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810B1 - 전원분배 제어기 - Google Patents

전원분배 제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810B1
KR102474810B1 KR1020170167260A KR20170167260A KR102474810B1 KR 102474810 B1 KR102474810 B1 KR 102474810B1 KR 1020170167260 A KR1020170167260 A KR 1020170167260A KR 20170167260 A KR20170167260 A KR 20170167260A KR 102474810 B1 KR102474810 B1 KR 102474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distribution
circuit board
bus bar
connection termina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7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7377A (ko
Inventor
박상욱
박경전
최수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7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810B1/ko
Publication of KR20190067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7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8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13Mount clips, snap-fit, e.g. quick fit with elastic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전원분배 제어기는, 케이스; 및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원분배회로를 가진 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의 전원분배회로는 상기 회로기판의 회로패턴 및 하나 이상의 버스바 조립체의 회로패턴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구성되며, 상기 회로기판의 회로패턴은 복수의 제1컨택트가 상기 회로기판 상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구성되며, 상기 버스바 조립체의 회로패턴은 복수의 제2컨택트가 하나 이상의 버스바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원분배 제어기{POWER DISTRIBUTION CONTROLLER}
본 발명은 전원분배 제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원가를 대폭 절감할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는 전원분배 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전원이 요구되는 다수의 전자시스템들로 구성되어 있다. 차량은 다양한 전자시스템들에 대한 전원 분배, 제어, 및 회로 보호 등을 구현하는 정션박스(junction box)를 포함한다.
기존의 정션박스는 다양한 기능을 추가하고, 부하 사양을 증가시키도록 전자화된 전원분배 제어기로 발전하여 왔다. 전원분배 제어기는 전원 분배를 위한 전원 분배회로와, 램프 등을 제어하는 제어회로와, CAN 통신 입출력 제어를 위한 통신게이트웨이 등을 가진 ICU(Integrated Central control Unit)로 구성된다.
전원분배 제어기의 전원분배회로는 B+ 퓨즈, ACC 퓨즈, IGN 퓨즈, 릴레이 등이 접속되도록 구성되고, 이에 전원분배회로는 40~60A 등의 대전류가 흐르는 대전류 패턴회로로서 동박 패턴으로 구성된다.
종래기술의 전원분배 제어기는 다양한 기능의 추가 및 부하 사양의 증가 등을 만족시키도록 2 이상의 회로기판을 다층 구조로 구성하여 왔었다.
하지만, 2 이상의 회로기판을 다층 구조로 구성함으로 인해 케이스의 두께가 증가하고, 회로기판의 갯수 증가 및 회로기판들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점퍼핀 등이 소요됨으로써 제조원가가 상승할 뿐만 아니라 조립공정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제조원가를 대폭 절감할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고, 컴팩트한 사이즈를 구현할 수 있는 전원분배 제어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분배 제어기는,
케이스; 및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원분배회로를 가진 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의 전원분배회로는 상기 회로기판의 회로패턴 및 하나 이상의 버스바 조립체의 회로패턴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구성되며,
상기 회로기판의 회로패턴은 복수의 제1컨택트가 상기 회로기판 상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구성되며, 상기 버스바 조립체의 회로패턴은 복수의 제2컨택트가 하나 이상의 버스바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각 제1컨택트는 상기 회로기판을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 조립체는 복수의 제2컨택트를 가진 복수의 버스바와, 상기 복수의 버스바가 결합되는 장착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플레이트는 상기 복수의 버스가 개별적으로 끼워지는 끼움홈을 가질 수 있다.
각 버스바는 스냅피팅돌기 및 스냅피팅홀을 통해 상기 끼움홈에 대해 스냅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장착플레이트는 상기 제1컨택트가 개별적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슬롯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은 하나 이상의 제1접속용 터미널을 가지고, 상기 버스바 조립체는 상기 제1접속용 터미널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제2접속용 터미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버스바 조립체는 상기 제1접속용 터미널 및 상기 제2접속용 터미널을 지지하는 지지블록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블록은 상기 제1접속용 터미널이 끼워지는 제1개구 및 상기 제2접속용 터미널이 끼워지는 제2개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개구 및 제2개구는 서로 직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용 터미널은 이격된 2개의 돌출부를 가진 튜닝 포크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접속용 터미널은 한 쌍의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레그를 연결하는 접속부를 가지며, 상기 제2접속용 터미널의 접속부가 상기 제1접속용 터미널의 돌출부들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제2개구의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 및 각 지지부에 형성된 리텐션돌기를 가지고, 상기 제2접속용 터미널의 각 레그가 상기 리텐션돌기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에 대해 일정각도로 절곡된 절곡부가 상기 버스바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 이상의 버스바 조립체가 회로기판에 결합됨으로써 전원분배회로를 구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전원분배회로의 면적을 종래기술에 비해 대폭 감소할 수 있으므로 전원분배 제어기의 두께를 종래기술에 비해 대폭 슬림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버스바를 가진 버스바 조립체가 하나의 회로기판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회로기판의 전원분배회로를 구성할 수 있고, 이에 점퍼핀 등과 같이 일부의 조립부품을 제거함과 더불어 솔더링 공정 등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패키지의 최소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제조원가의 절감 및 조립공정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버스바 조립체가 하나의 회로기판에 결합됨에 따라 회로기판의 전원분배회로는 동박패턴이 최소화될 수 있고, 전원분배회로에서 발생된 열이 버스바들을 통해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으므로 방열성능이 대폭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분배 제어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분배 제어기의 회로기판 및 버스바 조립체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분배 제어기의 버스바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분배 제어기의 버스바 조립체에서 장착플레이트 및 복수의 버스바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분배 제어기의 회로기판에 버스바 조립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분배 제어기에서 회로기판의 제1접속용 터미널, 버스바의 제2접속용 터미널, 지지블록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분배 제어기에서 회로기판의 제1접속용 터미널, 버스바의 제2접속용 터미널, 지지블록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분배 제어기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분배 제어기(10)는 케이스(11, 12)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로기판(2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1, 12)는 서로 간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11) 및 하부 케이스(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케이스(11) 및 하부 케이스(12)가 결합됨에 따라 상부 케이스(11)과 하부 케이스(12) 사이에는 내부공간이 한정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부 케이스(11) 및 하부 케이스(12)이 밀봉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상부 케이스(11) 및 하부 케이스(12)에 의해 한정된 내부공간은 외부에 대해 밀폐될 수 있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회로기판(20)은 차량의 다양한 전자시스템으로 전원을 분배하기 위한 전원분배회로(25)와, 램프 등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미도시)와, CAN 통신 입출력 제어를 위한 통신게이트웨이(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로기판(20)은 전원분배회로(25), 제어회로(미도시), 통신게이트웨이(미도시)가 통합된 ICU(Integrated Central control Unit)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기판(23)의 전원분배회로(25)는 회로기판(20)에 형성된 회로패턴 및 하나 이상의 버스바 조립체(30)에 형성된 회로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분배회로(25)는 회로기판(20)의 회로패턴과 버스바 조립체(30)의 회로패턴이 조합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기판(20)의 회로패턴과 하나 이상의 버스바 조립체(30)의 회로패턴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전원분배회로(25)가 소정의 회로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회로기판(20)의 회로패턴은 복수의 제1컨택트(21)가 회로기판(20) 상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제1컨택트(21)는 회로기판(20)에 부착될 수 있다. 복수의 제1컨택트(21)는 전원분배회로(25)의 사양에 따라 그 갯수 및 배치 구조 등이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각 제1컨택트(21)는 회로기판(20)을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고, 각 제1컨택트(21)의 상단은 퓨즈 또는 릴레이 등과 같은 전자컴포넌트(13)의 컨택트에 접속될 수 있다. 복수의 제1컨택트(21)는 회로기판(20)의 상면 또는 저면에 형성된 동박 패턴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회로기판(20)에는 하나 이상의 제1접속용 터미널(24)가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고, 제1접속용 터미널(24)은 후술하는 버스바 조립체(30)의 제2접속용 터미널(34)과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회로기판(20)의 회로패턴과 버스바 조립체(30)의 회로패턴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접속용 터미널(24)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된 2개의 돌출부(24a, 24b)가 탄성적으로 연결된 튜닝 포크(tuning fork)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각 버스바 조립체(30)의 회로패턴은 복수의 제2컨택트(22)들이 버스바(31)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버스바 조립체(30, bus bar assembly)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2컨택트(22)를 가진 복수의 버스바(31)와, 복수의 버스바(31)가 결합되는 장착플레이트(32)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버스바(31)는 복수의 제2컨택트(22)를 가질 수 있고, 복수의 제2컨택트(22)는 각 버스바(31)에 대해 벤딩가공, 금형가공 등을 통해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 있다. 복수의 제2컨택트(22)는 전원분배회로(25)의 사양에 따라 그 갯수 및 배치 구조 등이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각 버스바(3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커넥터(미도시)가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터미널(33)을 가질 수 있고, 각 터미널(33)은 버스바(31)에 대해 벤딩가공, 금형가공 등을 통해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커넥터가 접속되는 터미널(33)을 버스바(31)에 일체형으로 구성함으로써 터미널을 회로기판에 접속하기 위한 프레스공정 및 솔더링공정 등이 생략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그 제조공정이 대폭 간소화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각 버스바(31)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바(31)에 대해 일정각도로 절곡된 절곡부(39)를 가질 수 있다. 공간적 제약으로 인해 버스바(31)를 수평방향으로 연장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버스바(31)의 일부에 절곡부(39)가 형성됨으로써 추가공간의 확보 및 최적화 설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버스바 조립체(30)는 하나 이상의 제2접속용 터미널(34)을 가질 수 있고, 제2접속용 터미널(34)은 복수의 버스바(31)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31)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접속용 터미널(34)은 회로기판(20)의 제1접속용 터미널(24)과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회로기판(20)의 회로패턴과 버스바 조립체(30)의 회로패턴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접속용 터미널(34)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레그(34a, 34b) 및 한 쌍의 레그(34a, 34b)를 연결하는 접속부(34c)를 가질 수 있다. 접속부(34c)의 상단에는 상단돌출부(34e)가 형성될 수 있고, 접속부(34c)의 하단에는 하단돌출부(34f)가 형성될 수 있다. 상단돌출부(34e) 및 하단돌출부(34f)에 의해 접속부(34c)의 접촉면적이 넓어질 수 있고, 이를 통해 제1접속용 터미널(24)과 제2접속용 터미널(34)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장착플레이트(32)는 절연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복수의 버스바(31)를 전기적으로 안정되게 보호할 수 있다. 장착플레이트(32)는 체결구 등을 통해 회로기판(2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장착플레이트(32)는 복수의 버스바(31)가 개별적으로 끼워지는 복수의 끼움홈(35)을 가질 수 있다. 각 끼움홈(35)은 해당 버스바(31)의 외형에 부합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해당 버스바(31)가 각 끼움홈(35)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각 끼움홈(35)은 그 바닥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스냅피팅돌기(36, snap fitting projection)를 가질 수 있고, 각 스냅피팅돌기(36)는 후크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각 버스바(31)는 하나 이상의 스탭피팅홀(31a, snap fitting hole)을 가질 수 있다. 버스바(31)의 스냅피팅홀(31a)과 끼움홈(35)의 스냅피팅돌기(36)이 스냅결합될 수 있고, 스냅피팅홀(31a) 및 스냅피팅돌기(36)는 코킹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버스바(31)는 장착플레이트(32)에 매우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끼움홈(35)들 사이에는 복수의 슬롯(37)이 형성될 수 있고, 각 슬롯(37)에는 제1컨택트(21)이 개별적으로 관통(통과)할 수 있다. 이에, 버스바 조립체(30)가 회로기판(20)에 결합되면 제1컨택트(21)들이 장착플레이트(32)의 슬롯(37)들을 개별적으로 관통함으로써 제1컨택트(21)들과 제2컨택트(22)들이 일정한 배열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컨택트(21)와 복수의 제2컨택트(22)가 회로기판(20) 상에서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버스바 조립체(30)는 버스바(31)의 제2접속용 터미널(34) 및 회로기판(20)의 제1접속용 터미널(24)을 지지하는 지지블록(40)을 가질 수 있고, 지지블록(40)은 절연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블록(40)은 장착플레이트(32)의 일측에 동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바(31)의 제2접속용 터미널(34)과 회로기판(20)의 제1접속용 터미널(24)은 지지블록(40)을 통해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접촉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블록(40)은 제1접속용 터미널(24)이 끼워지는 제1개구(41) 및 제2접속용 터미널(34)이 끼워지는 제2개구(42)를 가질 수 있다.
제1개구(41) 및 제2개구(42)가 서로 직교하도록 교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지지블록(40)d에 십자형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제2개구(42)의 양측에는 한 쌍의 지지부(43)가 형성되고, 각 지지부(43)는 제2개구(42)에 끼워지는 제2접속용 터미널(34)의 레그(34a, 34b)를 지지하도록 평탄면을 가질 수 있고, 각 지지부(43)는 지지블록(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각 지지부(43)는 리텐션돌기(44, retention projection)를 가질 수 있다. 제2접속용 터미널(34)이 제2개구(42)에 끼워지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접속용 터미널(34)의 각 레그(34a, 34b)의 상단이 각 지지부(43)의 리텐션돌기(44)에 결합됨으로써 제2접속용 터미널(34)은 지지블록(4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속용 터미널(24)이 지지블록(40)의 제1개구(41)에 끼워지고 제2접속용 터미널(34)이 지지블록(40)의 제2개구(42)에 끼워지면, 제2접속용 터미널(34)의 접속부(34c)가 제1접속용 터미널(24)의 돌출부(24a, 24b)들 사이에 끼워질 수 있고, 이에 제2접속용 터미널(34) 및 제1접속용 터미널(24)은 십자형 구조로 서로 접촉하도록 결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1접속용 터미널(24)과 제2접속용 터미널(34)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도 2 및 도 5에는 하나의 버스바 조립체(30)가 회로기판(20)에 결합된 구조를 예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버스바 조립체(30)가 회로기판(20)에 결합될 수 있다. 2 이상의 버스바 조립체(30)는 회로기판(2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적층됨으로써 보다 다양한 패턴구조의 전원분배회로(25)를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분배회로(25)는 복수의 전자컴포넌트(13, electronic component)가 접속되는 복수의 컨택트(21, 2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전자컴포넌트(13)는 퓨즈, 릴레이 등일 수 있으며, 각 전자컴포넌트(13)가 2 이상의 컨택트(21, 22)에 접속될 수 있다.
복수의 컨택트(21, 22)는 회로기판(20)에 부착된 복수의 제1컨택트(21) 및 하나 이상의 버스바 조립체(30)에 부착된 복수의 제2컨택트(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컴포넌트(13)는 퓨즈일 수 있고, 제1컨택트(21)는 퓨즈의 +극에 해당하고, 제2컨택트(22)는 퓨즈의 -극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컨택트(21, 22)는 상술한 제1접속용 터미널(24)과 유사하게 이격된 2개의 돌출부가 탄성적으로 연결된 튜닝 포크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버스바 조립체(30)를 회로기판(20)에 결합함으로써 전원분배회로(25)의 면적을 종래기술에 비해 대폭 감소할 수 있으므로, 도 10과 같이, 전원분배 제어기(10)의 두께(S)를 종래기술에 비해 대폭 슬림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로기판(20)의 전원분배회로(25)의 면적을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1) 및 하부 케이스(12) 의 내부에 여유공간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전원분배 제어기와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외부 유닛(60)이 상부 케이스(11) 및 하부 케이스(12)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고, 회로기판(20)은 상부 케이스(11)에 체결구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으며, 외부 유닛(60)은 장착플레이트(65)에 의해 하부 케이스(12)에 결합될 수 있다. 외부 유닛(60)은 회로기판(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예컨대, 외부 유닛(60)은 ESU(Ethernet Switch Unit)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원분배회로(25)의 컴팩트화를 통해 상부 케이스(11) 및 하부 케이스(12) 내에 외부 유닛(60)을 추가적으로 장착할 수 있고, 이에 외부 유닛(60)을 보호 및 지지하는 별도의 케이스를 적용하지 않음에 따라 원가 절감을 구현할 수 있고, 또한 전원분배 제어기(10)의 외부공간에 외부 유닛(60)을 장착하기 위한 공간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차량 내의 장착성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장착 공정을 최적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버스바(31)를 가진 버스바 조립체(30)가 하나의 회로기판(2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회로기판(20)의 전원분배회로(25)를 구성할 수 있고, 이에 점퍼핀 등과 같이 일부의 조립부품을 제거함과 더불어 솔더링 공정 등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패키지의 최소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제조원가의 절감 및 조립공정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버스바 조립체(30)가 하나의 회로기판(20)에 결합됨에 따라 회로기판(20)의 전원분배회로(25)는 동박패턴이 최소화될 수 있고, 전원분배회로(25)에서 발생된 열이 버스바(31)들을 통해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으므로 방열성능이 대폭 개선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전원분배 제어기 11: 상부 케이스
12: 하부 케이스 20: 회로기판
21: 제1컨택트 22: 제2컨택트
24: 제1접속용 터미널 30: 버스바 조립체
31: 버스바 31a: 스냅피팅홀
32: 장착플레이트 33: 터미널
34: 제2접속용 터미널 35: 끼움홈
36: 스탭피팅돌기 37: 슬롯
40: 지지블록 41: 제1개구
42: 제2개구 43: 지지부
44: 리텐션돌기

Claims (13)

  1. 서로 간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진 케이스; 및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원분배회로를 가진 회로기판; 및
    전원분배 제어기와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외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의 전원분배회로는 상기 회로기판의 회로패턴 및 하나 이상의 버스바 조립체의 회로패턴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구성되며,
    상기 회로기판의 회로패턴은 복수의 제1컨택트가 상기 회로기판 상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구성되며, 상기 버스바 조립체의 회로패턴은 복수의 제2컨택트가 하나 이상의 버스바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구성되고,
    상기 외부 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회로기판이 상부 케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외부 유닛이 하부 케이스에 결합되는 전원분배 제어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제1컨택트는 상기 회로기판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전원분배 제어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조립체는 복수의 제2컨택트를 가진 복수의 버스바와, 상기 복수의 버스바가 결합되는 장착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원분배 제어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장착플레이트는 상기 복수의 버스가 개별적으로 끼워지는 끼움홈을 가지는 전원분배 제어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각 버스바는 스냅피팅돌기 및 스냅피팅홀을 통해 상기 끼움홈에 대해 스냅결합되는 전원분배 제어기.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장착플레이트는 상기 제1컨택트가 개별적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슬롯을 가지는 전원분배 제어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하나 이상의 제1접속용 터미널을 가지고, 상기 버스바 조립체는 상기 제1접속용 터미널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제2접속용 터미널을 가지는 전원분배 제어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조립체는 상기 제1접속용 터미널 및 상기 제2접속용 터미널을 지지하는 지지블록을 가지는 전원분배 제어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은 상기 제1접속용 터미널이 끼워지는 제1개구 및 상기 제2접속용 터미널이 끼워지는 제2개구를 가지는 전원분배 제어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 및 제2개구는 서로 직교하도록 형성되는 전원분배 제어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용 터미널은 이격된 2개의 돌출부를 가진 튜닝 포크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접속용 터미널은 한 쌍의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레그를 연결하는 접속부를 가지며, 상기 제2접속용 터미널의 접속부가 상기 제1접속용 터미널의 돌출부들 사이에 끼워지는 전원분배 제어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개구의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 및 각 지지부에 형성된 리텐션돌기를 가지고,
    상기 제2접속용 터미널의 각 레그가 상기 리텐션돌기에 결합되는 전원분배 제어기.
  13.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에는 상기 버스바에 대해 일정각도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는 전원분배 제어기.
KR1020170167260A 2017-12-07 2017-12-07 전원분배 제어기 KR102474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260A KR102474810B1 (ko) 2017-12-07 2017-12-07 전원분배 제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260A KR102474810B1 (ko) 2017-12-07 2017-12-07 전원분배 제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377A KR20190067377A (ko) 2019-06-17
KR102474810B1 true KR102474810B1 (ko) 2022-12-06

Family

ID=67064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7260A KR102474810B1 (ko) 2017-12-07 2017-12-07 전원분배 제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8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875B1 (ko) * 2020-06-25 2021-11-10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전원분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8011A (ja) 2002-04-04 2003-10-17 Yazaki Corp 電源分配箱
KR101212056B1 (ko) * 2011-12-29 2012-12-1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원분배유니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4298U (ko) * 2007-11-02 2009-05-0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정션박스의 절연플레이트
KR200450936Y1 (ko) * 2008-06-05 2010-11-11 주식회사 경신 정션박스의 신호전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8011A (ja) 2002-04-04 2003-10-17 Yazaki Corp 電源分配箱
KR101212056B1 (ko) * 2011-12-29 2012-12-1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원분배유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377A (ko) 201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0198B2 (en) Electric junction box
US7733632B2 (en) Vehicle-mounted electrical junction box
US10269524B2 (en) Multiple fuse device
US20140198470A1 (en) Printed circuit board stack
JP4238797B2 (ja) 電気接続箱
JP4709032B2 (ja) 電気接続箱
JP4868928B2 (ja) ジャンクションブロック
JP2006320147A (ja) 電気接続箱
US20190006824A1 (en) Electrical device and distribution board
US7172436B2 (en) Circuit board assembling structure
JP4234687B2 (ja) 自動車用電気接続箱
KR102474810B1 (ko) 전원분배 제어기
JP2004080917A (ja)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
US20150380841A1 (en) Fuse Block
JP2007228757A (ja) 電気接続箱
KR200400294Y1 (ko) 정션박스용 인쇄회로기판 연결장치
WO2014007007A1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board
JP4822050B2 (ja) 回路構成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88110Y1 (ko) 정션 박스
JP4286772B2 (ja) ジャンクションブロック
KR20110058486A (ko) 인쇄회로기판 조립체
JP2002159119A (ja) 電気接続箱
JP2023116325A (ja) 電力供給システム、及び、接続方法
KR200471206Y1 (ko) 차량용 정션박스의 버스바 장치
JP3900868B2 (ja)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