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4463B1 - 고정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고정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4463B1
KR102464463B1 KR1020220022912A KR20220022912A KR102464463B1 KR 102464463 B1 KR102464463 B1 KR 102464463B1 KR 1020220022912 A KR1020220022912 A KR 1020220022912A KR 20220022912 A KR20220022912 A KR 20220022912A KR 102464463 B1 KR102464463 B1 KR 102464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spool
arms
receiving spa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2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7916A (ko
Inventor
친-추 첸
Original Assignee
친-추 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TW107138414A external-priority patent/TWI719354B/zh
Priority claimed from TW108123146A external-priority patent/TWI745708B/zh
Application filed by 친-추 첸 filed Critical 친-추 첸
Publication of KR20220027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7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 A43C11/165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a spool, reel or pulley for winding up cables, laces or straps by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8Clamps drawn tight by la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008Combined fastenings, e.g. to accelerate undoing or fastening

Abstract

케이스 유니트와 스풀을 포함하는 고정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케이스 유니트는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벽, 수납 공간과 연통되는 상부 개구, 및 수납 공간과 연토오디고 상부 개구에 반대되는 하부 개구를 포함한다. 스풀은 수납 공간 내부에 있다. 스풀은 벽에 의해 제한되고, 벽은 스풀이 상부 개구로부터 수납 공간을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고정 디바이스{FASTENING DEVICE}
본 개시는 고정(fastening)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레이스(lace)를 느슨하게 하거나 조임으로써 물품(item)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상 생활에서, 레이스 또는 실과 같은 끈(chord)들은 물품들을 조이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가장 흔한 조임 방법은 물품 상의 구멍들 예컨대, 신발의 아일릿(eyelet)들을 통해 끈을 교대로 통과시킨 후, 물품을 고정하기 위해 매듭을 묶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조임 방법에서, 매듭은 외력에 의해 쉽게 느슨해 진다. 이러한 매듭은 다시 묶어야 할 필요가 있을 뿐만 아니라, 물품들의 불안정성에 기인하여 많은 불편함이 따른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일부 업계 종사자들은 케이스, 결합 유니트 및 스프링을 포함하는 간단한 고정 메커니즘을 개발하였다. 케이스는 레이스가 관통하도록 구성된 구멍들을 포함한다. 스프링과 결합 유니트 사이의 반동력을 통해, 레이스는 결합 유니트와 케이스 사이에 클램프되어 고정될 수 있다. 결합 유니트의 위치를 변화시키기 위해 스프링을 가압함으로써 레이스의 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정 메커니즘에서, 스프링의 복원력은 고정력으로서 기능하고, 따라서, 진동 또는 외력에 의해 레이스가 쉽게 느슨해지게 된다. 또한, 고정 메커니즘은 레이스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이 없고, 레이스의 노출은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일부 업계 종사자들은 레이스를 조이기 위해 회전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버클을 개발하였고, 레이스는 버클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버클 내부의 컴포넌트들 사이의 간섭을 통해, 레이스의 길이 뿐만 아니라 조임성이 조절될 수 있다. 그러나, 버클의 구조는 복잡하고, 결과적으로 제조비가 증가하고, 버클은 조립과 수리의 어려움이 있다.
1.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21431호(2016.02.25.) 2.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21735호(2017.02.28.) 3.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5472호(2018.01.11.)
전술한 문제점들에 기반하여, 본 개시의 목적은 고정 디바이스의 구조를 간편화시키고, 제조비를 낮추고 고정 능력을 유지할 수 있는 기술적 해결책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는 케이스 유니트와 스풀(spool)을 포함하는 고정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케이스 유니트는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벽, 수납 공간과 연통하는 상부 개구, 및 상부 개구와 반대되고 수납 공간과 연통하는 하부 개구를 포함한다. 스풀은 수납 공간 내부에 있다. 스풀은 벽에 의해 제한되고, 벽은 스풀이 상부 개구를 통해 수납 공간을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본 개시는 케이스 유니트, 스풀, 노브 및 결합 유니트를 포함하는 고정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케이스 유니트는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벽, 수납 공간과 연통하는 상부 개구, 및 상부 개구에 반대되고 수납 공간과 연통하는 하부 개구를 포함한다. 스풀은 수납 공간 내부에 있다. 노브는 케이스 유니트를 덮는다. 결합 유니트는 수납 공간 내부에 있고 스풀 위에 위치된다. 결합 유니트는 노브에 결합된다. 스풀은 벽에 의해 제한되고, 벽은 스풀이 상부 개구를 통해 수납 공간을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노브의 절환은 축 방향을 따른 결합 유니트의 이동을 야기하고, 스풀과 벽 사이의 상대 위치가 실질적으로 고정된다.
본 개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어지는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서 보다 완전히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 디바이스의 개략적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고정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고정 디바이스의 하부에서 바라 본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고정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1의 고정 디바이스의 다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의 고정 디바이스의 하부에서 바라 본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6의 고정 디바이스의 결합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6의 고정 디바이스의 다른 결합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정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10의 고정 디바이스의 하부에서 바라 본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10의 고정 디바이스의 결합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도 10의 고정 디바이스의 다른 결합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고정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도 14의 고정 디바이스의 하부에서 바라 본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도 14의 고정 디바이스의 결합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도 14의 고정 디바이스의 다른 결합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8은 본 개시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고정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9는 도 18의 고정 디바이스의 하부에서 바라 본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0은 도 18의 고정 디바이스의 결합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1은 도 18의 고정 디바이스의 다른 결합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2는 본 개시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고정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3은 도 22의 고정 디바이스의 하부에서 바라 본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4는 도 22의 고정 디바이스의 결합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5는 도 22의 고정 디바이스의 다른 결합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또는 메커니즘 또는 모듈)가 다른 구성요소에 "배치되고", "연결 되고" 또는 "결합되고"로서 명명되면,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배치되고, 연결되고, 또는 결합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에 간접적으로 즉, 중간 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연결되고 또는 결합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대조적으로,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배치되고",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또는 "직접적으로 결합되고"로서 명명되면, 중간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과 컴포넌트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고, 이러한 구성요소들 또는 컴포넌트들은 이들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아니된다. 결과적으로, 아래에서 논의되는 제1 구성요소 또는 컴포넌트는 제2 구성요소 또는 컴포넌트로도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 디바이스(100)의 개략적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도 1의 고정 디바이스(10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은 도 1의 고정 디바이스(100)의 하부에서 바라 본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4는 도 1의 고정 디바이스(100)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5는 도 1의 고정 디바이스(100)의 다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고정 디바이스(100)는 케이스 유니트(200)와 스풀(300)을 구비한다.
케이스 유니트(200)는 수납 공간(230), 수납 공간(230)에 연통하는 상부 개구(240), 상부 개구(240)에 반대되고 수납 공간(230)과 연통하는 하부 개구(250)를 포함한다. 스풀(300)은 수납 공간(230)의 내부에 있다. 스풀(300)은 벽(220)에 의해 제한되고, 벽(220)은 스풀(300)이 상부 개구(240)를 통해 수납 공간(230)을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스풀(300)은 하부 개구(250)로부터 케이스 유니트(200) 속으로 들어갈 수 있고, 스풀(300)이 상부 개구(240)로부터 수납 공간(230)을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고정 디바이스(100)의 상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더 기술될 것이다.
벽(220)은 수납 공간(230)을 향해 돌출하는 다수의 치차들(221)을 포함할 수 있고, 치차들(221)의 각각의 하부 에지(2211)는 스풀(300)이 상부 개구(240)로부터 수납 공간(230)을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정확하게, 벽(220)은 내부 환형 표면을 포함하고, 내부 환형 표면은 균일한 직경을 가진다. 치차들(221)은 내부 환형 표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하고, 결과적으로, 치차들(221)의 팁(tip)들에 의해 형성된 가상의 원은 내부 환형 표면의 직경보다 더 작을 것이다.
스풀(300)은 속이 빈 링-형상이고, 상부 링부(330)와 하부 링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링부(330)와 하부 링부(340) 사이에는 와인딩 트랙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치차들(221)의 하부 에지들(2211)이 상부 개구(240)로부터 스풀(300)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부 링부(330)의 직경은 치차들(221)의 팁들에 의해 형성된 가상의 원의 직경보다 더 크다.
케이스 유니트(200)는 2개의 레이스 구멍들(260)과 베이스 플레이트(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레이스 구멍들(260)은 벽(220)에 위치되어 수납 공간(230)과 연통된다. 레이스는 레이스 구멍들(260)을 통해 수납 공간(230) 속으로들어가거나 수납 공간으로부터 나와서 와인딩 트랙에 감기거나 와인딩 트랙으로부터 풀려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10)는 벽(220) 상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다. 스풀(300)이 하부 개구(250)를 경유하여 수납 공간(230)에 들어 갈 때, 베이스 플레이트(210)는 스풀(300)이 케이스 유니트(20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벽(220) 상에 장착될 수 있다.
고정 디바이스(100)는 노브(500)와 결합 유니트(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노브(500)는 케이스 유니트(200)를 덮는다. 결합 유니트(400)는 수납 공간(230) 내부에 있고 스풀(300) 위에 위치된다. 결합 유니트(400)는 노브(500)에 결합되고, 제1 구동부(440)를 포함한다. 스풀(300)은 제1 구동부(440)에 상응하는 제2 구동부(310)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노브(500)의 절환은 축 방향(l1)을 따른 결합 유니트(400)의 이동을 야기한다. 노브(50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제1 구동부(440)는 제2 구동부(310)에 결합되고, 결합 유니트(400)가 치차들(221)의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어 제1 방향(R1)으로 스풀(300)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결합 유니트(400)는 치차들(221)에 상응한다. 제1 방향(R1)에 반대되는 제2 방향(R2)으로의 노브(500)의 회전은 결합 유니트(400)가 치차들(221)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풀려지게 함으로써, 제2 방향(R2)으로의 스풀(300)의 회전이 허용되고, 노브(50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결합 유니트(400)는 제1 방향(R1)으로의 스풀(300)의 회전을 방지하지 않는다.
결합 유니트(400)는 메인 본체(410), 2개의 결합 아암들(420) 및 3개의 멈춤 아암들(430)을 포함할 수 있다. 3개의 결합 아암들(420)은 메인 본체(410)에 배치되고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고, 3개의 멈춤 아암들(430)은 메인 본체(410)에 배치되고 서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3개의 멈춤 아암들(430)의 각각은 3개의 결합 아암들(420)의 각각보다 노브(500)로부터 더 멀다. 멈춤 아암들(430)의 각각은 제1 방향(R1)으로 돌출하는 플렉스블 아크 아암 구조를 가지고, 결합 아암들(420)의 각각은 제2 방향(R2)으로 돌출하는 플렉스블 아크 아암 구조를 가진다. 결합 유니트(400)의 메인 본체(410)는 그 바닥에 위치된 케이브(cave)(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치차 형태를 가진 제1 구동부(440)는 케이브 내부에 위치된다. 스풀(300)의 제2 구동부(310)는 상부 링부(330)의 꼭대기에 위치되고, 제1 구동부(440)에 상응하는 결합 구조를 포함한다. 결합 유니트(400)가 스풀(300) 위에 위치되고 노브(500)가 제1 위치에 위치될 때, 제2 구동부(310)는 케이브 속으로 돌출하여 제1 구동부(440)에 결합된다. 반대로, 노브(500)가 제2 위치로 절환될 때, 제1 구동부(440)가 제2 구동부(310)로부터 결합해제되도록, 결합 유니트(400)는 축 방향(l1)을 따라 위쪽으로 이동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구동부는 제2 구동부로부터 결합해제되지 않을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노브(500)는 3개의 마운팅 그루브들(510)을 포함할 수 있다. 노브(500)의 내부 표면(520)에 배치된 3개의 마운팅 그루브들(510)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마운팅 그루브들(510)이 결합 아암들(420)에 조립되게 구성되도록, 마운팅 그루브들의 각각의 형상은 결합 아암들(420)의 각각의 형상에 상응한다. 따라서, 노브(500)는 결합 유니트(400)에 연결된다.
노브(500)는 3개의 플랜지들(5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노브(500)의 내부 표면(520)에 배치된 3개의 플랜지들(530)은 서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3개의 플랜지들(530)은 내부 표면(520)의 하부 끝단 부근에 위치된다. 벽(220)은 외부 환형 그루브(2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노브(500)가 벽(220)을 덮을 때, 3개의 플랜지들(530)은 노브(500)가 벽(22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환형 그루브(222)에 의해 제한된다.
제1 실시예에서, 고정 디바이스(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멈춤쇠(45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고정 디바이스(100)는 결합 유니트(400)의 메인 본체(410)에 배치된 3개의 클램핑 멈춤쇠들(450)을 포함한다. 스풀(300)은 결합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노브(50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멈춤쇠(450)는 결합부(320)에 결합되고, 노브(50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멈춤쇠(450)는 결합부(320)로부터 결합해제된다. 결합부(320)는 상부 링부(330)의 꼭대기에 배치되고 제2 구동부(310) 아래에 있는 그루브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3개의 클램핑 멈춤쇠들(450)은 결합 유니트(400)의 케이브를 둘러싼다. 클램핑 멈춤쇠들(450)은 플렉스블하고 힘이 가해진 후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노브(500)가 제2 위치로 절환하기 위해 당겨질 때, 클램핑 멈춤쇠들(450)은 방사상으로 이동되어 결합부(320)로부터 결합해제된다.
그러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500)는 제1 위치에 있고, 결합 유니트(400)의 제1 구동부(440)는 스풀(300)의 제2 구동부(310)에 결합된다. 노브(500)가 사용자에 의해 제2 방향(R2)으로 회전될 때, 멈춤 아암들(430)은 치차들(221)로부터 결합해제될 것이고, 스풀(300)은 사용자에 의해 구동되어 레이스를 들어가게 한다. 반대로, 사용자가 노브(500)를 릴리스시키면, 멈춤 아암들(430)은 치차들(221)의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고, 제1 방향(R1)으로의 스풀(300)의 회전은 레이스가 고정되도록 결합 유니트(400)에 의해 제한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 사용자가 레이스를 릴리스시키를 원하면, 노브(500)는 축 방향(l1)을 따라 위쪽으로 당겨질 수 있고, 반면에, 제1 구동부(440)가 제2 구동부(310)로부터 결합해제될 수 있도록, 결합 유니트(400) 역시 위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스풀(300)의 회전은 결합 유니트(400)에 의해 제한되지 않을 것이고, 레이스가 릴리스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 디바이스(100a)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7은 도 6의 고정 디바이스(100a)의 하부에서 바라 본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8은 도 6의 고정 디바이스(100a)의 결합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9는 도 6의 고정 디바이스(100a)의 다른 결합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고정 디바이스(100a)의 구조는 제1 실시예의 고정 디바이스(100)의 구조와 유사하지만, 결합 유니트(400a)의 구조가 상이하다. 고정 디바이스(100a)와 고정 디바이스(100) 사이의 차이점은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고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는 설명을 생략한다.
결합 유니트(400a)는 메인 본체(410a), 2개의 아암들(440a) 및 2개의 제한 돌기들(450a)을 포함한다. 2개의 아암들(440a)은 하방으로 돌출하고 메인 본체(410a)에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제한 돌기들(450a)의 각각은 아암들(440a)의 각각의 원위단에 위치된다. 스풀(300a)은 2개의 아암들(440a)과 2개의 제한 돌기들(450a)을 그 속으로 삽입하도록 구성된 중앙 관통구멍(350a)을 포함할 수 있다. 노브(500a)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절환될 때, 2개의 아암들(440a)은 중앙 관통구멍(350a)에 대해 축 방향(l1)을 따라 이동할 것이고, 2개의 제한 돌기들(450a)은 중앙 관통구멍(350)a)에 의해 제한될 것이다.
중앙 관통구멍(350a)은 대 구역과 소 구역을 포함한다. 아암들(440a)은 힘을 받은 후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2개의 아암들(440a)은 하방으로 삽입되어 소 구역을 통과할 수 있고, 이어서 결합 유니트(400a)가 스풀(300a) 위에 놓여질 때 대 구역에서 복구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 유니트(400a)는 스풀(300a)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정 디바이스(100b)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1은 도 10의 고정 디바이스(100b)의 하부에서 바라 본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2는 도 10의 고정 디바이스(100b)의 결합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13은 도 10의 고정 디바이스(100b)의 다른 결합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고정 디바이스(100b)의 구조는 제2 실시예의 고정 디바이스(100a)와 유사하지만, 노브(500b), 결합 유니트(400b) 및 벽(220b)의 구조들은 상이하다. 고정 디바이스(100b)와 고정 디바이스(100a) 사이의 차이점은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고,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는 설명이 생략된다.
제3 실시예에서, 2개의 아암들(540b)은 노브(500b)의 내부 꼭대기(501b)에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제한 돌기들(550b)의 각각은 아암들(540b)의 원위단에 배치된다. 결합 유니트(400b)는 중앙 구멍(460b)을 포함할 수 있다. 노브(500b)가 스풀(300b)에 의해 제한되도록, 2개의 아암들(540b)과 2개의 제한 돌기들(550b)은 중앙 구멍(460b)을 통과한 후 중앙 관통구멍(350b) 속으로 삽입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벽(220b)은 내부 환형 그루브(270b)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환형 그루브(270b)는 링 에지(271b)를 포함한다. 스풀(300b)은 하부 링부(340b)를 포함하고, 링 에지(271b)가 상부 개구로부터 스풀(300b)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부 링부(340b)는 내부 환형 그루브(270b) 내에 수납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직경들의 크기는 큰 직경으로부터 작은 직경까지 순차적으로, 스풀(300b)의 상부 링부, 벽(220b)의 내부 환형 표면, 스풀(300b)의 하부 링부(340b), 및 내부 환형 그루브(270b)이다. 따라서, 스풀(300b)은 수납 공간에 상부를 향해 넣어질 수 있고, 스풀(300b)이 수납 공간 내에 제한되도록, 하부 링부(340b)는 내부 환형 그루브(270b) 내에 수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치차들이 수납 공간 쪽으로 면할 수 있는 반면 그 하부 에지는 내부 환형 그루브의 구성 때문에 스풀을 제한하지 않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4는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고정 디바이스(100c)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5는 도 14의 고정 디바이스(100c)의 하부에서 바라 본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6은 도 14의 고정 디바이스(100c)의 결합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17은 도 14의 고정 디바이스(100c)의 다른 결합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고정 디바이스(100c)의 구조는 제2 실시예의 고정 디바이스(100a)와 유사하지만, 벽(220c)의 구조가 상이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벽(220c)은 내부 환형 그루브(270c)를 포함하고, 내부 환형 그루브(270c)의 구조는 제3 실시예의 내부 환형 그루브(270b)의 구조와 동일하다.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도 18은 본 개시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고정 디바이스(100d)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9는 도 18의 고정 디바이스(100d)의 하부에서 바라 본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0은 도 18의 고정 디바이스(100d)의 결합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21은 도 18의 고정 디바이스(100d)의 다른 결합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8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고정 디바이스(100d)의 구조는 제4 실시예의 고정 디바이스(100c)의 구조와 유사하지만, 상세한 구조는 상이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벽(220d)은 치차들(221d) 상에 위치된 상부 환형 그루브(223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노브(500d)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결합 유니트(400d)의 멈춤 아암들(430d)은 치차들(221d)에 상응하고, 제1 구동부(440d)는 스풀(300d)의 제2 구동부(310d)에 결합된다. 노브(500d)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멈춤 아암들(430d)은 상부 환형 그루브(223d)에 상응하고 치차들(221d)로부터 완전히 결합해제되는 한편 제1 구동부(440d)는 제2 구동부(310d)에 결합된다.
도 22는 본 개시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고정 디바이스(100e)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3은 도 22의 고정 디바이스(100e)의 하부에서 바라 본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4는 도 22의 고정 디바이스(100e)의 결합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25는 도 22의 고정 디바이스(100e)의 다른 결합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2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고정 디바이스(100e)의 구조는 제5 실시예의 고정 디바이스(100d)의 구조와 유사하지만, 결합 유니트(400e)와 노브(500e)의 구조들이 상이하다. 고정 디바이스(100e)와 고정 디바이스(100d) 사이의 차이점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고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는 설명이 생략된다.
제6 실시예에서, 고정 디바이스(100e)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멈춤쇠(560e)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고정 디바이스(100e)는 노브(500e)의 내부 꼭대기에 배치된 3개의 클램핑 멈춤쇠들(560e)을 포함한다. 결합 유니트(400e)는 클램핑 멈춤쇠를 포함하지 않는다. 스풀(300e)은 결합부(320e)를 포함할 수 있다. 노브(500e)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클램핑 멈춤쇠들(560e)은 스풀(300e)의 결합부(320e)에 결합되고, 노브(500e)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클램핑 멈춤쇠들(560e)은 결합부(320e)로부터 결합해제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고정 디바이스의 2개의 아암들은 결합 유니트의 메인 본체 또는 노브의 내부 꼭대기에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멈춤쇠는 스풀의 결합부에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결합 유니트의 메인 본체 또는 노브의 내부 꼭대기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는 특정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상당히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다른 실시예들 또한 가능하다. 그러므로, 첨부된 청구항들의 정신과 범위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개시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개시의 구조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과 변화들들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전술한 관점에서, 본 개시는 청구항들의 범위에 속하는 한 본 개시의 다양한 변형과 변화들을 커버하는 것을 의도한다.
100...고정 디바이스 200...케이스 유니트
210...베이스 플레이트 220...벽
221...치차 230...수납 공간
240...상부 개구 250...하부 개구
260...레이스 구멍 300...스풀
310...제2 구동부 320...결합부
330...상부 링부 340...하부 링부
400...결합 유니트 410...메인 본체
420...결합 아암 430...멈춤 아암
440...제1 구동부 450...클램핑 멈춤쇠
500...노브 510...마운팅 그루브
520...내부 표면

Claims (9)

  1. 고정(fastening) 디바이스로서,
    수납 공간을 형성하고, 링 에지를 포함하는 내부 환형 그루브를 구비하는 벽; 상기 수납 공간과 연통되는 상부 개구; 및 상기 상부 개구에 반대되고 상기 수납 공간과 연통되는 하부 개구를 포함하는, 케이스 유니트; 및
    상기 수납 공간 내부에 있고 상부 링부와 하부 링부를 포함하는, 스풀(spool)을 구비하고;
    상기 링 에지가 상기 상부 개구로부터 상기 스풀이 상기 수납 공간을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반면 상기 상부 개구로부터 상기 내부 환형 그루브를 제외한 상기 벽의 다른 부분들이 상기 수납 공간을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지 않도록, 상기 하부 링부는 상기 내부 환형 그루브 내에 수용되는, 고정 디바이스.
  2. 청구항 1에서,
    상기 벽은 상기 수납 공간을 향해 면하는 다수의 치차들을 더 구비하는, 고정 디바이스.
  3. 청구항 2에서,
    상기 케이스 유니트를 덮는 노브; 및
    상기 노브에 결합되고, 제1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 공간 내부에 있는, 결합 유니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풀은 상기 제1 구동부에 상응하는 제2 구동부를 구비하고,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상기 노브의 절환은 축 방향을 따라 상기 결합 유니트를 이동시키고,
    상기 노브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제2 구동부에 결합되고, 상기 스풀의 제1 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결합 유니트가 치차들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하도록 상기 결합 유니트는 상기 치차들에 상응하고, 상기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의 상기 노브의 회전은 상기 치차들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결합 유니트를 결합해제시켜서 상기 스풀을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노브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결합 유니트는 상기 스풀의 제1 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지 않는, 고정 디바이스.
  4. 청구항 3에서,
    하방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멈춤쇠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멈춤쇠는, 상기 결합 유니트의 메인 본체 또는 상기 노브의 내부 꼭대기에 배치되고, 상기 스풀은 결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노브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멈춤쇠는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노브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멈춤쇠는 상기 결합부로부터 결합해제되는, 고정 디바이스.
  5. 청구항 4에서,
    2개의 아암들과 2개의 제한 돌기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2개의 아암들은, 상기 결합 유니트의 메인 본체 또는 상기 노브의 내부 꼭대기에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2개의 아암들은 하방으로 돌출하고, 상기 제한 돌기들의 각각은 상기 아암들의 각각의 원위단에 위치되고,
    상기 스풀은, 상기 2개의 아암들과 상기 2개의 제한 돌기들이 그곳을 통해 삽입되도록 구성된, 중앙 관통 구멍을 더 구비하고,
    상기 노브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절환될 때, 상기 2개의 아암들은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중앙 관통 구멍을 향해 이동하고, 상기 2개의 제한 돌기들은 상기 중앙 관통 구멍에 의해 제한되는, 고정 디바이스.
  6. 고정 디바이스로서,
    수납 공간을 형성하고, 링 에지를 가진 내부 환형 그루브를 포함하는 벽; 상기 수납 공간과 연통되는 상부 개구; 및 상기 수납 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상부 개구에 반대되는 하부 개구를 구비하는, 케이스 유니트;
    상기 수납 공간 내부에 있고 상부 링부와 하부 링부를 포함하는, 스풀;
    상기 케이스 유니트를 덮는 노브; 및
    상기 수납 공간 내부에 있고, 상기 스풀 위에 위치되고, 상기 노브에 결합되는, 결합 유니트를 구비하고,
    상기 링 에지가 상기 상부 개구로부터 상기 스풀이 상기 수납 공간을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반면 상기 상부 개구로부터 상기 내부 환형 그루브를 제외한 상기 벽의 다른 부분들이 상기 수납 공간을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지 않도록, 상기 하부 링부는 상기 내부 환형 그루브 내에 수용되고,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상기 노브의 절환이 축방향을 따라 상기 결합 유니트를 이동시킬 때, 상기 스풀과 상기 벽 사이의 상대 위치가 실질적으로 고정되는, 고정 디바이스.
  7. 청구항 6에서,
    상기 벽은 상기 수납 공간을 향해 면하는 복수의 치차들을 더 구비하는, 고정 디바이스.
  8. 청구항 7에서,
    하방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멈춤쇠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멈춤쇠는 상기 결합 유니트의 메인 본체 또는 상기 노브의 내부 꼭대기에 배치되고, 상기 스풀은 결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노브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멈춤쇠는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노브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멈춤쇠는 상기 결합부로부터 결합해제되는, 고정 디바이스.
  9. 청구항 8에서,
    2개의 아암들과 2개의 제한 돌기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2개의 아암들은 상기 결합 유니트의 메인 본체 또는 상기 노브의 내부 꼭대기에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2개의 아암들은 하방으로 돌출하고, 상기 제한 돌기들의 각각은 상기 아암들의 각각의 원위단에 위치되고,
    상기 스풀은, 상기 2개의 아암들과 상기 2개의 제한 돌기들이 그곳을 통해 삽입되도록 구성된, 중앙 관통 구멍을 더 구비하고,
    상기 노브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절환될 때, 상기 2개의 아암들은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중앙 관통 구멍을 향해 이동하고, 상기 2개의 제한 돌기들은 상기 중앙 관통 구멍에 의해 제한되는, 고정 디바이스.
KR1020220022912A 2018-10-30 2022-02-22 고정 디바이스 KR1024644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7138414 2018-10-30
TW107138414A TWI719354B (zh) 2018-10-30 2018-10-30 緊固裝置
TW108123146A TWI745708B (zh) 2018-10-30 2019-07-01 緊固裝置
TW108123146 2019-07-01
KR1020190105305A KR102368288B1 (ko) 2018-10-30 2019-08-27 고정 디바이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305A Division KR102368288B1 (ko) 2018-10-30 2019-08-27 고정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7916A KR20220027916A (ko) 2022-03-08
KR102464463B1 true KR102464463B1 (ko) 2022-11-04

Family

ID=6815892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305A KR102368288B1 (ko) 2018-10-30 2019-08-27 고정 디바이스
KR1020220022912A KR102464463B1 (ko) 2018-10-30 2022-02-22 고정 디바이스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305A KR102368288B1 (ko) 2018-10-30 2019-08-27 고정 디바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11064767B2 (ko)
EP (2) EP4349204A2 (ko)
JP (3) JP7215980B2 (ko)
KR (2) KR1023682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26472B2 (en) * 2016-07-22 2021-06-08 Nike, Inc. Dynamic lacing system
KR101833680B1 (ko) * 2017-08-04 2018-02-28 김정곤 신발끈의 조임장치
KR102160426B1 (ko) * 2020-07-14 2020-09-28 주식회사 스핀온 와이어 조임장치
USD1007838S1 (en) * 2021-01-25 2023-12-19 Fidlock Gmbh Winch
KR20240000369U (ko) * 2021-08-06 2024-02-27 롱싱 리우 끈 조임 장치
US11647813B1 (en) * 2022-06-01 2023-05-16 Chunming Rao Quick lacing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472Y1 (ko) 2017-10-19 2018-01-11 찐쨩쓰헝즈쎄예 유우쌘꿍쓰 끈을 자동으로 묶을 수 있는 회전식 버클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01952A1 (de) 1981-01-22 1982-09-02 Paul 7100 Heilbronn Reim Schuhverschlussspule
CN102188079B (zh) 2010-03-16 2012-10-31 陈金柱 可调整带体松紧的无段式微调扣具
US9101181B2 (en) 2011-10-13 2015-08-11 Boa Technology Inc. Reel-based lacing system
US10251451B2 (en) * 2013-03-05 2019-04-09 Boa Technology Inc. Closure devices including incremental release mechanisms and methods therefor
US10076160B2 (en) * 2013-06-05 2018-09-18 Boa Technology Inc. Integrated closure device components and methods
EP3777595A1 (en) 2013-06-05 2021-02-17 Boa Technology Inc. Integrated closure device components and methods
CN203492894U (zh) 2013-09-11 2014-03-26 陈金柱 带体收放装置
CN204336002U (zh) 2014-07-31 2015-05-20 周琪 一种鞋带卡紧器
JP6605023B2 (ja) * 2014-09-05 2019-11-13 金柱 陳 ひもの締緩装置及びその締緩方法
US10264852B2 (en) * 2015-01-14 2019-04-23 Sug Whan Kim String winding and unwinding apparatus
TWM514461U (zh) 2015-08-18 2015-12-21 Chin-Chu Chen 收放線結構
TWI555664B (zh) * 2015-09-17 2016-11-01 陳金柱 固定裝置
CN106919220B (zh) 2015-12-25 2018-06-05 陈金柱 紧固装置
CN205432385U (zh) 2015-12-30 2016-08-10 郑文 一种自动松紧鞋带器
DE112016001803T5 (de) * 2016-02-11 2018-02-22 Young Ho Ha Drahtspannvorrichtung
JP6882827B2 (ja) * 2016-08-10 2021-06-02 株式会社アルペン 巻取装置
US11607014B2 (en) * 2016-11-11 2023-03-21 Chin-Chu Chen Fastening device and lace assembling method
CN206187398U (zh) 2016-11-11 2017-05-24 陈金柱 紧固装置
ES2941773T3 (es) * 2016-11-11 2023-05-25 Chen Chin Chu Dispositivo de fijación y método de ensamblaje del mismo
US11751634B2 (en) * 2016-11-11 2023-09-12 Chin-Chu Chen Fastening device and lace assembling method
KR101723579B1 (ko) * 2016-11-29 2017-04-06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조임장치
KR101837194B1 (ko) * 2016-12-30 2018-03-13 소윤서 줄 길이 조절장치
KR102043253B1 (ko) * 2017-02-22 2019-11-11 김석환 끈조절장치
DE102018201019A1 (de) * 2017-02-28 2018-08-30 Fidlock Gmbh Verschlussvorrichtung mit einem Wickelelement
KR101833680B1 (ko) 2017-08-04 2018-02-28 김정곤 신발끈의 조임장치
TWM563427U (zh) * 2017-12-07 2018-07-11 王孟淳 捲線器
CN108354269B (zh) * 2018-04-24 2019-09-13 深圳市菲特奥科技有限公司 绳带调整装置及组件
US20210289889A1 (en) * 2018-10-30 2021-09-23 Chin-Chu Chen Fasten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472Y1 (ko) 2017-10-19 2018-01-11 찐쨩쓰헝즈쎄예 유우쌘꿍쓰 끈을 자동으로 묶을 수 있는 회전식 버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49204A2 (en) 2024-04-10
KR20220027916A (ko) 2022-03-08
JP2020075089A (ja) 2020-05-21
US11730236B2 (en) 2023-08-22
JP2022009372A (ja) 2022-01-14
EP3646748B1 (en) 2024-04-03
KR20200050350A (ko) 2020-05-11
US20230337787A1 (en) 2023-10-26
JP7215980B2 (ja) 2023-01-31
US11064767B2 (en) 2021-07-20
US20210282503A1 (en) 2021-09-16
EP3646748A1 (en) 2020-05-06
JP2023153239A (ja) 2023-10-17
KR102368288B1 (ko) 2022-02-25
US20200128918A1 (en) 2020-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4463B1 (ko) 고정 디바이스
TWI745708B (zh) 緊固裝置
KR102146621B1 (ko) 체결 디바이스 및 체결 디바이스의 레이스의 조립 방법
KR102576704B1 (ko) 체결 디바이스
US11607014B2 (en) Fastening device and lace assembling method
KR102271229B1 (ko) 고정 디바이스
GB2575384A (en) Shoe lace tightening device
JP2018520728A (ja) 靴紐締め付け装置
CN111114877B (zh) 紧固装置
TWM623553U (zh) 緊固裝置
EP4275540A1 (en) Fastening device and lace assembling method
EP4321050A1 (en) Fastening device
KR102393087B1 (ko) 다이얼 타입 와이어 조임장치
US20240049840A1 (en) Fastening device and lace tightening and releasing method
KR20240017765A (ko) 체결 디바이스
TWI813945B (zh) 緊固裝置及繫線收放方法
CN215720363U (zh) 旋转控制松紧离合器
KR20230026968A (ko) 체결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