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0570U - 이동통신용 전주의 작업대 회전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용 전주의 작업대 회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0570U
KR20080000570U KR2020060027928U KR20060027928U KR20080000570U KR 20080000570 U KR20080000570 U KR 20080000570U KR 2020060027928 U KR2020060027928 U KR 2020060027928U KR 20060027928 U KR20060027928 U KR 20060027928U KR 20080000570 U KR20080000570 U KR 200800005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work
mobile communication
guide rail
rota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79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식
Original Assignee
김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식 filed Critical 김문식
Priority to KR20200600279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0570U/ko
Publication of KR200800005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57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18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upported by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4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f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chimney stacks or pylons
    • E04G3/243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f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chimney stacks or pylons following the outside contour of a build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통신용 전주의 작업대 회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첫째, 구조물의 경량화와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구름 접촉부의 접촉 구조를 금속제 형강을 이용하여 일자형의 수직 단면을 가지는 가이드 레일에 의하여 발판이 안내되도록 개선하고, 둘째, 적정한 위치에서 작업발판이 더 이상 회전할 수 없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을 제공하여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게 하며, 셋째, 구름 접촉부가 파손이 되더라도 작업발판을 포함한 작업대가 가이드 레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추락 방지 수단을 제공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작업자가 안심하고 작업에 임할 수 있는 이동통신용 전주의 작업대 회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동통신, 전주, 작업대, 작업 발판, 가이드 로울러,

Description

이동통신용 전주의 작업대 회전 장치 {.}
도 1은 종래 작업대 회전 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작업대 회전 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을 아래쪽에서 투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가이드 로울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고정 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추락 방지 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본 고안은 이동통신용 안테나가 설치되는 전주에서 작업대를 360ㅀ 회전시킬 수 있게 되어 넓은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안테나의 보수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이동통신용 전주의 작업대 회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 적으로는 보다 단순한 구름 접촉부의 접촉 구조에 의하여 작업대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되어 구조물이 경량화되고 소음이 감소되며, 안전수단으로서 발판이 임의의 위치에서 더 이상 회전할 수 없도록 고정시킬 수 있으며, 또한 구름 접촉부의 파손 등 이상 발생시 작업대가 지상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안전하고 능률적인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이동통신용 전주의 작업대 회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용으로 설치되는 전주에는 안테나 기지국 설비에 대한 하자 보수 작업을 하기 위하여 작업대가 설치되고 있다.
도 1은 이동통신용 전주에 설치되는 종래의 작업대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 전주(100)에 설치되는 작업대(200)는 전주(100)에 고정되는 고정밴드(201,201a)와, 상기 고정밴드(201,201a)에 일체로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202,202a)과, 작업자가 올라설 수 있게 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202,202a)에 안내되어 회전되는 발판(203)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201,201a)은 속이 빈 환형상의 중공체로 형성되면서 바깥쪽으로 원형의 홈(204,204a)이 형성되어 발판(203)에 고정된 구형체의 가이드 로울러(205,205a)가 구름 접촉을 하면서 회전함으로써 작업대가 360ㅀ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작업대는 속이 빈 환형상의 가이드 레일(201,201a)을 제작할 때에 금속재의 형강을 벤딩(bending)하면 굴곡이 생기게 되어 가이드 로울 러(205,205a)를 효과적으로 이동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스프링백(spring back) 현상에 의하여 조립 정밀도가 저하되어 설치 작업이 곤란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가이드 로울러(205,205a)와 접촉하는 가이드 레일(201,201)의 접촉면이 균일한 곡률과 표면이 되도록 주조(鑄造)를 하여 가이드 레일(201,201a)을 제작하여야 하는데, 주조 작업 또한 숙련된 기술을 필요로 하고 제작 단가가 상승하고 비교적 중량체가 되어야 한다는 문제점과, 주조시의 결합으로 인하여 파손의 우려가 높다는 새로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가이드 로울러(205,205a)가 이동하는 홈(204,204a)을 형성하기 위해서 레이저 커팅을 하여야 함으로 제작이 어렵고, 또한 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첫째, 구조물의 경량화와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구름 접촉부의 접촉 구조를 금속제 형강을 이용하여 일자형의 수직 단면을 가지는 가이드 레일에 의하여 발판이 안내되도록 개선하고, 둘째, 적정한 위치에서 작업발판이 더 이상 회전할 수 없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을 제공하여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게 하며, 셋째, 구름 접촉부가 파손이 되더라도 작업발판을 포함한 작업대가 가이드 레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추락 방지 수단을 제공하여 작업자가 안심하고 작업에 임할 수 있는 이동통신용 전주의 작업대 회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조적인 특징은 전주에 고정되는 고정밴드의 외주연에서 원주방향으로 무한궤도를 형성하는 상하 가이드 레일에 고정되고, 고정대의 바깥쪽으로는 작업발판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이동통신용 전주의 작업대 회전 장치를 형성함에 있어서, 고정밴드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이 수직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는 이동용 로울러는 가이드 레일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회전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작업대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고정수단과, 이동용 로울러의 파손시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추락방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수단은 고정대에 형성된 암나사에 체결되는 나사축의 한쪽 단부에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노브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의 단부에는 가이드 레일에 밀착되는 압착편이 형성되어 수평상으로 설치되는 고정구로 된다.
상기 추락방지수단은 고정대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돌출되는 걸림부재의 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형성되는 걸림편이 가이드 레일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작업발판을 임의의 위치에 회전시킨 다음 고정구를 이용하여 유동없이 고정할 수 있고, 가이드 로울러의 축이 파손될 경우에 추락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특징과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작업대 회전 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작업대 회전 장치의 사시도를 보여주고 있다.
이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작업대 회전 장치는 전주(300)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밴드(500,500a), 상기 고정밴드(500,500a)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501,501a), 상기 가이드 레일(501,501a)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고정대(502), 상기 고정대(502)의 안쪽에 고정되어 가이드 레일(501,501a)에 안착되는 가이드 로울러(503,503a,503b,503c), 상기 고정대(502)에 고정되는 작업발판(504), 그리고 작업대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고정수단 및 이동용 로울러의 파손시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추락방지수단으로 구성된다.
고정밴드(500,500a)는 공지된 구조와 같이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보울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구로 결합되어 전주(300)에 고정되며, 바깥쪽으로 방사상으로 되는 다수개의 브라케트(505,505a)가 형성되어 가이드 레일(501,501a)이 일체로 형성된다.
가이드 레일(501,501a)은 고정밴드(500,500a)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면서 고정밴드(500,500a)와 같이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체결구로 체결될 때에 원형의 무한 궤도를 형성하게 된다.
고정대(502)는 고정밴드(500)와 동일한 곡률 중심으로 형성되는 원호상의 곡면체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501,501a)의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는데, 안쪽면 에는 네 개의 가이드 로울러(503,503a,503b,503c)가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 로울러(503,503a,503b,503c)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깥쪽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되어 가이드 레일(501,501a)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506)이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대(502)의 안쪽에 회전 가능하게 베어링 고정되는데, 상부에 고정된 두 개의 가이드 로울러(503,503a)는 상부의 가이드 레일(501)에 안착되고, 하부에 고정된 두 개의 가이드 로울러(503b,503c)는 하부의 가이드 레일(501a)에 안착되어 고정대(502)가 회전 이동할 수 있게 되어있다.
작업발판(504)은 상기 고정대(502)의 상부에 수평상으로 고정되면서, 고정대(502)에 고정되는 지지 브라케트(506)의 한쪽편이 고정되어 강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 로울러(503,503a,503b,503c)가 가이드 레일(501,501a)에 안내되어 회전하게 됨으로써 작업발판(504)이 360ㅀ 로 회전하여 임의의 작업 위치에 서 정지될 수 있으며, 또한 고정수단에 의하여 정하여진 위치에서 유동없이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작업대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고정수단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대(502)에 수평상으로 고정되는 고정구(600)로 구성된다.
고정대(502)는 고정구(6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구(600)는 고정대(502)의 암나사에 체결되는 나사축(602)과 작업자에 의하여 수동 조작되는 노브(603)와 전주(300)에 밀착되는 압착편(604)으로 구성되며, 고정대(502)의 바깥쪽에서 가이드 레일(501)을 향하여 고정력이 배분되는 적절한 위치를 선택하여 2개 이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정구(600)는 가이드 로울러(503,503a,503b,503c)가 가이드 레일(501,501a)에 안내되어 작업발판(504)이 임의의 작업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에 작업자가 노브(603)를 회전시켜서 압착편(604)이 가이드 레일(501)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하면, 작업발판(504)이 정하여진 위치에서 더 이상 회전 방향으로 유동하지 않게 되어 작업자가 안심하고 작업에 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동용 로울러의 파손시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추락방지수단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대(502)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걸림부재(700)로 구성된다.
상기 걸림부재(700)는 한족편의 단부가 아래쪽으로 절곡되는 걸림편(701)이 형성되어 고정대(502)에 너트(702)로 고정되면서 가이드 레일(501,501a)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걸림부재(700)는 가이드 로울러(503,503a,503b,503c)가 파손될 경우 걸림편(701)이 가이드 레일(501,501a)의 상부면에 걸리게 됨으로 작업발판(504)이 추락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첫째, 작업발판을 회전 이동시키기 위한 접촉 구조가 제작 작업이 용이하도록 금속 형재로 되면서 일자형의 수직 단면으로 되는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가이드 로울러에 의하여 이루어지 게 됨에 따라 비교적 경량체의 구조물로 구름 접촉 구조를 형성할 수 있어서 이동 통신용 전주의 하중 설계가 용이하고 작동시의 소음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가이드 레일에 밀착되는 고정구에 의하여 임의의 위치에서 작업발판을 유동없이 고정시킬 수 있게 되어 작업자가 정확한 작업위치에서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가이드 로울러가 파손될 경우 걸림부재가 가이드 레일에 걸리게 되어 작업발판이 추락하지 않음으로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작업자가 안심하고 작업에 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전주에 고정되는 고정밴드의 외주연에서 원주방향으로 무한궤도를 형성하는 상하 가이드 레일에 고정되고, 고정대의 바깥쪽으로는 작업발판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이동통신용 전주의 작업대 회전 장치를 형성함에 있어서,
    고정밴드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이 수직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는 이동용 로울러는 가이드 레일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회전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작업대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고정수단과, 이동용 로울러의 파손시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추락방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용 전주의 작업대 회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수단은 고정대에 형성된 암나사에 체결되는 나사축의 한쪽 단부에 노브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의 단부에는 가이드 레일에 밀착되는 압착 편이 형성되어 수평상으로 설치되는 고정구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용 전주의 작업대 회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추락방지수단은 고정대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돌출되는 걸림부재의 단부로부터 걸림편이 아래쪽으로 형성되어 가이드 레일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용 전주의 작업대 회전 장치.
KR2020060027928U 2006-10-17 2006-10-17 이동통신용 전주의 작업대 회전 장치 KR2008000057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928U KR20080000570U (ko) 2006-10-17 2006-10-17 이동통신용 전주의 작업대 회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928U KR20080000570U (ko) 2006-10-17 2006-10-17 이동통신용 전주의 작업대 회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570U true KR20080000570U (ko) 2008-04-22

Family

ID=41320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7928U KR20080000570U (ko) 2006-10-17 2006-10-17 이동통신용 전주의 작업대 회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0570U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762B1 (ko) * 2010-04-28 2010-07-16 배규보 전주의 저압가공선 연결 현수애자
CN106284958A (zh) * 2016-08-03 2017-01-04 天津送变电工程公司 卷帘式钢管杆抱箍及攀爬方法
KR20190101163A (ko) * 2018-02-22 2019-08-30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낙하물 방지용 비계발판 보조장치
CN110552496A (zh) * 2019-09-09 2019-12-10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可移动辅助通廊操作平台
KR20220001737A (ko) * 2020-06-30 2022-01-06 한국전력공사 승주작업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KR20220148635A (ko) * 2021-04-29 2022-11-07 와이넷(주) 주상 작업용 안전 발판
CN117166800A (zh) * 2023-11-02 2023-12-05 中铁城建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外挂式防护架及其安装工艺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762B1 (ko) * 2010-04-28 2010-07-16 배규보 전주의 저압가공선 연결 현수애자
CN106284958A (zh) * 2016-08-03 2017-01-04 天津送变电工程公司 卷帘式钢管杆抱箍及攀爬方法
CN106284958B (zh) * 2016-08-03 2018-12-11 天津送变电工程公司 卷帘式钢管杆抱箍及攀爬方法
KR20190101163A (ko) * 2018-02-22 2019-08-30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낙하물 방지용 비계발판 보조장치
CN110552496A (zh) * 2019-09-09 2019-12-10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可移动辅助通廊操作平台
KR20220001737A (ko) * 2020-06-30 2022-01-06 한국전력공사 승주작업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KR20220116402A (ko) * 2020-06-30 2022-08-23 한국전력공사 승주작업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KR20220116403A (ko) * 2020-06-30 2022-08-23 한국전력공사 승주작업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KR20220148635A (ko) * 2021-04-29 2022-11-07 와이넷(주) 주상 작업용 안전 발판
CN117166800A (zh) * 2023-11-02 2023-12-05 中铁城建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外挂式防护架及其安装工艺
CN117166800B (zh) * 2023-11-02 2024-01-19 中铁城建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外挂式防护架及其安装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00570U (ko) 이동통신용 전주의 작업대 회전 장치
US9073152B2 (en) Elliptical bearing manipulator
US9540181B2 (en) Pallet for conveying pieces or components in assembly lines
GB2422174A (en) Clamp comprising location surface and first and second clamp members
US20050218275A1 (en) Stand
KR100871410B1 (ko) 전주용 접이식 작업대
CN113894755B (zh) 加工角度可调的工作台以及路由器激光打标机
CN217122147U (zh) 旋转上下料工作台以及路由器激光打标机
KR20070008937A (ko) 이동통신 전주의 보조 작업대 인출 및 회전 장치
JP2868747B1 (ja) 昇降機
KR200484750Y1 (ko) 베어링 패드 고정장치
KR20130007296U (ko) 베벨링 작업용 파이프 받침장치
KR20170004153U (ko) 작업대의 전도 방지장치
KR20170049711A (ko) 베어링의 단차 측정 장치 및 방법
JPH08132307A (ja) 姿勢調整機構付旋回架台
KR20200043652A (ko) 안전 사다리
KR102255824B1 (ko) 안전작업대
CN114852834B (zh) 一种万用斜楔压料板垂直起吊固定装置
JP6922545B2 (ja) 溶接治具
US10408270B2 (en) Mounting device for a rolling element bearing having no outer race
JP3029043U (ja) 竪軸型水力発電機固定子の点検用作業台
KR200496451Y1 (ko) 배관 정비용 지지장치
KR200334003Y1 (ko) 다단형 코일적재대용 이동식 작업대
CN219074756U (zh) 一种输电网电力金具焊接防滑支撑装置
CN213035864U (zh) 一种带绝缘板的维修升降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