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4203B1 - 금화규를 포함하는 한방 추출물 및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금화규를 포함하는 한방 추출물 및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4203B1
KR102464203B1 KR1020210086360A KR20210086360A KR102464203B1 KR 102464203 B1 KR102464203 B1 KR 102464203B1 KR 1020210086360 A KR1020210086360 A KR 1020210086360A KR 20210086360 A KR20210086360 A KR 20210086360A KR 102464203 B1 KR102464203 B1 KR 102464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weight
parts
geumhwagy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남완
박준호
김세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이처 보타닉스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이처 보타닉스,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이처 보타닉스
Priority to KR1020210086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2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2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Abstract

본 발명은 금화규를 포함하는 한방 추출물 및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및 항노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인 금화규 등의 한방 추출물과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전자공여능 및 라디컬 소거능, 엘라스타아제 및 콜라게나아제의 활성 저해력, 활성산소 및 PGE2의 생성 억제력이 우수하므로, 항산화, 피부 주름 개선 효과 및 항염증 효과가 우수하고, 독성이 없어 인체에 무해하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상태 개선을 위한 화장품, 산화 및 염증 작용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개선을 위한 식품이나 의약품 등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금화규를 포함하는 한방 추출물 및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Anti-oxidant composition comprising oriental medicine extract containing Hibiseu Smanihot L. and herbal extract}
본 발명은 금화규를 포함하는 한방 추출물 및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및 항노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피부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다양한 내인성 요인과 외인성 요인에 의해 변화를 겪는다.
구체적으로, 내인성 요인으로는, 신진대사 조절과 관련된 각종 호르몬의 분비의 감소 또는 불규칙화, 세포의 활성 저하에 따른 콜라겐 등 단백질 생합성 감소, 순환 기능 저하에 따른 오염 물질 체내 축적, 체내 물질 대사에 의?h 활성 산소의 과량 축적 등이 있다. 또한, 외인성 요인으로는 피부의 자외선 노출에 따른 체내 자유 라디칼 및 활성 산소 증가, 흡연, 환경 오염 등이 있다. 이러한 내인성 요인과 외인성 요인에 의해, 인체의 피부는 탄력과 두께의 감소, 주름의 증가, 유수분 밸런스의 붕괴, 기미, 주근깨 등 색소 침착, 검버섯 등과 같은 증상을 나타내는 피부 노화 현상을 겪게된다.
한편, 현대사회에 들어서면서 의학의 발전으로 인해 인간의 평균 수명이 증가하고, 웰빙에 대한 열망이 증가하면서, 피부 노화와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플라보노이드, 토코페롤 등의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성분을 다량 포함하고 있는 생약과 한방 물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고, 실제로 다양한 생약 및 한방 물질이 밝혀진바 있으며, 이들을 조합하여 제조한 조성에 대한 연구도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만족할만한 효과를 거둔 생약 및 한방 물질의 조합은 밝혀진바 없다.
KR 10-2021-0051512 A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항노화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산화 및 노화를 근본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한방 추출물과, 생약 추출물의 최적의 조합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형 안정성과 사용감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금화규 추출물; 및 율피 추출물, 녹차 추출물, 해죽순 추출물, 곤드레 추출물, 마삭줄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금화규 추출물; 및 율피 추출물, 녹차 추출물, 해죽순 추출물, 곤드레 추출물, 마삭줄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금화규 추출물; 및 율피 추출물, 녹차 추출물, 해죽순 추출물, 곤드레 추출물, 마삭줄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인 금화규 등의 한방 추출물과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전자공여능 및 라디컬 소거능, 엘라스타아제 및 콜라게나아제의 활성 저해력, 활성산소 및 PGE2의 생성 억제력이 우수하므로, 항산화, 피부 주름 개선 효과 및 항염증 효과가 우수하고, 독성이 없어 인체에 무해하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상태 개선을 위한 화장품, 산화 및 염증 작용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개선을 위한 식품이나 의약품 등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각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다음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금화규 추출물; 및 율피 추출물, 녹차 추출물, 해죽순 추출물, 곤드레 추출물, 및 마삭줄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이다.
또한,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금화규 추출물; 및 율피 추출물, 녹차 추출물, 해죽순 추출물, 곤드레 추출물, 및 마삭줄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이다.
또한,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금화규 추출물; 및 율피 추출물, 녹차 추출물, 해죽순 추출물, 곤드레 추출물, 및 마삭줄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이다.
금화규(Hibiseu Smanihot L.)는, 아욱과에 속하는 1년생 초본 식물로, 황금 해바라기 또는 히브스커스라고 불리기도 한다. 본초강목에서 금화규의 꽃은 무독하며 해열, 양혈, 해독, 습열, 소담 진통에 효능이 있고, 오림, 부종, 화상 등에 처방하며, 종자는 위와 비장을 튼튼하게 하여 소화불량을 치료하고, 근육을 발달시키며, 타박상을 치료한다고 기술되어 있다. 현대 의학을 통해 밝혀진 바로는 금화규의 꽃에 풍부하게 함유된 플라본(flavone)에 의해 진통, 항뇌결혈과 구강궤양 등의 치료가 있으며, 인체의 내분비 조절로 면역력 증강과 심/뇌혈관 및 모세혈관의 혈액 순환을 개선시키고, 인체의 항산화, 항피로, 항노화, 항암 등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금화규에는 천연 식물성 에스트로겐이 풍부하여 갱년기에 효력이 있으며, 남성 호르몬의 생성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 은, 천연물로부터 그 안의 성분을 뽑아냄으로써 얻어진 물질이라면, 뽑아내는 방법이나 성분의 종류와 무관하게 모두 포함한다. 예컨대, 물이나 유기 용매를 이용하여 천연물로부터 용매에 용해되는 성분을 추출해 낸 것, 천연물의 특정 성분만을 추출하여 얻어진 것 등을 모두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일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금화규 추출물, 율피 추출물, 녹차 추출물, 해죽순 추출물, 곤드레 추출물, 및 마삭줄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은 조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조추출물을 극성이 낮은 유기 용매로 더욱 추출하여 얻어진 유기 용매의 가용성 분획물로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추출물 또는 그 추출물의 가용성 분획물은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여과 후 농축하여 엑기스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농축 후 동결 건조하여 동결건조물의 형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는 생물의 외부를 덮고 있는 기관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표피, 진피 및 피하지방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얼굴 또는 몸 전체의 외부를 덮는 조직뿐만 아니라, 두피와 모발을 포함하는 최광의의 개념이다.
본 명세서에서 "항산화"는 산화를 억제하는 작용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체는 산화촉진물질(prooxidant)과 산화억제물질(antioxidant)이 균형을 이루고 있으나 여러 가지 요인들에 의하여 이런 균형상태가 불균형을 이루게되고 산화촉진 쪽으로 기울게 되면,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가 유발되어 잠재적인 세포손상 및 병리적 질환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산화적 스트레스의 직접적 원인이 되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은 불안정하고 반응성이 높아 여러 생체물질과 쉽게 반응하고, 체내 고분자들을 공격하여 세포와 조직에 비가역적인 손상을 일으키거나 돌연변이, 세포독성 및 발암 등을 초래하게 된다. NO, HNO2, ONOO-와 같은 활성질소종(reactive nitrogen species, RNS)은 염증 반응 시 대식세포 호중구 및 다른 면역 세포 들의 면역반응으로 인해 다량 생성되며, 이때 ROS도 같이 생성된다. 상기와 같은 활성산소는 체내에서 세포를 산화시켜 파괴시키며, 그에 따라 각종 질환에 노출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항염증"은 염증를 억제하는 작용을 의미할 수 있다. 염증 반응은 본래 생체 내 복구체계의 증강 및 손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반복되는 조직의 손상이나 재생에 의해 염증반응이 지속되면, 염증관련 세포에서 ROS와 RNS가 과다 생성되고 그 결과로 영구적인 유전자의 변형이 야기된다. 이처럼 ROS와 RNS는 생체 내 여러 가지 세포의 작용을 조절하는 염증 반응과 깊이 관련되어 있다. 염증 과정 중에는 많은 양의 전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s), 일산화질소(nitric oxide, NO) 그리고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E2, PGE2)이 유도성 일산화질소 합성효소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와 사이클로옥시게나아제(cyclooxygenase-2, COX-2)에 의해 생성된다.
일 측면에서, 상기 금화규 추출물은, 금화규의 꽃 추출물, 잎 및 줄기 추출물, 및 뿌리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금화규의 꽃 추출물, 잎 및 줄기 추출물, 및 뿌리 추출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금화규 꽃 추출물 및 잎줄기 추출물은, 각각 순서대로, 뿌리 추출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50~250 중량부와 50~15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꽃 추출물은, 뿌리 추출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70~230 중량부, 또는 190~2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잎줄기 추출물은, 뿌리 추출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70~130 중량부, 또는 90~1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금화규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4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금화규 꽃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5~25 중량%, 또는 8~23 중량%, 또는 8~1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화규 잎줄기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15 중량%, 또는 3~12 중량%, 또는 3~7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화규 뿌리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15 중량%, 또는 3~12 중량%, 또는 3~7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일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포도 추출물 및 가지(eggplant)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율피 추출물은, 밤의 껍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율피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은 각각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5~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율피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은 각각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8~25 중량%, 또는 15~25 중량%, 또는 18~2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율피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은 금화규 추출물을 100 중량부로 할 때, 각각 10~200 중량부, 또는 50~150 중량부, 또는 70~1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죽순 추출물 및 곤드레 추출물은, 각각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5~2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또는 각각 5~20 중량%, 또는 각각 5~15 중량%, 또는 8~1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해죽순 추출물 및 곤드레 추출물은, 금화규 추출물을 100 중량부로 할 때, 10~100 중량부, 또는 30~70 중량부, 또는 40~6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삭줄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또는 3~12 중량%, 또는 3~10 중량%, 또는 3~7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마삭줄 추출물은, 금화규 추출물을 100 중량부로 할 때, 1~50 중량부, 또는 10~50 중량부, 또는 10~40 중량부, 또는 10~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도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5~2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또는 5~20 중량%, 또는 5~15 중량%, 또는 7~13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포도 추출물은, 금화규 추출물을 100 중량부로 할 때, 10~100 중량부, 또는 30~70 중량부, 또는 40~6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지 추출물은, 금화규 추출물을 100 중량부로 할 때, 1~50 중량부, 또는 10~50 중량부, 또는 10~40 중량부, 또는 10~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물, 유기용매, 또는 유기용매 수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유기용매는, 유기 용매로는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알코올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서 물은 증류수 또는 정제수를 포함하고, 유기 용매는 C1~C5의 저급 알코올을 예로 들 수 있는 에탄올, 아세톤,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메탄올, 에틸메틸케톤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현예에서, 열수 추출물보다 약 60~80%(v/v)의 에탄올을 추출 용매로 사용할 때 조성물의 효과가 더 우수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또는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점증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점증제는 예컨대, 메틸 셀룰로스,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스, 카르복시 메틸 하이드록시 구아닌, 하이드록시 메틸 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 폴리쿼터늄, 세테아릴 알콜, 스테아릭산, 카라기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발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당업계에 통상적인 방부제, 색소 등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다.
일 측면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앰플 또는 크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앰플, 스킨소프너, 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화장수,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크림일 경우, 상기 크림의 제형은 W/S, W/O, P/W, W/O/W, 또는 O/W/O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크림 제형이 W/S일 경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알코올류, 글리세린류, 디메치콘류, 실리콘류, 및 아크릴레이트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크림 제형이 W/S일 경우, 아래 표 1과 같은 조성을 포함할 수 있다.
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잔량
1,2-헥산디올 1~3
글리세린 0.1~2
에칠헥실글리세린 0.01~0.1
디메치콘/PEG-10/15 크로스폴리머 5~15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1~1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1~10
PEG-10 디메치콘 적량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 적량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앰플일 경우엔, 1,3-부틸렌 글리콜, 1,2-헥산디올, 디포타슘 글리시리제이트, 점증제, 펩티드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다.
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잔량
1,3-부틸렌글리콜 1~3
펩티드류 0.1~1
히알루론산 1~5
D-판테놀 1~10
1,2-헥산디올 적량
디포타슘 글리시리제이트 0.01~0.05
에칠헥실글리세린 적량
카포폴 5~15
조성물 1~10
일 측면에서, 상기 앰플은, 물과 유사한 점도를 나타내며, 펴발림성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앰플은 끈적임와 번들거림이 없으며, 지속력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크림은 피부 도포시 가벼운 밀착감을 부여하고, 피부 흡루력이 우수하여 촉촉하게 스며들며, 최종적으로 매끈하고 끈적임 없는 부드러움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앰플 및 크림은 온도에 의한 변성이 적고, 성분 분리 현상이 없어 보관성이 우수할 수 있다.
이하, 하기의 제조예,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제조예,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하기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식물 추출물 및 조성물의 제조
금화규(꽃, 잎줄기, 뿌리), 율피, 녹차, 해죽순, 곤드레, 마삭줄, 포도, 가지 각각을 믹서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파쇄한 후, 각각 시료 중량의 10배의 70% 에탄올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24시간 침지하여 3회 반복 추출하였다. 각 추출물은 여과 및 농축 후 동결건조하였다.
제조된 식물 추출물을 아래 표 3에 기재된 함량비율로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금화규 꽃 추출물 10
금화규 잎줄기 추출물 5
금화규 뿌리 추출물 5
율피 추출물 20
녹차 추출물 20
해죽순 추출물 10
포도(줄기) 추출물 10
곤드레 추출물 10
가지 추출물 5
마삭줄 추출물 5
[실험예]
[실험예 1] DPPH 라디칼 소거능 확인
1,1-디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DPPH)은 화학적으로 안정화된 수용성 프리 라디칼(free radical)로서 517nm에서 특징적인 광흡수를 나타내는 보라색 화합물로 알코올 등의 유기 용매에서 매우 안정하며, 항산화 활성이 있는 물질과 만나면 전자를 내어주면서 라디칼(DPPH)이 소멸되어 최초 용액의 보라색 빛깔에서 노란색으로 색깔이 변화되어 산화 활성을 육안으로도 쉽게 관찰할 수 있어 항산화 활성 실험에 활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물질이다.
1,1-디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DPPH)를 제조예의 조성물(1000μg/ml)과 혼합하여 반응시킨 후 517nm에서의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제조예의 조성물을 처리했을 경우에 약 99.63%의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ABTS+ 라디칼 소거능 확인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ABTS)와 과황산칼륨의 혼합물에 제조예의 조성물(1000μg/ml)을 처리하였다. 그 결과, 제조예의 조성물을 처리했을 경우에 약 99.6%의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냈다. 참고로, 제조예 조성물을 100μg/ml 이하로 처리했을 경우에도, 비타민 C 대비하여 70% 수준의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냈다.
[실험예 3] 주름 개선 효과 확인
[실험예 3-1] Elastase 활성 저해 효과 확인
Elastase 저해능 측정은 기질로서 N-succinyl-(L-Ala)3-p-nitroanilide를 사용하여 37℃에서 20분간 기질로부터 생성되는 p-nitroanilide의 생성량을 405 nm에서 측정하였다. 즉, 각 시험용액을 일정 농도가 되도록 하여 0.5 mL씩 시험관에 취하고, 50 mM tris-HCl buffer (pH 8.6)에 녹인 porcine pancreas elastase (2.5 U/mL)용액 0.5 mL을 가한 후 기질로 50 mM tris-HCl buffer (pH 8.6)에 녹인 N-succinyl-(L-Ala)3-p-nitroanilide (0.5 mg/mL)을 첨가하여 20분간 반응시켜 측정하였다. elastase 저해능은 시료용액의 첨가군과 무 첨가 군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제조예의 조성물(1000μg/ml)을 처리했을 경우에 약 45%의 활성 저해 효과가 있었다. 참고로, 제조예 조성물을 100μg/ml 로 처리했을 경우에는 대조군인 EGCG 보다 약 10% 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3-2] Collagenase 활성 저해 효과 확인
Collagenase 저해능 측정은 0.1 M tris-HCl buffer (pH 7.5)에 4 mM CaCl2를 첨가하여, 4-phenylazobenzyloxycarbonyl-Pro-Leu-Gly-Pro-D-Arg (0.3 mg/mL)를 녹인 기질액 0.25 mL 및 시료용액 0.1 mL의 혼합액에 collagenase (0.2 mg/mL) 0.15 mL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20분간 방치한 후 6% citric acid 0.5 mL을 넣어 반응을 정지 시킨 후, ethyl acetate 1.5 mL을 첨가하여 3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collagenase 저해능은 시료용액의 첨가군과 무첨가군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제조예의 조성물(1000μg/ml)을 처리했을 경우에 약 44%의 활성 저해 효과가 있었다. 참고로, 제조예 조성물을 100μg/ml 로 처리했을 경우에는 대조군인 EGCG 효과의 약 60%의 효과(약 24%)를 나타내어, 저농도에서도 콜라게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3] 항염 효과 확인
[실험예 3-3-1] 세포 생존율 확인
제조예의 조성물에 대하여 대식세포(Raw 264.7)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10, 100, 1000 μg/ml의 농도에서 80.2% 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세포 생존율이 90.1%였던 100 μg/ml이하의 농도의 조성물을 처리하여 아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예 3-3-2] Nitric oxide 활성 저해 효과 확인
마우스 대식세포 세포주인 Raw 264.7(mouse macrophage cell line RAW 264.7)에 대식세포 자극인자인 LPS(lipopolysaccharide)를 처리하여 염증물질인 NO 생성을 유도하고, 제조예의 조성물을 1, 5, 10, 100μg/ml로 24시간 처리하였다. 이후, 그리스 시약(Griess reagent)을 첨가하여 10분간 반응시킨 다음 마이크로플레이트-ELISA 리더(microplate-ELISA reader)를 이용하여 540 nm 파장에서 NO 생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100 μg/ml의 농도로 처리했을 경우, 51.6%의 NO가 측정되어, 48.4%의 NO 생성 저해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고로, 대조군인 100 μg/ml의 EGCG를 처리했을 경우엔 66.4%의 NO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본 발명의 조성물이 EGCG 대비 약 73%의 NO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3-3] PGE2 발현 억제 효과 확인
PGE2는 NO와 마찬가지로 손상된 부위나 조직에서 통증과 발열의 전달에 주로 관여하는 염증 매개 물질이다.
Raw 264.7 세포를 5×104 cells/mL 로 조절한 후 96well plate에 seeding하고 24시간 동안 전 배양하였다. 세포에 1μg/mL의 LPS와 추출물을 동시에 처리하여 24시간 재배양한 후 세포배양액내의 PGE2 cytokine의 분비량은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kit (R&D Systems, Minneapolis, MN,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배양액을 goat anti-mouse로 coating된 96well plate에 각각 100㎕씩 loading하고, primary antibody solution 50㎕와 PGE2 conjugate 50㎕씩 첨가하여 500rpm에서 shaking하면서 2시간 동안 실온 반응시켰다. 그 후 Washing buffer로 4회 세척하고 substrate solution을 처리한 후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제조예의 조성물 100μg/ml을 처리했을 경우, 37.1%의 높은 PGE2 생성 저해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고로, 대조군인 EGCG의 경우 동량 처리했을 경우, 약 61.2%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본 발명의 조성물이 대조군 대비 약 61%의 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 실험예]
[비교 실험예 1] 추출물 조합에 따른 효과 차이 확인
하기 표 4와 같은 조합의 추출물을 사용하여, 실험예와 동일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사용된 추출물은 모두 동량을 혼합하였다. 결과는 표 5에 기재된 바와 같다.
실험군 번호 금화규 율피 녹차 해죽순 곤드레 마삭줄 포도 가지
1 - - - - - - -
2 - - - - - - -
3 - - - - - - -
4 - - - - - - -
5 - - - - - - -
6 - - - - - - -
7 - - - - - - -
8 - - - - - - -
9 - - - - - -
10 - - - - - -
11 - - - - - -
12 - - - - - -
13 - - - - - -
14 - - - - - -
15 - - - - - -
16 - -
17
실험군 번호 DPPH assay(%) ABTS+ assay(%) Ellatase 억제율(%) Collagenase 억제율(%) NO 생성 억제율(%) PGE2 생성 억제율(%)
1 78.2 91.2 31 31.2% 32.5 25.5
2 89.3 89.1 33.2 33% 33.5 29.6
3 91.1 89.0 33.5 32.3% 34.1 29.9
4 86.5 90.0 32.5 31.7 34 28.7
5 62.5 65.5 23.4 22.7 25.8 23.1
6 28.7 21.6 11.8 9.6 10.2 10.5
7 87.2 87.1 32.2 32.8 33.1 28.3
8 18.9 35.2 10.2 10 12.4 7.7
9 85.3 90.1 31.8 33 34.2 27.6
10 90.1 93.1 33 33.2 34.5 29.5
11 85.2 93.1 32.7 31.7 34.8 28.3
12 75.3 84.4 31.6 32.1 32.1 24.7
13 62.2 65.2 29.3 27.3 25.5 22.8
14 90.0 92.1 34.2 32.5 34.9 29.1
15 56.6 71.4 23 22.3 23.7 21.5
16 93.3 94.5 35.9 34.5 35.5 30.8
17 97.5 96.5 39 37 39.5 31.2
단위: %
[비교 실험예 2] 금화규 꽃, 잎줄기 및 뿌리 추출물의 함량에 따른 효과 확인
아래 표 6과 같이 꽃, 잎줄기, 및 뿌리 추출물의 함량비를 조절하여, 실험예와 동일한 실험을 수행하고, 결과를 표 7에 기록하였다.
실험군 번호 잎줄기 뿌리
18 1 1 1
19 2.5 1 1
20 0.5 1 1
21 2 0.5 1
22 2 1.5 1
실험군 번호 DPPH assay(%) ABTS+ assay(%) Ellatase 억제율(%) Collagenase 억제율(%) NO 생성 억제율(%) PGE2 생성 억제율(%)
18 95.2 94.3 40 40.2 42.7 30.8
19 94.7 94.2 39.5 39.7 41.5 30.1
20 93.2 93.7 38.8 38.5 40.2 29.5
21 95.1 94.1 39.8 40.1 41.2 29.9
22 94.7 94.2 40.5 41.5 40.8 32
[비교 실험예 3] 율피, 녹차, 해죽순, 포도, 곤드레, 가지, 및 마삭줄 추출물의 함량에 따른 효과 확인
아래 표 8과 같이 율피, 녹차, 해죽순, 포도, 곤드레, 가지, 및 마삭줄 추출물의 함량비를 조절하여, 실험예와 동일한 실험을 수행하고, 결과를 표 9에 기록하였다.
실험군 번호 금은화 율피 녹차 해죽순 포도 곤드레 가지 마삭줄
23 1 0.5 1 0.5 0.5 0.5 0.25 0.25
24 1 2.5 1 0.5 0.5 0.5 0.25 0.25
25 1 1 0.5 0.5 0.5 0.5 0.25 0.25
26 1 1 2.5 0.5 0.5 0.5 0.25 0.25
27 1 1 1 0.1 0.5 0.5 0.25 0.25
28 1 1 1 2 0.5 0.5 0.25 0.25
29 1 1 1 0.5 0.1 0.5 0.25 0.25
30 1 1 1 0.5 2 0.5 0.25 0.25
31 1 1 1 0.5 0.5 0.1 0.25 0.25
32 1 1 1 0.5 0.5 2 0.25 0.25
33 1 1 1 0.5 0.5 0.5 0.1 0.25
34 1 1 1 0.5 0.5 0.5 0.5 0.25
35 1 1 1 0.5 0.5 0.5 0.5 0.1
36 1 1 1 0.5 0.5 0.5 0.5 0.5
실험군 번호 DPPH assay ABTS+ assay Ellatase 억제율 Collagenase 억제율 NO 생성 억제율 PGE2 생성 억제율
23 95.2 94.8 37.5 36.5 42.1 32.5
24 94.2 94.0 36.8 36.2 41.7 31.7
25 93.8 93.5 39.2 38.5 40.5 31.8
26 94.6 94.1 38.4 37.5 41.0 30.8
27 92.5 91.5 39.5 38.8 42.2 32.8
28 93.8 92.4 40.2 39.9 41.7 30.1
29 95.2 94.3 38.8 37.7 43.8 33.5
30 94.1 93.7 37.2 36.5 42.7 31.4
31 93.8 93.1 36.5 36.7 40.5 31.7
32 93.7 93.5 37.7 37.8 41.7 30.9
33 93.2 92.7 35.6 35.1 41.5 32.1
34 94.2 93.7 36.6 36.2 41.7 30.8
35 93.8 93.1 38.2 37.5 42.7 31.7
36 94.7 94.1 39.5 38.9 41.9 30.6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금화규 추출물; 및
    율피 추출물, 녹차 추출물, 해죽순 추출물, 곤드레 추출물 및 마삭줄 추출물 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포도 줄기 추출물 및 가지(eggplant)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금화규 추출물은,
    꽃 추출물, 잎줄기 추출물, 및 뿌리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금화규 꽃 추출물 및 잎줄기 추출물은 각각 순서대로,
    뿌리 추출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50~250 중량부 및 50~150 중량부로 포함되는,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제3항에 있어서,
    율피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은, 금화규 추출물을 100 중량부로 할 때, 각각 50~200 중량부로 포함되고,
    해죽순 추출물 및 곤드레 추출물은, 금화규 추출물을 100 중량부로 할 때, 각각 10~100 중량부로 포함되며,
    마삭줄 추출물은, 금화규 추출물을 100 중량부로 할 때, 1~50 중량부로 포함되는, 조성물.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도 줄기 추출물은, 금화규 추출물을 100 중량부로 할 때, 10~100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가지 추출물은, 금화규 추출물을 100 중량부로 할 때, 1~50 중량부로 포함되는, 조성물.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크림 또는 앰플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210086360A 2021-07-01 2021-07-01 금화규를 포함하는 한방 추출물 및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464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360A KR102464203B1 (ko) 2021-07-01 2021-07-01 금화규를 포함하는 한방 추출물 및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360A KR102464203B1 (ko) 2021-07-01 2021-07-01 금화규를 포함하는 한방 추출물 및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4203B1 true KR102464203B1 (ko) 2022-11-09

Family

ID=84040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360A KR102464203B1 (ko) 2021-07-01 2021-07-01 금화규를 포함하는 한방 추출물 및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420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7148A (ko) * 2013-08-06 2015-02-16 한국식품연구원 곤드레로부터 플라보노이드의 분리방법
KR20180080087A (ko) * 2017-07-18 2018-07-11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털마삭줄을 포함하는 마삭줄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36388A (ko) * 2017-09-27 2019-04-04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해죽순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76935B1 (ko) * 2020-04-20 2020-11-10 곽종복 주름개선 및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44695B1 (ko) * 2020-02-26 2021-04-27 김경표 기능성 혼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 키트
KR20210051512A (ko) 2019-10-30 2021-05-10 주식회사 라이프 투게더 아우레아 헬리안투스(금화규)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7148A (ko) * 2013-08-06 2015-02-16 한국식품연구원 곤드레로부터 플라보노이드의 분리방법
KR20180080087A (ko) * 2017-07-18 2018-07-11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털마삭줄을 포함하는 마삭줄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36388A (ko) * 2017-09-27 2019-04-04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해죽순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51512A (ko) 2019-10-30 2021-05-10 주식회사 라이프 투게더 아우레아 헬리안투스(금화규)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KR102244695B1 (ko) * 2020-02-26 2021-04-27 김경표 기능성 혼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 키트
KR102176935B1 (ko) * 2020-04-20 2020-11-10 곽종복 주름개선 및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7378B1 (ko)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09266B1 (ko) 프로폴리스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81143B1 (ko) 녹차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용 외용제 조성물
KR20200053815A (ko)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94987B1 (ko)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44889B1 (ko)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20090070455A (ko) 초임계 추출법을 이용한 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및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01166A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활용한 피부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04158A (ko) 아쿠아포닉스 재배기술을 이용한 병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54446B1 (ko) 상동나무 추출물과 미세침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03644B1 (ko)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혼합 추출액을 함유한 얼굴 화장용 발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09835A (ko) 오크라, 몰로키아 및 파슬리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2464203B1 (ko) 금화규를 포함하는 한방 추출물 및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0926073B1 (ko) 비타민 c와 백년초 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각질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03807B1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JPH06336422A (ja) 皮膚外用剤
JP3998085B2 (ja) ヒアルロン酸量増加促進剤
KR100667182B1 (ko) 오소리 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건조증 개선용 화장료
KR101154772B1 (ko) 대추 추출물 및 호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화장료 조성물
KR20020035925A (ko) 분말 상의 포도 발효액 추출물을 함유하고 미백 및 주름방지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76525B1 (ko) 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6843537B2 (ja) 抗皮膚老化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外用化粧料
KR100427556B1 (ko) 루시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3277224A1 (ko) 금화규를 포함하는 한방 추출물 및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210001045A (ko) 지질산화 방지, 자외선에 의한 손상 피부 개선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