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1564B1 - 적층체의 박리 장치 및 박리 방법, 그리고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적층체의 박리 장치 및 박리 방법, 그리고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1564B1
KR102471564B1 KR1020150097079A KR20150097079A KR102471564B1 KR 102471564 B1 KR102471564 B1 KR 102471564B1 KR 1020150097079 A KR1020150097079 A KR 1020150097079A KR 20150097079 A KR20150097079 A KR 20150097079A KR 102471564 B1 KR102471564 B1 KR 102471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eling
substrate
laminate
interface
co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7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7399A (ko
Inventor
야스노리 이토
히로시 우츠기
게이 다키우치
Original Assignee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07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7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3/00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layered product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repairing; Apparatus therefor
    • B32B43/006Delamin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92Apparatus for mechanic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0Removing layers, or parts of layers, mechanically or chem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1/00Machines for separating superposed we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7806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involving the separation of the active layers from a substrate
    • H01L21/7813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involving the separation of the active layers from a substrate leaving a reusable substrate, e.g. epitaxial lift o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기판과 제2 기판이 박리 가능하게 부착된 직사각형 적층체에 대하여, 상기 적층체의 코너부에 구비된 코너 컷부로부터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의 계면에 날끝이 소정량 자입되어, 상기 계면에 박리 개시부를 작성하는 박리 칼과, 상기 박리 개시부를 기점으로 하여 상기 계면에서 순차 박리하는 박리부를 갖고, 상기 박리 칼의 상기 날끝은, 상기 코너 컷부의 양단부의 둔각 코너부 중 한쪽 둔각 코너부에 점접촉으로 접촉된 후 상기 계면에 자입되는, 적층체의 박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적층체의 박리 장치 및 박리 방법, 그리고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PEELING APPARATUS AND PEELING METHOD FOR LAMINAT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적층체의 박리 장치 및 박리 방법, 그리고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 패널, 태양 전지, 박막 2차 전지 등의 전자 디바이스의 박형화, 경량화에 수반하여, 이들 전자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유리판, 수지판, 금속판 등의 기판(제1 기판)의 박판화가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기판의 두께가 얇아지면 기판의 핸들링성이 악화되기 때문에, 기판의 표면에 전자 디바이스용 기능층(박막 트랜지스터(TFT: Thin Film Transistor), 컬러 필터(CF: Color Filter))을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기판의 이면에 보강판(제2 기판)을 부착하여, 기판을 보강판에 의해 보강한 적층체를 구성하고, 적층체의 상태로 기판의 표면에 기능층을 형성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 제조 방법에서는 기판의 핸들링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기판의 표면에 기능층을 양호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보강판은 기능층의 형성 후에 기판으로부터 박리된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보강판의 박리 방법은, 직사각형 적층체의 대각선 상에 위치하는 2개의 코너부 중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을 향하여 보강판 또는 기판, 또는 그 양쪽을 서로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휨 변형시킴으로써 행해진다. 이때, 박리가 원활하게 행해지기 위하여 적층체의 한쪽 코너부에 박리 개시부가 작성된다. 박리 개시부는, 적층체의 한쪽 코너부로부터 기판과 보강판의 계면에 박리 칼의 날끝을 소정량 자입(刺入)함으로써 작성된다.
그런데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의 FPD(Flat Panel Display)용 유리 기판에는,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4군데의 코너부에 코너 컷부를 구비한 기판이 사용된다. 적층체에 사용되는 기판 및 보강판에 대해서도 코너부에 코너 컷부가 마찬가지로 구비되고, 이것에 의하여 적층체의 코너부에 코너 컷부가 구비된다.
코너 컷부는, 지석에 의하여 코너부를 테이퍼형으로 모따기 가공함으로써 작성된다. 코너 컷부는 적층체의 모델 넘버를 나타내는 것이며, 그 모따기양, 모따기 각도가 모델 넘버마다 상이하다. 예를 들어 모따기 각도가 45°, 21.8°, 18.4°로 설정된 코너 컷부가 유통되고 있다.
도 17은, 모따기 각도 θ가 45°인 코너 컷부(100)를 갖는 적층체(102), 및 코너 컷부(100)에 대향 배치된 박리 칼(104)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하는 45°의 코너 컷부(100)는, 적층체(102)의 코너부(코너 컷부(100)가 없다고 했을 경우의 가상 코너부)(106)를 꼭지각으로 하는 한쪽 변부(108)의 a 부분 및 다른 쪽 변부(110)의 b 부분을 각각 1㎜, 1.5㎜, 3㎜ 또는 5㎜만큼 삼각형으로 모따기 가공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21.8°의 코너 컷부는, a 부분을 5㎜, b 부분을 2㎜만큼 삼각형으로 모따기 가공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18.4°의 코너 컷부는, a 부분을 3㎜, b 부분을 1㎜만큼 삼각형으로 모따기 가공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따기 각도 θ란, 적층체(102)의 코너부(106)를 꼭지각으로 하는 한쪽 변부(108)와 코너 컷부(100)의 변 E가 이루는 각도를 말하며, 모따기양이란, a 부분, b 부분의 길이를 말한다.
국제 공개 제2011/024689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11-207739호
적층체(102)에 박리 개시부를 작성하는 경우에는, 코너 컷부(100)로부터 적층체(102)의 계면(도시하지 않음)에 박리 칼(104)의 날끝(105)을 자입한다. 이때, 코너 컷부(100)의 변 E와 날끝(105)의 날끝선 L이 동일면 상에 있고, 또한 변 E와 날끝선 L이 평행인 형태는, 즉, 선(변 E)과 선(날끝선 L)을 맞대어 날끝(105)을 계면에 자입하는 형태는, 선(변 E)과 선(날끝선 L)의 수평 레벨(높이 위치)을 정확히 맞추는 것이 곤란하므로, 날끝(105)을 계면에 자입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코너 컷부가 구비된 적층체여도 그 코너 컷부의 계면에 박리 칼의 날끝을 확실히 자입할 수 있는, 적층체의 박리 장치 및 박리 방법, 그리고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층체 박리 장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1 기판과 제2 기판이 박리 가능하게 부착된 직사각형 적층체에 대하여, 상기 적층체의 코너부에 구비된 코너 컷부로부터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의 계면에 날끝이 소정량 자입되어, 상기 계면에 박리 개시부를 작성하는 박리 칼과, 상기 박리 개시부를 기점으로 하여 상기 계면에서 순차 박리하는 박리부를 갖고, 상기 박리 칼의 상기 날끝은, 상기 코너 컷부의 양단부의 둔각 코너부 중 한쪽 둔각 코너부에 점접촉으로 접촉된 후 상기 계면에 자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층체 박리 방법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1 기판과 제2 기판이 박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직사각형 적층체에 대하여,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의 계면에서 박리하는, 적층체의 박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코너부에 구비된 코너 컷부로부터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의 계면에 박리 칼의 날끝을 소정량 자입하여, 상기 계면에 박리 개시부를 작성하는 박리 개시부 작성 공정과, 상기 박리 개시부를 기점으로 하여 상기 계면에서 박리하는 박리 공정을 갖고, 상기 박리 개시부 작성 공정에 있어서, 상기 박리 칼의 상기 날끝은, 상기 코너 컷부의 양단부의 둔각 코너부 중 한쪽 둔각 코너부에 점접촉으로 접촉된 후 상기 계면에 자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1 기판과 제2 기판이 박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직사각형 적층체에 대하여, 상기 제1 기판의 노출면에 기능층을 형성하는 기능층 형성 공정과, 상기 기능층이 형성된 상기 제1 기판으로부터 상기 제2 기판을 분리하는 분리 공정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리 공정은, 상기 적층체의 코너부에 구비된 코너 컷부로부터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의 계면에 박리 칼의 날끝을 소정량 자입하여, 상기 계면에 박리 개시부를 작성하는 박리 개시부 작성 공정과, 상기 박리 개시부를 기점으로 하여 상기 계면에서 박리하는 박리 공정을 갖고, 상기 박리 개시부 작성 공정에 있어서, 상기 박리 칼의 상기 날끝은, 상기 코너 컷부의 양단부의 둔각 코너부 중 한쪽 둔각 코너부에 점접촉으로 접촉된 후 상기 계면에 자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박리 개시부 작성 공정에 있어서, 박리 칼의 날끝을 코너 컷부의 양단부의 둔각 코너부 중 한쪽 둔각 코너부에 점접촉으로 접촉시키고, 그 후,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계면에 날끝을 자입한다. 이것에 의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선과 선의 레벨 맞춤으로부터 점(둔각 코너부)과 점(날끝)의 레벨 맞춤으로 되므로, 레벨 맞춤이 용이해진다. 따라서 박리 칼의 날끝을 코너 컷부의 계면에 확실히 자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따기 각도가 45°, 21.8° 또는 18.4°인 상기 코너 컷부를 구비한 상기 적층체에 대하여, 상기 적층체의 어느 한쪽 변과 상기 박리 칼의 날끝선이 이루는 각도가, 동일면 상에 있어서 23° 이상 44° 이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러한 형태에 의하면, 유통되고 있는 45°, 21.8° 또는 18.4°의 코너 컷부를 갖는 적층체에 있어서, 적층체의 어느 한쪽 변과 박리 칼의 날끝선이 이루는 각도를, 동일면 상에 있어서 23° 이상 44° 이하로 설정한다. 이것에 의하여, 점(둔각 코너부)과 점(날끝)의 레벨 맞춤으로 되므로, 박리 칼의 날끝을 코너 컷부의 계면에 확실히 자입할 수 있다. 또한 코너 컷부의 가공 정밀도를 고려하면, 24° 이상 4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루는 각도를, 동일면 상에 있어서 1° 이상 21° 이하로 설정했을 경우에도 점과 점의 레벨 맞춤으로 되지만, 상기 이루는 각도가 작기 때문에 박리 개시부의 형상이 가늘고 길어져, 박리 기점으로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박리 기점으로서 바람직한 박리 개시부의 형상은 직각이등변삼각형이며, 상기 23° 이상 44° 이하의 경우에는 박리 개시부의 형상을 직각이등변삼각형에 근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적층체의 박리 장치 및 박리 방법, 그리고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코너 컷부가 구비된 적층체여도 그 코너 컷부의 계면에 박리 칼의 날끝을 확실히 자입할 수 있다.
도 1은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 공정에 제공되는 적층체의 일례를 도시하는 요부 확대 측면도이다.
도 2는 LCD(액정 디스플레이)의 제조 공정의 도중에 제작되는 적층체의 일례를 도시하는 요부 확대 측면도이다.
도 3의 (A) 내지 (E)는 박리 개시부 작성 장치에 의한 박리 개시부 작성 방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4는 박리 개시부 작성 방법에 의하여 박리 개시부가 작성된 적층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박리 개시부 작성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박리 개시부 작성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의 박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박리 유닛에 대한 가동체의 배치 위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가요성 판의 평면도이다.
도 9의 (A) 내지 (C)는 박리 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0은 적층체의 계면에서 박리하고 있는 박리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11의 (A) 내지 (C)는 박리 개시부 작성 방법에 의하여 박리 개시부가 작성된 적층체의 보강판을 박리하는 박리 방법을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2의 (A) 내지 (C)는 도 11의 (A) 내지 (C)에 이어서 적층체의 보강판을 박리하는 박리 방법을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3은 코너 컷부의 코너부에 나이프의 날끝이 접촉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의 (A) 내지 (E)는 적층체의 변과 나이프의 날끝선이 이루는 각도를 23° 이상 44° 이하로 설정하는 것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5는 적층체의 변과 나이프의 날끝선이 이루는 각도를 1° 이상 21° 이하로 설정했을 경우의 박리 개시부의 형상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6은 적층체의 변과 나이프의 날끝선이 이루는 각도를 23° 이상 44° 이하로 설정했을 경우의 박리 개시부의 형상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7은 45°의 코너 컷부를 갖는 적층체 및 박리 칼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의 박리 장치 및 박리 방법을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 공정에서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자 디바이스란, 표시 패널, 태양 전지, 박막 2차 전지 등의 전자 부품을 말한다. 표시 패널로서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및 유기 EL 디스플레이(OELD: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패널을 예시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 공정〕
전자 디바이스는, 유리제, 수지제, 금속제 등의 기판의 표면에 전자 디바이스용 기능층(LCD라면 박막 트랜지스터(TFT), 컬러 필터(CF))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된다.
상기 기판은, 기능층의 형성 전에 그 이면이 보강판에 부착되어 적층체로 구성된다. 그 후, 적층체의 상태에서 기판의 표면에 기능층이 형성된다. 그리고 기능층의 형성 후, 보강판이 기판으로부터 박리된다.
즉,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 공정에는, 적층체의 상태에서 기판의 표면에 기능층을 형성하는 기능층 형성 공정, 및 기능층이 형성된 기판으로부터 보강판을 분리하는 분리 공정이 구비된다. 이 분리 공정에,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의 박리 장치 및 박리 방법이 적용된다.
〔적층체(1)〕
도 1은, 적층체(1)의 일례를 도시한 요부 확대 측면도이다.
적층체(1)는, 기능층이 형성되는 기판(제1 기판)(2)과, 그 기판(2)을 보강하는 보강판(제2 기판)(3)을 구비한다. 또한 보강판(3)은, 표면(3a)에 흡착층으로서의 수지층(4)이 구비되고, 수지층(4)에 기판(2)의 이면(2b)이 부착된다. 즉, 기판(2)은, 수지층(4)과의 사이에 작용하는 반데르발스 힘, 또는 수지층(4)의 점착력에 의하여, 보강판(3)에 수지층(4)을 개재하여 박리 가능하게 부착된다.
[기판(2)]
기판(2)은, 그 표면(노출면)(2a)에 기능층이 형성된다. 기판(2)으로서는 유리 기판, 세라믹스 기판, 수지 기판, 금속 기판, 반도체 기판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기판 중에서도 유리 기판은, 내약품성, 내투습성이 우수하고, 또한 선팽창 계수가 작으므로, 전자 디바이스용 기판(2)으로서 적합하다. 또한 선팽창 계수가 작아짐에 따라, 고온 하에서 형성되는 기능층의 패턴이 냉각 시에 어긋나기 어려워진다는 이점도 있다.
유리 기판의 유리로서는, 무알칼리 유리, 붕규산 유리, 소다 석회 유리, 고(高)실리카 유리, 그 외의 산화규소를 주된 성분으로 하는 산화물계 유리를 예시할 수 있다. 산화물계 유리로서는, 산화물 환산에 의한 산화규소의 함유량이 40 내지 90질량%인 유리가 바람직하다.
유리 기판의 유리는, 제조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종류에 적합한 유리, 그 제조 공정에 적합한 유리를 선택하여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액정 패널용 유리 기판에는, 알칼리 금속 성분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유리(무알칼리 유리)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판(2)의 두께는 기판(2)의 종류에 따라 설정된다. 예를 들어 기판(2)에 유리 기판을 채용하는 경우, 그 두께는 전자 디바이스의 경량화, 박판화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0.7㎜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이하로 설정된다. 두께가 0.3㎜ 이하인 경우, 유리 기판에 양호한 가요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두께가 0.1㎜ 이하인 경우, 유리 기판을 롤형으로 권취할 수 있지만, 유리 기판의 제조 관점 및 유리 기판의 취급 관점에서, 그 두께는 0.0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에서는 기판(2)이 1매의 기판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기판(2)은 복수 매의 기판으로 구성된 것이어도 된다. 즉, 기판(2)은 복수 매의 기판을 적층한 적층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기판(2)을 구성하는 모든 기판의 합계의 두께가 기판(2)의 두께로 된다.
[보강판(3)]
보강판(3)으로서는 유리 기판, 세라믹스 기판, 수지 기판, 금속 기판, 반도체 기판을 예시할 수 있다.
보강판(3)의 두께는 0.7㎜ 이하로 설정되며, 보강하는 기판(2)의 종류, 두께 등에 따라 설정된다. 또한 보강판(3)의 두께는 기판(2)보다도 두꺼워도 되고, 얇아도 되지만, 기판(2)을 보강하기 위하여 0.4㎜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예에서는 보강판(3)이 1매의 기판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보강판(3)은, 복수 매의 기판을 적층한 적층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보강판(3)을 구성하는 모든 기판의 합계의 두께가 보강판(3)의 두께로 된다.
[수지층(4)]
수지층(4)은, 수지층(4)과 보강판(3) 사이에서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판(3)과의 사이의 결합력이 기판(2)과의 사이의 결합력보다도 높게 설정된다. 이것에 의하여 박리 공정에서는, 수지층(4)과 기판(2)의 계면에서 박리된다.
수지층(4)을 구성하는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아크릴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실리콘 수지, 폴리이미드실리콘 수지를 예시할 수 있다. 몇 가지 종류의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 중에서도 내열성이나 박리성의 관점에서, 실리콘 수지, 폴리이미드 실리콘 수지가 바람직하다.
수지층(4)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로 설정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20㎛로 설정된다. 수지층(4)의 두께를 1㎛ 이상으로 함으로써, 수지층(4)과 기판(2) 사이에 기포나 이물이 혼입되었을 때, 수지층(4)의 변형에 의하여 기포나 이물의 두께를 흡수할 수 있다. 한편, 수지층(4)의 두께를 50㎛ 이하로 함으로써, 수지층(4)의 형성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또한 수지층(4)의 수지를 필요 이상으로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경제적이다.
또한, 수지층(4)의 외형은, 보강판(3)이 수지층(4)의 전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보강판(3)의 외형과 동일하거나, 보강판(3)의 외형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층(4)의 외형은, 수지층(4)이 기판(2) 전체를 밀착할 수 있도록 기판(2)의 외형과 동일하거나, 기판(2)의 외형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에서는 수지층(4)이 1층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수지층(4)은 2층 이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지층(4)을 구성하는 모든 층의 합계의 두께가 수지층(4)의 두께로 된다. 또한 이 경우, 각 층을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는 상이해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흡착층으로서 유기막인 수지층(4)을 사용했지만, 수지층(4) 대신 무기층을 사용해도 된다. 무기층을 구성하는 무기막은, 예를 들어 메탈 실리사이드, 질화물, 탄화물 및 탄질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한다.
또한, 도 1의 적층체(1)는 흡착층으로서 수지층(4)을 구비하고 있지만, 수지층(4)을 없애고 기판(2)과 보강판(3)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기판(2)과 보강판(3) 사이에 작용하는 반데르발스 힘 등에 의하여, 기판(2)과 보강판(3)이 박리 가능하게 부착된다. 또한 기판(2)과 보강판(3)이 유리 기판인 경우에는, 유리 기판인 기판(2)과 유리판인 보강판(3)이 고온에서 접착되지 않도록 보강판(3)의 표면(3a)에 무기 박막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층이 형성된 실시 형태의 적층체(6)〕
기능층 형성 공정을 거침으로써 적층체(1)의 기판(2)의 표면(2a)에는 기능층이 형성된다. 기능층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CVD(Chemical Vapor Deposition)법, PVD(Physical Vapor Deposition)법 등의 증착법, 스퍼터법이 사용된다. 기능층은 포토리소그래피법, 에칭법에 의하여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된다.
도 2는, LCD의 제조 공정 도중에 제작되는 직사각형 적층체(6)의 일례를 도시한 요부 확대 측면도이다.
적층체(6)는, 보강판(3A), 수지층(4A), 기판(2A), 기능층(7), 기판(2B), 수지층(4B) 및 보강판(3B)이 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구성된다. 즉, 도 2의 적층체(6)는, 도 1에 도시한 적층체(1)가 기능층(7)을 사이에 끼우고 대칭으로 배치된 적층체에 상당한다. 이하, 기판(2A), 수지층(4A) 및 보강판(3A)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제1 적층체(1A)라고 칭하고, 기판(2B), 수지층(4B) 및 보강판(3B)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제2 적층체(1B)라고 칭한다.
제1 적층체(1A)의 기판(2A)의 표면(2Aa)에는 기능층(7)으로서의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형성되고, 제2 적층체(1B)의 기판(2B)의 표면(2Ba)에는 기능층(7)으로서의 컬러 필터(CF)이 형성된다.
제1 적층체(1A)와 제2 적층체(1B)는 서로 기판(2A, 2B)의 표면(2Aa, 2Ba)이 중첩되어 일체화된다. 이것에 의하여, 기능층(7)을 사이에 끼우고 제1 적층체(1A)와 제2 적층체(1B)가 대칭으로 배치된 구조의 적층체(6)가 제조된다.
적층체(6)는, 분리 공정의 박리 개시부 작성 공정에서 나이프(박리 칼)의 날끝에 의하여 박리 개시부가 그 계면에 형성된 후, 분리 공정의 박리 공정에서 보강판(3A, 3B)이 순차 박리되고, 그 후, 편광판, 백라이트 등이 설치되어, 제품인 LCD가 제조된다.
〔박리 개시부 작성 장치(10)〕
도 3의 (A) 내지 (E)는, 박리 개시부 작성 공정에서 사용되는 박리 개시부 작성 장치(10)의 요부 구성 및 박리 개시부 작성 장치(10)에 의한 박리 개시부 작성 방법을 도시한 설명도이며, 도 3의 (A)는, 적층체(6)와 나이프(박리 칼) N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설명도, 도 3의 (B)는, 나이프 N에 의하여 계면(24)에 박리 개시부(26)를 작성하는 설명도, 도 3의 (C)는, 계면(28)에 박리 개시부(30)를 작성하기 직전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 3의 (D)는, 나이프 N에 의하여 계면(28)에 박리 개시부(30)를 작성하는 설명도, 도 3의 (E)는, 박리 개시부(26, 30)가 작성된 적층체(6)의 설명도이다.
또한 도 4는, 박리 개시부(26, 30)가 작성된 적층체(6)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박리 개시부 작성 장치(10)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박리 개시부 작성 장치(10)의 평면도이다.
도 4에 있어서 적층체(6)의 각 코너부에는 코너 컷부(6A, 6B, 6C, 6D)가 구비된다. 코너 컷부(6A 내지 6D)는 지석에 의하여 테이퍼형으로 모따기 가공된 절결이고, 적층체(6)의 모델 넘버를 나타내는 것이며, 그 모따기양, 모따기 각도가 모델 넘버마다 상이하다. 도 4의 적층체(6)에서는, 모든 코너부에 코너 컷부(6A 내지 6D)가 구비되어 있지만, 선택된 적어도 1개의 코너부에 코너 컷부가 구비되어 있는 적층체도 있다. 또한 도 4, 도 6에서는, 코너 컷부(6A 내지 6D)를 적층체(6)의 크기에 비하여 과장하여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미소한 크기이다.
도 3으로 돌아와, 박리 개시부(26, 30)의 작성 시에 있어서, 적층체(6)는 도 3의 (A)와 같이 보강판(3B)의 이면(3Bb)가 테이블(12)에 흡착 보유 지지되어 수평 방향(도면 중 X축 방향)으로 지지된다.
나이프 N은, 도 6과 같이 적층체(6)의 코너 컷부(6A) 중 한쪽 코너부(둔각 코너부)(6Aa)에 날끝 Na가 대향하도록 도 3의 홀더(14)에 의하여 수평 방향으로 지지된다. 또한, 나이프 N은 높이 조정 장치(16)에 의하여 높이 방향(도면 중 Z축 방향)의 위치가 조정된다. 또한, 나이프 N과 적층체(6)는 볼 나사 장치 등의 이송 장치(18)에 의하여 수평 방향(도면 중 X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된다. 이송 장치(18)는 나이프 N과 테이블(12) 중 적어도 한쪽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되며, 실시 형태에서는 나이프 N이 이동된다. 또한, 자입 전 또는 자입 중인 나이프 N의 날끝 Na의 상면에 액체(20)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 장치(22)가, 나이프 N의 상방에 배치된다.
[박리 개시부 작성 방법]
박리 개시부 작성 장치(10)에 의한 박리 개시부 작성 방법에 있어서는, 나이프 N의 자입 위치를, 적층체(6)의 코너부(6Aa)이며, 적층체(6)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중첩되는 위치로 설정하고, 또한 나이프 N의 자입량을 계면(24, 28)마다 상이하게 설정하고 있다.
그 작성 수순에 대하여 설명한다.
초기 상태에 있어서 나이프 N의 날끝 Na는, 제1 자입 위치인 기판(2B)과 수지층(4B)의 계면(24)에 대하여 높이 방향(Z축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존재한다. 따라서 먼저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이프 N을 높이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나이프 N의 날끝 Na의 높이를 계면(24)의 높이로 설정한다.
이후, 나이프 N을 적층체(6)의 코너부(6Aa)를 향하여 수평 방향(도 6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시켜, 나이프 N의 날끝 Na를 코너부(6Aa)에 점접촉시킨 후, 도 3의 (B)와 같이 날끝 Na를 계면(24)에 소정량 자입한다. 또한 나이프 N의 자입 시 또는 자입 전에 있어서, 액체 공급 장치(22)로부터 날끝 Na의 상면에 액체(20)를 공급한다. 이것에 의하여 코너부(6Aa)의 기판(2B)이 수지층(4B)으로부터 박리되므로, 도 4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삼각형 박리 개시부(26)가 계면(24)에 작성된다. 또한 액체(20)의 공급은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액체(20)를 사용하면 나이프 N을 제거한 후에도 액체(20)가 박리 개시부(26)에 잔류하므로, 재부착 불가능한 박리 개시부(26)를 작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나이프 N을 코너부(6Aa)로부터 수평 방향(도 6의 화살표 B 방향)으로 제거하고, 도 3의 (C)와 같이 나이프 N의 날끝 Na를, 제2 자입 위치인 기판(2A)과 수지층(4A)의 계면(28)의 높이로 설정한다.
이후, 나이프 N을 적층체(6)를 향하여 수평 방향(도 6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시켜, 나이프 N의 날끝 Na를 코너부(6Aa)에 점접촉시킨 후, 도 3의 (D)와 같이 날끝 Na를 계면(28)에 소정량 자입한다. 마찬가지로 액체 공급 장치(22)로부터 날끝 Na의 상면에 액체(20)를 공급한다. 이것에 의하여 도 3의 (E)와 같이 계면(28)에 박리 개시부(30)가 작성된다. 여기서, 계면(28)에 대한 나이프 N의 자입량은 계면(24)에 대한 자입량보다도 소량으로 한다. 이상이 박리 개시부 작성 방법이다. 또한 계면(24)에 대한 나이프 N의 자입량을 계면(28)에 대한 자입량보다도 소량으로 해도 된다.
박리 개시부(26, 30)가 작성된 적층체(6)는, 박리 개시부 작성 장치(10)로부터 취출되어 박리 공정으로 이행된다. 박리 공정에 있어서 적층체(6)는, 후술하는 박리 장치에 의하여 계면(24, 28)으로 순차 박리된다.
계면(24, 28)에서의 박리 방법의 상세는 후술하겠지만, 도 4의 화살표 C와 같이 적층체(6)를 코너 컷부(6A)로부터, 코너 컷부(6A)에 대향하는 코너 컷부(6C)를 향하여 휘게 함으로써, 박리 개시부(26)의 면적이 큰 계면(24)에서 박리 개시부(26)를 기점으로 하여 처음에 박리된다. 이것에 의하여 보강판(3B)이 박리된다. 그 후, 적층체(6)를 코너 컷부(6A)로부터 코너 컷부(6C)를 향하여 다시 휘게 함으로써, 박리 개시부(30)의 면적이 작은 계면(28)에서 박리 개시부(30)를 기점으로 하여 박리된다. 이것에 의하여 보강판(3A)이 박리된다. 나이프 N의 자입량은, 적층체(6)의 크기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7㎜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 정도로 설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박리 장치 및 박리 방법의 특징은, 나이프 N에 의한 박리 개시부 작성 방법에 있으며, 그 점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박리 장치(40)〕
도 7은, 실시 형태의 박리 장치(박리부)(40)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8은, 박리 장치(40)의 박리 유닛(42)에 대한 복수의 가동체(44)의 배치 위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박리 유닛(42)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8의 D-D 선을 따른 단면도에 상당하며, 또한 도 8에 있어서는 적층체(6)를 실선으로 나타내었다.
도 7과 같이 박리 장치(40)는, 적층체(6)를 사이에 끼우고 상하에 배치된 한 쌍의 가동 장치(46, 46)를 구비한다. 가동 장치(46, 46)는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도 7의 하측에 배치된 가동 장치(46)에 대하여 설명하고, 상측에 배치된 가동 장치(46)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설명을 생략한다.
가동 장치(46)는, 복수의 가동체(44), 가동체(44)마다 가동체(44)를 승강 이동시키는 복수의 구동 장치(48), 및 구동 장치(48)마다 구동 장치(48)를 제어하는 컨트롤러(50) 등으로 구성된다.
박리 유닛(42)은 보강판(3B)을 휨 변형시키기 위하여, 보강판(3B)을 진공 흡착 보유 지지한다. 또한 진공 흡착 대신 정전 흡착 또는 자기 흡착해도 된다.
[박리 유닛(42)]
도 9의 (A)는 박리 유닛(42)의 평면도이며, 도 9의 (B)는, 도 9의 (A)의 E-E 선을 따른 박리 유닛(42)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9의 (C)는, 박리 유닛(42)을 구성하는 직사각형 판상 가요성 판(52)에 대하여, 박리 유닛(42)을 구성하는 흡착부(54)가 양면 접착 테이프(56)를 개재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도시하는 박리 유닛(42)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박리 유닛(42)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가요성 판(52)에 흡착부(54)가 양면 접착 테이프(56)를 개재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구성된다.
흡착부(54)는, 가요성 판(52)보다도 두께가 얇은 가요성 판(58)을 구비한다. 이 가요성 판(58)의 하면이 양면 접착 테이프(56)를 개재하여 가요성 판(52)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흡착부(54)에는, 적층체(6)의 보강판(3B)의 내면을 흡착 보유 지지하는 직사각형의 통기성 시트(60)가 구비된다. 통기성 시트(60)의 두께는, 박리 시에 보강판(3B)에 발생하는 인장 응력을 저감시킬 목적으로 2㎜ 이하,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이고, 실시 형태에서는 0.5㎜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흡착부(54)에는, 통기성 시트(60)를 포위하고, 또한 보강판(3B)의 외주면이 접촉되는 시일 프레임 부재(62)가 구비된다. 시일 프레임 부재(62) 및 통기성 시트(60)는 양면 접착 테이프(64)를 개재하여 가요성 판(58)의 상면에 접착된다. 또한 시일 프레임 부재(62)는, 쇼어 E 경도가 20도 이상 50도 이하인, 독립 기포의 스펀지이며, 그 두께는, 통기성 시트(60)의 두께에 비하여 0.3㎜ 내지 0.5㎜ 두껍게 구성되어 있다.
통기성 시트(60)와 시일 프레임 부재(62) 사이에는 프레임형 홈(66)이 구비된다. 또한 가요성 판(52)에는 복수의 관통 구멍(68)이 개구되어 있으며, 이들 관통 구멍(68)의 일단부는 홈(66)에 연통되고, 타단부는, 도시하지 않은 흡인 관로를 거쳐서 흡기원(예를 들어 진공 펌프)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흡기원이 구동되면, 상기 흡인 관로, 관통 구멍(68) 및 홈(66)의 공기가 흡인됨으로써, 적층체(6)의 보강판(3B)의 내면이 통기성 시트(60)에 진공 흡착 보유 지지되고, 또한 보강판(3B)의 외주면이 시일 프레임 부재(62)에 가압 접촉되므로, 시일 프레임 부재(62)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흡착 공간의 밀폐성이 높아진다.
가요성 판(52)은, 가요성 판(58), 통기성 시트(60) 및 시일 프레임 부재(62)보다도 굽힘 강성이 높으며, 가요성 판(52)의 굽힘 강성이 박리 유닛(42)의 굽힘 강성을 지배한다. 박리 유닛(42)의 단위 폭(1㎜)당 굽힘 강성은 1000 내지 40000N·㎟/㎜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박리 유닛(42)의 폭이 100㎜인 부분에서는, 굽힘 강성은 100000 내지 4000000N·㎟로 된다. 박리 유닛(42)의 굽힘 강성을 1000N·㎟/㎜ 이상으로 함으로써, 박리 유닛(42)에 흡착 보유 지지되는 보강판(3B)의 절곡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박리 유닛(42)의 굽힘 강성을 40000N·㎟/㎜ 이하로 함으로써, 박리 유닛(42)에 흡착 보유 지지되는 보강판(3B)을 적절히 휨 변형시킬 수 있다.
가요성 판(52, 58)은, 영률이 10㎬ 이하인 수지제 부재이며, 예를 들어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폴리염화비닐(PVC)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아세탈(POM) 수지 등의 수지제 부재이다.
[가동 장치(46)]
가요성 판(52)의 하면에는, 도 7에 도시한 원반형 복수의 가동체(44)가, 도 8과 같이 바둑판 눈모양으로 고정된다. 이들 가동체(44)는, 가요성 판(52)에 볼트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하여 고정되지만, 볼트 대신 접착 고정되어도 된다. 이들 가동체(44)는, 컨트롤러(50)에 의하여 구동 제어된 구동 장치(48)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승강 이동된다.
즉, 컨트롤러(50)는 구동 장치(48)를 제어하여, 도 8에 있어서의 적층체(6)의 코너 컷부(6A) 측에 위치하는 가동체(44)로부터, 화살표 C로 나타내는 박리 진행 방향의 코너 컷부(6C)측에 위치하는 가동체(44)를 순차 하강 이동시킨다. 이 동작에 의하여, 도 10의 종단면도와 같이 적층체(6)의 계면(24)에서 박리 개시부(26)(도 4 참조)를 기점으로 하여 박리해 간다. 또한 도 7, 도 10에 도시한 적층체(6)는, 도 3에서 설명한 박리 개시부 작성 방법에 의하여 박리 개시부(26, 30)가 작성된 적층체(6)이다.
구동 장치(48)는, 예를 들어 회전식 서보 모터 및 볼 나사 기구 등으로 구성된다. 서보 모터의 회전 운동은, 볼 나사 기구에 있어서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어 볼 나사 기구의 로드(70)에 전달된다. 로드(70)의 선단부에는, 볼 조인트(72)를 개재하여 가동체(44)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도 10과 같이 박리 유닛(42)의 휨 변형에 추종하여 가동체(44)를 틸팅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박리 유닛(42)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고 박리 유닛(42)을 코너 컷부(6A)로부터 코너 컷부(6C)를 향하여 휨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 장치(48)로서는 회전식 서보 모터 및 볼 나사 기구에 한정되지 않으며, 리니어식 서보 모터, 또는 유체압 실린더(예를 들어 공기압 실린더)여도 된다.
복수의 구동 장치(48)는, 승강 가능한 프레임(74)에 쿠션 부재(76)을 개재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쿠션 부재(76)은 박리 유닛(42)의 휨 변형에 추종하도록 탄성 변형된다. 이것에 의하여 로드(70)가 프레임(74)에 대하여 틸팅한다.
프레임(74)은, 박리된 보강판(3B)을 박리 유닛(42)으로부터 제거할 때, 도시하지 않은 구동부에 의하여 하강 이동된다.
컨트롤러(50)는, CPU, ROM 및 RAM 등의 기록 매체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로서 구성된다. 컨트롤러(50)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CPU에 실행시킴으로써, 복수의 구동 장치(48)를 구동 장치(48)마다 제어하여, 복수의 가동체(44)의 승강 이동을 제어한다.
〔박리 장치(40)에 의한 보강판(3A, 3B)의 박리 방법〕
도 11의 (A) 내지 (C) 내지 도 12의 (A) 내지 (C)는, 도 3에서 설명한 박리 개시부 작성 방법에 의하여 코너부(6Aa)에 박리 개시부(26, 30)가 작성된 적층체(6)의 박리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도면에는, 적층체(6)의 보강판(3A, 3B)을 박리하는 박리 방법이 시계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박리 장치(40)에의 적층체(6)의 반입 작업, 박리된 보강판(3A, 3B) 및 패널 P의 반출 작업은, 도 11의 (A)에 도시하는, 흡착 패드(78)를 구비한 반송 장치(80)에 의하여 행해진다. 또한 도 11, 도 12에서는, 도면의 복잡함을 회피하기 위하여 가동 장치(46)의 도시는 생략한다. 또한 패널 P란, 보강판(3A, 3B)을 제외한 기판(2A)과 기판(2B)이 기능층(7)을 개재하여 부착된 제품 패널이다.
도 11의 (A)는, 반송 장치(80)의 화살표 F, G로 나타내는 동작에 의하여 적층체(6)가 하측의 박리 유닛(42)에 적재된 박리 장치(40)의 측면도이다. 이 경우, 하측의 박리 유닛과 상측의 박리 유닛(42) 사이에 반송 장치(80)가 삽입되도록, 하측의 박리 유닛(42)과 상측의 박리 유닛(42)이, 상대적으로 충분히 퇴피한 위치로 미리 이동된다. 그리고 적층체(6)가 하측의 박리 유닛(42)에 적재되면, 하측의 박리 유닛(42)에 의하여 적층체(6)의 보강판(3B)이 진공 흡착 보유 지지된다. 즉, 도 11의 (A)에는, 보강판(3B)이 하측의 박리 유닛(42)에 의하여 흡착 보유 지지되는 흡착 공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11의 (B)는, 하측의 박리 유닛(42)과 상측의 박리 유닛(42)이 상대적으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적층체(6)의 보강판(3A)이 상측의 박리 유닛(42)에 의하여 진공 흡착 보유 지지된 상태의 박리 장치(40)의 측면도이다. 즉, 도 11의 (B)에는, 보강판(3A)이 상측의 박리 유닛(42)에 의하여 흡착 보유 지지되는 흡착 공정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박리 장치(40)에 의하여, 도 1에 도시한 적층체(1)의 기판(2)을 보강판(3)으로부터 박리시키는 경우에는, 제1 기판인 기판(2)을 상측의 박리 유닛(42)에 의하여 지지하고, 제2 기판인 보강판(3)을 하측의 박리 유닛(42)에 의하여 흡착 보유 지지한다. 이 경우, 기판(2)을 지지하는 지지부는 박리 유닛(4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판(2)을 착탈 가능하게 지지 가능한 것이면 된다. 그러나 지지부로서 박리 유닛(42)을 사용함으로써, 기판(2)과 보강판(3)을 동시에 만곡시켜 박리할 수 있으므로, 기판(2) 또는 보강판(3)만을 만곡시키는 형태와 비교하여 박리력을 작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1로 돌아와, 도 11의 (C)는, 적층체(6)의 코너 컷부(6A)로부터 코너 컷부(6C)를 향하여 하측의 박리 유닛(42)을 하방으로 휨 변형시키면서, 적층체(6)의 계면(24)에서 박리 개시부(26)(도 4 참조)를 기점으로 하여 박리해 가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즉, 도 10에 도시한 하측의 박리 유닛(42)의 복수의 가동체(44)에 있어서, 적층체(6)의 코너 컷부(6A) 측에 위치하는 가동체(44)로부터 코너 컷부(6C)측에 위치하는 가동체(44)를 순차 하강 이동시키고, 계면(24)에서 보강판(3B)을 박리한다. 또한 이 동작에 연동하여, 상측의 박리 유닛(42)의 복수의 가동체(44)에 있어서, 적층체(6)의 코너 컷부(6A) 측에 위치하는 가동체(44)로부터 코너 컷부(6C)측에 위치하는 가동체(44)를 순차 상승 이동시켜, 계면(24)에서 박리해도 된다. 이것에 의하여, 보강판(3B)만을 만곡시키는 형태와 비교하여 박리력을 작게 할 수 있다.
도 12의 (A)는, 계면(24)에서 보강판(3B)이 완전히 박리된 상태의 박리 장치(40)의 측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박리된 보강판(3B)이 하측의 박리 유닛(42)에 진공 흡착 보유 지지되고, 보강판(3B)을 제외한 적층체(6)(보강판(3A) 및 패널 P을 포함하는 적층체)가 상측의 박리 유닛(42)에 진공 흡착 보유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하의 박리 유닛(42)의 사이에, 도 11의 (A)에 도시한 반송 장치(80)가 삽입되도록 하측의 박리 유닛(42)과 상측의 박리 유닛(42)이, 상대적으로 충분히 퇴피한 위치로 이동된다.
이후, 먼저 하측의 박리 유닛(42)의 진공 흡착이 해제된다. 다음으로, 반송 장치(80)의 흡착 패드(78)에 의하여 보강판(3B)이 수지층(4B)을 개재하여 흡착 보유 지지된다. 이어서, 도 12의 (A)의 화살표 H, I로 나타내는 반송 장치(80)(도 11의 (A) 참조)의 동작에 의하여 보강판(3B)이 박리 장치(40)로부터 반출된다.
도 12의 (B)는, 보강판(3B)을 제외한 적층체(6)가 하측의 박리 유닛(42)과 상측의 박리 유닛(42)에 의하여 진공 흡착 보유 지지된 측면도이다. 즉, 하측의 박리 유닛(42)과 상측의 박리 유닛(42)이 상대적으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하측의 박리 유닛(42)에 기판(2B)이 진공 흡착 보유 지지된다.
도 12의 (C)는, 적층체(6)의 코너 컷부(6A)로부터 코너 컷부(6C)를 향하여 상측의 박리 유닛(42)을 상방으로 휨 변형시키면서, 적층체(6)의 계면(28)에서 박리 개시부(30)(도 4 참조)를 기점으로 하여 박리해 가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즉, 도 10에 도시한 상측의 박리 유닛(42)의 복수의 가동체(44)에 있어서, 적층체(6)의 코너 컷부(6A) 측에 위치하는 가동체(44)로부터 코너 컷부(6C)측에 위치하는 가동체(44)를 순차 상승 이동시켜, 계면(28)에서 보강판(3A)을 박리한다. 또한 이 동작에 연동하여, 하측의 박리 유닛(42)의 복수의 가동체(44)에 있어서, 적층체(6)의 코너 컷부(6A) 측에 위치하는 가동체(44)로부터 코너 컷부(6C)측에 위치하는 가동체(44)를 순차 하강 이동시켜, 계면(28)에서 박리해도 된다. 이것에 의하여, 보강판(3A)만을 만곡시키는 형태와 비교하여 박리력을 작게 할 수 있다.
이후, 패널 P로부터 완전히 박리된 보강판(3A)을 상측의 박리 유닛(42)으로부터 취출하고, 패널 P를 하측의 박리 유닛(42)으로부터 취출한다. 이상이, 코너부(6Aa)에 박리 개시부(26, 30)가 작성된 적층체(6)의 박리 방법이다.
〔박리 개시부 작성 장치(10)의 특징〕
도 13은, 적층체(6)의 코너 컷부(6A)의 코너부(6Aa)에 나이프 N의 날끝 Na가 접촉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또한 나이프 N은 평판형으로 구성되며, 그 테두리부를 따라 직선형 날끝 Na가 구비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층체(6) 및 나이프 N은 수평면 상에 배치된다. 나이프 N이 수평면 상에 있어서 도 13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날끝 Na가 코너부(6Aa)에 점접촉되고, 그 후, 날끝 Na가 계면(24, 28)(도 3의 (B), (D) 참조)에 자입된다. 즉, 박리 개시부 작성 장치(10)의 특징은, 계면(24, 28)에 대한 날끝 Na의 자입 형태에 있어서, 종래의 선과 선의 레벨 맞춤으로부터 점(코너부(6Aa))과 점(날끝 Na)의 레벨 맞춤으로 변경한 데 있다. 이것에 의하여 레벨 맞춤이 용이해지므로, 날끝 Na를 코너 컷부(6A)의 계면(24, 28)에 확실히 자입할 수 있다.
도 5로 돌아와 나이프 N은, 이송 나사(82) 및 모터(84)를 포함하는 이송 장치(18)에 의하여 도 6의 화살표 A 방향 및 화살표 B 방향으로 왕복 이동된다. 화살표 A로 나타내는 자입 방향의 이동량 및 화살표 B로 나타내는 퇴피 방향의 이동량이, 모터(84)를 제어하는 도 5의 제어부(86)에 의하여 제어되고 있다.
도 14의 (A) 내지 (E)는, 유통되고 있는 45°, 21.8° 및 18.4°의 코너 컷부를 갖는 적층체에 있어서, 적층체의 어느 한쪽 변과 나이프 N의 날끝선이 이루는 각도(도 13의 θ1)를, 동일면 상에 있어서 23° 이상 44° 이하로 설정하는 것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4의 (A)에 도시하는 적층체(88)의 45°의 코너 컷부(88A)는, 도 17에 도시한 a 부분 및 b 부분을 각각 1㎜, 1.5㎜, 3㎜ 또는 5㎜만큼 삼각형으로 모따기 가공함으로써 작성된다.
도 14의 (B)에 도시하는 적층체(90)의 21.8°의 코너 컷부(90A)는, 마찬가지로 a 부분을 5㎜, b 부분을 2㎜만큼 삼각형으로 모따기 가공함으로써 작성된다.
도 14의 (C)에 도시하는 적층체(92)의 68.2°의 코너 컷부(92A)는, a 부분을 2㎜, b 부분을 5㎜만큼 삼각형으로 모따기 가공함으로써 작성되며, 도 14의 (B)의 코너 컷부(90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이다.
도 14의 (D)에 도시하는 적층체(94)의 18.4°의 코너 컷부(94A)는, a 부분을 3㎜, b 부분을 1㎜만큼 삼각형으로 모따기 가공함으로써 작성된다.
도 14의 (E)에 도시하는 적층체(96)의 코너 컷부(96A)는, a 부분을 1㎜, b 부분을 3㎜만큼 삼각형으로 모따기 가공함으로써 작성되며, 도 14의 (D)의 코너 컷부(94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이다.
이러한 코너 컷부(88A 내지 96A)를 구비한 적층체(88 내지 96)에 대하여, 적층체(88 내지 96)의 어느 한쪽 변(도 14에서는 변 J로 하지만, 다른 변이어도 됨)과 날끝 Na(도 6 등 참조)의 날끝선 L이 이루는 각도를, 동일면 상에 있어서 23° 이상 44° 이하로 설정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날끝 Na는 코너 컷부(88A 내지 96A) 중 한쪽 코너부(88Aa, 90Aa, 92Aa, 94Aa, 96Aa)에 반드시 점접촉된다. 즉, 상기 이루는 각도를 23° 이상 44° 이하로 설정해 두면, 모델 넘버가 상이한 적층체(88 내지 96)가 박리 개시부 작성 장치(10)에 세팅되더라도, 반드시 점(코너부(88Aa 내지 96Aa))과 점(날끝 Na)의 레벨 맞춤으로 되므로, 날끝 Na를 코너부(88Aa 내지 96Aa)의 계면에 확실히 자입할 수 있다.
또한 코너 컷부(6A, 88A 내지 96A)의 가공 정밀도를 고려하면, 상기 이루는 각도를 24° 이상 42°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5에 도시하는 날끝선 L과 같이, 상기 이루는 각도를, 동일면 상에 있어서 1° 이상 22° 이하로 설정했을 경우에도 코너부(6Aa)에 있어서 점과 점의 레벨 맞춤으로 되지만, 상기 이루는 각도가 작기 때문에 날끝 Na에 의하여 작성되는 박리 개시부(98)의 형상이 가늘고 길어져, 박리 기점으로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이에 비하여, 도 16에 도시하는 날끝선 L과 같이, 상기 이루는 각도를 23° 이상 44° 이하로 설정하면, 날끝 Na에 의하여 작성되는 박리 개시부(26(30))의 형상은 직각이등변삼각형에 근접하므로, 박리 기점으로서 바람직한 박리 개시부로 된다.
본 발명을 상세히, 또한 특정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확하다.
본 출원은, 2014년 7월 11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4-143019호에 기초한 것이며, 그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도입된다.
N: 나이프
Na: 날끝
P: 패널
1: 적층체
1A: 제1 적층체
1B: 제2 적층체
2: 기판
2a: 기판의 표면
2b: 기판의 이면
2A: 기판
2Aa: 기판의 표면
2B: 기판
2Ba: 기판의 표면
3: 보강판
3a: 보강판의 표면
3A: 보강판
3B: 보강판
3Bb: 보강판의 이면
4: 수지층
4A: 수지층
4B: 수지층
6: 적층체
6A, 6B, 6C, 6D: 코너 컷부
6Aa: 코너부
7: 기능층
10: 박리 개시부 작성 장치
12: 테이블
14: 홀더
16: 높이 조정 장치
18: 이송 장치
20: 액체
22: 액체 공급 장치
24: 계면
26: 박리 개시부
28: 계면
30: 박리 개시부
40: 박리 장치
42: 박리 유닛
44: 가동체
46: 가동 장치
48: 구동 장치
50: 컨트롤러
52: 가요성 판
54: 흡착부
56: 양면 접착 테이프
58: 가요성 판
60: 통기성 시트
62: 시일 프레임 부재
64: 양면 접착 테이프
66: 홈
68: 관통 구멍
70: 로드
72: 볼 조인트
74: 프레임
76: 쿠션 부재
78: 흡착 패드
80: 반송 장치
82: 이송 나사
84: 모터
86: 제어부
88, 90, 92, 94, 96: 적층체
88A, 90A, 92A, 94A, 96A: 코너 컷부
88Aa, 90Aa, 92Aa, 94Aa, 96Aa: 코너부
98: 박리 개시부

Claims (6)

  1. 제1 기판과 제2 기판이 박리 가능하게 부착된 직사각형 적층체에 대하여,
    상기 적층체의 코너부에 구비된 코너 컷부로부터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의 계면에 날끝이 소정량 자입(刺入)되어, 상기 계면에 박리 개시부를 작성하는 박리 칼과,
    상기 박리 개시부를 기점으로 하여 상기 계면에서 순차 박리하는 박리부
    를 갖고,
    상기 박리 칼의 상기 날끝은, 상기 코너 컷부의 양단부의 둔각 코너부 중 한쪽 둔각 코너부에 점접촉으로 접촉된 후 상기 계면에 자입되고,
    모따기 각도가 45°, 21.8° 또는 18.4°인 상기 코너 컷부를 구비한 상기 적층체에 대하여,
    상기 적층체의 어느 한쪽 변과 상기 박리 칼의 날끝선이 이루는 각도가, 동일면 상에 있어서 23° 이상 44° 이하로 설정되는, 적층체의 박리 장치.
  2. 제1 기판과 제2 기판이 박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직사각형 적층체에 대하여,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의 계면에서 박리하는, 적층체의 박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코너부에 구비된 코너 컷부로부터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의 계면에 박리 칼의 날끝을 소정량 자입하여, 상기 계면에 박리 개시부를 작성하는 박리 개시부 작성 공정과,
    상기 박리 개시부를 기점으로 하여 상기 계면에서 박리하는 박리 공정
    을 갖고,
    상기 박리 개시부 작성 공정에 있어서, 상기 박리 칼의 상기 날끝은, 상기 코너 컷부의 양단부의 둔각 코너부 중 한쪽 둔각 코너부에 점접촉으로 접촉된 후 상기 계면에 자입되고,
    모따기 각도가 45°, 21.8° 또는 18.4°인 상기 코너 컷부를 구비한 상기 적층체에 대하여,
    상기 박리 개시부 작성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어느 한쪽 변과 상기 박리 칼의 날끝선이 이루는 각도가, 동일면 상에 있어서 23° 이상 44° 이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의 박리 방법.
  3. 제1 기판과 제2 기판이 박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직사각형 적층체에 대하여, 상기 제1 기판의 노출면에 기능층을 형성하는 기능층 형성 공정과, 상기 기능층이 형성된 상기 제1 기판으로부터 상기 제2 기판을 분리하는 분리 공정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리 공정은,
    상기 적층체의 코너부에 구비된 코너 컷부로부터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의 계면에 박리 칼의 날끝을 소정량 자입하여, 상기 계면에 박리 개시부를 작성하는 박리 개시부 작성 공정과,
    상기 박리 개시부를 기점으로 하여 상기 계면에서 박리하는 박리 공정
    을 갖고,
    상기 박리 개시부 작성 공정에 있어서, 상기 박리 칼의 상기 날끝은, 상기 코너 컷부의 양단부의 둔각 코너부 중 한쪽 둔각 코너부에 점접촉으로 접촉된 후 상기 계면에 자입되고,
    모따기 각도가 45°, 21.8° 또는 18.4°인 상기 코너 컷부를 구비한 상기 적층체에 대하여,
    상기 박리 개시부 작성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어느 한쪽 변과 상기 박리 칼의 날끝선이 이루는 각도가, 동일면 상에 있어서 23° 이상 44° 이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50097079A 2014-07-11 2015-07-08 적층체의 박리 장치 및 박리 방법, 그리고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KR1024715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43019A JP6269954B2 (ja) 2014-07-11 2014-07-11 積層体の剥離装置及び剥離方法並びに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JP-P-2014-143019 2014-07-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399A KR20160007399A (ko) 2016-01-20
KR102471564B1 true KR102471564B1 (ko) 2022-11-29

Family

ID=55101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7079A KR102471564B1 (ko) 2014-07-11 2015-07-08 적층체의 박리 장치 및 박리 방법, 그리고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269954B2 (ko)
KR (1) KR102471564B1 (ko)
CN (1) CN105261578B (ko)
TW (1) TWI6598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5291A (zh) * 2019-04-25 2019-07-30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胶贴合件分离装置以及胶贴合件分离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4689A1 (ja) * 2009-08-31 2011-03-03 旭硝子株式会社 剥離装置
JP2014031301A (ja) * 2012-08-06 2014-02-20 Asahi Glass Co Ltd ガラス積層体用支持基板の管理方法及び管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3024B1 (ko) * 1998-01-21 2006-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편광판 제거장치
JP4241697B2 (ja) * 2005-09-06 2009-03-18 ユーテック株式会社 フィルム剥離装置
KR101311652B1 (ko) * 2009-02-06 2013-09-25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및 이것에 이용하는 박리 장치
JP5534222B2 (ja) 2010-03-08 2014-06-25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基板
TWI444295B (zh) * 2011-11-18 2014-07-11 Au Optronics Corp 脫黏器及自基板分離薄膜的方法
JP5807554B2 (ja) * 2012-01-19 2015-11-10 旭硝子株式会社 剥離装置、及び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4689A1 (ja) * 2009-08-31 2011-03-03 旭硝子株式会社 剥離装置
JP2014031301A (ja) * 2012-08-06 2014-02-20 Asahi Glass Co Ltd ガラス積層体用支持基板の管理方法及び管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399A (ko) 2016-01-20
CN105261578A (zh) 2016-01-20
TWI659848B (zh) 2019-05-21
JP6269954B2 (ja) 2018-01-31
TW201607763A (zh) 2016-03-01
CN105261578B (zh) 2019-04-23
JP2016016984A (ja) 2016-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02703B (zh) Substrate stripping apparatus and stripp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manufacturing method
TWI659849B (zh) 積層體之剝離裝置及剝離方法、與電子裝置之製造方法
TWI680060B (zh) 積層體之剝離開始部作成方法、剝離開始部作成裝置以及電子元件之製造方法
KR102535656B1 (ko) 적층체의 박리 장치 및 박리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KR102471421B1 (ko) 적층체의 박리 장치 및 박리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KR102406292B1 (ko) 적층체의 박리 장치 및 박리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JP6016108B2 (ja) 基板の剥離装置及び剥離方法並びに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KR102471564B1 (ko) 적층체의 박리 장치 및 박리 방법, 그리고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JP6471606B2 (ja) 積層体の剥離装置及び剥離方法並びに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6459145B2 (ja) 積層体の剥離装置及び剥離方法並びに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6468462B2 (ja) 積層体の剥離装置及び剥離方法並びに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