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3052B1 - 고품질 고속의 공정 통합 금형 - Google Patents

고품질 고속의 공정 통합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3052B1
KR102473052B1 KR1020210181122A KR20210181122A KR102473052B1 KR 102473052 B1 KR102473052 B1 KR 102473052B1 KR 1020210181122 A KR1020210181122 A KR 1020210181122A KR 20210181122 A KR20210181122 A KR 20210181122A KR 102473052 B1 KR102473052 B1 KR 102473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rotrusion
plate
frame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1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태혁
Original Assignee
(주)엔에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에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엔에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210181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30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005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005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 B29C45/401Ejector pin constructions or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2045/2683Plurality of independent mould cavities in a singl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2045/2683Plurality of independent mould cavities in a single mould
    • B29C2045/2689Plurality of independent mould cavities in a single mould separate independent mould halves mounted on one pl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품질의 성형품을 고속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구현한 고품질 고속의 공정 통합 금형에 관한 것으로, 상부 금형; 상기 상부 금형과 형합되어 상기 상부 금형과의 사이에 성형공간을 형성시키는 하부 금형; 상기 상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 사이에서 상기 성형공간의 측부와 연통하여 수평 방향으로 상기 성형공간에 용융물을 공급하도록 일측에 개방되는 게이트를 구비하는 공급체; 상기 상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에 걸쳐서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성형공간과 상기 게이트 사이에서 상기 게이트와 상기 성형공간 사이를 연결하는 연통구가 형성된 가이더; 상기 하부 금형을 통해 상기 하부 금형에 형성되는 상기 성형공간으로 삽입되는 밀핀; 상기 하부 금형에 형성되는 상기 성형공간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밀핀에 의해 상승되어 성형이 완료된 상기 성형물을 상기 성형공간으로부터 분리시켜 주는 분리 플레이트; 및 상기 분리 플레이트의 상측면이 상기 성형공간의 하측면과 동일 레벨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분리 플레이트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성형공간의 하측에 형성되는 플레이트 안착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고품질 고속의 공정 통합 금형{High-Quality, High-Speed, Process-Integrated Mold}
본 발명은 고품질 고속의 공정 통합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품질의 성형품을 고속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구현한 고품질 고속의 공정 통합 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형이라 함은, 동일규격의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일종의 "틀"을 지칭한다. 이러한 금형은 생산되는 제품의 치수 정밀도가 높으며 두께가 얇은 소형 제품의 생산에도 적합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금형 중 가장 대표적인 방식인 사출금형은 두 형틀 내에 용융된 금속 또는 수지와 같은 용융물을 공급하여 원하는 성형물을 생산하는 금형으로써, 크게 2단과 3단방식으로 구분된다. 상기 2단방식 사출금형은 성형하고자 하는 성형물의 형상에 대응되는 상부와 하부 성형체 사이에 형성된 성형공간의 측면에서 용융물이 공급되는 게이트(Gate)가 마련된다.
이 경우, 특히, 복잡하고 미세한 피치를 갖는 소켓 금형이나 앰프 등의 소물금형은 게이트를 성형제품 내측에 대응되도록 설치할 수가 없다. 이로 인하여 2단 금형에 의하여 캐비티 측방향을 통하여 사출물을 주입해서 소켓이나 앰프를 형성시켜야 한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52654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고품질의 성형품을 고속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구현한 고품질 고속의 공정 통합 금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품질 고속의 공정 통합 금형은, 상부 금형; 상기 상부 금형과 형합되어 상기 상부 금형과의 사이에 성형공간을 형성시키는 하부 금형; 상기 상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 사이에서 상기 성형공간의 측부와 연통하여 수평 방향으로 상기 성형공간에 용융물을 공급하도록 일측에 개방되는 게이트를 구비하는 공급체; 상기 상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에 걸쳐서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성형공간과 상기 게이트 사이에서 상기 게이트와 상기 성형공간 사이를 연결하는 연통구가 형성된 가이더; 상기 하부 금형을 통해 상기 하부 금형에 형성되는 상기 성형공간으로 삽입되는 밀핀; 상기 하부 금형에 형성되는 상기 성형공간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밀핀에 의해 상승되어 성형이 완료된 상기 성형물을 상기 성형공간으로부터 분리시켜 주는 분리 플레이트; 및 상기 분리 플레이트의 상측면이 상기 성형공간의 하측면과 동일 레벨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분리 플레이트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성형공간의 하측에 형성되는 플레이트 안착홈;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 플레이트는, 사각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측에 상기 밀핀의 상측이 설치되어 상기 밀핀이 상승함에 따라 함께 상승하거나 상기 밀핀이 하강함에 따라 함께 하강되어 상기 플레이트 안착홈에 안착되는 플레이트 본체;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각 테두리로부터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돌출부; 상기 제1 돌출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ㅁ"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제1 돌출부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돌출부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하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 사이의 이격 공간의 상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되,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하측면으로부터 상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밀폐 안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밀폐 안착홈은, 상측으로 갈수록 뾰족해 지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레이트 안착홈은, 상기 플레이트 본체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성형공간의 하측에 형성되는 본체 안착 공간; 상기 제1 돌출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돌출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 안착 공간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 돌기 안착 공간; 상기 제2 돌출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돌출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돌기 안착 공간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본체 안착 공간의 하측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2 돌기 안착 공간; 상기 제2 돌기 안착 공간의 하측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제2 돌기 안착 공간을 따라 하강하는 상기 제2 돌출부의 하측을 지지하는 돌기 지지부; 및 상기 밀폐 안착홈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밀폐 안착홈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돌기 안착 공간과 상기 제2 돌기 안착 공간의 사이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밀폐용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돌기 안착 공간은, 상하 높이가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돌기 지지부의 상하 높이를 더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돌기 지지부는, 상기 제2 돌기 안착 공간의 형상에 대응하는 "ㅁ" 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돌기 안착 공간에 안착되는 사각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사각 지지 프레임의 하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사각 지지 프레임을 지지하는 다수 개의 플레이트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는, 상기 사각 지지 프레임의 하측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2 돌기 안착 공간의 하측에 안착되는 하부 지지 플레이트;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블록;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 가능한 주름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과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과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켜 주는 자바라식 밀폐 커버; 및 상기 자바라식 밀폐 커버에 의해 밀폐 형성되는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는,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 중심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중심 포스트;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완충 지지부; 상기 중심 포스트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제1 완충 지지부로부터 120º 각도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2 완충 지지부; 및 상기 중심 포스트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제1 완충 지지부 및 상기 제2 완충 지지부로부터 각각 120º 각도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3 완충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완충 지지부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부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으로 삽입되고 상부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으로 노출되며, 상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동 지지 헤드가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며, 상부 외측을 따라 설치되는 상부 거치대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완충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수직형 지지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수직형 지지부의 하부가 내측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수직형 지지부의 하부를 상측 방향으로 지지하는 수직형 지지 실린더; 및 일단이 상기 회동 지지 헤드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중심 포스트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회동 지지 헤드를 지지하며,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가 하강하여 상기 수직형 지지부가 하강함에 따라 일단 및 타단이 각각 회동 하는 동시에 길이가 수축되는 경사형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경사형 지지부는, 상단이 상기 회동 지지 헤드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회동 프레임; 상단이 상기 제1 회동 프레임의 하단과 대향하며 배치되고, 하단이 상기 중심 포스트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회동 프레임; 직선 형상의 제1 링크 프레임과 제2 링크 프레임의 각 중단이 접철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X" 형상을 형성하는 지지 링크 다수 개가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회동 프레임의 하단과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는 접철식 지지 링크부; 상기 제1 링크 프레임과 상기 제2 링크 프레임이 연결 설치되는 교차 위치의 일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 상기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 사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는 제2 완충 스프링; 일단이 상기 제1 회동 프레임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완충 스프링 각각의 내측을 통과하면서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중간 지지 프레임 각각을 역시 관통하고 삽입되어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상단을 통해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어 상기 제1 회동 프레임과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이 일직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회동 프레임과 상기 제2 회동 프레임 사이를 지지하는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 및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의 타단이 내측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의 타단을 상측 방향으로 지지하는 경사형 지지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형 지지 실린더는, 유체가 수용되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내측에 설치되는 유체 탱크; 상기 경사형 지지 실린더와 상기 유체 탱크의 하단 사이를 연통하고 설치되어 서로 간에 유체를 전달하거나 공급받기 위한 유체 전달관; 상기 유체 탱크를 유체가 수용되는 하부 공간과 유체가 수용되지 않는 상부 공간으로 구분하면서 상기 유체 탱크의 내측에서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분리 격벽; 및 상기 분리 격벽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상기 수직형 지지부의 하단을 지지하는 수직 완충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고품질의 성형품을 고속으로 제조할 수 있어 성형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품질 고속의 공정 통합 금형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5는 도 4의 분리 플레이트와 플레이트 안착홈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플레이트 안착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4의 플레이트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는 도 7의 제1 완충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경사형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수직형 지지 실린더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품질 고속의 공정 통합 금형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품질 고속의 공정 통합 금형(10)은, 상부 금형(100), 하부 금형(150), 공급체(200), 가이더(250-1, 250-2), 밀핀(300-1, 300-2), 분리 플레이트(400-1, 400-2) 및 플레이트 안착홈(500)을 포함한다.
상부 금형(100)은, 하부 금형(150)과 형합되어 하부 금형(150)과의 사이에 성형공간(S1, S2)을 형성시킨다.
하부 금형(150)은, 상부 금형(100)과 형합되어 상부 금형(100)과의 사이에 성형공간(S1, S2)을 형성시킨다.
공급체(200)는, 상부 금형(100)과 하부 금형(150) 사이에서 성형공간(S1, S2)의 측부와 연통하여 수평 방향으로 성형공간(S1, S2)에 용융물을 공급하도록 일측에 개방되는 게이트(201)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 공급체(200)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고, 성형공간(S1, S2)을 사이에 두고 한 쌍으로 마련 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그러나, 꼭 도시된 예로 공급체(200)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공급체(200)가 단수개 또는 3개 이상 마련되거나, 깔대기 형상을 가지는 것과 같은 변형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아울러, 자세 히 되지 않았으나, 공급체(200)의 양측단에는 모두게이트(201)가 마련되어, 동시에 복수의 성형물(P)의 형성 을 위한 용융물을 공급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가이더(250)는, 상부 금형(100)과 하부 금형(150)에 걸쳐서 삽입되는 것으로, 성형공간과 게이트(201) 사이에서 게이트(201)와 성형공간(S1, S2) 사이를 연결하는 연통구(251)가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더(250)는, 성형공간(S1, S2) 공급체(200)의 사이에 마련되되, 게이트(201)와 성형공간 성형공간(S1, S2)의 사이를 상호 연통시키는 연통구를 구비하도록, 하부 금형(150)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연통구는 상기 성형공간(S1, S2)을 향해 점차 좁아지는 폭을 가진다. 즉, 상기 연통구는 상기 성형공간(S1, S2)을 향하도록 가이더(25)의 두께 방향으로 깔때기 형상을 가지고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공급체(200)의 게이트(201)는 상기 연통구에 밀착 삽입되며, 이를 위해, 공급체(200)의 게이트(201) 또한, 상기 성형공간(S1, S2)을 향해 점차 좁아지는 폭을 가진다.
밀핀(300)은, 하부 금형(150)을 통해 하부 금형(150)에 형성되는 성형공간(S1, S2)으로 삽입되면서 분리 플레이트(400)를 상승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밀핀(300)은, 상기성형공간(S1, S2)에서 성형되는 성형물을 선택적으로 간섭하도록 상부 금형(100) 및 하부 금형(15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밀핀(300)이 하부 금형(150)에 마련된 한 쌍의 밀핀홈에 삽입되어, 성형공간(S1, S2)에 형성된 성형물을 선택적으로 들어올리는 것으로 예시한다.
분리 플레이트(400)는, 하부 금형(150)에 형성되는 성형공간의 하측에 설치되어 밀핀(300)에 의해 상승되어 성형이 완료된 성형물(P)을 성형공간(S1, S2)으로부터 분리시켜 준다.
플레이트 안착홈(500)은, 분리 플레이트(400)의 상측면이 성형공간(S2)의 하측면과 동일 레벨을 형성할 수 있도록 분리 플레이트(400)의 형상에 대응하여 성형공간(S2)의 하측에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품질 고속의 공정 통합 금형(10)은, 1) 고속 안정 가공 방식으로서, 스크랩 상승이 적은 고속 안정 가공 방식을 제공하여 다이 내부의 아래방향으로 강력한 공기를 분사하여, 스크랩을 하부로 흡인하는 파워버큠 방식을 채용하여, 하강단이 낮은 가공 (하강량 1mm) 가능하고, 레이저에 필적하는 특수 & R형상 가공 방식으로서 판두계 이하의 피치로 니블링 가공을 통해 종래 필요했던 사상작업과 특수금형이 불필요하고 히트수가 증가해도 초고속가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공 시간의 대폭적인 절감 가능할 수 있다.
또한, 2) 고품질 가공 방식으로서, 인력과 시간이 드는 버 제거를 자동, 고속으로 가공이 가능하고, 슬로팅 가공방식으로 외곽 이음매가 없어 이음매 마무리 작업이 불필요하다.
그리고, 3) 공정 통합 방식으로서, 종래 별도의 공정이었던 단차절곡가공 등의 성형 가공을 전용 금형 없이 임의의 형상 및 치수로 고속 가공 가능하고, 하향 버링, 탭핑 가공을 재료 이동 시에 성형부를 파손하지 않고 스크래치 없이 고속으로 가공 가능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품질 고속의 공정 통합 금형(10)은, 고품질의 성형품을 고속으로 제조할 수 있어 성형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분리 플레이트와 플레이트 안착홈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분리 플레이트(400)는, 플레이트 본체(410), 제1 돌출부(420), 제2 돌출부(430) 및 밀폐 안착홈(440)을 포함한다.
플레이트 본체(410)는, 본체 안착 공간(510)에 안착될 수 있도록 본체 안착 공간(510)의 형상에 대응하여 사각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측에 밀핀(300)의 상측이 설치되어 밀핀(300)이 상승함에 따라 함께 상승하거나 밀핀(300)이 하강함에 따라 함께 하강되어 플레이트 안착홈(500)에 안착되며, 하측 외측으로부터 제1 돌출부(420), 밀폐 안착홈(440), 및 제2 돌출부(430)가 차례로 형성된다.
제1 돌출부(420)는, 플레이트 본체(410)의 각 테두리로부터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 돌기 안착 공간(520)에 안착된다.
제2 돌출부(430)는, 제1 돌출부(420)의 형상에 대응하여 "ㅁ" 형태로 형성되되, 제1 돌출부(420)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제1 돌출부(420)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플레이트 본체(410)의 하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제2 돌기 안착 공간(530)에 안착된다.
밀폐 안착홈(440)은, 제1 돌출부(420)와 제2 돌출부(430) 사이의 이격 공간의 상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되, 플레이트 본체(410)의 하측면으로부터 상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밀폐용 돌기부(550)가 삽입된다.
일 실시예에서, 밀폐 안착홈(440)은, 상측으로 갈수록 뾰족해 지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5의 플레이트 안착홈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플레이트 안착홈(500)은, 본체 안착 공간(510), 제1 돌기 안착 공간(520), 제2 돌기 안착 공간(530), 돌기 지지부(540) 및 밀폐용 돌기부(550)를 포함한다.
본체 안착 공간(510)은, 플레이트 본체(41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 본체(410)의 형상에 대응하여 성형공간의 하측에 형성되며, 하부 외측으로부터 제1 돌기 안착 공간(520), 밀폐용 돌기부(550), 및 제2 돌기 안착 공간(530)이 차례로 형성된다.
제1 돌기 안착 공간(520)은, 제1 돌출부(42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돌출부(420)의 형상에 대응하여 본체 안착 공간(510)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 형성된다.
제2 돌기 안착 공간(530)은, 제2 돌출부(43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제2 돌출부(430)의 형상에 대응하여 제1 돌기 안착 공간(520)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본체 안착 공간(510)의 하측면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돌기 지지부(540)는, 제2 돌기 안착 공간(530)의 하측을 따라 설치되어 제2 돌기 안착 공간(530)을 따라 하강하는 제2 돌출부(430)의 하측을 지지한다.
밀폐용 돌기부(550)는, 밀폐 안착홈(440)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밀폐 안착홈(440)의 형상에 대응하여 제1 돌기 안착 공간(520)과 제2 돌기 안착 공간(530)의 사이를 따라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돌기 안착 공간(530)은, 상하 높이가 제2 돌출부(430)와 돌기 지지부(540)의 상하 높이를 더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돌기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돌기 지지부(540)는, 사각 지지 프레임(541) 및 다수 개의 플레이트 지지부(542)를 포함한다.
사각 지지 프레임(541)은, 제2 돌기 안착 공간(530)의 형상에 대응하는 "ㅁ" 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제2 돌기 안착 공간(530)에 안착되어 플레이트 지지부(542)에 의해 지지되며, 2 돌기 안착 공간(530)을 따라 하강하는 제2 돌출부(430)를 지지한다.
플레이트 지지부(542)는, 사각 지지 프레임(541)의 하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사각 지지 프레임(541)을 지지하는 동시에 제2 돌기 안착 공간(530)을 따라 하강하는 제2 돌출부(430)에 밀착됨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분리 플레이트(400)와 플레이트 안착홈(500)은, 서로 간에 용융물이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을 최소화시켜 기밀 성능을 최소화시켜 줄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 4의 플레이트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지지부(600)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 하부 지지 플레이트(620), 하부 지지 블록(630), 자바라식 밀폐 커버(640) 및 플레이트 지지부(650)를 포함한다.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플레이트 지지부(650)에 의해 하측이 지지되어 하부 지지 플레이트(62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사각 지지 프레임(541)의 하측을 지지하며, 테두리를 따라 자바라식 밀폐 커버(640)의 상측 테두리가 설치된다.
하부 지지 플레이트(620)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형상과 동일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배치되어 제2 돌기 안착 공간(530)의 하측에 안착되며, 상측에 하부 지지 블록(630)이 설치된다.
하부 지지 블록(630)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 지지 플레이트(62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측 테두리를 따라 자바라식 밀폐 커버(640)의 하측 테두리가 설치되며, 상부에 플레이트 지지부(650)가 설치된다.
자바라식 밀폐 커버(640)는,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 가능한 원통 형상의 주름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하측과 하부 지지 블록(630)의 상측 사이에 설치되어 플레이트 지지부(650)가 설치되기 위한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하측과 하부 지지 블록(630)의 상측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켜 플레이트 지지부(650)로 먼지 또는 수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플레이트 지지부(65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플레이트 지지부(650)는, 자바라식 밀폐 커버(640)에 의해 밀폐 형성되는 하부 지지 블록(63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플레이트 지지부(650)는, 중심 포스트(651), 제1 완충 지지부(700-1), 제2 완충 지지부(700-2) 및 제3 완충 지지부(700-3)를 포함한다.
중심 포스트(651)는, 하부 지지 블록(630)의 상측 중심에 직립되어 설치되며, 외측을 따라 서로 120º의 등간격으로 제1 완충 지지부(700-1), 제2 완충 지지부(700-2) 및 제3 완충 지지부(700-3)가 설치된다.
이때, 중심 포스트(651)는, 제1 완충 지지부(700-1), 제2 완충 지지부(700-2) 및 제3 완충 지지부(700-3)가 상하 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는 고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1 완충 지지부(700-1), 제2 완충 지지부(700-2) 및 제3 완충 지지부(700-3)의 상하 높이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완충 지지부(700-1)는, 하부 지지 블록(63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일측을 지지한다.
제2 완충 지지부(700-2)는, 중심 포스트(651)를 중심축으로 하여 제1 완충 지지부(700-1)로부터 120º 각도로 이격 설치되어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하측을 지지한다.
제3 완충 지지부(700-3)는, 중심 포스트(651)를 중심축으로 하여 제1 완충 지지부(700-1) 및 제2 완충 지지부(700-2)로부터 각각 120º 각도로 이격 설치되어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하측을 지지한다.
즉, 제1 완충 지지부(700-1), 제2 완충 지지부(700-2) 및 제3 완충 지지부(700-3)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를 1/3씩 분할하여 각자가 설치된 구역을 독립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 지지부(650)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가 수평하게 하강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일측만이 하강하는 경우에도 해당 위치에 설치되는 제1 완충 지지부(700-1), 제2 완충 지지부(700-2) 또는 제3 완충 지지부(700-3) 중 어느 하나의 완충 지지부가 지지함으로써,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지지 및 완충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지지부(600)는,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안정적으로 지지 또는 완충시켜 줌으로써,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은 도 7의 제1 완충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을 참조하면, 제1 완충 지지부(700-1)는, 수직형 지지부(710), 수직형 지지 실린더(720) 및 경사형 지지부(7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완충 지지부(700-2) 및 제3 완충 지지부(700-3)는, 후술하는 제1 완충 지지부(700-1)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1 완충 지지부(700-1)의 수직형 지지부(710), 수직형 지지 실린더(720) 및 경사형 지지부(730)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수직형 지지부(710)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부가 하부 지지 블록(630)으로 삽입되고 상부가 하부 지지 블록(630)의 상측으로 노출되며, 상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동 지지 헤드(713)가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하측을 지지하며,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 외측을 따라 설치되는 상부 거치대(711)와 하부 지지 블록(630)의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완충 스프링(712)에 의해 지지된다.
즉, 수직형 지지부(7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완충 스프링(712)의 내측을 통과하여 삽입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1 완충 스프링(712)은, 상부 거치대(711)를 지지함으로써 수직형 지지부(710)에 의해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가 지지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로부터 상부 거치대(711)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
수직형 지지 실린더(720)는, 하부 지지 블록(630)의 내측에 설치되어 하부 지지 블록(63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수직형 지지부(710)의 하부가 내측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유체(예를 들어, 공기, 물 또는 오일 등)에 의해 수직형 지지부(710)의 하부를 상측 방향으로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수직형 지지 실린더(72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수직형 지지부(710)를 상승시켜 주고, 유체가 유출됨에 따라 수직형 지지부(710)를 하강시켜 줄 수 있다.
경사형 지지부(730)는, 상측에 배치되는 일단이 회동 지지 헤드(713)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측에 배치되는 타단이 중심 포스트(651)의 하부 일측(651a)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회동 지지 헤드(713)를 지지하며,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가 하강하여 수직형 지지부(710)가 하강함에 따라 일단 및 타단이 각각 회동 하는 동시에 길이가 수축되면서 회동 지지 헤드(713)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완충 지지부(700-1)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하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경사형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경사형 지지부(730)는, 제1 회동 프레임(731), 제2 회동 프레임(732), 접철식 지지 링크부(733),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734), 제2 완충 스프링(735),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 및 경사형 지지 실린더(737)를 포함한다.
제1 회동 프레임(731)은, 상단이 회동 지지 헤드(713)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접철식 지지 링크부(733)와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에 의해 하측이 지지된다.
제2 회동 프레임(732)은, 접철식 지지 링크부(733)와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에 의해 상측이 지지되어 상단이 제1 회동 프레임(731)의 하단과 대향하며 배치되고, 하단이 중심 포스트(651)의 하부 일측(651a)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접철식 지지 링크부(733)는, 직선 형상의 제1 링크 프레임(F1)과 제2 링크 프레임(F2)의 각 중단(H)이 접철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X" 형상을 형성하는 지지 링크 다수 개(F3-1, F3-2, F3-3)가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제1 회동 프레임(731)의 하단과 제2 회동 프레임(732)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어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거나 늘어남에 따라 제1 링크 프레임(F1)과 제2 링크 프레임(F2)이 접철되면서 신장 또는 수축되면서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 사이를 지지한다.
이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지지 링크(F3)를 구성하는 제1 링크 프레임(F1)과 제2 링크 프레임(F2)의 각 일단이 다른 지지 링크(F3)를 구성하는 제2 링크 프레임(F2)과 제1 링크 프레임(F1)의 각 타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일렬로 연결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중간 지지 프레임(734)은, 제1 링크 프레임(F1)과 제2 링크 프레임(F2)이 연결 설치되는 교차 위치(H)의 일측 마다 회전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며,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가 관통하고 삽입된다.
즉, 중간 지지 프레임(734)은,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거나 늘어남에 따라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접철식 지지 링크부(733)가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완충 스프링(735)은,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734) 사이 사이에 설치되어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734)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며, 내측을 따라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가 관통하면서 설치된다.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는, 직선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일단이 제1 회동 프레임(731)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이 제2 완충 스프링(735) 각각의 내측을 통과하면서 삽입되는 동시에 중간 지지 프레임(734) 각각을 역시 관통하고 삽입되어 제2 회동 프레임(732)의 상단을 통해 제2 회동 프레임(732)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어 접철식 지지 링크부(733)가 휘는 것을 방지하여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이 일직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 사이를 지지한다.
경사형 지지 실린더(737)는, 제2 회동 프레임(732)의 내측에 설치되어 제2 회동 프레임(732)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의 타단이 내측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유체에 의해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의 타단을 상측 방향으로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경사형 지지 실린더(737)는,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가 삽입되면서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L)를 유체 탱크(721)로 공급하고,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 사이의 간격이 늘어남에 따라 유체(L)가 공급되어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를 배출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경사형 지지부(730)는, 수직형 지지부(710)가 상하 방향으로 승강함에 따라 회동하는 동시에 길이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면서 수직형 지지부(710)를 지지하는 동시에 수직형 지지부(7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11은 도 9의 수직형 지지 실린더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수직형 지지 실린더(720a)는, 유체 탱크(721), 유체 전달관(722), 분리 격벽(723) 및 수직 완충 스프링(724)을 포함한다.
유체 탱크(721)는, 유체(L)가 수용되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하부 지지 블록(630)의 내측에 설치된다.
유체 전달관(722)은, 경사형 지지 실린더(737)와 유체 탱크(721)의 하단 사이를 연통하고 설치되어 서로 간에 유체(L)를 전달하거나 공급받는다.
분리 격벽(723)은, 유체 탱크(721)를 유체가 수용되는 하부 공간(N1)과 유체가 수용되지 않는 상부 공간(N2)으로 구분하면서 유체 탱크(721)의 내측에서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측에 설치되는 수직 완충 스프링(724)을 지지한다.
수직 완충 스프링(724)은, 분리 격벽(723)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수직형 지지부(710)의 하단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수직형 지지 실린더(720a)는, 평상시에는 수직형 지지부(710)의 하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수직형 지지부(7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주며, 수직형 지지부(710)가 하강하여 도 9의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 간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경사형 지지 실린더(737)로부터 유체(L)가 유체 탱크(721)로 공급되어 분리 격벽(723)을 상승시켜 줌으로써 수직형 지지부(710)가 하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고품질 고속의 공정 통합 금형
100: 상부 금형
150: 하부 금형
200: 공급체
250: 가이더
300: 밀핀
400: 분리 플레이트
500: 플레이트 안착홈

Claims (10)

  1. 상부 금형;
    상기 상부 금형과 형합되어 상기 상부 금형과의 사이에 성형공간을 형성시키는 하부 금형;
    상기 상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 사이에서 상기 성형공간의 측부와 연통하여 수평 방향으로 상기 성형공간에 용융물을 공급하도록 일측에 개방되는 게이트를 구비하는 공급체;
    상기 상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에 걸쳐서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성형공간과 상기 게이트 사이에서 상기 게이트와 상기 성형공간 사이를 연결하는 연통구가 형성된 가이더;
    상기 하부 금형을 통해 상기 하부 금형에 형성되는 상기 성형공간으로 삽입되는 밀핀;
    상기 하부 금형에 형성되는 상기 성형공간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밀핀에 의해 상승되어 성형이 완료된 성형물을 상기 성형공간으로부터 분리시켜 주는 분리 플레이트; 및
    상기 분리 플레이트의 상측면이 상기 성형공간의 하측면과 동일 레벨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분리 플레이트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성형공간의 하측에 형성되는 플레이트 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 플레이트는,
    사각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측에 상기 밀핀의 상측이 설치되어 상기 밀핀이 상승함에 따라 함께 상승하거나 상기 밀핀이 하강함에 따라 함께 하강되어 상기 플레이트 안착홈에 안착되는 플레이트 본체;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각 테두리로부터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돌출부;
    상기 제1 돌출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ㅁ"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제1 돌출부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돌출부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하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 사이의 이격 공간의 상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되,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하측면으로부터 상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밀폐 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 안착홈은,
    상기 플레이트 본체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성형공간의 하측에 형성되는 본체 안착 공간;
    상기 제1 돌출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돌출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 안착 공간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 돌기 안착 공간;
    상기 제2 돌출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돌출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돌기 안착 공간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본체 안착 공간의 하측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2 돌기 안착 공간;
    상기 제2 돌기 안착 공간의 하측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제2 돌기 안착 공간을 따라 하강하는 상기 제2 돌출부의 하측을 지지하는 돌기 지지부; 및
    상기 밀폐 안착홈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밀폐 안착홈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돌기 안착 공간과 상기 제2 돌기 안착 공간의 사이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밀폐용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돌기 안착 공간은,
    상하 높이가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돌기 지지부의 상하 높이를 더한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돌기 지지부는,
    상기 제2 돌기 안착 공간의 형상에 대응하는 "ㅁ" 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돌기 안착 공간에 안착되는 사각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사각 지지 프레임의 하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사각 지지 프레임을 지지하는 다수 개의 플레이트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는,
    상기 사각 지지 프레임의 하측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2 돌기 안착 공간의 하측에 안착되는 하부 지지 플레이트;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블록;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 가능한 주름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과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과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켜 주는 자바라식 밀폐 커버; 및
    상기 자바라식 밀폐 커버에 의해 밀폐 형성되는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지지부;를 포함하는, 고품질 고속의 공정 통합 금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는,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 중심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중심 포스트;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완충 지지부;
    상기 중심 포스트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제1 완충 지지부로부터 120º 각도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2 완충 지지부; 및
    상기 중심 포스트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제1 완충 지지부 및 상기 제2 완충 지지부로부터 각각 120º 각도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3 완충 지지부;를 포함하는, 고품질 고속의 공정 통합 금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 지지부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부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으로 삽입되고 상부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으로 노출되며, 상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동 지지 헤드가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며, 상부 외측을 따라 설치되는 상부 거치대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완충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수직형 지지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수직형 지지부의 하부가 내측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수직형 지지부의 하부를 상측 방향으로 지지하는 수직형 지지 실린더; 및
    일단이 상기 회동 지지 헤드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중심 포스트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회동 지지 헤드를 지지하며,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가 하강하여 상기 수직형 지지부가 하강함에 따라 일단 및 타단이 각각 회동 하는 동시에 길이가 수축되는 경사형 지지부;를 포함하며, 고품질 고속의 공정 통합 금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형 지지부는,
    상단이 상기 회동 지지 헤드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회동 프레임;
    상단이 상기 제1 회동 프레임의 하단과 대향하며 배치되고, 하단이 상기 중심 포스트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회동 프레임;
    직선 형상의 제1 링크 프레임과 제2 링크 프레임의 각 중단이 접철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X" 형상을 형성하는 지지 링크 다수 개가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회동 프레임의 하단과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는 접철식 지지 링크부;
    상기 제1 링크 프레임과 상기 제2 링크 프레임이 연결 설치되는 교차 위치의 일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
    상기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 사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는 제2 완충 스프링;
    일단이 상기 제1 회동 프레임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완충 스프링 각각의 내측을 통과하면서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중간 지지 프레임 각각을 역시 관통하고 삽입되어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상단을 통해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어 상기 제1 회동 프레임과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이 일직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회동 프레임과 상기 제2 회동 프레임 사이를 지지하는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 및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의 타단이 내측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의 타단을 상측 방향으로 지지하는 경사형 지지 실린더;를 포함하는, 고품질 고속의 공정 통합 금형.
KR1020210181122A 2021-12-16 2021-12-16 고품질 고속의 공정 통합 금형 KR102473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122A KR102473052B1 (ko) 2021-12-16 2021-12-16 고품질 고속의 공정 통합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122A KR102473052B1 (ko) 2021-12-16 2021-12-16 고품질 고속의 공정 통합 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3052B1 true KR102473052B1 (ko) 2022-11-30

Family

ID=84234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1122A KR102473052B1 (ko) 2021-12-16 2021-12-16 고품질 고속의 공정 통합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305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2654A (ko) 2008-11-11 2010-05-2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급속가열 및 급속냉각 금형구조
KR20110050803A (ko) * 2009-11-09 2011-05-17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사출금형장치 및 방법
CN210211186U (zh) * 2019-06-11 2020-03-31 上海途盛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注塑模具用快速冷却装置
KR102222504B1 (ko) * 2020-10-12 2021-03-04 (주)장원리싸이클 폐비닐을 원료로 하는 블록 제조 방법
CN213137603U (zh) * 2020-05-19 2021-05-07 南通华豪巨电子科技有限公司 抗菌计算机鼠标壳体制作用的塑胶模具
CN112848102A (zh) * 2020-12-29 2021-05-28 涂洪春 一种使用方便的橡胶用成型模具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2654A (ko) 2008-11-11 2010-05-2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급속가열 및 급속냉각 금형구조
KR20110050803A (ko) * 2009-11-09 2011-05-17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사출금형장치 및 방법
CN210211186U (zh) * 2019-06-11 2020-03-31 上海途盛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注塑模具用快速冷却装置
CN213137603U (zh) * 2020-05-19 2021-05-07 南通华豪巨电子科技有限公司 抗菌计算机鼠标壳体制作用的塑胶模具
KR102222504B1 (ko) * 2020-10-12 2021-03-04 (주)장원리싸이클 폐비닐을 원료로 하는 블록 제조 방법
CN112848102A (zh) * 2020-12-29 2021-05-28 涂洪春 一种使用方便的橡胶用成型模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32382B2 (ja) レンズ製造方法及びレンズ両面精密加圧成形装置
US3617233A (en) Glass-forming machine
KR102473052B1 (ko) 고품질 고속의 공정 통합 금형
RU2002132623A (ru) Узел дутьевого формования
JP5103247B2 (ja) 上隅部に口部を有する容器の延伸ブロー用金型装置
KR101700128B1 (ko) 인서트 공급 및 이송 시스템
CN108890936A (zh) 一种高精度高效率汽车底盘悬架用衬套修边装置
RU2413676C2 (ru) Механизм для открывания и закрывания форм, предназначенный для секционной машины
CN104066690B (zh) 玻璃块的成型装置以及玻璃块的制造方法
CN101186426B (zh) 光学玻璃预型体成形装置
CN205640204U (zh) 一种进出气装置和具有该进出气装置的煤气柜
CN212636554U (zh) 一种吹瓶机上胚装置
EP3434390A1 (en) Flaskless molding machine
CN209320167U (zh) 一种新型光电模具机构
CN101310889B (zh) 加压成形装置
JP5657226B2 (ja) ガラス成形体の製造方法
RU2412119C2 (ru) Форма для секционной машины
TWI746870B (zh) 吹製成形用模具單元及吹製成形裝置
CN108942052B (zh) 一种带翻转功能的客车车身骨架焊接夹具
JP2520885B2 (ja) ガラス製品成形機のバツフル支持装置
CN214977212U (zh) 一种空调进风面板模胚结构
CN105014510A (zh) 一种在水下进行加工的玻璃盖板精雕机
CN216427079U (zh) 一种保障玻璃瓶均匀度的模具
CN207749039U (zh) 平开式顶开模具
JP2008302635A (ja) 射出ブロー成形機及び、ネック型移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