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5726B1 - 튜브 펌프 - Google Patents

튜브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5726B1
KR102465726B1 KR1020160124462A KR20160124462A KR102465726B1 KR 102465726 B1 KR102465726 B1 KR 102465726B1 KR 1020160124462 A KR1020160124462 A KR 1020160124462A KR 20160124462 A KR20160124462 A KR 20160124462A KR 102465726 B1 KR102465726 B1 KR 102465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driving
shaft
unit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4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0096A (ko
Inventor
히로시 이마이
카즈키 히라이
Original Assignee
사파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파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사파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40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0096A/ko
Priority to KR1020220117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7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5/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with the working-chamber walls at least partly resiliently deform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12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eristaltic action
    • F04B43/1253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eristaltic action by using two or more rollers as squeezing elements, the rollers moving on an arc of a circle during squ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08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tubular flexibl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08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tubular flexible members
    • F04B43/09Pumps having electric dr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12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eristaltic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12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eristaltic action
    • F04B43/1253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eristaltic action by using two or more rollers as squeezing elements, the rollers moving on an arc of a circle during squeezing
    • F04B43/1261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eristaltic action by using two or more rollers as squeezing elements, the rollers moving on an arc of a circle during squeezing the rollers being placed at the outside of the tubular flexibl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12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eristaltic action
    • F04B43/1253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eristaltic action by using two or more rollers as squeezing elements, the rollers moving on an arc of a circle during squeezing
    • F04B43/1276Means for pushing the rollers against the tubular flexibl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7/00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F04B17/03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driven by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08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tubular flexible members
    • F04B43/086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tubular flexible members with two or more tubular flexible members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12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eristaltic action
    • F04B43/1238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eristaltic action using only one roller as the squeezing element, the roller moving on an arc of a circle during squ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2Stopping, starting, unloading or idling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튜브에 접촉하면서 제1 축선 둘레로 회전하는 제1 롤러부 및 제2 롤러부와, 제1 롤러부에 연결되는 구동축과, 구동축의 외주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제2 롤러부에 연결되는 구동통과, 제1 구동축을 제1 축선 둘레로 회전시키는 제1 구동부와, 제2 구동축을 제2 축선 둘레로 회전시키는 제2 구동부와, 제2 구동축의 구동력을 구동통의 외주면에 전달하는 전달기구를 포함하고,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는, 제1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제1 구동부의 제1 배치 위치와 제2 구동부의 제2 배치 위치가 중복되게 배치되는 튜브 펌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튜브 펌프{Tube Pump}
본 발명은 튜브 펌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한 쌍의 가압부를 회전시켜서 튜브를 누르는 것에 의해, 튜브의 일단측에서 타단측으로 토출시키는 펌프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참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펌프는, 한 쪽의 가압부가 연결되는 회전축을 상방으로 돌출시키고, 타방의 가압부가 연결되는 회전축을 하방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펌프는, 한 쌍의 전동 모터의 구동력을 한 쌍의 감속기를 통해서 상방 및 하방으로 돌출하는 회전축에 각각 전달하고, 한 쌍의 가압부를 비등속 회전시켜서 작은 맥동으로 유체를 토출시키는 것이다.
(특허문헌1)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263765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펌프는, 한 쌍의 가압부에 연결되는 회전축을 상방 및 하방으로 돌출시키는 형상이므로, 회전축이 축선 방향으로 길게 되고, 그에 따라 펌프가 축선 방향으로 커진다.
또한, 상방 및 하방으로 돌출된 쌍의 회전축의 각각을 회전축의 축선 방향으로 직교하는 폭 방향에 배치된 한 쌍의 감속기 및 한 쌍의 전동 모터로 구동하는 구조이므로, 그에 따라 펌프가 폭 방향으로 커진다.
이와 같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펌프는, 회전축 축선 방향 및 축선 방향으로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각각 커서, 소형화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 행해진 것이며, 튜브에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한 쌍의 접촉부재의 각각을 독립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 소형화를 실현한 튜브 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하기의 수단을 채용했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른 튜브 펌프는, 제1 축선 둘레에 원호형상으로 배치되는 튜브에 접촉하면서 상기 제1 축선 둘레로 회전하는 제1 접촉부재와, 상기 튜브에 접촉하면서 상기 제1 축선 둘레로 회전하는 제2 접촉부재와, 상기 제1 축선상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제1 접촉부재에 연결되는 축부재와, 상기 축부재의 외주측에 상기 축부재와 독립하여 상기 제1 축선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제2 접촉부재에 연결되는 통부재와, 상기 제1 축선상에 배치되어 상기 축부재에 연결되는 제1 구동축을 갖는 동시에 상기 제1 구동축을 상기 제1 축선 둘레로 회전시키는 제1 구동부와, 상기 제1 축선과 평행한 제 2축선상에 배치되는 제2 구동축을 갖는 동시에 상기 제 2구동축을 상기 제 2축선 둘레로 회전시키는 제2 구동부와, 상기 제 2구동축의 상기 제 2축선 둘레의 구동력을 상기 통부재의 외주면에 전달하여 상기 통부재를 상기 제1 축선 둘레로 회전시키는 전달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제1 축선에 따른 제1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구동부의 제1 배치 위치와 상기 제2 구동부의 제2 배치 위치가 중복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른 튜브 펌프에 의하면, 제1 접촉부재가 축부재에 연결되고, 제2 접촉부재가 축부재의 외주측에 축부재와 독립하여 제1 축선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통부재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축부재를 제1 축선 둘레로 회전시키는 제1 구동축을 갖는 제1 구동부의 제1 배치 위치와, 전달부를 통해서 통부재를 제1 축선 둘레로 회전시키는 제2 구동축을 갖는 제2 구동부의 제2 배치 위치가, 제1 축선 방향에 있어서 중복된다. 이로 인해, 제1 배치 위치와 제2 배치 위치를 제1 축선 방향에 있어서 중복시키지 않는 경우에 비해, 튜브 펌프의 제1 축선 방향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른 튜브 펌프에 의하면, 제1 축선상에 배치되는 제1 구동부의 제1 구동축이 제1 접촉부재에 연결되는 축부재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 구동축을 구동하는 제1 구동부가 제1 축선상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축부재가 배치되는 제1 축선에 대하여 폭 방향으로 어긋나게 제1 구동부를 배치할 경우에 비해, 튜브 펌프의 폭 방향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른 튜브 펌프에 의하면, 튜브에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한 쌍의 접촉부재의 각각을 독립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 소형화를 실현한 튜브 펌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른 튜브 펌프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는, 상기 제2 구동축에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제2 구동축과 함께 상기 제2 축선 둘레로 회전하는 제1 기어와, 상기 제1 기어로부터 상기 제2 구동축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동시에 상기 통부재의 외주면에 연결되는 내주면을 갖는 제2 기어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으로, 제1 기어와 제2 기어를 갖는 비교적 간소하면서 소형으로 구성 가능한 전달부에 의해 제2 구동축의 구동력을 통부재의 외주면에 전달하고, 제2 접촉부재를 제1 축선 둘레로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른 튜브 펌프에 있어서, 상기 1 구동부 및 상기 제2 구동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부재와, 상기 수용부재의 내부에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제1 관통홀과 상기 제2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된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제1 관통홀에 상기 제1 구동축을 삽입한 상태로 상기 지지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제2 관통홀에 상기 제2 구동축을 삽입한 상태로 상기 지지부재에 장착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는, 수용부재의 내부에 수용되는 동시에 지지부재에 장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를 공통의 지지부재에 장착하여 폭 방향으로 근접한 위치에 배치하면서, 이것들을 수용부재에 수용한 상태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태양에 따른 튜브 펌프는, 제1 축선 둘레에 원호형상으로 배치되는 튜브에 접촉하면서 상기 제1 축선 둘레로 회전하는 제1 접촉부재와, 상기 튜브에 접촉하면서 상기 제1 축선 둘레로 상기 제1 접촉부재와 동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접촉부재와, 상기 제1 접촉부재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 구동축을 갖는 동시에 상기 제1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제1 구동부와, 상기 제2 접촉부재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 구동축을 갖는 동시에 상기 제2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제2 구동부와, 상기 제1 구동부에 의한 상기 제1 구동축의 회전과 상기 제2 구동부에 의한 상기 제2 구동축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접촉부재 및 상기 제2 접촉부재에 의한 상기 튜브 내의 유체의 토출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1 접촉부재 및 상기 제2 접촉부재를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제어 모드와, 상기 제1 접촉부재 및 상기 제2 접촉부재가 상기 튜브와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제1 접촉부재 및 상기 제2 접촉부재 각각의 회전 각도를 고정하는 제2 제어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른 튜브 펌프에 의하면, 제1 구동부에 의한 제1 구동축의 회전과 제2 구동부에 의한 제2 구동축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제2 제어 모드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제1 접촉부재 및 제2 접촉부재가 튜브와 접촉하지 않는 퇴피(退避) 위치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접촉부재 및 제2 접촉부재를 퇴피 위치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사용중인 튜브와 다른 튜브와의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튜브에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한 쌍의 접촉부재의 각각을 독립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 소형화를 실현한 튜브 펌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튜브 펌프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튜브 펌프의 A-A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튜브 펌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제1 구동부가 제1 롤러부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제2 구동부가 제2 롤러부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6은 튜브 펌스 시스템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제1 롤러부가 0°의 위치에 배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튜브 펌프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제1 롤러부가 40°의 위치에 배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튜브 펌프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제1 롤러부가 160°의 위치에 배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튜브 펌프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제1 롤러부가 240°의 위치에 배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튜브 펌프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롤러부의 회전 각도와 각속도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2는 한 쪽의 롤러부의 회전 각도와 다른 쪽의 롤러부의 회전 각도의 차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3은 롤러부의 회전 각도와 유량과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4는 제1 롤러부 및 제2 롤러부를 퇴피 위치에 퇴피시킨 상태를 도시한 튜브 펌프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튜브 펌프(100)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본 실시형태의 튜브 펌프(100)는, 축선(X1, 제1 축선) 둘레로 제1 롤러부(10, 제1 접촉부재)와 제2 롤러부(20, 제2 접촉부재)를 동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유입측(200a)에서 유입되는 튜브(200) 내의 유체를 유출측(200b)에 토출시키는 장치이다.
도 1의 정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튜브 펌프(100)에는, 제1 롤러부(10)및 제2 롤러부(20)를 수용하는 롤러 수용부(82)의 요부(82a)의 내주면을 따라, 축선(X1) 둘레에 원호형상으로 튜브(200)가 배치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러 수용부(82)에 수용되는 제1 롤러부(10)및 제2 롤러부(20)는, 튜브(200)에 접촉하면서 반시계 방향의 회전 방향(도 1의 화살표로 도시한 방향)을 따라 축선(X1) 둘레로 회전한다.
한편, 도 1은, 도 2에 도시한 커버(83)을 떼어 낸 상태의 튜브 펌프(100)를 도시한 것이다.
도2의 종단면도 및 도3의 분해 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튜브 펌프(100)는, 튜브(200)에 접촉하면서 축선(X1) 둘레로 회전하는 제1 롤러부(10)및 제2 롤러부(20)와, 축선(X1) 상에 배치되는 동시에 제1 롤러부(10)에 연결되는 구동축(30, 축부재)과, 제2 롤러부(20)에 연결되는 구동통(40, 통부재)과, 구동축(3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 구동부(50)와, 제2 구동부(60)와, 제2 구동부(60)의 구동력을 구동통(40)에 전달하는 전달기구(70, 전달부)를 포함한다.
제1 롤러부(10)는, 튜브(200)와 접촉하면서 축선(X1)과 평행한 축선 둘레로 회전하는 제1 롤러(11)와, 축선(X1) 둘레로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동축(30)에 연결된 제1 롤러부재(12)와, 양단부가 제1 롤러부재(12)에 지지되는 동시에 제1 롤러(11)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는 제1 샤프트(13)를 가진다.
제2 롤러부(20)는, 튜브(200)와 접촉하면서 축선(X1)과 평행한 축선 둘레로 회전하는 제2 롤러(21)와, 축선(X1) 둘레로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동통(40)에 연결된 제2 롤러 지지부재(22)와, 양단부가 제2 롤러 지지부재(22)에 지지되는 동시에 제2 롤러(21)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는 제2 샤프트(23)를 가진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구동부(50)및 제2 구동부(60)는, 케이싱(80, 수용부재)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케이싱(80)의 내부에는, 전달기구(70)를 수용하기 위한 기어 수용부(81)와, 제1 구동부(50)및 제2 구동부(6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90)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80)의 상부에는, 제1 롤러부(10)와 제2 롤러부(20)를 수용하기 위한 롤러 수용부(82)가 장착되어 있다.
지지부재(90)에는, 축선(X1)을 따라 연장되는 제1 관통홀(91)과 축선(X2)을 따라 연장되는 제2 관통홀(9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구동부(50)는, 지지부재(90)에 형성된 제1 관통홀(91)에 제1 구동축(51)을 삽입한 상태로 지지부재(90)에 체결볼트(미도시)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구동부(60)는, 지지부재(90)에 형성된 제2 관통홀(92)에 제2 구동축(61)을 삽입한 상태로 지지부재(90)에 체결볼트(미도시)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구동부(50)및 제2 구동부(60)의 각각은, 일체로 형성된 부재인 지지부재(90)에 장착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구동부(50)의 축선(X1) 방향에 있어서의 배치 위치(제1 배치 위치)는, 위치(P1)에서 위치(P2)까지의 범위로 되어 있다. 위치(P1)는 제1 구동축(51)의 상단위치이며, 위치(P2)는 후술하는 제1전동 모터(52)의 하단위치이다.
또한, 제2 구동부(60)의 축선(X1) 방향에 있어서의 배치 위치(제2 배치 위치)는, 위치(P3)로부터 위치(P4)까지의 범위로 되어 있다. 위치(P3)는 제2 구동축(61)의 상단위치이며, 위치(P4)는 후술하는 제2 전동 모터(62)의 하단위치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구동부(50)및 제2 구동부(60)는, 축선(X1) 방향에 있어서의 제1 구동부(50)의 배치 위치(위치(P1)∼위치(P2))와 제2 구동부(60)의 배치 위치(위치(P3)∼위치(P4))가 중복되게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1 구동부(50)가 제1 롤러부(1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조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있어서, 실선으로 도시한 부분이, 제1 구동부(50)의 구동력을 제1 롤러부(10)에 전달하는 구조를 구성하는 부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구동부(50)는, 축선(X1) 상에 배치되어 구동축(30)에 연결되는 제1 구동축(51)을 가진다. 제1 구동축(51)은, 축선(X1)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핀(51a)을 삽입한 상태로 구동축(30)의 하단에 장착되어 있다. 핀(51a)에 의해 구동축(30)이 제1 구동축(51)에 대하여 축선(X1) 둘레로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1 구동부(50)가 제1 구동축(51)을 축선(X1) 둘레로 회전시키면, 제1 구동축(51)의 구동력이 구동축(30)에 전달되고, 구동축(30)이 축선(X1) 둘레로 회전한다.
제1 구동부(50)는, 제1 구동축(51)과, 제1 전동 모터(52)와, 제1 전동 모터(52)가 회전시키는 회전축(미도시)의 회전을 감속하여 제1 구동축(51)에 전달하는 제1 감속기(53)를 가진다. 제1 구동부(50)는, 제1 전동 모터(52)의 구동력을 제1 구동축(51)에 전달하는 것에 의해, 제1 구동축(51)을 축선(X1) 둘레로 회전시킨다.
제1 구동축(51)에는, 제1 구동축(51)과 함께 축선(X1) 둘레로 회전하는 위치 검출용 부재(5lb)가 장착되어 있다. 위치 검출용 부재(5lb)는, 원환형상으로 형성되는 외주변부에 축선(X1) 둘레의 주방향으로 제1 롤러부(10)의 축선(X1) 둘레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슬릿(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 검출용 부재(5lb)의 외주변부의 상면과 하면을 끼워 넣도록 위치 검출 센서(54)가 배치되어 있다. 위치 검출 센서(54)는, 상면측 및 하면측의 한 쪽에 발광 소자를 배치하고, 상면측 및 하면측의 다른 쪽에 수광소자를 배치한 센서이다. 위치 검출 센서(54)는, 위치 검출용 부재(5lb)의 축선(X1) 둘레의 회전에 따라 슬릿에 의해 발광 소자가 발광하는 빛이 통과하는 것을 수광소자에서 검지하는 것에 의해, 제1 롤러부(10)가 축선(X1) 둘레의 어느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지를 도시한 회전 위치를 검출하고, 제어장치(400, 도6참조)로 송신하는 것이다.
구동축(30)은, 그 하단이 제1 구동축(51)에 연결되고, 그 상단이 커버(83)에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된다. 커버(83)의 삽입홀에는, 제1 구동축(51)의 선단을 축선(X1)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3 베어링 부재(33)가 삽입되어 있다.
또한, 구동축(30)은, 외주면을 따라 삽입된 원통형상의 제1 베어링 부재(31)와, 제1 베어링 부재(31)와는 독립적으로 형성된 원통형상의 제2 베어링 부재(32)에 의해, 구동통(40)의 내주측에 축선(X1)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동축(30)은, 하단측의 외주면이 제1 베어링 부재(31)에 의해 지지되고, 중앙부의 외주면이 제2 베어링 부재(32)에 의해 지지되고, 선단측의 외주면이 제3 베어링 부재(33)에 의해 지지된다. 이로 인해, 구동축(30)은, 중심축을 축선(X1) 상에 유지된 상태로 축선(X1) 둘레로 원활하게 회전한다.
한편, 제1 베어링 부재(31)와 제2 베어링 부재(32)는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구동축(30)을 축선(X1)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구는, 이하의 수순에 의해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제1은, 구동축(30)의 외주면을 따라 제1 베어링 부재(31)를 삽입한다. 제2는, 구동통(40)을 구동축(30)의 외주면을 따라 삽입한다. 제3은, 구동축(30)의 외주면을 따라 제2 베어링 부재(32)를 삽입한다. 제4는, 구동통(40)의 외주면을 따라 샤프트 커버(34)를 삽입하고, 제1 베어링 부재(31), 제2 베어링 부재(32), 구동통(40)이 구동축(3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에서,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베어링 부재(31)와 제2 베어링 부재(32)가 축선(X1) 방향으로 떨어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은, 구동통(40)의 내주면에 축선(X1) 둘레로 연장되는 엔드레스 형상의 환형 돌기부(40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구동축(30)의 선단측에는, 제1 롤러부(10)의 제1 롤러 부재(12)가 축선(X1) 둘레로 일체로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제1 구동부(50)가 제1 구동축(51)을 축선(X1) 둘레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은, 제1 구동축(51)으로부터 구동축(30)을 통해 제1 롤러부(10)에 전달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축(30)의 하단은 원환형상으로 형성되는 스러스트 베어링(35)의 상면에 지지되고 있고, 스러스트 베어링(35)의 하면은 지지부재(90)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이로 인해, 구동축(30)에 축선(X1)을 따라 하방을 향한 스러스트력이 가해진 경우에는, 그 스러스트력은 제1 감속기(53)및 제1 전동 모터(52)에 전달되지 않고, 스러스트 베어링(35)에 의해 지지된다.
이로 인해, 구동축(30)에 축선(X1)을 따라 하방을 향한 스러스트력이 가해진 경우에, 그 스러스트력에 의해 제1 감속기(53)및 제1전동 모터(52)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이 억제된다.
다음으로, 제2 구동부(60)가 제1 롤러부(1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조에 대해서, 도 5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낸 부분이, 제2 구동부(60)의 구동력을 제2 롤러부(20)에 전달하는 구조를 구성하는 부분이다. 도 5에 도시한 구조는, 제2 롤러부(20)와, 구동통(40)과, 제2 구동부(60)와, 전달기구(70)를 가진다.
도 5에 나타낸 전달기구(70)는, 축선(X1)과 평행한 축선(X2, 제2 축선) 둘레로 회전하는 제1 기어부(71)와, 제1 기어부(71)로부터 제2 구동축(61)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제2 기어부(72)를 가진다. 전달기구(70)는, 제2 구동축(61)의 축선(X2) 둘레의 구동력을 구동통(40)의 외주면에 전달하여 구동통(40)을 축선(X1) 둘레로 회전시킨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구동부(60)는, 축선(X2) 상에 배치되는 제2 구동축(61)과, 제2 전동 모터(62)와, 제2 전동 모터(62)가 회전시키는 회전축(미도시)의 회전을 감속하여 제2 구동축(61)에 전달하는 제2 감속기(63)를 가진다. 제2 구동부(60)는, 제2 전동 모터(62)의 구동력을 제2 구동축(61)에 전달하는 것에 의해, 제2 구동축(61)을 축선(X2) 둘레로 회전시킨다.
제2 구동축(61)은, 축선(X2) 둘레에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기어부(71)의 중심부에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되어 있다. 제1 기어부(71)는, 제2 구동축(61)이 삽입된 상태로 고정 나사(71a)를 체결하여 고정 나사(71a)의 선단이 제2 구동축(61)에 닿는 것에 의해, 제2 구동축(61)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하여, 제1 기어부(71)는, 제2 구동축(61)에 연결되어 제2 구동축(61)과 함께 축선(X2) 둘레로 회전한다.
제1 기어부(71)의 축선(X2) 둘레에 형성된 제1 기어(7lb)는, 제2 기어부(72)의 축선(X1) 둘레에 형성된 제2 기어(72b)와 맞물려 있다. 이로 인해, 제1 기어부(71)의 축선(X2) 둘레의 회전에 의한 구동력은, 제2 기어부(72)를 축선(X1) 둘레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으로 전달된다.
제1 기어부(71)에는, 제2 구동축(61)과 함께 축선(X1) 둘레로 회전하는 위치 검출용 부재(71c)가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검출용 부재(71c)는, 원환형상으로 형성되는 외주변부에 축선(X2) 둘레의 주방향(周方向)으로 제2 롤러부(20)의 축선(X1) 둘레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슬릿(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 검출용 부재(71c)의 외주변부의 상면과 하면을 끼워 넣도록 위치 검출 센서(64)가 배치되어 있다. 위치 검출 센서(64)는, 상면측 및 하면측의 한 쪽에 발광 소자를 배치하고, 상면측 및 하면측의 다른 쪽에 수광소자를 배치한 센서이다. 위치 검출 센서(64)는, 위치 검출용 부재(71c)의 축선(X2) 둘레의 회전에 따라 슬릿에 의해 발광 소자가 발광하는 빛이 통과하는 것을 수광소자로 검지하는 것에 의해, 제2 롤러부(20)가 축선(X1) 둘레의 어느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지를 도시한 회전 위치를 검출하여 제어장치(400, 도6참조)에 송신하는 것이다.
구동통(40)은, 축선(X1) 둘레에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기어부(72)의 중심부에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되어 있다. 삽입홀은, 구동통(40)의 외주면에 연결되는 내주면을 갖는 홀이다.
제2 기어부(72)는, 구동통(40)이 삽입된 상태로 고정 나사(72a)를 체결하여 고정 나사(72a)의 선단이 구동통(40)에 닿는 것에 의해, 구동통(4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2 기어부(72)는, 구동통(40)에 연결되어 구동통(40)과 함께 축선(X1) 둘레로 회전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통(40)은, 구동축(30)의 외주측에 제1 베어링 부재(31)및 제2 베어링 부재(32)를 끼운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구동통(40)은, 구동축(30)과 독립하여 축선(X1)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동축(30)은 제1 구동부(50)에 의한 구동력에 의해 축선(X1) 둘레로 회전하고, 구동통(40)은 구동축(30)과는 독립된 상태로, 제2 구동부(60)에 의한 구동력에 의해 축선(X1) 둘레로 회전한다.
구동통(40)의 선단측에는, 제2 롤러부(20)의 제2 롤러 지지부재(22)가 축선(X1) 둘레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제2 구동부(60)가 제2 구동축(61)을 축선(X2) 둘레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은, 전달기구(70)에 의해 구동통(40)의 외주면에 전달되고, 구동통(40)로부터 제2 롤러부(20)에 전달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튜브 펌프(100)에 의해 실행되는 유체의 토출에 대해서, 도 6에서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튜브 펌프(100)를 포함하는 튜브 펌스 시스템(500)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튜브 펌스 시스템(500)은, 튜브 펌프(100)로부터 토출되는 유체의 유량을 유량계(300)로 계측하고, 그 계측 결과를 제어장치(400)가 수신하여 계측 결과를 기초로 튜브 펌프(100)의 제1 구동부(50)및 제2 구동부(60)를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튜브 펌스 시스템(500)은, 튜브 펌프(100)의 제1 구동부(50)및 제2 구동부(6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어장치(400)로부터 튜브 펌프(100)로 송신하는 것이다.
한편, 튜브 펌프(100)를, 제어장치(400)가 내부에 내장된 장치로 구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튜브 펌프(100)의 내부에 내장된 제어장치(400)가 제1 구동부(50)및 제2 구동부(6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제1 구동부(50)및 제2 구동부(60)로 전달한다.
도 7에서 도 13에 도시한 예는, 튜브(200)의 유입측(200a)에서 맥동이 발생하지 않은 유체(유량의 변동이 발생하지 않은 유체)가 유입되고, 그것을 맥동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로 유출측(200b)에서 토출 하도록 한 예이다.
도 6에 도시한 제어장치(400)는, 도 7에서 도 13에 도시한 상태가 되도록, 제1 구동부(50)및 제2 구동부(6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튜브 펌프(100)로 송신한다.
도 7에서 도 10은, 제어장치(400)가 제1 구동부(50)및 제2 구동부(60)를 제어하고, 제1 롤러부(10)및 제2 롤러부(20)를 축선(X1) 둘레로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제1 롤러부(10)및 제2 롤러부(20)(이하, 이것들을 총칭할 경우에는 단순히 롤러부라고 한다.)의 축선(X1) 둘레의 회전 각도를, 각 도면의 하단을 회전 각도 0°로 하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각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한다.
도 11은, 롤러부의 회전 각도(°)와 각속도(rad/s)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롤러부가 0° 위치에서 160° 위치에 이르기까지의 롤러부의 각속도를 V로 했을 경우, 롤러부는, 회전 각도 160°에서 증속을 시작하여 각속도가 2V가 되고, 그 후에 감속을 시작하여 회전 각도 240°로 다시 각속도가 V가 되도록 축선(X1) 둘레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제1 롤러부(10)및 제2 롤러부(20)는, 축선(X1) 둘레의 회전 각도에 따라 다른 각속도로 회전한다. 이로 인해, 제1 롤러부(10)와 제2 롤러부(20)의 회전 각도의 차이는, 이것들이 축선(X1) 둘레를 1주 할 때에 증감한다.
도 12는, 한 쪽의 롤러부의 회전 각도와 다른 쪽의 롤러부의 회전 각도의 차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세로축은, 한 쪽의 롤러부의 현재의 회전 각도에 대하여, 다른 쪽의 롤러부의 현재의 회전 각도가 축선(X1) 둘레로 반시계 방향에서 얼마만큼 회전하고 있는지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도 7에서 도 10에 도시한 각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제1 롤러부(10)및 제2 롤러부(20)의 회전 각도의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나, 회전 각도의 구체적 수치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7은, 제1 롤러부(10)가 회전 각도 0°에 배치되고, 제2 롤러부(20)가 회전 각도 160°에 배치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7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롤러부(10)가 회전 각도 0°에 배치될 경우, 제2 롤러부(20)와의 회전 각도의 차이가 160°로 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제1 롤러부(10)및 제2 롤러부(20)의 각각이, 회전 각도 0°와 회전 각도 160°에서 튜브(200)에 접촉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튜브(200) 내부의 유체가, 회전 각도 160°에서 회전 각도 360°(0°)에 이르는 영역에서 거의 폐색(閉塞)된 상태가 된다.
도 8은, 제1 롤러부(10)가 회전 각도 40°에 배치되고, 제2 롤러부(20)가 회전 각도 240°에 배치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8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롤러부(10)가 회전 각도 40°에 배치될 경우, 제2 롤러부(20)와의 회전 각도의 차이가 200°로 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상태에서 제1 롤러부(10)와 제2 롤러부(20)와의 회전 각도의 차이가 160°이었던 것이 200°까지 커지고 있는 것은, 제1 롤러부(10)의 각속도(V)보다도 제2 롤러부(20)의 각속도(2V)가 크기 때문이다.
도 8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제1 롤러부(10)및 제2 롤러부(20) 각각이, 회전 각도 40°와 회전 각도 240°에서 튜브(200)에 접촉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튜브(200) 내부의 유체가, 제2 롤러부(20)에 의해 유입측(200a)에 역류하지 않도록 폐색된 상태가 된다. 도 7에 도시한 상태에서 도 8에 도시한 상태로 변화되는 과정에서, 튜브(200) 내부에 폐색된 유체는, 200°의 회전 각도의 범위(160° 위치에서 360°위치까지의 범위)에서 폐색되는 상태에서, 120°의 회전 각도의 범위(240° 위치에서 360° 위치까지의 범위)에서 폐색되는 상태로 변화된다.
도 7에 도시한 상태에서 제1 롤러부(10)가 더욱 회전하는 것에 의해, 제1 롤러부(10)가 튜브(200)에서 서서히 이간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7에 도시한 상태에서 도 8에 도시한 상태로 변화되는 과정에서, 튜브(200) 내부에 폐색된 유체의 압력이 상승되고 있다. 이로 인해, 제1 롤러부(10)가 튜브(200)로부터 이간되어도, 튜브(200) 내부에 폐색된 유체의 압력에 의해, 튜브(200)의 하류측에서 상류측으로 유체를 끌어 들이는 것이 억제된다. 이것에 의해, 튜브 펌프(100)로부터 토출되는 유체에 맥동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도 9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제1 롤러부(10)가 튜브(200)로 다시 접촉하여 회전 각도 160°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롤러부(20)는, 회전 각도 360°(0°)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롤러부(10)와 제2 롤러부(20)의 회전 각도가 도 8에 도시한 상태와 같은 것은, 제1 롤러부(10)의 각속도(V)와 제2 롤러부(20)의 각속도(V)가 같기 때문이다 (도12참조).
도 10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제1 롤러부(10)가 회전 각도 240°에 배치되고, 제2 롤러부(20)가 회전 각도 40°에 배치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한 상태에 비해, 제1 롤러부(10)와 제2 롤러부(20)의 회전 각도의 차이가 160°에서 200°로 증가하고 있는 것은, 제2 롤러부(20)의 각속도(V)보다도 제1 롤러부(10)의 각속도(2V)가 크기 때문이다 (도 12 참조).
튜브 펌프(100)는, 도 10에 도시한 상태 후에 다시 도 7에 도시한 상태로 된다. 튜브 펌프(100)는, 도 7, 도 8, 도 9, 도 10에 도시한 상태로 순차적으로 변화하여 다시 도 7에 도시한 상태에 이르는 동작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유입측(200a)에서 유출측(200b)으로 유체를 연속적으로 유통시킨다.
도 13은, 본 실시형태의 튜브 펌프(100)에 있어서, 롤러부의 회전 각도와 튜브(200)의 유출측(200b)으로 토출하는 유체의 유량과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3에 있어서 파선으로 도시한 비교예는, 제1 롤러부(10)와 제2 롤러부(20)의 회전 각도의 차이를 180°로 유지한 채 일정한 회전속도로 회전시킨 예이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에 있어서는, 롤러부가 튜브(200)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는 회전 각도 0°, 180°에 있어서, 유량의 변화가 커지고 있다. 이것은, 롤러부가 튜브(200)에서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할 때에, 튜브(200)의 변형이 해소되는 것에 의해, 유체를 하류측에서 상류측으로 끌어 들이는 부압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한편, 도 13에 실선으로 도시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롤러부(제1 롤러부(10) 또는 제2 롤러부(20))가 튜브(200)에서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는 회전 각도 0°, 180°에 있어서, 유량의 변화는 없고 일정한 유량을 유지하고 있다.
이것은, 롤러부가 튜브(200)에서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할 때에, 튜브(200) 내부에 폐색된 유체의 압력이 상승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튜브 펌프(100)는, 롤러부(제1 롤러부(10) 또는 제2 롤러부(20))가 튜브(200)에서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는 회전 각도 0°, 180° 이외의 회전 각도에 있어서도, 일정한 유량을 유지하고 있다. 이것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행하는 롤러부가 튜브(200)에서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하고 나서부터 후속하는 롤러부가 튜브(200)에서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 할 때까지의 회전 각도의 범위에 있어서, 일정한 회전속도(V)로 롤러부가 회전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튜브 펌프(100)로부터 사용중인 튜브(200)를 떼어 다른 튜브와 교환하는 튜브 교환 모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튜브 펌프(100)는, 제어장치(40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도 7에서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롤러부(10)및 제2 롤러부(20)에 의한 튜브(200) 내의 유체를 토출하도록 제1 롤러부(10)및 제2 롤러부(20)를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토출 제어 모드(제1 제어 모드)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토출 제어 모드에 있어서는, 도 7에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롤러부(10) 또는 제2 롤러부(20)의 어느 한쪽이 튜브(200)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튜브(200)를 교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본 실시형태의 튜브 펌프(100)는, 제어장치(40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토출 제어 모드로 바꾸고, 튜브 교환 모드(제2 제어 모드)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장치(400)는, 튜브 펌프(100)를 튜브 교환 모드에서 동작시킬 경우, 제1 롤러부(10)및 제2 롤러부(20)가 튜브(200)와 접촉하지 않도록 제1 롤러부(10)및 제2 롤러부(20) 각각의 회전 각도를 고정한다. 제1 롤러부(10)및 제2 롤러부(20)가 튜브(200)와 접촉하지 않는 회전 각도란, 도 14에 도시한 회전 각도이다.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 튜브 펌프(100)는, 제어장치(40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토출 제어 모드와 튜브 교환 모드를 실행 가능한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태양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어장치(400)를 튜브 펌프(100)에 내장하고, 튜브 펌프(100)가 제1 구동부(50)에 의한 제1 구동축(51)의 회전과 제2 구동부(60)에 의한 제2 구동축(61)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의 튜브 펌프(10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튜브 펌프(100)에 의하면, 제1 롤러부(10)가 구동축(30)에 연결되고, 제2 롤러부(20)가 구동축(30)의 외주측에 구동축(30)과 독립하여 축선(X1)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구동통(40)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축(30)을 축선(X1) 둘레로 회전시키는 제1 구동축(51)을 갖는 제1 구동부(50)의 제1 배치 위치와, 전달기구(70)를 통해서 구동통(40)을 축선(X1) 둘레로 회전시키는 제2 구동축(61)을 갖는 제2 구동부(60)의 제2 배치 위치가, 축선(X1) 방향에 있어서 중복된다. 이로 인해, 제1 배치 위치와 제2 배치 위치를 축선(X1) 방향에 있어서 중복시키지 않는 경우에 비해, 튜브 펌프(100)의 축선(X1) 방향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튜브 펌프(100)에 의하면, 축선(X1) 상에 배치되는 제1 구동부(50)의 제1 구동축(51)가 제1 롤러부(10)에 연결되는 구동축(3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 구동축(51)을 구동하는 제1 구동부(50)가 축선(X1)상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구동축(30)이 배치되는 축선(X1)에 대하여 폭 방향으로 어긋나게 제1 구동부(50)를 배치하는 경우에 비해, 튜브 펌프(100)의 폭 방향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튜브 펌프(100)에 의하면, 튜브(200)에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부의 각각을 독립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 소형화를 실현한 튜브 펌프(100)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튜브 펌프(100)는, 전달기구(70)는, 제2 구동축(61)에 연결되는 동시에 제2 구동축(61)과 함께 축선(X2) 둘레로 회전하는 제1 기어부(71)와, 제1 기어부(71)로부터 제2 구동축(61)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동시에 구동통(40)의 외주면에 연결되는 내주면을 갖는 제2 기어부(72)를 가진다.
이와 같이 하는 것으로, 제1 기어부(71)와 제2 기어부(72)을 갖는 비교적 간소하면서 소형으로 구성 가능한 전달기구(70)에 의해 제2 구동축(61)의 구동력을 구동통(40)의 외주면에 전달하고, 제2 롤러부(20)를 축선(X1) 둘레로 회전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튜브 펌프(100)는, 제1 구동부(50)및 제2 구동부(60)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싱(80)과, 케이싱(80)의 내부에 장착되는 동시에 축선(X1)을 따라 연장되는 제1 관통홀(91)과 축선(X2)에 따라 연장되는 제2 관통홀(92)이 형성된 지지부재(90)를 포함한다. 제1 구동부(50)는 제1 관통홀(91)에 제1 구동축(51)을 삽입한 상태로 지지부재(90)에 장착되고, 제2 구동부(60)는 제2 관통홀(92)에 제2 구동축(61)을 삽입한 상태로 지지부재(90)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으로, 제1 구동부(50)및 제2 구동부(60)는, 케이싱(80)의 내부에 수용되는 동시에 지지부재(90)에 장착된다. 이로 인해, 제1 구동부(50)및 제2 구동부(60)를 공통의 지지부재(90)에 장착하여 폭 방향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하면서, 이것들을 케이싱(80)에 수용한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튜브 펌프(100)에 의하면, 제1 구동부(50)에 의한 제1 구동축(51)의 회전과 제2 구동부(60)에 의한 제2 구동축(61)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튜브 교환 모드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제1 롤러부(10)및 제2 롤러부(20)가 튜브(200)와 접촉하지 않는 퇴피 위치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롤러부(10)및 제2 롤러부(20)를 퇴피 위치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사용중인 튜브와 다른 튜브와의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도 7에서 도 13에 도시한 예는, 튜브(200)의 유입측(200a)에서 맥동이 발생하지 않은 유체(유량의 변동이 발생하지 않은 유체)가 유입되고, 그것을 맥동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로 유출측(200b)에서 토출 하도록 한 예이지만, 다른 예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어장치(400)는, 튜브(200)의 유입측(200a)에서 맥동이 발생하지 않은 유체(유량의 변동이 발생하지 않은 유체)가 유입되고, 그것을 소정의 맥동이 발생하는 상태로 유출측(200b)에서 토출 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장치(400)는, 유량계(300)가 계측하는 유체의 유량의 변화(맥동)가 소정의 맥동(유량의 변화의 주기 및 유량의 변화량이 소정의 상태)이 되도록, 제1 구동부(50)및 제2 구동부(60)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튜브 펌프(100)에 전달한다.
또한, 예를 들면, 제어장치(400)는, 튜브(200)의 유입측(200a)에서 소정의 맥동이 발생하고 있는 유체가 유입되고, 그것을 같은 맥동이 발생하는 상태로 유출측(200b)에서 토출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유입측(200a)에서 유입되는 유체의 맥동을 유지한 상태로 유출측(200b)에서 유출시키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장치(400)는, 유량계(300)가 계측하는 유체의 유량의 변화(맥동)가 소정의 맥동(유량의 변화의 주기 및 유량의 변화량이 소정의 상태)이 되도록, 제1 구동부(50)및 제2 구동부(60)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튜브 펌프(100)에 전달한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 전달기구(70)는, 제1 기어부(71)에서 제2 기어부(72)에 직접적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구이나, 다른 태양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달기구(70)는, 제1 기어부(71)및 제2 기어부(72)에 연결된 고무제의 구동 벨트를 통해, 제1 기어부(71)에서 제2 기어부(72)로 구동력을 간접적으로 전달하는 기구일 수도 있다.

Claims (4)

  1. 제1 축선 둘레에 원호형상으로 배치되는 튜브에 접촉하면서 상기 제1 축선 둘레로 회전하는 제1 접촉부재와,
    상기 튜브에 접촉하면서 상기 제1 축선 둘레로 회전하는 제2 접촉부재와,
    상기 제1 축선상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제1 접촉부재에 연결되는 축부재와,
    상기 축부재의 외주측에 상기 축부재와 독립하여 상기 제1 축선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제2 접촉부재에 연결되는 통부재와,
    상기 제1 축선상에 배치되어 상기 축부재에 연결되는 제1 구동축을 갖는 동시에 상기 제1 구동축을 상기 제1 축선 둘레로 회전시키는 제1 구동부와,
    상기 제1 축선과 평행한 제2 축선상에 배치되는 제2 구동축을 갖는 동시에 상기 제2 구동축을 상기 제2 축선 둘레로 회전시키는 제2 구동부와,
    상기 제2 구동축의 상기 제2 축선 둘레의 구동력을 상기 통부재의 외주면에 전달하여 상기 통부재를 상기 제1 축선 둘레로 회전시키는 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제1 축선을 따른 제1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구동부의 제1 배치 위치와 상기 제2 구동부의 제2 배치 위치가 중복되게 배치되는 튜브 펌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는, 상기 제2 구동축에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제2 구동축과 함께 상기 제2 축선 둘레로 회전하는 제1 기어와, 상기 제1 기어로부터 상기 제2 구동축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동시에 상기 통부재의 외주면에 연결되는 내주면을 갖는 제2 기어를 갖는 튜브 펌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2 구동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부재와,
    상기 수용부재의 내부에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제1 관통홀과 상기 제2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된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제1 관통홀에 상기 제1 구동축을 삽입한 상태로 상기 지지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제2 관통홀에 상기 제2 구동축을 삽입한 상태로 상기 지지부재에 장착되는 튜브 펌프.
  4. 삭제
KR1020160124462A 2015-10-02 2016-09-28 튜브 펌프 KR102465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085A KR102465743B1 (ko) 2015-10-02 2022-09-16 튜브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96747 2015-10-02
JP2015196747A JP6590623B2 (ja) 2015-10-02 2015-10-02 チューブポンプ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7085A Division KR102465743B1 (ko) 2015-10-02 2022-09-16 튜브 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096A KR20170040096A (ko) 2017-04-12
KR102465726B1 true KR102465726B1 (ko) 2022-11-09

Family

ID=5699030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462A KR102465726B1 (ko) 2015-10-02 2016-09-28 튜브 펌프
KR1020220117085A KR102465743B1 (ko) 2015-10-02 2022-09-16 튜브 펌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7085A KR102465743B1 (ko) 2015-10-02 2022-09-16 튜브 펌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82136B2 (ko)
EP (2) EP3171027B1 (ko)
JP (1) JP6590623B2 (ko)
KR (2) KR1024657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94199B2 (ja) * 2016-09-14 2020-12-02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チューブポンプ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08223342B (zh) * 2017-12-08 2020-04-21 温州诚博阀门有限公司 一种利用导轨消除脉动的蠕动泵
JP7080472B2 (ja) * 2018-03-19 2022-06-06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チューブポンプ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7221522B2 (ja) * 2019-02-15 2023-02-14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チューブポンプ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11565256B2 (en) * 2019-06-28 2023-01-31 Vanderbilt University Microfluidic systems, pumps, valves, fluidic chips thereof, and applications of same
CN110332100A (zh) * 2019-07-24 2019-10-15 四川轻化工大学 一种单位置挤压式蠕动泵
JP2021055815A (ja) 2019-10-02 2021-04-08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継手構造、継手ユニットおよび継手ユニットの組立方法
JP7480982B2 (ja) * 2020-01-31 2024-05-10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チューブポンプ
JP2022123669A (ja) 2021-02-12 2022-08-24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チューブポンプ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0575A (ja) * 2004-02-24 2005-09-08 Seiko Instruments Inc チューブポンプおよびこれ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96173A (en) * 1950-12-23 1954-12-07 Jensen Thormod Fluid pump
JPS56129790A (en) * 1980-03-12 1981-10-12 Daiichi Kikai Kogyo Kk Squeeze pump
GB2107797B (en) 1981-10-20 1985-02-06 Rudolph Berelson Peristaltic pump
JP2742836B2 (ja) * 1991-03-02 1998-04-22 岡三機工株式会社 スクィーズポンプ及びその流体の吐出方法
US5354186A (en) * 1993-08-12 1994-10-11 Th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Machine balancer with peristaltic fluid pump
KR100503477B1 (ko) * 2002-12-24 2005-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프린터의 펌프장치
US7018182B2 (en) * 2003-03-13 2006-03-28 Chf Solutions, Inc. Self-loading peristaltic pump for extracorporeal blood circuit
US7104769B2 (en) * 2003-08-26 2006-09-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eristaltic pump and method with parking position
JP5177978B2 (ja) * 2006-08-23 2013-04-10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545163B2 (ja) * 2007-02-20 2010-09-15 日本電産サーボ株式会社 チューブポンプ及びポンプ用ロータ
JP2008308994A (ja) 2007-06-12 2008-12-25 System Assist:Kk チューブポンプ
GB2460025B (en) 2008-05-09 2010-04-28 Brightwell Dispensers Ltd Peristaltic pump with removable tube
US9504784B2 (en) * 2011-09-15 2016-11-29 Cole-Parmer Instrument Company Llc Peristaltic pump with multiple independent channels
JP6060337B2 (ja) 2012-06-25 2017-01-18 国立大学法人大阪大学 チューブポンプ
JP2014145279A (ja) 2013-01-28 2014-08-14 Institute Of National Colleges Of Technology Japan チューブポンプ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0575A (ja) * 2004-02-24 2005-09-08 Seiko Instruments Inc チューブポンプおよびこれ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0073A (ko) 2022-09-26
JP2017067054A (ja) 2017-04-06
EP3171027B1 (en) 2020-01-29
EP3171027A2 (en) 2017-05-24
KR102465743B1 (ko) 2022-11-09
EP3171027A3 (en) 2017-08-09
EP3366922A1 (en) 2018-08-29
US10082136B2 (en) 2018-09-25
KR20170040096A (ko) 2017-04-12
EP3366922B1 (en) 2019-12-18
US20170096995A1 (en) 2017-04-06
JP6590623B2 (ja) 2019-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5743B1 (ko) 튜브 펌프
JP6794199B2 (ja) チューブポンプ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EP3382202B1 (en) Tube pump and holding mechanism
US20120207636A1 (en) Pump module, pump base module and pump system
JP6203858B2 (ja) ポンプ
ITMO20130065A1 (it) Ventilatore a passo variabile e metodo per variare il passo delle pale in un ventilatore.
EP2623782A3 (en) Metering and pumping devices
CN105723123A (zh) 液力变矩器和用于这种变矩器的调整装置
KR20200099983A (ko) 튜브 펌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7080472B2 (ja) チューブポンプ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WO2019106889A1 (ja) 液体ポンプ
JP2013011187A (ja) 一軸偏心ねじポンプ
EP2171214B1 (en) Oscillating piston machine
KR20220115871A (ko) 튜브 펌프
JP5740223B2 (ja) 一軸偏心ねじポンプ
JP6329326B2 (ja) ポンプ装置
CN215949786U (zh) 一种带有降噪结构的蠕动泵
CN210037080U (zh) 一种加速度差振动装置
CN114341497B (zh) 偏心螺杆泵
EP2796720A1 (en) Tubing pump system
SE530925C2 (sv) Excentrisk radialkolvpump samt excentrisk radialkolvmotor
JP6341908B2 (ja) 容積型ポンプ
TWI632295B (zh)
JP6324859B2 (ja) 容積型ポンプ
KR20100069058A (ko) 워터펌프의 유량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