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6173B1 - 와인딩 머신 - Google Patents

와인딩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6173B1
KR102466173B1 KR1020217010369A KR20217010369A KR102466173B1 KR 102466173 B1 KR102466173 B1 KR 102466173B1 KR 1020217010369 A KR1020217010369 A KR 1020217010369A KR 20217010369 A KR20217010369 A KR 20217010369A KR 102466173 B1 KR102466173 B1 KR 102466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miting structure
central shaft
winding machine
roller
lim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0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4567A (ko
Inventor
루오 방이
장 차이친
린 젠민
Original Assignee
항저우 영썬 인텔리전트 이큅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821595567.8U external-priority patent/CN209553579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920903946.7U external-priority patent/CN210681243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920900991.7U external-priority patent/CN210971656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920903836.0U external-priority patent/CN210971657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920946829.9U external-priority patent/CN210681244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910540491.1A external-priority patent/CN112109951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920949305.5U external-priority patent/CN210681245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921350590.5U external-priority patent/CN210971658U/zh
Application filed by 항저우 영썬 인텔리전트 이큅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항저우 영썬 인텔리전트 이큅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54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4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65B11/04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the articles being rotated
    • B65B11/045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the articles being rotated by rotating platforms supporting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9/00Arrangements to enable machines to handle articles of different sizes, to produce packages of different sizes, to vary the contents of packages, to handle different types of packaging material, or to give access for cleaning or maintenance purposes
    • B65B59/04Machines constructed with readily-detachable units or assemblies, e.g. to facilitate mainten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Of Web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Windings For Motors And Generators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와인딩 머신은 중심 축 기구를 포함하며; 그 중심 축 기구는 와인딩 머신의 베이스(100)에 설치되고, 중심 축 구성품(1)을 포함하며, 중심 축 구성품(1)의 중심부에는 중심 축(11)이 설치된다. 그 중심 축 구성품(1)의 주위에는 또한 베어링 지지 구조(12) 및 복수의 제1 제한 구조(13)가 설치되고, 그 중심 축 구성품(1)은 고정되고 제1 제한 구조(13)에 의해 와인딩 머신의 베이스에서 제한된다. 본 발명의 중심 축 기구는 위치가 안정적이고, 작동이 안정적이고 신뢰성이 있으며, 작동 중 작업 소음 및 잡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운송 중에 베이스를 분리하여 별도로 포장할 수 있고, 현장에서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보다 안정적인 지지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와인딩 머신의 턴테이블의 높이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와인딩 머신
본 발명은 와인딩 머신 및 와인딩 머신의 턴테이블 장치의 중심 축 기구에 관한 것이다.
와인딩 머신(winding machine)은 포장 기계 분야의 일종의 기계 장비로, 물품 표면에 포장 필름을 감는데 사용된다. 와인딩 머신은 턴테이블을 포함하며, 물품이 턴테이블에 놓이면 턴테이블의 회전에 따라, 포장 필름이 그 표면을 감싼다. 턴테이블은 와인딩 머신의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베이스에 설치된 중심 축 기구는 회전 기구에 연결된다.
턴테이블 및 턴테이블에 대응되는 베이스 부분은 수평 크기가 크고 높이 방향의 크기가 작은 평평한 구조로 되어 있어, 작동 시 중심 축 부위의 소음이 자주 발생한다. 또한, 와인딩 머신을 목적지까지 운반한 후, 관련 부품을 현장에서 다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중심 축 기구는 항상 설치 및 운반이 용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 번째 기술적 과제는 턴테이블의 중심 축 기구가 작업 소음과 잡음을 줄일 수 있는 와인딩 머신을 설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기술적 방안을 채택한다.
중심 축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 축 기구는 베이스에 설치되는 와인딩 머신은, 중심 축 구성품을 포함하고, 중심 축 구성품의 중심부에는 중심 축이 설치되며, 상기 중심 축 구성품에는 또한 베어링 지지 구조 및 복수의 제1 제한 구조가 설치되며, 상기 중심 축 구성품은 고정되고 또한 상기 제1 제한 구조에 의해 와인딩 머신의 베이스에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방안을 채택하는 것에 기초하여, 본 발명은 또한 다음의 추가 기술적 방안을 채택하거나 이러한 추가 기술적 방안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물품에 필름을 전방 방향으로 감을 때 와인딩 머신의 턴테이블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제한 구조는 그 전방의 제한 구조에 의해 제한된다.
상기 중심 축 구성품의 주위에는 복수의 제1 제한 구조가 설치되고; 와인딩 머신의 베이스에는 중심 축 기구의 장착 구멍이 설치되고, 또한 중심 축 기구의 장착 구멍의 주위에는 원주 방향으로 연결 홈이 설치되어, 중심 축 기구의 장착 구멍이 구비된 제한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 홈의 노치는 중심 축 기구의 장착 구멍을 향하고, 상기 연결 홈에는 제1 제한 구조가 삽입되는 개구부가 구비되며; 상기 중심 축 기구의 장착 구멍과 상기 개구부는 중심 축 구성품 삽입 구멍을 형성하며, 중심 축 구성품의 회전을 통해, 제1 제한 구조는 상기 연결 홈의 상부 홈 벽과 하부 홈 벽 사이에 클램핑되고, 또한 볼트를 통해 제1 제한 구조를 연결 홈의 상부 홈 벽 및 하부 홈 벽과 일체로 연결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연결 홈에는 상기 제1 제한 구조의 전방에서 제한 구조로 사용되는 제2 제한 구조가 설치된다.
추가적으로, 제1 제한 구조가 제2 제한 구조에 의해 차단될 때, 제1 제한 구조는 상기 연결 홈의 상부 홈 벽 및 하부 홈 벽 사이에 클램핑되고, 또한 제1 제한 구조에 설치된 볼트 구멍은 상부 홈 벽 및 하부 홈 벽의 볼트 구멍과 정렬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1 제한 구조는 중심 축 구성품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강판으로 만들어진 키이고, 연결 홈의 홈 바닥과 상기 키의 외측은 중심 축 구성품에 대한 중심 위치 결정의 매칭을 형성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중심 축 기구에는 상부 제한 구조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 제한 구조는 링형 구조이고, 그 내측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키가 있고, 상기 키는 제1 제한 구조를 제한하는 상부 홈 벽을 형성하며; 키와 키 사이의 간격은 상기 개구부를 구성하고, 링형 구조의 중심 구멍은 상기 중심 삽입 구멍을 형성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상부 제한 구조는 금속판으로 만들어진다.
추가적으로, 상기 중심 축 기구에는 중간 제한 구조가 설치되고, 상기 중간 제한 구조는 링형 구조이고, 상기 연결 홈의 홈 바닥을 형성하며; 그 내측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키가 있고, 상기 키는 제1 제한 구조 전방에서 제한 구조로 사용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연결 홈은 3층 구조이며; 상기 중심 축 기구에는 상부 제한 구조가 설치되며, 상부층 구조로서, 상기 상부 제한 구조는 링형 구조이고, 그 내측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키가 있고, 상기 키는 제1 제한 구조를 제한하는 상부 홈 벽을 형성하고, 키와 키 사이의 간격은 상기 개구부를 구성하고, 링형 구조의 중심 구멍은 상기 중심 삽입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제한 구조는 금속판으로 만들어지며; 상기 중심 축 기구에는 중간 제한 구조가 설치되고, 중간층 구조로서, 상기 중간 제한 구조는 링형 구조이고, 상기 연결 홈의 홈 바닥을 형성하며, 그 내측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키가 있고, 상기 키는 제1 제한 구조의 전방에서 제한 구조로 사용되고, 상기 중간 제한 구조는 금속판으로 만들어지며; 상기 하부 홈 벽은 하부 층 구조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중심 축 기구는 위치가 안정적이고, 작동이 안정적이고 신뢰성이 있으며, 작동 중 작업 소음 및 잡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운송 중에 베이스를 분리하여 별도로 포장할 수 있고, 현장에서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보다 안정적인 지지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와인딩 머신의 턴테이블의 높이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박형의 와인딩 장치를 구현하는데 유리하며, 그 기술적 방안은 다음과 같다:
박형 와인딩 장치는 턴테이블, 베이스 및 체인 전동 기구를 포함하고. 턴테이블은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와인딩 장치는 베이스에 중심 베어링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중심 베어링 장치에는2개의 베어링이 설치되고, 이는 각각 중심 축에 연결된 제1 베어링과 제1 베어링의 주위에 배치된 평면 베어링이며, 턴테이블의 상면과 베이스의 바닥면 사이의 두께는 24mm 이상 36mm 미만이다.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얇은 크기를 가지고 있어, 기존의 체인 구동식 와인딩 장치의 턴테이블 장치에 비해, 턴테이블의 높이가 크게 감소하여, 와인딩 작업의 조작성을 제고할 수 있고, 동시에 구조의 합리성을 보장하고, 체인 기구 및 턴테이블 지지 구조의 신뢰성을 보장하며, 와인딩 장치의 사용 수명을 제고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중심 베어링 장치는 중심 축 구성품을 포함하고, 중심 축 구성품의 중심부에는 중심 축이 설치되며, 상기 중심 축 구성품에는 또한 베어링 지지 구조 및 복수의 제1 제한 구조가 설치되며, 상기 중심 축 구성품은 고정되고 또한 상기 제1 제한 구조에 의해 와인딩 장치의 베이스에서 제한된다.
추가적으로, 물품에 필름을 전방 방향으로 감을 때 와인딩 장치의 턴테이블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제한 구조는 그 전방의 제한 구조에 의해 제한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중심 축 구성품의 주위에는 복수의 제1 제한 구조가 설치되고; 와인딩 장치의 베이스에는 중심 베어링 장치의 장착 구멍이 설치되고, 또한 중심 베어링 장치의 장착 구멍의 주위에는 원주 방향으로 연결 홈이 설치되어, 중심 베어링 장치의 장착 구멍이 구비된 제한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 홈의 노치는 중심 베어링 장치의 장착 구멍을 향하고, 상기 연결 홈에는 제1 제한 구조가 삽입되는 개구부가 구비되며; 상기 중심 베어링 장치의 장착 구멍과 상기 개구부는 중심 축 구성품 삽입 구멍을 형성하며, 중심 축 구성품의 회전을 통해, 제1 제한 구조는 상기 연결 홈의 상부 홈 벽과 하부 홈 벽 사이에 클램핑되고, 또한 볼트를 통해 제1 제한 구조를 연결 홈의 상부 홈 벽 및 하부 홈 벽과 일체로 연결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연결 홈에는 상기 제1 제한 구조의 전방에서 제한 구조로 사용되는 제2 제한 구조가 설치된다.
추가적으로, 제1 제한 구조가 제2 제한 구조에 의해 차단될 때, 제1 제한 구조는 상기 연결 홈의 상부 홈 벽 및 하부 홈 벽 사이에 클램핑되고, 또한 제1 제한 구조에 설치된 볼트 구멍은 상부 홈 벽 및 하부 홈 벽의 볼트 구멍과 정렬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1 제한 구조는 중심 축 구성품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강판으로 만들어진 키이고, 연결 홈의 홈 바닥과 상기 키의 외측은 중심 축 구성품에 대한 중심 위치 결정의 매칭을 형성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중심 베어링 장치에는 상부 제한 구조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 제한 구조는 링형 구조이고, 그 내측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키가 있고, 상기 키는 제1 제한 구조를 제한하는 상부 홈 벽을 형성하며; 키와 키 사이의 간격은 상기 개구부를 구성하고, 링형 구조의 중심 구멍은 상기 중심 삽입 구멍을 형성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상부 제한 구조는 금속판으로 만들어진다.
추가적으로, 상기 중심 베어링 장치에는 중간 제한 구조가 설치되고, 상기 중간 제한 구조는 링형 구조이고, 상기 연결 홈의 홈 바닥을 형성하며; 그 내측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키가 있고, 상기 키는 제1 제한 구조 전방에서 제한 구조로 사용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큰 물품을 턴테이블로 이동시키는 작업의 어려움을 감소시키고, 동시에 와인딩 머신의 운송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와인딩 머신의 턴테이블 슬로프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기술적 방안을 사용한다:
턴테이블 슬로프 기구, 상기 턴테이블 슬로프 기구는 와인딩 머신의 일부 로,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는 일단에서 칼럼과 연결된 제1 단부, 다른 일단에서 턴테이블을 지지하는 제2 단부 및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의 연결부를 포함하며, 연결 부분에 연결된 측면을 제외한 제2 단부의 기타 측면의 주위에 턴테이블의 슬로프가 설치되고, 상기 슬로프와 베이스는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턴테이블의 연결부에 의해 막히지 않는 다양한 방향으로 턴테이블 상의 물품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특별히 슬로프를 겨냥할 필요가 없으며, 동시에 슬로프의 폭과 각도 비율이 적절하여 턴테이블에 물품을 보다 부드럽게 놓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슬로프는 제2 단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여러 섹션으로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슬로프의 외측 형상은 기본적으로 부분적인 다각형의 형상이다.
추가적으로, 상기 슬로프는 3개 섹션의 파티션 슬로프로 구성되며, 각 섹션의 파티션 슬로프는 턴테이블의 일측에 대응되는 메인 슬로프 엣지를 구비하며, 메인 슬로프 엣지의 단부에는 메인 슬로프 엣지와 일정한 각도로 접합 슬로프 엣지가 설치되며, 인접된 파티션 슬로프 사이에는 접합 슬로프 엣지에 의해 그 측면에 슬로프 엣지를 구성한다.
추가적으로, 파티션 슬로프의 일부 또는 전체는 여러 블록으로 나뉜다.
추가적으로, 상기 3개 섹션의 파티션 슬로프의 크기는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3개 섹션의 파티션 슬로프의 메인 슬로프 엣지의 양단에는 메인 슬로프 엣지와 일정한 각도로 접합 슬로프 엣지가 설치된다.
추가적으로, 와인딩 머신의 바닥부에서 턴테이블의 상면까지의 높이 T는 24mm 이상 36mm 미만이다.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되어야 할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신뢰성이 있는 지지를 제공할 수 있고 와인딩 머신 턴테이블의 높이 감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와인딩 머신의 롤러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기술적 방안을 채택한다:
롤러 기구, 상기 롤러 기구는 롤러 프레임, 양측에 축이 있는 일체형 롤러 및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은 롤러 양측의 축과 롤러 프레임의 베어링 구멍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롤러 기구는 합리적인 구조로 전체 높이를 낮출 수 있으며, 와인딩 머신에 적용 시 보다 안정된 지지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와인딩 머신의 턴테이블 높이를 낮출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롤러 프레임은 2개의 좌우 분체 구성품을 연결하여 형성되며, 상기 롤러 프레임의 하부에는 장착 구멍에 위치 및 매칭을 위한 구조가 설치된다.
추가적으로, 2개의 좌우 분체 구성품의 양측에는 각각 연결 암이 구비되고, 2개의 좌우 분체 구성품의 연결 암의 단부에는 계단이 구비되며, 2개의 좌우 분체 구성품의 연결 암은 단부의 계단을 통해 결합되고 함께 고정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롤러 기구는 베이스에 설치되고, 롤러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베이스의 위치에는 장착 구멍이 설치되며, 상기 롤러는 장착 구멍의 개구부 위에 위치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롤러 기구는 베이스에 설치되고, 롤러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베이스의 위치에는 장착 구멍이 설치되며, 베이스의 지지면으로부터의 상기 롤러의 높이는 0.7cm보다 크고 2.5cm 이하이다.
추가적으로, 상기 롤러 프레임의 하부에는 장착 구멍과 매칭되는 삽입 구조가 구비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롤러 기구에는 서로 평행한 양측에 축를 갖는 복수의 일체형 롤러가 설치된다.
와인딩 머신에서 롤러는 수가 많기 때문에 취약한 구성품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와인딩 머신의 롤러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와인딩 머신의 롤러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기술적 방안을 채택한다:
롤러 기구, 롤러 기구는 와인딩 머신의 일부이고, 상기 와인딩 머신에는 턴테이블과 베이스가 설치되고, 상기 턴테이블은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베이스와 턴테이블 사이에는 롤러 세트가 설치되며; 턴테이블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복수의 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롤러는 그룹으로 설치되고, 그 축선은 상기 회전 중심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롤러 기구의 단일 롤러 세트의 복수의 롤러의 축 중심선은 원의 중심을 직접 가리키고, 턴테이블이 회전 운동할 때, 롤러 세트의 지원은 턴테이블 회전에 완벽하게 부합하고, 편향된 마모가 생기지 않고, 더 합리적이고 매끄럽고, 롤러의 사용 수명을 제고할 수 있으며, 또한 보다 안정적인 지지를 제공하고 턴테이블의 전체 높이를 낮추고 부품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복수의 롤러는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위치의 반경에 따라 원으로 배열되고, 각 원에는 복수의 롤러 세트가 배열된다.
추가적으로, 복수의 롤러를 하나의 그룹으로 하여 복수의 롤러를 복수의 그룹으로 배열한다.
추가적으로, 동일한 그룹의 롤러의 축선은 모두 상기 회전 중심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배열된다.
추가적으로, 하나의 그룹 내에 롤러의 수는 2-5개이다.
추가적으로, 롤러는 양쪽에 축이 있는 일체형 롤러이고, 상기 롤러 세트에는 롤러 프레임, 일체형 롤러 및 베어링이 포함되며, 상기 베어링은 롤러 양쪽의 축과 롤러 프레임의 베어링 구멍에 위치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롤러 프레임은 2개의 좌우 분체 구성품을 연결하여 형성되며, 상기 롤러 프레임의 하부에는 장착 구멍에 위치 및 매칭되는 구조가 설치된다.
추가적으로, 2개의 좌우 분체 구성품의 양측에는 각각 연결 암이 구비되고, 2개의 좌우 분체 구성품의 연결 암의 단부에는 계단이 구비되며, 2개의 좌우 분체 구성품의 연결 암은 단부의 계단을 통해 결합되고 함께 고정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베이스에는 롤러의 위치에 대응되는 장착 구멍이 설치되고, 상기 롤러 프레임의 하부에는 장착 구멍과 매칭되는 삽입 구조가 구비된다.
와인딩 머신의 칼럼은 베이스에 설치되고, 칼럼에는 필름 리프팅 프레임, 리프팅 기구 및 전기 제어 부품이 설치된다. 칼럼은 일반적으로 여러 개의 셸 부품을 직접 접합 및 조립하여 형성한다. 운반을 용이하게 하고 설치 단계를 절약하기 위해, 현재는 칼럼을 힌지로 베이스에 설치하고, 운반 중에 칼럼을 그대로 놔두므로, 사용 현장에서 셸 부품의 접합 및 조립 단계를 수행할 필요가 없다. 운송 중에 부딪히는 것이 불가피하므로, 이 구조는 운송 중에 쉘 부품이 쉽게 부딪히고 변형되어 외관에 영향을 미치며 배열로 인해 전체 칼럼을 조립할 수 없고 교체만 가능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운송 손상의 위험과 칼럼의 현장 설치 작업량을 고려한 와인딩 머신의 칼럼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기술적 방안을 채택한다:
칼럼 기구, 상기 칼럼 기구는 와인딩 머신의 일부이며, 칼럼, 베이스 및 턴테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칼럼은 칼럼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칼럼 프레임은 베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칼럼은 복수의 칼럼 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칼럼 패널의 적어도 일부는 칼럼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인접하는 칼럼 패널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의 칼럼 구조는 설치가 간단하고, 가공이 편리하고, 가공 및 운송이 편리하고, 칼럼의 강도 요구 사항 및 설치 편의성을 충족하며 칼럼 교체 문제를 피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칼럼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칼럼 패널은 전기 제어 도어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칼럼 프레임은 단위 구조이며, 턴테이블을 향한 전면 하단은 베이스와 힌지 연결된다.
추가적으로, 턴테이블을 향하는 상기 칼럼의 하부 전면 패널은 공장 출하 시 칼럼 프레임에 연결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전기 제어 도어는 핀을 통해 칼럼 프레임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칼럼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칼럼 패널은 액세스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액세스 도어는 스냅 매칭 구조를 사용하여 칼럼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액세스 도어는 경사된 슬롯과 가로 핀의 매칭 구조를 사용하여 칼럼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추가적으로, 와인딩 머신의 필름 리프팅 프레임의 리프팅 기구 또는/및 장착판은 칼럼 프레임과 연결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칼럼의 상부 덮개는 칼럼 프레임과 연결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필름 공급 장치의 전체 높이를 줄일 수 있는 와인딩 머신에 사용되는 필름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기술적 방안을 채택한다:
필름 공급 장치는 필름 공급 프레임, 필름 릴, 제1 롤러 및 제2 롤러, 구동 모터를 포함하며, 제1 롤러 및 제2 롤러는 각각의 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필름 공급 프레임의 상부에는 상부 필름 프레임 구조가 설치되고, 상부 필름 프레임 구조에는 전동 기구가 설치되며, 제1 롤러 및 제2 롤러는 각각의 전동 기구를 통해 각각의 구동 모터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 모터는 상부 필름 프레임 구조의 아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제1 롤러와 제2 롤러의 위치는 필름 공급 프레임의 앞쪽에 더 가깝고, 상기 구동 모터의 위치는 제1 롤러와 제2 롤러 배면에 위치하며, 상기 필름 릴은 제1 롤러의 필름 공급측의 필름 공급 프레임에 설치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구동 모터의 위치 높이는 제1 롤러와 제2 롤러 배면의 상부에 가까운 위치에 대응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구동 모터는 AC 모터를 사용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전동 기구는 감속 효과가 있는 체인 전동 기구를 채택한다.
추가적으로, 구동 모터 아래에는 와인딩 머신 리프팅 장치와 연결된 구조가 설치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필름 공급 프레임의 전면에는 필름 프레임 도어가 설치되며, 상기 필름 프레임 도어는 제1 롤러 앞의 필름 가이드 롤러, 제1롤러와 제2 롤러 사이의 필름 가이드 롤러 및 제2 롤러 뒤의 필름 가이드 롤러와 연결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1 롤러, 제2 롤러 및 필름 가이드 롤러는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필름 프레임 도어의 하단은 장착 프레임에 힌지 연결된다.
본 발명의 필름 공급 장치는 필름 공급 장치의 전체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필름 롤의 직경이 일반적으로 제1 롤러 및 제2 롤러의 직경보다 크고, 필름 롤 직경에 적응하기 위해 폭 방향으로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는 특징을 이용할 수 있으며, 구동 모터의 설정 위치를 최적화하여 필름 공급 장치의 두께 방향의 크기를 크게 늘리지 않고도 필름 공급 장치의 전체 높이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는 제어가 편리한 AC 구동 모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제1 롤러와 제2 롤러를 개별적으로 구동할 수 있으며, 메인 롤러와 사전 당김 롤러의 연신 비율을 넓은 범위에서 조절 및 제어할 수 있다. 동시에, 작은 조정만으로 더 큰 연신 비율 조정 범위를 얻을 수 있으며, 다양한 두께의 필름을 널리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 범위가 넓고, 필름 통과 작업이 간단하고 편리하다.
본 발명의 중심 축 기구는 위치가 안정적이고, 작동이 안정적이고 신뢰성이 있으며, 작동 중 작업 소음 및 잡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운송 중에 베이스를 분리하여 별도로 포장할 수 있고, 현장에서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보다 안정적인 지지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와인딩 머신의 턴테이블의 높이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실시예 1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분해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중심 축 구성품이 하부 제한 구성품에 배치되었을 때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 실시예 4 및 실시예 5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및 실시예 5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개략도이다.
도 8은 실시예 3의 분해도이다.
도 9는 실시예 3의 파티션 슬로프의 바닥부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분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롤러 기구의 분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턴테이블이 숨겨진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턴테이블이 숨겨진 부분 분해도이다.
도 14는 실시예 5의 롤러 세트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15는 실시예 5의 롤러 세트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개략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다른 각도에서의 개략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분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다른 구현 방식의 개략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다른 구현 방식의 분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의 개략도로서, 주로 필름 공급 프레임의 배면 구조를 나타낸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의 개략도로서, 주로 필름 공급 프레임의 전면 구조를 주로 나타낸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의 분해도이다.
도 24는 실시예 7의 필름 공급 프레임의 도어가 열렸을 때의 개략도이다.
실시예 1은, 도 1-4를 참조한다.
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와인딩 머신에서, 중심 축 기구(central shaft mechanism)는 중심 축 구성품(1)을 포함하고, 중심 축 구성품(1)의 중심부에는 중심 축(11)이 설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와인딩 머신은 2개의 베어링이 설치되고, 이는 각각 중심 축에 연결된 베어링(21)과 베어링(21)의 주위에 배치된 평면 베어링(22)이다. 다른 상황에 따라, 베어링의 수와 유형은 변경될 수 있으며, 중심 축 구성품에는 중심 축(11)의 주위에 이러한 베어링의 베어링 지지 구조(12)가 설치된다. 중심 축 구성품(1)의 주위에는 또한 복수의 제1 제한 구조(13)가 설치되고, 중심 축 구성품은 고정되고 제1 제한 구조(13)에 의해 와인딩 머신 베이스에서 제한된다. 제한 방향은 물품에 필름을 감을 때 와인딩 머신의 턴테이블(200)의 회전 방향에 따른 전방 방향일 수 있으며, 제1 제한 구조(13)는 전방의 제한 구조에 의해 제한된다.
인딩 머신 베이스(100)에는 중심 축 기구의 장착 구멍(101)이 설치되고, 중심 축 기구의 장착 구멍의 주위에는 원주 방향으로 연결 홈(5)이 설치되어 중심 축 기구의 장착 구멍이 구비된 제한 구조를 형성한다. 연결 홈(5)의 노치는 중심 축 기구의 장착 구멍(101)을 향하고, 연결 홈에는 제1 제한 구조(13)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51)가 구비된다. 중심 축 기구의 장착 구멍(101)과 개구부는 중심 축 구성품 삽입 구멍을 형성한다. 중심 축 구성품(1)의 회전을 통해, 제1 제한 구조(13)는 연결 홈의 상부 홈 벽(52)과 하부 홈 벽(53) 사이에 클램핑될 수 있고, 또한 볼트를 통해 제1 제한 구조(13)를 연결 홈의 상부 홈 벽(52) 및 하부 홈 벽(53)과 일체로 연결할 수 있다. 제1 제한 구조(13), 상부 홈 벽(52) 및 하부 홈 벽(53)에는 사전에 제작된 볼트 구멍이 있고, 그 중 하부 홈 벽(53)의 볼트 구멍은 나사 연결 구멍이다.
연결 홈은 3층 구조를 채택할 수 있는데, 이는 중심 축 구성품과의 연결이 신뢰성이 있고 설치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얇은 설계에 적합하여 와인딩 머신의 턴테이블 높이를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
중심 축 기구에는 상부 제한 구조(3)가 설치되며, 상부층 구조로서, 상부 제한 구조(3)는 링형 구조이고, 그 내측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키가 있고, 키는 제1 제한 구조를 제한하는 상부 홈 벽을 형성하며; 키와 키 사이의 간격은 개구부(51)를 구성하고, 링형 구조의 중심 구멍은 중심 삽입 구멍을 형성하고, 상부 제한 구조는 금속판으로 만들어지며; 상부 제한 구조(3)는 금속판으로 만들어진다.
중심 축 기구에는 중간 제한 구조(4)가 설치되고, 중간층 구조로서, 중간 제한 구조(4)는 링형 구조이고, 연결 홈의 홈 바닥(55)을 형성하며; 그 내측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키가 있고, 키는 제1 제한 구조 전방에서 제한 구조 역할을 한다(물품에 필름을 감을 때 와인딩 머신의 턴테이블(200)의 회전 방향에 따른 전방 방향). 이 제한 구조는 제2 제한 구조(54)로 명명된다. 제1 제한 구조(13)가 회전되어 제2 제한 구조(54)에 의해 회전될 때, 제1 제한 구조(13)는 연결 홈의 상부 및 하부 홈 벽(52, 53) 사이에 클램핑되고, 제1 제한 구조(13)에 설치된 볼트 구멍(130)은 상부 및 하부 홈 벽(52, 53)의 볼트 구멍(520, 530)과 정렬된다. 이와 같이, 설치 장소에서 중심 축 구성품(1)을 중심 축 구성품 삽입구에 넣고 제1 제한 구조(13)가 제2 제한 구조(54)와 만날 때까지 회전시킨 후, 볼트로 직접 고정하기만 하면 된다. 중심 축 구성품(1)은 연결 홈(5)에 클램핑되므로, 설치가 매우 안정적이며 변형되기 쉽지 않다. 중간 제한 구조도 금속판으로 만들어진다.
하부층 구조로서, 하부 홈 벽은 베이스(100)를 직접 채택할 수 있다.
상부 제한 구조(3) 및 중간 제한 구조(4)는 볼트 또는 용접을 통해 하부 홈 벽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중심 축 기구는 스프로킷(300)과 연결되고, 체인은 스프로킷(300)을 회전하도록 구동하고, 스프로킷(300)은 중심 축 기구의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며, 턴테이블(200)은 스프로킷(300)에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구동된다. 스프로킷(300)은 별도로 설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턴테이블(200)에 체인 티스를 설치하고, 턴테이블(200)은 중심 축 기구의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고, 체인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
실시예 2는, 도 5, 도 6 및 도 2, 도 3, 도4를 참조한다.
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박형 와인딩 장치(thin winding device)는 턴테이블(200), 베이스(100) 및 체인 전동 기구를 포함한다. 턴테이블(200)은 베이스(2)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턴테이블의 상면과 베이스의 바닥면(지지 바닥면) 사이의 두께는 24mm 이상 36mm 미만이다.
상기 와인딩 장치는 베이스에 중심 베어링 장치가 설치되고, 중심 베어링 장치에는2개의 베어링이 설치되고, 이는 각각 중심 축(11)에 연결된 제1 베어링(21)과 제1 베어링의 주위에 배치된 평면 베어링(22)이다. 중심 베어링 장치는 스프로킷(300)과 연결될 수 있고, 체인은 스프로킷(300)을 회전하도록 구동하고, 스프로킷(300)은 중심 베어링 장치의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며, 턴테이블(200)은 스프로킷(300)에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구동된다. 스프로킷(300)은 별도로 설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턴테이블(200)에 체인 티스를 설치하고, 턴테이블(200)은 중심 베어링 장치의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고, 체인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심 베어링 장치는 또한 중심 축 구성품(1)을 포함하며, 중심 축 구성품(1)의 중심부에는 중심 축(11)이 설치되고, 중심 축 구성품에는 중심 축(11) 주위에 이들 베어링의 베어링 지지 구조(12)가 설치된다. 중심 축 구성품(1)의 주위에는 또한 복수의 제1 제한 구조(13)가 설치되고, 중심 축 구성품은 고정되고 제1 제한 구조(13)에 의해 와인딩 머신의 베이스에서 제한된다. 제한 방향은 필름을 물품에 감을 때 와인딩 머신의 턴테이블(200)의 회전 방향에 따른 전방 방향일 수 있으며, 제1 제한 구조(13)는 전방의 제한 구조에 의해 제한된다. 본 발명의 중심 베어링 장치는 위치가 안정적이고, 작동이 안정적이고 신뢰성이 있으며, 작동 중 작업 소음 및 잡음을 줄일 수 있다.
와인딩 머신 베이스(100)에는 중심 베어링 장치의 장착 구멍(101)이 설치되고, 중심 베어링 장치의 장착 구멍의 주위에는 원주 방향으로 연결 홈(5)이 설치되어 중심 베어링 장치의 장착 구멍이 구비된 제한 구조를 형성한다. 연결 홈(5)의 노치는 중심 베어링 장치의 장착 구멍(101)을 향하고, 연결 홈에는 제1 제한 구조(13)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51)가 구비된다. 중심 베어링 장치의 장착 구멍(101)과 개구부는 중심 축 구성품 삽입 구멍을 형성한다. 중심 축 구성품(1)의 회전을 통해, 제1 제한 구조(13)는 연결 홈의 상부 홈 벽(52)과 하부 홈 벽(53) 사이에 클램핑될 수 있고, 또한 볼트를 통해 제1 제한 구조(13)를 연결 홈의 상부 홈 벽(52) 및 하부 홈 벽(53)과 일체로 연결할 수 있다. 제1 제한 구조(13), 상부 홈 벽(52) 및 하부 홈 벽(53)에는 사전에 제작된 볼트 구멍이 있고, 그 중 하부 홈 벽(53)의 볼트 구멍은 나사 연결 구멍이다.
연결 홈은 3층 구조를 채택할 수 있으며, 이는 중심 축 구성품과의 연결이 신뢰성이 있고 설치가 편리하다.
중심 축 베어링 장치에는 상부 제한 구조(3)가 설치되며, 상부층 구조로서, 상부 제한 구조(3)는 링형 구조이고, 그 내측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키가 있고, 키는 제1 제한 구조를 제한하는 상부 홈 벽을 형성하며; 키와 키 사이의 간격은 개구부(51)를 구성하고, 링형 구조의 중심 구멍은 중심 삽입 구멍을 형성하고, 상부 제한 구조는 금속판으로 만들어지며; 상부 제한 구조(3)는 금속판으로 만들어진다.
중심 축 베어링 장치에는 중간 제한 구조(4)가 설치되고, 중간층 구조로서, 중간 제한 구조(4)는 링형 구조이고, 연결 홈의 홈 바닥(55)을 형성하며; 그 내측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키가 있고, 키는 제1 제한 구조 전방에서 제한 구조 역할을 한다(물품에 필름을 감을 때 와인딩 머신의 턴테이블(200)의 회전 방향에 따른 전방 방향). 이 제한 구조는 제2 제한 구조(54)로 명명된다. 제1 제한 구조(13)가 회전하여 제2 제한 구조(54)에 의해 차단될 때, 제1 제한 구조(13)는 연결 홈의 상부 및 하부 홈 벽(52, 53) 사이에 클램핑되고, 제1 제한 구조(13)에 설치된 볼트 구멍(130)은 상부 및 하부 홈 벽(52, 53)의 볼트 구멍(520, 530)과 정렬된다. 이와 같이, 설치 장소에서 중심 축 구성품(1)을 중심 축 구성품 삽입구에 넣고 제1 제한 구조(13)가 제2 제한 구조(54)와 만날 때까지 회전시킨 후, 볼트로 직접 고정하기만 하면 된다. 중심 축 구성품(1)은 연결 홈(5)에 클램핑되므로, 설치가 매우 안정적이며 변형이 쉽지 않다. 중간 제한 구조도 금속판으로 만들어진다.
하부 홈 벽은 하부층 구조로 사용되며, 베이스(100)를 직접 채택할 수 있다.
상부 제한 구조(3) 및 중간 제한 구조(4)는 볼트 또는 용접을 통해 하부 홈 벽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도면 부호 6은 와인딩 장치 외측의 전이 슬로프이다.
실시예 3은, 도 7, 도 8, 도 9를 참조하고, 동시에 도 6을 참조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와인딩 머신의 턴테이블 슬로프 기구는 베이스(100)를 포함하며, 베이스(100)는 일단에서 칼럼과 연결된 제1 단부(102), 다른 일단에서 턴테이블(200)을 지지하는 제2 단부(103) 및 제1 단부(102)와 제2 단부(103) 사이의 연결부(104)를 포함한다.
연결 부분에 연결된 측면을 제외한 제2 단부(103)의 기타 측면의 주위에는 턴테이블의 슬로프가 설치된다. 슬로프와 베이스는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슬로프는 제2 단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3 개의 파티션 슬로프(6)로 구성된다. 3개 섹션의 파티션 슬로프는 기본적으로 크기가 동일하다.
각 섹션의 파티션 슬로프(6)는 턴테이블의 일측에 대응되는 메인 슬로프 엣지(61)를 가지며, 메인 슬로프 엣지의 양단에는 메인 슬로프 엣지와 일정한 각도로 접합 슬로프 엣지(62)가 설치된다. 인접된 파티션 슬로프(6) 사이에는 접합 슬로프 엣지(62)에 의해 그 측면에 슬로프 엣지(63)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슬로프면 외측의 전체적인 형상은 기본적으로 부분적인 다각형 형상이다. 동시에, 메인 슬로프 엣지의 일단의 접합 슬로프 엣지는 또한 턴테이블의 후측(연결부(104)의 양측)의 슬로프 엣지를 구성하여, 기본적으로 사각이 없는 물품의 이동을 실현한다.
와인딩 머신의 바닥부에서 턴테이블의 상면까지의 높이는 24mm 이상 36mm 미만이다.
파티션 슬로프면(6)의 슬로프면은 강판으로 구성될 수 있고, 파티션 슬로프면(6)의 배면에는 다수의 보강판(60)이 설치될 수 있다. 분리식 연결에는 볼트 연결, 핀 연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베이스의 제2 단부(103) 주변에는 다수의 볼트 연결 위치(105) 또는 핀 구멍이 설치된다. 파티션 슬로프(6)는 볼트 또는 핀으로 베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실시예 4는, 도 5, 도 6, 도 10, 도 11을 참조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롤러 기구에 적용되는 박형 와인딩 머신은 턴테이블(200), 베이스(100) 및 체인 전동 기구(400)를 포함한다. 턴테이블(200)은 베이스(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턴테이블(200)의 배면에는 체인 전달 기구의 종동 스프로킷이 설치된다. 종동 스프로킷은 링형 스프로킷(401)을 사용할 수 있고, 링형 스프로킷(401)은 턴테이블(200)의 회전 중심을 그의 회전 중심으로 하고, 턴테이블의 상면과 베이스의 하면 사이의 두께는 24mm 이상 36mm 미만이다.
도면 부호 402는 체인 전동 기구의 구동 스프로킷이고, 도면 부호 403은 체인 전동 기구의 구동 모터이다.
턴테이블(200)의 바닥면에는 연결판(201)이 설치되고, 턴테이블(200)은 연결판(201)에 고정 연결되며, 링형 스프로킷(401)은 연결판(201) 아래에 위치하고, 링형 스프로킷(401)은 연결판(201)에 고정 연결된다. 이 방안은 강도를 확보하면서 턴테이블(200)과 스프로킷의 얇은 설계에 기여한다. 연결판(201)도 링 형상일 수 있다. 연결판(201)은 턴테이블(200)에 용접되고, 링형 스프로킷(401)은 연결판(201)에 용접된다.
와인딩 머신은 베이스의 상면에 분포된 본 발명의 복수의 롤러 기구(7)가 설치되고, 롤러 기구는 베이스(100)에 설치된다; 롤러 조립체는 롤러 프레임, 양측에 축(72)이 있는 일체형 롤러(73) 및 베어링(74)을 포함한다. 베어링(74)은 롤러(73) 양측의 축(72)과 롤러 프레임의 베어링 구멍(710)에 위치하여, 와인딩 머신의 얇은 설계에 도움이 된다.
롤러 프레임은 좌우 분체 구성품(711, 712)을 연결하여 형성되어, 양측에 축(72)을 갖는 일체형 롤러(73) 및 베어링(74)의 설치에 용이하다. 좌우 분체 구성품(711, 712)에는 서로 매칭되는 연결 암(751, 752)이 구비되고, 좌우 분체 구성품의 연결 암(751, 752)의 단부에는 계단(761, 762)이 구비되며, 좌우 분체 구성품의 연결 암은 단부의 계단을 통해 결합되고 나사로 함께 고정되므로, 연결이 신뢰성이 있으며 높이 방향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롤러 프레임에는 베이스(100)의 장착 구멍(106)에 위치하고 매칭되는 구조(77)가 설치된다. 롤러 프레임의 위치 결정 구조(77)는 또한 롤러 프레임의 하부에 있는 장착 구멍(106)에 매칭되는 삽입 구조(78)의 일부이며, 삽입 구조와 함께 장착 구멍(106)에 묻히므로, 안정되고 높이를 줄일 수 있다.
롤러(73)는 장착 구멍(106)의 개구부 위에 위치하는데, 즉 롤러(73)의 하단 가장자리는 높이에서 장착 구멍(106)에 들어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전체 베이스의 높이를 낮추어 턴테이블(200)의 높이를 낮추면, 롤러(73)의 설치 높이를 낮추는 것을 보장할 수 있고, 동시에 바닥면의 돌과 같은 이물질이 롤러가 회전할 때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100)의 지지면(바닥면 또는 지지 베이스의 평면으로 이해될 수 있음)으로부터의 롤러(73)의 높이는 0.7cm보다 크고 2.5cm 이하이다.
롤러 기구에는 서로 평행한 양측에 축(72)를 갖는 복수의 일체형 롤러(73)가 설치된다.
도면 부호 6은 와인딩 머신 외측의 전이 슬로프이다.
실시예 5는, 도 12 - 도15를 참조하고, 동시에 도 5, 도 6을 참조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와인딩 머신은 턴테이블(200), 베이스(100) 및 체인 전동 기구(400)를 포함한다. 턴테이블(200)은 베이스(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베이스(100)에는 롤러 세트(7b)가 설치된다.
본 발명은 턴테이블의 회전 중심(A)을 중심으로 하여, 복수의 롤러 세트가 설치되고, 롤러 세트에는 복수의 롤러(73b)가 설치되고, 각 세트의 롤러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2 ~ 5 개이다. 턴테이블(200)의 배면은 롤러 세트의 롤러에 지지된다.
롤러 세트의 롤러(73b)의 축선은 회전 중심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배열되고, 본 발명의 구조는 편향된 마모가 생기지 않아, 롤러(73b)의 설치 높이를 낮추는데 매우 도움이 된다.
롤러 세트(7b)는 위치 반경에 따라 회전 중심(A)을 중심으로 하여 원으로 배열되고, 각 원에는 복수의 롤러 세트(7b)가 배열된다.
롤러 세트의 롤러는 양쪽에 축(72b)이 있는 일체형 롤러를 사용할 수 있고, 롤러 세트는 롤러 프레임, 일체형 롤러 및 베어링을 포함한다. 롤러 프레임은 2 개의 좌우 분체 구성품(711b, 712b)을 연결하여 형성하여, 양쪽에 축(72b)이 있는 일체형 롤러의 설치를 용이하게 한다. 2개의 좌우 분할 부품(711b, 712b)은 서로 매칭되는 연결 암(751b, 752b)을 가지며, 좌우 분체 구성품의 연결 암(751b, 752b)의 단부는 계단(761b, 762b)을 구비하며, 2개의 좌우 분체 구성품의 연결 암은 단부의 계단을 통해 결합되고 나사로 양자를 고정하므로, 연결이 신뢰성이 있으며 높이 방향으로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롤러 프레임에는 베이스(100)의 장착 구멍(106)과 위치가 매칭되는 구조(77b)가 설치된다. 롤러 프레임의 위치 설정 구조(77b)는 또한 매칭되는 롤러 프레임의 하부에 있는 장착 구멍(106)과 매칭되는 삽입 구조의 일부이며, 삽입 구조와 함께 장착 구멍(106)에 묻히므로, 안정적이고 높이를 줄일 수 있다.
실시예 6은, 도 16 - 도 20을 참조한다.
도 16 - 도18을 참조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칼럼 기구는 와인딩 머신의 일부이며, 칼럼(800), 베이스(100) 및 턴테이블(200)을 포함하고, 칼럼(800)은 칼럼 프레임(801)을 포함한다.
칼럼 프레임은 무게를 견딜 수 있고 일정한 강성과 강도를 가질 수 있는 금속 부품으로 프레임 구조로 조립할 수 있다. 칼럼은 복수의 칼럼 패널을 더 포함하고, 칼럼 패널의 적어도 일부는 칼럼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운송 중에, 이러한 패널을 칼럼 프레임(801)에서 분리하여 적절히 포장하여 운송 과정에서 손상되지 않게 하고, 사용 현장에서 칼럼 프레임(801)에 간단히 부착 및 연결하여 칼럼 조립을 완료함으로써 복잡한 칼럼 조립 작업을 할 필요가 없는 방법이 있다. 설사 운송 중에 패널을 분리하지 않더라도, 손상이 발생되면 일부 패널 만을 교체하면 되므로, 칼럼 전체가 폐기되지 않아 비용이 절감된다.
칼럼 프레임은 부딪쳐서 외관이 손상되기 쉽지 않으며, 부딪혀도 쉽게 변형되지 않는다. 와인딩 머신이 운송을 위해 패널을 제거하면 칼럼 프레임의 외관이 부분적으로 손상되더라도 칼럼의 모양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한, 칼럼 프레임(801) 자체는 하나의 일체를 형성하는 일체형 구조로, 베이스와 힌지 연결에 적합하다. 이와 같이, 칼럼의 프레임(801)은 기존의 칼럼과 같이 회전 연결 방식으로 베이스(100)에 사전 설치될 수 있어, 운송에 편리하고 현장 설치가 더욱 편리하다. 칼럼 프레임의 회전 연결 위치는 턴테이블(200)을 향하는 전면 측면의 바닥부에 있을 수 있으며, 관형 부재(811) 및 베이스 상의 수평 핀(107)을 통해 힌지 결합된다.
칼럼 패널은, 모든 칼럼 패널은 칼럼 프레임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쉽게 부딪치지 않는 일부 패널 또는 일부 와인딩 머신 구성품에 의해 차단되는 일부 패널은 운송 중에 제거할 필요가 없다(이들 패널은 칼럼 프레임에 반드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필요도 없음). 예를 들어, 턴테이블을 향하는 칼럼의 전면 하부에 있는 패널(821)은 공장에서 출하될 때 칼럼 프레임(801)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필름 리프팅 프레임(900)에 의해 차단되는 패널을 반드시 제거할 필요도 없다.
분리 가능한 연결은 나사, 버클 연결, 클램핑 연결 및 핀 연결과 같은 다양한 기계적 연결 구조일 수 있다.
칼럼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칼럼 패널은 전기 제어 도어(803)를 포함한다. 전기 제어 도어는 버튼, 표시 등이 장착된다. 일반적으로, 전기 제어 도어의 배면에는 일부 전기 장치가 설치된다. 전기 제어 도어(803)는 핀(830)을 통해 칼럼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칼럼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칼럼 패널은 액세스 도어(804)를 포함한다. 액세스 도어(804)는 경사된 슬롯(841)과 가로 핀(842)의 매칭 구조를 사용하여 칼럼 프레임(801)에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개폐가 용이하고, 유지 보수 시에 간섭이 없다.
전술한 도어(803, 804)에 자물쇠가 필요한 경우, 기존 구조의 자물쇠를 사용하여 칼럼 프레임(801)에 직접 잠글 수 있다.
칼럼의 상부 커버(805)는 칼럼 프레임(801)에 연결되고, 연결 방법은 나사 연결을 사용할 수도 있다.
와인딩 머신의 필름 리프팅 프레임(900)의 리프팅 기구(806)는 칼럼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어, 과거에 비해 리프팅 기구의 변형 및 위치 이탈 가능성이 적고, 리프팅 작업이 보다 안정적이다.
도면 부호 822, 823, 824, 825, 826, 827 및 828은 모두 필요에 따라 분리 가능하게 칼럼 프레임에 연결할 수 있는 칼럼의 패널이다.
도 19 및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경사진 각이 있는 칼럼의 모양의 경우, 전기 제어 도어(803b), 전기 제어 도어 위 아래의 도어(824b 및 825b)와 같이 회전하여 열어야 하는 칼럼 패널에 대해서는, 힌지(807)를 통해 인접한 칼럼 패널과 경사 부위에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에서 도 16 - 도18과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실시예 7은, 도 21 - 도 24를 참조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필름 공급 장치는 필름 공급 프레임(904), 필름 릴(903), 제1 롤러(901) 및 제2 롤러(902), 제1 구동 모터(910) 및 제2 구동 모터(920)를 포함한다. 필름 공급 방향에 따라, 제1 롤러(901)는 제2 롤러(902)의 상류에 위치하고, 제1 롤러(901)는 메인 롤러로 사용되고, 제2 롤러(902)은 사전 당김 롤러로 사용된다.
제1 롤러(901) 및 제2 롤러(902)는 각각의 전동 기구(911, 921)를 통해 각각의 구동 모터(910, 920)에 연결된다. 제1 롤러(901)의 직경과 제2 롤러(902)의 직경은 동일하게 만들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롤러(901)와 제2 롤러(902)의 직경은 다를 수도 있고, 제1 롤러(901)의 직경은 제2 롤러(902)의 직경보다 작다.
필름 공급 프레임의 상부에는 상부 필름 프레임 구조가 설치되고, 상부 필름 프레임 구조에는 전동 기구가 설치된다. 제1 롤러 및 제2 롤러는 각각의 전동 기구를 통해 각각의 구동 모터와 연결되고, 구동 모터는 상부 필름 프레임 구조의 하부에 고정된다.
제1 롤러(901) 및 제2 롤러(902)의 위치는 필름 공급 프레임(904)의 앞쪽으로 더 치우쳐 져서 제1 구동 모터(910) 및 제2 구동 모터(920)를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을 남겨두고, 제1 구동 모터(910) 및 제2 구동 모터(920)의 위치는 제1 롤러와 제2 롤러의 뒤쪽에 위치하며, 필름 릴(903)은 제1 롤러(901)의 필름 공급 측의 필름 이송 프레임(904)에 설치된다. 도면 부호 930은 필름 릴(903) 상의 필름 롤이다.
제1 롤러(901) 및 제2 롤러(902) 배면의 공간에서, 제1 구동 모터(910) 및 제2 구동 모터(920)의 위치 높이는 제1 롤러(901) 및 제2 롤러(902)의 상부 위치에 대응하여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그 아래에는 와인딩 머신의 리프팅 장치에 연결되는 후크 및 연결 시트와 같은 구조(951)가 설치되고, 그 구조(951)도 필름 공급 프레임에 설치된다.
필름 공급 프레임(904)의 상부에는 상부 필름 프레임 구조(940)가 설치되고, 상부 필름 프레임 구조(940)는 커버(941)를 포함하고, 상부 필름 프레임 구조에는 전동 기구가 설치되고, 제1 구동 모터(910) 및 제2 구동 모터(920)는 각각의 전동 기구를 통해 제1 롤러(901) 및 제2 롤러(902)에 연결된다. 제1 구동 모터(910) 및 제2 구동 모터(920)는 상부 필름 프레임 구조(940)에 고정되고, 상부 필름 프레임 구조(940) 또는 그 커버(941)에는 와인딩 머신 리프팅 장치에 연결되는 구조(952)도 설치된다.
구동 모터(910, 920)는 AC 모터를 채용한다. DC 모터에 비해 AC 모터는 제어가 우수하고 상대적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제어가 편리하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 기구(911, 921)는 체인 전동 기구를 채택하고, 직접 감속 효과가 있는 체인 전동 기구로 설치될 수 있다. 2 개의 전동 기구는 각각 체인 텐션 기구(912, 922)로 설치될 수 있다.
필름 공급 프레임(904)의 전면에는 필름 프레임 도어(906)가 설치되고, 필름 프레임 도어(906)는 제1 롤러 앞의 필름 가이드 롤러(961), 제1 롤러와 제2 롤러 사이의 필름 가이드 롤러(962) 및 제2 롤러 뒤의 필름 가이드 롤러(963)에 연결된다. 필름 안내 롤러(963) 뒤의 필름 공급 프레임(904) 출구 위치에는 필름 안내 롤러(907)가 설치된다. 필름 프레임 도어(906)의 하단은 필름 공급 프레임(904)에 힌지되고, 그 위치는 잠금 구조에 의해 잠금된다. 잠금 구조는 버클, 핀 등이 될 수 있다. 도면 부호 931은 꺼낸 필름이다.
제1 롤러(901), 제2 롤러(902) 및 필름 가이드 롤러(961, 962, 963, 907)는 수직으로 설치된다.
이상은 본 발명의 구체직인 실시예일 뿐으로, 본 발명의 구조적 특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모든 변경 또는 수정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된다.
1: 중심 축 구성품, 2: 베이스, 3: 상부 제한 구조, 4: 중간 제한 구조, 5: 연결 홈, 6: 파티션 슬로프, 7: 롤러 기구, 11: 중심 축, 12: 베어링 지지 구조, 13: 제1 제한 구조, 21: 제1 베어링, 22: 평면 베어링, 51: 개구부, 52: 상부 홈 벽, 53: 하부 홈 벽, 54: 제2 제한 구조, 61: 메인 슬로프 엣지, 62: 접합 슬로프 엣지, 73: 일체형 롤러, 74: 베어링, 100: 베이스, 101: 장착 구멍, 102: 제1 단부, 103: 제2 단부, 104; 연결부, 105: 볼트 연결 위치, 106: 장착 구멍, 201: 연결판, 300: 스프로킷, 400: 체인 전동 기구, 401: 링형 스프로킷, 402: 구동 스프로킷, 403: 구동 모터, 710: 베어링 구멍, 711, 712: 좌우 분체 구성품: 751, 752: 연결 암, 761, 762; 계단, 800: 칼럼, 801: 칼럼 프레임, 803: 전기 제어 도어, 804: 액세스 도어, 805: 상부 커버, 806: 리프팅 기구, 패널(821), 900: 필름 리프팅 프레임, 901: 제1 롤러, 902: 제2 롤러, 903: 필름 릴, 904: 필름 공급 프레임, 906: 필름 프레임 도어, 910: 제1 구동 모터, 920: 제2 구동 모터, 940: 상부 필름 프레임 구조, 961, 962, 963, 907: 필름 가이드 롤러.

Claims (10)

  1. 중심 축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 축 기구는 베이스에 설치되는 와인딩 머신에 있어서,
    중심 축 구성품을 포함하고, 중심 축 구성품의 중심부에는 중심 축이 설치되며, 상기 중심 축 구성품에는 또한 베어링 지지 구조 및 복수의 제1 제한 구조가 설치되며, 상기 중심 축 구성품은 고정되고 또한 상기 제1 제한 구조에 의해 와인딩 머신의 베이스에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딩 머신.
  2. 청구항 1에 있어서,
    물품에 필름을 전방 방향으로 감을 때 와인딩 머신의 턴테이블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제한 구조는 그 전방의 제한 구조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딩 머신.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심 축 구성품의 주위에는 복수의 제1 제한 구조가 설치되고; 와인딩 머신의 베이스에는 중심 축 기구의 장착 구멍이 설치되고, 또한 중심 축 기구의 장착 구멍의 주위에는 원주 방향으로 연결 홈이 설치되어, 중심 축 기구의 장착 구멍이 구비된 제한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 홈의 노치는 중심 축 기구의 장착 구멍을 향하고, 상기 연결 홈에는 제1 제한 구조가 삽입되는 개구부가 구비되며; 상기 중심 축 기구의 장착 구멍과 상기 개구부는 중심 축 구성품 삽입 구멍을 형성하며, 중심 축 구성품의 회전을 통해, 제1 제한 구조는 상기 연결 홈의 상부 홈 벽과 하부 홈 벽 사이에 클램핑되고, 또한 볼트를 통해 제1 제한 구조를 연결 홈의 상부 홈 벽 및 하부 홈 벽과 일체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딩 머신.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 홈에는 상기 제1 제한 구조의 전방에서 제한 구조로 사용되는 제2 제한 구조가 설치되는 특징으로 하는, 와인딩 머신.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제1 제한 구조가 제2 제한 구조에 의해 차단될 때, 제1 제한 구조는 상기 연결 홈의 상부 홈 벽 및 하부 홈 벽 사이에 클램핑되고, 또한 제1 제한 구조에 설치된 볼트 구멍은 상부 홈 벽 및 하부 홈 벽의 볼트 구멍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딩 머신.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제한 구조는 중심 축 구성품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강판으로 만들어진 키이고, 연결 홈의 홈 바닥과 상기 키의 외측은 중심 축 구성품에 대한 중심 위치 결정의 매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딩 머신.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중심 축 기구에는 상부 제한 구조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 제한 구조는 링형 구조이고, 그 내측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키가 있고, 상기 키는 제1 제한 구조를 제한하는 상부 홈 벽을 형성하며; 키와 키 사이의 간격은 상기 개구부를 구성하고, 상기 링형 구조의 중심 구멍은 중심 삽입 구멍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딩 머신.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제한 구조는 금속판으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딩 머신.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중심 축 기구에는 중간 제한 구조가 설치되고, 상기 중간 제한 구조는 링형 구조이고, 상기 연결 홈의 홈 바닥을 형성하며; 그 내측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키가 있고, 상기 키는 제1 제한 구조 전방에서 제한 구조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딩 머신.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 홈은 3층 구조이며;
    상기 중심 축 기구에는 상부 제한 구조가 설치되며, 상부층 구조로서, 상기 상부 제한 구조는 링형 구조이고, 그 내측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키가 있고, 상기 키는 제1 제한 구조를 제한하는 상부 홈 벽을 형성하고, 키와 키 사이의 간격은 상기 개구부를 구성하고, 상기 링형 구조의 중심 구멍은 중심 삽입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제한 구조는 금속판으로 만들어지며;
    상기 중심 축 기구에는 중간 제한 구조가 설치되고, 중간층 구조로서, 상기 중간 제한 구조는 링형 구조이고, 상기 연결 홈의 홈 바닥을 형성하며, 그 내측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키가 있고, 상기 키는 제1 제한 구조의 전방에서 제한 구조로 사용되고, 상기 중간 제한 구조는 금속판으로 만들어지며;
    상기 하부 홈 벽은 하부 층 구조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딩 머신.
KR1020217010369A 2018-09-28 2019-08-29 와인딩 머신 KR1024661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21595567.8U CN209553579U (zh) 2018-09-28 2018-09-28 一种滚轮机构
CN201821595567.8 2018-09-28
CN201920903946.7U CN210681243U (zh) 2019-06-14 2019-06-14 一种转盘斜坡机构
CN201920903836.0 2019-06-14
CN201920900991.7U CN210971656U (zh) 2019-06-14 2019-06-14 一种滚轮机构
CN201920903836.0U CN210971657U (zh) 2019-06-14 2019-06-14 一种立柱机构
CN201920900991.7 2019-06-14
CN201920903946.7 2019-06-14
CN201910540491.1 2019-06-21
CN201920946829.9 2019-06-21
CN201920949305.5 2019-06-21
CN201920946829.9U CN210681244U (zh) 2019-06-21 2019-06-21 一种薄型缠绕装置
CN201910540491.1A CN112109951A (zh) 2019-06-21 2019-06-21 一种中心轴机构
CN201920949305.5U CN210681245U (zh) 2019-06-21 2019-06-21 一种中心轴机构
CN201921350590.5U CN210971658U (zh) 2019-08-20 2019-08-20 一种送膜装置
CN201921350590.5 2019-08-20
PCT/CN2019/103269 WO2020063245A1 (zh) 2018-09-28 2019-08-29 一种缠绕机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567A KR20210054567A (ko) 2021-05-13
KR102466173B1 true KR102466173B1 (ko) 2022-11-10

Family

ID=69950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0369A KR102466173B1 (ko) 2018-09-28 2019-08-29 와인딩 머신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11892B2 (ko)
EP (1) EP3858744A4 (ko)
JP (1) JP7394127B2 (ko)
KR (1) KR102466173B1 (ko)
AU (1) AU2019349011B2 (ko)
WO (1) WO202006324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53896A1 (en) 2013-05-31 2014-12-04 C&C Group S.R.L. Thin pallet wrapping platform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05780A (en) * 1936-12-10 1939-05-16 Syncro Mach Co Improvements in control means for web wrapping machines
JPH11314617A (ja) 1998-05-08 1999-11-16 Toppan Printing Co Ltd ラップフィルム包装札添付装置
JP2002166906A (ja) 2000-11-28 2002-06-11 Signode Kk 包装装置およびこれに用いるハンドリング装置
JP3808001B2 (ja) 2001-04-12 2006-08-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状情報記録媒体用ターンテーブルおよびディスク装置
SE0201210L (sv) * 2002-04-23 2003-03-04 Goeran Lindstroem Bottenenhet till sträckfilmsmaskin
JP2003327351A (ja) 2002-05-09 2003-11-19 Olympus Optical Co Ltd フィルム巻き取り装置
JP2004323040A (ja) 2003-04-23 2004-11-18 I-Techno Yajima:Kk ラッピング装置
KR200389461Y1 (ko) * 2005-04-22 2005-07-18 신환기 자동랩핑기의 동력전달장치
US7401345B2 (en) * 2005-12-21 2008-07-15 Hanpin Electron Co., Ltd. Digital audio signal player
CN200960983Y (zh) * 2006-04-25 2007-10-17 孙奎连 全自动拉伸缠绕裹包机
CN201761648U (zh) 2010-02-08 2011-03-16 杭州永创机械有限公司 一种缠绕机中的物品旋转装置
US10781005B2 (en) 2013-06-27 2020-09-22 Hangzhou Youngsun Intelligent Equipment Co., Ltd. Winding machine
CN204916266U (zh) 2015-07-17 2015-12-30 广东志高空调有限公司 一种可移动卷绕式空调包膜机
CN104973281A (zh) 2015-07-17 2015-10-14 广东志高空调有限公司 一种可移动卷绕式空调包膜机
CN207015625U (zh) 2017-07-11 2018-02-16 苏州市旭锠达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加压式缠绕机
CN207089724U (zh) 2017-07-19 2018-03-13 上海利业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新型外包装卷绕机
CN207773550U (zh) 2017-12-21 2018-08-28 酒泉科聚生产力促进中心 一种新型化工用缠绕机
CN108995848A (zh) 2018-09-28 2018-12-14 杭州永创智能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薄型缠绕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53896A1 (en) 2013-05-31 2014-12-04 C&C Group S.R.L. Thin pallet wrapping platfo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9349011B2 (en) 2023-08-10
KR20210054567A (ko) 2021-05-13
EP3858744A1 (en) 2021-08-04
JP2022502321A (ja) 2022-01-11
JP7394127B2 (ja) 2023-12-07
WO2020063245A1 (zh) 2020-04-02
EP3858744A4 (en) 2022-06-29
US11511892B2 (en) 2022-11-29
US20220033118A1 (en) 2022-02-03
AU2019349011A1 (en) 202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94769B1 (en) A tubing reel assembly for coiled tubing systems
KR101285462B1 (ko) 분할 해체 및 조립이 용이한 파일 자동 용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접합 방법
KR102466173B1 (ko) 와인딩 머신
KR20190029010A (ko) 엔진 분해 및 조립장치
CN110436117A (zh) 传送装置
US20130042531A1 (en) Gate operator,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folded gate assembly utilizing same
KR20150012554A (ko) 분할 해체 및 조립이 용이한 파일 자동 용접 장치
CN110436113A (zh) 弯道传送装置
CN110438459A (zh) 一种卧式真空镀膜机
JP2002370896A (ja) プロジェクター用昇降装置
KR20130130135A (ko) 벨트의 사행방지장치 및 그를 구비한 석탄 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
RU2771719C1 (ru) Обмоточная машина
CN110436114A (zh) 传送装置
CN110436116A (zh) 传送装置
CN111203744A (zh) 一种机械零件加工用翻转装置
CN220427460U (zh) 一种工字轮组装设备
CN218401175U (zh) 一种用于打包机中的输送机构
CN113977173B (zh) 一种电梯井l型支架的自动焊接机
CN108941248A (zh) 一种钢筋骨架滚焊机用盘筋放料架
CN214923613U (zh) 一种用于建筑施工的柱形材夹持定位装置
CN220333786U (zh) 一种高速托盘提升装置
CN216912540U (zh) 输送装置及激光加工设备
CN211367638U (zh) 一种有色金属退火炉用支撑装置
WO2022065314A1 (ja) コンテナ収納移動型風力発電装置
KR20100055002A (ko) 무동력 중량물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