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8054B1 - 내마모성과 내식성이 우수한 용접이음부 - Google Patents

내마모성과 내식성이 우수한 용접이음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8054B1
KR102468054B1 KR1020200155803A KR20200155803A KR102468054B1 KR 102468054 B1 KR102468054 B1 KR 102468054B1 KR 1020200155803 A KR1020200155803 A KR 1020200155803A KR 20200155803 A KR20200155803 A KR 20200155803A KR 102468054 B1 KR102468054 B1 KR 102468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ed joint
corrosion resistance
less
corrosion
excl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5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8728A (ko
Inventor
정성훈
김연수
최기용
이봉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고려용접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고려용접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00155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8054B1/ko
Publication of KR20220068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8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8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8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6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lead, selenium, tellurium, or antimony, or more than 0.04% by weight of sulf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23K35/3053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obal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2Bai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onmetallic Weld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크 용접하여 얻은 용접이음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마모성과 내식성이 우수한 용접이음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마모성과 내식성이 우수한 용접이음부 {WELDED JOINT HAVING EXCELLENT WEAR RESISTANCE AND CORROSION RESISTANCE}
본 발명은 아크 용접하여 얻은 용접이음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마모성과 내식성이 우수한 용접이음부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력 발전소 환경 설비의 탈황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설비 관련 연구들이 지속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탈황 설비 전단 및 후단의 열교환 장치인 Gas Gas Heater (GGH)에 적용되는 소재의 개발이다.
기존 GGH는 전기 집진기 후단에 위치하였으나, 최근 GGH는 전기 집진기 전단 일부에도 배치되는데, 이때 충분히 제거되지 못한 더스트들에 의한 침식에 따른 부식뿐만 아니라 마모에 따른 부식도 발생한다. 이로 인해, 탈황 설비에 사용되는 강재로서 고강도와 더불어 내마모성, 내식성을 동시에 향상시킨 강재가 개발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강재는 실 환경에서의 적용을 위해 용접이 요구됨에 따라 용접 후 형성되는 용접부, 특히 용접이음부의 물성 확보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상기 내마모성, 내식성이 향상된 강재에 맞춰 용접이음부 역시 내식성 및 내마모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98511호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합금조성 및 미세조직을 제어하여 내마모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용접이음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과제는 본 명세서의 내용 전반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부가적인 과제를 이해하는데 아무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중량%로, 탄소(C): 0.01~0.08%, 실리콘(Si): 0.3~0.9%, 망간(Mn): 0.8~1.6%, 인(P): 0.02% 이하(0% 제외), 황(S): 0.2% 이하(0% 제외), 니켈(Ni): 0.1~0.7%, 구리(Cu): 0.2~0.5%, 코발트(Co): 0.03~0.2%, 몰리브덴(Mo): 0.1~0.7%, 안티몬(Sb): 0.2% 이하(0% 제외), 티타늄(Ti): 0.01~0.1%, 주석(Sn): 0.01~0.3%, 나머지 Fe와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내마모성과 내식성이 우수한 용접이음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온 인장강도뿐만 아니라, 황산에 대한 내부식 특성이 우수한 용접이음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발명예에 해당하는 용접이음부의 미세조직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내식성 시험시 사용된 용접부 부식 시편의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최근 화석 발전소에 적용되고 있는 강재 특히, 내마모성과 내부식성이 우수한 강재의 적용이 확대됨에 따라, 이러한 강재의 용접시 형성되는 용접이음부도 모재와 유사 수준의 물성을 가질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깊이 연구하였다.
그 결과, 용접이음부의 합금조성과 미세조직을 최적화함으로써 상온 인장강도와 내식성이 우수한 용접이음부를 형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용접이음부는 중량%로, 탄소(C): 0.01~0.08%, 실리콘(Si): 0.3~0.9%, 망간(Mn): 0.8~1.6%, 인(P): 0.02% 이하(0% 제외), 황(S): 0.2% 이하(0% 제외), 니켈(Ni): 0.1~0.7%, 구리(Cu): 0.2~0.5%, 코발트(Co): 0.03~0.2%, 몰리브덴(Mo): 0.1~0.7%, 안티몬(Sb): 0.2% 이하(0% 제외), 티타늄(Ti): 0.01~0.1%, 주석(Sn): 0.01~0.3%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용접이음부의 합금조성을 위와 같이 제한하는 이유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각 원소의 함량은 중량을 기준으로 하며, 분율은 면적을 기준으로 한다.
탄소(C): 0.01~0.08%
탄소(C)는 용접이음부의 강도를 확보하는 데에 유리한 원소로서, 그 함량이 0.01% 미만이면 목표 수준의 강도를 확보할 수 없게 된다. 반면, 그 함량이 0.08%를 초과하게 되면 황산에 대한 부식성이 크게 저하되며, 특히 용접금속부의 경화도를 증가시켜 용접부 균열 발생을 조장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C는 0.01~0.08%로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유리하게는 0.02% 이상, 0.07%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실리콘(Si): 0.3~0.9%
실리콘(Si)은 용융금속 내에서 슬래그(slag)를 형성하여 용융금속을 대기로부터 보호하며, 용접금속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데에 유리한 원소이다. 상술한 효과를 충분히 얻기 위해서는 0.3% 이상으로 Si을 첨가할 수 있으나, 그 함량이 0.9%를 초과하게 되면 황산에 대한 부식 특성이 열위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Si은 0.3~0.9%로 포함할 수 있다.
망간(Mn): 0.8~1.6%
망간(Mn)은 용접이음부의 상온 강도 향상에 유리한 원소로서, 이를 위해서는 0.8% 이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그 함량이 1.6%를 초과하게 되면 슬래그 점성이 저하되어 용접비드(bead) 형상이 나빠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Mn은 0.8~1.6%로 포함할 수 있다.
인(P): 0.02% 이하(0% 제외)
인(P)은 함량이 높을수록 강도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그 함량이 과도하여 0.02%를 초과하는 경우 용접이음부의 고온 균열을 조장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P은 0.02% 이하로 포함할 수 있으며, 불가피하게 첨가되는 수준을 고려하여 0%는 제외할 수 있다.
황(S): 0.2% 이하(0% 제외)
황(S)은 강 중 Cu와 결합하여 CuS 안정막을 형성시킴으로써 황산에 대한 부식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그 함량이 0.2%를 초과하게 되면 용접이음부 고온 균열을 조장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S은 0.2% 이하로 포함할 수 있으며, 0%는 제외할 수 있다.
보다 유리하게는 용접이음부 부식성 향상 측면에서 최소 0.005%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니켈(Ni): 0.1~0.7%
니켈(Ni)은 용접이음부의 내식성 향상을 위해 첨가하는 원소이나, 그 함량이 과도할 경우 오히려 황산에 대한 내식성이 현저히 저하될 우려가 있고, 고가의 원소로 제조비용이 크게 상승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0.7%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Ni을 최대 0.7%로 포함함에 의해 표면이 양호하고 내식성이 향상된 용접이음부를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Ni의 함량이 0.1% 미만이면 내식성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Ni은 0.1~0.7%로 포함할 수 있다.
구리(Cu): 0.2~0.5%
구리(Cu)는 황산에 대한 부식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데에 유리한 원소로서, 이러한 효과를 충분히 얻기 위해서는 0.2% 이상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그 함량이 0.5%를 초과하게 되면 Cu 첨가에 의한 내식성 향상 효과가 포화되고, 용접부의 재열 균열(reheating crack)을 유발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Cu는 0.2~0.5%로 포함할 수 있다.
코발트(Co): 0.03~0.2%
코발트(Co)는 상기 Cu와 더불어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유리한 원소로서, 상기 Cu 단독 첨가에 비해 Co와의 복합 첨가시 내식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를 충분히 얻기 위해서는 0.03% 이상으로 Co을 함유하는 것이 유리하나, 그 함량이 0.2%를 초과하게 되면 내식성 향상 효과가 포화되고, 원가 상승의 원인이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Co는 0.03~0.2%로 포함할 수 있다.
몰리브덴(Mo): 0.1~0.7%
몰리브덴(Mo)은 용접이음부 강도 향상에 유리한 원소로서, 목표 수준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0.1% 이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반면, 그 함량이 0.7%를 초과하게 되면 황산에 대한 부식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Mo은 0.1~0.7%로 포함할 수 있다.
안티몬(Sb): 0.2% 이하(0% 제외)
안티몬(Sb)은 황산에 대한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유리한 원소로서, 상술한 Cu 및 Co와 복합 첨가시 그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다만, 그 함량이 0.2%를 초과하게 되면 용접비드 형상이 불량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Sb는 0.2% 이하로 포함할 수 있으며, 0%는 제외한다. 보다 유리하게는, 0.01% 이상으로 Sb을 포함할 수 있다.
티타늄(Ti): 0.01~0.1%
티타늄(Ti)은 석출물을 형성하여 강도 및 내마모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이러한 Ti의 함량이 0.01% 미만이면 석출물이 충분히 형성되지 못하게 되어 강도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반면 그 함량이 0.1%를 초과하게 되면 TiC가 과도하게 형성되어 크랙(crack)이 유발되거나, 산화물 형성에 의해 표면 불량이 야기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Ti은 0.01~0.1%로 포함할 수 있다.
주석(Sn): 0.01~0.3%
주석(Sn)은 상기 Cu, Sb와 같이 표면에 안정한 농화층을 형성하며, 이러한 농화층은 황산 등의 산성 용액에서 우선적으로 용해되어 용접이음부의 내식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효과를 충분히 얻기 위해서는 0.01% 이상으로 Sn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만 그 함량이 0.3%를 초과하게 되면 심각한 표면 크랙을 유발할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Sn은 0.01~0.3%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머지 성분은 철(Fe)이다. 다만, 통상의 제조과정에서는 원료 또는 주위 환경으로부터 의도되지 않는 불순물들이 불가피하게 혼입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배제할 수는 없다. 이들 불순물들은 통상의 제조과정의 기술자라면 누구라도 알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 모든 내용을 특별히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지는 않는다.
상술한 합금조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용접이음부는 미세조직으로 애시큘러 페라이트(acicular ferrite), 베이나이트(bainite), 폴리고날 페라이트(polygonal ferrite), 입계 페라이트(grain boundary ferrite)를 복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직 상(phase) 중, 용접이음부 강도 확보에 유리한 애시큘러 페라이트와 베이나이트 상을 주상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유리하게, 상기 애시큘러 페라이트 및 베이나이트 상을 분율 합으로 80면적% 이상(100면적% 제외)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상을 제외한 폴리고날 페라이트 및 입계 페라이트 상을 20면적% 이하(0면적% 제외)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합금조성과 미세조직으로 구성된 본 발명의 용접이음부는 아크를 이용하는 어떠한 용접 방법에 의해서도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들어 피복 금속 아크 용접(Shield Metal Arc Welding, SMAW) 또는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Flux Cored Arc Welding, FCAW) 방법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상술한 용접 방법의 조건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아니하나, 한 가지 예로서 상기 SMAW 방법에 의할 경우에는 100~150의 전류, 15~25의 전압, 5~15cm/min의 속도로 행할 수 있으며, 상기 FCAW 방법에 의할 경우에는 250~300의 전류, 25~35의 전압, 30~40cm/min의 속도로 행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합금조성 및 미세조직으로 구성된 본 발명의 용접이음부는 상온 인장강도와 황산에 대한 내식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접이음부는 650MPa 이상의 상온 인장강도를 가지면서, 황산 단독 50% 용액에 침지시 부식속도가 25mg/cm2/hr 이하, 복합(28.5%황산+0.55%염산) 용액 침지시 부식속도가 1.5mg/cm2/hr 이하로 우수한 내부식성 특성을 가진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이로부터 합리적으로 유추되는 사항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실시예)
GGH용 고내식 강재(중량%로, 0.043C-0.015Si-0.28Cu-0.14Ni-0.10Sb-0.07Ti-0.15Sn-0.005S-0.002N,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를 준비한 후, 피복 아크 용접재료를 이용하여 SMAW 방법으로 용접을 행하였다.
이때, 피복 아크 용접재료는 0.03%C-0.3%Si-0.9%Mn-0.3%Ni-0.05%Co-0.3%Cu-0.2%Mo-0.1%Sb-0.01%P-0.01%S-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의 합금조성을 가지는 것을 이용하였으며, 이때, 상기 SMAW는 속도: 10cm/min, 전류: 130A, 전압: 21V로 실시하였다.
상기에 따라 용접한 후 형성된 용접이음부의 합금조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또한 각 용접이음부의 물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상온 인장강도 측정을 위해 KS 규격(KS B 0801) 4호 시험편에 준하여 인장시험편을 제작한 후, 각 인장시험편에 대해 상온에서 용접부 수직방향으로 파단이 일어날 때까지 하중을 부과하여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내부식 측정을 위하여, 도 2와 같은 형상으로 시편을 채취한 다음, 다음과 같은 부식 조건에 상기 시편을 침지한 후 꺼내어, 침지 시간으로부터 부식이 발생하는 시간 즉, 부식 속도를 측정하는 것으로부터 평가하였다.
○ 황산 단독 부식 조건: 70℃, 50wt% 황산 용액 내에 1hr, 6hr, 24hr 동안 침지하는 조건으로 실시(각 시간별로 개별 측정)
○ 복합 부식 조건: 60℃, 28.5wt% 황산 + 0.55wt% 염산 용액 내에 6hr, 24hr 동안 침지하는 조건으로 실시(각 시간별로 개별 측정)
구분 합금조성 (중량%)
C Si Mn P S Ni Co Cu Mo Sb Sn Ti
비교예 1 0.043 0.266 0.84 0.007 0.0053 0.10 0 0.342 0.02 0.10 0 0
비교예 2 0.058 0.362 1.02 0.004 0.0068 0.05 0.001 0.357 0.10 0.09 0.025 0.10
비교예 3 0.064 0.423 1.34 0.005 0.0047 0.15 0.003 0.278 0.24 0.05 0.10 0.05
비교예 4 0.047 0.294 0.94 0.008 0.0073 0.24 0.002 0.361 0.18 0.018 0.03 0.03
발명예 1 0.056 0.653 1.08 0.012 0.0064 0.385 0.03 0.318 0.495 0.095 0.04 0.032
발명예 2 0.034 0.342 1.26 0.008 0.0078 0.441 0.150 0.361 0.506 0.018 0.036 0.029
발명예 3 0.068 0.453 0.97 0.004 0.0052 0.385 0.03 0.318 0.495 0.095 0.04 0.032
발명예 4 0.046 0.675 1.12 0.005 0.0045 0.441 0.03 0.361 0.506 0.018 0.036 0.029
구분 상온 인장강도
(MPa)
황산 단독 부식 감량
(mg/cm2/hr)
복합 부식 감량
(mg/cm2/hr)
비교예 1 655 75 2.9
비교예 2 764 56 2.4
비교예 3 734 47 1.9
비교예 4 748 34 1.5
발명예 1 745 24 0.8
발명예 2 736 25 1.3
발명예 3 765 20 0.9
발명예 4 728 17 0.7
상기 표 1 및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합금조성을 가지는 용접이음부(발명예 1 내지 4)는 상온 인장강도가 높고, 황산에 대한 부식 저항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합금조성을 만족하지 못하는 비교예 1 내지 4는 황산에 대한 부식 저항성이 상당히 열위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발명예 4의 미세조직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강도 확보에 유리한 애시큘러 페라이트와 베이나이트 상이 상당한 분율로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일부 폴리고날 페라이트와 입계 페라이트 상이 확인된다.

Claims (5)

  1. 중량%로, 탄소(C): 0.01~0.08%, 실리콘(Si): 0.3~0.9%, 망간(Mn): 0.8~1.6%, 인(P): 0.02% 이하(0% 제외), 황(S): 0.2% 이하(0% 제외), 니켈(Ni): 0.1~0.7%, 구리(Cu): 0.2~0.5%, 코발트(Co): 0.03~0.2%, 몰리브덴(Mo): 0.1~0.7%, 안티몬(Sb): 0.2% 이하(0% 제외), 티타늄(Ti): 0.01~0.1%, 주석(Sn): 0.01~0.3%, 나머지 Fe와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애시큘러 페라이트 및 베이나이트 상을 분율 합으로 80면적% 이상(100면적% 제외) 포함하며, 잔부 폴리고날 페라이트 및 입계 페라이트 상을 포함하는 내마모성과 내식성이 우수한 용접이음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이음부는 안티몬(Sb)을 0.01~0.2%로 포함하는 내마모성과 내식성이 우수한 용접이음부.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온 인장강도가 650MPa 이상인 내마모성과 내식성이 우수한 용접이음부.
  5. 제 1항에 있어서,
    황산 50% 용액 내에 침지시 부식속도가 25mg/cm2/hr 이하, 복합(28.5% 황산 + 0.55% 염산) 용액 내에 침지시 부식속도가 1.5mg/cm2/hr 이하인 내마모성과 내식성이 우수한 용접이음부.


KR1020200155803A 2020-11-19 2020-11-19 내마모성과 내식성이 우수한 용접이음부 KR102468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803A KR102468054B1 (ko) 2020-11-19 2020-11-19 내마모성과 내식성이 우수한 용접이음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803A KR102468054B1 (ko) 2020-11-19 2020-11-19 내마모성과 내식성이 우수한 용접이음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728A KR20220068728A (ko) 2022-05-26
KR102468054B1 true KR102468054B1 (ko) 2022-11-17

Family

ID=81808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5803A KR102468054B1 (ko) 2020-11-19 2020-11-19 내마모성과 내식성이 우수한 용접이음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805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3367A (ja) 2001-11-19 2003-07-30 Nippon Steel Corp 耐塩酸腐食性および耐硫酸腐食性に優れた低合金鋼およびその溶接継手
JP2010064110A (ja) * 2008-09-11 2010-03-25 Sumitomo Metal Ind Ltd 石炭・鉱石運搬船ホールド用溶接継手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71651B2 (ja) * 2003-02-26 2011-09-1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耐食性および耐スラッジ性に優れた溶接継手を有する原油油槽
JP6549254B2 (ja) 2015-05-28 2019-07-24 ポスコPosco 硫酸及び塩酸複合耐食性に優れた熱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3367A (ja) 2001-11-19 2003-07-30 Nippon Steel Corp 耐塩酸腐食性および耐硫酸腐食性に優れた低合金鋼およびその溶接継手
JP2010064110A (ja) * 2008-09-11 2010-03-25 Sumitomo Metal Ind Ltd 石炭・鉱石運搬船ホールド用溶接継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728A (ko) 2022-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37205B1 (en) Wire for gas shield arc welding
US20190126409A1 (en) Ultra-Low Silicon Wire for Welding Having Excellent Porosity Resistance and Electrodeposition Coating Properties, and Deposited Metal Obtained Therefrom
JP4902489B2 (ja) 高強度Cr−Mo鋼の溶接金属
KR101970076B1 (ko) 가스 실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KR101595636B1 (ko) 크리프 특성이 우수한 용접 금속
KR101778422B1 (ko) 용접 금속 및 이것을 구비한 용접 구조체
WO2010110387A1 (ja) 溶接金属並びにその溶接金属によって接合された溶接構造物
WO2014119189A1 (ja) 被覆アーク溶接棒
KR20180027534A (ko) 황산 및 염산 복합내식성이 우수한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43296A (ko) Tig 용접용 용가재
JP6914182B2 (ja) 被覆アーク溶接棒
KR101422353B1 (ko) 용접 열영향부의 인성이 우수한 후강판
JP6235402B2 (ja) 強度、靭性および耐sr割れ性に優れた溶接金属
CN107949455B (zh) 埋弧焊用焊丝
KR101554405B1 (ko) 내 템퍼링 취화 특성이 우수한 용접 금속
KR101674768B1 (ko) 연속주조기용 압연롤 제조방법
KR102468054B1 (ko) 내마모성과 내식성이 우수한 용접이음부
JP3551136B2 (ja) 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ワイヤ
KR20180002791A (ko) 용접 금속 및 용접 구조체
JP2005232515A (ja) 大入熱溶接継手靭性に優れた厚鋼板
KR102352601B1 (ko) 피복 아크 용접재료
KR102237487B1 (ko) 용접봉용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4427350B2 (ja) 強度均一性に優れた溶接金属
KR20170082304A (ko) 내 균열성이 우수한 가스실드 아크 용접용 티타니아계 플럭스 충전 와이어
KR102382359B1 (ko) 강도 및 내부식성이 우수한 플럭스코어드 아크 용접 재료, 이를 이용한 용접 이음부 및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