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5445B1 - 처리 시스템의 모듈형 구성을 위한 모듈형 처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처리 시스템의 모듈형 구성을 위한 모듈형 처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5445B1
KR102515445B1 KR1020217001399A KR20217001399A KR102515445B1 KR 102515445 B1 KR102515445 B1 KR 102515445B1 KR 1020217001399 A KR1020217001399 A KR 1020217001399A KR 20217001399 A KR20217001399 A KR 20217001399A KR 102515445 B1 KR102515445 B1 KR 102515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adapter
adapter plate
flow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1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1382A (ko
Inventor
마르틴 레우트홀트
스테판 바이샤르
Original Assignee
사토리우스 스테딤 바이오테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토리우스 스테딤 바이오테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사토리우스 스테딤 바이오테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10021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1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 C12M29/04Filters; Permeable or porous membranes or plates, e.g. dia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00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 C07K1/14Extraction; Separation; Purification
    • C07K1/36Extraction; Separation; Purification by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processes of different typ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44Multiple separable units; Mod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58Reaction vessels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 C12M29/14Pressurized fluid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4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press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물 약제학적 처리를 위한 모듈형 처리 시스템(100)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모듈형 처리 시스템은: 서로 유체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및 제 2 처리 유닛(30, 32); 및 제 1 처리 유닛(30)으로부터 제 2 처리 유닛(32)으로 흐르는 적어도 하나의 유체 흐름(14)이 이를 통해 흐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플레이트(200);를 포함한다. 어댑터 플레이트(200)는 제 1 처리 유닛(30)과 제 2 처리 유닛(32) 사이에서 유체 흐름(14)이 어댑터 플레이트(200)의 도움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편향될 수 있고; 및/또는 유체 흐름(14), 바람직하게는 이의 압력은 어댑터 플레이트(200)의 도움으로 개방 루프 또는 폐쇄 루프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생물 약제학적 처리를 위한 처리 시스템(100)의 모듈형 구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처리 시스템의 모듈형 구성을 위한 모듈형 처리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생물 약제학적 처리를 위한 모듈형 처리 시스템 및 생물 약제학적 처리를 위한 처리 시스템의 모듈형 구성에 대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세포 분리(예를 들어, 심층 필터에 의한), 멸균 필터, 크로마토그래피 단계, 바이러스 비활성화, 바이러스 필터 및/또는 교차 흐름 필터와 같은 처리가 생물약제 산업에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모든 처리는 다양한 완성된 처리를 형성하도록 일반적으로 결합된 기본 동작을 구성한다. 종래 기술에서, 예를 들어 필터 공정과 관련하여 이러한 목적을 위해, 상이한 필터 시스템 또는 보다 구체적으로 필터 장비가 사용된다. 각각의 경우 다양한 처리 단계를 작업하는 상기 필터 시스템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에 따라 처리시 제품 흐름과 조작된 변수를 일치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필터 시스템 간의 통신이 필요하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표준 필터 유닛만이 사용된다(예를 들어, DE 34 41 249 C2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처리 단계의 단순화와 보다 간결한 조합을 가능하게 하는 생물 약제학적 처리를 위한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생물 약제학적 처리를 위한 모듈형 처리 시스템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모듈형 처리 시스템은:
- 서로 유체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및 제 2 처리 유닛;
- 제 1 처리 유닛으로부터 제 2 처리 유닛으로 흐르는 적어도 하나의 유체 흐름이 이를 통해 흐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어댑터 플레이트는 제 1 처리 유닛과 제 2 처리 유닛 사이에서 유체 흐름이 어댑터 플레이트의 도움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편향될 수 있고; 및/또는 유체 흐름, 바람직하게는 이의 압력이 어댑터 플레이트의 도움으로 개방 루프 또는 폐쇄 루프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용어 "처리 유닛(processing unit)"은 특히 원하는 처리를 위한 특정 처리 단계가 수행되는 유닛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유체 흐름의 구성 요소의 분리는 처리 유닛 내에서 발생한다. 예를 들어, 처리 유닛은 (예를 들어, 심층 필터에 의한) 세포 분리, 멸균 필터, 크로마토그래피 단계, 바이러스 비활성화 또는 교차 흐름 필터를 위한 유닛일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처리 유닛은 원하는 사양을 가진 표준 처리 유닛으로 선택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처리 유닛은 동일하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이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처리 유닛의 크기는 다양할 수 있지만, 제 1 및 제 2 처리 유닛이 여전히 서로 쉽게 연결될 수 있거나, 보다 상세하게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댑터 플레이트의 도움으로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처리 유닛이 하나의 처리 시스템에서 서로 연결되고, 이 경우에, 예를 들어, 상기 처리 유닛은 상이한 분리 매체를 사용하거나 하나의 방법의 상이한 처리 단계를 담당한다. 그래서, 용량 확장이 필요한 경우, 동일한 처리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어댑터 플레이트가 유체 흐름과 관련하여 제 1 처리 유닛과 제 2 처리 유닛 사이에 연결되고, 그 결과 제 1 처리 유닛과 제 2 처리 유닛을 유체적으로 연결한다.
모듈형 처리 시스템의 두 처리 유닛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환될 수 있는 어댑터 플레이트는 유체 흐름과 관련하여 필요한 조정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조정은 처리 유닛(특히, 표준 처리 유닛)이 서로 유체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 경우, 유체 흐름은 방향이 바뀌거나, 보다 상세하게는, 편향되거나 오히려 흐름 방향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및/또는 유체 흐름은 어댑터 플레이트, 바람직하게는 또는 오히려 특히 유체가 제 2 처리 유닛에 충돌하는 압력에 의해 개방 루프 또는 폐쇄 루프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그러나 두 가지 조정 모두 하나의 어댑터 플레이트 내에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따라서, 유체 흐름에 대해 필요한 조정을 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플레이트가 처리 시스템의 2개의 연속 처리 유닛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2개의 처리 유닛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플레이트가 있는 모듈형으로 구성된 처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처리 단계의 조합은 하나의 처리 시스템에서 모든 처리 단계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 공간 및 시스템 구성 요소에 대한 필요성이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요한 투자가 감소된다. 더욱이, 이러한 배열은 특히 복수의 기본 동작의 모니터링을 포함하는 처리 시스템에서 연속 동작 모드를 위한 콤팩트하거나 및/또는 유연한 조합을 가능하게 한다.
처리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 1 처리 유닛 및/또는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 2 처리 유닛을 포함하며, 제 1 처리 유닛 및 제 2 처리 유닛 각각은 처리 유닛 그룹을 형성한다.
즉, 어댑터 플레이트 없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처리 유닛을 처리 유닛 그룹이라 한다. 처리 유닛 그룹 내에서, 처리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병렬로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어댑터 플레이트는 처리 유닛 그룹과 처리 유닛을 연결하거나 또는 2개의 처리 유닛 그룹을 서로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어댑터 플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어댑터 채널을 가지며, 유체 흐름이 이를 통해 흐를 수 있고, 유체 흐름은 적어도 하나의 입구를 통해 어댑터 채널 내로 흐를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출구를 통해 밖으로 흐를 수 있다.
"어댑터 채널"은 특히 어댑터 플레이트를 통과하는 또는 보다 상세하게는 어댑터 플레이트 내의 채널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처리 유닛에서 제 2 처리 유닛으로 흐르는 유체 흐름은 상기 어댑터 채널을 통해 흐를 수 있다. 어댑터 채널은 바람직하게는 편향 채널이다.
어댑터 채널은 바람직하게는 환기를 위한 장치를 가지며, 및/또는 처리 유닛에서 일반적으로 필요한 어떠한 밀봉도 필요하지 않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입구는 제 1 처리 유닛의 유출 채널에 연결될 수 있는 방식으로 배열되고, 적어도 하나의 출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구가 제 2 처리 유닛의 유입 채널에 연결될 수 있는 방식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 1 처리 유닛의 "유출 채널"은 유체 흐름이 제 1 처리 유닛으로부터 이를 통해 나올 수 있는 채널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처리 시스템이 복수의 제 1 처리 유닛을 갖는 경우, 어댑터 채널에 연결된 유출 채널은 어댑터 플레이트의 바로 상향에 배열된 제 1 처리 유닛의 유출 채널이다. 예를 들어, 제 1 처리 유닛이 필터 유닛인 경우, 유출 채널을 통해 제 1 처리 유닛으로부터 나오는 유체는 필터액, 즉 제 1 처리 유닛에 의해 필터링된 유체일 수 있다. 제 1 처리 유닛이 교차 흐름 필터 유닛인 경우, 유출 채널을 통해 제 1 처리 유닛으로부터 나오는 유체는 또한 잔류물(즉, 유체 흐름의 필터링되지 않은 부분)일 수 있다. 따라서, 교차 흐름 필터에 대해서, 추가적인 처리를 위해, 필터액 또는 잔류물은 제 1 처리 유닛으로부터 어댑터 플레이트를 통해 제 2 처리 유닛으로 흐른다.
제 2 처리 유닛의 "유입 채널"은 특히 유체 흐름이 어댑터 플레이트로부터 제 2 처리 유닛으로 흐르는 채널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처리 시스템이 복수의 제 2 처리 유닛을 갖는 경우, 어댑터 채널에 결합된 유입 채널은 어댑터 플레이트의 바로 하향에 연결된 제 2 처리 유닛의 유입 채널이다. 제 2 처리 유닛이 필터 유닛인 경우, 이 유체 흐름은 제 2 처리 유닛에 의해 필터링될 공급 액체에 해당한다.
제 1 처리 유닛과 제 2 처리 유닛의 이러한 조합의 결과로, 2개의 처리 유닛이 콤팩트한 방식으로 서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어댑터 플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의 입구와 적어도 2개의 출구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제 1 입구는 유체 흐름이 제 1 처리 유닛의 유출 채널로부터 어댑터 채널 내로 흐를 수 있도록 배열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 2 입구는 유체 흐름이 제 1 처리 유닛의 유입 채널로부터 어댑터 채널 내로 흐를 수 있도록 배열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 1 출구는 유체 흐름이 제 1 출구로부터 제 2 처리 유닛의 유출 채널 내로 흐를 수 있도록 배열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 2 출구는 유체 흐름이 제 2 출구로부터 제 2 처리 유닛의 유입 채널 내로 흐를 수 있도록 배열된다.
또한 어댑터 채널은:
- 제 1 입구와 제 1 출구 사이에 배열된 제 1 채널 영역;
- 제 2 입구와 제 2 출구 사이에 배열된 제 2 채널 영역; 및
- 제 1 및 제 2 채널 영역을 유체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채널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는:
- 제 1 유체 흐름은 제 1 입구를 통해 어댑터 채널로 흐를 수 있으며, 제 1 출구를 통해 밖으로 흐를 수 있고; 제 2 유체 흐름은 제 2 입구를 통해 어댑터 채널로 흐를 수 있으며, 제 2 출구 개구를 통해 어댑터 채널 밖으로 흐를 수 있는 방식;
또는:
- 유체 흐름이 제 1 입구를 통해 어댑터 채널 내로 흐를 수 있으며, 제 2 출구를 통해 어댑터 채널 밖으로 흐를 수 있는 방식으로,
유체 흐름이 어댑터 플레이트에 의해 편향될 수 있도록 어댑터 채널에서 변위 가능하게 배열된다.
편향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연결 채널 영역을 통한 유체 흐름을 차단하기 위해 편향 부재가 연결 채널 영역 내로 밀릴 수 있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이 목적이 연결 채널 영역을 통해 유체 흐름을 허용하는 것이라면, 편향 부재는 연결 채널 영역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릴 수 있다. 편향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유체 기밀 방식으로 연결 채널 영역을 폐쇄한다. 편향 부재의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는 변위 가능한 폐쇄 플레이트이다. 바람직하게는 편향 부재는 외부 컨트롤러에 의해 수동 및/또는 자동으로 변위될 수 있다. 편향 부재가 연결 채널 영역을 폐쇄하면 처리 유닛 모두가 병렬로 연결된다.
더욱이,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편향 부재는 제 1 채널 영역 및/또는 제 2 채널 영역에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편향 부재는 제 1 출구 및/또는 제 2 입구가 각각의 편향 부재에 의해 차단될 수 있는 방식으로 대응 채널 영역으로 밀린다. 상기 개구는 편향 부재에 의해 차단되면, 제 1 및 제 2 필터 유닛이 직렬로 연결된다. 그러나, 여기에서 연결 영역 내의 편향 부재는 수축된 위치에 있으므로, 연결 채널 영역을 통한 유체 흐름이 가능하다.
편향 부재의 변위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결합된다. 예를 들어, 편향 부재가 연결 채널 영역에서 개방되면, 편향 부재가 제 1 및 제 2 채널 영역에서 폐쇄되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모듈형 처리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다방향 밸브로 디자인된 2개의 편향 부재를 포함하며, 제 1 밸브는 제 1 채널 영역에 배열되고 제 2 밸브는 제 2 채널 영역에 배열되며, 밸브는:
- 제 1 유체 흐름은 제 1 입구를 통해 어댑터 채널 내로 흐를 수 있으며, 제 1 출구를 통해 밖으로 흐를 수 있고; 제 2 유체 흐름은 제 2 입구를 통해 어댑터 채널 내로 흐를 수 있으며, 제 2 출구를 통해 어댑터 채널 밖으로 흐를 수 있는 방식;
또는:
- 유체 흐름은 제 1 입구를 통해 어댑터 채널 내로 흐를 수 있고 제 2 출구를 통해 어댑터 채널 밖으로 흐를 수 있는 방식으로 디자인된다.
변위 가능한 편향 부재에 대한 대안적인 변형은 상기 대안적인 변형이 또한 제 1 및 제 2 처리 유닛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는 것을 간단하고 컴팩트한 방식으로 가능하게 하는 방법으로 밸브의 도움으로 제공된다. 밸브는 바람직하게는 외부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된다. 두 밸브는 개별적으로 또는 함께 제어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다방향 밸브는 밸브 튜브를 포함하고, 각 경우에 제 1 및 제 2 채널 영역에서 변위 가능하게(특히, 회전 가능하게) 배열되고, 제 1 및 제 2 유체 흐름이 대응하는 방식으로 흐를 수 있고,
적어도 2개의 밸브 개구가 밸브 튜브의 측면에 배열되고, 상기 밸브 개구는 변위 방향(특히, 회전 방향)으로 서로 오프셋되도록 배열되어, 어댑터 채널 통한 유체 흐름은 각각의 채널 영역에서 밸브 튜브의 변위 위치(특히, 회전 위치)의 함수로서 편향될 수 있다.
밸브 튜브는 각각의 경우에 제 1 및 제 2 채널 영역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특히 전환 가능하거나(turnable),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rotatable) 변위될 수 있다. 변위(특히, 회전)는 수동 및/또는 외부 컨트롤러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밸브 튜브의 측면에는 2개 이상의 밸브 개구가 형성된다. 상기 2개의 밸브 개구는 제 1 유체 흐름 및/또는 제 2 유체 흐름이 밸브 튜브의 제 1 위치에서 가능하게 되도록, 변위 방향(특히, 회전 방향)과 관련하여 서로 오프셋되도록 배열된다. 이는 예를 들어, 제 1 유체 흐름이 제 1 입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제 1 밸브 개구를 통해 어댑터 플레이트의 제 1 입구를 통해 밸브 튜브로 들어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밸브 개구는 제 1 출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어, 제 1 유체 흐름이 제 1 출구를 통해 어댑터 플레이트로부터 밖으로 흐를 수 있다. 이것은 제 2 유체 흐름에 대응하게 적용된다. 밸브 개구가 연결 채널 영역과 중첩되지 않기 때문에, 연결 채널 영역을 통한 유체 흐름이 각 채널 영역에서 밸브 개구의 위치에 따라 차단된다. 그러나 제 1 및 제 2 유체 흐름은 다방향 밸브에 의해 허용되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필터 유닛은 병렬로 연결된다.
그러나, 밸브 튜브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 개의 밸브 개구를 갖는다. 상기 3 개의 밸브 개구는 밸브 튜브의 제 1 변위 위치(특히, 회전 위치)에서 적어도 2개의 밸브 개구가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유체 흐름이 허용되는 방식으로 정렬되도록 배열되고; 그 결과, 제 1 및 제 2 처리 유닛은 병렬로 연결된다. 그러나 밸브 개구가 연결 채널 영역과 중첩되지 않기 때문에 연결 채널 영역을 통한 유체 흐름이 여기서 차단된다.
그러나, 각각의 밸브 튜브의 제 2 변위 위치(특히, 회전 위치)에서 적어도 3 개의 밸브 개구의 배열의 결과로써, 연결 채널 영역에 대한 액세스는 허용되는 동안 입구 또는 출구로의 통로가 차단된다. 이러한 배열은 특히 제 1 및 제 2 처리 유닛을 직렬로 연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즉, 직렬 연결에서 다방향 밸브는 유체 흐름이 어댑터 플레이트의 제 1 입구를 통해 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1 입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밸브 개구를 통해 제 1 밸브 튜브로 유입될 수 있도록 배향되어야 한다. 유체 흐름은 연결 채널 영역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밸브 개구를 통해 연결 채널 영역으로 흐를 수 있다. 밸브 개구가 제 1 출구와 중첩되지 않기 때문에, 제 1 출구로의 통로는 밸브 튜브에 의해 차단된다. 그 다음, 유체 흐름은 제 2 밸브 튜브의 밸브 개구를 통해 제 2 밸브 튜브 내로 흐를 수 있으며, 상기 밸브 개구는 연결 채널 영역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유체 흐름은 제 2 밸브 튜브의 밸브 개구를 통해 어댑터 플레이트 밖으로 흐를 수 있으며, 상기 밸브 개구는 어댑터 플레이트의 제 2 출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밸브 개구가 제 2 입구와 중첩되지 않기 때문에, 제 2 입구로의 통로는 밸브 튜브에 의해 차단된다.
즉, 밸브 튜브는 필요에 따라 어댑터 플레이트를 통과하는 특정 통로를 차단하거나 해제하는 차단 콕(shut-off cock)의 역할을 한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바람직하게는 어댑터 채널 내에 또는 대안적으로 어댑터 채널 위에 배열된다. 센서는 어댑터 플레이트를 통해 흐르는 유체의 압력, 부피 흐름, UV 값, pH 값, 탁도 및/또는 점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이 목적을 위해 저렴한 일회용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측정된 값은 처리, 예를 들어 필터 처리의 개방 루프 및/또는 폐쇄 루프 방식으로 제어하는데 차례로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측정 값을 외부 컨트롤 장치로 전송하여, 그곳에서 처리한 후 해당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더욱이, 어댑터 채널은 보조 입력부 및/또는 보조 출력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입력부 및/또는 출력부의 도움으로, 어댑터 플레이트를 통해 흐를 수 있는 유체 흐름은 어댑터 플레이트 밖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흐르고 및/또는 다시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분지형 유체 흐름은 예를 들어 바이러스 비활성화(예를 들어, 단백질 A 크로마토그래피 단계 후 바이러스 비활성화) 동안 적어도 하나의 상향 처리 단계 또는 필터 단계로부터의 유체 흐름의 외부 처리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보조 입력부를 통해 외부 펌프를 연결할 수 있으며; 및/또는 무결성 테스트는 처리 시스템 내의 다른 처리 유닛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유체 흐름은 중간에 외부에서 버퍼링 및/또는 재생될 수 있도록 보조 출력부를 통해 제 1 처리 유닛 밖으로 흐를 수 있다. 또한, 제 1 처리 유닛은 보조 입력부를 통해 별도로 청소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세척액이 후속 처리 단계 또는 보다 상세하게는 후속 처리 유닛을 오염시키지 않고, 어댑터 플레이트의 보조 출력부를 통해 제 1 처리 유닛으로부터 밖으로 흐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세척액은 예를 들어 잿물 또는 세척 완충액일 수 있다. 또한, 용매 교환을 위한 정용 필터 매체는 보조 입력부를 통해 공급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보조 입력부를 통한 다른 형태의 매체 추가가 가능하다. 특히, 상향 또는 하향 크로마토그래피 필터 장치의 용리/세척/세정은 보조 출력부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처리 시스템은 보조 출력부를 통해 환기될 수 있으며, 및/또는 샘플을 채취할 수 있다.
서로 상이하거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보조 입력부 및/또는 보조 출력부는 어댑터 플레이트에 제공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펌프는 바람직하게는 어댑터 채널 내에 또는 대안적으로 어댑터 채널 상에 배열된다.
어댑터 플레이트에 통합된 펌프는 예를 들어 충분한 처리 성능, 특히, 제 2 또는 오히려 다음 처리 유닛의 필터 성능을 촉진할 수 있다. 이 기능은 특히 직렬 회로에서 다음 처리 유닛/필터 유닛의 흐름 저항을 극복하기 위해 필요하다.
이 경우에, 적합한 펌프도 생산 비용이 저렴하고 세척 비용, 보다 상세하게는 유지 보수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일회용 디자인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펌프는 연동 펌프 또는 피스톤 펌프로 디자인된다.
호스 펌프라고도 불리는 연동 펌프는 호스의 외부 기계적 변형으로 인해 유체가 상기 호스를 통해 강제로 이송되도록 하는 양(positive) 변위 펌프이다. 호스는 펌프 헤드의 하우징 외부에서 지지되며, 롤러 및/또는 슬라이딩 블록에 의해 내부에서 클램핑될 수 있으며, 이는 로터(방사형 활성 시스템)에서 회전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캠축(선형 또는 심지어 수평 활성 시스템)에 의해 회전한다. 두 가지 유형의 구조에서 모션은 호스를 따라 이동하는 핀치 포인트(pinch point)를 생성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유체를 전방으로 전달한다.
연동 펌프는 바람직하게는 연결 채널 영역에 배치된다.
유사하게, 피스톤 펌프는 양 변위 펌프이며, 변위기(피스톤)는 스트로크 동작, 즉 직선(병진) 운동을 실행한다. 피스톤 펌프는 실린더에서 작동하고, 입구와 출구가 결합되어 있으며 각각은 밸브에 의해 폐쇄될 수 있는 피스톤을 가진다.
피스톤 펌프는 바람직하게는 어댑터 플레이트의 연결 채널 영역 내에 또는 대안적으로 위에 배치된다. 연결 채널 영역의 섹션은 흡기 밸브와 배기 밸브에 의해 흐름 방향으로 분리된다. 유체는 흡기 밸브를 통해 이 섹션 내로 흐를 수 있고, 배기 밸브를 통해 빠져나갈 수 있다. 피스톤이 장착되고 그 안에서 병진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실린더는, 실린더가 연결 채널 영역에 배열되고 이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특히, 실린더는 연결 채널 영역에서 흡기 밸브와 배기 밸브 사이에 배치된다.
흡입 중 제 1 사이클에서, 피스톤은 후진 운동, 즉 연결 채널 영역에서 멀어지는 운동을 수행한다. 흡기 밸브가 개방되고; 이송될 유체는 연결 채널 영역 또는 보다 상세하게는 실린더 내로 흐를 수 있다. 이송 운동 중 제 2 사이클에서 흡기 밸브가 폐쇄되고; 피스톤은 연결 채널 영역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배기 밸브가 개방되고; 이송될 매체가 밀린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유량 제한기가 어댑터 채널에 배치된다.
일부 필터 처리에서는 흐름 및/또는 압력의 조절은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지나치게 높은 입력 압력을 방지하기 위해, 제 2 처리 유닛/필터 유닛으로의 통과 흐름을 차단하거나 줄일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상향 단일 패스 접선 흐름 필터 유닛(upstream single-pass tangential flow filtration unit)에서 필요한 막 횡단 압력은 유량 제한기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단일 패스"는 표준 작동 모드와 달리, 유체 흐름이 재순환없이 처리되는 교차 흐름 필터의 작동 모드를 나타낸다.
적어도 하나의 유량 제한기는 어댑터 채널, 바람직하게는 연결 채널 영역에 배열된다. 상기 유량 제한기는 밸브로서 디자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문제는 처리 시스템의 모듈형 구성 방법에 의해 해결되며,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하고,
- 적어도 하나의 제 1 및 제 2 처리 유닛을 제공하는 단계;
- 적어도 하나의 유체 흐름이 어댑터 플레이트를 통해 제 1 처리 유닛으로부터 제 2 처리 유닛으로 흐를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 처리 유닛을 유체 연결하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단계; 및
- 제 1 및 제 2 처리 유닛을 어댑터 플레이트에 연결하는 단계,
어댑터 플레이트는 제 1 처리 유닛과 제 2 처리 유닛 사이의 유체 흐름이 어댑터 플레이트의 도움으로 미리 정의된 방식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편향될 수 있거나 및/또는 유체 흐름, 바람직하게는 그 압력은 어댑터 플레이트의 도움으로 미리 정의된 방식으로 개방 루프 또는 폐쇄 루프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선택 및/또는 조정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의 연구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더욱이, 실시 예가 개별적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들 실시예의 개별적인 특징은 추가적인 실시예를 형성하기 위해 결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한다.
도 1a 내지 도 1e는 생물 약제학적 처리를 위한 다양한 처리 유닛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2개의 처리 유닛 그룹을 갖는 처리 시스템을 도시하며, 상기 처리 유닛 그룹은 어댑터 플레이트의 도움으로 병렬로 연결된다.
도 2b는 도 2a의 처리 시스템을 도시하며, 2개의 처리 유닛 그룹은 어댑터 플레이트의 도움으로 직렬로 연결된다.
도 2c는 도 2b의 처리 시스템을 도시하며, 개별 처리 유닛은 단부 브래킷에 의해 함께 고정된다.
도 3a는 다방향 밸브를 갖는 도 2a 및 도 2b의 어댑터 플레이트를 통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b는 도 3a의 다방향 밸브를 도시한다.
도 4는 센서가 통합된 추가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플레이트를 갖는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5a는 추가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센서를 갖는 2-피스(two-piece) 어댑터 플레이트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b는 도 5a의 어댑터 플레이트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a는 센서가 통합된 보조 브랜치를 갖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플레이트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b는 도 6a의 어댑터 플레이트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a는 2개의 보조 출력부 및 입력부를 갖는 추가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플레이트를 갖는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7b는 하나의 보조 출력부 및 하나의 보조 밸브를 갖는 도 7a)의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7c는 외부 혼합 탱크가 있는 도 7b의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8a는 변위 가능한 편향 부재를 갖는 2-피스 어댑터 플레이트를 통한 단면도를 도시하며, 연결 채널 영역은 편향 부재에 의해 차단된다.
도 8b는 도 8a의 어댑터 플레이트를 도시하고, 연결 채널 영역을 통한 유체 흐름이 편향 부재에 의해 해제된다.
도 9는 펌프가 통합된 추가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플레이트를 갖는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0a는 흡기 위치에 있는 피스톤 펌프를 갖는 어댑터 플레이트를 통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b는 스트로크 위치에서 도 10a의 어댑터 플레이트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1a는 추가 실시예에 따른 연동 펌프를 갖는 어댑터 플레이트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11b는 도 11a의 어댑터 플레이트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2a는 유량 제한기가 통합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플레이트를 갖는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2b는 도 12a의 어댑터 플레이트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추가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가능한 필터 연장을 위한 어댑터 플레이트를 갖는 필터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4는 압력 완화를 위한 파열 디스크를 갖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플레이트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처리 유닛은 생물 약제학적 처리를 위해 존재한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처리 유닛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상기 처리 유닛은 선택된 것을 구성하지만 완전한 목록은 아니다.
도 1a는 생물 약제학적 처리에서 특정 필터 단계를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처리 유닛(10)을 도시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처리 유닛(10)은 유체 흐름(14)이 흐를 수 있는 처리 하우징(12)을 갖는다. 유체 흐름(14)은 필터링될 매체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필터 매체(16)가 처리 하우징(12) 내에 배열된다. 상기 필터 매체는 선택되거나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되는 다공성 재료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 매체의 목적은 처리 유닛(10)의 도움으로 유체 흐름(14)으로부터 입자 또는 보다 구체적으로 물질을 필터링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필터 매체(16)는 바이러스 필터, 멸균 필터, 심층 필터 또는 멤브레인 흡착기일 수 있다. 필터 매체(16)는 바람직하게는 필터 매트 또는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 멤브레인 층(또는 층)으로서 설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필터 매체(16)는 복수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필터 매체(16)는 처리 하우징(12)에서 수직 방향(VR)으로 대략 배열된다. 처리 하우징(12)에서, 필터 매체(16)는 필터액 측(18)을 잔류물 측(20)으로부터 분리한다. 필터 매체(16)는 유체 투과성이고, 이 경우 필터 매체 특정 물질은 필터 매체(16)를 통과할 수 없다. 유체 흐름(14)은 의도된대로 잔류물 측(20)에서 필터액 측(18)으로 향하기 때문에, 이러한 필터 매체 특정 물질은 잔류물 측(20) 및/또는 필터 매체(16)에 남아 있으나, 처리 유닛(10)의 필터액 측(18)에 크게 도달하지 않는다. 적용된 유체 압력 및/또는 필터 매체(16)의 투과성에 따라, 잔류물 측(20)과 필터액 측(18) 사이에서 유체 압력 차이가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처리 하우징(12)의 상단부(22)에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 채널(24)이 있으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HR)으로 연장되고 처리 유닛(10)에 여과될 매체를 공급한다. 도 1에 화살표를 사용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유체 흐름(14)은 유입 채널(24)을 통해 처리 하우징(12) 내로 흐른다. 도 1에서, 이것은 유체 흐름(14)이 왼쪽에서 처리 하우징(12) 내로 흐른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후 유체 흐름(14)의 적어도 일부는 필터 매체(16)를 통해 잔류물 측(20)으로부터 필터액 측(18)으로 흐른다. 처리 유닛(10)이 추가적인 처리 유닛(미도시)에 병렬로 연결되는 경우, 유체 흐름(14)의 다른 부분은 필터 매체(16)를 통과하지 않고 추가적인 처리 유닛으로 직접 흐른다. 이것은 유체 흐름(14)의 이 부분이 추가적인 처리 유닛(미도시)의 유입 채널(24)로 흐른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다음, 필터 매체(16)를 통과한 유체 흐름(14)("필터액")은 바람직하게는 처리 하우징(12)의 하단(28)에 있는 유출 채널(26) 내로 흐르고, 거기로부터 처리 하우징(12) 밖으로 흐른다. 유사하게, 유출 채널(26)은 바람직하게는 처리 하우징(12)에서 대략 수평 방향(HR)으로 연장된다. 그러면 처리 하우징(12)을 떠나는 필터액은 추가적인 처리 유닛(병렬 회로)(미도시)의 유출 채널(26) 내로 흐를 수 있으며, 및/또는 추가적인 처리 유닛(직렬 회로)의 유입 채널(24)로의 추가 처리를 위해 흐를 수 있다.
도 1b는 도 1a의 처리 유닛(10)을 도시하며, 이는 필터 매체(16)가 다층으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후자와 다르다.
도 1c는 원칙적으로 도 1a의 처리 유닛(10)과 유사한 방식으로 디자인되었지만 필터링 방식이 상이한 처리 유닛(10)을 도시한다. 따라서, 도 1a의 처리 유닛(10)과 상이한 도 1c)의 처리 유닛(10)의 부분만이 하기에서 설명된다.
특히 도 1c)의 처리 유닛은 프리코트(precoat) 필터용으로 디자인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필터 매체(16)는 프리코트 필터로서 디자인된다. 이 실시예에서, 필터 매체(16)는 처리 하우징(12)에서 바람직하게는 수직 방향(VR)로 배열되고, 상대적으로 거칠게 설계되는 필터 지지부(17)를 포함한다. 프리코팅제는 일반적으로 필터에 도입되기 전에 유체와 혼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필터 케이크(미도시)의 구성이 가능해진다. 필터 지지부(17)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 보조체가 유지되는 방식으로 선택된다. 처리 하우징(12)의 필터 케이크를 위한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잔류물 측(20)에 빈 공간(19)이 형성된다.
도 1d는 도 1a의 처리 유닛(10)과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되지만 필터 매체(16) 대신에 벌크 소재(21)를 갖는 추가적인 처리 유닛(10)을 도시한다. 벌크 소재(21)는 겔 또는 활성탄일 수 있으므로, 도 1c의 처리 유닛(10)은 크로마토그래피에 적합하다.
크로마토그래피와 관련하여, 물질의 혼합물을 분리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벌크 소재(21)는 고정상으로 작용하며, 이는 처리 유닛(10)에서 움직이지 않게 배열된다. 물질의 혼합물은 이동상(예를 들어, 물)의 도움으로 고정상으로 이송된다. 이동상에서 개별 물질과 상호 작용하는 고정상으로 인해, 해당 물질의 통과 시간이 처리 유닛(10)에 의해 지연될 수 있으므로, 물질 분리가 가능하다.
도 1e는 도 1a의 처리 유닛(10)과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되는 추가적인 처리 유닛(10)을 도시하지만, 제 2 유출 채널(27)이 제공된다는 점이 다르다. 결과적으로, 이 처리 유닛(10)은 접선 흐름 필터 또는 교차 흐름 필터에 적합하다. 이 경우, 필터링될 현탁액은 필터 매체(16)에 평행하게 고속으로 펌핑되고; 필터액은 흐름 방향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배출된다. 그 다음 필터액은 유출 채널(26) 중 하나를 통해 방출될 수 있다. 필터 매체(16)를 통과하지 않는 유체 흐름(14)의 그 부분, 즉 잔류물은 제 2 유출 채널(27)을 통해 처리 유닛(10) 밖으로 방출될 수 있다. 요구 사항에 따라 교차 흐름 필터에서 나온 필터액 또는 잔류물은 다음에서 설명하는 처리 시스템의 일부로서 추가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의 경우에서 도 1a 내지 도 1e에 설명된 복수의 처리 유닛(10)을 갖는 처리 시스템(100)을 도시하고; 상기 처리 유닛(10)은 서로 직접 결합되고 처리 유닛 그룹(11)을 형성한다. 도 2a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 시스템(100)은 각각의 경우에 제 1 처리 유닛 그룹(13) 및 제 2 처리 유닛 그룹(15)을 포함하고, 이들 모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플레이트(200)의 도움으로 결합된다. 도 2a 및 도 2b에서 직접 결합된 처리 유닛(10)은 병렬로 연결되지만 직렬로 연결될 수 도 있는 유닛으로 도시된다. 어댑터 플레이트(200)의 도움으로 결합된 2개의 처리 유닛 그룹(11)은 어댑터 플레이트(200)에 의해 병렬(도 2a 참조) 및 직렬(도 2b 참조) 둘 다로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어댑터 플레이트(200)에 의해 이러한 연결 모드들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이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어댑터 플레이트(200)에 통합된 (또는 대안적으로, 어댑터 플레이트(200)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편향 부재에 의해 처리 시스템(100)에서 구조적 변경 없이 간단한 방식으로 발생한다. 하나 이상의 편향 부재를 간단히 전환함으로써 처리 유닛 그룹(11)의 병렬 및 직렬 연결간에 전환할 수 있다. 도 2a는 어댑터 플레이트(200)에 의해 결합된 처리 유닛 그룹(11)의 병렬 연결을 도시한다. 도 2b는 어댑터 플레이트(200)에 의해 결합된 2개의 처리 유닛 그룹(11)의 직렬 연결을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는 어댑터 플레이트(200)에 의해 결합된 처리 유닛 그룹(11)을 도시하지만, 어댑터 플레이트(200)는 또한 하나의 처리 유닛(10)만을 처리 유닛 그룹(11)에 연결하거나 2개의 개별 처리 유닛(10)을 서로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어댑터 플레이트(200)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플레이트 형태의 방식으로 디자인되고, 유체 흐름(14)에 의해 횡단될 수 있다. 어댑터 플레이트(200)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감마선 조사, 오토 클레이브, 에틸렌 옥사이드와 같은 가스를 이용한 관류 및/또는 고온 증기와 같은 멸균 방법이 적용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 선택되는 재료 특성을 갖는 일회용 부품으로 디자인된다. 특히 어댑터 플레이트는 플라스틱으로 만들 수 있다. 흐름 방향으로 어댑터 플레이트(200)의 상향에 배열된 처리 유닛(10)은 제 1 처리 유닛(30)이라고 지칭하고, 흐름 방향으로 어댑터 플레이트(200)의 하향에 배열된 처리 유닛(10)은 제 2 처리 유닛(32)이라고 지칭한다. 즉, 도 2a 및 2b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제 1 처리 유닛 그룹(13)은 제 1 처리 유닛(30)을 포함하고; 제 2 처리 유닛 그룹(15)은 제 2 처리 유닛(32)을 포함한다. 어댑터 플레이트(200)는 제 1 처리 유닛 그룹(13)과 제 2 처리 유닛 그룹(15) 사이에 배치되고 후자를 유체적으로 연결한다. 어댑터 플레이트(200)는 유체 흐름(14)이 어댑터 플레이트(200) 내로 흐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입구를 포함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 플레이트(200)는 2개의 입구를 가지며, 특히, 어댑터 플레이트(200)의 상향에 바로 배열된 제 1 처리 유닛(30)의 유출 채널(26)에 연결된 어댑터 플레이트(200)의 바람직하게는 하단부(204)의 제 1 입구(202)와 이러한 제 1 처리 유닛(30)의 유입 채널(24)에 연결된 어댑터 플레이트(200)의 바람직하게는 상단부(208)의 제 2 입구를 가진다. 즉, 유체 흐름(14)은 제 1 및 제 2 입구(202, 206) 각각을 통해 상기 제 1 처리 유닛(30)으로부터 어댑터 플레이트(200) 내로 스트림되거나, 보다 상세하게는 흐를 수 있다. 또한, 어댑터 플레이트(200)는 유체 흐름(14)이 어댑터 플레이트(200)를 빠져 나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를 가진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 플레이트(200)는 2개의 출구를 가지며, 특히, 어댑터 플레이트(200)의 하단부(204) 상에 바람직하게는 배열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근처에 배열되고, 어댑터 플레이트(200)의 하향에 바로 배열된 제 2 처리 유닛(32)의 유출 채널(26)에 연결되거나 오히려 연결될 수 있는 제 1 출구(210)와 어댑터 플레이트(200)의 상단부(208) 상에 바람직하게는 배열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근처에 배열되고, 이러한 제 2 처리 유닛(32)의 유출 채널(26)에 연결되거나 오히려 연결될 수 있는 제 2 출구(212)를 가진다.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채널(214)은 입구 및 출구를 서로 유체적으로 연결하고, 어댑터 플레이트(200) 내로 연장된다. 특히, 어댑터 채널(214)은 제 1 입구(202) 및 제 1 출구(210)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 1 채널 영역(216)을 가진다. 제 2 채널 영역(218)은 제 2 입구(206) 및 제 2 출구(212) 사이에서 연장된다. 제 1 및 제 2 채널 영역(216, 218)은 각각 연결 채널 영역(220)에 의해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2개의 편향 부재가 어댑터 채널(214)에 배열된다. 특히, 상기 편향 부재는 밸브(222)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1 밸브(224)는 제 1 채널 영역(216)에 배열되고; 및 제 2 밸브(226)는 제 2 채널 영역(218)에 배열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밸브(222)는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방향 밸브(246)로서 디자인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1 및 제 2 처리 유닛(30, 32) 각각은 다른 유형의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이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처리 유닛 그룹(13)의 제 1 처리 유닛(30) 및 제 2 처리 유닛 그룹(15)의 제 2 처리 유닛(32)은 구성이 동일하다. 그러나, 제 1 처리 유닛(30) 및 제 2 처리 유닛(32)은 각각의 경우에 서로 상이한 것으로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제 1 처리 유닛(30)은 심층 필터로서 디자인될 수 있는 반면, 적어도 하나의 제 2 처리 유닛(32)은 멸균 필터로서 디자인될 수 있다.
도 2c는 개별 처리 유닛(10) 및 어댑터 플레이트(200)가 단부 브래킷(34)의 도움으로 함께 유지되는 도 2b의 처리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즉, 유체 흐름(14)이 처리 시스템(100)으로 들어가는 진입 지점과 유체 흐름(14)이 처리 시스템(100)을 빠져나가는 출구 지점에서 각각의 경우에 단부 브래킷(34)이 존재한다. 상기 단부 브래킷은 바람직하게는 폐쇄 플레이트로서 디자인될 수 있어서, 개별 처리 유닛(10)이 이러한 폐쇄 플레이트 사이에 샌드위치형 방식으로 유지된다. 입구 및/또는 출구는 단부 브래킷(34)의 일부일 수 있다. 특히, 그러나 대응하는 연결부를 갖는 추가 폐쇄 플레이트가 단부 브래킷(34)과 각각 인접한 처리 유닛(10) 사이에 도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체 흐름(14)이 공급 펌프(36)의 도움으로 처리 시스템(100) 내부로 펌핑된다.
도 3a는 어댑터 플레이트(200)를 통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 플레이트(200)는 바람직하게는 2-피스 부품으로서 형성되고, 공급 플레이트(230) 및 방출 플레이트(미도시)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입구가 배치된 어댑터 플레이트(200)의 플레이트를 공급 플레이트(230)라고 지칭한다. 적어도 하나의 출구가 배치된 어댑터 플레이트(200)의 플레이트를 방출 플레이트라고 지칭한다. 공급 플레이트(230)와 방출 플레이트의 형상 및/또는 크기는 동일할 수 있다. 각각의 경우에 편향 부재로 작용하는 하나의 다방향 밸브(246)가 제 1 및/또는 제 2 채널 영역(216, 218) 각각에 위치된다. 다방향 밸브(246)는 장착되는(특히, 전환가능하거나 회전가능하도록) 제 1 및 제 2 채널 영역(216, 218)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밸브 튜브(248)를 포함한다. 변위(특히, 회전)는 어댑터 플레이트(200)로부터 돌출된 핸드 피스(254)(도 3a 및 도 3b 참조)에 의해 손으로 수행될 수 있거나 및/또는 외부 컨트롤 장치(미도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밸브 개구(252)가 밸브 튜브(248)의 측면(250)에 형성된다. 제 1 유체 흐름 또는 제 2 유체 흐름이 밸브 튜브(248)의 제 1 위치에서 가능하게 되는 방식으로, 상기 2개의 밸브 개구가 변위 방향(특히, 회전 방향)에 대해 서로 오프셋되도록 배열된다. 즉, 예를 들어, 제 1 입구(202)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제 1 밸브 개구(252)를 통해 어댑터 플레이트(200)의 제 1 입구(202)에 의해, 제 1 유체 흐름이 밸브 튜브(248)로 들어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밸브 개구(252)는 제 1 출구(21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어, 제 1 유체 흐름이 제 1 출구(210)를 통해 어댑터 플레이트(200) 밖으로 흐를 수 있다. 이는 제 2 유체 흐름과 입구 및 출구 개구(206, 212) 각각에 대응하여 적용된다. 연결 채널 영역(220)을 통한 유체 흐름(14)은 각각의 채널 영역에서 밸브 개구(252)의 위치에 기초하여 차단된다. 그러나, 다방향 밸브(246)를 통한 제 1 및 제 2 유체 흐름이 허용되기 때문에, 각각 어댑터 플레이트(200)에 직접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처리 유닛(30, 32)은 병렬로 연결된다.
그러나, 밸브 튜브(248)는 바람직하게는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3 개의 밸브 개구(252)를 가진다. 밸브 튜브(248)의 제 1 방향(특히, 회전 위치)으로 적어도 2개의 밸브 개구(252)가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유체 흐름이 허용되어, 각각이 어댑터 플레이트에 직접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처리 유닛(30, 32)이 병렬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정렬되도록 배열된다. 그러나, 밸브 개구(252)가 연결 채널 영역(220)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지 않기 때문에, 연결 채널 영역(220)을 통한 유체 흐름(14)이 방지된다.
그러나, 적어도 3 개의 밸브 개구(252)의 배열의 결과로서, 각각의 밸브 튜브(248)의 제 2 방향(특히, 회전 위치)에서, 입구 또는 출구로의 통로가 차단되고, 연결 채널 영역(220)에 대한 접근이 허용된다. 이러한 배열은 제 1 및 제 2 처리 유닛(30, 32) 각각이 직렬로 연결되도록 허용한다.
즉, 직렬 연결에서 다방향 밸브(246)는 유체 흐름(14)이 어댑터 플레이트(200)의 제 1 입구(202)를 통해 그리고 제 1 밸브 입구(202)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밸브 개구(252)를 통해 제 1 밸브 튜브(248)로 들어갈 수 있도록 배향된다. 유체 흐름(14)은 연결 채널 영역(220)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하는 밸브 개구(252)를 통해 연결 채널 영역(220) 내로 흐를 수 있다. 밸브 개구(252)가 제 1 출구(210)와 중첩되지 않기 때문에, 제 1 출구(210)로의 통로는 밸브 튜브(248)에 의해 차단된다. 그 후, 유체 흐름(14)은 제 2 밸브 튜브(248)의 밸브 개구(252)를 통해 제 2 밸브 튜브(248)로 흐를 수 있으며, 상기 밸브 개구는 연결 채널 영역(220)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유체 흐름(14)은 제 2 밸브 튜브(248)의 밸브 개구(252)를 통해 어댑터 플레이트(200)로부터 밖으로 흐를 수 있으며, 상기 밸브 개구는 어댑터 플레이트(200)의 제 2 출구(212)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밸브 개구(252)가 제 2 입구(206)와 중첩되지 않기 때문에, 제 2 입구(206)로의 통로는 밸브 튜브(248)에 의해 차단된다.
따라서, 2개의 처리 유닛(10) 또는 처리 유닛 그룹(11)의 직렬 및 병렬 연결 사이를 간단한 방식으로 그리고 구조적 개조 조치없이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어댑터 플레이트(200)는 콤팩트한 부품으로 디자인되어, 처리 시스템(100)이 작은 공간 요구 사항을 만족한다. 밸브(222)는 저렴한 일회용 부품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가능한 응용 분야는: 표준 작동에서 단일 통과로의 접선 흐름 여과 전환, 예를 들어, 상이한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의 직렬 조합용 또는 용량 활용 향상을 위한 병렬 및 직렬 연결된 크로마토그래피 유닛 간 전환일 수 있다.
도 4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228)가 어댑터 플레이트(200) 내에 또는 대안 적으로 위에 배열되는 처리 시스템(1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경우에, 이 센서(228)는 예를 들어 유체 흐름(14)의 압력, 체적 흐름, UV 값, pH 값, 탁도 및/또는 점도가 측정될 수 있는 방식으로 디자인된다. 측정된 값은 개방 루프 또는 폐쇄 루프 방식으로 필터 처리를 제어하는데 차례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측정된 값은 외부 컨트롤 장치(미도시)로 전송될 수 있다. 센서(228)는 저렴한 일회용 부품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시된 어댑터 플레이트(200)는 제 1 및 제 2 처리 유닛 그룹(13, 15)을 직렬로 연결한다. 그러나, 2개의 처리 유닛 그룹(11)이 병렬로 연결될 때 센서(228)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 유체 흐름(14)과 접촉할 수 있도록, 센서(들)(228) 각각이 제 1 및/또는 제 2 채널 영역(216, 218) 내에 또는 위에 배열될 필요가 있다. 제 1 및 제 2 처리 유닛 그룹(13, 15) 각각이 직렬로 연결되면, 센서(228)는 또한 연결 채널 영역(220) 내에 또는 대안적으로 위에 배열될 수 있다.
도 5a 및 5b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228)가 통합된 어댑터 플레이트(20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 플레이트(200)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2-피스 부품으로서 또는 대안적으로 다중-피스 부품으로서 디자인된다. 공급 플레이트(230)는 바람직하게는 어댑터 플레이트(200)의 하단부(204)에 적어도 하나의 제 1 입구(202)를 포함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플레이트(230)는 2개의 제 1 입구(202)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공급 플레이트는 임의의 제 2 입구(들)(206)를 가지지 않는다. 도시된 어댑터 플레이트(200)는 2개의 처리 유닛(10) 사이의 직렬 연결만을 허용하도록 의도되었으나, 절대적으로 의무적인 것은 아니다. 병렬 연결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어댑터 플레이트(200)의 상단부(208)에 적어도 하나의 제 2 입구(206)가 공급 플레이트(230)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b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출 플레이트(232)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출구(212)를 포함한다. 도 5b의 특정 경우와 관련하여, 방출 플레이트(232)는 2개의 제 2 출구(212)를 갖는다. 2개의 처리 유닛(10) 사이의 병렬 연결이 바람직하다면, 방출 플레이트(232)는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제 1 출구(210)를 가질 수 있다. 공급 및 방출 플레이트(230, 232) 각각은 서로 나사로 고정되거나 및/또는 접착 결합되거나 및/또는 용접되거나 및/또는 스냅 잠금될 수 있다.
대응하는 채널 리세스(234)는 공급 및/또는 방출 플레이트(230, 232)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급 플레이트와 배출 플레이트(230, 232) 각각이 조립될 때, 어댑터 채널(214)은 유체 흐름(14)이 어댑터 플레이트(200)를 통해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흐름 웹(236)이 어댑터 채널(214)의 연결 채널 영역(220)에 형성된다. 상기 흐름 웹은 바람직하게는 유체 흐름(14)의 흐름 방향으로 대략 연장되고, 개선된 방식으로 유체 흐름(14)을 지향시키는 것을 돕는다. 센서(228)는 공급 플레이트 및/또는 방출 플레이트(230, 232) 각각에 통합될 수 있고, 어댑터 채널(214) 내로 돌출할 수 있어서, 센서(228)의 측정 부재가 유체 흐름(14)과 접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어댑터 채널(214)은 적어도 특정 영역에서 센서(228)에 대한 연결 채널(238)을 포함한다. 이 연결 채널(238)은 센서(228)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어댑터 채널(214) 내의 적어도 특정 영역에서의 리세스일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a 및 5b의 어댑터 플레이트(200)를 도시한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 센서(228)는 어댑터 채널(214) 내에 또는 상에 배열되지 않고 오히려 보조 브랜치(240) 내에 또는 대안적으로 상에 배열된다. 보조 브랜치(240)는 어댑터 채널(214)의 브랜치이며, 유체 흐름(14)의 적어도 일부가 브랜치 내로 우회된다. 유체 흐름(14)의 이 부분은 적어도 일정 시간 동안 어댑터 채널(214)로부터 흘러 나와, 어댑터 채널(214) 내로 다시, 바람직하게는 나중에 다시 공급된다.
보조 브랜치(240)는 대응하는 측정을 위해 소량의 유체 흐름(14)을 분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보조 브랜치(240)는 어댑터 플레이트(20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합되는 별도의 채널 부재(242)의 도움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브랜치(240)의 일부는 어댑터 플레이트(20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그 결과, 특히 센서(228)는 또한 어댑터 플레이트(20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배치는 또한 "어댑터 채널(214) 상에 배치된"설명에 의해 커버된다.
도 7a는 제 1 및 제 2 처리 유닛 그룹(13, 15) 각각을 갖는 처리 시스템(100)을 도시하며, 2개의 처리 유닛 그룹은 어댑터 플레이트(200)에 의해 결합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결합된 처리 유닛 그룹(11)이 연결된다. 어댑터 플레이트(200)에 의해 직렬로 연결되지만, 전술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2개의 처리 유닛 그룹(11)을 병렬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a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보조 출력부 및/또는 보조 입력부(244)는 어댑터 플레이트(200)에 형성될 수 있다. 유체 흐름(14)의 적어도 일부는 보조 출력부를 통해 어댑터 채널(214)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또한 보다 상세하게는 어댑터 채널(214) 밖으로 흐를 수 있다. 제거된 유체 흐름(14)은 보조 입력부를 통해 다시 어댑터 채널(214) 내로 흐를 수 있으며; 또한 어댑터 채널(214)에 대한 액세스가 보장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보조 출력부 또는 보조 입력부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펌프의 외부 연결, 처리 시스템(100)의 다른 처리 유닛(10)에 대한 무결성 테스트, 중간 버퍼링 또는 추가 처리, 배기 및/또는 샘플링을 위해 제 1 또는 추가적인 상향 처리 유닛(30)의 유체 방출을 허용한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정용 필터 매체 및/또는 다른 시약이 보조 입력부를 통해 추가될 수 있다. 도 7a는 2개의 보조 출력부 및 보조 입력부(244)을 갖는 어댑터 플레이트(200)를 도시한다. 보조 출력부 및 보조 입력부(244)에 대한 가능한 연결은 삼중 고정자 또는 멸균 커넥터일 수 있다.
도 7b는 도 7a의 처리 시스템(100)을 도시하지만, 단 하나의 보조 출력부 또는 입력부(244)을 갖는다. 이 경우 제 1 및 제 2 처리 유닛 그룹(13, 15)도 각각 직렬로 연결된다; 특히 크로마토그래피 단계의 직렬 연결이다. 이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 1 처리 유닛(30)은 바람직하게는 결합 및 용리 유닛이다. 크로마토그래피 단계는 예를 들어 막(막 흡착제) 또는 겔에 결합된 단백질 A 리간드를 갖는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2 처리 유닛(32)을 오염시키지 않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보조 출력부(244)가 어댑터 플레이트(200)에 제공될 수있어서, 유체 흐름(14)이 보조 출력부(244)를 통해 어댑터 플레이트(200)에 직접 결합된 제 1 처리 유닛(30)의 유출 채널(26) 밖으로 흐를 수 있다. 특히, 각종 완충액 및 세척액은 보조 출력부(244)를 통해 방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조 출력부(244)와 어댑터 플레이트(200)에 직접 결합된 제 2 처리 유닛(32) 사이의 유체 흐름(14)을 편향시키도록 보조 밸브(245)가 보조 출력부(244)에 배열된다.
도 7b의 처리 시스템(100)의 처리 가능 시퀀스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1) 평형화: 버퍼 용액은 크로마토그래피 매체를 세척하고 원하는 평형 상태로 만들기 위해 사용된다; 어댑터 플레이트(200)에 직접 결합된 제 1 처리 유닛(30)으로부터 나오는 버퍼 용액은 어댑터 플레이트(200)의 보조 출력부(244)를 통해 방출된다.
(2) 처리될 유체 흐름(14)의 로딩: 유체 흐름(14)으로부터의 표적 분자는 제 1 처리 유닛 그룹(13)의 크로마토그래피 물질에 결합된다; 불순물이 포함된 잔여 액체는 어댑터 플레이트(200)의 보조 출력부(244)를 통해 어댑터 플레이트(200)에 직접 결합된 제 1 처리 유닛(30)으로부터 떠오른다.
(3) 세척: 버퍼 용액은 제 1 처리 유닛 그룹(13)으로부터 잔여 불순물을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불순물과 함께 떠오르는 버퍼 용액은 어댑터 플레이트(200)의 보조 출력부(244)를 통해 방출된다.
(4) 용출: 추가 버퍼 용액으로, 표적 분자는 제 1 처리 유닛 그룹(13)의 크로마토그래피 물질에 의해 다시 용해되고, 어댑터 플레이트(200)에 직접 결합된 제 2 처리 유닛(32)을 통해 제 2 처리 유닛 그룹(15)으로 직접 전달될 수 있다(동시에 보조 출력부(244)는 폐쇄됨). 이 경우, 제 2 처리 유닛(32)은 적용된 처리에 따라 추가 불순물(유동 연마) 또는 표적 분자(결합 및 용리)를 결합할 수 있는 크로마토그래피 유닛이다.
(5) 세정/재생/오염 제거: 제 1 처리 유닛 그룹(13)의 크로마토그래피 물질은 추가 용액으로 처리된다; 불순물과 함께 나오는 용액은 어댑터 플레이트(200)의 보조 출력부(244)를 통해 방출된다.
보조 입력부 및 출력부(244)는 제 1 처리 유닛 그룹(13)과 별도로 이전 시퀀스에서 설명한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어댑터 플레이트(200)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처리 유닛(32)을 처리하도록 해당 용액을 공급하는 데 사용된다.
설명된 단계의 시퀀스는 원하는대로 확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단계(4)에서, 중간 저장 및/또는 추가 처리(예를 들어, 혼합 탱크(38)에서 낮은 pH 값에서의 바이러스 비활성화)를 위한 표적 분자는 또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출력부(244)을 통해 방출될 수 있다. 이후 단계에서, 상기 표적 분자는 제 2 처리 유닛 그룹(15)으로 다시 공급된다.
도 8a 및 도 8b는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를 갖는 2-피스 어댑터 플레이트(2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 부재는 어댑터 플레이트(200)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다. 특히, 편향 부재(이하 "폐쇄 부재(256)"라 함)는 변위 가능하거나 또는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가능하도록 어댑터 플레이트(200)에 장착되어, 폐쇄 부재(256)의 제 1 위치에서, 폐쇄 부재(256)가 어댑터 채널(214) 내로 적어도 부분으로 돌출하여, 어댑터 채널(214)을 통해 유체 흐름(14)을 완전하게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도 8a 참조) 차단한다. 폐쇄 부재(256)의 제 2 위치에서, 폐쇄 부재(256)는 어댑터 채널(214) 내로 돌출하지 않으므로, 유체 흐름(14)은 실질적으로 방해받지 않고 흐를 수 있다.
폐쇄 부재(256)는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로서 디자인된다. 대응되도록 디자인된 슬롯 또는 보다 상세하게는 리세스가 어댑터 플레이트(200)에서 대응하는 폐쇄 부재(256)를 위해 형성되고; 폐쇄 부재(256)는 이 슬롯에서 변위 가능하게 또는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연결 채널 영역(220)을 통한 유체 흐름(14)이 차단될 수 있도록 배열된 폐쇄 부재(256)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폐쇄 부재(256)는 바람직하게는 수평 방향(HR)으로 연결 채널 영역(220) 내로 밀리거나 또는 보다 상세하게는 삽입될 수 있다.
더욱이,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폐쇄 요소(256)가 제공될 수 있어서, 제 1 및/또는 제 2 채널 영역(216, 218) 각각 이내로 밀리거나, 보다 상세하게는 삽입될 수 있다. 이것은 폐쇄 요소(256)가 각각의 채널 영역으로 밀릴 수 있거나, 보다 상세하게는, 위 또는 아래로부터 삽입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폐쇄 요소(256)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출구(210)가 폐쇄 요소(256)에 의해 차단될 수 있는 방식으로 제 1 채널 영역(216) 내로 밀릴 수 있다. 추가 폐쇄 요소(256)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입구(206)가 폐쇄 요소(256)에 의해 차단될 수 있는 방식으로 제 2 채널 영역(218)으로 밀릴 수 있다. 즉, 상기 폐쇄 요소(256)는 제 1 및 제 2 처리 유닛 그룹(13, 15) 각각 또는 제 1 및 제 2 처리 유닛(30, 32) 각각을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8a는 처리 유닛(10) 사이의 병렬 연결을 도시하며, 하나의 폐쇄 요소(256)가 연결 채널 영역(220)으로 밀리거나 오히려 삽입되고; 연결 채널 영역(220)을 통한 유체 흐름(14)이 차단된다. 도 8b는 처리 유닛(10) 사이의 병렬 연결을 도시하며, 하나의 폐쇄 요소(256)가 연결 채널 영역(220)으로 밀리거나 오히려 삽입되고; 연결 채널 영역(220)을 통한 유체 흐름(14)이 차단된다. 그러나, 연결 채널 영역(220)을 통한 유체 흐름(14)은 폐쇄 요소(256)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다.
폐쇄 요소(256)는 수동으로 변위 및/또는 이동될 수 있거나 및/또는 외부 컨트롤러(미도시) 및 결합된 모터(미도시)에 의해 밀릴 수 있다.
도 9는 제 1 및 제 2 처리 유닛 그룹(13, 15) 각각을 가지는 처리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제 1 및 제 2 처리 유닛 그룹(13, 15) 각각은 어댑터 플레이트(200)에 의해 결합된다. 적어도 하나의 펌프(258)는 어댑터 플레이트(200)의 어댑터 채널(214) 내에 또는 대안적으로 위에 배치된다. 상기 펌프는 2개의 처리 유닛 그룹(11)의 병렬 연결에 사용되지만, 예를 들어 흐름 저항이 극복될 수 있으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렬 연결에서 특히 유리하고; 따라서, 제 2 처리 유닛 그룹(15)에서 충분한 필터링 성능이 달성될 수 있다.
더욱이, 펌프(258)는 제 1 처리 유닛 그룹(13)에서 음압을 개시하고 제 2 처리 유닛 그룹(15)에서 원하는 필터링 압력을 구축하기 위해 특히 양 변위 펌프로서 디자인될 수 있다. 특히, 펌프(258)는 저렴한 일회용 부품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양 변위 펌프, 특히 피스톤 펌프를 갖는 어댑터 플레이트(200)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한다. 펌프(258)는 바람직하게는 연결 채널 영역(220)에 배열되고, 스트로크 운동, 즉 직선(병진) 운동을 수행하도록 디자인된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260)을 포함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피스톤(260)은 실린더(262)에 장착된다. 또한, 펌프(258)는 입력부 및 출력부를 가지며, 각각은 밸브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특히, 연결 채널 영역(220)의 한 섹션은 분리되거나, 보다 상세하게는 흡기 밸브(264) 및 배기 밸브(266)에 의해 흐름 방향으로 구분된다. 유체는 흡기 밸브를 통해 이 섹션으로 흐를 수 있고 배기 밸브(266)를 통해 빠져나갈 수 있다. 피스톤(260)이 장착되고 그 안에서 병진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실린더(262)는, 실린더(262)가 연결 채널 영역(220)에 배열되고 유체적으로 이에 연결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특히, 실린더(262)는 연결 채널 영역(220)에서 흡기 밸브 및 배기 밸브(264, 266) 사이에 배치된다.
흡입 중 제 1 사이클에서, 피스톤(260)은 후방 운동, 즉 연결 채널 영역(220)으로부터 멀어지는 운동을 실행한다. 흡기 밸브(264)가 개방되고; 이송될 유체가 연결 채널 영역(220) 또는 보다 상세하게는 실린더(262) 내로 흐를 수 있다. 이송 운동 중 제 2 사이클에서, 흡기 밸브(264)가 폐쇄되고; 피스톤(260)이 연결 채널 영역(220)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배기 밸브(266)가 개방되고; 이송될 매체가 밀려 나온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228)가 바람직하게는 어댑터 채널(214)에 배치되어, 유체 흐름(14)을 모니터링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센서(228)는 바람직하게는 흐름 방향으로 펌프(258)의 하향에 배열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체 압력 또는 유체 흐름을 측정한다. 이 값은 외부 컨트롤 장치를 통해 펌프(258)를 조절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양 변위 펌프의 또 다른 가능성은 도 11a 및 11b에 의해 도시된다. 어댑터 플레이트(200)에 통합된 펌프(258)는 전술한 이유로 바람직하게 연결 채널 영역(220)에 배열되는 연동 펌프이다.
호스 펌프라고도 불리는 연동 펌프는 호스(268)의 외부 기계적 변형으로 인해 유체가 상기 호스를 통해 강제로 이송되도록 하는 양 변위 펌프이다. 따라서, 본 경우에 호스(268)는 연결 채널 영역(220)의 일부를 구성하고, 이를 통해 어댑터 플레이트(200) 내에서 유체가 흐른다. 호스(268)가 배열된 영역은 원형이고; 또는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 채널 영역(220)이 곡선 방식으로 확장된다. 로터(270)는 연결 채널 영역(220)의 원형 섹션에 배열되며, 로터는 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로터(270)는 바람직하게는 원형 플레이트로 디자인된다. 적어도 하나의 롤러(274) 및/또는 슬라이딩 블록이 로터(270)의 상부면(272)에 배열된다. 호스(268)는 연결 채널 영역(220)의 원형 섹션의 측면에 대해 적어도 특정 영역에 놓인다. 호스(268)는 롤러(274) 및/또는 로터(270)를 회전시킴으로써 슬라이딩 블록에 의해 내부로부터 클램핑될 수 있다. 이는 호스(268)를 따라 이동하는 핀치 포인트를 초래하고; 결과적으로 유체가 전방으로 전달되도록 추진된다. 로터(270)는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 메카니즘(276)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228)는 도 10a 및 도 10b의 실시예와 유사한 방식으로 어댑터 플레이트(200)에 배열될 수 있다.
도 12a는 제 1 및 제 2 처리 유닛 그룹(13, 15) 각각을 갖는 처리 시스템(100)을 도시하며, 양 그룹은 어댑터 플레이트(200)에 의해 결합된다. 유량 제한 기(278)는 본 실시예의 어댑터 플레이트(200)에 통합된다. 상기 유량 제한기는 유체 흐름(14)의 유동 및/또는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유리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양태는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처리 유닛 그룹(11) 또는 보다 상세하게는 처리 유닛(10)의 직렬 연결에 특히 유용하다.
도 12b는 유량 제한기(278)로서 핀치 밸브를 갖는 도 12a의 어댑터 플레이트(200)를 단면도로 도시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차단 부재(279)가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연결 채널에 배열된다. 가요성 차단 부재(279)는 제 1 위치에서 유체 흐름(14)이 가요성 차단 부재(279)를 통해 방해받지 않고 흐를 수 있도록 채널형상 방식으로 디자인된다. 차단 부재(279)는 바람직하게는 호스 부재 특히 실리콘 호스로서 디자인된다.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 부재(279)는 그 외부 측면(281) 상에 차단 부재(279)의 회전 방향에서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차단 립(283)을 가질 수 있다. 연결 채널 영역 (220)을 통한 유체 흐름(14)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제한하기 위하여, 차단 부재(279)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압착될 수 있어서, 차단 부재(279)에 의해 (여기서는 보이지 않음) 관통 채널의 단면적을 감소시키거나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는 관통 채널을 완전히 폐쇄하여, 관통을 완전히 제거한다. 압착 처리는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병진 방식으로 어댑터 플레이트(200)에 장착되는 태핏(285)에 의해 기계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전방 운동은 태핏(285)이 차단 부재(279)를 압착할 수 있게 한다. 후방 운동은 태핏(285)이 다시 관통 채널을 확장하거나 완전히 해제할 수 있게 한다. 차단 부재(279)는 바람직하게는 차단 부재(279)의 외부 측면(281)이 유체 기밀 방식으로 연결 채널 영역(220)과 종결되는 방식으로 연결 채널 영역(220)에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차단 부재(279)의 외부 측면(281)에 배열된 하나의 차단 립(283)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 차단 부재(279)의 핀치 위치(pinched position)에서 차단 부재(279)와 연결 채널 영역(220) 사이에서 유체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차단 부재(279)의 핀치 위치에서 중앙 부분 영역만이 압착된다.
핀치 밸브의 대안으로서, 유량 제한기(278)는 연결 채널 영역(220)에 회전 가능하게 배열된 적어도 2개의 소형 십자형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소형 십자형 플레이트는 유체 흐름(14)의 유동 방향에 대응하는 공통 회전축을 가진다. 플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서로의 위에 위치한다. 소형 플레이트의 제 1 위치에서, 크로스 암은 크로스 암 사이의 유체 흐름(14)의 관통 흐름을 가능하게 만드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소형 플레이트의 제 2 위치에서, 크로스 암은 관통 흐름이 감소되거나 완전히 제거되는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소형 플레이트는 소형 스테인리스 스틸 스프링 플레이트로 디자인될 수 있다. 이 경우, 압력 차이는 소형 플레이트의 서로에 대한 위치에 영향을 미친다. 차압이 감소하면 개구가 확대되고; 압력 증가는 그에 따라 감소를 야기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어댑터 플레이트(200)를 통해 흐르는 유체의 양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13은 제 1 및 제 2 처리 유닛 그룹(13, 15) 각각을 가지는 추가 처리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처리 시스템(100)에 통합된 어댑터 플레이트(200)는 필요에 따라 필터링 영역을 확장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추가 처리 유닛(10)을 추가하는데 사용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처리 유닛 그룹(15)은 어댑터 플레이트(200)에 의해 추가될 수 있다. 그러나, 제 2 처리 유닛(32)만을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팽창 밸브(280)는 어댑터 플레이트(200)에 통합되거나 오히려 바람직하게는 구비된다. 이 팽창 밸브(280)는 바람직하게는 제 2 채널 영역(218) 내에 또는 대안적으로 위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어댑터 플레이트(200)에 의해 결합된 제 1 및 제 2 처리 유닛 그룹(13, 15)은 병렬로 연결되므로, 필터 영역의 확장을 원할 경우, 유체 흐름(14)은 어댑터 플레이트(200)에 직접 결합되는 제 1 처리 유닛(30)의 유입 채널(24)으로부터 어댑터 플레이트(200)에 직접 결합되는 제 2 처리 유닛(32)의 유입 채널(24)으로 흐를 수 있다. 팽창 밸브(280)는 예를 들어 압력 릴리프 밸브 또는 외부 제어 밸브와 같은 자기 조절 밸브로 디자인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어댑터 채널(214)의 제 1 채널 영역(216) 내에 또는 또는 대안적으로는 위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출력부(244)는 어댑터 플레이트(200)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처리 유닛 그룹(13, 15)이 각각 서로 결합되지 않는 경우(즉, 필터 팽창 없음), 어댑터 플레이트(200)에 직접 결합되는 제 1 처리 유닛(30)의 유출 채널(26)로부터의 유체 흐름(14)은 보조 출력부(244)를 통해 처리 시스템(100) 밖으로 흐를 수 있다. 그러나, 제 1 및 제 2 처리 장치 그룹(13, 15)이 각각 서로 결합되면(즉, 필터 팽창이 발생), 어댑터 플레이트(200)에 직접 결합된 제 2 처리 유닛(32)의 적어도 유출 채널(26)로부터의 유체 흐름(14)은 또한, 어댑터 플레이트(200)의 보조 출력부(244)를 통해 밖으로 흐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 1 출구(210)는 유체가 어댑터 플레이트(200)로부터 제 2 처리 유닛(32)의 유출 채널(26) 내로 흐를 수 있는 방식으로 설명의 나머지 부분에서 설명되었지만, 제 1 출구(210)는 이러한 한 흐름 방향에 대해 한정적으로 편향될 필요가 없다. 제 1 출구(210)는 또한 예를 들어, 도 13에서와 같이, 사용될 수 있으며, 유체(여기서 필터액)가 어댑터 플레이트(200)에 직접 결합되는 제 2 처리 유닛(32)의 유출 채널(26)로부터 흘러 나올 수 있으며, 다시 어댑터 플레이트(200) 내로 흐를 수 있고, 이어서 보조 출력부(244)를 통해 어댑터 플레이트(200)에서 흘러 나올 수 있다. 이러한 흐름 방향을 가능하도록, 역류 방지 밸브가 바람직하게는 제 1 출구(21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심층 필터를 사용하여 세포를 분리하는 동안 다양한 세포 유형, 세포 밀도 및 필터 특성의 결과로 필터링 용량에 도달할 때까지 필터링 가능한 용액의 양이 달라진다. 이 경우, 필터 영역은 전술한 바와 같이 어댑터 플레이트(200)에 의해 필요에 따라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링 처리를 중단할 필요가 없다. 또한, 미사용 처리 유닛(10)은 추가 필터링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3의 실시예는 제 1 및 제 2 처리 유닛 그룹(13, 15) 각각의 사이의 병렬 연결에 대해서만 설명되었다는 점에 유의해야한다. 그러나, 제 2 처리 유닛 그룹(15)이 제 1 처리 유닛 그룹(13)에 직렬로 연결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팽창 밸브(280)가 어댑터 채널(214)의 임의의 다른 영역에 배열될 수 있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플레이트(200)를 통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적어도 하나의 파열 압력 디스크(282)는 어댑터 채널(214)이 위치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열되는 이 어댑터 플레이트(200)에 통합되거나 오히려 구비된다. 파열 압력 디스크(282)는 스테인리스 강, 흑연, 실리콘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어댑터 플레이트(200)에서 높은 수준의 압력(예를 들어, 1 내지 5 bar 사이의 압력 수준)이 예상되는 경우, 어댑터 플레이트(200)에 파열 압력 디스크(282)를 구비하는 것이 유리하다. 공급 플레이트(230)와 방출 플레이트(232)를 가지는 2-피스 어댑터 플레이트(200)에서, 파열 압력 디스크(282)가 이들 플레이트 사이에 배열되어, 유체 흐름(14)이 어댑터 플레이트(200)에 의해 차단된다. 그러나 예를 들어, 제 1 처리 유닛(30)의 필터 매체(16)가 차단되면, 이어서 압력이 상승하고; 파열 압력 디스크(282)가 파손되고, 어댑터 플레이트(200)를 통한 제 2 처리 유닛(32)으로의 유체 흐름(14)이 보장된다.
전술한 실시예에 대한 추가 설명:
다양한 실시예에서, 2개의 처리 유닛 그룹(11)을 함께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 플레이트(200)가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 설명은 오직 제 1 및/또는 제 2 처리 유닛(30, 32) 각각이 제공되는 실시예에 대응하여 적용된다는 점에 유의해야한다.
설명된 처리 시스템(100)에서, 2개의 처리 유닛 그룹(11)을 결합하는 어댑터 플레이트(200)가 도시된다. 그러나, 처리 시스템(100)에 복수의 어댑터 플레이트(200)가 포함될 수 있다. 어댑터 플레이트(200)에 의해 결합된 처리 유닛 그룹(11)은 항상 제 1 및 제 2 처리 유닛 그룹(13, 15)으로 각각 지칭되고; 위의 설명은 2개의 처리 유닛 그룹(11)의 각각의 연결에 대응하여 적용된다. 어댑터 플레이트(200)에 의해 연결된 개별 처리 유닛(10) 또는 처리 유닛 그룹(11)에 연결된 개별 처리 장치(10)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더욱이, 예시된 어댑터 플레이트(200)가 2-피스 부품으로 디자인되었지만, 이들을 일체형으로 디자인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한다.
상기 설명에서, 주안점은 처리 시스템(100) 또는 보다 상세하게는 어댑터 플레이트(200)의 생물 약학적인 사용에 있다. 그러나, 나타낸 원리를, 예를 들어, 식품 생산, 화학 생산 공정, 음료 여과, 입자 분별, 폐수 처리 등과 같은 다른 처리로 이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설명된 각각의 실시예에서 어댑터 플레이트(200)는 제 2 처리 유닛(32)에 직접 또는 보다 상세하게는 추가 부재의 개재없이 결합된다는 점에 유의해야한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무균 및/또는 액적이 없도록 설계된 호환 가능한 연결부에 의해 어댑터 플레이트(200)를 제 2 처리 유닛(32)에 연결할 수 있다.
어댑터 플레이트(200)는 또한 처리 시스템(100)의 마지막 처리 유닛(10)의 상향 및/또는 하향에 배열될 수 있다. 특히, Sartorius Stedim Biotech GmbH의 "Sartoclear® Depth Filter Cassette"라고 불리는 필터 카세트 및/또는 "Sartoclear® DL 시리즈" 및/또는 "Sartoclear® S 시리즈"의 필터 카세트는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10)으로 사용될 수 있다.
처리 시스템(100) 또는 보다 상세하게는 어댑터 플레이트(200)의 다양한 실시예가 개별 도면을 참조하여 별도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개별 실시예 또는 보다 상세하게는 개별 실시예의 일부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개별 실시예와 관련하여 이미 설명된 부재는 다시 설명되지 않았다.
10: 처리 유닛(processing unit)
11: 처리 유닛 그룹(processing unit group)
12: 처리 하우징(processing housing)
13: 제 1 처리 유닛 그룹(first processing unit group_
14: 유체 흐름(fluid flow)
15: 제 2 처리 유닛 그룹(second processing unit group)
16: 필터 매체(filter medium)
17: 필터 지지체(filter support)
18: 필터 측면(filtrate side)
19: 빈 공간(empty space)
20: 잔여물 측면(retentate side)
21: 벌크 소재(bulk material)
22: 처리 하우징의 상단부(upper end of the processing housing)
24: 유입 채널(inflow channel)
26: 유출 채널(outflow channel)
27: 제 2 유출 채널(second outflow channel)
28: 처리 하우징의 하단부(lower end of the processing housing)
30: 제 1 처리 유닛(first processing unit)
32: 제 2 처리 유닛(second processing unit)
34: 단부 브라켓(end bracket)
36: 공급 펌프(feed pump)
38: 혼합 탱크(mixing tank)
100: 처리 시스템(processing system)
200: 어댑터 플레이트(adapter plate)
202: 제 1 유입구(first inlet opening)
204: 어댑터 플레이트의 하단부(lower end of the adapter plate)
206: 제 2 입구(second inlet opening)
208: 어댑터 플레이트의 상단부(upper end of the adapter plate)
210: 제 1 출구(first outlet opening)
212: 제 2 출구(second outlet opening)
214: 어댑터 채널(adapter channel)
216: 제 1 채널 영역(first channel region)
218: 제 2 채널 영역(second channel region)
220: 연결 채널 영역(connecting channel region)
222: 밸브(valve)
224: 제 1 밸브(first valve)
226: 제 2 밸브(second valve)
228: 센서(sensor)
230: 공급 플레이트(feed plate)
232: 방출 플레이트(discharge plate)
234: 채널 리세스(channel recess)
236: 흐름 웹(flow web)
238: 센서에 대한 연결 채널(connecting channel to the sensor)
240: 보조 브랜치(auxiliary branch)
242: 채널 부재(channel element)
244: 보조 출력부 또는 보조 입력부(auxiliary output or auxiliary input)
245: 보조 밸브(auxiliary valve)
246: 다방향 밸브( multiway valve)
248: 밸브 튜브(valve tube)
250: 밸브 튜브의 측면(lateral surface of the valve tube)
252: 밸브 개구(valve opening)
254: 핸드피스(handpiece)
256: 폐쇄 부재(closure element)
258: 펌프(pump)
260: 피스톤(piston)
262: 실린더(cylinder)
264: 흡입 밸브(intake valve)
266: 방출 밸브(exhaust valve)
268: 호스(hose)
270: 로터(rotor)
272: 로터 플레이터의 상부측면(upper side of the rotor plate)
274: 로터의 롤러(roller of the rotor)
276: 기어 메카니즘(gear mechanism)
278: 유량 제한기(flow limiter)
279: 가요성 차단 부재(flexible blocking element)
280: 확장 밸브(expansion valve)
281: 외부 측면(outer lateral surface)
282: 파열 압력 디스크(rupture pressure disk)
283: 차단 립(blocking lip)
285: 태핏(tappet)
VR: 수직 방향(vertical direction)
HR: 수평 방향(horizontal direction)

Claims (15)

  1. 생물 약제학적 처리를 위한 모듈형 처리 시스템(100)으로서, 상기 모듈형 처리 시스템은:
    - 서로 유체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및 제 2 처리 유닛(30, 32);
    - 제 1 처리 유닛(30)으로부터 제 2 처리 유닛(32)으로 흐르는 적어도 하나의 유체 흐름(14)이 이를 통해 흐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플레이트(200);를 포함하고,
    어댑터 플레이트(200)는 제 1 처리 유닛(30)과 제 2 처리 유닛(32) 사이에서 유체 흐름(14)이 어댑터 플레이트(200)의 도움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편향될 수 있고; 및/또는 유체 흐름(14)의 압력은 어댑터 플레이트(200)의 도움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디자인되고,
    어댑터 플레이트(200)는 유체 흐름(14)이 흐를 수 있는 어댑터 채널(214)을 가지며, 유체 흐름(14)은 적어도 하나의 입구를 통해 어댑터 채널(214) 내로 유입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출구를 통해 유출될 수 있으며,
    유체 흐름이 어댑터 플레이트에 의해 편향되거나 제어될 수 있도록, 편향 부재 또는 압력 제어 부재가 어댑터 채널에서 변위 가능하게 배열되는 모듈형 처리 시스템(100).
  2. 제 1 항에 있어서,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 1 처리 유닛(30) 및/또는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 2 처리 유닛(32)을 포함하고, 제 1 처리 유닛(30) 및 제 2 처리 유닛(32) 각각은 처리 유닛 그룹(11)을 형성하는 모듈형 처리 시스템(100).
  3.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입구는 제 1 처리 유닛(30)의 유출 채널(26)에 연결될 수 있는 방식으로 배열되고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는 제 2 처리 유닛(32)의 유입 채널(24)에 연결될 수 있는 방식으로 배열되는 모듈형 처리 시스템(100).
  4. 제 1 항에 있어서,
    어댑터 플레이트(200)는 적어도 2개의 입구와 적어도 2개의 출구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제 1 입구(202)는 유체 흐름(14)이 제 1 처리 유닛(30)의 유출 채널(26)로부터 어댑터 채널(214) 내로 흐를 수 있도록 배열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 2 입구(206)는 유체 흐름(14)이 제 1 처리 유닛(30)의 유입 채널(24)로부터 어댑터 채널(214) 내로 흐를 수 있도록 배열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 1 출구(210)는 유체 흐름(14)이 제 1 출구(210)로부터 제 2 처리 유닛(32)의 유출 채널(26) 내로 흐를 수 있도록 배열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 2 출구(212)는 유체 흐름(14)이 제 2 출구(212)로부터 제 2 처리 유닛(32)의 유입 채널(24) 내로 흐를 수 있도록 배열되는 모듈형 처리 시스템(100).
  5. 제 4 항에 있어서,
    어댑터 채널(214)은 :
    - 제 1 입구(202)와 제 1 출구(210) 사이에 배열된 제 1 채널 영역(216);
    - 제 2 입구(206)와 제 2 출구(212) 사이에 배열된 제 2 채널 영역(218); 및
    - 제 1 및 제 2 채널 영역(216, 218)을 유체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채널 영역(220)을 포함하는 모듈형 처리 시스템(100).
  6. 제 4 항에 있어서,
    - 제 1 유체 흐름이 제 1 입구(202)를 통해 어댑터 채널(214) 내로 흐를 수 있으며, 제 1 출구(210)를 통해 밖으로 흐를 수 있고; 제 2 유체 흐름은 제 2 입구(206)를 통해 어댑터 채널(214) 내로 흐를 수 있으며, 제 2 출구(212)를 통해 어댑터 채널(214) 밖으로 흐를 수 방식이거나;
    또는:
    - 유체 흐름(14)이 제 1 입구(202)를 통해 어댑터 채널(214) 내로 흐를 수 있고, 제 2 출구(212)를 통해 어댑터 채널(214) 밖으로 흐를 수 있는 방식으로,
    유체 흐름(14)이 어댑터 플레이트(200)에 의해 편향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가 어댑터 채널(214)에서 배열되는 모듈형 처리 시스템(100).
  7. 제 5 항에 있어서,
    다방향 밸브(246)로 설계된 2개의 편향 부재를 포함하고, 제 1 밸브(224)는 제 1 채널 영역(216)에 배열되고; 제 2 밸브(226)는 제 2 채널 영역(218)에 배열되며, 밸브(224, 226)는:
    - 제 1 유체 흐름은 제 1 입구(202)를 통해 어댑터 채널(214) 내로 흐를 수 있으며, 제 1 출구(210)를 통해 밖으로 흐를 수 있고; 제 2 유체 흐름은 제 2 입구(206)를 통해 어댑터 채널(214) 내로 흐를 수 있으며, 제 2 출구(212)를 통해 어댑터 채널(214) 밖으로 흐를 수 있는 방식이거나;
    또는:
    - 유체 흐름(14)은 제 1 입구(202)를 통해 어댑터 채널(214) 내로 흐를 수 있으며, 제 2 출구(212)를 통해 어댑터 채널(214) 밖으로 흐를 수 있는 방식으로 디자인되는 모듈형 처리 시스템(100).
  8. 제 7 항에 있어서,
    다방향 밸브(246)는 제 1 및 제 2 채널 영역(216, 218)에서 각각 변위 가능하게 배열되고, 제 1 및 제 2 유체 흐름에 의해 대응하는 방식으로 횡단될 수 있는 밸브 튜브(248)를 포함하고,
    적어도 2개의 밸브 개구(252)가 밸브 튜브(248)의 측면(250)에 배열되며, 상기 밸브 개구는 변위의 방향으로 서로 오프셋되도록 배열되어, 어댑터 채널(214)을 통한 유체 흐름(14)이 각각의 채널 영역에서 밸브 튜브(248)의 변위 위치의 함수로서 편향될 수 있는 모듈형 처리 시스템(100).
  9.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228)가 어댑터 채널(214) 내에 또는 위에 배열되는 모듈형 처리 시스템(100).
  10. 제 1 항에 있어서,
    어댑터 채널(214)은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입력 및/또는 보조 출력으로 형성되는 모듈형 처리 시스템(100).
  11.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펌프(258)는 어댑터 채널(214) 내에 또는 위에 배열되는 모듈형 처리 시스템(100).
  12. 제 11 항에 있어서,
    펌프(258)는 연동 펌프 또는 피스톤 펌프로 디자인되는 모듈형 처리 시스템(100).
  13. 제 3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유량 제한기(278)는 어댑터 채널(214)에 배열되는 모듈형 처리 시스템(100).
  14. 생물 약제학적 처리를 위한 처리 시스템(100)의 모듈형 구성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 적어도 하나의 제 1 및 제 2 처리 유닛(30, 32)을 제공하는 단계;
    - 제 1 및 제 2 처리 유닛(30, 32)을 유체 연결하여, 하나 이상의 유체 흐름(14)이 제 1 처리 유닛(30)으로부터 어댑터 플레이트(200)를 통해 제 2 처리 유닛(32)으로 흐를 수 있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플레이트(200)를 제공하는 단계; 및
    - 제 1 및 제 2 처리 유닛(30, 32)을 어댑터 플레이트(200)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 1 처리 유닛(30)과 제 2 처리 유닛(32) 사이에서 유체 흐름(14)이 어댑터 플레이트(200)의 도움으로 미리 정의된 방식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편향 될 수 있는 방식; 및/또는 유체 흐름(14)의 압력이 어댑터 플레이트(200)의 도움으로 미리 정의된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는 방식으로, 어댑터 플레이트(200)가 선택 및/또는 조정되고,
    어댑터 플레이트(200)는 유체 흐름(14)이 흐를 수 있는 어댑터 채널(214)을 가지며, 유체 흐름(14)은 적어도 하나의 입구를 통해 어댑터 채널(214) 내로 유입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출구를 통해 유출될 수 있으며,
    유체 흐름이 어댑터 플레이트에 의해 편향되거나 제어될 수 있도록, 편향 부재 또는 압력 제어 부재가 어댑터 채널에서 변위 가능하게 배열되는 방법.
  15. 삭제
KR1020217001399A 2018-06-19 2019-06-06 처리 시스템의 모듈형 구성을 위한 모듈형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5154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004909.5 2018-06-19
DE102018004909.5A DE102018004909B4 (de) 2018-06-19 2018-06-19 Modulares Prozessiersystem und Verfahren zum modularen Aufbau eines Prozessiersystems
PCT/EP2019/064747 WO2019243063A1 (de) 2018-06-19 2019-06-06 Modulares prozessiersystem und verfahren zum modularen aufbau eines prozessiersyste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1382A KR20210021382A (ko) 2021-02-25
KR102515445B1 true KR102515445B1 (ko) 2023-03-29

Family

ID=66912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1399A KR102515445B1 (ko) 2018-06-19 2019-06-06 처리 시스템의 모듈형 구성을 위한 모듈형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102155A1 (ko)
EP (2) EP3810747B1 (ko)
JP (1) JP7179878B2 (ko)
KR (1) KR102515445B1 (ko)
CN (1) CN112292444A (ko)
DE (1) DE102018004909B4 (ko)
WO (1) WO20192430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16777B4 (de) 2018-07-11 2023-12-14 Sartorius Stedim Biotech Gmbh Filtrationsanordnung, Verfahren zu deren Betrieb und Verteilerplatte dafür
DE102019006817A1 (de) 2019-09-30 2021-04-01 Sartorius Stedim Biotech Gmbh Verfahren zum Entlüften einer Querstromdiafiltrationseinheit, Querstromdiafiltrationsverfahren und Querstromdiafiltrationseinheit
AU2021403434A1 (en) * 2020-12-14 2023-06-22 Chreto Aps A method and a system for filtering a suspension
TWI828389B (zh) * 2022-10-26 2024-01-01 信任生醫股份有限公司 樣本處理模組及包含該樣本處理模組的生物樣本處理設備
CN117160105B (zh) * 2023-11-03 2024-01-02 瀚玛斯(山西)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滴眼剂生产过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0492A (en) * 1981-11-16 1985-09-10 Millipor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whole blood
DE3441249A1 (de) 1983-11-15 1985-05-30 Sartorius GmbH, 3400 Göttingen Stapelfoermiges trennelement aus geschichteten zuschnitten zur behandlung von fluiden
EP0154845A3 (de) * 1984-02-24 1986-06-18 Sartorius GmbH. Flaches Filterelement zur Filtration von Fluiden
US5593580A (en) * 1986-11-26 1997-01-14 Kopf; Henry B. Filtration cassette article, and filter comprising same
DE102005008924A1 (de) * 2005-02-24 2006-08-31 Mann + Hummel Gmbh Filtereinheit, Filtervorrichtung und Filtrationsprozess für Fluide
US8454822B2 (en) 2009-05-29 2013-06-04 Emd Millipore Corporation Disposable tangential flow filtration liner with sensor mount
DE102011079647A1 (de) * 2011-07-22 2013-01-24 Helmholtz-Zentrum Geesthacht Zentrum für Material- und Küstenforschung GmbH Membranmodul für organophile Pervaporation
DE102012002540B4 (de) 2012-02-09 2018-07-19 Sartorius Stedim Biotech Gmbh Filtermodul und modulares Filtersystem
DE102012022540A1 (de) * 2012-11-09 2014-05-15 Klaus M. Foerst 2-Teile Automobil
EP2907565A1 (de) * 2014-02-17 2015-08-19 Bayer Technology Services GmbH Dialyse-Einheit zum kontinuierlichen Puffer- bzw. Medienaustausch aus einer Proteinlösung
US10207225B2 (en) * 2014-06-16 2019-02-19 Emd Millipore Corporation Single-pass filtration systems and processes
KR101804350B1 (ko) * 2016-02-19 2017-12-05 (주)유천엔지니어링 폐기슬러지 탈수장치
DE102016004115A1 (de) * 2016-04-05 2017-10-05 Sartorius Stedim Biotech Gmbh Crossflow-Filtrationseinheit zur kontinuierlichen Diafilt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10747A1 (de) 2021-04-28
US20210102155A1 (en) 2021-04-08
JP7179878B2 (ja) 2022-11-29
DE102018004909A1 (de) 2019-12-19
WO2019243063A1 (de) 2019-12-26
EP3810747B1 (de) 2023-07-26
CN112292444A (zh) 2021-01-29
KR20210021382A (ko) 2021-02-25
EP4245837A1 (de) 2023-09-20
JP2021528236A (ja) 2021-10-21
DE102018004909B4 (de) 2020-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5445B1 (ko) 처리 시스템의 모듈형 구성을 위한 모듈형 처리 시스템 및 방법
US11927573B2 (en) Chromatography columns, systems and methods
JP4198760B2 (ja) 吸着膜による吸着式物質分離装置
JP5140721B2 (ja) 連続メンブレン吸着方法および装置
US10792618B2 (en) Particle separation and/or purification of a fluid
JP7200268B2 (ja) 生物学的製剤プロセス用フィルタシステム
US20230358777A1 (en) Fluidic network for positive displacement aseptic sampling
KR20200041968A (ko) 여과 장치, 여과 시스템 및 여과 방법
KR102462338B1 (ko) 복수 개의 원심분리기가 직렬 또는 병렬 중 어느 하나로 선택 연결되는 시스템
US20230358644A1 (en) Fluidic network for aseptic sampling
US20230073721A1 (en) Single-use device for the separation or filtering of a large volume of a mixture of substances
JP2023548652A (ja) 個々の分離ユニットおよび/または機能ユニットの固定配置および相互接続用のモジュラー装置
KR20220113474A (ko) 모듈식 처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