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9925B1 - 남성용 속옷 - Google Patents

남성용 속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9925B1
KR102469925B1 KR1020167033402A KR20167033402A KR102469925B1 KR 102469925 B1 KR102469925 B1 KR 102469925B1 KR 1020167033402 A KR1020167033402 A KR 1020167033402A KR 20167033402 A KR20167033402 A KR 20167033402A KR 102469925 B1 KR102469925 B1 KR 102469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stitching
tubular
stitched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3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508A (ko
Inventor
아담 프란츠
타샤 페리
Original Assignee
에치비아이 브랜디드 어패럴 엔터프라이지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치비아이 브랜디드 어패럴 엔터프라이지즈, 엘엘씨 filed Critical 에치비아이 브랜디드 어패럴 엔터프라이지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70002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9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9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2Drawers or underpants for men, with or without inserted crotch or seat parts
    • A41B9/023Drawers or underpants for men, with or without inserted crotch or seat parts with separate spaces for genital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43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upper parts of panties; pa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04Undergarments characterized by the crotch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2Drawers or underpants for men, with or without inserted crotch or 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14Waistbands forming part of the undergarments; Closure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04B1/108Gussets, e.g. pouches or heel or toe portio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2Under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내의는, 실질적으로 관형의 형상을 갖고 사용자의 몸통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된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본체의 앞면에 있는 주머니 구역과, 보유 바늘땀을 구비하는 바늘땀 구역을 포함하며, 상기 보유 바늘땀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주머니 구역의 경계를 이루는 것이고, 상기 바늘땀 구역은 상기 본체의 나머지 부분보다 가로방향으로 덜 신축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남성용 속옷{UNDERWEAR FOR MEN}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4년 5월 7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996,442호의 이익을 주장한다.
본원은 내의, 예를 들어 남성의 내의 또는 속옷에 관한 것이다.
내의는 다양한 형태로, 예컨대 남성의 사각 팬티(boxer), 남성의 삼각 팬티(brief), 및 박서 브리프 콤비네이션 등의 형태로 존재한다. 각 스타일은 착용감, 편안함 및 지탱성의 서로 다른 조합을 제공한다. 운동 또는 다른 체육 활동 중에, 속옷에 의해 불충분하게 지지될 때, 남성의 생식기의 움직임에 기인하여 불편함이 초래될 수 있다. 매일 입고 있는 동안에, 불편함에 의해, 내의가 신체 상에서 의도치 않게 이동하게 될 수 있고, 또는 직물의 영역이 모여들게 되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본원은 남성용 속옷에 관한 것이다.
특정 양태에는, 실질적으로 관형의 형상을 갖고 사용자의 몸통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된 본체를 구비하는 내의가 포함된다. 상기 본체는, 본체의 앞면에 있는 주머니(pouch) 구역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주머니 구역의 경계를 이루며, 상기 본체의 나머지 부분보다 가로방향으로 덜 신축하는 바늘땀 구역을 포함한다.
상기한 양태 및 그 밖의 양태는 하기의 특징들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관형의 환편(丸編) 직물로부터 형성된다. 상기 바늘땀 구역은 보유 바늘땀(held stitch)을 구비하고, 상기 보유 바늘땀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주머니 구역의 경계를 이루는 것이다. 상기 바늘땀 구역은, 상기 주머니 구역의 주변을 따라 있는 제1 바늘땀 영역과, 상기 주머니 구역과 상기 제1 바늘땀 영역의 사이에 있는 제2 바늘땀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바늘땀 영역은, 보유 바늘땀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바늘땀 영역보다 가로방향으로 덜 신축하는 것이다. 상기 제1 바늘땀 영역은 외부 바늘땀 영역과 내부 바늘땀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 바늘땀 영역은 상기 외부 바늘땀 영역보다 가로방향으로 덜 신축하는 것이다. 상기 외부 바늘땀 영역은 제1 고무짜기(rib) 구조체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바늘땀 영역은 더 넓은 제2 고무짜기 구조체를 구비한다. 상기 외부 바늘땀 영역의 제1 고무짜기 구조체는 1×1 고무짜기 구조체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바늘땀 영역의 제2 고무짜기 구조체는 4×1 고무짜기 구조체를 구비한다. 상기 주머니 구역에 상기 제2 바늘땀 영역에 인접하게 주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 바늘땀 영역은 보유 바늘땀의 패턴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는, 제1 관형 다리부와 이 제1 관형 다리부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2 관형 다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관형 다리부와 제2 관형 다리부는 상기 본체의 제1 단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제1 관형 다리부는 상기 본체의 제1 단부에서 제1 관형 다리부에 짜 넣어진 제1 다리 밴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관형 다리부는 상기 본체의 제1 단부에서 제2 관형 다리부에 짜 넣어진 제2 다리 밴드를 구비한다. 내의는, 상기 제1 단부의 반대편에 있는 상기 본체의 제2 단부에서 상기 본체에 부착되는 허리 밴드를 구비한다. 내의는, 상기 제1 관형 다리부 및 제2 관형 다리부의 내부 슬릿을 따라 바느질되어 있고, 상기 바늘땀 구역 및 상기 주머니 구역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느질되어 있는 가랑이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바늘땀 구역은, 상기 가랑이 부재와 상기 주머니 구역의 사이에 있는 제3 바늘땀 영역을 구비한다. 상기 제3 바늘땀 영역은 1×1 고무짜기 구조체를 구비한다.
특정 양태에는 내의 제조 방법이 포함되는데, 이 내의 제조 방법은, 내의의 본체를 형성하도록 관형 직물을 환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본체의 앞면에 있는 주머니 구역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주머니 구역의 경계를 이루는 바늘땀 구역으로서, 상기 본체의 나머지 부분보다 가로방향으로 덜 신축하는 것인 바늘땀 구역을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한 양태 및 그 밖의 양태는 하기의 특징들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늘땀 구역은 보유 바늘땀을 구비하고, 상기 보유 바늘땀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주머니 구역의 경계를 이루는 것이다. 상기 내의의 본체를 형성하도록 관형 직물을 환편하는 단계는, 상기 주머니 구역의 주변을 따라 있는 제1 바늘땀 영역과, 상기 주머니 구역과 상기 제1 바늘땀 영역의 사이에 있는 제2 바늘땀 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바늘땀 구역에서의 바늘땀 패턴을 선택적으로 변경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늘땀 영역은, 보유 바늘땀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바늘땀 영역보다 가로방향으로 덜 신축하는 것이다. 상기 내의의 본체를 형성하도록 관형 직물을 환편하는 단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주머니 구역의 경계를 이루는 보유 바늘땀을 형성하도록, 상기 바늘땀 구역에서의 바늘땀 패턴을 선택적으로 변경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보유 바늘땀은 상기 주머니 구역에 주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관형 직물의 환편 단계는, 상기 관형 직물의 제1 단부 상의 웰트(welt)로부터 관형 직물을 환편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내의 제조 방법은, 관형 직물에 한 쌍의 슬릿을 커팅하는 단계로서, 상기 슬릿은 관형 직물의 대향하는 둘레 위치에 커팅되어 있고 관형 직물의 제1 단부로부터 세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인 슬릿 커팅 단계와, 하나의 웰트로부터 다른 웰트까지 제2 관형 직물의 환편 단계와, 상기 제2 관형 직물에 있어서, 상기 제2 관형 직물의 길이에 걸쳐 있는 일부분을, 가랑이 부재를 형성하도록 커팅하는 단계로서, 상기 가랑이 부재는 웰팅된 단부를 구비하는 것인 단계, 그리고 먼저 언급된 관형 직물의 슬릿의 에지에 상기 가랑이 부재를 바느질하여 2개의 다리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양태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의를 제조하는 방법이 포함되는데, 이 내의 제조 방법은, 제1 관형 직물의 제1 단부에 있는 웰트로부터 제1 관형 직물의 환편 단계와, 제1 관형 직물에 한 쌍의 슬릿을 커팅하는 단계로서, 상기 슬릿은 제1 관형 직물의 대향하는 둘레 위치에 커팅되어 있고 제1 관형 직물의 제1 단부로부터 제1 관형 직물의 세로방향 길이를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인 슬릿 커팅 단계와, 제2 관형 직물의 제1 세로방향 단부에 있는 웰트로부터 제2 관형 직물의 제2 세로방향 단부에 있는 웰트까지 제2 관형 직물의 환편 단계와, 제2 관형 직물로부터 가랑이 부재를 커팅하는 단계로서, 상기 가랑이 부재는 제2 관형 직물의 세그먼트이고 제1 세로방향 단부에 있는 웰트로부터 제2 세로방향 단부에 있는 웰트까지 연장되는 것인 가랑이 부재 커팅 단계, 그리고 2개의 다리 개구를 만들기 위해 제1 관형 직물의 슬릿의 에지에 상기 가랑이 부재를 바느질하는 단계로서, 상기 가랑이 부재의 제1 세로방향 단부 상의 웰트와 제2 세로방향 단부 상의 웰트는 제1 관형 직물의 제1 단부 상의 웰트와 정렬되는 것인 가랑이 부재 바느질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양태 및 그 밖의 양태는 하기의 특징들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의 제조 방법은, 상기 다리 개구들의 반대편에서 제1 관형 직물에 허리 밴드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관형 직물의 환편 단계는, 보유 바늘땀의 영역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계가 정해지는 주머니를 만들도록 제1 관형 직물의 바늘땀 패턴을 선택적으로 변경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원에 기술된 청구 대상의 하나 이상의 구현예가 첨부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 상세히 후술되어 있다. 상기 청구 대상의 다른 특징, 양태 및 이점은 상세한 설명, 도면 및 청구범위를 통해 분명해질 것이다.
도 1과 도 2는 내의의 일례의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3은 내의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례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의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례의 흐름도이다.
여러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 및 부호는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본원은 남성용 내의, 예를 들어 내의의 사용자가 움직이는 (일상적인 활동, 운동, 및/또는 다른 움직임) 동안에 남성의 생식기를 지지하는 내의를 기술한다. 내의는, 예를 들어 내의의 직물의 선택 구역의 신축을 선택적으로 제한함으로써 남성의 생식기를 지지하도록, 가변적인 신축성을 갖는 직물의 무이음매 구역을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 지지형 내의는 환편 내의를 포함한다. 환편은, 편직물의 관형 직물을 만드는 종래의 편조 기술이다. 관형 직물에는, 의류를 완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마무리 프로세스가 행해질 수 있다. 환편 설비가 내의를 생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토니(Santoni) 컴패니는, 점점 커지고 있는 직경을 갖는 관형 직물을 편조하는 능력을 증가시킨 여러 환편기를 개발하였다. 경우에 따라, 환편 직물을 이용함으로써, 완성된 의류를 형성할 때 함께 재봉되는 개별 직물 조각의 수가 감소될 수 있다. 그 결과, 이음매의 수를 크게 줄인 의류가 만들어질 수 있다. 직물 조각과 이음매의 수를 감소함으로써, 의류는 착용자에게 더 편안해질 뿐만 아니라 더 비용 효과적으로 제조하게 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각각 내의(100)의 일례의 정면도와 배면도이다. 내의(100)의 일례가, 중간-허벅지 박서 브리프 스타일 내의로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내의(100)의 일례는 다양한 스타일(예컨대, 삼각 내의, 사각 내의, 트렁크 내의, 하위-허벅지 내의, 및/또는 그 밖의 스타일)을 취할 수 있다. 내의(100)의 일례는, 실질적으로 이음매가 없는 본체(102)와, 본체의 제1 단부에서 다리부(103)를 형성하도록 본체(102)에 바느질되는 가랑이 부재(104), 그리고 제1 단부의 반대편에 있는 본체(102)의 제2 단부에서 본체에 연결(예컨대, 접착, 바느질, 및/또는 다른 방식)되는 허리 밴드(106)를 포함한다. 본체(102)는 실질적으로 관형의 형상을 갖고, 본체(102)의 제2 단부에서 내의(100)의 일례의 사용자의 몸통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본체(102)의 제1 단부에서, 가랑이 부재(104)는, 각각의 다리부(103)에 실질적으로 관형의 형상을 제공하도록, 두 다리부(103) 사이에 걸쳐 있다. 본원에서, 세로방향은 본체(102)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즉, 허리 밴드(106)와 다리부(103) 사이에서 본체(102)를 따라] 실질적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서 규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로방향은 실질적으로 세로방향에 수직하게 본체(102)의 표면을 따라, 또는 표면에 대한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서 규정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본체(102)는 제1 환편 직물로 형성되고, 가랑이 부재(104)는 다른 방식의 제2 환편 직물로부터 커팅된다. 일반적으로, 내의(100)의 일례는, 제1 환편 직물, 또는 본체(102)에, 제1 단부의 둘레 주위의 2개의 대향 위치에서 슬릿을 형성함으로써 만들어질 수 있는데, 각 슬릿은 제1 직물의 길이의 일부분을 따라 [즉, 본체(102)의 제1 단부로부터]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가랑이 부재(104)는, 본체(102)의 제1 단부에 다리 개구를 각각 갖는 2개의 개별 다리부(103)를 형성하도록, 본체(102), 또는 제1 직물에 있는 슬릿의 에지를 따라 바느질된다. 다리 개구의 반대편에 있는, 본체(102)의 제2 단부는, 허리 밴드(106)에, 예컨대 바느질, 접착, 및/또는 다른 방법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허리 밴드(106)는 제1 환편 직물의 일부분으로서 형성된다. 일부 예에서, 허리 밴드(106)는 탄성 허리 밴드를 포함한다.
도 1과 도 2의 내의(100)의 일례는 남성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의(100)의 일례의 본체(102)는, 예를 들어 제1 관형 직물의 환편 프로세스 동안에, 본체(102)와 일체로 짜여지는 주머니(108)를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 주머니(108)는 개구를, 예를 들어 별도의 주머니의 직물 조각을 중첩하는 것에 의해 만들어지는 개구를 포함한다. 본체(102)는, 본체(102)의 앞면(예컨대, 앞쪽 중앙)에 있는 주머니 구역(108)과, (부분적으로, 실질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주머니 구역(108)의 경계를 이루며 제1 관형 직물에 일체로 짜 넣어진 바늘땀 구역(110)을 포함한다. 바늘땀 구역(110)은, 예를 들어 남성 사용자가 내의(100)를 입고 있을 때 움직이는 동안에 남성의 생식기를 주머니 구역(108) 내에서 지지하도록, 바늘땀 구역(110) 내의 영역의 (예컨대, 가로방향 및/또는 세로방향) 신축을 제한하는 선택적으로 선택된 가변 바늘땀 패턴을 바늘땀 구역(110) 내에 포함한다. 바늘땀 구역(110)은, 주머니 구역(108)의 일부분의 경계를 이루는 보유 바늘땀의 패턴을 포함한다. 보유 바늘땀의 패턴은, 내의(100)의 착용자의 남성 생식기를 위한 공간을 허용하는 주머니 구역(108)에 주름(111)(예컨대, 추가 본체 직물, 직물 절첩부, 직물의 구김부, 및/또는 다른 형태의 주름)을 형성한다. 도 1은 주름(111)이 실질적으로 주머니 구역(108)의 단부에 그리고 좌우 측부 상에 있는 것으로 도시하지만, 주름(111)은 (부분적으로, 실질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주머니 구역(108)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고, 및/또는 주머니 구역(108)의 서로 다른 또는 보다 큰 세로방향 길이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내의(100)의 일례의 바늘땀 구역(110)은, 주머니 구역(108)의 둘레를 따라 제1 바늘땀 영역을 포함한다. 제1 바늘땀 영역은, 주머니(108)의 주위에서 허리 밴드(106)로부터 가랑이 부재(104)를 향하여 대략 U자 형상으로 연장된다. 제1 바늘땀 영역은, 내의(100)의 전방 평면도(예컨대, 도 1의 내의의 정면도)에서 주머니 구역(108)에 대해 대략 2차원적 형상을 제공한다. 제1 바늘땀 영역은, 예를 들어 본체의 나머지 부분의 편조 구조에 비해 좁은 편조 구조로 인하여, 본체(102)의 나머지 부분보다 덜 신축한다. 예를 들어, 내의의 일례의 본체(102)는 주로 평편 구조 또는 저지 편성 구조일 수 있다. 주머니 구역(108)은, 본체(102)의 저지 패턴을 주머니 구역(108) 내의 저지 패턴으로부터 분리하는 바늘땀 구역(110)에 의해, 본체(102)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기술되어 있다. 본체(102)는 주로 저지 편성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지만, 다른 패턴들이 내의(100)의 대부분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의 내의(100)의 일례에서, 제1 바늘땀 영역은 외부 바늘땀 영역(112)과 내부 바늘땀 영역(114)을 구비하고, 내부 바늘땀 영역(114)은 외부 바늘땀 영역(112)보다 덜 신축하는 것이다. 경우에 따라, 내부 바늘땀 영역(114) 및 외부 바늘땀 영역(112)은 서로 다른 고무짜기 구조체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내부 바늘땀 영역(114)은 외부 바늘땀 영역(112)보다 넓은 고무짜기 구조체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내부 바늘땀 영역(114)은 4×1 고무짜기 구조체를 구비하고, 외부 바늘땀 영역(112)은 1×1 고무짜기 구조체를 구비한다. 바늘땀 구역(110)은 또한, 주머니 구역(108)과 제1 바늘땀 영역의 사이에 있는 제2 바늘땀 영역(116)을 구비하고, 제2 바늘땀 영역(116)은 주머니 구역(108)에 주름(111)을 형성하는 보유 바늘땀의 패턴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제2 바늘땀 영역(116)의 넓은 고무짜기 구조체로 인하여, 제2 바늘땀 영역(116)은 제1 바늘땀 영역보다 덜 신축한다[즉, 외부 바늘땀 영역(112) 및 내부 바늘땀 영역(114)보다 덜 신축한다]. 바늘땀 구역(110)의 내부 바늘땀 영역(114), 외부 바늘땀 영역(112), 및/또는 제2 바늘땀 영역(116)의 고무짜기 구조체는, 예를 들어 요망되는 영역의 신축에 의거하여 달라질 수 있다. 도 1과 도 2의 내의(100)의 일례에서, 외부 바늘땀 영역(112), 내부 바늘땀 영역(114) 및 제2 바늘땀 영역(116)의 가변 고무짜기 구조체는, 바늘땀 구역(110)의 외부 에지[예컨대, 외부 바늘땀 영역(112)]로부터, 바늘땀 구역(110)에 있어서 주머니 구역(108)에 인접한 내부 에지[예컨대, 제2 바늘땀 영역(116)]로의 가로방향 신축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신축 패턴을 형성한다. 경우에 따라, 바늘땀 구역(110)의 각 영역마다의 신축 제한의 방향은, 영역에 따라, 예를 들어 신축 제한의 방향에서, 다르다. 예를 들어, 외부 바늘땀 영역(112)과 내부 바늘땀 영역(114)은 실질적으로 가로방향으로의 신축을 제한할 수 있는 반면에, 제2 바늘땀 영역(116)은 실질적으로 세로방향으로의 신축을 제한한다.
내부 바늘땀 영역(114), 외부 바늘땀 영역(112) 및 제2 바늘땀 영역(116)의 고무짜기 편성 구조체는, 본체(102)의 나머지 부분과 주머니 구역(108)의 저지 편성 부분들과 비교하여, 내의(100)의 일례의 본체(102)의 가로방향 신축을 변경한다. 예를 들어, 바늘땀 패턴이 바늘들 중의 일부를 가로질러 떠가기 때문에, 골이 지게 짠 내부 바늘땀 영역(114)과 외부 바늘땀 영역(112)은, 저지 편성 부분들과 비교하여, 코스 방향(즉, 가로방향)에서의 회복력(예컨대, 탄성 회복, 탄성 복귀, 신축 복귀, 강성, 및/또는 다른 힘)이 증대된다. 주머니 구역(108)의 3차원적 형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공하는 주름(111)이 촉진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바늘땀 영역(116)에 의해 제공 또는 획정된다. 제2 바늘땀 영역(116)은, 예를 들어 내의(100)의 일례를 착용한 사용자의 체육 활동 중에, 남성의 생식기의 좌우방향(즉, 가로방향) 움직임을 제한하는 데 기여하도록, 내의(100)의 일례에 대한 지지를 추가한다. 이와 같이 본체(102)의 바늘땀 구역(110)에 있어서의 제한된 신축은, 제2 바늘땀 영역(116)에 있어서의 보유 바늘땀에 기초하여 좌우방향의 지지를 증가시킨다. 경우에 따라, 제2 바늘땀 영역(116)에 있어서의 보유 바늘땀의 보유 루프는 3개 내지 6개의 코스 동안 유지된다. 보유 바늘땀의 보유 루프는, 제2 바늘땀 영역(116)의 고무짜기 패턴과 조합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제2 바늘땀 영역(116)은, 보유 바늘땀을 형성하도록 수 개의 코스 동안 일부 루프를 유지하면서, 베이스 고무짜기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제2 바늘땀 영역(116)에 있어서의 보류 루프들은, 신축 저항이 훨씬 더 큰 부분을 제공한다. 특정 사례에서, 내의(100)는 수 개의 신축성 존을 갖는 것으로서 고려될 수 있는데, 본체(102)의 대부분은 제1 신축성(A)을 갖고, 외부 바늘땀 영역(112)은 제2 신축성(B)을 가지며, 내부 바늘땀 영역(114)은 제3 신축성(C)을 갖고, 제2 바늘땀 영역(116)은 제4 신축성(D)을 가지며, 여기서 A>B>C>D이다.
바늘땀 구역(110)은 추가적인 또는 다른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도 2의 내의(100)의 일례의 바늘땀 구역(110)은, 가랑이 부재(104)와 주머니 구역(108)의 사이에 있는 제3 바늘땀 영역(118)을 구비한다. 도 1과 도 2에서, 제3 바늘땀 영역(118)은, 본체(102)와 가랑이 부재(104)를 연결하는 이음매(120)에 인접하는 주머니 구역(108)의 맨 밑에 형성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 제3 바늘땀 영역(118)은, 외부 바늘땀 영역(112)과 유사한 고무짜기 패턴, 예컨대 1×1, 또는 다른 적절한 바늘땀 패턴을 포함함으로써, 올 풀림 가드 기능(예컨대, 직물 올 풀림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제3 바늘땀 영역(118)은, 주머니 구역(108)의 3차원적 형상에 기여할 수 있고, 바늘땀 영역(110)이 주머니 구역(108)에 제공하는 지지의 레벨에 기여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3 바늘땀 영역(118)의 고무짜기는 또한, 가랑이 부재(104)로의 전환이 보다 매끄럽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형상으로 본체(102)를 만들고 다리부(103)의 쌍의 교차부에 곡선 형상을 만든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사례에서, 제3 바늘땀 영역(118)은 내의(100)의 일례의 뒤쪽에서 유사하게 이음매(120)의 아크를 따라 위치해 있다. 경우에 따라, 제3 바늘땀 영역(118)은, 가로방향에서의 신축을 제한하는 제1 바늘땀 영역과 제2 바늘땀 영역(116)의 고무짜기 패턴과 비교하여, 세로방향에서의 신축을 제한하는 고무짜기 패턴을 포함한다.
내의(100)의 일례의 다리부(103)는 각각 본체(102)의 제1 단부에서 다리 밴드(12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신축(즉, 가로방향 신축)에 저항하고, 본체(102)의 대부분의 저지 편성과 비교하여, 증대된 힘, 또는 수축력을 제공하도록, 다리 밴드(122)에 고무짜기 편성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힘의 증가는, 내의(100)에 주름이 잡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다리 밴드(122)가 착용자의 다리를 따라서의 움직임을 저지하는 것에 기여할 수 있다. 각 다리 밴드(122)의 적어도 일부분이, 본체(102)를 형성하는 제1 관형 직물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각 다리 밴드(122)의 나머지 부분이, 가랑이 부재(104)용으로 사용되는 제2 직물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각 다리 밴드(122)에 있어서 일체를 이루는 부분은, 환편 프로세스 동안에 웰트(welt)로서 만들어진다. 각 웰트[즉, 다리 밴드(122)]는, 뒤집혀서 제2 층 상에 짜여지는 제1 층을 편성함으로써 생기는 이중층의 직물을 포함하는데, 제2 층은 계속해서 직물의 나머지 부분을 형성하는 것이다.
웰트가 환편 직물의 각 세로방향 단부에 형성될 수 있지만, 직물의 시작 단부에 짜 넣어지는 웰트가, 직물의 두 층이 만나는 곳에 더 깔끔하고 더 매끄러운 접합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관형 편성 직물로 만들어지는 종래의 무이음매 의류는 통상적으로, 1차 접합부가 허리 밴드의 단부에 있고 2차 접합부가, 만약 있다면, 다리 밴드의 단부에 있도록, 허리 밴드의 단부에서 먼저 편성되었다. 내의(100)의 제2 단부에서 허리 밴드(106)를 구비하는, 도 1과 도 2의 내의(100)의 일례에서, [즉, 본체(102)의 제1 단부에 있는] 제1 환편 직물의 제1 웰트가 다리 밴드(122)의 일부분으로서 사용되는데, 이 경우에 제1 관형 직물의 1차 접합부(124)가 허리 밴드(106)에 인접한 본체(102)의 제2 단부의 반대편인, 본체(102)의 제1 단부에 있다. 실제로, 도 1과 도 2의 내의(100)의 일례는 종래의 내의와 비교하여 보면 거꾸로 편성되어 있다. 내의(100)를 거꾸로 편성한 결과, 내의(100)가 다리부(103)의 다리 밴드(122)에서 착용자에 보다 잘 유지되는 데, 이는 다리 밴드(122)에 이용 가능한 힘이 더 크기 때문이다. 또한, 1차 접합부(124)가 본체(102)의 다리 밴드(122)를 따라 있어서, 말아 감는 경향이 있는 잉여 트림-오프부가 최소화되기 때문에, 다리 밴드(122)에서 편안함이 향상된다.
다리 밴드(122)는 또한, 가랑이 부재(104) 내에서 다리 밴드(122)의 부분을 따라 있는 가랑이 접합부(126)를 포함한다. 가랑이 부재(104)는 제2 환편 직물의 양단부에 웰트를 갖는 제2 환편 직물로부터 형성되므로, 가랑이 부재(104)는 제1 단부에 있고 1차 접합부를 갖는 제1 웰트와, 반대편의 제2 단부에 있고 2차 접합부를 갖는 제2 웰트를 구비한다. 따라서, 다리 밴드(122)들 중의 어느 하나에 있는 가랑이 접합부(126)는 1차 접합부(즉, 제1 편성 웰트)이고, 다리 밴드(122)들 중의 다른 하나에 있는 가랑이 접합부(126)는 2차 접합부(즉, 제2 편성 웰트)이다. 이음매(120)는, 다리 밴드(122)에 있어서 제1 관형 직물[즉, 본체(102)]의 웰트로 형성된 부분을, 다리 밴드(122)에 있어서 제2 관형 직물[즉, 가랑이 부재(104)]의 웰트로 형성된 부분에 연결한다. 가랑이 부재(104)의 1차 접합부 및/또는 2차 접합부와 연관되어 있는 가랑이 접합부(126)에 트림-오프부가 존재할 수 있다. 단일 다리 밴드(122)에 있어서 가랑이 부재(104)의 2차 접합부와 연관되어 있는 소규모의 둘레부에만 트림-오프부가 존재하기 때문에, 내의(100)의 일례 전체에 대하여 트림-오프부가 최소화된다. 경우에 따라, 트림-오프부는 가랑이 접합부(126)의 1차 접합부의 어떠한 부분의 주위에도 존재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 환편 직물은 각 단부에 형성된 웰트를 구비하여 편성될 수 있지만, 제1 단부의 웰트만이 트림-오프부 없이 형성된다.
내의(100)의 일례는 엘라스토머 편직물 또는 신축성 편직물로 편성될 수 있다. 이러한 편직물은, 예를 들어 부드러움, 편안함 및 소기의 신축 특성을 제공하도록, 면,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및/또는 스판덱스 사의 각양각색의 조합들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3은 내의, 예를 들어 도 1과 도 2의 내의(100)의 일례를 제조하는 방법(200)의 일례를 기술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202에서는, 내의의 본체를 형성하도록 관형 직물을 환편하는데, 상기 내의의 본체는 본체의 앞면에 있는 주머니 구역과, 보유 바늘땀을 구비하는 바늘땀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보유 바늘땀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주머니 구역의 경계를 이루는 것이며, 상기 바늘땀 구역은 상기 본체의 나머지 부분보다 가로방향으로 덜 신축하는 것이다.
도 4는 내의, 예를 들어 도 1과 도 2의 내의(100)의 일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조하는 방법(300)의 일례를 기술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302에서는, 제1 관형 직물의 제1 단부에 있는 웰트로부터 시작되는 제1 관형 직물이 환편된다. 단계 304에서는, 제1 관형 직물에 한 쌍의 슬릿이 커팅되는데, 상기 슬릿은 제1 관형 직물의 대향하는 둘레 위치에 커팅되어 있고 제1 관형 직물의 제1 단부로부터 제1 관형 직물의 세로방향 길이를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다. 단계 306에서는, 제2 관형 직물의 제1 세로방향 단부와 제2 세로방향 단부에 있는 웰트로부터 시작되고 웰트에서 끝나는 제2 관형 직물이 환편된다. 단계 308에서는, 제2 관형 직물로부터 가랑이 부재가 커팅되는데, 상기 가랑이 부재는 제2 관형 직물의 세그먼트이고 제1 세로방향 단부에 있는 웰트로부터 제2 세로방향 단부에 있는 웰트까지 연장되는 것이다. 단계 310에서는, 2개의 다리 개구를 만들기 위해 제1 관형 직물의 슬릿의 에지에 상기 가랑이 부재가 바느질되는데, 상기 가랑이 부재의 제1 세로방향 단부 상의 웰트와 제2 세로방향 단부 상의 웰트는 제1 관형 직물의 제1 단부 상의 웰트와 정렬되는 것이다.
여러 구현예를 기술하였다. 그렇지만, 본원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다양한 변형이 실시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Claims (27)

  1. 팬티(underpants)로서,
    관형의 형상을 갖고 사용자의 몸통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앞면에 있는 주머니(pouch) 구역; 및
    상기 주머니 구역에 주름을 형성하는 보유 바늘땀(held stitch)을 포함하는 바늘땀(stitch) 구역으로서, 상기 보유 바늘땀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주머니 구역의 경계를 이루고, 상기 바늘땀 구역은 상기 본체의 나머지 부분보다 가로방향으로 덜 신축하는 것인 바늘땀 구역
    을 포함하고,
    상기 바늘땀 구역은, 상기 주머니 구역의 주변을 따라 있는 제1 바늘땀 영역과, 상기 주머니 구역과 상기 제1 바늘땀 영역의 사이에 있는 제2 바늘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보유 바늘땀은 상기 제2 바늘땀 영역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바늘땀 영역은 상기 제1 바늘땀 영역보다 가로방향으로 덜 신축하는 것인 팬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관형의 환편(丸編) 직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인 팬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늘땀 영역은 외부 바늘땀 영역과 내부 바늘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바늘땀 영역은 상기 외부 바늘땀 영역보다 가로방향으로 덜 신축하는 것인 팬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바늘땀 영역은 제1 고무짜기(rib)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바늘땀 영역은 더 넓은 제2 고무짜기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인 팬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바늘땀 영역의 제1 고무짜기 구조체는 1×1 고무짜기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바늘땀 영역의 제2 고무짜기 구조체는 4×1 고무짜기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인 팬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 구역에 상기 제2 바늘땀 영역에 인접하게 주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 바늘땀 영역은 보유 바늘땀의 패턴을 포함하는 것인 팬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제1 관형 다리부와 이 제1 관형 다리부에 평행한 제2 관형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관형 다리부와 제2 관형 다리부는 상기 본체의 제1 단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것인 팬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형 다리부는 상기 본체의 제1 단부에서 제1 관형 다리부에 짜 넣어진 제1 다리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관형 다리부는 상기 본체의 제1 단부에서 제2 관형 다리부에 짜 넣어진 제2 다리 밴드를 포함하는 것인 팬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형 다리부 및 제2 관형 다리부의 안쪽 슬릿을 따라 바느질되어 있고, 상기 바늘땀 구역 및 상기 주머니 구역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느질되어 있는 가랑이 부재를 더 포함하는 팬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땀 구역은, 상기 가랑이 부재와 상기 주머니 구역의 사이에 있는 제3 바늘땀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팬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바늘땀 영역은 1×1 고무짜기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인 팬티.
  12. 팬티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팬티의 본체를 형성하도록 관형 직물을 환편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앞면에 있는 주머니 구역; 및
    상기 주머니 구역에 주름을 형성하는 보유 바늘땀을 포함하는 바늘땀 구역으로서, 상기 보유 바늘땀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주머니 구역의 경계를 이루고, 상기 바늘땀 구역은 상기 본체의 나머지 부분보다 가로방향으로 덜 신축하는 것인 바늘땀 구역
    을 포함하고,
    상기 팬티의 본체를 형성하도록 관형 직물을 환편하는 단계는, 상기 주머니 구역의 주변을 따라 있는 제1 바늘땀 영역과, 상기 주머니 구역과 상기 제1 바늘땀 영역의 사이에 있는 제2 바늘땀 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바늘땀 구역에서의 바늘땀 패턴을 선택적으로 변경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늘땀 영역은, 보유 바늘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바늘땀 영역보다 가로방향으로 덜 신축하는 것인 팬티의 제조 방법.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팬티의 본체를 형성하도록 관형 직물을 환편하는 단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주머니 구역의 경계를 이루는 보유 바늘땀을 형성하도록, 상기 바늘땀 구역에서의 바늘땀 패턴을 선택적으로 변경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보유 바늘땀은 상기 주머니 구역에 주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인 팬티의 제조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관형 직물을 환편하는 단계는, 제1 관형 직물의 제1 단부 상의 웰트(welt)로부터 제1 관형 직물을 환편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팬티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1 관형 직물에 한 쌍의 슬릿을 커팅하는 단계로서, 상기 슬릿은 상기 제1 관형 직물의 대향하는 둘레 위치에 커팅되어 있고 상기 제1 관형 직물의 제1 단부로부터 세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인 슬릿 커팅 단계;
    하나의 웰트로부터 다른 웰트까지 제2 관형 직물을 환편하는 단계;
    상기 제2 관형 직물에 있어서, 상기 제2 관형 직물의 길이에 걸쳐 있는 일부분을, 가랑이 부재를 형성하도록 커팅하는 단계로서, 상기 가랑이 부재는 웰팅된 단부를 포함하는 것인 단계; 및
    상기 제1 관형 직물의 슬릿의 에지에 상기 가랑이 부재를 바느질하여 2개의 다리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팬티의 제조 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팬티로서,
    관형의 형상을 갖고 사용자의 몸통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된 본체로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앞면에 있는 주머니 구역;
    짜여져 있는(knitted) 바늘땀 구역으로서, 보유 바늘땀은 상기 바늘땀 구역에 위치되고, 상기 보유 바늘땀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주머니 구역의 경계를 이루고, 상기 바늘땀 구역은 상기 본체의 나머지 부분보다 가로방향으로 덜 신축하는 것인 바늘땀 구역; 및
    제1 관형 다리부와 이 제1 관형 다리부에 평행한 제2 관형 다리부로서, 상기 본체의 제1 단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것인 제1 관형 다리부와 제2 관형 다리부
    를 포함하는 것인 본체; 및
    상기 제1 관형 다리부 및 제2 관형 다리부의 안쪽 슬릿을 따라 바느질되어 있고, 상기 바늘땀 구역 및 상기 주머니 구역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느질되어 있는 가랑이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바늘땀 구역은, 상기 주머니 구역의 주변을 따라 있는 제1 바늘땀 영역과, 상기 주머니 구역과 상기 제1 바늘땀 영역의 사이에 있는 제2 바늘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늘땀 영역은, 보유 바늘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바늘땀 영역보다 가로방향으로 덜 신축하는 것인 팬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관형의 환편 직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인 팬티.
  21. 삭제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늘땀 영역은 외부 바늘땀 영역과 내부 바늘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바늘땀 영역은 상기 외부 바늘땀 영역보다 가로방향으로 덜 신축하는 것인 팬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바늘땀 영역은 제1 고무짜기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바늘땀 영역은 더 넓은 제2 고무짜기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인 팬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바늘땀 영역의 제1 고무짜기 구조체는 1×1 고무짜기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바늘땀 영역의 제2 고무짜기 구조체는 4×1 고무짜기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인 팬티.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 구역에 상기 제2 바늘땀 영역에 인접하게 주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 바늘땀 영역은 보유 바늘땀의 패턴을 포함하는 것인 팬티.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땀 구역은, 상기 가랑이 부재와 상기 주머니 구역의 사이에 있는 제3 바늘땀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팬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바늘땀 영역은 1×1 고무짜기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인 팬티.
KR1020167033402A 2014-05-07 2015-05-07 남성용 속옷 KR1024699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96442P 2014-05-07 2014-05-07
US61/996,442 2014-05-07
PCT/US2015/029749 WO2015171933A1 (en) 2014-05-07 2015-05-07 Underwear for m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508A KR20170002508A (ko) 2017-01-06
KR102469925B1 true KR102469925B1 (ko) 2022-11-22

Family

ID=53268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3402A KR102469925B1 (ko) 2014-05-07 2015-05-07 남성용 속옷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10053804B2 (ko)
EP (2) EP3139777B1 (ko)
JP (2) JP6759107B2 (ko)
KR (1) KR102469925B1 (ko)
CN (2) CN110292215B (ko)
AU (1) AU2015255878B2 (ko)
BR (1) BR112016025978B1 (ko)
CA (1) CA2946600C (ko)
ES (1) ES2774999T3 (ko)
MX (1) MX364368B (ko)
WO (1) WO20151719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68830A1 (en) * 2012-06-04 2014-03-13 Jeremy Johnson Low friction garment
KR20130028131A (ko) * 2013-02-21 2013-03-18 오길영 남성용 기능성 팬티
KR102469925B1 (ko) * 2014-05-07 2022-11-22 에치비아이 브랜디드 어패럴 엔터프라이지즈, 엘엘씨 남성용 속옷
CN105533813B (zh) * 2016-01-11 2017-09-05 胡水全 一种无缝痕男性内裤及其制造方法
US20170290374A1 (en) * 2016-04-06 2017-10-12 Nike, Inc. Lower Torso Garment
JP7171440B2 (ja) 2016-04-14 2022-11-15 エイチビーアイ ブランデッド アパレル エンタープライゼズ,エルエルシー サポート要素付き下半身衣類
US10294593B2 (en) * 2017-03-20 2019-05-21 Hbi Branded Apparel Enterprises, Llc Shapewear garment with mesh regions
EP3681326B1 (en) 2017-09-14 2024-04-24 HBI Branded Apparel Enterprises, LLC Shapewear garment with mesh regions
EP3552506B1 (de) * 2018-04-09 2020-10-21 Evgeny Polynski Unterleibsbekleidung
US11421355B2 (en) 2018-06-15 2022-08-23 Nike, Inc. Tool for design and fabrication of knitted components
US20190387809A1 (en) * 2018-06-21 2019-12-26 Tasha R. Perry Underwear for males
USD893831S1 (en) 2018-06-21 2020-08-25 Hbi Branded Apparel Enterprises, Llc Underwear
US11653705B2 (en) * 2019-01-28 2023-05-23 Mccombs Tyler Undergarment for a male wearer
IT201900009507A1 (it) * 2019-06-19 2020-12-19 Santoni & C Spa Macchina per la realizzazione di boxer
JP7272147B2 (ja) 2019-07-05 2023-05-12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非鉄金属の電解精錬方法
KR102350975B1 (ko) * 2019-09-11 2022-01-14 김경일 드로즈 팬티
CN110644125B (zh) * 2019-09-18 2020-11-06 斓帛职业培训学校(桐乡)有限公司 全成型裤裆开口重叠的编织方法
USD919232S1 (en) 2020-04-17 2021-05-18 C. Stein Men's boxer briefs
US20220079250A1 (en) * 2020-09-15 2022-03-17 Bombas LLC Underwear with pouch with curved double darts
WO2022103334A1 (en) * 2020-11-12 2022-05-19 Mas Innovation (Private) Limited Seamlessly knitted structure and a male garment comprising the same
USD953694S1 (en) * 2020-12-11 2022-06-07 zhengzhouaozhilaishangmaoyouxiangongsi Men's underwear
USD1027378S1 (en) * 2022-08-26 2024-05-21 Gunder LLC Underwear with pockets for padding elemen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3010A (ja) * 2009-03-04 2010-09-16 Gunze Ltd 成型衣類及び該衣類を用いた男性用下半身衣類
JP2017025450A (ja) 2015-07-24 2017-02-02 株式会社ワコール 男性用ボトム衣類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0073A (en) * 1932-04-21 1935-05-07 Julius Kayser & Co Body garment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255931A (en) * 1939-11-27 1941-09-16 Utica Knitting Company Man's underwear
US2623210A (en) * 1948-03-26 1952-12-30 Munsingwear Inc Man's undergarment
US2636368A (en) * 1950-10-19 1953-04-28 Munsingwear Inc Garment having a resilient section
US2717388A (en) * 1953-08-11 1955-09-13 Munsingwear Inc Undergarment
US3312981A (en) * 1963-11-22 1967-04-11 Johnson & Johnson Nether garment
US3283545A (en) * 1964-09-21 1966-11-08 Men's brief-type undergarment
IT982085B (it) * 1973-04-05 1974-10-21 Billi Spa Procedimento per la formazione di un manufatto a calza mutanda del tipo a pezzo unico su una macchina circolare da maglieria e da calze in specie e prodotto relativo
US3946579A (en) * 1973-12-10 1976-03-30 Bear Brand Hosiery Co. One-piece panty and method of manufacture
US4527403A (en) * 1984-08-06 1985-07-09 Hosiery Maufacturing Corp. Of Morganton Circular knit panty and method
US4722202A (en) * 1986-02-06 1988-02-02 Nantucket Industries, Inc. Knitted brief and method making same
US4811427A (en) * 1987-09-03 1989-03-14 Paul Regan Athletic garment for protecting genital area
US5131100A (en) * 1991-07-26 1992-07-21 Royal Textile Mills, Inc. Athletic compression shorts
JP2552601Y2 (ja) * 1993-04-30 1997-10-29 株式会社ワコール 男性用下半身衣類
US5611722A (en) * 1995-02-03 1997-03-18 Alba-Waldensian, Inc. Panty having knit-in buttock lift and separation
US5787512A (en) * 1996-02-28 1998-08-04 Alba-Waldensian, Inc. Maternity garment, blanks and method for making same
IT1284437B1 (it) * 1996-04-22 1998-05-21 Lonati Spa Procedimento per la realizzazione di manufatti tubolari, particolarmente per la produzione di calze, o altri capi di
US6287169B1 (en) * 1997-11-13 2001-09-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Garment for use with an absorbent article
US6041441A (en) * 1998-05-20 2000-03-28 Counts; Paulette M. Athletic trousers
US6192717B1 (en) * 2000-06-08 2001-02-27 Alba-Waldensian, Inc. Method and tubular blank for making substantially seamless garments
AU2001273507A1 (en) * 2000-10-05 2002-04-15 Alba-Waldensian, Inc. Garments assembled without sewing
FR2852611B1 (fr) * 2003-03-19 2005-05-27 Article de lingerie calecon-boxer
US7100213B2 (en) * 2003-09-05 2006-09-05 Krautbauer Robert A Undergarment system
US7216371B2 (en) * 2004-01-12 2007-05-15 Ez Gard Industries, Inc. Jock support short
JP4018682B2 (ja) * 2004-09-21 2007-12-05 株式会社アシックス スパッツ
US7155940B1 (en) * 2005-03-15 2007-01-02 Hbi Branded Apparel Enterprises, Llc Three-piece panty garment and methods of making
US7559216B2 (en) * 2005-03-15 2009-07-14 Hbi Branded Apparel Enterprises, Llc Three-piece panty garment and methods of making
CZ2005293A3 (cs) * 2005-05-09 2006-12-13 Pletený výrobek
ITMI20051189A1 (it) * 2005-06-23 2006-12-24 Santoni & C Spa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manufatti a maglia con macchine circolari per maglieria particolarmente con macchine circolari ad elevata finezza
JP4908001B2 (ja) * 2006-01-25 2012-04-04 グンゼ株式会社 袋編みによる開口部を有する衣類
GT200600424A (es) * 2006-03-09 2009-08-11 Prenda remodeladora de tejido graduado sin costuras
JP4849675B2 (ja) * 2006-09-11 2012-01-11 富士紡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男性用下着とその製造方法
US7260961B1 (en) * 2006-11-02 2007-08-28 Amanda Kennedy Circularly knit undergarment having knit-in support panels and derriere cup fullness
CA2615227C (en) * 2007-01-25 2010-01-05 Saxx Apparel Ltd. Underwear garment for a male
JP4786566B2 (ja) * 2007-02-13 2011-10-05 株式会社ワコール 男性用ボクサーパンツ
CZ18132U1 (cs) * 2007-10-16 2007-12-17 Andó@Ján Pletený výrobek
JP3145169U (ja) * 2008-06-30 2008-10-02 政治 木村 高機能男性用下着
IT1393325B1 (it) 2008-08-18 2012-04-20 Campedelli Capo di abbigliamento anatomico con sistema di cuciture perfezionato.
CN102750635A (zh) * 2011-04-22 2012-10-24 东莞市臻荣制衣有限公司 内裤设计系统及应用该系统的内裤设计方法
CN102669825A (zh) 2012-06-10 2012-09-19 海宁市伊丽特针织有限公司 一种无缝男式平角短裤及其制作方法
EP2893729B1 (en) 2012-09-07 2017-11-08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Usage control for a subscriber group
DE102012110104A1 (de) * 2012-10-16 2014-06-12 BLüCHER GMBH Unterwäsche mit ballistischer Ausrüstung
KR20140063939A (ko) * 2012-11-19 2014-05-28 유제우 외부 x자형 패턴 남성 분리 팬티
FR2998139B1 (fr) * 2012-11-20 2015-01-30 Dbapparel Operations Boxer tricote a fond d'entrejambe ameliore et son procede de confection
FR3007626B1 (fr) * 2013-06-26 2015-07-17 Dbapparel Operations Sous-vetement tricote elastique masculin
KR102469925B1 (ko) * 2014-05-07 2022-11-22 에치비아이 브랜디드 어패럴 엔터프라이지즈, 엘엘씨 남성용 속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3010A (ja) * 2009-03-04 2010-09-16 Gunze Ltd 成型衣類及び該衣類を用いた男性用下半身衣類
JP2017025450A (ja) 2015-07-24 2017-02-02 株式会社ワコール 男性用ボトム衣類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320118A1 (en) 2015-11-12
JP2017515006A (ja) 2017-06-08
BR112016025978B1 (pt) 2021-12-28
JP7048689B2 (ja) 2022-04-05
AU2015255878B2 (en) 2019-07-11
EP3649877A1 (en) 2020-05-13
EP3139777B1 (en) 2019-12-25
US10400368B2 (en) 2019-09-03
ES2774999T3 (es) 2020-07-23
CA2946600C (en) 2022-07-12
CN106793838B (zh) 2019-07-30
US20180327942A1 (en) 2018-11-15
AU2015255878A1 (en) 2016-11-03
BR112016025978A2 (pt) 2018-11-27
CN106793838A (zh) 2017-05-31
JP2020204145A (ja) 2020-12-24
JP6759107B2 (ja) 2020-09-23
WO2015171933A1 (en) 2015-11-12
MX364368B (es) 2019-04-24
CN110292215A (zh) 2019-10-01
EP3139777A1 (en) 2017-03-15
KR20170002508A (ko) 2017-01-06
MX2016014575A (es) 2017-05-04
CN110292215B (zh) 2021-07-27
CA2946600A1 (en) 2015-11-12
US10053804B2 (en) 2018-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9925B1 (ko) 남성용 속옷
EP2971306B1 (en) Circularly knitted garment
US7024892B2 (en) Two-ply body-smoothing undergarment
US20070199134A1 (en) Hosiery Garmen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519894A (en) Panty garment
US20150033448A1 (en) Control Top Pantyhose
JP2007509253A (ja) シームレスニット衣服
JP2018178312A (ja) ボトム衣類
WO2012023208A1 (ja) ショーツ等の衣料
JP4060260B2 (ja) インナー・ウェア
GB2342846A (en) A garment
JP2007197856A (ja) ニット衣料
JP3153899U (ja) 男性用ボクサー下着
JP2020105668A (ja) 下半身用下着
JP2005226179A (ja) パンツ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144295A (ja) 立体編み部付き衣類
JP2011179141A (ja) 男性用下半身衣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