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338B1 - 복수 개의 원심분리기가 직렬 또는 병렬 중 어느 하나로 선택 연결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수 개의 원심분리기가 직렬 또는 병렬 중 어느 하나로 선택 연결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2338B1
KR102462338B1 KR1020200101788A KR20200101788A KR102462338B1 KR 102462338 B1 KR102462338 B1 KR 102462338B1 KR 1020200101788 A KR1020200101788 A KR 1020200101788A KR 20200101788 A KR20200101788 A KR 20200101788A KR 102462338 B1 KR102462338 B1 KR 102462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rifuge
channel
liquid
supply channel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1216A (ko
Inventor
김용근
정제윤
Original Assignee
신흥정공(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흥정공(주) filed Critical 신흥정공(주)
Priority to KR1020200101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2338B1/ko
Publication of KR20220021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1/00Feeding, charging, or discharging bowls
    • B04B11/06Arrangement of distributors or collectors in centrif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3/00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designed for centrifuges; Programme control of centrif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5/00Other accessories for centrifuges

Landscapes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목표하는 처리값(Quality or Quantity)에 의하여, 복수 개의 원심분리기가 직렬 또는 병렬 중 어느 하나로 선택 연결되는 시스템을 개시한다.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오염액체저장소와 연결되는 시스템으로서, 제1 원심분리기; 제2 원심분리기; 상기 오염액체저장소의 액체를 상기 제1 원심분리기로 공급하는 제1 공급채널; 상기 오염액체저장소의 액체를 상기 제2 원심분리기로 공급하는 제2 공급채널; 상기 제1 원심분리기의 배출구와 연결되는 제1 배출채널; 상기 제2 원심분리기의 배출구와 연결되는 제2 배출채널; 상기 제1 원심분리기의 배출구와 상기 제2 공급채널을 연결하는 바이패스채널; 상기 제1 배출채널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1 밸브; 및 상기 바이패스채널과 상기 제2 공급채널의 연결 지점에 구비되는 제2 밸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수 개의 원심분리기가 직렬 또는 병렬 중 어느 하나로 선택 연결되는 시스템{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CENTRIFUGES ARE SELECTIVELY CONNECTED IN SERIES OR PARALLEL}
본 개시(The Disclosure)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이물질이 혼합된 액체에서 이물질을 분리하는 기술과 관련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42866호를 참조하면, 원심분리기(또는 '원심필터'라고도 함)는 이물질(예 : 슬러지 등)이 혼합된 액체(예 : 물, 오일 등)에서 이물질을 분리(제거)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한편, 이물질이 혼합된 액체를 대량으로 처리하고자 할 때에는, 이물질이 혼합된 액체가 대량 저장되는 오염액체저장소(더티탱크)와 복수 개의 원심분리기를 배관으로 연결할 필요가 있다.
KR 10-1467647 B1 (2014.12.01. 공고) KR 10-2019-0142866 A (2019.12.30. 공개)
목표하는 처리값(Quality or Quantity)에 의하여, 복수 개의 원심분리기가 직렬 또는 병렬 중 어느 하나로 선택 연결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오염액체저장소와 연결되는 시스템으로서, 제1 원심분리기; 제2 원심분리기; 상기 오염액체저장소의 액체를 상기 제1 원심분리기로 공급하는 제1 공급채널; 상기 오염액체저장소의 액체를 상기 제2 원심분리기로 공급하는 제2 공급채널; 상기 제1 원심분리기의 배출구와 연결되는 제1 배출채널; 상기 제2 원심분리기의 배출구와 연결되는 제2 배출채널; 상기 제1 원심분리기의 배출구와 상기 제2 공급채널을 연결하는 바이패스채널; 상기 제1 배출채널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1 밸브; 및 상기 바이패스채널과 상기 제2 공급채널의 연결 지점에 구비되는 제2 밸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공급채널과 상기 제2 공급채널 각각에는 펌프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원심분리기의 배출구와 상기 제1 배출채널 사이에는 쿠션탱크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 원심분리기의 배출구와 상기 제2 배출채널 사이에는 쿠션탱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배출채널의 단부는 상기 제1 밸브와 연결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상기 제1 밸브와 상기 오염액체저장소를 연결하는 회수채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병렬 또는 직렬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 운전이 가공하다.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병렬 운전할 경우, 직렬 운전할 때보다 액체의 처리량이 증가하고, 직렬 운전할 경우, 병렬 운전할 때보다 액체의 처리량은 줄어들지만, 정화된 액체 순도는 높아진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 간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이 병렬 운전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이 직렬 운전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이하 '시스템(1)'이라 함]의 구성 간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1)은 제1 원심분리기(110), 제2 원심분리기(120), 액체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복수 개의 채널(130, 140, 150, 160, 170, 180, 190) 및 액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복수 개의 밸브(210, 220, 230)를 포함하고, 이물질이 혼합된 액체가 저장된 오염액체저장소(DT)와 연결된다.
오염액체저장소(DT)는 소정 부피를 갖는 탱크 형태일 수 있고, 오염액체저장소(DT)의 내부에는 모터(미도시)에 의하여 작동하는 교반기(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오염액체저장소(DT)에는 히터(미도시) 및 온도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1 원심분리기(110)와 제2 원심분리기(120)는 오염액체저장소(DT)의 인근에 배치된다. 제1 원심분리기(110)와 제2 원심분리기(120)는 특정 구조로 제한되지 않으며, 하나의 예로서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42866호[명칭 : 원심필터 / 출원인 : 신흥정공(주)]에 개시된 것과 같이, 별도의 동력원 없이, 공급되는 액체의 압력에 의하여, 로터가 자동으로 회전되는 구조일 수 있다.
제1 원심분리기(110)의 배출구에는 원심처리된 액체가 임시 저장되는(버퍼 기능을 수행하는) 쿠션탱크(115)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원심분리기(120)의 배출구에는 원심처리된 액체가 임시 저장되는(버퍼 기능을 수행하는) 쿠션탱크(125)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공급채널(130)은 오염액체저장소(DT)와 제1 원심분리기(110)의 유입구를 연결한다. 제1 공급채널(130)에는 오염액체저장소(DT)에 저장된 액체가 제1 원심분리기(110)로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펌프(13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공급채널(130)에는 유체 압력 센서(미도시) 및 유량 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2 공급채널(140)은 오염액체저장소(DT)와 제2 원심분리기(120)의 유입구를 연결한다. 제2 공급채널(140)에는 오염액체저장소(DT)에 저장된 액체가 제2 원심분리기(120)로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펌프(18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공급채널(140)에는 유체 압력 센서(미도시) 및 유량 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1 배출채널(150)은 제1 원심분리기(110)의 배출구와 연결된다. 한편 제1 원심분리기(110)에 전술한 쿠션탱크(115)가 구비될 경우, 제1 배출채널(150)은 쿠션탱크(115)와 연결된다.
제2 배출채널(160)은 제2 원심분리기(120)의 배출구와 연결된다. 한편 제2 원심분리기(110)에 전술한 쿠션탱크(115)가 구비될 경우, 제1 배출채널(150)은 쿠션탱크(115)와 연결된다.
바이패스채널(170)은 제1 원심분리기(110)의 배출구[제1 원심분리기(110)에 쿠션탱크(115)가 구비된 경우, 쿠션탱크(115)]와 제2 공급채널(140)을 연결한다.
제1 밸브(210)는 제1 배출채널(150)의 단부에 구비된다.
제2 밸브(220)는 바이패스채널(170)과 제2 공급채널(140)의 연결 지점에 구비된다.
제1 밸브(210) 및 제2 밸브(220)는 수동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전자적 제어에 의하여,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시스템(1)이 병렬 운전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시스템(1)이 병렬 운전될 때에는 제2 밸브(220)에 의하여, 제1 원심분리기(110)에서 배출된 액체가 바이패스채널(170)을 통하여, 제2 공급채널(140)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된다.
그에 따라, 오염액체저장소(DT)에 저장된 액체는 제1 공급채널(130)을 통하여 제1 원심분리기(110)로, 제2 공급채널(140)을 통하여 제2 원심분리기(120)로 각각 공급되고, 제1 원심분리기(110)에서 정화된 액체는 제1 배출채널(150)로, 제2 원심분리기(120)에서 정화된 액체는 제2 배출채널(160)로 각각 배출된다.
도 3은 시스템(1)이 직렬 운전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시스템(1)이 직렬 운전될 때에는 제1 밸브(210)에 의하여, 제1 원심분리기(110)에서 배출된 액체가 제1 배출채널(150)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되고, 제2 밸브(220)에 의하여 바이패스채널(170)을 통하여, 제2 공급채널(140)로 이동된다.
또한 제2 밸브(220)에 의하여, 공급채널(140)의 일부 구간이 차단되어, 오염액체저장소(DT)에서 제2 원심분리기(120)로 액체가 공급되지 않는다.
그에 따라, 오염액체저장소(DT)에 저장된 액체는 제1 공급채널(130) → 제1 원심분리기(110)[쿠션탱크(115)] → 바이패스채널(170) → 제2 원심분리기(120)[쿠션탱크(125)] → 제2 배출채널(160)로 이동하게 된다.
즉, 앞서 설명된 시스템(1)을 병렬 운전할 경우, 직렬 운전할 때보다 액체의 처리량이 증가하고, 직렬 운전할 경우, 병렬 운전할 때보다 처리량은 줄어들지만, 정화된 액체 순도는 높아진다.
한편, 통상의 기술자가라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활용하여, 3개 이상의 원심분리기로 시스템을 구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2 배출채널(160)의 단부는 제1 밸브(210)와 연결되고, 시스템(1)은 제1 밸브(210)와 오염액체저장소(DT)를 연결하는 회수채널(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수채널(180)에는 펌프(185)가 구비될 수 있고, 회수채널(180)은 제1 원심분리기(110) 및 제2 원심분리기(120)에 의하여, 정화된 액체를 오염액체저장소(DT)로 재순환시키는 기능을 한다.
한편, 회수채널(180)은 종료채널(190)과 연결될 수 있고, 회수채널(180)과 종료채널(190)의 연결 지점에는 제3 밸브(2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개시(The Disclosure)의 실시예를 설명할 때 사용된 각종 표현(용어, 시각화된 이미지 등)들은 기술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도구적인 목적에 의해 선택된 것에 불과하다.
또한 여건상 본 개시는 제한된 수의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되었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설명된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새로운 실시예들을 창안해 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청구범위는 '발명의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난 일부 표현에 의하여 제한되어선 안되고, 명세서의 전반에 내재된 근원적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폭넓게 해석되어야 함이 마땅하다.
1... 시스템
--
110... 제1 원심분리기 / 115... 쿠션탱크
120... 제2 원심분리기 / 125... 쿠션탱크
130... 제1 공급채널 / 135... 펌프
140... 제2 공급채널 / 145... 펌프
150... 제1 배출채널
160... 제2 배출채널
170... 바이패스채널
180... 회수채널 / 185... 펌프
190... 종료채널
210... 제1 밸브 / 220... 제2 밸브 / 230... 제3 밸브
--
DT... 오염액체저장소

Claims (7)

  1. 오염액체저장소와 연결되는 시스템으로서,
    제1 원심분리기;
    제2 원심분리기;
    상기 오염액체저장소의 액체를 상기 제1 원심분리기로 공급하는 제1 공급채널;
    상기 오염액체저장소의 액체를 상기 제2 원심분리기로 공급하는 제2 공급채널;
    상기 제1 원심분리기의 배출구와 연결되는 제1 배출채널;
    상기 제2 원심분리기의 배출구와 연결되는 제2 배출채널;
    상기 제1 원심분리기의 배출구와 상기 제2 공급채널을 연결하는 바이패스채널;
    상기 제1 배출채널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1 밸브;
    상기 바이패스채널과 상기 제2 공급채널의 연결 지점에 구비되는 제2 밸브; 및
    상기 제1 밸브와 상기 오염액체저장소를 연결하는 회수채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급채널과 상기 제2 공급채널 각각에는 펌프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 원심분리기의 배출구와 상기 제1 배출채널 사이에는 쿠션탱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 원심분리기의 배출구와 상기 제2 배출채널 사이에는 쿠션탱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 배출채널의 단부는 상기 제1 밸브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00101788A 2020-08-13 2020-08-13 복수 개의 원심분리기가 직렬 또는 병렬 중 어느 하나로 선택 연결되는 시스템 KR102462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788A KR102462338B1 (ko) 2020-08-13 2020-08-13 복수 개의 원심분리기가 직렬 또는 병렬 중 어느 하나로 선택 연결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788A KR102462338B1 (ko) 2020-08-13 2020-08-13 복수 개의 원심분리기가 직렬 또는 병렬 중 어느 하나로 선택 연결되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216A KR20220021216A (ko) 2022-02-22
KR102462338B1 true KR102462338B1 (ko) 2022-11-03

Family

ID=80494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788A KR102462338B1 (ko) 2020-08-13 2020-08-13 복수 개의 원심분리기가 직렬 또는 병렬 중 어느 하나로 선택 연결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233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5782A (ja) * 1998-06-18 2000-01-11 Kantou Regional Constr Bureau Ministry Of Constr 河川水の浄化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7032460A (ja) * 2005-07-28 2007-02-08 Komatsu Ltd 燃料浄化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35959C2 (sv) 2010-01-29 2013-03-05 Alfa Laval Corp Ab System innefattande centrifugalseparator samt metod för kontroll av detsamma
KR20190142866A (ko) 2018-06-19 2019-12-30 신흥정공(주) 원심필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5782A (ja) * 1998-06-18 2000-01-11 Kantou Regional Constr Bureau Ministry Of Constr 河川水の浄化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7032460A (ja) * 2005-07-28 2007-02-08 Komatsu Ltd 燃料浄化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216A (ko) 202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8330B2 (en) Chemical liquid supply device and chemical liquid supply method
US5816212A (en) Oil supply device
JP6041380B2 (ja) 加工液浄化システム
EP0106553B1 (en) Reverse osmosis liquid filtration apparatus
KR102515445B1 (ko) 처리 시스템의 모듈형 구성을 위한 모듈형 처리 시스템 및 방법
JP6006295B2 (ja) フィルタ装置
KR20100097108A (ko) 필터 장치
US4341642A (en) Process and an apparatus for continuously filtering liquids
KR102462338B1 (ko) 복수 개의 원심분리기가 직렬 또는 병렬 중 어느 하나로 선택 연결되는 시스템
CN112703047A (zh) 灌注生物处理系统和其操作方法
JPH0880401A (ja) 異なる密度の液体を分離するための装置
JP6469198B1 (ja) 濾過装置
WO2011130522A1 (en) Mobile fluid treatment system
EP2473248B1 (en) Filter arrangement
JP4225997B2 (ja) 濾過装置
US10865894B2 (en) Four-way valve for backflush filter system
WO2002060568A1 (en) Constant pressure filtered water delivery system
JP2020075317A (ja) 工作液供給システム
WO2005081627A2 (en) Crossflow filt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embrane fouling prevention
SE456801B (sv) Utloppsanordning vid centrifugalseparator
JP4620599B2 (ja) 異物除去処理装置
US20080029450A1 (en) Valve module
KR20200041968A (ko) 여과 장치, 여과 시스템 및 여과 방법
RU2130801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фильтрования жидкостей
RU2116526C1 (ru) Гидравл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