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2504B1 - 폐비닐을 원료로 하는 블록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폐비닐을 원료로 하는 블록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2504B1
KR102222504B1 KR1020200131246A KR20200131246A KR102222504B1 KR 102222504 B1 KR102222504 B1 KR 102222504B1 KR 1020200131246 A KR1020200131246 A KR 1020200131246A KR 20200131246 A KR20200131246 A KR 20200131246A KR 102222504 B1 KR102222504 B1 KR 102222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lock
plate
support le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1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신
Original Assignee
(주)장원리싸이클
이호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장원리싸이클, 이호신 filed Critical (주)장원리싸이클
Priority to KR1020200131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25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03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of plastics, e.g. concrete with plastics, linole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2043/3205Particular pressure exerting means for making defini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2043/3602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with means for positioning, fastening or clamping the material to be formed or preforms inside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361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with pressing members independently movable of the parts for opening or closing the mould, e.g. movable pistons
    • B29C2043/3615Forming elements, e.g. mandrels or rams or stampers or pistons or plungers or punc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2043/36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plates pressurized by an actuator, e.g. ram drive, screw, vulcanizing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72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L2031/7722Block-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이 완료된 폐비닐을 용융시킨 뒤 블록 제조를 위한 금형에 투입시켜 다양한 용도로 재사용이 가능한 블록을 제조할 수 있도록 구현한 폐비닐을 원료로 하는 블록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폐비닐을 액체 상태로 용융시키는 용융 단계; 용융된 폐비닐을 블록의 제조를 위한 블록 제조 금형에 투입하는 투입 단계; 상기 블록 제조 금형의 상측 개구부를 덮어 가압하는 가압 단계; 및 가압이 완료되면 폐비닐에 의해 제조된 블록을 상기 블록 제조 금형으로부터 분리하는 분리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폐비닐을 원료로 하는 블록 제조 방법{BLOCK MANUFACTRING METHOD USING WASTE VINYL AS A RAW MATERIAL}
본 발명은 폐비닐을 원료로 하는 블록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이 완료된 폐비닐을 용융시킨 뒤 블록 제조를 위한 금형에 투입시켜 다양한 용도로 재사용이 가능한 블록을 제조할 수 있도록 구현한 폐비닐을 원료로 하는 블록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멘트를 원재료로 하는 보도블록은 경도가 크고 탄성이 없어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므로 도보(徒步) 또는 구보(驅步)시 보행자에게 쉽게 피로감을 주는 반면,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제 보도블록(이하 "탄성블록"이라 한다)은 보행시 발생하는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보행자가 받는 피로를 줄일 수 있어 최근에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사용이 완료된 폐비닐의 경우 기존에는 소각 또는 매립 등의 방법을 통하여 처리한 바, 소각에 따른 환경 오염 가스의 발생 또는 매립에 따른 오염수 발생 등의 다양한 문제점이 발상한 바, 이러한 폐비닐의 처리 방법 모색이 절실하였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12222호 한국등록특허 제10-0689342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사용이 완료된 폐비닐을 용융시킨 뒤 블록 제조를 위한 금형에 투입시켜 다양한 용도로 재사용이 가능한 블록을 제조할 수 있도록 구현한 폐비닐을 원료로 하는 블록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을 원료로 하는 블록 제조 방법은, 폐비닐을 액체 상태로 용융시키는 용융 단계; 용융된 폐비닐을 블록의 제조를 위한 블록 제조 금형에 투입하는 투입 단계; 상기 블록 제조 금형의 상측 개구부를 덮어 가압하는 가압 단계; 및 가압이 완료되면 폐비닐에 의해 제조된 블록을 상기 블록 제조 금형으로부터 분리하는 분리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블록 제조 금형은, 블록의 하부 형상을 형성하기 위한 하부 조립체; 블록의 전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하부 조립체의 전단에 설치되는 제1 측면 플레이트; 블록의 후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하부 조립체의 후단에 설치되는 제2 측면 플레이트; 블록의 일 측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하부 조립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3 측면 플레이트; 블록의 다른 일 측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하부 조립체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는 제4 측면 플레이트; 및 블록의 상부 형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측면 플레이트, 상기 제2 측면 플레이트, 상기 제3 측면 플레이트 및 상기 제4 측면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용융된 폐비닐이 수용되는 공간의 상측에 안착되는 상부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부 조립체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하부 플레이트; 좌우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중심을 따라 등간격으로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다수 개의 제1 하부 관통홀; 블록의 하부에 볼트를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하부 관통홀 마다 설치되는 다수 개의 하부 지지핀; 상기 하부 지지핀을 중심으로 하는 "+" 형상의 벽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다수 개의 하부 지지핀의 일측, 다른 일측, 전단 및 후단 마다 설치되는 다수 개의 하부 격벽 플레이트; 상기 다수 개의 하부 격벽 플레이트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되는 각각의 공간 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다수 개의 제2 하부 관통홀; 및 블록의 하측에 형성되는 체결돌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개방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다수 개의 제2 하부 관통홀 마다 설치되는 다수 개의 하부 부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부 조립체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하부 플레이트; 좌우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중심을 따라 등간격으로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다수 개의 제1 하부 관통홀; 블록의 하부에 볼트를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하부 관통홀 마다 설치되며, 상기 제1 하부 관통홀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하부가 다각형의 볼트 헤드 형태로 형성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나사산이 연장 형성되는 다수 개의 하부 지지핀; 상기 하부 지지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하부 관통홀의 상측에 마다 안착되는 다수 개의 삽입관; 상기 삽입관을 중심으로 "+" 형태로 일측, 다른 일측, 전단 및 후단 마다 설치되는 다수 개의 하부 격벽 플레이트; 상기 다수 개의 하부 격벽 플레이트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되는 각각의 공간 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다수 개의 제2 하부 관통홀; 및 블록의 하측에 형성되는 체결돌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개방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다수 개의 제2 하부 관통홀 마다 설치되는 다수 개의 하부 부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조립체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대응하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상부 플레이트; 좌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중심을 따라 등간격으로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다수 개의 제1 상부 관통홀; 블록의 상부에 볼트를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상부 관통홀 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다수 개의 상부 지지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측으로 노출된 상기 상부 지지핀을 중심으로 하는 "+" 형상의 벽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다수 개의 상부 지지핀의 일측, 다른 일측, 전단 및 후단 마다 설치되는 다수 개의 상부 격벽 플레이트; 상기 다수 개의 상부 격벽 플레이트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되는 각각의 공간 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다수 개의 제2 상부 관통홀; 및 블록의 상측에 상기 체결돌기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다수 개의 제2 상부 관통홀 마다 설치되는 다수 개의 상부 부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 단계는, 상기 블록 제조 금형의 내부 공간에 용융된 폐비닐의 투입이 완료되면 상기 블록 제조 금형의 상측 개구부에 상기 상부 조립체를 안착시키는 조립체 안착 단계; 상기 상부 조립체의 상측을 따라 다수 개의 덮개 완충부를 안착시키는 덮개 완충부 안착 단계; 평판 형태의 가압 덮개를 상기 덮개 완충부의 상측에 안착시키는 덮개 안착 단계; 및 가압을 위한 다수 개의 중량부를 상기 가압 덮개의 상측에 안착시키는 중량부 안착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덮개 완충부는, 상기 가압 덮개의 하측을 지지하는 덮개 지지부; 상기 덮개 지지부의 하부에 120°의 각도로 서로 이격되어 연결 설치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덮개 지지부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덮개 지지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 다리, 제2 지지 다리 및 제3 지지 다리로 이루어지는 중간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 다리의 하부와 상기 제2 지지 다리의 하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다리의 하부와 상기 제2 지지 다리의 하부 사이를 지지하는 제1 지지 프레임, 상기 제2 지지 다리의 하부와 상기 제3 지지 다리의 하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지지 다리의 하부와 상기 제3 지지 다리의 하부 사이를 지지하는 제2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제1 지지 다리의 하부와 상기 제3 지지 다리의 하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다리의 하부와 상기 제3 지지 다리의 하부 사이를 지지하는 제3 지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간격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덮개 지지부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압 덮개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 원판;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원판의 하측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 상기 제1 지지 다리, 상기 제2 지지 다리 및 상기 제3 지지 다리의 각 상부가 서로 120° 간격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삼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지지 바아가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바아 안착홈을 형성하는 삼각 지지 프레임; 및 상기 바아 안착홈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 바아를 지지하기 위한 바아 지지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 다리는, 상기 삼각 지지 프레임의 일 측면에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덮개 지지부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1 직선형 프레임; 상기 제1 직선형 프레임이 내부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측이 개방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중간 지지부가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상기 제1 직선형 프레임이 내부 공간으로 슬라이딩 인 또는 내부 공간으로부터 슬라이딩 아웃되도록 하여 상기 중간 지지부의 지지 높이를 조절하는 제2 직선형 프레임; 상기 제2 직선형 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단부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직선형 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 탄성체;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며, 일측이 바닥면에 안착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제2 직선형 프레임의 하부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직선형 프레임의 하부를 거치시켜 지지하는 곡선형 프레임; 및 바닥면에 안착되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제3 지지 프레임에 의해 상기 제2 지지 다리의 하측 또는 상기 제3 지지 다리의 하측과의 간격이 지지되며, 상부에 상기 곡선형 프레임의 일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받침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곡선형 프레임은, 다른 일측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직선형 프레임의 하부 상측면과 대향하는 하측 경사면을 형성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하측 경사면과 상기 제2 직선형 프레임의 하부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대와 상기 제2 직선형 프레임의 하부 상측면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는 간격 지지 탄성체;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사용이 완료된 폐비닐을 용융시킨 뒤 블록 제조를 위한 금형에 투입시켜 다양한 용도로 재사용이 가능한 블록을 제조함으로써, 폐비닐 처리에 따라 발생되는 환경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레고 블록 같이 다양한 조형물 형태로 쌓아서 사용이 가능한 바 다양한 활용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을 원료로 하는 블록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블록 제조 금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하부 조립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a, 도 5b 및 5c는 도 2의 하부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2의 상부 조립체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은 도 2의 블록 제조 금형의 각 구성들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가압 단계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가압 단계에 사용되는 각각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덮개 완충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중간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도 11의 제1 지지 다리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을 원료로 하는 블록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을 원료로 하는 블록 제조 방법은, 우선 수집되어 있는 폐비닐을 가열하여 액체 상태로 용융 시킨다(S110).
상술한 단계 S110에서 용융된 폐비닐을 블록(30)의 제조를 위한 블록 제조 금형(100)에 투입한다(S120).
용융된 폐비닐의 투입이 완료되면, 블록 제조 금형(100)의 상측 개구부를 덮어 가압한다(S130).
가압이 완료되면 폐비닐에 의해 제조된 블록(30)을 블록 제조 금형(100)으로부터 분리한다(S140).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를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을 원료로 하는 블록 제조 방법은, 사용이 완료된 폐비닐을 용융시킨 뒤 블록 제조를 위한 금형에 투입시켜 다양한 용도로 재사용이 가능한 블록을 제조함으로써, 폐비닐 처리에 따라 발생되는 환경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레고 블록 같이 다양한 조형물 형태로 쌓아서 사용이 가능한 바 다양한 활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블록 제조 금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블록 제조 금형(100)은, 하부 조립체(110), 제1 측면 플레이트(120), 제2 측면 플레이트(130), 제3 측면 플레이트(140), 제4 측면 플레이트(150) 및 상부 조립체(160)를 포함한다.
하부 조립체(110)는, 블록(30)의 하부 형상을 형성한다.
제1 측면 플레이트(120)는, 블록(30)의 전면을 형성하기 위해 하부 조립체(110)의 전단에 설치된다.
제2 측면 플레이트(130)는, 블록(30)의 후면을 형성하기 위해 하부 조립체(110)의 후단에 설치된다.
제3 측면 플레이트(140)는, 블록(30)의 일 측면을 형성하기 위해 하부 조립체(110)의 일측에 설치된다.
제4 측면 플레이트(150)는, 블록(30)의 다른 일 측면을 형성하기 위해 하부 조립체(110)의 다른 일측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측면 플레이트(140) 및 제4 측면 플레이트(150)은, 블록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를 형성하기 위한 손잡이홈 형성돌기(151)를 형성할 수 있다.
상부 조립체(160)는, 블록(30)의 상부 형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1 측면 플레이트(120), 제2 측면 플레이트(130), 제3 측면 플레이트(140) 및 제4 측면 플레이트(150)에 의해 형성되는 용융된 폐비닐이 수용되는 공간의 상측에 안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블록 제조 금형(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레고 등의 블록 완구 등의 블록 형태의 블록(30)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블록(30)은, 육면체 형태의 본체(31), 하부면을 따라 형성되는 체결 돌기(34), 상부를 따라 형성되어 체결 돌기(34)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홈(32), 블록과 다른 블록 볼트 등의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체결하기 위한 볼트 삽입 홈(36, 37)이 상부 및 하부에 서로 대향하며 형성되며, 용융된 폐비닐의 응고시 주변 화합물을 잡아 당기는 특성으로 인해 블록 형태가 폐비닐의 응고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후술하는 하부 격벽 플레이트(114) 및 상부 격벽 플레이트(164)에 의한 변형 방지라인(33, 35)이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블록(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돌 형태로 형성되어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 등으로 다른 블록들과 체결되어 다양한 형태의 조형물을 제조할 수 있는 기초 자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하부 조립체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조립체(110)는, 하부 플레이트(111), 다수 개의 제1 하부 관통홀(112), 다수 개의 하부 지지핀(113), 다수 개의 하부 격벽 플레이트(114), 다수 개의 제2 하부 관통홀(115) 및 다수 개의 하부 부싱(116)을 포함한다.
하부 플레이트(111)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다수 개의 제1 하부 관통홀(112) 및 다수 개의 제2 하부 관통홀(115)이 열을 지어 관통 형성된다.
제1 하부 관통홀(112)은, 다수 개의 하부 지지핀(113)이 체결될 수 있도록 좌우 길이 방향으로 하부 플레이트(111)의 중심을 따라 등간격으로 하부 플레이트(11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된다.
하부 지지핀(113)은, 블록(30)과 다른 블록(30)을 볼트(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서로 체결할 수 있도록 블록(30)의 하부에 볼트를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고, 하부 격벽 플레이트(114)를 체결할 수 있도록 제1 하부 관통홀(112) 마다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지지핀(11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4각 기둥 등과 같은 다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하부 격벽 플레이트(114)는, 상술한 변형 방지라인(33)를 블록(30)의 하부를 따라 형성시키는 구성으로서, 하부 지지핀(113)을 중심으로 하는 "+" 형상의 벽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하부 지지핀(113)의 일측, 다른 일측, 전단 및 후단 마다 설치된다.
제2 하부 관통홀(115)은, 다수 개의 하부 격벽 플레이트(114)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되는 각각의 공간 마다 하부 플레이트(11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된다.
하부 부싱(116)은, 후술하는 체결홈(32)에 체결되며 블록의 하측에 형성되는 체결돌기(34)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개방된 내부 공간(116a)을 형성하며 다수 개의 제2 하부 관통홀(115) 마다 설치된다.
도 5a, 도 5b 및 5c는 도 2의 하부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a, 도 5b 및 5c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 조립체(110a)는, 하부 플레이트(111), 다수 개의 제1 하부 관통홀(112), 다수 개의 하부 지지핀(113a), 다수 개의 하부 격벽 플레이트(114a), 다수 개의 제2 하부 관통홀(115), 다수 개의 하부 부싱(116) 및 다수 개의 삽입관(117)을 포함한다.
여기서, 하부 플레이트(111), 제1 하부 관통홀(112), 제2 하부 관통홀(115) 및 하부 부싱(116)은, 도 5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하부 지지핀(113a)은, 블록의 하부에 볼트를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1 하부 관통홀(112) 마다 설치되며, 제1 하부 관통홀(112)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하부가 다각형의 볼트 헤드(A2) 형태로 형성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나사산(A1)이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지지핀(113a)은, 블록의 응고시 금형과의 분리(토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다각형의 볼트 헤드(A2)를 스페너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회전시켜 블록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삽입관(117)은, 하부 지지핀(113a)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하부 관통홀(112)의 상측에 마다 안착되며, 네 방향으로 격벽 플레이트(114a)가 "+" 형태로 설치된다.
격벽 플레이트(114a)는, 삽입관(117)을 중심으로 "+" 형태로 일측, 다른 일측, 전단 및 후단 마다 설치된다.
도 6 및 도 7은 도 2의 상부 조립체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부 조립체(160)는, 상부 플레이트(161), 다수 개의 제1 상부 관통홀(162), 다수 개의 상부 지지핀(163), 다수 개의 상부 격벽 플레이트(164), 다수 개의 제2 상부 관통홀(165) 및 다수 개의 상부 부싱(166)을 포함한다.
상부 플레이트(161)는, 하부 플레이트(111)에 대응하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제1 상부 관통홀(162) 및 다수 개의 제2 상부 관통홀(165)이 관통 형성된다.
제1 상부 관통홀(162)은, 상부 지지핀(163)이 체결될 수 있도록 좌우 길이 방향으로 상부 플레이트(161)의 중심을 따라 등간격으로 상부 플레이트(16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된다.
상부 지지핀(163)은, 블록(30)과 다른 블록(30)을 볼트(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서로 체결할 수 있도록 블록(30)의 상부에 볼트를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고, 상부 격벽 플레이트(164)를 체결할 수 있도록 제1 상부 관통홀(162) 마다 상부 플레이트(161)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지지핀(16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4각 기둥 등과 같은 다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상부 격벽 플레이트(164)는, 상술한 변형 방지라인(35)를 블록(30)의 상부를 따라 형성시키는 구성으로서, 상부 플레이트(161)의 하측으로 노출된 상부 지지핀(163)을 중심으로 하는 "+" 형상의 벽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상부 지지핀(163)의 일측, 다른 일측, 전단 및 후단 마다 설치된다.
제2 상부 관통홀(165)은, 다수 개의 상부 격벽 플레이트(164)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되는 각각의 공간 마다 상부 플레이트(16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된다.
상부 부싱(166)은, 블록의 상측에 체결돌기(34)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홈(32)이 형성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제2 상부 관통홀(165) 마다 설치된다.
도 9는 도 1의 가압 단계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가압 단계(S130)는, 우선 블록 제조 금형(100)의 내부 공간에 용융된 폐비닐의 투입이 완료되면 블록 제조 금형(100)의 상측 개구부에 상부 조립체(160), 즉 상부 플레이트(161)를 안착시킨다(S131).
상부 조립체(160)의 상측을 따라 다수 개의 덮개 완충부(200)를 안착시킨다(S132).
평판 형태의 가압 덮개(300)를 덮개 완충부(200)의 상측에 안착시킨다(S133).
가압을 위한 기 설정된 무게(예를 들어, 10kg 내지 40kg 등)의 다수 개의 중량부(400)를 가압 덮개(300)의 상측에 안착시킨다(S134).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를 가지는 가압 단계(S130)는, 블록 제조 금형(100)에 투입되어 있는 용융상태의 폐비닐을 적당한 압력으로 가압시켜 블록(30)의 제조가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덮개 완충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덮개 완충부(200)는, 덮개 지지부(210), 중간 지지부(220) 및 간격 지지부(230)를 포함한다.
덮개 지지부(210)는, 가압 덮개(300)의 하측을 지지하며, 중간 지지부(220)에 의해 지지된다.
중간 지지부(220)는, 덮개 지지부(210)의 하부에 120°의 각도로 서로 이격되어 연결 설치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덮개 지지부(210)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어 덮개 지지부(210)를 지지하는 제1 지지 다리(221), 제2 지지 다리(222) 및 제3 지지 다리(223)로 이루어지며, 길이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됨에 따라 덮개 지지부(2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준다.
간격 지지부(230)는, 제1 지지 다리(221)의 하부와 제2 지지 다리(222)의 하부 사이에 설치되어 제1 지지 다리(221)의 하부와 제2 지지 다리(222)의 하부 사이를 지지하는 제1 지지 프레임(231), 제2 지지 다리(222)의 하부와 제3 지지 다리(223)의 하부 사이에 설치되어 제2 지지 다리(222)의 하부와 제3 지지 다리(223)의 하부 사이를 지지하는 제2 지지 프레임(232), 및 제1 지지 다리(221)의 하부와 제3 지지 다리(223)의 하부 사이에 설치되어 제1 지지 다리(221)의 하부와 제3 지지 다리(223)의 하부 사이를 지지하는 제3 지지 프레임(233)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제1 지지 다리(221), 제2 지지 다리(222) 및 제3 지지 다리(223)에 의해 형성되는 삼각 구조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덮개 완충부(200)는, 다수 개가 가압 덮개(300)의 하측에 설치되어 중량부(400)가 가압 덮개(300)의 상측에 안착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진동 또는 충격, 또는 가압 단계에서 다양하게 발생될 수 있는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용융된 상태의 폐비닐이 수용되어 있는 블록 제조 금형(100)이 흔들리거나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의 중간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덮개 지지부(210)는, 지지 원판(211), 지지 바아(212), 삼각 지지 프레임(213) 및 바아 지지 탄성체(214)를 포함한다.
지지 원판(211)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 바아(212)에 의해 지지되며, 가압 덮개(300)의 하측을 지지한다.
지지 바아(212)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 원판(211)의 하측에 설치되며, 삼각 지지 프레임(213)의 바아 안착홈(213a)에 안착되어 바아 지지 탄성체(214)에 의해 하측이 지지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삼각 지지 프레임(213)은, 제1 지지 다리(221), 제2 지지 다리(222) 및 제3 지지 다리(223)의 각 상부가 서로 120° 간격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3 개의 측면을 형성하는 삼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에 지지 바아(212)가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바아 안착홈(213a)을 형성한다.
바아 지지 탄성체(214)는, 바아 안착홈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 바아(212)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덮개 지지부(210)는, 가압 덮개(30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바아 지지 탄성체(214)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감쇄시키는 1차 완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는 도 11의 제1 지지 다리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제1 지지 다리(221)는, 제1 직선형 프레임(2211), 제2 직선형 프레임(2212), 프레임 지지 탄성체(2213), 곡선형 프레임(2214) 및 받침대(2215)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지지 다리(222) 및 제3 지지 다리(223)는, 제1 지지 다리(221)의 구성요소가 동일하게 적용되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에 해당하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직선형 프레임(2211)은, 삼각 지지 프레임(213)의 일 측면에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H1)되되,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으로 갈수록 덮개 지지부(210)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며, 제2 직선형 프레임(2212)의 내부 공간(2212a)에 안착되어 프레임 지지 탄성체(2213)에 의해 단부가 지지된 상태로 삼각 지지 프레임(213)이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내부 공간(2212a)에서 슬라이딩 이동된다.
제2 직선형 프레임(2212)은, 제1 직선형 프레임(2211)이 내부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측이 개방된 내부 공간(2212a)을 형성하며, 중간 지지부(220)가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제1 직선형 프레임(2211)이 내부 공간(2212a)으로 슬라이딩 인 또는 내부 공간으로부터 슬라이딩 아웃되도록 하여 중간 지지부(220)의 지지 높이를 조절한다.
프레임 지지 탄성체(2213)는, 제2 직선형 프레임(2212)의 내부 공간의 단부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직선형 프레임(2211)을 지지하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상측이 곡선형 프레임(2214)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H2)되어 거치된다.
곡선형 프레임(2214)은,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며, 일측이 받침대(2215)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H3)되며, 다른 일측이 제2 직선형 프레임(2212)의 하부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H2)되어 제2 직선형 프레임(2212)의 하부를 거치시켜 지지한다.
받침대(2215)는, 바닥면에 안착되어 제1 지지 프레임(231) 및 제3 지지 프레임(233)에 의해 제2 지지 다리(222)의 하측 또는 제3 지지 다리(223)의 하측과의 간격이 지지되며, 상부에 곡선형 프레임(2214)의 일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H3)된다.
일 실시예에서, 곡선형 프레임(2214)은, 지지대(2216) 및 간격 지지 탄성체(2217)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대(2216)는, 다른 일측의 하측에 설치되며, 제2 직선형 프레임(2212)의 하부 상측면과 대향하는 하측 경사면을 형성하며, 간격 지지 탄성체(2217)가 하측 경사면에 설치된다.
간격 지지 탄성체(2217)는, 지지대(2216)의 하측 경사면과 제2 직선형 프레임(2212)의 하부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대(2216)와 제2 직선형 프레임(2212)의 하부 상측면 사이의 간격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지지 다리(221)는, 덮개 지지부(210)를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덮개 지지부(210)에 의한 1차 완충 이후에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 지지부(210)가 상하 방향으로 진동 또는 이동함에 따라 제1 직선형 프레임(2211)이 제2 직선형 프레임(2212)의 내부 공간(2212a)으로 삽입됨에 따라 덮개 지지부(2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2차 완충 기능을 수행하고, 제2 직선형 프레임(2212)과 곡선형 프레임(2214) 간의 경사 각도가 줄어듦에 따라 3차 완충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덮개 지지부(210)로부터 블록 제조 금형(100)으로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최소화시켜 줄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블록 제조 금형
200: 덮개 완충부
300: 가압 덮개
400: 중량부

Claims (3)

  1. 폐비닐을 액체 상태로 용융시키는 용융 단계;
    용융된 폐비닐을 블록의 제조를 위한 블록 제조 금형에 투입하는 투입 단계;
    상기 블록 제조 금형의 상측 개구부를 덮어 가압하는 가압 단계; 및
    가압이 완료되면 폐비닐에 의해 제조된 블록을 상기 블록 제조 금형으로부터 분리하는 분리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블록 제조 금형은,
    블록의 하부 형상을 형성하기 위한 하부 조립체;
    블록의 전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하부 조립체의 전단에 설치되는 제1 측면 플레이트;
    블록의 후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하부 조립체의 후단에 설치되는 제2 측면 플레이트;
    블록의 일 측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하부 조립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3 측면 플레이트;
    블록의 다른 일 측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하부 조립체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는 제4 측면 플레이트; 및
    블록의 상부 형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측면 플레이트, 상기 제2 측면 플레이트, 상기 제3 측면 플레이트 및 상기 제4 측면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용융된 폐비닐이 수용되는 공간의 상측에 안착되는 상부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조립체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하부 플레이트;
    좌우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중심을 따라 등간격으로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다수 개의 제1 하부 관통홀;
    블록의 하부에 볼트를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하부 관통홀 마다 설치되며, 상기 제1 하부 관통홀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하부가 다각형의 볼트 헤드 형태로 형성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나사산이 연장 형성되는 다수 개의 하부 지지핀;
    상기 하부 지지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하부 관통홀의 상측에 마다 안착되는 다수 개의 삽입관;
    상기 삽입관을 중심으로 "+" 형태로 일측, 다른 일측, 전단 및 후단 마다 설치되는 다수 개의 하부 격벽 플레이트;
    상기 다수 개의 하부 격벽 플레이트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되는 각각의 공간 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다수 개의 제2 하부 관통홀; 및
    블록의 하측에 형성되는 체결돌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개방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다수 개의 제2 하부 관통홀 마다 설치되는 다수 개의 하부 부싱;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조립체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대응하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상부 플레이트;
    좌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중심을 따라 등간격으로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다수 개의 제1 상부 관통홀;
    블록의 상부에 볼트를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상부 관통홀 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다수 개의 상부 지지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측으로 노출된 상기 상부 지지핀을 중심으로 하는 "+" 형상의 벽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다수 개의 상부 지지핀의 일측, 다른 일측, 전단 및 후단 마다 설치되는 다수 개의 상부 격벽 플레이트;
    상기 다수 개의 상부 격벽 플레이트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되는 각각의 공간 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다수 개의 제2 상부 관통홀; 및
    블록의 상측에 상기 체결돌기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다수 개의 제2 상부 관통홀 마다 설치되는 다수 개의 상부 부싱;을 포함하는, 폐비닐을 원료로 하는 블록 제조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단계는,
    상기 블록 제조 금형의 내부 공간에 용융된 폐비닐의 투입이 완료되면 상기 블록 제조 금형의 상측 개구부에 상기 상부 조립체를 안착시키는 조립체 안착 단계;
    상기 상부 조립체의 상측을 따라 다수 개의 덮개 완충부를 안착시키는 덮개 완충부 안착 단계;
    평판 형태의 가압 덮개를 상기 덮개 완충부의 상측에 안착시키는 덮개 안착 단계; 및
    가압을 위한 다수 개의 중량부를 상기 가압 덮개의 상측에 안착시키는 중량부 안착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 완충부는,
    상기 가압 덮개의 하측을 지지하는 덮개 지지부;
    상기 덮개 지지부의 하부에 120°의 각도로 서로 이격되어 연결 설치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덮개 지지부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덮개 지지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 다리, 제2 지지 다리 및 제3 지지 다리로 이루어지는 중간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 다리의 하부와 상기 제2 지지 다리의 하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다리의 하부와 상기 제2 지지 다리의 하부 사이를 지지하는 제1 지지 프레임, 상기 제2 지지 다리의 하부와 상기 제3 지지 다리의 하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지지 다리의 하부와 상기 제3 지지 다리의 하부 사이를 지지하는 제2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제1 지지 다리의 하부와 상기 제3 지지 다리의 하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다리의 하부와 상기 제3 지지 다리의 하부 사이를 지지하는 제3 지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간격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 지지부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압 덮개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 원판;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원판의 하측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
    상기 제1 지지 다리, 상기 제2 지지 다리 및 상기 제3 지지 다리의 각 상부가 서로 120° 간격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삼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지지 바아가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바아 안착홈을 형성하는 삼각 지지 프레임; 및
    상기 바아 안착홈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 바아를 지지하기 위한 바아 지지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 다리는,
    상기 삼각 지지 프레임의 일 측면에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덮개 지지부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1 직선형 프레임;
    상기 제1 직선형 프레임이 내부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측이 개방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중간 지지부가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상기 제1 직선형 프레임이 내부 공간으로 슬라이딩 인 또는 내부 공간으로부터 슬라이딩 아웃되도록 하여 상기 중간 지지부의 지지 높이를 조절하는 제2 직선형 프레임;
    상기 제2 직선형 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단부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직선형 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 탄성체;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며, 일측이 바닥면에 안착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제2 직선형 프레임의 하부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직선형 프레임의 하부를 거치시켜 지지하는 곡선형 프레임; 및
    바닥면에 안착되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제3 지지 프레임에 의해 상기 제2 지지 다리의 하측 또는 상기 제3 지지 다리의 하측과의 간격이 지지되며, 상부에 상기 곡선형 프레임의 일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폐비닐을 원료로 하는 블록 제조 방법.
KR1020200131246A 2020-10-12 2020-10-12 폐비닐을 원료로 하는 블록 제조 방법 KR102222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246A KR102222504B1 (ko) 2020-10-12 2020-10-12 폐비닐을 원료로 하는 블록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246A KR102222504B1 (ko) 2020-10-12 2020-10-12 폐비닐을 원료로 하는 블록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2504B1 true KR102222504B1 (ko) 2021-03-04

Family

ID=75174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246A KR102222504B1 (ko) 2020-10-12 2020-10-12 폐비닐을 원료로 하는 블록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25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316B1 (ko) 2021-11-16 2022-03-10 이대희 폐비닐 및 폐플라스틱 재사용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방법
KR102473052B1 (ko) * 2021-12-16 2022-11-30 (주)엔에스테크놀로지 고품질 고속의 공정 통합 금형
KR20230108991A (ko) 2022-01-12 2023-07-19 김일도 농업 폐비닐을 이용한 폐비닐 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폐비닐 분말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5292A (ko) * 2001-12-01 2003-06-11 김선홍 폐비닐 재활용 장치 및 방법
KR20060012222A (ko) 2004-08-02 2006-02-07 최오영 폐비닐과 토사, 화학분진폐기물로 배합한 블록과 돌의제조 방법
KR200415896Y1 (ko) * 2006-02-24 2006-05-10 임명숙 유도블록 성형금형
KR100689342B1 (ko) 2005-08-25 2007-03-02 주식회사 플라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와 폐비닐을 이용한 다중 탄성블록
KR101514778B1 (ko) * 2013-09-03 2015-04-23 김천한 폼블록 성형틀 및 이를 이용한 폼블록 성형방법
KR102129205B1 (ko) * 2019-06-12 2020-07-02 정광섭 폐우레탄을 이용한 단열블럭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5292A (ko) * 2001-12-01 2003-06-11 김선홍 폐비닐 재활용 장치 및 방법
KR20060012222A (ko) 2004-08-02 2006-02-07 최오영 폐비닐과 토사, 화학분진폐기물로 배합한 블록과 돌의제조 방법
KR100689342B1 (ko) 2005-08-25 2007-03-02 주식회사 플라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와 폐비닐을 이용한 다중 탄성블록
KR200415896Y1 (ko) * 2006-02-24 2006-05-10 임명숙 유도블록 성형금형
KR101514778B1 (ko) * 2013-09-03 2015-04-23 김천한 폼블록 성형틀 및 이를 이용한 폼블록 성형방법
KR102129205B1 (ko) * 2019-06-12 2020-07-02 정광섭 폐우레탄을 이용한 단열블럭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316B1 (ko) 2021-11-16 2022-03-10 이대희 폐비닐 및 폐플라스틱 재사용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방법
KR102473052B1 (ko) * 2021-12-16 2022-11-30 (주)엔에스테크놀로지 고품질 고속의 공정 통합 금형
KR20230108991A (ko) 2022-01-12 2023-07-19 김일도 농업 폐비닐을 이용한 폐비닐 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폐비닐 분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2504B1 (ko) 폐비닐을 원료로 하는 블록 제조 방법
CN107780339A (zh) 一种道路桥梁用减震支座
CN101950556A (zh) 电子乐器的键盘装置
CN206617503U (zh) 一种经编机的减震装置
US20210197494A1 (en) 3d printing support structure and design method
CN104534017A (zh) 一种实用的防震装置
CN110811058A (zh) 一种3d打印的分级回弹结构以及应用该结构的鞋底
CN108452481A (zh) 一种用于跑步机的悬浮式减震结构及方法
CN211371839U (zh) 一种半导体芯片分选测试用减震装置
CN1374638A (zh) 具有高度可控制踏板的键盘乐器
KR102323116B1 (ko) 신발에 구비되는 진동 발생 장치
JP6534782B1 (ja) トレーニングマシーンの振動吸収装置
CN207094081U (zh) 一种适用于不同直径的机电设备安装基座
JP4220463B2 (ja) スライド式ブロック
CN206852156U (zh) 具有高回弹性的镂空减震鞋底及鞋
CN213018372U (zh) 一种燃气发电机组减震降噪底座
CN107902012A (zh) 一种具有减震功能的电动车后座
CN108031065A (zh) 一种方便放置vr眼镜的vr健身单车
CN207191265U (zh) 扭扭车
KR200411736Y1 (ko) 수평조절이 가능한 받침대
JP2008175332A (ja) 防振部材及び防振部材製造方法
CN216835221U (zh) 文物转运箱
CN206852159U (zh) 一种杠杆式镂空减震鞋底及鞋
CN209543930U (zh) 一种cd机机芯防震结构
CN203168156U (zh) 一种抗压无声发泡鞋底及其使用的抗压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