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5365B1 - 하우징 일체형 브레이크 - Google Patents

하우징 일체형 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5365B1
KR102475365B1 KR1020210054802A KR20210054802A KR102475365B1 KR 102475365 B1 KR102475365 B1 KR 102475365B1 KR 1020210054802 A KR1020210054802 A KR 1020210054802A KR 20210054802 A KR20210054802 A KR 20210054802A KR 102475365 B1 KR102475365 B1 KR 102475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ing
housing
brake
coupled
br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4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7820A (ko
Inventor
서병길
서준혁
Original Assignee
서병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병길 filed Critical 서병길
Priority to KR1020210054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5365B1/ko
Publication of KR20220147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7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5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5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22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pressing members apart, e.g. for drum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1/0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 F16D51/16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 F16D51/18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with two brake-shoes
    • F16D51/2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with two brake-shoes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from their pivots
    • F16D51/22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with two brake-shoes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from their pivots mechanically actu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9/00Friction linings; Attachment thereof; Selection of coacting friction substances or surfaces
    • F16D69/04Attachment of linings
    • F16D69/0416Attachment of linings specially adapted for curved linings

Abstract

일체형으로 형성된 하우징 브레이크에 대해 개시된다.
개시된 하우징 일체형 브레이크는 우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좌측 중앙에는 제1 관통공(110)이 형성되며, 좌측면이 변속기커버(10)에 결합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우측에 결합되어 하우징(100)을 밀폐하는 하우징커버(200);
상기 제1 관통공(110)에 삽입되어 결합되되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하는 제동축(300);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동축(300)에 제동력을 전달하는 브레이크드럼(400)과 라이닝(500);
상기 라이닝(500)의 일측에 결합되되 외력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라이닝(500)을 브레이크드럼(400)쪽으로 밀착시키는 제동 레버(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우징 일체형 브레이크{Brake with integrated Housing}
본 발명은 하우징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라이닝이 하우징의 좌측 내측면에 결합됨으로써 브레이크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브레이크드럼이 라이닝을 감싸도록 제동축에 결합됨으로써 브레이크드럼과 라이닝 사이의 마찰부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하우징 일체형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사용되는 제동 장치는 유압식이 많이 사용되며, 오일에 의한 유압력을 이용하여 마찰저항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제동장치는 운전석에 형성된 브레이크 페달에 의해 운전자의 조작력을 링크에 전달하는 조작기구와, 그 힘을 받아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브레이크로 이루어진다.
유압식 제동 장치는 그 형상에 따라 드럼형 브레이크와 디스크형 브레이크로 나누어진다.
통상적인 드럼형 브레이크는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삽입된 드럼, 드럼 내부에 삽입되어 선택적으로 마찰 저항을 발생시킬 수 있는 라이닝, 그리고 하우징커버로 구성된다.
드럼은 라이닝과의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제동축에 결합되어 제동축과 함께 회전한다.
종래의 드럼형 브레이크는 라이닝이 하우징을 밀폐시키는 하우징커버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있었다.
종래와 같은 라이닝의 결합 방식으로 인해 브레이크의 안정성에 대한 우려가 있었다.
하우징커버는 수시로 장탈착되므로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핵심부품인 라이닝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중량이 가벼워 라이닝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유지 보수를 위해 하우징커버를 열고 닫는 과정에서 드럼과 라이닝이 노출되어 드럼과 라이닝의 마찰부에 수분이 침투되기도 한다.
드럼과 라이닝의 마찰부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에 의해 제동력이 발생하는데, 그 마찰부에 수분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면 제동 성능을 저하시키는 치명적인 원인이 된다.
따라서, 드럼형 브레이크의 안정성을 높이고, 드럼과 라이닝의 내부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브레이크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5-007056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라이닝이 하우징의 좌측 내측면에 결합됨으로써 브레이크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브레이크드럼이 라이닝을 감싸도록 제동축에 결합됨으로써 브레이크드럼과 라이닝 사이의 마찰부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브레이크드럼과 라이닝 사이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수분으로 인한 제동 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유지.보수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우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좌측 중앙에는 제1 관통공이 형성되며, 좌측면이 변속기커버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우측에 결합되어 하우징을 밀폐하는 하우징커버;
상기 제1 관통공에 삽입되어 결합되되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하는 제동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동축에 제동력을 전달하는 브레이크드럼과 라이닝;
상기 라이닝의 일측에 결합되되 외력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라이닝을 브레이크드럼쪽으로 밀착시키는 제동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브레이크드럼은 제동축에 결합되어 제동축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라이닝은 중앙에 제2 관통공이 형성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좌측 내측면에 결합됨으로써 브레이크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브레이크드럼은 좌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라이닝을 감싸도록 상기 제동축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브레이크드럼과 라이닝 사이의 마찰부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일체형 브레이크는 라이닝이 하우징의 좌측 내측면에 결합됨으로써 브레이크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브레이크드럼이 라이닝을 감싸도록 제동축에 결합됨으로써 브레이크드럼과 라이닝 사이의 마찰부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브레이크드럼과 라이닝 사이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수분으로 인한 제동 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유지.보수 비용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일체형 브레이크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일체형 브레이크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일체형 브레이크의 제동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일체형 브레이크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일체형 브레이크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일체형 브레이크의 제동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일체형 브레이크는 하우징(100), 하우징커버(200), 제동축(300), 브레이크드럼(400), 라이닝(500), 제동 레버(600)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하우징(100)은 우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좌측 중앙에는 제1 관통공(110)이 형성된다.
하우징(100)은 변속기커버(10)의 일측에 결합된다.
하우징커버(200)는 하우징(100)의 우측에 결합되어 하우징(100)을 밀폐시키며, 필요 시 장탈착이 가능하다.
제동축(300)은 제1 관통공(110)에 삽입되어 결합되되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한다.
브레이크드럼(400)과 라이닝(500)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동축(300)에 제동력을 전달한다.
제동 레버(600)는 라이닝(500)의 일측에 결합되되, 외력에 의해 조작되어 라이닝(500)을 브레이크드럼(400)쪽으로 밀착시키는 구성이다.
통상적으로 드럼형 브레이크는 라이닝(500)과 브레이크드럼(400)의 선택적인 마찰저항에 의해 제동력이 발생된다.
종래의 드럼형 브레이크는 라이닝(500)이 하우징(100)을 밀폐시키는 하우징커버(200)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있었다.
종래와 같은 라이닝(500)의 결합 방식으로 인해 브레이크의 안정성에 대한 우려가 있었다.
하우징커버(200)는 수시로 장탈착되므로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핵심부품인 라이닝(500)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중량이 가벼워 라이닝(5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유지 보수를 위해 하우징커버(200)를 열고 닫는 과정에서 브레이크드럼(400)과 라이닝(500)이 노출되어 브레이크드럼(400)과 라이닝(500)의 마찰부(540)에 수분이 침투되기도 한다.
보통 브레이크드럼(400)과 라이닝(500)의 마찰부(540)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에 의해 제동력이 발생하는데, 그 마찰부(540)에 수분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면 제동 성능을 저하시키는 치명적인 원인이 된다.
이에 본 발명은 라이닝(500)을 하우징(100) 내부에 결합시키고, 브레이크드럼(400)이 하우징커버(200)의 반대쪽으로 하우징(100)을 감싸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드럼(400)은 제동축(300)에 결합되어 제동축(300)과 함께 회전한다.
또한, 라이닝(500)은 중앙에 제2 관통공(530)이 형성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100)의 좌측 내측면에 결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500)은 하우징커버(200)가 아닌, 하우징(100)의 내측에 결합됨으로써 브레이크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도록 하였다.
변속기커버(10)에 결합된 하우징(100)은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라이닝(500)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빈번하게 장탈착되는 하우징커버(200)에 장착되지 않도록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제동장치의 핵심부품인 라이닝(500)의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500)은 브레이크드럼(400)과 하우징(100)에 의해 2중으로 감싸도록 결합된다.
브레이크드럼(400)은 좌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라이닝(500)을 감싸도록 제동축(300)에 결합됨으로써, 브레이크드럼(400)과 라이닝(500) 사이의 마찰부(540)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한다.
우측으로 개구된 원통 형상의 하우징(100) 내부에 좌측으로 개구된 원통 형상의 브레이크드럼(400)을 포개어 결합함으로써 내부에 라이닝(500)을 수용할 공간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하우징커버(200)가 개방되더라도 라이닝(50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브레이크드럼(400)이 감싸고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브레이크드럼(400)과 라이닝(500) 사이의 마찰부(540)에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수분으로 인한 제동 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유지.보수 비용을 감소시킨다.
도 3(a)는 구동 상태의 브레이크드럼(400)과 라이닝(500)의 단면도를 나타내며, 도 3(b)는 제동 레버(600)에 의해 조작된 제동 상태의 브레이크드럼(400)과 라이닝(500)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제1 라이닝(510)과 제2 라이닝(520)은 말발굽 형상으로 형성되되, 제1 라이닝(510)과 제2 라이닝(520)이 결합되어 전체적으로는 링 형상을 이룬다.
브레이크드럼(400)은 라이닝(500)과의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제동축(300)에 결합되어 제동축(300)과 함께 회전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시에는 브레이크드럼(400)과 라이닝(500)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소정 간격이 형성되어, 브레이크드럼(400)과 라이닝(500)이 마찰되지 않는다.
반면, 제동 시에는 도 3(b)와 같이 제동 레버(600)를 조작하여 브레이크드럼(400)과 라이닝(500)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소정 간격을 좁혀, 브레이크드럼(400)의 내주면과 라이닝(500)의 외주면이 마찰되도록 한다.
즉 제동 레버(600)를 조작하여 선택적으로 브레이크드럼(400)과 라이닝(500)이 마찰됨으로써 제동력이 발생하는 것이다.
제동 시, 외력에 의해 제동 레버(600)가 소정 각도 회전하여 제1 라이닝(510)과 제2 라이닝(520)의 사이가 벌어지게 된다.
제1 라이닝(510)과 제2 라이닝(520)에 결합된 스프링(450)은 제1 라이닝(510)과 제2 라이닝(520)을 지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구동 시에는 제동 레버(600)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1 라이닝(510)과 제2 라이닝(520)은 스프링(450)에 의해 모아진다.
본 발명은 하우징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라이닝이 하우징의 좌측 내측면에 결합됨으로써 브레이크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브레이크드럼이 라이닝을 감싸도록 제동축에 결합됨으로써 브레이크드럼과 라이닝 사이의 마찰부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하우징 일체형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 변속기커버
100 : 하우징
110 : 제1 관통공
200 : 하우징커버
300 : 제동축
400 : 브레이크드럼
450 : 스프링
500 ; 라이닝
510 : 제1 라이닝
520 : 제2 라이닝
530 : 제2 관통공
540 : 마찰부
600 : 제동 레버

Claims (3)

  1. 우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좌측 중앙에는 제1 관통공(110)이 형성되며, 좌측면이 변속기커버(10)에 결합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우측에 결합되어 하우징(100)을 밀폐하는 하우징커버(200);
    상기 제1 관통공(110)에 삽입되어 결합되되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하는 제동축(300);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동축(300)에 제동력을 전달하는 브레이크드럼(400)과 라이닝(500);
    상기 라이닝(500)의 일측에 결합되되 외력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라이닝(500)을 브레이크드럼(400)쪽으로 밀착시키는 제동 레버(600);를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드럼(400)은 제동축(300)에 결합되어 제동축(300)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라이닝(500)은 중앙에 제2 관통공(530)이 형성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좌측 내측면에 결합됨으로써 브레이크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일체형 브레이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드럼(400)은 좌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라이닝(500)을 감싸도록 상기 제동축(30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브레이크드럼(400)과 라이닝(500) 사이의 마찰부(540)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일체형 브레이크

KR1020210054802A 2021-04-28 2021-04-28 하우징 일체형 브레이크 KR102475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802A KR102475365B1 (ko) 2021-04-28 2021-04-28 하우징 일체형 브레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802A KR102475365B1 (ko) 2021-04-28 2021-04-28 하우징 일체형 브레이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820A KR20220147820A (ko) 2022-11-04
KR102475365B1 true KR102475365B1 (ko) 2022-12-07

Family

ID=84045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802A KR102475365B1 (ko) 2021-04-28 2021-04-28 하우징 일체형 브레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536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2300B1 (ko) * 2014-07-08 2015-09-10 주식회사 광희 권양기용 원심 브레이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PR018700A0 (en) * 2000-09-18 2000-10-12 Safe Effect Technologies International Limited A brake shoe and drum brake system incorporating same
KR100580479B1 (ko) 2003-12-30 2006-05-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드럼형 브레이크의 라이닝 결합구조
KR101283443B1 (ko) * 2009-02-17 2013-07-08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KR101215286B1 (ko) * 2010-03-31 2012-12-28 주식회사 세진인텍 원심브레이크
KR101956324B1 (ko) * 2017-05-31 2019-03-08 주식회사 대철 주차브레이크 겸용 브레이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2300B1 (ko) * 2014-07-08 2015-09-10 주식회사 광희 권양기용 원심 브레이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820A (ko) 2022-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092801A (ja) 一方向クラッチ及びそれを使用した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JP2009144918A (ja) 搭載部で軸方向へ可動に保持されるメカニカルシールアセンブリのシールリングを回転方向に固定するための装置
KR102475365B1 (ko) 하우징 일체형 브레이크
US11719286B2 (en) Clutch device
WO2014189089A1 (ja)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US11821514B2 (en) Parking lock, transmission, and drive installation
JPS60109626A (ja) デイスクブレ−キ
US7353921B2 (en) Self aligning brake kit
JPS6141025A (ja) デイスクブレーキ
JP4604848B2 (ja) 回転クラッチ係合時の冷却機構
JPH109285A (ja) 摩耗補償装置を有する摩擦クラッチ
JP2006214484A (ja) 湿式多板クラッチ
RU2665376C2 (ru) Узел гидравлического насоса
JP4275500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2006207671A (ja) 揺動型減衰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ベルトテンショナ装置
JP2006214497A (ja) 湿式多板クラッチ
JP5040840B2 (ja) 制動装置
JPH0211929A (ja) 自動車のクラッチに用いられる遮断軸受装置
WO2019093381A1 (ja) 逆入力遮断クラッチ
KR100580476B1 (ko) 차량용 클러치 릴리이스 포크의 부싱
CZ278223B6 (en) Disk brake with movable yoke
JPS5973633A (ja) ピンタイプデイスクブレ−キ
KR200141771Y1 (ko) 모터의 동력 제어장치
JP2009127745A (ja) ブレ−キドラム
JP2006349189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