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4875B1 - 차량용 전원분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원분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4875B1
KR102324875B1 KR1020200077660A KR20200077660A KR102324875B1 KR 102324875 B1 KR102324875 B1 KR 102324875B1 KR 1020200077660 A KR1020200077660 A KR 1020200077660A KR 20200077660 A KR20200077660 A KR 20200077660A KR 102324875 B1 KR102324875 B1 KR 102324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bar terminal
board assembly
circuit pattern
bottom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7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200077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8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8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5Via connections; Lands around holes or via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4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wo-part housing enclosing a PC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272Busbars, i.e. thick metal bars mounted on the PCB as high-current 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전원분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텀케이스에 구비되고 회로패턴을 통해 차량용 전장품으로 전원과 신호를 공급 안내하는 보드조립체, 및 바텀케이스에 일측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보드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버스바터미널을 포함하고, 버스바터미널이 직접접속부에 의해 회로패턴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도록 보드조립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정션블록에서 전원연결용 버스바와 인쇄회로기판을 비아홀을 통해 직접적으로 전기적 연결을 함으로써 기존의 전원 공급용 퓨즈와 터미널을 삭제할 수 있음에 따라 조립공수를 줄이고, 제조단가를 저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전원분배장치{POWER DISTRIBUTING BLOCK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전원분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션블록에서 전원연결용 버스바와 인쇄회로기판을 비아홀을 통해 직접적으로 전기적 연결을 함으로써 기존의 전원 공급용 퓨즈와 터미널을 삭제할 수 있음에 따라 조립공수를 줄이고, 제조단가를 저감하고자 하는 차량용 전원분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엔진에 들어가는 점화플러그 등과, 다양한 전장부품들을 구동하기 위해 전원인 배터리와, 이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이들 전장부품에 분배하기 위한 차량용 정션블록이 사용된다.
기존의 정션블록은 전원이 공급되는 전류 단자와, 전류 단자로 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분배하는 버스바와, 버스바에 복수개 결합되어 전류를 원하는 전장부품에 공급하는 퓨즈를 포함한다. 여기서, 버스바는 판상의 도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류 단자와 하우징에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퓨즈는 외부에서 버스바에 착탈되어 고정된다.
관련 기술로는 국내특허등록공보 제10-1734683호(등록일:2017년05월02일, 명칭: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의 정션블록은 전원 연결을 위해 전류 단자와 터미널의 조립이 필요하고, 전류 단자와 터미널의 채택으로 인해 원가와 중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전류 단자의 결합시 볼트를 체결하여 결합하므로 너트와 볼트를 체결 공정이 필요함에 따라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정션블록에서 전원연결용 버스바와 인쇄회로기판을 비아홀을 통해 직접적으로 전기적 연결을 함으로써 기존의 전원 공급용 퓨즈와 터미널을 삭제할 수 있음에 따라 조립공수를 줄이고, 제조단가를 저감하고자 하는 차량용 전원분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원분배장치는: 바텀케이스; 상기 바텀케이스에 구비되고, 회로패턴을 통해 차량용 전장품으로 전원과 신호를 공급 안내하는 보드조립체; 및 상기 바텀케이스에 일측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보드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버스바터미널을 포함한다.
상기 버스바터미널은 직접접속부에 의해 상기 회로패턴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보드조립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접접속부는, 상기 회로패턴이 노출되도록 상기 보드조립체의 메인회로보드에 통공된 비아홀부; 상기 버스바터미널의 타측에 연장되어 상기 메인회로보드에 접하여 지지되는 서포트리브; 및 상기 서포트리브에서 연장되어 대응되는 상기 비아홀부에 삽입된 채 노출된 상기 회로패턴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컨택리브를 포함한다.
상기 버스바터미널은 일측에서 동일 평면상에 한번 이상 절곡되는 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버스바터미널과 상기 절곡부는 통전 가능한 체결편을 일체로 구비하거나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원분배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정션블록에서 전원연결용 버스바와 인쇄회로기판을 비아홀을 통해 직접적으로 전기적 연결을 함으로써 기존의 전원 공급용 퓨즈와 터미널을 삭제할 수 있음에 따라 조립공수를 줄이고, 제조단가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분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분배장치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분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분배장치의 버스바터미널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터미널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터미널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원분배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분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분배장치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분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분배장치의 버스바터미널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터미널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터미널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분배장치(10)는 바텀케이스(20), 보드조립체(30) 및 버스바터미널(40)을 포함한다.
바텀케이스(20)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원분배장치(10)의 하부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보드조립체(30)를 수용하여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바텀케이스(20)는 절연 재질로 이루어지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바텀케이스(20)는 보드조립체(30)를 내부에 조립할 수 있도록 상부 방향으로 개방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보드조립체(30)는 바텀케이스(20)의 내부에 구비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해당 전원과 신호를 차량용 전장품(도시하지 않음)에 분배(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보드조렙체는 메인회로보드(31), 서브회로보드(32) 및 회로연결핀(34)을 포함한다.
메인회로보드(31)는 회로패턴(33)을 패터닝 형성하고, 전류 흐름의 단속을 위해 릴레이(35)를 실장한다.
서브회로보드(32)는 메인회로보드(31)의 하측에 하나 이상 적층되게 배치된다. 서브회로보드(32)는 차량의 기능(옵션) 증대로 인해 인쇄회로기판을 확대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때, 서브회로보드(32)도 회로패턴(33)이 패터닝 형성된다.
아울러, 회로연결핀(34)은 메인회로보드(31)의 회로패턴(33)과 서브회로보드(32)의 회로패턴(33)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회로연결핀(34)은 도전체로 이루어지고, 메인회로보드(31)의 회로패턴(33)에 접촉된 채 메인회로보드(31)에 삽입 후 서브회로보드(32)의 회로패턴(33)에 접촉된다. 물론, 회로연결핀(34)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한편, 버스바터미널(40)은 바텀케이스(20)에 일측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보드조립체(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버스바터미널(40)은 고전압으로 인해 전류량이 증가됨에 따라 부피가 비교적 크다. 그래서, 버스바터미널(40)은 메인회로보드(31)와 서브회로보드(32)의 외측에 배치된다.
또한, 버스바터미널(40)은 직접접속부(50)에 의해 회로패턴(33)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도록 보드조립체(30)에 연결된다.
상세히, 직접접속부(50)는 비아홀부(52), 서포트리브(54) 및 컨택리브(56)를 포함한다.
비아홀부(52)는 회로패턴(33)이 노출되도록 보드조립체(30) 특히 메인회로보드(31)에 통공된다.
그리고, 서포트리브(54)는 버스바터미널(40)의 타측에서 하향 절곡되게 연장된다. 그리고, 서포트리브(54)는 메인회로보드(31)의 상측면에 접하게 된다.
그래서, 서포트리브(54)는 메인회로보드(31)에 대해 버스바터미널(40)을 지지한다. 물론, 서포트리브(5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개수가 설정된다.
아울러, 컨택리브(56)는 서포트리브(54) 각각에서 연장되어 대응되는 비아홀부(52)에 삽입되어 해당 회로패턴(33)과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이때, 컨택리브(56)는 비아홀부(52)에 억지 삽입되는 크기로 이루어져, 비아홀부(52)로부터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컨택리브(56)는 비아홀부(52)에 삽입된 후 솔더링 처리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컨택리브(56)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서포트리브(54)와 컨택리브(56)는 버스바터미널(40)에 일체로 제작된다.
또한, 버스바터미널(40)은 일측에 절곡부(42)를 형성한다. 절곡부(42)는 버스바터미널(40)의 일측에서 동일 평면상에 한번 이상 절곡되어 형성된다.
물론, 절곡부(4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버스바터미널(40)에 일체로 제작된다.
아울러, 버스바터미널(40)과 절곡부(42)는 통전 가능한 체결편(44)을 일체로 구비하거나 지지한다. 다시 말해서, 체결편(44)은 버스바터미널(40)의 일측 상면과 절곡부(42)의 상면에 걸쳐 지지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체결부재(45)가 체결편(44)을 통해 버스바터미널(40)을 바텀케이스(20)에 분리 가능하게 결속한다. 이때, 체결편(44)이 절곡부(42)와 버스바터미널(40)에 지지됨에 따라, 체결부재(45)가 체결편(44)에 삽입된 채 바텀케이스(20)에 체결되더라도, 체결편(44)은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게 된다.
그래서, 버스바터미널(40)은 바텀케이스(20)에 견고하게 결속된다.
체결편(44)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버스바터미널(40)이 직접접속부(50)에 의해 메인회로보드(31)에 직접적으로 전기적 연결됨에 따라, 기존의 퓨즈, 터미널, 볼트 및 너트 등의 디바이스가 불필요함으로써, 조립성이 향상되고, 제작원가가 절감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전원분배장치 20: 바텀케이스
30: 보드조립체 31: 메인회로보드
32: 서브회로보드 33: 회로패턴
34: 회로연결핀 40: 버스바터미널
42: 절곡부 44: 체결편
50: 직접접속부 52: 비아홀부
54: 서포트리브 56: 컨택리브

Claims (3)

  1. 바텀케이스; 상기 바텀케이스에 구비되고, 회로패턴을 통해 차량용 전장품으로 전원과 신호를 공급 안내하는 보드조립체; 및 상기 바텀케이스에 일측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보드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버스바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터미널은 직접접속부에 의해 상기 회로패턴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보드조립체에 연결되며,
    상기 직접접속부는, 상기 회로패턴이 노출되도록 상기 보드조립체의 메인회로보드에 통공된 비아홀부;
    상기 버스바터미널의 타측에 연장되어 상기 메인회로보드에 접하여 지지되는 서포트리브; 및
    상기 서포트리브에서 연장되어 대응되는 상기 비아홀부에 삽입된 채 노출된 상기 회로패턴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컨택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원분배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터미널은 일측에서 동일 평면상에 한번 이상 절곡되는 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버스바터미널과 상기 절곡부는 통전 가능한 체결편을 일체로 구비하거나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원분배장치.
KR1020200077660A 2020-06-25 2020-06-25 차량용 전원분배장치 KR102324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660A KR102324875B1 (ko) 2020-06-25 2020-06-25 차량용 전원분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660A KR102324875B1 (ko) 2020-06-25 2020-06-25 차량용 전원분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4875B1 true KR102324875B1 (ko) 2021-11-10

Family

ID=78500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7660A KR102324875B1 (ko) 2020-06-25 2020-06-25 차량용 전원분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487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917B1 (ko) * 2007-12-17 2009-08-20 영화테크(주) 정션박스의 전원 분배구조
KR101433222B1 (ko) * 2013-07-05 2014-08-25 영화테크(주) 차량용 정션박스의 버스바 장치
JP2015091153A (ja) * 2013-11-05 2015-05-1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気接続箱
KR20170079582A (ko) * 2015-12-30 2017-07-1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원분배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20190067377A (ko) * 2017-12-07 201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원분배 제어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917B1 (ko) * 2007-12-17 2009-08-20 영화테크(주) 정션박스의 전원 분배구조
KR101433222B1 (ko) * 2013-07-05 2014-08-25 영화테크(주) 차량용 정션박스의 버스바 장치
JP2015091153A (ja) * 2013-11-05 2015-05-1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気接続箱
KR20170079582A (ko) * 2015-12-30 2017-07-1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원분배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20190067377A (ko) * 2017-12-07 201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원분배 제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6916A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EP1674346B1 (en) Electric distribution box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7160118B2 (en) Electric junction box
KR101461300B1 (ko) 퓨즈 유닛
US8564964B2 (en) Busbar-block mounting structure
KR100952773B1 (ko) 인쇄회로기판 연결용 버스바 터미널
US7249956B2 (en) Electric connection box
US7247031B2 (en) Electric junction box and its assembling process
JP2004056836A (ja) 電気接続箱とその製造方法
US20060258186A1 (en) Electric distribution box
US7101197B2 (en) Press-fit terminal, printed board connection structure using the press-fit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ion box
US6605780B2 (en) Connection box
US6719572B2 (en) Junction box
US7515399B2 (en) Device for current distribution
US7414194B2 (en) Bus bar wiring board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KR102324875B1 (ko) 차량용 전원분배장치
CN105529662A (zh) 接线盒组件结构
KR20120018843A (ko) 자동차용 정션박스
JPH0611282U (ja) Catv用機器の接栓取付構造
JPH0688076U (ja) 入出力用コネクタ
JP5531565B2 (ja) 電気接続箱及び電気接続箱の製造方法
JP2000134766A (ja) 電気接続箱
JP3888089B2 (ja)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
JP2000115958A (ja) 接続箱本体と電子回路板との接続構造
JPH08315716A (ja) ヒューズおよび該ヒューズを装着した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