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5587B1 - 터널용 미끄럼방지 보도 그레이팅 - Google Patents

터널용 미끄럼방지 보도 그레이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5587B1
KR102465587B1 KR1020210169674A KR20210169674A KR102465587B1 KR 102465587 B1 KR102465587 B1 KR 102465587B1 KR 1020210169674 A KR1020210169674 A KR 1020210169674A KR 20210169674 A KR20210169674 A KR 20210169674A KR 102465587 B1 KR102465587 B1 KR 102465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ting
tunnel
support
sidewalk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9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제호
Original Assignee
박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제호 filed Critical 박제호
Priority to KR1020210169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5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40Devic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or placing units of linings or supporting units for tunnels or gall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의 바닥에 설치되어 보행자나 작업자의 통행에 사용하는 터널용 미끄럼방지 보도 그레이팅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터널의 바닥에 설치되어 통행에 사용하는 터널용 미끄럼방지 보도 그레이팅에 있어서, 터널의 바닥 양측에 소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브래킷, 상기 양측 복수의 브래킷을 전후로 연결하도록 각각 설치되는 서포트앵글, 상기 양측 서포트앵글에 지지되도록 전후로 연접 가능하게 결합되어 GFRP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그레이팅을 포함하되, 상기 그레이팅의 연접되는 일면에는 결합돌기가 일체로 형성되고 타면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끼움결합되도록 끼움홈이 형성된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GFRP 재질로 이루어진 그레이팅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보도를 만들므로 경량화를 통한 작업성의 향상과 산화 방지 및 비용 절감을 기대할 수 있고, 그레이팅에 형광 또는 축광 물질을 혼합하여 대피로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유지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터널용 미끄럼방지 보도 그레이팅{NON-SLIP SIDEWALK GRATING FOR TUNNEL}
본 발명은 터널용 미끄럼방지 보도 그레이팅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터널의 바닥에 설치되어 보행자나 작업자의 통행에 사용하는 터널용 미끄럼방지 보도 그레이팅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산이나 바다 또는 강 따위의 지하를 굴착하여 만든 터널의 바닥에는 보행자나 작업자의 통행을 위해 보도가 설치된다.
종래에는 터널의 바닥에 보도를 만들기 위해, 바닥에 잡석을 포설하고 거푸집을 설치한 후 압송관을 통해 반송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완성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은 잡석을 포설하고 압송관 및 거푸집을 설치하는 작업이 어렵고 콘크리트의 양생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져 공사기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그레이팅을 이용하여 터널의 바닥에 보도를 설치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88626호(등록일자 2019년06월05일) ‘터널식 중하중용 그레이팅 및 그 제조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56178호(공개일자 2005년06월14일) ‘그레이팅 어셈블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00343호(공개일자 2015년01월02일) ‘스틸 그레이팅 및 그 제조방법’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62809호(공개일자 2011년06월10일) ‘측면터널 형태의 배수구가 형성된 기능성 그레이팅’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들은 산화 방지를 위해 아연으로 도금한 금속 재질로 그레이팅을 제조하기 때문에 공사 비용이 증대되고 무거운 그레이팅을 운반하기 위한 작업성이 떨어지며 산화 방지를 위해 그레이팅의 유지 관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므로 비용이 늘어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종래기술들은 보행 방향이나 피난 유도로 따위를 나타내기 위해 금속 재질의 그레이팅 외면에 축광 페인트를 도색하고 있으나, 터널 내부의 습한 환경 조건으로 인하여 페인트가 쉽게 떨어져나가 본래의 기능을 발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88626호(등록일자 2019년06월05일) (000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56178호(공개일자 2005년06월14일) (000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00343호(공개일자 2015년01월02일) (0004)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62809호(공개일자 2011년06월10일)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그레이팅의 무게를 경량화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산화를 방지하여 유지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며 피난 유도로를 나타내는 축광 표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그레이팅 간 유동방지 요철조립 방식이 도입된 터널용 미끄럼방지 보도 그레이팅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터널의 바닥에 설치되어 통행에 사용하는 터널용 미끄럼방지 보도 그레이팅에 있어서, 터널의 바닥 양측에 소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브래킷, 상기 양측 복수의 브래킷을 전후로 연결하도록 각각 설치되는 서포트앵글, 상기 양측 서포트앵글에 지지되도록 전후로 연접 가능하게 결합되어 GFRP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그레이팅을 포함하되, 상기 그레이팅의 연접되는 일면에는 결합돌기가 일체로 형성되고 타면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끼움결합되도록 끼움홈이 형성된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그레이팅 사이에는 대피로를 화살표로 나타내도록 형광 물질이 표면으로 도색된 점검구용 그레이팅이 연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은, 상기 터널의 바닥에 고정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고정편, 상기 고정편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상기 서포트앵글을 받치는 받침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트앵글은, 상기 받침편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그레이팅의 양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지지편, 상기 지지편의 외측 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상기 그레이팅의 지지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안내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GFRP 재질로 이루어진 그레이팅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보도를 만들므로 경량화를 통한 작업성의 향상과 산화 방지 및 비용 절감을 기대할 수 있고, 그레이팅에 형광 또는 축광 물질을 혼합하여 대피로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유지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그레이팅이 결합돌기와 끼움홈의 요철결합에 의해 연접 가능하게 전후 방향으로 길게 결합되므로 위아래로 낭창거리는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설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B’ 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3의 ‘C’ 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브래킷의 평면도.
도 7은 도 5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한다.
이에 따라,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할 수 있으며,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널용 미끄럼방지 보도 그레이팅은, 터널(10)의 바닥 양측에 소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브래킷(100), 양측 복수의 브래킷(100)을 전후로 연결하도록 각각 설치되는 서포트앵글(200), 양측 서포트앵글(200)에 지지되도록 전후로 연접 가능하게 결합되어 GFRP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그레이팅(300)을 포함한다.
먼저, 도면에 도시된 X축은 좌우 방향으로 정의하고, Y축은 전후 방향으로 정의하며, Z축은 상하 방향으로 정의한다.
브래킷(100)은 복수로 이루어져 터널(10)의 바닥 좌우 양측에 소정 간격으로 고정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브래킷(100)은 터널(10)의 바닥 좌우 양측에 소정 간격으로 벌어져 세트앵커(130)에 의해 고정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브래킷(100)은 터널(10)의 바닥에 고정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고정편(110)과, 고정편(110)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서포트앵글(200)을 받치는 받침편(120)을 포함한다.
고정편(110)에는 고정공(111)이 형성되어 세트앵커(130)의 관통에 의해 터널(10)의 바닥 좌우 양측에 고정된다.
받침편(120)에는 두 개의 받침공(121)이 형성되어 고정볼트(BT)의 관통에 의해 서포트앵글(200)을 고정하게 된다.
브래킷(100)은 GFRP 또는 아연 도금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GFRP에 대한 특징은 이어지는 그레이팅(300)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서포트앵글(200)은 좌측 복수의 브래킷(100)과 우측 복수의 브래킷(100)을 각각 전후 방향으로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서포트앵글(200)은 브래킷(100)의 상면에 안착되어 그레이팅(300)의 양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지지편(210)과, 지지편(210)의 외측 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그레이팅(300)의 지지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안내편(220)을 포함한다.
지지편(210)의 전후 단부에는 앵글홀(211)이 형성되어 받침편(120)의 받침공(121)을 지나 관통하는 고정볼트(BT)와 너트(NT)의 나사결합으로 브래킷(100)에 고정된다.
안내편(220)은 그레이팅(300)의 양측 가장자리가 바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안내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서포트앵글(200)은 ‘┗’ 단면의 긴 형강으로 형성되어 터널(10)의 바닥 좌측에 소정 간격으로 고정된 브래킷(100)을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결하는 좌측앵글과, ‘┛’ 단면의 긴 형강으로 형성되어 터널(10)의 바닥 우측에 소정 간격으로 고정된 브래킷(100)을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결하는 우측앵글을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격자모양의 그레이팅(300) 사이에 브래킷(100)의 받침공(121)과 서포트앵글(200)의 앵글홀(211)을 관통하는 두 개의 고정볼트(BT)에 의해 그레이팅(300)은 전후로 분리를 방지하게 된다.
서포트앵글(200)은 GFRP 또는 아연 도금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GFRP에 대한 특징은 이어지는 그레이팅(300)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그레이팅(300)은 격자 모양으로 짜여진 복수의 패널로서, 양측 가장자리가 서포트앵글(200)에 지지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접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레이팅(300)은 GFRP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GFRP(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s)은 유리섬유·탄소섬유·케블라 등의 방향족 나일론섬유와 불포화 폴리에스터·에폭시수지 등의 열경화성수지를 결합한 물질로서, 철보다 강하고 알루미늄보다 가벼우며 녹슬지 않고 가공하기 쉬운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GFRP는 고강성의 유리 장 섬유를 가로세로 방향으로 직교되게 적층 성형하여 강성이 우수하고, 전기가 통하지 않는 비전도체로서 작업자의 안전을 보완하며, 전자기파의 투과를 방해하지 않으므로 각종 기기의 작동에 방해가 없고, 내구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안료를 배합할 경우 페인트의 도색이 필요하지 않는 등의 장점이 있다.
또한, GFRP는 표면에 규사를 도포할 경우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통행하는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레이팅(300)의 표면에는 소수성코팅층(도시생략)이 도포되어 수분의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소수성코팅층은 물과 반발하는 성질을 갖는 1㎚의 입자크기로 이루어진 소수성 콜로이드(hydrophobic colloid)로 이루어져 터널(10) 내의 수분이 그레이팅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그레이팅(300)은 격자 모양으로 짜여진 내부체와, 이 내부체를 마감하여 테두리를 형성하는 사각형의 마감체를 포함하여 패널 모양을 이루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그레이팅(300)의 연접되는 일면에는 결합돌기(310)가 일체로 형성되고, 타면에는 결합돌기(310)에 끼움결합되도록 끼움홈(320)이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돌기(310)와 끼움홈(320)의 끼움결합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연접되는 그레이팅(300)은 좌우 방향으로 이탈 및 유동을 방지할 수 있고 위아래로 낭창거리는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도 5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a)는 정면도를 (b)는 평면도를 나타내었다.
도 7을 참조하면, 그레이팅(300)의 연접되는 양 측면에는 통공(330)이 각각 형성되고 이 통공(330)에는 결합핀(340)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접되는 그레이팅(300)은 좌우 방향으로 이탈 및 유동을 방지할 수 있고 위아래로 낭창거리는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복수의 그레이팅(300) 사이에는 대피로를 화살표(410)로 나타내도록 형광 물질을 표면으로 도색하거나 그레이팅(400)에 요철을 만들고 화살표 부분을 형광 물질 또는 형광판 등의 가공을 하여 점검구용 그레이팅(400)이 연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점검구용 그레이팅(400)은 녹색 축광 물질을 혼합하여 만들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점검구용 그레이팅(400)의 일면에는 결합돌기(도시생략)가 일체로 형성되고 타면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끼움결합되도록 끼움홈(도시생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터널(10)의 바닥 양측에 세트앵커(130)를 이용하여 복수의 브래킷(100)을 소정 간격으로 고정시킨다.
이어서, 서포트앵글(200)을 양측 복수의 브래킷(100)의 받침편(120) 위에 배치한 후 고정볼트(BT)와 너트(NT)의 나사결합을 통해 브래킷(100)에 서포트앵글(200)을 설치한다.
다음, 서포트앵글(200)의 지지편(210)에 그레이팅(300)의 양측 가장자리를 올려놓는데, 이때 두 개의 고정볼트(BT) 사이에 그레이팅(300)의 격자모양이 배치되도록 한다.
계속해서, 서포트앵글(200)에 설치된 그레이팅(300)의 끼움홈(320)에 다른 그레이팅(300)의 결합돌기(310)를 끼워가며 복수의 그레이팅(300)을 터널(10)의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접시키며 결합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그레이팅(300)이 결합된 사이에 점검구용 그레이팅(400)(300)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널용 미끄럼방지 보도 그레이팅은 GFRP 재질로 이루어진 그레이팅(300)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보도를 만들므로 경량화를 통한 작업성의 향상과 산화 방지 및 비용 절감을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널용 미끄럼방지 보도 그레이팅은 GFRP 재질로 이루어진 그레이팅(300)에 형광 또는 축광 물질을 혼합하여 대피로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유지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널용 미끄럼방지 보도 그레이팅은 복수의 그레이팅(300)이 결합돌기(310)와 끼움홈(320)의 요철결합에 의해 연접 가능하게 전후 방향으로 길게 결합되므로 위아래로 낭창거리는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기술사상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터널 100 : 브래킷
110 : 고정편 120 : 받침편
200 : 서포트앵글 210 : 지지편
220 : 안내편 300 : 그레이팅
310 : 결합돌기 320 : 끼움홈
400 : 점검구용 그레이팅

Claims (4)

  1. 연접된 양면의 결합돌기와 끼움홈의 요철결합에 의해 터널의 바닥에 연이어 설치되면서 통행로로 사용되는 공지된 GFRP 재질의 터널용 미끄럼방지 보도 그레이팅에 있어서,
    고정공을 따라 상기 그레이팅의 폭방향으로 조정되도록 세트앵커에 의해 상기 터널의 곡면에 고정되는 고정편, 상기 고정편에 일체로 형성되어 받침공을 따라 상기 그레이팅의 길이방향으로 조정되면서 상기 그레이팅을 수평으로 지지하는 받침편,으로 이루어지는 브래킷; 및
    상기 받침편의 상부에 안착되면서 상기 받침편의 받침공과 대응되는 앵글홀을 통해 볼트와 너트에 의해 상기 그레이팅의 폭양측을 고정하는 지지편, 상기 지지편의 외측 단부에 수직으로 구비되면서 상기 그레이팅의 지지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안내편으로 이루어지는 서포트앵글을 포함하되,
    상기 그레이팅의 표면에는 물과 반발하는 성질을 갖는 1㎚의 입자크기를 갖는 소수성 콜로이드(hydrophobic colloid)로 이루어진 소수성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미끄럼방지 보도 그레이팅.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10169674A 2021-12-01 2021-12-01 터널용 미끄럼방지 보도 그레이팅 KR102465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674A KR102465587B1 (ko) 2021-12-01 2021-12-01 터널용 미끄럼방지 보도 그레이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674A KR102465587B1 (ko) 2021-12-01 2021-12-01 터널용 미끄럼방지 보도 그레이팅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5587B1 true KR102465587B1 (ko) 2022-11-10

Family

ID=84045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9674A KR102465587B1 (ko) 2021-12-01 2021-12-01 터널용 미끄럼방지 보도 그레이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558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6178A (ko) 2005-05-24 2005-06-14 이형수 그레이팅 어셈블리
KR100827628B1 (ko) * 2007-12-17 2008-05-07 유네코개발 주식회사 그레이팅 및 이를 이용한 슬러지 흡입구 시공 방법
KR20110062809A (ko) 2009-12-04 2011-06-10 김경수 측면터널 형태의 배수구가 형성된 기능성 그레이팅
KR20150000343A (ko) 2013-06-24 2015-01-02 이윤성 스틸 그레이팅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17592A (ko) * 2017-08-11 2019-02-20 신은경 건축용 석재패널 장착용 앵글부재
KR101938285B1 (ko) * 2018-08-29 2019-04-11 (주)금광이앤티 그레이팅 안전 덮개
KR101988626B1 (ko) 2019-03-25 2019-06-12 주식회사 한도펀칭 터널식 중하중용 그레이팅 및 그 제조 방법
JP2019132017A (ja) * 2018-01-31 2019-08-08 株式会社ダイクレ 共同溝の点検用足場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6178A (ko) 2005-05-24 2005-06-14 이형수 그레이팅 어셈블리
KR100827628B1 (ko) * 2007-12-17 2008-05-07 유네코개발 주식회사 그레이팅 및 이를 이용한 슬러지 흡입구 시공 방법
KR20110062809A (ko) 2009-12-04 2011-06-10 김경수 측면터널 형태의 배수구가 형성된 기능성 그레이팅
KR20150000343A (ko) 2013-06-24 2015-01-02 이윤성 스틸 그레이팅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17592A (ko) * 2017-08-11 2019-02-20 신은경 건축용 석재패널 장착용 앵글부재
JP2019132017A (ja) * 2018-01-31 2019-08-08 株式会社ダイクレ 共同溝の点検用足場
KR101938285B1 (ko) * 2018-08-29 2019-04-11 (주)금광이앤티 그레이팅 안전 덮개
KR101988626B1 (ko) 2019-03-25 2019-06-12 주식회사 한도펀칭 터널식 중하중용 그레이팅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7554B1 (ko) 지중장애물 구간에 설치가 용이한 법면 확장 인도교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2181972B1 (ko) 선매립 앵커를 이용한 교량 점검시설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교량 점검시설
CN109183614B (zh) 一种电缆槽主承载t梁复合材料人行道及其安装方法
CN211340857U (zh) 一种轻量化预制装配式电缆井
KR20130055570A (ko) 맞춤형 재료를 이용하는 구조물 보강 시스템
KR102465587B1 (ko) 터널용 미끄럼방지 보도 그레이팅
KR100579440B1 (ko) 거푸집-철근 일체형 피씨패널 및 그 조립구조
KR20060069419A (ko) 수밀성 및 가요성을 갖는 철근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박스암거와 이 암거의 시공 구조 및 방법
KR20050096884A (ko) 형강(i,ct)을 이용한 완전 또는 부분매입 구조 합성 판넬을이용한 터널 프리케스트 라이닝
KR20180037654A (ko) 조립식 배수로
CN207160418U (zh) 一种免拆除模板的钢筋混凝土柱施工装置
EP1108675A2 (en) Working method and protection system for passenger conveyer
KR100732622B1 (ko) 보강리브를 갖는 터널부재를 이용한 조립식 아치터널 및 그 시공방법
KR102552313B1 (ko) 조립형 데크 패널
KR100961159B1 (ko) 건축물 바닥 보호구조
KR20100009407A (ko) 교량외장재 체결보강장치
KR100744408B1 (ko) 연결장치를 구비한 복합 구조물용 콘크리트 블록
JPH1072939A (ja) 親綱支柱及びそれを用いたpc建築物の施工における親綱架設方法
JP7444751B2 (ja) 壁材ユニット及び壁構築方法
CN214091310U (zh) 一种窗边洞口安全防护装置
WO2018046897A1 (en) A walkway
KR101284207B1 (ko) 유황폴리머콘크리트 배수로의 그레이팅 결합장치
KR101119214B1 (ko) 차수판
KR101670627B1 (ko) 항만용 차막이 경계블록
KR200182188Y1 (ko) 운반용 고리가 설치된 도로용 방음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