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0550B1 - 수평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면진장치 - Google Patents

수평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면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0550B1
KR102470550B1 KR1020220003971A KR20220003971A KR102470550B1 KR 102470550 B1 KR102470550 B1 KR 102470550B1 KR 1020220003971 A KR1020220003971 A KR 1020220003971A KR 20220003971 A KR20220003971 A KR 20220003971A KR 102470550 B1 KR102470550 B1 KR 102470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unit
shaft
lower body
seismic iso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3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원
Priority to KR1020220003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05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1Decoupling of vibrations by means of point-of-contact supports, e.g. ball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005Attachment, e.g. to facilitate mounting onto confer adjustabil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023Purpose; Design features protect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장치의 전체적인 수평작업이나 장치를 일정 높이로 설정하여 설치하는 작업 등을 편리하게 행할 수 있도록 된 수평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면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닛하판(44)과 유닛상판(45) 사이에 가동체(46)가 개재된 면진구동유닛(43)에 의해 보호대상물(10)을 지지하도록 된 면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닛하판(44) 자체이거나 적어도 상기 유닛하판(44)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설치장소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하부바디(21)와; 상기 하부바디(21)에 대응되어 보호대상물(10)이 설치되도록 상기 유닛상판(45)을 포함하여 구성된 상부바디(22)와; 상기 하부바디(21) 측에 설치장소의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장착되되, 상기 하부바디(21)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된 조절샤프트(30)를 포함하는 수평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면진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수평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면진장치{Level and height adjustable Base Isolation Device}
본 발명은 수평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면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장치의 전체적인 수평작업이나 장치를 일정 높이로 설정하여 설치하는 작업 등을 편리하게 행할 수 있도록 된 수평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면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면진장치는 지진 등으로 인해 지반이나 건물 하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차단하여 건물 자체의 붕괴를 방지하거나 건물 내부의 사람과 중요물건 또는 설치설비 등을 보호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장치로서, 대개 건축물의 기초나 내력벽과 같은 구조요소를 직접적으로 보호하도록 설치되거나 또는 건축물 내부의 기계실이나 전기실에 설치되는 설비 또는 박물관 등에서의 중요한 보물이나 전시물 등을 보호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이다.
이러한 면진장치에 있어서, 전술된 바와 같이 건물 내부에 설치된 설비나 중요물건 등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면진장치 중에는 보호대상물의 수평상태나 지지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이 있는 것으로, 이러한 종래의 높이조절 구성의 일례로는 지면상에 수평판을 설치하여 이 수평판 상에 면장장치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된 복수개의 스크류축을 장착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조절구성은 수평판에 의해 지면의 불균일한 수평상태를 보완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기는 하나, 수평판 자체를 스틸재질로 제작하는 경우에 지면에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접촉을 유지하는 데에 어려울 뿐만 아니라 유연한 고무재질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하중에 의해 눌림에 따른 부분적인 꺼짐현상이나 변형 등에 따른 문제점이 따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스크류축은 면진구동부의 하판 상에 직접적으로 결합되거나 판의 하부에서 축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제작됨에 따라, 작업과정에서의 축을 회전시켜 조절하는 작업자세 등이 불편하여 작업상의 번거로움 따를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한 장치의 설치시간이 길게 소요됨과 동시에 작업상의 피로도가 높은 단점이 있는 것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2935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조작이나 설치상의 편리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장치의 전체적인 수평작업이나 높이조절 등을 편리하게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조에 의한 견고한 결합구조에 의해 장치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수평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면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유닛하판(44)과 유닛상판(45) 사이에 가동체(46)가 개재된 면진구동유닛(43)에 의해 보호대상물(10)을 지지하도록 된 면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닛하판(44) 자체이거나 적어도 상기 유닛하판(44)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설치장소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하부바디(21)와;
상기 하부바디(21)에 대응되도록 상기 유닛상판(45) 자체이거나 적어도 상기 유닛상판(45)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보호대상물(10)이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바디(22)와;
상기 하부바디(21) 측에 설치장소의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장착되되, 상기 하부바디(21)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된 조절샤프트(30)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샤프트(30)는 상기 상부바디(22)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하부바디(21)의 외곽측에 복수개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상기 하부바디(21)의 상부로 돌출되어 손이나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헤드부(33)가 형성된 스크류축(32)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면진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부바디(21)는 상기 유닛하판(44) 자체로 구성되어 상기 유닛하판(44) 상에 상기 조절샤프트(30)가 직접적으로 장착되고;
상기 유닛상판(45)은 상기 조절샤프트(30)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유닛하판(44)에 비해 단면적이나 폭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면진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부바디(21)는 상기 유닛하판(44)이 안착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별체로 설치 가능한 지지판(24)이 더 구비되되, 상기 지지판(24)은 상기 유닛하판(44)에 비해 단면적이나 폭이 상대적으로 크게 구비되며;
상기 조절샤프트(30)는 상기 유닛하판(44)을 회피하여 상기 지지판(24)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면진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면진구동유닛(43)은 복수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각 면진구동유닛(43)은 이웃한 면진구동유닛(43)을 연결부재(47,48)에 의해 상호 연결하여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면진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판(24) 상에는 상기 유닛하판(44)의 좌우에 밀착되도록 한 쌍으로 된 L자형 브라켓(35)이 구비되거나 또는 저면 상에 너트체(53)가 장착되어 상기 유닛하판(44)의 상부에서 볼트축(54)이 직접적으로 관통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면진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각 유닛상판(45)에는 상면을 전체적으로 덮도록 된 커버패널(17)이 결합되거나 또는 지주(15)나 연결프레임(16)을 포함한 추가구조물(14)을 고정하기 위한 결합용판(49)이 구비되며;
상기 유닛상판(45) 상에는 상기 커버패널(17)이나 결합용판(49)을 볼트체결하기 위한 너트체(5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면진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설치장소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바디(21) 상에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절샤프트(30)가 장착됨에 따라, 상기 조절샤프트(30)에 의해 하부바디(21) 및 이에 결합되는 장치를 전체적으로 높이 조절하여 보호대상물(10)의 수평상태나 설치높이 등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장치의 설치나 조절작업 등을 편리하게 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면진구동유닛(43)의 유닛하판(44) 자체에 조절샤프트(30)를 직접적으로 설치하여 장치의 구성 자체를 컴팩트하게 형성하거나 상기 유닛하판(44)이 안착되는 별도의 지지판(24)을 더 구비하여 지지판(24) 상에 조절샤프트(30)를 설치하여 다양한 형태의 보호대상물(10) 상에 최적의 상태로 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절샤프트(30)는 하부바디(21)의 유닛하판(44)이나 지지판(24)의 상부에서 조절 가능한 헤드부(33)가 구비됨에 따라, 조절샤프트(30)의 높이 조절하기 위한 불편한 작업자세 등을 해소하여 작업난이도 상의 편리함을 제공하고, 하나의 유닛하판(44)이나 지지판(24) 상에 복수개의 스크류축(32)이 구비됨에 따라 미세한 수평조정 등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일부 스크류축(32)의 조절기능이 저하되거나 조절상태가 변형되더라도 인접한 다른 스크류축(32)에 의해서 보완이 가능하여 안정적인 상태를 지속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구성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구성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설치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7의 A부분에 따른 확대단면도
도 10은 도 7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7의 일부 구성에 따른 다른 결합방법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따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결합방법을 도시한 단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면진장치(20)는 전산용 랙이나 중요 물품을 보관하는 캐비닛 등과 같은 보호대상물(10)을 설치하여 지진과 같은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보호대상물(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복수개의 면진구동유닛(43)을 배치하여 각 면진구동유닛(43)을 연결부재(47)에 의해 상호 연결된 상태로 일체화시킨 것이며, 상기 연결부재(47)는 판재나 바아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것을 상황에 따른 적절하게 채택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면진구동유닛(43)은 설치장소의 바닥면 상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바디(21) 측에 유닛하판(44)이 위치되고, 상기 하부바디(21) 상에 대응되어 보호대상물(10)을 설치한 상태로 움직임이 가능한 상부바디(22) 측에 유닛상판(45)이 위치된 상태로 상기 하부바디(21) 측에 설치된 조절샤프트(30)에 의해 높낮이를 조절하여 수평상태나 설치높이 등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설치 가능한데, 이를 도 2와 도 3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바디(21)에는 면진구동유닛(43)의 유닛하판(44)과 이 유닛하판(44) 자체에 조절샤프트(30)가 장착되어 설치장소의 바닥면에 지지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상부바디(22)에는 면진구동유닛(43)의 유닛상판(45)이 위치되어 보호대상물(10)을 결합한 상태로 지지하는데,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부바디(21)의 구성이 유닛하판(44) 자체만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바디(22)의 구성이 상기 유닛상판(45) 자체만으로 이루어져 보호대상물(10)이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유닛하판(44)의 경우에는 개별적으로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고, 상기 유닛상판(45)의 경우에는 연결부재(47)에 의해 상호 연결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유닛하판(44)의 경우에도 전술된 유닛상판(45)에 유사하게 연결부재(47)에 의해 상호 연결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이러한 유닛하판(44)의 상면과 이에 대응되는 유닛상판(45)의 저면에는 일정 직경으로 된 롤링홈(52)이 형성되고, 이 롤링홈(52) 상에 볼형태로 된 가동체(46)가 위치되는데, 이 가동체(46)는 전술된 볼타입 이외에도 LM가이드나 스프링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가동체(46)로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한편, 상기 하부바디(21) 상에는 상기 유닛하판(21) 상에 직접적으로 조절샤프트(30)가 결합되는데, 상기 조절샤프트(30)는 상기 유닛하판(45)의 각 코너측에 나사체결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크류축(32)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이 스크류축(32)의 하단에는 설치장소의 바닥면에 접촉되도록 종발형태로 확장된 고정베이스(31)가 구비되고, 스크류축(32)의 상단측에 각형으로 형성되어 손이나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헤드부(33)가 형성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베이스(31)는 끝이 뾰족한 스크류축(32) 자체만을 사용하는 경우에 보호대상물(10)의 하중이 걸리면서 바닥에 박힘으로 인한 수평이 틀어지는 상황을 해소하여 안정적인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 것이고, 상기 헤드부(33)는 일자나 십자 또는 육각형태의 홈이 형성되거나 육각형과 같은 각형단면으로 형성되어 드라이버나 렌치 또는 스패너등과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스크류축(32)의 조정상태를 일정하게 고정 유지하거나 나사체결 상의 편리함을 위해 상기 유닛하판(44)의 상면과 하면에 너트체(34)를 결합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조절샤프트(30)는 상부바디(22)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부바디(21)의 외곽측에 복수개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유닛하판(44)은 그 단면적이나 폭이 상기 유닛상판(45)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닛상판(45)은 단면적을 최대로 형성할 수 있는 팔각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가동체(46)가 움직일 수 있는 롤링홈(52)의 면적을 넓게 확보하여 큰 충격에 의해서도 보호대상물(10)이 안정적으로 유동될 수 있는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는 것이며, 유닛하판(44)의 경우에도 팔각형태로 돌출된 단턱(44a)을 형성하여 코너에 위치되는 조절샤프트(33)의 높낮이 조절상태에서 유닛상판(45)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스크류축(32)의 헤드부(33)가 유닛하판(44)의 상부에 노출됨에 따라, 작업자가 몸을 바닥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불편한 자세로 조절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어 작업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고, 전술된 바와 같은 면진구동유닛(43)의 유닛하판(44)이 개별적으로 구비됨과 동시에 연결부재(47)로 결합되는 구조로 인해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 면진작동 중에 보호대상물(10)이 이동되는 범위 내에서 전원선(13)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된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면진구동유닛(43)의 유닛상판(45) 상에 보호대상물(10)의 저면에 직접적으로 결합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외에도 상기 유닛상판(45) 상에 지주(15)나 연결프레임(16) 또는 커버패널(17) 등과 같은 다른 추가구조물(14)을 더 결합하여 보호대상물(10)을 지지할 수 있는데, 이를 도 4 내지 도 6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대상물(10)의 설치여건에 따라서는 면진구동유닛(43)의 상부에 일정 길이의 지주(15)를 결합하여 그 지주(15) 상에 별도의 연결프레임(16)을 연결한 후에, 이 연결프레임(16) 상에 커버패널(17)을 전체적으로 커버하여 보호대상물(10)을 설치할 수도 있는데, 본 발명의 면진구동유닛(43) 상에 지주(15)나 연결프레임(16)과 같은 다른 추가구조물(14)을 설치한 실시예를 도 5와 도 6에 의해 추가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면진장치(20) 상에 지주(15)나 연결프레임(16)과 같은 추가구조물(14)을 더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유닛상판(45)의 상면 상에 결합용판(49)을 더 결합하여 볼트체결을 위해 나사산 형성이 용이한 충분한 두께와 판보강 등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 결합용판(49) 상에 면접되도록 지주(15)의 하단에 베이스판(18)을 구비하여 안정적인 상태로 볼트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결합용판(49)을 유닛상판(45)에 결합할 때에는 유닛상판(45)의 저면 상에 너트체(53)를 미리 용접하여 결합용판(49)을 상부에서 관통하는 볼트축(54)에 의해 나사체결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체결작업 상의 편리함을 줄 수 있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결합용판(49)에 지주베이스(18)나 커버패널(17) 또는 연결부재(47) 등을 결합하는 경우에도 볼트에 손쉽게 결합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박물관이나 전시관에서 보물이나 전시물 등과 같은 보호대상물(10)을 지진과 같은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진장치(20)는 보호대상물(10)이 설치되는 별도의 받침대(11)를 지탱하여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은폐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본 발명은 전술된 박물관 이외에서 다양한 보호대상물(10)을 보호할 수 있도록 설치됨은 물론 보호대상물(10)의 하면이 직접적으로 결합되도록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본 발명에 대한 세부적인 구성과 결합상태 등을 도 8 내지 도 13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면진장치(20)는 설치장소에 단차바닥(12)을 형성한 후에, 이 단차바닥(12) 상에 매립 설치하는데, 우선적으로 단차바닥(12)의 바닥면 상에는 복수개의 베이스수단(23)을 수평을 맞추어 일정하게 배열되도록 설치하게 되며, 이 베이스수단(23) 상에 일정 크기와 형상으로 된 면진패널(40)을 결합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면진패널(40)에는 상기 각 베이스수단(23) 상에 개별적으로 안착되는 복수개의 면진구동유닛(43)이 구비되고, 각 면진구동유닛(43)은 바아형태로 된 연결부재(47)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일정 크기로 된 복수개의 단위패널(41,42)을 바아형태나 사각틀 형태로 제작된 다른 연결부재(48)에 의해 상호 연결하여 하나의 면진패널(40)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각 단위패널(41,42)은 전후 또는 좌우로 면진구동유닛(43)이 배치된 상태로 연결부재(47)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일자형태이거나 상기 면진구동유닛(43)이 전후좌우로 배치된 상태로 상호 연결되는 사각형태를 이룰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단위패널(41,42)은 현장에서 제작하기 보다는 제조공장 등에서 미리 제작한 것을 운반하여 현장조립 상의 편리함과 작업시간 등을 단축하는 데에 유효할 뿐만 아니라 복수개의 단위패널(41,42)을 조합하여 하나의 면진패널(40)을 구성할 수 있음에 따라 원하는 크기와 형상 등으로 제작하는 데에 편리함을 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면진패널(40) 상에는 전술된 바와 연결프레임(16)과 일정 크기로 된 커버패널(17)을 더 결합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결합상태 등을 도 9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면진장치(20)는 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수단(23) 상에 면진패널(40)이 안착되고, 그 면진패널(40) 상에 연결프레임(16) 및 커버패널(17)이 결합된 구조로, 상기 베이스수단(23)은 면진패널(40)이 안착되는 지지판(24)과, 이 지지판(24)을 일정 높이로 지지하도록 지면에 접촉되도록 상하 연장되는 스크류축(32)을 포함한 조절샤프트(30)로 구성되는데, 상기 조절샤프트(30)는 하나의 지지판(24) 상에 복수개가 설치된 상태에서 축조절이 용이하도록 손이나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는 헤드부(33)가 지지판(24)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베이스수단(23)은 볼트축 형태로 된 스크류축(32)에 의해 지지판(24)의 높낮이와 수평상태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이에 의해 지지판(24) 상에 안착된 면진패널(40) 및 그에 결합된 보호대상물(10)의 설치높이나 수평상태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 면진패널(40)은 상기 베이스수단(23)에 일대일로 대응되어 지지되는 일정 크기의 면진구동유닛(43)이 구비되는데, 이 면진구동유닛(43)은 상기 지지판(24) 상에 안착되는 일정 크기의 유닛하판(44)과, 이 유닛하판(44)에 대응되는 유닛상판(45) 및 상기 유닛하판(44)과 유닛상판(45) 사이에 개재되는 가동체(46)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유닛하판(44)은 지지판(24) 상에 결합되는 구성이고, 상기 유닛상판(45)은 보호대상물(10)이 결합되어 지진 등과 같은 외부충격이 발생될 때에 상기 유닛하판(44)과는 별도로 가동체(4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설치장소의 바닥면 상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바디(21)의 구성이 상기 지지판(24)과 조절샤프트(30)를 포함한 베이스수단(23)과 이에 결합되는 면진구동유닛(43)의 유닛하판(4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바디(22)는 상기 면진구동유닛(43)의 유닛상판(45)과 이에 결합되는 연결프레임(16)이나 커버패널(17) 또는 전술된 일실시예에서와 같은 결합용판(49) 등을 선택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판(24) 상에 면진구동유닛(43)이 직접적으로 안착된 상태로 개별 지지됨에 따라, 각 베이스수단(23)에 의해 면진구동유닛(43)을 일대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보호대상물(10)의 하중이 전달되는 면진구동유닛(43)을 개별적으로 지탱하여 구조적인 안정성이 뛰어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수단(23)에 구비되는 스크류축(32)에 의해 지지판(24)의 높이나 수평상태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설치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장소에 전체적으로 배열되는 베이스수단(23)에 의해 면진패널(40)의 중앙측에서도 하중을 지탱하여 보호대상물(10)의 부분적인 처짐이나 수평상태의 변형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유닛하판(44)과 유닛상판(45)은 각각 볼타입의 가동체(46)에 대응되어 일정 면적으로 된 롤링홈(52)이 형성되도록 스틸판 등을 절곡하여 제작할 수 있고, 이러한 케이스 스틸판(50)에 의해 케이싱된 내부에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백업부재(51) 등을 충전하여 제작할 수 있는데, 상기 유닛상판(45) 측에는 케이스 스틸판(50) 내부에 미리 너트체(53)를 용접해 두면 연결프레임(16)과 커버패널(17) 또는 이 커버패널(17)에 결합되는 보호대상물(10)의 받침대(11) 등을 일체로 결합할 때에 커버패널(17)이나 받침대(11)의 상부에서 볼트축(54)에 투입하여 간편하게 나사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0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수단(23)의 지지판(24)은 그 좌우폭(W1)이 하판(44)의 좌우폭(W2)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지지판(24) 상에 유닛하판(44)이 안착된 상태에서 지지판(24)의 외곽측에 유닛하판(44)이 간섭되지 않은 상태로 스크류축(32)을 설치하거나 이를 높이조절하는 데에 편리하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베이스수단(23)은 상기 유닛하판(44)을 장착하기 이전에 1차로 수평이나 높이를 맞춘 상태에서 면진패널(40)을 결합하고, 면진패널(40)을 완전하게 결합한 상태에서 재차 스크류축(32)을 조절하여 수평이나 높이를 맞출 수 있는데, 이는 전술된 바와 같이 스크류축(32)의 헤드부(33)가 지지판(24)의 상부에 노출될 뿐만 아니라 상기 면진패널(40)의 유닛하판(44)에 간섭되지 않은 상태로 지지판(24)의 외곽에 노출됨에 따라, 편안한 작업자세를 취하여 간편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베이스수단(23)의 지지판(24) 상에 면진구동유닛(43)의 유닛하판(44)을 결합함에 있어서, 상기 유닛하판(44)을 용접이나 볼트체결 또는 브라켓 결합 등에 의해 지지판(24) 상에 고정 설치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일례를 도 11 내지 도 13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베이스수단(23)은 상기 지지판(24) 상에 면진구동유닛(43)의 유닛하판(44)이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L자형 브라켓(35)을 볼트체결 또는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설치할 수 있는데, 이 L자형 브라켓(35)은 상기 유닛하판(44)의 좌우폭(W2)에 대응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유닛하판(44)이 억지끼움 등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유닛하판(44)의 양측면이 접촉 지지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이러한 L자형 브라켓(35)은 유닛하판(44)을 지지판(24) 상에 안착시킬 때에 직선상으로 반듯하게 놓이는지를 별도로 체크하거나 측정하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끼움결합하는 작업 자체가 간단하여 작업시간을 줄이는 데에 유효한 것이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24) 상에 유닛하판(44)을 결합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지지판(44)의 저면에 너트체(53)를 미리 용접한 상태에서 상기 유닛하판(44)의 일측을 직접 관통하여 볼트축(54)을 나사체결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는 유닛하판(44)의 상부에서 볼트축(54)을 삽입하여 나사체결하는 작업 자체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컴팩트한 구성으로 제작하다는 점에서 편리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보호대상물 12: 단차바닥
13: 전원선 15: 지주
16: 연결프레임 17: 커버패널
20: 면진장치 21: 하부바디
22: 상부바디 23: 베이스수단
24: 지지판 30: 조절샤프트
32: 스크류축 33: 헤드부
35: L자형 브라켓 40: 면진패널
41,42: 단위패널 43: 면진구동유닛
44: 유닛하판 45: 유닛상판
46: 가동체 47,48: 연결부재
49: 결합용판 52: 롤링홈
53: 너트체 54: 볼트축

Claims (6)

  1. 유닛하판(44)과 유닛상판(45) 사이에 가동체(46)가 개재된 면진구동유닛(43)에 의해 보호대상물(10)을 지지하도록 된 면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닛하판(44) 자체이거나 적어도 상기 유닛하판(44)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설치장소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하부바디(21)와;
    상기 하부바디(21)에 대응되도록 상기 유닛상판(45) 자체이거나 적어도 상기 유닛상판(45)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보호대상물(10)이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바디(22)와;
    상기 하부바디(21) 측에 장착되어 설치장소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하부바디(21)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된 조절샤프트(30)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샤프트(30)는
    상기 상부바디(22)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하부바디(21)의 외곽측에 복수개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상기 하부바디(21)의 상부로 돌출되어 손이나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헤드부(33)와;
    상기 헤드부(33)로부터 상기 하부바디(21) 상에 나사체결된 상태로 하향 연장되는 스크류축(32)과;
    상기 스크류축(32)의 하단에 확장 형성되어 설치장소의 바닥면에 접촉되도록 된 고정베이스(3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면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바디(21)는 상기 유닛하판(44) 자체로 구성되어 상기 유닛하판(44) 상에 상기 조절샤프트(30)가 직접적으로 장착되고;
    상기 유닛상판(45)은 상기 조절샤프트(30)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유닛하판(44)에 비해 단면적이나 폭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면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바디(21)는 상기 유닛하판(44)이 안착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별체로 설치 가능한 지지판(24)이 더 구비되되, 상기 지지판(24)은 상기 유닛하판(44)에 비해 단면적이나 폭이 상대적으로 크게 구비되며;
    상기 조절샤프트(30)는 상기 유닛하판(44)을 회피하여 상기 지지판(24)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면진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면진구동유닛(43)은 복수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각 면진구동유닛(43)은 이웃한 면진구동유닛(43)을 연결부재(47,48)에 의해 상호 연결하여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면진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24) 상에는 상기 유닛하판(44)의 좌우에 밀착되도록 한 쌍으로 된 L자형 브라켓(35)이 구비되거나 또는 저면 상에 너트체(53)가 장착되어 상기 유닛하판(44)의 상부에서 볼트축(54)이 직접적으로 관통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면진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유닛상판(45)에는 상면을 전체적으로 덮도록 된 커버패널(17)이 결합되거나 또는 지주(15)나 연결프레임(16)을 포함한 추가구조물(14)을 고정하기 위한 결합용판(49)이 구비되며;
    상기 유닛상판(45) 상에는 상기 커버패널(17)이나 결합용판(49)을 볼트체결하기 위한 너트체(5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면진장치.
KR1020220003971A 2022-01-11 2022-01-11 수평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면진장치 KR102470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971A KR102470550B1 (ko) 2022-01-11 2022-01-11 수평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면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971A KR102470550B1 (ko) 2022-01-11 2022-01-11 수평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면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0550B1 true KR102470550B1 (ko) 2022-11-25

Family

ID=84237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3971A KR102470550B1 (ko) 2022-01-11 2022-01-11 수평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면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055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0071A (ja) * 2003-07-04 2005-02-03 Kobe Steel Ltd 減衰機能付き転がり免震支承
KR20060075358A (ko) * 2004-12-28 2006-07-04 김성원 저 마찰 구름운동 진자받침
JP2006183406A (ja) * 2004-12-28 2006-07-13 Eisaku Hino ゴム体を使用した免震構造体及び該免震構造体による免震方法
KR20210029350A (ko) 2019-09-06 2021-03-16 주식회사 참솔테크 수평조절기능을 구비한 면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0071A (ja) * 2003-07-04 2005-02-03 Kobe Steel Ltd 減衰機能付き転がり免震支承
KR20060075358A (ko) * 2004-12-28 2006-07-04 김성원 저 마찰 구름운동 진자받침
JP2006183406A (ja) * 2004-12-28 2006-07-13 Eisaku Hino ゴム体を使用した免震構造体及び該免震構造体による免震方法
KR20210029350A (ko) 2019-09-06 2021-03-16 주식회사 참솔테크 수평조절기능을 구비한 면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7231B1 (ko) 면진 이중마루
KR102470550B1 (ko) 수평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면진장치
KR100761955B1 (ko) 내진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
JP6494401B2 (ja) 吊り天井補強構造
KR102422437B1 (ko) 높이 및 수평 조절구조를 구비한 면진이중마루
JP3804904B2 (ja) 三階建て住宅における耐力壁のブレース構造
JP3838160B2 (ja) 制震装置
KR102213521B1 (ko) 내진장치
KR102550227B1 (ko) 진열장용 면진받침시스템
JP2005207031A (ja) 二重床の施工方法
JP4023948B2 (ja) 制振装置
JPH10169241A (ja) 免震建物
KR101975474B1 (ko) 충격흡수가 가능한 모듈형 마루틀 시스템
JP2023131224A (ja) 制振装置の取付構造
JP6986806B1 (ja) 免震システム
KR101975475B1 (ko) 충격흡수 효과가 우수한 모듈형 마루틀 시스템
JP7458022B2 (ja) 電気設備用固定装置、電気設備システム、及び電気設備固定方法
JP6432784B2 (ja) 吊り天井の補強ブレース取付具
JP3339944B2 (ja) バルコニの取付け方法
JP7033019B2 (ja) 建物補強方法
JP4824979B2 (ja) 建物
JP3666659B2 (ja) 耐震補強金具
JP2009046855A (ja) 壁面構造
JPH07207787A (ja) 壁体パネルの取付方法、及び、その取付金具
JP2995214B2 (ja) 建築用パネル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