에 따라 가용 이동범위 이상의 범위로 이동되어 상기 전진페달부(3), 상기 후진페달부(4) 등이 고장나거나 파손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9를 참고하면, 상기 완충부(8)는 완충회전부재(81) 및 완충기구(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회전부재(81)는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가 이동됨에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이다. 상기 완충회전부재(81)는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완충회전부재(81)는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완충회전부재(81)는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완충회전부재(81)는 상기 페달회전축(110)으로부터 상기 하방(D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회전부재(81)는 전진회전기구(5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완충회전부재(81)는 상기 전진회전기구(51)가 회전됨에 따라 함께 회전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완충회전부재(81)는 상기 후진회전기구(6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완충회전부재(81)는 상기 후진회전기구(61)가 회전됨에 따라 함께 회전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완충회전부재(81)는 전체적으로 대략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완충기구(82)는 상기 완충회전부재(81)에 완충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완충회전부재(81)에 설치된 것이다. 상기 완충기구(82)는 상기 완충회전부재(81) 및 상기 차량본체(100)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완충기구(82)는 상기 완충회전부재(81)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완충회전부재(81)가 회전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완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9를 기준으로,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완충회전부재(81)가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상기 시계방향(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완충기구(82)는 상기 반시계방향(CCW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완충회전부재(81)에 완충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완충회전부재(81)가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상기 반시계방향(C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완충기구(82)는 상기 시계방향(CW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완충회전부재(81)에 완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완충기구(82)는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기준으로 하방(D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완충기구(82)는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기준으로 하방(DD 화살표 방향)에서 상기 차량본체(100) 및 상기 완충회전부재(81)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완충기구(82)가 복잡한 링크 구조를 가진 상기 페달회전축(110) 부근의 기구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완충력을 제공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완충기구(82)가 상기 완충회전부재(81)에 완충력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상기 페달회전축(110) 부근의 기구물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완충기구(82)가 파손되거나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완충기구(82)의 반복적인 동작으로 인해 노후화가 진행된 경우, 작업자가 상기 차량본체(100)의 하부에서 다른 기구물의 간섭 없이 교체, 수리 등의 유지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완충기구(82)는 상기 완충회전부재(81)가 회전함에 따라 길이가 증가하거나 감소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완충기구(82)는 길이가 증가하거나 감소됨에 따라 원래의 길이로 돌아가는 방향으로 완충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완충기구(82)는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가 중립위치에 위치하였을 때 원래의 길이를 갖는 상태가 되도록 상기 차량본체(100) 및 상기 완충회전부재(81)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완충기구(82)는 상기 완충회전부재(81)에 완충력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완충기구(82)는 스프링을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완충회전부재(81)에 완충력을 제공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완충기구(82)는 유압실린더 등을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중립부(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립부(9)는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가 중립위치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중립부(9)는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가 이동됨에 따라 이동되는 작동기구(91), 상기 차량본체(10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기구(92), 및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가 중립위치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기구(9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5를 참고하면, 상기 작동기구(91)는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가 이동됨에 따라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작동기구(91)는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가 중립위치에서 벗어나게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에 연동되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작동기구(91)는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가 중립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에 연동되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작동기구(91)는 상기 동력부(2)에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2를 참고하면, 상기 작동기구(91)는 상기 연동부(7)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작동기구(91)는 연동부(7)가 상기 동력샤프트(21)를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연동부(7)가 상기 동력부(2)를 작동시키는 기능,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뿐만 아니라 상기 중립부(9)를 작동시키는 기능까지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차량본체(100)에 설치되어야 하는 기구물의 수가 더 감소되므로, 생산 및 유지보수에 소모되는 비용을 더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작동기구(91)는 상기 전진연동부재(71) 및 상기 후진연동부재(7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작동기구(91)는 상기 연동부(7)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작동기구(91)는 상기 연동부(7)에 대해 상기 하방(DD 화살표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연동부(7)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5를 참고하면, 상기 작동기구(91)는 캠부재(911), 캠홈(9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캠부재(911)는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 각각이 동작함에 따라 상기 동력샤프트(21)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상기 캠부재(911)는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중립위치로부터 벗어나도록 이동되면 상기 동력샤프트(21)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캠부재(911)는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가 중립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동력샤프트(21)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원래의 위치로 돌아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가 중립위치로부터 벗어나도록 이동되는 경우와 다시 중립위치로 이동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911)는 상기 동력샤프트(21)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캠홈(912)은 상기 이동기구(92)가 삽입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캠홈(912)은 상기 캠부재(91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캠홈(912)은 상기 이동기구(92)를 향하는 상기 캠부재(911)의 일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후퇴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가 중립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캠홈(912)에는 상기 이동기구(92)가 삽입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 중에서 어느 하나가 중립위치에서 벗어나면, 상기 캠부재(911)는 상기 동력샤프트(21)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캠홈(912)에 삽입되어 있던 상기 이동기구(92)를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기구(92)는 이동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6을 참고하면, 상기 이동기구(92)는 상기 작동기구(91)가 이동됨에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차량본체(10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이다.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작동기구(91)가 이동되면, 상기 이동기구(92)는 상기 작동기구(91)가 이동됨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동기구(92)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감지기구(93)에는 상기 이동기구(92)가 접촉될 수도 있고, 상기 이동기구(92)가 접촉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20 내지 도 26을 참고하면, 상기 이동기구(92)는 접촉부재(9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재(921)는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가 중립위치에 위치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감지기구(93)에 접촉되는 것이다. 상기 접촉부재(921)는 상기 차량본체(10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재(921)는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가 중립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감지기구(93)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재(921)는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 중 어느 하나가 중립위치에서 벗어난 경우 상기 감지기구(93)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재(921)는 상기 작동기구(91)가 이동됨에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감지기구(93)에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촉부재(921)는 상기 캠부재(911)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연동부(7)로부터 상기 하방(D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연동부(7) 부근의 다른 기구물이 상기 접촉부재(921)의 이동경로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함으로써, 상기 접촉부재(921)가 이동될 때 상기 연동부(7) 부근의 다른 기구물에 충돌하지 않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접촉부재(921)가 충돌에 의해 고장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상기 접촉부재(921)의 교체 주기를 연장시켜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23 내지 도 26을 참고하면, 상기 접촉부재(921)는 접촉면(921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면(921a)은 상기 감지기구(93)에 접촉되는 것이다. 상기 접촉면(921a)은 상기 감지기구(93)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접촉부재(921)의 일면(一面)일 수 있다. 상기 접촉부재(921)는 상기 접촉면(921a)을 통해 상기 감지기구(93)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감지기구(93)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접촉면(921a)은 평면(平面)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감지기구(93)에 접촉될 수 있는 형태이면 곡면 등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0 내지 도 25를 참고하면, 상기 이동기구(92)는 이동부재(922) 및 연결부재(9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922)는 상기 차량본체(100)에 설치된 것이다. 상기 이동부재(922)는 상기 이동축(922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차량본체(10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922)는 상기 작동기구(91)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이동축(922a)을 중심으로 상기 시계방향(CW 화살표 방향) 및 상기 반시계방향(C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922)가 상기 이동축(922a)을 중심으로 상기 시계방향(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접촉부재(921)는 상기 감지기구(93)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922)가 상기 이동축(922a)을 중심으로 상기 반시계방향(C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접촉부재(921)는 상기 감지기구(93)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923)는 상기 이동부재(922) 및 상기 접촉부재(921) 각각에 설치된 것이다. 상기 연결부재(923)는 상기 이동축(922a)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이동부재(92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923)는 상기 이동부재(922)가 상기 이동축(922a)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이동축(922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동부재(922)가 상기 이동축(922a)을 중심으로 상기 시계방향(CW 화살표 방향) 및 상기 반시계방향(C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연결부재(923)는 상기 이동축(922a)을 중심으로 상기 시계방향(CW 화살표 방향) 및 상기 반시계방향(C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923)는 상기 이동부재(922)로부터 상기 하방(D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이동부재(92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923)는 상기 접촉부재(921)가 상기 연동부(7)로부터 상기 하방(D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감지기구(93)에 접촉되도록 상기 이동부재(922)로부터 상기 하방(D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이동부재(922)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촉부재(921)는 상기 작동기구(91)가 이동도미에 따라 상기 이동축(922a)을 중심으로 상기 연동부(7)로부터 상기 하방(D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이동경로를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5를 참고하면, 상기 이동기구(92)는 가압부재(9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924)는 상기 캠부재(911)에 의해 가압되는 것이다. 상기 가압부재(924)는 상기 캠부재(911)에 대해 상기 하방(D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924)는 상기 이동축(922a)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이동부재(92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924)는 상기 캠부재(911)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캠부재(911)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이동축(922a)을 중심으로 가압된 방향으로 공전(公轉)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6을 참고하면, 상기 중립부(9)는 감지기구(9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기구(93)는 상기 접촉부재(921)의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가 중립위치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이다. 상기 감지기구(93)는 상기 접촉부재(921)가 접촉된 경우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가 중립위치에 위치한 것이고, 상기 접촉부재(921)가 접촉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 중 어느 하나가 중립위치에서 벗어난 것임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동력부(2)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감지기구(93)를 이용하여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가 중립위치에서 벗어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동력부(2)의 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가 중립위치에 위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동력부(2)에 시동이 걸리게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자가 조작하지 않더라도 상기 차량본체(100)가 임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에 대한 안전성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도 26을 참고하면, 상기 감지기구(93)는 감지면(9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면(931)은 상기 접촉면(921a)이 접촉되는 것이다. 상기 감지기구(93)는 상기 감지면(931)이 상기 접촉면(921a)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면(931)은 상기 감지기구(93)의 외면 중 일부분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접촉면(921a)이 상기 감지면(931)에 접촉되면, 상기 감지기구(93)는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가 중립위치에 위치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면(931)은 상기 접촉면(921a)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감지기구(93)가 상기 접촉부재(921)를 감지하는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접촉면(921a)이 접촉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6을 참고하면, 상기 접촉면(921a)은 상기 감지면(931)에 비해 더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면(921a)은 상기 감지며(931)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감지면(931)에 비해 더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접촉부재(921)에서 상기 감지기구(93)에 접촉 가능한 접촉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서로 간의 접촉을 위해 상기 접촉면(921a) 및 상기 감지면(931)의 위치를 정렬하는 정렬작업에 대한 정확도를 완화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접촉부재(921) 및 상기 감지기구(93)를 설치하는 설치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노후화 등으로 인해 상기 감지기구(93) 및 상기 접촉부재(921)가 초기 설치위치로부터 소정의 범위 이내로 이동되더라도, 상기 접촉면(921a)이 상기 감지면(931)에 접촉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서로 간의 접촉을 위해 상기 접촉면(921a) 및 상기 감지면(931)의 위치를 정렬하는 정렬작업에 대한 수행 주기를 늘릴 수 있으므로, 가동률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5를 참고하면, 상기 중립부(9)는 탄성기구(9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기구(94)는 상기 이동기구(92)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탄성기구(94)는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가 중립위치에서 벗어남에 따라 상기 접촉부재(921)가 상기 감지기구(93)로부터 이격되면, 상기 접촉부재(921)를 상기 감지기구(93)에 접촉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이동기구(92)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가 중립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접촉부재(921)가 상기 감지기구(93)에 접촉된 경우, 외부에서 별도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상기 접촉부재(921)가 상기 감지기구(93)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접촉부재(921)가 상기 감지기구(93)로부터 임의로 이격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오작동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성능을 더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탄성기구(94)는 일측이 상기 이동부재(922)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차량본체(10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기구(94)는 본래의 길이에서 상기 이동부재(922)의 회전에 의해 수축 또는 연장되게 변형됨으로써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탄성기구(94)가 상기 이동부재(922)에 탄성력을 제공함에 따라 상기 접촉부재(921)가 상기 감지기구(93)에 접촉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가 중립위치에서 벗어남에 따라 상기 접촉부재(921)가 상기 감지기구(93)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 상기 탄성기구(94)에는 변형으로 인한 탄성력이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이동부재(922)는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가 상기 중립위치에서 벗어남에 따라 상기 이동축(922a)을 중심으로 상기 시계방향(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탄성기구(94)의 길이가 늘어나도록 상기 탄성기구(94)를 당길 수 있다.
다음,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가 중립위치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탄성기구(94)는 탄성력으로 상기 이동부재(922)를 상기 반시계방향(C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탄성기구(94)는 원래의 길이가 되도록 짧아지면서 상기 이동부재(922)를 당겨서 상기 이동축(922a)을 중심으로 상기 반시계방향(C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922)는 상기 탄성기구(94)로부터 전달받은 탄성력을 상기 연결부재(923)으로 전달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연결부재(923)는 상기 이동부재(922)로부터 탄성력을 전달받아 상기 이동축(922a)을 중심으로 상기 반시계방향(CCW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접촉부재(921)는 상기 감지기구(93)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감지기구(93)는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가 중립위치에 위치하였다고 감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제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한부(120)는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 중에서 어느 하나가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는 것이다. 상기 제한부(120)는 상기 전진페달부(3)가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진페달부(3)에 연동되어 상기 전진페달부(3)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후진페달부(4)도 이동 가능한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120)는 상기 후진페달부(4)가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후진페달부(4)에 연동되어 상기 후진페달부(4)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전진페달부(3)도 이동 가능한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제한부(120)를 통해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가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가 작업자의 조작 등으로 인해 지나치게 큰 거리로 이동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가 고장나거나 파손됨에 따라 유지보수를 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감소시킴으로써, 가동률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가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제한부(120)가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 중에서 어느 하나가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제한부(120)가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더 적게 필요로 하므로, 공간활용도를 더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 주변에 구조물, 기구물 등을 배치하는 설계에 대한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한부(120)는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 중에서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120)는 상기 전진페달부(3)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전진페달부(3)가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한부(120)는 상기 후진페달부(3)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후진페달부(3)가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제한부(120)는 지지부재(121), 제1걸림부재(122), 및 제2걸림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21)는 상기 차량본체(100)에 연결되도록 설치된 것이다. 상기 지지부재(121)는 상기 차량본체(10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21)는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에 자기력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석(미도시)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차량본체(100)에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재(121)는 상기 제1걸림부재(122) 및 상기 제2걸림부재(123)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21)는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걸림부재(122) 및 상기 제2걸림부재(123)가 이동되면, 상기 제1걸림부재(122) 및 상기 제2걸림부재(123)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는 이동 가능한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부재(122)는 상기 하방(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121)에 걸림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제1걸림부재(122)는 상기 지지부재(121)에 걸림을 형성하면, 상기 지지부재(121)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하방(DD 화살표 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되지 않게 된다. 상기 제1걸림부재(122)는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 중에서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제1걸림부재(122)가 상기 후진페달부(4)에 설치된 경우를 기준으로 상기 제1걸림부재(122)가 상기 지지부재(121)에 걸림을 형성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상기 후진페달판(41)을 상기 하방(DD 화살표 방향)으로 밟음으로써, 상기 후진페달부(4)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걸림부재(122)는 상기 후진페달부(4)와 함께 상기 하방(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1걸림부재(122)는 상기 하방(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다가 상기 지지부재(121)에 걸릴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21)는 상기 차량본체(100)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므로, 상기 제1걸림부재(122)를 지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걸림부재(122)는 더 이상 상기 하방(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되므로, 상기 후진페달부(4)가 상기 하방(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진페달부(3)는 상기 후진페달부(4)에 연동되므로, 상기 상방(U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부재(122)는 상기 지지부재(121)에 대해 상기 상방(U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부재(122)는 상기 제2걸림부재(123)가 상기 전진페달부(3)에 설치된 경우, 상기 전진페달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부재(122)는 상기 제2걸림부재(123)가 상기 후진페달부(4)에 설치된 경우, 상기 후진페달부(4)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걸림부재(122)는 상기 지지부재(121)에 걸림을 형성하도록 상기 전진페달부(3) 또는 상기 후진페달부(4)로부터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부재(123)는 상기 상방(U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121)에 걸림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제2걸림부재(123)는 상기 지지부재(121)에 걸림을 형성하면, 상기 지지부재(121)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상방(UD 화살표 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되지 않게 된다. 상기 제2걸림부재(123)는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 중에서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제2걸림부재(123)가 상기 후진페달부(4)에 설치된 경우를 기준으로, 상기 제2걸림부재(123)가 상기 지지부재(121)에 걸림을 형성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상기 전진페달판(31)을 상기 하방(DD 화살표 방향)으로 밟음으로써, 상기 후진페달부(4)를 상기 상방(U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걸림부재(123)는 상기 후진페달부(4)와 함께 상기 상방(U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2걸림부재(123)는 상기 상방(U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다가 상기 지지부재(121)에 걸릴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21)는 상기 차량본체(100)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므로, 상기 제2걸림부재(123)를 지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걸림부재(123)는 더 이상 상기 상방(U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되므로, 상기 후진페달부(4)가 상기 상방(U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진페달부(3)는 상기 후진페달부(4)에 연동되므로, 상기 하방(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부재(123)는 상기 지지부재(121)에 대해 상기 하방(D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부재(123)는 상기 제1걸림부재(122)가 상기 전진페달부(3)에 설치된 경우, 상기 전진페달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부재(123)는 상기 제1걸림부재(122)가 상기 후진페달부(4)에 설치된 경우, 상기 후진페달부(4)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걸림부재(123)는 상기 지지부재(121)에 걸림을 형성하도록 상기 전진페달부(3) 또는 상기 후진페달부(4)로부터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농업용 작업차량 2 : 동력부
3 : 전진페달부 4 : 후진페달부
5 : 전진링크부 6 : 후진링크부
7 : 연동부 8 : 완충부
9 : 중립부 21 : 동력샤프트
31 : 전진페달판 32 : 전진경사부재
33 : 전진이격부재 41 : 후진페달판
42 : 후진경사부재 43 : 후진이격부재
51 : 전진회전기구 52 : 전진전달기구
61 : 후진회전기구 62 : 후진전달기구
71 : 전진연동부재 72 : 후진연동부재
73 : 이음부재 81 : 완충회전부재
82 : 완충기구 91 : 작동기구
92 : 이동기구 93 : 감지기구
94 : 탄성기구 100 : 차량본체
110 : 페달회전축 120 : 제한부
121 : 지지부재 122 : 제1걸림부재
123 : 제2걸림부재 511 : 전진설치부재
512 : 전진회전부재 521 : 전진좌우부재
522 : 전진상하부재 523 : 전진전후부재
611 : 후진설치부재 612 : 후진회전부재
621 : 후진좌우부재 622 : 후진상하부재
623 : 후진전후부재 911 : 캠부재
921 : 접촉부재 922 : 이동부재
923 : 연결부재 931 : 감지면
3 : 전진페달부 4 : 후진페달부
5 : 전진링크부 6 : 후진링크부
7 : 연동부 8 : 완충부
9 : 중립부 21 : 동력샤프트
31 : 전진페달판 32 : 전진경사부재
33 : 전진이격부재 41 : 후진페달판
42 : 후진경사부재 43 : 후진이격부재
51 : 전진회전기구 52 : 전진전달기구
61 : 후진회전기구 62 : 후진전달기구
71 : 전진연동부재 72 : 후진연동부재
73 : 이음부재 81 : 완충회전부재
82 : 완충기구 91 : 작동기구
92 : 이동기구 93 : 감지기구
94 : 탄성기구 100 : 차량본체
110 : 페달회전축 120 : 제한부
121 : 지지부재 122 : 제1걸림부재
123 : 제2걸림부재 511 : 전진설치부재
512 : 전진회전부재 521 : 전진좌우부재
522 : 전진상하부재 523 : 전진전후부재
611 : 후진설치부재 612 : 후진회전부재
621 : 후진좌우부재 622 : 후진상하부재
623 : 후진전후부재 911 : 캠부재
921 : 접촉부재 922 : 이동부재
923 : 연결부재 931 : 감지면
Claims (10)
- 차량본체(100)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부(2);
상기 차량본체(100)에 설치된 전진페달부(3);
상기 차량본체(100)에 설치된 후진페달부(4);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동력부(2)를 연결하는 전진링크부(5);
상기 후진페달부(4) 및 상기 동력부(2)를 연결하는 후진링크부(6); 및
상기 전진링크부(5) 및 상기 후진링크부(6) 각각이 연결되어서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를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동력부(2)를 작동시키는 연동부(7)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부(7)는 상기 전진링크부(5)가 연결된 전진연동부재(71), 상기 후진링크부(6)가 연결된 후진연동부재(72), 및 상기 전진연동부재(71)와 상기 후진연동부재(72)를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전진연동부재(71)와 상기 후진연동부재(72)의 사이에 배치된 이음부재(73)를 포함하고,
상기 이음부재(73)는 상기 전진링크부(5) 및 상기 후진링크부(6)가 좌우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좌우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후진링크부(6)는 상기 전진연동부재(71)와 상기 후진연동부재(72)의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진링크부(5)는 상기 전진페달부(3)에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전진회전기구(51), 및 상기 전진회전기구(51)와 상기 연동부(7) 각각에 연결된 전진전달기구(52)를 포함하며,
상기 후진링크부(6)는 상기 후진페달부(4)에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후진회전기구(61), 및 상기 후진회전기구(61)와 상기 연동부(7) 각각에 연결된 후진전달기구(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2)는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가 이동됨에 따라 회전하는 동력샤프트(21)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부(7)는 상기 동력샤프트(21)에 직결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진회전기구(51)는 상기 전진전달기구(52)의 일측이 연결된 전진회전부재(512)를 포함하고,
상기 후진회전기구(61)는 상기 후진전달기구(62)의 일측이 연결된 후진회전부재(612)를 포함하며,
상기 전진회전부재(512) 및 상기 후진회전부재(612)는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진링크부(5)는 상기 전진페달부(3)에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전진회전기구(51), 및 상기 전진회전기구(51)와 상기 연동부(7) 각각에 설치된 전진전달기구(52)를 포함하며,
상기 전진전달기구(52)는 상기 전진회전기구(51)가 좌우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연동부(7)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좌우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 전진좌우부재(521), 상기 전진회전기구(51)가 상하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연동부(7)로부터 이격되도록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상하방향(Z축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된 전진상하부재(522), 및 상기 전진회전기구(51)가 전후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연동부(7)로부터 이격되도록 전후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 전진전후부재(5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진페달부(4)는 상기 전진페달부(3)로부터 좌우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된 후진이격부재(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가 이동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완충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 완충부(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8)는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가 이동됨에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완충회전부재(81), 및 상기 완충회전부재(81)에 연결되어 상기 완충회전부재(81)에 완충력을 제공하는 완충기구(82)를 포함하고,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는 페달회전축(11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차량본체(100)에 설치되며,
상기 완충기구(82)는 상기 페달회전축(110)을 기준으로 하방(D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 중에서 어느 하나가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함에 따라 상기 전진페달부(3) 및 상기 후진페달부(4)가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는 제한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120)는 상기 차량본체(100)에 연결되도록 설치된 지지부재(121), 하방(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121)에 걸림을 형성하는 제1걸림부재(122), 및 상방(U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121)에 걸림을 형성하는 제2걸림부재(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8/006297 WO2019078442A1 (ko) | 2017-10-18 | 2018-06-01 | 농업용 작업차량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35255 | 2017-10-18 | ||
KR20170135255 | 2017-10-1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43450A KR20190043450A (ko) | 2019-04-26 |
KR102475753B1 true KR102475753B1 (ko) | 2022-12-08 |
Family
ID=66281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61087A KR102475753B1 (ko) | 2017-10-18 | 2018-05-29 | 농업용 작업차량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7575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94104B1 (ko) * | 2020-05-15 | 2021-08-26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농업용 작업차량 |
KR102610398B1 (ko) * | 2020-11-19 | 2023-12-07 | 주식회사 티와이엠 | 작업차의 동력 전달 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76525A (ja) | 2004-09-13 | 2006-03-23 | Yanmar Co Ltd | 走行車両の変速操作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69097B1 (ko) * | 2004-10-05 | 2010-07-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가속 페달의 스톱퍼 장치 |
KR20170000817U (ko) * | 2015-08-25 | 2017-03-07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작업기계 |
KR102464872B1 (ko) * | 2016-01-11 | 2022-11-09 | 주식회사 대동 | 작업차의 주행 조작 장치 |
-
2018
- 2018-05-29 KR KR1020180061087A patent/KR10247575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76525A (ja) | 2004-09-13 | 2006-03-23 | Yanmar Co Ltd | 走行車両の変速操作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43450A (ko) | 2019-04-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75753B1 (ko) | 농업용 작업차량 | |
CN101688381B (zh) | 用于连接执行机构和机器臂的快速联接器组件 | |
EP2327515B1 (en) | Head type male screw sending and separating feeding apparatus | |
US5147173A (en) | Coupling device | |
CN102233833B (zh) | 用于调整车辆座椅高度的装置 | |
EP1859670B1 (en) | An agricultural machine | |
EP1987967B1 (en) | Sliding tow hook for farming machines | |
CN104608752A (zh) | 踏板的安全释放系统 | |
US20210009059A1 (en) | Front guard for working vehicle | |
US8220582B2 (en) | Working vehicle | |
EP3097762B1 (en) | Header carrying structure for combine | |
KR102313823B1 (ko) | 자탈형 콤바인 | |
KR102606159B1 (ko) | 수확기 | |
US8505646B2 (en) | Cab and motor grader | |
CN101675203B (zh) | 小齿轮 | |
CN101846180A (zh) | 齿轮变速箱档位操纵杆锁定装置 | |
US9317058B2 (en) | Pedal assembly module | |
JP5960416B2 (ja) | 田植機 | |
JP6783427B2 (ja) | 作業車輌 | |
TWI793228B (zh) | 作業車輛 | |
CN110432004B (zh) | 转向机构 | |
JP5863431B2 (ja) | 田植機 | |
KR102369365B1 (ko) | 트랙터용 써레 | |
JP5701669B2 (ja) | 田植機 | |
CN113236391B (zh) | 一种可变气门升程系统轴套调节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