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3663B1 - 전기차 충전용 라운드 단자 절곡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차 충전용 라운드 단자 절곡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63663B1 KR102463663B1 KR1020220054697A KR20220054697A KR102463663B1 KR 102463663 B1 KR102463663 B1 KR 102463663B1 KR 1020220054697 A KR1020220054697 A KR 1020220054697A KR 20220054697 A KR20220054697 A KR 20220054697A KR 102463663 B1 KR102463663 B1 KR 1024636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astic contact
- contact piece
- pressing
- round terminal
- b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단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외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탄성접촉편을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용 라운드 단자의 각각의 탄성접촉편을 절곡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저면 일측에 상기 베이스부 상부 일측에 설치된 상기 라운드 단자의 탄성접촉편을 가압하여 절곡하는 가압면이 형성된 가압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면은 하방으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접촉편과 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라운드 단자의 탄성 접촉편과 이를 가압하는 가압부 간의 접촉 구조를 개선하여 가압부의 과도한 가압력에 의한 탄성 접촉편의 손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탄성 접촉편을 균일한 가압력으로 가압하여 정확한 절곡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제품의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라운드 단자의 탄성 접촉편과 이를 가압하는 가압부 간의 접촉 구조를 개선하여 가압부의 과도한 가압력에 의한 탄성 접촉편의 손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탄성 접촉편을 균일한 가압력으로 가압하여 정확한 절곡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제품의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라운드 단자 절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라운드 단자의 탄성 접촉편과 이를 가압하는 가압부 간의 접촉 구조를 개선하여 가압부의 과도한 가압력에 의한 탄성 접촉편의 손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탄성 접촉편을 균일한 가압력으로 가압하여 보다 정확한 절곡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 전기차 충전용 라운드 단자 절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 자동차는 12V급 배터리가 사용되는 데 반해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전기자동차, 연료전지 자동차는 300V 이상의 높은 전압과 수십~수백A(암페어)의 대(大)전류가 필요하며, 전원장치와 인버터, 모터 등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높은 열을 견딜 수 있는 고전압 커넥터와 케이블 등이 필요하다.
이와 더불어, 친환경 자동차용 고전압 배터리는 모터 출력 증대 추세로 인하여 전기적인 회로 구성이 고전류 및 고전압 회로의 안정적인 전기부품을 필요로 하게 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고전압 커넥터에서 라운드 단자의 경우, 탄성 접촉편 구조의 라운드 단자, 코일 스프링형 라운드 단자(미국특허 US 8579666호), 라멜라형 라운드 단자(미국특허 US 6783406호) 등과 같은 구조가 적용된다.
한편, 탄성 접촉편 구조의 라운드 단자(10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통형상의 몸체부(101')와, 상기 몸체부(101')의 일측단으로부터 외측방향을 연장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01')의 외주방향을 따라 이격배치되는 다수의 탄성 접촉편(102')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탄성 접촉편 구조의 라운드 단자(100')는 원통형상의 상대 단자에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다수의 탄성 접촉편(102')이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도록 절곡 형성된다.
종래에는 탄성 접촉편(102')의 절곡 작업을 위해 도 2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클램핑부(200')의 선단과 나란하게 배치된 라운드 단자(100')의 몸체부(101')를 클램핑부(200')에 클램핑한 상태에서 상부에 설치된 가압블록(300')의 저면을 통해 탄성 접촉편(102')의 후단부를 가압하는 방식을 통해 다수의 탄성 접촉편(102')을 순차적으로 절곡하였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 방식은 가압블록(300')의 저면이 평탄하게 이루어져 도 2의 (b) 및 (c)의 확대도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압블록(300')의 저면과 탄성 접촉편(102')의 후단부가 전후 방향을 따라 선 접촉 구조를 형성함에 따라 초기 가압과정에서 탄성 접촉편(102')에 가압블록(300')의 과도한 가압력이 작용하여 탄성 접촉편(102')의 외주면에 찍힘 등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종래 방식은 도 3의 (a)의 확대도 B' 및 (b)의 확대도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압블록(300')에 의한 가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가압블록(300')의 저면과 탄성 접촉편(102')의 외주면 간의 접촉면적이 가변됨에 따라 가압블록(300')의 저면을 통해 탄성 접촉편(102')을 균일하게 가압할 수 없으므로 가압블록(300')에 인가되는 가압력의 제어가 쉽지 않아 탄성 접촉편(102')의 정확한 절곡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라운드 단자의 탄성 접촉편과 이를 가압하는 가압부 간의 접촉 구조를 개선하여 가압부의 과도한 가압력에 의한 탄성 접촉편의 손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탄성 접촉편을 균일한 가압력으로 가압하여 정확한 절곡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 전기차 충전용 라운드 단자 절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단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외주방향을 따라 이격배치되는 다수의 탄성접촉편을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용 라운드 단자의 각각의 탄성접촉편을 절곡하는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저면 일측에 상기 베이스부 상부 일측에 설치된 상기 라운드 단자의 탄성접촉편을 가압하여 절곡하는 가압면이 형성된 가압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면은 하방으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접촉편과 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용 라운드 단자 절곡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가압되는 탄성접촉편의 대향하는 하부에 배치된 탄성접촉편의 외면 일측을 지지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압블록의 저면 일측 중 상기 가압팁과 이격된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부가 절곡대상 탄성접촉편과 이웃하는 탄성접촉편 사이에 삽입되는 한 쌍의 수직정렬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직정렬부는 상단부가 상기 가압블록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에 이웃하는 탄성접촉편의 측면에 지지되며 절곡대상 탄성접촉편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 정렬바 및 상기 가압블록의 내부 일측과 상기 정렬바의 상단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정렬바에 하방으로 탄성복원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렬바는 절곡 대상 탄성접촉편과 접하는 내측에 절곡 대상 탄성접촉편을 수직 하방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압블록의 저면 일측 중 상기 가압팁과 이격된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부가 절곡대상 탄성접촉편과 이웃하는 탄성접촉편 사이에 삽입되는 한 쌍의 수직정렬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직정렬부는 상단부가 상기 가압블록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에 절곡대상 탄성접촉편과 이웃하는 탄성접촉편의 측면에 지지되는 볼이 회전가능하게 수용된 정렬바 및 상기 가압블록의 내부 일측과 상기 정렬바의 상단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정렬바에 하방으로 탄성복원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는 원통형상으로서 양단부가 상기 가압부의 저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외주면이 상기 가압면의 하부로 일부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가압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라운드 단자의 탄성 접촉편과 이를 가압하는 가압부 간의 접촉 구조를 개선하여 가압부의 과도한 가압력에 의한 탄성 접촉편의 손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탄성 접촉편을 균일한 가압력으로 가압하여 보다 정확한 절곡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가공되는 라운드 단자의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탄성 접촉편 구조의 라운드 단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
도 2는 종래 탄성 접촉편 구조의 라운드 단자 절곡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
도 3은 종래 탄성 접촉편 구조의 라운드 단자의 절곡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단자 절곡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단자 절곡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단자 절곡장치의 가압부와 탄성접촉편 간의 접촉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단자 절곡장치의 가압부와 탄성접촉편의 초기 접촉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
도 8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단자 절곡장치의 가압부에 의해 탄성접촉편이 절곡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
도 9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단자 절곡장치에서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의 정면도.
도 12a 및 12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의 정면도.
도 14a 및 14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의 정면도.
도 1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 탄성 접촉편 구조의 라운드 단자 절곡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
도 3은 종래 탄성 접촉편 구조의 라운드 단자의 절곡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단자 절곡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단자 절곡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단자 절곡장치의 가압부와 탄성접촉편 간의 접촉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단자 절곡장치의 가압부와 탄성접촉편의 초기 접촉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
도 8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단자 절곡장치의 가압부에 의해 탄성접촉편이 절곡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
도 9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단자 절곡장치에서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의 정면도.
도 12a 및 12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의 정면도.
도 14a 및 14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의 정면도.
도 1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단자 절곡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단자 절곡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단자 절곡장치의 가압부와 탄성접촉편 간의 접촉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단자 절곡장치(1)는 원통형상의 몸체부(101)와, 몸체부(101)의 일측단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몸체부(101)의 외주방향을 따라 이격배치되는 다수의 탄성접촉편(102)을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용 라운드 단자(100)의 각각의 탄성접촉편(102)을 절곡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부(10), 회전 클램핑부(20), 가압부(30), 카메라부(40), 받침부(50) 및 제어부(6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설치대상 영역에 설치되고, 회전 클램핑부(20), 가압부(30), 카메라부(40) 및 받침부(50)의 설치영역을 제공한다.
회전 클램핑부(20)는 수평하게 배치된 라운드 단자(100)의 몸체부(101)를 클램핑함과 아울러 회전동작을 통해 각각의 탄성접촉편(102)을 가압부(30)와 대응되는 하부에 배치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도 4의 확대도 B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몸체(21), 클램프(22) 및 구동수단(23)을 포함한다.
회전몸체(21)는 원통형상으로서 선단 중앙 일측에 몸체부(101)의 후단이 지지되며, 베이스부(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클램프(22)는 블록형상으로서 복수개가 회전몸체(21)의 선단에 방사상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각각이 회전몸체(21)의 선단 중앙 일측을 기준으로 회전몸체(21)의 내외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클램프(22)는 각각의 내측단에 몸체부(101)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고정면(22a)이 형성되어 회전몸체(21)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몸체부(101)의 외주면에 지지되어 몸체부(101)를 클램핑하게 된다.
구동수단(23)은 구동축(23a)이 회전몸체(21)의 후단 중앙에 결합되어 회전몸체(21)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며, 일반적인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가압부(30)는 회전 클램핑부(20)의 상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가압영역에 배치된 탄성접촉편(102)의 후단부를 가압하여 절곡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하이동블록(31), 가압블록(32) 및 상하구동수단(33)을 포함한다.
상하이동블록(31)은 직사각형의 블록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 일측이 상하구동수단(33)에 결합되어 회전 클램핑부(20)의 상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하구동수단(33)은 일반적인 피스톤로드(33a)와 실린더몸체(33b)로 이루어진 피스톤 구조가 사용될 수 있으며, 피스톤로드의 하단이 상하이동블록(31)의 상단 일측에 결합되어 상하이동블록(31)을 상하 이동시키게 된다.
가압블록(32)은 도 4의 확대도 A 및 도 5의 확대도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이동블록(31)의 하부에 결합되고, 대략 ‘ㄱ’자 형상의 블록 형태로 이루어지고, 저면 중앙 일측에 탄성접촉편(102)의 후단부를 가압하는 가압팁(32a)이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가압팁(32a)은 탄성접촉편(102)의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갖는 직사각형의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되, 도 5의 확대도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저면에 형성되는 가압면(32aa)이 가압팁(32a)의 하방으로 만곡지게 형성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가압면(32a)이 하방으로 만곡지게 형성됨에 따라 도 6의 (a)의 확대도 D 및 (b)의 확대도 E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측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탄성접촉편(102)의 외주면에 점 접촉되는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카메라부(40)는 회전 클램핑부(20)의 전방에 설치되고, 가압팁(32a)을 통해 가압되는 탄성접촉편(102)의 선단 영상을 촬영하여 제어부(60)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받침부(50)는 가압부(30)와 대응되는 하부에 설치되고, 가압되는 탄성접촉편(102)의 하부에 배치된 탄성접촉편(102)의 외면 일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받침부(50)는 도 4의 확대도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 일측에 지지되는 탄성접촉편(102)의 후단부 외주면과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안착면(51)이 형성된다.
제어부(60)는 카메라부(4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제공받아 이를 분석하고, 촬영된 영상 내에서 탄성접촉편(102)의 선단이 미리 설정된 절곡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가압부(30)의 가압을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압팁(32a)의 가압면(32aa)이 전후방향으로 하향만곡지게 형성되어 가압영역에 배치된 탄성접촉편(102)의 후단부 외주면과 점 접촉되는 구조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가압면(32aa)이 전후방향으로 하향만곡지게 형성되어 탄성접촉편(102)의 후단부 외주면과의 접촉부위가 완만한 원형 점 접촉에 가깝고, 가압시 완만한 접촉면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압팁(32a)의 과도한 가압력에 의한 탄성접촉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점 접촉 구조는 선 접촉 구조와는 달리 가압력이 한 지점에 집중되어 탄성접촉편(102)을 균일한 가압력으로 가압할 수 있으므로 탄성접촉편(102)의 보다 정확한 절곡작업이 가능하여 가공되는 라운드 단자의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은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단자 절곡장치의 가압부와 탄성접촉편의 초기 접촉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8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단자 절곡장치의 가압부에 의해 탄성접촉편이 절곡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단자 절곡장치(1)는 도 7의 (a)의 확대도 F 및 (b)의 확대도 G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압팁(32a)의 가압면(32aa)이 하방으로 만곡지게 형성되고, 가압영역에 배치된 탄성접촉편(102)의 외주면이 양측단을 기준으로 상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됨에 따라 가압팁(32a)의 가압면(32aa)과 탄성접촉편(102)의 후단부 외주면이 점 접촉되는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가압팁(32a)의 가압면(32aa)과 탄성접촉편(102)의 외주면의 접촉면적이 최소화됨에 따라 가압팁(32a)의 과도한 가압력에 의해 탄성접촉편(102)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구조를 통해 도 8의 (a)의 확대도 H 및 (b)의 확대도 I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압팁(32a)에 의해 탄성접촉편(102)의 후단부 외주면이 가압되는 동안에도 가압팁(32a)의 가압면(32aa)과 탄성접촉편(102)의 후단부 외주면이 점 접촉되는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가압팁(32a)을 통해 탄성접촉편(102)을 균일한 가압력으로 가압하여 보다 정확한 절곡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가공되는 라운드 단자의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9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단자 절곡장치에서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단자 절곡장치(1)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단자 절곡장치는 도 9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압팁(32a)의 가압면(32aa)이 절곡대상 탄성접촉편(102a)의 외주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카메라부를 통해 절곡대상 탄성접촉편(102a)의 중심이 가압팁(32a)의 중심에 대해 수직 정렬이 되지 않은 것을 발견하더라도 이미 가압팁(32a)에 의해 절곡대상 탄성접촉편(102a)의 가압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이므로 이를 상호 정렬하여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단자 절곡장치는 도 9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절곡대상 탄성접촉편(102a)에 점 접촉되는 가압팁(32a)이 절곡대상 탄성접촉편(102a)의 절곡과정에서 미세하게 측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절곡대상 탄성접촉편(102a)의 정확한 수직절곡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30)는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압블록(32)의 저면 일측 중 가압팁(32a)과 이격된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부가 절곡대상 탄성접촉편과 이웃하는 탄성접촉편 사이에 삽입되는 한 쌍의 수직정렬부(32b)를 더 포함하며, 나머지 구성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수직정렬부(32b)는 가압블록(32)의 저면 일측 중 가압팁(32a)과 이격된 양측에 설치되어 절곡대상 탄성접촉편(102a)의 중심을 가압팁(32a)의 중심에 대해 수직 정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정렬바(32ba), 탄성부재(32bb)를 포함한다.
정렬바(32ba)는 가압팁(32a)과 이격된 가압블록(32)의 하단 양측으로부터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삽입홀(32c)에 삽입되어 가압블록(32)의 하방으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단에는 삽입홀(32c)의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플랜지(32bac)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절곡대상 탄성접촉편과 이웃하는 탄성접촉편의 측면에 지지되고, 절곡대상 탄성접촉편 방향으로 하향경사진 경사면(32baa)이 형성된다.
그리고, 정렬바(32ba)는 라운드 단자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절곡대상 탄성접촉편과 접하는 내측에 절곡대상 탄성접촉편(102a)을 수직 하방으로 정확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면(32bab)이 형성된다.
탄성부재(32bb)는 삽입홀(32c) 내에 개재되어 정렬바(32ba)에 하방으로 탄성복원력을 인가함으로써, 정렬바(32ba)가 가압블록(32)의 상하방향으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12a 및 12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30)는 도 12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압팁(32a)이 절곡대상 탄성접촉편(102a)의 외주면에 접촉하기 전에 양측에 형성된 정렬바(32ba)의 하단 경사면(32baa)이 절곡대상 탄성접촉편(102a)의 이웃하는 탄성접촉편(102b)의 측면에 지지되면서 절곡대상 탄성접촉편(102a)을 미세하게 회전시켜 절곡대상 탄성접촉편(102a)의 중심이 가압팁(32a)의 중심과 정확하게 정렬되도록 한다.
여기서, 절곡대상 탄성접촉편(102a)은 회전클램핑부(미도시)에 클램핑된 몸체부(미도시)의 미세한 공차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가압팁(32a)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도 12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렬바(32ba)의 상단부가 가압블록(32)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가압팁(32a)이 절곡대상 탄성접촉편(102a)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절곡대상 탄성접촉편(102a)을 하방으로 절곡시키게 된다.
이 때, 본 발명은 절곡대상 탄성접촉편(102a)의 양측면에 접하는 정렬바(32b)의 내측에 가이드면(32bab)이 형성됨에 따라 절곡대상 탄성접촉편(102a)을 수직 하방으로 정확하게 가이드하면서 절곡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단자 절곡장치는 가압팁(32a)이 절곡대상 탄성접촉편(102b)의 외주면에 접촉하기 전에 정렬바(32ba)를 통해 절곡대상 탄성접촉편(102a)의 중심을 가압팁(32a)의 중심에 대해 미리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으므로 절곡대상 탄성접촉편(102a)과 가압팁(32a)의 정확한 정렬이 이루어지지 않아 제품의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절곡대상 탄성접촉편(102a)의 절곡 과정에서 각각의 정렬바(32ba)에 형성된 가이드면(32bab)이 절곡대상 탄성접촉편(102a)의 양측을 정확한 수직 하방으로 가이드함에 따라 절곡대상 탄성접촉편(102a)의 보다 정확한 절곡작업이 가능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의 정면도이고, 도 14a 및 14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30)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비교하여 수직정렬부(32b)의 구성이 일부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수직정렬부(32b)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압블록(32)의 저면 일측 중 가압팁(32a)과 이격된 양측에 설치되어 절곡대상 탄성접촉편(102a)의 중심을 가압팁(32a)의 중심에 대해 수직 정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정렬바(32ba), 탄성부재(32bb)를 포함한다.
정렬바(32ba)는 가압팁(32a)과 이격된 가압블록(32)의 하단 양측으로부터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삽입홀(32c)에 삽입되어 가압블록(32)의 하방으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단에는 삽입홀(32c)의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플랜지(32bac)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절곡대상 탄성접촉편과 이웃하는 탄성접촉편의 측면에 지지되는 구 형상의 볼(32bad)이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구조를 갖는다.
탄성부재(32bb)는 삽입홀(32c) 내에 개재되어 정렬바(32ba)에 하방으로 탄성복원력을 인가함으로써, 정렬바(32ba)가 가압블록(32)의 상하방향으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은 구조를 통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도 14a의 확대도 J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압팁(32a)과 절곡대상 탄성접촉편(102a)이 정렬되지 않은 상태에서 정렬바(32ba)의 하단이 절곡대상 탄성접촉편(102a)에 접촉되더라도 정렬바(32ba)에 하단에 수용된 볼(32bad)의 회전에 의해 절곡대상 탄성접촉편(102a)이 일측 방향으로 미세하게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도 14b의 확대도 K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정렬바(32ba)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된 볼(32bad)이 절곡대상 탄성접촉편(102a)과 이웃하는 탄성접촉편(102b)사이에 삽입되면서 가압팁(32a)과 절곡대상 탄성접촉편(102a)이 정확하게 정렬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정렬바(32ba)의 하단에 수용된 구형상의 볼(32bad)이 절곡대상 탄성접촉편(102a)의 측면에 점 접촉됨과 아울러, 절곡대상 탄성접촉편(102a)을 가압팁(32a)으로 가압하여 절곡하는 과정에서 구형상의 볼(32bad)이 회전함에 따라 절곡대상 탄성접촉편(102a)의 측면에 마찰력이 저감됨에 따라 보다 원활한 절곡작업이 가능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의 정면도이고, 도 1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가압부(30)의 구성이 일부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30)는 가압팁(32a)의 하단에 원통형상의 가압롤러(32ab)가 가압면(32aa)의 하부로 일부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위와 같은 구조를 통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도 16의 (a)의 확대도 L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압롤러(32ab)가 절곡대상 탄성접촉편(102a)에 접촉된 상태에서 도 16의 (b)의 확대도 M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압팁(32a)에 의해 절곡대상 탄성접촉편(102a)이 가압이 이루어질 때, 가압롤러(32ab)가 회전함에 따라 가압롤러(32ab)와 절곡대상 탄성접촉편(102a) 간의 마찰력이 저감됨에 따라 보다 원활한 절곡작업이 가능하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라운드 단자 절곡장치 10 : 베이스부
20 : 회전 클램핑부 21 : 회전몸체
22 : 클램프 22a : 고정면
23 : 구동수단 23a : 구동축
30 : 가압부 31 : 상하이동블록
32 : 가압블록 32a : 가압팁
32aa : 가압면 32b : 수직정렬부
32ba : 정렬바 32baa : 경사면
32bab : 가이드면 32bac : 플랜지
32bb : 탄성부재 32c : 삽입홀
33 : 상하구동수단 40 : 카메라부
50 : 받침부 51 : 안착면
60 : 제어부 100 : 라운드 단자
101 : 몸체부 102 : 탄성접촉편
20 : 회전 클램핑부 21 : 회전몸체
22 : 클램프 22a : 고정면
23 : 구동수단 23a : 구동축
30 : 가압부 31 : 상하이동블록
32 : 가압블록 32a : 가압팁
32aa : 가압면 32b : 수직정렬부
32ba : 정렬바 32baa : 경사면
32bab : 가이드면 32bac : 플랜지
32bb : 탄성부재 32c : 삽입홀
33 : 상하구동수단 40 : 카메라부
50 : 받침부 51 : 안착면
60 : 제어부 100 : 라운드 단자
101 : 몸체부 102 : 탄성접촉편
Claims (6)
-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단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외주방향을 따라 이격배치되는 다수의 탄성접촉편을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용 라운드 단자의 각각의 탄성접촉편을 절곡하는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저면 일측에 상기 베이스부 상부 일측에 설치된 상기 라운드 단자의 탄성접촉편을 가압하여 절곡하는 가압면이 형성된 가압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면은 하방으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접촉편과 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가압부는
가압블록의 저면 일측 중 가압팁과 이격된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부가 절곡대상 탄성접촉편과 이웃하는 탄성접촉편 사이에 삽입되는 한 쌍의 수직정렬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직정렬부는
상단부가 상기 가압블록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에 이웃하는 탄성접촉편의 측면에 지지되며 절곡대상 탄성접촉편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 정렬바와;
상기 가압블록의 내부 일측과 상기 정렬바의 상단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정렬바에 하방으로 탄성복원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용 라운드 단자 절곡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가압되는 탄성접촉편의 대향하는 하부에 배치된 탄성접촉편의 외면 일측을 지지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용 라운드 단자 절곡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바는 절곡 대상 탄성접촉편과 접하는 내측에 절곡 대상 탄성접촉편을 수직 하방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용 라운드 단자 절곡장치.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54697A KR102463663B1 (ko) | 2022-05-03 | 2022-05-03 | 전기차 충전용 라운드 단자 절곡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54697A KR102463663B1 (ko) | 2022-05-03 | 2022-05-03 | 전기차 충전용 라운드 단자 절곡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63663B1 true KR102463663B1 (ko) | 2022-11-04 |
Family
ID=84045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54697A KR102463663B1 (ko) | 2022-05-03 | 2022-05-03 | 전기차 충전용 라운드 단자 절곡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63663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783406B2 (en) | 2000-06-29 | 2004-08-31 | Alstom | Elastic, electrically conductive contact springs |
US8579666B2 (en) | 2009-03-16 | 2013-11-12 | Tyco Electronics Amp Gmbh | Contact element with an electronically conductive spring element, plug connector and spring element |
CN203932636U (zh) * | 2014-07-03 | 2014-11-05 | 南帝精密股份有限公司 | 端子制造装置 |
KR20220046996A (ko) * | 2020-10-08 | 2022-04-15 | 주식회사 오토피엠테크 |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위한 컨넥터 단자의 제조방법 |
-
2022
- 2022-05-03 KR KR1020220054697A patent/KR10246366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783406B2 (en) | 2000-06-29 | 2004-08-31 | Alstom | Elastic, electrically conductive contact springs |
US8579666B2 (en) | 2009-03-16 | 2013-11-12 | Tyco Electronics Amp Gmbh | Contact element with an electronically conductive spring element, plug connector and spring element |
CN203932636U (zh) * | 2014-07-03 | 2014-11-05 | 南帝精密股份有限公司 | 端子制造装置 |
KR20220046996A (ko) * | 2020-10-08 | 2022-04-15 | 주식회사 오토피엠테크 |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위한 컨넥터 단자의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19189170A1 (ja) | 充放電装置 | |
GB1386277A (en) | Apparatus for loading an electrical connector with wires | |
US20060063430A1 (en) | Terminal inserting apparatus | |
KR102463663B1 (ko) | 전기차 충전용 라운드 단자 절곡장치 | |
KR101672936B1 (ko) |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 |
KR101969874B1 (ko) | 이동통신 단말기용 카메라 모듈 테스트장치 | |
US20220200222A1 (en) | Terminal holding device for crimp hand tool | |
KR102580552B1 (ko) | 차량용 와이어의 연속형 절단압착장치 | |
CN219676073U (zh) | 电芯测试装置 | |
CN116660801A (zh) | 一种线束快速插检设备 | |
JP2003059543A (ja) | 充放電装置 | |
BG113534A (bg) | Възел за един инструмент за кримпване и инструмент за кримпване | |
CN211786044U (zh) | 一种插头测试治具 | |
CN210723659U (zh) | 一种端子对接装置 | |
CN210720506U (zh) | 承接装置及测试仓 | |
CN113910616B (zh) | 一种基于平面口罩生产用耳带连接生产加工机构 | |
CN213071550U (zh) | 一种用于智能机器人的伸缩式充电装置 | |
CN217009872U (zh) | 一种电源连接设备 | |
CN220753980U (zh) | 组装治具 | |
CN219777852U (zh) | 表面电路测试装置 | |
CN118501768B (zh) | 一种充电器耐压测试装置 | |
CN114335674B (zh) | 一种用于pcm板的安装设备及安装方法 | |
CN219609175U (zh) | 一种电芯模组自动化测试装置 | |
CN221149310U (zh) | 一种pcb板烧录工装 | |
CN117506388A (zh) | 一种电机接线盒的组装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