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198B1 -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198B1
KR102474198B1 KR1020200139012A KR20200139012A KR102474198B1 KR 102474198 B1 KR102474198 B1 KR 102474198B1 KR 1020200139012 A KR1020200139012 A KR 1020200139012A KR 20200139012 A KR20200139012 A KR 20200139012A KR 102474198 B1 KR102474198 B1 KR 102474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ck
cosmetic composition
wax
weight
gell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9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4986A (ko
Inventor
김아름
최혜선
지진구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9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198B1/ko
Publication of KR20220054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4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9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0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11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olefines, e.g. polyethylene, polyisobuten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8Poly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형의 스틱 제형으로 제조되는 화장료 조성물로, 왁스 10 내지 20 중량% 및 겔링제 1 내지 2 중량%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은 스틱 형성에 충분한 경도를 가지며 발림성이 좋으며 스웨팅 현상이 개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Stick type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왁스 및 겔링제를 포함하는 고형 스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립스틱과 같은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은 경도 형성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왁스를 베이스로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왁스를 베이스로 포함할 경우 스틱형으로 성형 시 바깥쪽부터 굳기 때문에 최외각 왁스층이 형성되어 발림성이 좋지 못하고 피부에 도포 시 뻣뻣한 느낌을 주는 단점이 있다. 특히, 입술과 같이 피부가 약한 부분에 립스틱을 도포할 때 이러한 사용감은 매우 큰 단점이 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왁스 베이스에 겔링제를 적용하려는 시도 가 있었으나, 왁스와 겔의 상용성이 좋지 않아 스틱 형성이 어렵고, 겔링제를 포함할 경우 온도 변화에 따라 화장료의 오일이 표면으로 빠져나오는 스웨팅(Sweating) 현상이 발생하여 문제가 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보완하여, 스틱 형성에 충분한 경도를 가지며 발림성이 좋고 스웨팅 현상이 개선된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왁스 10 내지 20 중량% 및 겔링제 1 내지 2 중량%를 포함하는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겔링제가 다이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Dibutyl Lauroyl Glutamide), 다이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Dibutyl Ethylhexanoyl Glutamide), 및 폴리아마이드-1(Polyamide-1)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겔링제 중 상기 폴리아마이드-1은 실리카가 결합된 폴리아마이드-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겔링제를 다이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다이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폴리아마이드-1 = 1:1:1 내지 1:1:2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왁스가 폴리에틸렌왁스(Polyethylene Wax),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Microcrystalline Wax),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은, Sun Rheometer 경도계로 측정 시 경도가 100~150 gf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은, 립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은, -20 ~ -15
Figure 112020113132423-pat00001
로 냉각하여 스틱 제형으로 제조되는,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왁스를 포함하는 고형 스틱으로 제조되면서도 부드러운 사용감을 제공하고, 높은 광택력 및 제형 안정성을 제공하며, 스웨팅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스웨팅 현상을 테스트하기 위해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발림성 측정을 위해 인조가죽에 도포 시 저항값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광택도 측정을 위해 도포 전후의 반사율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을 스틱 제형으로 제조하고 촬영한 사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기술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은 왁스 및 겔링제(Gelling Agent)를 포함하고 스틱 제형으로 제조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왁스 10 내지 20 중량% 및 겔링제 1 내지 2 중량%를 포함함으로써, 스틱 제형으로 제조되기 위해 적합한 경도를 형성함과 동시에 왁스를 베이스로 하는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에서 첫 도포 시 뻣뻣한 사용감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왁스가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면 경도가 낮아 스틱 제형으로 제조하기 어려우며, 왁스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뻣뻣한 사용감을 주고 발림성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겔링제가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면 고온 안정성이 낮은 문제가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겔링제와 왁스의 상용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스틱 형성을 하기 위한 왁스 구조가 무너지는 문제가 있다.
겔링제는 고형 화장료의 사용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겔링제는 오일과 미리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부분의 겔링제는 녹는점이 높아 일반적인 립스틱 성형 온도(80 내지 90 ℃)에 적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겔링제를 미리 오일과 믹싱하여 립스틱 제조 시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오일은, 겔링제 및 오일을 포함하는 프리믹싱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7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멜팅온도가 140~160 ℃ 정도인 겔링제를 녹이기 위해 겔링 파우더와 오일상을 160 ℃ 이상에서 가열 용해하고 교반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실온에서 식혀, 오일에 프리믹싱된 겔링제를 제조할 수 있다.
일 예로서 겔링제로 사용되는 물질은 다이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Dibutyl Lauroyl Glutamide), 다이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Dibutyl Ethylhexanoyl Glutamide), 및 폴리아마이드-1(Polyamide-1)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다이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 다이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 및 폴리아마이드-1을 혼합 사용하는 것이 스틱형으로 제조 시 적합한 경도를 형성하면서도 부드러운 발림성을 제공하며 스웨팅 현상을 개선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다이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나 다이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만을 사용할 경우 경도형성이 잘 되고 사용감이 부드러운 장점이 있지만 스웨팅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폴리아마이드-1만을 사용할 경우에는 스웨팅 개선 효과가 좋지만 끈적이는 사용감을 주는 문제가 있어, 상기 원료를 혼합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폴리아마이드-1은 실리카가 본딩된 폴리아마이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서 겔링제는 다이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 다이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 및 실리카가 본딩된 폴리아마이드-1을 혼합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카가 본딩된 폴리아마이드 원료는 결정성 폴리아마이드와 비결정성 실리카가 결합된 것으로, 오일을 본딩 사이사이에 가두어 오일의 스웨팅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상기 다이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 상기 다이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 및 상기 폴리아마이드-1은 1:1:1 내지 1:1:2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이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나 다이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에 비해 폴리아마이드-1이 스웨팅 개선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다른 겔링제보다 높은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끈적이는 사용감을 줄 수 있다. 다만, 상기 범위는 경도나 사용감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 왁스는 스틱 제형으로의 제조를 위해 조성물에 일정한 경도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 왁스로 사용되는 물질은, 폴리에틸렌왁스(Polyethylene Wax)와 같은 합성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Microcrystalline Wax)와 같은 석유계 왁스, 카나우바 왁스(Carnauba Wax)와 같은 천연 왁스,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이 중 고온 안정성이 높은 폴리에틸렌왁스가 높은 함량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은,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되기에 적합한 경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경도는 스틱 형성에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발림성이나 퍼짐성 등에도 영향을 주는 요소로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틱형으로 제조되었을 때 Sun Rheometer 경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면 경도가 100~150gf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120~130gf일 수 있다. 이는 Adaptor No: 8, S. ADJ(=진입거리) & T. Speed(=진입속도): 10mm & 20mm/min 조건으로 25℃ 1D 스틱 절단경도를 측정한 경우이며, 통상의 기술자가 예측 가능한 범위 내에서 측정 조건에 따라 경도값이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경도 범위를 만족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고형 립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이 사용감, 광택력, 특히 제형 안정도 측면에서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겔링제 및 왁스를 포함하는 그 외 성분을 혼합한 뒤, -20 ~ -15℃로 냉동고에서 냉각하여 스틱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왁스를 포함하는 오일상을 85 ~ 90℃로 가열 용해한 후 교반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겔링제 성분을 90 ~ 100℃로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된 것을 확인한 후, 85 ~ 90℃에서 색상을 표현할 수 있는 분체를 투입하여 교반한다. 그 다음, 이를 냉각하여 고체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냉각을 진행하기 전에 탈기, 부향 등의 공정을 추가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왁스를 포함하는 오일상에 포함될 수 있는 성분은, 오일, 안료, 유상 점증제, 유화제, 및 분산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오일로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탄화수소계 오일, 에스터 오일, 실리콘 오일 중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의 입장에서, 본 발명 조성물의 유리한 특성이 실질적인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임의의 추가 성분 및/또는 이의 양을 선택하여 추가할 수 있다. 예컨대 색소, 향료, 충전제, 보존제, 방부제, 중성화제, 자외선 차단제, 감미료, 비타민, 금속 이온 봉쇄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임의의 통상적 미용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 함량도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범위 내에서 조절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실험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스웨팅 테스트
하기 표 1에 표기된 조성으로, 옥틸도데칸올과 프리믹싱된 겔링제를 이용하여 스웨팅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옥틸도데칸올을 50 중량%로 포함하고, 오일과 겔링제가 미리 혼합된 성분(하기 표 1의 성분 2, 3, 4)의 종류와 함량을 변경하여 스웨팅 현상이 발생하는지 테스트하였다. 하기 표 1과 같은 함량의 조성물을 제조한 뒤, 25℃ 항온조에 1일 보관한 후 45℃ 항온조로 옮겨, 온도변화에 따른 스웨팅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스웨팅 테스트 결과,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폴리아마이드-8(99.5%)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다이-t-부틸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0.5%)]만을 겔링제로 사용한 #3에서 가장 많이 스웨팅 현상이 발생하였고, [옥틸도데칸올(75 중량%), 다이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12.5 중량%), 다이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12.5 중량%)]가 프리믹싱된 성분만을 겔링제로 사용한 #1에서는 약간의 스웨팅이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60중량%), 폴리아마이드-1(25 중량%), 실리카(15 중량%)]가 프리믹싱된 성분을 겔링제로 포함하는 #2 및 #4에서는 스웨팅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No. 성분명 #1 #2 #3 #4
1 옥틸도데칸올 50 50 50 50
2 옥틸도데칸올(75%)
다이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12.5%)
다이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12.5%)
50 30
3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60%)
폴리아마이드-1(25%)
실리카(15%)
50 20
4 폴리아마이드-8(99.5%)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다이-t-부틸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0.5%)
50
합(중량%) 100 100 100 100
2. 고체 스틱형 립스틱 화장료 조성물 제조(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5 제조)
하기 표 2와 같은 함량으로,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5의 스틱 제형 립스틱을 제조하였다(본 명세서에서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성분 함량은 중량%이다).
하기 표 2의 각 성분 및 함량(중량%)에 따라 성분 1 내지 15(비커 1), 및 성분 19 내지 21(비커 2)을 각각 비커에 평량하였다. 성분19 내지 21은 겔링제가 미리 오일등과 함께 믹싱된 것으로 녹는점이 높은 겔링제를 미리 믹싱해 놓음으로써 스틱 제형의 제조공정에 알맞은 녹는점을 가지며 이렇게 따로 혼합한 뒤 투입했을 경우 훨씬 더 좋은 분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비커 1을 85℃로 가열 용해한 후, Homogenizer로 2500rpm에서 15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별도로, 비커 2를 95℃로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된 것을 확인한 후, 85℃에서 비커 1에 혼합하고 성분 16 내지 18의 분체를 투입하여 2500rpm으로 5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혼합물을 탈기, 부향하고, -18℃ 냉동고에서 10분간 냉각하여 고체 스틱형 립스틱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2의 성분 19는 옥틸도데칸올(75 중량%), 다이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12.5 중량%), 다이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12.5 중량%)가 프리믹싱된 것이다. 성분 20은 CLARITHIX(제조사: KODA)로,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60중량%), 폴리아마이드-1(25 중량%), 실리카(15 중량%)가 프리믹싱된 것이다. 성분 20은 상기 1. 스웨팅 테스트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폴리아마이드-1에 실리카가 결합된 겔링제가 오일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을 겔 안에 가두어 스웨팅 현상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성분 21은 OLEOCRAFT(제조사: CRODA)로, 폴리아마이드-8(99.5 중량%),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다이-t-부틸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0.5 중량%)가 프리믹싱된 것이다.
No. 성분명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1 폴리에틸렌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다이-t-부틸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
3.2 3.2 3.2 3.2 3.2 3.2
2 폴리에틸렌 4.3 4.3 4.3 4.3 4.3 4.3
3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3 3 3 3 3 3
4 비스-다이글리세릴폴리아실아디페이트-2 4 4 4 4 4 4
5 트라이아이소스테아릴시트레이트 12 12 12 12 12 12
6 폴리글리세릴-3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7 7 7 7 7 7
7 다이글리세릴세바케이트
아이소팔미테이트
1 1 1 1 1 1
8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애씨드
레시틴
에틸헥실팔미테이트
아이소스테아릭애씨드
아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3폴리리시놀리에이트
1 1 1 1 1 1
9 옥틸도데칸올 6 6 6 6 6 6
10 아이소에이코산 7 7 7 7 7 7
11 다이메티콘 3 3 3 3 3 3
12 스쿠알란
하이드로제네이티드올리브오일불검화물
5 5 5 5 5 5
13 카프릴릭
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10 10 10 10 10 10
14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아이소스테아레이트 3.2 5.2 10.2 5.2 5.2 1.2
15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에틸렌
프로필렌코폴리머
8 8 8 8 8 8
16 다이칼슘포스페이트 2 2 2 2 2 2
17 합성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 1 1 1 1 1 1
18 색소 12.3 12.3 12.3 12.3 12.3 12.3
19 옥틸도데칸올(75%)
다이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12.5%)
다이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12.5%)
5 5 7
20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60%)
폴리아마이드-1(25%)
실리카(15%)
2 5 2
21 폴리아마이드-8(99.5%)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다이-t-부틸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0.5%)
5
합(중량%) 100 100 100 100 100 100
3.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의 특성 평가
(1) 발림성(사용감) 테스트
상기 표 2에 표기된 조성으로 제조한 실시예 1 및 비교예 1~3의 스틱형 립스틱을 이용하여 발림성을 평가하였다.
Sun Rheometer 기기를 사용하였고, 도포길이는 60mm, 속도는 120mm/min으로 설정하여 측정하였다. 테스트는 인조가죽을 사용하였으며, 실시예와 비교예 1~3을 홀더로 고정시킨 후 인조가죽 위에 립스틱을 도포하는데 필요한 저항 값(g)을 측정하였다. 저항 값이 작을수록 립스틱을 바르는데 들어가는 힘이 적은 것으로, 발림성이 더 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
실시예 및 비교예 1~3의 발림성을 비교한 결과,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저항값이 가장 작은 것을 확인하였고, 비교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순으로 저항값이 커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2) 광택도 평가
상기 표 2에 표기된 조성으로 제조한 실시예 1 및 비교예 1~3의 스틱형 립스틱을 이용하여 광택도를 평가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1~3에서 제조한 립스틱 제형의 광택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Micro-TRI-Gloss(BYK Gardner, Germany) 기기를 사용하였다. 테스트는 인조가죽을 사용하였으며, 인조가죽 실험부위 (4*8 cm2)에 제품을 도포하기 전 광택도를 3 번씩 측정하고, 실험부위에 제품을 도포한 후 해당 지점의 광택도를 3번씩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는 60°반사율 측정값을 기준으로 70GU(Gloss Unit) 초과면 20°반사율로, 10GU 미만이면 85°반사율로 결과를 도출하여, 도포 전후 값을 비교 평가 하였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 1~3의 립스틱 제형 도포 전후 반사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광택도 측정 결과,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광택도가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의 광택도보다 우수하게 나타났다. 도포 전과 비교 시, 실시예의 경우 약 2.73배 가량 향상된 광택도를 나타내며, 비교예 1은 2.42배, 비교예 2는 2.21배, 비교예 3은 2.31배 가량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3) 경도 테스트
상기 표 2에 표기된 조성으로 제조한 실시예 1 및 비교예 1~3의 스틱형 립스틱을 이용하여 경도를 평가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1~4에서 제조한 립스틱의 경도를 측정하기 위해 Sun Rheometer 경도계를 사용하였고, Adaptor No: 8, S. ADJ(=진입거리) & T. Speed(=진입속도): 10mm & 20mm/min 조건으로 25℃ 1D 스틱 절단경도를 측정하였으며 최대응력을 확인하였다.
경도 측정 결과, 하기 표 3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겔링제를 넣지 않은 비교예 2는 140으로 가장 높고, 비교예 3, 실시예 1, 비교예 1 순으로 높은 경도값을 가지며, [폴리아마이드-8(99.5%)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다이-t-부틸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0.5%)]만을 겔링제로 포함하는 비교예 4는 도 4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경도형성이 안되고 무너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체 조성물 내에서 겔링제의 함량이 높은 비교예 5 또한 경도형성이 되지 않고 도 4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무너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Force(gf) 120 100 140 130 - -

Claims (8)

  1.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왁스 10 내지 20 중량% 및 겔링제 1 내지 2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겔링제는 다이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Dibutyl Lauroyl Glutamide), 다이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Dibutyl Ethylgexanoyl Glutamide), 및 폴리아마이드-1(Polyamide-1)를 포함하며,
    스틱 제형으로 제조되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마이드-1은 실리카가 결합된 폴리아마이드-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겔링제는 상기 다이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다이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폴리아마이드-1 = 1:1:1 내지 1:1:2 중량비로 포함하는,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폴리에틸렌왁스(Polyethylene Wax),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Microcrystalline Wax),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Sun Rheometer 기기로 측정 시 경도가 100 내지 150 gf인,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립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인,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20 내지 -15 ℃로 냉각하여 스틱 제형으로 제조되는,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KR1020200139012A 2020-10-26 2020-10-26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KR102474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012A KR102474198B1 (ko) 2020-10-26 2020-10-26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012A KR102474198B1 (ko) 2020-10-26 2020-10-26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4986A KR20220054986A (ko) 2022-05-03
KR102474198B1 true KR102474198B1 (ko) 2022-12-05

Family

ID=81591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012A KR102474198B1 (ko) 2020-10-26 2020-10-26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198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42519B2 (ja) * 2014-09-29 2019-07-10 ロレアル 組成物
KR102378340B1 (ko) * 2016-12-20 2022-03-23 샤넬 파르퓜 보트 습윤 효과를 갖는 고형 화장료 조성물
FR3062301B1 (fr) * 2017-02-02 2020-03-13 Chanel Parfums Beaute Emulsion cosmetique eau-dans-huile solid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elivery Systems 2016,1st published in SPC 2016(출처:ww.creative-development.co.u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4986A (ko) 202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2322B1 (ko) 유중수형 에멀젼 액상루즈 조성물
WO2009139092A1 (ja) 使用感と保存安定性に優れた化粧料およびその製法
KR102363452B1 (ko) 고함량 올리고머형 피토스테롤 에스터를 고형 안정화한 립글로스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EP2156821A1 (en) Oil-based solid cosmetic
KR102013619B1 (ko) 에멀젼 바인더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1114137B1 (ko) 저온 분산 제조 공정을 이용한 입술 화장료의 제조방법
KR20190130027A (ko) 고형 프리믹스 화장료
KR101766682B1 (ko) 우레탄 파우더를 포함하는 에멀젼 바인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3037126B2 (ja) ソフトペーストの形態をとる化粧用組成物及びその製法
KR20180118518A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4314B1 (ko) 워터드롭 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01268A (ko) 수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유중수 제형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102474198B1 (ko)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JP2805218B2 (ja) スティック化粧料
KR101604972B1 (ko) 비누베이스를 포함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26289A (ko) 발림성이 우수한 매트 타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41554B1 (ko) 고융점 및 고광택 성능을 갖는 고형 화장료 조성물
KR101391769B1 (ko) 실리콘 겔 및 에스터 폴리머를 포함하는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JP2519469B2 (ja) スティック化粧料
KR102500001B1 (ko) 오일 겔화제를 함유한 유분산 글로시 스틱형 립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2017203010A (ja) 棒状化粧料
KR20210131739A (ko) 천연 유래 왁스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H02178208A (ja) 油性固形化粧料
KR102298141B1 (ko) 유중수형 유화베이스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54213B1 (ko) 글리세릴기가 부가된 왁스와 유연한 필름 폴리머를 함유하는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