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9657B1 - 승주작업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승주작업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9657B1
KR102459657B1 KR1020220099797A KR20220099797A KR102459657B1 KR 102459657 B1 KR102459657 B1 KR 102459657B1 KR 1020220099797 A KR1020220099797 A KR 1020220099797A KR 20220099797 A KR20220099797 A KR 20220099797A KR 102459657 B1 KR102459657 B1 KR 102459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racket
bracket
upper support
electric pole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9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6403A (ko
Inventor
한승호
장시영
조청래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20099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9657B1/ko
Publication of KR20220116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6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68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75Details of ropes or similar equipment, e.g. between the secured person and the lifeline or anch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주에 고정 장착되는 상단 지지금구, 상기 상단 지지금구보다 하측으로 이격되어 전주에 고정 장착되는 하단 지지금구 및 상기 상단 지지금구 및 상기 하단 지지금구 사이에 배치되어 전주에 장착되는 중앙 회전금구를 포함하는 승주작업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가 승주작업시 추락 위험을 방지하여 보다 안전하게 한다.

Description

승주작업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SAFETY APPARATUS FOR PREVENTION OF FALLING WHEN CLIMBING A POLE}
본 발명은 승주작업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자가 승주작업시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작업자가 전주에 승주하여 작업을 하기 위해 전주를 오를 때, 안전대, 안전대 로프 등의 기존의 안전장치로는 승주 작업자의 추락사고 방지에 한계가 있다.
즉, 안전로프의 체결 부주의에 의한 작업자의 추락사고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므로, 작업자가 승주작업시 기존보다 안전한 추가적인 안전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상의 배경기술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2058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승주작업시 추락 위험을 방지하여 보다 안전하게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한 승주작업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는, 전주에 고정 장착되는 상단 지지금구, 상기 상단 지지금구보다 하측으로 이격되어 전주에 고정 장착되는 하단 지지금구 및 상기 상단 지지금구 및 상기 하단 지지금구 사이에 배치되어 전주에 장착되는 중앙 회전금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단 지지금구 및 상기 하단 지지금구는 각각은 전주의 외경에 대응되는 한 쌍의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 양 단에서 측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체결홀이 형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단 지지금구 및 상기 하단 지지금구 각각의 상기 한 쌍의 밴드부는 합금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앙 회전금구는, 전주의 외경에 대응되는 한 쌍의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 양 단에서 측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체결홀이 형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 회전금구의 상기 한 쌍의 밴드부의 상단 및 하단에는 고무 밴드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앙 회전금구의 상기 밴드부의 측면에는 돌출 형성된 체결고리 연결부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일 단에 체결고리가 장착된 안전대 연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고리는 상기 체결고리 연결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안전대 연결선은 절연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의한 승주작업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는, 전주에 고정 장착되는 상단 지지금구, 상기 상단 지지금구보다 하측으로 이격되어 전주에 고정 장착되는 하단 지지금구, 상기 상단 지지금구 및 상기 하단 지지금구 사이에 배치되어 전주에 장착되는 중앙 회전금구 및 일 단에 체결고리가 장착된 안전대 연결선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 회전금구는, 전주의 외경에 대응되는 한 쌍의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 양 단에서 측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체결홀이 형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중앙 회전금구의 상기 한 쌍의 밴드부의 상단 및 하단에는 고무 밴드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 회전금구의 상기 밴드부의 측면에는 돌출 형성된 체결고리 연결부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안전대 연결선은 절연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승주작업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에 의하면, 승주에 장착된 장치에 절연안전로프를 연결하여 이를 작업자의 안전대에 체결 후 승주 작업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자가 승주시 추락할 위험을 제거시킬 수가 있다.
또한, 작업자가 자세를 변화시켜 작업이 용이하도록 중앙 회전금구가 회전 가능하여 자세에 구애받지 않고 작업시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같은 안전 장치에 의해 작업자의 심리적 안정 또한 도모하여 작업 능률이 향상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의 측면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 발명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를 구성하는 상단 지지금구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3a 및 도 3b는 각각 하단 지지금구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4a 및 도 4b는 각각 중앙 회전금구의 정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를 구성하는 안전대 연결선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를 구성하는 체결고리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전주에 본 발명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의 기술이나 반복적인 설명은 그 설명을 줄이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의 측면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 발명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를 구성하는 상단 지지금구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3a 및 도 3b는 각각 하단 지지금구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4a 및 도 4b는 각각 중앙 회전금구의 정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승주작업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는 작업자가 로프와 안전대에만 의존하던 기존의 승주 작업 안전시스템을 개선하여 작업자가 승주를 안전하게 하여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로서, 상단 지지금구(110), 하단 지지금구(120), 중앙 회전금구(130)의 세 금구를 조합하여 구성된다.
이들 세트는 승주 전 전주 상단에 도 1과 같이 차례로 적층되도록 장착된다.
상단 지지금구(110)는 한 쌍의 밴드부(111), 플랜지부(112)를 포함한다.
한 쌍의 밴드부(111)는 전주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반원 형상을 가지고, 밴드부(111)는 지지 강성 확보를 위해 합금 재질일 수 있다.
플랜지부(112)는 밴드부(111) 양 단에서 각각 측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플랜지부(112)에는 체결홀(113)이 형성됨으로써, 도시와 같이, 체결홀(113)을 관통하는 볼트(B)에 너트(N)를 조임으로써 한 쌍의 밴드부(111)를 체결시킨다.
하단 지지금구(120)는 상단 지지금구(110)의 하방향에 이격되게 전주에 장착되며, 한 쌍의 밴드부(121), 플랜지부(122)를 포함한다.
한 쌍의 밴드부(121)는 전주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반원 형상을 가지고, 밴드부(121)는 지지 강성 확보를 위해 합금 재질일 수 있다.
플랜지부(122)는 밴드부(121) 양 단에서 각각 측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플랜지부(122)에는 체결홀(123)이 형성됨으로써, 도시와 같이, 체결홀(123)을 관통하는 볼트(B)에 너트(N)를 조임으로써 한 쌍의 밴드부(121)를 체결시킨다.
그리고, 중앙 회전금구(130)는 이격된 상단 지지금구(110)와 하단 지지금구(120) 사이에 배치되어 전주에 장착된다.
*중앙 회전금구(130)는 한 쌍의 밴드부(131), 플랜지부(132)를 포함한다.
한 쌍의 밴드부(131)는 전주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반원 형상을 가지고, 밴드부(131)는 지지 강성 확보를 위해 합금 재질일 수 있다.
플랜지부(132)는 밴드부(131) 양 단에서 각각 측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플랜지부(132)에는 체결홀(133)이 형성됨으로써, 도시와 같이, 체결홀(133)을 관통하는 볼트(B)에 너트(N)를 조임으로써 한 쌍의 밴드부(131)를 체결시킨다.
여기서, 중앙 회전금구(130)의 한 쌍의 밴드부(131)의 체결은 전주에 완전하게 고정될 정도로 체결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이는 필요에 따라 상단 지지금구(110) 및 하단 지지금구(120)에 비해 다소 느슨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그럴 경우 중앙 회전금구(130)는 하단 지지금구(12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단 지지금구(110)와 하단 지지금구(120) 간에 유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중앙 회전금구(130)는 전주 둘레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작업자의 안전대 연결선(210)이 중앙 회전금구(130)에 결합되므로 작업자가 자세 변환이 용이해진다.
나아가, 한 쌍의 밴드부(131)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고무 밴드(134)가 장착될 수 있다. 이는 상단 지지금구(110) 및 하단 지지금구(120)와의 마찰을 줄이고,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무 밴드(134)는 밴드부(131)의 상단과 하단에 전체적으로 장착되거나 부분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밴드부(131)의 측면에는 돌출 형성된 체결고리 연결부(135)가 장착되어, 체결고리 연결부(135)에 후술할 체결고리(220)를 장착할 수 있게 한다.
도 5는 안전대 연결선(210)으로서, 일 단은 작업자에 고정시키고, 타 단은 도 6의 체결고리(220)가 결합된다.
그래서, 체결고리(220)를 중앙 회전금구(130)의 체결고리 연결부(135)에 장착시켜 체결불량 및 고리 이탈을 방지하고, 지상으로 안전대 연결선(210)을 늘어뜨린 후에, 작업자가 안전대 연결선(210)을 안전대에 체결한 후 안전하게 승주 작업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작업 위치까지 승주 후에 안전대를 추가 체결하여 작업이 가능하다.
여기서, 안전대 연결선은 안전을 위해 절연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승주작업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는 승주에 장착된 장치에 절연안전로프를 연결하여 이를 작업자의 안전대에 체결 후 승주 작업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110 : 상단 지지금구
111 : 밴드부 112 : 플랜지부
113 : 체결홀
120 : 하단 지지금구
121 : 밴드부 122 : 플랜지부
123 : 체결홀
130 : 중앙 회전금구
131 : 밴드부
132 : 플랜지부 133 : 체결홀
134 : 고무 밴드
135 : 체결고리 연결부
210 : 안전대 연결선
220 : 체결고리

Claims (1)

  1. 전주에 고정 장착되는 상단 지지금구;
    상기 상단 지지금구보다 하측으로 이격되어 전주에 고정 장착되는 하단 지지금구; 및
    상기 상단 지지금구 및 상기 하단 지지금구 사이에 배치되어 전주에 장착되는 중앙 회전금구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 지지금구, 상기 하단 지지금구 및 상기 중앙 회전금구 각각은,
    전주의 외경에 대응되는 한 쌍의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 양 단에서 측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체결홀이 형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회전금구의 상기 밴드부의 측면에는 돌출 형성된 체결고리 연결부가 장착되고,
    일 단에 체결고리가 장착된 안전대 연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안전대 연결선은 절연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주작업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KR1020220099797A 2020-06-30 2022-08-10 승주작업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KR102459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797A KR102459657B1 (ko) 2020-06-30 2022-08-10 승주작업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041A KR102433166B1 (ko) 2020-06-30 2020-06-30 승주작업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KR1020220099797A KR102459657B1 (ko) 2020-06-30 2022-08-10 승주작업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041A Division KR102433166B1 (ko) 2020-06-30 2020-06-30 승주작업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6403A KR20220116403A (ko) 2022-08-23
KR102459657B1 true KR102459657B1 (ko) 2022-10-28

Family

ID=7934780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041A KR102433166B1 (ko) 2020-06-30 2020-06-30 승주작업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KR1020220099797A KR102459657B1 (ko) 2020-06-30 2022-08-10 승주작업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KR1020220099796A KR102459656B1 (ko) 2020-06-30 2022-08-10 승주작업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041A KR102433166B1 (ko) 2020-06-30 2020-06-30 승주작업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9796A KR102459656B1 (ko) 2020-06-30 2022-08-10 승주작업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43316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611Y1 (ko) * 2003-10-14 2004-01-24 한국전력공사 전주용 승주 장치
JP2019042090A (ja) 2017-08-31 2019-03-22 株式会社アイサン 安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6782Y1 (ko) * 1989-08-08 1991-09-09 김광준 전주의 승강장치
KR20050120582A (ko) 2005-10-06 2005-12-22 김인식 승탑 및 승주방지형 사다리
KR20080000570U (ko) * 2006-10-17 2008-04-22 김문식 이동통신용 전주의 작업대 회전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611Y1 (ko) * 2003-10-14 2004-01-24 한국전력공사 전주용 승주 장치
JP2019042090A (ja) 2017-08-31 2019-03-22 株式会社アイサン 安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6402A (ko) 2022-08-23
KR102459656B1 (ko) 2022-10-28
KR102433166B1 (ko) 2022-08-18
KR20220116403A (ko) 2022-08-23
KR20220001737A (ko) 2022-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9657B1 (ko) 승주작업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JP5348845B2 (ja) 架線梯子
KR101441049B1 (ko) 자가 탈출이 가능한 추락 억제용 자가 견인 케이블장치
CN211923477U (zh) 一种用于脚手架搭建的安全挂件
JP4524434B2 (ja) 柱状体昇降具
JP7044362B2 (ja) 電気機器の高所取付装置
KR20130007409U (ko) 고소 작업용 안전벨트 장치
CN211025028U (zh) 一种塔杆用蹬高支撑装置
KR20190049962A (ko) 추락방지용 개인용 죔줄 체결끈 및 이를 이용한 작업자의 추락방지방법
JP4823054B2 (ja) 作業用補助具
JP3180786U (ja) 墜落防止装置
JP3121512U (ja) 電柱玉掛けストッパー
CN113013786A (zh) 一种高处电缆架设安装装置
KR20210004094A (ko) 고소작업자 추락 방지용 로프홀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소작업자 추락 방지 공법
JP2011188925A (ja) 落下防止用補助具
US1675146A (en) Pulley
CN102817552A (zh) 直流500kV线路下合成绝缘子软梯
JP7406248B2 (ja) 高所作業方法及び高所作業用部材
JPS6037420Y2 (ja) 吊下げフツク装置
KR20160009206A (ko) 선박의 난간지주
JP2012120357A (ja) 吊上金具および碍子装置
CN213313038U (zh) 一种井架安装防坠落装置
CN211594851U (zh) 一种塔吊钢丝绳防跳槽装置
US20040087382A1 (en) Hanger assembly for supporting a swing device or the like
CN206359146U (zh) 高效型定柱式悬臂起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