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1631A - 문서 출력 장치의 관리 시스템 및 단말 - Google Patents

문서 출력 장치의 관리 시스템 및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1631A
KR20190121631A KR1020180045196A KR20180045196A KR20190121631A KR 20190121631 A KR20190121631 A KR 20190121631A KR 1020180045196 A KR1020180045196 A KR 1020180045196A KR 20180045196 A KR20180045196 A KR 20180045196A KR 20190121631 A KR20190121631 A KR 20190121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output
output device
termi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5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종상
장종윤
Original Assignee
전종상
장종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종상, 장종윤 filed Critical 전종상
Priority to KR1020180045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1631A/ko
Publication of KR20190121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16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9Printer resources management or printer maintenance, e.g. device status, power lev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42Image or content composition onto a p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8Job submission, e.g. submitting print job order or request not the print data itsel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08Annexed information, e.g. attach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시스템은 문서 출력 장치를 관리하는 관리 시스템으로서, 문서 출력 장치 정보로부터 상기 문서 출력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상태 정보를 분석 및 가공하여 일관된 형식에 따른 제공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가공부, 그리고 상기 제공 정보를 고객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문서 출력 장치의 관리 시스템 및 단말{SYSTEM AND TERMINAL FOR MANAGING DOCUMENT OUTPUT DEVICE}
본 발명은 문서 출력 장치의 관리 시스템 및 단말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등으로부터 전자 신호를 받아 잉크 등을 이용하여 종이에 문서를 출력하는 프린터 및 문서를 다른 종이에 복사하여 출력하는 복사기 등의 문서 출력 장치는 가정, 기업 및 기관 등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문서 출력 장치는 프린터 및 복사기 단일 형태에서 나아가 팩스 및 스캐너 등의 사무용 기기를 하나로 통합한 디지털 복합기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문서 출력 장치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 구매 비용을 절약하고 유지 관리에 들이는 노력을 절감하기 위하여, 임대 형태로 문서 출력 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다. 즉 제조사에서 제조하여 판매하는 문서 출력 장치를 임대 사업자가 구매하고, 임대 사업자는 문서 출력 장치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임대 서비스를 한다. 이때 사용자는 임대 사업자에게 문서 출력 매수 등을 기초로 사용 요금을 지불하고, 기기에 대한 고장 및 유지 관리를 임대 사업자에게 일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문서 출력 장치를 임대하는 서비스에 대해서, 임대 사업자는 문서 출력 장치가 설치된 사용자의 회사 또는 가정 등에 방문하여 사용량을 확인하고 기기 관리를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관리 방법에 따르면, 기기 사용량을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고 사용량에 대한 시점 별 정확성을 확보하기 어려우며, 유지 보수 차원에서의 기기 관리에 대한 이력 관리, 분석 및 예측 등이 어려워, 임대 사업자 및 사용자 모두에게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한편, 문서 출력 장치는 기기 자체적으로 각자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이기 때문에 특정 기기 별로 서로 다른 방식과 방법으로 업데이트 및 관리가 진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문서 출력 장치를 관리하는 입장에서는 각 기기 별로 기술을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문서 출력 장치 자체에서 작성하여 전송하는 상태 정보 데이터는 각 기기 별로 각자의 형식에 따라 작성이 되어 관리자가 이를 쉽게 파악하고 숙지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문서 출력 장치를 사용함에 있어 발생하는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 보관 및 분석하고, 분석된 정보를 문서 출력 장치의 임대 사업자, 사용자 및 제조사 등에 원하는 조건에 따라 모바일 환경에서 제공하여 원격에서 기기를 용이하게 관리하도록 시스템을 지원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관리 시스템은 문서 출력 장치를 관리하는 관리 시스템으로서, 문서 출력 장치 정보로부터 상기 문서 출력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상태 정보를 분석 및 가공하여 일관된 형식에 따른 제공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가공부, 그리고 상기 제공 정보를 고객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객 단말은, 상기 문서 출력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단말 또는 상기 문서 출력 장치를 상기 사용자에게 임대하는 임대 사업자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문서 출력 장치 정보는, 출력 매수, 토너 잔량, 잉크 잔량, 드럼 잔량, 헤드 잔량, 종이 걸림 이력, 램프 점등 여부, 커버 열림 여부 및 에러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문서 출력 장치의 제조자가 설정한 형식을 따를 수 있다.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고객 단말 또는 상기 관리자 단말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문서 출력 장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하는 처리부, 그리고 상기 처리부의 동작에 따른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문서 출력 장치의 제조자가 설정한 형식에 따른 상태 정보를 가공하여 일관된 형식에 따른 제공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제공한다.
상기 단말은, 상기 문서 출력 장치를 구매하여 사용자에게 임대 서비스를 수행하는 임대 사업자, 상기 문서 출력 장치를 직접 구매하거나 임대하여 사용하는 사용자 및 상기 문서 출력 장치의 운영 상태를 관리하는 관리자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문서 출력 장치 정보는, 출력 매수, 토너 잔량, 잉크 잔량, 드럼 잔량, 헤드 잔량, 종이 걸림 이력, 램프 점등 여부, 커버 열림 여부 및 에러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단말을 사용하는 자에게 로그인을 요구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단말을 사용자는 자와 관련된 문서 출력 장치 리스트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문서 출력 장치 리스트 화면에서 선택된 문서 출력 장치에 대하여 제공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문서 출력 장치에 대한 정보를 채팅 기능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단말을 사용하는 복수의 사용자들끼리 상기 문서 출력 장치에 대한 채팅을 수행하는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문서 출력 장치에 대한 상태 메시지를 채팅 메시지 또는 팝업 메시지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상태 메시지는 상기 문서 출력 장치의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문서 출력 장치를 사용함에 있어 발생하는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하고, 수집한 정보를 문서 출력 장치의 임대 사업자, 사용자 및 제조사 등에 원하는 조건에 따라 가공하여 제공하여, 문서 출력 장치의 사용 및 관리에 대한 예측 및 대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문서 출력 장치의 관리 시스템이 동작하는 환경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문서 출력 장치의 관리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반적인 문서 출력 장치의 상태 정보를 도시하는 한 예이다.
도 4는 일반적인 문서 출력 장치의 상태 정보를 도시하는 다른 예이다.
도 5는 일반적인 문서 출력 장치의 상태 정보를 도시하는 다른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문서 출력 장치의 관리 시스템이 제공하는 단말 화면의 한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문서 출력 장치의 관리 시스템이 제공하는 단말 화면의 다른 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문서 출력 장치의 관리 시스템이 제공하는 단말 화면의 다른 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문서 출력 장치의 관리 시스템이 제공하는 단말 화면의 다른 예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문서 출력 장치의 관리 시스템이 제공하는 단말 화면의 다른 예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문서 출력 장치의 관리 시스템 및 단말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문서 출력 장치의 관리 시스템이 동작하는 환경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문서 출력 장치의 관리 시스템(100)은 문서 출력 장치(200) 또는 고객 단말(300)로부터 문서 출력 장치 정보를 수신하여, 문서 출력 장치 정보에 대한 데이터 분석 및 가공을 수행하여 고객 단말(300) 및 관리자 단말(400)에게 제공하는 서버이다.
문서 출력 장치(200)는 프린터, 복사기, 스캐너 및 팩스 등 종이에 잉크 등을 사용하여 문서를 출력하는 장치를 의미하며, 프린터, 복사기, 스캐너 및 팩스 등이 통합된 디지털 복합기를 포함한다. 문서 출력 장치(200)는 자신의 사용 상태, 즉 예를 들어 에러 또는 고장 상황이나 사용 이력 등에 대한 문서 출력 장치 정보를 관리 시스템(100) 또는 고객 단말(300)에게 전송한다. 이러한 문서 출력 장치 정보는 다양한 생산자에 의하여 제조된 문서 출력 장치(200)에 따라 각각 제조시 설정된 형식으로 전송된다. 또한 전송 수신자는 문서 출력 장치(200)에 설정된 이메일 주소가 될 수 있으며, 이는 관리 시스템(100) 또는 고객 단말(300)의 이메일 주소일 수 있다.
고객 단말(300)은 문서 출력 장치(200)를 구매하여 사용자에게 임대 서비스를 수행하는 임대 사업자 또는 문서 출력 장치(200)를 직접 구매하거나 임대하여 사용하는 사용자의 단말로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문서 출력 장치의 관리 시스템(100)에 접속하고 통신하는 장치이며, 예를 들어 탭북, 노트북, 컴퓨터,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텔레비전(television, TV)등 다양한 통신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관리자 단말(400)은 문서 출력 장치(200)의 운영 상태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문서 출력 장치의 관리 시스템(100)에 접속하고 통신하는 장치이며, 역시 예를 들어 탭북, 노트북, 컴퓨터,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텔레비전 등 다양한 통신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 수집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문서 출력 장치의 관리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며, 도 3은 일반적인 문서 출력 장치의 상태 정보를 도시하는 한 예이며, 도 4는 일반적인 문서 출력 장치의 상태 정보를 도시하는 다른 예이며, 도 5는 일반적인 문서 출력 장치의 상태 정보를 도시하는 다른 예이다.
도 2를 참고하면, 관리 시스템(100)은 정보 수집부(110), 정보 가공부(120) 및 정부 제공부(130)를 포함한다.
정보 수집부(210)는 문서 출력 장치(200)로부터 장치의 사용 현황 및 이력 등에 정보인 상태 정보를 수집한다. 또는 정보 수집부(210)는 고객 단말(300)이 문서 출력 장치(200)로부터 수집한 상태 정보를 전달받을 수도 있다. 이때 문서 출력 장치 정보는 출력 매수, 토너 잔량, 잉크 잔량, 드럼 잔량, 헤드 잔량, 종이 걸림 이력, 램프 점등 여부, 커버 열림 여부 및 에러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때 출력 매수는 특정 날짜의 출력 매수, 특정 기간 동안의 출력 매수 및 총 출력 매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각각 참고하면, 문서 출력 장치(200)로부터 수집된 문서 출력 장치 정보의 다양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문서 출력 장치 정보는 이메일을 통하여 수신될 수 있으며, 문서 출력 장치 정보에 포함된 데이터 형식은 문서 출력 장치(200)의 제조자에 의하여 정해진 다양한 형식을 따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고하면, 정보 가공부(220)는 정보 수집부(210)가 수집한 상태정보에 포함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가공하여 일관된 형식의 제공 정보를 생성한다. 즉 정보 가공부(220)는 다양한 형식에 따르는 복수의 문서 출력 장치 정보에 대하여 하나의 형식에 의하는 제공 정보에 포함될 데이터를 추출하고 해당 형식에 따라 가공한다.
정보 제공부(230)는 정보 가공부(220)가 생성한 제공 정보를 고객 단말(300) 또는 관리자 단말(400)에게 제공한다. 제공 정보는 고객 단말(300) 또는 관리자 단말(4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일관된 형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부(230)는 고객이나 관리자가 알아야 할 알림 정보를 팝업 메시지 또는 채팅 메시지를 통하여 열람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제 도 6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고객 단말(3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고객 단말의 블록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문서 출력 장치의 관리 시스템이 제공하는 단말 화면의 한 예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문서 출력 장치의 관리 시스템이 제공하는 단말 화면의 다른 예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문서 출력 장치의 관리 시스템이 제공하는 단말 화면의 다른 예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문서 출력 장치의 관리 시스템이 제공하는 단말 화면의 다른 예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문서 출력 장치의 관리 시스템이 제공하는 단말 화면의 다른 예이다.
도 6을 참고하면, 고객 단말(300)은 통신부(310), 메모리(320), 표시부(330), 입력부(340) 및 처리부(350)를 포함한다.
통신부(310)는 처리부(350)와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부(350)로 전달하고, 처리부(350)가 출력하는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즉, 통신부(31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관리 시스템(100)과 통신하며 송수신한 데이터를 처리부(350)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310)는 문서 출력 장치(200)로부터 문서 출력 장치(200)에 대한 제공 정보를 수신하고, 문서 출력 장치(200) 관리에 대한 요청 정보 등을 관리 시스템(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320)는 처리부(350)와 연결되어 처리부(35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메모리(320)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램버스(Rambus) DRAM, 동기식 DRAM(Synchronous Dynamic RAM, SDRAM), 정적 RAM(Static RAM, SRAM) 등의 RAM과 같은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메모리(320)는 관리 시스템(100)과 연동하여 문서 출력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어플리케이션은 앱스토어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거래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설치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도 7과 같이 로그인 화면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고객 또는 관리자는 도 7과 같이 제공받은 화면을 이용하여 본인 인증을 수행하고 로그인을 완료하여 관리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도 8과 같이 고객 또는 관리자와 관련된 문서 출력 장치 리스트 화면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8과 같은 화면은 도 7과 같은 로그인이 완료된 이후에 제공된다.
어플리케이션은 도 9와 같이 선택된 문서 출력 장치에 대한 문서 출력 장치 정보 화면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때 도 9와 같은 화면은 도 8과 같은 화면에서 고객 또는 관리자가 선택한 해당 문서 출력 장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도 9에서 제공되는 문서 출력 장치 정보는 문서 출력 장치(200) 자체에서 각자의 형식대로 제공된 정보를 관리 시스템(100)에서 가공하여 제공하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도 9와 같이 소모품 상태 및 사용 장수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복수의 문서 출력 장치 각각에 대한 정보를 채팅 기능으로 제공할 수 있는데 도 10과 같이 채팅 리스트 화면 및 도 11과 같이 채팅 창 화면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고객 또는 관리자가 도 10과 같은 화면에서 원하는 문서 출력 장치를 선택하면 도 11과 같이 해당 문서 출력 장치에 대한 채팅 창이 열린다. 이때, 도 11과 같은 채팅창에서는 채팅 메시지 또는 팝업 메시지 등으로 문서 출력 장치에 대한 상태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문서 출력 장치에 대하여 에러가 발생한 경우 또는 토너 보완이 필요한 경우 등 해당 정보를 도 11과 같은 채팅창에서 해당 정보가 메시지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면 고객 또는 관리자는 이러한 정보를 보고 해당 문서 출력 장치에 대한 조치를 바로 취하거나 관리자에게 관리 요청을 전송할 수 있으며, 다른 관련자와 대화를 주고받을 수 있다.
표시부(330)는 처리부(350)의 동작에 따른 정보를 화면에 출력한다. 표시부(330)는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등이 사용될 수 있다.
입력부(340)는 표시부(330)가 출력한 화면 상에서 사업자로부터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입력부(340)는 광 조이스틱, 터치패드, 홀 센서, 지문인식 센서, 압력 센서 등을 포함하는 포인팅 디바이스, 키패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양한 입력 수단이 채택될 수 있다. 입력부(340)는 처리부(350)와 연결되어 입력받은 정보를 처리부(350)로 전달한다.
처리부(350)는 중앙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이나 기타 칩셋, 마이크로처리부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처리부(35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350)는 어플리케이션 제어부(351)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제어부(351)는 입력부(340)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메모리(320)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시킨다.
관리자 단말(400)은 별도의 설명이 없으나 고객 단말(300)과 동일한 실시예로 적용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문서 출력 장치의 상태 정보는 문서 출력 장치를 제조한 제조자가 정한 형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보고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보고 형식은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파악하기 어려웠으며 파악한다고 하여도 기기 별로 각자에 적용되는 형식에 따라 관리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문서 출력 장치를 사용함에 있어 발생하는 상태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하고, 각 문서 출력 장치의 제조자가 정한 다양한 형식에 따라 작성된 정보를 고객 또는 관리자 편의에 맞추어 가공하여 제공함으로써, 문서 출력 장치의 사용 및 관리에 대한 예측 및 대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문서 출력 장치가 설치된 곳에 임대 사업자가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문서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원격으로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임대 사업자는 제공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정확한 가격 산정을 하여 타 임대 사업자에 대한 경쟁력 우위를 선점할 수 있으며, AS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기기의 이력 관리 및 유지 관리에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임대 사업자가 사용하는 담당자가 변경된 후에도 정리된 정보 이력에 기초하여 지속적인 관리 유지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록 매체는 서버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5)

  1. 문서 출력 장치를 관리하는 관리 시스템으로서,
    문서 출력 장치 정보로부터 상기 문서 출력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상태 정보를 분석 및 가공하여 일관된 형식에 따른 제공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가공부, 그리고
    상기 제공 정보를 고객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
    를 포함하는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고객 단말은,
    상기 문서 출력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단말 또는 상기 문서 출력 장치를 상기 사용자에게 임대하는 임대 사업자의 단말을 포함하는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서,
    상기 문서 출력 장치 정보는,
    출력 매수, 토너 잔량, 잉크 잔량, 드럼 잔량, 헤드 잔량, 종이 걸림 이력, 램프 점등 여부, 커버 열림 여부 및 에러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문서 출력 장치의 제조자가 설정한 형식을 따르는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서,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고객 단말 또는 상기 관리자 단말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제공하는
    관리 시스템.
  6. 문서 출력 장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하는 처리부, 그리고
    상기 처리부의 동작에 따른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문서 출력 장치의 제조자가 설정한 형식에 따른 상태 정보를 가공하여 일관된 형식에 따른 제공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단말.
  7. 제6항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문서 출력 장치를 구매하여 사용자에게 임대 서비스를 수행하는 임대 사업자, 상기 문서 출력 장치를 직접 구매하거나 임대하여 사용하는 사용자 및 상기 문서 출력 장치의 운영 상태를 관리하는 관리자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하는
    단말.
  8. 제6항에서,
    상기 문서 출력 장치 정보는,
    출력 매수, 토너 잔량, 잉크 잔량, 드럼 잔량, 헤드 잔량, 종이 걸림 이력, 램프 점등 여부, 커버 열림 여부 및 에러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9. 제6항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단말을 사용하는 자에게 로그인을 요구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단말.
  10. 제6항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단말을 사용자는 자와 관련된 문서 출력 장치 리스트 화면을 제공하는
    단말.
  11. 제10항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문서 출력 장치 리스트 화면에서 선택된 문서 출력 장치에 대하여 제공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단말.
  12. 제6항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문서 출력 장치에 대한 정보를 채팅 기능으로 제공하는
    단말.
  13. 제12항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단말을 사용하는 복수의 사용자들끼리 상기 문서 출력 장치에 대한 채팅을 수행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
  14. 제12항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문서 출력 장치에 대한 상태 메시지를 채팅 메시지 또는 팝업 메시지로 표시하는
    단말.
  15. 제14항에서,
    상기 상태 메시지는 상기 문서 출력 장치의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단말.
KR1020180045196A 2018-04-18 2018-04-18 문서 출력 장치의 관리 시스템 및 단말 KR201901216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196A KR20190121631A (ko) 2018-04-18 2018-04-18 문서 출력 장치의 관리 시스템 및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196A KR20190121631A (ko) 2018-04-18 2018-04-18 문서 출력 장치의 관리 시스템 및 단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631A true KR20190121631A (ko) 2019-10-28

Family

ID=68422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196A KR20190121631A (ko) 2018-04-18 2018-04-18 문서 출력 장치의 관리 시스템 및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16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5385B1 (ko) * 2021-10-01 2022-11-09 (주)베스트오에이 복합기기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5385B1 (ko) * 2021-10-01 2022-11-09 (주)베스트오에이 복합기기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42319B2 (en) Context aware document services for mobile device users
US8526037B2 (en) Print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printing service providing system
JP5482530B2 (ja) 機器管理システム、機器管理装置、及び機器管理方法
US9544262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processing
US20120265865A1 (en) Device management system
US9007631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heterogeneous group of devices
JP5413203B2 (ja) 機器管理システム、機器管理装置、及び機器管理方法
CN103220442A (zh) 信息处理系统,信息处理装置和信息处理方法
US20130080905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of communicating with cloud server i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962152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CN102143216B (zh) 图像形成装置、设备协作系统以及服务提供方法
US946743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US9141661B2 (en) Report creating system, report creating apparatus, and report creating method
US8873080B2 (en) Image forming device generating screens for remote and local acces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N102547022A (zh) 图像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US9648179B2 (en) Screen image providing apparatus, screen image provid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JP6215043B2 (ja) 情報表示システム及び電子機器
US110760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recommending and updating multifunction peripherals via a handheld device
KR20190121631A (ko) 문서 출력 장치의 관리 시스템 및 단말
US11012581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device service call initiation
JP2019192077A (ja) 情報処理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保守管理プログラム
US20230136045A1 (en) Toner refill guide based on the possibility toner refill quantity in the plurality of image forming apparatuses
JP2010102390A (ja) 電子機器及びログ管理システム
JP2022158427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6222289B2 (ja) デバイスを管理するシステム、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