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4175B1 - 오메가-7을 함유하는 정제어유 분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오메가-7을 함유하는 정제어유 분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4175B1
KR102464175B1 KR1020200053336A KR20200053336A KR102464175B1 KR 102464175 B1 KR102464175 B1 KR 102464175B1 KR 1020200053336 A KR1020200053336 A KR 1020200053336A KR 20200053336 A KR20200053336 A KR 20200053336A KR 102464175 B1 KR102464175 B1 KR 102464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omega
acid
parts
fish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0148A (ko
Inventor
이도행
손연경
김아름찬
이나영
송은혜
Original Assignee
(주) 바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바이텍 filed Critical (주) 바이텍
Priority to PCT/KR2020/00600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0231075A1/ko
Publication of KR20200130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0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7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ingredients other than fatty acid triglycerides
    • A23D9/013Other fatty acid esters, e.g. phosphat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2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ion or working-up
    • A23D9/04Working-u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dible Oils And Fat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메가-7을 함유하는 정제어유 분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메가-7 불포화지방산을 50%이상 함유하는 오메가-7 함유 정제어유 조성물, 유화제, 덱스트린 및 토코페롤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메가-7을 함유하는 정제어유 분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메가-7 함유 정제어유 분말 조성물은 풍미가 뛰어나고 산화에 대하여 안정하며 저온에서도 용해도가 뛰어나므로, 여러 제형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항비만 및 피부상태 개선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순한 식품부터 건강기능식품, 식품첨가물 및 화장품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오메가-7을 함유하는 정제어유 분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Purified Fish Oil Powder Compostion Containing Omega-7 Fatty Acid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오메가-7을 함유하는 정제어유 분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메가-7 불포화지방산을 50%이상 함유하는 오메가-7 함유 정제어유 조성물, 유화제, 덱스트린 및 토코페롤을 함유하는 오메가-7을 함유하는 정제어유 분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메가-7 단일 불포화 지방산은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는 필수 지방산의 일종으로서, 주로 식품을 통해서 섭취하여야 한다. 오메가-7의 효능은 전신대사 건강을 개선시키며, 콜레스테롤 감소에 효과적이고 지방이 체내에 축적되는 것을 막아주어 건강한 체중 관리에 도움을 준다. 또한 지방세포 내에서 지방 생성을 조절하며, 혈액의 흐름을 돕고 혈관벽의 딱딱함을 방지하여 심혈관 건강을 개선시키며, 세포내외의 포도당 이동을 건강하게 조율하며, 인슐린 민감성을 높이며, 리포카인처럼 염증 억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메가-7 불포화 지방산의 주요 공급원은 동식물계에 널리 분포하며 생선기름, 고래유 등 많은 수산유지에 대량으로 함유되어 있다. 대구의 육에는 지방의 함유량이 약 2%정도, 간장에는 지방 함유량이 45.7%로 육에 비해 약 22배 정도 지방의 함유량이 높다. 팔밋올레산(palmitoleic acid), 팜틱산(palmtic acid), 올레익산(oleic acid) 및 스테릭산(stearic acid)으로 이루어진 글리세라이드(glyceride)가 대부분인 대구간유(Cod-liver)는 대구의 간에서 채유한 후 0℃로 냉각하여 이용 되며, 융점이 높은 포화지방산의 비율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오메가-7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대구간유는 불검화물 분획에 비타민 A(2,000~5,000IU/g)와 D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어 유아기 또는 성장기 어린이의 영양식으로도 사용된다.
또한 심혈관 건강 및 위장 건강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피부 관련 효능으로 피부 염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트러블 및 민감성 피부를 완화하고 진정시킴으로써 건강한 피부 관리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팔밋올레산(Palmitoleic acid. 오메가-7)은 콜레스테롤 감소에 효과적이고 지방이 체내에 축적되는 것을 막아주어 건강한 체중 관리에 도움을 주며, 특히 피부 관련 효능으로 피부 염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트러블 및 문제성 피부를 완화하고 진정시킴으로써 건강한 피부 관리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지만, 공기 중에서 불안정하여, 쉽게 산화되어 과산화물을 생성하기 때문에, 식용으로 공급하는데 있어서 간편성이 결여되는 문제점과 식품음용에 대한 한계점이 있다.
오메가 지방산 함유 제품인 정제어유의 간편성 문제를 해결하고자 종래의 기술은 한국 등록 특허 제10-380652호에 정제어유를 함유한 장용성 연질캡슐 조성물, 한국 등록특허 제10-1365998호에는 정제어유를 함유한 짜먹는 젤리형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연질캡슐 및 젤리 형태로 복용할 경우 오일 역류, 속 쓰림, 구취, 부글거림, 설사와 같은 부작용을 자주 일으키며(Fetterman, Hussain, Am J Health Syst Ph 66:1169-1179, 2009) 몸 안에서 지방산의 흡수, 배설이 빨라 섭취된 것 중 일부만 혈중으로 흡수되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오메가 지방산을 식용으로 공급하는데 있어서 간편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메가 지방산을 분말화하는 방법이 개발된 바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공소41-1415호는 유지(예를 들어, 오메가-3 불포화 지방산), 소듐 카제이네이트(sodium caseinate) 등의 단백질, 수크로오즈 등의 당류, 전분 또는 이의 분해물, 레시틴 등의 유화제를 사용하여 에멀젼을 조제하고, 이를 분무건조하는 방법이 개발된 바 있다. 이외에도, 일본특허등록 제4282730호는 유용성 물질(예를 들어, 오메가-3 불포화 지방산), 화공전분 및 식물 검을 물에 가하여 유화시켜 얻어진 유화액(즉, 에멀젼)을 건조하여 유화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한 바 있으며, 일본특허 제2766785호는 미림(sweet sake)을 포함하는 수상(aqueous phase)과 오메가-3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하는 유상(oil phase)를 혼합하여 얻어진 에멀젼을 분무건조하여 분말화하는 것을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기존 분말화 기술은 유지의 함량이 15~30%인 저함량의 유지 분말에 관한 것으로, 공기중 산화에 대하여 안정하고 간편한 50% 이상 고함량 유지 분말 제조 방법 및 연구 개발이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공기중 산화에 대하여 안정하고 식용으로 공급하는데 있어서 간편하면서도 저온의 물에서 용해도가 높은 고함량의 유지 분말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50% 이상의 고함량의 오메가-7을 함유하는 정제어유 조성물에 덱스트린, 토코페롤 및 제삼인산칼슘을 혼합할 경우, 공기 중에서 안정하면서도 높은 생산 수율의 오메가-7 함유 정제어유 분말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상기 정보는 오직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며, 이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있어 이미 알려진 선행기술을 형성하는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산화 안정성이 우수한 오메가-7 함유 정제어유 분말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산화 안정성이 우수한 오메가-7 함유 정제어유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메가-7 불포화지방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화제 0.5~1.5 중량부, 덱스트린 30~60 중량부, 물엿 20~50, 유청분말 10~25, 토코페롤 0.1~1 중량부 및 안정제 0.5~2 중량부를 포함하는 오메가-7 함유 정제어유 분말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a) 오메가-7 불포화지방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화제 0.5~1.5 중량부, 덱스트린 30~60 중량부, 물엿 20~50, 유청분말 10~25, 토코페롤 0.1~1 중량부 및 안정제 0.5~2 중량부를 혼합하고, 40~60℃로 예열하는 단계; (b) 상기 예열된 혼합물에서 불용성 성분을 제거하고, 균질화시키는 단계; (c) 상기 균질화된 혼합물을 70~80℃로 고온 살균하는 단계; 및 (d) 상기 살균된 혼합물을 분말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메가-7 함유 정제어유 분말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메가-7 함유 정제어유 분말 조성물은 풍미가 뛰어나고 안정하며, 상온 이하의 온도에서도 우수한 용해도를 나타내므로, 오메가-7을 함유하는 단순한 식품부터 건강기능식품, 식품첨가물 및 화장품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오메가-7 함유 정제어유 조성물의 4 ~ 5℃용해 온도에서의 관능평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오메가-7 함유 정제어유 조성물의 70 ~ 80℃용해 온도에서의 관능평가를 나타낸 것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오메가-7 불포화지방산, 덱스트린,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물엿, 유청분말, 토코페놀 및 안정제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정제어유 분말 조성물의 배합비를 최적화한 결과, 오메가-7 불포화지방산을 70 중량부 이상 함유하고 덱스트린을 5 중량부 이하로 함유할 경우 분말화가 불가능하였으며, 오메가-7 불포화지방산을 60 중량부 이상 함유하고, 덱스트린을 15 중량부 이하로 함유할 경우 분말의 생산수율이 현저하게 낮아졌으나, 오메가-7 불포화지방산을 50 중량부 이상 함유하고, 덱스트린을 20 중량부 이상 함유할 경우 오메가-7함유 정제어유 분말 조성물을 제조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표 1).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오메가-7 불포화지방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화제 0.5~1.5 중량부, 덱스트린 30~60 중량부, 물엿 20~50, 유청분말 10~25, 토코페롤 0.1~1 중량부 및 안정제 0.5~2 중량부를 포함하는 오메가-7 함유 정제어유 분말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메가-7 불포화지방산은 미리스트산, 리놀레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팔미트산, 펜타데카노산, 팔밋올레산, 엘라이드산, 리놀레라이드산, 사포닌 및 다당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팔밋올레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메가-7 불포화지방산이 70 중량% 이상으로 첨가될 경우 오일 특유의 점성으로 인하여 분말화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으며, 50 중량% 이하로 첨가될 경우 높은 생산 수율을 얻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정제어유 분말 조성물 내 상기 오메가-7 불포화지방산의 최적의 함량은 50 내지 70 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안정제는 제삼인산칼슘, 판톤텐산나트륨 및 스테아린산칼슘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삼인산칼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지방산 에스테르, 소비탄지방산에스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터, 대두인지질 및 스테아릴젖산칼슘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지방산 에스테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덱스트린을 60 중량부 이상 함유할 경우 제조된 분말 입자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었으며, 덱스트린을 30 중량부 이하로 첨가할 경우, 분말의 생산 수율이 현저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정제어유 분말 내 최적의 덱스트린 함량은 30~60 중량부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0~50 중량부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를 1.5 중량부 이상 첨가할 경우 조성물을 분말화는 가능하나, 장기간 다량 사용할 경우 건강에 좋지 않다는 단점이 있으며, 0.5 중량부 이하로 첨가할 경우 분말화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정제어유 분말 내 최적의 함량은 0.5~1.5 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토코페롤을 1 중량부 이상 첨가할 경우 토코페롤 특유의 향이 너무 강한 단점이 있었으며, 0.1 중량부 이하로 첨가할 경우 산화 방지 효능이 감소되는 단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정제어유 분말 내 최적의 함량은 0.1~1 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물엿을 50 중량부 이상 첨가할 경우 분말화 하였을 때 제조된 분말이 뭉치는 현상이 증가되며, 흡습이 빨라지고 단맛 및 단향이 강해지는 단점이 있었으며, 20 중량부 이하로 첨가할 경우 제조된 분말 입자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상기 물엿은 20~50 중량부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40 중량부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청분말을 25 중량부 이상 첨가할 경우 유청분말의 향이 강해지는 단점이 있었으며, 10 중량부 이하로 첨가할 경우 첨가되는 유지의 향이 진해져서 맛의 기호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상기 유청분말은 10~25 중량부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15 중량부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안정제를 2 중량부 이상 첨가할 경우 용해시 바닥면에 약간의 결정이 생성되어 용해가 잘 안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0.5 중량부 이하로 첨가할 경우 안정하지 않아 분문건조 분말 제조시 분말의 흐름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상기 안정제는 0.5~2 중량부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1.5 중량부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제어유 분말 조성물은 카제인나트륨을 20 중량부 이상 함유할 경우 카제인나트륨 특유의 맛이 너무 강해지는 단점이 있었으며, 10 중량부 이하로 함유할 경우 용해도 및 맛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카제인나트륨 10~20 중량부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카제인나트륨 10~15 중량부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제어유 분말 조성물은 우유단백농축을 20 중량부 이상 함유할 경우 단맛 및 단향이 너무 강해지는 단점이 있었으며, 10 중량부 이하로 함유할 경우 용해도 및 맛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우유단백농축 10~20 중량부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카제인나트륨 10~15 중량부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조된 정제어유 분말 조성물에 특정범위 함유량의 카제인나트륨 또는 우유단백농축을 첨가하여 5명의 관능 평가자를 대상으로 용해도, 기름기, 색상, 향, 맛에 대한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카제인나트륨 또는 우유단백농축을 10~20 중량부 첨가한 경우, 카제인나트륨 또는 우유단백농축을 0~7 중량부로 첨가한 경우에 비해 우수한 관능평가 점수를 받은 것을 확인하였다(표 5, 표 6).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a) 오메가-7 불포화지방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화제 0.5~1.5 중량부, 덱스트린 30~60 중량부, 물엿 20~50, 유청분말 10~25, 토코페롤 0.1~1 중량부 및 안정제 0.5~2 중량부를 혼합하고, 40~60℃로 예열하는 단계; (b) 상기 예열된 혼합물에서 불용성 성분을 제거하고, 균질화시키는 단계; (c) 상기 균질화된 혼합물을 70~80℃로 고온 살균하는 단계; 및 (d) 상기 살균된 혼합물을 분말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메가-7 함유 정제어유 분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메가-7 불포화지방산은 미리스트산, 리놀레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팔미트산, 펜타데카노산, 팔밋올레산, 엘라이드산, 리놀레라이드산, 사포닌 및 다당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팔밋올레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지방산 에스테르, 소비탄지방산에스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터, 대두인지질 및 스테아릴젖산칼슘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지방산 에스테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안정제는 제삼인산칼슘, 판톤텐산나트륨 및 스테아린산칼슘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삼인산칼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 카제인나트륨 10~20 중량부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 우유단백농축 10~20 중량부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7-Mega(팔밋올레산)의 조성을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 제 2011-76호 시험범에 준하여 실험한 결과, 미리스트산, 리놀레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팔미트산, 펜타데카노산, 팔밋올레산, 엘라이드산 및 리놀레라이드산을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제어유 분말 제조방법을 수행함에 있어 사용되는 정제어유 분말 조성물과 관련된 구성에 대한 설명은 방법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에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실시예 1: 오메가-7 함유 정제어유 분말 제조방법
실시예 1-1: 오메가-7 함유 정제어유 분말 (a)
7-Mega(palmitoleic acid, C16:1 50% 이상 함유, ORGANIC TECHNOLOGIES, USA) 50.54g에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RIKEVITA SON BHD, MALAYSIA) 0.78g을 호모믹서에 넣고 혼합 후 50℃내외로 예열하였다. 상기 예열액에 물엿 18.15g, 덱스트린(QINHUANGDAO LIHUA STARCH, CHINA) 23.32g, 유청분말 6.48g, D-토코페롤(VITAE CAPS, S.A.,SPAIN) 0.21g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안정제로 제삼인산칼슘(서도화학, KOREA) 0.52g을 첨가하여 용해시켰다. 용해액을 여과기에서 불용성분을 제거한 후 고압균질기로 균질화시켰다. 균질액은 72 ~ 75℃에서 15초간 살균한 후, 살균액을 150 ~ 180℃로 분무건조하여, 오메가-7을 함유한 정제어유 분말 (a)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오메가-7 함유 정제어유 분말 (b)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7-Mega 60.54g에 덱스트린 13.32g을 첨가하여 오메가-7을 함유한 정제어유 분말(b)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오메가-7 함유 정제어유 분말 (c)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7-Mega 70.54g에 덱스트린 3.32g을 이용하여 오메가-7을 함유한 정제어유 분말 (c)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세 종류의 오메가-7 함유 정제어유 분말의 용해도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a), (b) 및 (c) 세 종류의 오메가-7 분말을 4 ~ 5℃및 70~80℃온도 조건의 물을 각각 100mL 준비하고 5g씩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용해물을 훈련된 평가자 5명이 평가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오메가-7 분말 조성물의 배합비를 최적화하였다.
분말의 용해성을 5점 척도로 평가하였으며, 용해성은 다음과 같은 점수로 평가하였다.
5점 : 물에 용해속도가 아주 빠름(즉시)
4점 : 물에 용해속도가 빠름(수초 3-5초내)
3점 : 물에 용해속도가 보통(10초 이내)
2점 : 물에 용해속도가 느림(10초 이상)
1점 : 물에 용해속도가 10초 이상이며, 덩어리짐
그 결과, (c)의 7-Mega 함량이 70% 이상 첨가될 경우 오일 특유의 점성으로 인하여 분말화가 불가능하였으며, (b) 역시 분말화는 되지만 높은 생산 수율을 기대하기 어려웠다. (a), (b) 및 (c)의 오메가-7 함유 정제어유 분말의 용해도를 평가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70 ~ 80℃의 물에서의 용해도는 (a), (b) 및 (c)의 조건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4 ~ 5℃온도조건에서는 (a) 조건에서 가장 높은 용해도를 나타내었으며, (b), (c)순으로 용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a) 조건이 오메가-7 함유 정제어유 분말화에 적합한 7-Mega 함량 조건으로 판단된다.
정제어유
분말
용해도
4~5℃ 70~80℃
(a) 4.7 4.8
(b) 2.8 4.8
(c) 1.8 4.7
실시예 3: 오메가-7 50% 함유 정제어유 분말 제조방법
실시예 3-1: 오메가-7 50% 함유 정제어유 분말(d)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7-Mega 50 중량부를 기준으로, 글리세린지방산 에스테르는 0.38g 사용하고, D-토코페롤은 0.61g을 사용하여 오메가-7 50% 함유 정제어유 분말 (d)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2: 오메가-7 50% 함유 정제어유 분말(e)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7-Mega 50 중량부를 기준으로, 글리세린지방산 에스테르는 0.58g 사용하고, D-토코페롤은 0.41g을 사용하여 오메가-7 50% 함유 정제어유 분말 (e)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3: 오메가-7 50% 함유 정제어유 분말(f)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7-Mega 50 중량부를 기준으로, 글리세린지방산 에스테르는 0.98g 사용하고, D-토코페롤은 0.01g을 사용하여 오메가-7 50% 함유 정제어유 분말 (f)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세 종류의 오메가-7 50% 함유 정제어유 분말의 용해도 평가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d), (e) 및 (f) 세 종류의 오메가-7 50% 분말을 4~5℃및 70~80℃온도 조건의 물을 각각 100mL 준비하고 5g씩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용해물을 훈련된 평가자 5명이 평가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오메가-7 50% 분말 조성물의 배합비를 최적화하였다.
분말의 용해성을 5점 척도로 평가하였으며, 용해성은 다음과 같은 점수로 평가하였다.
5점 : 물에 용해속도가 아주 빠름(즉시)
4점 : 물에 용해속도가 빠름(수초 3-5초내)
3점 : 물에 용해속도가 보통(10초 이내)
2점 : 물에 용해속도가 느림(10초 이상)
1점 : 물에 용해속도가 10초 이상이며, 덩어리짐
그 결과, 실시예 1-1 (a)과 비교하여 (d)와(e)에서 지방산 에스테르 및 D-토코페롤 함량이 각각 감소, 증가 됐을 때, 분말화가 불가능하였으며 토코페롤이 갖는 고유의 냄새가 났다. (f)의 경우 분말화는 가능했지만 (a)와 비교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d), (e) 및 (f)의 오메가-7 50% 함유 정제어유 분말의 용해도를 평가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4~5℃와 70~80℃의 물에서의 용해도 모두 (f)의 조건에선 높은 용해도를 보였으나 (d) 및 (e)의 조건에선 낮은 용해도를 보였다. 그러나 실시예 1-1 (a)와 비교했을 때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a) 조건이 오메가-7 50% 함유 정제어유 분말화에 적합한 최적의 조성물 조건으로 판단되며, 이후 관능평가는 (a) 조건의 조성물 비율로 실시하였다.
정제어유
분말
용해도
4~5℃ 70~80℃
(d) 1.2 1.5
(e) 1.8 2.0
(f) 4.6 4.8
실시예 5: 오메가-7 50% 함유 정제어유 분말 제조 방법
실시예 5-1: 오메가-7 50% 함유 정제어유 분말(k)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덱스트린을 11.47g 사용하고 물엿을 30g을 첨가하여 오메가-7 함유 정제어유 분말(k)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2: 오메가-7 50% 함유 정제어유 분말(l)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덱스트린을 32.47g 사용하고 물엿을 9g을 첨가하여 오메가-7 함유 정제어유 분말(l)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오메가-7 50% 함유 정제어유 분말 제조 방법
실시예 6-1: 오메가-7 50% 함유 정제어유 분말(m)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덱스트린을 14.8g 사용하고 유청분말을 15g을 첨가하여 오메가-7 함유 정제어유 분말(m)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2: 오메가-7 50% 함유 정제어유 분말(n)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덱스트린을 26.8g 사용하고 유청분말을 3g을 첨가하여 오메가-7 함유 정제어유 분말(n)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오메가-7 50% 함유 정제어유 분말 제조 방법
실시예 7-1: 오메가-7 50% 함유 정제어유 분말(o)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덱스트린을 22.34g 사용하고 안정제를 1.5g을 첨가하여 오메가-7 함유 정제어유 분말(o)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2: 오메가-7 50% 함유 정제어유 분말(p)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덱스트린을 23.74g 사용하고 안정제를 0.1 g을 첨가하여 오메가-7 함유 정제어유 분말(p)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7종류의 오메가-7 함유 정제어유 분말의 용해도 및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1-1에서 제조된 (a) 및 실시예 5 내지 7에서 제조된 (k), (l), (m), (n), (o) 및 (p) 7 종류의 오메가-7 분말을 4 ~ 5℃ 및 70 ~ 80
Figure 112020045254950-pat00001
온도 조건의 물을 각각 100mL 준비하고 5g씩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용해물을 훈련된 평가자 5명이 평가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오메가-7 분말 조성물의 배합비를 최적화하였다.
분말의 용해성을 5점 척도로 평가하였으며, 용해성은 다음과 같은 점수로 평가하였다.
5점 : 물에 용해속도가 아주 빠름(즉시)
4점 : 물에 용해속도가 빠름(수초 3-5초내)
3점 : 물에 용해속도가 보통(10초 이내)
2점 : 물에 용해속도가 느림(10초 이상)
1점 : 물에 용해속도가 10초 이상이며, 덩어리짐
실시예 5, 6 및 7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100mL의 물에 용해한 후 용해물을 평가자 5명이 평가하였다. 평가방법은 5점 척도로 평가하였다(5점: 아주 좋음, 4점: 좋음, 3점: 보통, 2점: 조금 나쁨, 1점: 아주 나쁨). 표 3은 용해온도 4~5℃에서의 관능평가, 표 4는 용해온도 70~80℃에서의 관능평가를 비교한 것을 나타내었다.
용해도 측정결과 (o)의 경우 4-5℃의 온도 조건에서 약간의 결정이 잘 안 녹는 현상이 있었고 (k), (m)의 경우 (a) 조건에 비하여 용해 시간이 오래 걸리는 현상이 나타났으며, (m)의 경우 용해시 뭉침 현상도 많이 나타났다. 70 ~ 80℃의 물에서의 용해도는 모든 조건이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오메가-7 함유 정제어유 분말 (a)의 조성물이 용해도, 기름기, 색상, 맛, 향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고, 앞선 실시예의 실험에서 알 수 있듯이 (a)조건이 가장 최적의 분말화 조건으로 판단된다.
정제어유 분말 용해도 기름기 색상
(a) 4.7 3.6 4.3 3.2 3.6
(k) 3.8 3.4 3.8 2.8 2.9
(l) 3.1 3.3 4.0 2.5 3.2
(m) 3.7 3.4 3.5 2.0 2.4
(n) 3.9 3.5 3.4 2.4 2.1
(o) 3.5 3.4 4.2 3.0 3.2
(p) 4.1 3.4 4.1 3.1 3.3
정제어유 분말 용해도 기름기 색상
(a) 4.8 3.8 4.2 3.4 3.8
(k) 4.6 3.5 3.7 2.7 2.7
(i) 4.7 3.4 3.9 2.9 3.0
(l) 4.5 3.7 3.8 2.0 2.9
(m) 4.7 3.6 3.5 2.8 3.2
(n) 4.8 3.8 4.0 3.0 3.4
(o) 4.7 3.8 4.0 2.9 3.2
실시예 9: 카제인나트륨을 첨가한 오메가-7 함유 정제어유 분말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덱스트린은 18.14g 사용하고 카제인나트륨 5.18g을 추가로 첨가하여 오메가-7함유 정제어유 분말 (g)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우유단백농축을 첨가한 오메가-7 함유 정제어유 분말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덱스트린은 18.14g 사용하고 MPC(우유단백농축)5.18g을 추가로 첨가하여 오메가-7함유 정제어유 분말 (h)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카제인나트륨 및 우유단백농축을 첨가한 오메가-7 함유 정제어유 분말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덱스트린은 18.14g 사용하고 MPC(우유단백농축) 2.59g 및 카제인나트륨 2.59g을 첨가하여 오메가-7함유 정제어유 분말 (i)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카제인나트륨 또는 우유단백농축을 첨가하지 않은 오메가-7함유 정제어유 분말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카제인나트륨 또는 우유단백농축을 첨가하지 않고 덱스트린 28.5g을 추가로 첨가하여 오메가-7함유 정제유 분말 (j)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오메가-7 함유 정제어유 분말의 관능평가
실시예 9, 10, 11 및 12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100mL의 물에 용해한 후 용해물을 평가자 5명이 평가하였다. 평가방법은 5점 척도로 평가하였다(5점: 아주 좋음, 4점: 좋음, 3점: 보통, 2점: 조금 나쁨, 1점: 아주 나쁨).
그 결과, 표 5는 용해온도 4~5℃에서의 관능평가, 표 6은 용해온도 70~80℃에서의 관능평가를 비교한 것을 나타낸 것으로, 오메가-7 함유 정제어유 분말 (g)의 조성물이 용해도, 기름기, 색상, 맛, 향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항목별 관능평가 값을 방사형 차트로 나타낸 결과 도 1 및 2와 같다.
정제어유 분말 용해도 기름기 색상
(g) 4.5 3.6 4.3 3.2 3.6
(h) 4.5 3.5 4.3 3.0 3.4
(i) 4.3 3.5 4.3 3.0 3.4
(j) 3.8 3.0 4.0 2.0 2.5
정제어유 분말 용해도 기름기 색상
(g) 4.8 3.8 4.2 3.4 3.8
(h) 4.8 3.6 4.2 3.2 3.6
(i) 4.6 3.6 4.0 3.2 3.2
(j) 4.2 3.2 4.0 1.8 1.8
실시예 14: 7-Mega의 조성 분석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한 7-Mega의 조성을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 제 2011-76호 시험법에 준하여 실험을 실시하여 확인한 결과,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미리스트산, 리놀레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팔미트산, 펜타데카노산, 팔밋올레산, 엘라이드산 및 리놀레라이드산이 검출되었다.
시험·검사항목 검사 결과
부티르산(g/100g) 불검출
카프로산(g/100g) 불검출
카프릴산(g/100g) 불검출
카프르산(g/100g) 불검출
로르산(g/100g) 불검출
트리데카노산(g/100g) 불검출
미리스트산(g/100g) 0.63
베헨산(g/100g) 불검출
감마리놀렌산(g/100g) 불검출
리그노세로산(g/100g) 불검출
리놀레산(g/100g) 0.91
스테아르산(g/100g) 0.08
아라키돈산(g/100g) 불검출
아라키드산(g/100g) 불검출
알파리놀렌산(g/100g) 불검출
올레산(g/100g) 1.85
팔미트산(g/100g) 18.98
펜타데카노산(g/100g) 0.53
에루스산(g/100g) 불검출
미리스트올레산(g/100g) 불검출
cis-10켄타데카노산(g/100g) 불검출
팔밋올레산(g/100g) 47.04
헵타데카노산(g/100g) 불검출
cis-10헵타데카노산(g/100g) 불검출
엘라이드산(g/100g) 1.12
리놀레라이드산(g/100g) 0.87
cis-11에이코세논산(g/100g) 불검출
cis-8,11,14-에이코사트리에노산(g/100g) 불검출
cis-11,14,17-에이코사트리에노산(g/100g) 불검출
에이코사펜타에노산(g/100g) 불검출
헤니코사노산(g/100g) 불검출
도코사디에노산(g/100g) 불검출
도코사헥사에노산(g/100g) 불검출
트리코사노산(g/100g) 불검출
네르본산(g/100g) 불검출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1. 오메가-7 불포화지방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지방산 에스테르 0.5~1.5 중량부, 덱스트린 40~50 중량부, 물엿 30~40중량부, 유청분말 10~15중량부, 토코페롤 0.1~1 중량부 및 제삼인산칼슘 1~1.5 중량부를 포함하는 오메가-7 함유 정제어유 분말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메가-7 불포화지방산은 미리스트산, 리놀레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팔미트산, 펜타데카노산, 팔밋올레산, 엘라이드산 및 리놀레라이드산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메가-7 함유 정제어유 분말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카제인나트륨 10~20 중량부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메가-7 함유 정제어유 분말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우유단백농축 10~20 중량부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메가-7 함유 정제어유 분말 조성물.
  6. 삭제
  7.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오메가-7 함유 정제어유 분말 조성물의 제조방법:
    (a) 오메가-7 불포화지방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지방산 에스테르 0.5~1.5 중량부, 덱스트린 40~50 중량부, 물엿 30~40중량부, 유청분말 10~15중량부, 토코페롤 0.1~1 중량부 및 제삼인산칼슘 1~1.5 중량부를 혼합하고, 40~60℃로 예열하는 단계;
    (b) 상기 예열된 혼합물에서 불용성 성분을 제거하고, 균질화시키는 단계;
    (c) 상기 균질화된 혼합물을 70~80℃로 고온 살균하는 단계; 및
    (d) 상기 살균된 혼합물을 분말화시키는 단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메가-7 불포화지방산은 미리스트산, 리놀레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팔미트산, 펜타데카노산, 엘라이드산 및 리놀레라이드산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 카제인나트륨 10~20 중량부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 우유단백농축 10~20 중량부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2. 삭제
KR1020200053336A 2019-05-10 2020-05-04 오메가-7을 함유하는 정제어유 분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64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06004 WO2020231075A1 (ko) 2019-05-10 2020-05-07 오메가-7을 함유하는 정제어유 분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55090 2019-05-10
KR1020190055090 2019-05-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0148A KR20200130148A (ko) 2020-11-18
KR102464175B1 true KR102464175B1 (ko) 2022-11-09

Family

ID=73697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336A KR102464175B1 (ko) 2019-05-10 2020-05-04 오메가-7을 함유하는 정제어유 분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41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6898A (ko) 2020-10-08 2022-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588B1 (ko) 2014-12-24 2017-06-09 대상 주식회사 오메가-3 불포화 지방산-함유 분말의 제조방법
WO2018118995A1 (en) * 2016-12-20 2018-06-28 Barlean's Organic Oils, Llc Emulsified fatty acid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326B1 (ko) * 2015-04-15 2017-02-02 (주) 바이텍 중쇄지방산을 함유하는 분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15110B1 (ko) * 2015-10-16 2018-01-10 에이케이 앤 엠엔 바이오팜 주식회사 오메가-7계 불포화 지방산의 정제공정
KR102006126B1 (ko) * 2017-06-08 2019-08-01 (주) 바이텍 정제어유로부터 획득한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588B1 (ko) 2014-12-24 2017-06-09 대상 주식회사 오메가-3 불포화 지방산-함유 분말의 제조방법
WO2018118995A1 (en) * 2016-12-20 2018-06-28 Barlean's Organic Oils, Llc Emulsified fatty aci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0148A (ko) 202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19453B (zh) 中碳链脂肪酸粉末油脂及其制备方法
JPWO2007097412A1 (ja) 甘草ポリフェノール含有水中油型乳化組成物
CN104207143A (zh) 一种纳米级二十二碳六烯酸乳状液及其制备方法
JP2008072937A (ja) 油溶性物質含有可溶化組成物の製造方法
CN107660620A (zh) 一种羊基油脂微胶囊粉末及其制备方法
JP6964660B2 (ja) 酸化防止剤分散物
JP2018046788A (ja) Dha及び/又はepa高含有グミ状組成物
JP6715930B2 (ja) ゲル状食品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食品
KR102464175B1 (ko) 오메가-7을 함유하는 정제어유 분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01326B1 (ko) 중쇄지방산을 함유하는 분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5116188A (ja) 多価不飽和脂肪酸含有食用植物油脂
JP5738721B2 (ja) ソフトカプセル製剤及びその製造方法
EP3520620A1 (en) Premix for preparing emulsion composition, and composition using same
JP7358535B2 (ja) 粉末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3528382B2 (ja) 油脂可溶化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飲食品
JP2006056816A (ja) 脂溶性ビタミン類含有プレ乳化物
JP2013063970A (ja) ソフトカプセル製剤、ソフトカプセル製剤用組成物、及びソフトカプセル製剤の製造方法
CN104413172A (zh) 一种零反式脂肪酸植脂末用油脂组合物及由此制备的植脂末
JP2019059684A (ja) 打錠用液状油粉末およびその錠剤
JP4726223B2 (ja) 共役リノール酸含有乳化組成物および飲料
JP7430029B2 (ja) 粉末クリーマー
JP4889262B2 (ja) 脂溶性薬剤組成物
WO2012014903A1 (ja) 油脂含有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経口製剤
JP2010189353A (ja) 濃厚流動食用乳化安定化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濃厚流動食
JP7279467B2 (ja) 粉末油脂用油脂組成物、粉末油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