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3798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3798B1
KR102463798B1 KR1020160058424A KR20160058424A KR102463798B1 KR 102463798 B1 KR102463798 B1 KR 102463798B1 KR 1020160058424 A KR1020160058424 A KR 1020160058424A KR 20160058424 A KR20160058424 A KR 20160058424A KR 102463798 B1 KR102463798 B1 KR 102463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uide groove
fixing
elastic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8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7807A (ko
Inventor
박유민
장헌재
손진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8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3798B1/ko
Priority to EP17170309.3A priority patent/EP3244148B1/en
Priority to US15/592,532 priority patent/US10544984B2/en
Publication of KR20170127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7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2Bas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1French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캐비닛에 형성되는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배면 둘레를 따라 돌출되는 도어 다이크; 상기 도어 다이크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홈; 상기 안내홈에서 상기 안내홈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하로 서로 이격되는 다수개의 고정홈; 상기 도어 다이크에 회동 및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납부재; 상기 수납부재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되는 구속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구속부재는, 상기 수납부재에서 돌출되어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며, 상기 수납부재의 회동 중심이 되는 회동 중심부; 상기 회동 중심부와 이격된 일측에서 돌출되며, 상기 수납부재의 회동에 따라 상기 고정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고정부; 및 상기 회동 중심부와 상기 고정부의 사이에서 고정부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납부재의 회동시 탄성 변형되어 상기 고정부가 상기 고정홈에 삽입 또는 분리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 중심부와 고정부 및 탄성부는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성형되되, 상기 회동 중심부와 고정부는 상기 수납부재의 측면과 접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수납부재의 측면과 이격된 상태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 A refrigerator }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로서,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와 사용자의 기호가 다양해 짐에 따라 대형화 및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저장된 음식물의 신선도를 위한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냉장고의 고내측과 도어의 배면에는 선반, 서랍, 바스켓 등이 구비되어 다양한 식품들을 냉동 및 냉장저장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고내 또는 도어에 제공되는 선반과 바스켓 등은 저장되는 식품 크기에 따라 분리되어 원하는 위치에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저장되는 식품에 따른 고내 공간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선반과 바스켓 등에 식품이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선반과 바스켓의 높이 조절을 위해서는 식품을 모두 들어낸 후 선반과 바스켓을 분리하고, 원하는 위치에 다시 장착한 후 식품을 다시 선반과 바스켓에 저장하여야 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치게 된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상기 선반과 바스켓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선반과 바스켓의 상하 높이가 조절 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냉장고가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0-0138098호에는, 도어 테두리에는 안내홈과 고정홈이 형성된 수납부재 장착부가 형성되고, 수납부재의 양측면에는 안내홈을 따라 이동되는 안내돌기와 수납부재의 회동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구비되어 수납부재의 상하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한 종래기술이 개시된다.
한편, 상기의 종래기술과 같은 구조에서는, 수납부재의 유동에 의해서 고정돌기가 고정홈으로 부터 이탈되어 수납부재가 낙하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수납부재의 고정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없으므로 사용자가 불안감을 느낄 수 있으며, 수납부재의 낙하로 인한 식품의 손상 및 사용자의 부상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회동 조작에 의해서 상기 도어의 배면을 따라 용이하게 상하 이동 및 구속이 가능한 수납부재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납부재의 구속이 해제된 상태에서, 수납부재가 별도의 조작없이 용이하게 구속 상태로 복귀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납부재의 구속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캐비닛에 형성되는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배면 둘레를 따라 돌출되는 도어 다이크; 상기 도어 다이크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홈; 상기 안내홈에서 상기 안내홈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하로 서로 이격되는 다수개의 고정홈; 상기 도어 다이크에 회동 및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납부재; 상기 수납부재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되는 구속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구속부재는, 상기 수납부재에서 돌출되어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며, 상기 수납부재의 회동 중심이 되는 회동 중심부; 상기 회동 중심부와 이격된 일측에서 돌출되며, 상기 수납부재의 회동에 따라 상기 고정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고정부; 및 상기 회동 중심부와 상기 고정부의 사이에서 고정부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납부재의 회동시 탄성 변형되어 상기 고정부가 상기 고정홈에 삽입 또는 분리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 중심부와 고정부 및 탄성부는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성형되되, 상기 회동 중심부와 고정부는 상기 수납부재의 측면과 접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수납부재의 측면과 이격된 상태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그리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수납부재의 회동시 상기 안내홈의 내측면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탄성부가 탄성 변형되었을 때,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안내홈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구속부재는 상하로 연장되는 리브 형상의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 중심부와 고정부는 각각 상기 연장부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고정부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안내홈의 내측면에 면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그리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연장부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부분; 상기 제1부분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부분; 상기 제1부분과 제2부분이 접하는 부분에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의 내측면에 접하는 라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는 리브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납부재의 측면과 이격되어 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와 연장부의 사이에는, 상기 탄성부의 탄성 변형을 위한 유동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의 상면과 고정홈의 상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 다이크의 내측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장착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안내홈과 고정홈은 상기 장착부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도어 다이크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도어 다이크이 내측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도어 다이크의 내측면 전단부에서 돌출되는 제1바디; 상기 도어 다이크의 내측면에서 돌출되되 상기 제1바디의 후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1바디와 적어도 일부가 이격되는 제2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홈은 상기 제1바디와 제2바디의 이격된 사이 공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안내홈은, 상기 구속부재가 상기 안내홈의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상방으로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수납부재가 장착된 상태에서 회동 조작에 의해 선택적인 구속 및 구속 해제가 가능하게 되며, 수납부재의 구속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 시켜 수납부재의 장착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수납부재의 측면에 구비되는 구속부재는,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고정부가 고정홈에 삽입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수납부재를 상하 이동 시킨후 수납부재를 놓을 경우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서 고정부가 용이하게 고정홈으로 삽입되므로, 수납부재의 구속을 위한 사용자의 별도 동작이 필요치 않게 되어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둘째, 사용자가 수납부재를 회동시켜 구속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수납부재를 놓칠 경우에도,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서 고정부가 고정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면 삽입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수납부재의 낙하로 인한 수납부재와 식품의 파손 및 사용자의 부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되어 사용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셋째, 고정부가 고정홈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도, 탄성부는 안내홈의 내측면에 접하여 고정부가 고정홈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수납부재의 회동을 강제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의 개방이나 수납부재에 저장된 식품의 인출입시에도 수납부재의 흔들림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으며, 고정부가 고정홈에 삽입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사용시 안정감이 향상될 수 있다.
넷째, 고정부의 상면과 고정홈이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고정부가 고정홈의 내부로 용이하게 인출입 가능하게 된다.
다섯째, 구속부재는 회동 중심부와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며, 연장부는 고정홈의 내측면에 면접촉된다. 따라서, 연장부에 의해서 회동 중심부 및 고정부에 가해지는 외력이 분산될 수 있게 구속부재의 내구성이 향상되며, 연장부의 면접촉에 의해서 수납부재의 유동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수납부재와 도어의 결합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수납부재와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구속부재의 세부적인 구조를 보인 수납부재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구속부재와 장착부재의 결합구조를 세부적으로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6는 수납부재가 고정된 초기 상태에서 구속부재와 장착부재의 구조를 세부적으로 보인 절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수납부재의 전단이 상방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구속부재와 장착부재의 구조를 보인 절개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수납부재가 하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구속부재와 장착부재의 구조를 보인 절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10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공간은 베리어에 의해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의 상부에는 냉장실(1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캐비닛(10)의 하부에는 냉동실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에는 선반(50), 서랍 또는 바스켓과 같은 식품의 수납을 위한 다양한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00)는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2)의 개구된 전면을 회동에 의해 개폐하며,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상기 냉동실의 개구된 전면을 회동에 의해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는 좌우 한쌍이 구비되어 각각 냉장실(13)과 냉동실을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100)는 전면과 둘레면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110)와 고내측에 해당하는 상기 도어(100)의 배면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120)에 의해서 전체적인 외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어(100)의 배면에는 바스켓 및 데얼리 코너와 같은 식품의 수납을 위한 다수의 수납부재(200)들이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수납부재(200)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도어(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200)는 식품의 수납이 가능하고 상기 도어(100)에 장착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수납부재(200)가 상면이 개구된 바스켓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도어 라이너(120)에는 둘레를 따라 후방으로 돌출되는 도어 다이크(1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다이크(122)는 상기 도어(100)의 배면 둘레를 따라 후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다이크(122)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의 사이 거리는 상기 수납부재(200)의 좌우 폭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다이크(122)는 상기 수납부재(200)의 좌우 양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돌출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도어 다이크(122)는 상기 수납부재(200)의 좌우 양측면의 후반부를 감쌀 수 있도록 상기 수납부재(200)의 후반부의 전후방향 길이와 대응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다이크(122)의 내측면에는 상기 수납부재(200)의 장착을 위한 장착부재(30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수납부재(200)는 상기 장착부재(300)에 상하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수납부재(200)와 장착부재(300)의 결합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수납부재와 도어의 결합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수납부재와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장착부재(300)는 상기 도어 다이크(122)의 서로 마주보는 좌우 내측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재(300)는 상기 도어 다이크(122)의 내측면으로 부터 돌출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다이크(122)와 함께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장착부재(300)는 상기 도어 다이크(122)와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도어 다이크(122)에 장착되는 구조도 가능할 것이나, 이하에서는 상기 장착부재(300)가 상기 도어 다이크(122)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실시예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장착부재(300)는 다수 개의 수납부재(2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 다이크(122)에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하로 다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수납부재(200)는, 식품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방으로 개구된 수납공간(250)을 형성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에 수납된 식품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재(200)는 상기 도어(100)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도어 다이크(122)의 전방(도 2에서 볼 때)으로 돌출되는 전반부(210)와, 상기 도어 다이크(122)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도어(100)의 배면 및 상기 장착부재(300)의 내측면과 접하는 후반부(220)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반부(210)의 가로방향 폭은 상기 후반부(220)의 가로방향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반부(210)와 후반부(220)가 접하는 부분에는 단차진 단차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부(230)는 상기 장착부재(300)의 선단부에 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납부재(200)의 좌우 및 상하 요동이 방지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전반부(210)의 가로 방향 폭은 상기 도어 다이크(122)의 좌우 양측면에 구비된 한쌍의 상기 장착부재(300)의 사이 거리 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반부(220)의 가로 방향 폭은 상기 도어 다이크(122)의 좌우 양측면에 구비된 한쌍의 상기 장착부재(300)의 사이 거리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한쌍의 상기 장착부재(300)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전반부(210)는 상기 단차부(230)가 상기 도어 다이크(122)의 선단에 접하도록 상기 도어 다이크(122)의 좌우 양측면 사이 거리 보다 더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수납부재(200)의 배면은, 상기 수납부재(200)가 상기 장착부재(3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100)의 배면에 접하여 지지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수납부재(200)의 배면에는 상단에서 하방으로 함몰된 절개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240)는 상기 수납부재(200)의 배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납부재(200)의 배면과 상기 도어(100)의 배면의 접촉면적이 작아지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도어(100)의 배면과 상기 수납부재(200)의 배면 사이의 온도차에 의한 결로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후반부(220) 양측면에는, 상기 장착부재(300)의 안내홈(320)의 내측에서 상하로 이동되며 고정홈(330)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속부재(400)가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착부재(300)는, 상기 장착부재(300)는 상기 도어 다이크(122)의 내측면에서 돌출되는 바디(3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310)의 내측면에는 상하로 길게 함몰 형성되는 안내홈(320)과, 상기 안내홈(320)의 일측에서 함몰되며 상기 안내홈(320)과 연통되는 고정홈(3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310)는 상기 도어 다이크(122)의 내측면에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하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310)는 상기 도어 다이크(122)가 돌출되는 전후방 길이에 대응되는 전후방 길이로 형성되어 선단이 상기 도어 다이크(122)의 선단과 동일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안내홈(320)은, 상기 구속부재(400)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속함으로써 상기 수납부재(200)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속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바디(310)의 내측면 가로방향 중심에서 상하로 길게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속부재(400)가 상기 안내홈(3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안내홈(320)의 전면과 배면 사이에 구속되어 이탈되지 않고 상하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바디(310)는 상기 도어 다이크(122)의 전단부에 위치되는 제1바디(311)와, 상기 도어 다이크(122)의 후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1바디(311)와 적어도 일부가 이격되는 제2바디(31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내홈(320)은 상기 제1바디(311)와 제2바디(312)의 서로 이격된 사이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속부재(400)는 상기 안내홈(3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바디(311)의 후단에 구속되어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안내홈(320)은 상기 수납부재(2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길이만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내홈(320)은 상단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안내홈(320)의 개구된 상단을 통해서 상기 구속부재(400)가 상기 안내홈(320)으로 삽입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구속부재(400)를 상기 안내홈(320)의 개구된 상단을 통해서 상기 구속부재(400)를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수납부재(200)를 상기 장착부재(300)에 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홈(330)은, 상기 수납부재(200)의 회동 조작에 의해서 상기 구속부재(400)의 일측이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되어 상기 수납부재(2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고정홈(330)은, 상기 안내홈(320)의 내측면에서 상기 도어(100)의 배면을 향하여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안내홈(320)은 상기 제2바디(312)의 상기 안내홈(320)을 향하는 전단에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홈(330)은 상기 제2 바디(312)에 상하로 다수개가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구속부재(400)가 상기 다수개의 고정홈(330) 중 어느 하나의 고정홈(330)에 선택적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수납부재(200)가 원하는 높이에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정홈(330)은 상기 안내홈(320)의 상단과 하단의 사이 영역에서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연속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홈(330)은 상기 안내홈(320)을 따라서 서로 이격된 다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320)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구속부재의 세부적인 구조를 보인 수납부재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5는 구속부재와 장착부재의 결합구조를 세부적으로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상기 구속부재(400)는 상기 수납부재(200)의 후반부(220) 양측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수납부재(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구속부재(400)가 별도의 부재로 제공되어 상기 수납부재(200)에 장착되는 구조도 가능할 것이나, 이하에서는 상기 구속부재(400)와 수납부재(20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실시예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구속부재(400)는, 수납부재(200)의 회동시 상기 수납부재(400)의 회동 중심이 되는 회동 중심부(410)와, 상기 회동 중심부(410)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420)와, 상기 수납부재(200)의 회동에 의해서 상기 고정홈(330)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고정부(440)와, 상기 고정부(440)가 상기 고정홈(33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수납부재(200)의 회동을 강제하는 탄성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동 중심부(410)는, 상기 후반부(220)의 외측면 상부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 중심부(410) 상기 안내홈(320)의 전후방향 폭에 대응되는 전후방향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내홈(3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방으로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회전축의 기능을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 중심부(410)는 상기 구속부재(400)의 회동시 상기 안내홈(320)의 내측면과 접하는 부분이 일정한 곡률을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회동 주심부(410)는 상기 안내홈(320)의 전후방향 폭에 대응되는 지름을 가지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연장부(420)는 상기 후반부(220)의 외측면에서 상하로 길게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420)의 상단은 상기 회동 중심부(410)의 하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연장부(420)는 상기 회동 중심부(410)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장부(420)의 전후방향 폭은 상기 안내홈(320)의 전후방향 폭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속부재(400)가 상기 안내홈(320)의 내측에서 회동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420)의 후면은 상기 제2바디(312)의 전면과 면접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40)는 상기 후반부(220)의 외측면 하부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40)는 상기 연장부(420)의 후면 보다 더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420)의 후면이 상기 제2바디(312)의 전면에 접촉되었을 때 상기 고정홈(33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40)는 상기 연장부(420)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연장부(420)는 상기 회동 중심부(410)와 상기 고정부(440)를 연결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회동 중심부(410)와 연장부(420) 및 상기 고정부(440)가 서로 연결된 일체로 제공됨으로써, 스트레스 및 외부 충격에 의해서 쉽게 파손되지 않고 강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440)의 상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재(200)의 전단을 상방으로 회동시 상기 고정홈(330)으로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440)의 경사진 상면으로 인해서 사용자가 상기 수납부재(200)의 전단을 상방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힘을 가할 때 상방으로 가해지는 힘이 상기 수납부재(200)의 회동력으로 효과적으로 전환될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고정홈(330)의 상면 또한 상기 고정부(440)의 상면과 대응되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재(200)의 회동에 따른 상기 고정부(440)의 인출입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홈(330)은 상면이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안내홈(320)를 향해 전방으로 갈수록 상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430)는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제공되며,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고정부(440)가 상기 고정홈(33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수납부재(200)의 회동을 강제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430)는 상기 수납부재(200)의 전던이 하방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430)는, 상기 고정부(440)가 상기 고정홈(330)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상기 수납부재(200)의 전단이 하방으로 회동된 초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430)는 상기 연장부(420)의 일측에서 상기 안내홈(320)의 전면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탄성부(430)는 상기 연장부(420)의 일측에서 상기 제1바디(311)의 후면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바디(311)의 후면에 접촉되어 탄성력을 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탄성부(430)가 상기 제1바디(311)의 후면에 접촉되는 부분은 상기 회동 중심부(410)로 부터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430)가 상기 제1바디(311)의 후면을 탄성 가압함으로써 상기 수납부재(200)의 전단이 상기 회동 주심부(410)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강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탄성부(430)는 상기 연장부(420)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430)의 적어도 일부는 탄성 변형을 위해서 상기 연장부(420)와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430)와 연장부(420)의 사이에는 상기 탄성부(430)의 탄성 변형을 위한 유동 공간(45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430)는 탄성 변형을 위해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납부재(200)의 측면으로 부터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430)는 상기 수납부재(410)의 전단이 상방으로 회동될 때 상기 제1바디(311)의 후면에 접하는 부분이 가압되어 탄성변형될 수 있게 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탄성부(430)는 상기 연장부(420)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고 다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430)는 상기 연장부(420)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부분(431)과, 상기 제1부분의 단부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부분(43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430)는, 상기 제1부분과 제2부분이 접하는 부분에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라운드부(43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운드부(433)는 최대로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으로써 상기 제1바디(311)와 접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430)의 상단은 상기 연장부(420)의 전면에서 연장됨으로써 상기 연장부(420)의 전면에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430)의 하단은 상기 탄성부(430)의 탄성 변형을 위해서 연장부(420)와 전후방으로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430)의 측면은 상기 수납부재(200)의 측면으로 부터 절개되어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430)는 상기 수납부재(200)의 측면과 이격되어 공간부(460)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부(430)의 상단과 하단이 모두 상기 연장부(420)와 접하여 일체로 형성되더라도 상기 유동 공간(450)에 의해서 상기 탄성부(430)의 탄성 변형이 가능할 수 있으므로, 상기 탄성부(430)의 상단과 하단이 모두 상기 연장부(420)와 접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6는 수납부재가 고정된 초기 상태에서 구속부재와 장착부재의 구조를 세부적으로 보인 절개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수납부재의 전단이 상방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구속부재와 장착부재의 구조를 보인 절개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수납부재가 하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구속부재와 장착부재의 구조를 보인 절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수납부재(200)의 회동에 따른 상기 구속부재와 장착부재의 상호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수납부재(200)의 전단이 하방으로 회동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440)는 상기 고정홈(330)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수납부재(200)는 상하 이동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420)의 후면은 상기 제2바디(312)의 전면과 접촉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재(200)의 상기 단차부(230)는 상기 제1바디(311)의 전면에 접하여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수납부재(200)는 전후방으로 유동이 방지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430)는 상기 제1바디(11)의 후면에 접촉되며 상기 제1바디(11)의 후면에 지속적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440)는 상기 탄성부(430)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고정홈(330)으로 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납부재(200)에 외부 충격이 발생되거나 식품의 인출입에 의한 간섭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수납부재(200)가 유동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탄성부(430)의 탄성계수를 높임으로써 상기 수납부재(200)가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탄성부(430)의 탄성계수를 낮춤으로써 상기 수납부재(200)의 회동조작이 보다 용이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수납부재(200)의 상하 이동을 위해서 상기 수납부재(200)의 전단을 상방으로 들어올리게 될 경우, 상기 수납부재(200)는 상기 회동 중심부(410)를 회전축으로 하여 전단이 상방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440)는 상기 고정홈(330)으로 부터 이탈되어 상기 안내홈(32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수납부재(200)의 전단이 상방으로 회동되면 상기 구속부재(400) 전체가 상기 안내홈(32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납부재(200)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탄성부(430)는 가압되어 상기 유동공간(450)의 전후방향 폭이 좁아지도록 탄성변형될 수 있다. 즉, 상기 수납부재(200)의 전단이 상방으로 회동하게 되면 상기 탄성부(430)의 탄성 변형에 의해서 상기 유동공간(450)의 전후방향 폭이 좁아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속부재(400)가 상기 회동 중심부(410)를 중심으로 하단이 전방으로 회동하게 되어 하단부에 위치된 상기 고정부(440)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안내홈(320)으로 부터 이탈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탄성부(430)는 상기 수납부재(200)의 전단이 하방으로 회동되도록 지속적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납부재(200)의 전단을 상방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수납부재(200)를 상하방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수납부재(200)를 놓을 경우, 별도의 조작 없이도 상기 탄성부(430)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고정부(440)가 상기 고정홈(330)에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수납부재(200)를 상하로 이동시킬 때 사용자가 상기 수납부재(200)를 놓치더라도 상기 상기 탄성부(430)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고정부(440)가 상기 고정홈(330)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고정홈(330)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납부재(200)의 낙하로 인한 파손 및 식품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수납부재(200)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고정부(440)를 원하는 높이의 상기 고정홈(330)에 위치시킨 후 상기 수납부재(200)를 놓게 되면, 상기 수납부재(200)는 상기 탄성부(430)의 탄성력에 의해서 전단이 하방으로 회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440)는 상기 탄성부(430)에 삽입되어 상기 수납부재(200)가 상하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430)는, 상기 고정부(440)가 상기 고정홈(330)에 삽입된 상태에도 상기 수납부재(200)의 전단이 하방으로 회동된 초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외부 충격 또는 상기 수납부재(200)의 사용에 따른 상기 수납부재(200)에 소정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고정부(440)는 상기 탄성부(430)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고정홈(330)에 안정적으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440)가 상기 고정홈(330)으로 부터 임의로 탈거되어 상기 수납부재(200)가 낙하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수납부재(200)의 상하 이동을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으며, 상기 수납부재(200)의 안정적인 고정에 의해서 안전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Claims (15)

  1. 캐비닛에 형성되는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배면 둘레를 따라 돌출되는 도어 다이크;
    상기 도어 다이크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홈;
    상기 안내홈에서 상기 안내홈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하로 서로 이격되는 다수개의 고정홈;
    상기 도어 다이크에 회동 및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납부재;
    상기 수납부재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되는 구속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구속부재는,
    상기 수납부재에서 돌출되어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며, 상기 수납부재의 회동 중심이 되는 회동 중심부;
    상기 회동 중심부와 이격된 일측에서 돌출되며, 상기 수납부재의 회동에 따라 상기 고정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고정부; 및
    상기 회동 중심부와 상기 고정부의 사이에서 고정부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납부재의 회동시 탄성 변형되어 상기 고정부가 상기 고정홈에 삽입 또는 분리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 중심부와 고정부 및 탄성부는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성형되되,
    상기 회동 중심부와 고정부는 상기 수납부재의 측면과 접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수납부재의 측면과 이격된 상태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수납부재의 회동시 상기 안내홈의 내측면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탄성부가 탄성 변형되었을 때,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안내홈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재는 상하로 연장되는 리브 형상의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 중심부와 고정부는 각각 상기 연장부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고정부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안내홈의 내측면에 면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삭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연장부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부분;
    상기 제1부분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부분;
    상기 제1부분과 제2부분이 접하는 부분에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의 내측면에 접하는 라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리브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납부재의 측면과 이격되어 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와 연장부의 사이에는, 상기 탄성부의 탄성 변형을 위한 유동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상면과 고정홈의 상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다이크의 내측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장착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안내홈과 고정홈은 상기 장착부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도어 다이크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도어 다이크의 내측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도어 다이크의 내측면 전단부에서 돌출되는 제1바디;
    상기 도어 다이크의 내측면에서 돌출되되 상기 제1바디의 후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1바디와 적어도 일부가 이격되는 제2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홈은 상기 제1바디와 제2바디의 이격된 사이 공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은, 상기 구속부재가 상기 안내홈의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상방으로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60058424A 2016-05-12 2016-05-12 냉장고 KR102463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424A KR102463798B1 (ko) 2016-05-12 2016-05-12 냉장고
EP17170309.3A EP3244148B1 (en) 2016-05-12 2017-05-10 Refrigerator
US15/592,532 US10544984B2 (en) 2016-05-12 2017-05-11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424A KR102463798B1 (ko) 2016-05-12 2016-05-12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7807A KR20170127807A (ko) 2017-11-22
KR102463798B1 true KR102463798B1 (ko) 2022-11-07

Family

ID=58699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8424A KR102463798B1 (ko) 2016-05-12 2016-05-12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544984B2 (ko)
EP (1) EP3244148B1 (ko)
KR (1) KR1024637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02017019233B1 (pt) * 2017-09-08 2022-10-18 Whirlpool S.A. Sistema de translação para prateleira de refrigerador
US10451338B2 (en) 2017-12-08 2019-10-22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Door storage bin assembly for a refrigerator
KR102463850B1 (ko) * 2018-05-03 2022-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629957B1 (ko) * 2018-12-11 2024-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27913A (ko) * 2019-09-03 2021-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JP7108590B2 (ja) * 2019-11-13 2022-07-28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JP7272934B2 (ja) * 2019-11-13 2023-05-12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JP7449675B2 (ja) * 2019-11-13 2024-03-14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US11015860B1 (en) 2019-12-18 2021-05-25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Door bins and door liner interface
JP7374474B2 (ja) * 2019-12-25 2023-11-07 アクア株式会社 冷蔵庫
JP6993493B1 (ja) 2020-12-15 2022-01-13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JP7178472B2 (ja) * 2020-12-15 2022-11-25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US11624547B2 (en) 2021-06-14 2023-04-11 Whirlpool Corporation Bin attachment assembly for a trim breaker
US20230152031A1 (en) * 2021-11-16 2023-05-18 Whirlpool Corporation Modular appliance bin
US11629904B1 (en) 2022-01-12 2023-04-18 Bby Solutions, Inc. Adjustable refrigerator shelving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73A (en) * 1878-02-26 Improvement in book-shelves
US716852A (en) * 1901-03-09 1902-12-30 James Roy Baker Book-shelf support.
US2767951A (en) * 1953-11-06 1956-10-23 Ex Corp Shelf lock
US2843333A (en) * 1954-09-14 1958-07-15 Martin E Jones Spinning ratchet reel
US3356328A (en) * 1966-03-21 1967-12-05 Helmuth H Sachau Shelf supports
US4170335A (en) * 1978-05-19 1979-10-09 William C. Rodgers Infinitely adjustable support bracket
US4911393A (en) * 1989-04-05 1990-03-27 Alperson Joel H Retailing display bracket
DE10145141A1 (de) * 2001-09-13 2003-04-03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Kältegerät mit Kühlluftzirkulation
US8322804B2 (en) * 2009-01-15 2012-12-04 Lg Electronics Inc. Container elevating apparatus in a door refrigerator
KR101584808B1 (ko) * 2009-06-24 2016-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높이조절 수납부재가 구비된 냉장고
KR20110089792A (ko) * 2010-02-01 2011-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도어 바스켓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EP2489967B1 (en) * 2011-02-18 2019-08-28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Refrigerating appliance
US8757743B2 (en) * 2011-06-03 2014-06-24 General Electric Company Support system for use with an appliance
CN102313433B (zh) * 2011-09-06 2016-07-27 海尔集团公司 冰箱瓶座安装机构
KR102087172B1 (ko) * 2013-07-03 2020-03-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초전도 모터 사이클을 이용한 액체산소 냉각시스템
KR20150045749A (ko) * 2013-10-21 2015-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EP2843333A1 (en) * 2014-07-23 2015-03-04 Gorenje d.d. Enhanced system for vertically adjusting a deposit container in a door of a household appliance
KR102396040B1 (ko) * 2016-01-05 2022-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9572428B2 (en) * 2015-03-23 2017-02-21 Whirlpool Corporation Concealed vertical adjustment mechanism for kitchen appliance storage memb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44148A1 (en) 2017-11-15
EP3244148B1 (en) 2020-08-12
KR20170127807A (ko) 2017-11-22
US20170328627A1 (en) 2017-11-16
US10544984B2 (en) 2020-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3798B1 (ko) 냉장고
US10731916B2 (en) Refrigerator
KR102026464B1 (ko) 가변선반장치 및 이를 포함한 냉장고
US20120293056A1 (en) Door basket and refrigerator including same
US9534833B2 (en) Basket for refrigerator
EP3564605B1 (en) Refrigerator
US10495373B2 (en) Refrigerator
EP2677258A2 (en) Refrigerator
KR102500293B1 (ko) 냉장고
US8152257B2 (en) Door basket for refrigerator
KR102447530B1 (ko) 냉장고
KR101838812B1 (ko) 냉장고
KR102421453B1 (ko) 냉장고
KR102143016B1 (ko) 냉장고 바스켓
JP3927983B2 (ja) 冷蔵庫
KR102485761B1 (ko) 냉장고
KR20070106090A (ko) 냉장고 도어 바스켓 장착구조
KR102338782B1 (ko) 냉장고
KR101654933B1 (ko) 냉장고의 수납장치
JP3696022B2 (ja) 冷蔵庫
KR101803625B1 (ko) 냉장고
JP4471790B2 (ja) 冷蔵庫
KR20180022225A (ko) 냉장고용 서랍식 수납장치
KR102440981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서랍 도어
KR102463850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