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9860B1 -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9860B1
KR102459860B1 KR1020200017052A KR20200017052A KR102459860B1 KR 102459860 B1 KR102459860 B1 KR 102459860B1 KR 1020200017052 A KR1020200017052 A KR 1020200017052A KR 20200017052 A KR20200017052 A KR 20200017052A KR 102459860 B1 KR102459860 B1 KR 102459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thylene resin
mol
resin composition
molecular weight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7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1849A (ko
Inventor
송지수
장창환
이효준
최이영
김선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EP20759344.3A priority Critical patent/EP3753982A4/en
Priority to CN202080002031.4A priority patent/CN111918918B/zh
Priority to US16/976,179 priority patent/US11401406B2/en
Priority to PCT/KR2020/002274 priority patent/WO2020171525A1/ko
Publication of KR20200101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1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4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D01F6/46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of poly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42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by cutting films into narrow ribbons or filaments or by fibrillation of film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42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by cutting films into narrow ribbons or filaments or by fibrillation of films or filaments
    • D01D5/426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by cutting films into narrow ribbons or filaments or by fibrillation of films or filaments by cutting film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0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1F6/0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8Bulk dens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14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polymeric 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 C08L2205/16Fibres; Fibr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2HDPE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가공성 및 버블 안정성을 나타냄에 따라, 다양한 공정을 통해 우수한 물성을 갖는 필름 또는 섬유의 제조를 가능케 하는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은 0.950 g/cm3 내지 0.960 g/cm3의 밀도, 80000 g/mol 내지 100000 g/mol의 중량 평균 분자량 및 3.3 내지 4.0의 분자량 분포를 갖는 제 1 폴리에틸렌 수지; 및 0.950 g/cm3 내지 0.960 g/cm3의 밀도, 500000 g/mol 내지 600000 g/mol의 중량 평균 분자량 및 1.3 내지 2.0의 분자량 분포를 갖는 제 2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POLYETHYLENE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우수한 가공성 및 버블 안정성을 나타냄에 따라, 다양한 공정을 통해 우수한 물성을 갖는 필름 또는 섬유의 제조를 가능케 하는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진 섬유, 예를 들어,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수지로 이루어진 플랫 얀(FLAT YARN)은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을 일정한 폭으로 절단하고, 이를 연신하는 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사용 가능한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은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블로운 필름 또는 캐스팅 필름으로 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이 블로운 공정을 거쳐 제조된 블로운 필름으로 되는지, 혹은 캐스팅 공정을 거쳐 제조된 캐스팅 필름으로 되는지에 따라, 이의 원료로 되는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에 요구되는 물성이 상이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블로운 필름의 경우, 블로운 공정의 특성상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이 높은 버블 안정성을 가질 필요가 있으며, 상기 캐스팅 필름의 경우에는,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이 상대적으로 낮은 점도 및 높은 가공성을 나타낼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높은 버블 안정성과, 높은 가공성은 서로 양립하기 어려운 물성으로서 이들을 동시에 충족하는 폴리에틸렌 수지 또는 이의 조성물은 기존에 알려진 바 없다.
따라서, 이전에는 블로운 필름용과, 캐스팅 필름용의 수지 조성물을 별도로 제조하여 왔다. 그 결과,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의 전체적인 생산성이나, 공정의 경제성 등에 큰 악영향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우수한 가공성 및 버블 안정성을 동시에 나타내어, 블로운 공정 또는 캐스팅 공정 등 다양한 공정을 통해 우수한 물성을 갖는 필름 또는 섬유의 제조를 가능케 하는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의 개발이 계속적으로 요청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은 우수한 가공성 및 버블 안정성을 나타냄에 따라, 다양한 공정을 통해 우수한 물성을 갖는 필름 또는 섬유의 제조를 가능케 하는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0.950 g/cm3 내지 0.960 g/cm3의 밀도, 80000 g/mol 내지 150000 g/mol의 중량 평균 분자량 및 3.9 내지 6.0의 분자량 분포를 갖는 제 1 폴리에틸렌 수지; 및
0.950 g/cm3 내지 0.960 g/cm3의 밀도, 110000 g/mol 내지 300000 g/mol의 중량 평균 분자량 및 1.5 내지 3.8의 분자량 분포를 갖는 제 2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섬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을 절단 및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섬유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은 소정의 물성을 갖는 2 가지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함에 따라, 가공 영역에서의 상대적으로 낮은 점도 및 이에 따른 우수한 가공성과, 버블 안정성을 동시에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면, 블로운 공정 또는 캐스팅 공정 등 다양한 공정을 통해 우수한 물성을 갖는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해 플랫 얀 등의 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에 대해 전단 속도별 점도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에 대해 주파수별 복소점도 변화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0.950 g/cm3 내지 0.960 g/cm3의 밀도, 80000 g/mol 내지 150000 g/mol의 중량 평균 분자량 및 3.9 내지 6.0의 분자량 분포를 갖는 제 1 폴리에틸렌 수지; 및
0.950 g/cm3 내지 0.960 g/cm3의 밀도, 110000 g/mol 내지 300000 g/mol의 중량 평균 분자량 및 1.5 내지 3.8의 분자량 분포를 갖는 제 2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자들의 실험 결과, 상기 소정의 물성을 충족하는 2종의 폴리에틸렌 수지를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공함에 따라, 해당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이 가공 영역에서 그리 높지 않은 적절한 점도를 나타낼 수 있고, 그 결과 캐스팅 공정에 적합한 우수한 가공성을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상기 적절한 점도 범위로 인해, 블로운 공정에 적합한 높은 버블 안정성을 동시에 나타낼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이 기존의 상식과는 달리 우수한 가공성 및 버블 안정성을 동시에 나타낼 수 있는 것은 상기 제 2 폴리에틸렌 수지와 같이 높은 분자량을 갖는 수지가 혼합됨에 따라, 전체적인 수지 조성물이 제 1 폴리에틸렌 수지에 대응하는 전체적으로 낮은 분자량 및 낮은 점도를 나타낼 수 있으면서도, 고분자량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함량의 고분자 쇄들(제 2 폴리에틸렌 수지의 첨가에 의함)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일 구현예의 수지 조성물은 블로운 공정의 진행 조건 하에 상대적으로 그리 낮지 않은 점도를 나타낼 수 있으며, 우수한 버블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구현예의 수지 조성물이 캐스팅 공정에 적합한 우수한 가공성과, 블로운 공정에 적합한 높은 버블 안정성을 동시에 나타냄에 따라,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면, 블로운 공정 또는 캐스팅 공정 등 다양한 공정을 통해 우수한 물성을 갖는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해 플랫 얀 등의 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일 구현예의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각 성분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일 구현예의 수지 조성물에서, 상기 제 1 폴리에틸렌 수지는 0.950 g/cm3 내지 0.960 g/cm3, 혹은 0.951 g/cm3 내지 0.955 g/cm3 밀도, 80000 g/mol 내지 150000 g/mol, 85000 g/mol 내지 130000 g/mol, 혹은 90000 g/mol 내지 110000 g/mol의 중량 평균 분자량 및 3.9 내지 6.0, 4.0 내지 5.5 혹은 4.5 내지 5.3의 분자량 분포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 1 폴리에틸렌 수지가 이러한 물성을 충족함에 따라, 우수한 물성을 갖는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 및/또는 플랫 얀 등의 섬유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며, 특히, 일 구현예의 수지 조성물이 캐스팅 공정에 적합한 가공 영역에서의 그리 높지 않은 점도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일 구현예의 수지 조성물에서, 상기 제 2 폴리에틸렌 수지는 0.950 g/cm3 내지 0.960 g/cm3, 혹은 0.951 g/cm3 내지 0.955 g/cm3 밀도, 110000 g/mol 내지 300000 g/mol, 120000 g/mol 내지 200000 g/mol, 혹은 130000 g/mol 내지 150000 g/mol의 중량 평균 분자량 및 1.5 내지 3.8, 2.0 내지 3.7, 혹은 3.0 내지 3.7의 분자량 분포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 2 폴리에틸렌 수지가 이러한 물성을 충족함에 따라, 일 구현예의 수지 조성물이 고분자량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고분자 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 구현예의 수지 조성물이 블로운 공정에 적합한 우수한 버블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 1 폴리에틸렌 수지는, 예를 들어, 공개 특허 공보 제 2018-0068715 호의 실시예 등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상술한 물성을 갖도록 제조 및 제공될 수 있으며, 혹은 제품명 SM250 (엘지화학사 제) 등의 제품명으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수지 중 상술한 물성을 충족하는 수지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제 2 폴리에틸렌 수지는, 예를 들어, 공개 특허 공보 제 2010-0121449 호, 또는 제 2016-0147638 호의 실시예 등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상술한 물성을 갖도록 제조 및 제공될 수 있으며, 혹은 제품명 SP380 (엘지화학사 제) 등의 제품명으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수지 중 상술한 물성을 충족하는 수지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폴리에틸렌 수지는, 예를 들면, 에틸렌과 탄소수 3 이상의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알파올레핀은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4-메틸-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데센, 1-운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상기 올레핀 중합체로는 에틸렌과 1-부텐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또, 상기 일 구현예의 수지 조성물은 상술한 제 1 및 제 2 폴리에틸렌 수지를, 예를 들어, 80 : 20 내지 90 : 10, 82 : 18 내지 88 : 12, 혹은 83 : 17 내지 87 : 13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이로서, 일 구현예의 수지 조성물이 나타내는 가공 영역의 점도 범위가 더욱 최적화되어 캐스팅 공정에서 보다 향상된 가공성을 나타낼 수 있으면서도, 더욱 우수한 버블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술한 제 1 및 제 2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상기 일 구현예의 수지 조성물은 0.950 g/cm3 내지 0.960 g/cm3, 혹은 0.951 g/cm3 내지 0.955 g/cm3의 밀도를 가질 수 있고, ISO 1133에 따라 230℃의 온도 및 2.16kg의 하중 하에서 측정된 용융 지수(MI2.16)가 0.5 내지 0.9, 혹은 0.55 내지 0.8인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일 구현예의 수지 조성물은 ISO 1133에 따라 230℃의 온도 및 5.0kg의 하중 하에서 측정된 용융 지수 (MI5)를 상기 MI2.16로 나눈 MI5/MI2.16 값이 3.5 내지 4.0, 혹은 3.6 내지 3.8인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술한 밀도 범위의 충족에 의해, 일 구현예의 수지 조성물로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는 필름 및 플랫 얀 등의 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용융 지수 및 용융 지수 비율의 특성을 충족함에 따라, 캐스팅 공정에서의 우수한 가공성 및 블로운 공정에서의 뛰어난 버블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 상기 일 구현예의 수지 조성물은 이로부터 형성되는 필름 및/또는 섬유 등의 기계적 물성과, 가공성 등의 측면에서, 전체적으로 중량 평균 분자량이 110000 g/mol 내지 150000 g/mol, 혹은 115000 g/mol 내지 140000 g/mol으로 될 수 있고, 분자량 분포가 4.5 내지 5.3, 혹은 4.6 내지 5.0인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술한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이 제공된다. 이러한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은 캐스팅 필름 또는 블로운 필름으로 될 수 있다.
어떠한 형태의 필름이던 상기 다른 구현예의 필름은 우수한 가공성 및 버블 안정성을 갖는 일 구현예의 수지 조성물을 사용해 제조됨에 따라, 전체적으로 우수한 물성을 가질 수 있고, 우수한 가공성 등으로 인해 경제적이고 효과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른 구현예의 필름은 상술한 제 1 및 제 2 폴리에틸렌 수지를 혼합하여 일 구현예의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 후, 통상적인 멜트 블로운 공법 또는 캐스팅 방법 등에 의해 필름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다만, 필름의 제조 방법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적인 필름 제조 공정을 별다른 제한 없이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관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일 구현예의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섬유가 제공된다.
이러한 섬유는 플랫 얀 등의 형태로 될 수 있으며, 상기 다른 구현예의 ?d리에틸렌 수지 필름을 거쳐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른 구현예의 ?d리에틸렌 수지 필름을 소정의 폭으로 절단하고 연신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다만, 섬유의 제조 방법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적인 섬유 제조 공정을 별다른 제한 없이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관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발명의 작용,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발명의 예시로서 제시된 것으로 이에 의해 발명의 권리범위가 어떠한 의미로든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4: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먼저,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은 하기 표 1에 기재된 폴리에틸렌 수지들을 사용하여 제조되었다. 이들 폴리에틸렌 수지들의 중량 평균 분자량, 분자량 분포 및 밀도는 후술하는 시험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 및 평가되었다:
제품명
(제조원)
중량평균 분자량
(g/mol)
분자량 분포 밀도
(g/cm3)
PE1 SM250(엘지화학) 100k 5.0 0.952
PE2 SP380(엘지화학) 140k 3.7 0.952
PE3 SM100(엘지화학) 110k 10.9 0.952
PE4 SP360(엘지화학) 120k 3.6 0.946
PE5 E308(대한유화) 138k 6.3 0.956
PE6 3392(한화케미칼) 122k 4.1 0.954
상기 PE1 내지 PE6의 폴리에틸렌 수지를 하기 표 2에 기재된 함량으로 혼합하여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4의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함량(중량%)
PE1 PE2 PE3 PE4 PE5 PE6
실시예 1 84 16 0 0 0 0
실시예 2 85 15 0 0 0 0
실시예 3 86 14 0 0 0 0
실시예 4 83 17 0 0 0 0
실시예 5 87 13 0 0 0 0
비교예 1 0 0 76 24 0 0
비교예 2 0 0 0 0 100 0
비교예 3 0 0 0 0 0 100
비교예 4 50 0 0 0 50 0
시험예: 물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PE1~PE6,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필름을 제조하는 과정에서의 물성을 다음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1) 밀도(g/cm3): 밀도는 ASTM D792 규격에 따라 측정하였다.
(2) 분자량(Mw, Mn) 및 분자량 분포(Mw/Mn):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Water사 제조)를 이용하여 중량평균분자량(Mw)과 수평균 분자량(Mn)을 측정하였다. Polymer Laboratories PLgel MIX-B 300mm 길이 칼럼을 이용하여 Waters PL-GPC220 기기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온도는 160℃로 하였고, 1,2,4-트리클로로벤젠을 용매로서 사용하였으며 유속은 1mL/min의 속도로 측정하였다. 샘플은 10mg/10mL의 농도로 조제한 다음, 200 μL 의 양으로 공급하였다. 폴리스티렌 표준을 이용하여 형성된 검정 곡선을 이용하여 Mw 및 Mn 의 값을 유도하였다. 폴리스티렌 표준품의 분자량은 2,000 g/mol/ 10,000 g/mol/ 30,000 g/mol/ 70,000 g/mol/ 200,000 g/mol/ 700,000 g/mol/ 2,000,000 g/mol/ 4,000,000 g/mol/ 10,000,000 g/mol의 9종을 사용하였다.
상술한 방법으로 측정된 Mw, Mn으로부터 분자량 분포를 산출하였다.
(3) MI2.16 및 MI5/MI2.16: Melt Index인 MI2.16 및 MI5는 ISO 1133 (230℃, 2.16kg 또는 5kg 하중) 규격에 따라 측정하였다. 이러한 측정 결과로부터, MI5/MI2.16를 산출하였다.
(4) 전단 속도별 점도 평가
전단 속도별 점도는 고에트페르트 레오테스터(Goettfert Rheo-Tester) 200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올레핀 공중합체 용융물은 직경(diameter: D)에 대한 길이(length: L)의 비율(L/D)이 15인 capillary 다이(평면 다이, 180° 각도)를 통해 배출되었다. 5 분 동안 240 ℃에서 샘플을 평형화시킨후, 동일 온도에서 전단 속도별 점도를 평가하였다.
(5) 주파수별 복소점도 변화 평가
주파수별 복소점도는 TA 인스트러먼츠(TA Instruments)(미국 델라웨이주, 뉴 캐슬)의 ARES-G2 레오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용 샘플은 190 ℃에서 직경 25.0mm의 평행판(parallel plates)를 이용하여 갭(gap)이 2.0mm가 되도록 하며, 측정은 dynamic frequency sweep 모드로 strain은 5%, frequency는 0.05 rad/s에서 500 rad/s까지, 각 decade에 10 point씩 총 41 point 를 측정하였으며, 그 중 주파수별 복소점도 값을 도출하였다. Power law 피팅은 측정 프로그램인 TA Orchestrator을 이용하여 피팅하였다.
(6) 가공부하 평가
가공부하는 콜린 (Collin)의 Teach Line E16 압출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용 샘플은 240 ℃에서 200 rpm으로 압출하였고, 이때 걸리는 가공부하 (A, Ampere)를 측정하였다.
(7) Die deposit 평가
콜린 (Collin)의 Teach Line E16 압출기를 이용하여 240 ℃에서 200 rpm으로 압출하였을 때, 다이 입구쪽에 Die deposit이 육안으로 관찰되는지 여부를 평가하였다.
(8) 버블 안정성 평가
필름 블로잉 (film blowing) 방법을 이용하여 제막을 실시하였을 때, 발생되는 버블을 육안 관찰하여 평가하였다. 버블이 흔들리지 않으면 안정, 흔들리면 불안정으로 평가하였다. 제막 온도는 150 내지 250 ℃로 하고, BUR(blow up ratio)은 1.2에서 진행하였다.
상기 평가된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의 물성을 하기 표 3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다만, 주파수별 복소점도 변화 평가 결과는 도 1에 도시하였고, 주파수별 복소점도 변화 평가 결과는 도 2에 도시하였다:
MI2.16
(g/10min)
MI5/MI2.16 밀도
(g/cm3)
Mw
(g/mol)
분자량
분포
가공부하 (A) Die deposit 발생 버블안정성(Bur1.2)
실시예1 0.76 3.72 0.952 120000 4.9 1.8 X 안정
실시예2 0.69 3.64 0.952 124000 4.7 1.8 X 안정
실시예3 0.60 3.73 0.955 132000 4.7 1.8 X 안정
실시예4 0.79 3.75 0.952 115000 4.9 1.8 X 안정
실시예5 0.58 3.76 0.952 134000 4.7 1.8 X 안정
비교예1 1.15 4.04 0.952 106000 9.6 1.2 O 불안정
비교예2 0.86 3.29 0.956 138000 6.3 2.0 X 안정
비교예3 1.14 2.91 0.954 122000 4.1 2.0 X 불안정
비교예4 0.80 3.54 0.954 120000 5.5 2.0 X 불안정
상기 표 3과, 도 1 및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특정한 물성을 갖는 2 가지 폴리에틸렌 수지가 포함됨에 따라, 비교예에 비해 우수한 가공성 및 버블 안정성을 나타냄이 확인되었다.
특히, 실시예의 조성물은 비교예에 비해 가공 부하가 비교적 낮고, Die deposit의 발생이 없어 우수한 가공성을 나타낼 뿐 아니라, 버블 안정성 역시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에 비해, 실시예와 상이한 물성을 갖는 2 가지 폴리에틸렌 수지를 혼합한 비교예 1 및 4, 한 가지 폴리에틸렌 수지를 사용한 비교예 2 및 3의 경우, 열악한 가공성 및/또는 버블 안정성을 나타냄이 확인되었다.

Claims (10)

  1. 0.951 g/cm3 내지 0.955 g/cm3의 밀도, 85000 g/mol 내지 130000 g/mol의 중량 평균 분자량 및 4.0 내지 5.5의 분자량 분포를 갖는 제 1 폴리에틸렌 수지; 및
    0.951 g/cm3 내지 0.955 g/cm3의 밀도, 120000 g/mol 내지 200000 g/mol의 중량 평균 분자량 및 2.0 내지 3.7의 분자량 분포를 갖는 제 2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폴리에틸렌 수지 : 제 2 폴리에틸렌 수지를 80 : 20 내지 90 : 10의 중량비로 포함하고,
    분자량 분포가 4.5 내지 5.3인,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0.950 g/cm3 내지 0.960 g/cm3의 밀도를 가지며,
    ISO 1133에 따라 230℃의 온도 및 2.16kg의 하중 하에서 측정된 용융 지수(MI2.16)가 0.5 내지 0.9 인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ISO 1133에 따라 230℃의 온도 및 5.0kg의 하중 하에서 측정된 용융 지수 (MI5)를 상기 MI2.16로 나눈 MI5/MI2.16 값이 3.5 내지 4.0인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110000 g/mol 내지 150000 g/mol인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6. 삭제
  7. 제 1 항 및 제3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
  8. 제 7 항에 있어서, 캐스팅 필름 또는 블로운 필름으로 되는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
  9. 제 1 항 및 제3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섬유.
  10. 제 7 항의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을 절단 및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섬유의 제조 방법.
KR1020200017052A 2019-02-20 2020-02-12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KR102459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759344.3A EP3753982A4 (en) 2019-02-20 2020-02-18 COMPOSITION OF POLYETHYLENE RESIN
CN202080002031.4A CN111918918B (zh) 2019-02-20 2020-02-18 聚乙烯树脂组合物
US16/976,179 US11401406B2 (en) 2019-02-20 2020-02-18 Polyethylene resin composition
PCT/KR2020/002274 WO2020171525A1 (ko) 2019-02-20 2020-02-18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20022 2019-02-20
KR1020190020022 2019-0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849A KR20200101849A (ko) 2020-08-28
KR102459860B1 true KR102459860B1 (ko) 2022-10-27

Family

ID=72265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7052A KR102459860B1 (ko) 2019-02-20 2020-02-12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01406B2 (ko)
EP (1) EP3753982A4 (ko)
KR (1) KR102459860B1 (ko)
CN (1) CN111918918B (ko)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7551A (en) * 1982-06-22 1985-10-15 Phillips Petroleum Company Ethylene polymer blends and process for forming film
JPS63154753A (ja) 1986-12-18 1988-06-28 Nippon Oil Co Ltd ポリエチレン系組成物
US5530065A (en) 1992-01-07 1996-06-25 Exxon Chemical Patents Inc. Heat sealable film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DE19526340A1 (de) 1995-07-19 1997-01-23 Basf Ag Polyethylenformmassen geringer Schwindungsneigung
JPH1072538A (ja) * 1996-07-05 1998-03-17 Ube Ind Ltd ポリエチレン組成物
JP3874869B2 (ja) * 1997-01-29 2007-01-31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フィルム成形用高中密度ポリエチレン組成物及びその製造法
JP3929149B2 (ja) 1997-11-05 2007-06-13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機械的強度に優れたブロー成形体
US20030139530A1 (en) * 2001-12-14 2003-07-24 Starita Joseph M. Melt blended high density polyethylene compositions with enhanced propertie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TE509983T1 (de) * 2004-03-19 2011-06-15 Dow Global Technologies Llc Folienschichten aus polymerformulierungen
US8920891B2 (en) 2004-12-17 2014-12-30 Dow Global Technologies Llc Rheology modified relatively high melt strength polyethylen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pipes, films, sheets, and blow-molded articles
US7858702B2 (en) * 2005-06-14 2010-12-28 Univation Technologies, Llc Enhanced ESCR bimodal HDPE for blow molding applications
RU2008122073A (ru) * 2006-05-02 2009-12-10 Дау Глобал Текнолоджиз Инк. (Us) Композиции полиэтилена высокой плотности,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оболочки проводов и кабелей, изготовленные из них,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таких оболочек проводов и кабелей
US7829641B2 (en) * 2008-07-16 2010-11-09 Equistar Chemicals, Lp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multimodal polyethylene resins
PL2414083T3 (pl) 2009-03-30 2019-06-28 Toray Industries, Inc. Mikroporowate membrany, sposób wytwarzania takich membran oraz zastosowanie takich membran jako film separatora ogniwowego
EP2428525B1 (en) 2009-05-07 2016-03-30 LG Chem, Ltd. Olefin polymer and fiber including same
JP2013136679A (ja) 2011-12-28 2013-07-11 Tosoh Corp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押出シート及び容器
CA2864573C (en) 2014-09-22 2021-07-06 Nova Chemicals Corporation Shrink film from single site catalyzed polyethylene
GB201421581D0 (en) 2014-12-04 2015-01-21 Polyolefin Company Singapore Pte The Ltd A polyethylene blend used on its own as a carrier for microfiber fabrication process
ES2652271T3 (es) * 2014-12-22 2018-02-01 Borealis Ag Procedimiento para producir mezclas de polietileno multimodal que incluyen componentes de peso molecular ultra elevado
KR101850984B1 (ko) 2015-06-15 2018-04-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섬유 제조용 폴리올레핀 및 이를 포함하는 섬유
CN107810232A (zh) 2015-06-19 2018-03-16 埃克森美孚化学专利公司 含有超高分子量聚乙烯的热塑性弹性体组合物及其制备方法
AR109705A1 (es) 2016-09-30 2019-01-16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omposiciones de polietileno de alta procesabilidad para artículos moldeados por inyección
KR102229002B1 (ko) 2016-12-14 2021-03-16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공성 및 내환경 응력 균열성이 우수한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CA2964562A1 (en) * 2017-04-19 2018-10-19 Nova Chemicals Corporation Multi reactor solution polymerization, polyethylene and polyethylene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53982A4 (en) 2021-07-14
CN111918918B (zh) 2023-09-01
KR20200101849A (ko) 2020-08-28
US20200407538A1 (en) 2020-12-31
EP3753982A1 (en) 2020-12-23
US11401406B2 (en) 2022-08-02
CN111918918A (zh) 2020-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5044B1 (ko) 전력 또는 통신 케이블용 외부 외장층
KR100903600B1 (ko) 개선된 가공성의 폴리에틸렌 조성물
RU2609029C2 (ru) Способ
EP1753812B1 (en) Polyethylene pipe fitting resins
KR102415134B1 (ko) 카본 블랙 및 카본 블랙에 대한 전달체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
KR20150003753A (ko) 다중모드 고분자
JPS5947242A (ja) エチレンポリマー樹脂組成物
JP2008531804A (ja) 改良された機械特性及び加工性を有するブローフィルムを製造するためのポリエチレン成形組成物
WO2016107867A1 (en) Multimodal polyethylene
KR102459860B1 (ko)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KR20010053418A (ko) 광학 및 기계적 특성이 개선되고 용융 상태에서의가공성이 개선된 폴리에틸렌 조성물
KR20010053417A (ko) 기계적 특성이 개선되고 용융 상태에서의 가공성이 개선된폴리에틸렌 조성물
EP4017914A1 (en) Polyethylene composition
WO2020171525A1 (ko)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CA2479190A1 (en) Polyethylene blends
US20190203023A1 (en) Polyethylene composition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US11118040B2 (en) Polyethylene resin film
CN109312126B (zh) 丙烯系树脂组合物及其注射成型体
KR20170084466A (ko) 저온 내충격성이 우수한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KR100745318B1 (ko) 고충격특성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CN110431180A (zh) 用于具有改善的氧气阻隔性能的非取向膜的聚烯烃组合物
KR20220076194A (ko)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블로운 필름
KR20230165538A (ko) 이축배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JP2023127567A (ja) 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射出成形体
KR20030054086A (ko) 고충격특성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