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147B1 - 식품 포장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식품 포장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147B1
KR102474147B1 KR1020220057103A KR20220057103A KR102474147B1 KR 102474147 B1 KR102474147 B1 KR 102474147B1 KR 1020220057103 A KR1020220057103 A KR 1020220057103A KR 20220057103 A KR20220057103 A KR 20220057103A KR 102474147 B1 KR102474147 B1 KR 102474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layer
prim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7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영
Original Assignee
최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준영 filed Critical 최준영
Priority to KR1020220057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1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7Therm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수지를 이용한 재생수지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버려지는 폐수지를 이용하여 펠릿 형태의 일정 크기를 갖는 재생수지를 제조할 수 있는 폐수지를 이용한 재생수지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분쇄된 폐수지가 공급기를 통해 공급되는 공급 단계(S1); 공급된 폐수지가 가열로에서 용융되는 용융 단계(S2); 용융된 폐수지를 거름망을 통과시킨 후 반죽의 형태로 배출시키는 중간재 제조 단계(S3); 상기 중간재를 가락 형상으로 가공하고 냉각시키는 냉각 단계(S4); 및 가공된 중간재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는 소분 단계(S5);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식품 포장재 제조방법{FOOD PACKAGING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식품을 포장하는 데에 사용되는 포장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1인 가구가 증가하고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식품을 보호하기 위한 포장재의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식품포장재는 단순히 내용물을 보호하는데 그치지 않고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기능성이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포장재는 내수성 및 내유성이 우수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 범용수지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우레탄과 같은 다양한 합성수지가 종이 등의 베이스지 표면에 코팅되고 있는데, 이러한 코팅작업에는 가소성이나 열접착성을 부여하기 위한 보조제가 추가로 필요하고 이러한 물질들을 포함한 합성수지를 포장재에 코팅하는 경우 유해물질의 용출로 인해 인체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으며, 폐기과정에서 환경호르몬이 방출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식품이 미생물, 광선, 산소, 화학물질 등의 작용에 의해 저분자 물질로 분해되고 이로 인해 맛, 냄새, 색, 외관 등이 본래의 품질을 잃어버리게 되는 현상을 변질 또는 열화라고 한다. 이러한 현상의 억제를 위해서는 위생적인 제조공정을 통하여 미생물 및 화학 물질의 오염을 최소화해야 하며, 유통 중 식품 내용물에 영향을 주는 열화인자(광선, 수분, 산소 등)로부터 내용물의 접촉을 최소화하는 것이 관건이다.
특히, 내용물의 수분함량과 포장내부의 산소농도는 미생물의 성장과 내용물 산패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게 되므로 식품내용물의 안정적인 저장과 유통을 위한 적정한 수준의 수분 및 산소 차단성, 항균성을 갖는 포장재의 선택과 적용은 가공식품의 개발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44839호, 제10-1713249호, 및 제10-1805047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고 항균 물질이 식품에 직접 접촉하지 않으면서 항균 효과를 보이고 세균성 부패를 억제할 수 있는 식품 포장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적인 충격이나 오염에 의해 유기 용제나 오염원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는 식품 포장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산소를 차단하여 내부에 수용된 식품의 보존 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식품 포장재 제공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 및 특징을 갖는다.
하부에서부터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층, 폴리에틸렌(PE)층, 에틸렌비닐알코올(EVOH)층, 나일론(NY)층, 상기 폴리에틸렌(PE)층, 에틸렌비닐알코올(EVOH)층, 및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층 순으로 적층시켜 열성형필름을 제조하는 열성형필름 제조단계(S1); 제2 기재 상부에 제2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S21), 상기 제2프라이머 상부에 고추냉이 추출 오일을 포함하는 코팅액을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S22), 상기 코팅층 상부에 제1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S23), 상기 제1프라이머 상부에 제1 기재를 적층시키는 단계(S22)를 포함하는 항균필름 제조단계(S2); 및 하나의 항균필름에 다른 항균필름 또는 상기 열성형필름을 접합하는 접합단계(S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프라이머 및 상기 제2프라이머 각각은, 하이드록시케톤 계열, 아미노통 계열, 벤질디메틸케탈 계열, 비스-아실 포스파인 계열, 모노-아실 포스파인 계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광경화제;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패각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프라이머 및 상기 제2프라이머 각각은,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Oligomer) 40 내지 60 중량부, 아크릴계 모노머(monomer) 20 내지 40 중량부, 광경화제 1 내지 3 중량부, 용매 80 내지 120 중량부,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3 내지 7 중량부, 겔라이트 2 내지 4 중량부, 패각분말 0.5 내지 1.5 중량부, 박하추출물1 내지 3 중량부 및 분산제 1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고 항균 물질이 식품에 직접 접촉하지 않으면서 항균 효과를 보이고 세균성 부패를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적인 충격이나 오염에 의해 유기 용제나 오염원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한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산소를 차단하여 내부에 수용된 식품의 보존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재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2는 항균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열성형필름이 권취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재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2는 항균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열성형필름이 권취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재 제보방법은 식품과 같은 내용물의 신선도를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식품 포장재의 제조방법으로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방법'이라 칭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방법은 열성형필름 제조단계(S1), 항균필름 제조단계(S2), 및 접합단계(S3)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열성형 필름 제조단계(S1)는 하부에서부터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층, 폴리에틸렌(PE)층, 에틸렌비닐알코올(EVOH)층, 나일론(NY)층, 상기 폴리에틸렌(PE)층, 에틸렌비닐알코올(EVOH)층, 및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층 순으로 적층시켜 열성형필름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열성형필름은 다층의 필름층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게 열성형하여 제조되고, 형성된 내부 수용공간에는 식품이 수용되어 보관될 수 있다. 이러한 열성형필름은 다층의 필름층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열성형필름은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casting polypropylene)층, 상기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 casting polypropylene)층 상부에 위치하는 PE(polyethylene)층, 상기 PE(polyethylene)층 상부에 위치하는 NY(nylon)층, 상기 NY(nylon)층 상부에 위치하는 PE(polyethylene)층 및 상기 PE(polyethylene)층 상부에 위치하는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 casting polypropylene)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 casting polypropylene)층, PE(polyethylene)층, NY(nylon)층, PE(polyethylene)층 및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 casting polypropylene)층을 포함하는 열성형필름은 두께가 210 내지 230㎛가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제조되는 필름 용기의 물리적 강성 및 가공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에서, 무연신 폴리프로필렌층은 무연신 필름으로서, T-Die 공법으로 제조되어 가격이 저렴하고 열접착성이 우수하여 식품 포장 등 유연 포장의 소재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데, CPP필름은 일반적으로 스킨층(skin), 코어층(core) 및 실링층(sealing)으로 구성되고, 실링층은 열을 가하여 실링층 간의 접착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일반적으로 이러한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사용된다.
상기 PE층은 열가소성의 범용수지로 형성된 층으로, 상기 PE층은 인체에 무해하고, 상기 PE층과 접촉하여 위치하는 무연신 폴리프로필렌층 및 NY층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PE층은 투과성 필름으로, 상기 무연신 폴리프로필렌층 및 NY층 사이에 구비되어 열압착되어 접착됨으로써, 제조되는 필름 용기의 기계적인 강도 및 가공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 NY(nylon)층은 상기 PE층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NY층은 외부적인 충격이나 오염에 의해 유기 용제나 오염원이 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필름 용기의 인장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PE층과 NY층은 공압출로 접착되어 공압출 필름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공압출의 압출공정은 압출 온도 220 내지 230℃, 압출 카렌다 선압 1 내지 1.5kN 및 압출 속도 15 내지 20m/분에서 수행함으로써 상기 PE층과 NY층이 접착되어 형성된 공압출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성형필름은 투과하는 산소를 차단하여 내부에 수용된 식품의 보존 기간을 연장하기 위하여 상기 NY층과 PE층 사이에 산소 차단성이 우수한 에틸렌비닐알코올(EVOH; Ethylene vinyl alcohol)층을 포함한다. 에틸렌비닐알코올(EVOH; Ethylene vinyl alcohol)층은 에틸렌비닐알코올로 형성된 필름층으로, 상기 에틸렌비닐알코올은 에틸렌과 아세트산비닐을 높은 압력 하에서 공중합(혼성중합)하여 비누화시킨 후 과잉 알칼리를 중화하여 건조시켜 제조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항균필름 제조단계(S2)는 제2 기재(100b) 상부에 제2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S21), 상기 제2프라이머 상부에 고추냉이 추출 오일을 포함하는 코팅액을 도포하여 코팅층(300)을 형성하는 단계(S22), 상기 코팅층(300) 상부에 제1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S23), 상기 제1프라이머 상부에 제1 기재(100a)를 적층시키는 단계(S22)를 포함한다.
상기 항??필름 제조단계(S2)는 고추냉이 추출 오일 10 내지 30 중량부, 용매 5 내지 15 중량부, 자기유화형 에폭시 수지 10 내지 20 중량부,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5 내지 10 중량부, 소취 비드 1 내지 3 중량부 및 경화제 0.1 내지 1 중량부를 혼합하여 상기 코팅액을 제조하는 코팅액 제조 단계(S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항균필름 제조단계(S2)는 상기 고추냉이 추출 오일을 제조하는 오일 제조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일 제조 단계는, 세척된 고추냉이를 수증기로 30분 내지 60분 동안 찜으로써 증숙하는 단계, 증숙된 고추냉이를 초산 또는 구연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산으로 세척하는 단계, 산으로 세척된 고추냉이를 20 내지 22℃의 온도 및 55 내지 60%의 습도에서 10 내지 30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된 고추냉이를 추출하여 오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기재(100a)와 제2 기재(100b)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공지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이 사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명확성 및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코팅층(300)은 상기 제1 기재(100a) 및 제2 기재(100b)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기재(100a) 및 제2 기재(100b) 표면에 코팅되어 형성되며, 상기 코팅층(300)에는 고추냉이 추출 오일을 포함함으로써, 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고 항균 물질이 식품에 직접 접촉하지 않으면서 항균 효과를 보이며 세균성 부패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300)은 코팅액 조성물을 일정한 중량 비율로 배합한 후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코팅액 조성물은 고추냉이 추출 오일 및 용매를 포함하고, 상기 코팅액 조성물은 고추냉이 추출 오일 10 내지 30 중량부 및 용매 5 내지 1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며, 상기 용매는 에틸알코올(에탄올)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 상기 고추냉이 추출 오일은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고추냉이 추출 오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고추냉이 추출 오일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고추냉이를 준비한 후 물에서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척된 고추냉이를 증숙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증숙은 상기 세척된 고추냉이를 수증기로 30분 내지 60분 동안 찜으로써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 고추냉이의 증숙이 상기한 하한 범위 미만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충분한 증숙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한 상한 범위를 초과하여 수행되는 경우에는 증숙 시간의 증가에 따른 효과의 차이가 미미할 수있다.
다음 단계로, 상기 증숙된 고추냉이를 초산 또는 구연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산으로 세척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증숙된 고추냉이의 세척은 상기 증숙된 고추냉이의 표면을 초산 또는 구연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산으로 세척함으로써, 제조되는 고추냉이 추출 오일의 향미, 색택 등의 개선 효과가 있다.
이어서, 상기 산으로 세척된 고추냉이를 건조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햇빛 건조시 상기 고추냉이의 엽록소가 파괴되고 유용 성분이 휘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추냉이를 20 내지 22℃의 온도 및 55 내지 60%의 습도에서 10 내지 30시간 동안 건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건조된 고추냉이를 추출하여 고추냉이 추출 오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건조된 고추냉이를 추출하여 고추냉이 추출 오일을 얻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수증기 증류법, 압착법, 추출법 등 공지된 다양한 방법이 있고, 본 발명에서 상기 오일을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와 같이 공지된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는데, 설명의 편의 및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명확성을 위하여 상기 발효된 고추냉이를 추출하여 고추냉이 추출 오일을 얻는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추가로, 상기 코팅액 조성물은 상기 고추냉이 추출 오일 및 용매 이외에 자기유화형 에폭시 수지,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소취 비드 및 경화제를 포함하여 제조됨으로써 항균성 및 소취성 등의 효과를 부여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코팅액 조성물은 고추냉이 추출 오일 10 내지 30 중량부, 용매 5 내지 15 중량부, 자기유화형 에폭시 수지 10 내지 20 중량부,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5 내지 10 중량부, 소취 비드 1 내지 3 중량부 및 경화제 0.1 내지 1 중량부가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자기유화형 에폭시 수지는 자체 내에 유화시킬 수 있는 활성기를 가지고 있는 에폭시 수지로, 상기 자기유화형 에폭시 수지는 에폭시 당량이 200 내지 230g/eq인 자기유화형 변성 에폭시 수지가 사용됨으로써, 도막의 강도, 내후성, 내수성 등의 물성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디올 80~90 중량% 및 트리올 10~20 중량%를 포함하는 다가 알코올을 무수산 40~50 중량% 및 지방족산 50~60 중량% 포함하는 다염기산과 축합 중합시켜 수산기값이 45~65mgKOH/g, 산값이 3mgKOH/g 이하, 유리전이온도가 5~20℃이며 중량평균분자량(Mw)이 2,500~3,500인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50~60 중량% 및 아크릴 단량체 40~50 중량%를 그래프트(graft) 시켜서 중량평균 분자량(Mw) 5,000~7,000, 수산기값이 50~60mgKOH/g, 산값이 3mgKOH/g 이하, 및 유리전이 온도가 10~20℃ 범위인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소취 비드는 포장된 식품에서 발생될 수 있는 불쾌취를 완화 및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일 실시예로서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친수성 첨가제 및 가교제가 일정한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용액을 제조할 수 있는데, 상기 혼합용액은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200 내지 300 중량부, 친수성 첨가제 30 내지 50 중량부 및 가교제 10 내지 2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친수성 첨가제 및 가교제가 혼합된 혼합용액에 정제수를 첨가한 후 교반한 다음, 상기 정제수가 혼합된 혼합용액에 중합개시제를 첨가하여 중합체를 형성하고, 상기 중합체를 건조한 후 분쇄하여 중합체 파우더를 제조하며, 상기 중합체 파우더에 소취액을 혼합하여 소취 비드를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소취액은 구연산나트륨, 젖산나트륨, 글리세린, 염화칼륨, 염화나트륨, 비타민B1라우릴황산염, 안식향산나트륨, 자몽종자추출물, 황칠나무 잎 추출물 및 정제수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취액은 구연산나트륨 1 내지 3 중량부, 젖산나트륨 2 내지 4 중량부, 글리세린 3 내지 6 중량부, 염화칼륨 0.5 내지 1.5 중량부, 염화나트륨 0.1 내지 0.5 중량부, 비타민B1라우릴황산염 0.5 내지 1.5 중량부, 안식향산나트륨 1 내지 3 중량부, 자몽종자추출물 0.5 내지 1.5 중량부, 황칠나무 잎 추출물 0.1 내지 0.3 중량부 및 정제수 5 내지 1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구체적인 소취 비드의 제조 방법은 공지의 기술을 따르는 것으로 한다.
상기 제2 기재(100b) 상부에 도포되는 제2프라이머와 상기 코팅층(300) 상부에 도포되는 제1프라이머는 동일한 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1 프라이머와 제2프라이머를 프라이머(프라이머 조성물)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프라이머(제1프라이머 및 제2프라이머)는 하이드록시케톤 계열, 아미노통 계열, 벤질디메틸케탈 계열, 비스-아실 포스파인 계열, 모노-아실 포스파인 계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광경화제;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패각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프라이머는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Oligomer) 40 내지 60 중량부, 아크릴계 모노머(monomer) 20 내지 40 중량부, 광경화제 1 내지 3 중량부, 용매 80 내지 120 중량부,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3 내지 7 중량부, 겔라이트 2 내지 4 중량부, 패각분말 0.5 내지 1.5 중량부, 박하추출물1 내지 3 중량부 및 분산제 1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자외선 경화성이고, 중량평균 분자량(Mw)이 3,000 내지 30,000인 화합물로서,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다이올과 이소시아네이트 및 아크릴레이트와 반응을 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우레탄 결합을 반복단위로 포함하며, 통상적으로 유연한 물성을 보이는데, 상기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종류가 다양하며, 사용된 이소시아네이트의 종류에 따라 지방족 우레탄아크릴레이트와 방향족 우레탄아크릴레이트로 나뉘어진다.
상기 지방족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무황변 타입이며, 통상 2 내지 20개의 관능기를 갖고, 방향족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황변 타입이며, 반응성이 빠른 특성을 지닌다.
상기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3 내지 15개의 관능기를 가질 수 있는데, 상기 관능기의 수는 용매 및 광경화제와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표면 경도 및 제1 기재(100a), 제2 기재(100b)와의 강한 접착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관능기로서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실산, 카르복실산 무수물(anhydride), C=C 이중결합을 가진 아크릴레이트계 관능기(예를 들어,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등), SH기, 알코올류, 에스테르류, 에테르류, 트리에틸렌글리콜레이트, 킬레이팅제(예를 들어, 아미노트리에탄올레이트, 아미노디에탄올레이트, 아세틸아세토네이트, 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 락테이트 등), 아민기, 아미드, 옥사졸린 및 카바메이트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모노머는 프라이머 조성물로 형성되는 프라이머의 강도를 높여주고 프라이머 조성물의 점도를 낮추어 주는 희석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크릴계 모노머는 아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Isobornyl acrylate; IBXA), 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Phenoxyethyl acrylate; PEA),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1,6-Hexanediol diacrylate; 1,6-HDDA) 및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 triacrylate; PET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경화제는 프라이머 조성물(프라이머)이 매트리스 기재(100)에 도포된 후 자외선(UV)을 이용하여 광경화할 때, 자외선을 흡수하여 자유라디칼을 생성함으로써 반응을 개시하여 프라이머 조성물을 중합 경화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광경화제는 공지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광경화제로는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1-hydroxy cyclrohexyl phenyl ketone, Irgacure 184) 등의 하이드록시케톤계열, 알파-아미노아세토페논(α-Amino Acetophenone, Irgacure 907) 등의 아미노케톤 계열, 벤질디메틸케탈(Benzyl Dimethyl Ketal,Irgacure-651) 등의 벤질디메틸케탈 계열, 페닐 비스(2,4,6,-트리메틸 벤조일) (phenyl bis(2,4,6-trimethylbenzoyl), Irgacure 819) 등의 비스-아실 포스파인(bis-acyl phosphine) 계열,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 옥사이드(TPO) 등의 모노-아실 포스파인(mono-acyl phosphine) 계열의 광경화제를 단독 또는 2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할 때 점도와 유동성을 조절하여 작업성 및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용매로는 에테르계 용매, 아세테이트계 용매, 알코올계 용매 또는 이들이 혼합된 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테르계 용매로는 프로필렌그릴콜모노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디에틸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2-에틸헥실에테르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세테이트계 용매로는 부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알코올계 용매로는 디아세톤알콜(DAA), n-부탄올,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은 우수한 선형성, 평평한 지그재그 입체형태(zig-zag conformation), 고결정성, pH 13.5 이상에서도 견디는 우수한 내알카리성, 우수한 접착성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폴리비닐알콜은 고강도 및 고탄성율의 폴리비닐알콜 섬유로의 응용이 가능하다.
상기 폴리비닐알콜은 전술한 바와 같은 우수한 물성적 특성과 다양한 적용 범위로 인해 그 응용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폴리비닐알콜을 이용한 고강도 및 고탄성율 겔의 제조 및 고성능 폴리비닐알콜 섬유 제조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예로서, 폴리비닐알콜은 고분자 필름을 이용한 막 분리기술에 적용가능하다. 고분자 필름은 화학 공업 분야를 비롯하여, 생물 공학, 자원, 에너지, 환경 등 매우 광범위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액체 유기 혼합물 또는 유기물 수용액을 분리할 수 있는 투과 증발 분리법(pervaporation method)은 전통적인 증류법에 비하여 에너지 절약 및 장치 소형화 등 많은 이점이 있어, 무수알콜 제조 및 유기 혼합물의 분리 등에 널리 활용되고있다. 따라서, 폴리비닐알콜은 고분자 필름 분야에서 그 활용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폴리비닐알콜은 전기방사 기술로 미세섬유를 제조하는 기술에 적용이 가능하다. 전기방사기술로 미세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은 고분자 수지용액에 높은 전압을 인가하여 방사구에서 토출되어 나오는 용액에 액체 젯(jet)의 형성을 유도하 고, 이때 용매의 휘발 중에 전기적인 반발력에 의한 연속적인 잡아늘림으로 굵기가 미세한 섬유가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전기방사기술을 이용할 경우 3차원 망상구조인 웹의 형태로 섬유사가 콜렉터에 쌓이게 되는데 이러한 미세섬유는 높은 비표면적 및 장력을 비롯한 기계적 물성 향상, 화학적 물성 향상 그리고 세포생체재료 인식특성 등을 갖게 된다. 따라서, 폴리비닐알콜은 미세섬유, 필터를 포함한 산업용 소재, 광화학 센서 소재, 바이오메디컬 소재, 미용 소재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응용이 가능하다.
상기 겔라이트(Ge-lite)는 포졸란이라고 불리우며, 게르마늄이 약 2.0ppm 함유되어 있고 다량의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대표적으로는 화산재, 규산백토, 규산토 등이 있다. 즉, 상기 겔라이트는 황토의 약 180배에 해당하는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식물의 성장을 촉진하고 습도조절기능이 있으며, 음이온과 인체 활성에너지를 방출하고 유해 전자파 차단 기능이 있고, 탈취 및 살균효과와 중금속 중화 효과도 제공한다.
상기 패각분말은 패각을 분쇄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패각이란 연체동물에서 연체를 싸서 보호하는 무기질의 분비형성물로, 이러한 패각은 전복 껍질, 석화 껍질, 조개 껍질, 가리비 껍질 등 각종 패각류의 종류에 따라 분쇄하였을 때 그 질감과 색상이 매우 미려하고 다양하게 나타날 뿐만 아니라 생물 화학적으로 조성된다공성의 칼슘성분으로 인하여 상당한 단열성능을 가지고 있고, 주변 공기와의 호흡을 통해 공기 중의 오염물질 등을 흡착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 위생적이고 친환경적인 재료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패각은 탄산칼슘을 주성분으로 단백질 등의 유기물질로 구성되어 있어, 밀도가 매우 높아 파쇄가 쉽지 않은데, 상기 패각을 1,100℃ 이상의 고온에서 일정 시간 소성하면 이산화탄소가 산화되고 98% 이상의 칼슘(Ca)과 마그네슘(Mg), 칼륨(K), 나트륨(Na), 인(P), 유황(S) 등의 미네랄이 포함된 산화칼슘으로 변하게 된다.
다음으로, 접합 단계(S3)는 하나의 항균필름에, 다른 항균필름 또는 열성형필름을 접합시켜 식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인 접합 단계(S3)에 관한 실시는 통상의 기술자의 일반상식 및 공지된 기술을 통해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방법에 따르면, 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고 항균 물질이 식품에 직접 접촉하지 않으면서 항균 효과를 보이고 세균성 부패를 억제할 수 있는 식품 포장재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항균필름 제조단계(S2)는 상기 제1 기재(100a) 상부에 방수재(GS) 및 기능성첨가재(G)의 혼합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수재(GS)는 제1 기재(100a) 상부에 도포되고 우레탄 5 중량부를 포함(후술하는 라텍스 0.2 중량부 대비, 본 방법에 사용되는 모든 성분들은 라텍스 0.2 중량부를 기준으로 할 수 있음)할 수 있다. 방수재(GS)는 우레탄을 포함하여 제1 기재(100a)에 방수성을 부가한다.
상기 기능성첨가재(G)는 라텍스 0.2 중량부를 포함하고, 섬유상이고 상기 방수재(GS)에 분산 배치되는 신축성 외피재(G1), 비스무트 니켈 철산화물 0.4 중량부를 포함하고, 입자 형상이되 상기 신축성 외피재(G1)의 내부에 수용되는 가변재(G2), 마그네타이트(magnetite), 폴리메타크릴산(polyacrylic acid), 폴리옥시에틸렌(polyoxyethylene)의 혼합물 0.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축성 외피재(G1)의 양 측 단부 중 어느 한 측 단부에 구비는 양이온재(G3), 및 피-스티렌술포닉산(p-styrenesulfonic acid, SSNa) 0.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축성 외피재(G1)의 양 측 단부 중 다른 한 측 단부에 구비되는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을 포함한다(기능성첨가재(G) 각 성분의 비율은 라텍스 0.2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였다).
도 4를 참조하여, 기능성첨가재(G)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신축성 외피재(G1)는 후술하는 가변재(G2)의 부피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탄성 변형이 가능한 라텍스를 포함한다.
신축성 외피재(G1)의 라텍스가 0.2 중량부 미만일 경우, 후술하는 가변재(G2)를 충분한 두께로 충분히 감싸지 못해 가변재(G2)가 소실될 우려가 있으며, 라텍스가 0.2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기능성첨가재(G)의 무게를 지나치게 증가시켜 방수재(GS)와 혼합된 상태에서 기능성첨가재(G)가 방수재(GS) 하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분산성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방수재(GS)와 같은 일반적인 물질들은 일반적으로 온도가 상승할수록 부피가 증가한다. 그러나 가변재(G2)에 포함되고 산화물 세라믹 재료인 비스무트 니켈 철산화물(BiNi1-xFexO3)은 반대로 온도가 증가할수록 부피가 감소되는 것이다. 비스무트 니켈 철산화물은 실온 상태에서 기존 재료(예시적으로 지르코늄 바나데이트 등)의 2배 이상의 '음의 열팽창' 효과가 있어 사용되었다.
도 4의 [A]는 실온 중 제1온도(예시적으로 10℃)에서 기능성첨가재(G)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의 [B]는 실온 중 상기한 제1온도보다 높은 제2온도(예시적으로 20℃)에서 기능성첨가재(G)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서 방수재(GS)는 상기 제1온도에서 상기 제2온도로 상승할 경우, 부피가 증가하게 된다. 이러할 경우 방수재(GS)는 구부러지고, 우글쭈글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통해 도포된 방수재(GS)가 제1 기재(100a)와 분리되어 박리 등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기능성첨가재(G)는 온도 상승에 따른 방수재(GS)의 부피 증가(또는 수평 방향(도 4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늘어남)를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가변재(G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오히려 부피가 감소하게 된다.
신축성 외피재(G1)는 탄성 변형되는 재료라고 하였는데, 상기한 가변재(G2)가 도 4의 [B]와 같이 부피가 감소됨에 따라 탄성 복원되어 마찬가지로 부피가 감소된다. 이와 같이, 기능성첨가재(G)가 가변재(G2)를 포함함으로써, 방수재(GS)가 온도 변화에 따라 부피가 변화되는 것을 억제하여 우글쭈글해지는 것을 억제하고, 따라서 박리 등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가변재(G2)의 비스무트 니켈 철산화물은 0.4 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비스무트 니켈 철산화물이 0.4 중량부 미만이 사용될 경우 방수재(GS)의 부피 변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고, 비스무트 니켈 철산화물이 0.4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기능성첨가재(G)의 무게를 지나치게 증가시켜 기능성첨가재(G)의 분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가변재(G2)(비스무트 니켈 철산화물)는 입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섬유상의 신축성 외피재(G1)에 입자 형상의 다수의 가변재(G2)가 수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변재(G2)의 비스무트 니켈 철산화물가 다수의 입자 형상을 띄기 때문에 이동이 자유로워 섬유상이고 탄성 변형이 가능한 신축성 외피재(G1)의 형상 변화를 꾀할 수 있으며, 본 조성물(방수재(GS)와 기능성첨가재(G)의 혼합물)이 도포되는 제1 기재(100a)의 형상에 대응하여 기능성첨가재(G)의 형상 또한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기능성첨가재(G)는 '-'자 형을 띄지만 구부러져 'ㄱ'자, 'ㄴ'자, 'S'자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즉, 방수재(GS)와 기능성첨가재(G)의 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기능성첨자제(G)의 외피재(G1)는 탄성 재료이고, 상술한 바와 같이 섬유상을 띄는 라텍스를 포함하여 방수재(GS)에 강인성을 부가할 수 있어, 방수재(GS)가 찢어지거나 파손되는 것들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양이온재(G3)는 신축성 외피재(G1)의 양 측 단부 중 어느 한 측 단부(도 4에서 우측 단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마그네타이트(magnetite), 폴리메타크릴산(polyacrylic acid) 및 폴리옥시에틸렌(polyoxyethylene)을 포함하여 기능성첨가재(G)의 어느 한 측에 양극성을 부가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마그네타이트는 외부 자기장을 받았을 때 자성을 띠다가 외부 자기장을 제거하면 잔류된 자기가 사라지면서 잔류자기로 인한 부작용이 없어 사용되었다. 마그네타이트는 상기한 신축성 외피재(G1)의 어느 한 측 단부 측에 구비될 수 있다.
폴리메타크릴산은 상기 마그네타이트의 표면에 코팅되는 것으로, 다수의 카복실기를 함유하여 마그네타이트와 다중 결합점에서 배위결합을 형성하므로 코팅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폴리옥시에틸렌은 폴리메타크릴산의 표면에서 마그네타이트와 배위결합을 형성하지 않은 카복실기와 반응하여 아마이드 결합을 통해 안정적인 결합을 이루어 상기 마그네타이트에 양전하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한 양이온재(G3)의 표면 양전하는 +30 mV 이상의 표면 제타전위를 가질 수 있다.
양이온재(G3)는 0.2 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양이온재(G3)가 0.2 중량부 미만 사용될 경우 기능성첨가재(G)의 양전하가 충분하지 않으며, 양이온재(G3)가 0.2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기능성첨가재(G)의 무게를 지나치게 증대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은 신축성 외피재(G1)의 양 측 단부 중 다른 한 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피-스티렌술포닉산을 포함할 수 있는데, 더하여 하이드로겔 프레-폴리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은 피-스티렌술포닉산과 하이드로겔 프레-폴리머를 혼합(1:19 비율)하고 UV 경화된 것일 수 있다.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의 피-스티렌술포닉산는 0.2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피-스티렌술포닉산이 0.2 중량부 미만이 사용될 경우 기능성첨가재(G)의 음전하가 충분하지 않으며, 피-스티렌술포닉산이 0.2 중량부가 초과되는 경우 기능성첨가재(G)의 무게를 지나치게 증대시켜 분산성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방수재(GS)에 기능성첨가재(G)의 단위체(GU)가 다수 포함되는 경우, 교반(혼합) 상황에서 전단력에 의해 이웃하는 단위체(GU)가 분리되어 본 조성물에서 각 성분들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능성첨가재(G)는 신축성 외피재(G1)의 양 측 단부에 각각 양이온재(G3)의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을 포함한다고 하였는데, 혼합 후 방수재(GS)가 제1 기재(100a)에 도포된 이후에는 이웃하는 단위체(GU)들이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부착될 수 있고, 이러할 경우 방수재(GS)는 섬유상의 신축성 외피재(G1) 뿐만 아니라 양이온재(G3)와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 간의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강인성이 부여될 수 있다.
이때 양이온재(G3)의 마그네타이트는 광물로서 충격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있는 것인데,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은 고분자 물질로서 기본적으로 광물보다 변형이 용이한 것이다. 따라서 이웃하는 단위체(GU)가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상호 부착될 때 양이온재(G3)에 의해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의 형상이 변화되고, 따라서 양이온재(G3)에 가해지는 충격을 저감시키기 때문에 기능성첨가재(G)가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포장용기 100a: 제1 기재
100b: 제2 기재 300: 코팅층

Claims (4)

  1. 하부에서부터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층, 폴리에틸렌(PE)층, 에틸렌비닐알코올(EVOH)층, 나일론(NY)층, 폴리에틸렌(PE)층, 에틸렌비닐알코올(EVOH)층, 및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층 순으로 적층시켜 열성형필름을 제조하는 열성형필름 제조단계(S1);
    제2 기재 상부에 제2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S21), 상기 제2프라이머 상부에 고추냉이 추출 오일을 포함하는 코팅액을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S22), 상기 코팅층 상부에 제1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S23), 상기 제1프라이머 상부에 제1 기재를 적층시키는 단계(S22)를 포함하는 항균필름 제조단계(S2); 및
    하나의 항균필름에 다른 항균필름 또는 상기 열성형필름을 접합하는 접합단계(S3);
    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프라이머 및 상기 제2프라이머 각각은,
    하이드록시케톤 계열, 아미노통 계열, 벤질디메틸케탈 계열, 비스-아실 포스파인 계열, 모노-아실 포스파인 계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광경화제;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패각분말;
    을 포함하고,
    상기 제1프라이머 및 상기 제2프라이머 각각은,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Oligomer) 40 내지 60 중량부, 아크릴계 모노머(monomer) 20 내지 40 중량부, 광경화제 1 내지 3 중량부, 용매 80 내지 120 중량부,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3 내지 7 중량부, 겔라이트 2 내지 4 중량부, 패각분말 0.5 내지 1.5 중량부, 박하추출물1 내지 3 중량부 및 분산제 1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항균필름 제조단계(S2)는,
    상기 제1 기재 상부에 방수재(GS) 및 기능성첨가재(G)의 혼합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기능성첨가재(G)는,
    라텍스 0.2 중량부를 포함하고, 섬유상이고 상기 방수재(GS)와 혼합되는 신축성 외피재(G1);
    상기 라텍스 0.2 중량부 대비, 비스무트 니켈 철산화물 0.4 중량부를 포함하고, 입자 형상이되 상기 신축성 외피재(G1)의 내부에 수용되는 가변재(G2);
    상기 라텍스 0.2 중량부 대비, 마그네타이트(magnetite), 폴리메타크릴산(polyacrylic acid), 폴리옥시에틸렌(polyoxyethylene)의 혼합물 0.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축성 외피재(G1)의 양 측 단부 중 어느 한 측 단부에 구비는 양이온재(G3); 및
    상기 라텍스 0.2 중량부 대비, 피-스티렌술포닉산(p-styrenesulfonic acid, SSNa) 0.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축성 외피재(G1)의 양 측 단부 중 다른 한 측 단부에 구비되는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
    포함하고,
    상기 방수재(GS)는 상기 라텍스 0.2 중량부 대비, 우레탄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재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20057103A 2022-05-10 2022-05-10 식품 포장재 제조방법 KR102474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103A KR102474147B1 (ko) 2022-05-10 2022-05-10 식품 포장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103A KR102474147B1 (ko) 2022-05-10 2022-05-10 식품 포장재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4147B1 true KR102474147B1 (ko) 2022-12-05

Family

ID=84392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7103A KR102474147B1 (ko) 2022-05-10 2022-05-10 식품 포장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1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893B1 (ko) * 2023-02-09 2023-12-19 최윤지 고온고압 살균기를 이용한 무수분 조리방법
KR102634576B1 (ko) * 2023-08-08 2024-02-07 최준영 식품 포장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101B1 (ko) * 2020-08-12 2021-02-19 최준영 식품 포장용 인라인 열성형 필름용기
KR102218100B1 (ko) * 2020-08-12 2021-02-19 최준영 식품 포장용 항균필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101B1 (ko) * 2020-08-12 2021-02-19 최준영 식품 포장용 인라인 열성형 필름용기
KR102218100B1 (ko) * 2020-08-12 2021-02-19 최준영 식품 포장용 항균필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893B1 (ko) * 2023-02-09 2023-12-19 최윤지 고온고압 살균기를 이용한 무수분 조리방법
KR102634576B1 (ko) * 2023-08-08 2024-02-07 최준영 식품 포장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4147B1 (ko) 식품 포장재 제조방법
DE60216506T3 (de) Nanoverbundmischungszusammensetzung mit supersperreigenschaft
KR950013364B1 (ko) 폴리비닐 알코올 제품 및 이를 함유하는 다층 제품
EA007770B1 (ru) Многослойные ориентированные противомикробные и предотвращающие запотевание пленки
WO2009106500A1 (de) Mehrschichtige verbundmaterialien, die eine kunststoff- oder metallfolie umfass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KR101832204B1 (ko) 항균성을 향상시킨 바이오플라스틱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75052A (ko) 멀칭 필름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생분해성 멀칭 필름
KR102413191B1 (ko) 커피박을 재자원화한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218101B1 (ko) 식품 포장용 인라인 열성형 필름용기
KR20120047113A (ko) 바이오 플라스틱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2081756A1 (ko) 7층 구조의 공압출 항균 진공포장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N109852016A (zh) 一种可生物降解的紫外阻隔和耐候微纳复合材料和应用
CN104494261B (zh) 可降解evoh高阻隔复合薄膜
CN106458774A (zh) 混凝土表面覆盖层形成用层叠薄膜、混凝土制建筑材料和其制造方法
TW201309756A (zh) 含有生物可分解樹脂之組合物、阻水板及其由該組合物所製成之心材
KR101437399B1 (ko) 친환경 비팽윤성 투습방수 필름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비팽윤성 투습방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4311916B2 (ja) 耐加水分解性に優れた生分解性樹脂製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
JPH06263954A (ja) 組成物および積層体
CN104385698B (zh) 可降解po发泡共挤出复合薄膜
CN1059682C (zh) 利用甘蔗渣和麦杆浆制备再生纤维素防水膜
KR20130084189A (ko) 바이오 베이스 쓰레기 봉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02167B1 (ko) 그래핀이 함유된 가죽용 코팅제
KR102299318B1 (ko) 식품 포장재 제조 방법
KR101904772B1 (ko) 나노복합체를 포함하는 다층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26839B1 (ko) 해조류를 이용한 포장 용기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