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8626B1 - 터널식 중하중용 그레이팅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터널식 중하중용 그레이팅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8626B1
KR101988626B1 KR1020190033811A KR20190033811A KR101988626B1 KR 101988626 B1 KR101988626 B1 KR 101988626B1 KR 1020190033811 A KR1020190033811 A KR 1020190033811A KR 20190033811 A KR20190033811 A KR 20190033811A KR 101988626 B1 KR101988626 B1 KR 101988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outer frame
surface portion
connecting ba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3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도펀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도펀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도펀칭
Priority to KR1020190033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6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08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single or successive action of pressing tools, e.g. vice jaws
    • B21D19/088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single or successive action of pressing tools, e.g. vice jaws for flanging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28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tubes or other hollow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9D1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9D1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03F2005/066Gully grat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against vandal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또는 중장비 통행에 의해 가해지는 무거운 하중에도 변형이나 손상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음 뿐만 아니라 미끄럼 방지 및 배수 기능도 우수한 터널식 중하중용 그레이팅 및 그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 따른 터널식 중하중용 그레이팅은 소정 높이(h1)를 가진 사각틀 형태의 외곽프레임(10)과; 상기 외곽프레임(10)의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어 결합되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면부(21), 상기 상면부(21)의 양측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부(22), 및 상기 상면부(21)와 측면부(22)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상면부(21)의 양측에서 라운드지면서 연장되어 상기 측면부(22)와 이어지는 라운드부(23)를 가지는 지지부재(20)와; 상기 지지부재(20)의 측면부(22)를 관통하며 상기 측면부(22)와 직교하면서 상기 외곽프레임(10)의 내측에 다수개로 배치되어 결합되는 연결바(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널식 중하중용 그레이팅 및 그 제조 방법{Tunnel type grating for heavy loa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터널식 중하중용 그레이팅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또는 중장비 통행에 의해 가해지는 무거운 하중에도 변형이나 손상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음 뿐만 아니라 미끄럼 방지 및 배수 기능도 우수한 터널식 중하중용 그레이팅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레이팅은 도로에 형성된 배수구나 배수로의 상면에 설치되어 이물질 등을 걸러주면서 우수나 오수 등이 배수로를 통하여 하수로와 배수처리장 등을 거쳐 하천으로 원활하게 배수되도록 유도하는 배수시설물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그레이팅은 보행자나 차량 등이 통행하더라도 견고하게 유지되는 것이 중요한데, 무거운 중량체가 통과할 때 가해지는 하중을 견디지 못하면 뒤틀림이나 휨 등과 같은 변형이 발생하게 되고 변형 후에는 통행에 따른 많은 불편함은 초래하게 된다.
종래 다양한 형태의 그레이팅이 제조되고 있지만, 미끄러짐 방지와 배수 기능도 우수하면서 차량 등 중하중체가 통행하더라도 설치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그레이팅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874263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또는 중장비 통행에 의해 가해지는 무거운 하중에도 변형이나 손상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음 뿐만 아니라 미끄럼 방지 및 배수 기능도 우수한 터널식 중하중용 그레이팅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터널식 중하중용 그레이팅은, 금속 재질의 그레이팅으로서, 소정 높이를 가진 사각틀 형태의 외곽프레임과; 상기 외곽프레임의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어 결합되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면부, 상기 상면부의 양측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부, 및 상기 상면부와 측면부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상면부의 양측에서 라운드지면서 연장되어 상기 측면부와 이어지는 라운드부를 가지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측면부를 관통하며 상기 측면부와 직교하면서 상기 외곽프레임의 내측에 다수개로 배치되어 결합되는 연결바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부에는 상측으로 돌출되되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돌기가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돌기와 돌기 사이에 장공 형태의 상부 배수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측면부 각각에는 장공 형태의 측부 배수공이 다수개 관통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바가 각각의 측면부를 직교하면서 관통할 수 있도록 연결바 관통홀이 서로 대응되게 다수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곽프레임의 사방면에는 체결공이 다수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외곽프레임과 접하는 지지부재의 상면부 양단과 측면부 양단에 용접 가공이 이루어져 상기 지지부재가 외곽프레임과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외곽프레임과 접하는 상기 연결바 양단과 상기 연결바가 관통된 연결바 관통홀 주위에 용접 가공이 이루어져 상기 연결바가 상기 지지부재 및 외곽프레임과 일체로 결합된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외곽프레임, 지지부재, 및 연결바의 표면에 분체 도장 또는 액체 도장의 도장 가공에 의한 도막층이 형성되되 상기 도막층에 폴리스티렌 수지, 산화유로퓸, 산화디스프로슘, 산화스트론튬, 산화네오디뮴, 칼슘설페이트, 산화베릴륨, 산화크롬, 몰리브덴, 질화마그네슘, 불소수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테트라메틸렌글리콜, 및 에틸아크릴레이트 성분이 함유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외곽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가로 치수 및 세로 치수로 절단된 지지부재 판재에 상부 배수공 타공, 측부 배수공 타공, 연결바 관통홀 타공, 돌기 가공, 및 프레스 가공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 배수공 타공은 상기 지지부재 판재의 상면부 가공영역에 상부 배수공을 타공하는 가공이고, 상기 측부 배수공 타공과 연결바 관통홀 타공은 상기 지지부재 판재의 측면부 가공영역에 측부 배수공과 연결바 관통홀을 각각 타공하는 가공이며, 상기 돌기 가공은 상기 지지부재 판재의 상면부 가공영역에 소정 직경의 관통홀을 타공한 다음 상기 각각의 관통홀에 대해 버링 가공함으로써 상기 지지부재 판재에 일정 간격으로 상기 돌기를 형성하는 가공이다.
또한, 상기 프레스 가공은 지지부재 제조기를 사용하여 상기 상면부, 측면부, 및 라운드부를 형성하는 가공으로서, 상기 지지부재 제조기는 다이홀더 상에 설치되고 서로 이격되어 직립하는 한 쌍의 받침대 사이로 골부가 형성된 다이 및 상기 다이의 골부 상측에 배치되어 프레스 가동에 의해 상하로 작동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프레스 가공은 상기 지지부재 판재의 상면부 가공영역이 상기 골부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부재 판재를 상기 한 쌍의 받침대 상에 올려놓고 프레스 가동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를 상기 다이의 골부 내로 하강시켜 상기 골부 내에 상기 지지부재 판재를 밀어넣어 절곡시킴으로써 상기 상면부, 측면부, 및 라운드부를 형성하는 가공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널식 중하중용 그레이팅 제조 방법은, 금속 재질의 그레이팅 제조 방법에 있어서, 외곽프레임 판재, 지지부재 판재, 및 연결바를 각각 준비하는 단계(S1)와; 상기 단계(S1) 이후에 상기 지지부재 판재에 상부 배수공 타공, 측부 배수공 타공, 연결바 관통홀 타공, 돌기 가공, 및 프레스 가공을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면부, 상기 상면부의 양측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부, 및 상기 상면부와 측면부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상면부의 양측에서 라운드지면서 연장되어 상기 측면부와 이어지는 라운드부를 가짐과 아울러 돌기, 상부 배수공, 측부 배수공, 및 연결바 관통홀이 형성된 지지부재를 제조하는 단계(S2)와; 상기 단계(S2) 이후에 상기 외곽프레임 판재를 용접 가공하여 사각틀 형태의 외곽프레임을 제조함과 동시에 다수의 지지부재를 연결바와 직교시키면서 외곽프레임의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하고 용접 가공하여 제1그레이팅을 제조하는 단계(S3)와; 상기 단계(S3) 이후에 상기 제1그레이팅의 표면에 대하여 그라인딩 가공을 실시한 다음 분체 도장 또는 액체 도장의 도장 가공을 실시하는 단계(S4)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단계(S1)에서 외곽프레임 판재에는 체결공이 다수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연결바는 상기 측면부의 연결바 관통홀을 관통하면서 외곽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소정의 길이와 직경을 가진다.
또한, 상기 단계(S2)에서 상기 측부 배수공 타공과 연결바 관통홀 타공은 상기 지지부재 판재의 측면부 가공영역에 장공 형태의 측부 배수공과 소정 직경의 연결바 관통홀을 각각 타공하는 가공이며, 상기 돌기 가공은 상기 지지부재 판재의 상면부 가공영역에 소정 직경의 관통홀을 타공한 다음 상기 각각의 관통홀에 대해 버링 가공하여 상측으로 돌출되되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돌기를 상기 지지부재 판재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는 가공이고, 상기 상부 배수공 타공은 상기 돌기와 돌기 사이에 상부 배수공이 관통 형성되도록 상기 지지부재 판재의 상면부 가공영역에 장공 형태의 상부 배수공을 타공하는 가공이다.
또한, 상기 프레스 가공은 지지부재 제조기를 사용하여 상기 상면부, 측면부, 및 라운드부를 형성하는 가공으로서, 상기 지지부재 제조기는 다이홀더 상에 설치되고 서로 이격되어 직립하는 한 쌍의 받침대 사이로 골부가 형성된 다이 및 상기 다이의 골부 상측에 배치되어 프레스 가동에 의해 상하로 작동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프레스 가공은 상기 지지부재 판재의 상면부 가공영역이 상기 골부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부재 판재를 상기 한 쌍의 받침대 상에 올려놓고 프레스 가동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를 상기 다이의 골부 내로 하강시켜 상기 골부 내에 상기 지지부재 판재를 밀어넣어 절곡시킴으로써 상기 상면부, 측면부, 및 라운드부를 형성하는 가공이다.
또한, 상기 단계(S3)에서 상기 연결바가 상기 측면부의 연결바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바가 직교되면서 상기 외곽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외곽프레임과 접하는 지지부재의 상면부 양단과 측면부 양단에 용접 가공이 이루어져 상기 지지부재가 외곽프레임과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외곽프레임이 접하는 상기 연결바 양단과 상기 연결바가 관통된 연결바 관통홀 주위에 용접 가공이 이루어져 상기 연결바가 상기 지지부재 및 외곽프레임과 일체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단계(S4)에서 도장 가공을 통해 제1그레이팅의 표면에 도막층이 형성되되 상기 도막층에 폴리스티렌 수지, 산화유로퓸, 산화디스프로슘, 산화스트론튬, 산화네오디뮴, 칼슘설페이트, 산화베릴륨, 산화크롬, 몰리브덴, 질화마그네슘, 불소수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테트라메틸렌글리콜, 및 에틸아크릴레이트 성분이 함유된다.
본 발명에 의한 그레이팅은 차량 또는 중장비 통행에 의해 가해지는 무거운 하중에도 변형이나 손상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구성, 내후성, 내식성, 내마모성, 미끄럼 방지 및 배수 기능이 우수한 그레이팅이 제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식 중하중용 그레이팅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식 중하중용 그레이팅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측 사진이며,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식 중하중용 그레이팅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후면측 사진이며,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와 연결바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 판재의 가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 제조기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식 중하중용 그레이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로나 공사장에 설치되어 차량 또는 중장비 통행에 의해 가해지는 무거운 하중에도 변형이나 손상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음 뿐만 아니라 미끄럼 방지 및 배수 기능도 우수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터널식 중하중용 그레이팅에 관한 것으로서, 외곽프레임(10)과, 지지부재(20)와, 연결바(3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외곽프레임(10)은 소정 높이(h1)를 가진 사각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설치 장소에 따라 가로 및 세로 길이를 변화시켜 다양한 사이즈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외곽프레임(10)은 소정 가로 치수와 세로 치수를 가진 금속 재질의 판재 4개를 용접 가공하여 제작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외곽프레임(10)의 사방면에는 체결공(11)이 다수개 관통 형성되어(도 6 참조), 본 발명의 그레이팅을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다수개 정렬시킨 후 상기 체결공(11)에 볼트 등 공지의 체결수단을 관통시켜 이웃하는 그레이팅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차량 또는 중장비의 통행에 의한 외부 충격에도 개별 그레이팅이 정렬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지지부재(20)는 도1, 도2a, 및 도2b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곽프레임(10)의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어 결합되는 금속 재질의 부재로서, 그레이팅에 작용하는 하중을 실질적으로 가장 많이 지탱하는 부위이다. 지지부재(20)의 설치 갯수는 상기 외곽프레임(10)의 사이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면부(21), 상기 상면부(21)의 양측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부(22), 및 상기 상면부(21)와 측면부(22)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상면부(21)의 양측에서 라운드지면서 연장되어 상기 측면부(22)와 이어지는 라운드부(23)를 가진다.
본 발명의 지지부재(20)는 상기 측면부(22)가 상면부(21)의 양측에서 절곡되되 상면부(21)와 측면부(22) 사이인 상면부(21)와 측면부(22)의 인접 부위에 라운드부(2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상면부(21)의 양측으로 측면부(22)를 가짐과 동시에 라운드부(23)가 형성되어 지지부재(20)의 단면(또는 종단면)이 터널 형상을 이룸으로써 상면부(21)에 가해지는 하중이 효과적으로 분산되어 중하중에도 지지부재(20)가 잘 견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면부(21) 표면의 물이 라운드부(23)에 의해 측면부(22) 또는 아래 방향으로 원활하게 흘러내려갈 수 있게 된다.
또한, 도3a 및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20)의 상면부(21)에는 상측으로 돌출되되 중앙에 관통홀(24A)이 형성된 돌기(24)가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돌기(24)와 돌기(24) 사이에 장공 형태의 상부 배수공(25)이 관통 형성된다.
이와 같이, 지지부재(20)의 상면부(21)에 돌기(24)가 다수개 형성됨으로써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고 관통홀(24A)과 상부 배수공(25)이 형성됨으로써 우수 또는 유수의 효과적인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20)의 측면부(22) 각각에는 장공 형태의 측부 배수공(26)이 다수개 관통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바(30)가 각각의 측면부(22)를 직교하면서 관통할 수 있도록 연결바 관통홀(27)이 양측에 서로 대응되게 다수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지지부재(20)의 측면부(22)에 측부 배수공(26)이 형성됨으로써 우수나 상면부(21)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원활하게 아래로 배출 또는 배수될 수 있고, 연결바(30)가 상기 연결바 관통홀(27)을 통해 지지부재(20)와 직교하면서 결합될 수 있음으로써 연결바(30)가 지지부재(20)를 외곽프레임(10)에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연결바(30)는 상기 지지부재(20)의 측면부(22)를 연속해서 관통하며 상기 측면부(22)와 직교하면서 상기 외곽프레임(10)의 내측에 다수개로 배치되어 결합되는 금속 재질의 환봉이다. 외곽프레임(10)의 내측에 배치되는 지지부재(20) 전체가 도2a 및 도2b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바(30)와 직교하면서 서로 결합됨으로써 지지부재(20)가 매우 견고하게 지지되면서 지지부재(20)에 가해지는 하중이 효율적으로 분산되어 본 발명의 그레이팅이 중하중에도 잘 견딜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그레이팅은 상기 외곽프레임(10)과 접하는 지지부재(20)의 상면부(21) 양단과 측면부(22) 양단에 용접 가공이 이루어져 상기 지지부재(20)가 외곽프레임(10)과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외곽프레임(10)과 접하는 상기 연결바(30) 양단과 상기 연결바(30)가 관통된 연결바 관통홀(27) 주위에 용접 가공이 이루어져 상기 연결바(30)가 상기 지지부재(20) 및 외곽프레임(10)과 일체로 결합된다. 그 결과, 외곽프레임(10), 지지부재(20), 및 연결바(30)가 일체로 결합되어 그레이팅이 중하중에도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지지부재(20)는 상기 외곽프레임(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가로 치수(t1) 및 세로 치수(t2)로 절단된 금속 재질의 지지부재 판재(20A)에 상부 배수공 타공, 측부 배수공 타공, 연결바 관통홀 타공, 돌기 가공, 및 프레스 가공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이루어진다.
도 4를 참조하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상부 배수공 타공은 상기 지지부재 판재(20A)의 상면부 가공영역(20A-1)에 상부 배수공(25)을 타공하는 가공이고, 상기 측부 배수공 타공과 연결바 관통홀 타공은 상기 지지부재 판재(20A)의 측면부 가공영역(20A-2)에 측부 배수공(26)과 연결바 관통홀(27)을 각각 타공하는 가공이다.
상기 상면부 가공영역(20A-1)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 판재(20A)에서 점선 내측 영역(가운데 영역)이 해당되고, 상기 측면부 가공영역(20A-2)은 지지부재 판재(20A)에서 점선 외측 영역[상면부 가공영역(20A-1)을 제외한 두 영역]이 해당된다.
상기 돌기 가공은 상기 지지부재 판재(20A)의 상면부 가공영역(20A-1)에 소정 직경의 관통홀(24A)을 타공한 다음 상기 각각의 관통홀(24A)에 대해 버링(burring) 가공함으로써 상기 지지부재 판재(20A)에 일정 간격으로 상기 돌기(24)를 형성하는 가공이다.
상기 프레스 가공은 도5에 도시된 지지부재 제조기(200)를 사용하여 상기 상면부(21), 측면부(22), 및 라운드부(23)를 형성하는 가공이다.
상기 가공에 의한 지지부재(20) 제조 방법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그레이팅은 상기 외곽프레임(10), 지지부재(20), 및 연결바(30)의 표면 즉, 그레이팅의 표면에 분체 도장 또는 액체 도장의 도장 가공에 의한 도막층이 형성되되 상기 도막층에 폴리스티렌 수지, 산화유로퓸, 산화디스프로슘, 산화스트론튬, 산화네오디뮴, 칼슘설페이트, 산화베릴륨, 산화크롬, 몰리브덴, 질화마그네슘, 불소수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테트라메틸렌글리콜, 및 에틸아크릴레이트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성분 중에 폴리스티렌 수지, 산화베릴륨, 산화크롬, 몰리브덴, 질화마그네슘, 불소수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테트라메틸렌글리콜, 및 에틸아크릴레이트는 그레이팅에 대해 강도, 내구성, 내후성, 내약품성, 내식성, 내마모성, 방청 효과 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고, 산화유로퓸, 산화디스프로슘, 산화스트론튬, 산화네오디뮴, 및 칼슘설페이트는 그레이팅이 야간에 발광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그레이팅은 상기 성분들이 함유된 도막층이 표면에 형성됨으로써 중하중이 가해지더라도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광에 의해 야간에도 배수구 또는 그레이팅 설치 표시를 알려 위험 또는 안전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성분들은 상기 도장 가공에 사용되는 도료 전체 100중량%에 대해 폴리스티렌 수지 3중량%, 산화유로퓸 2중량%, 산화디스프로슘 2중량%, 산화스트론튬 2중량%, 산화네오디뮴 2중량%, 칼슘설페이트 2중량%, 산화베릴륨 3중량%, 산화크롬 4중량%, 몰리브덴 3중량%, 질화마그네슘 3중량%, 불소수지 3중량%, 비닐트리메톡시실란 2중량%, 테트라메틸렌글리콜 2중량%, 및 에틸아크릴레이트 2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터널식 중하중용 그레이팅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하면서 본 발명의 터널식 중하중용 그레이팅에 대해 부연한다.
본 발명의 중하중용 그레이팅 제조 방법은 금속 재질의 그레이팅 제조 방법에 있어서, 외곽프레임 판재(10A), 지지부재 판재(20A), 및 연결바(30)를 각각 준비하는 단계(S1)와, 상기 단계(S1) 이후에 지지부재(20)를 제조하는 단계(S2)와, 상기 단계(S2) 이후에 제1그레이팅을 제조하는 단계(S3)와, 상기 단계(S3) 이후에 도장 가공을 실시하는 단계(S4)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S1)는 소정의 가로, 세로, 높이를 가진 그레이팅을 제조하기 위해 외곽프레임(10)의 소재인 외곽프레임 판재(10A)와, 지지부재(20)의 소재인 지지부재 판재(20A)와, 소정 길이로 절단된 연결바(300)를 각각 준비하는 단계이다.
개별 외곽프레임(10)은 2개의 종방향 외곽프레임 판재(10A)와 2개의 횡방향 외곽프레임 판재(10A)를 각각 단부끼리 직각으로 맞대어서 사각틀 형태로 제조되는 것으로서, 단계(S1)에서 소정의 가로 치수, 세로 치수로 절단된 종방향 및 횡방향 외곽프레임 판재(10A)가 각각 준비되고, 상기 각각의 외곽프레임 판재(10A)에 상기 체결공(11)을 다수개 관통 형성한다.
상기 지지부재 판재(20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틀 형태로 제조되는 외곽프레임(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도록 소정 가로 치수(t1)와 세로 치수(t2)로 절단되는 부재이다.
상기 지지부재(20)가 외곽프레임(10)의 내측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지지부재(20)의 돌기(24)가 상기 외곽프레임(10)의 높이(h1)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되어 돌기(24)의 미끄러짐 방지 기능을 높이기 위해 상기 지지부재 판재(20A)의 세로 치수(t2)는 외곽프레임(10)의 높이(h1) 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단계(S1)에서는 상기 연결바 관통홀(27)을 관통할 수 있는 직경을 가진 연결바(30)가 외곽프레임(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도록 소정 길이로 절단되어 다수개 준비된다.
상기 단계(S2)는 상기 단계(S1) 이후 상기 지지부재 판재(20A)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부재 판재(20A)에 상부 배수공 타공, 측부 배수공 타공, 연결바 관통홀 타공, 돌기 가공, 및 프레스 가공을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면부(21), 상기 상면부(21)의 양측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부(22), 및 상기 상면부(21)와 측면부(22)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상면부(21)의 양측에서 라운드지면서 연장되어 상기 측면부(22)와 이어지는 라운드부(23)를 가짐과 아울러 돌기(24), 상부 배수공(25), 측부 배수공(26), 및 연결바 관통홀(27)이 형성된 지지부재(20)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S2)에서 상기 상부 배수공 타공은 상기 돌기(24)와 돌기(24) 사이에 상부 배수공(25)이 관통 형성되도록 상기 지지부재 판재(20A)의 상면부 가공영역(20A-1)에 장공 형태의 상부 배수공(25)을 연속해서 타공하는 가공이고, 상기 측부 배수공 타공과 연결바 관통홀 타공은 상기 지지부재 판재(20A)의 측면부 가공영역(20A-2)에 장공 형태의 측부 배수공(26)과 소정 직경의 연결바 관통홀(27)을 각각 연속해서 타공하는 가공이다.
상기 돌기 가공은 상기 지지부재 판재(20A)의 상면부 가공영역(20A-1)에 소정 직경의 관통홀(24A)을 연속해서 일정 간격으로 타공한 다음 상기 각각의 관통홀(24A)에 대해 버링 가공하는 것이다. 상기 버링(burring) 가공은 공지의 기술이 채택되며 버링 가공 후 상기 관통홀(24A)의 가장자리가 융기되면서 돌기(24)가 형성되고, 돌출 또는 융기된 측이 지지부재(20)의 상면부(21)의 상측이 된다.
상기 단계(S2)에서의 상기 상부 배수공 타공, 측부 배수공 타공, 연결바 관통홀 타공, 및 돌기 가공은 공지의 CNC머신 또는 MCT머신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스 가공은 지지부재 제조기(200)를 사용하여 상기 상면부(21), 측면부(22), 및 라운드부(23)를 형성하는 가공으로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사용하는 지지부재 제조기(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홀더(201) 상에 설치되고 서로 이격되어 직립하는 한 쌍의 받침대(211) 사이로 골부(212)가 형성된 다이(210) 및 상기 다이(210)의 골부(212) 상측에 배치되어 프레스 가동에 의해 상하로 작동하는 가압부재(22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프레스 가공은 상기 돌기 가공까지 끝난 지지부재 판재(20A)(도 4 참조)를 상면부 가공영역(20A-1)이 상기 골부(212)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부재 판재(20A)를 상기 한 쌍의 받침대(211) 상에 올려놓고 프레스를 가동시켜 상기 가압부재(220)를 상기 다이(210)의 골부(212) 내로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지지부재 판재(20A)를 상기 골부(212) 내에 밀어넣고 절곡시켜 상기 지지부재 판재(20A)의 종단면이 터널 형태로 만들어 상기 지지부재 판재(20A)에 상기 상면부(21), 측면부(22), 및 라운드부(23)를 형성하는 가공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하중용 그레이팅의 제조방법은 지지부재(20)를 제조할 때 상기한 특정 지지부재 제조기(200)를 사용함으로써 지지부재를 효과적으로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S3)는 상기 단계(S2) 이후에 상기 외곽프레임 판재(10A)를 용접 가공하여 사각틀 형태의 외곽프레임(10)을 제조함과 동시에 다수의 지지부재(20)를 연결바(30)와 직교시키면서 외곽프레임(10)의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하고 용접 가공하여 제1그레이팅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S3)에서 상기 외곽프레임(10)은 상기 외곽프레임 판재(10A)를 단부끼리 직각으로 맞대어서 용접 가공되고, 상기 연결바(30)를 상기 측면부(22)의 연결바 관통홀(27)에 연속해서 관통시키며 상기 지지부재(20)와 연결바(30)를 직교시키면서 상기 외곽프레임(10)의 내측에 연결바(30)를 통해 지지부재(20)를 다수 열로 배치한다.
또한, 상기 단계(S3)에서 상기 외곽프레임(10)과 접하는 지지부재(20)의 상면부(21) 양단과 측면부(22) 양단에 각각 용접 가공이 이루어져 상기 지지부재(20)가 외곽프레임(10)과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외곽프레임(10)이 접하는 상기 연결바(30) 양단과 상기 연결바(30)가 관통된 연결바 관통홀(27) 주위에 용접 가공이 이루어져 상기 연결바(30)가 상기 지지부재(20) 및 외곽프레임(10)과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단계(S4)는 상기 단계(S3) 이후에 상기 제1그레이팅의 표면 즉, 외곽프레임(10), 지지부재(20), 및 연결바(30)에 대하여 그라인딩 가공을 실시한 다음 분체 도장 또는 액체 도장의 도장 가공을 실시하는 단계이다.
다시 말해, 상기 단계(S4)에서는 그라인딩(grinding, 연삭 또는 사상) 가공을 실시하여 제1그레이팅의 표면에 용접 후의 찌꺼기 또는 이물질을 깨끗하게 제거한 다음 공지의 방식으로 분체 도장 또는 액체 도장의 도장 가공을 실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하중용 그레이팅 제조 방법은 상기 단계(S4)에서 도장 가공을 통해 제1그레이팅의 표면에 도막층이 형성되되 상기 도막층에 폴리스티렌 수지, 산화유로퓸, 산화디스프로슘, 산화스트론튬, 산화네오디뮴, 칼슘설페이트, 산화베릴륨, 산화크롬, 몰리브덴, 질화마그네슘, 불소수지, 테트라메틸렌글리콜,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및 에틸아크릴레이트 성분이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중하중용 그레이팅은 상기 성분들이 함유된 도막층이 표면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설명한 상기 성분들의 기능에 의해 중하중이 가해지더라도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광에 의해 야간에도 배수구 또는 그레이팅 설치 표시를 알려 위험 또는 안전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성분들은 상기 도장 가공에 사용되는 도료 전체 100중량%에 대해 폴리스티렌 수지 3중량%, 산화유로퓸 2중량%, 산화디스프로슘 2중량%, 산화스트론튬 2중량%, 산화네오디뮴 2중량%, 칼슘설페이트 2중량%, 산화베릴륨 3중량%, 산화크롬 4중량%, 몰리브덴 3중량%, 질화마그네슘 3중량%, 불소수지 3중량%, 비닐트리메톡시실란 2중량%, 테트라메틸렌글리콜 2중량%, 및 에틸아크릴레이트 2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0: 외곽프레임, 10A: 외곽프레임 판재, 11: 체결공,
20: 지지부재, 20A: 지지부재 판재,
20A-1: 상면부 가공영역, 20A-2: 측면부 가공영역,
21: 상면부, 22: 측면부, 23: 라운드부,
24: 돌기, 24A: 관통홀, 25: 상부 배수공,
26: 측부 배수공, 27: 연결바 관통홀, 30: 연결바,
200: 지지부재 제조기, 201: 다이홀더, 211: 받침대,
212: 골부, 210: 다이, 220: 가압부재

Claims (2)

  1. 삭제
  2. 금속 재질의 그레이팅 제조 방법에 있어서,
    외곽프레임 판재(10A), 지지부재 판재(20A), 및 연결바(30)를 각각 준비하는 단계(S1)와;
    상기 단계(S1) 이후에 상기 지지부재 판재(20A)에 상부 배수공 타공, 측부 배수공 타공, 연결바 관통홀 타공, 돌기 가공, 및 프레스 가공을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면부(21), 상기 상면부(21)의 양측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부(22), 및 상기 상면부(21)와 측면부(22)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상면부(21)의 양측에서 라운드지면서 연장되어 상기 측면부(22)와 이어지는 라운드부(23)를 가짐과 아울러 돌기(24), 상부 배수공(25), 측부 배수공(26), 및 연결바 관통홀(27)이 형성된 지지부재(20)를 제조하는 단계(S2)와;
    상기 단계(S2) 이후에 상기 외곽프레임 판재(10A)를 용접 가공하여 사각틀 형태의 외곽프레임(10)을 제조함과 동시에 다수의 지지부재(20)를 연결바(30)와 직교시키면서 외곽프레임(10)의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하고 용접 가공하여 제1그레이팅을 제조하는 단계(S3)와;
    상기 단계(S3) 이후에 상기 제1그레이팅의 표면에 대하여 그라인딩 가공을 실시한 다음 분체 도장 또는 액체 도장의 도장 가공을 실시하는 단계(S4)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S1)에서 외곽프레임 판재(10A)에는 체결공(11)이 다수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연결바(30)는 상기 측면부(22)의 연결바 관통홀(27)을 관통하면서 외곽프레임(10)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소정의 길이와 직경을 가지며,
    상기 단계(S2)에서 상기 측부 배수공 타공과 연결바 관통홀 타공은 상기 지지부재 판재(20A)의 측면부 가공영역(20A-2)에 장공 형태의 측부 배수공(26)과 소정 직경의 연결바 관통홀(27)을 각각 타공하는 가공이며, 상기 돌기 가공은 상기 지지부재 판재(20A)의 상면부 가공영역(20A-1)에 소정 직경의 관통홀(24A)을 타공한 다음 상기 각각의 관통홀(24A)에 대해 버링 가공하여 상측으로 돌출되되 중앙에 관통홀(24A)이 형성된 돌기(24)를 상기 지지부재 판재(20A)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는 가공이고, 상기 상부 배수공 타공은 상기 돌기(24)와 돌기(24) 사이에 상부 배수공(25)이 관통 형성되도록 상기 지지부재 판재(20A)의 상면부 가공영역(20A-1)에 장공 형태의 상부 배수공(25)을 타공하는 가공이고,
    상기 프레스 가공은 지지부재 제조기(200)를 사용하여 상기 상면부(21), 측면부(22), 및 라운드부(23)를 형성하는 가공으로서, 상기 지지부재 제조기(200)는 다이홀더(201) 상에 설치되고 서로 이격되어 직립하는 한 쌍의 받침대(211) 사이로 골부(212)가 형성된 다이(210) 및 상기 다이(210)의 골부(212) 상측에 배치되어 프레스 가동에 의해 상하로 작동하는 가압부재(220)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프레스 가공은 상기 지지부재 판재(20A)의 상면부 가공영역(20A-1)이 상기 골부(212)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부재 판재(20A)를 상기 한 쌍의 받침대(211) 상에 올려놓고 프레스 가동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220)를 상기 다이(210)의 골부(212) 내로 하강시켜 상기 골부(212) 내에 상기 지지부재 판재(20A)를 밀어넣어 절곡시킴으로써 상기 상면부(21), 측면부(22), 및 라운드부(23)를 형성하는 가공이며,
    상기 단계(S3)에서 상기 연결바(30)가 상기 측면부(22)의 연결바 관통홀(27)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재(20)와 연결바(30)가 직교되면서 상기 외곽프레임(10)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외곽프레임(10)과 접하는 지지부재(20)의 상면부(21) 양단과 측면부(22) 양단에 용접 가공이 이루어져 상기 지지부재(20)가 외곽프레임(10)과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외곽프레임(10)이 접하는 상기 연결바(30) 양단과 상기 연결바(30)가 관통된 연결바 관통홀(27) 주위에 용접 가공이 이루어져 상기 연결바(30)가 상기 지지부재(20) 및 외곽프레임(10)과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단계(S4)에서 도장 가공을 통해 제1그레이팅의 표면에 도막층이 형성되되 상기 도막층에 폴리스티렌 수지, 산화유로퓸, 산화디스프로슘, 산화스트론튬, 산화네오디뮴, 칼슘설페이트, 산화베릴륨, 산화크롬, 몰리브덴, 질화마그네슘, 불소수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테트라메틸렌글리콜, 및 에틸아크릴레이트 성분이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식 중하중용 그레이팅 제조 방법.
KR1020190033811A 2019-03-25 2019-03-25 터널식 중하중용 그레이팅 및 그 제조 방법 KR101988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811A KR101988626B1 (ko) 2019-03-25 2019-03-25 터널식 중하중용 그레이팅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811A KR101988626B1 (ko) 2019-03-25 2019-03-25 터널식 중하중용 그레이팅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8626B1 true KR101988626B1 (ko) 2019-06-12

Family

ID=66846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3811A KR101988626B1 (ko) 2019-03-25 2019-03-25 터널식 중하중용 그레이팅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86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2569A (ko) * 2020-02-12 2021-08-20 전나래 다양한 규격의 그레이팅을 하나의 프레스 금형으로 제조하는 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그레이팅
KR102465587B1 (ko) 2021-12-01 2022-11-10 박제호 터널용 미끄럼방지 보도 그레이팅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4475A (ja) * 1998-08-03 2000-02-22 Chubu Corporation:Kk グレーチング
KR20050056178A (ko) * 2005-05-24 2005-06-14 이형수 그레이팅 어셈블리
KR20150000343A (ko) * 2013-06-24 2015-01-02 이윤성 스틸 그레이팅 및 그 제조 방법
JP2015127487A (ja) * 2013-12-28 2015-07-09 中尾技研工業株式会社 グレーチング用孔開き突起付き主部材
KR101874263B1 (ko) 2017-11-16 2018-07-03 이희주 악취방지용 중하중 그레이팅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4475A (ja) * 1998-08-03 2000-02-22 Chubu Corporation:Kk グレーチング
KR20050056178A (ko) * 2005-05-24 2005-06-14 이형수 그레이팅 어셈블리
KR20150000343A (ko) * 2013-06-24 2015-01-02 이윤성 스틸 그레이팅 및 그 제조 방법
JP2015127487A (ja) * 2013-12-28 2015-07-09 中尾技研工業株式会社 グレーチング用孔開き突起付き主部材
KR101874263B1 (ko) 2017-11-16 2018-07-03 이희주 악취방지용 중하중 그레이팅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2569A (ko) * 2020-02-12 2021-08-20 전나래 다양한 규격의 그레이팅을 하나의 프레스 금형으로 제조하는 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그레이팅
KR102349396B1 (ko) 2020-02-12 2022-01-07 전나래 다양한 규격의 그레이팅을 하나의 프레스 금형으로 제조하는 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그레이팅
KR102465587B1 (ko) 2021-12-01 2022-11-10 박제호 터널용 미끄럼방지 보도 그레이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8626B1 (ko) 터널식 중하중용 그레이팅 및 그 제조 방법
AT505300B1 (de) Plattenwärmetauscher
US4968170A (en) Trench grating and method of manufacture
US3943589A (en) Gangway element
US20130256060A1 (en) Scaffold Plank Structure
US11015331B1 (en) Drainage grating structure
DE4439754A1 (de) Hochwasserschutzelement aus Stahl
EP0081188A2 (de) Verbindungselement für Chipträger
JP7051588B2 (ja) 水抜き孔用キャップおよび基礎構造体
KR101372311B1 (ko) 커팅 패턴의 정확성이 향상된 타발금형
KR101741070B1 (ko) 그레이팅
KR200322645Y1 (ko) 압연 강재 그레이팅
DE2630808C2 (de) Wärmeaustauscher mit einem Stapel von identischen kreisförmigen Schalen
KR101054695B1 (ko) 스틸 그레이팅 및 이의 제조방법
DE20108187U1 (de) Universalverbinder
KR101486539B1 (ko) 플랜트에 적합한 그레이팅
KR200367073Y1 (ko) 교량 점검로용 타공발판
KR101723386B1 (ko) 안내판용 고정대
KR102349396B1 (ko) 다양한 규격의 그레이팅을 하나의 프레스 금형으로 제조하는 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그레이팅
DE2650253A1 (de) Gully- oder bodenabflussfang
KR20050081682A (ko) 그레이팅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12940B1 (ko) 부유 구조체, 부유 구조체를 포함하는 물품 및 부유 구조체의 제조방법
JP2006028761A (ja) 木製フェンスおよびこれに使用する横ビーム
KR102162700B1 (ko) 야생동물용 조립식 수로 탈출 장치
JP2561626B2 (ja) 油吸着槽に於けるフィルターの固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