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1838B1 - 구조신호 출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구조신호 출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1838B1
KR102471838B1 KR1020170129868A KR20170129868A KR102471838B1 KR 102471838 B1 KR102471838 B1 KR 102471838B1 KR 1020170129868 A KR1020170129868 A KR 1020170129868A KR 20170129868 A KR20170129868 A KR 20170129868A KR 102471838 B1 KR102471838 B1 KR 102471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
signal
output unit
transportation
stat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9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0620A (ko
Inventor
유선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170129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838B1/ko
Publication of KR20190040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0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8Radar; Laser, e.g. lidar
    • B60W2420/5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신호 출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차랑, 선박 등의 교통 수단으로부터 획득된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교통 수단의 상태를 진단하고, 진단 결과에 기초하여 구조 신호를 출력하되, 교통 수단의 외부 환경을 고려하여 최적의 방향으로 신호를 출력하도록 신호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구조신호 출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조신호 출력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RESCUE SIGNAL}
본 발명은 구조신호 출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차랑, 선박 등의 교통 수단으로부터 획득된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교통 수단의 상태를 진단하고, 진단 결과에 기초하여 구조 신호를 출력하되, 교통 수단의 외부 환경을 고려하여 최적의 방향으로 신호를 출력하도록 신호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구조신호 출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와 같이 차량들이 고속으로 주행하는 공간이나 주행 중인 차량의 주변에 많은 차량 또는 사람들이 이동하는 환경에서 다른 차량과 사고나 나거나 외부 요인으로 인해 차량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또는 내부적인 문제 및 결함으로 인해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비교적 신속하게 구조 요청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사고 차량에 탑승한 사람들을 구조하기 위한 구조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인적이 드문 곳에서 사고가 발생하거나 차량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내부적인 문제 및 결함으로 인해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인근에 지나가는 차량의 운전자 및 사람에게 구조 신호를 보내기 어려우며, 특히 야간에 이러한 고장 또는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는 더더욱 구조 신호를 보내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차량에 심각한 고장이나 사고가 발생하여 운전자가 차량을 이탈할 수 없는 상황이나 운전자가 의식을 잃은 경우, 구조 요청을 할 수 없어 인명 사고와 같은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종래의 구조 요청 방법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랑, 선박 등의 교통 수단으로부터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교통 수단의 상태를 진단하며, 진단된 교통 수단의 상태에 기반하여 사람의 개입 없이 구조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구조신호 출력 장치 및 방법을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한국공개특허 제2005-0045067호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차랑, 선박 등의 교통 수단으로부터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교통 수단의 상태를 진단하며, 진단된 교통 수단의 상태에 기반하여 구조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사람의 개입 없이 구조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교통 수단의 외부 상태를 고려하여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최적의 방향으로 구조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구조신호 출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신호 출력 장치는, 차량 및 선박과 같은 교통 수단에 설치되며, 상기 교통 수단의 내부 상태 정보 및 외부 상태 정보를 각각 획득하는 상태 정보 획득부 및 획득된 상기 내부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신호 출력부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고, 획득된 상기 외부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신호 출력부가 출력하는 신호의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획득된 상기 내부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교통 수단의 상태를 진단하고, 진단된 상기 교통 수단의 상태에 따라 위험 경고 신호 및 구조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출력되도록 상기 신호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태 정보 획득부는, 하나 이상의 레이더를 이용하여 상기 교통 수단 외부에 장애물 유무 및 상기 장애물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애물이 감지되지 않은 방향으로 상기 신호가 출력되도록 상기 신호 출력부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 출력부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복수의 방향으로 테스트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방향으로 출력된 상기 테스트 신호의 송수신 강도를 각각 비교하고, 상기 테스트 신호의 송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가 출력되도록 상기 신호 출력부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태 정보 획득부는, 상기 교통 수단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 출력부는, 기 설정된 사용자 정보 및 획득된 상기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조신호 출력 장치는, 전기 자동차에 설치된 경우, 상기 전기 자동차 내에 구비된 배터리를 통해 상기 상태 정보 획득부, 상기 신호 출력부 및 상기 제어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신호 출력 방법은, 구조신호 출력 장치를 이용하여 구조신호를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차량 및 선박과 같은 교통 수단에 설치되며, 상기 교통 수단의 내부 상태 정보 및 외부 상태 정보를 각각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상기 내부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신호 출력부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고, 획득된 상기 외부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신호 출력부가 출력하는 신호의 방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획득된 상기 내부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교통 수단의 상태를 진단하고, 진단된 상기 교통 수단의 상태에 따라 위험 경고 신호 및 구조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출력되도록 상기 신호 출력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레이더를 이용하여 상기 교통 수단 외부에 장애물 유무 및 상기 장애물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장애물이 감지되지 않은 방향으로 상기 신호가 출력되도록 상기 신호 출력부의 방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복수의 방향으로 테스트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복수의 방향으로 출력된 상기 테스트 신호의 송수신 강도를 각각 비교하고, 상기 테스트 신호의 송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가 출력되도록 상기 신호 출력부의 방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조신호 출력 방법은, 상기 교통 수단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사용자 정보 및 획득된 상기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신호 출력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조신호 출력 방법은, 상기 구조신호 출력 장치가 전기 자동차에 설치된 경우, 상기 전기 자동차 내에 구비된 배터리를 통해 상기 상태 정보 획득부, 상기 신호 출력부 및 상기 제어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력을 공급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랑, 선박 등의 교통 수단으로부터 내부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교통 수단의 상태를 진단하며, 진단된 교통 수단의 상태에 기반하여 구조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사람의 개입 없이 구조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통 수단의 외부에 장애물 여부와 장애물의 위치를 감지한 외부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장애물을 고려하여 신호을 출력하기 위한 방향을 설정하며, 설정된 방향으로 구조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장애물에 방해를 받지 않는 최적의 방향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신호 출력 장치(100)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신호 출력 장치(100)에서 교통 수단(1)의 외부 상태를 고려하여 신호 출력 방향을 설정하는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신호 출력 장치(100)가 전기 자동차에 설치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신호 출력 장치(100)를 이용하여 구조신호를 출력하는 일련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신호 출력 장치(100)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신호 출력 장치(100)에서 교통 수단(1)의 외부 상태를 고려하여 신호 출력 방향을 설정하는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신호 출력 장치(100)가 전기 자동차에 설치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신호 출력 장치(100)는 상태 정보 획득부(110), 신호 출력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 내지 3에 도시된 구조신호 출력 장치(10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 요소가 도 1 내지 3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부가, 변경 또는 삭제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신호 출력 장치(100`)는 상태 정보 획득부(110), 신호 출력부(120) 및 제어부(130)가 별도의 구성요소로 구성되지 않고, 하나의 구조신호 출력부가 각각의 역할을 모두 수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상태 정보 획득부(110)는 차량 및 선박과 같은 교통 수단(1)에 설치될 수 있으며, 교통 수단(1)의 내부 상태 정보 및 외부 상태 정보를 각각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내부 상태 정보는 교통 수단(1)에 설치되거나 포함된 구성 요소들로부터 측정되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상태 정보는 교통 수단(1)내의 습도, 온도, 배터리 정보, 배터리 관리 시스템 정보, 센서 정보, 에어백 정보, 타이어 상태 정보 및 차체에 입력되는 충격 정보, 교통 수단(1)의 위치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태 정보 획득부(110)는 상술된 내부 상태 정보들을 획득하기 위하여 전류 센서, 전압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및 충격 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수의 센서들이 결합된 센서 모듈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태 정보 획득부(110)는 별도의 센서를 구비하지 않고, 통신을 통하여 교통 수단(1) 내에 자체적으로 구비되는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정보들을 제공받음으로써, 교통 수단(1)의 내부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외부 상태 정보는, 교통 수단(1)의 외부에서 측정되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상태 정보는 교통 수단(1) 외부에 이동 중인 교통 수단(1)이나 사람에 대한 정보, 장애물 유무 및 장애물의 위치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태 정보 획득부(110)는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레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출력부(120)는 후술되는 제어부(13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교통 수단(1)의 내부 및 외부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출력부(120)는 외부의 다른 교통 수단(1)으로부터 출력되는 구조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신호 출력부(120)는 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안테나는 신호를 내부 및 외부로 출력할 수 있고, 외부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나 이상의 송신 안테나 및 하나 이상의 수신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안테나는 신호의 송신 및 수신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 안테나일 수 있다.
신호 출력부(120)는 교통 수단(1)의 상태에 따라 위험 경고 신호 및 구조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위험 경고 신호는 교통 수단(1)에 이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또는 교통 수단(1)에 작은 이상이 발생되어 큰 고장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이를 경고하기 위해 출력되는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 수단(1)이 자동차인 경우, 위험 경고 신호는 자동차의 계기판에 출력되는 경고등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위험 경고 신호는 경고음과 같이 소리의 형태로 출력되는 신호일 수 있으며, 소리 형태의 경고음 신호를 통해 교통 수단(1)을 운전하는 운전자나 교통 수단(1)의 외부에서 이동 중인 다른 운전자들이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구조 신호는 교통 수단(1)에 실제 이상이 발생하여, 교통 수단(1)이 이동이 불가한 상황이 되거나, 교통 수단(1)의 운전자에 이상이 발생하여 구조 요청 신호를 보내지 못하는 상황인 경우 외부로 출력되는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 수단(1)의 타이어에 구멍이 발생하여 교통 수단(1)이 이동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 경우, 신호 출력부(120)는 후술되는 제어부(1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구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호 출력부(120)는 기 설정된 사용자 정보 및 상태 정보 획득부(110)를 통해 획득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신호 출력 장치(100)를 이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일 수 있으며,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나이, 성별 및 신체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출력부(120)는 교통 수단(1) 운전자의 사용자 정보와 위치정보가 포함된 구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구조 신호를 수신한 다른 운전자들이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운전자의 위치를 빠르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의 사용자 정보가 포함된 구조 신호를 실제 구조 작업을 펼치는 대상에게 전달함으로써, 보다 수월하게 구조 작업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교통 수단(1)에 큰 인명사고가 발생하여 운전자를 식별하기 어려운 경우에 운전자를 식별하기 위한 요소로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태 정보 획득부(110)로부터 획득된 교통 수단(1) 내부의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신호 출력부(120)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온오프 상태는 신호 출력부(120)를 포함하는 전기 회로가 끊어짐 없이 연결되어 폐회로(Closed Circuit)를 형성함으로써 전기 회로 상에 전류가 신호 출력부(120)에 공급될 수 있는 온(On) 상태 및 전기 회로의 일측면이 개방 또는 단락 되어 개방회로(Open Circuit)를 형성함으로써, 전기 회로 상에 전류가 신호 출력부(120)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오프(Off)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태 정보 획득부(110)로부터 획득된 교통 수단(1) 내부의 상태 정보에 기반으로 교통 수단(1)의 상태를 진단하고, 진단된 교통 수단(1)의 상태에 따라 위험 경고 신호 및 구조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출력되도록 신호 출력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정보 획득부(110)는 교통 수단(1)의 타이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제어부(13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타이어가 펑크난 경우, 제어부(130)는 상태 정보 획득부(110)로부터 타이어가 펑크 났다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내부 상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교통 수단(1)의 상태를 사고 발생 위험이 있는 경고 상태로 진단 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진단된 교통 수단(1)의 상태가 사고 발생 위험이 있는 경고 상태인 경우, 경고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교통 수단(1)의 운전자가 현재 자신의 교통 수단(1)의 상태를 인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교통 수단(1) 외부에서 이동 중인 다른 교통 수단들과 사람들에게도 인지 시켜 사고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상태 정보 획득부(110)로부터 전달 받은 내부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교통 수단(1)의 상태를 안전 상태, 점검 필요 상태, 경고 상태 및 위험 상태 중 하나의 상태로 진단 할 수 있으며, 진단된 상태의 종류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신호가 출력되도록 신호 출력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안전 상태는 상태 정보 획득부(110)에서 획득된 내부 상태 정보가 정상 범위 내에 포함되는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 수단(1) 내부의 온도의 정상 범위가 0도 내지 40도이고, 실제 교통 수단(1) 내부의 온도가 25도 인 경우, 제어부(130)는 교통 수단(1)의 상태를 안전 상태로 진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교통 수단(1)이 안전 상태인 경우, 신호 출력부(120)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점검 필요 상태는 상태 정보 획득부(110)에서 획득된 내부 상태 정보가 정상 범위 내외로 변동되는 경우, 내부 상태 정보가 정상 범위를 미세하게 벗어난 경우 및 소모성 부품들의 교체 시기에 임박한 경우를 포함하는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 수단(1) 내에서 사용되는 배터리의 용량이나 연료가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제어부(130)는 교통 수단(1)의 상태를 점검 필요 상태로 진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교통 수단(1)이 점검 필요 상태인 경우, 교통 수단(1)의 계기판에 경고등을 출력하도록 신호 출력부(110)를 제어하여 운전자가 교통 수단(1)을 점검 해야 할 필요성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경고 상태는 상태 정보 획득부(110)에서 획득된 내부 상태 정보가 정상 범위를 크게 벗어나는 경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 수단(1)의 타이어가 펑크가 나서 이동이 불가한 상황이 발생된 경우, 제어부(130)는 교통 수단(1)의 상태를 경고 상태로 진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교통 수단(1)이 경고 상태인 경우, 교통 수단(1)의 계기판에 경고등을 출력함과 동시에 외부에 경고 신호를 출력하여 교통 수단(1) 인근에 이동중인 다른 교통 수단들과 사람들에게 차량에 이상이 있음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위험 상태는 상태 정보 획득부(110)에서 획득된 내부 상태 정보가 정상 범위를 크게 벗어나는 경우 중,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교통 수단(1)의 상태를 위험 상태로 진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조건은 교통 수단(1)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상황 중 운전자에게 큰 피해를 입힐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유추할 수 있는 조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조건은 에어백을 동작시키는 에어백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교통 수단(1)에 일정 크기 이상의 압력이 입력되는 경우, 교통 수단(1)이 뒤집힌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이러한 기 설정된 조건에 매칭되는 내부 상태 정보가 전달되는 경우, 교통 수단(1)의 상태를 위험 상태로 진단할 수 있고, 교통 수단(1)의 계기판에 경고등을 출력, 교통 수단(1) 외부에 경고 신호를 출력 및 사용자 정보 및 위치정보가 포함된 구조 신호를 출력하도록 신호 출력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교통 수단(1)의 상태가 위험 상태인 경우, 기 설정된 대상에게 구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대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신호 출력 장치(100)의 사용자가 구조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설정한 대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신호 출력 장치(100)의 사용자가 기 설정된 대상을 경찰서로 설정하고 사고가 발생한 경우, 별도의 제어 동작이 필요없이 구조신호가 경찰서로 송신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상태 정보 획득부(110)를 통해 획득된 외부 상태 정보에 포함된 교통 수단(1) 외부에 장애물 여부 및 장애물의 위치를 기반으로, 장애물이 감지되지 않은 방향으로 신호가 출력되도록 신호 출력부(120)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통 수단(1)의 정면과 좌우측면에 장애물이 위치하여 있는 경우, 제어부(130)는 장애물이 감지되지 않은 교통 수단(1)의 후방으로 신호가 출력되도록 신호 출력부(120)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신호 출력부(120)를 제어하여 신호 출력부(12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복수의 방향으로 테스트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복수의 방향으로 출력된 테스트 신호의 송수신 강도를 각각 비교할 수 있으며, 테스트 신호의 송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신호가 출력되도록 신호 출력부(120)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테스트 신호는 장애물에 의해 신호가 전송되는 데 방해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출력되는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애물이 교통 수단(1)의 정면과 좌우측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신호 출력부(120)에서 출력된 테스트 신호는 장애물에 의해 반사되어 신호의 중첩 및 간섭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테스트 신호의 송수신 강도가 변동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복수의 방향으로 출력된 테스트 신호의 송수신 강도를 비교함으로써, 신호가 전송되기 위한 최적의 방향을 설정하고, 설정된 최적의 방향으로 신호가 출력되도록 신호 출력부(120)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신호 출력부(120)를 제어하여 신호 출력부(12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복수의 방향에서 송신되는 외부 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복수의 방향에서 각각 수신된 외부 신호의 강도를 각각 비교할 수 있으며, 외부 신호의 강도에 기초하여 외부 신호의 강도가 강한 방향으로 신호가 출력되도록 신호 출력부(120)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신호는 라디오 신호일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신호 출력부(120)는 통해 복수의 방향으로부터 송신되는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라디오 신호의 강도를 비교하여 라디오 신호의 강도가 강한 방향을 검출함으로써, 신호 출력의 최적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신호 출력 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자동차에 설치된 경우, 전기 자동차 내에 구비된 배터리(10)를 통해 상태 정보 획득부(110), 신호 출력부(120) 및 제어부(130)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교통 수단(1)에 긴급한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사람의 개입이 없이 배터리(10)를 활용하여 즉각적으로 구조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신호 출력 장치(100)는 내부에 보조 배터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전기 자동차 내에 구비된 배터리(10)를 통해 구조신호 출력 장치(100) 내부에 위치한 보조 배터리를 충전시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 수단(1)에 고장이 발생하여 배터리(10)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신호 출력 장치(100)간의 연결이 단락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신호 출력 장치(100) 내부에 위치한 보조 배터리를 이용함으로써, 이상 없이 구조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명세서 내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신호 출력 장치(100)는 차량, 선박 등의 교통 수단(1)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형태로만 기재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신호 출력 장치(100`)는 스마트 워치와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스마트 워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내부 및 외부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사람의 상태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구조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신호 출력 장치(100)를 이용한 구조신호 출력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신호 출력 장치(100)를 이용하여 구조신호를 출력하는 일련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교통 수단의 내부 상태 정보 및 외부 상태 정보 획득한다(S110). S110단계에서 획득된 내부 및 외부 상태 정보 중 내부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교통 수단의 상태를 진단한다(S120). S120단계에서 이상이 있는 것으로 진단되는 경우, 외부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장애물 유무 및 장애물 위치 감지한다(S130). 그러나 S120단계에서 이상이 없는 것으로 진단되는 경우에는 S110단계로 돌아가서 교통 수단의 내부 상태 정보 및 외부 상태 정보 다시 획득한다. S130단게에서 장애물 여부와 장애물 위치가 감지되면, 감지 결과에 기반하여 신호 출력을 위한 최적 방향 설정하고(S140), 설정된 최적 방향으로 신호가 출력되도록 신호 출력부의 방향 제어 및 신호 출력한다(S150).
전술한 구조신호 출력 방법은 도면에 제시된 순서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되었다. 간단히 설명하기 위하여 상기 방법은 일련의 블록들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블록들의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몇몇 블록들은 다른 블록들과 본 명세서에서 도시되고 기술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또는 동시에 일어날 수도 있으며, 동일한 또는 유사한 결과를 달성하는 다양한 다른 분기, 흐름 경로, 및 블록의 순서들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방법의 구현을 위하여 도시된 모든 블록들이 요구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교통 수단
10: 배터리
110: 상태 정보 획득부
120: 신호 출력부
130: 제어부

Claims (12)

  1. 교통 수단에 설치되어, 상기 교통 수단의 내부 상태 정보 및 외부 상태 정보를 각각 획득하는 상태 정보 획득부; 및
    상기 내부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신호 출력부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내부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진단된 상기 교통 수단의 상태에 따라 출력 신호를 결정하도록 상기 신호 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외부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출력 신호의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전기 회로를 폐회로(Closed Circuit)로 형성하여 상기 전기 회로 상에 전류가 신호 출력부에 공급됨으로써 상기 신호 출력부를 온(On)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전기 회로를 개방(Open Circuit)함으로써 상기 전기 회로 상에 전류가 상기 신호 출력부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신호 출력부를 오프(OFF)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상기 신호 출력부에 의해 복수의 방향으로부터 수신된 외부 신호의 수신 강도를 각각 비교하여, 상기 수신 강도가 강한 방향으로 상기 출력 신호가 출력되도록 상기 신호 출력부의 방향을 제어하고,
    상기 신호 출력부에 의해 복수의 방향으로 출력되어, 장애물에 의해 반사되어 중첩 및 간섭이 발생되는 테스트 신호의 송수신 강도를 각각 비교하고, 상기 테스트 신호의 송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신호가 출력되도록 상기 신호 출력부의 방향을 제어하며,
    상기 상태 정보 획득부는 상기 교통 수단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신호 출력부는,
    운전자의 나이, 성별 및 신체정보를 포함하는 운전자의 사용자 정보, 및 상기 획득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구조신호 출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신호는,
    위험 경고 신호 및 구조 신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구조신호 출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 획득부는,
    하나 이상의 레이더를 이용하여 상기 교통 수단 외부에 장애물 유무 및 상기 장애물의 위치를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애물이 감지되지 않은 방향으로 상기 신호가 출력되도록 상기 신호 출력부의 방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신호 출력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신호 출력 장치는,
    전기 자동차에 설치된 경우, 상기 전기 자동차 내에 구비된 배터리를 통해 상기 상태 정보 획득부, 상기 신호 출력부 및 상기 제어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력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신호 출력 장치.
  7. 구조신호 출력 장치를 이용하여 구조신호를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교통 수단에 설치되어, 상기 교통 수단의 내부 상태 정보 및 외부 상태 정보를 각각 획득하는 단계;
    상기 내부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신호 출력부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내부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진단된 상기 교통 수단의 상태에 따라 출력 신호를 결정하도록 상기 신호 출력부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외부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출력 신호의 방향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교통 수단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출력부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전기 회로를 폐회로(Closed Circuit)로 형성하여 상기 전기 회로 상에 전류가 신호 출력부에 공급됨으로써 상기 신호 출력부를 온(On)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 회로를 개방(Open Circuit)함으로써 상기 전기 회로 상에 전류가 상기 신호 출력부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신호 출력부를 오프(OFF)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출력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운전자의 나이, 성별 및 신체정보를 포함하는 운전자의 사용자 정보, 및 상기 획득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출력 신호를 결정하도록 상기 신호 출력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신호의 방향을 제어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상기 신호 출력부에 의해 복수의 방향으로부터 수신된 외부 신호의 수신 강도를 각각 비교하여, 상기 수신 강도가 강한 방향으로 상기 출력 신호가 출력되도록 상기 신호 출력부의 방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신호의 방향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 출력부에 의해 복수의 방향으로 출력되어, 장애물에 의해 반사되어 중첩 및 간섭이 발생되는 테스트 신호의 송수신 강도를 각각 비교하고, 상기 테스트 신호의 송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신호가 출력되도록 상기 신호 출력부의 방향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조신호 출력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신호는,
    위험 경고 신호 및 구조 신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구조신호 출력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레이더를 이용하여 상기 교통 수단 외부에 장애물 유무 및 상기 장애물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장애물이 감지되지 않은 방향으로 상기 신호가 출력되도록 상기 신호 출력부의 방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신호 출력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신호 출력 방법은,
    상기 구조신호 출력 장치가 전기 자동차에 설치된 경우, 상기 전기 자동차 내에 구비된 배터리를 통해 상태 정보 획득부, 상기 신호 출력부 및 제어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력을 공급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신호 출력 방법.
KR1020170129868A 2017-10-11 2017-10-11 구조신호 출력 장치 및 방법 KR102471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9868A KR102471838B1 (ko) 2017-10-11 2017-10-11 구조신호 출력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9868A KR102471838B1 (ko) 2017-10-11 2017-10-11 구조신호 출력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620A KR20190040620A (ko) 2019-04-19
KR102471838B1 true KR102471838B1 (ko) 2022-11-28

Family

ID=66283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9868A KR102471838B1 (ko) 2017-10-11 2017-10-11 구조신호 출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183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5907A (ja) * 1999-04-28 2000-11-14 Nippon Hoso Kyokai <Nhk> アンテナ方向調整装置
JP2006071380A (ja) * 2004-08-31 2006-03-16 Saxa Inc 無線タグ探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5804B1 (ko) * 1998-12-18 2001-04-16 정주호 자동차의 질식사고사 방지위한 구조시스템및 그 제어방법
KR20050045067A (ko) 2003-11-10 2005-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긴급구조신호 송신 및 수신방법
KR102186350B1 (ko) * 2014-05-30 2020-12-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주행 정보를 이용한 차량 사고 구조 요청 장치 및 방법
KR101677032B1 (ko) * 2015-01-28 2016-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차량 및 이를 포함하는 구호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5907A (ja) * 1999-04-28 2000-11-14 Nippon Hoso Kyokai <Nhk> アンテナ方向調整装置
JP2006071380A (ja) * 2004-08-31 2006-03-16 Saxa Inc 無線タグ探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620A (ko) 2019-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0663B2 (en) Warning method for a high-voltage battery of a motor vehicle in the case of an accident of the motor vehicle, a warning system for carrying out the warning method, and a motor vehicle that comprises components of the warning system
KR101895999B1 (ko)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장치 및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시스템
US20190215672A1 (en) System for smart child seat vehicle integration
US20110210835A1 (en)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notifying emergency
US20180157272A1 (en) Vehicle mounted apparatus
JP2012509217A (ja) 電気装置を備えた車両、例えばハイブリッド自動車
US10155477B1 (en) Vehicle light detector device (VLDD)
CN110027467A (zh) 特别是具有擦拭效果和危险警告功能的行驶方向指示器
CN107764559A (zh) 能自主控制的机动车的测试
CN105667440A (zh) 汽车盲区监控预警系统及汽车
US7525449B1 (en) Status light for switch on boat steering wheel
KR20200020035A (ko) 차량내 승객 안전 시스템
US11062575B2 (en) Wireless tilt sensor system and method
KR102471838B1 (ko) 구조신호 출력 장치 및 방법
KR101297024B1 (ko) 캔통신을이용한 자동차 고장진단 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CN210116437U (zh) 车辆使用的并线辅助装置
CN112193196A (zh) 车辆
US10406877B2 (en) Monitoring of anti-sway bar chains of trailer hitch systems
KR20200143015A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2147331B1 (ko) 차량 램프의 고장 진단 장치
JP2005186659A (ja) 始業点検補助装置
JP6970135B2 (ja) ワイヤハーネス、及び、安全管理システム
JP2009010535A (ja) 衛星電波未受信状態告知装置及び方法
JP2020147068A (ja) 車両用灯具の診断システム
KR101618452B1 (ko)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