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5385B1 - 복합기기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합기기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5385B1
KR102465385B1 KR1020210131200A KR20210131200A KR102465385B1 KR 102465385 B1 KR102465385 B1 KR 102465385B1 KR 1020210131200 A KR1020210131200 A KR 1020210131200A KR 20210131200 A KR20210131200 A KR 20210131200A KR 102465385 B1 KR102465385 B1 KR 102465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ous
status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rent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1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영
Original Assignee
(주)베스트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베스트오에이 filed Critical (주)베스트오에이
Priority to KR1020210131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3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Customer relationship services
    • G06Q30/015Providing customer assistance, e.g. assisting a customer within a business location or via helpdesk
    • G06Q30/016After-sa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8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기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들이 임대하고 있는 각종 복합기기들로부터 해당 복합기기의 코드 정보를 포함한 각종 상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각각의 상태 정보에 대한 데이터 분석 및 가공을 수행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에 제공하는 관리 서버와; 고유 코드 정보를 포함하여 각종 상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제공함은 물론 상기 관리 서버의 요청이 있을시 사용자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에게도 제공하는 복수의 복합기기와; 상기 관리 서버 또는 관리자 단말에서 제공하는 각종 상태 정보를 수신함은 물론 각종 소모품의 구매 및 서비스 요청을 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과; 상기 관리 서버에 연결하여 특정 복합기기에 대한 상태 정보 및 운영 상태를 수신 및 확인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요구사항을 포함하여 소모품의 교환 및 고장 수리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관리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각종 복합기기들에 대한 관리에 따른 소모품의 상태 예측과 교환 및 고장에 따른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임대 사용료 등을 자동으로 계산하여 청구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기기 관리 시스템{Multi-function devic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복합기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임대 사업자 등이 특정 장소에 특정 복합기기를 설치한 후, 해당 기기로부터 각종 상태 정보를 인터넷 망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자동 입력받아 관리 서버에 저장하고, 각각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한 다음 그 결과를 관리 어플리케이션(앱)을 구비한 사용자 또는 각 지역의 관리자 또는 제조사의 컴퓨터 또는 단말 등으로 자동 전송하여 해당 정보를 제공함은 물론 각종 복합기기들에 대한 관리에 따른 소모품의 상태 예측과 교환 및 고장에 따른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임대 사용료 등을 자동으로 계산하여 청구할 수 있도록 발명한 복합기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나 테블릿 및 스마트폰 등으로부터 전자신호를 받아 토너 또는 잉크 등을 이용하여 종이에 문서를 출력하는 프린터 및 문서를 다른 종이에 복사하여 출력하는 복사기 등과 같은 각종 문서출력장치는 가정, 기업, 관청 및 기관 등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문서출력장치는 프린터 및 복사기 등과 같은 단일 형태에서, 더 나아가서는 팩스 및 스캐너 등의 사무용 기기를 하나로 통합한 디지털 복합기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문서출력장치(이하 '복합기기'로 통칭함)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 구매 비용을 절약하고, 유지 관리에 들이는 노력을 절감하기 위하여, 임대 형태로 복합기기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다.
즉, 제조사에서 제조하여 판매하는 복합기기를 임대 사업자가 구매하고, 임대 사업자는 복합기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임대 서비스를 한다.
이때, 사용자는 임대 사업자에게 문서 출력 매수 등을 기초로 사용 요금을 지불하고, 기기에 대한 고장 및 유지 관리를 임대 사업자에게 일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합기기를 임대하는 서비스에 대해서, 임대 사업자는 해당 기기가 설치된 사용자의 회사 또는 가정 등에 방문하여 사용량(또는 사용매수; 이하 "사용량"으로 통칭함)을 확인하고, 기기 관리를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관리 방법에 따르면, 기기 사용량을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고 사용량에 대한 시점 별 정확성을 확보하기 어려우며, 유지 보수 차원에서의 기기 관리에 대한 이력 관리, 분석 및 예측 등이 어려워, 임대 사업자 및 사용자 모두에게 불편함이 존재하고, 또한 월별 임대 사용료 청구시 요금을 계산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복합기기는 자체적으로 각자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이기 때문에 특정 기기 별로 서로 다른 방식과 방법으로 업데이트 및 관리가 진행되어야 함에 따라 복합기기를 관리하는 입장에서는 각 기기별로 기술을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복합기기에서 작성하여 전송하는 상태 정보 데이터는 각 기기 별로 각자의 형식에 따라 작성이 되어 관리자가 이를 쉽게 파악하고 숙지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데 따라, 복합기기를 사용함에 있어 발생하는 상태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 보관 및 분석하고, 분석된 정보를 문서 출력 장치의 임대 사업자, 사용자 및 제조사 등에 원하는 조건에 따라 모바일 환경 등에서 제공하여 원격에서 기기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복합기기 관리 시스템을 필요로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복합기기 관리 시스템를 제안하고자 한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10-2021-0056672호(2021년 05월 20일) 국내 공개특허공보 10-2019-0009086호(2019년 01월 28일) 국내 등록특허공보 10-1592900호(2016년 02월 02일) 국내 등록특허공보 10-1550294호(2015년 08월 31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임대 사업자 등이 특정 장소에 특정 복합기기를 설치한 후, 해당 기기로부터 각종 상태 정보(예를 들어 출력 매수, 토너 잔량, 각 컬러의 잉크 잔량, 드럼 잔량, 헤드 잔량, 종이 걸림 이력, 램프점등 여부, 커버 열림 여부, 에러 코드 및 사용 이력 등)를 인터넷 망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자동 입력받아 관리 서버에 저장하고, 각각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한 다음 그 결과를 관리 어플리케이션(앱)을 구비한 사용자 또는 각 지역의 관리자 또는 제조사의 컴퓨터 또는 단말 등으로 자동 전송하여 해당 정보를 제공함은 물론 각종 복합기기들에 대한 관리에 따른 소모품의 상태 예측과 교환 및 고장에 따른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임대 사용료 등을 자동으로 계산하여 청구할 수 있는 복합기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많은 사용자가 임대 또는 직접 구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각종 복합기기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각종 상태 정보를 원격지의 관리 서버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자동 수집하고, 각 복합기기의 제조자가 정한 다양한 형식에 따라 작성된 정보를 사용자 또는 관리자 편의에 맞추어 가공하여 제공할 수 있어 각종 복합기의 사용 및 관리에 대한 예측 및 대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각종 복합기기가 설치된 장소로 임대 사업자가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각종 복합기기에 관한 상태 정보를 원격으로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임대 사업자는 제공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정확한 가격 산정을 하여 타 임대 사업자에 대한 경쟁력 우위를 선점할 수 있으며, AS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각종 복합기기의 이력 관리 및 유지 관리에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또한 임대 사업자가 사용하는 관리자가 바뀌는 경우에도 정리된 정보 이력에 기초하여 지속적으로 관리 및 유지할 수 있는 복합기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코로나 19 등과 같은 전염병의 창궐로 인해 비대면 AS를 원하는 사용자가 않을 경우에도 좀더 충실하게 AS에 임할 수 있고, 사용자 및 임대 사업자 측면에서 미방문으로 경제적, 시간적 비용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빠른 응대로 상호간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임대 사업장의 종사자들은 충분한 시간확보로 기술력 향상 및 복지증대에 기여할 수 있고, 사용자 입장애서는 AS 및 기타 문제로 임대 사업자를 콜(Call)하는 횟수를 줄일 수 있어 사용자의 업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복합기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합기기 관리 시스템은, 임대 사업자 또는 제작사에 구비된 형태를 갖고, 사용자들이 임대하고 있는 각종 복합기기들로부터 해당 복합기기의 코드 정보를 포함한 각종 상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각각의 상태 정보에 대한 데이터 분석 및 가공을 수행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에 제공하는 관리 서버와; 자체의 고유 코드 정보를 포함하여 각종 상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관리 서버에 제공함은 물론 상기 관리 서버의 요청이 있을시 사용자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에게도 제공하는 복수의 복합기기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복합기기들의 관리 서버에 접속하고 통신하며 상기 관리 서버 또는 관리자 단말에서 제공하는 각종 상태 정보를 수신함은 물론 각종 소모품의 구매 및 서비스 요청을 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과; 원격지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버에 연결하여 특정 복합기기에 대한 상태 정보 및 운영 상태를 수신 및 확인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요구사항을 포함하여 소모품의 교환 및 고장 수리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관리자 단말;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 및 관리자 단말은, 특정 복합기기에 대한 관리 어플리케이션(앱)이 탑재된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또는 개인용 컴퓨터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복합기기는 프린터, 복사기, 스캐너, 복합기 및 팩스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합기기들의 각종 상태 정보는, 출력 매수(특정 날짜의 출력 매수, 특정 기간 동안의 출력 매수 및 총 출력 매수 등을 포함), 토너 잔량(%로 표시), 각 컬러의 잉크 잔량(%로 표시), 드럼 잔량, 헤드 잔량, 종이 걸림 이력, 램프점등 여부, 커버 열림 여부, 에러 코드 및 사용 이력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관리 서버는 각종 복합기기를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 및 관리자 단말과 양방향 통신을 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각종 복합기기로부터 고유 코드 정보와 사용 현황 및 이력 등에 대한 각종 상태 정보를 수집함은 물론 사용자 단말을 통해 특정 복합기기로부터 수집한 각종 상태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부로 저장하는 상태정보 수집부와; 상기 상태정보 수집부에서 수집한 각종 복합기기들에 대한 각종 상태 정보에 포함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가공하여 일관된 형식의 제공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를 통해 저장부로 저장하는 상태정보 가공부와; 각종 복합기기들에 대한 각종 상태 정보 및 가공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상태정보 가공부에서 생성하여 제공하는 각종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앱)이 설치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에 일관된 형식으로 제공하는 상태정보 제공부와; 상기 각부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는 복수의 복합기기 중 특정 복합기기에 대한 각종 상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해당 고유 코드 정보 및 특정 시간대에서의 상태 정보 등을 확인을 위한 키 신호 및 임대 사용료 관련 정보 등 각종 정보 요청 키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키 입력부와;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키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부에서 제공하는 특정 복합기기에 대한 각종 상태 정보 및 임대 사용료 등을 운영자 및 관리자들 볼 수 있도록 표시해 주는 모니터와;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키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부에서 제공하는 특정 복합기기에 대한 각종 상태 정보 및 임대 사용료 등을 문서로 프린트해 주는 프린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관리 서버는 특정 정산일이 도달한 경우, 각종 복합기기들의 임대 사용료를 각각 계산하고, 이를 지로 형태의 청구서로 가공하여 각 복합기기의 사용자 단말에 파일로 자동 통보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리자 단말은 관리자가 관리하는 특정 복합기들에 대한 임대 사용료 청구서를 각각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받아 사용자 단말에 원격 송신하고, 사용자의 요청이 있거나 또는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특정 복합기기에 대한 AS를 실시한 경우 그 결과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함은 물론 특정 소모품의 배송이 이루어진 경우 사용자 단말에 배송 내용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관리 서버는 각종 복합기기의 월별 임대 사용료 계산시, 기본 임대 사용량 대비 정해진 량 이상씩 더 증가할 경우 마다 또는 임대 사업장소와 각종 복합기기가 설치되어 있는 사용장소 사이의 거리가 정해진 거리보다 근거리에 위치할 경우 마다, 해당 월의 임대 사용료에 각각의 등급에 맞춘 인센티브를 적용시켜 정해진 %씩 할인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관리 서버는 각종 복합기기의 월별 임대 사용료 계산시, 계약된 기본 임대 사용량 대비 정해진 량 이상 사용시마다 사용자 등급을 1등급씩 상향 조절하며, 기본 임대 사용량 이외로 더 사용한 량에 대한 추가 사용료에서 각 등급별로 정해진 %씩 할인하고, 이를 기본 임대 사용료에 더하여 해당 월의 임대 사용료 청구서로 자동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는 각종 복합기기의 월별 임대 사용료 계산시, 임대 사업장소와 각종 복합기기가 설치되어 있는 사용장소 사이의 거리를 환산하여 정해진 거리로부터 일정거리만큼 근거리에 위치할 때 마다 관리거리 등급을 1등급씩 하향 조절하며, 계약된 기본 임대 사용료에서 각 등급별로 정해진 %씩 할인하고, 이를 해당 월의 임대 사용료 청구서로 자동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각종 복합기기의 월별 임대 사용료 계산시, 계약된 기본 임대 사용량 대비 정해진 량 이상 사용시마다 사용자 등급을 1등급씩 상향으로 조절하고, 해당 사용자 등급에 대응하여 기본 임대 사용량 이외로 더 사용한 량에 대한 추가 사용료를 정해진 %씩 각각 할인하며, 이에 더하여 임대 사업장소와 각종 복합기기의 사용장소 사이의 거리를 환산하여 정해진 거리로부터 일정거리만큼 근거리에 위치할 때 마다 또 다른 관리거리 등급을 1등급씩 하향 조절함은 물론 해당 관리거리 등급에 대응하여 계약된 기본 임대 사용료에서 정해진 %씩 각각 할인하고, 상기 할인된 기본 임대 사용료에 상기 할인된 추가 사용료를 더하여 해당 월의 임대 사용료 청구서로 자동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기기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첫째 임대 사업자 등이 특정 장소에 특정 복합기기를 설치한 후, 해당 기기로부터 각종 상태 정보(예를 들어 출력 매수, 토너 잔량, 각 컬러의 잉크 잔량, 드럼 잔량, 헤드 잔량, 종이 걸림 이력, 램프점등 여부, 커버 열림 여부, 에러 코드 및 사용 이력 등)를 인터넷 망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자동 입력받아 관리 서버에 저장하고, 각각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한 다음 그 결과를 관리 어플리케이션(앱)을 구비한 사용자 또는 각 지역의 관리자 또는 제조사의 컴퓨터 또는 단말 등으로 자동 전송하여 해당 정보를 제공함은 물론 각종 복합기기들에 대한 관리에 따른 소모품의 상태 예측과 교환 및 고장에 따른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임대 사용료 등을 자동으로 계산하여 청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서는 수많은 사용자가 임대 또는 직접 구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각종 복합기기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각종 상태 정보를 원격지의 관리 서버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자동 수집하고, 각 복합기기의 제조자가 정한 다양한 형식에 따라 작성된 정보를 사용자 또는 관리자 편의에 맞추어 가공하여 제공할 수 있으므로 각종 복합기의 사용 및 관리에 대한 예측 및 대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각종 복합기기가 설치된 장소로 임대 사업자가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각종 복합기기에 관한 상태 정보를 원격으로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임대 사업자는 제공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정확한 가격 산정을 하여 타 임대 사업자에 대한 경쟁력 우위를 선점할 수 있으며, 특히 AS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각종 복합기기의 이력 관리 및 유지 관리에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또 임대 사업자가 사용하는 관리자가 바뀌는 경우에도 정리된 정보 이력에 기초하여 지속적으로 관리 및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에서는 코로나 19 등과 같은 전염병의 창궐로 인해 비대면 AS를 원하는 사용자가 않을 경우에도 좀더 충실하게 AS에 임할 수 있고, 사용자 및 임대 사업자 측면에서 미방문으로 경제적, 시간적 비용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빠른 응대로 상호간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임대 사업장의 종사자들은 충분한 시간확보로 기술력 향상 및 복지증대에 기여할 수 있고, 사용자 입장애서는 AS 및 기타 문제로 임대 사업자를 콜(Call)하는 횟수를 줄일 수 있어 사용자의 업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에서는 각종 복합기기의 월별 임대 사용료를 계산할 때, 기본 임대 사용량 대비 정해진 량 이상씩 더 증가할 경우 마다 또는 임대 사업장소와 각종 복합기기가 설치되어 있는 사용장소 사이의 거리가 정해진 거리보다 근거리에 위치할 경우 마다, 해당 월의 임대 사용료에 각각의 등급에 맞춘 인센티브를 적용시켜 정해진 %씩 할인해 줌으로써 사용자의 임대 사용료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임대 사업자에 대한 신뢰도 및 만족도를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공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복합기기 관리 시스템에 대한 전체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이 적용된 복합기기 관리 시스템 중 관리 서버의 상세 블록 구성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포함하여 각 구성에 따른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복합기기 관리 시스템에 대한 전체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이 적용된 복합기기 관리 시스템 중 관리 서버의 상세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이 적용된 복합기기 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관리 서버(10)와 복수의 복합기기(20), 사용자 단말(30) 및 관리자 단말(40)를 포함한 상태에서, 임대 사업자 등이 특정 장소에 특정 복합기기(20)를 설치한 후, 해당 기기로부터 각종 상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자동 입력받아 관리 서버(10)에 저장하고, 각각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한 다음 그 결과를 관리 어플리케이션(앱)을 구비한 사용자 또는 각 지역의 관리자 또는 제조사의 컴퓨터 또는 단말 등으로 자동 전송하여 해당 정보를 제공함은 물론 각종 복합기기들에 대한 관리에 따른 소모품의 상태 예측과 교환 및 고장에 따른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임대 사용료 등을 자동으로 계산하여 청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상기 관리 서버(10)는 임대 사업자 또는 제작사에 구비된 형태를 갖고, 사용자들이 임대하여 사용하고 있는 각종 복합기기(20)들로부터 해당 복합기기의 고유 코드 정보를 포함한 각종 상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각각의 상태 정보에 대한 데이터 분석 및 가공을 수행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30) 또는 관리자 단말(4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관리 서버(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통신부(11)와 상태정보 수집부(12), 상태정보 가공부(13), 저장부(14), 상태정보 제공부(15) 및 제어부(16)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11)는 각종 복합기기(20)를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30) 및 관리자 단말(40) 등과 양방향 통신을 통해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통신부(11)는 다양한 통신 기술로 구현할 수 있다.
즉, 와이파이(WIFI),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모바일 와이맥스(Mobile WiMAX), 와이브로(WiBro), LTE(Long Term Evolution), 5G,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무선랜 기술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과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인터넷에서 정보전송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인 TCP/IP를 따를 수도 있다.
또, 상기 상태정보 수집부(12)는 제어부(16)의 제어를 받아 작동되며, 상기 통신부(11)를 통해 각종 복합기기(20)로부터 고유 코드 정보(즉, 고유번호; ID)와 사용 현황 및 이력 등에 대한 각종 상태 정보를 수집함은 물론 사용자 단말(30)을 통해 특정 복합기기(20)로부터 수집한 각종 상태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부(14)로 저장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복합기기(20)들에 대한 각종 상태 정보는, 출력 매수(특정 날짜의 출력 매수, 특정 기간 동안의 출력 매수 및 총 출력 매수 등을 포함), 토너 잔량(%로 표시), 각 컬러의 잉크 잔량(%로 표시), 드럼 잔량, 헤드 잔량, 종이 걸림 이력, 램프점등 여부, 커버 열림 여부, 에러 코드 및 사용 이력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태정보 가공부(13)는 제어부(16)의 제어를 받아 작동되며, 상기 상태정보 수집부(12)에서 수집한 각종 복합기기(20)들에 대한 각종 상태 정보에 포함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가공하여 일관된 형식의 제공 정보를 생성(예를 들어 특정 복합기기에 대한 해당 월의 임대 사용료 청구서나, 각종 상태 정보에 대한 리스트 등)하여 제어부(16)를 통해 저장부(14)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임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특정 복합기기에 대한 월별 임대 사용료 청구서에는, 해당 복합기기의 명칭 및 고유번호, 임대 복합기의 대수, 사용자(고객)명, 사용 기간, 사용자 주소, 흙색 및 컬러에 따른 당월 매수, 전월 매수, 해당 월의 총 사용 매수를 포함하여 계약시 설정된 기본 매수, 사용 매수, 추가 매수, 기본 임대 사용료, 추가 매수에 따른 흙백 및 컬러의 1매당 추가 요금, 전체 추가 요금, 총 임대 사용료 및 부가세 등이 기재될 수 있다.
또, 상기 저장부(14)는 제어부(16)의 제어를 받아 작동되며, 각종 복합기기(20)들에 대한 각종 상태 정보 및 가공된 정보를 저장하였다가 제어부(16)의 요청이 있을 시 요청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저장부(14)는 각 임대 사용자들의 정보와, 임대된 복합기기들에 대한 각종 정보, 각 지역을 담당하고 있는 관리자들에 대한 각종 정보(예를 들어 이력 및 근태 정보 등), 상기 관리 서버(10)에서 필요로 하는 실행 및 관리 프로그램 등을 포함하여 각종 복합기기에 대한 임대 사업 관리 및 유지보수에 따른 비품 정보 등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정보 제공부(15)는 제어부(16)의 제어를 받아 작동되며, 상기 상태정보 가공부(13)에서 생성하여 제공하는 각종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앱)이 설치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30) 또는 관리자 단말(40) 등을 포함하여 제어부(16)에서 지정하는 특정 컴퓨터나 또 다른 단말 등에 일관된 형식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제어부(16)는 마이컴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한 통신부(11)와 상태정보 수집부(12), 상태정보 가공부(13), 저장부(14) 및 상태정보 제공부(15)를 포함하여 후술하는 모니터(18) 및 프린터(19) 등 관리 서버(10)에서 구비하고 있는 각부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관리 서버(10)는 상기한 구성요소 외에도 키 입력부(17)와 모니터(18) 및 프린터(19)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키 입력부(17)는 상기 관리 서버(10) 운영자 등이 관리 서버(10)에 대한 전반적인 운전에 필요한 각종 키 신호의 입력은 물론 임대된 복수의 복합기기(20) 중 특정 복합기기에 대한 각종 상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해당 고유 코드 정보 및 특정 시간대에서의 상태 정보 등을 확인하기 위한 키 신호 입력을 포함하여 임대 사용료 관련 정보 등 각종 정보 요청 키 신호를 상기 제어부(16)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18)는 제어부(16)의 제어를 받아 작동되며, 상기 관리 서버(10) 운영자 등이 관리 서버(10)의 작동 상태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키 입력부(17)를 통해 입력되는 각종 키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부(16)에서 제공하는 특정 복합기기(20)에 대한 각종 상태 정보 및 임대 사용료 등을 운영자 및 관리자들 정확히 보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프린터(19)는 제어부(16)의 제어를 받아 작동되며, 상기 키 입력부(17)를 통해 입력되는 키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부(16)에서 제공하는 특정 복합기기에 대한 각종 상태 정보 및 임대 사용료 등을 문서로 프린트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복수의 복합기기(20)는 프린터, 복사기, 스캐너, 복합기 및 팩스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자체적으로 지정된 고유 코드 정보를 포함하여 각종 상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관리 서버(10)에 제공함은 물론 상기 관리 서버(10)의 요청이 있을시 사용자 단말(30) 또는 관리자 단말(40) 등에게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30)은 복합기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앱)을 탑재한 형태를 갖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복합기기(20)들의 관리 서버(10)에 접속된 상태에서 통신하며 상기 관리 서버(10) 또는 관리자 단말(40)에서 제공하는 각종 상태 정보를 수신함은 물론 각종 소모품의 구매 및 서비스 요청 등을 원격으로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관리자 단말(40)은 복합기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앱)을 탑재한 형태를 갖고, 원격지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버(10)에 연결하여 특정 복합기기에 대한 상태 정보 및 운영 상태 등을 수신 및 확인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요구사항을 포함하여 소모품의 교환 및 고장 수리 등에 필요한 상태 정보를 수신받고 그에 상응하는 각종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40)은 관리자가 관리하는 특정 복합기들에 대한 임대 사용료 청구서를 각각 관리 서버(10)로부터 수신받아 사용자 단말(30)에 원격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자 단말(40)은 사용자의 요청이 있거나 또는 관리자가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특정 복합기기에 대한 AS를 실시한 경우, 그 결과를 사용자 단말(30)에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 특정 소모품의 배송이 이루어진 경우 사용자 단말(30)에 배송 내용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30) 및 관리자 단말(40)은, 특정 복합기기에 대한 관리 어플리케이션(앱)이 탑재된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또는 개인용 컴퓨터 등을 포함한다.
참고로, 복합기기를 임대를 진행하다 보면, 출장 AS 요청이 많이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관리자 등은 과도한 업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출장 AS 관련 업무의 비중을 줄일 필요가 있었고, 아래에서는 이와 관련된 본 발명의 프로세스에 대해서 서술하도록 하겠다.
관리 서버(10)는 복합 기기(20)를 임대해주면서 각 복합기기(20)마다 기본 출장 AS 횟수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기본 출장 AS 횟수는 사용자의 요청이 있어 관리자가 출장을 갈 때마다 차감되며, 일정 기간(ex 1년)이 지나면 기본 출장 AS 횟수가 다시 새로이 채워질 수 있다.
이때, 관리자가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출장 AS를 가거나, 출장 AS를 가서 복합기기(20)의 이상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기본 출장 AS 횟수가 차감되지 않을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특정 복합기기를 이용하고 있는 특정 사용자가 일정 기간(ex 1년)이 지나도록 기본 출장 AS 횟수를 다 사용하지 않았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관리 서버(10)는 상기 특정 복합기기(ex 프린터, 스캐너 등)의 1달 임대 사용료를 일부 할인하여 할인된 청구서를 특정 사용자의 단말에 통지할 수도 있고, 추가 잉크 사용권, 추가 흑백 또는 컬러 A4 사용권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30)에 남은 출장 AS 횟수에 대응하는 코인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코인은 본 발명의 관리 서버(10)에서 이용될 수 있는 가상 머니로서, 관리 서버는 특정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자 단말(30)에 모인 코인을 이용하여 추후 임대 사용료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관리 서버(10)는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하고, 복합기기 사용자 중 남은 출장 AS 횟수가 가장 많은 사용자(또는 3순위내 사용자)를 각 구역마다 선택할 수 있고, 해당 사용자에게는 임대 사용료 일부 할인 내지 상기 코인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관리 서버(10)는 복합기기(20)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커뮤니티인 별도의 플랫폼을 생성할 수 있고, 복합기기(20)를 이용하는 각 사용자 단말(30)로 하여금 복합기기(20) 관련 질문사항을 업로드하도록 할 수 있다. 해당 질문에 대해 관리 서버(10)가 답변을 할 수도 있고, 다른 사용자가 답변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답변을 한 다른 사용자는 관리 서버(10)로부터 소정 코인을 제공받아 추후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 단말(30) 사이에서 서로의 코인을 통해 A4 사용권 등을 거래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관리 서버(10)에서는 임대 사업자와 각 사용자들 사이에서 정해진 특정 정산일이 도달될 경우, 각종 복합기기들의 임대 사용료를 각각 계산하고, 이를 지로 형태의 청구서 파일로 가공하여 각 복합기기의 사용자 단말(30)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이메일 등에 자동으로 통보해 주게 된다.
물론, 사용자가 특정 복합기기에 대한 월별 임대 사용료 청구서를 문서로 받기를 원할 경우에는, 우편이나 택배 등을 통해 해당 복합기의 설치장소 주소지 등으로 송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10)는 각종 복합기기의 월별 임대 사용료 계산시, 기본 임대 사용량 대비 정해진 량 이상씩 더 증가할 경우 마다 또는 임대 사업장소와 각종 복합기기가 설치되어 있는 사용장소 사이의 거리가 정해진 거리보다 근거리에 위치할 경우 마다, 해당 월의 임대 사용료에 각각의 등급에 맞춘 인센티브를 적용시켜 정해진 %씩 할인해 주는 것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관리 서버(10)는 각종 복합기기의 월별 임대 사용료 계산시, 계약된 기본 임대 사용량(예를 들어 컬러의 경우 500~600장, 흙백의 경우 3,000~4,000장 등) 대비 정해진 량 이상(예를 들어 컬러의 경우 50~60장, 흙백의 경우 300~400장 등) 사용시마다 사용자 등급을 1등급씩 상향 조절하고, 계약시 정해진 기본 임대 사용량 이외로 더 사용한 량에 대한 추가 사용료에서 각 등급별로 정해진 %(예를 들어 5~10%)씩 할인한 다음, 이를 기본 임대 사용료에 더하여 해당 월의 임대 사용료 청구서로 자동 발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실제로 임대 사업자가 적용하는 추가 사용료는 기본 임대 사용량(예를 들어 컬러 500장 기본 + 흙백 3,000장 기본 = 100,000원)에서 정해진 기본 사용 매수당 비용에 비해 비교적 높은 요금을 적용하고 있는 추세(예를 들어 컬러 추가 1장당 120원, 흙백 추가 1장당 10원 등)이어서, 계약된 기본 임대 사용량 대비 정해진 량 이상 사용시마다 사용자 등급을 1등급씩 상향(예를 들어 일반 사용자, 우수 사용자, 최우수 사용자 등)으로 조절하고, 해당 사용자 등급에 대응하여 기본 임대 사용량 이외로 더 사용한 량에 대한 추가 사용료를 정해진 %씩 각각 할인해 주게 되면, 사용자 입장에서는 추가 사용량에 따른 비용이 크게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계약된 기본 임대 사용량 대비 정해진 량 이상 사용시마다 사용자 등급을 1등급씩 상향 조절하고, 해당 사용자 등급에 대응하여 기본 임대 사용량 이외로 더 사용한 량에 대한 추가 사용료를 정해진 %씩 각각 할인해 주는 방법을 채택함에 있어서, 추가 사용에 따른 투자 대비 추가 감가상각비를 포함하여 인건비 및 추가로 소모되는 물품비 등을 감안하여 할인 %를 한정 즉, 임대 사업자기 최소한으로 얻어야만 되는 임대 사업 소득 범위를 벋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할인 범위를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관리 서버(10)는 각종 복합기기의 월별 임대 사용료 계산시, 임대 사업장소와 각종 복합기기가 설치되어 있는 사용장소 사이의 거리를 환산하여 정해진 거리(예를 들어 10~12㎞ 등)로부터 일정거리만큼 근거리(예를 들어 1~2㎞ 등에 위치할 때 마다 관리거리 등급을 1등급씩 하향 조절(예를 들어 2~4 등급이내에서 조절)하고, 계약된 기본 임대 사용료에서 각 등급별로 정해진 %(예를 들어 2~5%)씩 할인한 다음, 이를 해당 월의 임대 사용료 청구서로 자동 발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임대 사업장소와 각종 복합기기가 설치되어 있는 사용장소 사이의 거리가 멀면 멀수록 AS나 소모품 배송 등을 실시할 때, 그만큼 교통비용 및 시간적 비용 등이 많이 드는 반면,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그 비용이 그만큼 적게 들므로 임대 사업자 입장에서는 그만큼 짧은 거리에 대응하여 월별 기본 임대 사용료를 할인시켜 주더라도 크게 손해를 보지 않는 반면, 사용자 입장에서는 월별 기본 임대 사용료 자체를 그만큼 적게 부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임대 사업자가 많은 복합기기들을 구입하여 수많은 사업자에게 복합기기들에 대한 임대 사업을 실시함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투자되는 비용이 매우 큰 관계로, 거리에 따른 인센티브를 적용하여 월별 기본 임대 사용료를 할인하는데는 한계가 있을 수 있으므로 월별 기본 임대 사용료 대비 할인 사용료가 최대 20~30%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거리에 따른 인센티브를 적용함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월별 기본 임대 사용료를 할인하는 방법에 한정하지 않고, 거리에 따라 월별 기본 임대 사용료 대비 기본 사용 매수 등을 낮춰주는 방법도 채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있어서도 임대 사업자가 기본적으로 소요되는 투자 대비 감가상각비 및 인건비 등을 감안하여 할인 %를 한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10)는 각종 복합기기의 월별 임대 사용료 계산시, 상기한 두 인센티브 조건을 모두 만족할 경우, 즉, 계약된 기본 임대 사용량 대비 정해진 량 이상 사용시마다 사용자 등급을 1등급씩 상향으로 조절하고, 해당 사용자 등급에 대응하여 기본 임대 사용량 이외로 더 사용한 량에 대한 추가 사용료를 정해진 %(예를 들어 5~10%)씩 각각 할인하며, 이에 더하여 임대 사업장소와 각종 복합기기의 사용장소 사이의 거리를 환산하여 정해진 거리로부터 일정거리만큼 근거리에 위치할 때 마다 또 다른 관리거리 등급을 1등급씩 하향 조절함은 물론 해당 관리거리 등급에 대응하여 계약된 기본 임대 사용료에서 정해진 %(예를 들어 2~5%)씩 각각 할인하고, 상기 할인된 기본 임대 사용료에 상기 할인된 추가 사용료를 더하여 해당 월의 임대 사용료 청구서로 자동 발행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두 인센티브 조건을 모두 적용할 경우는, 사용자는 물론 임대 사업자 모두가 상호 만족하는 경제적, 시간적인 이익 및 상호간 신뢰도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관리 서버
11 : 통신부 12 : 상태정보 수집부
13 : 상태정보 가공부 14 : 저장부
15 : 상태정보 제공부 16 : 제어부
17 : 키 입력부 18 : 모니터
19 : 프린터
20 : 복합기기
30 : 사용자 단말
40 : 관리자 단말

Claims (10)

  1. 임대 사업자 또는 제작사에 구비된 형태를 갖고, 사용자들이 임대하고 있는 각종 복합기기들로부터 해당 복합기기의 고유 코드 정보를 포함한 각종 상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각각의 상태 정보에 대한 데이터 분석 및 가공을 수행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에 제공하는 관리 서버와;
    고유 코드 정보를 포함하여 각종 상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관리 서버에 제공함은 물론 상기 관리 서버의 요청이 있을시 사용자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에게도 제공하는 복수의 복합기기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복합기기들의 관리 서버에 접속하고 통신하며 상기 관리 서버 또는 관리자 단말에서 제공하는 각종 상태 정보를 수신함은 물론 각종 소모품의 구매 및 서비스 요청을 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과;
    원격지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버에 연결하여 특정 복합기기에 대한 상태 정보 및 운영 상태를 수신 및 확인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요구사항을 포함하여 소모품의 교환 및 고장 수리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관리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에서 각종 복합기기의 월별 임대 사용료 계산시,
    기본 임대 사용량 대비 정해진 량 이상씩 더 증가할 경우 마다,
    또는 임대 사업장소와 각종 복합기기가 설치되어 있는 사용장소 사이의 거리가 정해진 거리보다 근거리에 위치할 경우 마다,
    해당 월의 임대 사용료에 각각의 등급에 맞춘 인센티브를 적용시켜 정해진 %씩 할인해 주며,
    상기 관리 서버에서 각종 복합기기의 월별 임대 사용료 계산시,
    계약된 기본 임대 사용량 대비 정해진 량 이상 사용시마다 사용자 등급을 1등급씩 상향으로 조절하고, 해당 사용자 등급에 대응하여 기본 임대 사용량 이외로 더 사용한 량에 대한 추가 사용료를 정해진 %씩 각각 할인하며,
    이에 더하여 임대 사업장소와 각종 복합기기의 사용장소 사이의 거리를 환산하여 정해진 거리로부터 일정거리만큼 근거리에 위치할 때 마다 또 다른 관리거리 등급을 1등급씩 하향 조절함은 물론 해당 관리거리 등급에 대응하여 계약된 기본 임대 사용료에서 정해진 %씩 각각 할인하고,
    상기 할인된 기본 임대 사용료에 상기 할인된 추가 사용료를 더하여 해당 월의 임대 사용료 청구서로 발행하며,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된 상태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복합 기기 사용자 중 남은 출장 AS 횟수가 가장 많은 사용자를 각 구역마다 선택하고, 해당 사용자에게 상기 임대 사용료에 대한 할인을 제공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복합 기기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커뮤니티인 별도의 플랫폼을 운영하면서, 다른 사용자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한 사용자에게 소정 코인을 제공하여 A4 사용권을 거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기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합기기들의 각종 상태 정보는,
    출력 매수(특정 날짜의 출력 매수, 특정 기간 동안의 출력 매수 및 총 출력 매수를 포함), 토너 잔량(%), 각 컬러의 잉크 잔량(%), 드럼 잔량, 헤드 잔량, 종이 걸림 이력, 램프점등 여부, 커버 열림 여부, 에러 코드 및 사용 이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기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각종 복합기기, 사용자 단말 및 관리자 단말과 통신을 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각종 복합기기로부터 고유 코드 정보와 사용 현황 및 이력에 대한 각종 상태 정보를 수집함은 물론 사용자 단말을 통해 특정 복합기기로부터 수집하는 상태정보 수집부와;
    상기 상태정보 수집부에서 수집한 각종 복합기기들에 대한 각종 상태 정보에 포함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가공하여 일관된 형식의 제공 정보를 생성하는 상태정보 가공부와;
    각종 복합기기에 대한 각종 상태 정보 및 가공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상태정보 가공부에서 생성하여 제공하는 각종 정보를 사용자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에 일관된 형식으로 제공하는 상태정보 제공부와;
    상기 각부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기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복수의 복합기기 중 특정 복합기기에 대한 각종 상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해당 고유 코드 정보 및 특정 시간대에서의 상태 정보의 확인을 위한 키 신호 및 임대 사용료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정보 요청 키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키 입력부와;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키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부에서 제공하는 특정 복합기기에 대한 각종 상태 정보 및 월별 임대 사용료를 운영자 및 관리자들 볼 수 있도록 표시해 주는 모니터와;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키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부에서 제공하는 특정 복합기기에 대한 각종 상태 정보 및 임대 사용료를 문서로 프린트해 주는 프린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기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특정 정산일이 도달한 경우,
    각종 복합기기들의 임대 사용료를 각각 계산하고, 이를 지로 형태의 청구서로 가공하여 각 복합기기의 사용자 단말 또는 지정된 이메일에 파일 형태로 자동 통보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기 관리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은,
    관리자가 관리하는 특정 복합기들에 대한 임대 사용료 청구서를 각각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받아 사용자 단말에 원격 송신하고, 사용자의 요청이 있거나 또는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특정 복합기기에 대한 AS를 실시한 경우 그 결과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함은 물론 특정 소모품의 배송이 이루어진 경우 사용자 단말에 배송 내용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기 관리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10131200A 2021-10-01 2021-10-01 복합기기 관리 시스템 KR102465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200A KR102465385B1 (ko) 2021-10-01 2021-10-01 복합기기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200A KR102465385B1 (ko) 2021-10-01 2021-10-01 복합기기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5385B1 true KR102465385B1 (ko) 2022-11-09

Family

ID=84040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1200A KR102465385B1 (ko) 2021-10-01 2021-10-01 복합기기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538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0980A (ko) * 2014-01-02 2015-07-1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위치기반 쿠폰 판매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550294B1 (ko) 2015-03-03 2015-09-07 강희진 재제조품 복합기 원격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592900B1 (ko) 2014-01-03 2016-02-12 이영우 사무기기 소모품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
KR20160045174A (ko) * 2014-10-16 2016-04-27 심수진 사무용 기기 렌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KR20190009086A (ko) 2017-07-18 2019-01-28 주식회사 에이치피솔루션 사무기기의 사후관리 시스템
KR20190121631A (ko) * 2018-04-18 2019-10-28 전종상 문서 출력 장치의 관리 시스템 및 단말
JP2020061072A (ja) * 2018-10-12 2020-04-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貸出管理システム、貸出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10056672A (ko) 2019-11-11 2021-05-20 주식회사 휴니크 렌탈기기를 위한 소모품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0980A (ko) * 2014-01-02 2015-07-1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위치기반 쿠폰 판매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592900B1 (ko) 2014-01-03 2016-02-12 이영우 사무기기 소모품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
KR20160045174A (ko) * 2014-10-16 2016-04-27 심수진 사무용 기기 렌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KR101550294B1 (ko) 2015-03-03 2015-09-07 강희진 재제조품 복합기 원격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09086A (ko) 2017-07-18 2019-01-28 주식회사 에이치피솔루션 사무기기의 사후관리 시스템
KR20190121631A (ko) * 2018-04-18 2019-10-28 전종상 문서 출력 장치의 관리 시스템 및 단말
JP2020061072A (ja) * 2018-10-12 2020-04-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貸出管理システム、貸出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10056672A (ko) 2019-11-11 2021-05-20 주식회사 휴니크 렌탈기기를 위한 소모품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07249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課金処理装置及び課金処理方法
US7526212B2 (en) Expense recovery system for multi-function device with smart data entry
JP5702538B2 (ja) 統制ルール及びポリシーに基づくデータを追跡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2004024973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harging for printing services
US8332266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business machine assets
US20140330730A1 (en) Point bank system
JP6528432B2 (ja) 課金管理システム、第1管理装置、第2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243305B2 (en) Production print capacity display for process optimization
US10235113B2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 account document processing cost accounting
US7464048B2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storage medium for managing printing apparatuses
KR102465385B1 (ko) 복합기기 관리 시스템
CN113282251A (zh) 文档处理计费系统和方法
JP2018206278A (ja) 情報処理装置、印刷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EP1521195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automated accounting system
US200402154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business machine assets
JP4630470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及びプログラム記憶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5155818B2 (ja) 課金管理方法、端末装置、サーバ装置、クライアントサーバシステム、課金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US7751727B2 (en) Expense recovery system for multi-function device with smart data entry
JP5124399B2 (ja) 広告システム
JP4218876B2 (ja) 画像形成装置の利用に対する課金方法
JP2002307788A (ja) 印刷システム,料金設定方法,料金設定プログラムおよび料金設定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436923B2 (ja) 使用量取得方法及び使用量取得装置
US20230308584A1 (en) Print device management apparatus and print device management method for systems with different usage locations
JP2014102716A (ja) セルフチャージ式プリントサービスシステム
JP2005309896A (ja) 課金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