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20582A - 승탑 및 승주방지형 사다리 - Google Patents

승탑 및 승주방지형 사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0582A
KR20050120582A KR1020050093705A KR20050093705A KR20050120582A KR 20050120582 A KR20050120582 A KR 20050120582A KR 1020050093705 A KR1020050093705 A KR 1020050093705A KR 20050093705 A KR20050093705 A KR 20050093705A KR 20050120582 A KR20050120582 A KR 20050120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ember
ladder
present
lif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3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성호
Original Assignee
김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식 filed Critical 김인식
Priority to KR1020050093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20582A/ko
Publication of KR20050120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0582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4Ladders attached to structures, such as windows, cornices, pol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83Foldable ladders in which the longitudinal members are brought together on fo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50Joints or other connecting parts
    • E06C7/505Anchors being adapted to fix a ladder to a vertical structure, e.g. ladder h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신주(電信柱)와 같은 지지물의 유지보수 작업시 오르내리는데 사용하는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쪽으로 형성된 프레임부재와, 여기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발판부재를 포함하며, 특히, 프레임부재의 양쪽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잠금수단이 구비되어, 양쪽 프레임부재 사이에 복수의 발판부재가 접혀 삽입된 상태로 결속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계자외의 일반인이 전신주(電信柱) 등에 올라가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승탑 및 승주방지형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신주(電信柱)와 같은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대한 설비기준에도 불구하고 상주 설치가 가능하며, 전신주(電信柱) 시설의 유지보수 작업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막대한 수요에 따른 시장형성이 기대되는 등 경제적 파급효과가 뛰어난 발명이다.

Description

승탑 및 승주방지형 사다리{A climbing-prevention ladder}
본 발명은 전신주(電信柱)와 같은 지지물의 유지보수 작업시 오르내리는데 사용하는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쪽으로 형성된 프레임부재와, 여기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발판부재를 포함하며, 특히, 프레임부재의 양쪽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잠금수단이 구비되어, 양쪽 프레임부재 사이에 복수의 발판부재가 접혀 삽입된 상태로 결속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계자외의 일반인이 전신주(電信柱) 등에 올라가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승탑 및 승주방지형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은 시설기준에서 명시되어 있듯이, 지지물에 취급자가 오르고 내리는데 사용하는 발판 등을 지표상 1.8m미만에 시설하여서는 안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발판을 내부에 넣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경우, 또는 승탑 및 승주 방지장치를 시설하는 경우, 또는 지지물 주위로 울타리나 담과 같은 시설을 하는 경우, 또는 일반인들이 쉽게 접근할 우려가 없는 곳에 시설된 지지물일 경우에 한해서는 발판에 대한 시설범위를 제한하지 않고 있다.
이와 같은 시설기준은 가공전선로의 지지물 즉, 전신주(電信柱)를 경유하는 전선의 고압전류에 따른 감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일종의 의무규정으로, 지지물에 대한 취급자이외 다른 일반인들이 전신주(電信柱)와 같은 지지물을 쉽게 오를 수 없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전신주(電信柱)의 신설 및 유지보수와 관련된 작업을 위해서는 소정의 높이로 이루어진 작업용 사다리를 항상 휴대하고 다닐 수밖에 없다.
상기와 같은 사다리 관련 기술을 살펴보면, 작업의 편의성이나 안정성 및 취급상의 용이성에 주안점을 둔 것들로 상당히 개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 예로서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74604호(2005. 1. 21. 등록, 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서 개시된 기술을 들 수 있다. 아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한 종래기술에 대해 구체적으로 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종래기술은 보관 및 운반상의 편의는 물론, 작업시 안전성이 보장되는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 한 쪽이 개방된 프레임(1)에 중앙 접철식 지지대(2)가 다수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1)의 한 쪽 면에는 추락방지를 위한 가드부재(3)가 다수의 링크(3a)로부터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프레임(1)의 다른 쪽 면에는 지면으로부터의 고정을 위한 받침수단(4)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1)의 상·하단에는 연질의 고정부재(5) 및 이음부재(6)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하면 접철식 지지대(2)가 개방된 프레임(1) 속으로 함몰된 형태로의 변형이 가능하며, 가드부재(3) 및 받침수단(4) 역시 프레임(1)과 밀착된 형태로의 변형이 가능함으로 운반시 취급이 용이하고, 보관시 용적율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작업시에는 가드부재(3)로부터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며, 이음부재(6)를 이용하여 사다리를 늘릴 수 있으므로 고가작업 또한 용이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휴대가 간편하다는 등의 장점이 발휘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늘 상비하고 다녀야 한다는 근본적으로 번거로운 문제점을 안고 있다. 즉, 상기한 종래기술은 앞에서 언급한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대한 시설기준에 따라 전신주(電信柱) 등에 일체로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가드부재(3) 및 받침수단(4)과 같은 복잡한 기술적 구성으로 인해 제조공정상 생산원가는 높이면서, 오히려 생산성은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임부재와, 여기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발판부재, 그리고 프레임부재의 양쪽 대응되는 위치에 잠금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양 프레임부재 사이에 복수의 발판부재를 접어 넣고, 사용이 불가능하게 시근장치를 걸어 놓을 수 있는 승탑 및 승주방지형 사다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프레임부재에는 밴드형 체결수단을 구비하여,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대한 설비기준에 해당하는 승탑 및 승주 방지수단이 구비된 사다리를 전신주(電信柱)와 같은 지지물에 일체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승탑 및 승주방지형 사다리는 프레임부재와, 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판부재, 그리고 프레임부재의 양쪽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잠금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대한 설비기준에 부합하는 수단이 구비된 것에 핵심적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승탑 및 승주방지형 사다리는 전신주(電信柱) 같은 가공전선로의 지지물과 일체시켜 상주시킬 수 있는 체결수단이 구비되는 부수적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승탑 및 승주방지형 사다리는 크게 프레임부재(10)와 발판부재(20) 및 잠금수단(30)으로 대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레임부재(10)는 좌·우 양쪽에 마련된 일종의 스틱인 바(bar) 내지 길이방향으로 절곡된 앵글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절곡된 앵글을 좌·우가 서로 대칭되게 배치하되, 좌·우를 겹쳤을 때에는 중공형태의 사각기둥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발판부재(20)는 프레임부재(10)에 복수로 형성되는 것으로, 양쪽 프레임부재(10)를 포갤 수 있는 형태가 좋다. 즉, 핀 볼트와 같은 것에 의해 양 끝단이 프레임부재(10)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 형태 내지는 소정의 기준점으로부터 접히는 접철식 바(bar) 형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발판부재(20)는 양 프레임부재(10)를 겹친 상태로 접거나 좌·우로 전개시키는 등의 작동을 원활하게 한다. 이때, 발판부재(20)의 두께는 프레임부재(10)를 겹쳤을 때, 중공형태의 사각기둥 양 모서리가 맞물릴 수 있는 정도가 좋다.
본 발명의 잠금수단(30)은 프레임부재(10) 양쪽으로 마련되며, 궁극적으로는 상기 발판부재(20)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프레임부재(10)의 한 쪽에 뭉치부(31) 및 걸림쇠(32)를 형성하되, 상기 뭉치부(31)에 소정의 키 홀(31a)이 마련되고, 걸림쇠(32)는 키 홀(31a)의 회전에 따라 회동되게 뭉치부(31)에 일체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프레임부재(10)의 다른 쪽, 즉, 양 쪽을 겹쳤을 때, 뭉치부(31)에 일체된 걸림쇠(32)가 대응되는 다른 한 쪽에는 장공 형태의 수용부(33)를 형성하여, 키 홀(31a)이 형성된 뭉치부(31)를 돌림에 따라 걸림쇠(32)가 회동되면서 수용부(33)에 결착되어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잠금 상태의 전환은 사용자가 열쇠를 직접 꽂아 돌리는 수동식 전환 또는, 원격조정이 가능한 전자식 전환 등의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탑 및 승주방지형 사다리는 프레임부재(10)에 체결수단(40)을 구비하여, 전신주(電信柱)에 상주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체결수단(40)은 일종의 환형 밴드 형태로 이루어진다. 특히, 원 또는 반원으로 이루어진 띠 형태로써, 전신주(電信柱)의 둘레에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재(10)는 고정수단(11)을 더 포함하는 형태로도 가능한데, 상기 고정수단(11)은 양 프레임부재(10)를 접거나 펼치는 등의 설치상태 전환시, 유동되는 쪽의 상단에 마련되어, 펼친 상태에서의 설치 안정성을 도모하게 된다. 즉, 설치상태에서 프레임부재(10)를 전개했을 때, 소정의 고리 형태로 이루어진 고정수단(11)이 전신주(電信柱)에 부설된 작업대(50)에 거치되도록 함으로써, 바람 등에 따른 상단의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프레임부재(10)는 미사용 상태로 접어 올렸을 때, 접혀 올라간 쪽의 하단 지지상태를 보정할 수 있는 보조수단(12)이 더 포함된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 즉, 상기한 고정수단(11)처럼, 양 프레임부재(10)를 접거나 펼치는 등의 설치상태 전환시, 유동되는 쪽에 구비하되, 하단에 형성되며, 회동식에 따라 접어 두었다가 필요시 펼쳐서 지면으로부터 프레임부재(10)의 지지상태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한다. 부연하면, 상기 보조수단(12)은 설치 상태에서 유동되는 프레임부재(10)의 하단 길이조절을 위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승탑 및 승주방지형 사다리는 전신주(電信柱)와 같은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대한 설비기준 즉, 발판 등을 지표상 1.8m미만에 시설할 수 없다는 규정의 예외 항목을 충족하는 것으로, 작업대(50)가 부설된 전신주(電信柱) 등에 상주된 형태 즉, 도 3 및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프레임부재(10) 한 쪽에 일체된 체결수단(40)을 전신주(電信柱) 둘레로 감은 뒤, 볼트를 조여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프레임부재(10) 중 체결수단(40)이 일체된 쪽은 전신주(電信柱)에 밀착 고정되고, 나머지 한 쪽은 양 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다수의 발판부재(20)로부터 고정된 쪽으로 겹쳐지거나 또는, 상기 발판부재(20)의 회동범위만큼 전개되어 사용 상태로 펼쳐지는 등의 유동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부재(10)는 좌·우가 서로 대칭을 이루는 절곡된 앵글로써, 좌·우 양 쪽을 겹쳤을 때에는 중공형의 사각기둥 속으로 다수의 발판부재(20)를 포함하게 됨으로, 상기 발판부재(20)의 사용을 제한 할 수 있게 된다. 즉, 작업자가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잠금수단(30)의 설정상태를 잠금으로 전환시켜 두면, 관계자이외 일반인들에 의한 상기 발판부재(20)의 사용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잠금수단(30)은 작업자가 열쇠를 이용하여 키 홀(31a)을 돌리면, 뭉치부(31)의 걸림쇠(32)가 회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장공형태의 수용부(33) 속으로 걸쳐지며, 결론적으로 양 프레임부재(10)의 전개를 차단하게 된다. 이때, 프레임부재(10)의 한 쪽 하단에는 보조수단(12)을 하방으로 회동 전개시켜, 소정 높이만큼 격상된 쪽의 하단을 지면으로부터 지지될 수 있도록 보정해 줄 수도 있다.
계속해서, 작업자가 본 발명의 승탑 및 승주방지형 사다리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보조수단(12)을 다시 복귀시키고, 또 상기 잠금수단(30)의 설정상태를 해제시킨 뒤, 겹쳐진 프레임부재(10)를 펼쳐 발판부재(20)가 거치되도록 한다. 이때, 옆으로 펼쳐지는 프레임부재(10)의 상단에 형성된 일종의 고리 형태인 고정수단(11)이 전신주(電信柱)의 작업대(50) 난간에 착설되어 작업자가 사다리를 오르거나 내릴 때 프레임부재(10)의 상단 흔들림 등을 방지하게 됨으로 승강시 안전을 도모하게 된다.
상기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형태에 한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또는 변경 실시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기재된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승탑 및 승주방지형 사다리에 의하면 전신주(電信柱)와 같은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대한 설비기준에도 불구하고 상주 설치가 가능하며, 전신주(電信柱) 시설의 유지보수 작업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막대한 수요에 따른 시장형성이 기대되는 등 경제적 파급효과가 뛰어난 발명이다.
뿐만 아니라, 단순화된 기술적 구성으로부터 제조공정상의 생산성 제고는 물론, 조립식 단품에 따른 원자재의 활용 효과가 뛰어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접철식 사다리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승탑 및 승주방지형 사다리의 분해상태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승탑 및 승주방지형 사다리의 사용상태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승탑 및 승주방지형 사다리의 잠금상태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승탑 및 승주방지형 사다리의 잠금수단을 확대해서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프레임부재 11 : 고정수단
12 : 보조수단 20 : 발판부재
30 : 잠금수단 31 : 뭉치부
31a: 키 홀 32 : 걸림쇠
33 : 수용부 40 : 체결수단
50 : 작업대

Claims (5)

  1. 좌·우 양쪽으로 마련된 프레임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에 복수로 형성되며, 양 프레임부재를 포갤 수 있게 결합된 발판부재; 및
    상기 프레임부재 양쪽으로 마련되며, 상기 발판부재의 사용제한을 위한 잠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승탑 및 승주방지형 사다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에는 상주 설치를 위한 밴드형 체결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탑 및 승주방지형 사다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는 설치상태 전환시 접히거나 펼쳐지는 쪽의 상단에 흔들림 방지를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탑 및 승주방지형 사다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는 설치상태 전환시 접히거나 펼쳐지는 쪽의 하단에 지지상태 보정을 위한 보조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탑 및 승주방지형 사다리.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프레임부재 중 한 쪽에 마련되며, 키 홀이 형성된 뭉치부와;
    상기 뭉치부에 일체되어, 상기 키 홀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동되는 걸림쇠;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재 중 다른 한 쪽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쇠의 체결을 위한 수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탑 및 승주방지형 사다리.
KR1020050093705A 2005-10-06 2005-10-06 승탑 및 승주방지형 사다리 KR200501205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3705A KR20050120582A (ko) 2005-10-06 2005-10-06 승탑 및 승주방지형 사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3705A KR20050120582A (ko) 2005-10-06 2005-10-06 승탑 및 승주방지형 사다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0582A true KR20050120582A (ko) 2005-12-22

Family

ID=37293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3705A KR20050120582A (ko) 2005-10-06 2005-10-06 승탑 및 승주방지형 사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20582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18389A (zh) * 2011-12-08 2012-06-27 河南省电力公司洛阳供电公司 一种防止误爬的带电设备爬梯
CN102629405A (zh) * 2012-04-18 2012-08-08 刘荣山 一种管状杆柱智能防爬防护装置及其防护方法
WO2013105880A2 (ru) * 2012-01-11 2013-07-18 Babaylova Nadezhda Vasilyevna Лестница вертикальная
RU2495990C2 (ru) * 2012-01-11 2013-10-20 Надежда Васильевна Бабайлова Лестница вертикальная
CN104929414A (zh) * 2015-06-30 2015-09-23 国网山东省电力公司德州供电公司 电力杆塔闭锁系统
CN107503533A (zh) * 2017-08-24 2017-12-22 中国电力工程顾问集团西南电力设计院有限公司 一种800kV换流站交流滤波器联合构架
CN109019374A (zh) * 2018-10-14 2018-12-18 张家港市天运建筑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塔式起重机的折叠式攀爬装置
CN109812221A (zh) * 2018-12-29 2019-05-28 国家电网有限公司 电力检修梯
KR102342420B1 (ko) * 2020-06-24 2021-12-24 한국전력공사 추락방지용 작업발판이 구비된 안전사다리
KR20220001737A (ko) 2020-06-30 2022-01-06 한국전력공사 승주작업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18389A (zh) * 2011-12-08 2012-06-27 河南省电力公司洛阳供电公司 一种防止误爬的带电设备爬梯
CN102518389B (zh) * 2011-12-08 2016-03-02 河南省电力公司洛阳供电公司 一种防止误爬的带电设备爬梯
WO2013105880A2 (ru) * 2012-01-11 2013-07-18 Babaylova Nadezhda Vasilyevna Лестница вертикальная
WO2013105880A3 (ru) * 2012-01-11 2013-10-03 Babaylova Nadezhda Vasilyevna Лестница вертикальная
RU2495990C2 (ru) * 2012-01-11 2013-10-20 Надежда Васильевна Бабайлова Лестница вертикальная
CN102629405A (zh) * 2012-04-18 2012-08-08 刘荣山 一种管状杆柱智能防爬防护装置及其防护方法
CN104929414A (zh) * 2015-06-30 2015-09-23 国网山东省电力公司德州供电公司 电力杆塔闭锁系统
CN104929414B (zh) * 2015-06-30 2017-06-09 国网山东省电力公司德州供电公司 电力杆塔闭锁系统
CN107503533A (zh) * 2017-08-24 2017-12-22 中国电力工程顾问集团西南电力设计院有限公司 一种800kV换流站交流滤波器联合构架
CN109019374A (zh) * 2018-10-14 2018-12-18 张家港市天运建筑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塔式起重机的折叠式攀爬装置
CN109812221A (zh) * 2018-12-29 2019-05-28 国家电网有限公司 电力检修梯
CN109812221B (zh) * 2018-12-29 2020-06-12 国家电网有限公司 电力检修梯
KR102342420B1 (ko) * 2020-06-24 2021-12-24 한국전력공사 추락방지용 작업발판이 구비된 안전사다리
KR20220001737A (ko) 2020-06-30 2022-01-06 한국전력공사 승주작업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KR20220116403A (ko) 2020-06-30 2022-08-23 한국전력공사 승주작업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KR20220116402A (ko) 2020-06-30 2022-08-23 한국전력공사 승주작업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120582A (ko) 승탑 및 승주방지형 사다리
US8245816B2 (en) Integral safety system which can be used for construction
KR200480180Y1 (ko) 에이형 사다리
KR200424293Y1 (ko) 자석 접이 승탑 사다리
KR20190075583A (ko) 다기능 조립식 작업 구조물
KR200464269Y1 (ko) 고소 작업용 수직사다리
KR200442222Y1 (ko) 발판 각도 조절용 사다리
KR100828576B1 (ko) 이동식 틀비계용 난간대
CN110173208B (zh) 安装有快速折叠护栏的施工爬梯
JP2012107460A (ja) 構築足場用跳ね出し通路
JP3034271U (ja) 転倒防止補助部材付脚立
CN212583181U (zh) 一种倾斜杠杆式可移动悬挑平台
KR200439328Y1 (ko) 내장 입(入)자형 접이 발판사다리
JP2001159236A (ja) ブラケット足場用踏板
KR200447405Y1 (ko) 맨홀 출입용 안전손잡이
US6474617B1 (en) Apparatus to support a light post and such a lamp post
KR100927477B1 (ko) 건축 비계용 접이식 안전발판
CN109025246A (zh) 一种便于安装的建筑工程用脚手架
KR200339611Y1 (ko) 전주용 승주 장치
KR20130004550U (ko) 휴대가 용이한 안전 작업대
CN219137432U (zh) 一种采用可折叠底板的盖梁标准化平台
KR200302136Y1 (ko) 교량용 작업안전대 조립체
CA2590484A1 (en) Integral safety system which can be used for construction
KR200403206Y1 (ko) 건축공사용 안전망 구조물
AU2005201613B2 (en) A fall prevention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