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1730B1 - 주차장 충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차장 충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1730B1
KR102471730B1 KR1020220048182A KR20220048182A KR102471730B1 KR 102471730 B1 KR102471730 B1 KR 102471730B1 KR 1020220048182 A KR1020220048182 A KR 1020220048182A KR 20220048182 A KR20220048182 A KR 20220048182A KR 102471730 B1 KR102471730 B1 KR 102471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parking lot
pair
plate
charg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8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문정
엄승신
엄상문
Original Assignee
장문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문정 filed Critical 장문정
Priority to KR1020220048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730B1/ko
Priority to KR1020220154788A priority patent/KR1025865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730B1/ko
Priority to PCT/KR2023/003820 priority patent/WO2023204459A1/ko
Priority to KR1020230127752A priority patent/KR202301492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1DC charging controlled by the charging station, e.g. mode 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장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의 인렛(inlet)에 접속되는 유선연결부 또는 차량에 설치된 수신패드에 무선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무선연결부를 포함하는 연결모듈, 및 상기 연결모듈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전기를 완속으로 공급하는 완속충전부 또는 상기 연결모듈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전기를 급속으로 공급하는 급속충전부를 포함하는 충전모듈을 포함하는 충전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주차장 충전 시스템{PARKING LOT CHARGING SYSTEM}
본 발명은 주차장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국내 연도별 전기차(하이브리드 제외 순수 전기차) 누적 등록대수가 2013년 1,464대에서 2020년 13만 3,962대로 증가하였다.
더하여 최근에는 전세계 전기차 시장 점유율이 4%를 돌파하고 있다.
상기한 전기차는 배터리를 구비하고, 상기한 배터리는 전기차 충전기를 통해 충전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기차 충전기는 완속충전모듈(완속 충전 방식) 또는 급속충전모듈(급속 충전 방식)(이하 충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유닛(완속충전모듈 또는 급속충전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블과 차량의 연결 방식에 따라 유선 방식과 무선 방식으로 분류된다.
상기 유선 방식은 상기 케이블의 단부에 구비되고 차량의 인렛에 기계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인렛에 구비되는 단자와 접속되는 커넥터가 구비된다.
상기 무선 방식은 차량에 구비되고 코일이 구비된 수신패드에 전기를 무선 방식으로 전송하는 송신패드(마찬가지로 코일이 구비됨)가 상기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인 등록특허 제10-2235943호(이하 종래기술)는 전기차 충전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충전기를 관리 및 제어하는 운영서버의 과부하를 막고 충전소의 전력 소모량을 예측하여 안정적인 충전소 운영을 제공하는 전기차 충전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전기차의 충전을 수행하는 사용자가 완속 충전 방식과 급속 충전 방식을 선택할 수 없었으며, 유선 방식(유선 충전 방식)과 무선 방식(무선 충전 방식)을 선택할 수 없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완속 충전 방식과 급속 충전 방식을 선택할 수 있으며, 유선 충전 방식과 무선 충전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주차장 충전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차장에서 차량이 주차되는 주차면(주차 구역)과 주차장에서 차량이 충전되는 충전면(충전 구역)의 구분이 필요 없고, 충전기 점유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주차장 충전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차장에서 차량의 이동 없이 주차된 상태에서 보다 적은 수의 충전기만을 보유하고도 다수의 차량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주차장 충전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 및 특징을 갖는다.
차량의 인렛(inlet)에 접속되는 유선연결부 또는 차량에 설치된 수신패드에 무선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무선연결부를 포함하는 연결모듈, 및 상기 연결모듈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전기를 완속으로 공급하는 완속충전부 또는 상기 연결모듈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전기를 급속으로 공급하는 급속충전부를 포함하는 충전모듈을 포함하는 충전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완속충전부 또는 상기 급속충전부의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완속충전부 또는 상기 급속충전부의 전기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공급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차장에 설치되는 하부레일; 및 상기 충전기에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고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안착판을 포함하는 거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차장에 설치되되 상기 하부레일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레일; 및 상기 거치부재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송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안착판의 상부 전방과 상부 후방 각각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다리, 및 한 쌍의 다리 상부를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장치는, 이송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하우징의 하부에 연결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 하부에 구비되되 평면상에서 봤을 때 상기 측방향에 직교되는 제1방향의 길이를 가지는 제1가이드레일, 상기 제1가이드레일에 체결되어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제1블록, 및 상기 제1블록에 연결되고 단부가 상기 한 쌍의 다리와 상기 브릿지가 형성하는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걸림판을 포함하는 탈착결합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판은, 상기 제1블록의 하부에 연결되되 상기 삽입공간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연결파트, 및 상기 연결파트에서 일 측 또는 타 측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삽입공간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삽입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장치는, 이송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하우징의 하부에 연결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부재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 상부에 연결되되 상기 측방향과 평행한 길이를 가지는 제2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2가이드레일과 체결되고 상기 고정부재와 연결되는 제2블록을 포함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레일은, 평면상에서 봤을 때 상기 하부레일과 엇갈려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레일은, 평면상에서 봤을 때 상기 상부레일을 기준으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레일은, 평면상에서 봤을 때 상기 측방향과 직교되는 제1방향과 평행한 길이를 사지는 제1레일, 상기 측방향과 평행한 길이를 가지는 제2레일, 상기 제1레일과 상기 제2레일을 연결하는 코너레일, 평면상에서 봤을 때 엇갈려 배치되는 한 쌍의 제1레일 또는 한 쌍의 제2레일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레일, 상기 제1레일과 상기 제2레일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는 원형레일,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한 쌍의 제1레일 또는 한 쌍의 제2레일을 상호 연결하는 수직레일, 수평 방향을 따라 이웃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레일 또는 한 쌍의 제2레일을 연결되되 상측으로 만곡 되게 형성된 만곡레일, 및 이웃하는 한 쌍의 제1레일 또는 이웃하는 한 쌍의 제2레일을 연결하는 도어레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레일에 연결되되, 상기 상부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 배치되는 프레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재는, 상기 제1방향과 평행한 한 쌍의 제1프레임, 한 쌍의 제1프레임의 단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2프레임을 포함하는 바닥부; 및 한 쌍의 제2프레임 상부를 연결하되, 한 쌍의 제2프레임 각각의 중간부에 배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연결부의 하단에 구비되되, 상기 충전기의 하단보다 하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장의 바닥과 상기 바닥에서 상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측벽부를 따라 형성된 이동경로 상에서 상기 송신패드를 이동시키는 슬라이드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탈착결합수단의 제1블록을 이동시키는 탈착신호, 상기 이동수단의 제2블록을 이동시키는 이동신호, 상기 이송수단을 구동시키는 이송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부재보다 상측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고정부재와 연결되는 중간판,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되는 로프, 상기 중간판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로프가 감기는 로울러 및 상기 중간판에 연결되고 상기 로울러는 회전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는 수직이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되어 상부로 돌출 구비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돌출 구비되되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삽입부재, 및 상기 중간판에 형성되되 상기 삽입부재가 관통되는 삽입통공을 포함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판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중간판과 연결되는 상부판,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상태로 상기 상부판과 연결되어 상기 상부판을 수직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하는 회전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연결부의 케이스에 수용되고 상기 무선연결부의 송신패드가 연결되는 외함, 및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외함을 상기 주차장의 바닥 상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주차장 바닥 상에 배치된 외함을 상기 수용공간으로 이동시키는 운반수단을 포함하는 자동배치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반수단은,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수직 방향의 길이를 가지는 가이드레일(미도시)에 체결되어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는 판부재; 상기 무선연결부의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판부재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수단; 상기 판부재와 상기 외함을 힌지 회동 되도록 결합시키는 경첩; 상기 외함의 하부에 구비되는 외부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배치수단은, 상기 외함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송신패드가 연결되는 바디, 상기 바디에 구비되는 내측바퀴, 및 상기 내측바퀴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깊이조절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배치수단은, 바디 상부에 배치되되 상부에 상기 송신패드가 연결되는 회전판, 상기 바디 구비되는 회전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부재, 양단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회전부재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가 상기 회전판에 연결되는 제1스틱, 및 양단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회전부재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가 상기 회전판에 연결되되, 평면상에서 봤을 때 상기 제1스틱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스틱을 포함하는 회전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배치수단은, 상기 회전판 상에 구비되는 LM가이드, 상기 송신패드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레일과 체결되어 이동되는 블록, 상기 회전판 상에 구비되는 정렬구동부, 양단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정렬구동부에 연결되는 크랭크, 및 양단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크랭크(Crank)와 조인트 결합되고, 다른 하나가 상기 송신패드에 연결되는 연결링크(Connecting Link)를 포함하는 정렬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완속 충전 방식과 급속 충전 방식을 선택할 수 있으며, 유선 충전 방식과 무선 충전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주차장에서 차량이 주차되는 주차면(주차 구역)과 주차장에서 차량이 충전되는 충전면(충전 구역)의 구분이 필요 없고, 충전기 점유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주차장에서 차량의 이동 없이 주차된 상태에서 보다 적은 수의 충전기만을 보유하고도 다수의 차량을 충전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주차장 충전 시스템이 설치된 주차장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주차장 충전 시스템이 설치된 주차장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상부레일에 설치된 이송장치와 하부레일에 설치된 충전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이송장치의 이송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상부레일과 하부레일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7은 탈착결합수단, 이동수단 등을 포함하는 이송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하부레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10은 설치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케이스에 수용되어 있던 케이스가 자동배치수단에 의해 주차면에 배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운반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깊이조절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회전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정렬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수직이동수단, 회전액츄에이터, 고정수단 등을 포함하는 이송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제1레일, 제2레일, 만곡레일, 코너레일, 연결레일, 도어레일이 설치된 측벽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기계적, 전기적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기계적, 전기적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주차장 충전 시스템이 설치된 주차장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주차장 충전 시스템이 설치된 주차장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충전 시스템은 차량의 충전을 수행하는 사용자가, 충전 방식을 선택하여 충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시스템'이라 칭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시스템(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충전 시스템)은 충전기(1)를 포함한다.
충전기(1)는 차량의 인렛(inlet)에 접속되는 유선연결부(111) 또는 차량에 설치된 수신패드에 무선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무선연결부(112)를 포함하는 연결모듈(11)을 포함한다.
유선연결부(111)(유선 연결 모듈, 유선 연결 방식)는 후술하는 충전모듈(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인렛과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가 인렛에 연결된 상태에서 케이블과 차량의 인렛에 구비되고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는 접속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유선연결부(111)는 상기한 케이블이 거치되는 컨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연결부(112)(무선 연결 모듈, 무선 연결 방식)는 차량에 설치된 수신패드에 유도 전류를 공급하도록 코일이 구비된 송신패드(112a)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패드(112a)는 케이블의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송신패드(112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은 다른 단부가 후술하는 충전모듈(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무선연결부(112)는 상기한 송신패드(112a)와 케이블이 거치되는 케이스(11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무선연결부(112)는 통상의 스위치, 디지털 미터(digital meter), 인버터 등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충전기(1)는 상기 연결모듈(11)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전기를 완속으로 공급하는 완속충전부(121) 또는 상기 연결모듈(11)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전기를 급속으로 공급하는 급속충전부(122)를 포함한다.
상기한 완속충전부(121)(완속 충전 모듈, 완속 충전 방식)는 스위치, 디지털 미터(digital me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급속충전부(122)(급속 충전 모듈, 급속 충전 방식)는 예시적으로 스위치, PFC, DC/DC, 상기 디지털 미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으로 급속충전부(122)는 후술하는 이송장치(6)에 의해 이동되므로 그 자체의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PFC, DC/DC 등과 분리되어 PFC, DC/DC와 연결되는 스위치, 디지털 미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완속충전부(121)는 단상교류 접속 방식의 충전 방식의 모듈이고, 급속충전부(122)는 직류 대전류로 축전지를 단시간(예시적으로 30분 이내)에 직접 충전하는 방식의 모듈인데, 완속충전부(121) 및 급속충전부(122)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예시적으로 연결모듈(11)은 탈착결합부를 포함하고, 충전모듈(12)을 상기 탈착결합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탈착대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결모듈(11) 및 충전모듈(12)은 탈착 가능하게 기계적,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완속충전부(121) 및 급속충전부(122) 각각은 콘센트(소켓-아울렛)(상기 탈착대응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모듈(11)은 상기한 케이블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콘센트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기계적, 전기적)되는 플러그(상기 탈착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시스템의 충전기(1)는 주차장(P)에 설치되는 후술하는 하부레일(3)에 거치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시스템은 연결모듈(11)이 유선연결부(111) 또는 무선연결부(112)를 포함하고, 충전모듈(12)이 완속충전부(121) 또는 급속충전부(122)를 포함하되, 연결모듈(11) 및 충전모듈(12)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기계적, 전기적 연결)되므로, 차량에 충전을 수행하는 사용자가 완속 충전 방식과 무선 충전 방식을 선택할 수 있고, 유선 연결 방식과 무선 연결 방식을 선택하여 편리하게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시스템은 충전모듈(12)의 완속충전부(121) 또는 급속충전부(122)에 전기적으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완속충전부(121) 또는 급속충전부(122)의 전기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공급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장치(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장치(2)에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제어 구성(예를 들면, 컴퓨터, 프로세서 등의 다양한 전자 장치 또는 전자 모듈)과 상기 제어 구성에 입력 신호를 전송하는 입력부(예시적으로 터치스크린 등)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어장치(2)는 그에 포함된 프로그램이나 알고리즘에 따라 생성된 신호나 명령을 상기한 충전기(1)와 후술하는 이송장치(6)에 전달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2)는 충전기(1)와 후술하는 이송장치(6)에 포함되거나, 충전기(1)와 후술하는 이송장치(6)와 이웃하는 위치에 충전기(1)와 후술하는 이송장치(6)와는 별도로 구비되어 충전기(1)와 후술하는 이송장치(6)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장치(2)는 공급신호를 생성하여 상기한 충전모듈(12)로 전송하고, 충전모듈(12)을 상기 공급신호를 수신하여 전기 공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공급신호는 완속충전부(121)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는 정보 또는 급속충전부(122)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충전모듈(12)의 구동 시간 등을 제어하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시스템은 공급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장치(2)를 포함함으로써, 한 개의 제어장치(2)를 통해 충전모듈(12)의 전기 공급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제어장치(2)는 후술하는 이송장치(6)를 제어하는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하는 설명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상부레일에 설치된 이송장치와 하부레일에 설치된 충전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이송장치의 이송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상부레일과 하부레일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시스템은 주차장(P)에 설치되는 하부레일(3)을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본 시스템은 주차장(P) 바닥에서 상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측벽부(W)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한 하부레일(3)과 후술하는 상부레일(5)은 상기한 측벽부(W)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측(상부, 상단, 상면 등)은 도 1을 기준으로 상측(상부, 상단, 상면 등)을 의미하고, 하측(하부, 하단, 하면 등)은 도 1을 기준으로 하측(하부, 하단, 하면 등)을 의미하는데, 이하에서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
하부레일(3)과 후술하는 상부레일(5)은 상기한 측벽부(W)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후술하는 프레임부재(7)에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측벽부(W)는 상기 연결모듈(11)의 케이블 도는 송신패드(112a) 등이 출입되는 제1개구 이외에 측벽부(W) 내부외 외부를 관통하는 여분의 제2개구(예시적으로 입출구 슬롯)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레일(3) 및 후술하는 상부레일(5) 중 적어도 하나(이하 레일) 부스덕트(bus duct)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전기가 흐르는 부분(예시적으로 전선, 단자 등)이 노출되어 화재 위험이 있는 트롤리바와 달리, 레일이 부스덕트로 형성되어 충전모듈(2)에 전기를 공급하되 전기가 흐르는 부분이 노출되지 않아 보다 안전하다는 이점이 있다.
레일은 부스덕트로서, 길이 방향을 따라 콘센트가 구비되고, 상기 콘센트의 충전모듈(2)의 플러그가 연결되어 충전모듈(2)이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한 콘센트는 비사용 시에 커버와 같은 부재로 덮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한 부스덕트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공지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시스템은 상기 충전기(1)에 연결되는 연결부(41), 및 상기 연결부(41)에 연결되고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안착판(42)을 포함하는 거치부재(4)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안착판(42)은 상기 연결부(41)의 상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여기에서 후술하는 제1방향은 도 1에서 상부레일(5)의 제3레일(51)과, 하부레일(3)의 후술하는 제1레일(31)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한 측방향은 평면상에서 봤을 때 상기 제1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을 의미하는데,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
상기한 안착판(42)은 연결부(41)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다고 하였는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1과 같이 안착판(42)이 후술하는 제1레일(31)에 안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하고, 후술하는 방향들도 도 1에서 제1레일(31)과 평행한 제1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안착판(42)은 상기 연결부(41)에서 상기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한 하부레일(3)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한 충전기(1)는 상기한 부스덕트에 구비되는 콘센트에 연결되는 플러그를 포함하여, 상기 부스덕트와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한 안착판(42)은 부스덕트(3) 상부 상에 지지될 수 있어 콘센트와 플러그의 결합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안착판(42)이 상기 하부레일(3) 상에 안착되어 하부레일(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므로, 충전기(1)가 하부레일(3)에 거치된 상태에서 하부레일(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어, 충전기(1)가 하부레일(3)이 설치된 측벽부(W)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도 2 및 도 3 참조). 상기한 충전기(1)는 후술하는 이송장치(6)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시스템은 주차장(P)에 설치되되 하부레일(3)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레일(5)을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상부레일(5)은 후술하는 프레임부재(7)에 연결되어 측벽부(W)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측벽부(W)의 높이가 상기 주차장(P)의 바닥과 천장의 이격 거리에 상응하고, 상기 프레임부재(7)의 높이가 주차장(P)의 바닥과 천장의 이격 거리에 상응할 때, 상기 상부레일(5)은 상기 프레임부재(7)의 후술하는 측면부(F2)의 상측 또는 후술하는 상면부(F2)의 하부 측에 연결되어 상기 천장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후술하는 설명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이송장치(6)는 후술하는 수직이동수단(68)을 포함하여 후술하는 탈착결합수단(64)과 후술하는 이동수단(66) 등을 승강 이동 시킬 수 있다.
도 7은 탈착결합수단, 이동수단 등을 포함하는 이송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시스템은 상기 거치부재(4)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레일(5)을 따라 이동되는 이송장치(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장치(6)는 하우징(6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장치(6)는 하우징(61) 내부에 구비되는 이송모터(622)(후술하는 도 16 참조), 및 상기 하우징(61)의 외부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이송모터(622)에 연결되고 상기 상부레일(5)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이동바퀴(621)를 포함하는 이송수단(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제어장치(2)는 상기 이송수단(62)의 이송모터(622)를 구동시키는 이송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한 이송모터(622)는 이송신호를 수신하여 구동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하였듯이, 이송장치(6)는 거치부재(4)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고 하였는데, 이하에서 이송장치(6)와 거치부재(4)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거치부재(4)는 상기 안착판(42)의 상부(상면) 전방과 상부 후방 각각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다리(441), 및 한 쌍의 다리(441) 상부를 연결하는 브릿지(442)를 포함하는 걸림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방이란 상기 측 방향 중 일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이란 상기 일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이송장치(6)는 이송수단(62)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레일(5)을 따라 이동되는 하우징(61)의 하부에 연결되는 베이스(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베이스(63)는 후술하는 이동수단(66), 연결부재(67), 고정부재(65) 등과 연결되어 하우징(61)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송장치(6)는 상기 베이스(63) 하부에 구비되되 제1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길이를 가지는 제1가이드레일(641), 상기 제1가이드레일(641)에 체결되어 상기 제1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제1블록(642), 상기 제1블록(642)에 연결되고 단부가 상기 한 쌍의 다리(441)와 브릿지(442)가 형성하는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걸림판(643)을 포함하는 탈착결합수단(6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판(643)은 예시적으로 제1블록(642)의 하부(하단부)에 연결되는 연결파트(643a), 및 상기 연결파트(643a)에서 일 측 또는 타 측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연결파트(643a)보다 작은 폭을 가지고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삽입파트(643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파트(643a)의 폭은 상기 삽입공간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여기에서 걸림판(643)의 폭은 상기 제1방향에 직교되는 측방향 길이를 의미한다. 일 측 방향이란 도 7을 기준으로 우측 방향, 타 측 방향이란 도 7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걸림부(44)는 상기 안착판(42)의 측방향과 평행한 센터선을 기준으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고, 따라서 제1블록(642) 또한 한 쌍이 구비되고, 한 쌍의 제1블록(642) 중 일 측에 배치된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연결파트(643a)의 일단에 삽입파트(643b)가 구비되고 일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1블록(642) 중 타 측에 배치된 다른 하나에 연결되는 연결파트(643a)의 타단에 삽입파트(643b)가 구비되고 타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탈착결합수단(64)은 상기 제1블록(642)에 연결되고 상기 제1블록(642)을 상기 제1가이드레일(641)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구동부는 베이스(63)의 제1블록(642)에 연결되는 래크, 상기 베이스(63) 하부에 구비되는 제1모터, 상기 제1모터에 체결되고 상기 래크와 기어 결합되는 피니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제1구동부의 구성은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 상기한 구성으로 한정하지 않으며, 제1블록(642)을 제1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한 다양한 구성이 제1구동부에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걸림판(643)은 제1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제1블록(642)에 의해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될 수 있고, 이러할 경우 이송장치(6)는 상기 충전기(1)에 연결되는 거치부재(4)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걸림판(643)은 제1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제1블록(642)에 의해 타 측 또는 일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삽입공간에서 빠질 수 있고, 이러할 경우 이송장치(6)는 상기 충전기(1)에 연결되는 거치부재(4)와 분리 될 수 있다.
이송장치(6)가 탈착결합수단(64)을 포함하고, 본 시스템이 걸림부(44)를 포함하는 거치부재(4)를 포함함으로써, 이송장치(6)와 충전기(1)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하우징(61)에 이송수단(62)이 구비되어 이송수단(62)은 상부레일(5)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한 탈착결합수단(64)이 하우징(61)에 연결된다. 그런데 상기 삽입파트(643b)가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파트(643a)의 폭이 삽입공간의 폭보다 크므로 연결파트(643a)의 단부가 상기 한 쌍의 다리(441)에 걸리게 되는데, 따라서 이송수단(62)에 의해 하우징(61)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한 연결파트(643a)가 다리(441)를 이동시켜 거치부재(4)와 연결되는 충전기(1)를 상부레일(5)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충전기(1)와 비교하여 보다 적은 수의 이송장치(6)만으로 충전기(1)를 상부레일(5)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이송장치(6)는 상기 이송수단(62)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레일(5)을 따라 이동되는 하우징(61)의 하부에 연결되는 고정부재(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고정부재(65)는 후술하는 중간판(681)(후술하는 도 16 참조) 등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61)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한 베이스(63)는 상기 고정부재(65)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레일(5)은 평면상에서 봤을 때 상기 하부레일(3)과 평행하되 엇갈려 배치될 수 있다.
이송장치(6)는 상기 베이스(63) 상부에 연결되되 상기 측방향과 평행한 길이를 가지는 제2가이드레일(661), 및 상기 제2가이드레일(661)과 체결되고 상기 고정부재(65)와 연결되는 제2블록(662)을 포함하는 이동수단(66)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이송장치(6)는 상기 베이스(63) 상에 배치되어 고정 설치되는 수평판, 상기 수평판에서 상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수직판을 포함하는 연결부재(67)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가이드레일(661)은 상기 연결부재(67)의 수직판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이동수단(66)은 상기 고정부재(65)에 구비되고, 상기 제2블록(662)과 연결되되, 상기 제2가이드레일(661)을 상기 제2블록(662)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구동부(미도시) 또한 제1구동부(미도시)와 마찬가지로 고정부재(65)에 구비되는 제2모터, 제2모터에 체결되어 회전하는 피니언, 상기 피니언과 기어 결합되고 상기 제2가이드레일(661)에 연결되는 래크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제2구동부의 구성은 상기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동수단(66)에 의해 상기 제2가이드레일(661)과 연결되는 베이스(63)가 측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상기 삽입파트(643b)가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경우, 거치부재(4)와 연결되는 충전기(1)가 측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이웃하는 충전기(1) 중 어느 하나(이하 제1충전기)가 하부레일(3)에 거치된 상태로 충전 중인 상황에서, 다른 하나(이하 제2충전기)가 제1충전기를 지나쳐 이동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충전기가 하부레일(3)에 거치된 상태로 차량을 충전하고 있는 경우, 제2충전기가 제1충전기를 지나쳐 하부레일(3)을 따라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이때 이송장치(6)는 탈착결합수단(64)과 상기 탈착결합수단(64)을 측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이동수단(66)을 포함함으로써, 제2충전기를 결합하고, 제2충전기를 측방향 중 일방향(전방)(도 7을 기준으로 평면 방향)에 반대 방향인 후방(도 7을 기준으로 저면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2충전기를 상부레일(5)을 따라 형성된 제1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상부레일(5)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이후에 이송장치(6)는 제2충전기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제2충전기를 하부레일(3)을 따라 형성된 제2영역으로 이동시키고 하부레일(3)상에 거치시킨 후, 제2충전기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정면 상에서 봤을 때 제1충전기가 충전 중인 상태여도 제2충전기가 제1충전기를 지나쳐 제1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시스템은 충전기(1)를 주차장의 대부분의 장소에 이동시킬 수 있어 보다 적은 수의 충전기(1) 만으로 다수의 차량을 충전시킬 수 있고, 주차 공간과 충전 공간이 구분이 필요 없어진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충전기(1)는 필요에 따라 편리하게 증감시킬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도 1,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장치(2)는 탈착결합수단(64)의 제1블록(642)을 이동시키는 탈착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탈착신호는 예시적으로 상기 제1블록(642)을 이동시키는 상기한 제1구동부의 제1모터를 회전시키는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2)는 이동수단(66)의 제2블록(662)을 이동시키는 이동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이동신호는 예시적으로 제2블록(662)을 이동시키는 상기한 제2구동부의 제2모터를 회전시키는 신호일 수 있다.
도 2,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레일(3)은 평면상에서 봤을 때 상기 상부레일(5)을 기준으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주차장(P)에서 이웃하는 주차 공간 사이에 측벽부(W)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레일(3)이 상부레일(5)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이 구비됨으로써, 측벽부(W)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이 구비되는 주차공간에 충전기(1)를 이동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후술하는 설명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이송장치(6)는 회전액츄에이터(69)를 포함하여 상기한 탈착결합수단(64)과 이동수단(66)을 수직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젼액츄에이터(69)(후술하는 도 16 참조)는 후술하는 설명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16을 참조하면, 이송장치(6)는 상기 하우징(61)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부재(65)보다 상측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고정부재(65)와 연결되는 중간판(681), 상기 고정부재(681)와 연결되는 로프(682), 상기 중간판(681)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로프(682)가 감기는 로울러(683), 및 상기 중간판(681)에 연결되고 상기 로울러(683)를 회전시키는 승강구동부(684)를 포함하는 수직이동수단(68)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구동부(684)는 모터일 수 있으며, 상기 로울러(683)는 모터의 샤프트에 축결합 되어 양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1방향과 평행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로울러(683)가 양방향 중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로프(682)가 풀어져 상기 고정부재(65)가 자체의 중량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로프(682)가 상기 일방향에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로프(682)를 감아 고정부재(65)를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고정부재(65)에는 탈착결합수단(64)과 이동수단(66)이 연결되는데, 따라서 탈착결합수단(64)과 이동수단(66)을 승강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레일(5)이 주차장(P) 천장 하부에 배치되어, 상부레일(5)과 하부레일(3)의 이격 거리가 큰 경우에도, 이송장치(6)의 이동수단(66)과 탈착결합수단(64)을 하부레일(3)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승강구동부(684) 또한 상기한 제어장치(3)의 수직이동신호를 수신하여 동작할 수 있다.
도 7 및 도 16을 참조하면, 이송장치(6)는 상기 고정부재(65)에 연결되어 상부로 돌출 구비되는 몸체부(601a)와 상기 몸체부(601a)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돌출 구비되되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는 경사부(601b)를 포함하는 삽입부재(601)를 포함하는 고정수단(60)을 포함할 수 있다.(상기 고정부재(65) 상단에는 합판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합판 상의 상부에 몸체부(601a)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고정수단(60)은 상기 중간판(681)에 형성되되 상기 삽입부재(601)가 관통되는 삽입통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삽입통공(601)에 상기 삽입부재(601)가 관통된 상태에서, 고정부재(65)가 중간판(681)에 고정되어 흔들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보다 안정되게 상기 충전기(1)와 결합하고 충전기(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이동수단(68)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65)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한 삽입부재(601)는 경사부(601b)를 포함하여 삽입통공에 삽입부재(601)가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도 7 및 도 16을 참조하면, 이송장치(6)는 상기 중간판(681)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중간판(681)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중간판(681)과 연결되는 상부판(691), 및 상기 하우징(61)에 구비된 상태로 상기 상부판(691)과 연결되어 상기 상부판(691)을 수직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시키는 회전구동부(692)를 포함하는 회전액츄에이터(69)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회전구동부(692)는 상기 제어장치(6)의 회동신호를 수신하여 양방향으로 회전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샤프트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1기어, 상기 제1기어와 기어 결합되고 상기 상부판(691)에 고정되는 제2기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기어는 수직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회전구동부(692)는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 상기한 구성으로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한 상부판(691)을 회전시킬 수 있는 한 다양한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레일(3)이 상부레일(5)을 중심으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고 하였는데, 이송장치(6)가 회전액츄에이터(69)를 포함하여 탈착결합수단(64)과 이동수단(66) 등을 수직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 상부레일(5)을 중심으로 한 쌍이 구비된 하부레일(3) 모두에 거치된 충전기(1)를 이동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8은 하부레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제1레일, 제2레일, 만곡레일, 코너레일, 연결레일, 도어레일이 설치된 측벽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도 4, 도 8, 및 도 17을 참조하면, 하부레일(3)은 평면상에서 봤을 때 상기 측방향과 직교되는 제1방향과 평행한 길이를 가지는 제1레일(31), 상기 측방향과 평행한 길이를 가지는 제2레일(32), 상기 제1레일(31)과 제2레일(32)을 연결하는 코너레일(33)(도 8의 [A] 참조), 평면상에서 봤을 때 엇갈려 배치되는 한 쌍의 제1레일(31) 또는 한 쌍의 제2레일(32)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레일(34)('S'자 레일)(도 8의 [B] 참조), 상기 제1레일(31)과 상기 제2레일(32)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는 원형레일(35)(도 8의 [C] 참조),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한 쌍의 제1레일(31) 또는 한 쌍의 제2레일(32)을 상호 연결하는 수직레일(36)(도 8의 [D] 참조), 및 수평 방향을 따라 이웃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레일(31) 또는 한 쌍의 제2레일(32)을 연결하되 상측으로 만곡 되게 형성된 만곡레일(37)(도 8의 [E] 참조), 및 이웃하는 한 쌍의 제1레일(31) 또는 이웃하는 한 쌍의 제2레일(32)을 연결하는 도어레일(38)(도 8의 [F] 참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레일(38)은 한 쌍의 제1레일(31)(또는 제2레일(32)) 중 어느 하나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다른 하나와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예시적으로 한 쌍의 제1레일(31)(또는 제2레일(32)) 중 어느 하나와 힌지 회동되도록 결합되어 다른 하나와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측벽부(W)는 제1레일(31)이 설치된 제1측벽부(W31), 제레일(32)이 설치된 제2측벽부(W32), 코너레일(33)이 설치된 코너측벽부(W33), 연결레일(W34)이 설치된 연결측벽부(W34), 원형레일(35)이 설치된 원형측벽부(미도시), 수직레일(36)이 설치된 수직측벽부(미도시), 만곡레일(37)이 설치된 만곡측벽부(W37), 및 도어레일(38)이 설치된 도어측벽부(W38)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레일(5) 또한 제1레일(31), 제2레일(32), 코너레일(33), 연결레일(34), 원형레일(35), 수직레일(36), 만곡레일(37), 도어레일(38) 각각과 상응하는 구성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를 통해 본 시스템은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주차장(P)에 하부레일(3) 및 상부레일(5)을 설치하고 충전기(1) 및 이송장치(6)를 이동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부레일(5)은 제1방향과 평행한 길이를 가지는 제3레일(51)(제1레일(31)과 상응하는 구성), 및 상기 측방향과 평행한 길이를 가지는 제4레일(제2레일과 상응하는 구성)(미도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은 상부레일(5)에 연결되되 상기 상부레일(5)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 배치되는 프레임부재(7)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프레임부재(7)는 제3레일(51) 및 제4레일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부레일(5)이 프레임부재(7)에 지지되도록 하여 상부레일(5)에 구조적 안정성을 부가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프레임부재(7)에 하부레일(3)이 연결된다고 하였는데, 하부레일(3)의 구조적 안정성 또한 부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레임부재(7)는 제1방향과 평행한 한 쌍의 제1프레임, 한 쌍의 제1프레임 단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2프레임을 포함하는 바닥부(71)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71)는 평면상에서 봤을 때 사각형 모양일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재(7)는 한 쌍의 제1프레임에 각각 평행하게 배치되고 한 쌍의 제1프레임보다 사측에 배치되는 제3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제3프레임의 단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4프레임을 포함하는 상면부(7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재(7)는 바닥부(71)와 상면부(73)를 연결하는 다수의 측면프레임을 포함하는 측면부(7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재(7)는 한 쌍의 제2프레임 상부를 연결되되, 평면상에서 봤을 때 한 쌍의 제2프레임 각각의 중간부에 배치되어 상기 충전기(1)의 하부(예시적으로 유선연결부(111)의 케이스)가 지지되는 지지부(7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충전기(1)가 지지부(74)에 지지되어 충전기(1) 자체의 중량에 의해 하부레일(3)이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시스템은 프레임부재(7)는 바닥부(71), 측면부(72), 및 상면부(63)가 형성하는 골격프레임 전단에서 전방으로 돌출 구비되는 한 쌍의 제1돌출프레임(F1), 및 한 쌍의 제1돌출프레임 전단을 연결하는 제1연결프레임(F2)을 포함하는 설치프레임(F)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는 제1돌출프레임(F1)과 제1연결프레임(F2)만 도시되어 있으나, 설치프레임(F)은 상기 골격프레임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돌출 구비되는 한 쌍의 제2돌출프레임, 및 한 쌍의 제2돌출프레임 후단을 연결하는 제2연결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설치프레임(F)은 골격프레임의 높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 구비되어 상부레일(5)과 하부레일(3)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시스템은 설치프레임(F)을 포함하여 상부레일(5) 및 하부레일(3)의 설치를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거치부재(4)는 상기 연결부(41)(연결부(41)는 연결모듈(11) 및 충전모듈(12)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의 하단에 구비되되, 상기 충전기(1)의 하단(케이스의 하단)보다 하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43)는 상기 지지부(74)에 후방 또는 정방에 배치되어, 충전기(1)가 상단을 기준으로 하측이 기울어지는 등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무선연결부(112)에서 케이스(112b)에 수용되어 있던 송신패드(112a)를 주차장(P) 바닥(주차면)에 배치하고, 상기 주차면에 배치된 송신패드(112a)를 다시금 케이스(112b)에 수용되도록 하는 자동배치수단(8)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시스템은 상기 무선연결부(112)의 케이스(112b)에 수용되고 상기 무선연결부(112)의 송신패드(112a)가 연결되는 외함(80), 및 상기 무선연결부(112)의 케이스(112b) 수용공간에 수용된 외함(80)을 상기 주차장(P)의 바닥 상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주차장(P) 바닥 상에 배치된 외함(80)을 상기 수용공간으로 이동시키는 운반수단(81)을 포함하는 자동배치수단(8)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운반수단(81)은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수직 방향의 길이를 가지는 가이드레일(미도시)에 체결되어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는 판부재(812), 상기 무선연결부(112)의 케이스(112b)에 설치되어 상기 판부재(812)를 이동시키는 승강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수단(미도시) 예시적으로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무선연결부(112)의 케이스(112b)에 설치되는 롤러, 상기 롤러에 감기고 단부가 상기 판부재(812)에 연결 고정되는 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승강수단은 제어장치(2)의 신호를 받아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수단(미도시)은 예를 들어 설명한 것이고 상기 판부재(812)를 승강 시킬 수 있는 한 다양한 구성이 롤러와 끈부재를 대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운반수단(81)은 상기 판부재(812)와 외함(80)을 힌지 회동 되도록 상호 결합시키는 경첩(8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첩(813)은 상기 외함(80)과 판부재(812)를 제1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되도록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반수단(81)은 상기 외함(80) 하부 전방에 연결(구비)되는 외부바퀴(814)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배치수단(8)의 각 구성의 배치구조는 도 11에서 [C], [D]를 기준으로 서술하기로 한다. 또한 자동배치수단(8)의 각 구성의 배치구조는 도 11과 같이 케이스(112b)가 전방이 개구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운반수단(81)은 상기 무선연결부(112)의 케이스(112b)의 하부에 구비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후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지지판, 및 상기 바닥판의 전단과 상기 지지판의 상단을 연결하는 경사판을 포함하는 삼각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의 [A]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에 외함(80)이 수용되어 있다. 이때 상기한 승강수단에 의해 상기한 판부재(812)가 하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판부재(812)와 연결된 외함(80)이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한 외부바퀴(814)가 삼각대의 경사판을 따라 도 11의 [B]와 같이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외함(80)은 판부재(812)와 경첩(813)에 의해 힌지 회동하게 되고, 상기한 판부재(812)가 승강수단에 의해 더더욱 하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한 외함(80)은 도 11의 [C]와 같이 주차장(P)의 바닥(주차면)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장치는 운반수단(81)을 포함하는 자동배치수단(8)을 포함함으로써, 이송장치(6)에 연결된 무선연결부(112) 케이스(112b)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송신패드(112a)를 자동으로 주차면 상에 배치할 수 있다.
반대로 승강수단에 의해 판부재(812)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경첩(813)이 펼쳐지면서 외함(80)은 다시 수용공간에 수용된다.
이때 상기한 운반수단(81)에 의해 송신패드(112a)가 바닥 상에 배치하기 전 충전 대상인 차량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이후에 송신패드(112a)가 바닥 상에 배치된 후 차량을 후방으로 이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상기한 번거로움을 해소하고자 자동배치수단(8)은 깊이조절수단(8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3을 참조하면, 깊이조절수단(82)은 상기 외함(80)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송신패드(112a)가 연결되는 바디(821), 상기 바디(821) 하부에 연결되는 내측바퀴(822), 및 상기 내측바퀴(822)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823)(모터)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수단(823)도 상기한 제어장치(2)의 신호를 받아 구동할 수 있다.
상기한 내측바퀴(822)는 외함(80)의 후방판(도 11의 [A] 기준)에 안착된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바디(821)가 외함(80)의 내측에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도 11의 [D] 참조), 주차장(P) 바닥에 안착된 내측바퀴(822)가 일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외함(80)의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도 11의 [C] 참조).
이와 같이, 본 시스템이 깊이조절수단(82)을 포함하는 자동배치수단(8)을 포함하여 차량을 이동시키지 않고도 송신패드(112a)를 차량의 수신패드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1,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자동배치수단(8)은 상기 바디(821) 상부에 배치되되 상부에 상기 송신패드(112a)가 연결되는 회전판(831), 바디(821)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한 제어장치(2)의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회동구동부(835)(회전모터), 상기 회동구동부(835)에 연결되어 수직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회전부재(832), 양단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회전부재(832)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가 상기 회전판(831)에 연결되는 제1스틱(833), 양단부 중 어느 하나가 회전부재(832)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가 회전판(831)에 연결되는 제2스틱(834)을 포함하는 회전수단(8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스틱(833)과 제2스틱(834)은 평면상에서 봤을 때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1스틱(833)과 제2스틱(834)은 회전부재(832)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대향되는 위치에 회전부재(832)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부재(832)가 회동구동부(835)의 샤프트가 회전함에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1스틱(833) 및 제2스틱(834) 중 어느 하나가 전방 측으로 이동하고 제1스틱(833)과 제2스틱(834) 중 다른 하나가 후방 측으로 이동하면서 회전판(831)이 바디(821)에 대하여 수직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도 11의 [E] 참조).
즉, 회전부재(832)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판(831)이 회전하게 되고, 회전판(831)에 연결된 송신패드(112a)가 회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시스템이 회전수단(83)을 포함하는 자동배치수단(8)을 포함함으로써, 송신패드(112a)를 수직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을 이동시키지 않고도 차량에 구비된 수신패드의 배치 상태에 따라 송신패드(112a)를 수신패드에 정렬할 수 있으며, 특히 송신패드(112a)의 폭을 수신패드의 폭보다 크도록(송신코일의 외경이 수신코일의 외경보다 크도록) 송신패드(112a)를 배치할 수 있어 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1 및 도 15를 참조하면, 자동배치수단(8)은 상기 회전판(831) 상에 구비되고 측방향과 평행한의 길이를 가지는 LM 가이드(841), 상기 송신패드(112a)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LM 가이드(841)와 체결되어 이동되는 블록(842), 상기 회전판(831)에 구비(연결)되고 상기 제어장치(2)의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정렬구동부(843), 양단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정렬구동부(843)(예시적으로 모터)의 샤프트와 축결합 되어 양단부 중 다른 하나가 양단부 중 어느 하나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크랭크(844)(Crank), 및 양단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크랭크(844)와 조인트 결합되고 다른 하나가 상기 송신패드(112a)와 연결되는 연결링크(854)(Connecting Link)를 포함하는 정렬수단(84)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정렬구동부(843)에 의해 상키 크랭크(844)는 양단부 중 다른 하나가 정렬구동부(843)에 연결된 어느 하나를 중심으로 회동(수직 방향을 중심축으로 회동)할 수 있고, 상기 크랭크(844)의 단부와 연결되는 연결링크(845)가 크랭크(844)와 연결되는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수직 방향을 중심축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연결링크(845)의 단부와 연결된 송신패드(112a)가 LM 가이드(8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크랭크-슬라이드 기구)할 수 있다.
따라서 깊이조절수단(82)에 의해 송신패드(112a)가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도 송신패드(112a)를 전후방으로 더 이동시킬 수 있다.
더하여 상술하였듯이 LM 가이드(841)구비되는 회전판(831)이 수직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고 하였는데, 회전판(831)에 구비되거나 연결되는 정렬수단(84)도 수직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따라서 회전판(831)이 회전된 상태에서는 송신패드(831)를 바디(821)의 이동 방향과 평면 상에서 봤을 때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을 이동시키지 않고도 수신패드와 정렬되도록 송신패드(831)를 이동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방법(이하 '본 방법'이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방법은 상술한 본 시스템를 이용한 충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시스템과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기술적 특징을 포함하므로, 앞서 살핀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방법은 연결모듈 이동단계(S10), 충전모듈 이동단계(S20), 연결단계(S30), 및 충전단계(S40)를 포함한다.
연결모듈 이동단계(S10)는 상기 연결모듈(11)과 상기 이송장치(6)를 결합시키고, 상기 이송장치(6)를 통해 상기 연결모듈(11)을 상기 상부레일(5)을 따라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충전모듈 이동단계(S20)는 상기 충전모듈(12)과 상기 이송장치(6)를 결합시키고, 상기 이송장치(6)를 통해 상기 충전모듈(12)을 상기 상부레일(5)을 따라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연결단계(S30)는 상기 연결모듈(11)과 상기 충전모듈(12)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단계이다.
충전단계(S40)는 상기 연결모듈(11)과 차량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전기를 차량에 공급하는 단계이다.
본 방법은 (S30) 단계 이전에, 상기 이송장치(6)를 통해 상기 충전기(1)를 상기 상부레일을 따라 형성된 제1영역에서, 상기 하부레일(3)을 따라 형성된 제2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측방향 이동단계(S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영역은 한 쌍의 하부레일(3) 중 어느 하나를 따라 형성된 제2-1영역, 및 한 쌍의 하부레일(3) 중 다른 하나를 따라 형성된 제2-2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S25) 단계는, 상기 이송장치(6)를 통해 상기 충전기(1)를 상기 제2-1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단계(S251), 및 상기 이송장치(6)를 통해 상기 충전기(1)를 상기 제2-2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단계(S2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충전기: 1 연결모듈: 11
유선연결부: 111 무선연결부: 112
송신패드: 112a 충전모듈: 12
완속충전부: 121 급속충전부: 122
제어장치: 2 하부레일: 3
거치부재: 4 연결부: 41
안착판: 42 돌출부: 43
걸림부: 44 다리: 441
브릿지: 442 상부레일: 5
이송장치: 6 하우징: 61
이송수단: 62 이동바퀴: 621
베이스: 63 탈착결합수단: 64
제1가이드레일: 641 제1블록: 642
걸림판: 643 고정부재: 65
이동수단: 66 제2가이드레일: 661
제2블록: 662 연결부재: 67
수직이동수단: 68 중간판: 681
로프: 682 로울러: 683
승강구동부: 684 회전액츄에이터: 69
상부판: 691 회전구동부: 692
고정수단: 60 삽입부재: 601
몸체부: 601a 경사부: 601b
프레임부재: 7 바닥부: 71
지지부: 74 자동배치수단: 8
외함: 80 운반수단: 81
판부재: 812 경첩: 813
외부바퀴: 814 깊이조절수단: 82
바디: 821 내측바퀴: 822
구동수단: 823 회전판: 831
회전부재: 832 제1스틱: 833
제2스틱: 834 회동구동부: 835
정렬수단: 84 LM 가이드: 841
블록: 842 정렬구동부: 843
크랭크: 844 연결링크: 845
측벽부: W 주차장: P

Claims (22)

  1. 차량의 인렛(inlet)에 접속되는 유선연결부 또는 차량에 설치된 수신패드에 무선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무선연결부를 포함하는 연결모듈, 및 상기 연결모듈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전기를 완속으로 공급하는 완속충전부 또는 상기 연결모듈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전기를 급속으로 공급하는 급속충전부를 포함하는 충전모듈을 포함하는 충전기;
    를 포함하고,
    주차장에 설치되는 하부레일; 및
    상기 충전기에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고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안착판을 포함하는 거치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충전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속충전부 또는 상기 급속충전부의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완속충전부 또는 상기 급속충전부의 전기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공급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충전 시스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주차장에 설치되되 상기 하부레일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레일; 및
    상기 거치부재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송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충전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안착판의 상부 전방과 상부 후방 각각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다리, 및 한 쌍의 다리 상부를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장치는,
    이송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하우징의 하부에 연결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 하부에 구비되되 평면상에서 봤을 때 상기 측방향에 직교되는 제1방향의 길이를 가지는 제1가이드레일, 상기 제1가이드레일에 체결되어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제1블록, 및 상기 제1블록에 연결되고 단부가 상기 한 쌍의 다리와 상기 브릿지가 형성하는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걸림판을 포함하는 탈착결합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충전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걸림판은,
    상기 제1블록의 하부에 연결되되 상기 삽입공간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연결파트, 및 상기 연결파트에서 일 측 또는 타 측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삽입공간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삽입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충전 시스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는,
    이송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하우징의 하부에 연결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부재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 상부에 연결되되 상기 측방향과 평행한 길이를 가지는 제2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2가이드레일과 체결되고 상기 고정부재와 연결되는 제2블록을 포함하는 이동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충전 시스템.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부레일은,
    평면상에서 봤을 때 상기 하부레일과 엇갈려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충전 시스템.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부레일은,
    평면상에서 봤을 때 상기 상부레일을 기준으로 한 쌍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충전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레일은,
    평면상에서 봤을 때 상기 측방향과 직교되는 제1방향과 평행한 길이를 가지는 제1레일, 상기 측방향과 평행한 길이를 가지는 제2레일, 상기 제1레일과 상기 제2레일을 연결하는 코너레일, 평면상에서 봤을 때 엇갈려 배치되는 한 쌍의 제1레일 또는 한 쌍의 제2레일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레일, 상기 제1레일과 상기 제2레일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는 원형레일,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한 쌍의 제1레일 또는 한 쌍의 제2레일을 상호 연결하는 수직레일, 수평 방향을 따라 이웃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레일 또는 한 쌍의 제2레일을 연결되되 상측으로 만곡 되게 형성된 만곡레일, 및 이웃하는 한 쌍의 제1레일 또는 이웃하는 한 쌍의 제2레일을 연결하는 도어레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충전 시스템.
  11.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부레일에 연결되되, 상기 상부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 배치되는 프레임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충전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는,
    평면상에서 봤을 때 상기 측방향과 제1방향과 평행한 한 쌍의 제1프레임, 한 쌍의 제1프레임의 단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2프레임을 포함하는 바닥부; 및
    한 쌍의 제2프레임 상부를 연결하되, 한 쌍의 제2프레임 각각의 중간부에 배치되는 지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충전 시스템.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연결부의 하단에 구비되되, 상기 충전기의 하단보다 하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충전 시스템.
  1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탈착결합수단의 제1블록을 이동시키는 탈착신호, 이동수단의 제2블록을 이동시키는 이동신호, 이송수단을 구동시키는 이송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충전 시스템.
  15.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부재보다 상측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고정부재와 연결되는 중간판,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되는 로프, 상기 중간판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로프가 감기는 로울러 및 상기 중간판에 연결되고 상기 로울러는 회전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는 수직이동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충전 시스템.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되어 상부로 돌출 구비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돌출 구비되되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삽입부재, 및 상기 중간판에 형성되되 상기 삽입부재가 관통되는 삽입통공을 포함하는 고정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충전 시스템.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중간판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중간판과 연결되는 상부판,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상태로 상기 상부판과 연결되어 상기 상부판을 수직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하는 회전액츄에이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충전 시스템.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연결부의 케이스에 수용되고 상기 무선연결부의 송신패드가 연결되는 외함, 및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외함을 상기 주차장의 바닥 상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주차장 바닥 상에 배치된 외함을 상기 수용공간으로 이동시키는 운반수단을 포함하는 자동배치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충전 시스템.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운반수단은,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수직 방향의 길이를 가지는 가이드레일에 체결되어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는 판부재;
    상기 무선연결부의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판부재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수단;
    상기 판부재와 상기 외함을 힌지 회동 되도록 결합시키는 경첩;
    상기 외함의 하부 전방에 연결되는 외부바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충전 시스템.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자동배치수단은,
    상기 외함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송신패드가 연결되는 바디, 상기 바디 하부에 연결되는 내측바퀴, 및 상기 내측바퀴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깊이조절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충전 시스템.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자동배치수단은,
    상기 바디 상부에 배치되되 상부에 상기 송신패드가 연결되는 회전판, 상기 바디 구비되는 회전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부재, 양단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회전부재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가 상기 회전판에 연결되는 제1스틱, 및 양단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회전부재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가 상기 회전판에 연결되되, 평면상에서 봤을 때 상기 제1스틱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스틱을 포함하는 회전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충전 시스템.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자동배치수단은,
    상기 회전판 상에 구비되는 LM가이드, 상기 송신패드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LM가이드와 체결되어 이동되는 블록, 상기 회전판 상에 구비되는 정렬구동부, 양단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정렬구동부에 연결되는 크랭크, 및 양단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크랭크와 조인트 결합되고, 다른 하나가 상기 송신패드에 연결되는 연결링크(Connecting Link)를 포함하는 정렬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충전 시스템.
KR1020220048182A 2022-04-19 2022-04-19 주차장 충전 시스템 KR102471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182A KR102471730B1 (ko) 2022-04-19 2022-04-19 주차장 충전 시스템
KR1020220154788A KR102586598B1 (ko) 2022-04-19 2022-11-17 주차장 충전 시스템
PCT/KR2023/003820 WO2023204459A1 (ko) 2022-04-19 2023-03-22 주차장 충전 시스템
KR1020230127752A KR20230149269A (ko) 2022-04-19 2023-09-25 주차장 충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182A KR102471730B1 (ko) 2022-04-19 2022-04-19 주차장 충전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4788A Division KR102586598B1 (ko) 2022-04-19 2022-11-17 주차장 충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1730B1 true KR102471730B1 (ko) 2022-11-28

Family

ID=8423702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8182A KR102471730B1 (ko) 2022-04-19 2022-04-19 주차장 충전 시스템
KR1020220154788A KR102586598B1 (ko) 2022-04-19 2022-11-17 주차장 충전 시스템
KR1020230127752A KR20230149269A (ko) 2022-04-19 2023-09-25 주차장 충전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4788A KR102586598B1 (ko) 2022-04-19 2022-11-17 주차장 충전 시스템
KR1020230127752A KR20230149269A (ko) 2022-04-19 2023-09-25 주차장 충전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3) KR102471730B1 (ko)
WO (1) WO202320445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04459A1 (ko) * 2022-04-19 2023-10-26 장문정 주차장 충전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4074A (ko) * 2011-04-06 2012-10-16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전기차 충전시스템
KR20130070976A (ko) * 2011-12-20 2013-06-28 (주)클릭앤터치 이동 가능한 충전 장치와 연동한 전기 자동차 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18148A (ko) * 2016-08-12 2018-02-21 (주)그린파워 전기 자동차용 유무선 겸용 충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8971A (ko) * 2017-03-24 2018-10-05 한국토지주택공사 IoT 콘센트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방법
KR102471730B1 (ko) * 2022-04-19 2022-11-28 장문정 주차장 충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4074A (ko) * 2011-04-06 2012-10-16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전기차 충전시스템
KR20130070976A (ko) * 2011-12-20 2013-06-28 (주)클릭앤터치 이동 가능한 충전 장치와 연동한 전기 자동차 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18148A (ko) * 2016-08-12 2018-02-21 (주)그린파워 전기 자동차용 유무선 겸용 충전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04459A1 (ko) * 2022-04-19 2023-10-26 장문정 주차장 충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6598B1 (ko) 2023-10-06
WO2023204459A1 (ko) 2023-10-26
KR20230149269A (ko) 2023-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25669B2 (ja) 駐車装置
CN107399302B (zh) 充换电站及换电方法
JP5412016B2 (ja) 駐車装置
JP4703716B2 (ja) 駐車装置
KR102471730B1 (ko) 주차장 충전 시스템
JP5366717B2 (ja) 駐車装置
JP2908940B2 (ja) 充電装置を具えた機械式駐車装置
WO2010131615A1 (ja) 駐車装置
JP2012237113A (ja) 機械式立体駐車場の充電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機械式立体駐車場
CN105332533B (zh) 一种可充电的机械式立体车库
JP5667812B2 (ja) 駐車装置
JP2011149209A (ja) 駐車装置
JP2014224414A (ja) パレットと駐車空間
JP2012233366A (ja) 駐車装置
CN115556620A (zh) 模块化的换电装置
JP2014227657A (ja) パレットと駐車空間
KR102012407B1 (ko) 수직 순환형 주차장치
CN215663040U (zh) 换电站
JP5639410B2 (ja) 駐車装置
CN207436606U (zh) 一种具有无线充电功能的立体停车库
KR102359668B1 (ko) 무인 충전/주차 시스템
CN209803252U (zh) 测试台车及测试系统
JP6995677B2 (ja) 機械式駐車装置
JP2010261256A (ja) 駐車装置
CN217730259U (zh) 一种可拓展的集成换电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